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693B1 -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693B1
KR100811693B1 KR1020070042500A KR20070042500A KR100811693B1 KR 100811693 B1 KR100811693 B1 KR 100811693B1 KR 1020070042500 A KR1020070042500 A KR 1020070042500A KR 20070042500 A KR20070042500 A KR 20070042500A KR 100811693 B1 KR100811693 B1 KR 100811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pedal switch
lock case
fixing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오호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07004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693B1/ko
Priority to US12/111,292 priority patent/US780793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6Three or more serial joints, at least one diverse
    • Y10T403/364Separable intermediate joint
    • Y10T403/366Axially acting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에 대한 페달 스위치의 조립작업이 원터치 삽입방식의 체결로서 달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페달 스위치의 조립후 센싱 로드부와 스토퍼 브라켓의 스토퍼부 사이에 항상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페달 아암의 동작시 작동상태의 검출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1)에 결합되는 락 케이스(10)와,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20) 및,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상기 리턴 스프링(20)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면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부에 페달 스위치(40)의 센싱 로드부(42)를 체결하는 락 로드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pedal switch of automotiv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의 측면도와 이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과 이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의 타측면을 도시한 도면과 이의 종단면도.
도 5는 종래 페달 스위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에 대한 페달 스위치의 조립을 간편하게 함과 더불어 페달 아암에 설치되는 스토퍼부와 일정한 수준의 유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치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에 대한 작동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페달 아암과 인접한 부위에 페달 스위치를 설치하고 있는 바, 상기 페달 스위치는 클러치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시 이를 검출하여 연계된 시스템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 페달 스위치의 설치상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1)의 관통구멍에 페달 스위치(5)의 센싱 로드부(5a)를 삽입한 다음, 2개의 너트(7)를 매개로 상기 센싱 로드부(5a)를 마운팅 브라켓(1)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센싱 로드부(5a)는 페달 아암(도시안됨)에 고정되는 스토퍼 브라켓(3)의 스토퍼부(3a)와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X)을 두고 이격되어야 하므로, 작업자는 상기 2개의 너트(7)에 대한 체결작업의 수정을 통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 대한 상기 센싱 로드부(5a)의 체결위치를 재차 조정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센싱 로드부(5a)를 상기 스토퍼부(3a)로부터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X)으로 이격시키는 것은 페달 아암의 작동후 리턴시 스토퍼부(3a)와 센싱 로드부(5a)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돌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함인 것이다.
따라서, 종래 페달 스위치의 조립공정에서는 스토퍼부(3a)와 센싱 로드부 (5a) 사이의 적정의 스위치 접점간격(X)에 대한 조절작업이 필수적이었고, 그에 따라 조립시 간극조절을 위한 공정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간극의 조절시 작업자가 가지는 숙련도에 따라 스위치 접점간격(X)의 조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해 지는 등의 조립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에 대한 페달 스위치의 조립작업이 원터치 삽입방식의 체결로서 달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페달 스위치의 조립후 센싱 로드부와 스토퍼 브라켓의 스토퍼부 사이에 항상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페달 아암의 동작시 작동상태의 검출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되는 락 케이스와;
상기 락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 및;
상기 락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리턴 스프링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면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부에 페달 스위치의 센싱 로드부를 체결하는 락 로드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락 케이스(10)와 리턴 스프링(20) 및 락 로드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락 케이스(10)는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1)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리턴 스프링(20)은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락 로드링(30)은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20)의 타단부에 의해 탄발지지도록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 페달 아암의 작동여부를 검출하는 페달 스위치(40)의 센싱 로드부(42)를 고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락 케이스(10)와 상기 락 로드링(30)은 모두 중공형상인 실린더형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상기 락 케이스(10)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 형성된 관통구멍(도시안됨)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리턴 스프링(20)은 이의 하단부가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락 로드링(30)은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20)의 상단부에 의해 탄발지지된 상태이면서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락 로드링(30)은 내부에 상기 페달 스위치(40)의 센싱 로드부(42)를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센싱 로드부(42)의 외주면에 형성된 라쳇(42a)과 상호 치합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센싱 로드부(42)는 상기 락 로드링(3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정된 거리만큼만 이동이 가능하게 구속된다.
이를 위해, 상기 락 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 형성 된 관통구멍(도시안됨)에 대한 상기 락 케이스(10)의 고정을 위해 상하로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외측 걸림돌기(12)가 다수로 구비되는 바, 상기 한 쌍의 제1외측 걸림돌기(12)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상/하측 양면부에 각각 밀착되도록 면착되어 상기 마운팅 브라켓(1)상에 상기 락 케이스(1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외측 걸림돌기(12)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외주면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다수로 형성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외측 걸림돌기(12)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외주면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돌기형상의 불연속된 돌출단면부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락 케이스(10)는 상기 락 로드링(30)의 하한 스트로크를 제한하도록 상부에 형성된 절개홈(14)과, 상기 락 로드링(30)의 상한 스트로크를 제한하도록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내측 걸림돌기(16) 및, 상기 리턴 스프링(2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대략 길이방향의 중앙부위에 위치한 내주면에 형성된 안착지지돌기(18)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절개홈(14)과 상기 제1내측 걸림돌기(16)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다수로 형성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홈(14)과 상기 제1내측 걸림돌기(16)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홈형상의 불연속된 트임부의 형태와 돌기형상의 불연속된 돌출단면부의 형태로 각 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지지돌기(18)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다수로 형성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지지돌기(18)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불연속된 돌출단면부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락 로드링(30)은 상기 절개홈(14)에 끼워지는 상측 돌출단(32)과, 상기 제1내측 걸림돌기(16)에 걸려 지지되는 하부의 제2외측 걸림돌기(34) 및, 상기 센싱 로드부(42)와 결합되어 이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제2내측 걸림돌기(36)를 구비하는 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 돌출단(32)과 상기 제2외측 걸림돌기(34) 및 상기 제2내측 걸림돌기(36)는 각각 상기 락 로드링(30)의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불연속된 돌출단면부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내측 걸림돌기(36)의 선단부는 상기 센싱 로드부(42)의 외주면에 전장을 따라 소정의 구간에 걸쳐 연속되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라쳇(42a)과 치합되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내측 걸림돌기(36)는 상기 락 로드링(30)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상하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내측 걸림돌기(36)는 상기 락 로드링(30)의 내주면에서 180°의 위상각을 두고 상/하측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페달 스위치(40)의 센싱 로드부(42)에 대한 위치의 고정 기능과, 상기 락 로드링(30)의 내부에서 상기 센싱 로드부(42)의 좌우 유격을 방지 하는 기능을 각각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내측 걸림돌기(16)의 양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16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락 로드링(30)의 하부에는 상기 제2외측 걸림돌기(34)의 양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16a)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가이드 슬롯(34a)이 형성되어,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상기 락 로드링(30)의 조립시 상기 가이드 돌기(16a)와 상기 가이드 슬롯(34a) 사이의 상호 끼움방식으로의 결합을 통해 상기 락 로드링(30)은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정위치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의 조립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1)의 관통구멍에 락 케이스(10)를 끼워 제1외측 걸림돌기(12)를 매개로 고정한 다음,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리턴 스프링(2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리턴 스프링(20)의 하단부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착지지돌기(18)에 의해 지지된다.
이어,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락 로드링(30)을 삽입하게 되면, 제1내측 걸림돌기(16)와 제2외측 걸림돌기(34)의 걸림작용을 매개로 상기 락 로드링(30)은 락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리턴 스프링(20)의 탄발 지지력을 받은 상태에서 이탈이 억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턴 스프링(20)의 상단부는 상기 락 로드링(30)의 상측 돌출단(32)의 저면부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락 로드링(30)의 내부로 페달 스위치(40)의 센싱 로드부(42)를 삽입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센싱 로드부(42)의 하단부는 페달 아암(도시안됨)에 고정되는 스토퍼 브라켓(3)의 스토퍼부(3a)의 표면에 닿을 때까지 가압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센싱 로드부(42)의 이동 스트로크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절개홈(14)과 상기 락 로드링(30)의 상측 돌출단(32) 사이의 이격거리에 의해서도 규제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 대한 상기 페달 스위치(40)의 조립이 상기 스토퍼 브라켓(3)의 설치전 공정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센싱 로드부(42)의 외주면에 형성된 라쳇(42a)은 상기 락 로드링(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내측 걸림돌기(36)와의 걸림작용에 의해 이탈이 억제된 상태로 구속된다. 이때, 상기 리턴 스프링(20)은 상기 락 케이스(10)의 안착지지돌기(18)와 상기 락 로드링(30)의 상측 돌출단(32) 사이의 공간에서 수축된 상태가 된다.
이어, 상기 페달 스위치(40)에 가해졌던 작용력을 해제하면, 상기 락 로드링(30)은 상기 리턴 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락 로드링(30)의 상한 스트로크는 상기 제1내측 걸림돌기(16)와 제2외측 걸림돌기(34) 사이의 접촉시점까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마운팅 브라켓(1)에 페달 스위치(40)의 조립이 이루어지면, 상기 센싱 로드부(42)의 하단부와 상기 스토퍼부(3a)의 상단부 사이의 유격은 항상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X)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에 의하면,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에 대한 페달 스위치의 조립작업이 원터치 삽입방식의 체결로서 달성될 수 있어, 마운팅 브라켓에 대한 페달 스위치의 조립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페달 스위치의 조립후 센싱 로드부와 스토퍼부 사이에 항상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을 확보할 수 있어, 페달 아암의 동작시 작동상태의 검출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페달 스위치의 센싱 로드부와 스토퍼 브라켓의 스토퍼부 사이에 일정한 수준의 스위치 접점간격이 확보되면, 페달 아암의 작동시 페달 스위치는 보다 정확하게 페달 아암의 작동상태를 검출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페달 스위치와 연계된 차량의 동작상태 검출 시스템에서 보다 안정적인 동작의 구현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1)에 결합되는 락 케이스(10)와;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20) 및;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20)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면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부에 페달 스위치(40)의 센싱 로드부(42)를 체결하는 락 로드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 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에 대한 상기 락 케이스(10)의 고정을 위해 상하로 이격되어 돌출된 한 쌍의 제1외측 걸림돌기(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외측 걸림돌기(12)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다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 케이스(10)는 상기 락 로드링(30)의 하한 스트로크를 제한하도록 상부에 형성된 절개홈(14)과, 상기 락 로드링(30)의 상한 스트로크를 제한하도록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내측 걸림돌기(16) 및, 상기 리턴 스프링(2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안착지지돌기(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14)과 상기 제1내측 걸림돌기(16) 및 상기 안착지지돌기(18)는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다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락 로드링(30)은 상기 절개홈(14)에 끼워지는 상측 돌출단(32)과, 상기 제1내측 걸림돌기(16)에 걸려 지지되는 하부의 제2외측 걸림돌기(34) 및, 상기 센싱 로드부(42)와 결합되어 이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제2내측 걸림돌기(36)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내측 걸림돌기(36)는 상기 센싱 로드부(42)에 형성된 라쳇(42a)과 치합되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내측 걸림돌기(36)는 상기 락 로드링(30)의 내주면에서 상하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락 케이스(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내측 걸림돌기(16)의 양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16a)가 형성되고, 상기 락 로드링(30)의 하부에는 상기 제2외측 걸림돌기(34)의 양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16a)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가이드 슬롯(3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KR1020070042500A 2007-05-02 2007-05-02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KR100811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500A KR100811693B1 (ko) 2007-05-02 2007-05-02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US12/111,292 US7807936B2 (en) 2007-05-02 2008-04-29 Device for mounting a pedal switch to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500A KR100811693B1 (ko) 2007-05-02 2007-05-02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693B1 true KR100811693B1 (ko) 2008-03-11

Family

ID=3939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500A KR100811693B1 (ko) 2007-05-02 2007-05-02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07936B2 (ko)
KR (1) KR1008116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081B1 (ko) * 2008-06-03 2010-07-01 주식회사 인팩 스탑램프 스위치
KR101132201B1 (ko) * 2010-01-08 2012-04-06 (주) 디에이치홀딩스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KR101338436B1 (ko) * 2011-11-10 2013-12-10 (주) 디에이치홀딩스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KR101442049B1 (ko) * 2013-06-19 2014-09-18 주식회사 트루윈 스톱램프스위치 체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351B1 (ko) * 2009-09-01 2012-10-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원터치 스톱램프스위치
JP2014183019A (ja) * 2013-03-21 2014-09-29 Tokai Rika Co Ltd 取付装置
JP7132064B2 (ja) * 2018-10-02 2022-09-06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スイッチ装置
CN113263910B (zh) * 2021-06-30 2022-05-31 北京长安汽车工程技术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踏板位置开关总成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4937A (ja) * 1992-06-02 1993-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ペダルスイッチ
JPH08312624A (ja) * 1995-05-15 1996-11-26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の取付軸及び取付部材
KR970004738B1 (ko) * 1994-10-18 1997-04-03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톱램프 스위치 부착구조
JP2005116446A (ja) * 2003-10-10 2005-04-28 Honda Motor Co Ltd ペダルスイッチにおける夾雑物の付着防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1092A (en) * 1934-12-28 1937-12-07 Gen Electric Liquid contact switch
US2627006A (en) * 1948-07-16 1953-01-27 Gen Motors Corp Switch mounting
US2803728A (en) * 1954-05-14 1957-08-20 Kingston Products Corp Switch mounting
US3273104A (en) * 1964-07-21 1966-09-13 United Carr Inc Electrical connector unit with snap-in fastener means
US3299238A (en) * 1964-09-28 1967-01-17 Indak Mfg Corp Push button switches having wiping contact between a flexible contact blade and an apertured contact member
US4015626A (en) * 1976-01-22 1977-04-05 Thordarson, Inc. Constant flow valve for low flow rates
US4175222A (en) * 1978-01-22 1979-11-20 Buttner Horace Judson Pushbutton switch
GB8705619D0 (en) 1987-03-10 1987-04-15 Triman Ltd Studded footwear
US5534672A (en) * 1995-02-06 1996-07-09 Emerson Electric Co. Multiple plunger pedal switch assembly
JPH09226542A (ja) 1996-02-29 1997-09-02 Suzuki Motor Corp ペダル装置
KR100552189B1 (ko) 2004-06-16 2006-02-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톱 스위치의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4937A (ja) * 1992-06-02 1993-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ペダルスイッチ
KR970004738B1 (ko) * 1994-10-18 1997-04-03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톱램프 스위치 부착구조
JPH08312624A (ja) * 1995-05-15 1996-11-26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の取付軸及び取付部材
JP2005116446A (ja) * 2003-10-10 2005-04-28 Honda Motor Co Ltd ペダルスイッチにおける夾雑物の付着防止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081B1 (ko) * 2008-06-03 2010-07-01 주식회사 인팩 스탑램프 스위치
KR101132201B1 (ko) * 2010-01-08 2012-04-06 (주) 디에이치홀딩스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KR101338436B1 (ko) * 2011-11-10 2013-12-10 (주) 디에이치홀딩스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KR101442049B1 (ko) * 2013-06-19 2014-09-18 주식회사 트루윈 스톱램프스위치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07936B2 (en) 2010-10-05
US20080273921A1 (en)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693B1 (ko)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CN108928278B (zh) 索环
US10351171B2 (en) Steering wheel
USRE47687E1 (en) Damping system for steering wheel
CN110431050B (zh) 转向盘结构
JP6443278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7928332B2 (en) Brake pedal stop lamp switch
US9783083B2 (en) Vehicle seat slide device
KR101560541B1 (ko)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KR101589859B1 (ko) 부품과, 판형 지지 부재 상에 부품을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CN111137240B (zh) 安全气囊模块、及其安装方法和包括其的转向组件
KR20130040171A (ko) 에어백 장치
US10913420B2 (en) Steering wheel
JP6362618B2 (ja) ジャウンスバンパアセンブリ
JP2010202085A (ja)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及びホーンスイッチ機構の締結状態判定方法
KR100811694B1 (ko)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KR101132201B1 (ko)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JP2014113854A (ja) タイヤバルブユニット
JP6031185B2 (ja) 乗り物用座席
JP5781360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端末固定装置
JP2019127129A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WO2016038559A1 (en) Electromechanical switch assembly
JP6406149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WO20120488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fastening a component comprising at least one opening on a carrier part
KR101824403B1 (ko) 자동차용 컵홀더 어셈블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