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385B1 -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385B1
KR101781385B1 KR1020160078084A KR20160078084A KR101781385B1 KR 101781385 B1 KR101781385 B1 KR 101781385B1 KR 1020160078084 A KR1020160078084 A KR 1020160078084A KR 20160078084 A KR20160078084 A KR 20160078084A KR 101781385 B1 KR101781385 B1 KR 10178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ok
airbag
mounting plat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길
이원석
유재호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6007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385B1/ko
Priority to PCT/KR2017/006103 priority patent/WO2017222224A1/ko
Priority to CN201780029222.8A priority patent/CN10915336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중앙에 구비된 마운팅 플레이트에 형성된 후크 및 에어백을 폴딩 상태로 수용하는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와 걸리는 후크 걸림부를 포함한다. 후크 걸림부는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후크홀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내부의 상기 후크홀 주변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그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내부에 지지된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각각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한다. 걸림턱의 상단에는 후크와의 마찰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스페이서 부재가 설치된다. 스페이서 부재는 후크홀을 통하여 하우징의 외측에 걸림턱에 상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MOUNTING APPARATUS OF AIRBAG MODULE FOR DRIVER SEA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 플레이트에 에어백 모듈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 전방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충돌 시, 순간적으로 에어백이 팽창되면서 운전자 및 승객을 보호한다.
운전석 에어백 모듈은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며 자동차 충돌 및 추돌 사고 인해 큰 충격력이 발생할 때, 에어백이 운전자를 향하여 전개되면서 운전자를 보호한다.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하우징, 에어백 하우징의 중앙에 연결된 인플레이터, 에어백 하우징의 내부에 폴딩 상태로 수용되고, 인플레이터와 연결된 에어백을 포함한다.
이러한 에어백 모듈은 스티어링 휠의 중앙부에 구비된 마운팅 플레이트에 장착된다. 에어백 모듈은 마운팅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 하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에어백 모듈 및 마운팅 플레이트부는 후크 구조에 의해 스냅 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에어백 하우징의 측벽에는 후크홀을 갖는 후크 걸림부가 형성되고, 마운팅 플레이트에는 에어백 하우징에 형성된 후크 걸림부에 걸리는 후크가 돌출 형성된다.
에어백 하우징 및 마운팅 플레이트부의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가 구비되어 에어백 하우징이 마운팅 플레이트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승, 하강 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 부재는 마운팅 플레이트에 대하여 에어백 하우징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자동차 주행에 의한 상하 진동 발생 시 또는 경고음을 전달하기 위한 혼 스위치 기능 수행 시. 에어백 하우징은 순간적으로 마운팅 플레이트부 측으로 접근했다가 스프링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탄성 복원된다. 이 경우, 마운팅 플레이트에 형성된 후크에 대하여 에어백 하우징에 형성된 후크 걸림부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마운팅 플레이트에 형성된 후크를 타격하게 되므로 소음이 발생하고, 후크 걸림부 및 후크가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후크 걸림부 및 후크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하고 후크 및 후크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 걸림부에 마찰 및 소음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스페이서 부재를 채용된다.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10-2012-0053198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10-2013-0063417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에 형성된 후크 걸림부와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 플레이트에 형성된 후크와의 마찰 및 소음을 방지하는 스페이서 부재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에 형성된 후크 걸림부 주변의 공간부를 통하여 하우징에 폴딩 상태로 수용된 에어백의 일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구비되고, 그 상부로 돌출된 후크를 갖는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 스프링부재를 통하여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에어백이 폴딩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후크가 걸리는 후크 걸림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후크 걸림부에 삽입되어 상기 후크와의 마찰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후크홀;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내부의 상기 후크홀 주변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그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내부에 지지된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각각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후크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걸림턱의 상면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 바닥의 상기 후크 걸림부와 이웃하는 부분에는 상기 후크 걸림부 주위의 공간부를 차폐하여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폴딩된 에어백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된 에어백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압축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차폐벽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의 상기 공간부 주변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차폐 측벽 및 상기 차폐 측벽의 상단에 상기 측벽과 직교되게 형성된 차폐 상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스티어링 휠에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마운팅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 걸림부의 상기 걸림턱의 내측에는 상기 마운팅 스프링의 자유단부와 접촉하는 스프링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후크 걸림부를 구성하는 걸림턱 부분을 후크 걸림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사이에 형성하되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스페이서 부재를 하우징 외측에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후크 걸림부 주위에 형성된 하우징의 바닥부 공간부를 차폐벽으로 차단하여 폴딩된 에어백을 하우징 내로 압축 시 에어백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이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Ⅱ-Ⅱ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후크 걸림부로부터 스페이서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의 바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화살표 Ⅵ를 따라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후크 걸림부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후크 걸림부의 저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이 비팽창 상태에서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에어백의 양측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c는 도 9b의 폴딩된 에어백의 나머지 부분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d는 도 9c의 폴딩된 에어백이 하우징 내에 압축 방식에 의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참조부호 U는 상방향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L은 하방향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O는 하우징의 외측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I는 하우징의 내측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이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Ⅱ-Ⅱ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휠(10)의 중앙에 에어백 모듈(30)이 장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11)가 구비된다.
에어백 모듈(30)은 하우징(31), 하우징(31)내에 폴딩 상태로 수용된 에어백(33)과, 하우징(31)의 개구를 덮는 커버(35) 및 하우징(31)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에어백(33)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37)를 포함한다.
에어백(33)은 패브릭으로 형성되고, 자루 형상을 가지면 폴딩 상태로 인플레이터(37)와 함께 하우징(31)에 장착된다.
인플레이터(37)는 에어백(33)을 팽창 전개시키기 위한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인플레이터(37)는 예컨대, 짧은 원기둥 형상을 취하며 마운팅 플레이트(1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하여 마운팅 플레이트(11)에 고정된다.
하우징(31)과 마운팅 플레이트(11)의 사이에는 탄성부재(4), 예컨대 코일형 스프링이 설치된다, 탄성부재(4)는 하우징(31)을 마운팅 플레이트(11)에 대하여 상, 하방향(U, L)으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탄성부재(4)는 하우징(31)을 마운팅 플레이트(11)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하우징(31)의 외부 바닥에는 마운팅 스프링(39)이 장착되어 하우징(31)을 마운팅 플레이트(11)에 탄력적으로 설치 가능토록 한다.
마운팅 플레이트(11)에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12)가 상방향(U)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우징(31)의 측벽에는 후크(12)가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걸림부(50)가 형성된다.
후크 걸림부(50)는 하우징(31)의 측벽(31a)에 형성된 후크홀(51)과, 하우징(31)의 측벽의 내부로부터 후크홀(51) 주변에 돌출된 한 쌍의 지지부(53)와, 지지부(53)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55)을 포함한다. 지지부(53)는 그 상단이 하우징(31)의 측벽(31a)의 내부에 연결되어 자유단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31)의 외측(O) 및 내측(I)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후크 걸림부(50)와 마운팅 플레이트(11)에 형성된 후크(12)와의 결합성을 향상시키고, 마운팅 스프링(39)의 조립 및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후크 걸림부(50)의 걸림턱(55)의 상면에는 스페이서 부재(57)가 삽입되어 마운팅 플레이트(11)의 후크(12)가 걸림턱(55)에 직접 접촉하여 후크(12) 및/또는 걸림턱(55)이 마모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걸림턱(55)의 내측에는 마운팅 스프링의 자유단부(39a)와 접촉하는 스프링 턱(55b)이 돌출된다. 스프링턱(55b)은 마운팅 스프링의 자유단부(39a)를 해제 위치로 가압 시, 가압되어 후크 걸림부(50)를 해제 방향으로 이동시켜 에어백 모듈(30)을 마운팅 플레이트(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토록 한다.
후크 걸림부(50)가 형성된 부분과 대응하는 하우징(31)의 바닥(31b)에는 에어백(33)이 하우징(31)의 바닥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벽(60)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턱(55) 및 지지부(53)의 하부가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기 위하여, 하우징(31)과 걸림턱(55) 및 지지부(53)를 일체로 사출 성형함에 있어서, 하우징(31)의 바닥(31b)부는 일정 크기의 공간부(58)가 형성된다.
차폐벽(60)은 이러한 공간부(58)를 차단하여 하우징(31)내에 폴딩 상태로 수용되는 에어백(33)이 하우징(3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자동차 주행에 의한 상하 진동 발생시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혼 기능 수행 시, 하우징(31)은 순간적으로 마운팅 플레이트(11)측으로 접근했다가 탄성부재(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탄성 복원된다. 이러한 동작을 하는 동안 후크 걸림부(50)의 걸림턱(55)이 상, 하 방향으로 마운팅 플레이트(11)의 후크(12)에 대해 상대 이동하게 될 경우 걸림턱(55)에 설치된 스페이서 부재(57)에 의해 걸림턱(55)이 후크(12)를 타격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후크 걸림부(50)의 걸림턱(55) 및 후크(12)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후크 걸림부로부터 스페이서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후크 걸림부(50)는 후크홀(51), 지지부(53), 및 걸림턱(55)을 포함한다.
하우징(31)의 측벽(31a)에는 대략 사각 형상의 후크홀(51)이 형성된다. 후크홀(51)과 이웃하는 측벽(31a)의 내부에는 한 쌍의 지지부(53)가 형성된다. 각각의 지지부(53)는 그 상단이 하우징(31)의 측벽(31a)에 지지되고, 하단이 하우징(31)의 내측(I) 및 외측(O)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자유단 형태를 갖는다.
지지부(53)들의 사이에는 걸림턱(55)이 돌출 형성된다. 걸림턱(55)은 두 지지부(53)의 사이를 가로질러 형성되고, 하우징(31)의 외측(O)으로 돌출된다. 걸림턱(55)의 상단은 스페이서 부재(57)가 삽입 가능한 수용홈이 형성된다.
스페이서부재(57)는 하우징(31)의 외측에서 후크홀(51)을 통하여 삽입되어 걸림턱(55)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 걸림부(50)의 걸림턱(55)이 지지부(53)로부터 하우징(31)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스페이서 부재(57)를 하우징(31)의 외측에서 삽입 가능하여 스페이서 부재(57)의 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57)는 하우징(31) 및 스티어링 휠(10)의 마운팅 플레이트(11)보다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크 걸림부(50)는 하우징(31)의 성형 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크 걸림부(50)를 포함하는 하우징(31)은 PA계열의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고, 후크(12)를 포함하는 마운팅 플레이트(1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57)는 후크 걸림부(50)의 걸림턱(55)의 상단에 삽입되는 본체(57a) 및 본체(57a)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걸림턱(55)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57b)를 포함한다.
돌기부(57b)의 단부는 걸림턱(55)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걸림턱(55)의 외부로 돌출되고, 융착기 등을 이용하여 열 융착을 통해 용융되어 걸림턱(55)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의 바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31)의 바닥에는 하우징(31)을 스티어링 휠(10)의 마운팅 플레이트(11)에 탄력적으로 설치하는 마운팅 스프링(39)이 설치된다.
마운팅 스프링(39)은 중앙부(39b)와 중앙부(39b)의 양측으로 연장된 자유단부(39a)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을 갖는다.
후크 걸림부(50)의 걸림턱(55)의 저부 내측에는 스프링턱(55a)이 돌출되어 마운팅 스프링(39)의 자유단부(39a)와 접촉한다.
에어백 모듈(30)을 마운팅 플레이트(11)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마운팅 스프링(39)의 자유단부(39a)를 화살표 A방향으로 밀면, 마운팅 스프링(39)의 자유단부(39a)와 접촉한 스프링턱(55a)이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하우징(31)의 내측으로 밀리면서 후크 걸림부(50)가 하우징(31)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 결과, 스티어링 휠(10)의 마운팅 플레이트(11)에 형성된 후크(12)가 후크 걸림부(50)의 걸림턱(55)으로부터 분리되어 에어백 모듈(30)이 스티어링 휠(10)의 마운팅 플레이트(11)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후크 걸림부(50)의 걸림턱(55)의 외측에는 마운팅 플레이트(11)의 후크(12)가 상향 가이드되어 후크 걸림부(50)의 걸림턱(55)에 걸리도록 가이드 하는 경사면(55b)이 형성된다.
도 6은 도 3의 화살표 Ⅵ를 따라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후크 걸림부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후크 걸림부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후크 걸림부(50)와 인접하는 하우징의 바닥부(31b)에는 차폐부(60)가 형성된다. 차폐부(60)는 하우징(31)의 바닥부의 후크 걸림부(50) 주변에 형성된 공간부(58)를 커버하여 에어백이 하우징(31) 내에 폴딩 상태로 압축 방식에 의해 하우징(31)내에 삽입될 때 에어백(33)이 공간부(58)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것을 차단한다.
차폐부(60)는 하우징(31)의 바닥(31b)으로부터 공간부(58)를 에워싸도록 상향 돌출된 차폐 측벽(61) 및 측벽(61)의 상단에 측벽(61)과 대략 직교되게 형성된 상부벽(63)을 포함한다.
에어백(33)은 소정의 폴딩 방식에 따라 폴딩되고, 압축기의 푸셔에 의해 하우징(31)내에서 압축된다. 하우징(31)은 스티어링 휠(10)의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그 사이즈가 작게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31)의 내부 공간이 축소된다. 그 경우 폴딩된 에어백(33)은 압축 방식에 의해 하우징(31)의 내부에 삽입되며, 이러한 압축 방식에 따라 폴딩된 에어백(33)이 하우징(31)내로 삽입 시, 차폐부(60)에 의해 차폐된 공간부(58)를 통하여 하우징(3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에어백(33)이 폴딩되고 하우징(31)의 내부에 압축 방식으로 삽입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이 비팽창 상태에서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에어백의 양측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c는 도 9b의 폴딩된 에어백의 나머지 부분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d는 도 9c의 폴딩된 에어백이 하우징 내에 압축 방식에 의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에어백(33)이 하우징(31)을 중심으로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대기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에어백(33)의 양측을 하우징(31)을 향하여 소정의 폴딩 방식에 의해 접어서 제1폴딩부(F1)를 형성한다.
도 9c를 참조하면, 도 9b와 같이 하우징(31)을 향하여 소정의 폴딩 방식에 의해 형성된 제1폴딩부(F1)의 양측을 하우징(31)을 향하여 소정의 폴딩 방식에 의해 접어서 제2 폴딩부(F2)를 형성한다.
상술한 제1,2 폴딩부(F1, F2)는 아코디언 형태, 또는 롤링 방식 등, 다양한 폴딩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에어백(33)은 하우징(31)에 그 후방패널의 중앙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술한 방식에 의해 제1,2 폴딩부(F1, F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폴딩 과정은 수동 또는 자동 폴딩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9d를 참조하면, 상술한 폴딩 과정에 의해 하우징(31)내에 위치하는 제1,2 폴딩부(F1, F2)는 압축 장치의 푸셔(P)에 의해 하우징(31)의 바닥(31b)을 향하여 압축되어 하우징(31) 내에 삽입된다.
이때, 하우징(31)의 바닥(31b)의 공간부(58)는 차폐부(60)에 의해 차폐되어 에어백(33)이 공간부(58)를 통하여 하우징(3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스티어링 휠 11: 마운팅 플레이트
12: 후크 30: 에어백 모듈
31: 하우징 31a: 하우징 측벽
31b: 하우징 바닥 33: 에어백
50: 후크 걸림부 51: 후크홀
53: 지지부 55: 걸림턱
60: 차폐벽 61: 차폐 측벽
63: 차폐 상부벽

Claims (5)

  1.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구비되고, 그 상부로 돌출된 후크를 갖는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 스프링부재를 통하여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에어백이 폴딩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후크가 걸리는 후크 걸림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후크 걸림부에 삽입되어 상기 후크와의 마찰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후크홀;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내부의 상기 후크홀 주변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그 상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내부에 지지된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각각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측으로 돌출된 스프링턱이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후크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걸림턱의 상면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내측으로만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턱과 일단부가 접촉되는 마운팅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턱을 외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 바닥의 상기 후크 걸림부와 이웃하는 부분에는 상기 후크 걸림부 주위의 공간부를 차폐하여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폴딩된 에어백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벽이 형성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폴딩된 에어백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압축 방식으로 삽입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차폐벽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의 상기 공간부 주변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차폐 측벽 및 상기 차폐 측벽의 상단에 상기 측벽과 직교되게 형성된 차폐 상부벽을 포함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5. 삭제
KR1020160078084A 2016-06-22 2016-06-22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KR10178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84A KR101781385B1 (ko) 2016-06-22 2016-06-22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PCT/KR2017/006103 WO2017222224A1 (ko) 2016-06-22 2017-06-12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CN201780029222.8A CN109153361B (zh) 2016-06-22 2017-06-12 驾驶席安全气囊模块的安装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84A KR101781385B1 (ko) 2016-06-22 2016-06-22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385B1 true KR101781385B1 (ko) 2017-09-25

Family

ID=6003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084A KR101781385B1 (ko) 2016-06-22 2016-06-22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81385B1 (ko)
CN (1) CN109153361B (ko)
WO (1) WO20172222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4907A (zh) * 2019-01-28 2019-04-16 昆山正工模具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及汽车
CN111891210A (zh) * 2020-08-03 2020-11-06 盐城同济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方向盘联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1498A (ja) * 2009-12-11 2011-06-23 Autoliv Development Ab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16754U1 (de) * 2002-10-30 2003-03-20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modul und Fahrzeuglenkrad mit einem Gassackmodul
DE202005018665U1 (de) * 2005-11-29 2006-01-26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Fahrzeuglenkrad
KR20090050682A (ko) * 2007-11-16 2009-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장착구조
DE102008028126A1 (de) * 2008-06-13 2009-12-17 Autoliv ASP, Inc., Ogden Lenkradeinheit
JP5353212B2 (ja) * 2008-12-02 2013-11-27 タカタ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1560541B1 (ko) * 2012-04-13 2015-10-1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CN103895569B (zh) * 2014-04-11 2016-01-20 锦州锦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汽车转向盘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1498A (ja) * 2009-12-11 2011-06-23 Autoliv Development Ab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53361A (zh) 2019-01-04
CN109153361B (zh) 2021-07-09
WO2017222224A1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1089B2 (en) Support structure for airbag apparatus
JP5448829B2 (ja) エアバッグカバー装置
US7523958B2 (en) Bracket for securing side airbag for automotive vehicle
US6832800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 pillar trim in an automobile having a curtain type airbag
KR20100061711A (ko) 에어백 덮개에 근접한 간극을 제어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KR102593661B1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US11034319B2 (en) Air bag module
KR101460725B1 (ko) 차량의 에어백
KR101781385B1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KR20000069038A (ko)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US10994684B2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JP6905548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ダンパ機構及び車両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装置
KR20130066407A (ko) 차량용 사이드에어백의 설치장치
KR102420722B1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KR100629340B1 (ko) 혼 스위치 겸용 에어백장치
JP3895896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20090117515A (ko) 자동차의 도어 모듈 및 그 조립방법
KR100735680B1 (ko) 에어백 모듈 결합 구조
US20200010042A1 (en) Airbag device for interior trim element of a motor vehicle
JP5741311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101614487B1 (ko) 에어백 장치
KR102138322B1 (ko) 테더 클립
JPWO2006098106A1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H09277897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2347554A (ja) カーテン式エアバッグ格納自動車のピラーガーニッシ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