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812Y1 - 전조등 장치 - Google Patents

전조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812Y1
KR930005812Y1 KR2019930011123U KR930011123U KR930005812Y1 KR 930005812 Y1 KR930005812 Y1 KR 930005812Y1 KR 2019930011123 U KR2019930011123 U KR 2019930011123U KR 930011123 U KR930011123 U KR 930011123U KR 930005812 Y1 KR930005812 Y1 KR 930005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main
reflector
light
reflecting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1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찌즈끼 가즈오
다까다 마나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쓰우라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83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540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쓰우라 다까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930011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8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8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조등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II-II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III-III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 IV-IV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조등장치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VI-VI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선 VII-VII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선 VIII-VIII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7 : 전조등 2, 28 : 램프본체
3 : 리세스 4, 33 : 렌즈
5, 29 : 주반사경 7, 31 : 주광원
24, 32 : 부광원 30 : 장착부
본 고안은 자동차 및 그와 같은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전조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그램프 및 그와 같은 부광원을 장착한 전조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광원과 함께 포그램프, 클리어런스 램프 및 그와같은 부광원을 갖는 각종의 전조등 장치가 있다.
주광원에 부광원이 추가로 제공되며; 전방으로 각 광원의 광선빔을 조사하기 위해 각 광원들이 그들 전용의 반사경을 구비할 경우, 전조등 장치는 부피가 커지게 된다. 전조등 장치의 크기가 제약을 받는 경우에는 충분한 조도가 얻어질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장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주광원과 결합된 주반사경, 상기 주반사경의 일측단부에 인접하게 장착된 부광원 및 상기 두개의 광원의 전방부를 덮고 있는 렌즈로 이루어지는 전조등 장치가 제공된다. 부광원으로 부터 떨어져 위치된 주반사경의 타측단부를 향해 부광원으로 부터 방출된 광선이 주반사경의 일측단부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부광원에 인접한 주반사경의 일측단부가 배치된다.
따라서, 부광원으로 부터 방출된 광선은 실질적으로 렌즈의 전체면을 통해 조사된다. 또한, 부광원에 대한 반사경의 크기를 축소하거나 설치자체를 생략할 수 있으며, 주광원에 대한 반사경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조등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장치(1)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리세스(3)를 한정하며 합성수지제로 형성된 램프 본체(2)를 포함한다. 램프본체(2)의 선단부는 소정의 광학특성을 갖는 투명합성수지, 글래스 및 그와같은 투명재료로 형성된 렌즈(4)에 의해 덮혀진다.
주반사경(5)은, 램프본체(2) 및 렌즈(4) 사이에 한정된 램프스페이스(6)와 램프 본체(2)에 대해 가동적으로 장착된다. 주반사경(5)은 주광원 또는 전구(7)를 지지하고 있다.
3개의 연결점(8,9 및 10)에서 주반사경(5)이 램브본체(2)와 연결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점(8)은 주반사경(5)의 우측 상부코너 가까이에 위치되고, 연결점(9)은 연결점(8)과 수직으로 배치되어 하측단부 가까이에 위치되고, 연결점(10)은 연결점(8)과 수평으로 배치되어 램프본체(2)의 좌측단부 가까이에 위치된다. 램프본체(2) 및 반사경(5)은 회전지지장치(11)를 통해 연결점(8)에서 그리고 조준장치(17,17')를 통해 연결점(9 및 10)에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지지장치(11)는 램프본체(2)에 그 후미 단부가 고정되며 그 전단부에 구형체(1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축(12)을 포함한다. 구형체(13)는, 합성수지제로 형성되며 브래킷(14)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소켓(15)의 구형리세스(16)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브래킷(14)은 주반사경(5)의 배면에 고정된다. 연결점(8)은 구형체(13)의 중심에 의해 제한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점(9)에 있어서 조준장치(17)는 조정로드(18)를 포함한다. 조정로드(18)는 축방향이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길이 방향 중간부가 램프본체(2)의 배면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선단부는 나선부(19)로 되어있다. 나선부(19)는 합성수지제로 형성되고 브래킷(20)에 지지되어 있는 너트(21)와 결합된다. 그 브래킷(20)은 주반사경(5)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조정로드(18)가 회전할때, 나선부(19)는 조정로드(18)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방으로 너트(21)를 움직인다. 조정로드(18)는 램프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나 주반사경(5)이 연결점(8 및 10)을 연결하는 선상의 주위에서 경사질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는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도에서 연결점(10)에 장착된 조준장치(17')는 조준장치(17)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제1도에 대응하는 부분인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였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본체(2)의 후미측부에 개구부(22)가 형성되며, 전구(7), 소켓(7a) 또는 소켓(7a)의 후미단부가 충분한 간극으로 개구부(22)를 통해 뻗어있다. 개구부(22)를 밀폐하기 위해 소켓(7a)과 개구부(22)의 외주 사이에 고무캡 또는 커버(23)가 장착된다. 림 또는 원주리지(22a)는 고무커버(23)의 외주를 지지하기 위해 개구부(22)의 원주상에 형성된다.
도면번호 24는 클리어런스 램프의 광원으로서 전구를 나타내며, 본 고안에 따른 부광원을 구성한다. 반사경(26)은 부광원 장착부(25)에 고착된다. 클리어런스 램프(24)는 포그램프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주반사경(5)에 인접배치된 반사경(26)의 일측단부(26a)가 반대측의 타측단부와 비교하여 후방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일측단부(26a)는 램프본체(2)의 외주에 인접 배치된 반대측의 타측단부보다 렌즈(4)로 부터 더 떨어져 있다. 또한, 주반사경(5)은 반사경(26) 가까이에 있는 일측단부(5a)가 상기 반사경(26)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반대측 타측단부와 비교하여 후방(제2도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따라,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그램프(24)의 필라멘트(24a)로 부터 방출된 광선이 주반사경(5)의 일부(5b)에 조사한다. 상기 부분(5b)은 이후부터 겸용부분이라 칭한다.
전조등장치(1)에서, 클리어런스 램프(24)가 점등되면 그로부터 방출된 광선의 일부가 주반사경(5)의 겸용부분(5b)에 의해 반사된다. 따라서, 클리어런스 램프(24)는 비교적 작은 반사경(26) 및 비교적 작은 클리어런스 램프 장착 공간에 의하여도 충분한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광원외에 클리어런스용 광원을 설치하고도 전조등장치가 비교적 작은 규모일지라도 충분한 양의 광선빔을 방출할 수 있다.
부광원(24)이 포그램프인 경우는,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경(26)의 주광축을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그램프즌 전구(24)에 황색으로 착색된 유리를 이용하거나 황색필터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5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장치(27)를 도시하고 있다.
전조등장치(27)는, 주반사경(29)과 주반사경(29)의 일측단부에 있는 부광원 장착부(3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금속제로 형성된 램프본체(28)를 포함한다. 전구(31)는 주광원을 구성하기 위해 주반사경(29)의 중앙부에 장착되며, 전구(32)는 부광원으로서 클리어런스 램프를 구성하기 위해 부광원의 장착부(30)에 설치된다. 렌즈(33)는 램프본체(28)상에 장착되어 전구(31,32)를 덮고 있다.
부광원 장착부(30)에 인접한 반사경(29) 측면의 일측단부(29a)는 전구(32)의 필라멘트(32a) 후방으로 배치되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구(32)로 부터 방출된 광선이 전구(32)로 부터 떨어진 반사경(29) 측면의 주요부분(이하, 도면번호 29b는 겸용부분이라 칭함)에서 반사될 수 있다.
램프본체(28), 반사경(29), 장착부(30), 전구(31,32) 및 렌즈(33)는 전조등 유니트(34)를 구성한다.
상기 전조등 유니트(34)은 차체(35)(차체만이 아니라 차체에 고정된 부재를 포함한다)에 3개의 연결점(36,37 및 38)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점(36)은 우측 하부코너 가까이에 위치되고, 연결점(37)은 연결점(36)위의 상단가까이에 위치되며, 연결점(38)은 연결점(36)과 같은 높이로 좌측단부 가까이에 위치되고 있다. 전조등 유니트(34)은 연결점(36)에서 회전지지장치(39)를 통해, 또한, 연결점(37 및 38)에서 각각의 조준장치(46, 36')를 통해 차체(35)에 연결된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지지장치(39)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차체(35)에 제공된 브래킷(40), 상기 브래킷(40)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구형부(42)가 그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로드(41), 후방으로 돌출되어 램프본체(28)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된 브래킷(43), 그리고 합성수지제로 형성되며 구형리세스(45)를 구비한 소켓(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형부(42)는 소켓(44)의 구형리세스(45)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회전지지장치(39)를 형성한다. 연결점(37)에 있어서의 조준장치(46;제8도)와 연결점(38)에 있어서의 조준장치(46':제6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따라 제8도의 조준장치(46)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제6도의 조준장치(46')의 대응부분에는 동일부호위에 대시(')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조정로드(47)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나선부(48)와, 상기 나선부(48)의 전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형체(49)를 갖는다. 상기 나선부(48)는 합성수지제로 형성되고 차체에 지지되어 있는 너트(50)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브래킷(51)은 후방으로 돌출되어 램프본체(28)의 배면에 제공된다. 합성수지제로 형성된 소켓부재(52)는 브래킷(51)에 지지되며 조정로드(47)의 구형체(49)와 회전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한 구형리세스(53)를 갖는다. 따라서, 조준장치(46)는 구형체(49)를 갖는 조정로드(47), 차체(35)에 지지된 너트(50) 및 브래킷(51)에 장착되며 구형 리세스(53)를 갖는 소켓부재(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준장치(46)에서, 조정로드(47)의 회전시, 너트(50)와 로드(47)의 나선부(48) 사이의 나사결합으로 인해 상기 로드(47)가 그의 회전방향에 따라 너트(50)에 대해 전후방으로 움직인다. 램프본체(35)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평선상에서 연결점(36 및 38)을 연결하는 선주위에 경사져 있다.
전조등장치(27)에서, 클리어선스 램프(32)로 부터 방출된 광선은 주반사경(29)의 겸용부분(29b)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사되고, 이에따라 클리어런스 램프용으로만 사용하는 반사경의 크기가 축소되고, 결과적으로 전조등 장치의 전체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비슷하게, 클리어런스 램프용 전구(32)가 포그램프로 대체될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포그램프용 반사경을 제공하거나 포그램프의 주광축을 하방 및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도 좋으며, 또한, 황색으로 착색된 전구를 사용하거나 전구의 황색으로 착색된 필터를 장착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조등 장치는 주광원과 결합된 주반사경, 상기 주반사경의 일측단부에 인접하게 장착된 부광원 및 상기 두개의 광원의 전방부를 덮고있는 렌즈를 포함한다. 또한, 부광원으로 부터 떨어진 주반사경의 타측단부를 향한 부광원으로 부터 방출된 광선이 주반사경의 일측단부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부광원에 인접한 주반사경의 일측단부가 배치된다. 따라서, 부광원으로 부터 방출된 광선의 렌즈의 전표면을 통해 조사된다. 또한, 부광원전용의 반사경이 생략되거나 그 크기가 축소될 수 있어, 전조등장치의 전체 크기가 축소된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 조준장치의 조정로드(18,18' 및 47,47')가 전자제어수단과 조합된 적절한 수단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 전조등 장치에 있어서, 주광원에 접속된 주반사경에 위치하는 주반사경부와, 상기 주반사경의 일측단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부광원의 장착부와, 주 및 부광원의 전면을 덮기 위한 렌즈를 포함하고; 부광원에서 방출된 광선이 부광원으로 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한 주반사경의 타측단부에 조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반사경의 일측단부가 부광원에 인접한 측면에 위치하고; 부광원의 광선이 주반사경의 겸용부분에서 반사되어 전방으로 조사되고, 이에 따라 부광선의 조도가 주광선의 조도를 방해하지 않으며 렌즈의 전체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광원이 포그램프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광원이 클리어런스 램프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장치.
KR2019930011123U 1988-04-05 1993-06-23 전조등 장치 KR930005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123U KR930005812Y1 (ko) 1988-04-05 1993-06-23 전조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83897A JPH0795401B2 (ja) 1988-04-05 1988-04-05 自動車用前照灯
JP83897 1988-04-05
KR1019880013278A KR890016325A (ko) 1988-04-05 1988-10-12 전조등 장치
KR2019930011123U KR930005812Y1 (ko) 1988-04-05 1993-06-23 전조등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278A Division KR890016325A (ko) 1988-04-05 1988-10-12 전조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812Y1 true KR930005812Y1 (ko) 1993-08-27

Family

ID=2730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1123U KR930005812Y1 (ko) 1988-04-05 1993-06-23 전조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8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3173A (en) Headlight device
US5172972A (en) Motor vehicle headlamp
US5353204A (en) Vehicular headlamp assembly having auxiliary lamp
JP2663310B2 (ja) 自動車用前照灯
KR930007618Y1 (ko) 자동차용 전조등
JPH0523215B2 (ko)
GB2337321A (en) Automobile headlamp comprising a floodlight lamp disposed above a reflector lamp
JP2002109915A (ja) 車両用前照灯
US5567034A (en) Motor vehicle headlamp
US5211465A (en) Projection type vehicular headlamp
KR930005812Y1 (ko) 전조등 장치
JP3129643B2 (ja) 車輌用前照灯
CA2510369A1 (en) Self-aim vehicle light device
JP3256403B2 (ja) 自動車用前照灯
CN111336468B (zh) 用于车辆前照灯的照明装置
JPH0443501A (ja) 車両の前照灯装置
JP2513549Y2 (ja) プロジェクタ型自動車用前照灯
JPH06251603A (ja) 車輌用前照灯
JP3257396B2 (ja) 車両用前照灯
JPH09115303A (ja) 車両用の前照灯
JPH0318285Y2 (ko)
JP2527241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596148Y2 (ja) 自動車用前照灯
KR930005815Y1 (ko) 자동차용 전조등
KR200156486Y1 (ko) 자동차용 전조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