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400B1 -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400B1
KR101588400B1 KR1020150119350A KR20150119350A KR101588400B1 KR 101588400 B1 KR101588400 B1 KR 101588400B1 KR 1020150119350 A KR1020150119350 A KR 1020150119350A KR 20150119350 A KR20150119350 A KR 20150119350A KR 101588400 B1 KR101588400 B1 KR 101588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block
unit module
block
adapt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균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19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는, 차량의 적재함 주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블록과,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를 통해 상기 고정 블록과 소정의 결속수단으로 체결되는 제2아답터 블록과, 상기 제2아답터 블록의 몸체 상부에 'ㄴ'자 형상으로 돌출되고, 일측은 상기 제2아답터 블록에 접합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유닛모듈의 접합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유닛모듈과 체결되는 제1아답터 블록과, 상기 제2아답터 블록의 몸체 상부를 감싸는 부속물로서, 아답터 블록이 유닛모듈의 접합부에 체결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금속성 마찰과 소음을 차단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는 유닛모듈 운송시 유닛모듈의 내·외장재 및 개별포장 설치유무와 상관없이 운송용 차량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물리적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운송용 고정 장치는 유닛모듈 사이즈에 영향을 주지 않을 크기로 디자인 설계되었으며, 장치의 탈부착(조작, 중량 측면 등)이 매우 용이하고 휴대가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운송용 차량에 적용할 수 있으며, 체인블럭 및 화물차량에 비치된 벨트 등 기존 도구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FREIGHT OF SHIPPING CAGE FOR TRANSPORTATION VIHICLE}
본 발명은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닛모듈 등 철골 구조물을 운송하는 차량의 화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닛모듈러 공법(Unit Modular Method)은 공장에서 제작/조립된 3차원적인 상자형의 유닛모듈들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 및 시공하는 방법이다. 유닛모듈에 들어가는 전기 및 기계설비, 창호를 포함한 내외장재, 바닥재, 천장재, 화장실이나 부엌의 기기설치 등 주택의 50~90%가 공장에서 완성된다. 유닛모듈러 공법을 유닛모듈러 주택에 적용하면 상자형의 유닛모듈들이 상하, 전후, 좌우로 조합하여 주택을 구성하므로 단독주택, 집합주택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 공법의 적용범위는 주택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숙사, 사무시설, 군시설, 학교 등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 가능하다.
유닛모듈러 주택은 공장에서 미리 구조체 및 구조체에 적합한 내· 외장재를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줄어들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공장에서 제작된 유닛모듈을 현장에서 시공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운송과정이 발생하게 되며, 운송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외장재의 파손이나 뒤틀림 등은 공사기간 지연과 공사비 증가로 이어진다.
이에 유닛모듈이 화물차량 등 운송용 차량의 적재함에 실린 후 운송되는 도중에 유닛모듈의 내·외장재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재함에 단단히 고정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화물차량 등 운송용 차량이 유닛모듈 등의 화물을 안정적으로 운송하기 위해서는 차량 적재함과 화물 사이에 정격 이상의 결속력이 요구되며, 그 일환으로 운송용 고정장치를 구비한다.
유닛모듈러 주택의 공업화율(프리패브화율)이 높아질수록 내장 및 외장 마감재 작업의 완성도가 높아지며, 유닛모듈을 화물차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은 어려워지게 된다.
도1은 종래, 유닛모듈 등 철골구조물 운송 시 차량에 고정시킨 모습이다.
공업화율이 높아서 내·외장재가 설치된 유닛모듈을 운송할 때는 도1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막+밧줄+그물망 등을 조합한 고정장치를 유닛모듈 전체에 둘러 고정 블록에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운송용 차량의 운송 시 고정 장치로 인한 마감재 손상, 바람으로 인한 유닛모듈의 마감재 탈락 혹은 요철구간에서 충격으로 인한 자재파손 등이 발생하였다. 또 도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업화율이 낮아서 내·외장재가 설치되지 않은 유닛모듈을 운송할 때에는 체인블럭 등의 고정장치를 고정 블록에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 방법은 내·외장재가 설치된 유닛모듈의 운송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아무런 고정방법 없이 운송차량의 적재함에 얻기만 하여 운송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요철 등을 지날 때 충격이 유닛모듈을 손상시키고, 운송 중에 바람 등으로 인해 설치된 내·외장재가 파손되며, 곡선 도로구간에서 유닛모듈이 불안정하게 거동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2는 화물운송 차량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고정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고정 블럭은 운송용 차량의 출고 시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운송용 차량의 운전자들이 운반의 편의를 위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차량의 좌우 양방향에 3개 이상씩 용접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며, 화물운송 차량의 적재함에 유닛모듈들을 고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유닛모듈러 주택의 운송은 유닛모듈의 조립 및 시공만큼이나 중요하지만, 종래, 모듈러 주택의 운송에는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 실정이다.
모듈러 주택의 운송은 유닛모듈의 크기와 안전을 고려해 저상 트레일러를 이용해야 하지만, 운송차량으로 저상 트레일러를 이용하면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다. 종래의 경우 비용절감을 위해 5톤(ton) 또는 그 이상의 화물차량을 이용해야 하지만, 유닛모듈을 적재함에 고정할 적절한 화물 고정장치(예: 아답터 블록, 고정 블록 등)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운송 중 유닛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화물차 적재함과 유닛모듈들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화물 고정장치(예: 아답터 블록, 고정 블록 등)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149599호(등록: 2012년12월17일, 이하, '종래 기술' 이라 한다)는 유닛모듈들을 화물차 적재함에 고정시킬 수 있는 화물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아답터 블록은 용접으로 결합된 제1, 제2 체결부의 접합부위가 충격에 약하고 적재 화물의 하중이 집중될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화물차와 유닛모듈을 효과적으로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 구조로서 기존에 화물운송 차량의 적재함에 정격이상의 결속력으로 화물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장치는 유닛모듈 운송시 유닛모듈의 내·외장재 및 개별포장 설치유무와 상관없이 운송용 차량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물리적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장치는 유닛모듈 사이즈에 영향을 주지 않을 크기로 디자인 설계되었으며, 장치의 탈부착(조작, 중량 측면 등)이 매우 용이하고 휴대가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운송용 차량에 적용할 수 있으며, 체인블럭 및 화물차량에 비치된 벨트 등 기존 도구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유닛모듈 등 철골구조물을 차량에 고정시킨 모습의 사진.
도2는 운송차량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고정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답터 블록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아답터 블록의 적용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장치의 체결절차를 나타낸 예시도.
도7은 제1아답터 블록의 다양한 태양을 나타낸 예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아답터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아답터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는 유닛모듈을 고정하는 차량의 운송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적재함 주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블록과,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를 통해 상기 고정 블록과 소정의 결속수단으로 체결되는 제2아답터 블록과, 상기 제2아답터 블록의 몸체 상부에 'ㄴ'자 형상으로 돌출되고, 일측은 상기 제2아답터 블록에 접합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유닛모듈의 접합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유닛모듈과 체결되는 제1아답터 블록과, 상기 제2아답터 블록의 몸체 상부를 감싸는 부속물로서, 아답터 블록이 유닛모듈의 접합부에 체결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금속성 마찰과 소음을 차단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아답터 블록은 상기 제1아답터 블록을 유닛모듈의 접합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한 후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닛모듈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후크 또는 로프형 체결수단을 결속하는 제1결속수단과, 벨트형 체결수단을 결속하는 제2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아답터 블록은 상기 몸체의 상부와 하부가 역 'ㄱ'자로 꺾여있는 형상이며, 몸체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사각형상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아답터 블록은 상기 체결부가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몸체 하부와 체결부가 접하는 부분에 힌지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아답터 블록은 역 'T'자 형상으로 몸체를 이루며, 역 'T'자 형상 몸체의 수평 부분에 사각형상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아답터 블록은 유닛모듈과 체결 시,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유닛모듈의 접합부와 맞닿는 부분에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착안점은, 화물운송 차량의 적재함에 마련된 각종 체결수단 및 고정수단과 연동하여 최소한의 결속으로 화물을 적재함에 고정시키는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를 구현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는 고정 블록(100), 제1아답터 블록(200), 완충부재(250), 제2아답터 블록(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 블록(100)은 차량 적재함의 주변 난간에 용접으로 설치된 화물 결속용 클램프로서, 와이어(예: 철재, 플라스틱, 천 등 재질의 와이어)로 결속한 화물들을 적재함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은 화물차 적재함의 앞부분이나 뒤부분에서, 소정의 결속수단(예: 벨트)으로 상기 고정 블록(100)과 체결된다.
상기 제1아답터 블록(200)은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의 몸체 상부에 결합되어, 제2아답터 블록(300)이 유닛모듈의 접합부와 안정적으로 체결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상기 유닛모듈 접합부는 유닛모듈들 간의 상호결합이나 접합을 위해 유닛모듈 일측에 형성되는 부속물이다.
상기 완충부재(25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의 몸체 상부를 감싸는 부속물로서, 아답터 블록(200, 300)이 유닛모듈의 접합부에 체결되었을 때 철재로 이루어진 두 부재들(제2아답터 블록(300) & 유닛모듈의 접합부)간에 발생할 수 있는 금속성 마찰과 소음을 차단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답터 블록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아답터 블록(200)은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의 몸체 상부에 'ㄴ'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ㄴ'자 형상의 일측이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과 접합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유닛모듈의 접합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제2아답터 블록(300)이 상기 유닛모듈의 접합부와 안정적인 체결을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이때, 상기 제1아답터 블록(200)과 제2아답터 블록(300)은 금형작업이나 용접작업 등으로 접합되어 일체구조를 이룬다.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상부와 하부가 역 'ㄱ'자로 꺾여, 90도 각을 이루는 형상이다.
또한,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은 몸체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사각형상의 체결부(310)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310)를 통해 상기 고정 블록(100)과 소정의 결속수단으로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310)는 로프형 체결수단을 결속하는 제1결속수단(311)과, 벨트형 체결수단을 결속하는 제2결속수단(31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결속수단(311)에는 로프, 와이어, 후크 등의 수단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2결속수단(312)에는 벨트, 밴드, 스트랩 등의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아답터 블록의 적용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상기 아답터 블록(200, 300)을 벨트, 로프 체인 등 차량에 비치된 결속수단으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5의 (a)는 로프형 체결수단을 결속하는 제1결속수단(311)을 나타낸 것이고, 도5의 (b)는 벨트형 체결수단을 결속하는 제2결속수단(312)을 나타낸 것이다.
도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적재된 유닛모듈의 고정을 위해, 먼저 일체형으로 구성된 제1아답터 블록(200)을 유닛모듈의 접합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한 후,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을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닛모듈과 체결한다.
이후, 로프와 같은 결속수단으로 체결부(310)의 제1결속수단(311)과 적재함의 고정블록(100)을 체결하거나, 벨트와 같은 결속수단으로 상기 제2결속수단(312)과 적재함의 고정블록(100)을 체결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장치의 체결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작업자는 먼저,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연결된 제1아답터 블록(200)을 유닛모듈의 홀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연결된 제2아답터 블록(300)을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아답터 블록(200)이 완전히 유닛모듈의 홀안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도6의 (c)는 일체형으로 연결된 제1아답터 블록(200)이 유닛모듈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의 몸체 상부를 감싸는 상기 완충부재(250)는 도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아답터 블록(300)가 유닛모듈의 접합부에 체결되었을 때 철재로 이루어진 두 부재들(제2아답터 블록(300) & 유닛모듈의 접합부)간에 발생할 수 있는 금속성 마찰과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도6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아답터 블록(200)과 제2아답터 블록(300)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7은 제1아답터 블록의 다양한 태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7의 (a) 및 (b)는 제1아답터 블록(20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아답터 블록(200)이 유닛모듈과 체결될 때, 상기 제1아답터 블록(200) 몸체의 하부가 유닛모듈의 접합부 하부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최대한으로 확보되도록 하여 제1아답터 블록(2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1아답터 블록(200) 몸체 하부의 단면이 사각형, 역삼각형, 반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아답터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아답터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과 체결부(310)를 힌지축(313)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체결부(310)는 힌지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체결부(310)가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과 연결되는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제1결속수단(311)과 제2결속수단(312)에 체결되는 소정의 결속수단(예: 로프, 벨트)을 보다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제2아답터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9에 예시된 제2아답터 블록(300)은 역 'T'자 형상으로 몸체를 이루며, 역 'T' 형상 몸체의 수평 부분에 사각형상의 체결부(310)를 형성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제2아답터 블록(300)을 디자인하여, 유닛모듈과 화물차 적재함을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아답터 블록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장치는 유닛모듈 운송시 유닛모듈의 내·외장재 및 개별포장 설치유무와 상관없이 운송용 차량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물리적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고정장치는 유닛모듈 사이즈에 영향을 주지 않을 크기로 디자인 설계되었으며, 장치의 탈부착(조작, 중량 측면 등)이 매우 용이하고 휴대가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운송용 차량에 적용할 수 있으며, 체인블럭 및 화물차량에 비치된 벨트 등 기존 도구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고정블록 200 : 제1아답터 블록
250 : 완충부재 300 : 제2아답터 블록
310 : 체결부 311 : 제1결속수단
312 : 제2결속수단 313 : 힌지축

Claims (7)

  1. 유닛모듈을 고정하는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 주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블록(100)과;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310)를 통해 상기 고정 블록과 소정의 결속수단으로 체결되는 제2아답터 블록(300)과;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의 몸체 상부에 'ㄴ'자 형상으로 돌출되고, 일측은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에 접합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유닛모듈의 접합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유닛모듈과 체결되는 제1아답터 블록(200)과,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의 몸체 상부를 감싸는 부속물로서, 아답터 블록(200, 300)이 유닛모듈의 접합부에 체결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금속성 마찰과 소음을 차단하는 완충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은 상기 제1아답터 블록(200)을 유닛모듈의 접합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한 후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닛모듈과 체결되며,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은 상기 몸체의 상부와 하부가 역 'ㄱ'자로 꺾여있는 형상이며, 몸체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사각형상의 체결부(310)를 구비하며,
    상기 제1아답터 블록(200)은 유닛모듈과 체결 시,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유닛모듈의 접합부와 맞닿는 부분에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10)는
    후크 또는 로프형 체결수단을 결속하는 제1결속수단(311)과, 벨트형 체결수단을 결속하는 제2결속수단(3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은
    상기 체결부(310)가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몸체 하부와 체결부(310)가 접하는 부분에 힌지축(3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아답터 블록(300)은
    역 'T'자 형상으로 몸체를 이루며, 역 'T'자 형상 몸체의 수평 부분에 사각형상의 체결부(3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7. 삭제
KR1020150119350A 2015-08-25 2015-08-25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KR101588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350A KR101588400B1 (ko) 2015-08-25 2015-08-25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350A KR101588400B1 (ko) 2015-08-25 2015-08-25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400B1 true KR101588400B1 (ko) 2016-01-28

Family

ID=5530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350A KR101588400B1 (ko) 2015-08-25 2015-08-25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682B1 (ko) 2016-10-13 2017-02-02 주식회사 코리아피팅 차량용 적재함의 파이프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99B1 (ko) * 2011-11-28 2012-05-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의 운송용 고정장치
KR20130115756A (ko) * 2012-04-13 2013-10-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KR20150070673A (ko) * 2013-12-17 2015-06-25 박근식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99B1 (ko) * 2011-11-28 2012-05-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의 운송용 고정장치
KR20130115756A (ko) * 2012-04-13 2013-10-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KR20150070673A (ko) * 2013-12-17 2015-06-25 박근식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682B1 (ko) 2016-10-13 2017-02-02 주식회사 코리아피팅 차량용 적재함의 파이프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9917B2 (en) Article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MX2013002940A (es) Larguero de un remolque de plataforma para su uso con dispositivos de restriccion de cargamento.
JP2017518219A (ja) 貨物エリア内の貨物コンテナの動きを制限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88400B1 (ko)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KR200488059Y1 (ko) 자동차용 루프박스 고정 구조체
KR101149599B1 (ko) 차량의 운송용 고정장치
KR101529208B1 (ko) 차량의 운송용 고정장치
KR101509659B1 (ko) 중대형 화물 결박(結縛)용 이동식 양방향 벨트 고정 장치
KR200453951Y1 (ko) 부품 고정구를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 보관 및 운반용 파레트
KR101588397B1 (ko) 모듈러 주택 운송용 차량의 화물 고정장치
KR101164771B1 (ko) 트럭의 적재화물 결속장치
US9914386B2 (en) Load bearing rail and tie-down ring assembly
US20190031078A1 (en) Load Bearing Rail and Tie-Down Ring Assembly
KR101399100B1 (ko) 윙 바디 적재함용 바닥판
KR100831165B1 (ko) 화물 차량
JP6602171B2 (ja) 貨物の固縛方法
US10676113B2 (en) Projected magnetic fastening system
KR101584443B1 (ko)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KR101339138B1 (ko) 화물차 적재함용 바닥판
KR102167580B1 (ko) 차량용 화물 적재함
JP7375284B2 (ja) 輸送積載物の荷台への固定構造
KR101396368B1 (ko) 특장차 적재함용 바닥판
KR20150112909A (ko) 화물차용 로프 고정구
KR200476662Y1 (ko) 트럭 적재함용 이동식 펜스 장치
EP4095069A1 (en) Coil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