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701B1 -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701B1
KR101875701B1 KR1020160147902A KR20160147902A KR101875701B1 KR 101875701 B1 KR101875701 B1 KR 101875701B1 KR 1020160147902 A KR1020160147902 A KR 1020160147902A KR 20160147902 A KR20160147902 A KR 20160147902A KR 101875701 B1 KR101875701 B1 KR 101875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inge pin
covering shelf
sliding
pi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057A (ko
Inventor
고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47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7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1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링쉘프를 수평상태의 거치 또는 경사상태의 거치로 각각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와이어를 매개로 테일게이트의 개폐와 연동되는 방식에 비해 와이어의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와이어의 상단 지지부위의 차이에 의한 커버링쉘프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는 러기지룸에 설치되는 좌우측 러기지트림(10), 상기 러기지트림(10)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링쉘프(20), 상기 커버링쉘프(20)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링쉘프(20)를 선회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핀 조립체(120), 상기 힌지핀 조립체(12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러기지트림(10)에 구비되는 힌지홈부(210), 상기 러기지트림(10)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링쉘프(20)를 경사거치의 상태로 고정하는 슬라이딩핀 조립체(110),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11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커버링쉘프(20)에 구비되는 거치홈부(220), 및 상기 러기지트림(10)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링쉘프(20)를 수평거치의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턱(1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COVERING SHELF 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치백 차량에서 러기지룸을 가려주기 위한 커버링쉘프를 수평상태의 거치 또는 경사상태의 거치로 각각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치백(hatchback) 차량은 차체 뒤쪽에 상하 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는 도어 즉, 테일게이트가 구비된 타입의 차량이다. 세단과는 달리 별도의 트렁크룸이 없으며 리어시트와 테일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해당하는 러기지룸을 물품 적재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러기지룸은 적재 공간의 높이가 높고 리어시트를 폴딩시켜 공간을 확장할 수 있어서 필요에 따라 큰 크기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이 우수하다.
한편, 리어시트를 폴딩할 정도의 크기가 큰 물건을 싣는 경우가 아니라면 통상 리어시트의 시트백 보다 낮은 높이의 물품들을 러기지룸에 보관하게 되는데, 이 경우 러기지룸에 보관된 물건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게 되므로 도난의 위험성이 증가되고, 정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차량의 외관미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공개특허 제10-2010-0049733호(커버링쉘프용 와이어 후크)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룸에 전방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버링쉘프(1)를 설치하였다. 커버링셀프(1)는 평소 수평 거치 상태를 유지하여 러기지룸을 가리는 역할을 함으로써 물품 도난 위험성 증가 및 외관미 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커버링쉘프(1)의 후방 단부는 와이어(3)로 테일게이트(2)에 연결되어 테일게이트(2) 개방시 후단이 상승되어 경사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러기지룸에 물품을 싣거나 내리기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와이어(3)는 커버링쉘프(1)의 양측 후단에 각각 연결되고, 와이어(3)의 상,하 단부와 테일게이트(2) 및 커버링쉘프(1)와의 연결 부분은 커버링쉘프(1)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와이어(3)와 그에 연결되는 부품 간의 유동이 소량 허용되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이 험로 및 요철면을 주행할 경우에 와이어(3) 연결부에서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버링쉘프(1)와 와이어(3) 설치에 관계되는 트림 및 차체 패널의 치수 산포에 의해 양측 와이어(3)의 상단 고정 위치에 차이가 발생함으로써 테일게이트(2) 오픈시 커버링쉘프(1)가 비틀린 상태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49733호의 커버링쉘프용 와이어 후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버링쉘프를 수평상태의 거치 또는 경사상태의 거치로 각각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각각의 상태에서 위치의 견고한 고정을 구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와이어를 매개로 테일게이트의 개폐와 연동되는 방식에 비해 와이어의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와이어의 상단 지지부위의 차이에 의한 커버링쉘프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러기지룸에 설치되는 좌우측 러기지트림, 상기 러기지트림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링쉘프, 상기 커버링쉘프에 설치되는 힌지핀 조립체, 상기 힌지핀 조립체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커버링쉘프를 선회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러기지트림에 구비되는 힌지홈부, 상기 러기지트림에 설치되는 슬라이딩핀 조립체,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커버링쉘프를 경사거치의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커버링쉘프에 구비되는 거치홈부, 및 상기 러기지트림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링쉘프를 수평거치의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힌지핀 조립체는 상기 커버링쉘프에 설치되는 힌지핀커버, 상기 힌지핀커버 내에 삽입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힌지핀커버 내에서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상기 힌지홈부에 삽입되는 힌지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힌지핀커버는 상기 커버링쉘프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매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힌지핀커버는 상기 힌지핀의 이동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핀은 상기 슬롯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힌지핀 커버로부터 이탈을 구속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거치홈부는 상기 커버링쉘프에 조립되고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를 향해 개구되는 요홈부와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을 갖춘 픽스커버, 및 상기 픽스커버의 배면에서 상기 걸림턱과 조립되어 상기 커버링쉘프로부터 상기 픽스커버의 이탈을 구속하는 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는 상기 러기지트림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커버, 상기 슬라이딩커버 내에 삽입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딩커버 내에서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상기 거치홈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러기지트림은 상기 슬라이딩커버와의 조립을 위한 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커버는 상기 보스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체결홀을 갖춘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슬라이딩핀은 상기 거치홈부와의 결합을 위해 구형 머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슬라이딩핀은 상기 슬라이딩커버의 조립홀에 삽입되는 로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부는 상기 슬라이딩커버의 외부에서 조립되는 너트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힌지핀 조립체와 상기 힌지홈부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와 상기 거치홈부의 위치는 상기 러기지트림에 대해 상기 커버링쉘프가 수평거치 상태에서 경사거치 상태로 전환될 때 설정되는 경사각도 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치백 차량에서 러기지룸을 가려주기 위한 커버링쉘프를 양측부에 위치한 힌지 구조물을 이용하여 수평상태의 거치 또는 경사상태의 거치로 각각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고정 구조물을 이용하여 수평상태의 거치 또는 경사상태의 거치로 각각 전환하여 사용함에 있어 각각의 상태에서 그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와이어를 매개로 테일게이트케이트의 개폐와 연동되어 거치상태가 전환되는 커버링쉘프의 설치방식에 비해 와이어의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패널의 산포에 따른 와이어의 상단 지지부위의 위치 차이로부터 기인하는 커버링쉘프의 비틀림 현상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에 대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에서 커버링쉘프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링쉘프의 힌지핀 조립체와 거치홈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버링쉘프의 힌지핀 조립체에 대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버링쉘프의 거치홈부에 대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에서 러기지트림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러기지트림의 슬라이딩핀 조립체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러기지트림의 슬라이딩핀 조립체에 대한 구성을 반대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러기지트림의 슬라이딩핀 조립체에 대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에 대한 수평거치 상태와 경사거치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는 한 쌍의 러기지트림(10)과, 상기 한 쌍의 러기지트림(10)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단일의 커버링쉘프(20), 상기 커버링쉘프(20)에 설치되어 상기 러기지트림(10)에 대해 상기 커버링쉘프(20)를 선회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핀 조립체(120), 상기 힌지핀 조립체(12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러기지트림(10)에 구비되는 힌지홈부(210), 상기 러기지트림(10)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링쉘프(20)를 경사거치의 상태로 고정하는 슬라이딩핀 조립체(110), 및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11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커버링쉘프(20)에 구비되는 거치홈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힌지핀 조립체(120)와 상기 힌지홈부(210)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110)와 상기 거치홈부(220)의 위치는 상기 러기지트림(10)에 대해 상기 커버링쉘프(20)가 수평거치 상태에서 경사거치 상태로 전환될 때 설정되는 경사각도 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상기 러기지트림(10)은 해치백 차량의 후미에서 테일게이트의 오픈시 외부로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차실내의 좌우 양측부위에 고정된다. 상기 커버링쉘프(20)는 상기 좌우측 러기지트림(10) 사이에서 수평거치 상태 또는 경사거치 상태로 각각 전환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커버링쉘프(20)는 좌우 양측에 힌지핀 조립체(120)와 거치홈부(220)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힌지핀 조립체(120)는 상기 커버링쉘프(20)의 저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중공형상의 힌지핀커버(122), 상기 힌지핀커버(12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리턴스프링(124), 및 상기 힌지핀커버(1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리턴스프링(124)에 의해 일단부가 탄발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커버링쉘프(20)의 측벽부에 위치한 제1관통홀(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힌지홈부(210)에 삽입되는 힌지핀(126)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힌지핀커버(122)는 상기 커버링쉘프(20)의 저면부에 대해 리브 형태의 마운팅 브래킷(128)을 매개로 고정되는 데, 상기 마운팅 브래킷(128)은 상기 커버링쉘프(20)의 저면부에 진동 융착과 같은 접합 방식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다만, 상기 커버링쉘프(20)와 상기 마운팅 브래킷(128) 사이의 접합방식은 진동 융착 이외에 다른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핀커버(122)는 상기 힌지핀(126)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된 형태의 슬롯(122a)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힌지핀(126)은 상기 슬롯(122a)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힌지핀커버(122)로부터 이탈을 구속하도록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126a)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핀(126)은 상기 힌지핀커버(122)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리턴스프링(124)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외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된다.
상기 거치홈부(220)는 상기 커버링쉘프(20)의 측벽부에 위치한 제2관통홀(24)에 조립되고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110)를 향해 개구되는 요홈부(222a)와 상기 제2관통홀(24)을 향해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턱(222b)을 갖춘 픽스커버(222), 및 상기 픽스커버(222)의 배면에서 상기 걸림턱(222b)과 조립되어 상기 커버링쉘프(20)의 측벽부로부터 상기 픽스커버(222)의 이탈을 구속하는 와셔(224)로 이루어진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면, 상기 러기지트림(10)은 상기 거치홈부(220)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커버링쉘프(20)의 경사상태의 거치를 위한 슬라이딩핀 조립체(110), 및 상기 힌지핀 조립체(120)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홈부(210)를 각각 구비한다.
또한, 상기 러기지트림(10)은 상기 커버링쉘프(20)의 양측 측벽부와의 조립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12), 및 상기 커버링쉘프(20)의 조립후 수평상태의 거치를 위해 외부로 돌출되어 커버링쉘프(20)의 저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턱(14)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링쉘프(20)는 상기 러기지트림(10)의 가이드홈(12)을 따라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지지턱(14)에 의해 저면부가 지지되어 수평상태의 안정적인 거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110)는 상기 러기지트림(10)의 측벽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중공형상의 슬라이딩커버(112), 상기 슬라이딩커버(11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리턴스프링(114), 및 상기 슬라이딩커버(1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리턴스프링(114)에 의해 일단부가 탄발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러기지트림(10)의 측벽부에 위치한 관통홀(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거치홈부(220)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핀(116)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상기 러기지트림(10)은 상기 슬라이딩커버(112)와의 조립을 위해 상기 관통홀(16)의 주위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보스부(18)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커버(112)는 상기 보스부(18)에 대해 스크류(113)를 이용한 나사 결합을 위해 체결홀(112b)을 갖춘 날개부(112a)를 양측부에 일체로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보스부(18)와 상기 날개부(112a)는 각각 대응하는 위치와 수량이라면 단일 또는 복수의 수량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핀(116)은 상기 거치홈부(220)와의 결합을 위해 외부를 향해 만곡진 형태로 돌출되는 구형 머리부(116a)를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핀(116)은 상기 슬라이딩커버(112)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조립홀(112c)에 삽입되는 로드부(116b)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로드부(116b)는 상기 슬라이딩커버(112)의 외부에서 조립되는 너트(118)와의 체결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커버(112)로부터 이탈이 구속된다.
상기 힌지홈부(210)는 상기 러기지트림(10)의 측벽부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핀 조립체(120)를 향해 전면부가 오목하게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해치백 차량의 러기지룸 내에서 힌지핀 조립체(120)와 힌지홈부(210)를 매개로 러기지트림(10)에 대한 커버링쉘프(20)의 수평상태의 거치 또는 경사상태의 거치를 각각 선택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는 도 10을 참조로 하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커버링쉘프(20)의 수평상태의 거치는 상기 러기지트림(10)의 가이드홈(12)을 따라 커버링쉘프(20)를 조립한 다음, 상기 힌지핀 조립체(120)의 힌지핀(126)을 상기 힌지홈부(210)에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러기지트림(10)의 지지턱(14)은 상기 커버링쉘프(20)의 좌우측 저면부를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해치백 차량의 러기지룸 내에서 상기 커버링쉘프(20)는 해치백 차량의 러기지룸과 차실내 공간을 분리할 수 있고, 특히 러기지룸 내에 수납된 물품이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도난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수평거치 상태로 전환된 커버링쉘프(20)는 작은 소품들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커버링쉘프(20)의 경사상태의 거치는 상기 힌지핀 조립체(120)와 상기 힌지홈부(210) 사이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커버링쉘프(20)의 자유단부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린 다음, 상기 거치홈부(220)에 대해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110)의 슬라이딩핀(116)을 상기 거치홈부(220)의 픽스커버(222)에 형성된 요홈부(222a) 내로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힌지핀 조립체(120)와 상기 힌지홈부(210) 사이의 결합과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110)와 상기 거치홈부(220) 사이의 결합, 즉 상기 커버링쉘프(20)의 양단부에 대한 2점 지지의 고정결합은 상기 러기지트림(10)에 대한 상기 커버링쉘프(20)의 경사상태의 거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결과, 해치백 차량에서 러기지룸 내에 각종 물품들을 수납하거나 꺼낼 때, 상기 커버링쉘프(20)는 수평거치 상태에서 경사거치 상태로 안정적으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러기지트림 12-가이드홈
14-지지턱 16-관통홀
18-보스부
20-커버링쉘프 22,24-제1,제2관통홀
110-슬라이딩핀 조립체 112-슬라이딩커버
114-리턴스프링 116-슬라이딩핀
118-너트
120-힌지핀 조립체 122-힌지핀커버
124-리턴스프링 126-힌지핀
128-마운팅 브래킷
210-힌지홈부 220-거치홈부
222-픽스커버 224-와셔

Claims (10)

  1. 러기지룸에 설치되는 좌우측 러기지트림;
    상기 러기지트림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링쉘프;
    상기 커버링쉘프에 설치되는 힌지핀 조립체;
    상기 힌지핀 조립체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커버링쉘프를 선회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러기지트림에 구비되는 힌지홈부;
    상기 러기지트림에 설치되는 슬라이딩핀 조립체;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커버링쉘프를 경사거치의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커버링쉘프에 구비되는 거치홈부; 및
    상기 러기지트림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링쉘프를 수평거치의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홈부는 상기 커버링쉘프에 조립되고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를 향해 개구되는 요홈부와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을 갖춘 픽스커버, 및 상기 픽스커버의 배면에서 상기 걸림턱과 조립되어 상기 커버링쉘프로부터 상기 픽스커버의 이탈을 구속하는 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 조립체는,
    상기 커버링쉘프에 설치되는 힌지핀커버;
    상기 힌지핀커버 내에 삽입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힌지핀커버 내에서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상기 힌지홈부에 삽입되는 힌지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커버는 상기 커버링쉘프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매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커버는 상기 힌지핀의 이동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핀은 상기 슬롯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힌지핀 커버로부터 이탈을 구속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는,
    상기 러기지트림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커버;
    상기 슬라이딩커버 내에 삽입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딩커버 내에서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상기 거치홈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트림은 상기 슬라이딩커버와의 조립을 위한 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커버는 상기 보스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체결홀을 갖춘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핀은 상기 거치홈부와의 결합을 위해 구형 머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핀은 상기 슬라이딩커버의 조립홀에 삽입되는 로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부는 상기 슬라이딩커버의 외부에서 조립되는 너트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 조립체와 상기 힌지홈부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핀 조립체와 상기 거치홈부의 위치는 상기 러기지트림에 대해 상기 커버링쉘프가 수평거치 상태에서 경사거치 상태로 전환될 때 설정되는 경사각도 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KR1020160147902A 2016-11-08 2016-11-08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KR101875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902A KR101875701B1 (ko) 2016-11-08 2016-11-08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902A KR101875701B1 (ko) 2016-11-08 2016-11-08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57A KR20180051057A (ko) 2018-05-16
KR101875701B1 true KR101875701B1 (ko) 2018-07-09

Family

ID=6245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902A KR101875701B1 (ko) 2016-11-08 2016-11-08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7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664B1 (ko) 2019-07-01 2020-11-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러기지 사이드 트림과 커버링 쉘프의 조립구조
KR102201949B1 (ko) 2019-07-05 2021-01-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테일게이트 트림 일체형 안전 삼각대 보관구조
KR20240040219A (ko) 2022-09-21 2024-03-2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커버링 쉘프 또는 카고 스크린에 장착되는 마운팅 힌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29263A (zh) * 2022-03-01 2023-09-12 标致雪铁龙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连接车辆的尾门框架与置物架的连接装置及车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782U (ko) * 1994-12-29 1996-07-20 자동차용 뒷선반의 힌지구조
KR200231192Y1 (ko) * 2001-02-06 2001-07-19 조재구 자동차용 절첩식 쓰레기봉투 걸이장치
KR200399028Y1 (ko) * 2005-08-09 2005-10-18 한일이화주식회사 셀프트림 조립체
KR100937244B1 (ko) * 2008-10-20 2010-01-15 한일이화주식회사 커버링쉘프 댐퍼
KR20110003149U (ko) * 2009-09-22 2011-03-30 한일이화주식회사 커버링 쉘프와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782U (ko) * 1994-12-29 1996-07-20 자동차용 뒷선반의 힌지구조
KR200231192Y1 (ko) * 2001-02-06 2001-07-19 조재구 자동차용 절첩식 쓰레기봉투 걸이장치
KR200399028Y1 (ko) * 2005-08-09 2005-10-18 한일이화주식회사 셀프트림 조립체
KR100937244B1 (ko) * 2008-10-20 2010-01-15 한일이화주식회사 커버링쉘프 댐퍼
KR20110003149U (ko) * 2009-09-22 2011-03-30 한일이화주식회사 커버링 쉘프와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결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664B1 (ko) 2019-07-01 2020-11-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러기지 사이드 트림과 커버링 쉘프의 조립구조
KR102201949B1 (ko) 2019-07-05 2021-01-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테일게이트 트림 일체형 안전 삼각대 보관구조
KR20240040219A (ko) 2022-09-21 2024-03-2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커버링 쉘프 또는 카고 스크린에 장착되는 마운팅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57A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701B1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US7651146B2 (en) Vehicle cargo sidewall structure
US20160236724A1 (en) Tailgate with load area extender for utility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US6811196B2 (en) Vehicle cargo management apparatus having movable cargo support arm
US8011710B2 (en) Fixture element,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for holding a receptacle
US9533624B2 (en) Carrier apparatus for vehicle
US9573447B2 (en) Vehicle back door device with damper stay storage structure
KR20170109996A (ko) 차량용 루프 박스
KR101875600B1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CN109849798B (zh) 用于车辆的覆盖架设备
KR101905487B1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KR102506240B1 (ko) 차량용 루프박스
KR101905530B1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US7360818B1 (en) Structure of auxiliary tail gate of vehicle
KR200399028Y1 (ko) 셀프트림 조립체
KR100508269B1 (ko) 자동차용 커버링 셀프 센터 트림
KR101947046B1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장착구조
US20200079436A1 (en) Vehicle having floor assembly
KR102540781B1 (ko) 차량용 프렁크 선반 구조
US11905750B2 (en) Releasable hinge assembly
KR20060018350A (ko) 보조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KR100525637B1 (ko) 리어 셀프 트림 조립체
US10822850B1 (en) Cantilevered flapper door assembly for a vehicle
JP4264724B2 (ja) 収納ボックス
KR200257195Y1 (ko) 박스형 특장차량의 백도어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