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240B1 -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240B1
KR101624240B1 KR1020140164237A KR20140164237A KR101624240B1 KR 101624240 B1 KR101624240 B1 KR 101624240B1 KR 1020140164237 A KR1020140164237 A KR 1020140164237A KR 20140164237 A KR20140164237 A KR 20140164237A KR 101624240 B1 KR101624240 B1 KR 101624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fter
bracket
cam
socket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4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downwards about horizontal axis to ope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가스리프터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에 고정 결합되며, 양 측면에 슬릿홀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배치되며 가스리프터의 끝단과 연결되는 소켓, 상기 브라켓의 외부에 배치되며 슬릿홀을 관통하여 소켓과 연결되는 캠 및 상기 캠의 일측에 삽입되며 슬릿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최적의 개폐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MOUNTING STRUCTURE OF GAS LIF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가스리프터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리프터가 소켓, 캠 및 부시를 매개로 슬릿홀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에 연결되어 테일게이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그 마운팅 위치가 가변되는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도어(door)의 수에 따라 3 도어 타입, 4 도어 타입, 5 도어 타입으로 구분되는데, 4 도어 타입의 차량은 프런트도어(front door)와 리어도어(rear door)가 각각 2개씩 구분되어 있는 형식이고 3 도어 타입과 5 도어 타입의 차량은 실내가 테일게이트(tail gate)와 서로 통하도록 되어 있는 형식의 차량을 말한다.
특히, 최근에는 판매차량의 대부분이 경제성과 활동성이 부각되는 RV(Recreational Vehicles)나 MPV(Multi Purpose Vehicles)와 같은 다목적 차량들이고, 소비자들 또한 실용적이고 각종 편의성이 제공되는 다목적 차량을 원하고 있는 추세 이여서 테일게이트가 장착된 차량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테일게이트란 차량의 최후방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의 일종으로서, 통상적으로 별도의 트렁크룸(trunk room)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목적 차량에서 많이 볼 수 있지만, 승용차에서는 해치백(hatch back)이나 해치백 쿠페(hatch back coupe)와 같은 타입에서 트렁크리드(trunk lid)의 대용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테일게이트는 개방되는 방향에 따라 트윈스윙(twin swing) 방식과 오버헤드(over head) 방식으로 구분된다.
트윈스윙 방식은 테일게이트를 좌측 게이트와 우측 게이트로 수직 분할하고 각각의 일단을 차체에 힌지 결합하여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하는 방식을 말하고, 오버헤드 방식은 테일게이트 상단부에 힌지를 결합하여 하단을 들어올리거나 내려서 업다운 방식으로 테일게이트를 개폐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버헤드 방식의 테일게이트가 장착된 차량의 후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헤드 방식으로 작동되는 테일게이트(1)는 그 상단에 힌지(1')가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며, 테일게이트(1)와 차체(2) 사이에는 가스리프터(3)가 설치된다.
상기 가스리프터(3)는 내부에 충전된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여 피스톤(3')을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에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를 초기에 적은 힘으로 열거나 닫으면 피스톤이 이동됨으로써 사점이 지난 후에는 테일게이트가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게 된다.
최근에는 차량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가스리프터가 테일게이트 뿐만 아니라 후드 또는 트렁크리드 등 개폐 가능한 차량의 모든 부위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가스리프터의 레이아웃은 테일게이트(후드 또는 트렁크리드)의 개폐성능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종래 가스리프터는 테일게이트의 디자인, 차체 구조의 제약 등으로 최적의 레이아웃을 설정하지 못해 테일게이트의 개폐성능을 완전히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리프터 내부의 가스 반력이나 테일게이트의 궤적을 결정하는 가스리프터의 마운팅 포인트(mounting point)가 고정되어 있어, 테일게이트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최적의 마운팅 포인트를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테일게이트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따라 가스리프터의 마운팅 포인트를 가변하여 최적의 개폐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리프터의 마운팅 포인트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으므로 테일게이트의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되는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체에 고정 결합되며, 양 측면에 슬릿홀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배치되며 가스리프터의 끝단과 연결되는 소켓; 상기 브라켓의 외부에 배치되며 슬릿홀을 관통하여 소켓과 연결되는 캠; 및 상기 캠의 일측에 삽입되며 슬릿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부시; 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리프터가 회전되면, 소켓, 캠 및 부시는 슬릿홀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가스리프터의 마운팅 포인트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는, 상기 브라켓의 양 측면에서 연장되며, 외부를 향해 굴곡 형성된 다수의 지지면;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캠의 일측면은 지지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에서 상기 슬릿홀은, 일측이 타측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에서 상기 소켓은, 상기 가스리프터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도록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캠과 연결될 수 있도록 소켓의 양 측부에 '凸'자 형태로 돌출 형성된 요철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에서 상기 캠은, 상기 브라켓의 외부에 배치되는 삼각형 형태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凹'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소켓과 연결되며 슬릿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또는 후드, 트렁크리드 등)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대응하여 가스리프터의 마운팅 포인트가 가변됨으로써, 최적의 테일게이트 개폐성능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테일게이트의 완전 개방(full open) 상태에서 소켓, 캠 및 부시는 가스리프터의 모멘트를 최대화할 수 있는 마운팅 포인트에 위치하여 가스리프터의 가스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닫힘 사점을 상향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일게이트를 폐쇄함에 따라 가스리프터의 모멘트 암이 점차 축소되어 닫힘 사점이 상향되고 폐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으며, 테일게이트를 개방함에 따라 가스리프터의 모멘트 암이 점차 증대되어 열림 사점이 하향되고 개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스리프터의 마운팅 포인트를 가변하여 최적의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테일게이트(또는 후드, 트렁크리드 등)의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 이용 중 빈번하게 열고 닫는 테일게이트의 개폐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되고 차량의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버헤드 방식의 테일게이트가 장착된 차량의 후면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소켓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캠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가 열림 상태에 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소켓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캠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는, 차체에 고정 결합되며, 양 측면(12)에 슬릿홀(13)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10), 상기 브라켓(10)의 내부에 배치되며 가스리프터(50)의 끝단과 연결되는 소켓(20), 상기 브라켓(10)의 외부에 배치되며 슬릿홀(13)을 관통하여 소켓(20)과 연결되는 캠(30) 및 상기 캠(30)의 일측에 삽입되며 슬릿홀(13)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부시(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10)은 그 바닥면(11)에 형성된 마운팅홀(11a)을 통해 차체(미도시)와 볼팅 결합되거나 또는 용접 결합되며, 양 측면(12)이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0)의 양 측면(12)에는 한 쌍의 슬릿홀(13)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슬릿홀(13)을 따라 후술되는 소켓(20), 캠(30) 및 부시(40)가 슬라이딩 되어 가스리프터(50)의 마운팅 포인트가 가변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홀(13)은, 브라켓 양 측면(12)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며, 일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이 타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우측)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의 양 측면(12)에는 외부를 향해 골곡 형성된 다수의 지지면(14)이 포함되며, 상기 지지면(14)은 캠(30)의 일측면을 접촉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면(14)은 브라켓의 양 측면(12)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형성되며, 브라켓의 일 측면(12)에 형성된 지지면(14) 사이의 거리는 캠(30)의 가장 긴 변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20)은, 가스리프터(50)의 끝단과 연결될 수 있도록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 연결부(21) 및 상기 캠(3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소켓(20)의 양 측부에서 '凸'자 형태로 돌출 형성된 요철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요철부(22)에는 연결핀(23)이 관통될 수 있도록 소켓홀(22a)이 형성되고, 후술되는 캠의 삽입부(32)에 연결핀(23)을 매개로 결합되어 가스리프터(50)의 회전을 캠(30)으로 전달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30)은, 브라켓(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삼각형 형태의 몸체부(31) 및 상기 몸체부(31)로부터 '凹'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소켓(20)과 연결되며 슬릿홀(13)에 삽입되는 삽입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32)에는 연결핀(23)이 관통될 수 있도록 캠홀(32a)이 형성되고, 전술한 것처럼 소켓의 요철부(22)가 삽입부(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홀(22a)과 캠홀(32a)을 관통하여 연결핀(23)을 삽입함으로써, 소켓(20)과 캠(30)은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소켓(20)과 캠(30)은 연결핀(23)에 의해 가스리프터(50)의 회전방향(H 방향) 자유도가 구속되어 (테일게이트의 개방 또는 폐쇄시) 가스리프터(50)와 함께 회전되는 한편, 가스리프터(50) 회전방향의 수직방향(L 방향) 자유도는 구속되지 않아 가스리프터(50)와 별개로 L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고, 이에 따라 가스리프터(50)의 3차원 운동이 가능해진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시(40)는 내부에 중공(41)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캠의 삽입부(32)에 삽입된 상태로 슬릿홀(13)에 수용되어 캠(30)이 회전 운동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가스리프터(50)의 회전에 따라 소켓(20)은 회전하면서 캠(30)을 회전시키고, 이때 캠(30)과 결합된 부시(40)가 브라켓의 슬릿홀(1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가스리프터의 마운팅 포인트는 변경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가 열림 상태에 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테일게이트 또는 후드(미도시) 등이 닫힘 상태일 때, 상기 가스리프트는 브라켓(10)의 바닥면(11)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소켓(20)과 캠(30)이 연결되는 부분 및 부시(40)는 슬릿홀(13)의 좌측 상단에 배치된다.
이때, 가스리프터(50)가 회전되면 소켓(20)과 캠(30)은 같이 회전되고, 캠(30)의 일측면(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면)은 브라켓의 지지면(14)에 접촉 지지되면서 밀려 소켓(20)과 캠(30)이 연결되는 부분 및 부시(40)는 슬릿홀(13)을 따라 슬릿홀의 우측 하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즉, 차량의 테일게이트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작동되면서 가스리프터(50)의 모멘트 암이 점차 증대되고, 열림 모멘트는 증가하여 열림 사점(테일게이트의 자동적 열림 구동 시작 지점)이 하향되고 개력이 감소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테일게이트 또는 후드(미도시) 등이 열림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가스리프트는 회전하여 브라켓(10)의 바닥면(11)과 거의 수직하게 배치되며 소켓(20)과 캠(30)이 연결되는 부분 및 부시(40)는 슬릿홀(13)의 우측 하단에 배치된다.
이때, 가스리프터(50)의 마운팅 포인트는 가스리프터의 모멘트를 최대화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닫힘력(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가스리프터(50) 내부의 가스압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닫힘 사점(테일게이트의 자동적 닫힘 구동 시작 지점)의 상향이 가능해진다.
차량의 테일게이트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작동되면, 가스리프터(50)의 모멘트 암은 점차 축소되고, 닫힘 모멘트는 증가되어 닫힘 사점이 상향되며 폐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는 테일게이트의 닫힘 또는 열림에 대응하여 가스리프터(50)의 마운팅 포인트를 가변함으로써, 최적의 테일게이트 개폐성능을 구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브라켓 11 : 브라켓의 바닥면
11a : 마운팅홀 12 : 브라켓의 측면
13 : 슬릿홀 14 : 브라켓의 지지면
20 : 소켓 21 : 연결부
22 : 요철부 22a : 소켓홀
23 : 연결핀 30 : 캠
31 : 몸체부 32 : 삽입부
32a : 캠홀 40 : 부시
41 : 부시의 중공 50 : 가스리프터

Claims (5)

  1. 차체에 고정 결합되며, 양 측면에 슬릿홀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배치되며 가스리프터의 끝단과 연결되는 소켓;
    상기 브라켓의 외부에 배치되며 슬릿홀을 관통하여 소켓과 연결되는 캠; 및
    상기 캠의 일측에 삽입되며 슬릿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부시; 를 포함하며,
    상기 슬릿홀은, 일측이 타측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양 측면에서 연장되며, 외부를 향해 굴곡 형성된 다수의 지지면;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캠의 일측면은 지지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가스리프터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도록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캠과 연결될 수 있도록 소켓의 양 측부에 '凸'자 형태로 돌출 형성된 요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브라켓의 외부에 배치되는 삼각형 형태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凹'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소켓과 연결되며 슬릿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
KR1020140164237A 2014-11-24 2014-11-24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 KR101624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237A KR101624240B1 (ko) 2014-11-24 2014-11-24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237A KR101624240B1 (ko) 2014-11-24 2014-11-24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240B1 true KR101624240B1 (ko) 2016-05-25

Family

ID=5611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237A KR101624240B1 (ko) 2014-11-24 2014-11-24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24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8782B1 (en) Opening/closing rear component structure of a vehicle
US7296844B2 (en) Automotive door with reverse hinge
US8807626B2 (en) Linear type center rail link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US20140237901A1 (en) Linear center rail link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US6540278B2 (en) Translatable load panel
US10914108B2 (en) Opposed type sliding door device of vehicle using planetary gear reducer
US11787271B2 (en)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
US5244247A (en) Door installation arrangement for vehicle
JP2002067697A (ja) 自動車の屈曲式テールゲート装置
CN1891957B (zh) 车辆门
CN105480062B (zh) 具有阻尼器撑杆存储结构的车辆后门装置
KR101624240B1 (ko) 가스리프터 마운팅 구조
EP1334856B1 (en) A mechanism for opening a gull-wing side door of a motor vehicle
KR200399028Y1 (ko) 셀프트림 조립체
JP4648090B2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KR20100064142A (ko) 차량의 후드 리프터
KR101199062B1 (ko) 차량용 커버링 쉘프 결합구조
KR100705131B1 (ko) 도어힌지구조
KR100821848B1 (ko) 커버링 셀프 조립체
KR100623205B1 (ko) 트렁크리드용 4절링크의 스토퍼구조
US20230151662A1 (en) Door connection structure
KR20050044001A (ko) 리어 셀프 트림 조립체
KR100857707B1 (ko)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US20230219403A1 (en) Door armrest structure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