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230A - 차량 조향 시스템용 조향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 조향 시스템용 조향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230A
KR20200052230A KR1020190139502A KR20190139502A KR20200052230A KR 20200052230 A KR20200052230 A KR 20200052230A KR 1020190139502 A KR1020190139502 A KR 1020190139502A KR 20190139502 A KR20190139502 A KR 20190139502A KR 20200052230 A KR20200052230 A KR 20200052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member
airbag module
mounting plate
steering
steer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 펑크
마르크 프리에스
마르쿠스 하스
Original Assignee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세이프티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세이프티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세이프티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5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조향 시스템용 조향 어셈블리(10)에 관한 것으로, 조향 어셈블리(10)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 후크(12)를 포함하는 제1 결합 부품, 특히, 에어백 모듈(16), 및 사전-정착 스프링 부재(14)를 포함하는 제2 결합 부품, 특히, 장착 플레이트(18)를 포함하며, 2개의 결합 부품은 스프링 부재(14)의 일부가 고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래치 후크(12) 뒤에 결합되어 결합 부품들이 상호 연결될 때까지 장착 축선(A)을 따라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고, 스프링 부재(14)는, 상기 스프링 부재(14)가 크게 이완되어 적어도 하나의 래치 후크(12) 뒤에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상기 스프링 부재(14)가 수축되어 장착 축선(A)에 대해 횡방향으로 래치 후크(12)로부터 이격된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결합 부품은 해제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14)를 고정하기 위한 유지 부재(2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조향 시스템용 조향 어셈블리{STEERING ASSEMBLY FOR VEHICLE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 및 조향 휠 상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용 조향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 탑승자를 구속하기 위한 전방 에어백 모듈은 일반적으로 조향 휠의 허브 영역에서 운전자 측에 배치되어서, 차량 충돌 후 모듈이 활성화될 때 에어백이 전방에 전개되어 차량 탑승자를 보호한다.
장착 방법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에어백 모듈이 없는 조향 휠이 먼저 조향 칼럼에 고정되고, 이어서 에어백 모듈이 조향 휠 허브에 연결되며, 특히, 조향 휠 허브에 래칭된다. 래칭은 유리하게는 임의의 공구가 필요하지 않고 에어백 모듈을 쉽고 안정적이며 매우 빠르게 장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래칭에 의해 에어백 모듈의 충분히 신뢰성 있고 견고한 체결을 보장하기 위해, 조향 칼럼 축선에 대해 상당한 축선 방향 장착력이 가해져야 한다. 산업 조립 라인에서의 연속적인 장착 작업에서, 이는 높은 물리적 하중 및 담당하는 조립자의 빠른 피로를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모듈과 차량 조향 휠 사이의 래칭 연결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장착력이 특히 작은 조향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차량 조향 시스템용 조향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조향 어셈블리는, 제1 결합 부품, 특히, 적어도 하나의 래치 후크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 및 제2 결합 부품, 특히, 사전-조립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결합 부품들은 스프링 부재의 일부가 고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래치 후크 뒤에서 결합되어 결합 부품들이 상호 연결될 때까지 장착 축선을 따라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하고, 스프링 부재는 스프링 부재가 크게 이완되어 적어도 하나의 래치 후크 뒤에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스프링 부재가 수축되어 장착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래치 후크로부터 이격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제2 결합 부품은 스프링 부재를 해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종래의 조향 어셈블리에서, 래치 후크는 일반적으로 래치 러그를 포함하고, 스프링 부재를 수축시키기 위한 경사 표면이 래치 러그의 후방에 제공된다. 에어백 모듈을 축선 방향의 장착 방향으로 공급할 때, 결합 위치로 다시 스냅되어 래치 후크의 뒤에 결합되기 전에 스프링 부재는 처음에 래치 러그의 후방에 수축되어 있다. 조향 휠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할 때 스프링 부재의 수축은 바람직하지 않은 높은 장착력을 초래한다. 제2 결합 부품 상에 제공된 유지 부재로 인해, 스프링 부재는 이미 편향된 상태로 조립 라인에 공급될 수 있고, 노력없이 래치 후크의 래치 러그를 지나 축선 방향의 장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유리하게는 스프링 부재의 수축을 위해 축선 방향의 장착력이 가해질 필요가 없다.
스프링 부재를 해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유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 부품 상에 배치된, 특히, 제2 결합 부품과 일체로 형성된 축선 방향 돌출부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 부재의 소망하는 고정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특히 쉽게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유지 부재는 램프일 수 있으며, 램프 경사는 스프링 부재의 결합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와 대면하고, 스프링 부재의 해제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와 이격되어 있다. 상기 램프는 스프링 부재를 약간 편향시키는 동시에 축선 방향으로 동시에 장착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편향시키는 것을 돕는다. 상기 축선 방향의 편향은 축선 방향으로 유지 부재 뒤의 수축 방향에서 스프링 부재가 장착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편향되는 해제 위치로 스냅하기에 충분하다.
조향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결합 부품은 해제 위치로부터 스프링 부재를 해제하기 위해 래치 후크로부터 이격된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장착 동안에 래치 후크의 래치 러그를 통과한 후에, 스프링 부재는 유지 부재에 의해 더 이상 해제 위치에 유지될 수 없을 때까지 작동 부재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로딩되어, 결합 위치에 스냅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재는 축선 방향 돌출부, 특히, 스프링 부재의 해제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의 일부와 축선 방향으로 정렬되는 축선 방향 연장 핀이다.
제2 결합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재가 연장될 수 있는 축선 방향 관통-구멍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결합 부품에 부착된 작동 부재는 제1 결합 부품으로부터 이격된 제2 결합 부품의 측면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를 쉽게 로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 부품은 에어백 모듈이고, 제2 결합 부품은 조향 어셈블리의 장착 플레이트이다. 대안으로서, 물론, 장착 플레이트에는 래치 후크가 제공되어 제1 결합 부품을 형성하고, 에어백 모듈은 사전-장착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제2 결합 부품을 구성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에어백 모듈로부터 이격된 장착 플레이트의 축선 방향 단부면 상에 배치된다.
작동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장착 플레이트와 대면하는 에어백 모듈의 모듈 바닥부에 제공되며, 모듈 바닥부는 특히, 에어백 모듈의 가스 발생기를 위한 발생기 지지부의 형태이다. 대안적으로, 작동 부재가 에어백 모듈의 모듈 캡의 측벽에 제공되는 구성 변형 예가 또한 상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향 어셈블리는 또한 조향 휠 스켈레톤을 포함하고, 장착 플레이트는 에어백 모듈과 조향 휠 스켈레톤 사이에 별개의 부품으로서 축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장착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진동하는 방식으로 조향 휠 스켈레톤에 고정되므로, 차량 조향 시스템에서 유리한 진동 흡수, 즉, 바람직하지 않은 조향 휠 진동의 최소화가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성 변형 예에서, 장착 플레이트는 또한 조향 휠 스켈레톤에서 일체로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에어백 모듈 및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조향 어셈블리의 장착 플레이트 상으로의 축선 방향 평면도이다.
도 3은 에어백 모듈이 장착 플레이트 상에 장착될 때 도 1에 따른 조향 어셈블리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4는 에어백 모듈과 장착 플레이트 사이의 래칭 직전의 도 3에 따른 상세 사시도이다.
도 5는 에어백 모듈과 장착 플레이트 사이의 래칭 이후의 도 3에 따른 상세 사시도이다.
도 6은 장착 플레이트로 래칭하기 전에 사전-장착 위치에서 에어백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장착 플레이트로 래칭한 후에 사전-장착 위치에서 도 6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장착 플레이트로 래칭한 후에 최종 위치에서 도 6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는 강성 래치 후크(12)를 포함하는 제1 결합 부품 및 사전-장착 스프링 부재(14)를 포함하는 제2 결합 부품을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용 조향 어셈블리(10)를 도시하며, 2개의 결합 부품은 스프링 부재(14)의 일부가 고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래치 후크(12) 뒤에 결합되고 결합 부품을 상호 연결할 때까지 장착 축선(A)을 따라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하다(도 5 참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결합 부품은 에어백 모듈(16)이고, 제2 결합 부품은 장착 플레이트(18)이다.
물론, 대안적으로, 장착 플레이트(18)가 래치 후크(12)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백 모듈(16)이 사전-장착 스프링 부재(14)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이러한 경우에, 결과적으로 장착 플레이트(18)는 제1 결합 부품이고, 에어백 모듈(16)은 제2 결합 부품이 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반적인 연결 개념은 이러한 구성 변형에 따라 쉽게 부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의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별도의 스프링 부재(14)뿐만 아니라 2개의 강성 래치 후크(12)가 제공되며, 하나의 스프링 부재(14)가 각각의 래치 후크(12)에 할당되는 것이 명백해진다. 대안으로서, 2개의 스프링 부재(14)는 예를 들어, U-형상 스프링과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이동 가능한 스프링 레그가 각각의 래치 후크(12)에 할당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개수의 래치 후크(12)가 제공되는 구성 변형이 또한 상정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스프링 부재(14)는 에어백 모듈(16)로부터 이격된 장착 플레이트(18)의 축선 방향 단부면(20) 상에 배치된다.
각각의 스프링 부재(14)는 스프링 부재(14)가 크게 이완되어 적어도 하나의 래치 후크(12) 뒤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 위치(도 2에서 우측 스프링 부재(14))와 스프링 부재(14)가 수축되어 래치 후크(12)로부터 장착 축선(A)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해제 위치(도 2에서 좌측 스프링 부재(14))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장착 플레이트(18)는 스프링 부재(14)를 해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유지 부재(22)를 포함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지 부재(22)는 장착 플레이트(18)와 일체로 형성되며, 장착 플레이트(18)의 단부면(20)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는 램프이며, 램프 경사(24)는 스프링 부재(14)의 결합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14)와 대면하고(도 5), 스프링 부재(14)의 해제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1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도 3).
수축되어 있는 해제 위치로부터 스프링 부재(14)를 해제시키기 위해, 에어백 모듈(16)은 래치 후크(12)로부터 이격된 작동 부재(26)를 포함한다.
도 1에 따르면, 에어백 모듈(16)은 특히, 에어백 모듈(16)의 장착 상태에서 탑승자와 대면하는 모듈 캡(28), 및 차량 부품, 특히, 차량 조향 휠에 에어백 모듈(16)을 고정하기 위한 래치 후크(12)를 포함하는 모듈 바닥부(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작동 부재(26)는 장착 플레이트(18)의 방향에서 축선 방향으로 장착 플레이트(18)와 대면하는 모듈 바닥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스프링 부재(4)의 해제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14)의 일부와 축선 방향으로 정렬되는 핀-형상 돌출부이다.
여기서, 모듈 바닥부(30)는 견고한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성형된 부분으로 제조되며, 작동 부재(26)는 특히 모듈 바닥부(30)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2에 따르면, 장착 플레이트(18)는 작동 부재(26)와 축선 방향으로 정렬되는 축선 방향 관통-구멍(32)을 포함하고, 작동 부재(26)는 수축된 해제 위치로부터 스프링 부재(14)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32)을 통해 연장된다.
이하에서는, 장착 플레이트(18)에 에어백 모듈(16)의 장착 동작이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장착 동작의 시작 시에, 장착 플레이트(18)에 사전-장착된 스프링 부재(14)는 스프링 부재(14)가 래치 후크(12)로부터 장착 축선(A)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수축된 해제 위치에 있다. 도 3에 따르면, 에어백 모듈(16)이 축선 방향으로 공급될 때, 래치 후크(12)는 스프링 부재(14)를 축선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로딩하지 않고 스프링 부재(14)의 측면을 지나서 방해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래치 후크(12)의 래치 러그(34)가 스프링 부재(14)를 통과하는 축선 방향 상대 위치에 도달하면, 핀-형상 작동 부재(26)는 스프링 부재(14)와 접촉하여 스프링을 축선 방향으로 로딩시킨다. 따라서, 스프링 부재(14)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결합 위치 내로 스냅될 때까지 유지 부재(22)를 지나 슬라이딩된다.
도 5에 따른 결합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14)는 래치 후크(12)의 뒤에, 구체적으로는, 래치 후크(12)의 래치 러그(34)에 결합되어서, 에어백 모듈과 장착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되고, 축선 방향 고정 위치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해제 위치와 비교하여, 결합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14)는 이완되며, 결합 위치에서도 특정 잔류 장력이 여전히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플레이트(18)에 에어백 모듈(16)의 장착이 완료된다.
스프링 부재(14)는 장착 플레이트(18)에 고정된 타이트한 스프링 단부(36) 및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자유 스프링 단부(38)를 포함하는 것이 도 2로부터 명백히 보여진다. 자유 스프링 단부(38)의 영역에서, 에어백 모듈(16)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홈(40)이 장착 플레이트(18)의 단부면(20)에 제공된다. 상기 분리 홈(40)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차량 조향 휠에 장착된 에어백 모듈(16)의 상태에서도 조향 휠 외부로부터 공구에 의해 접근 가능하다. 이어서, 공구는 분리 홈(40)에 반경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에어백 모듈(16)이 다시 장착 플레이트(18)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도 3에 따른 해제 위치로 스프링 부재(14)를 복귀시킬 수 있다.
도 9에 따르면, 조향 어셈블리(10)는 또한 조향 휠 스켈레톤(44)을 포함하는 조향 휠(42)을 포함하고, 장착 플레이트(18)는 에어백 모듈(16)과 조향 휠 스켈레톤(44) 사이에서 별도의 부품으로서 축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조향 어셈블리(10)의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착 플레이트(18)는 진동 댐퍼(46)를 통해 조향 휠 스켈레톤(44)에 고정되어서, 장착 플레이트(18)와 조향 휠 스켈레톤(44)이 진동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6 내지 도 8은 탑승자 구속 시스템용 에어백 모듈(16)의 특별한 특징이 이하에서 설명될 조향 어셈블리(10)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따르면, 에어백 모듈(16)은 에어백 모듈(16)의 장착 상태에서 탑승자와 대면하는 모듈 캡(28) 및 차량 부품, 특히, 장착 플레이트(18) 또는 차량 조향 휠에 에어백 모듈(16)을 고정하기 위한 래치 후크(12)의 형태인 래치 수단을 포함하는 모듈 바닥부(30)를 포함한다.
모듈 캡(28)과 모듈 바닥부(30)는 사전-장착 위치(도 6 및 도 7)에 도달한 다음 축선 방향 최종 장착 위치(도 8)에 도달할 때까지 장착 축선(A)을 따라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하며, 모듈 캡(28)과 모듈 바닥부(30)는 사전-장착 위치에서 모듈 캡(28)과 모듈 바닥부(30)를 서로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상호작용 사전-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듈 캡(28)은 포트(pot)-형상이고, 축선 방향 단부 벽(48) 및 주변 벽(50)을 갖는다. 모듈 캡(28)의 주변 벽(50)의 사전-고정 부재로서 복수의 사전-장착 윈도우(52)가 제공되고, 모듈 바닥부(30)에 복수의 사전-장착 후크(54)가 제공되어, 각각의 사전-장착 후크는 할당된 사전-장착 윈도우(52)에 결합되며, 따라서, 에어백 모듈(16)의 사전-장착 위치에서 모듈 캡(28)과 모듈 바닥부(30)를 단단하게 연결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전-장착 위치에 있는 에어백 모듈(16)은 쉽게 운반되고 추가 처리될 수 있는 구조 유닛을 형성한다. 사전-고정 부재는 강성의 제로-간극 연결을 제공하지 않지만, 축선 방향 및 반경 방향 모두에서 모듈 캡(28)과 모듈 바닥부(30) 사이의 특정 상대 이동을 허용한다.
사전-고정 부재와는 별도로, 모듈 캡(28) 및 모듈 바닥부(30)는 사전-장착 위치에서 최종 장착 위치까지 모듈 캡(28) 및 모듈 바닥부(30)의 축선 방향 상대 이동 동안에 사전에 정해진 장착 저항을 제공하는 상호작용 저항 외형을 또한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항 외형은 특히, 최종 장착 위치에서 모듈 캡(28) 및 모듈 바닥부(30)를 래칭하기 위한 래칭 외형이다.
구체적으로는, 저항 외형은 단부 벽(48)으로부터 이격된 축선 방향 단부에서 모듈 캡(28)의 주변 벽(50)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56)의 형태이고, 모듈 바닥부(30)에서 반경 방향 저널(58)의 형태이다.
슬릿(56)은 축선 방향으로 볼 때 반경 방향 저널(58)의 최대 접선 치수(tmax)보다 작은 접선 슬릿 폭(s)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이로 인해 사전-장착 위치에서 최종 장착 위치로 이동할 때 장착 저항이 발생한다.
특히, 축선 방향 단부 벽(48)으로부터 이격된 주변 벽(50)의 단부에서, 슬릿(56)은 반경 방향 저널(58)의 최대 접선 치수(tmax)보다 작은 제1 슬릿 폭(s1)을 가지며, 이어서, 슬릿 폭(s)은 반경 방향 저널(58)의 최대 접선 치수(tmax)보다 큰 제2 슬릿 폭(s2)에 도달할 때까지 축선 방향 단부 벽(48) 쪽으로 증가된다.
도 10에 관한 상세 컷 아웃에 의해, 에어백 모듈(16)의 도시된 최종 장착 위치에서 반경 방향 저널(58)이 슬릿(56)의 에지부로부터 반경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에어백 모듈(16)의 최종 장착 위치에서, 모듈 캡(28)과 모듈 바닥부(30) 사이의 상대 이동은 저항 외형에 의해 방해받지 않아서, 모듈 캡(28)과 모듈 바닥부(30)는 서로에 대해 최종 장착 위치에서도 축선 방향 및 반경 방향 유극을 갖는다.
모듈 캡(28)의 반경 방향 저널(58) 및/또는 주변 벽(50)은 적어도 슬릿(56)의 영역에서 탄성, 특히, 탄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저널(58)의 재료 및/또는 주변 벽(50)의 재료와 같은 파라미터에 따라, 슬릿(56)의 영역에서 주변 벽(50)의 벽 두께, 저널(58)의 최소 슬릿 폭과 최대 접선 치수 사이의 비율, 소망하는 장착 저항이 쉽고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다.
탑승자 구속 시스템을 위한 전술한 에어백 모듈(16)은 조향 휠 스켈레톤(44)을 포함하는 조향 휠(42) 및 에어백 모듈(16)을 조향 휠 스켈레톤(44)에 고정시키기 위해 조향 휠 측에 배치된 장착 플레이트(18)와 함께 차량 조향 시스템을 위한 조향 어셈블리(10)를 형성한다. 에어백 모듈(16)의 모듈 바닥부(30) 상의 래치 수단(래치 후크(12))은 장착 플레이트(18)에 대한 에어백 모듈(16)의 축선 방향 이동 시에 장착 플레이트(18)에 제공된 제2 래치 수단(스프링 부재(14))과 래칭하는 제1 래치 수단을 구성하며, 제1 및 제2 래치 수단을 래칭하기 위한 장착 저항은 에어백 모듈(16)을 사전-장착 위치에서 최종 장착 위치로 전달할 때 저항 외형의 장착 저항보다 작다. 이는 에어백 모듈(16)이 여전히 사전-장착 위치에 있지만, 장착 플레이트(18)와 에어백 모듈(16)의 래칭이 수행된 도 7에 따른 장착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특히, 에어백 모듈(16)이 작은 장착 저항으로 장착 플레이트(18)에 래칭될 수 있을 때, 즉, 예컨대,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칭함으로써 특히 적절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 9에 따르면, 장착 플레이트(18)는 에어백 모듈(16)과 조향 휠(42)의 조향 휠 스켈레톤(44) 사이에 별도의 부품으로서 축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진동 댐퍼(46)를 통해 진동 방식으로 조향 휠 스켈레톤(44)에 체결된다.
에어백 모듈(16)의 최종 장착 위치에서 모듈 캡(28)과 모듈 바닥부(30) 사이의 유극에 의해, 모듈 캡은 크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최소의 갭 폭으로 수용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조향 휠(42)에 고정될 수 있는 반면, 장착 플레이트(18)를 포함하는 나머지 에어백 모듈(16)은 제한된 범위에서 조향 휠(42)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따라서, 유리하게는 진동 흡수기로서 작용할 수 있고, 차량 조향 시스템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모듈 캡(28)은 에어백 모듈(16)의 최종 장착 위치에서 모듈 캡(28)을 조향 휠(42)에 직접 연결하는 파스너(fastener)(도시되지 않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조향 어셈블리(10)를 형성하기 위해 조향 휠(42)에 에어백 모듈(16)의 최종 장착이 다뤄진다.
먼저, 에어백 모듈(16)은 도 6에 따라 사전-장착 위치에 제공된다.
또한, 조향 휠 스켈레톤(44)을 포함하는 조향 휠(42) 및 조향 휠 스켈레톤(44)에 고정된 장착 플레이트(18)가 제공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플레이트(18)는 특히, 진동 댐퍼(46)를 통해 조향 휠 스켈레톤(44)에 고정될 수 있어서, 장착 플레이트(18)와 조향 휠 스켈레톤(44)이 진동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에어백 모듈(16)은 장착 축선(A)을 따라 조향 휠 스켈레톤(44)을 향해 공급되고, 도 7에 따르면, 에어백 모듈(16)의 모듈 캡(28)에 축선 방향 장착력(F)이 가해지되, 먼저, 에어백 모듈(16) 및 장착 플레이트(18)의 래치 수단, 즉, 래치 후크(12)와 스프링 부재(14)가 래칭 연결을 형성한 후에만 도 8에 따르면 에어백 모듈(16)이 사전-장착 위치로부터 최종 장착 위치로 전달된다.
선택적으로는, 에어백 모듈(16)이 사전-장착 위치에서 최종 장착 위치로 전달될 때, 모듈 캡(28)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향 휠(42)에 직접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조향 휠(42)에 래칭될 수 있다.

Claims (11)

  1. 차량 조향 시스템용 조향 어셈블리로,
    적어도 하나의 래치 후크(12)를 포함하는 제1 결합 부품, 특히, 에어백 모듈(16), 및
    사전-정착 스프링 부재(14)를 포함하는 제2 결합 부품, 특히, 장착 플레이트(18)를 포함하며,
    결합 부품들은 스프링 부재(14)의 일부가 고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래치 후크(12) 뒤에 결합되어 결합 부품들이 상호 연결될 때까지 장착 축선(A)을 따라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고,
    스프링 부재(14)는, 상기 스프링 부재(14)가 크게 이완되어 적어도 하나의 래치 후크(12) 뒤에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상기 스프링 부재(14)가 수축되어 장착 축선(A)에 대해 횡방향으로 래치 후크(12)로부터 이격된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결합 부품은 해제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14)를 고정하기 위한 유지 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22)는 제2 결합 부품에 부착된, 특히, 제2 결합 부품과 일체로 형성된 축선 방향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22)는 램프의 형태이고, 램프 경사(24)는, 스프링 부재(14)의 결합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14)와 대면하고, 스프링 부재(14)의 해제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14)로부터 이격되어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어셈블리.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결합 부품은 해제 위치로부터 스프링 부재(14)를 해제하기 위한 작동 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26)는 스프링 부재(14)의 해제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14)의 일부와 축선 방향으로 정렬되는 축선 방향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어셈블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2 결합 부품은 작동 부재(26)가 연장될 수 있는 축선 방향 관통-구멍(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어셈블리.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결합 부품은 에어백 모듈(16)이고, 제2 결합 부품은 장착 플레이트(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14)는 에어백 모듈(16)로부터 이격된 장착 플레이트(18)의 축선 방향 단부면(20)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어셈블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26)는 장착 플레이트(18)와 대면하는 에어백 모듈(16)의 모듈 바닥부(30)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어셈블리.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향 휠 스켈레톤(44)이 제공되되, 장착 플레이트(18)는 에어백 모듈(16)과 조향 휠 스켈레톤(44) 사이에 별개의 부품으로서 축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장착 플레이트(18)는 진동 방식으로 조향 휠 스켈레톤(4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어셈블리.
KR1020190139502A 2018-11-06 2019-11-04 차량 조향 시스템용 조향 어셈블리 KR202000522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27636.2A DE102018127636A1 (de) 2018-11-06 2018-11-06 Lenkungsbaugruppe für eine fahrzeuglenkung
DE102018127636.2 2018-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230A true KR20200052230A (ko) 2020-05-14

Family

ID=6838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502A KR20200052230A (ko) 2018-11-06 2019-11-04 차량 조향 시스템용 조향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39915A1 (ko)
EP (1) EP3650289A1 (ko)
JP (1) JP2020097401A (ko)
KR (1) KR20200052230A (ko)
CN (1) CN111137239A (ko)
DE (1) DE102018127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4530A1 (de) * 2016-12-15 2018-06-21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Kopplungsvorrichtung zur schwingfähigen Befestigung eines Gassackmoduls an einem Fahrzeuglenkrad
DE102018112224A1 (de) * 2018-05-22 2019-11-28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Fahrzeuglenkrad sowie Lenkradbaugruppe mit einem solchen Fahrzeuglenkrad
FR3085914B1 (fr) * 2018-09-14 2020-08-14 Autoliv Dev Dispositif de montage amovible d'un module de coussin gonflable
FR3099437A1 (fr) * 2019-07-29 2021-02-05 Autoliv Development Ab Dispositif de montage amovible d’un module de coussin gonflable sur un volant
WO2022044668A1 (ja) * 2020-08-28 2022-03-0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装置
FR3119584A1 (fr) * 2021-02-08 2022-08-12 Autoliv Development Ab Dispositif de retenue d'un module de sécurité de volant de véhicule
CN113289350A (zh) * 2021-04-29 2021-08-24 许彬晴 一种多功能太阳能儿童摇摆车
DE102021119648A1 (de) 2021-07-28 2023-02-02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Schwingungstilger für ein Lenkrad, bei dem ein Airbagmodul Teil der Tilgermasse is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2606B1 (fr) * 2000-08-02 2002-10-31 Autoliv Isodelta Element de volant de direction de vehicule avec systeme d'encliquetage, et volant le comportant
GB2433234A (en) * 2005-12-08 2007-06-20 Autoliv Dev A mounting arrangement for an airbag
DE102008028126A1 (de) * 2008-06-13 2009-12-17 Autoliv ASP, Inc., Ogden Lenkradeinheit
DE102013008819B4 (de) * 2013-05-25 2020-07-23 Autoliv Development Ab Lenkradeinheit
DE102014012700A1 (de) * 2013-09-03 2015-03-05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Gassackmodul sowie Gassackmodul, Fahrzeuglenkrad und Insassenschutzsystem mit einer derartigen Befestigung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97401A (ja) 2020-06-25
EP3650289A1 (de) 2020-05-13
CN111137239A (zh) 2020-05-12
US20200139915A1 (en) 2020-05-07
DE102018127636A1 (de)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2230A (ko) 차량 조향 시스템용 조향 어셈블리
CN111137240B (zh) 安全气囊模块、及其安装方法和包括其的转向组件
US11161472B2 (en) Coupling device for the attachment of an airbag module to a vehicle steering wheel in an oscillatory manner
US10875564B2 (en) Steering wheel structure
KR101379617B1 (ko) 클립
US11370377B2 (en) Vehicle steering wheel and steering wheel assembly having a vehicle steering wheel of this kind
EP3594087A1 (en) Damper mechanism of steering wheel and steering wheel device for vehicle
CN109398057A (zh) 车辆
KR100361769B1 (ko) 에어백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2010023826A (ja) エアーバッグモジュール
US20120187665A1 (en) Vehicle airbag support structure
JP2009073425A (ja) 車両用外装部品
JP2001163146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6626702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389544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のマウント構造
US11648904B2 (en) Apparatus for coupling airbag module to steering wheel
US118082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stening and locating one vehicle component relative to another vehicle component without using mechanical fasteners
JP7363849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6151022A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取付構造
JP7039884B2 (ja) 乗物用シートのスライド構造
US20230085537A1 (en) Coupling device for securing an airbag module to a vehicle steering wheel
JP5394145B2 (ja) エアバッグ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構造
JP6497885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591414B2 (ja) 車両用灯具
JP2005161986A (ja) 車両用フロントフェンダーの組付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