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859B1 - 부품과, 판형 지지 부재 상에 부품을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부품과, 판형 지지 부재 상에 부품을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859B1
KR101589859B1 KR1020147021622A KR20147021622A KR101589859B1 KR 101589859 B1 KR101589859 B1 KR 101589859B1 KR 1020147021622 A KR1020147021622 A KR 1020147021622A KR 20147021622 A KR20147021622 A KR 20147021622A KR 101589859 B1 KR101589859 B1 KR 10158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otation
gripping
reg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315A (ko
Inventor
옌스 융게바우어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126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16B21/04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with bayonet c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41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B60S1/0447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non-screw fixation, (e.g. snap-in, bayonnet-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8Attachement of separate wiper motor assembly to the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형 지지 부재 상에, 특히 자동차 차체 판금 상에, 파지 기저부(2)를 구비한 부품, 특히 와이퍼 모터 또는 슬라이딩 루프 모터 또는 윈도우 리프터 모터를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부재(6)를 포함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고정 부재(6)는 축부(9)로서 중앙 결합 영역을 포함하고, 이 결합 영역 상에는 한편으로 회전 핸들(11) 또는 공구 부착부를 구비한 지지판(10)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캠 부재(13)가 연결되며, 결합 영역(9)은 외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지 기저부(2)가 그 내부로 맞물리는 파지 홈부(5)를 포함하는 탄성중합체 슬리브(4)에 의해 에워싸인다. 조립된 상태에서, 탄성중합체 슬리브(4)는 지지판(10)과 지지 부재(3) 사이에서 압축되어 그에 따라 탄성 예압되고 고정 부재(6)는 걸림 결합을 위해 회전되는 방식으로, 캠 부재(13)가 지지 부재(3) 내의 보어홀(14)을 통해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탄성중합체 슬리브(4)의 파지 홈부(5) 내로 맞물리는 파지 기저부(2)의 영역은, C자 형태로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파지 홈부(5)의 내경에 부합하게 형성된 환형 형태(8)를 갖는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7)로서 형성된다.

Description

부품과, 판형 지지 부재 상에 부품을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ASSEMBLY COMPRISING A COMPONENT AND A FASTENING SYSTEM FOR FLEXIBLE CONNECTION OF THE COMPONENT ON A PLATE-SHAPED SUPPORT MEMBER}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파지 기저부를 구비한 부품, 특히 와이퍼 모터 또는 슬라이딩 루프 모터 또는 윈도우 리프터 모터와, 판형 지지 부재 상에, 특히 자동차 차체 판금 상에 상기 부품을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어셈블리(WO 03/051690 A1)는, 판형 지지 부재 상에, 특히 자동차 차체 판금 상에, 부품, 여기서는 와이퍼 모터를 탄성 결합하기 위해 이용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축부 형태의 중앙 결합 영역을 구비한 고정 부재가 제공되며, 결합 영역 상에는 한편으로 회전 핸들 또는 공구 부착부를 구비한 지지판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캠 부재가 연결되며, 결합 영역은 외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 홈부(retaining groove)를 포함한 탄성중합체 슬리브에 의해 에워싸인다. 상기 파지 홈부 내로는 부품의 파지 기저부(retaining foot)이면서 환형으로 폐쇄된 상기 파지 기저부가 맞물린다.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 부재 또는 캠 부재는 보어홀(borehole) 내에서 걸림 결합(latching connection)을 위해 회전되고 캠 부재는 배면으로부터 지지 부재의 벽 영역 상에 지지되며 탄성중합체 슬리브는 지지판과 지지 부재 사이에서 압축되어 그에 따라 탄성 예압되는 방식으로, 캠 부재는 지지 부재 내에 열쇠구멍의 유형으로 형성된 보어홀을 통해 삽입된다.
여기서 환형으로 폐쇄된 파지 기저부는 파지 홈부 상에서 분리된 2개 부재형 탄성중합체 슬리브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단일 부재형 탄성중합체 슬리브가 환형으로 폐쇄된 파지 기저부 내로 스냅인 결합되어야 한다. 이 두 가능성은 조립 기술 측면에서 복잡하면서도 비용 집약적이다.
또한, 보어홀 및 캠 부재의 영역에서 회전 방지된 걸림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여기서 보어홀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지지 부재 상의 성형을 통해 제조되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감금 윤곽부(locking contour)가 요구된다. 이는 지지 부재 상에서, 특히 자동차 차체 판금 상에서 추가로 보어홀의 제조를 위해 추가의 복잡한 변형 가공 단계들을 필요로 하며, 그럼으로써 지지 부품 상의 가공 비용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와이퍼 시스템을 위한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추가의 공지된 어셈블리(DE 198 17 289 A1)는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되며, 여기서도 보어홀의 영역에서 지지 부재 상에, 또는 차체 판금 상에 잠금 윤곽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일반적인 어셈블리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슬리브 상에서 파지 기저부의 결합이 더욱 간단하면서도 더욱 경제적으로 실행되도록, 상기 고정 장치를 개량하는 것에 있다. 추가 과제는, 걸림 결합의 형성을 더욱 경제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탄성중합체 슬리브의 파지 홈부 내로 맞물리는 파지 기저부의 영역이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C자 형태로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파지 홈부의 내경에 부합하게 형성된 환형 형태를 갖는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로서 형성된다. 그에 따라 탄성중합체 슬리브 상의 측면에서 대응하는 파지 홈부 내로 파지 기저부를 끼울 수 있는 제공되는 가능성을 통해, 탄성중합체 슬리브는 어느 경우든 단일 부재형으로, 그리고 파지 홈부의 영역에서는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에서의 끼움 가능성을 통해, 상기 단일 부재형 탄성중합체 슬리브에서는, 환형으로 폐쇄된 파지 기저부의 경우 필요한 것과 같은 복잡한 스냅인 결합 과정은 생략된다.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조립은 수월해지고 조립 시간은 바람직하게 감소된다.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의 분리 방지되고 안정된 파지를 위한 마찰 결합 및 형태 결합의 조합을 이용하는, 지지 부재 상에서의 부품의 탄성 결합은, 특히 조립된 상태에서 탄성중합체 슬리브가 탄성 예압된 조건하에서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가 탄성 고정된 방식으로 파지 홈부 내에 수용되어 파지되도록, 파지 홈부 내에 맞물리는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의 재료 두께가 파지 홈부의 홈 폭에 부합하게 형성되는 것을 통해 확보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탄성중합체 슬리브를 압입 및 예압할 때 파지 홈부의 홈 폭도 감소되거나, 또는 오히려 파지 홈부 내에 수용된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가 압착되는 것을 통해 수행된다. 파지 홈부의 벽들과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 사이의 높은 마찰과 함께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의 C자 형태를 통해, 분리 방지되고 안정된 파지가 달성된다.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캠 부재 상에는 하나 이상의 캠부가 형성되고, 회전 후에는 보어홀을 에워싸는 지지 벽 영역과의 형태 결합식 관통 결합부(through-connection)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할 때 캠 부재가 경사 활주(sloped sliding)를 통해 계속해서 보어홀 안쪽으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지지판과 지지 부재 사이의 길이 단축을 통해 계속하여 지지 부재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하는 탄성중합체 슬리브 내에서 예압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캠 부재 상에는, 하나 이상의 활주 경사부를 포함한 잠금 윤곽부가 형성된다. 또한, 잠금 윤곽부는, 보어홀 내에서 회전 방지식 포착(catch)을 위해 활주 경사부의 극복 후에 회전 최종 위치에서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회전 정지부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캠 부재 상에 상대적으로 복잡한 잠금 윤곽부와 함께 캠 형태를 형성하지만, 지지 부품 상에는 형성하지 않는 점이 제안된다. 고정 부재를 제조할 때, 자체의 캠 형상부들을 구비한 캠 부재는 잠금 윤곽부와 함께 특히 사출 성형 방법으로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잡한 잠금 윤곽부의 제조는 사출 성형 공정에서 거의 추가 비용 없이 수행된다. 이 경우, 지지 부재, 예컨대 차체 판금 상에는, 추가의 변형 가공 단계들 없이, 특히 천공 구멍으로서 단순한 보어홀만이 제공되기만 하면 되며, 이는 지지 부재에 대한 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회전 방지식 포착을 위해, 잠금 윤곽부는 회전 삽입 정지부뿐 아니라 역회전 정지부도 포함하고, 역회전 정지부는 활주 경사부의 단부에서 리세스를 통해 형성되고 그 정지 위치에서는 예압된 탄성중합체 슬리브의 축 방향 탄성력을 통해 파지되는 점이 제안된다.
하기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의 캠 개구부를 포함한 보어홀을 이용한 구체화된 실시예가 기술된다. 이 경우, 보호 범위는, 캠부들, 활주 경사부들, 회전 정지부들, 및 지지 이음판들을 이용한 결합의 명시된 작동 원리가 이용되는 점에 한해, 예컨대 2개 또는 5개의 캠 개구부를 포함하는 대체되는 보어홀 형상들에도 적용된다. 4개의 캠 개구부를 포함한 실시예의 경우, 지지 부재 상의 보어홀은 최소 지름을 갖는 중앙 개구부 영역을 포함하며, 중앙 개구부로부터 4개의 캠 개구부가 측면으로 돌출되고, 4개의 캠 개구부 중 각각 2개의 캠 개구부는 반사 대칭으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캠 개구부들은 그 사이에 위치하는 4개의 지지 이음판을 통해 분리된다. 4개의 캠 개구부를 통해서는, 캠 부재 상에 돌출되고 그에 상응하게 형성된 4개의 캠부가 통과될 수 있다. 캠부 상면 상에는 각각, 지지 부재의 재료 두께보다 약간 더 큰 슬롯 폭을 보유하여 반경 방향에서 안쪽 방향으로 향하는 회전 슬롯(rotating slot)이 연장된다. 그 결과로, 회전 슬롯들 또는 할당된 캠부들이 고정 부재의 회전 후에 지지 이음판들의 영역에 위치하고, 이 지지 이음판들은 고정 부재가 상승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캠부들에 의해 안쪽에서 고정되도록, 캠 부재는 자체의 캠부들로 보어홀과 일치하는 점에서 지지 부재의 아래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캠 개구부들은, 예컨대 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하는 방식으로 할당된 캠부의 조립만이 수행될 수 있도록 치수 설계될 수 있다.
한 추가 구현예에서, 회전 슬롯들의 회전 삽입 방향으로는, 고정 부재를 회전 삽입할 때 탄성중합체 슬리브의 증가하는 예압을 위해 각각 상승하는 활주 경사부가 위치한다. 회전 슬롯 및 상승하는 활주 경사부와 함께, 활주 경사부의 후방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 정지부가 제공되며, 이 회전 정지부는 회전 삽입 방향에서 회전을 제한하면서, 회전 최종 위치에서는 지지 이음판 상에서 측면으로 지지된다. 그에 따라 회전 삽입 방향에서 회전 방지식 지지가 보장된다.
또한, 회전 삽입 방향에서 회전 슬롯은, 마찬가지로 회전 최종 위치에서 작용하는 역회전 정지부에 의해 범위 한정된다. 이 경우, 역회전 정지부는, 단차 측벽부가 회전 최종 위치에서 예압된 탄성중합체 슬리브의 탄성력에 의해 캠 개구부 내로 인입되어 측면에서 역회전 지지를 위해 지지 이음판 상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삽입 방향으로 형성된 단차형 리세스를 통해 형성된다. 그에 따라, 결합은 역회전 방향에서도 회전 방지 방식으로 유지된다. 결합의 풀림은, 명백하게, 역회전 정지부가 그 잠금 고정 위치에서 다시 역회전될 수 있을 정도로 탄성중합체 슬리브가 그 탄성력에 대항하여 다시 압축되는 정도의 힘이 삽입 방향으로 고정 부재 상에 가해질 때에만 가능할 수 있다. 명백하게, 고정 장치는, 역회전 방지를 다시 해제할 수도 있는 힘이 작동 중에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치수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탄성중합체 슬리브는 고무 슬리브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캠 부재와 탄성중합체 슬리브 사이의 영역에서, 예압된 탄성중합체 슬리브로부터 지지 부재 쪽으로 만곡될 수 있는 플레이트가 지지판과 비교하여 더 작은 지름을 갖는 스페이서 플레이트로서 고정 부재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 플레이트는 조립 보조 수단으로서, 특히 끼워진 탄성중합체 슬리브를 위한 예비 조립 파지부(pre-assembling holder)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재료를 절약하고 중량을 줄이기 위해, 고정 부재는 중앙 중공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되는 실시예들에 대체되거나 추가되는 방식으로, 하기 개선예들도 본 발명에 함께 포함된다. 따라서,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의 C자 형태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환형 형태는 배제될 수 있으며, 그 대신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는 폐쇄된 환형 윤곽부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의 스페이서 플레이트는 탄력적으로 쉽게 휘어지는 방식으로, 또는 탄력적으로 판형 지지 부재 상에 지지될 수 있는 추가 윤곽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캠 부재 상에 형성된 캠부들은, 스페이서 플레이트와 관련하여, 서로 상이한 간극 높이(clearance height)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플레이트는 판형 지지 부재의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 캠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의 외부 윤곽부는, 반경 방향에서 지지 부재 내 보어홀을 이용한 공차 보상이 가능해지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따라서 계속해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된 고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단선 B-B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르는 고정 장치의 고정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르는 고정 부재의 하부 캠 부재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르는 고정 장치의 탄성중합체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고정할 부품 상에서 도 1에 따르는 파지 기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보어홀을 포함한 도 1에 따르는 지지 부재로서의 차체 판금의 원형 섹션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추가 실시예의 고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는, 지지 부재로서의 차체 판금(3) 상에 (더 이상 도시되지 않은) 부품, 특히 와이퍼 모터의 파지 기저부(2)를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외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 홈부(5)를 구비한 탄성중합체 슬리브(4)가 이용된다. 탄성중합체 슬리브(4)는 고정 부재(6)에 의해 차체 판금(3) 상에 회전 걸립 결합으로 축 방향으로 예압된 상태로 파지된다. 탄성중합체 슬리브(4)는 도 6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7로부터는, 파지 기저부(2)가 C자 형태이고 부분적으로 개방되며 파지 홈부의 내경에 부합하게 형성된 환형 형태(8)를 구비하여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7)로서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파지 기저부(2)와 탄성중합체 슬리브(4)의 결합을 위해, 파지 기저부는 파지 홈부(5) 내로 측면에서 삽입된다.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7)의 영역에서 재료 두께는, 파지 홈부(5)의 홈 폭과 비교하여, 특히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C자 형태에 추가로 축 방향에서 탄성중합체 슬리브(4)의 예압으로 인한 형태 결합이 압축 결합을 통해 형성되도록 선택된다.
차체 판금(3) 상에서 탄성중합체 슬리브(4)의 고정 및 축 방향 예압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부재(6)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고정 부재는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제조되고 결합 영역으로서 중앙 원통형 축부(9)를 포함하며, 상기 축부 상에 탄성중합체 슬리브(4)가 끼워진다. 축부(9) 상에는 상부 방향으로 회전 핸들(11)을 구비한 지지판(10)이 연결되고, 지지판(10)은 상부로부터 탄성중합체 슬리브(4) 상에 안착된다. 하부 방향으로 향해, 축부(9) 상에는, 지지판(10)에 상대적으로 더 협폭인 스페이서 플레이트(12)와 캠 부재(13)가 연결되며, 캠 부재는 세부 사항의 더욱 나은 도해를 위해 도 5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대체되는 방식으로, 축 방향으로의 조립도 가능할 수 있지만, 그러나 이는 분리된 탄성중합체 슬리브(4) 및 분리된 회전 핸들(11)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사출 성형 부품 대신, 다이캐스팅 부품, 압착 성형 부품 또는 열간 압축 부품도 이용될 수 있다.
캠 부재(13)는 회전 걸림 결합의 형성을 위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차체 판금(3) 상에 천공된 보어홀(14) 내로 맞물린다. 보어홀(14)은 여기서 최소 지름(16)을 갖는 중앙 개구부 영역(15)을 포함하고, 이 중앙 개구부 영역으로부터 4개의 캠 개구부(17, 17'; 18, 18')가 측면으로 돌출되며, 각각 2개의 캠 개구부(17, 17'; 18, 18')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각각 반사 대칭으로 대향하여 위치한다. 이 경우, 캠 개구부들은 그 사이에 위치하는 4개의 지지 이음판(19, 19'; 20, 20')을 통해 이격되고 분리된다.
4개의 캠 개구부(17, 17'; 18, 18') 내로는, 캠 부재(13)의 4개의 캠부이면서 상응하는 삽입 윤곽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할당된 상기 4개의 캠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도 5에는 캠 개구부(17')에 할당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제1 캠부(21) 및 캠 개구부(18')에 할당된 (상대적으로 더 큰) 제2 캠부(2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캠부들(21, 22)에 반사 대칭으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또 다른 (도 5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두 캠부도 동일하게 구성된다.
특히 도 2 및 도 3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것처럼, 고정 부재(6)는 중공 보어(23)를 포함하고, 축부는 보어홀(14)의 최소 지름(16)에 상응하는 외경을 보유하면서 하부 방향을 향해 캠부 영역으로 연장되며, 축부로부터는 캠부들(21, 22)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하부 단부 영역 상에서 삽입 경사부들(24)을 구비한 캠 부재(13)는 가늘어진다. 스페이서 플레이트(12)와 캠부들(21, 22) 사이에서는 각각 최소 지름(16)에 이르기까지 반경 방향으로 안쪽 방향으로 안내되는 회전 슬롯(25, 26)이 연장된다. 회전 삽입 방향(화살표 27)에서 캠부들(21 및 22) 상에는 각각 회전 슬롯들(25, 26)이 개시될 때까지 각각 활주 경사부(28, 29)가 위치한다. 회전 삽입 방향(27)과 관련하여, 회전 슬롯(25)의 단부 상에는 회전 삽입 정지부(30)가 위치하며, 이 회전 삽입 정지부는 회전 최종 위치에서, 결과적으로 회전 슬롯(26) 내에서 수용되는 지지 이음판(20')의 측면 가장자리 상에서 지지된다. 역회전 정지부(31)는, 단차 측벽부가 회전 최종 위치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예압된 탄성중합체 슬리브(4)의 축 방향 탄성력을 통해 할당된 캠 개구부 내로 인입되어 그 위치에서 캠 개구부 가장자리 상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캠부(21) 상에서 단차형 리세스를 통해 형성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명백하게 회전 슬롯(26)의 축 방향 폭은, 대략 차체 판금(3)의 재료 두께에 상응하는 회전 슬롯(25)의 축 방향 폭보다 더 크다. 이 경우, 역회전 정지부(31) 상의 단차형 리세스의 영역에서 회전 슬롯(25)의 반경 방향 폭은 회전 슬롯(26)의 폭에 상응한다.
도 2의 단면 A-A는 명백하게 정지부들(30, 31)의 외부에서 도시된 것이며, 캠부들(21, 22)은, 그 캠부 상면(32)으로 또는 회전 슬롯들(25, 26)의 하부 벽부로, 하부로부터 차체 판금(3) 상에 지지된다. 그와 반대로, 도 3에 따른 단면 B-B는 정지부들(30, 31)의 영역에서 도시된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중합체 슬리브(4)를 압축하기 위한 높이 조정을 위한 고정 부재(6) 상에서의 유효 치수(significant measure)(화살표 33)는, 차체 판금(3)의 재료 두께를 포함하는, 지지판(10)의 하면과 캠부 상면(32) 사이의 길이이다.
그에 따라, 고정 장치(1)의 조립 시, 장착된 탄성중합체 슬리브(4)를 포함한 고정 부재(6)는 캠 부재(13)로 차체 판금(13)의 보어홀(14)을 통해 삽입된다. 그 다음 회전을 통해, 활주 경사부들(28, 29) 상에서 활주를 통해 탄성중합체 슬리브(4) 내에서 지속적인 압축 및 예압의 생성이 수행될 뿐 아니라 회전 방지가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끼워진 파지 기저부와 부품의 완충을 포함한 고정이 가능해지고, 고정은 자동으로 풀리지 않도록 보장된다.
도 9에는, 한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고정 부재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고정 부재의 구성 및 작동 원리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 내용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도 9에서 스페이서 플레이트(12)는 축 방향에서 차체 판금(3)의 방향으로 돌출된 추가 지지 캠부들(34)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캠부들은 축 방향 안정화를 위해 이용되면서 힘 적용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 8에서 고정 부재(6)는 축 방향으로 삽입 원추부(35)(insertion cone)로 연장된다. 도 9에 도시된 캠부들(21, 22)은 조립 동안 공정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서로 상이한 높이를 보유한다.

Claims (13)

  1. 파지 기저부(2)를 구비한 부품과, 판형 지지 부재 상에 상기 부품을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부재(6)를 구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로서,
    상기 고정 부재(6)는 축부(9)로서 중앙 결합 영역을 포함하고, 이 결합 영역 상에는 한편에는 회전 핸들(11) 또는 공구 부착부를 구비한 지지판(10)이, 그리고 다른 한편에는 캠 부재(13)가 연결되며, 상기 결합 영역(9)은 외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지 기저부(2)가 그 내부로 맞물리는 파지 홈부(5)를 포함한 탄성중합체 슬리브(4)에 의해 에워싸이며,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6)는 걸림 결합을 위해 회전되고 상기 탄성중합체 슬리브(4)는 상기 지지판(10)과 지지 부재(3) 사이에서 압축되어 그에 따라 탄성 예압되는 방식으로, 상기 캠 부재(13)가 상기 지지 부재(3) 내의 보어홀(14)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슬리브(4)의 파지 홈부(5) 내로 맞물리는 상기 파지 기저부(2)의 영역은, C자 형태로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상기 파지 홈부(5)의 내경에 부합하게 형성된 환형 형태(8)를 갖는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7)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홈부(5)의 홈 폭과 상기 파지 홈부(5) 내로 맞물리는 상기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7)의 재료 두께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중합체 슬리브(4)가 탄성 예압된 조건하에서 상기 파지 기저부 플러그 부재(7)가 탄성 고정된 방식으로 상기 파지 홈부(5) 내에 수용되어 파지되도록, 상호 간에 부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13) 상에, 상기 보어홀(14)을 에워싸는 지지 벽 영역과 회전 후에 형태 결합식 관통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캠부(21, 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할 때 상기 캠 부재(13)가 경사 활주를 통해 계속해서 상기 보어홀(14) 안쪽으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지지판(10)과 상기 지지 부재(3) 사이의 길이 단축을 통해 상기 지지 부재(3)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하는 탄성중합체 슬리브(4) 내에서 예압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캠 부재(13) 상에 하나 이상의 활주 경사부(28, 29)를 포함한 잠금 윤곽부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 윤곽부는, 상기 보어홀(14) 내에서 회전 방지식 포착을 위해 상기 활주 경사부(28, 29)의 극복 후에 회전 최종 위치에서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회전 정지부(30, 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윤곽부는 회전 정지부(30)뿐 아니라 역회전 정지부(31)도 포함하고, 상기 역회전 정지부(31)는 상기 활주 경사부(28)의 단부 상에서 리세스를 통해 형성되어 그 정지 위치에서 예압된 탄성중합체 슬리브(4)의 축 방향 탄성력을 통해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3) 상의 상기 보어홀(14)은 최소 지름(16)을 갖는 중앙 개구부 영역(15)을 포함하며, 이 중앙 개구부 영역으로부터는 4개 이상의 캠 개구부(17, 17', 18, 18')가 측면으로 돌출되며, 4개의 캠 개구부(17, 17', 18, 18') 중에서 각각 2개의 캠 개구부는 반사 대칭으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캠 개구부들은 그 사이에 위치하는 4개의 지지 이음판(19, 19', 20, 20')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4개 이상의 캠 개구부(17, 17', 18, 1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캠 개구부(17, 17', 18, 18')를 통해서는 상기 캠 부재(13)의 캠부이면서 그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할당된 캠부들(21,22)이 통과될 수 있으며, 상기 캠부들의 상면(32) 상에는 반경 방향에서 안쪽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회전 슬롯(25, 26)이 연장되며, 이 회전 슬롯은 상기 고정 부재(6)의 회전 후에 지지 벽 영역을 내포하고, 상기 지지 이음판들(19, 19', 20, 20')의 영역 내에 위치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지지 이음판들은 상기 고정 부재(6)가 상승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캠부들(21, 22)에 의해 안쪽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회전 방향(27)으로 회전 슬롯(25, 26)은 상기 탄성중합체 슬리브(4) 내에서 예압을 생성하기 위한 상승하는 활주 경사부(28, 29)를 각각 포함하고, 회전 슬롯(26)은 회전 방향에서 회전 정지부(30)에 의해 범위 한정되고, 이 회전 정지부는 회전 최종 위치에서 캠 개구부 가장자리 상에서 측면으로 지지되며, 회전 슬롯(25)은 회전 방향(27)에서 역회전 정지부(31)에 의해 범위 한정되고, 이 역회전 정지부는, 단차 측벽부가 회전 최종 위치에서 예압된 탄성중합체 슬리브(4)의 탄성력을 통해 캠 개구부 내로 인입되어 측면에서 역회전 지지를 위해 캠 개구부 가장자리 상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삽입 방향으로 형성된 단차형 리세스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6)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이고, 상기 탄성중합체 슬리브(4)는 고무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13) 위쪽의 영역에, 예압된 탄성중합체 슬리브(4)로부터 측면으로 만곡될 수 있는 스페이서 플레이트(1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6)는 중앙 중공 보어(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파지 기저부(2)를 구비한 부품은 와이퍼 모터, 슬라이딩 루프 모터 또는 윈도우 리프터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지지 부재는 자동차 차체 판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3. 제6항에 있어서, 4개의 캠 개구부가 지름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KR1020147021622A 2012-01-25 2013-01-14 부품과, 판형 지지 부재 상에 부품을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KR101589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01457.0 2012-01-25
DE102012001457A DE102012001457A1 (de) 2012-01-25 2012-01-25 Befestigungssystem
PCT/EP2013/050556 WO2013110520A1 (de) 2012-01-25 2013-01-14 Befestigung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315A KR20140126315A (ko) 2014-10-30
KR101589859B1 true KR101589859B1 (ko) 2016-01-28

Family

ID=4760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622A KR101589859B1 (ko) 2012-01-25 2013-01-14 부품과, 판형 지지 부재 상에 부품을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2257B2 (ko)
EP (1) EP2807383B1 (ko)
KR (1) KR101589859B1 (ko)
CN (1) CN104136787B (ko)
DE (1) DE102012001457A1 (ko)
WO (1) WO2013110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7127A1 (de) * 2015-05-07 2016-11-10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Belaghalter einer Bremsbelaghalterung und Bremsbelaghalterung
KR101706713B1 (ko) * 2015-06-22 2017-02-15 동부라이텍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장치
KR102581997B1 (ko) 2015-12-22 2023-09-21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두 개의 마주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지지구
CN106240320A (zh) * 2016-08-23 2016-12-21 长安马自达汽车有限公司 底部安装式天窗的定位和预装配结构
US10202085B2 (en) * 2016-08-25 2019-02-12 Aplix Fastener
FR3067311B1 (fr) * 2017-06-09 2019-07-19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fixation pour un systeme de tringlerie d’actionnement d’essuie-glaces
DE102018207973A1 (de) 2018-05-22 2019-11-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system, Verfahren zur Befestigung, Verfahren zur Montage und Kraftfahrzeug
DE102018128481A1 (de) * 2018-11-14 2020-05-14 Kiekert Aktiengesellschaft Lager zur befestigung eines bauteils in einem kraftfahrzeug
CN109514883B (zh) * 2018-11-21 2021-02-05 台州一帆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壁管滚筒模具
CN109649669B (zh) * 2018-12-26 2022-03-18 成都优艾维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无人机的旋转自锁探针连接结构
USD969418S1 (en) * 2020-07-13 2022-11-08 Pagerie, Llc Turnlock
USD1016659S1 (en) 2021-08-19 2024-03-05 Pagerie, Llc. Accessory chain
FR3137948A1 (fr) 2022-07-13 2024-01-19 A. Raymond Et Cie dispositif de fix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1690A1 (de) 2001-12-19 2003-06-26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mit befestigungsteil
DE102009003067A1 (de) 2009-05-13 2010-11-18 Robert Bosch Gmbh Befestigungs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01A (en) 1860-12-04 Machine for stretching cloth
USRE30801E (en) * 1971-05-11 1981-11-24 Rexnord Inc. Detachable quarter-turn blind hole fastener
US4442571A (en) * 1982-08-04 1984-04-17 Dzus Fastener Co., Inc. Self-ejecting fastener stud
US4647262A (en) * 1985-02-15 1987-03-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emovable expanding fastener
DE3535719C1 (de) * 1985-10-05 1986-09-04 Audi AG, 8070 Ingolstadt Befestigungsanordnung
US5123795A (en) * 1990-08-29 1992-06-23 Donaldson Company, Inc. Quarter turn fastener
US5511919A (en) * 1992-11-03 1996-04-30 Scalise; Dane C. Locking fastener
US5368427A (en) * 1993-02-08 1994-11-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arter turn fastener
DE19817289B4 (de) 1998-04-18 2010-08-19 Valeo Wischersysteme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Wischanlag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CA2270085A1 (en) * 1999-04-23 2000-10-23 Constantinos J. Joannou Latch fastener mechanism for thin sheet materials
DE10035476A1 (de) * 2000-07-21 2002-02-14 Valeo Auto Electric Gmbh Wischanlage für eine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DE10155269A1 (de) * 2001-11-09 2003-05-22 Valeo Auto Electric Gmbh Wischanlage für eine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FR2851802B1 (fr) * 2003-02-27 2007-08-17 Itw De France Attache pour l'assemblage et l'entretoisage de pieces
DE10327858A1 (de) * 2003-06-18 2005-01-05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6955515B2 (en) * 2003-12-09 2005-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cking turn pin
EP1568897B1 (en) 2003-12-19 2007-07-18 Southco UK Limited One part receptacle for a fastener
DE102004005067A1 (de) * 2004-02-02 2005-08-18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09040A1 (de) * 2004-02-23 2005-09-08 Valeo Systèmes d`Essuyage Scheibenwischanlage für Fahrzeuge sowie Befestigungselement für eine solche Anlage
US7240778B2 (en) * 2004-08-06 2007-07-10 Umagination Labs, L.P. Personalizing luggage
US7281303B2 (en) * 2005-04-28 2007-10-16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assembly
DE102005046631A1 (de) * 2005-09-29 2007-04-05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Schwingungen dämpfenden Aufhängung eines Aggregats
FR2894304A1 (fr) * 2005-12-05 2007-06-08 Raymond Et Cie Soc En Commandi Dispositif d'assemblage de deux plaques
DE102006020697B3 (de) 2006-05-04 2007-04-26 A. Raymond Et Cie Drehverschluss
JP4806385B2 (ja) * 2007-11-05 2011-11-02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DE102008014043B4 (de) * 2008-03-13 2017-10-19 Volkswagen Ag Wischermotorbefestig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Wischermo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1690A1 (de) 2001-12-19 2003-06-26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mit befestigungsteil
DE102009003067A1 (de) 2009-05-13 2010-11-18 Robert Bosch Gmbh Befestigungs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315A (ko) 2014-10-30
US20140334870A1 (en) 2014-11-13
DE102012001457A1 (de) 2013-07-25
CN104136787B (zh) 2016-06-08
WO2013110520A1 (de) 2013-08-01
EP2807383A1 (de) 2014-12-03
EP2807383B1 (de) 2020-06-10
CN104136787A (zh) 2014-11-05
US9482257B2 (en)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859B1 (ko) 부품과, 판형 지지 부재 상에 부품을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US8572818B2 (en) Connecting assembly for fastening an add-on element on a carrier
KR101074444B1 (ko) 캐리어 요소에 대한 부착 요소의 체결용 연결 어셈블리
US8322001B2 (en) Fastening device
US8950043B2 (en) Connecting assembly
CN106979201B (zh) 具有漏斗引导件的紧固件夹具组件
US8720847B2 (en) External articulation mechanism with a noise-dampening support element
CN110651129B (zh) 调节单元和用于部件的调节方法以及可调节连接结构
US20110290969A1 (en) Integral clip of plastic material
KR102406128B1 (ko) 차량용 체결 클립 및 그 장착 방법
US7807936B2 (en) Device for mounting a pedal switch to a vehicle
KR20170017793A (ko) 자동차용 유압 클러치 작동 시스템을 위한 유압 실린더, 특히 슬레이브 실린더
KR20070098836A (ko)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US7699555B2 (en) Mounting assembly with releasable lock
US20090260201A1 (en) Connecting assembly for fastening an add-on element on a carrier element
US11280390B2 (en) Vehicle device with a spindle/nut arrangement and with an anti-rotatio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 anti-rotation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such a vehicle device
EP1398445A1 (en) Adjustable elastic stop device for a vehicle wing
EP3751157A1 (en) Adjustable stopper with locking ring
EP3038861B1 (en) Socket joint with integrated tube anchors
KR101130653B1 (ko) 캡티브 스크류
CN105102830A (zh) 用于将部件紧固在载体部件上的系统
KR20160043982A (ko) 래칫 프리 휠
CN104242541B (zh) 传动-驱动装置
US11635184B2 (en) Blind boss ball socket assembly
CN215284650U (zh) 饰板结构、车身结构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