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028Y1 - 셀프트림 조립체 - Google Patents

셀프트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028Y1
KR200399028Y1 KR20-2005-0023046U KR20050023046U KR200399028Y1 KR 200399028 Y1 KR200399028 Y1 KR 200399028Y1 KR 20050023046 U KR20050023046 U KR 20050023046U KR 200399028 Y1 KR200399028 Y1 KR 200399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
self
support pin
trunk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항철
남종현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3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0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0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양측면을 형성하며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러기지 사이드트림 사이에 개재되어 트렁크를 개폐하는 셀프트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러기지 사이드트림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핀과, 러기지 사이드트림의 측면에 대해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핀을 가지며, 물품이 적재되는 셀프트림과; 러기지 사이드트림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트렁크의 개방시 셀프트림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셀프트림의 지지핀이 착탈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트렁크의 개폐구조를 단순화하며,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작업이 용이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셀프트림 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셀프트림 조립체{SHELF TRIM ASSEMBLY}
본 고안은 셀프트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트렁크의 개폐구조를 개선한 셀프트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치백 타입 자동차는 자동차의 측면을 형성하는 러기지 사이드트림과, 자동차의 뒷자석과 테일게이트와 러기지 사이드트림 사이에 마련되어 자동차 실내와 트렁크를 차단하는 셀프트림을 갖는다.
도 5에는 종래의 셀프트림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셀프트림 조립체는, 셀프트림(115)이 러기지 사이드트림(110)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117)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셀프트림(115)의 양측 가장자리에 관통공(119)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119)에 케이블(121)을 삽입한 후, 케이블(121)을 테일게이트(107)에 형성된 돌기부(109)에 케이블 고정핀(123)에 의해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트렁크를 개폐하기 위하여 테일게이트(107)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 셀프트림(115)은 테일게이트(107)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회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셀프트림 조립체에 있어서는, 테일게이트와 셀프트림이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므로, 트렁크의 개폐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조립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셀프트림은 케이블에 의해 테일게이트와 연동하여 작동하므로, 케이블의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 셀프트림의 작동에 불량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렁크의 개폐구조를 단순화하며,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작업이 용이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셀프 트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양측면을 형성하며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러기지 사이드트림 사이에 개재되어 트렁크를 개폐하는 셀프트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 사이드트림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핀과, 상기 러기지 사이드트림의 측면에 대해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핀을 가지며, 상기 물품이 적재되는 셀프트림과; 상기 러기지 사이드트림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트렁크의 개방시 상기 셀프트림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셀프트림의 지지핀이 착탈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트림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지지핀이 수용 지지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와 연통하며 상기 안착부로 상기 지지핀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안착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에 상기 지지핀의 착탈방향에 대해 가로로 부분 절곡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지지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지핀이 상기 안착부에 착탈할 때 상기 지지핀에 대해 탄성부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셀프트림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측 저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트림 조립체(10)는 자동차의 양측면을 형성하며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러기지 사이드트림(5) 사이에 개재되어, 자동차 실내와 트렁크를 개폐한다.
본 고안에 따른 셀프트림 조립체(10)는, 물품이 적재되는 셀프트림(11)과, 트렁크의 개방시 셀프트림(11)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셀프트림(11)을 지지하는 홀더부(21)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셀프트림(11)은 사각판형상을 가진다. 셀프트림(11)의 양측은 러기지 사이드트림(5)의 양측면에 힌지핀(13)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셀프트림(11)의 양측에는 러기지 사이드트림(5)의 측면에 대해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핀(15)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핀(15)은 원형단면의 봉형상을 가지며, 지지핀(15)의 일단부는 셀프트림(11)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어 후술할 홀더부(21)에 착탈된다. 지지핀(15)은 사이드레일(17)에 의해 지지되며, 사이드레일(17)은 레일브래킷(19)에 의해 셀프트림(11)의 저부면에 고정된다.
홀더부(2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트렁크의 개방시 셀프트림(11)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고정되도록, 러기지 사이드트림(5)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7)에 각각 마련된다.
홀더부(21)는 지지핀(15)이 수용 지지되는 안착부(23)와, 안착부(23)와 연통하며 안착부(23)로 지지핀(15)이 삽입되는 삽입부(25)와, 안착부(23)와 삽입부(25) 사이에 마련되어 안착부(23)에 안착된 지지핀(15)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7)를 가진다.
안착부(23)는 지지핀(15)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부분 원호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탈방지부(27)는 지지핀(15)의 착탈방향에 대해 가로로 부분 절곡되어, 즉 삽입부(25)의 내측으로 부분 절곡되어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부(27)는 지지핀(15)이 안착부(23)에 착탈할 때 지지핀(15)에 대해 탄성부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셀프트림 조립체(1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셀프트림(11)이 수평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며 한 쌍의 러기지 사이드트림(5)에 장착된 상태에서, 셀프트림(11)의 일측에 외력을 가하여 셀프트림(11)의 상부판이 자동차 시트를 향하도록 셀프트림(11)을 힌지핀(1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셀프트림(11)은 트렁크를 개방하기 시작한다.
계속해서, 셀프트림(11)의 상부판이 자동차 시트를 향해 회전함에 따라, 셀프트림(11)의 지지핀(15) 또한 회전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트림(11)의 지지핀(15)은 러기지 사이드트림(5)의 양측면에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7)에 마련된 홀더부(21)에 장착된다.
이 때, 홀더부(21)의 이탈방지부(27)는 지지핀(15)에 대해 탄성부세하고, 지지핀(15)이 안착부(23)에 수용 장착된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안착부(23)에 안착된 지지핀(15)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셀프트림(11)은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트렁크를 개방하게 되고, 사용자는 편리하게 트렁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셀프트림(11)의 지지핀(15)이 홀더부(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즉 셀프트림(11)이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트렁크를 개방한 상태에서, 셀프트림(11)의 일측에 외력을 가하여 셀프트림(11)의 상부판이 수평을 이루도록 셀프트림(11)을 힌지핀(1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셀프트림(11)은 트렁크를 폐쇄하기 시작한다.
이 때, 홀더부(21)의 이탈방지부(27)는 안착부(23)로부터 삽입부(25)로 이동하는 지지핀(15)에 대해 탄성부세하고, 지지핀(15)이 안착부(23)로부터 이탈한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셀프트림(11)의 지지핀(15)이 홀더부(21)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셀프트림(11)은 힌지핀(1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평면에 대해 수평을 이룬다.
이에, 셀프트림(11)은 수평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며 트렁크를 폐쇄하게 되고, 사용자는 셀프트림(11)의 상부판에 물품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셀프트림에 러기지 사이드트림의 측면에 대해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핀을 마련하고, 트렁크의 개방시 셀프트림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러기지 사이드트림의 양측면에 셀프트림의 지지핀이 착탈되는 홀더부를 마련함으로써, 트렁크의 개폐구조를 단순화하며,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작업이 용이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트렁크의 개폐구조를 단순화하며,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작업이 용이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셀프트림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셀프트림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셀프트림이 개방된 상태를 과장되게 도시한 일측 요부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셀프트림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러기지 사이드트림 7 : 경사부
10 : 셀프트림 조립체 11 : 셀프트림
13 : 힌지핀 15 : 지지핀
17 : 사이드레일 19 : 레일브래킷
21 : 홀더부 23 : 안착부
25 : 삽입부 27 : 이탈방지부

Claims (3)

  1. 자동차의 양측면을 형성하며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러기지 사이드트림 사이에 개재되어 트렁크를 개폐하는 셀프트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 사이드트림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핀과, 상기 러기지 사이드트림의 측면에 대해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핀을 가지며, 상기 물품이 적재되는 셀프트림과;
    상기 러기지 사이드트림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트렁크의 개방시 상기 셀프트림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셀프트림의 지지핀이 착탈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트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지지핀이 수용 지지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와 연통하며 상기 안착부로 상기 지지핀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안착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에 상기 지지핀의 착탈방향에 대해 가로로 부분 절곡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지지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트림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지핀이 상기 안착부에 착탈할 때 상기 지지핀에 대해 탄성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트림 조립체.
KR20-2005-0023046U 2005-08-09 2005-08-09 셀프트림 조립체 KR200399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046U KR200399028Y1 (ko) 2005-08-09 2005-08-09 셀프트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046U KR200399028Y1 (ko) 2005-08-09 2005-08-09 셀프트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028Y1 true KR200399028Y1 (ko) 2005-10-18

Family

ID=4370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046U KR200399028Y1 (ko) 2005-08-09 2005-08-09 셀프트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0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01B1 (ko) * 2016-11-08 2018-07-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KR20190023634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KR20190026505A (ko) * 2017-09-05 2019-03-13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커버링쉘프용 힌지 브라켓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01B1 (ko) * 2016-11-08 2018-07-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KR20190023634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KR101966157B1 (ko) * 2017-08-29 2019-04-0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KR20190026505A (ko) * 2017-09-05 2019-03-13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커버링쉘프용 힌지 브라켓 장치
KR102001058B1 (ko) * 2017-09-05 2019-07-17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커버링쉘프용 힌지 브라켓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296B2 (en) Parcel shelf structure
US6318782B1 (en) Opening/closing rear component structure of a vehicle
FR2766428A1 (fr)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US20190031000A1 (en) Sliding and Pivoting Door Combination Assembly for a Vehicle
KR200399028Y1 (ko) 셀프트림 조립체
KR101875701B1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JP4964425B2 (ja) 可動の後窓を備えたキャブリオレ車両ルーフ
KR100736789B1 (ko) 차량용 도어 고정 지그
US10737627B2 (en) Luggage room assembly mounted in vehicle
KR20190064301A (ko) 차량용 커버링 쉘프 장치
KR20110003149U (ko) 커버링 쉘프와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결합장치
KR100508269B1 (ko) 자동차용 커버링 셀프 센터 트림
KR20060018350A (ko) 보조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JPH09206644A (ja) 塗装用ドア治具
KR100511105B1 (ko) 셀프 트림 조립체
KR100919496B1 (ko) 전동차의 객실 의자
KR200368332Y1 (ko) 상차용 사다리
KR100536608B1 (ko) 사이드 트림 및 셀프 트림 결합장치
KR200412185Y1 (ko) 차량용 커버링 셀프트림의 장착구조
JP2005186848A (ja) デッキフロア構造
KR100888764B1 (ko) 커버링 쉘프의 힌지 구조
KR101624240B1 (ko)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
KR100395687B1 (ko) 자동차의 리어 언더뷰 미러 결합구조
KR100453098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00525637B1 (ko) 리어 셀프 트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