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058B1 - 커버링쉘프용 힌지 브라켓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링쉘프용 힌지 브라켓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058B1
KR102001058B1 KR1020170113513A KR20170113513A KR102001058B1 KR 102001058 B1 KR102001058 B1 KR 102001058B1 KR 1020170113513 A KR1020170113513 A KR 1020170113513A KR 20170113513 A KR20170113513 A KR 20170113513A KR 102001058 B1 KR102001058 B1 KR 102001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vering
engaged
rotation shaft
out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505A (ko
Inventor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70113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0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03Luggage racks, e.g. for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4Rear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트렁크 내부의 커버링 쉘프의 각도조절구동의 작동감 및 고정력을 개선하는 힌지 브라켓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브라켓 장치는 트렁크 내부의 사이드 트림에서 커버링 쉘프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사이드 트림 및 커버링 쉘프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 및 돌출부들 각각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외부브라켓 및 상기 커버링 쉘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브라켓과 결합되고, 저면은 상기 결합부의 상단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내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브라켓은 상기 회전축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하는 부분은 상기 돌출부와 탈착되고, 하강하는 부분은 상기 돌출부와 결합된다.

Description

커버링쉘프용 힌지 브라켓 장치{HINGE BRACKET DEVICE FOR COVERING SHELF}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힌지 브라켓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커버링쉘프의 작동감 및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커버링쉘프용 힌지 브라켓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리어시트의 후방에 트렁크룸을 구비하는 해치백 타입의 차량은 리어시트와 테일 게이트 사이의 트렁크룸의 공간 활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커버링 쉘프를 사용하여 트렁크룸의 공간을 분리한다.
그러나 커버링 쉘프는 트렁크에 적재되는 적재물에 따라 위치조절 및 고정이 필요하므로 자동차의 사이드 트림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구동하는 힌지 브라켓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작동감이 명확하게 개선된 구조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9492호는 차량용 커버링 쉘프 힌지 브라켓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6233호는 차량의 커버링쉘프 힌지브래킷 어셈블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힌지 브라켓의 위치 고정이 명확하고 작동감이 개선된 힌지 브라켓 장치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트렁크 내부의 커버링 쉘프의 각도조절구동의 작동감 및 고정력을 개선하는 힌지 브라켓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힌지 브라켓 장치는 트렁크 내부의 사이드 트림에서 커버링 쉘프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사이드 트림 및 커버링 쉘프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 및 돌출부들 각각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외부브라켓 및 상기 커버링 쉘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브라켓과 결합되고, 저면은 상기 결합부의 상단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내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브라켓은 상기 회전축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하는 부분은 상기 돌출부와 탈착되고, 하강하는 부분은 상기 돌출부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외부브라켓은 각각이 상부로 돌출된 반원 형태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하부 중심이 서로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 및 돌출부들 각각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걸림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후방에서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브라켓은 상기 제1 내지 제3 걸림유닛들 각각의 상단을 커버하는 아치 형태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걸림유닛들 각각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 내지 제3 가이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브라켓은 상기 제1 걸림유닛 및 상기 제1 돌출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2 걸림유닛을 압박하여 상기 제2 걸림유닛 및 회전축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제1 가변고정부 및 상기 제3 걸림유닛 및 상기 제3 돌출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2 걸림유닛을 압박하여 상기 제2 걸림유닛 및 회전축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제2 가변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가변고정부들 각각은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3 걸림유닛들 각각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2 걸림유닛의 전방 및 후방 각각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브라켓 장치는 커버링 쉘프의 각도 조절에 따른 위치에 상관없이 커버링 쉘프 및 사이드 트림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힌지 브라켓 장치는 커버링 쉘프가 회전 구동을 하는 과정에서는 힌지 브라켓 장치와 사이드 트림 사이의 결합력이 감소하여 회전구동이 용이하고, 추가적인 결합구조를 통해 커버링 쉘프의 위치를 고정시키면 회전축 압박을 통해 고정력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힌지 브라켓 장치를 통해 커버링 쉘프는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회전방향을 향해 소정의 힘을 가하고 유지하면 일부분이 사이드 트림과 탈착되고 회전하며 다시 사이드 트림과 결합되는 직관적이고 편리한 탈부착 구조를 제공한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브라켓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힌지 브라켓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힌지 브라켓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힌지 브라켓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측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브라켓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브라켓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브라켓 장치(100)는 결합부(200), 외부브라켓(400) 및 내부브라켓(600)을 포함한다.
힌지 브라켓 장치(100)는 차량의 트렁크 내부에 형성되는 사이드 트림(20)과 커버링 쉘프(10) 사이에 형성되어 커버링 쉘프(10)를 사이드 트림(2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장치이다.
커버링 쉘프(10)는 힌지 브라켓 장치(100)를 통해 사이드 트림(20)에 결합되어 트렁크의 내부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사이드 트림(2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200)는 트렁크 내부의 사이드 트림(20)에서 커버링 쉘프(10)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240) 및 회전축(240)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 회전축(24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220, 260)들을 포함한다.
외부브라켓(400)은 커버링 쉘프(10) 및 사이드 트림(20) 사이에서 회전축(240), 제1 및 제2 돌출부(220, 260)들 각각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부(200)의 상부에 형성된다.
내부브라켓(600)은 커버링 쉘프(10)를 사이에 두고 외부브라켓(400)과 결합되고, 저면은 결합부(200)의 상단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힌지 브라켓 장치(100)를 통해 커버링 쉘프(10) 및 사이드 트림(20)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외부브라켓(400)은 회전축(24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외부브라켓(4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외부브라켓(400)의 상승하는 부분은 제1 또는 제2 돌출부(220, 260)와 탈착되고, 하강하는 부분은 제1 또는 제2 돌출부(220, 26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220)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회전축(240)은 제1 돌출부(2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평선상에서 제1 돌출부(220)의 후방에 형성되고, 제2 돌출부(260)는 회전축(240)과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회전축(240)의 후방에 위치한다.
회전축(240) 및 제2 돌출부(260) 각각의 중심은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외부브라켓(400)이 회전축(24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면, 외부브라켓(400)은 제2 돌출부(260)와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과 수평하도록 배치된다.
외부브라켓(400)이 지면과 수평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내부브라켓(600) 및 커버링 쉘프(10) 역시 지면과 수평하도록 위치하고, 해당 사용자는 외부브라켓(400)을 회전축(240) 및 제2 돌출부(260)와 결합시켜 커버링 쉘프(10) 상부면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축(240)의 크기는 제1 및 제2 돌출부(220, 260)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외부브라켓(400)과 밀착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외부브라켓(400)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힌지 브라켓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힌지 브라켓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브라켓(400)은 제1 걸림유닛(410), 제2 걸림유닛(420), 제3 걸림유닛(430), 결합유닛(440), 제1 가변고정부(450) 및 제2 가변고정부(460)를 포함한다.
제1 걸림유닛(410)은 외부브라켓(400)의 하단 일측에서 내부브라켓(60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로 돌출된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사이드 트림(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브라켓(4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하강하여 제1 돌출부(22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걸림유닛(420)은 외부브라켓(400)의 하단 일측에서 제1 걸림유닛(4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부로 돌출된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사이드 트림(20)과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축(24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3 걸림유닛(430)은 외부브라켓(400)의 하단 일측에서 제2 걸림유닛(420)의 후방에 이격 배치되고, 상부로 돌출된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사이드 트림(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브라켓(4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돌출부(26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반원형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걸림유닛(410, 420, 430)들 각각의 하부 중심은 서로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되고, 제1 및 제3 걸림유닛(410, 430)들 각각의 상단의 위치는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며, 회전축(240)과 결합하는 제2 걸림유닛(420)의 상단은 제1 및 제3 걸림유닛(410, 430)보다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240)과 제2 걸림유닛(420)이 서로 밀착되는 표면적이 증가하면서 제2 걸림유닛(420)은 회전축(240)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커버링 쉘프(10)와 사이드 트림(20)의 고정력이 개선된다.
한편, 제1 내지 제3 걸림유닛(410, 420, 430)들 각각은 상단 일부를 제외하고 사이드 트림(20)과 밀착되는 프레임과 소정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탄력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걸림유닛(410, 420, 430)들 각각의 저면에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돌기들이 형성되고, 제1 돌출부(220), 회전축(240) 및 제2 돌출부(260)들 각각과 제1 내지 제3 걸림유닛(410, 420, 430)들 각각의 고정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회전축(240)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2 걸림유닛(420)이 회전하는 각도의 크기를 제2 걸림유닛(420)에 형성된 돌기들을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어, 커버링 쉘프(10)의 작동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제1 가변고정부(450)는 제1 걸림유닛(410)의 후방과 제2 걸림유닛(420)의 전방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일단은 제1 걸림유닛(410)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걸림유닛(420)의 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회전축(240)의 전방 일부분과 밀착된다.
제2 가변고정부(460)는 제2 걸림유닛(420)의 후방과 제3 걸림유닛(430)의 전방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일단은 제3 걸림유닛(430)의 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걸림유닛(420)의 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회전축(240)의 후방 일부분과 밀착된다.
제1 및 제2 가변고정부(450, 460)들 각각은 외부브라켓(400)의 프레임과 소정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제1 내지 제3 걸림유닛(410, 420, 430)들 각각이 제1 돌출부(220) 회전축(240) 및 제2 돌출부(260)들 각각과 결합되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확장 및 변형되는 과정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다.
제1 및 제2 가변고정부(450, 460)들 각각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내지 제3 걸림유닛(410, 420, 430)들 각각이 제1 돌출부(220), 회전축(240) 및 제2 돌출부(260)들 각각과 결합하며 커버링 쉘프(10) 및 사이드 트림(20)을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보강한다.
한편, 결합유닛(440)는 외부브라켓(400)의 전방 및 후방 각각의 일측에서 결합되는 내부브라켓(60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는 복수의 톱니들이 형성되어 내부브라켓(600)과 단계적으로 끼움 결합된다.
내부브라켓(600)은 제1 가이드부(610), 제2 가이드부(620), 제3 가이드부(630), 끼움돌기(640), 측면돌기(650), 삽입고정부(660) 및 삽입부(670)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610)는 외부브라켓(400)의 프레임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된 제1 걸림유닛(410)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아치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은 제1 걸림유닛(41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제1 돌출부(220)와 결합 또는 제1 가변고정부(450)를 통해 변형되는 제1 걸림유닛(410)의 변형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제2 가이드부(620)는 제2 걸림유닛(420)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아치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은 제2 걸림유닛(42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축(240)과 결합 또는 제1 및 제2 가변고정부(450, 460)들의 이동으로 변형되는 제2 걸림유닛(420)의 변형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제3 가이드부(630)는 제3 걸림유닛(430)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아치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은 제3 걸림유닛(43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제2 돌출부(260)와 결합 또는 제2 가변고정부(460)를 통해 변형되는 제3 걸림유닛(410)의 변형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끼움돌기(640)는 내부브라켓(600)의 전방 및 후방 하부에서 각각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 걸림유닛(410)의 전방과 외부브라켓(400)의 프레임 사이의 위치 및 제3 걸림유닛(430)의 후방과 외부브라켓(400)의 프레임 사이에 각각 끼움 결합된다.
측면돌기(650)는 내부브라켓(600)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서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각각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커버링 쉘프(10)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해당 사용자는 측면돌기(650)를 잡고 외부브라켓(400)을 내부브라켓(600)과 분리시킬 수 있다.
삽입고정부(660)는 결합유닛(440)이 삽입되도록 내부브라켓(60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결합유닛(440)이 삽입고정부(660)로 삽입되면, 결합유닛(440) 상단의 톱니들이 삽입고정부(660)의 돌기들과 맞물리고, 삽입고정부(660)로 삽입되는 결합유닛(440)의 삽입 거리는 삽입고정부(660) 및 결합유닛(440)의 결합력과 비례한다.
삽입부(470)는 외부브라켓(400) 상단 일측에 돌출된 원기둥 형태의 돌기가 삽입되도록 내부브라켓(600)의 상단 양측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나사 또는 리벳을 통해 외부 및 내부브라켓(400, 600)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외부브라켓(400) 및 내부브라켓(600)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링 쉘프(100)와 힌지 브라켓 장치(100)의 고정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힌지 브라켓 장치(100)는 끼움돌기(640), 삽입고정부(660) 및 삽입부(670)를 통해 외부브라켓(400) 및 내부브라켓(600)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링 쉘프(10)와 힌지 브라켓 장치(100) 사이의 고정력을 현저히 개선한다.
도 3은 도 1의 힌지 브라켓 장치, 커버링 쉘프 및 사이드 트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힌지 브라켓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3 및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브라켓(400) 및 내부브라켓(600)들 각각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축(240)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축(240)을 통해 제1 가변고정부(450)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 상태에서, 제1 걸림유닛(410)이 하강하여 제1 돌출부(220)와 결합되면, 제1 가변고정부(450)가 후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며 회전축(240)의 전방 하부에 밀착된다.
제1 가변고정부(450)가 제1 돌출부(220)를 통해 변형되어 회전축(240)을 가압하면, 회전축(240) 및 제2 걸림유닛(420) 사이의 고정력과 제1 걸림유닛(410) 및 제1 돌출부(220) 사이의 고정력이 증가하여 커버링 쉘프(10)의 사이드 트림(20)에 대한 결합력이 증가한다.
또한, 제1 및 제2 걸림유닛(410, 420)들 각각이 제1 돌출부(220) 및 회전축(240) 각각에 동시에 결합되어 사이드 트림(20)에 대한 커버링 쉘프(10)의 결합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커버링 쉘프(10)가 회전하여 지면에 대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외부브라켓(400)이 회전축(240)을 축으로 회전하여 제1 걸림유닛(410)이 제1 돌출부(220)와 탈착되고, 제3 걸림유닛(430)이 제2 돌출부(260)와 결합되면, 커버링 쉘프(10)는 지면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제2 돌출부(260) 및 제3 걸림유닛(430)의 결합으로 제2 가변고정부(460)가 회전축(24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회전축(240)과 밀착된다.
제2 가변고정부(460)가 회전축(240)과 밀착되면서 제2 걸림유닛(420) 및 회전축(240)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커버링 쉘프(10)는 증가한 고정력을 통해 안정적으로 지면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브라켓(4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기울기가 조정되는 커버링 쉘프(10)는 회전축(240) 및 제2 걸림유닛(420) 사이의 결합력에 회전축(240)의 전후방에 위치한 제1 및 제2 돌출부(220, 260)들 각각과 제1 및 제3 걸림유닛(410, 430)들 각각의 결합력이 추가로 보강되어 커버링 쉘프(10)를 사이드 트림(2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돌출부(220, 260)들 각각은 사이드 트림(20)의 일측에서 회전축(2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및 제2 돌출부(220, 260)들 각각과 제1 및 제3 걸림유닛(410, 430)들 각각이 상기와 다른 위치에 결합되면서 커버링 쉘프(10)가 지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시켜 커버링 쉘프(1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힌지 브라켓 장치 200: 결합부
400: 외부 브라켓 600: 내부브라켓

Claims (6)

  1. 차량의 트렁크에 커버링 쉘프를 장착시키는 힌지 브라켓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내부의 사이드 트림에서 커버링 쉘프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사이드 트림 및 커버링 쉘프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 및 돌출부들 각각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외부 브라켓; 및
    상기 커버링 쉘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 브라켓과 결합되고, 저면은 상기 결합부의 상단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내부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브라켓은 상기 회전축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방향에 따라 상승하는 부분은 상기 돌출부와 탈착되고, 하강하는 부분은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브라켓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브라켓은,
    각각이 상부로 돌출된 반원 형태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하부 중심이 서로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 및 돌출부들 각각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걸림유닛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브라켓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후방에서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브라켓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브라켓은,
    상기 제1 내지 제3 걸림유닛들 각각의 상단을 커버하는 아치 형태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걸림유닛들 각각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 내지 제3 가이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브라켓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브라켓은,
    상기 제1 걸림유닛 및 상기 제1 돌출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2 걸림유닛을 압박하여 상기 제2 걸림유닛 및 회전축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제1 가변고정부; 및
    상기 제3 걸림유닛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2 걸림유닛을 압박하여 상기 제2 걸림유닛 및 회전축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제2 가변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브라켓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변고정부들 각각은,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3 걸림유닛들 각각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2 걸림유닛의 전방 및 후방 각각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브라켓 장치.

KR1020170113513A 2017-09-05 2017-09-05 커버링쉘프용 힌지 브라켓 장치 KR102001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13A KR102001058B1 (ko) 2017-09-05 2017-09-05 커버링쉘프용 힌지 브라켓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13A KR102001058B1 (ko) 2017-09-05 2017-09-05 커버링쉘프용 힌지 브라켓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505A KR20190026505A (ko) 2019-03-13
KR102001058B1 true KR102001058B1 (ko) 2019-07-17

Family

ID=6576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513A KR102001058B1 (ko) 2017-09-05 2017-09-05 커버링쉘프용 힌지 브라켓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874B1 (ko) * 2021-05-18 2023-03-3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커버링쉘프 힌지브래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028Y1 (ko) * 2005-08-09 2005-10-18 한일이화주식회사 셀프트림 조립체
JP2006036379A (ja) * 2004-07-22 2006-02-09 Funai Electric Co Ltd 用紙トレイ支持構造
KR101393867B1 (ko) 2012-12-21 201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버링쉘프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0145U (ko) * 1987-09-25 1989-03-28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379A (ja) * 2004-07-22 2006-02-09 Funai Electric Co Ltd 用紙トレイ支持構造
KR200399028Y1 (ko) * 2005-08-09 2005-10-18 한일이화주식회사 셀프트림 조립체
KR101393867B1 (ko) 2012-12-21 201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버링쉘프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505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171B2 (en) Vehicular door trim
US20130255025A1 (en) Wiper blade assembly
US6085385A (en) Upper hinge frame for refrigerator
CN107921867A (zh) 车辆的盖装置
CA2733065A1 (en) Removable kick panel for a household appliance
US20080096617A1 (en) Locking device for internal battery pack cover of mobile phone
JP3191914B2 (ja) 車両用ドアハーネスの組付構造
KR102001058B1 (ko) 커버링쉘프용 힌지 브라켓 장치
KR101446233B1 (ko) 차량의 커버링쉘프 힌지브래킷 어셈블리
KR102552740B1 (ko) 냉장고
US20050082864A1 (en) Stopper structure in a glove box
JP5239837B2 (ja) パッケージトレイの支持構造
KR20090031116A (ko) 도어힌지
US10047557B2 (en) Side plate pressing device for a vehicle curtain
CN101503918A (zh) 门把手
US10752109B2 (en) Structure of fuel filler door for vehicle
JP3561484B2 (ja) 車両のリヤゲート構造
JP2010264807A (ja) 車両用ドアのストッパ構造
KR100705131B1 (ko) 도어힌지구조
JP2014100973A (ja) 車両のルーフ構造
JP2014100972A (ja) サンバイザ保持構造
KR200442616Y1 (ko) 커버링 쉘프와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결합장치
JP2009190652A (ja) 取付け構造
JP4223230B2 (ja) ガイドレールとカバーコーナーとの取付構造
JP3581902B2 (ja) ヒンジ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