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234Y1 -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 - Google Patents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234Y1
KR200483234Y1 KR2020160002680U KR20160002680U KR200483234Y1 KR 200483234 Y1 KR200483234 Y1 KR 200483234Y1 KR 2020160002680 U KR2020160002680 U KR 2020160002680U KR 20160002680 U KR20160002680 U KR 20160002680U KR 200483234 Y1 KR200483234 Y1 KR 200483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hock absorber
rotation guide
guide hol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준
Original Assignee
(주)삼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매 filed Critical (주)삼매
Priority to KR2020160002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2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2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6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hinge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6Devices for taking the weight of the wing, arranged away from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에 형성되는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는 수납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면서 효율적으로 덮개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급작스러운 닫힘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중앙에는 복수 개의 바닥볼트 고정홀이 형성되고, 양측은 상부로 수직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의 중앙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축홀과, 상기 제1 축홀의 하부에는 제1 축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 회전가이드홀과, 상기 회전가이드홀의 전방과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고정판넬과;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덮개 고정홀이 형성되고, 하단 양측은 전방 하부로 절곡되어 절곡된 상부에 상기 제1 축홀을 관통한 힌지핀이 관통하도록 하는 제2 축홀이 형성되며, 절곡된 하부는 상기 제1 회전가이드홀을 관통한 가이드핀이 관통하도록 하는 제2 회전가이드홀이 형성되는 회전판넬과;
상기 고정판넬의 내측 양측면에 인접하여 입설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고정핀이 관통하도록 하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두 쌍의 가이드장홀과, 전후 가이드장홀의 사이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절개되어 제1 및 제2 회전가이드홀을 관통한 가이드핀이 안착되는 가이드핀 안착홈과, 상기 가이드핀 안착홈이 형성된 전방 상단을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전방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소버장착홀이 형성되는 이동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The hinge braket that have a shock absorber}
본 고안은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동차에 형성되는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는 수납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면서 효율적으로 덮개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급작스러운 닫힘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우리에게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로 더 잘 알려진 완충기(緩衝器)는 다른 말로 댐퍼(damper)라고도 불리며 몸체 일측에서 피스톤 로드가 인출되고 삽입되는 운동이 급작스럽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쇽업소버는 일정 공간을 개폐하는 문에도 적용하게 되는데 힌지 즉 경첩이 상단에 형성되어 하단을 들어 개폐하는 가구의 경우 문의 자중에 의하여 계속 붙잡지 않으면 저절로 닫히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바닥의 공간을 덮은 덮개가 형성된 경우 덮개를 최대한 열어도 90도 이상 열 수 없으면 덮개는 저절로 닫히기 때문에 이러한 곳에도 쇽업소버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쇽업소버의 일 끝단은 덮개의 힌지와 떨어진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끝단은 힌지와 이격된 내측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덮개와 쇽업소버가 벌어진 각도가 클수록 쇽업소버의 작용이 힌지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게 된다.
하지만 덮개와 쇽업소버가 크게 벌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쇽업소버와 끝단과 힌지의 거리를 멀게 이격시켜야하나 쇽업소버를 고정할 견고한 부분이 없는 경우 힌지 역할을 하는 힌지브라켓의 일측을 연장시킨 후 쇽업소버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덮개와 쇽업소버의 벌어진 각도가 충분하지 않아 쇽업소버의 힘이 충분히 작용하지 않게 되거나 충분히 벌어져 힘이 충분히 작용하도록 힌지브라켓의 일측을 길게 연장할 경우 내부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32303-0000호 (2003년10월27일)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18712-0000호 (2006년06월07일)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24037-0000호 (2006년08월08일)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66668-0000호 (2013년04월24일)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힌지브라켓이나 쇽업소버에 의하여 내부 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덮개와 쇽업소버가 이루는 각도가 쇽업소버의 힘에 의하여 덮개가 자중에 의하여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앙에는 복수 개의 바닥볼트 고정홀이 형성되고, 양측은 상부로 수직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의 중앙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축홀과, 상기 제1 축홀의 하부에는 제1 축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 회전가이드홀과, 상기 회전가이드홀의 전방과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고정판넬과;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덮개 고정홀이 형성되고, 하단 양측은 전방 하부로 절곡되어 절곡된 상부에 상기 제1 축홀을 관통한 힌지핀이 관통하도록 하는 제2 축홀이 형성되며, 절곡된 하부는 상기 제1 회전가이드홀을 관통한 가이드핀이 관통하도록 하는 제2 회전가이드홀이 형성되는 회전판넬과;
상기 고정판넬의 내측 양측면에 인접하여 입설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고정핀이 관통하도록 하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두 쌍의 가이드장홀과, 전후 가이드장홀의 사이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절개되어 제1 및 제2 회전가이드홀을 관통한 가이드핀이 안착되는 가이드핀 안착홈과, 상기 가이드핀 안착홈이 형성된 전방 상단을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전방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소버장착홀이 형성되는 이동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덮개가 열리면서 쇽업소버의 일 끝단이 고정되는 이동판넬이 힌지핀과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쇽업소버와 덮개가 이루는 각도가 커지도록 하여 쇽업소버의 힘에 의하여 덮개가 자중에 의하여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닫혔을 때 쇽업소버와 힌지브라켓이 내부 저장공간을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적용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적용 예에 따른 닫힌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적용 예에 따른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적용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적용 예에 따른 닫힌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적용 예에 따른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차량(1)의 후방 바닥 수납공간(11)을 형성하고 이러한 수납공간(11)을 덮개(12)로 덮도록 하는 경우 덮개(12)를 열어도 전방의 의자(13) 때문에 90도 이상 젖힐 수 없을 경우 사용자는 수납공간(11)을 이용할 때 덮개(12)가 닫히지 않도록 손으로 잡아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쇽업소버(3)를 사용하여 덮개(12)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지만 수납공간(11)의 양측면이 충분한 힘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사용에 따라 고정부가 손상되어 이탈할 우려가 있으며 또 쇽업소버(3)를 내측면에 고정할 경우 그만큼 내부의 수납공간(11)을 활용하지 못하고 쇽업소버(3)에 의하여 수납된 물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에 덮개(12)가 개폐되도록 연결되는 힌지브라켓(2)을 두어 여기에 쇽업소버(3)가 고정되도록 하고, 덮개(12)를 열었을 때 쇽업소버(3)와 이루는 각도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쇽업소버(3)가 고정된 부분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중앙에는 복수 개의 바닥볼트 고정홀(211)이 형성되고, 양측은 상부로 수직 절곡된 절곡부(212)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212)의 중앙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축홀(213)과, 상기 제1 축홀(213)의 하부에는 제1 축홀(21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 회전가이드홀(214)과, 상기 회전가이드홀(214)의 전방과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15)을 구비하는 고정판넬(21)과;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덮개 고정홀(221)이 형성되고, 하단 양측은 전방 하부로 절곡되어 절곡된 상부에 상기 제1 축홀(213)을 관통한 힌지핀(222)이 관통하도록 하는 제2 축홀(223)이 형성되며, 절곡된 하부는 상기 제1 회전가이드홀(214)을 관통한 가이드핀(224)이 관통하도록 하는 제2 회전가이드홀(225)이 형성되는 회전판넬(22)과;
상기 고정판넬(21)의 내측 양측면에 인접하여 입설되고 상기 관통홀(215)을 관통한 고정핀(231)이 관통하도록 하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두 쌍의 가이드장홀(232)과, 전후 가이드장홀(232)의 사이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절개되어 제1 및 제2 회전가이드홀(214, 225)을 관통한 가이드핀(224)이 안착되는 가이드핀 안착홈(233)과, 상기 가이드핀 안착홈(233)이 형성된 전방 상단을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234)와, 전방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쇽업소버(3)가 장착되는 소버장착홀(235)이 형성되는 이동판넬(2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을 나타내었다.
본원의 힌지브라켓(2)은 고정판넬(21)은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측 모서리에 고정되는 것으로 보통 하나의 문 또는 덮개에 2 ~ 3개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며, 회전판넬(22)은 문이나 덮개(12)에 고정되어 여닫이 구조를 가지도록 힌지핀(222)에 의하여 고정판넬(21)과 결합하게 된다.
이때 회전판넬(22)은 제2 축홀(223)이 형성된 전방 하부로 연장되어 회전에 따른 원호운동을 하도록 하며 이를 제1 및 제2 회전가이드홀(214, 225)에 의하여 가이드핀(224)이 원호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원호운동은 이동판넬(23)의 가이드장홀(232)에 가이드핀(224)이 삽입되도록 하여 수평 왕복운동으로 바뀌게 되며 회전판넬(22)이 접혔을 경우 이동판넬(23)의 고정판넬(2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회전판넬(22)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동판넬(23)은 인출되면서 힌지핀(222)과 쇽업소버(3)가 장착되는 소버장착홀(235)의 사이 거리가 벌어지면서 쇽업소버(3)가 덮개(12)를 지지할 정도의 충분한 각도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1 : 차량
11 : 수납공간 12 : 덮개
13 : 의자
2 : 힌지브라켓
21 : 고정판넬
211 : 바닥볼트 고정홀 212 : 절곡부
213 : 제1 축홀 214 : 제1 회전가이드홀
215 : 관통홀
22 : 회전판넬
221 : 덮개 고정홀 222 : 힌지핀
223 : 제2 축홀 224 : 가이드핀
225 : 제2 회전가이드홀
23 : 이동판넬
231 : 고정핀 232 : 가이드장홀
233 : 가이드핀 안착홈 234 : 연결부
235 : 소버장착홀
3 : 쇽업소버

Claims (1)

  1. 중앙에는 복수 개의 바닥볼트 고정홀(211)이 형성되고, 양측은 상부로 수직 절곡된 절곡부(212)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212)의 중앙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축홀(213)과, 상기 제1 축홀(213)의 하부에는 제1 축홀(21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 회전가이드홀(214)과, 상기 회전가이드홀(214)의 전방과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15)을 구비하는 고정판넬(21)과;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덮개 고정홀(221)이 형성되고, 하단 양측은 전방 하부로 절곡되어 절곡된 상부에 상기 제1 축홀(213)을 관통한 힌지핀(222)이 관통하도록 하는 제2 축홀(223)이 형성되며, 절곡된 하부는 상기 제1 회전가이드홀(214)을 관통한 가이드핀(224)이 관통하도록 하는 제2 회전가이드홀(225)이 형성되는 회전판넬(22)과;
    상기 고정판넬(21)의 내측 양측면에 인접하여 입설되고 상기 관통홀(215)을 관통한 고정핀(231)이 관통하도록 하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두 쌍의 가이드장홀(232)과, 전후 가이드장홀(232)의 사이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절개되어 제1 및 제2 회전가이드홀(214, 225)을 관통한 가이드핀(224)이 안착되는 가이드핀 안착홈(233)과, 상기 가이드핀 안착홈(233)이 형성된 전방 상단을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234)와, 전방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쇽업소버(3)가 장착되는 소버장착홀(235)이 형성되는 이동판넬(2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
KR2020160002680U 2016-05-17 2016-05-17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 KR200483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80U KR200483234Y1 (ko) 2016-05-17 2016-05-17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80U KR200483234Y1 (ko) 2016-05-17 2016-05-17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234Y1 true KR200483234Y1 (ko) 2017-04-18

Family

ID=5866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680U KR200483234Y1 (ko) 2016-05-17 2016-05-17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2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793B1 (ko) * 2020-07-09 2021-04-16 박상우 갱폼용 발판 도어
KR20210128635A (ko) *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벽걸이형 포충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5267A (en) * 1982-04-02 1984-10-09 Ampex Corporation Shock absorbing bracket for a fallfront cabinet
JPH02164995A (ja) * 1988-12-15 1990-06-25 Daihatsu Motor Co Ltd ドア開閉装置
US6584642B2 (en) * 2001-10-05 2003-07-01 Ernest F. Hodson Multi-function door stop and door restraint
KR200332303Y1 (ko) 2003-08-22 2003-11-05 주식회사 알렌무역상사 콘솔형 피아노의 건반덮개 완속닫힘장치
KR200418712Y1 (ko) 2006-03-28 2006-06-14 한건정공 주식회사 리프트장치의 비상구 개폐구조
KR200424037Y1 (ko) 2006-05-30 2006-08-14 삼흥정공 주식회사 문짝 안전개폐장치
US7343118B2 (en) * 2004-12-02 2008-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shock absor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200466668Y1 (ko) 2011-10-21 2013-05-06 서우원 출입문 열림상태 유지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5267A (en) * 1982-04-02 1984-10-09 Ampex Corporation Shock absorbing bracket for a fallfront cabinet
JPH02164995A (ja) * 1988-12-15 1990-06-25 Daihatsu Motor Co Ltd ドア開閉装置
US6584642B2 (en) * 2001-10-05 2003-07-01 Ernest F. Hodson Multi-function door stop and door restraint
KR200332303Y1 (ko) 2003-08-22 2003-11-05 주식회사 알렌무역상사 콘솔형 피아노의 건반덮개 완속닫힘장치
US7343118B2 (en) * 2004-12-02 2008-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shock absor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200418712Y1 (ko) 2006-03-28 2006-06-14 한건정공 주식회사 리프트장치의 비상구 개폐구조
KR200424037Y1 (ko) 2006-05-30 2006-08-14 삼흥정공 주식회사 문짝 안전개폐장치
KR200466668Y1 (ko) 2011-10-21 2013-05-06 서우원 출입문 열림상태 유지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635A (ko) *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벽걸이형 포충기
KR102377483B1 (ko) * 2020-04-17 2022-03-22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벽걸이형 포충기
KR102241793B1 (ko) * 2020-07-09 2021-04-16 박상우 갱폼용 발판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5138913A (ru) Поворотный узел багажного отсека
US9457724B2 (en) Cargo cover assemblies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US10465969B2 (en) Refrigerator
KR200483234Y1 (ko)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힌지브라켓
BR102015014641A2 (pt) Porta de interior de veículo do tipo articulada para fora.
CN110573044A (zh) 柜子
CN110505821A (zh) 家具主体的壁体以及具有这种壁体的家具主体或家具件
JP5760645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KR100808521B1 (ko) 댐퍼부착형 도어힌지
KR20180051057A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AU2017307860A1 (en) Damper device
JP2007290458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6107722B2 (ja)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
RU2666042C2 (ru) Закрываемый вещевой ящик, в частности в нише для ног автомобиля
KR101475940B1 (ko)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PT1792780E (pt) Disposição de rebater para veículos automóveis
JP6570560B2 (ja) 丁番
JP5642449B2 (ja) ピボットヒンジ
KR20180001566U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JP2527475B2 (ja) ヒンジ
KR101802639B1 (ko) 중장비용 스토퍼 힌지
KR102374399B1 (ko) 가방의 원형 보존성이 향상된 책상
KR102540781B1 (ko) 차량용 프렁크 선반 구조
JP2009172358A (ja) 折畳み式テーブル
JP2005186848A (ja) デッキフロ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