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157B1 -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157B1
KR101726157B1 KR1020150145317A KR20150145317A KR101726157B1 KR 101726157 B1 KR101726157 B1 KR 101726157B1 KR 1020150145317 A KR1020150145317 A KR 1020150145317A KR 20150145317 A KR20150145317 A KR 20150145317A KR 101726157 B1 KR101726157 B1 KR 10172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interior material
interior
vehicle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50145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정방향후크 및 역방향후크를 포함하여 후크결합을 양방향으로 지지하고 차량의 폭방향 면에 정방향후크 및 역방향후크를 형성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에서 내장재 상호간의 마찰로 인한 미세변형 및 그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예방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COUPLING STRUCTURE OF INTERIOR PART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자동차 내장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승객실이나 리어 트렁크 등에는 패널에 장착되어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트림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각종 트림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종 트림은 통상 그 연결되는 단부를 소정의 결합수단으로 구속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하에서, 각종트림 중 결합구에 의해 결합되는 트림을 제1내장재와 제2내장재로 명칭하기로 한다.
종래의 차량용 내장재의 체결구조는, 제1내장재에 후크구조를 적용하고 제2내장재에 홀구조를 적용하여 상기 제1내장재와 상기 제2내장재를 접촉시키고 일정 하중 이상의 힘으로 압착시키면 후크가 홀의 경사면을 따라 체결되는 구조이다.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상 외부 하중 및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재료형상에 미세한 변형이 발생하면 한쪽방향으로만 구속되는 후크-홀 구조에서는 변형량이 누적되어 말단부위에서는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크기의 유동 및 틈을 만들게 되고, 접촉면이 비틀리거나 서로 어긋나면서 이탈소음 및 마찰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음들은 특정한 외부조건에서만 간헐적으로 발생하여 소음 발생부위를 확인하기 어렵고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내장재의 미세 변형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내장재 결합구조는 제1내장재에 형성되고 제1내장재와 제2내장재를 후크결합시키는 정방향후크, 상기 제1내장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내장재를 지지하는 역방향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내장재에 상기 정방향후크를 수용하는 후크수용홀이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내장재에 후크결합시 상기 역방향후크를 결합위치로 안내하고 상기 역방향후크와 압착되어 후크결합을 지지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정방향후크는 단면이 반화살표 형상인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역방향후크는 가압방향으로 돌출되고 가압시 상기 제2내장재 단부와 끼워지는 삽입부, 및 가압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내장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정방향후크 및 상기 역방향후크는 차량의 폭방향(Y)을 가로지르는 면(101)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내장재는 도어트림의 스위치박스이고, 상기 제2내장재는 도어트림의 스위치베젤인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에 의하면, 역방향후크로 제2내장재를 지지할 수 있고, 차량의 폭방향을 가로지르는 면에 정방향후크 및 역방향후크를 형성하여 내장재의 미세 변형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정방향후크를 통과하여 자른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역방향후크를 통과하여 자른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3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는 정방향후크(110), 역방향후크(120), 후크수용홀(210) 및 가이드홈(22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정방향후크(110) 및 상기 역방향후크(120)는 제1내장재(100)에서 차량의 폭방향(Y)을 가로지르는 면(101)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정방향후크(110)는 단면이 반화살표 형상을 갖고(도 3 참조), 상기 역방향후크(120)는 가압방향(Z)으로 돌출된 삽입부(121) 및 가압방향(Z)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22)를 포함한다(도 4 참조).
한편, 상기 후크수용홀(210) 및 상기 가이드홈(220)은 제2내장재(200)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크수용홀(210)은 상기 제1내장재(100)의 상기 정방향후크(110)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20)은 상기 제1내장재(100)의 상기 역방향후크(120)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정방향후크(110)를 수용하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할 수 있으나, 홀 형상이 바람직하다. 홀 형상은 상기 정방향후크(110)와 마찰이 발생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내장재의 손상 및 마찰에 의한 소음발생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역방향후크(120)과 결합하는 다양한 구조가 존재할 수 있으나, 홈 형상이 바람직하다. 홈 형상은 상기 고정돌기(122)가 3면을 지지하도록 하여, 다양한 방향의 충격에도 강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진행방향(X)을 가로지르는 면(102)은 상기 제1내장재(100) 및 상기 제2내장재(200)를 서로 이격시킨다.
상기 제1내장재(100) 및 상기 제2내장재(200)는 자동차의 모든 내장재를 포함하나, 특히 상기 제1내장재(100)는 도어트림의 스위치박스이고 상기 제2내장재(200)는 도어트림의 스위치베젤이다. 스위치박스는 파워윈도우스위치를 적재하므로 차량의 가속 및 제동시에 차량의 진행방향(X)으로 강한 하중이 가해지고, 스위치박스와 결합된 스위치베젤에 손상이 발생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내장재(100)를 상기 제2내장재(200) 쪽(Z)으로 가압하면, 상기 정방향후크(110)의 경사를 따라 상기 제2내장재(200)의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또한, 상기 역방향후크(120)는 상기 가이드홈(220)을 따라 결합위치까지 진행하고, 가압방향(Z)으로 돌출된 상기 역방향후크(120)의 상기 삽입부(121)는 상기 제2내장재(200)의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방향후크(110)가 상기 후크수용홀(210)에 수용되고, 후크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내장재(200)를 가압방향(Z)의 반대방향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가압방향(Z)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역방향후크(120)의 상기 고정돌기(122)는 상기 제2내장재(200)를 가압방향(Z)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의 경우, 차량의 가속 및 제동으로 인하여 진행방향(X) 및 가압방향(Z)에 빈번한 충격이 가해진다. 상기 정방향후크(110)만 존재했던 종래에는, 진행방향(X)의 충격을 흡수하고 제2내장재를 가압방향(Z)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진행방향(X)을 가로지르는 면(102)에서 상기 제1내장재(100) 및 상기 제2내장재(200)를 서로 맞닿게 하였다. 그러나 누적된 충격에 의하여 서로 맞닿은 부분에 손상이 발생하고, 손상된 부분에서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역방향후크(120)를 도입하여, 상기 정방향후크(110) 및 상기 역방향후크(120)가 상기 제2내장재(200)를 양방향으로 구속한다. 이때, 상기 정방향후크(110) 및 상기 역방향후크(120)를 제1내장재(100)에서 차량의 폭방향(Y)을 가로지르는 면(101)에만 형성하여도 상기 제1내장재(100) 및 상기 제2내장재(200) 사이에 강한 구속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내장재(100) 및 상기 제2내장재(200)를 진행방향(X)을 가로지르는 면(102)에서 서로 이격시킬 수 있고, 진행방향(X)에 충격이 가해져도 상기 제1내장재(100) 및 상기 제2내장재(20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내장재의 손상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제1내장재
110 : 정방향후크
120 : 역방향후크
121 : 삽입부
122 : 고정돌기
200 : 제2내장재
210 : 후크수용홀
220 : 가이드홈
X : 진행방향
Y : 폭방향
Z : 가압방향

Claims (7)

  1. 제1내장재에 형성되고, 제1내장재와 제2내장재를 후크결합시키는 정방향후크; 및
    상기 제1내장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내장재를 지지하는 역방향후크;
    를 포함하고,
    상기 역방향후크는,
    가압방향으로 돌출되고, 가압시 상기 제2내장재 단부와 끼워지도록 끝단에 경사로 구조로 형성된 삽입부; 및
    가압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내장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내장재에 상기 정방향후크를 수용하는 후크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내장재에 후크결합시 상기 역방향후크를 결합위치로 안내하고, 상기 역방향후크와 압착되어 후크결합을 지지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후크는,
    단면이 반화살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후크 및 상기 역방향후크는,
    차량의 폭방향(Y)을 가로지르는 면(10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장재는 도어트림의 스위치박스이고, 상기 제2내장재는 도어트림의 스위치베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
KR1020150145317A 2015-10-19 2015-10-19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 KR10172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17A KR101726157B1 (ko) 2015-10-19 2015-10-19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17A KR101726157B1 (ko) 2015-10-19 2015-10-19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157B1 true KR101726157B1 (ko) 2017-04-12

Family

ID=5858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317A KR101726157B1 (ko) 2015-10-19 2015-10-19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1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617B1 (ko) * 1995-11-23 1998-08-17 전성원 차량용 동력 윈도우 스위치 케이스 장착 구조
JP2002225648A (ja) * 2001-02-01 2002-08-1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および該プロテクタ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の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造
JP2009035078A (ja) * 2007-07-31 2009-02-19 Inoac Corp フロアコンソール
JP2009228839A (ja) * 2008-03-24 2009-10-08 Ichikoh Ind Ltd 部品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617B1 (ko) * 1995-11-23 1998-08-17 전성원 차량용 동력 윈도우 스위치 케이스 장착 구조
JP2002225648A (ja) * 2001-02-01 2002-08-1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および該プロテクタ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の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造
JP2009035078A (ja) * 2007-07-31 2009-02-19 Inoac Corp フロアコンソール
JP2009228839A (ja) * 2008-03-24 2009-10-08 Ichikoh Ind Ltd 部品取付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8012B2 (ja) バンパーの車体取付構造
US9809177B1 (en) Polymeric components with integral connectors
KR20060111378A (ko) 차량용 장척 트림재와 그 장착방법
US9651072B2 (en) Clip securing devic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JP2004210040A (ja) 衝撃吸収部材の取付構造
JP2013082408A (ja) ベルトモール及びピラーガーニッシュ並びにベルトモール組立体
JP2007055440A (ja) フロントピラートリム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との合わせ部構造
KR101518906B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KR101726157B1 (ko)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
JP5009103B2 (ja) 車両用ドアのドアライニング
JP5911023B2 (ja) 樹脂部材取付構造
JP5664901B2 (ja) シートベルトの保持構造
JP2010023804A (ja) ピラートリムの取付構造
US10894518B2 (en) Door trim
JP349529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機構
JP2009029297A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5041818B2 (ja) 自動車用バイザー取付ブラケット
JP4202208B2 (ja) 車両用トリム端末構造
JP5403672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
JP2009208689A (ja) 内装部品の取付構造
JP7161705B2 (ja) 車両のガーニッシュ
JP6969280B2 (ja) 車室内部品の取付構造及び該取付構造を備える車両
KR20130068695A (ko) 차량용 프런트 필러트림의 클립 구조
JP2018079809A (ja) 吸音材取付構造
JP6378558B2 (ja) 自動車用バイザー及び自動車用バイザー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