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496B1 - 전동차의 객실 의자 - Google Patents

전동차의 객실 의자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496B1
KR100919496B1 KR1020070099496A KR20070099496A KR100919496B1 KR 100919496 B1 KR100919496 B1 KR 100919496B1 KR 1020070099496 A KR1020070099496 A KR 1020070099496A KR 20070099496 A KR20070099496 A KR 20070099496A KR 100919496 B1 KR100919496 B1 KR 100919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electric vehicle
backrest
chair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4228A (ko
Inventor
박성혁
김길동
이장무
이한민
오세찬
홍용기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9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4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07Detail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07Details; Accessories
    • B61D33/0014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7/00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52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의 객실 의자에 관한 것으로, 전동차 객실에 설치되는 등받이부재와, 그 등받이부재의 전방에 힌지결합되어 접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되는 좌판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차의 승객 혼잡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의자를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어 한정적인 전동차의 객실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동차의 객실 의자 { seat of subway }
본 발명은 전동차의 객실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동차의 승객 혼잡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전동차의 객실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는 도심지 내에서 승객을 운송하는 교통수단으로서, 그 전동차 객실(客室)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출입문이 그 양측으로 구비되어 승객이 승하차시에 자동으로 개폐된다.
이와 같은 객실 내부에는 도어의 측면을 따라 승객이 앉을 수 있는 의자가 구비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출퇴근이나 통학 따위로 교통이 몹시 혼잡한 러시아워(rush hour) 시간대에는 전동차로의 출입이 상당히 혼잡하고, 운행중인 전동차에 탑승중인 승객 등은 다른 승객과의 신체접촉 등으로 인한 불쾌감 등을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전동차 사용시에 불쾌감 유발 등의 문제점이 있음에도 전동차의 내부 구조 개선 보다는 전동차 배차 간격의 조정을 통해서만 승객의 유동량에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차의 객실 내부에 설치되는 의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전동차의 객실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동차 객실에 설치되는 등받이부재와, 그 등받이부재의 전방에 힌지결합되어 접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되는 좌판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판부재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등받이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좌판부재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재는 전동차의 바닥면에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의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재는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의 사이에 고정되는 등받이프레임과, 그 등받이프레임에 구비되는 등받이쿠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판부재는 좌판프레임에 좌판쿠션이 구비되고, 상기 좌판프레임에 연이어 구비된 연장부에는 힌지핀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좌판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좌판부재의 연장부가 걸쳐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재의 하측에는 좌판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핑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핑 수단은 상기 등받이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안내하우징과, 상기 안내하우징에 내장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되 상기 좌판부재의 후단부가 가압되는 경우 후진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안내하우징은 상기 등받이부재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의 하측을 연결하는 지지대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재는 좌판쿠션이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실 의자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객실 의자가 설치된 전동차의 객실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실 의자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실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실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실 의자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실 의자(100)는 전동차의 객실(1) 내부 바닥면(1a)에 부착된다.
이 경우 효율적인 객실(1)의 공간 활용을 위해 통로 중앙부에 본 발명에 따른 의자(100)를 구비하고, 양 측면의 창문(3) 쪽으로 손잡이수단(4) 등을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객실 의자(200)는 일정간격 이격되며 객실(1)의 바닥(1a)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110,112)와, 그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110,112)의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등받이부재(120)와, 그 등받이부재(120)의 전방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좌판부재(1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좌판부재(130)는 항상 위로 접혀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수단(1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좌판부재(130)가 펼쳐지는 경우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핑 수단(150)이 더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등받이부재(120)는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110,112)의 사이에 고정되는 등받이프레임(122)과, 그 등받이프레임(122)의 양면(兩面)을 감싸는 등받이쿠션(12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등받이쿠션(124)은 합성수지재나 고무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지하철의 화재 예방 및 경량화 등을 위해 알루미늄재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110,112)의 상부에는 손잡이(110a,112a)가 구비되어 서있는 승객이 잡고 서있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등받이 쿠션(124)은 등받이프레임(122)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 좌판부재(130)를 구비하게 된다.
물론, 전동차의 객실(1) 내부 측면을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객실 의자(10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등받이쿠션(124)은 등받이프레임(122)의 일면(一面)에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재(130)는 좌판프레임(132)의 일면 또는 양면에 좌판쿠션(134)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좌판부재(130)는 그 좌판프레임(132)에 연이어 연장부(133)가 구비되며, 그 연장부(133)의 단부에는 힌지핀(133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힌지핀(133a)은 상기 등받이부재(120)의 등받이프레임(122) 하단에 형성되는 힌지공(122a)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재(120)의 등받이프레임(122) 하단에는 걸림턱(123)이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재(130)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좌판부재(130)의 연장부(133)가 걸쳐지게 되어 더 이상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상기 좌판부재(130)가 등받이프레임(122)의 양측에 형성된 경우에는 양측의 좌판부재(130)를 펼친 상태에서 서로 간섭을 받지 않도록 걸림턱(123)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133)의 일측과 등받이부재(120)에는 상기 좌판부 재(130)가 항상 접혀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텐션(tension)을 가하게 되는 탄성 수단(140)인 토션스프링(141)이 구비된다. 즉 그 토션스프링(141)의 일단부는 상기 등받이부재(120)의 등받이프레임(122)에 고정되고, 토션스프링(141)의 타단부는 상기 좌판부재(130)의 연장부(133)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탄성 수단(140)은 토션스프링 이외에도 판스프링으로 구성함도 가능하며, 모두 동일한 기술적 범주내에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평상시에는 좌판부재(130)가 접혀있다가 필요한 경우 승객이 좌판부재(130)를 펼치게 되면 탄성을 이겨내며 펼쳐지게 되어 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 수단(140)은 좌판부재(130)와 등받이부재(120)의 사이에 구비하는 것 이외에도 좌판부재(130)와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110,112)의 사이에 구비함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재(120)의 하측에는 상기 좌판부재(130)를 펼친 경우 펼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핑 수단(15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핑 수단(150)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110,112)의 하측을 연결하는 지지대(114)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스토핑 수단(150)은 상기 지지대(114)의 전방으로 개방된 안내하우징(152)과, 상기 안내하우징(152)에 내장되는 탄성부재(154)와, 상기 탄성부재(154)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는 걸림부재(156) 구비되어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156)는 전방부에 경사부(156a)가 형성되어 좌판부재(130)가 펼쳐지는 경우 좌판부재(130)의 좌판프레임(132)의 후단 하부가 상기 경사부(156)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156)는 탄성부재(154)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후진하게 되며, 걸림부재(156)의 하부로 완전히 젖혀지는 경우 걸림부재(156)는 탄성부재(154)의 탄성에 의해 전진하여 좌판부재(130)의 좌판프레임(132)의 후단 상부가 걸쳐지게 되어 좌판부재(13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좌판부재(130)를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상기 걸림부재(156)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누름부(156b)를 눌러 걸림부재(156)을 후진시키게 되면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좌판부재(130)가 탄성 수단(140)의 탄성에 의해 접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좌판부재(130)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도 7과 같이 좌판부재(130)의 좌판쿠션(134)이 각각 분리되는 경우에는 스토핑수단(150)을 각각의 좌판쿠션(134)이 설치되는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좌판부재(130)를 독립적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실 의자의 사용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교통혼잡이 우려되지 않는 낮시간대에는 도어(5)가 개방되어 승객이 탑승하더라도 객실(1) 내부의 승객 밀집도가 낮아 승객의 원하는 의자의 좌판부재(130)를 펼치게 된다.
이때, 탄성 수단(140)의 탄성력을 이겨내며 좌판부재(130)가 펴지면서 좌판부재(130)의 좌판프레임(132) 후단 하측이 스토핑 수단(150)을 구성하는 걸림부재(156)의 경사부(156a)를 가압하여 걸림부재(156)가 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계속해서 좌판부재(130)를 누르게 되면, 좌판부재(130)의 좌판프레임(132) 후단 연장부(133)가 걸림턱(123)에 접촉되어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때, 이때 상기 좌판부재(130)의 좌판프레임(132)에 의해 후퇴하던 걸림부재(156)는 탄성부재(154)의 탄성에 의해 전진하여 복귀되어 좌판부재(130)의 좌판프레임(132)의 후단 상부를 지지하게 되어 좌판부재(13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승객은 의자(1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교통이 혼잡한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많은 승객이 전동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좌판부재(130)를 접어야 한다.
즉, 좌판부재(130)를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재(156a)를 후진시키게 되면 좌판부재(130)의 좌판프레임(132)의 연장부가 걸림부재(156)에서 이탈되며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좌판부재(130)가 탄성 수단(140)의 탄성에 의해 다시 접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156)는 탄성부재(154)의 탄성에 의해 전진하여 원위치 복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차의 승객 혼잡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의자를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어 한정적인 전동차의 객실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객실 의자가 설치된 전동차의 객실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실 의자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실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실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실 의자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객실 100: 객실 의자
110: 제1 지지포스트 112: 제2 지지포스트
114: 지지대 120: 등받이부재
123: 걸림턱 130: 좌판부재
140: 탄성 수단 150: 스토핑 수단

Claims (11)

  1. 전동차 객실에 설치되는 등받이부재와, 그 등받이부재의 전방에 힌지결합되어 접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되는 좌판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좌판부재는 좌판프레임에 좌판쿠션이 구비되고, 상기 좌판프레임에 연이어 구비된 연장부에는 힌지핀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좌판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좌판부재의 연장부가 걸쳐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객실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객실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등받이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좌판부재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객실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재는 전동차의 바닥면에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의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객실 의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객실 의자.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재는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의 사이에 고정되는 등받이프레임과, 그 등받이프레임에 구비되는 등받이쿠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재의 하측에는 좌판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핑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객실 의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수단은, 상기 등받이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안내하우징과, 상기 안내하우징에 내장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되 상기 좌판부재의 후단부가 가압되는 경우 후진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객실 의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하우징은 상기 등받이부재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포스트의 하측을 연결하는 지지대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객실 의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는 좌판쿠션이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객실 의자.
KR1020070099496A 2007-10-02 2007-10-02 전동차의 객실 의자 KR100919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96A KR100919496B1 (ko) 2007-10-02 2007-10-02 전동차의 객실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96A KR100919496B1 (ko) 2007-10-02 2007-10-02 전동차의 객실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228A KR20090034228A (ko) 2009-04-07
KR100919496B1 true KR100919496B1 (ko) 2009-09-28

Family

ID=4076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496A KR100919496B1 (ko) 2007-10-02 2007-10-02 전동차의 객실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208B1 (ko) * 2012-10-19 2014-05-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복층식 열차의 객실 구조
KR101650454B1 (ko) * 2014-12-23 2016-08-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파노라마 창을 갖는 관광 열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122Y1 (ko) * 2001-03-05 2001-09-28 혜성산업(주) 절첩식 테이블
KR20010094468A (ko) * 2000-03-30 2001-11-01 강윤수 지하철 전동차 좌석의 팔걸이 및 상단 수평 바에 설치되는신장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인터넷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468A (ko) * 2000-03-30 2001-11-01 강윤수 지하철 전동차 좌석의 팔걸이 및 상단 수평 바에 설치되는신장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인터넷 단말기.
KR200237122Y1 (ko) * 2001-03-05 2001-09-28 혜성산업(주) 절첩식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228A (ko) 200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0898B2 (en) Deployable center console
RU2695548C2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гибкий закр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RU2662881C1 (ru) Узел подголовника (варианты)
RU2685486C2 (ru) Узел подголовника (варианты)
KR100919496B1 (ko) 전동차의 객실 의자
KR20200070717A (ko) 자동차용 시트백
JP2005313867A (ja) 車両のシート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JP6316103B2 (ja) 車両用スロープ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EP2837528B1 (en) Vehicle seat with flip-up seat cushion
FR3036073A1 (fr) "ensemble de lit a hauteur reglable comportant un sommier coulissant longitudinalement"
CN108883712A (zh) 车辆座椅、部件和方法
JPH1159240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の施蓋構造
KR102023908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맵 포켓을 이용한 레그레스트 장치
KR100401741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KR102218314B1 (ko)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
KR100203494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테이블
KR10055959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식 시트의 시트백 각도조절 구조
KR200341984Y1 (ko) 차량용 시트의 접이장치
JP6577988B2 (ja) 可動屋台
CN211617512U (zh) 一种座椅桌板
JPS60193733A (ja) 自動車用シ−トのサイドサポ−ト
KR20230141232A (ko) 캠핑용 목적 기반 차량
KR100607091B1 (ko) 회전간섭 방지기능을 가지는 점핑장치
KR200153335Y1 (ko) 접철이 가능한 리어시트 헤드레스트
KR100461148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