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443B1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443B1
KR101584443B1 KR1020140077832A KR20140077832A KR101584443B1 KR 101584443 B1 KR101584443 B1 KR 101584443B1 KR 1020140077832 A KR1020140077832 A KR 1020140077832A KR 20140077832 A KR20140077832 A KR 20140077832A KR 101584443 B1 KR101584443 B1 KR 101584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uide rail
moving
cargo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601A (ko
Inventor
박희경
Original Assignee
박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경 filed Critical 박희경
Priority to KR1020140077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4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60P7/14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the load bracing means comprising a movable bulk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의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의 측면도어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고정수단과 배면도어에 장착되는 고정 고리 및 고정 끈을 통해 적재함의 내부에 수용되는 화물을 지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운반할 수 있으므로 적재함이 구비되는 호루차, 화물차, RV, 탑차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A CARGO IN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 및 수량에 맞춰 고정 끈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은 적재함의 바닥을 형성하는 리어플로어판넬과, 상기 리어플로어판넬의 좌우 양측 및 후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사이드 게이트와 리어 게이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화물을 적재함에 적재시에는 사이드 게이트나 리어 게이트를 힌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적재함을 개방한 후, 상기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다음, 사이드 게이트나 리어 게이트를 힌지를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적재함에 놓인 화물이 적재함이 외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이드 게이트와 리어 게이트에는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프걸이가 외면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후에는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과 사이드 게이트 또는 리어 게이트에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로프걸이를 결합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시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적재함은 화물이 작거나 소량인 경우에는 로프 또는 와이어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할 수 없으므로 불필요하게 다른 화물을 적재하여 화물을 고정시켜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냉장탑차, 냉동탑차, 내장탑차, 윙탑차는 내부에 고정수단이 없고, 꽃배달 등에 많이 사용되는 호루차의 경우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물건을 외부의 고정고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없으므로 부득이하게 별도 고정수단을 구비하던가 아님 별도의 내부 개조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148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068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재함의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적재함의 내부에 수용되는 화물을 지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는 차량의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의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관통공과 이동 구간의 사이에는 지지 구간이 구비된 격벽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측에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홈이 형성되는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에는 상기 고정 홈에 수용되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먼지 제거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면에 배치되면서 이동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및 고정하는 이동구;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고정 끈과 연결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고정구 몸체; 상기 고정구 몸체의 끝단에 형성되고 전후 작동에 따라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고정 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구 몸체의 반대 측 끝단에 형성되는 이동고리;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몸체에 삽입장착되는 스프링; 상기 고정구 몸체의 도중에 설치되는 스프링 지지부; 상기 이동고리의 끝단에 형성되는 작동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일 측이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지지부와 상기 이동판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연결부 및 상기 고정 끈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의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화물을 고정시킬 수 있고, 특히 이동고정수단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므로 화물에 종류에 맞게 고정위치를 조정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호루차 뿐 아니라, 적재함이 구비되는 화물차, RV, 탑차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가 적용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차량.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적재함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도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과 이동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마감 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8(a) 및 8(b)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적재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 및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과 이동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마감 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9 및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원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가 적용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차량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적재함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도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과 이동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마감 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a) 및 8(b)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10)는 적재함(20)의 도어(21)와 전면부(21a)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21b)과 천장(21c)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40)과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20)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차, RV, 탑차 등의 차량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본원발명에서는 상부와 측면이 호루(25)에 덮이는 호루차에 적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21)와 전면부(21a)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21b)과 천장(21c)의 수평방향으로 고정 홈(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홈(23)은 수평이나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 홈(23)이 형성되는 도어(21)와 전면부(21a)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21b)과 천장(21c)의 수평방향에는 상기 고정 홈(23)에 수용되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먼지 제거 홈(26)이 형성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먼지 제거 홈(26)은 도시된 도 4와 같이 고정 홈(23)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고정 홈(23)을 통해 삽입되는 먼지 등을 수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이드 레일(40)은 도어(21)와 전면부(21a)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21b)과 천장(21c)의 수평방향에 전체뿐만 아니라 일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측면도어(21)에는 가이드 레일(40)이 설치되고, 배면도어(21-1)에는 고정 끈(6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배면 고정 고리(24)가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수직 고정판(3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측면도어(21)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고정판(30)은 도시된 도 3과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의 측면도어(21)에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측면도어(21)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도시된 도 3과 같이 측면도어(21)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 고정판(30)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고정판(30)은 통상적인 호루차의 적재함 시공 과정에서 추가로 설치된 부분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측면도어(21) 또는 수직 고정판(30)의 상,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도 6과 같이 수직 고정판(30)의 내부에 삽입장착되는 가이드 레일(40)은 측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 관통공(4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4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관통공(41)과 이동 구간(42)의 사이에는 지지 구간(44)이 구비된 격벽(43)이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46)가 고정장착된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그 사이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을 수용하면서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에 따라 위치 이동하면서도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 관통공(41)은 설치에 따른 오차와 함께 상기 측면도어(21)의 고정 홈(23)에 원활하게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홈(23)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상, 하에는 수직 고정판(30)에 가이드 레일(40)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레일 지지구(45)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마감 지지구(46)는 가이드 레일(40)의 내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이동 구간(42)과 연통되는 부분에는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 홈(46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홈(46a)에는 상기 마감 지지구(46)를 고정하는 나사(46b) 또는 볼트가 장착된다.
즉 상기 마감 지지구(46)는 가이드 레일(40)의 양측 끝단에 삽입장착된 후 상기 고정 홈(46)에 삽입장착되는 나사(46b) 또는 볼트를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고정장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적재함(20)에 도시된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장착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8(a)는 적재함(20)을 구성하는 도어(21)와 전면부(21a) 및 바닥(21b)에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시된 도 8(b)는 적재함을 구성하는 도어(21)와 바닥(21b)에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고 전면부(21a)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용도 및 목적 등에 따라서 상기 도어(21), 전면부(21a), 바닥(21b)에 수직이나 수평방향으로 각각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21)와 전면부(21a) 및 바닥(21b)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40)이 교차 또는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의 원활한 이동 및 작동을 위하여 도시된 도 9(a) 및 9(b)의 가이드 레일 연결 브라켓(40a)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 연결 브라켓(40a)의 형상은 가이드 레일(40)의 형상 및 교차부분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은 가이드 레일(40)의 외면에 배치되면서 이동하는 다수개의 이동판(51)과, 상기 이동판(51)에 각각 장착되면서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하는 이동구(52)와, 상기 이동구(52)와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고정구(53) 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은 하나의 이동판(51)에 이동구(52)와 고정구(53)가 장착되어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이동구(52)를 통해 가이드 레일(40)에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고정구(53)에 고정 끈(60)을 연결하여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51)에 장착되는 이동구(5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고정구 몸체(52a)와, 상기 고정구 몸체(52a)의 끝단에 형성되고 전후 작동에 따라 측면도어(21)에 형성되는 고정 홈(23)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52b)와, 상기 고정구 몸체(52a)의 반대 측 끝단에 형성되는 이동고리(52c)와,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몸체(52a)에 삽입장착되는 스프링(52d)과, 상기 고정구 몸체(52a)의 도중에 설치되는 스프링 지지부(52e)와, 상기 이동고리(52c)의 끝단에 형성되는 작동손잡이(52f)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동구(52)는 가이드 레일(40)에 고정구 몸체(52a)와 고정부(52b)와 스프링(52d) 및 스프링 지지부(52e)가 삽입되고 상기 이동고리(52c)가 외부 배치되어, 상기 작동손잡이(52f)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고정부(52b)가 측면도어(21)의 고정 홈(23)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이동구(52)는 가이드 레일(40)에 장착된 후, 상기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에 따라 상기 작동손잡이(52f)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상기 고정부(52b)를 측면도어(21)의 고정 홈(23)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52d)은 이동고정수단(50)의 작동에 따른 압축시 상기 이동구(52)와 함께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작동손잡이(52f)의 미작동시에는 스프링(52d)의 탄성을 통해 상기 이동구(52)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 몸체(52a)와 스프링 지지부(52e)는 스프링(52d)의 원활한 삽입 및 분리를 위하여 나선 결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고정구(53)는 일 측이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지지부(53a)와 상기 이동판(51)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연결부(53b) 및 상기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53c)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구(53)는 이동판(51)의 작동시 연동작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고정구 지지부(53a)를 형성하고, 외부에는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53c)가 장착되는 고정구 연결부(53b)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53)를 구성하는 고정구 연결부(53b)와 연결 고리(53c)는 도시된 도 18과 같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53c)에 공지된 깔깔이바의 고리 등을 용이하게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을 고정하는 고정 끈(6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이동고정수단(50)에 고정구(53)에 연결되며, 타단은 반대 측면도어(21)에 장착되는 이동고정수단(50)의 고정구(53)나 배면도어(21-1)의 배면 고정 고리(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고정 끈(60)은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에 맞춰 위치조절되는 이동고정수단(50)의 고정구(53)에 일단을 연결한 후 타단을 반대 측면도어(21)에 장착되는 이동고정수단(50)의 고정구(53)나 배면도어(21-1)의 배면 고정 고리(24)에 연결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 끈(60)의 외면에는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을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끈 고정부(62)가 코팅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적재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 및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과 이동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마감 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원발명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10)는 적재함(20)의 도어(21)와 전면부(21a)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21b)과 천장(21c)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40)과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20)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차, RV, 탑차 등의 차량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본원발명에서는 상부와 측면이 호루(25)에 덮이는 호루차에 적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가이드 레일(40)은 도어(21)와 전면부(21a)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21b)과 천장(21c)의 수평방향에 전체뿐만 아니라 일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측면도어(21)에는 가이드 레일(40)이 설치되고, 배면도어(21-1)에는 고정 끈(6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배면 고정 고리(24)가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수직 고정판(3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측면도어(21)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고정판(30)은 도시된 도 13 및 14와 같이 측면도어(21)의 전체에 걸쳐 수직 고정판(30)이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측면도어(21)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도시된 도 14와 같이 측면도어(21)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 고정판(30)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고정판(30)은 통상적인 호루차의 적재함 시공 과정에서 추가로 설치된 부분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측면도어(21) 또는 수직 고정판(30)의 상,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도 15와 같이 수직 고정판(30)의 외부에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40)은 측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42)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홈(47)이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46)가 고정장착된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수직 고정판(30)의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장착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을 수용하면서도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에 따라 위치 이동하면서도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마감 지지구(46)는 가이드 레일(40)의 내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이동 구간(42)과 연통되는 부분에는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 홈(46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홈(46a)에는 상기 마감 지지구(46)를 고정하는 나사(46b) 또는 볼트가 장착된다.
즉 상기 마감 지지구(46)는 가이드 레일(40)의 양측 끝단에 삽입장착된 후 상기 고정 홈(46)에 삽입장착되는 나사(46b) 또는 볼트를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고정장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적재함(20)에 도시된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장착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8(a)는 적재함(20)을 구성하는 도어(21)와 전면부(21a) 및 바닥(21b)에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시된 도 8(b)는 적재함을 구성하는 도어(21)와 바닥(21b)에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고 전면부(21a)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용도 및 목적 등에 따라서 상기 도어(21), 전면부(21a), 바닥(21b)에 수직이나 수평방향으로 각각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21)와 전면부(21a) 및 바닥(21b)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40)이 교차, 만나는 부분 또는 직각으로 꺽이는 부분에는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의 원활한 이동 및 작동을 위하여 도시된 도 9(a) 내지 9(c)의 가이드 레일 연결 브라켓(40a)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 연결 브라켓(40a)의 형상은 가이드 레일(40)의 형상 및 교차부분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은 도시된 도 17 내지 18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도시된 도 17의 이동고정수단(50)은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하는 이동판(51a)과, 상기 이동판(51a)의 상,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 장착홈(51b)에 장착되면서 상기 고정홈(47)에 고정 및 지지되는 스프링(51e)이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구(51d)과, 상기 이동판(51a)의 연결 장착홈(51c)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며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고정구(53) 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은 스프링(51e) 및 스프링 고정구(51d)가 구비되는 이동판(51a)에 고정구(53)를 장착하여, 상기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고정구(53)에 고정 끈(60)을 연결하여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판(51a)에 장착되는 스프링 고정구(51d)는 상기 고정구(53)의 작동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스프링 고정구(51d)는 스프링(51e)을 압축하여 고정구(51)의 진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고정구(53)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스프링(51e)의 탄성에 의하여 스프링 고정구(51d)가 고정홈(47)에 삽입장착되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53)는 일 측이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지지부(53a)와 상기 이동판(51)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연결부(53b) 및 상기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53c)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구(53)는 이동판(51)의 작동시 연동작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고정구 지지부(53a)를 형성하고, 외부에는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53c)가 장착되는 고정구 연결부(53b)를 형성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18의 이동고정수단(50)은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하는 이동판(51a)과, 상기 이동판(51a)의 상,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 장착홈(51b)에 삽입장착되면서 상기 고정홈(47)에 고정 및 지지되는 스프링(51e)이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구(51d)과, 상기 이동판(51a)의 연결 장착홈(51c)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며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고정구(53) 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은 도시된 도 17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구(53)를 구성하는 연결고리(53c)의 양측 끝단을 고정하여, 상기 연결고리(53c)에 공지된 깔깔이바의 고리 등을 용이하게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은 스프링(51e) 및 스프링 고정구(51d)가 구비되는 이동판(51)에 고정구(53)를 장착하여, 상기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고정구(53)의 연결고리(53c)에 고정 끈(60)이나 깔깔이바의 고리를 연결하여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과 도 18에서의 고정구(53)의 연결고리(53c)는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서는 회전이 불가하고 고정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을 고정하는 고정 끈(6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이동고정수단(50)에 고정구(53)에 연결되며, 타단은 반대 측면도어(21)에 장착되는 이동고정수단(50)의 고정구(53)나 배면도어(22)의 배면 고정 고리(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고정 끈(60)은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에 맞춰 위치조절되는 이동고정수단(50)의 고정구(53)에 일단을 연결한 후 타단을 반대 측면도어(21)에 장착되는 이동고정수단(50)의 고정구(53)나 배면도어(22)의 배면 고정 고리(24)에 연결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 끈(60)의 외면에는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을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끈 고정부(62)가 코팅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적재함(20)의 양측에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내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 홈(23)이 형성되는 측면도어(21)를 양측에 각각 장착한 후 상기 측면도어(21)의 배면에 간격을 두고 배면 고정 고리(24)가 장착되는 배면도어(21-1)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도어(21)의 내면에 측면도어(21)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제외한 구간에만 고정장착되는 수직 고정판(3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 고정판(30)과 수직 고정판(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측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 관통공(4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4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관통공(41)과 이동 구간(42)의 사이에는 지지 구간(44)이 구비된 격벽(43)이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46)가 고정장착되는 가이드 레일(4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이동판(51)과 이동구(52) 및 고정구(53)가 한 조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을 장착하면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구(5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고정구 몸체(52a)와, 상기 고정구 몸체(52a)의 끝단에 형성되고 전후 작동에 따라 측면도어(21)에 형성되는 고정 홈(23)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52b)와, 상기 고정구 몸체(52a)의 반대 측 끝단에 형성되는 이동고리(52c)와,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몸체(52a)에 삽입장착되는 스프링(52d)과, 상기 고정구 몸체(52a)의 도중에 설치되는 스프링 지지부(52e)와, 상기 이동고리(52c)의 끝단에 형성되는 작동손잡이(52f)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53)는 일 측이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지지부(53a)와 상기 이동판(51)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연결부(53b) 및 상기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53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화물차를 구성하는 적재함(20)의 측면과 상부에 호루(25)를 덮이면서 고정하여 호루차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20)에 화물을 적재한 후, 상기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을 후방 또는 전방 또는 임의 위치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에 맞춰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장착된 이동고정수단(50)의 위치를 조절한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장착되는 한 조로 구성되는 이동판(51)과 이동구(52) 및 고정구(53)를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구(52)에 장착되는 스프링(52d)은 이동구(52)의 작동에 따른 압축시 상기 이동구(52)와 함께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이동구(52)를 구성하는 작동손잡이(52f)의 미작동시에는 스프링(52d)의 탄성을 통해 팽창하여 상기 이동 구(52)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53)의 연결 고리(53c)에 고정 끈(60)의 일단을 고정한 후 타단을 배면도어(21-1)의 배면 고정 고리(24)에 장착하면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는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 및 수량에 맞춰 고정 끈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포장도로에서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20 : 적재함,
30 : 수직 고정판, 40 : 가이드 레일,
50 : 이동고정수단, 60 : 고정 끈.

Claims (8)

  1. 차량의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의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관통공과 이동 구간의 사이에는 지지 구간이 구비된 격벽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측에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홈이 형성되는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에는 상기 고정 홈에 수용되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먼지 제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면에 배치되면서 이동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및 고정하는 이동구;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고정 끈과 연결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고정구 몸체;
    상기 고정구 몸체의 끝단에 형성되고 전후 작동에 따라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고정 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구 몸체의 반대 측 끝단에 형성되는 이동고리;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몸체에 삽입장착되는 스프링;
    상기 고정구 몸체의 도중에 설치되는 스프링 지지부;
    상기 이동고리의 끝단에 형성되는 작동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일 측이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지지부와 상기 이동판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연결부 및 상기 고정 끈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KR1020140077832A 2014-06-25 2014-06-25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KR101584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832A KR101584443B1 (ko) 2014-06-25 2014-06-25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832A KR101584443B1 (ko) 2014-06-25 2014-06-25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01A KR20160000601A (ko) 2016-01-05
KR101584443B1 true KR101584443B1 (ko) 2016-01-11

Family

ID=5516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832A KR101584443B1 (ko) 2014-06-25 2014-06-25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474A (ko) 2020-12-14 2022-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간 분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399Y1 (ko) * 1997-12-31 2000-04-15 정몽규 자동차의 화물 고정장치
KR20020015206A (ko) * 2000-08-21 2002-02-27 이계안 자동차의 트렁크내 화물고정용 네트 고정장치
KR20030024488A (ko) * 2001-09-18 2003-03-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KR20080006872A (ko) 2006-07-14 2008-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 내 화물고정장치
KR101372277B1 (ko) 2011-08-01 2014-03-18 김종재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01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0846B (zh) 滑出式货舱地板
JP6375390B2 (ja) 車両用ルーフボックス装着装置
CN104349939A (zh) 车辆存储舱组件
JP4521052B2 (ja) 車両用収納装置
TWI721123B (zh) 鋼索式窗調整器
JP7162808B2 (ja) 貨物自動車の荷箱の上扉、荷室形成用構造体および貨物自動車
CN109952408A (zh) 用于商用交通工具的分隔壁
KR101584443B1 (ko)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KR200412701Y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101875701B1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KR20170109996A (ko) 차량용 루프 박스
CN105383395A (zh) 车用行李舱结构
JP2009539685A (ja) 車両トランクルームに荷物棚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
WO2016076045A1 (ja) 車両用リヤゲート
JP6403553B2 (ja) 箱型車両の外折れ式ドア構造物
US20220282541A1 (en) Vehicle Sliding Door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080006872A (ko)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 내 화물고정장치
KR101821271B1 (ko)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가이드장치
KR200325046Y1 (ko) 화물차 적재함 덮개장치
KR101789277B1 (ko) 윙바디 트럭의 도어 고정장치
KR102259364B1 (ko) 트럭 사이드게이트 지지장치
KR200399028Y1 (ko) 셀프트림 조립체
KR101494426B1 (ko) 탑차용 경량화 도어프레임
KR200476662Y1 (ko) 트럭 적재함용 이동식 펜스 장치
JP3063217U (ja) バン型車両の貨物室内仕切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