KR102179570B1 - 처리실의 수직 위치 고정 - Google Patents

처리실의 수직 위치 고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570B1
KR102179570B1 KR1020177033454A KR20177033454A KR102179570B1 KR 102179570 B1 KR102179570 B1 KR 102179570B1 KR 1020177033454 A KR1020177033454 A KR 1020177033454A KR 20177033454 A KR20177033454 A KR 20177033454A KR 102179570 B1 KR102179570 B1 KR 10217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rocessing chamber
tire
vertical position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891A (ko
Inventor
슈테판 발케
Original Assignee
하부르크-프로이덴베르거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부르크-프로이덴베르거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부르크-프로이덴베르거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1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3Loading or unloading th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수직 거리가 밀폐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가황화 공정 동안 처리실 요소들을 고정하기 위해 타이어 가황화 기계 내부에서 처리실의 수직 위치 고정에 관한 것이고, 적어도 한 개의 처리실 요소상에 고정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 수단은 구속해제될 수 있고 발생하중을 흡수하는 고정작용이 제공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처리실의 수직 위치 고정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수직 거리(H)가 밀폐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가황화 공정 동안 처리실 요소들을 고정하기 위해 타이어 가황화 기계 내부에서 처리실의 수직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고, 적어도 한 개의 처리실 요소 상에 고정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고정 장치는 구속해제될 수 있고 발생하중을 흡수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차량 또는 모터사이클과 같은 차량을 위한 타이어의 생산은 극도로 많은 비용이 드는 공정이며 다수의 생산 및 공정단계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상당한 수의 서로 다른 개별 부품들로 구성된 복잡한 타이어 구조에 기인한다. 또한, 소위 가황화와 관련된 압력 및 온도의 영향을 받는 다수의 상기 부품들은 서로 결합되어야 한다. 또한, 가황화 공정은, 최종처리된 타이어의 재료 특성과 부착(adhesion) 특성과 관련하여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타이어를 생산하기 위한 필수적인 생산 단계들 중 하나는 최종 처리된 타이어로 만들어지는 타이어 블랭크(tire blank)의 가황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상기 타이어 블랭크는 타이어 가황화 기계내부에 위치한 몰드 또는 타이어 몰드속으로 넣어 지고 다음에 재료에 따른 가황화 온도까지 가열되며 다음에 상기 타이어 블랭크내에 가황화 압력을 적용하는 과정을 거친다. 가황화 온도 및 가황화 압력에 도달하기 위해, 해당 온도를 가지고 압력이 적용되는 적합한 가열 매체가 상기 타이어 블랭크의 내부 공간속으로 삽입된다.
상기 가황화는 기본적으로, 하나이상의 시간 간격내에 온도 및 압력적용에 의해 타이어 블랭크를 실제로 "가열 건조(finish baking)" 다시 말해 타이어 블랭크의 성분들을 서로 가교(interlink) 결합하고 가교 결합 공정에 의해 기저 재료 및 인도 고무/천연 고무 층속에 탄성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실제로 압력과 온도를 적용하는 것이외에, 상기 기저 재료에 적합한 다른 첨가제들이 상기 가교결합 및 필요한 경우에 가교결합의 가속을 위해 추가로 필요하다.
탄성중합체 재료를 가황화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열에너지가 상기 재료속으로 투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황화 되어야 하는 타이어 블랭크의 내측부에 가황화 온도 및 가황화 압력을 적용하는 것은 대체로 불충분하다.
가황화 공정을 위해 필요한 열에너지 및 적용압력 양을 구하기 위해, 온도 및/또는 압력이 가황화 기계내부에서 타이어 블랭크의 외측부에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적용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타이어 몰드를 둘러싸고 개폐될 수 있는 처리실이 설치되어 가황화되어야 하는 타이어 블랭크가 삽입되고 가황화되며 제거될 수 있다.
특히, 트레드(tread)는 타이어 블랭크의 두꺼운 영역이다. 측벽은 상대적으로 얇게 설계된다. 이렇게 눈에 띄는 두께 차이는, 측벽에 비하여 스틸 브레이커(steel breaker), 브레이커 커버 플라이(breaker cover ply) 및 상당히 더 두꺼운 인도고무/천연고무 층과 같이 상기 트레드 영역에 위치하는 부가적인 타이어 부분들에 기인한다. 특히 상기 인도고무/천연고무 층은 가황화 공정 동안 형성되는 실제 타이어 프로파일을 둘러싸기 때문에, 상기 인도고무/천연고무 층은 상대적으로 큰 벽 두께를 가진다. 상기 목적을 위해 상기 트레드 영역 또는 트레드 영역에 제공되는 후벽 구조의 인도고무/천연고무 덩어리는, 소성상태로 유동하고 가황화 압력에 의해 타이어 가황화 기계의 타이어 블랭크 몰드의 프로파일 네거티브 다이(profile negative die)속으로 압축될 때까지 가열되어야 한다. 재료가열을 광범위하게 증가시켜서 소성 유동가능성(plastic flowability)이 증가되면 프로파일링(profiling)을 신뢰성있게 형성하기 위한 가압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필요하다.
섭씨 200도까지, 흔히 약 섭씨 160도 범위를 가지는 가황화 온도에 의해, 처리실 또는 일반적으로 실온을 가지는 타이어 가황화 기계의 환경과 기계 내부사이의 타이어 몰드내에 상당한 온도 구배가 존재한다. 가장 에너지 효율적인 자원 보존을 고려할 때 기계 작동의 기본 요건이외에 이러한 상황은, 특히 타이어 가황화 기계의 처리실 표면에서 대류에 의한 열손실에 기인하며 감소되어야 한다.
다수의 타이어 가황화 기계는 처리실이 기능적 중심요소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처리실은 직접 가황화되어야 하는 타이어 블랭크, 타이어 몰드 또는 소위 용기(container)를 수용하도록 작동하고 처리실의 공간적 크기는 몰드 압력판 및 몰드 대응압력판을 가진 바닥 판과 선호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진 인장 케이싱(tension casing)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처리실을 한정하는 처리실 한정 부품들은 주로 대류에 의한 열손실에 관여하게 된다. 특히 상당히 큰 표면을 가진 인장 케이싱은 이 경우 상당한 열손실을 발생시킨다.
상기 대류에 기인한 열손실은 단지 상기 타이어 가황화 기계의 열평형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이와 관련해서 상기 처리실의 크기 및 특히 공간적 체적은 사소한 요인이 아니다. 이상적인 경우에, 상기 처리실은, 선택적으로 용기 또는 타이어 몰드를 포함하건 포함하지 않거나 가황화되어야 하는 타이어 블랭크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이 경우, 처리실은 개폐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처리실로부터 하역 및 적재과정 동안 타이어 블랭크 또는 최종 처리된 타이어의 취급(handling)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개방 위치에서 취급 공간이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타이어들이 교대로 서로 다른 치수를 가지는 경우에 기능적으로 실질적이고 동적으로 유리한 타이어 가황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처리실의 높이 및/또는 처리실의 폭(clear width)이 적합한 수단에 의해 변화되고 적응될 수 있다.
처리실에 관한 또 다른 요건 기준은, 가황화되어야 하는 타이어 블랭크에 적용되는 내부 압력 및/또는 외부 압력이다. 가황화 공정을 위해 적용되는 열에너지 및 압력의 양을 구하기 위해, 타이어 블랭크에 작용하는 압력 및/또는 온도는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타이어 가황화 기계내부에서 타이어 블랭크의 외측부에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타이어 몰드라고 언급되고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는 처리실은 일반적으로, 가황화되어야 하는 타이어 블랭크가 삽입되고 가황화되며 제거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처리실 및/또는 취급실 또는 타이어 몰드는 모든 측부들에 대한 압력 전파에 관한 일반적인 물리 이론을 따르며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가압 작용 및 압력을 지지하고 흡수해야 한다. 그 결과, 상기 타이어 몰드가 가황화되어야 하는 타이어의 회전축에 대해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타이어 몰드를 개폐하기 위한 이동장치들은 적어도 한 개의 절반의 몰드 구성부의 운동을 위한 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힘은 타이어 가황화 과정 동안 밀폐 하중에 대해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수 kN에 이르는 상기 밀폐 하중 때문에, 토글 레버(toggle lever) 구조체 또는 스핀들과 같은 기계적 해결수단이외에 고압 유체 실린더들이 이용된다.
상기 형태의 장치들은 이동 기능 및 밀폐 하중 기능을 모두 포함하지만, 축 방향으로 매우 높은 구조를 가지며 실시예에 따라 반경 방향 하중 및 고온과 온도 구배에 민감하다.
상기 문제의 복잡성을 극복하기 위한 접근법은, 장치 공학(device engineering)적으로 상기 이동 기능으로부터 밀폐 하중 기능을 분리시키는 것이다. 상기 기능들의 분리에 있어서, 추가로 구속(locking) 기능이 선택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특정한 전제 조건들에서 상기 구속 기능은 이동 장치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동 기능과 분리되어 형성되어야 하는 밀폐 하중 기능을 위한 적합하고 유리한 밀폐 하중 유닛을 구성하기 위해, 플런저 실린더 원리를 기초하여 타이어 가황화 기계속에 특히 선형 구동기(dirves)를 구조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적어도 한 개의 유체 실린더가 타이어 가황화 몰드 및/또는 기계 부품의 일체 부품 부분으로서 구성된다.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 하우징으로 구성된 유체 실린더를 별도의 구입 부분(separate bought in part)이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타이어 가황화 기계의 바닥 판 또는 기저판속에 유체 선형 구동기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시도된다.
일체 구조 형태는 바닥판을 실린더 하우징으로서 직접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체 선형 구동기의 필요한 갯수와 일치하게 바닥 판속에 형성되는 구멍들이, 유체 선형 구동기의 실시예에 따라 관통 구멍 및/또는 막힌 구멍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플런저 실린더 원리에 기초하여 피스톤- 피스톤 로드- 선형 구동기 및 피스톤- 선형 구동기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 하중 유닛이 밀폐 하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면, 타이어 몰드 또는 처리실 및 이에 따라 타이어 가황화 기계의 공동을 개폐하기 위해 이동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장치가 추가되어야 한다.
이동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 장치는, 밀폐 하중 유닛으로부터 분리되고 선형 구동기 및 선형 안내 유닛을 가진 장치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거나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진 안내부 또는 스핀들 및 볼 나사 스핀들, 유체 실린더, 전자 선형 구동기와 같은 다양한 가능성이 제시된다.
여러 경우들에서 밀폐 하중 기능 및 이동 기능의 기능적 분리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기능적 목적이 달성되어야 한다. 즉, 처리실 형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한 개를 수직 위치 고정(vertical position fixing).
상기 고정기능은 처리실의 압력 때문에 발생되는 압축력 및/또는 밀폐하중에 대해 수행되어야 하는 데, 대부분의 경우에 이동장치들은 이를 위해 설계될 수 없거나 경제적으로 설계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실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한 개를 수직 위치 고정을 제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기능을 형성하고 비용 효율적인 전체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밀폐 하중 유닛의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고정 장치를 가진 인장 케이싱이 제안된다.
상기 목적에 적합한 인장 케이싱은, 처리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하학적으로 한정하고 발생되는 온도 구배에 대해 충분히 높은 기계적 강도 및 구조적 일체성을 제공하며 원통형상이 선호되는 부품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처리실 및 상기 처리실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 개의 구성요소로서 인장 케이싱과 일체 구성된 부품이다.
상기 고정 장치는 구조적으로 베이요넷(bayonet) 원리와 유사한 기구에 의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노우즈(nose) 형상 또는 핀 형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인장 케이싱내에서 적어도 한 개의 일치하는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와 상호작용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가 처리실을 한정하는 부품내에 제공된다.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가 상기 그루브내에 마찰 결합되는 동안 수직위치의 변위를 위한 자유도를 형성한다.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그루브 조합의 횡 방향 그루브 부분은 상기 돌출부가 연결되는 동안 수직 위치 고정을 형성한다.
타이어 가황화 과정 동안에 발생하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높은 인장 하중을 상기 처리실의 인장 케이싱 내에서 흡수하고 극도로 많은 횟수의 응력 사이클 과정동안 구조적 손상 없이 압력 부하 및 현저한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정 장치는 피로강도와 관련한 충분한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두 개의 장치가 각각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을 가진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 조합을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불필요한 굽힘 응력이 부품들내에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실이 밀폐 위치에 있는 동안 상대적으로 균일한 부하 분포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두 개의 위치들을 포함한 고정이 정역학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와 기능적으로 일치하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이 상기 인장 케이싱내부의 내측부에 배열된다. 상기 변형예에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일치하는 돌출부는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인장 케이싱의 내측부에 고정 요소들이 배열되면 공간이 절감되고 콤팩트한 전체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한편으로 하중 선 휨(force line deflection)이 최소화되고 다른 한편으로 굽힘 응력이 회피되어 부품들내부의 응력특성은 균일하게 된다.
변형예에 의하면, 지지 상태에서 발생하중을 최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타이어 가황화 기계의 바닥 판에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가 배열된다. 이렇게 하여 몰드 압력판의 기능과 관련한 지지부로서 따라서 밀폐 하중 유닛의 하중 흡수 요소로서 상기 바닥 판이 제공되면, 처리실 영역에 대해 작용하는 밀폐 하중, 가압력 및 압력이 차단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타이어 가황화 기계의 운동 유닛 및/또는 지지 요소들의 크기는 오직 기능에 관해서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이 절감되는 구성 형태가 제공되고 상대적으로 크고 자유로운 처리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은, 수직 위치 고정의 조정성(adjustability)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수직 위치에서 상기 고정은, 서로 다른 치수를 가진 타이어의 간단하고 신속한 가황화를 제공하며 타이어 생산 공장의 복잡하지 않은 배치 변경(batch change)를 허용한다. 수직 위치 고정의 조정성을 위하여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이 적합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어도 두 개의 횡 방향 그루브들이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그루브에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가 제1 또는 제2 횡 방향 그루브내에 선택적으로 들어가고 연결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인장 케이싱의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수직 위치들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횡 방향 그루브들이 인장 케이싱의 축 방향 크기를 따라 서로 다른 수직 위치에 배열된다.
타이어 가황화 기계의 처리실의 인장 케이싱을 위한 수직 위치 고정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들에 도시된다.
도 1은, 타이어 가황화 기계(200) 내에서 처리실(30)의 인장 케이싱(tention casing)(50)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정 장치(300)를 도시하고 x-z 평면에서 부분적인 단면을 가진 전체 사시도.
도 2는, 고정 장치(300)에 의해 밀폐 위치를 가지고 적어도 한 개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320)과 적어도 상기 인장 케이싱(50)의 내부면에 제공된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310)를 형성하는 처리실(30)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3은, 고정 장치(300)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를 가지고 적어도 한 개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320)과 적어도 상기 인장 케이싱(50)의 내부면에 제공된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310)를 형성하는 처리실(30)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4는, 개방위치를 가지는 처리실(30)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바닥판(10)에 대해 상기 인장 케이싱(50)을 제1 수직 위치에 고정하고 밀폐위치에 배열된 처리실(30)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6은, 바닥판(10)에 대해 상기 인장 케이싱(50)을 제2 수직 위치에 고정하고 밀폐위치에 배열된 처리실(30)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7은, 바닥판(10)에 대해 상기 인장 케이싱(50)을 제3 수직 위치에 고정하고 밀폐위치에 배열된 처리실(30)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x-z 평면에서 부분적인 단면을 가진 전체 사시도인 도 1을 참고할 때, 타이어 가황화 기계(200) 내에서 처리실(30)의 인장 케이싱(tention casing)(50)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정 장치(300)가 도시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타이어 가황화 기계 또는 타이어 가열 프레스(tire heating press)(200)는 컬럼 프레스(column press)로서 구성되고 전체 지지 구조에서 기둥(110)을 가진 머신 베드(100), 횡 방향 부재(80) 및 바닥 판(10)을 가진다.
상기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는 예를 들어 프레임 프레스 또는 받침대 프레스(pedestal press)로서 구성되면, 기둥 대신에 프레임 또는 받침대가 이용되며 상기 프레임 또는 받침대는 머신 베드의 일체 부분이며 장착과 안내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의 모든 실시예들에서 처리실(3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가열 프레스(200)의 기능적 중심 요소는 처리실(30)이며, 상기 처리실의 공간적 크기는 압력판(40) 또는 바닥 판(10)과 몰드 대응압력판(60)에 의해 한정되고 또한 선호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진 인장 케이싱(50)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인장 케이싱(50)은 가황화 처리실(30)의 공간적 크기를 한정하는 것이외에 두 개의 추가적인 기능을 가진다. 타이어 블랭크가 가황화되는 동안 상기 처리실(30)내에 존재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인장 케이싱(50)은 축 방향을 따라 발생 (인장) 하중을 흡수하고 상기 처리실(30)내에 형성되고 섭씨 160도에 이르고 심지어 더 높은 온도에 이르는 가황화 온도에 대해 절연 효과를 가지며 작동한다.
상기 몰드 압력판(40)은 축 방향으로 선형이동하며 하중을 받아서 처리실(30)내부에 압축력이 증가되고 처리실의 체적이 조정될 수 있다. 몰드 대응압력 판(60)은 실제로 밀폐 및 가압 하중을 위해 상기 몰드 압력판(40)의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인장 케이싱(50)은 상기 판(10,40,60)들사이에서 마찰 연결을 형성한다.
상기 인장 케이싱(50)은 상기 몰드 대응압력 판(60)상에 고정되고 공통 모듈 유닛으로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인장 케이싱(50)와 함께 상기 몰드 대응압력 판(60)은 횡 방향 부재(80)에 의해 두 개의 기둥(110)들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운동 유닛은, 인장 케이싱(50)을 가진 몰드 대응압력 판(60)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유닛을 위한 축 방향 운동 구동기에 의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는 상기 머신 베드(100)에 대한 횡 방향 부재(80)의 기능적 연결부를 형성하고 선호적으로 양방향으로 작동(double acting)하는 것이 선호되는 두 개의 유체 실린더(90)들에 의해 형성된다.
도 2의 단면 사시도는, 고정 장치(300)에 의해 밀폐 위치를 가지고 적어도 한 개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320)과 적어도 상기 인장 케이싱(50)의 내부면에 제공된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310)를 형성하는 처리실(30)을 도시한다.
상기 처리실(30)의 필수 부품부분은, 바닥판(10), 몰드 압력판(40), 몰드 대응압력 판(60) 및 인장 케이싱(50)이다. 선택적인 어댑터판(70)이, 상기 몰드 압력판(40) 및/또는 상기 몰드 대응압력 판(60)에 타이어 몰드 구성부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열과 관련하여, 타이어 블랭크를 처리하고 가황화하기 위해 이용되는 추가적인 모듈 유닛을 위한 지지 기저부로서 바닥판(10)은, 처리실(30)과 근접하게 배열되고 처리실을 단부면에서 밀폐시킨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몰드 압력판(40) 아래의 수직 및 동심위치에 의해 바닥판(10)을 처리실(30)과 인접하게 배열한다.
적어도 한 개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320)과 일치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310)가, 베이요넷 링(bayonet ring)(311) 또는 베이요넷 링의 일체 부품부분상에 고정된다. 베이요넷 링(311)은 상기 바닥 판(10)에 대해 회전 자유도를 가지며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선호되고 상기 고정 장치(300)가 구속위치에 위치할 때, 단부면 지지 돌출 측부(312)에 의해 인장 케이싱(50)의 인장 하중의 지지 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
해당 고정 장치(300)의 기능적 상호작용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310)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320)과 연결되는 동안 두 개의 위치상태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의 결합이 상기 종 방향 그루브의 영역에 위치하면, 이때 존재하는 축 방향 자유도에 의해 상기 바닥 판(10)에 대한 인장 케이싱(50)의 수직위치 변경이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의 결합이 상기 횡 방향 그루브의 영역에 위치하면, 축 방향 운동 정도에 의해 상기 바닥 판(10)에 대한 인장 케이싱(50)의 수직 위치가 고정되고 다음에 위치 구속- 고정 수단에 의해 위치변경이 방지되며 다음에 구속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베이요넷 링(311)이 적합한 라디안(radian) 측정량을 가지며 회전운동하여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310)가 종 방향 그루브의 영역으로부터 횡 방향 그루브의 영역속으로 위치 변경된다. 상기 돌출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횡 방향 그루브와 정렬된 위치에 배열될 때 상기 회전운동이 개시된다.
도 3의 단면 사시도는, 고정 장치(300)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를 가지고 적어도 한 개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320)과 적어도 상기 인장 케이싱(50)의 내부면에 제공된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310)를 형성하는 처리실(30)을 도시한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복수 개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320)을 가지며, 상기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은 인장 케이싱(50)의 원주상에 (이 경우 대칭구조로) 분포하고 각각 상기 베이요넷 링(311)상에 축 방향으로 일치된 상태로 정렬되어 배열된다. 상기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320), 고정 장치(300) 및 돌출부(310)의 여러 가지 배열에 의하면, 정역학적으로 결정된 부하 분포에 의해 국소 부하 최대값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각각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아래위에서 평행하게 배열되고 돌출부(3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기하학적으로 설계된 세 개의 횡 방향 그루브(320)를 도시한다. 이렇게 하여 세 개의 고정 위치들에서 수직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도 4의 측단면도는, 개방위치를 가지고 바닥판(10) 및 인장 케이싱(50)사이에서 최대 클리어 폭(clear width)을 가지는 처리실(30)을 도시한다. 개방된 처리실(30)은 프레스 구조 공학에 따라 공동을 형성하며 도시된 개방 위치에서 취급 기능, 특히 타이어 블랭크의 적재 및/또는 가황화된 최종 타이어의 하역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의 측단면도는, 바닥판(10)에 대해 상기 인장 케이싱(50)을 제1 수직위치(H1)에 고정하고 밀폐위치에 배열된 처리실(30)을 도시한다. 돌출부 및 그루브 조합(310,320)은 그루브 속 돌출요소(tongue- in- groove) 배열과 유사하게 완전하게 구속(positively locking)되도록 서로 연결되어, 상기 바닥 판(10)과 인장 케이싱(50)사이에서 축 방향을 향하는 종 방향 하중이 전달될 수 있다.
도 5와 유사한 도 6 및 도 7은, 바닥판(10)에 대해 상기 인장 케이싱(50)을 또 다른 수직 위치(H2,H3)에 고정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H1> H2> H3의 수직 위치 측정값들을 가지도록 서로 배열된 횡 방향 그루브들을 포함한다.
30........처리실,
40, 50, 60.......처리실 요소,
200.......타이어 가황화 기계.

Claims (19)

  1. 타이어 가황화 기계(200) 내부에서 처리실(30)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300)로서, 적어도 가황화 공정 동안에 압력판(40) 및 몰드 대응 압력판(60)과 인장 케이싱(50)을 포함하는 처리실 요소들을 고정하여 처리실의 밀폐 위치에서 상기 처리실(30)의 수직 크기를 형성하는 적어도 한 개의 수직 거리(H)가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고정장치(300)는 적어도 한 개의 처리실 요소 상에 제공된 고정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요소들은 구속해제될 수 있고 발생하중을 흡수하는 고정작용을 제공하며, 상기 고정 요소들은 적어도 인장 케이스(50)의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고정 요소들은 적어도 상기 인장 케이스(50)의 내부 벽 섹션에 제공되며, 상기 고정 요소들은 적어도 한 개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3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요소들은 처리실의 공간을 한정하고 원통 형상을 가지는 인장 케이싱(50)의 내부 벽의 하부 영역에 배열되며, 상기 고정장치(300)는 이동가능한 베이요넷 링(3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요넷 링(311)의 영역 내에 배열된 돌출부(310)와 함께 상기 고정 요소들이 베이요넷 링의 고정기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화 기계 내부에서 처리실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들에 의해 처리실 요소들이 서로 수직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화 기계 내부에서 처리실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320)은 축 방향으로 서로 아래위에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횡 방향 그루브를 가져서 압력판(40)과 몰드 대응 압력판(60) 중 한 개 및 상기 인장 케이스(50)의 연결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정의된 수직거리(H1, H2) 내에서 밀폐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화 기계 내부에서 처리실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는 복수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32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화 기계 내부에서 처리실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그루브 조합(320)들은 상기 인장 케이싱(50)의 내부 벽의 원주부에서 대칭적으로 배열되거나 비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화 기계 내부에서 처리실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요넷 링(311)은 단부 면 지지 돌출 측부(312)를 가지고, 상기 베이요넷 링(311)은 상기 단부 면 지지 돌출 측부(312)에 의해 바닥 판(10)위에 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화 기계 내부에서 처리실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요넷 링(311)은 회전자유도를 가지며 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베이요넷 링은 구속 위치 및 상기 고정 요소들이 처리실 요소들의 축 방향 선형 운동성을 제공하는 위치 사이에서 피봇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화 기계 내부에서 처리실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자유도는 1/8 파이(Pi)의 라디안 측정값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화 기계 내부에서 처리실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300)는 인장 케이싱 하중이 구속위치에서 흡수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화 기계 내부에서 처리실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들에 의해 처리실(30)의 바닥 판(10)에 대한 처리실 요소들의 수직 위치 고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화 기계 내부에서 처리실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
  17. 제1항에 따라 타이어 가황화 기계(200) 내부에서 처리실(30)을 수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300)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황화 기계의 처리실을 위한 인장 케이싱.
  18. 제17항을 따르는 인장 케이싱(50)을 포함한 타이어 가황화 기계(200)를 위한 처리실.
  19. 제18항의 처리실(30)을 포함한 타이어 가황화 기계.
KR1020177033454A 2015-05-28 2016-05-25 처리실의 수직 위치 고정 KR102179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07201 2015-05-28
DE102015007201.3 2015-05-28
PCT/DE2016/000224 WO2016188510A1 (de) 2015-05-28 2016-05-25 Höhenlagefixierung eines behandlungsraum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891A KR20180013891A (ko) 2018-02-07
KR102179570B1 true KR102179570B1 (ko) 2020-11-18

Family

ID=565073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454A KR102179570B1 (ko) 2015-05-28 2016-05-25 처리실의 수직 위치 고정
KR1020177033455A KR102179633B1 (ko) 2015-05-28 2016-05-25 밀폐 하중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455A KR102179633B1 (ko) 2015-05-28 2016-05-25 밀폐 하중 유닛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20180133994A1 (ko)
EP (2) EP3302947B1 (ko)
JP (2) JP6872498B2 (ko)
KR (2) KR102179570B1 (ko)
CN (2) CN107667005B (ko)
BR (1) BR112017022960B1 (ko)
DE (3) DE102016003071A1 (ko)
ES (2) ES2803241T3 (ko)
HU (2) HUE050246T2 (ko)
MX (1) MX2017015170A (ko)
PL (2) PL3302948T3 (ko)
PT (2) PT3302948T (ko)
RU (1) RU2685325C1 (ko)
SI (2) SI3302947T1 (ko)
WO (2) WO2016188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4758B (zh) * 2019-08-21 2021-09-24 宁国市格斯特密封件有限公司 一种橡胶成型机的摇块直压式合模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9210A1 (en) * 2013-09-17 2015-03-19 Mcneil & Nrm, Inc. Tire curing pres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1160A (en) * 1928-04-05 1932-08-09 Gen Tire & Rubber Co Watchcase heater
US1895296A (en) * 1930-07-11 1933-01-24 Nat Rubber Machinery Co Vulcanizer
US2198493A (en) * 1937-01-29 1940-04-23 Goodrich Co B F Vulcanizing apparatus
US2279540A (en) * 1939-02-28 1942-04-14 Akron Standard Mold Co Vulcanizing press
US3550196A (en) * 1967-01-30 1970-12-29 Nrm Corp Tire vulcanizing apparatus
US3669581A (en) * 1971-01-08 1972-06-13 United Mcgill Corp Mold press for tire curing apparatus
FR2266591B1 (ko) * 1974-04-04 1976-10-08 Zelant Gazuit
US3918861A (en) * 1974-10-11 1975-11-11 Cooper Tire & Rubber Co Vulcanizing press with rotary locking mechanism
US4025251A (en) * 1975-11-06 1977-05-24 Nrm Corporation Vulcanizer lock means
US4212605A (en) * 1979-04-23 1980-07-15 Donald Macmillan & Son, Inc. Molding machine with expandable chamber and locking means
US4390334A (en) * 1980-04-09 1983-06-28 Nrm Corporation Hydraulic tire press
JPS57203534A (en) * 1981-06-10 1982-12-13 Mitsubishi Heavy Ind Ltd Tire vulcanizing press
JPS59138432A (ja) * 1983-01-27 1984-08-08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モ−ルド締付装置
US4453902A (en) * 1983-08-04 1984-06-12 Mcneil-Akron, Inc. Tire curing press
DE3443730C2 (de) * 1984-11-30 1994-12-15 Krupp Ag Hoesch Krupp Reifenheizpresse
GB2199531B (en) * 1987-01-07 1990-02-14 Mitsubishi Heavy Ind Ltd Tire vulcanizing machine
IT1207848B (it) * 1987-04-30 1989-06-01 Cima Impianti Spa Mobili radialmente e porzione macchina per la vulcanizzazione di superiore mobile assialmente edcopertoni con conchiglia a settori angolarmente.
JPH01221207A (ja) 1988-02-29 1989-09-04 Kobe Steel Ltd タイヤプレス
US4921412A (en) * 1988-10-11 1990-05-01 Scantland Industries, Inc. Tire curing press
US4969812A (en) * 1989-05-30 1990-11-13 Brown Gaylord W Fluid pressure operated apparatus for mounting a differential pressure mold on a platen
US5194267A (en) * 1991-05-08 1993-03-1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vulcanizing press
TW260636B (en) * 1994-05-24 1995-10-21 Kobe Steel Ltd Tire vulcanizing system
JP3300735B2 (ja) * 1995-07-14 2002-07-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用金型組立体
JP2951576B2 (ja) * 1995-09-14 1999-09-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装置
US5866170A (en) * 1996-06-06 1999-02-02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press
CZ251897A3 (cs) * 1997-08-08 1998-08-12 Škoda Ts A.S. Zařízení pro výškové stavění upínací desky
JP3902345B2 (ja) * 1998-11-30 2007-04-04 株式会社市丸技研 タイヤ加硫装置の金型加圧装置
JP5574591B2 (ja) * 2008-09-02 2014-08-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加圧機構、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製造方法
JP5481656B2 (ja) * 2010-02-18 2014-04-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
FR2966075B1 (fr) 2010-10-19 2012-12-14 Michelin Soc Tech Dispositif de vulcanisation d'un pneumatique comportant une enceinte de reprise interne
DE102014001643A1 (de) 2013-02-18 2014-10-30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Justieren der Höhe einer Form einer Reifenheizpresse sowie Reifenheizpresse
US9346228B2 (en) * 2014-07-09 2016-05-24 Mcneil & Nrm, Inc. Segmented mold op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9210A1 (en) * 2013-09-17 2015-03-19 Mcneil & Nrm, Inc. Tire curing p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33994A1 (en) 2018-05-17
HUE050246T2 (hu) 2020-11-30
JP6872497B2 (ja) 2021-05-19
HUE050245T2 (hu) 2020-11-30
JP2018519184A (ja) 2018-07-19
DE102016006514A1 (de) 2016-12-01
MX2017015170A (es) 2018-08-01
BR112017022960B1 (pt) 2021-11-30
CN107667005A (zh) 2018-02-06
PT3302947T (pt) 2020-07-13
JP2018516185A (ja) 2018-06-21
RU2685325C1 (ru) 2019-04-17
SI3302947T1 (sl) 2020-08-31
WO2016188510A1 (de) 2016-12-01
PL3302947T3 (pl) 2020-10-05
ES2800079T3 (es) 2020-12-23
EP3302947B1 (de) 2020-04-15
CN107810104A (zh) 2018-03-16
PT3302948T (pt) 2020-07-02
KR20180013891A (ko) 2018-02-07
US20220040945A1 (en) 2022-02-10
DE102016003071A1 (de) 2016-12-01
EP3302948A1 (de) 2018-04-11
EP3302947A1 (de) 2018-04-11
EP3302948B1 (de) 2020-04-15
ES2803241T3 (es) 2021-01-25
CN107810104B (zh) 2020-08-21
CN107667005B (zh) 2020-11-27
US20180147801A1 (en) 2018-05-31
JP6872498B2 (ja) 2021-05-19
BR112017022960A2 (pt) 2018-07-17
SI3302948T1 (sl) 2020-08-31
KR20180012757A (ko) 2018-02-06
US10350846B2 (en) 2019-07-16
WO2016188511A1 (de) 2016-12-01
PL3302948T3 (pl) 2020-08-10
KR102179633B1 (ko) 2020-11-18
DE112016002399A5 (de)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510B1 (ko) 타이어 가황 장치
EP2679368B1 (en) Tire vulcanizer
EP3511156B1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KR101769834B1 (ko) 타이어의 가류 장치
KR102179570B1 (ko) 처리실의 수직 위치 고정
EP2801466B1 (en) Mould and method for overmoulding and/or encapsulation
CN102123839B (zh) 具有模制工具的模具
CN103025500A (zh) 注塑模制的部件
CN109676000B (zh) 一种大曲率薄壁构件粘性介质外压成形装置
CN108349179B (zh) 用于制造双面齿带的方法和加工装置
US9033691B2 (en) Tire vulcanizer
CN205498086U (zh) 金属内模定型的轮胎硫化机
JP5682019B1 (ja)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方法
CN105643965A (zh) 金属内模定型的轮胎硫化机
JP2014083738A (ja)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方法
Jirásko et al. Static numerical analysis of a hydraulic curing press
KR20180107110A (ko) 타이어의 후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351679B1 (ko) 타이어 가류기용 가압실린더
CN110997265A (zh) 轮胎硫化成形用模具
ITRM20130678A1 (it) Stampo a due meta' provvisto di settori, per la produzione di gomme mediante vulcanizzazione.
JP2005231278A (ja) 熱変位対応支持装置
CS202758B1 (cs) Vulkanizační komora lisu na pneumatiky pro membránový systém vulkanizace v segmentových formá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