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629B1 - 스킨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스킨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629B1
KR101990629B1 KR1020170011060A KR20170011060A KR101990629B1 KR 101990629 B1 KR101990629 B1 KR 101990629B1 KR 1020170011060 A KR1020170011060 A KR 1020170011060A KR 20170011060 A KR20170011060 A KR 20170011060A KR 101990629 B1 KR101990629 B1 KR 10199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ressure
food container
storage tank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958A (ko
Inventor
김형훈
Original Assignee
김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훈 filed Critical 김형훈
Priority to KR102017001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6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8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5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2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진공펌프를 통해 진공 저장탱크에 진공을 생성한 후 저장하였다가 스킨 포장시 일괄적으로 공급하게 구성됨으로써, 포장 장치에 소용량의 진공펌프를 적용할 수 있어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포장시 진공도가 일정한 진공을 제공할 수 있는 스킨 포장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스킨 포장 장치{Skin packaging}
본 발명은 스킨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펌프를 통해 진공 저장탱크에 진공을 생성한 후 저장하였다가 스킨 포장시 일괄적으로 공급하게 구성됨으로써, 포장 장치에 소용량의 진공펌프를 적용할 수 있어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포장시 진공도가 일정한 진공을 제공할 수 있는 스킨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킨 포장(Skin packaging)은 통기성을 가지는 종이, 판지, 플라스틱 필름 등의 포장 용기의 위에 포장 대상인 포장물을 놓고, 포장물의 위에 플라스틱 필름을 덮은 상태에서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하여 연화시킨 후 포장 용기를 통해 감압 탈기함으로써, 플라스틱 필름을 포장물 및 포장 용기에 강하게 밀착시켜 진공 포장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스킨 포장 장치는 포장 필름을 예열하기 위한 평판 형상의 히터 부재가 구비된 상부 챔버와 내부에 포장물이 수용되는 오목한 형태의 포장 용기가 안착된 하부 챔버로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스킨 포장 장치의 일례가 등록특허 제628637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의 스킨 포장 장치는 내부에 제1 진공압이 제공되는 제1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2 진공압이 제공되는 제2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포장물이 놓여진 포장 용기가 안착되는 제2 챔버;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하단에 상기 포장물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3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포장 필름을 예열시키거나 상기 포장 필름을 상기 포장 용기에 열 융착시키는 필름가열부; 상기 제1 챔버의 일 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챔버의 하부로 공급된 상기 포장 필름을 상기 제1 챔버의 하단으로 밀착시키는 필름 고정부; 및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필름 가열부의 사이에서 상기 필름 가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필름
가열부에 의해 상기 포장 필름이 상기 포장 용기에 열 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포장 필름을 절단시키는 필름 커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스킨 포장을 위해 제1 챔버에 형성된 제1 수용 공간 및 제2 챔버에 형성된 제2 수용 공간에 각각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해,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등의 각종 장비들을 구비하여 설치해야 하는데, 챔버마다 각각 설치해야함에 따라 불필요한 설비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제1 챔버에 형성된 제1 수용 공간 및 제2 챔버에 형성된 제2 수용 공간에 각각 포장을 위한 진공압을 진공펌프를 통해 직접 제공하게 구성되어, 넓은 범위의 제1 수용 공간 및 제2 수용 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해 용량이 큰 진공펌프가 적용되어야기 때문에, 고가의 진공펌프가 채택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크기 크게 구성되어 분식집, 정육점, 배달 및 일반음식점 등의 소형점포에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진공펌프를 통해 진공 저장탱크에 진공을 생성한 후 저장하였다가 스킨 포장시 일괄적으로 공급하게 구성됨으로써, 포장 장치에 소용량의 진공펌프를 적용할 수 있어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포장시 진공도가 일정한 진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스킨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그 목적은 스킨 포장 시 식품용기 내로 필름이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포장의 불량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스킨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은, 기본적인 프레임을 구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다수의 배기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며 하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진공베이스부; 상기 진공베이스부의 플랜지의 내측으로 설치되되, 중앙에 식품용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용기삽입홈이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커터삽입홈이 형성되는 식품용기안착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롤에서 공급되는 필름이 식품용기 위로 지나가게 설치된 후 권취롤에 권취되게 구성되는 필름공급부; 상기 진공베이스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진공을 저장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진공 저장탱크와, 상기 진공 저장탱크의 진공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저장탱크 내의 공기를 흡인한 후 압축해 대기중으로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진공베이스부의 공기배출구 사이에 연결되고 공급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공급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진공 저장탱크가 진공인 상태에서 상기 공급체크밸브를 개방하면 상기 진공베이스부 내의 수용공간과 상기 진공 저장탱크 내의 압력차에 의해 식품용기 내의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공기배출구로 배출되면서 식품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필름이 식품용기 내의 포장물에 밀착되게 스킨 포장이 되도록 하는 진공발생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식품용기안착부와 대응 접촉되면서 필름을 식품용기 테두리에 융착시키는 융착부 및 상기 커터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식품용기의 테두리를 따라 필름을 커팅하는 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착 성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스킨 포장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베이스부의 상면에는 플랜지부의 외측으로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식품용기 위를 지나는 필름이 안착되는 안착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의 상측에는 진공발생부를 통해 식품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전에 먼저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는 필름을 눌러 고정하는 고정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로드의 하부에 결합된 가압판과, 가압판보다 상부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가압판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판을 관통하게 설치된 가압가이드봉과, 가압가이드봉에 설치되어 가압가이드봉을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하여 가압판을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리턴스프링과, 상기 가압판의 하부에서 가압판에 연결 설치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착턱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저면에 상기 안착턱이 수용되어 상기 안착턱에 안착된 필름을 가압 고정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고정판과, 고정판과 누름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판을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고정판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공 저장탱크 내에는 내부압을 감지하는 진공압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진공압 센서는 진공 저장탱크의 진공압을 체크하여 상기 진공펌프에 송신하게 구성되어, 상기 진공 저장탱크의 내부의 진공압이 설정된 진공압의 이하의 값이면 진공펌프를 자동으로 구동하여 상기 진공 저장탱크의 진공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킨 포장 장치는 진공펌프를 통해 진공 저장탱크에 진공을 생성한 후 저장하였다가 스킨 포장시 일괄적으로 공급하여 포장용기 내를 진공시킬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포장 장치에 소용량의 진공펌프를 적용할 수 있어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포장시 진공 저장탱크를 통해 진공도가 일정한 진공을 제공할 수 있어 포장의 일관성이 담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킨 포장 시 필름을 고정부와 안착턱 사이에서 파지하여 식품용기 내부가 진공이 되었을 때, 필름이 식품용기 내로 필름이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되기 때문에 스킨 포장시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분식집, 정육점, 배달 및 일반음식점 등의 소형점포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킨 포장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킨 포장 장치에서 진공베이스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안착턱 및 고정부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발췌해서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진공 저장탱크 내에 설치되는 진공압 센서 및 진공펌프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킨 포장 장치는 진공펌프를 통해 진공 저장탱크에 진공을 생성한 후 저장하였다가 스킨 포장시 일괄적으로 공급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체(100), 진공베이스부(200), 식품용기안착부(300), 필름공급부(400), 진공발생부(500) 및 압착 성형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기본적인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으로, 본체(100)의 하부에는 진공베이스부(200), 식품용기안착부(300) 및 진공발생부(500)가 설치되고, 본체의 상부에는 필름공급부(400), 압착 성형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진공베이스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형성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다수의 배기공(2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플랜지(230)가 돌출 형성되며 하면에 공기배출구(2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진공베이스부(200)는 수용공간(210)의 내부에 식품용기(10)가 수용된 다음 후술하는 진공발생부(500)에 의해 수용공간(210)의 내부에 진공압이 제공되거나 제거하여 식품용기(10)를 스킨 포장할 수 있게 공간을 제공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진공베이스부(200)는 용기의 형상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본체(100)에 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용기 안착부(300)는 상기 진공베이스부의 플랜지(230)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식품용기(10)가 상기 진공베이스부의 수용공간(210)에 거치될 수 있게 구성되는 부분으로, 중앙에 식품용기(10)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용기삽입홈(311)이 형성되는 안착부(310)와, 상기 안착부(310)의 상면에 커터삽입홈(3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부(310)에는 식품용기(10)의 테두리부분이 안착 지지되고, 식품용기(10)의 용기부는 용기삽입홈(311)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210)으로 수용되게 구성된다.
상기 필름공급부(400)는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롤에서 공급되는 필름이 식품용기 위로 지나가게 설치된 후 권취롤에 권취되게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공급롤(410)은 본체(100)의 상면에서 공급롤지지대(4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설치되고, 권취롤(420)은 본체(100)의 상면에서 권취롤지지대(4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설치되며, 공급롤(410)에서 공급되는 필름(F)은 다수의 가이드롤러(430)를 통해 안내되어 식품용기(10)와 후술하는 압착 성형부(500)의 사이를 경유하여 권취롤(420)에 권취되게 설치된다
상기 진공발생부(500)는 상기 진공베이스부(200)에서 필름(F)이 식품용기(10) 내의 포장물에 밀착될 수 있도록 진공을 발생시켜 상기 수용공간에 제공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공베이스부(200)의 하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진공을 저장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진공 저장탱크(510)와, 상기 진공 저장탱크(510)의 진공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저장탱크(510) 내의 공기를 흡인한 후 압축해 대기중으로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진공펌프(520)와, 상기 저장탱크(510)와 상기 진공베이스부의 공기배출구(240) 사이에 연결되고 공급체크밸브(531)가 설치되는 공급관(53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 저장탱크(510)가 진공인 상태에서 상기 공급체크밸브(531)를 개방하면, 상기 진공베이스부(200) 내의 수용공간(210)과 상기 진공 저장탱크(510) 내의 압력차에 의해 식품용기(10) 내의 공기가 상기 배기공(220)을 통해 공기배출구(240)로 배출되면서 식품용기(1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필름(F)이 식품용기(10) 내의 포장물(1)에 밀착되게 스킨 포장이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스킨 포장을 위해 식품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때, 진공압에 의해 식품용기 내로 필름이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포장의 불량율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진공베이스부(200)의 상면에는 플랜지부(230)의 외측으로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식품용기(10) 위를 지나는 필름(F)이 안착되는 안착턱(250)이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필름(F)이 식품용기(10) 위를 지날때 안착턱(250)의 상면에 밀착되어 수용공간(210)이 필름(F)에 의해 밀폐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 수용된 식품용기(10) 또한 외부와 차단된 밀폐된 상태가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필름(F)은 안착턱(250)과 상기 안착턱이 수용된 고정판(267)의 수용홈(267a) 부분에서 안착턱의 내측벽(250-1)과 수용홈의 내측벽(267a-1)에 밀착되어 상측으로 절곡된 후 안착턱의 상면(250-2)과 수용홈의 저면(267a-2)에 밀착되어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후 안착턱의 외측벽(250-3)과 수용홈의 외측벽(267a-3)에 밀착되어 하측으로 절곡되게 고정된다.

따라서, 안착턱과 상기 안착턱이 수용된 고정판의 수용홈 부분에서 필름이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진공압에 의해 식품용기 내로 필름이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포장의 불량율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상기 안착턱(250)의 상측에는 진공발생부(500)를 통해 식품용기(1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전에 먼저 상기 안착턱(250)에 안착되는 필름(F)을 눌러 고정하는 고정부(260)가 더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260)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261)와,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로드(251a)의 하부에 결합된 가압판(262)과, 가압판(262)보다 상부에서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게 설치된 지지판(263)과, 상기 가압판(262)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판(263)을 관통하게 설치된 가압가이드봉(264)과, 가압가이드봉(264)에 설치되어 가압가이드봉을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하여 가압판(262)을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리턴스프링(265)과, 상기 가압판(262)의 하부에서 가압판에 연결 설치된 누름판(266)과, 누름판(266)의 하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착턱(25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저면에 상기 안착턱(250)이 수용되어 상기 안착턱(250)에 안착된 필름을 가압 고정하는 수용홈(267a)이 형성된 고정판(267)과, 고정판(267)과 누름판(266)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판(267)을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고정판리턴스프링(2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3과 같은 상11태에서 실린더(261)가 신장하면서 실린더 로드(261a)가 하강하면 도 4와 같이 실린더 로드(261a)와 함께 가압판(262)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압가이드봉(263)이 가압판(262)과 함께 이동하게 되면서 가압리턴스프링(265)이 지지판(263)에 걸려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가압판(262)에 연결 설치된 누름판(266)이 이동되면서 고정판(267)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판의 수용홈(267a)에 안착턱(250)에 수용되면서 안착턱(250)에 안착된 필름(F)을 가압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판(267)과 안착턱(250) 사이에서 필름(F)이 밀착 고정되고 수용공간(210)이 필름(F)에 의해 완벽하게 밀폐되어 외부와 완벽하게 차단되기 때문에, 수용공간(210)에 진공을 제공하여 식품용기(10)를 스킨 포장할 때, 식품용기(10) 내의 공기만을 진공탱크(510) 측으로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에 의해 식품용기(10) 내의 내용물(11)에 필름(F)이 부착될 때 필름(F)이 진공압에 의해 식품용기(10) 내로 빨려들어가는 것이 방지되어 포장의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저장탱크(510) 내에는 내부압을 감지하는 진공압 센서(511)가 설치되고, 상기 진공압 센서(511)는 진공 저장탱크(510)의 진공압을 체크하여 상기 진공펌프(520)에 송신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진공압 센서(511)는 상기 진공 저장탱크(510)의 내부의 진공압이 설정된 진공압의 이하의 값이면 진공펌프(520)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상기 진공 저장탱크(510)의 진공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으로 진공 저장 탱크(510)의 진공압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용량의 진공펌프(520)를 이용하여 식품용기의 연속적인 스킨 포장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압착 성형부(6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필름(F)을 식품용기(10)에 열에 의해 융착하고 커팅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착 성형부(600)는 상기 상품용기안착부(300)와 대응 접촉되면서 필름(F)을 식품용기(10) 테두리에 융착시키는 융착부(610) 및 상기 커터삽입홈(320)에 삽입되면서 식품용기(10)의 테두리를 따라 필름(F)을 커팅하는 커터(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 성형부(600)는 상기 고정부(260)와 함께 연동하여 작동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융착부(610)는 누름판(266)의 하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식품용기(10)의 테두리 위에 놓인 필름(F)을 가압하는 부착판(611)과, 누름판(266)과 부착판(611)의 사이에 설치되어 부착판(611)을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부착판리턴스프링(612)과, 부착판(6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식품용기(10)의 테두리를 따라 필름(F)을 융착시키기 위한 열을 공급하는 히터(6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터(620)는 누름판(266)의 하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되 부착판(611)의 외측으로 설치되어 누름판(266)이 하강할 때 커터삽입홈(320)에 삽입되면서 식품용기(10)의 테두리를 따라 필름(F)을 커팅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식품용기(10)가 식품용기안착부(3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실린더(261)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로드가 하강하게 되면, 누름판(266)이 함께 하강하면서 먼저 고정판(257)이 안착턱(250)에 놓인 필름(F)을 가압하여 수용공간(210)이 필름에 의해 완벽하게 밀폐된 상태에서 스킨 포장을 수행하고, 다음으로, 부착판(611)이 식품용기(10)의 테두리에 놓인 필름(F)을 가압하여 식품용기(10)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식품용기(10)의 테두리를 따라 열을 가해 필름(F)이 식품용기(10)의 테두리에 융착이 시작되고, 커터(620)가 커터삽입홈(320) 내로 하강하면서 필름(F)을 커팅하게 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킨 포장 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스킨 포장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진공 저장탱크(510) 내에 설치된 진공압 센서(511)를 통해 진공 저장탱크(510)의 진공압을 체크한 후, 진공펌프(520)를 구동하여 진공 저장탱크(510)의 진공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스킨 포장을 위한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해 용량이 큰 진공펌프를 적용할 필요가 없이, 작은 용량의 진공펌프(520)를 통해 스킨 포장을 할 수 있는 진공압을 진공 저장탱크(510)에 항상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포장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작단가가 저렴해질 뿐만 아니라, 진공 저장탱크(510)를 통해 포장을 위한 일정한 진공도를 가지는 진공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포장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진공 저장탱크(510)가 진공상태가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용기안착부(300)에 식품용기(10)를 삽입하여 거치한다.
그런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60) 및 융착부(610)가 작동되면서 식품용기(10)의 상면에 필름(F)을 덮어 식품용기(10)를 밀폐시킨 다음 식품용기 내부의 공기 제거, 융착 및 커팅에 의해 필름(400)을 통해 내용물이 스킨 포장되도록 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용기안착부(300)에 식품용기(10)를 삽입되면, 실린더(261)가 작동되면서 가압판(262)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압가이드봉(264)이 가압판262()과 함께 이동하게 되면서 가압판에 연결 설치된 누름판(266)이 이동되고, 고정판(267)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판의 수용홈(267a)에 안착턱(250)이 수용되면서 안착턱에 안착된 필름(F)을 가압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 저장탱크(510)가 진공인 상태에서 상기 공급체크밸브(531)를 개방시켜, 수용공간(210)에 진공을 제공하고 식품용기(10) 내의 공기를 상기 배기공(220)을 통해 공기배출구(240)로 배출시켜 필름(F)이 식품용기(10) 내의 포장물(11)에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가압판(262)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누름판(266)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부착판(611)이 필름(F)을 누르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히터(613)에 의해 식품용기(10)의 테두리를 따라 필름(F)이 융착되는 것과 더불어 커터(620)가 하강하면서 식품용기(10)의 테두리를 따라 필름(F)을 커팅하게 된다. 계속해서, 필름(F)의 융착 및 커팅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실린더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고정판(267)을 포함한 가압판(262) 및 누름판(266)이 상승하게 되고, 스킨 포장이 완료된 식품용기(10)를 식품용기안착부(300)에서 빼낸다. 물론, 포장된 식품용기(10)를 분리한 후에 새로 포장한 식품용기(10)를 식품용기안착부(300)에 넣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 내지 도 8의 작동을 다시 실행하면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식품용기(10)를 식품용기안착부(300)에서 교체하는 시간에 진공펌프(520)를 구동하여 진공 저장탱크(510)의 진공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식품용기(10)를 연속적으로 스킨 포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본체 200: 진공베이스부
300: 식품용기안착부 400: 필름공급부
500: 진공발생부 600: 압착 성형부

Claims (3)

  1. 기본적인 프레임을 구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다수의 배기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며 하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진공베이스부;
    상기 진공베이스부의 플랜지의 내측으로 설치되되, 중앙에 식품용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용기삽입홈이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커터삽입홈이 형성되는 식품용기안착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롤에서 공급되는 필름이 식품용기 위로 지나가게 설치된 후 권취롤에 권취되게 구성되는 필름공급부;
    상기 진공베이스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진공을 저장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진공 저장탱크와, 상기 진공 저장탱크의 진공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저장탱크 내의 공기를 흡인한 후 압축해 대기중으로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진공베이스부의 공기배출구 사이에 연결되고 공급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공급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진공 저장탱크가 진공인 상태에서 상기 공급체크밸브를 개방하면 상기 진공베이스부 내의 수용공간과 상기 진공 저장탱크 내의 압력차에 의해 식품용기 내의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공기배출구로 배출되면서 식품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필름이 식품용기 내의 포장물에 밀착되게 스킨 포장이 되도록 하는 진공발생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식품용기안착부와 대응 접촉되면서 필름을 식품용기 테두리에 융착시키는 융착부 및 상기 커터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식품용기의 테두리를 따라 필름을 커팅하는 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착 성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진공베이스부의 상면에는 플랜지부의 외측으로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식품용기 위를 지나는 필름이 안착되는 안착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의 상측에는 진공발생부를 통해 식품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전에 먼저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는 필름을 눌러 고정하는 고정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로드의 하부에 결합된 가압판과, 가압판보다 상부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가압판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판을 관통하게 설치된 가압가이드봉과, 가압가이드봉에 설치되어 가압가이드봉을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하여 가압판을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리턴스프링과, 상기 가압판의 하부에서 가압판에 연결 설치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착턱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저면에 상기 안착턱이 수용되어 상기 안착턱에 안착된 필름을 가압 고정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고정판과, 고정판과 누름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판을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고정판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착턱과 상기 안착턱이 수용된 고정판의 수용홈 부분에서 상기 필름은 안착턱의 내측벽과 수용홈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상측으로 절곡된 후 안착턱의 상면과 수용홈의 저면에 밀착되어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후 안착턱의 외측벽과 수용홈의 외측벽에 밀착되어 하측으로 절곡되게 고정되며,
    상기 진공 저장탱크 내에는 내부압을 감지하는 진공압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진공압 센서는 진공 저장탱크의 진공압을 체크하여 상기 진공펌프에 송신하게 구성되어, 상기 진공 저장탱크의 내부의 진공압이 설정된 진공압의 이하의 값이면 진공펌프를 자동으로 구동하여 상기 진공 저장탱크의 진공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포장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011060A 2017-01-24 2017-01-24 스킨 포장 장치 KR10199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060A KR101990629B1 (ko) 2017-01-24 2017-01-24 스킨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060A KR101990629B1 (ko) 2017-01-24 2017-01-24 스킨 포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958A KR20180086958A (ko) 2018-08-01
KR101990629B1 true KR101990629B1 (ko) 2019-06-18

Family

ID=6322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060A KR101990629B1 (ko) 2017-01-24 2017-01-24 스킨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089B1 (ko) * 2018-09-03 2019-01-30 김형훈 스킨 포장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29B1 (ko) * 2005-10-26 2007-09-05 주식회사 롤팩 로터리식 진공 자동 포장 시스템
KR101577784B1 (ko) * 2015-11-20 2015-12-15 김형훈 무게 계량형 자동포장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7795A (en) * 1977-08-03 1979-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Drive unit of display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29B1 (ko) * 2005-10-26 2007-09-05 주식회사 롤팩 로터리식 진공 자동 포장 시스템
KR101577784B1 (ko) * 2015-11-20 2015-12-15 김형훈 무게 계량형 자동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958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4935C1 (ru) Вакуум-формованное упаковывание помещающегося на подложке продукта в плотно прилегающую пленку
KR101841165B1 (ko) 스킨 포장 장치
US35083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cuating and gas-flushing packages
KR200491764Y1 (ko) 일회용 포장용기 실링 장치
KR101990629B1 (ko) 스킨 포장 장치
EP0281450B1 (fr) Machine pour le thermoformage d'un film étanche à l'intérieur d'un conteneur en carton pour l'emballage d'une denrée à conserver et pour l'operculage du conteneur
CN110606237A (zh) 一种玩具装袋抽真空设备
TWI225319B (en) Electrolyte injection device and battery production method
KR101322780B1 (ko) 용기 열봉합 장치
KR102383595B1 (ko) 식품 용기 진공 스킨 포장장치
KR101269947B1 (ko) 용기 실링기능과 진공포장기능을 갖는 포장기
JP2610371B2 (ja) 粒状体を満たした真空包装を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KR20070114335A (ko) 용기 밀봉장치
KR100508219B1 (ko) 포장재의 체크밸브 장착장치
KR101782976B1 (ko) 진단키트용 포장장치
KR101944089B1 (ko) 스킨 포장 장치
KR20130038888A (ko) 노즐이 구비된 식품용기 진공포장장치
CN112093118A (zh) 气调包装机和气调包装方法
KR20120103985A (ko) 누름 스위치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KR101720209B1 (ko) 독립형 가압부재가 장착된 진공포장기
CN217260901U (zh) 抽真空装置
KR101385006B1 (ko) 진공압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누름 스위치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JPH07232711A (ja) 真空包装方法
CN221050058U (zh) 一种手动真空包装机
KR20060035982A (ko) 캐리어 테이프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의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5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117

Effective date: 201903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