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234B1 - 도어 미러 - Google Patents

도어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234B1
KR101546234B1 KR1020090108521A KR20090108521A KR101546234B1 KR 101546234 B1 KR101546234 B1 KR 101546234B1 KR 1020090108521 A KR1020090108521 A KR 1020090108521A KR 20090108521 A KR20090108521 A KR 20090108521A KR 101546234 B1 KR101546234 B1 KR 10154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ns
boundary
lamp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722A (ko
Inventor
히로시 테라모토
료 야스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카이메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카이메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카이메이도
Publication of KR2010007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60R1/08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using a single wide field mirror or an association of rigidly connected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60Q1/24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for illuminating the clos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e.g. to facilitate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미러(1)에는, 렌즈(20)의 이면에 형성된 프레넬 렌즈부(22)의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주름은, 차량(M)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경계(L)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S)에 형성된 제1 주름(A)과, 경계(L)보다 도어 패널(30, 31)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P)에 형성된 제2 주름(B)을 가지고, 제1 주름(A)의 패인 깊이에 대하여 제2 주름(B)의 패인 깊이가 깊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얕은 주름측인 제1 영역(S)으로부터 발밑을 향하여 출사되는 광의 조도에 대하여, 깊은 주름측인 제2 영역(P)으로부터 도어 패널(30, 31)의 표면을 향하여 출사되는 광의 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렌즈(20)의 채용에 의해, 경계(L)의 위치와 프레넬 렌즈부(22)의 표면 주름이 패인 깊이를 변경하는 것 만으로 여러 차종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어 미러

Description

도어 미러{Door Mirror}
본 발명은 차량 도어 패널의 외측 발밑을 비추기 위한 풋 라이트(foot light)를 구비한 도어 미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분야의 기술로서 일본특허공개공보 2008-94314호가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도어 미러에는, 차량 도어 패널의 외측에서의 발밑을 비추기 위한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램프는 램프 소켓에 장착되고, 이 램프 소켓은 도어 미러의 램프 하우징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램프 하우징 안에는 반사판이 고정되고, 반사판에서 반사한 램프로부터의 광은 램프창(렌즈)을 통과하여 도어 패널의 외측을 비출 수 있다. 풋 램프가 설치된 도어 미러는 야간 정차시에 도어 패널의 외측 발밑을 비추어서 승무원의 승차를 서포트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기술로서 일본특허공개공보 2008-132875호, 일본실용신안등록공보 제3080619호나 일본특허공개공보 2006-7883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하지만, 승차하기 위하여 승무원이 차량에 접근할 때, 도어 패널의 표면이 도어 미러의 램프에 의해 강하게 빛나고 있으면, 도어 패널측의 광이 강조되어 버려서 이용자가 도어 패널 외측에서의 발밑의 광을 밝게 느끼기 어려워지는데, 종래의 도어 미러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이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도어 미러는, 도어 패널에 비치는 광을 약하게 하기 위해서는 반사판의 방향이나 사양을 변경하거나 램프의 광축을 바꾸는 등, 차종 마다 여러가지 구조 변경이 필요하기 때문에, 하는 수 없이 대폭적인 설계변경을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도어 패널에 닿는 광을 쉽게 줄일 수 있도록 한 도어 미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 미러 몸체 안에 배치되어, 차량 도어 패널의 외측 발밑을 비추기 위한 램프와, 도어 미러 몸체에 장착되는 동시에 램프의 광을 확산시키는 렌즈를 구비한 도어 미러로서, 렌즈는, 평행한 복수개의 스텝부가 렌즈의 이면측에 형성된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부와, 프레넬 렌즈부의 표면 위에서 차량의 대략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경계를 가지고, 프레넬 렌즈부의 표면에서, 경계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에는 제1 주름이 형성되고, 경계보다 도어 패널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는 제2 주름이 형성되며, 제1 주름의 패인 깊이에 대하여 제2 주름의 패인 깊이를 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도어 미러에서는, 렌즈의 이면에 형성된 프레넬 렌즈부의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주름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경계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에 형성된 제1 주름과, 경계보다 도어 패널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 형성된 제2 주름을 가지고, 제1 주름의 패인 깊이에 대하여 제2 주름의 패인 깊이가 깊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경계를 경계로 하여 렌즈로부터 출사되는 도어 패널측의 광과 발밑측의 광으로 나뉘며, 얕은 주름측인 제1 영역으로부터 발밑을 향하여 출사되는 발밑측의 광의 조도에 대하여, 깊은 주름측인 제2 영역으로부터 도어 패널의 표면을 향하여 출사되는 도어 패널측의 광의 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렌즈를 채용함으로써, 경계의 위치와 프레넬 렌즈부의 표면 주름의 패인 깊이를 변경하는 것 만으로 여러 차종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의 용이한 설계변경에 의해 도어 패널에 비추는 광을 약하게 할 수 있어서, 발밑측의 광이 보다 강조되어서 이용자로 하여금 발밑이 밝다고 느끼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프레넬 렌즈부의 표면에 주름이 있음으로써 램프가 밖에서 잘 보이지 않게 되어, 램프가 밖에서 훤히 보이지 않아서 도어 미러의 외관이 향상된다.
또한, 제2 주름이 형성된 제2 영역내에 카메라의 촬상창이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카메라의 촬상창 주위의 조도가 높으면 카메라의 화상이 희읍스름해지는 사태도 일어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의 촬상창을 제2 영역 내에 배치함으로써 이와 같은 사태가 일어나기 어렵게 하고 있다. 더욱이, 촬상창이 도어 패널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옆쪽을 확실하게 촬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패널에 닿는 광을 쉽게 줄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미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미러(1)는, 암부(6)를 통하여 앞쪽 도어 패널(30)(도 5 참조)에 고정되는 밥그릇 형상의 수지제 도어 미러 몸체(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도어 미러 몸체(2)는, 차량(M)의 후부측을 향하여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싱(3)과, 케이싱(3)의 개구부에 끼워넣도록 하여 케이싱(3)에 고정된 컵 형상의 칸막이판(4)으로 이루어진다.
도어 미러(1)에는 칸막이판(4)에 설치된 오목부(4a)를 막도록 반사 미러(5)가 배치되고, 이 반사 미러(5)는 미러판(5a) 및 이 미러판(5a)을 보유하는 수지제 미러 홀더(5b)로 이루어지며, 미러 홀더(5b)에는 도시하지 않은 4개의 조각편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반사 미러(5)는 피봇 플레이트(pivot plate; 7)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피봇 플레이트(7)는, 반사 미러(5)의 미러 홀더(5b)의 이면이 맞닿는 원판부(7a)와, 이 원판부(7a)의 외주부분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걸림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각 걸림부에는 반사 미러(5)의 이면에 설치된 4개의 수지제 조각편이 걸린다. 따라서, 반사 미러(5)는 피봇 플레이트(7)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 로우며, 반사 미러(5)를 앞으로 강하게 끌음으로써 반사 미러(5)를 피봇 플레이트(7)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다.
더욱이, 피봇 플레이트(7)의 이면측에는 구(球)형상의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2군데 형성되고, 각각의 오목부에는 조정 너트(adjuster nut; 도시하지 않음)의 머리부에 설치된 볼부(도시하지 않음)가 볼 조인트 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각 조정 너트는 컵 형상의 홀더(10)에 설치된 2개의 조정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나사결합하는 동시에, 모터와 기어가 조합된 액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자전하면서 각각 독립적으로 축방향으로 가동한다. 그리고, 조정 너트의 각각 독립된 이동량의 변화에 의해 피봇 플레이트(7)의 경사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반사 미러(5)는 소정의 경면(鏡面) 각도로 변한다.
액츄에이터 및 홀더(10)는 케이싱(3)에 설치된 내장 프레임(13)에 고정되어 있다. 이 내장 프레임(13)의 하부에는 램프(17)를 수용하기 위한 램프 하우징(15)이 고정되어 있다. 이 램프 하우징(15)에는 램프(17)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 삽입구(1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구(15a)의 주위에는 통형상부(15b)가 형성되고, 램프(17)의 후부에는 램프 소켓(19)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램프 소켓(19)은 통형상부(15b)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기 때문에, 필라멘트가 절단되었을 경우에도 램프 소켓(19)을 잡아빼기만 하면 램프(17)를 새 램프로 교환할 수 있다.
더욱이, 도어 미러 몸체(2)의 하부에는 램프창(18)이 설치되고, 이 램프창(18)에는 수지제 렌즈(20)가 끼워져 있다. 이 렌즈(20)에 의해 램프(17)로부터의 광을 확산시킬 수 있어서, 지면을 광범위하게 비출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미러 몸체(2)의 하부에서 대략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렌즈(20)는, 대략 수평면 상에서 판형상으로 뻗어 있는 렌즈 본체부(21)와, 렌즈 본체부(21)의 주위에 세워진 포위벽(23)과, 포위벽(23)으로부터 옆쪽으로 돌출하는 돌출편(24)으로 이루어진다. 렌즈 본체부(21)의 표면측은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되고, 렌즈 본체부(21)의 이면측에는 톱니 형상의 프레넬 렌즈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넬 렌즈부(22)는 렌즈 커팅부라고도 불리며, 광을 굴절시켜서 넓은 범위를 비추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프레넬 렌즈부(22)에는 서로 평행하게 뻗어서 등간격으로 배열된 대략 동등한 산 형상을 이루는 스텝(22a)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스텝(22a)의 표면에는 주름 가공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점등시에 스텝(22a)의 형상에 기인한 가늘고 길며 평행한 라인이 지면에 비추는 것을 방지하고, 램프창(18)으로부터 램프(17)가 훤히 보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프레넬 렌즈부(22)에 주름 가공을 하는 것은, 프레넬 렌즈부(22) 외관의 농담 얼룩 방지에도 기여하고 있다.
프레넬 렌즈부(22)의 표면 위에는 차량(M)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차량 중심선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경계(L)가 뻗어 있고, 이 경계(L)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S)에는 제1 주름(A)이 형성되고, 경계(L)보다 도어 패널(30)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P)에는 제2 주름(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주름(A)의 패인 깊이에 대하여 제2 주름(B)의 패인 깊이가 깊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주름(A)의 패인 깊이를 20㎛로 하였을 경우, 제2 주름(B)의 패인 깊이는 40㎛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주름(A, B)은 금형에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20)의 사출성형시에 함께 성형된다.
한편, 이 경계(L)의 위치는 차종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또한, 도 4의 주름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렌즈(20)를 채용한 도어 미러(1)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아래에 설명한다. 한편, 사양 12V-5W의 램프(17)를 이용하고 있다.
도 5에는, 렌즈(20)의 중심으로부터 연직으로 떨어져서 지면에 도달한 점을 원점(0)으로 하여, 차량(M)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심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어 있는 X축과, 이것에 직교하는 Y축으로 나타내는 조도 분포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렌즈(20) 중심의 바로 아래로부터 내측 약 100mm의 위치에 앞쪽 도어 패널(30) 및 뒤쪽 도어 패널(31)이 있는 차종에서, 앞쪽 도어 패널(30)의 대략 중앙을 통과하는 라인(R1) 위와, 뒤쪽 도어 패널(31)의 앞쪽을 통과하는 라인(R2) 위와, 뒤쪽 도어 패널(31)의 뒤쪽을 통과하는 라인(R3) 위에서 조도를 관측하였다.
이 조도 분포에서는, 각 도어 패널(30, 31)의 표면상의 점 (A), (B), (C)와, 지면상에서 원점(0)을 통과하는 X축으로부터 345mm 떨어진 점 (D), (E), (F)를 관측하였다. 또한, 원점(0)을 통과하는 Y축으로부터 (A), (D)는 약 300mm, (B), (E)는 약 1060mm, (C), (F)는 약 1850mm 떨어져 있다.
그리고, (A)의 조도는 8.2 럭스(lux), (B)의 조도는 3.0 럭스, (C)의 조도는 1.1 럭스, (D)의 조도는 8.2 럭스, (E)의 조도는 3.8 럭스, (F)의 조도는 1.7 럭스였다.
이에 대하여, 경계를 두지 않고, 프레넬 렌즈부(22)의 전면에 패인 깊이가 20㎛인 주름을 균일하게 형성한 비교예로서의 렌즈를 제작하여, 점 (A), (B), (C), (D), (E), (F)에서 조도를 관측하였다.
그 결과, (A)의 조도는 8.6 럭스, (B)의 조도는 3.6 럭스, (C)의 조도는 1.5 럭스, (D)의 조도는 8.2 럭스, (E)의 조도는 3.8 럭스, (F)의 조도는 1.7 럭스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렌즈(20)의 경우, (A)에서는 조도가 0.4 럭스 줄어들고, (B)에서는 조도가 0.6 럭스 줄어들고, (C)에서는 조도가 0.4 럭스 줄어들고, (D), (E), (F)에서는 조도가 줄어드는 것이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이, 렌즈(20)를 이용한 본 발명의 도어 미러(1)에서는, 지면상에서의 승무원 발밑의 조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도어 패널(30, 31)측 조도만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A), (B), (C)에서 약간의 조도 저감이 있으며, 도어 패널(30, 31) 표면의 조도를 약간 떨어뜨린 것 만으로도 이용자는 도어 패널(30, 31) 외측에서의 발밑의 광을 밝게 느낄 수 있고, 또한 도어 패널(30, 31)에 비친 광을 이용자가 부드러운 광으로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패널(30, 31)에 비친 광은 연출효과로서도 기대할 수 있다.
이 도어 미러(1)에서는, 렌즈(20)의 이면에 형성된 프레넬 렌즈부(22)의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주름은, 차량(M)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경 계(L)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S)에 형성된 제1 주름(A)과, 경계(L)보다 도어 패널(30, 31)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P)에 형성된 제2 주름(B)을 가지고, 제1 주름(A)의 패인 깊이에 대하여 제2 주름(B)의 패인 깊이가 깊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M)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경계(L)를 경계로 하여 렌즈(20)로부터 출사되는 도어 패널(30, 31)측의 광과 발밑측의 광으로 나뉘며, 얕은 주름측인 제1 영역(S)으로부터 발밑을 향하여 출사되는 발밑측의 광의 조도에 대하여, 깊은 주름측인 제2 영역(P)으로부터 도어 패널(30, 31)의 표면을 향하여 출사되는 도어 패널(30, 31)측의 광의 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렌즈(20)를 채용함으로써, 경계(L)의 위치와 프레넬 렌즈부(22) 표면 주름의 패인 깊이를 변경하는 것 만으로 여러 차종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20)의 용이한 설계변경에 의해 도어 패널(30), 31)에 비추는 광을 약하게 할 수 있어서, 발밑측의 광이 보다 강조되어서 이용자로 하여금 발밑이 밝다고 느끼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프레넬 렌즈부(22)의 표면에 주름이 있음으로써 램프(17)가 밖에서 잘 보이지 않게 되어, 램프(17)가 밖에서 훤히 보이지 않아서 도어 미러(1)의 외관이 향상된다.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본 발명은 램프 하우징(15) 내에 리플렉터(reflector)가 설치된 도어 미러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제2 주름(B)의 패인 깊이는 차종이나 차량(M)의 색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며, 도어 패널(30, 31) 상의 조도를 떨어뜨릴 때에는, 제2 주름(B)의 패인 깊이를 깊게 하는 설계변경을 고려하면 된다. 또한, 렌 즈(20)의 중심과 도어 패널(30, 31)의 거리를 고려하여 경계(L)의 위치가 적절히 설계변경된다. 또한, 경계(L)는 직선으로 한정되지 않고, 물결형상, 톱니형상, 도어 패널(30)의 표면에 대략 따르는 곡선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경계(L)는 차종(M)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차량중심선에 대하여 비스듬해지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하여, 경계(L)는 차량(M)의 대략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데, 차량중심선에 대하여 0도에서 약 45도 미만의 범위내에서 비스듬하게 뻗어 있는 경우가 해당한다. 또한, 도어 패널(3)에 닿는 광을 저감시키도록 결정되는 경계(L)는 차량(M)의 대략 폭방향으로 뻗어 있어도 되는데, 차량중심선에 대하여 45도에서 약 90도 미만의 범위내에서 비스듬하게 뻗어 있는 경우가 해당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도어 미러(40)에서의 렌즈(42)에서는, 제2 주름(B)이 형성된 제2 영역(P) 내에 카메라의 촬상창(41)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카메라의 촬상창(41) 주위의 조도가 높으면 카메라의 화상이 희읍스름해지는 사태도 일어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의 촬상창(41)을 제2 영역(P) 내에 배치함으로써 이와 같은 사태가 일어나기 어렵게 하고 있다. 더욱이, 촬상창(41)이 도어 패널(30)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M)의 옆쪽을 확실하게 촬상할 수 있다.
또한, 경계(L)는 복수개 있어도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경계(L)를 미세하게 나누면 조도를 단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렌즈(50)에서 경계(L1, L2)를 나란히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경계(L1)에서, 외측에는 얕은 주름 영역(G1)이 설치되고, 도어 패널(30) 측에는 영역(G1)보다 깊은 주름 영역(G2)이 설치되며, 또한 경계(L2)에서, 도어 패널(30)측에는 영역(G2)보다 깊은 주름 영역(G3)이 설치되고, 외측에는 G3보다 얕은 주름 영역(G2)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은 렌즈(50)에서는 영역 G1, G2, G3의 순서로 주름이 깊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미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렌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미러의 조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미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미러에 적용되는 렌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도어 미러 2: 도어 미러 몸체
3: 케이싱 4: 칸막이판
5: 반사 미러 6: 암부
7: 피봇 플레이트 10: 홀더
17: 램프 18: 램프창
19: 램프 소켓 20: 렌즈
21: 렌즈 본체부 22: 프레넬 렌즈부
23: 포위벽 30, 31: 도어 패널
40: 도어 미러 41: 카메라의 촬상창
A: 제1 주름 B: 제2 주름
L: 경계 M: 차량
S: 제1 영역 P: 제2 영역

Claims (2)

  1. 도어 미러 몸체 안에 배치되어, 차량 도어 패널의 외측 발밑을 비추기 위한 램프와, 상기 도어 미러 몸체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램프의 광을 확산시키는 렌즈를 구비한 도어 미러로서,
    상기 렌즈는,
    평행한 복수개의 스텝부가 상기 렌즈의 이면측에 형성된 프레넬 렌즈부와,
    상기 프레넬 렌즈부의 표면 위에서 상기 차량의 대략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경계를 가지고,
    상기 프레넬 렌즈부의 상기 표면에서, 상기 경계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에는 제1 주름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보다 상기 도어 패널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는 제2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주름의 패인 깊이에 대하여 상기 제2 주름의 패인 깊이를 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미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름이 형성된 상기 제2 영역 안에 카메라의 촬상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미러.
KR1020090108521A 2008-12-25 2009-11-11 도어 미러 KR101546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30099A JP5097103B2 (ja) 2008-12-25 2008-12-25 ドアミラー
JPJP-P-2008-330099 2008-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722A KR20100075722A (ko) 2010-07-05
KR101546234B1 true KR101546234B1 (ko) 2015-08-20

Family

ID=4224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521A KR101546234B1 (ko) 2008-12-25 2009-11-11 도어 미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40898B2 (ko)
JP (1) JP5097103B2 (ko)
KR (1) KR101546234B1 (ko)
CN (1) CN101758798B (ko)
DE (1) DE102009052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0956B2 (ja) 2010-11-30 2014-08-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
DE102012112066B4 (de) * 2012-12-11 2022-04-28 HELLA GmbH & Co. KGaA Rangierleuchte für einen Seitenspiegel eines Fahrzeugs mit einem Lichtleitkörper
DE102012025886B3 (de) 2012-12-11 2022-05-25 HELLA GmbH & Co. KGaA Rangierleuchte für einen Seitenspiegel eines Fahrzeugs mit einem Reflektor und einer Streuplatte mit Prismenelementen
DE102013211877A1 (de) 2013-06-24 2015-01-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KR101595974B1 (ko) * 2015-02-02 2016-02-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변색 기능을 갖는 사각지대 감지 사이드미러
JP6148704B2 (ja) * 2015-09-08 2017-06-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視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553B1 (ko) 2005-05-26 2006-08-16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퍼들 램프와 방향지시램프를 구비한 아웃사이드 미러
KR100635701B1 (ko) 2005-06-30 2006-10-17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퍼들램프를 구비한 아웃사이드 미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550U (ja) * 1984-02-28 1985-09-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照明灯付ドアミラ−装置
JPH0380619A (ja) 1989-08-23 1991-04-05 Fujitsu Ltd 位相比較回路
US5371659A (en) * 1993-02-01 1994-12-06 Donnelly Corporation Remote-actuated exterior vehicle security light
JPH08240805A (ja) * 1995-03-01 1996-09-17 Aimesu:Kk 平面発光装置及び平面発光素子
CN2255936Y (zh) * 1995-11-27 1997-06-11 朱庄德 一种车辆后视镜
DE19833299C1 (de) * 1998-07-24 2000-03-02 Hohe Gmbh & Co Kg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2006007883A (ja) * 2004-06-23 2006-01-12 Stanley Electric Co Ltd カメラ内蔵型バックミラー
US20080068850A1 (en) * 2006-09-14 2008-03-20 Lear Corporation Sliding vanity door with integral lens
JP4921916B2 (ja) 2006-10-13 2012-04-25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ドアミラー
JP4554587B2 (ja) * 2006-11-28 2010-09-29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ドアミラ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553B1 (ko) 2005-05-26 2006-08-16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퍼들 램프와 방향지시램프를 구비한 아웃사이드 미러
KR100635701B1 (ko) 2005-06-30 2006-10-17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퍼들램프를 구비한 아웃사이드 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49702A (ja) 2010-07-08
CN101758798A (zh) 2010-06-30
JP5097103B2 (ja) 2012-12-12
US20100165651A1 (en) 2010-07-01
DE102009052771A1 (de) 2010-07-15
CN101758798B (zh) 2013-08-07
US8240898B2 (en) 2012-08-14
KR20100075722A (ko) 201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234B1 (ko) 도어 미러
EP2292466B1 (en) Side turn signal lamp
JP4866442B2 (ja) 車両用照明装置
US8342724B2 (en) Rear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JP2006323334A (ja) カメラカバー
JP2005212755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CN112005048A (zh) 车辆用灯具
US6497506B1 (en) Head lamp apparatus for vehicle
JP2004210236A (ja) アウターミラーハウジングおよびアウターミラーカバー
JP4554587B2 (ja) ドアミラー
JP3158882B2 (ja) 自動車用灯具
JP2004103390A (ja) 車両用灯具
JP2000285722A (ja) 車両用ランプ構造
JP7090220B2 (ja) 自転車用前照灯
JP6726091B2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装置
JP3981438B2 (ja) 自動車ランプの取付構造
JPH061473Y2 (ja) 耕耘機等における前照灯装置
JP2006021656A (ja) 室内照明灯
JP4021891B2 (ja) 車載用灯具
KR100503337B1 (ko) 다양한 곡률로 굴곡된 룸미러
JP2024030854A (ja) 車両用灯具
JP2003300432A (ja) 自動車の前照灯光軸調整構造
JP2001219779A (ja) 車両用前部構造
JP2003312402A (ja) 車両用部品の取付構造
KR930005812Y1 (ko) 전조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