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378A - 차량용 장척 트림재와 그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장척 트림재와 그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378A
KR20060111378A KR1020060033135A KR20060033135A KR20060111378A KR 20060111378 A KR20060111378 A KR 20060111378A KR 1020060033135 A KR1020060033135 A KR 1020060033135A KR 20060033135 A KR20060033135 A KR 20060033135A KR 20060111378 A KR20060111378 A KR 20060111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flange
elastic
side wal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이치로 칸바라
요스케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tub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2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integral U-shaped re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2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integral U-shaped retainers
    • B60J10/33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integral U-shaped retain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retaining 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45Assembling sealing arrangements with vehic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5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sealing the lower part of the p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패널의 플랜지에 작은 압입력으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차량용 장척(長尺) 트림재와 그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장착부(11)의 제1측벽(13)에는 탄성 유지편(20)과 탄성 차폐편(遮蔽片)(25)이 형성된다. 장착부(11)의 제2측벽(14)에는 슬라이드 가이드면(31)을 갖는 돌조부(突條部)(30)와 계합부(係合部)(40)가 형성된다. 탄성 차폐편(25)의 선단은 플랜지(4)의 저벽(底壁)(3)과의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해서 장착부(11)를 압입함으로써, 돌출 플랜지부(4a)의 돌출단(5)을 슬라이드 가이드면(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아울러 탄성 유지편(20)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돌조부(30)가 돌출 플랜지부(4a)의 돌출단(5)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계속해서, 장착부(11)를 압입해서, 탄성 차폐편(25)을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며 또한 제2측벽(14)의 계합부(40)를 플랜지(4)의 계지부(係止部)(7)에 계합시켜서 장착한다.
도어 패널, 저벽, 플랜지, 돌출 플랜지부, 계지부, 계합부, 차폐편,

Description

차량용 장척 트림재와 그 장착방법{LONG TRIM MATERIAL FOR VEHICL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척 트림재로서의 벨트몰딩이 차량의 도어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간략화해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동(同) 도 1의 II-II선을 따르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동 벨트몰딩을 도어 패널의 플랜지에 장착하는 도중 공정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동 벨트몰딩이 도어 패널의 플랜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장척 트림재로서의 도어 오프닝 웨더스트립이 차체 패널의 플랜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동 도어 오프닝 웨더스트립을 차체 패널의 플랜지에 장착하는 도중 공정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도어 패널 3 : 저벽(底壁)
4 : 플랜지 4a : 돌출 플랜지부
5 : 돌출단 7 : 계지부(係止部)
10 : 벨트몰딩(장척 트림재) 11 : 장착부
13 : 제1측벽 14 : 제2측벽
15 : 꼭대기벽 20 : 제1의 탄성 유지편(탄성 유지편)
25 : 탄성 차폐편 30 : 돌조부(突條部)
31 : 슬라이드 가이드면 35 : 위치결정 대좌부
40 : 계합부(係合部)
본 발명은 차체 패널(도어 패널 등도 포함함)에 형성된 플랜지를 그 양면에서 협지함으로써 장착되는 차량용 장척(長尺) 트림재와 그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척 트림재로서는, 예를 들면, 도어 패널의 플랜지(상연(上緣) 플랜지)에 장착되고 또한 도어 패널과 승강 창판 사이를 밀봉하는 차 외측 및/또는 차 내측의 벨트몰딩이나, 혹은, 차량 측부의 차체 패널의 도어 개구부의 주연(周緣)을 따라서 형성된 플랜지(개구연(開口緣) 플랜지)에 장착되어 차체 패널의 도어 개구부와 도어 사이를 밀봉하는 도어 오프닝 웨더스트립 등이 있다.
또한, 도어 패널의 플랜지에 있어서는, 그 근원부(根元部)에 굴곡한 저벽(底壁)과, 선단이 돌출한 돌출 플랜지부와, 저벽과 반대측에 형성된 계지부(係止部)를 갖고 있다.
이에 비해서, 장척 트림재에 있어서는, 돌출 플랜지의 돌출단을 받아들여서 그 돌출 플랜지에 압입되는 장착부(본체부)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제2의 양 측벽과, 이들 제1, 제2의 양 측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꼭대기벽을 가지며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의 양 측벽의 상대하는 내벽면에는, 돌출 플랜지부를 그 양면에서 협지하는 유지 립(lip)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측벽의 개구부측의 단부로부터 플랜지의 저벽을 향해서 연장(延長) 형상으로 돌출하는 얇은 립이 형성되며, 제2측벽의 개구부측의 단부에는 플랜지의 계지부에 계합 가능한 계합부(係合部)가 형성된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4-291704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장척 트림재에 있어서는, 차체 패널(도어 패널)의 돌출 플랜지부에 장착부를 압입해서 장척 트림재를 장착할 때에는, 제1, 제2의 양 측벽의 상대하는 내벽면에 형성된 각각의 유지 립 및 제1측벽의 단부의 얇은 립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압입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큰 압입력이 필요해지고 있었다.
특히,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장착부의 주요부가 강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거나, 혹은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의 코어재가 매설되어 있는 것에서는, 장착부의 제1, 제2의 양 측벽이 확개(擴開)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어려우므로, 이 경우에 있어서는 도어 패널의 돌출 플랜지부에 대하여 한층 큰 압입 력이 필요해진다.
차량의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에 의해 장척 트림재의 장착작업이 행해지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과대한 신체적 부하를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차체 패널의 플랜지에 작은 압입력으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와 그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제2의 양 측벽과, 이들 제1, 제2의 양 측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꼭대기벽을 가지며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하고, 차체 패널의 개구 연단부(緣端部)에 형성되며, 또한 근원부(根元部)에 굴곡한 저벽(底壁)과 선단이 돌출한 돌출 플랜지부와 상기 저벽의 차 내측에 계지부(係止部)를 갖는 플랜지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압입하고, 상기 돌출 플랜지부를 그 양면에서 협지해서 상기 플랜지에 장착하도록 한 차량용 장척 트림재로서, 상기 제1측벽에는, 그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제2측벽의 내벽면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유지편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측벽의 개구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의 저벽을 향해서 연장(延長) 형상으로 돌출하는 탄성 차폐편(遮蔽片)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위치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측벽의 내벽면측 을 향해서 돌출함과 동시에 개구측에 상기 제2측벽과의 교차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갖는 돌조부(突條部)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조부보다도 개구측에 위치해서 상기 플랜지의 계지부에 계합 가능한 계합부(係合部)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해서 장착할 때, 우선, 상기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에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이 접촉하고 또한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이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제1측벽측의 면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탄성 차폐편의 선단은 상기 플랜지의 저벽과의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하며, 또한, 상기 장착부를 압입해서,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탄성 유지편을 상기 제1측벽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기 돌조부가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장착부를 압입해서, 상기 탄성 차폐편의 선단을 상기 플랜지의 저벽에 접촉시킨 후, 상기 장착부를 더 압입해서, 상기 탄성 차폐편을 상기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며 또한 상기 제2측벽의 계합부를 상기 플랜지의 계지부에 계합시켜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차체 패널의 플랜지에 장척 트림재를 장착하는 경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할 때에, 우선,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압입함으로써, 이 압입력의 일부에 의해 탄성 유지편을 제1측벽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리고, 돌조부가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 동시킨다. 이 동안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의 선단과 돌출 플랜지부의 근원부의 저벽이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계속해서, 장착부를 압입해서, 탄성 차폐편의 선단을 플랜지의 저벽에 접촉시킨 후, 장착부를 더 압입함으로써, 탄성 차폐편을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또한 제2측벽의 계합부를 플랜지의 계지부에 계합시킴으로써, 차체 패널의 플랜지에 장척 트림재가 장착된다.
따라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에 따르면,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할 때에,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압입할 때의 압입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탄성 유지편을 탄성 변형시킴과 아울러, 탄성 유지편의 탄성 변형보다도 탄성 차폐편의 탄성 변형을 시간적으로 늦춤으로써, 탄성 유지편과 탄성 차폐편이 거의 동시에 탄성 변형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탄성 차폐편의 탄성 변형에 필요한 힘의 분량만큼 장착부의 압입력을 경감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랜지에 대한 장척 트림재의 장착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장착 작업시에 장척 트림재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예측하지 못한 변형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장척 트림재로서, 장착부가 플랜지에 장착되었을 때에, 탄성 차폐편은 상기 장착부의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또한 제2측벽을 돌출 플랜지부측으로 끌어당겨서 이동시키는 데 충분한 탄발력(彈發力)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탄성 차폐편의 탄발력에 의해 제2측벽을 돌출 플랜지부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플랜지에 대하여 장척 트림재를 안정적으로 양호하게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장척 트림재로서, 제2측벽의 내벽면에는, 돌조부보다도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돌출 플랜지부의 제2측벽측의 면에 접촉하는 위치결정 대좌부가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제2측벽의 내벽면의 돌조부와 위치결정 대좌부가 돌출 플랜지부의 제2측벽측면에 접촉해서 위치결정됨으로써 장척 트림재를 덜커덩거림 없이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장척 트림재로서, 계합부는 제2측벽의 선단이며 또한 제1측벽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플랜지의 계지부에 대해서 제2측벽의 계합부를 확실하게 계합시켜서 플랜지에 장척 트림재를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장척 트림재로서, 제1측벽에는, 탄성 유지편의 안쪽에 위치하 는 내벽면의 부분에, 제2의 탄성 유지편이 제2측벽을 향해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9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플랜지에 대한 장척 트림재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제1측벽의 탄성 유지편의 탄발력에, 그 안쪽에 위치하는 제2의 탄성 유지편의 탄발력이 더해짐으로써, 플랜지에 대한 장척 트림재의 장착력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장척 트림재로서, 장척 트림재는 도어 패널의 상연(上緣)의 플랜지에 장착되는 벨트몰딩을 구성하고, 제2측벽의 외벽면에는, 창판(窓板)을 향해서 돌출함과 동시에 그 창판에 탄접(彈接) 가능한 밀봉 립이 일체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10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장척 트림재에 의해 벨트몰딩을 구성함으로써, 그 벨트몰딩을 도어 패널의 상연의 플랜지에 작은 압입력에 의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장척 트림재로서, 장척 트림재는 도어 개구연(開口緣)의 플랜지에 장착되는 도어 오프닝 웨더스트립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11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장척 트림재에 의해 도어 오프닝 웨더스트립을 구성함으로써, 그 웨더스트립을 차체 패널의 플랜지에 작은 압입력에 의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장척 트림재로서, 탄성 차폐편은 장착부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그 장착부의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또한 제2측벽을 돌출 플랜지부측으로 끌어당기도록, 플랜지의 저벽에 대해서 경사 형상을 이루어 접촉하는 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12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탄성 차폐편의 탄발력을, 장착부의 압입방향과 반대방향 및 제2측벽을 돌출 플랜지부측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각각 양호하게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탄성 차폐편의 탄발력에 의해 플랜지에 대해서 장척 트림재를 안정적으로 양호하게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제2의 양 측벽과, 이들 제1, 제2의 양 측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꼭대기벽을 가지며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하고, 차체 패널의 개구 연단부에 형성되며, 또한 근원부에 굴곡한 저벽과 선단이 돌출한 돌출 플랜지부와 상기 저벽의 차 내측에 계지부를 갖는 플랜지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압입하고, 상기 돌출 플랜지부를 그 양면에서 협지해서 상기 플랜지에 장착하도록 한 차 량용 장척 트림재를 상기 플랜지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측벽에는, 그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제2측벽의 내벽면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유지편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측벽의 개구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의 저벽을 향해서 연장 형상으로 돌출하는 탄성 차폐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위치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측벽의 내벽면측을 향해서 돌출함과 동시에 개구측에 상기 제2측벽과의 교차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갖는 돌조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조부보다도 개구측에 위치해서 상기 플랜지의 계지부에 계합 가능한 계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해서 장착할 때, 상기 탄성 차폐편의 선단은 상기 플랜지의 저벽과의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에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접촉시키며 또한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을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제1측벽측의 면에 접촉시키는 공정과, 상기 장착부를 압입해서,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탄성 유지편을 상기 제1측벽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기 돌조부가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공정과, 계속해서, 상기 장착부를 압입해서, 상기 탄성 차폐편의 선단을 상기 플랜지의 저벽에 접촉시킨 후, 상기 장착부를 더 압입함으로써, 상기 탄성 차폐편을 상기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또한 상기 제2측벽의 계합부를 상기 플랜지의 계지부에 계합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탄성 변형한 탄성 차폐편의 탄발력에 의 해, 그 탄성 차폐편을 본래의 형상측으로 복귀시켜서 상기 장착부를 상기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계합부를 상기 계지부측으로 이동시켜서 계합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청구항 13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은, 장척 트림재를 플랜지에 장착하는 작업에 있어서, 상기 각 공정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할 때에, 우선,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압입함으로써, 그 압입력의 일부에 의해 탄성 유지편을 제1측벽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리고, 돌조부가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 동안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의 선단과 플랜지의 저벽이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청구항 13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에 따르면,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할 때에,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압입할 때의 압입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탄성 유지편을 탄성 변형시킴과 아울러, 탄성 유지편의 탄성 변형보다도 탄성 차폐편의 탄성 변형을 시간적으로 늦춤으로써, 탄성 유지편과 탄성 차폐편이 거의 동시에 탄성 변형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탄성 차폐편의 탄성 변형에 필요한 힘의 분량만큼 장착부의 압입력을 경감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랜지에 대한 장척 트림재의 장착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장착 작업시에 장척 트림재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예측하지 못한 변형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에 대하여 장착부를 소정 위치까지 압입하고 탄성 차폐편을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며 또한 제2측벽의 계합부를 플랜지의 계지부에 계합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탄성 차폐편의 탄발력에 의해 장착부를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플랜지의 계지부에 제2측벽의 계합부를 계합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플랜지에 장척 트림재를 장착할 수 있으며, 장척 트림재의 예측하지 못한 위치 어긋남이나 벗어남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은, 청구항 13에 기재된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으로서, 계합부를 계지부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탄성 차폐편의 탄발력에 더해서 탄성 유지편의 탄발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14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13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계합부를 계지부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탄성 차폐편의 탄발력에 더해서 탄성 유지편의 탄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플랜지의 계지부에 제2측벽의 계합부를 보다 한층 확실하게 계합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장척 트림재의 예측하지 못한 위치 어긋남이나 벗어남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은, 청구항 13 또는 14에 기재된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으로서,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돌조부가 넘는 시점에서는, 탄성 차폐편의 선단과 플랜지의 저벽 사이에 비접촉 상태 의 공간을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15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13 또는 14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돌조부가 넘는 시점까지, 탄성 차폐편의 선단을 플랜지의 저벽에 비접촉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지에 대한 장척 트림재의 압입에 의한 장착 작업을 보다 한층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6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제2의 양 측벽과, 이들 제1, 제2의 양 측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꼭대기벽을 가지며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하고, 차체 패널의 개구 연단부에 형성되며, 또한 근원부에 굴곡한 저벽과 선단이 돌출한 돌출 플랜지부를 갖는 플랜지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압입하고, 상기 돌출 플랜지부를 그 양면에서 협지해서 상기 플랜지에 장착하도록 한 차량용 장척 트림재로서, 상기 제2측벽에는, 그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제1측벽의 내벽면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유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위치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측벽의 내벽면측을 향해서 돌출함과 동시에 개구측에 상기 제1측벽과의 교차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갖는 돌조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측벽의 개구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의 저벽을 향해서 연장 형상으로 돌출하는 탄성 차폐편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압 입해서 장착할 때, 우선, 상기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에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이 접촉하고 또한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이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제2측벽측의 면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차폐편의 선단은 상기 플랜지의 저벽과의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하며, 또한, 상기 장착부를 압입해서,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탄성 유지편을 상기 제2측벽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기 돌조부가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장착부를 압입해서, 상기 돌출 플랜지부를 상기 탄성 유지편과 돌조부로 사이에 끼워 유지하며, 상기 장착부를 더 압입함으로써, 상기 탄성 차폐편을 상기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켜서 장착하고,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차폐편의 탄발력을 상기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시키며, 게다가, 상기 탄성 유지편의 탄발력에 의한 유지력은 상기 탄성 차폐편의 탄발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할 때에, 우선,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압입함으로써, 그 압입력의 일부에 의해 탄성 유지편을 제2측벽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리고, 돌조부가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 동안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의 선단과 플랜지의 저벽이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청구항 16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 재에 따르면,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할 때에,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압입할 때의 압입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탄성 유지편을 탄성 변형시킴과 아울러, 탄성 유지편의 탄성 변형보다도 탄성 차폐편의 탄성 변형을 시간적으로 늦춤으로써, 탄성 유지편과 탄성 차폐편이 거의 동시에 탄성 변형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탄성 차폐편의 탄성 변형에 필요한 힘의 분량만큼 장착부의 압입력을 경감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랜지에 대한 장척 트림재의 장착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장착 작업시에 장척 트림재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예측하지 못한 변형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상태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의 탄발력이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함과 아울러, 탄성 유지편의 탄발력이 압입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때의 탄성 유지편의 탄발력에 의한 유지력은 탄성 차폐편의 탄발력보다도 크기 때문에, 플랜지에 장척 트림재를 장착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탄성 차폐편을, 그 탄발력에 의해 플랜지의 저벽에 탄접시켜서 플랜지의 저벽과의 사이의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22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제2의 양 측벽과, 이들 제1, 제2의 양 측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꼭대기벽을 가지며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하고, 차체 패널의 개구 연단부에 형성되며, 또한 근원부에 굴곡한 저벽과 선단이 돌출한 돌출 플랜지부를 갖는 플랜지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장 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압입하고, 상기 돌출 플랜지부를 그 양면에서 협지해서 상기 플랜지에 장착하도록 한 차량용 장척 트림재를 상기 플랜지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2측벽에는, 그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제1측벽의 내벽면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유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위치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측벽의 내벽면측을 향해서 돌출함과 동시에 개구측에 상기 제1측벽과의 교차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갖는 돌조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측벽의 개구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저벽을 향해서 연장 형상으로 돌출하는 탄성 차폐편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플랜지에 압입해서 장착할 때, 상기 탄성 차폐편의 선단은 상기 플랜지의 저벽과의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에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접촉시키며 또한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을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제1측벽측의 면에 접촉시키는 공정과, 상기 장착부를 압입해서,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탄성 유지편을 상기 제2측벽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기 돌조부가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공정과, 계속해서, 상기 장착부를 압입해서, 상기 돌출 플랜지부를 상기 탄성 유지편과 돌조부로 사이에 끼워 유지하며, 상기 장착부를 더 압입함으로써, 상기 탄성 차폐편을 상기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공정과, 상기 탄성 변형한 탄성 차폐편에 본래의 형상측으로 복귀하려고 하는 탄발 력을 발생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청구항 22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은 장척 트림재를 플랜지에 장착하는 작업에 있어서, 상기 각 공정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할 때에, 우선,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압입함으로써, 그 압입력의 일부에 의해 탄성 유지편을 제2측벽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리고, 돌조부가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 동안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의 선단과 플랜지의 저벽이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청구항 22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에 따르면,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장착부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할 때에,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압입할 때의 압입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탄성 유지편을 탄성 변형시킴과 아울러, 탄성 유지편의 탄성 변형보다도 탄성 차폐편의 탄성 변형을 시간적으로 늦춤으로써, 탄성 유지편과 탄성 차폐편이 거의 동시에 탄성 변형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탄성 차폐편의 탄성 변형에 필요한 힘의 분량만큼 장착부의 압입력을 경감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랜지에 대한 장척 트림재의 장착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장착 작업시에 장척 트림재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예측하지 못한 변형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장척 트림재로서의 벨트몰딩이 차량의 도어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간략화해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르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벨트몰딩을 도어 패널의 플랜지에 장착하는 도중 공정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벨트몰딩이 도어 패널의 플랜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사이드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도어(도 1에서는 프론트 도어의 경우를 나타내지만 리어 도어(rear door)여도 좋다)(1)의 도어 패널(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4)는 근원부(하부)에 차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며 또한 굴곡한 저벽(3)과, 선단이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 플랜지부(4a)와, 이 돌출 플랜지부(4a)의 돌출단(5)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접혀진 접힘편(6)을 통해서 그 하단에 형성된 계지부(7)를 구비하고 있다.
벨트몰딩(10)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TPO), 고무 등의 재료에 의한 압출성형에 의해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랜지(4)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몰딩(10)의 본체부를 이루는 장착부(11)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제2의 양 측벽(13, 14)과, 이들 제1, 제 2의 양 측벽(13, 14)을 일체로 연결하는 꼭대기벽(15)을 가지며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 플랜지부(4a)의 돌출단(5)을 장착부(11)의 개구부로부터 받아들인 상태에서 돌출 플랜지부(4a)에 압입됨으로써, 돌출 플랜지부(접힘편(6)을 포함함)(4a)를 그 양면에서 협지하며, 이것에 의해 플랜지(4)에 벨트몰딩(10)이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1)의 제1측벽(이 실시예 1에서는 차 외측의 측벽)(13)에는, 그 내벽면으로부터 제2측벽(이 실시예 1에서는 차 내측의 측벽)(14)의 내벽면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유지편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측벽(13)의 내벽면에는, 그 개구측 근방에 설편(舌片) 형상의 제1의 탄성 유지편(20)이 제2측벽(14)을 향해서 돌출되어서 형성되며, 안쪽에 설편 형상의 제2의 탄성 유지편(21)이 제2측벽(14)을 향해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11)의 제1측벽(13)에는, 개구부측의 단부로부터 플랜지(4)의 저벽(3)을 향해서 연장 형상으로 돌출하는 탄성 차폐편(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25)은 장착부(11)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그 장착부(11)의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또한 제2측벽(14)을 돌출 플랜지부(4a)측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차 외측의 방향)으로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플랜지(4)의 저벽(3)에 대하여 경사 형상을 이루어 접촉하는 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1)의 제2측벽(14)에는, 제1의 탄성 유지편(20)의 선단위치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의 부분으로부터 제1측벽(13)의 내벽면측을 향해서 횡단면 대략 산 형상을 이루어 돌출하는 돌조부(突條部)(3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조부(30)의 개구측을 향하는 면에는, 제2측벽(14)과의 교차각도(θ)가 예각을 이루는 슬라이드 가이드면(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측벽(14)의 내벽면에는, 돌조부(30)보다도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돌출 플랜지부(4a)의 접힘편(6)의 면에 접촉함으로써 플랜지(4)에 대하여 장착부(11)를 소정의 장착 자세로 위치결정해서 지지하기 위한 위치결정 대좌부(35)가, 돌조부(130)보다도 완만한 횡단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측벽(14)의 선단에는 제1측벽(13)측을 향해서 거의 직각 형상을 이루어 돌출하는 돌출편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플랜지(4)의 계지부(7)에 계합 가능한 계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부(40)의 선단부에는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벗어남 방지 돌기(4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돌출 플랜지부(4a)의 돌출단(5)을 장착부(11)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해서 장착할 때, 우선, 돌조부(30)의 슬라이드 가이드면(31)에 돌출 플랜지부(4a)의 돌출단(5)이 접촉하고 또한 제1의 탄성 유지편(20)의 선단이 돌출 플랜지부(4a)의 제1측벽측의 면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25)의 선단은 플랜지(4)의 저벽(3)과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하며, 또한, 장착부(11) 를 압입해서, 돌출 플랜지부(4a)의 돌출단(5)을 슬라이드 가이드면(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아울러 제1의 탄성 유지편(20)을 제1측벽(13)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조부(30)가 돌출 플랜지부(4a)의 돌출단(5)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계속해서, 장착부(11)를 압입해서, 탄성 차폐편(25)의 선단을 플랜지(4)의 저벽(3)에 접촉시킨 후,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1)를 압입함으로써, 탄성 차폐편(25)을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며 또한 제2측벽(14)의 계합부(40)를 플랜지(4)의 계지부(7)에 계합시켜서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부(11)의 제1의 탄성 유지편(20), 탄성 차폐편(25) 및 돌조부(30)의 각각의 형상, 크기, 배치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1)의 제2측벽(14)의 외벽면(차 내측 측면)에는, 승강 창판(8)을 향해서 돌출함과 아울러 그 승강 창판(8)에 탄접 가능한 단수 또는 상하 복수(이 실시예 1에서는 상하 2개)의 밀봉 립(50, 52)이 일체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밀봉 립(50, 52)의 차 내측의 측면(승강 창판(8)에 접촉하는 면)에는, 식모(植毛)(51, 53)가 형성되거나, 혹은 저마찰층이 형성된다.
또한, 장착부(11)의 제2측벽(14)의 상단과 꼭대기벽(15)과의 경계부분의 외벽면에는 상향 경사 형상으로 돌출하는 설편 형상의 상연 립(55)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제1측벽(13)으로부터 꼭대기벽(15)에 걸친 차 외측의 의장면에는, 의장층(意匠層)(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벨트몰딩(10)의 의장층(16)을 제외하는 장착부(11), 탄성 유지편(20), 제2의 탄성 유지편(21), 탄성 차폐편(25), 돌조부(30), 위치결정 대좌부(35), 계합부(40), 상연 립(55) 및 식모(51, 53)의 부분을 제외하는 밀봉 립(50, 52)은 JISK7215의 듀로미터 경도 HDA로 70 전후의 연질 또는 반경질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 재료를 주체로 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장층(16)은 JISK7215의 듀로미터 경도 HDA로 100 전후의 경질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 재료를 주체로 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 재료는 경량이며 재료 입수가 용이하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벨트몰딩(10)의 장착부(11)에는, 그 두께의 거의 중앙부에 있어서 강성을 갖는 금속판(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코어재(12)가 압출성형과 동시에 매설되며, 이것에 의해 장착부(11)가 소망하는 강성을 갖고 있다.
또한, 제2측벽(14)에 매설되는 코어재(12)의 하단부에는, 계합부(40)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12a)가 직각 형상으로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1에 따른 장척 트림재로서의 벨트몰딩(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2)의 플랜지(4)에 벨트몰딩(10)을 장착하는 경우, 돌출 플랜지부(4a)의 돌출단(5)을 장착부(11)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할 때에, 우선, 탄성 차폐편(25)의 선단은 플랜지(4)의 저벽(3)과의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하고, 또한, 돌조부(30)의 슬라이드 가이드면(31)에 돌출 플랜지부(4a)의 돌출단(5)을 접촉시키며 또한 제1의 탄성 유지편(20)의 선단을 돌출 플랜지부(4a)의 제1측벽측면에 접촉시킨다.
상기 공정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 플랜지부(4a)에 장착부(11)를 압입해서, 돌출 플랜지부(4a)의 돌출단(5)을 슬라이드 가이드면(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아울러 제1의 탄성 유지편(20)을 제1측벽(13)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돌조부(30)가 돌출 플랜지부(4a)의 돌출단(5)을 넘는 위치(돌조부(30)가 접힘편(6)의 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공정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25)의 선단은 플랜지(4)의 저벽(3)과의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한다.
계속해서, 장착부(11)를 압입해서, 탄성 차폐편(25)의 선단을 플랜지(4)의 저벽(3)에 접촉시킨 후, 장착부(11)를 더 압입함으로써, 탄성 차폐편(25)을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며 또한 제2측벽(14)의 계합부(40)를 플랜지(4)의 계지부(7)에 계합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공정 후, 탄성 변형한 탄성 차폐편(25)의 탄발력에 의해, 그 탄성 차폐편(25)을 본래의 형상측으로 복귀시켜서 장착부(11)를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계합부(40)를 계지부(7)측으로 이동시켜서 계합시킨다(도 4참조).
상기 각 공정을 행함으로써, 도어 패널(2)의 플랜지(4)에 대한 벨트몰딩(10)의 장착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 플랜지부(4a)의 돌출단(5)을 돌조부(30)의 슬라이드 가이드면(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압입할 때의 압입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제1의 탄성 유지편(20)을 탄성 변형시킴과 아울러, 제1의 탄성 유지편(20)의 탄성 변형보다도 탄성 차폐편(25)의 탄성 변형을 시간적으로 늦춤으로써, 제1의 탄성 유지편(20)과 탄성 차폐편(25)이 거의 동시에 탄성 변형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탄성 차폐편(25)의 탄성 변형에 필요한 힘의 분량만큼 장착부(11)의 압입력을 경감할 수 있다.
이 결과, 돌출 플랜지부(4a)에 대한 벨트몰딩(10)의 장착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장착 작업시에 벨트몰딩(10)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예측하지 못한 변형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 플랜지부(4a)에 대하여 장착부(11)를, 소정 위치까지 압입해서 탄성 차폐편(25)을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또한 제2측벽(14)의 계합부(40)를 플랜지(4)의 계지부(7)에 계합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탄성 차폐편(25)의 탄발력에 의해 장착부(11)를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플랜지(4)의 계지부(7)에 제2측벽(14)의 계합부(40)를 계합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플랜지(4)에 벨트몰딩(10)을 장착할 수 있으며, 벨트몰딩(10)의 예측하지 못한 위치 어긋남이나 벗어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계합부(40)를 계지부(7)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탄성 차폐편(25)의 탄발력에 더해서 제1의 탄성 유지편(20)(이 실시예 1에서는 탄성 유지편(21)도 포함함)의 탄발력을 작용시킴으로써, 플랜지(4)의 계지부(7)에 제2측벽(14)의 계합부(40)를 보다 한층 확실하게 계합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벨트몰딩(10)의 예측하지 못한 위치 어긋남이나 벗어남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제2측벽(14)의 내벽면에 위치결정 대좌부(35)가 돌출되고, 제2측벽(14)의 내벽면의 돌조부(30)와 위치결정 대좌부(35)가 돌출 플랜지부(4a)의 접힘편(6)의 면에 접촉해서 장착부(11)가 위치결정됨으로써 벨트몰딩(10)을 소정의 장착 자세에 있어서 덜커덩거림 없이 안정적으로 장착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계합부(40)는 제2측벽(14)의 선단이며 또한 제1측벽(13)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편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4)의 계지부(7)를 확실하게 계합시켜서 플랜지(4)에 벨트몰딩(10)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측벽(13)에는, 제1의 탄성 유지편(20)의 안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의 부분에 제2의 탄성 유지편(21)이 제2측벽(14)을 향해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4)에 대한 벨트몰딩(10)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제1측벽(13)의 탄성 유지편(20)의 탄발력에, 그 안쪽에 위치하는 제2의 탄성 유지편(21)의 탄발력이 더해짐으로써, 플랜지(4)에 대한 벨트몰딩(10)의 장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25)은 장착부(11)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그 장착부(11)의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또한 제2측벽 (14)을 돌출 플랜지부(4a)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플랜지(4)의 저벽(3)에 대하여 경사 형상을 이루어 접촉하는 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 차폐편(25)의 탄발력을, 장착부(11)의 압입방향과 반대방향 및 제2측벽(14)을 돌출 플랜지부(4a)측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각각 양호하게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탄성 차폐편(25)의 탄발력에 의해 플랜지(4)에 대하여 벨트몰딩(10)을 안정적으로 양호하게 장착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 5와 도 6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5는 장척 트림재로서의 도어 오프닝 웨더스트립이 차체 패널의 플랜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동(同) 도어 오프닝 웨더스트립을 차체 패널의 플랜지에 장착하는 도중 공정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장척 트림재가 도어 오프닝 웨더스트립(이하, 간단하게 웨더스트립이라고 함)(110)인 경우를 예시하는 것이며, 차체의 도어 개구부를 이루는 차체 패널(102)의 이너 패널(102a)과 아웃터 패널(102b)과의 접합부분에 형성된 플랜지(104)는 근원부(하부)에 굴곡한 저벽(103)과, 선단(105)이 도어 개구부의 중심측을 향해서 돌출한 돌출 플랜지부(104a)를 구비하고 있다.
웨더스트립(110)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TPO), 고무 등의 재료에 의한 압출 성형에 의해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더스트립(110)의 본체부를 이루는 장착부 (111)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제2의 양 측벽(113, 114)과, 이들 제1, 제2의 양 측벽(113, 114)을 일체로 연결하는 꼭대기벽(115)을 가지며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 플랜지부(104a)의 돌출단(105)을 장착부(111)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함으로써, 돌출 플랜지부(104a)를 그 양면에서 협지하며, 이것에 의해 플랜지(104)에 웨더스트립(110)이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11)의 제2측벽(114)에는, 그 내벽면으로부터 제1측벽(113)의 내벽면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유지편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2에 있어서, 제2측벽(114)의 내벽면에는, 그 개구측 근방에 설편 형상의 제1의 탄성 유지편(120)이 제1측벽(13)을 향해서 돌출되어서 형성되며, 안쪽에 설편 형상의 제2의 탄성 유지편(121)이 제1측벽(113)을 향해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11)의 제1측벽(113)에는, 제1의 탄성 유지편(120)의 선단위치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의 부분으로부터 제2측벽(114)의 내벽면측을 향해서 횡단면 대략 산 형상을 이루어 돌출하는 돌조부(13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조부(130)의 개구측을 향하는 면에는, 제1측벽(113)과의 교차각도(θ)가 예각을 이루는 슬라이드 가이드면(1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측벽(113)의 내벽면에는, 돌조부(130)보다도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돌출 플랜지부(104a)의 제1측벽측의 면에 접촉함으로써 돌출 플랜지부(104a)에 대하여 장착부(111)를 소정의 장착 자세로 위치결정해서 지지하기 위한 위치결정 대좌부(135)가 횡단면 대략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111)의 제1측벽(113)에는, 개구부측의 단부로부터 플랜지(104)의 저벽(103)을 향해서 연장 형상으로 돌출하는 설편 형상의 탄성 차폐편(1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2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125)은 장착부(111)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그 장착부(111)의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또한 제2측벽(114)을 돌출 플랜지부(104a)측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플랜지(104)의 저벽(103)에 대하여 경사 형상을 이루어 접촉하는 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 2에 있어서, 돌출 플랜지부(104a)의 돌출단(105)을 장착부(111)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해서 웨더스트립(110)을 장착할 때, 우선, 돌조부(130)의 슬라이드 가이드면(131)에 돌출 플랜지부(104a)의 돌출단(105)이 접촉하고 또한 제1의 탄성 유지편(120)의 선단이 돌출 플랜지부(104a)의 제2측벽측의 면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125)의 선단은 플랜지(104)의 저벽(103)과의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하며, 또한, 장착부(111)를 압입해서, 돌출 플랜지부(104a)의 돌출단(105)을 슬라이드 가이드면(1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아울러 제1의 탄성 유지편(120)을 제2측벽(114)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조부(130)가 돌출 플랜지부(104a)의 돌출단(105)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계속해서, 장착부(111)를 압입해서, 탄성 차폐편(125)의 선단을 플랜지(104)의 저벽(103)에 접촉시킨 후,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11)를 압입함으로써, 탄성 차폐편(125)을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켜서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부(111)의 제1의 탄성 유지편(120), 탄성 차폐편(125) 및 돌조부(130)의 각각의 형상, 크기, 배치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장착상태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125)의 탄발력이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제1의 탄성 유지편(이 실시예 2에서는 제2의 탄성 유지편(121)도 포함함)(120)의 탄발력에 의한 유지력은 탄성 차폐편(125)의 탄발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2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11)의 제1측벽(113)의 외측면에는, 횡단면 중공(中空) 형상의 중공 밀봉부(150)가 발포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고무 등으로 형성되고, 장착부(111)의 제2측벽(14)의 상단과 꼭대기벽(15)과의 경계부분의 외벽면에는 하향 만곡 형상을 이루어 돌출하는 설편 형상의 상연 립(155)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2에 있어서, 웨더스트립(110)의 장착부(111)의 두께의 거의 중앙부에 있어서 강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펀칭 코어재(112)가 압출성형과 동시에 매설되며, 이것에 의해 장착부(111)가 소망하는 강성을 갖고 있다.
이 실시예 2에 따른 장척 트림재로서의 웨더스트립(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따라서, 차체의 도어 개구부를 이루는 차체 패널(102)의 플랜지(104)에 웨더 스트립(110)을 장착하는 경우, 돌출 플랜지부(104a)의 돌출단(105)을 장착부(111)의 개구부로부터 압입할 때에, 우선, 탄성 차폐편(125)의 선단은 플랜지(104)의 저벽(103)과의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하고, 또한, 돌조부(130)의 슬라이드 가이드면(131)에 돌출 플랜지부(104a)의 돌출단(105)을 접촉시키며 또한 제1의 탄성 유지편(120)의 선단을 돌출 플랜지부(104a)의 제2측벽측의 면에 접촉시킨다.
상기 공정 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 플랜지부(104a)에 장착부(111)를 압입해서, 돌출 플랜지부(104a)의 돌출단(105)을 슬라이드 가이드면(1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아울러 제1의 탄성 유지편(120)을 제2측벽(114)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돌조부(130)가 돌출 플랜지부(104a)의 돌출단(105)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공정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125)의 선단과 플랜지(104)의 저벽(103)이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계속해서, 장착부(111)를 압입해서, 탄성 차폐편(125)의 선단을 플랜지(104)의 저벽(103)에 접촉시킨 후, 장착부(111)를 더 압입함으로써, 탄성 차폐편(125)을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상기 공정 후, 탄성 변형한 탄성 차폐편(125)에 본래의 형상측으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탄발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각 공정을 행함으로써, 차체 패널(102)의 플랜지(104)에 대한 벨트몰딩(110)의 장착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 플랜지부(104a)의 돌출단(105)을 돌조부(130)의 슬라이드 가이드면(1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압입할 때의 압입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제1의 탄성 유지편(120)을 탄성 변형시킴과 아울러, 제1의 탄성 유지편(120)의 탄성 변형보다도 탄성 차폐편(125)의 탄성 변형을 시간적으로 늦춤으로써, 제1의 탄성 유지편(120)과 탄성 차폐편(125)이 거의 동시에 탄성 변형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탄성 차폐편(125)의 탄성 변형에 필요한 힘의 분량만큼 장착부(111)의 압입력을 경감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랜지(104)에 대한 웨더스트립(110)의 장착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장착 작업시에 웨더스트립(110)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예측하지 못한 변형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웨더스트립(110)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125)의 탄발력이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때의 제1의 탄성 유지편(이 실시예 2에서는 제2의 탄성 유지편(121)도 포함함)(120)의 탄발력에 의한 유지력은 탄성 차폐편(125)의 탄발력보다도 크기 때문에, 플랜지(104)에 대하여 웨더스트립(110)을 장착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탄성 차폐편(125)을, 그 탄발력에 의해 플랜지(104)의 저벽(103)에 탄접시켜서 플랜지(104)의 저벽(103)과의 사이의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 및 2에 기초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 및 2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각부의 형상, 크기, 재질 등을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또한, 돌조부(30)(또는 130) 및/또는 슬라이드 가이드면(31)(또는 131)에, 돌출 플랜지부(4a)(또는 104a)의 돌출단(5)(또는 105)과의 마찰계수가 작은 저마찰 층을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패널의 플랜지에 작은 압입력으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와 그 장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2)

  1.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제2의 양 측벽과, 이들 제1, 제2의 양 측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꼭대기벽을 가지며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를, 차체 패널의 개구 연단부(緣端部)에 형성되며, 또한 근원부(根元部)에 굴곡한 저벽(底壁)과 선단이 돌출한 돌출 플랜지부와 상기 저벽의 차 내측에 계지부(係止部)를 갖는 플랜지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에서부터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압입하고,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돌출 플랜지부를 그 양면에서 협지해서 상기 플랜지에 장착되도록 한 차량용 장척(長尺) 트림재로서,
    상기 제1측벽에는, 그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제2측벽의 내벽면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유지편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측벽의 개구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의 저벽을 향해서 연장(延長) 형상으로 돌출하는 탄성 차폐편(遮蔽片)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위치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측벽의 내벽면측을 향해서 돌출함과 동시에 개구측에 상기 제2측벽과의 교차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갖는 돌조부(突條部)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조부보다도 개구측 가까이에 위치해서 상기 플랜지의 계지부에 계합 가능한 계합부(係合部)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를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으로부터 압입해서 상기 차량용 장척 트림재를 장착할 때, 우선,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이 상기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이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제1측벽측의 면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탄성 차폐편의 선단은 상기 플랜지의 저벽과의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면은 상기 장착부가 상기 돌출 플랜지부로 압입됨에 따라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과 접촉하며, 상기 돌출단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지편은 상기 장착부가 상기 돌출 플랜지부로 압입됨에 따라 상기 제1측벽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차폐편의 선단은 상기 돌조부가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된 이후에 상기 플랜지의 저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가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완전히 압입되어 상기 제2측벽의 계합부가 상기 플랜지의 계지부에 계합되었을 때, 상기 탄성 차폐편은 상기 압입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가 플랜지에 장착되었을 때에, 탄성 차폐편은 장척 트림재를 상기 장착부의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2측벽의 계합부를 상기 돌출 플랜지부측으로 끌어당겨서 이동시키는 데 충분한 탄발력(彈發力)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측벽의 내벽면에는, 돌조부보다도 개구부측에 가깝게 위치하는 부분에, 돌출 플랜지부의 제2측벽측의 면에 접촉하는 위치결정 대좌부가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합부는 제2측벽의 선단이며 또한 제1측벽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편(突出片)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측벽에는, 탄성 유지편의 안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의 부분에, 제2의 탄성 유지편이 제2측벽을 향해서 돌출되어 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척 트림재는 도어 패널의 상연(上緣)의 플랜지에 장착되는 벨트몰딩을 구성하고, 제2측벽의 외벽면에는, 창판(窓板)을 향해서 돌출함과 아울러 그 창판에 탄접(彈接) 가능한 밀봉 립이 일체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척 트림재는 도어 개구연(開口緣)의 플랜지에 장착되는 도어 오프닝 웨더스트립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차폐편은 장착부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장척 트림재를 그 장착부의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제2측벽을 돌출 플랜지부측으로 끌어들이도록, 플랜지의 저벽에 대해서 경사 형상을 이루어 접촉하는 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13.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제2의 양 측벽과, 이들 제1, 제2의 양 측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꼭대기벽을 가지며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측벽에, 그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제2측벽의 내벽면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유지편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측벽의 개구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의 저벽을 향해서 연장 형상으로 돌출하는 탄성 차폐편이 형성된 차량용 장척 트림재를, 차체 패널의 개구 연단부에 형성되며, 또한 근원부에 굴곡한 저벽과 선단이 돌출한 돌출 플랜지부와 상기 저벽의 차 내측에 계지부를 갖는 플랜지에 장착하는 방법으로,
    상기 차량용 트림재의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위치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측벽의 내벽면측을 향해서 돌출함과 동시에 개구측에 상기 제2측벽과의 교차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갖는 돌조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조부보다도 개구측에 가깝게 위치해서 상기 플랜지의 계지부에 계합 가능한 계합부가 형성되고,
    (a)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를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에서부터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압입하기 시작하는 단계;
    (b) 상기 탄성 차폐편의 선단이 상기 플랜지의 저벽과의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에 접촉시키며 또한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을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제1측벽측의 면에 접촉시키는 단계;
    (c)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에 접촉시키며, 상기 돌출단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탄성 유지편을 상기 제1측벽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기 돌조부를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 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탄성 차폐편의 선단을 상기 플랜지의 저벽에 접촉시킨 후, 상기 장착부를 더 압입함으로써, 상기 탄성 차폐편을 상기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또한 상기 제2측벽의 계합부를 상기 플랜지의 계지부에 계합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탄성 변형한 탄성 차폐편을 그 탄발력에 의해 본래의 형상측으로 복귀시켜서 상기 장착부를 상기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계합부를 상기 계지부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계지부와 계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계합부를 계지부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탄성 차폐편의 탄발력에 더해서 탄성 유지편의 탄발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돌조부가 넘는 시점에서는, 탄성 차폐편의 선단과 플랜지의 저벽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
  16.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제2의 양 측벽과, 이들 제1, 제2의 양 측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꼭대기벽을 가지며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 된 개구부를 갖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를, 차체 패널의 개구 연단부에 형성되며, 또한 근원부에 굴곡한 저벽과 선단이 돌출한 돌출 플랜지부를 갖는 플랜지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에서부터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압입하고,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돌출 플랜지부를 그 양면에서 협지해서 상기 플랜지에 장착되도록 한 차량용 장척 트림재로서,
    상기 제2측벽에는, 그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제1측벽의 내벽면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유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위치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측벽의 내벽면측을 향해서 돌출함과 동시에 개구측에 상기 제1측벽과의 교차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갖는 돌조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측벽의 개구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의 저벽을 향해서 연장 형상으로 돌출하는 탄성 차폐편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를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으로부터 압입해서 상기 차량용 장척 트림재를 장착할 때, 우선,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이 상기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이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제2측벽측의 면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차폐편의 선단은 상기 플랜지의 저벽과의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면은 상기 장착부가 상기 돌출 플랜지부로 압입됨에 따라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과 접촉하며, 상기 돌출단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지편은 상기 장착부가 상기 돌출 플랜지부로 압입됨에 따라 상기 제2측벽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가 상기 돌출 플랜지부로 압입될 때, 상기 탄성 유지편과 상기 돌조부 사이에 상기 돌출 플랜지부를 끼워서 압입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가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완전히 압입되었을 때, 상기 탄성 차폐편은 상기 압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탄발력을 상기 압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시킴과 아울러, 상기 탄성 유지편은 제2측벽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하며, 탄발력을 돌출 플랜지부에 작용시켜서 돌출 플랜지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지편의 탄발력에 의한 유지력은 상기 탄성 차폐편의 탄발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
  22.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제2의 양 측벽과, 이들 제1, 제2의 양 측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꼭대기벽을 가지며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측벽에는, 그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제1측벽의 내벽면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유지편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측벽의 개구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의 저벽을 향해서 연장 형상으로 돌출하는 탄성 차폐편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를, 차체 패널의 개구 연단부에 형성되며, 또한 근원부에 굴곡한 저벽과 선단이 돌출한 돌출 플랜지부를 갖는 플랜지에 장착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위치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측벽의 내벽면측을 향해서 돌출함과 동시에 개구측에 상기 제1측벽과의 교차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갖는 돌조부가 형성되고,
    (a) 상기 장착부의 개구부를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에서부터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압입하기 시작하는 단계;
    (b) 상기 탄성 차폐편의 선단이 상기 플랜지의 저벽과의 사이에 비접촉 상태의 공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상기 돌조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면에 접촉시키며 또한 상기 탄성 유지편의 선단을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제2측벽측의 면에 접촉시키는 단계;
    (c)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에 접촉시키며, 상기 돌출단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탄성 유지편을 상기 제2측벽의 내벽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기 돌조부를 상기 돌출 플랜지부의 돌출단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돌출 플랜지부가 상기 탄성 유지편과 돌조부 사이에 끼워져서 유지되도록 상기 장착부를 더 압입하고, 상기 탄성 차폐편을 상기 플랜지의 저벽에 접촉시켜 상기 압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탄성 변형한 탄성 차폐편에 그 탄발력에 의해 본래의 형상측으로 복귀하려고 하는 탄발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척 트림재의 장착방법.
KR1020060033135A 2005-04-22 2006-04-12 차량용 장척 트림재와 그 장착방법 KR200601113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25000 2005-04-22
JP2005125000A JP4489631B2 (ja) 2005-04-22 2005-04-22 車両用長尺トリム材とその装着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378A true KR20060111378A (ko) 2006-10-27

Family

ID=3713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135A KR20060111378A (ko) 2005-04-22 2006-04-12 차량용 장척 트림재와 그 장착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54149A1 (ko)
JP (1) JP4489631B2 (ko)
KR (1) KR20060111378A (ko)
CN (1) CN1850524B (ko)
CA (1) CA2544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60390B3 (de) * 2006-12-20 2008-02-07 Metzeler Automotive Profile Systems Gmbh Dichtungsprofil, insbesondere zum Abdichten einer Tür gegenüber der 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s
DE202007003837U1 (de) * 2007-03-15 2007-05-24 Meteor Gummiwerke K.H. Bädje GmbH & Co. KG Dichtungsprofil und dieses einbeziehende Dichtungsanordnung
FR2951407B1 (fr) * 2009-10-19 2012-02-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Module d'etancheite et ensemble forme dudit module d'etancheite et d'une porte, vehicule comportant un tel ensemble.
JP5425829B2 (ja) * 2011-03-08 2014-02-26 東海興業株式会社 モールディング
DE102012000703A1 (de) * 2012-01-16 2013-07-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ichteinrichtung
US8789313B2 (en) * 2012-01-30 2014-07-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outer belt molding
US9003709B2 (en) * 2012-04-18 2015-04-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tention clip for outer belt weatherstrip
DE102012023043A1 (de) * 2012-05-10 2013-1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Dichtleiste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Fensterschachtdichtleiste
JP6062746B2 (ja) * 2013-01-21 2017-01-18 片山工業株式会社 車両ドアのベルトラインモール
JP5717784B2 (ja) * 2013-04-19 2015-05-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ウェザストリップ構造
JP2015093501A (ja) * 2013-11-08 2015-05-18 片山工業株式会社 モールディング
JP6462515B2 (ja) * 2015-07-21 2019-01-30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トバックサイド及びシートバックサイド用基材
EP3135518B1 (en) * 2015-07-31 2019-10-30 AGC Inc. Automobile beltline portion sound insulating structure and automobile door glass
CN105799475B (zh) * 2016-05-10 2019-01-2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带装饰亮条的外挡水封条
JP6996512B2 (ja) * 2016-10-05 2022-01-17 Agc株式会社 自動車のベルトライン部遮音構造および自動車用ドアガラス
JP2021046168A (ja) * 2019-09-20 2021-03-2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ドアシール
JP7317755B2 (ja) * 2020-03-19 2023-07-31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のベルトラインシール構造
US20220072937A1 (en) * 2020-09-04 2022-03-10 Toyoda Gosei Co., Ltd. Weather strips having retention features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1644A (ja) * 1984-07-31 1986-02-28 Toyoda Gosei Co Ltd ウエザ−ストリツプ
GB2198773B (en) * 1986-11-25 1990-05-09 Draftex Ind Ltd Sealing arrangements
JP3186551B2 (ja) * 1995-11-06 2001-07-11 豊田合成株式会社 ドアガラスランアウター
CZ298470B6 (cs) * 1996-04-25 2007-10-10 Gdx North America Inc. Lemovací, vodicí a tesnicí páska
US6260254B1 (en) * 1996-07-09 2001-07-17 Decoma International Inc. Integrally formed B-pillar and belt-line window molding
US6141854A (en) * 1996-07-09 2000-11-07 Decoma International Inc. Belt-line window molding
JP4522028B2 (ja) * 2001-09-03 2010-08-11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4054892B2 (ja) * 2002-08-09 2008-03-05 東海興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車内側ウエザースト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54149A1 (en) 2006-11-16
JP4489631B2 (ja) 2010-06-23
CN1850524B (zh) 2011-09-21
CN1850524A (zh) 2006-10-25
JP2006298239A (ja) 2006-11-02
CA2544490A1 (en) 200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1378A (ko) 차량용 장척 트림재와 그 장착방법
JP4054892B2 (ja) 車両用ドアの車内側ウエザーストリップ
KR100924630B1 (ko) 몰딩 부착 구조 및 몰딩 부착용 클립 및 몰딩
US7900993B2 (en) Vehicle door sash structure
JP3878182B2 (ja) 車両のルーフモール装着構造、及び装着用クリップ
JP2002362264A (ja) 車両用外装部材の取付構造
US20070164585A1 (en) Vehicle pillar garnish mounting structure
JP3908676B2 (ja) 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及びその取付構造
JP2004098768A (ja) 車両用インナーベルトモール、及びその取付構造
CN108216069B (zh) 模制装饰带附接结构
US20060021281A1 (en) Glass run
JP2005053287A (ja) 自動車のカウルルーバ装置
WO2006064370A2 (en) Sealing, trimming and finishing strips and vehicle doors incorporating such strips
US20210354538A1 (en) Automotive door sealing member
JP2006205796A (ja) 車両用の移動窓板案内装置
US9358935B2 (en) Roof drip molding attachment
JP6166090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
JP2007261567A (ja) 車両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2002052936A (ja) ドアインナーシールの取付構造
CN111231856A (zh) 挡风雨条、挡风雨条的安装结构、以及挡风雨条的安装方法
JP6016545B2 (ja) ルーフモールの取付構造体
JP4141808B2 (ja) ルーフモールディングの取付構造
US11813993B2 (en) Fastener clip over a carrier
JP2005254904A (ja) モールディング構造
JP2012045961A (ja) 車両用のルーフモール及びその装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