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157B1 -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157B1
KR101966157B1 KR1020170109670A KR20170109670A KR101966157B1 KR 101966157 B1 KR101966157 B1 KR 101966157B1 KR 1020170109670 A KR1020170109670 A KR 1020170109670A KR 20170109670 A KR20170109670 A KR 20170109670A KR 101966157 B1 KR101966157 B1 KR 10196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protrusion
fitting
groove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634A (ko
Inventor
김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0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1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03Luggage racks, e.g. for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힌지홀에 이격되어 끼움돌출부가 러기지 트림 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러기지 트림에는 힌지샤프트에 이격되어 끼움돌출부가 끼워져 이동된 후에 임시 고정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단부에는 끼움돌출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임시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링 셀프)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 브래킷과 러기지 트림에 구비되는 끼움돌출부와 걸림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커버링 셀프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Combination structure of vehicle self-covering}
본 발명은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 커버링 셀프가 일정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한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치백 타입의 차량이나 SUV 차량은 노치백 차량과는 달리 별도의 트렁크 룸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리어시트와 테일게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을 트렁크 룸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치백 타입의 차량에는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따라 트렁크 룸의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링 셀프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버링 셀프(1)는 도 1과 같이, 전방 끝이 리어시트를 향하여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별도의 힌지 브래킷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후방 끝이 테일게이트 쪽을 향해 배치된다.
상기 커버링 셀프(1)는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를 열고, 후방 끝을 들어올려 개방하거나 후방 끝을 별도의 케이블(2)로 테일게이트에 연결하여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함께 열리도록 구성된다.
별도의 케이블(2)은 일단이 테일게이트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커버링 셀프(1)의 후방에 결합됨으로써, 테일게이트를 개방할 때 커버링 셀프(1)가 케이블(2)에 의해 후방 끝이 위쪽으로 당겨지면서 함께 개방된 후에 일정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는, 커버링 셀프(1)를 테일 게이트에 연결하는 별도의 케이블(2)이라는 구성부품이 필요로 하고, 별도로 공급되어 관리되기 때문에 부품의 관리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조립 공정도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2616(2008.11.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커버링셀프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 브래킷 어셈블리에 걸림수단을 구성하여 별도의 케이블이 없이도 커버링 셀프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커버링 셀프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원가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러기지 트림에 형성된 힌지 샤프트가 커버링셀프의 측면에 고정된 힌지 브래킷의 힌지홀에 힌지 결합되는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에 있어서, 힌지홀에 이격되어 끼움돌출부가 러기지 트림 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러기지 트림에는 힌지샤프트에 이격되어 끼움돌출부가 끼워져 이동된 후에 임시 고정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단부에는 끼움돌출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임시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홈은, 힌지 샤프트에서 차량의 전방쪽에 이격되어 형성되되, 차량의 후방 쪽으로 하향 경사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되, 가이드홈의 끝단에서 개구부 쪽으로 이격되어 가이드 홈의 측면에서 맞은편 측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맞은편 측면까지의 거리가 끼움돌출부의 외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러기지 트림에 형성된 힌지 샤프트가 커버링셀프의 측면에 고정된 힌지 브래킷의 힌지홀에 힌지 결합되는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에 있어서, 힌지 샤프트의 힌지홀에 이격되어 끼움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러기지 트림에는 끼움돌출부가 끼워져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가이드홈의 단부에는 끼움돌출부가 걸려 임시 고정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되, 커버링 셀프의 개방시 끼움돌출부가 가이드홈의 개구부에 끼워질 때 압축되었다가 가이드홈의 걸림홈부에 걸리면서 끼움돌출부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임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끼움돌출부는, 힌지 브래킷의 일부가 수직으로 한 쌍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절개부 사이가 러기지 트림 쪽으로 돌출 형성되되, 가이드홈의 개구부를 통해 끼워질 때 압축되면서 탄성이 작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은, 힌지 샤프트에서 차량의 전방쪽에 이격되어 형성되되, 차량의 후방 쪽으로 하향 경사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걸림홈부는, 가이드홈의 깊이보다 더 깊이 형성되어 끼움돌출부가 압축된 후에 복귀되면서 끼워져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끼움돌출부는, 힌지 브래킷에 형성되는 끼움홀에 끼워져 러기지 트림 쪽으로 돌출되며,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돌출부재와, 끼움홀에 끼워지며 러기지 트림 쪽으로 돌출되며, 반원기둥 형상으로 제1돌출부재와 마주하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돌출부재와, 제1돌출부재와 제2돌출부재가 이격되도록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은, 차량의 후방 쪽으로 하향 경사로 형성되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구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개구부가 압축되기 전의 끼움돌출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걸림홈부의 위쪽에는 압축되기 전의 끼움돌출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에는, 가이드홈의 끝단에서 끼움돌출부의 외경 길이로 이격되는 가이드홈의 내측면에 끼움돌출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홈부는, 가이드홈의 걸림돌출부와 가이드홈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되, 그 폭이 압축되기 전의 끼움돌출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링 셀프를 개방한 후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케이블 부재로 커버링 셀프를 연결하지 않고, 커버링 셀프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 브래킷과 러기지 트림에 일체로 끼움돌출부와 걸림수단인 지지돌기 또는 걸림홈부를 구비함으로써 커버링 셀프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에서 끼움돌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에서 끼움돌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는, 러기지 트림(102)의 힌지 샤프트(120)가 커버링 셀프(101) 측면에 고정된 힌지 브래킷(110)의 힌지홀(111)에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서, 힌지홀(111)에 이격되어 끼움돌출부(112)가 러기지 트림(102) 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러기지 트림(102)에는 끼움돌출부(112)가 끼워져 지지되는 가이드홈(121)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21)의 끝단에는 끼움돌출부(112)가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돌기(122)가 형성된다.
먼저, 커버링 셀프(101)는 사각 형상의 판부재로 구성되며, 차량의 전방 쪽을 향하는 양측면에 커버링 셀프(101)를 러기지 트림(102)에 힌지 고정하기 위한 힌지 브래킷(110)이 결합된다.
커버링 셀프(101)는 러기지 트림(102)의 측면에 직접 힌지 고정되거나 별도의 결합부재가 러기지 트림(102)에 고정된 후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커버링 셀프(101)가 러기지 트림(102)에 직접 고정되는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러기지 트림(102)은 차량의 후방 실내 측면(러기지룸의 측면)을 가리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버링 셀프(101)가 힌지 고정되는 부분이다.
러기지 트림(102)의 상부에는 힌지 샤프트(120)가 돌출 형성되고, 이 힌지 샤프트(120)에서 이격되어 가이드홈(121)이 형성된다. 힌지 샤프트(120)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러기지 트림(102)에 고정될 수 있고, 러기지 트림(102)의 사출 성형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힌지 샤프트(120)는 커버링 셀프(101)의 측면 쪽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홈(121)은 위쪽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어 후술하는 힌지 브래킷(110)이 끼움돌출부(112)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 가이드홈(121)은 커버링 셀프(101)의 후방 쪽이 개방(올려질 때)될 때, 후술하는 힌지 브래킷(110)의 끼움돌출부(112)가 가이드홈(121)의 개구된 상부로 끼워진 후에 가이드홈(121)의 끝단까지 이동된 후에 끼움돌출부(112)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22)를 포함한다. 지지돌기(122)는 가이드홈(121)의 끝단에서 상부 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가이드홈(121)의 끝단에 끼워진 끼움돌출부(112)의 외주면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홈(121)은 힌지 샤프트의 전방(차량의 전방) 쪽에 이격되어 형성되되, 차량의 후방 쪽으로 하향 경사로 형성되되,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가이드홈(121)은 테일게이트의 개방 후에, 사용자가 커버링 셀프(101)의 후방을 손으로 들어 올릴 때, 커버링 셀프(101)의 끼움돌출부(112)가 끼워져서 이동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홈(121)에는 끼움돌출부(112)가 완전히 이동된 후(커버링 셀프가 일정각도로 개방)에 되며, 끼움돌기부(112)가 가이드홈(121)의 끝단에서 임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122)가 구비된다. 지지돌기(122)는 가이드홈(121)의 끝단에서 개구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가이드홈(121)의 끝에 끼워진 끼움돌출부(112)의 외주면을 지지하게 된다.
지지돌기(122)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121)의 개구쪽을 향하는 끼움돌출부(112)의 외주면을 지지하여 가이드홈(121)의 끝에서 빠지 않도록 지지한다. 지지돌기(122)가 하나로 구성되면, 하나의 지지돌기(122)와 반대쪽 가이드홈(121)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끼움돌출부(112)가 억지로 끼워졌다가 걸리도록 끼움돌추부(112)의 외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지지돌기(122)가 한 쌍으로 구성될 경우, 한 쌍의 지지돌기(122) 사이의 거리는 끼움돌추부(112)의 외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는, 힌지홀(131)에 이격되어 끼움돌출부(132)가 러기지 트림(102) 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러기지 트림(102)에는 끼움돌출부(132)가 끼워져 지지되는 가이드홈(141)이 형성되되, 끼움돌출부(132)가 힌지 브래킷(130)의 일부가 절개된 후에 러기지 트림(102)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가이드홈(141)의 끝단에는 끼움돌출부(132)가 걸리는 걸림홈부(142)가 더 깊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끼움돌출부(132)는 힌지 브래킷(130)의 일부가 수직으로 한 쌍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절개부 사이가 러기지 트림(102) 쪽으로 돌출 형성되되, 가이드홈(141)의 개구부를 통해 끼워질 때 압축되면서 탄성이 작용되도록 구성된다.
끼움돌출부(132)는 힌지 브래킷(130)의 일부에 수직으로 한 쌍의 절개부가 이격되어 형성된 후에 펀칭으로 러기지 트림(102) 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홈(141)의 개구를 통해 끼워질 때 가이드홈(141)의 바닥에 밀착되면서 압착된 후에 걸림홈부(142)에 위치된 후에 원 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구조이다.
가이드홈(14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가이드홈(121)과 같이 차량의 후방 쪽으로 하향 경사로 형성되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링 셀프(101)의 개방시 끼움돌출부(132)가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한다. 가이드홈(141)의 끝단에는 커버링 세프(101)가 개방시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끼움돌출부(132)가 걸려서 임시 고정되는 걸림홈부(142)가 형성된다.
걸림홈부(142)는 가이드홈(141)의 깊이 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가이드홈(141)에 끼워지 가이드될 때에는 끼움돌출부(132)가 압축된 상태에 있다가 걸림홈부(142)에 끼워져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끼움돌출부(132)를 임시 고정하는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는, 힌지홀(171)에 이격되어 끼움돌출부(172)가 러기지 트림(102) 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러기지 트림(102)에는 끼움돌출부(172)가 끼워져 지지되는 가이드홈(161)이 형성되되, 끼움돌출부(172)가 가이드홈(161)의 개구부에 끼워져 가이드홈(161)의 끝단으로 이동될 때에는 압축되었다가 가이드홈(161)의 끝단에서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걸리는 구조이다.
끼움돌출부(172)는 커버링 셀프(101)의 측면에 고정된 힌지 브래킷(110)에 결합되되, 가이드홈(161)의 개구부에 끼워질 때 압축되었다가 가이드홈(161)의 끝단에서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으로, 제1돌출부재(172a)와, 제2돌출부재(172b)와, 탄성부재(17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돌출부재(172a)과 제2돌출부재(172b)는 힌지 브래킷(110)의 힌지홀(111)에 이격되어 결합되되, 힌지 브래킷(170)에 형성되는 끼움홀에 끼워져서 러기지 트림(102) 쪽으로 돌출되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반대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제1돌출부재(172a)와 제2돌출부재(172b)는 각각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평면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힌지 브래킷(170)의 끼움홀에 끼워져 결합된다. 제1돌출부재(172a)와 제2돌출부재(172b)는 끼움홀에 끼워져 결합될 때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제1돌출부재(172a)와 제2돌출부재(172b)는 커버링 셀프(101) 쪽에서 힌지 브래킷(170)의 끼움홀에 관통되어 돌출되고, 커버링 셀프(101) 쪽에서 힌지 브래킷(170)의 끼움홀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리브가 일단부에 형성된다.
탄성부재(172c)는 제1돌출부재(172a)와 제2돌출부재(172b) 사이에서 제1돌출부재(172a)와 제2돌출부재(172b)를 상호 밀어내는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된다. 탄성부재(172c)의 양단은 각각 제1돌출부재(172a)의 평면부와 제2돌출부재(172b)의 평면부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제1돌출부재(172a)의 평면부와 제2돌출부재(172b)의 평면부는 각각 공간으로 형성되며 그 공간내에 탄성부재(172c)의 양단부가 끼워져 고정된다.
가이드홈(161)은 개구부가 제1돌출부재(172a)와 제2돌출부재(172b)가 서로 밀착되기 전의 상태 즉, 끼움돌출부(172)가 압축되기 전의 상태에 끼워지도록 제1돌출부재(172a)와 제2돌출부재(172b)가 밀착되기 전이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그 폭이 끝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홈(161)의 끝단에는 끼움돌출부(172)가 압축이 해제된 상태 즉, 원래의 상태로 끼워져 임시 고정되는 걸림홈부(162)가 형성되며, 이 걸림홈부(162)가 끼움돌출부(172)의 압축되기 전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가이드홈(161)의 끝단에서 일정거리 즉, 끼움돌출부(172)의 외경의 길이만큼 이격되는 가이드홈(161)의 내측면이 끼움돌출부(17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된다. 이 걸림돌출부는 정면에서 볼 때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홈(161)은 차량의 후방 쪽으로 하향 경사로 형성되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홈(161)의 개구부는 압축되기 전의 끼움돌출부(172)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개구부에서 단부로 갈수도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홈(161)은 걸림홈부(162)의 위쪽에는 압축되기 전의 끼움돌출부(172)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가이드홈(161)에는 가이드홈(161)의 끝단에서 끼움돌출부(172)의 외경길이로 이격되는 가이드홈(161)의 내측면에 끼움돌출부(17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된다.
걸림홈부(162)는 가이드홈(161)의 걸림돌출부와 가이드홈(161)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며, 그 폭이 압축되기 전의 끼움돌출부(172)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끼움돌출부(172)가 임시 고정됨으로써 커버링 셀프(101)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에 의하면, 커버링 셀프(101)를 개방한 후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케이블 부재로 커버링 셀프(101)를 연결하지 않고, 커버링 셀프(101)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 브래킷(110)과 러기지 트림(102)에 일체로 끼움돌출부와 걸림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커버링 셀프(101)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1 : 커버링 셀프
102 : 러기지 트림
110,130,170 : 힌지 브래킷
111,131,171: 힌지홀
112,132 : 끼움돌출부
120,140,160 : 힌지샤프트
121,141,161 : 가이드홈
122 : 지지돌기
142,162 : 걸림홈부
172: 끼움돌출부
172a: 제1돌출부재
172b: 제2돌출부재
172c: 탄성부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러기지 트림에 형성된 힌지 샤프트가 커버링셀프의 측면에 고정된 힌지 브래킷의 힌지홀에 힌지 결합되는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에 있어서,
    힌지 샤프트의 힌지홀에 이격되어 끼움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러기지 트림에는 끼움돌출부가 끼워져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가이드홈의 단부에는 끼움돌출부가 걸려 임시 고정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되,
    커버링 셀프의 개방시 끼움돌출부가 가이드홈의 개구부에 끼워질 때 압축되었다가 가이드홈의 걸림홈부에 걸리면서 끼움돌출부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임시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가이드홈은, 힌지 샤프트에서 차량의 전방쪽에 이격되어 형성되되, 차량의 후방 쪽으로 하향 경사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걸림홈부는 가이드홈의 끝단에 함몰되게 형성되며,
    끼움돌출부는, 힌지 브래킷의 일부가 수직으로 한 쌍의 절개부가 이격 형성된 후 한 쌍의 절개부 사이를 펀칭으로 러기지 트림 쪽으로 돌출시켜 가이드홈에 밀착되는 면은 평면이고 힌지 브래킷에 연결되는 양측은 탄성 절곡되게 곡면으로 형성되고,
    가이드홈의 개구부를 통해 끼워질 때 압축되면서 탄성이 작용되며 가이드홈에 압착이동되고 걸림홈부에서 원 상태로 복귀하면서 끼움 걸림되는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5. 삭제
  6. 삭제
  7. 러기지 트림에 형성된 힌지 샤프트가 커버링셀프의 측면에 고정된 힌지 브래킷의 힌지홀에 힌지 결합되는 차량용 커버링 셀프 결합 구조에 있어서,
    힌지 샤프트의 힌지홀에 이격되어 끼움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러기지 트림에는 끼움돌출부가 끼워져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가이드홈의 단부에는 끼움돌출부가 걸려 임시 고정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되,
    커버링 셀프의 개방시 끼움돌출부가 가이드홈의 개구부에 끼워질 때 압축되었다가 가이드홈의 걸림홈부에 걸리면서 끼움돌출부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임시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끼움돌출부는,
    힌지 브래킷에 형성되는 끼움홀에 끼워져 러기지 트림 쪽으로 돌출되며,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돌출부재와,
    끼움홀에 끼워지며 러기지 트림 쪽으로 돌출되며, 반원기둥 형상으로 제1돌출부재와 마주하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돌출부재와,
    제1돌출부재와 제2돌출부재가 이격되도록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가이드홈은,
    차량의 후방 쪽으로 하향 경사로 형성되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구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개구부가 압축되기 전의 끼움돌출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걸림홈부의 위쪽에는 압축되기 전의 끼움돌출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가이드홈에는,
    가이드홈의 끝단에서 끼움돌출부의 외경 길이로 이격되는 가이드홈의 내측면에 끼움돌출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걸림홈부는,
    가이드홈의 걸림돌출부와 가이드홈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되, 그 폭이 압축되기 전의 끼움돌출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KR1020170109670A 2017-08-29 2017-08-29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KR10196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670A KR101966157B1 (ko) 2017-08-29 2017-08-29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670A KR101966157B1 (ko) 2017-08-29 2017-08-29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634A KR20190023634A (ko) 2019-03-08
KR101966157B1 true KR101966157B1 (ko) 2019-04-05

Family

ID=6580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670A KR101966157B1 (ko) 2017-08-29 2017-08-29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1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028Y1 (ko) * 2005-08-09 2005-10-18 한일이화주식회사 셀프트림 조립체
JP2006036379A (ja) * 2004-07-22 2006-02-09 Funai Electric Co Ltd 用紙トレイ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616Y1 (ko) 2007-10-23 2008-11-25 한일이화주식회사 커버링 쉘프와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379A (ja) * 2004-07-22 2006-02-09 Funai Electric Co Ltd 用紙トレイ支持構造
KR200399028Y1 (ko) * 2005-08-09 2005-10-18 한일이화주식회사 셀프트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634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9257B2 (en) Capped clip for pipe, electric cable or the like
US5649783A (en) Retainer for seat
JP5542363B2 (ja) 電気的な差込コネクタ及び係止用湾曲部材
US5613876A (en) Body-mounted connector
US7165807B2 (en) Molding fixing structure, roof molding and fixing clip
JP2000231961A (ja) コネクタ
EP1397598A1 (en) Capped clip for pipe, electric cable or the like
US20090007498A1 (en) Weather strip
KR101446233B1 (ko) 차량의 커버링쉘프 힌지브래킷 어셈블리
US10578138B2 (en) Clip mounting seat
JP2012072606A (ja) 目隠しキャップの装着構造
KR101966157B1 (ko)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US20080095957A1 (en) Molding
KR101593043B1 (ko) 커버링 셀프의 힌지 장치
US10666031B1 (en) Power distribution box assembly with blind installation feature
KR20190059585A (ko) 범퍼와 헤드램프 결합 구조
US9358935B2 (en) Roof drip molding attachment
KR20200072204A (ko) 헤어핀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부재
JP2006264504A (ja) バンパーへのカバー部材取付構造
JP2560458Y2 (ja) 机用クリップ
JPS6213516Y2 (ko)
KR101985483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 도어 구조
JPH0645019Y2 (ja) 蓋体の閉止構造
KR101876077B1 (ko) 자동차 수납체용 판 스프링 조립체
JP3227991B2 (ja) クラスタの空き凹部用蓋部材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