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160B1 - 코팅 장치 - Google Patents

코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160B1
KR101536160B1 KR1020147008790A KR20147008790A KR101536160B1 KR 101536160 B1 KR101536160 B1 KR 101536160B1 KR 1020147008790 A KR1020147008790 A KR 1020147008790A KR 20147008790 A KR20147008790 A KR 20147008790A KR 101536160 B1 KR101536160 B1 KR 101536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drum
wall portion
peripheral wall
baffl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648A (ko
Inventor
코지 하세가와
야스히로 홋타
나오토시 키노시타
타로우 엔도우
슈이치로 후쿠다
카즈히로 우치다
요스케 토미타
히토시 카마다
카즈노리 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우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80373A external-priority patent/JP59219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32902A external-priority patent/JP59256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4195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0045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43284A external-priority patent/JP601719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43281A external-priority patent/JP59256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4328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00455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우렉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우렉
Publication of KR2014005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2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after the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0Apparatus for 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2076Apparatus for coating with powders or granules, e.g. sprink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0Apparatus for 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26Apparatus for coating by tumbling with a liquid or powder, spraying device-associated, drum, rotating p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2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 A23P20/13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involving agitation of the foodstuff inside a rotating apparatus, e.g. a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06Coating of the granules without description of the process or the device by which the granules are obta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12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in rotat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4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special provision for agitating the work or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8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special provision for agitating the work or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and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agitated together in a container, e.g. tumb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14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in rotating dishes or p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lanulat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에 설치된 칸막이부(14)는 둘레벽부(1a)의 외주에 고정된 기부(14a)와, 기부(14a)에 둘레벽부(1a)의 내외주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장착된 시일 부재(14b)를 구비하고 있다. 시일 부재(14b)는 외주 방향을 향한 힘을 받으면 기부(14a)의 일면 또는 타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외주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힘에 상응하는 힘으로 그 선단부가 통기 부재(10)의 미끄럼접촉부(10a)에 압접한다.

Description

코팅 장치{COATING DEVICE}
본 발명은 의약품, 식품, 농약 등의 분립체의 코팅, 혼합, 건조 등을 행하는 코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통기식 회전 드럼을 구비한 코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 식품, 농약 등의 정제, 소프트 캡슐, 펠렛, 과립, 기타 이것들에 유사한 것(이하, 이것들을 총칭해서 분립체라고 한다)에 필름 코팅이나 당의 코팅 등을 실시하기 위해서 회전 드럼을 구비한 코팅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코팅 장치는 하기의 특허문헌 1∼10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수평의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통기식 회전 드럼을 구비한 코팅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는 다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고, 둘레벽부의 각 변면(邊面)은 다공부에 의해 통기성이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부의 각 변면의 외주측에 각각 재킷이 장착되고, 재킷과 둘레벽부의 각 변면 사이에 각각 통기 채널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 드럼의 타단측, 즉 모터 등을 포함하는 회전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는 회전 드럼에 대한 건조 에어 등의 처리 기체의 통기를 제어하는 통기 기구가 설비되어 있다. 이 통기 기구는 회전 드럼의 회전에 따라서 소정 위치로 온 통기 채널을 각각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에 연통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특허문헌 2, 3은 소위 재킷리스 구조의 코팅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의 도 1에 나타내어져 있는 코팅 장치의 회전 드럼은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둘레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의 각 변면은 다공부에 의해 통기성이 부여되어 있다. 다각형의 둘레벽부의 각 꼭대기부에는 각각 칸막이판이 설치되고, 또한 둘레벽부의 축방향 양 단부에는 슬라이딩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다. 둘레벽부의 각 변면과, 칸막이판 및 슬라이딩 프레임에 의하여 구획된 통기 공간이 형성된다. 회전 드럼은 외측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외측 케이싱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급배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측의 배기부에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 시일판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 드럼의 회전에 따라 둘레벽부의 칸막이판과 슬라이딩 프레임이 시일판과 미끄럼접촉함으로써 외측 케이싱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회전 드럼 내의 분립체의 건조에 기여하지 않고 배기되는 것을 방지한다. 둘레벽부의 상방 부분은 외측 케이싱의 내부 공간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부측의 급기부로부터 외측 케이싱의 내부 공간으로 급기된 건조 기체는 둘레벽부의 상방 부분의 다공부를 통해서 회전 드럼 내로 들어가고, 회전 드럼 내의 분립체층을 통과한 후에 회전 드럼의 회전에 따라 하부측의 배기부의 위치로 온 통기 공간을 통해서 배기부에서 배기된다. 특허문헌 2의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는 코팅 장치의 회전 드럼은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둘레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급기부와 배기부의 측에 각각 단면 원호 형상의 시일판이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3도 특허문헌 2와 같은 기본 구조를 갖는 재킷리스 구조의 코팅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58125호 공보 일본 특허공고 평 7-6360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25391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108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62500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8-26688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99555호 공보 일본 특허 제 334958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11340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148292호 공보
특허문헌 2, 3의 재킷리스 구조의 코팅 장치는 회전 드럼에 설치한 슬라이딩 프레임과 칸막이판을 배기부의 측에 설치한 시일판에 미끄럼접촉시켜서 배기를 시일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시일판에 마모가 생기기 쉽고, 시일판의 마모에 의해 배기의 누설이나 숏패스(회전 드럼 내에 공급된 건조 기체가 분립체층의 건조에 기여하지 않고 배기되어 버리는 현상)가 일어나기 쉽다. 한편, 마모가 생긴 시일판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배기부의 배기 덕트나 회전 드럼을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 부담이 크다.
또한, 회전 드럼의 회전 축심의 진동이나 케이싱의 변형 등의 영향에 의해 슬라이딩 프레임 및 칸막이판과 시일판의 미끄럼접촉력이 변동하고, 미끄럼접촉력이 과대 방향으로 변동하면 시일판의 마모가 조장되어서 컨테미네이션 발생의 원인이 되고, 미끄럼접촉력이 과소 방향으로 변동하면 배기의 누설이나 숏패스의 원인이 된다.
또한, 회전 드럼의 슬라이딩 프레임 및 칸막이판과 시일판의 미끄럼접촉에 의해 배기를 빈틈없이 시일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딩 프레임, 칸막이판, 및 시일판의 치수 형상을 고정밀도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제조 비용 증대나 가공 작업 번잡화로 이어짐과 아울러, 슬라이딩 프레임의 외주(원형상)와 시일판의 내면(원호형상)이 빈틈없이 미끄럼접촉하도록 치수 형상을 관리하는 것은 실제상 어려워 배기의 시일이 불충분해지기 쉽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다각형상의 회전 드럼에서는 둘레벽부의 각 꼭대기부에 각각 칸막이판을 설치하고 있어, 회전 방향으로 인접하는 칸막이판끼리의 간격이 크다. 그 때문에, 칸막이판에 의해 구획된 통기 공간은 회전 방향 치수가 커지고, 배기의 숏패스가 발생하는 정도가 높아지게 된다. 즉, 회전 드럼의 회전에 따라 어느 하나의 칸막이판이 배기부의 영역으로 들어가면 상기 칸막이판에 의해 구획된 통기 공간은 배기부에 연통되게 되지만, 상기 통기 공간의 회전 방향 치수가 크면 회전 드럼 내의 건조 기체가 분립체층이 얇은 영역 또는 분립체층의 상방을 통해서 상기 통기 공간으로 들어가고, 상기 통기 공간으로부터 배기부로 배기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코팅 장치와 같은 통기 채널용 재킷을 갖지 않는 재킷리스 구조이고, 배기의 누설이나 숏패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코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재킷리스 구조의 코팅 장치에 있어서 회전 드럼의 회전 축심의 진동이나 케이싱의 변형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치수 형상의 관리가 용이하고, 교환 작업도 용이한 시일부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처리해야 할 분립체가 내부에 수용되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통기식 회전 드럼을 구비한 코팅 장치에 있어서, 회전 드럼은 회전 드럼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기부를 갖는 둘레벽부와, 둘레벽부의 외주에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칸막이부를 구비하고,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의 외주측에 통기구를 갖는 통기 부재가 배치되고, 복수의 칸막이부는 각각 둘레벽부의 외주에 고정된 기부와, 기부에 둘레벽부의 내외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장착되고 회전 드럼의 회전시에 통기 부재에 미끄럼접촉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둘레벽부 외주의 축방향 양 단부에 각각 환상의 시일 링이 장착되고, 시일 링은 회전 드럼의 회전시에 통기 부재에 미끄럼접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통기 부재는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거나, 또는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칸막이부의 시일 부재는 회전 드럼의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바이어싱되어서 통기 부재에 압접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는 다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칸막이 부재는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의 각 꼭대기부 및 각 변면에 배치할 수 있다.
본원은 상기 발명에 추가하여 이하의 발명을 포함하고 있다.
처리해야 할 분립체가 내부에 수용되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 내부의 분립체층에 스프레이액을 분무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프레이 노즐을 갖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과, 상기 스프레이 노즐 유닛을 상기 회전 드럼의 전단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출입 이동시키는 노즐 이동 기구를 구비한 코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 이동 기구는 상기 스프레이 노즐 유닛을 상기 스프레이 노즐 유닛이 상기 회전 드럼의 전단 개구부의 지름보다 내경측에 위치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스프레이 노즐 유닛의 적어도 상기 스프레이 노즐이 상기 회전 드럼의 전단 개구부의 직경보다 외경측이고, 또한 상기 회전 드럼의 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에 대하여 회전 방향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노즐 위치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장치이다. 노즐 위치 조정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을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선회 이동시키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을 케이싱의 전방면부를 폐색하는 전방면 패널과 함께 선회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해야 할 분립체가 내부에 수용되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 내부의 분립체층에 스프레이액을 분무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프레이 노즐을 갖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와, 상기 회전 드럼의 축선 방향의 전단부 및 후단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에 처리 기체를 공급하는 급기부를 구비한 코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에 공급되는 처리 기체가 상기 분립체층의 상방이고, 또한 상기 스프레이 노즐 유닛에 대하여 배면측이 되는 상기 회전 드럼 내의 공간부를 지향해서 흐르도록 상기 처리 기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류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장치이다. 기류 제어부는 처리 기체를 상기 공간부를 향해서 안내하는 기류 안내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류 안내판은 처리 기체가 상기 공간부를 지향해서 흐르도록 경사 형상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회전 드럼의 개구부의 범위 중 회전 드럼의 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에 대하여 회전 방향 후방측이 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기류 제어부는 회전 드럼의 개구부와 연통하는 급기 챔버와, 처리 기체를 급기 챔버 내에서 선회시켜서 상기 공간부를 지향하는 흐름을 발생시키는 기류 선회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처리해야 할 분립체가 내부에 수용되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통기식 회전 드럼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기부를 둘레벽부에 갖는 코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의 외주측에 세정액을 저류하는 세정조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세정액에 기포를 혼재시키는 기포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조에 저류되고 상기 기포가 혼재된 세정액 중에 상기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를 침지시키고,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세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장치이다. 여기에서, 세정액 중에 혼재시키는 기포의 직경은 둘레벽부의 통기부(통기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개수 기준의 메디안 지름이 예를 들면 500㎛∼0.5㎛, 바람직하게 200㎛∼0.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5㎛(미세 기포)이다. 또한, 통기부(통기구멍)가 장경과 단경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기부(통기구멍)의 단경에 대하여 개수 기준의 메디안 지름이 적어도 20분의 1 사이즈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구멍에 대하여 기포 지름이 지나치게 크면 통기구멍의 세정력이 저하한다. 세정조는 세정액을 오버플로우시켜서 세정조로부터 배출하는 오버플로우 배출부를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회전 방향 전방측에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처리해야 할 분립체가 내부에 수용되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통기식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의 외주측에 설치되어 세정액을 저류하는 세정조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기부를 둘레벽부에 갖고, 상기 세정조에 저장된 세정액 내에 상기 둘레벽부를 침지시켜 상기 통기부를 통해서 내부에 세정액을 넣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세정하는 코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회전시에 상기 세정조의 세정액을 회전 방향 전방으로 유동시키는 유동 부재를 상기 둘레벽부의 외주에 복수 구비하고, 상기 유동 부재는 상기 둘레벽부의 내외 둘레방향으로 가동하는 가동부를 갖고, 상기 세정조의 세정액 내에 상기 가동부가 규제 부재에 의해 가장 외주측의 위치보다 내주측의 위치에 규제되는 규제 영역과, 상기 가동부가 외주측에 대하여 개방되는 개방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장치이다.
처리해야 할 분립체가 내부에 수용되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 드럼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벽부의 내면에 상기 분립체를 교반하는 배플이 설치된 코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내면으로부터의 상기 배플의 높이를 상기 회전 드럼의 외부로부터 조정 가능한 높이 조정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장치이다. 예를 들면, 높이 조정 수단은 높이 방향을 따라 배플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배플의 높이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높이 조정 수단은 회전 드럼의 벽부를 진퇴 가능하게 관통하는 높이 조정 핀을 갖고, 높이 조정 핀은 그 일단이 배플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회전 드럼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높이 조정 핀을 길이가 다른 높이 조정 핀으로 교환함으로써 높이 방향을 따라 배플의 위치를 변경한다. 또는, 높이 조정 수단은 배플을 높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 배플의 높이를 조정한다. 또는, 높이 조정 수단은 일단이 회전 드럼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 드럼의 벽부를 진퇴 가능하게 관통하는 배플을 갖고, 배플을 높이가 다른 배플로 교환함으로써 배플의 높이를 조정한다.
처리해야 할 분립체가 내부에 수용되고, 그 수평의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 드럼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의 내면에 상기 분립체를 교반하는 판 형상의 배플이 설치된 코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회전 드럼의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단 배플과 하단 배플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 배플과 하단 배플의 연장 방향이 상기 회전 드럼의 둘레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상단 배플의 하단의 높이가 상기 하단 배플의 상단의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장치이다. 둘레벽부에 있어서의 배플이 배치된 영역을 둘레방향을 따라 분할함으로써 축선 방향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복수의 구획으로 했을 경우, 상기 구획에 존재하는 상단 배플과 하단 배플의 수가 상기 구획 사이에서 서로 동일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둘레벽부에 배플을 배치한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위 영역이 축선 방향으로 복수 배열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코팅 장치와 같은 재킷을 갖지 않는 재킷리스 구조이고, 배기의 누설이나 숏패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코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킷리스 구조의 코팅 장치에 있어서 회전 드럼의 회전 축심의 진동이나 케이싱의 변형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치수 형상의 관리가 용이하고, 교환 작업도 용이한 시일부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코팅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전방면 패널을 전방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a는 회전 드럼의 횡단면도이다.
도 3b는 회전 드럼의 종단면도이다.
도 4a는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의 주변을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4b는 칸막이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회전 드럼의 단부의 주변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코팅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노즐 이동 기구를 상방으로부터 본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회전 드럼을 전방측에서 본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9a는 회전 드럼의 전단부측의 급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케이싱의 전단부를 전방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9b는 급기부 주변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회전 드럼을 후방측에서 본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칸막이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칸막이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칸막이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칸막이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a는 칸막이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a-a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회전 드럼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7a는 회전 드럼의 전단부측의 급기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케이싱의 전단부를 전방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b는 급기부 주변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회전 드럼 후단부측의 급기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회전 드럼과 세정조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회전 드럼과 세정조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21은 회전 드럼측에서 본 세정조의 전개도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회전 드럼과 세정조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Y-Y 단면도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회전 드럼의 측벽부의 내면측의 개략 전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A-A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26은 상단 배플의 주변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도 25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7a는 도 26에서 사용되고 있는 높이 조정 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b는 교환을 위하여 준비되어 있는 높이 조정 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종래의 코팅 장치의 회전 드럼 내에서의 분립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9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배플 주변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우측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31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배플 주변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33a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장착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3b는 도 33a의 우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34a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배플의 경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도 32의 우측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경사져 있지 않은(경사 각도 0°)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b는 경사 각도 3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c는 경사 각도 45°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d는 경사 각도 6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배플 주변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36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축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도 35의 우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37a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배플의 경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도 35의 우측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경사져 있지 않은(경사 각도 0°)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b는 경사 각도 3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c는 경사 각도 45°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d는 경사 각도 6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a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배플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8b는 교환을 위하여 준비되어 있는 배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회전 드럼의 측벽부의 내면측의 개략 전개도이다.
도 40a는 상단 배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0b는 상단 배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1은 스케일업한 회전 드럼에 있어서의 측벽부의 내면측의 개략 전개도이다.
도 42는 스케일업한 회전 드럼의 운전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축선 방향 단면도이다.
도 43은 스케일업한 회전 드럼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측벽부의 내면측의 개략 전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한 코팅 장치는 수평선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축선 X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통기식 회전 드럼(1)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 드럼(1)은 케이싱(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그 후단부측에 설치되는 회전 구동 기구(3)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회전 드럼(1)은 케이싱(2)의 내부에 있어서 내부 하우징(4)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 하우징(4)의 공간부는 그 외부에 대하여 기밀하게 시일되어 있다. 또한, 회전 드럼(1)의 내부에는 막재액 등의 스프레이액을 분립체층을 향해서 분무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프레이 노즐(5a)을 갖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이 배치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전 드럼(1)은 전단부에 전단 개구부(1e)를 가짐과 아울러 후단부에 후단 개구부(1g)를 갖고 있다. 또한, 전단 개구부(1e)와 후단 개구부(1g)의 측에 각각 급기부(A1, A2)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2)의 전단부는 챔버(2a)를 구성하고, 챔버(2a)의 전방면은 점검창(2b1)을 갖는 전방면 패널(2b)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챔버(2a)에는 상하 이동 기구(8)와, 후술하는 기류 안내 부재(20)가 수용된다.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은 L자형의 지지 파이프(6)의 선단부에 접속관(7)을 통해서 장착되고, 지지 파이프(6)의 기단부는 전방면 패널(2b)의 내면측에 장착된 상하 이동 기구(8)에 접속되어 있다. 상하 이동 기구(8)에 의해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상하 방향 위치를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에어실린더나 볼 나사 등의 액츄에이터 기구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방면 패널(2b)에는 후술하는 노즐 이동 기구(9)가 접속되어 있고, 노즐 이동 기구(9)에 의해 전방면 패널(2b)을 스프레이 노즐 유닛(5)과 함께 회전 드럼(1)의 축선 X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도 2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제 1 위치(P1)와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 2 위치(P2) 사이에서 선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전 드럼(1)은 다각형(예를 들면 10각형이나 12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둘레벽부(1a)와, 둘레벽부(1a)의 전단에 연속된 단벽부(端壁部)(1b)와, 둘레벽부(1a)의 후단에 연속된 단벽부(1c)를 구비하고 있다. 둘레벽부(1a)의 각 변면에는 각각 다공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둘레벽부(1a)의 각 변면에 각각 다공판을 장착함으로써 통기부를 형성하고 있다. 단벽부(1b)의 전단에는 마우스링부(1d)가 설치되고, 마우스링부(1d)에 전단 개구부(1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벽부(1c)의 후단에는 연결부(1f)가 설치되고, 연결부(1f)에 후단 개구부(1g)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f)에는 회전 드럼(1)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계 부품의 마운트 등에 제공되는 연장부(1h)(도 1 참조)가 연결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의 축방향 양 단부에는 환상의 시일 링(13)이 설치되고, 둘레벽부(1a)의 외주에는 복수의 칸막이부(14)가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부(14)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 형태를 이루고, 둘레벽부(1a)의 축방향 치수와 거의 같은 길이 방향 치수를 갖고, 회전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둘레벽부(1a)의 외주에 배치된다. 또한, 칸막이부(14)는 다각형의 둘레벽부(1a)의 각 꼭대기부(1a2)과 각 변면(1a1)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시일 링(13)과 칸막이부(14)는 회전 드럼(1)의 회전시에 통기구(10b)를 갖는 통기 부재(10)의 미끄럼접촉부(10a)(도 6 참조)에 미끄럼접촉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막이부(14)는 둘레벽부(1a)의 외주에 고정된 기부(14a)와, 기부(14a)에 둘레벽부(1a)의 내외주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장착된 시일 부재(14b)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14a)는 금속재 등에 의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둘레벽부(1a)의 외주에 용접 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시일 부재(14b)는 불소계 수지(PTFE 등)의 합성수지재나 경질 고무 등의 합성고무재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부(14a)의 한면측 또는 다른면측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시일 부재(14b)는 둘레벽부(1a)의 내외주 방향으로 세로로 길게 된 긴 구멍(14b1)을 갖고(도 5도 참조),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와셔(14c)를 통해서 긴 구멍(14b1)에 삽통된 볼트(14d)를 기부(14a)에 형성한 볼트 구멍(14a1)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기부(14a)에 장착된다. 시일 부재(14b)는 기부(14a)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긴 구멍(14b1)과 볼트(14d)의 축부 사이의 간극의 범위 내에서 기부(14a)에 대하여 둘레벽부(1a)의 내외주 방향으로 가동이다. 그 때문에, 시일 부재(14b)는 외주 방향을 향한 힘을 받으면 기부(14a)의 한면 또는 다른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외주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힘에 상응하는 힘에 의해 그 선단부가 통기 부재(10)의 미끄럼접촉부(10a)에 압접한다. 시일 부재(14b)에 상기 외력을 가하는 수단으로서 스프링 등의 탄성 바이어싱 수단을 사용해도 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구조의 간략화의 점에서 회전 드럼(1)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에 의해 시일 부재(14b)를 외주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볼트(14d) 대신에 핀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링(13)은 둘레벽부(1a)의 단부 외주에 고정된 기부(13a)와, 기부(13a)에 장착된 시일 부재(13b)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13a)는 금속재 등으로 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 드럼(1)의 단부 외주에 용접 등의 적당한 수단으로 고정된다. 시일 부재(13b)는 불소계 수지(PTFE 등)의 합성수지재나 경질 고무 등의 합성고무재에 의해 링판 형상(복수의 부분 링판재를 조합시켜서 링판 형상으로 한 것을 포함한다)으로 형성되고, 기부(13a)의 외면측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시일 부재(13b)는 둘레벽부(1a)의 내외주 방향으로 세로로 길게 된 긴 구멍(13b1)을 갖고,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와셔(13c)를 통해서 긴 구멍(13b1)에 삽통시킨 볼트(13d)를 기부(13a)에 형성한 볼트 구멍(13a1)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기부(13a)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시일 부재(13b)는 기부(13a)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통기 부재(10)의 미끄럼접촉부(10a)에 압접한다. 또한, 시일 부재(13b)는 기부(13a)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긴 구멍(13b1)과 볼트(13d)의 축부 사이의 간극의 범위 내에서 기부(13a)에 대하여 둘레벽부(1a)의 내외주 방향으로 가동이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시일 부재(13b)는 외주 방향을 향한 힘을 받으면 기부(13a)의 한면 또는 다른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외주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힘에 상응하는 힘으로 그 선단부가 통기 부재(10)의 미끄럼접촉부(10a)에 압접한다. 또한, 상기 볼트(13d) 대신에 핀을 사용해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1)의 하방 외주측에 덕트 형상의 통기 부재(배기 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통기 부재(10)는 내부 하우징(4)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 통로(11)를 통해서 배기 덕트(12)에 연통되어 있다. 통기 부재(10)는 회전 드럼(1)의 시일 링(13)과 칸막이부(14)가 미끄럼접촉하는 원호 형상의 미끄럼접촉부(10a)와, 미끄럼접촉부(10a)의 일부에 형성된 통기구(배기구)(10b)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에 설치된 시일 링(13)과 칸막이부(14)가 회전 드럼(1)의 회전시에 통기 부재(10)의 미끄럼접촉부(10a)에 미끄럼접촉함으로써 통기구(10b)의 영역에 복수의 칸막이부(14)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칸이 나뉜 복수의 통기 공간(C1)이 형성된다. 즉, 축방향 양 단부의 시일 링(13)과, 회전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칸막이부(14)와, 둘레벽부(1a)의 외주에 의해 1개의 통기 공간(C1)이 형성되고, 이 통기 공간(C1)이 통기구(10b)의 영역에서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부(14)를 다각형의 둘레벽부(1a)의 각 꼭대기부(1a2)와 각 변면(1a1)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둘레벽부(1a)의 꼭대기부(1a2)의 수[변면(1a1)의 수]보다 많은 수의 통기 공간(C1)을 통기구(10b)의 영역에 형성하고 있다. 복수의 통기 공간(C1)은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회전 방향 치수를 갖고 있어도 되지만[칸막이부(14)의 배치 간격이 동일하지 않은 간격], 모두 같은 회전 방향 치수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칸막이부(14)의 배치 간격이 동일한 간격]. 또한, 칸막이부(14)는 각 꼭대기부(1a2)에서는 회전 드럼(1)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변면(1a1)에서는 각 변면(1a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지만, 모든 칸막이부(14)가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또한 적어도 1개의 칸막이부(14)가 회전 방향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바람직하게는 후방측)으로 경사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부 하우징(4)의 하부는 세정 버킷(4a)을 구성하고 있고(도 1도 참조), 통기 부재(10)는 세정 버킷(4a)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드럼(1)의 세정시에는 세정 버킷(4a)에 세정수 등의 세정액(L)이 공급된다. 통기 부재(10)와 세정 버킷(4a)에는 각각 개별적으로 배액구(排液口)(10c, 4b)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 버킷(4a)에는 기포가 혼재된 세정액을 세정 버킷(4a)의 세정액 중에 분사하는 기포류 분사 노즐(버블링 제트 노즐)(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기 부재(10)의 내부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 노즐(10d, 10e)이 배치되고, 배기 통로(11)의 내부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 노즐(11a)이 배치되며, 내부 하우징(4)의 상부 공간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 노즐(4c, 4d)이 배치된다.
도 7은 노즐 이동 기구(9)를 상방으로부터 본 일부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즐 이동 기구(9)는 전방면 패널(2b)을 스프레이 노즐 유닛(5)과 함께 회전 드럼(1)의 축선 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방향 이동 기구(9A)와, 도 2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제 1 위치(P1)와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 2 위치(P2) 사이에서 선회 이동시키는 노즐 위치 조정 기구(9B)를 구비하고 있다. 축방향 이동 기구(9A)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슬라이딩 샤프트(9a, 9b)와, 슬라이딩 샤프트(9a, 9b)의 축선 X1, X2[회전 드럼(1)의 축선 X와 평행]를 따른 축방향 이동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슬라이딩 베어링부(9c, 9d) 및 슬라이딩 레일(9e, 9f)을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한다. 또한, 노즐 위치 조정 기구(9B)는 슬라이딩 샤프트(9a, 9b)의 축선 X1, X2 둘레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 베어링부(9g, 9h)와, 슬라이딩 샤프트(9b)를 회동시키는 회동 구동부(9i)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한다.
슬라이딩 샤프트(9a)의 전단부는 전방면 패널(2b)의 내면측에 장착된 상하 이동 기구(8)의 박스(8a)에 접속되고, 슬라이딩 샤프트(9a)의 후단부는 회동 베어링부(9g)의 하우징에 설치된 슬라이딩 핀(9j)을 통해서 슬라이딩 레일(9e)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샤프트(9a)의 내부에는 배관 파이프(9k)가 관통 장착되어 있다. 이 배관 파이프(9k)의 내부에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각 스프레이 노즐(5a)에 분무화 기체(어토마이징 에어) 등을 공급하는 배관 튜브가 수용되고, 이들 배관 튜브는 지지 파이프(6)의 내부를 경유해서 각 스프레이 노즐(5a)에 접속된다.
슬라이딩 샤프트(9b)의 전단부는 전방면 패널(2b)의 내면측에 장착된 선회 축부(9m)에 접속되고, 슬라이딩 샤프트(9b)의 후단부는 회동 베어링부(9h)의 하우징에 설치된 슬라이딩 핀(9n)을 통해서 슬라이딩 레일(9f)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선회 축부(9m)는 슬라이딩 샤프트(9b)의 전단부에 장착된 편심 부재(9m1)와, 편심 부재(9m1)에 고정된 편심 핀(9m2)과, 편심 핀(9m2)을 전방면 패널(2b)의 내면벽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편심 베어링부(9m3)를 구비하고 있다. 편심 핀(9m2)의 축심(X3)은 슬라이딩 샤프트(9b)의 축선 X2로부터 소정량만큼 편심되어 있다.
회동 구동부(9i)는 구동 모터(9i1)와, 구동 모터(9i1)의 회동력을 슬라이딩 샤프트(9b)에 전달하는 기어 기구(9i2)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모터(9i1)는 회동 베어링부(9h)[및/또는 회동 베어링부(9g)]의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고, 회동 구동부(9i)는 슬라이딩 샤프트(9b)[및/또는 슬라이딩 샤프트(9a)]와 함께 축방향 이동 가능하다. 회동 구동부(9i)의 구동 모터(9i1)가 회전하면 그 회동력이 기어 기구(9i2)를 통해서 슬라이딩 샤프트(9b)에 전달되고, 슬라이딩 샤프트(9b)가 축선 X2 둘레로 회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샤프트(9b)가 축선 X2 둘레로 회동하면 슬라이딩 샤프트(9b)의 전단부에 장착된 편심 부재(9m1)가 회동하고, 편심 부재(9m1)에 고정된 편심 핀(9m3)[축심(X3)]이 편심 베어링부(9m3)에 회동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샤프트(9b)의 축선 X2 둘레로 선회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면 패널(2b)이 회전 드럼(1)의 축선 X와 평행한 슬라이딩 샤프트(9a)의 축선 X1을 선회 중심으로 해서(축선 X1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동 도면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제 1 위치(P1)와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 2 위치(P2) 사이에서 선회 이동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전방면 패널(2b)의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는 도 8에 나타내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에 대응한다. 제 1 위치(P1')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이 회전 드럼(1)의 전단 개구부(1e)의 직경보다 내경측에 위치하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위치, 환언하면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이 회전 드럼(1)의 전단 개구부(1e)와 간섭하지 않고 축방향 이동할 수 있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위치이다. 제 2 위치(P2')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적어도 스프레이 노즐(5a)이 회전 드럼(1)의 전단 개구부(1e)의 직경보다 외경측이고, 또한 회전 드럼(1)의 축선 X를 포함하는 연직면(V)에 대하여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 A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위치이다. 이 제 2 위치(P2')에서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이 축방향 이동하면 회전 드럼(1)의 전단 개구부(1e)와 간섭한다. 제 2 위치(P2')는 분립체의 처리시에 있어서의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설치 위치이어도 되고, 이 설정 위치보다 상방 또는 하방의 위치이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을 상하 이동 기구(8)에 의해 제 2 위치(P2')로부터 상기 설정 위치로, 또는 상기 설정 위치로부터 제 2 위치(P2')로 이동시킨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2 위치(P2')는 분립체의 처리시에 있어서의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설치 위치이다. 또한, 도 8은 분립체층(S)의 표층부(S1)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분립체의 처리량이 많은 경우)의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설치 위치(P2')(실선)와, 분립체층(S)의 표층부(S1)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분립체의 처리량이 적은 경우)의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설치 위치(P2')(점선)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위치(P2')에 있어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스프레이 노즐(5a)이 연직 하방으로 스프레이액을 분무하도록[스프레이 노즐(5a)의 분출구가 연직 하방을 향하도록] 스프레이 노즐(5a)의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스프레이 노즐(5a)의 분무 위치는 상하 이동 기구(8)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9는 회전 드럼(1)의 전단 개구부(1e)의 측에 설치되는 급기부(A1)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급기부(A1)는 케이싱(2) 전단부의 챔버(2a)에 배치된 기류 제어부로서의 기류 안내판(20)과, 급기 덕트(21)를 통해서 공급되는 열풍이나 냉풍 등의 처리 기체를 기류 안내판(20)으로 인도하는 통로부(24a)를 형성하기 위한 통로 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기류 안내판(20)은 전단 개구부(1e)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 일변부(20a)와, 일변부(20a)로부터 전단 개구부(1e)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타변부(20b)를 구비하고, 전단 개구부(1e)의 범위 중 회전 드럼(1)의 축선 X를 포함하는 연직면(V)에 대하여 회전 방향 후방측(동 도면에서 우측)이 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류 안내판(20)은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연직면(V)에 접근하는 방향의 경사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통로 부재(24)는 케이싱(2)의 전단벽에 장착되고, 전방면측이 전방면 패널(2b)에 의해 폐색됨으로써 챔버(2a) 내에서 통로부(24a)를 형성한다. 통로부(24a)의 상부는 급기 덕트(21)의 급기구(21a)와 연통된다. 기류 안내판(20)은 통로 부재(24) 하부의 전방면측 부분에 고정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챔버(2a)의 내부에는 세정액을 분출하는 세정 노즐(22)이 배치되고, 통로부(24a)의 내부에는 세정액을 분출하는 세정 노즐(23)이 배치되어 있다. 급기 덕트(21)의 급기구(21a)로부터 급기되는 처리 기체는 통로부(24a)를 통해서 기류 안내판(20)으로 인도되고, 상기 형태의 기류 안내판(20)에 의해 안내되어서 전단 개구부(1e)로부터 회전 드럼(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 때문에, 회전 드럼(1)의 내부로 유입되는 처리 기체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립체의 처리시에 있어서의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설치 위치(P2')에 대하여 분립체층(S)의 상방이고, 또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에 대하여 배면측이 되는 회전 드럼(1) 내의 공간부를 지향한 흐름이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1)의 후단 개구부(1g)의 측에 설치되는 급기부(A2)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급기 덕트와의 접속구(30a)를 갖는 챔버 부재(30)의 내부 공간과, 회전 드럼(1)의 연장부(1f)의 내부 공간으로 구성되는 급기 챔버(31)에 기류 안내판(32)을 배치하고, 급기 덕트를 통해서 급기 챔버(31)에 공급되는 열풍이나 냉풍 등의 처리 기체를 기류 안내판(32)에 의해 안내하여, 후단 개구부(1g)로부터 회전 드럼(1)의 내부로 급기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챔버 부재(30)는 연장부(1f)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류 안내판(32)은 하나 또는 복수의 지지 부재(32a)에 의해 지지되고, 연장부(1f)의 내부 공간에 소정 각도(θ1)로 경사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류 안내판(32)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원 형상의 판 부재로 형성되고, 원호부(32a)는 연장부(1f)의 내주면[후단 개구부(1g)와 동일 지름 또는 거의 동일 지름]을 따르고, 변부(32b)는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배면측을 향하도록 회전 드럼(1)의 축선 X를 포함하는 연직면(V)에 대하여 소정 각도(θ2) 경사진 자세로 배치된다. 그 때문에, 급기 덕트를 통해서 급기 챔버(31)에 공급되는 처리 기체는 기류 안내판(32)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분립체의 처리시에 있어서의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설치 위치(P2')에 대하여 분립체층(S)의 상방이고, 또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에 대하여 배면측이 되는 회전 드럼(1) 내의 공간부를 지향하여 후단 개구부(1g)로부터 회전 드럼(1)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세정액을 분출하는 세정 노즐(33)이 기류 안내판(32)을 관통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챔버 부재(30)의 내부에 세정액을 분출하는 세정 노즐(34)이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립체의 처리시에 회전 드럼(1)이 동 도면에서 A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둘레벽부(1a)의 시일 링(13)과 칸막이부(14)는 통기 부재(10)의 미끄럼접촉부(10a)에 미끄럼접촉한다. 특히, 칸막이부(14)의 시일 부재(14b)는 내외주 방향으로 가동이고, 회전 드럼(1)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을 받아서 외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원심력에 상응하는 힘으로 통기 부재(10)의 미끄럼접촉부(10a)에 압접한다. 회전 드럼(1)의 전단부측의 급기부(A1)와 후단부측의 급기부(A2)로부터 회전 드럼(1)의 내부로 급기된 처리 기체는 분립체층(S)을 통과하여 분립체층(S)의 건조에 기여한 후,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의 통기부(다공부)를 통해서 상기 통기 공간(C1)으로 들어가고, 통기 공간(C1)으로부터 통기구(10b)를 통해서 통기 부재(10)에 배기된다.
칸막이부(14)의 시일 부재(14b)가 회전 드럼(1)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에 의해 통기 부재(10)의 미끄럼접촉부(10a)에 압접해서 통기 공간(C1)을 시일하는 구성이므로, 칸막이부(14)의 치수나 장착의 오차, 시일 부재(14b)의 마모에 의한 치수 변화, 회전 드럼(1)의 축심의 진동, 케이싱의 변형 등의 영향을 받지 않아 시일 부재(14b)는 항상 소정 힘(원심력에 상응하는 힘)으로 통기 부재(10)의 미끄럼접촉부(10a)에 압접한다. 그 때문에, 통기 공간(C1)에 대한 시일성이 안정되어 배기의 누설이나 숏패스의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칸막이부(14)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치수 형상 관리도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과대한 압접력에 의한 시일 부재(14b)의 이상 마모가 없어 컨테미네이션의 발생이 저감됨과 아울러 시일 부재(14b)의 교환 빈도도 적어진다. 한편, 시일 부재(14b)를 교환하는 경우라도 그 교환 작업은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부(14)를 다각형의 둘레벽부(1a)의 각 꼭대기부(1a2)와 각 변면(1a1)에 배치함으로써 둘레벽부(1a)의 꼭대기부(1a2)의 수[변면(1a1)의 수]보다 많은 수의 통기 공간(C1)이 통기구(10b)의 영역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배기의 숏패스의 발생이 한층더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분립체의 처리시[회전 드럼(1)의 회전시]에 분립체층(S)의 표층부(S1)는 회전 방향 A의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구배로 경사진 상태가 되고, 스프레이 노즐(5a)로부터 스프레이액의 분무를 받은 표층부(S1)의 분립체 입자는 스프레이액의 분무를 받은 위치(스프레이존)로부터 경사 하방측(도 6에 나타내는 B 방향)으로 유동하는 동안에 스프레이액의 전연(展延)과 적당한 건조를 받는다(건조존).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이 분립체층(S)의 표층부(S1)에 대하여 경사 방향 상위의 위치가 되는 제 2 위치(P2')에 설치됨으로써 스프레이 노즐(5a)로부터 스프레이액의 분무를 받은 표층부(S1)의 분립체 입자가 경사 하방측(B)으로 유동할 때의 유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커져 스프레이액의 전연과 건조가 효과적으로 행하여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위치(P2')에 있어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스프레이 노즐(5a)은 분립체층(S)을 향해서 연직 하방으로 스프레이액을 분무하므로, 스프레이 노즐(5a)로부터 스프레이액의 분무를 받은 표층부(S1)의 분립체 입자는 스프레이액의 분무압에 의해 경사 하방측으로의 유동이 촉진된다.
회전 드럼(1)의 전단부측의 급기부(A1)에 있어서, 기류 안내판(20)에 의해 안내되어서 분립체층(S)의 상방이고, 또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에 대하여 배면측이 되는 회전 드럼(1) 내의 공간부를 지향해서 회전 드럼(1)의 내부에 급기된 처리 기체는 상기 공간부 내에서 유속이 저하한 후, 도 6에 백색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레이존보다 경사 하방측의 건조존으로부터 분립체층(S)으로 들어가고, 분립체층(S)을 통과해서 통기 부재(10)의 통기구(10b)로부터 배기된다.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배면측의 공간부를 지향해서 처리 기체를 급기하는 구성인 것과, 처리 기체가 스프레이존보다 경사 하방측의 건조존으로부터 분립체층(S)으로 들어가는 것, 또한 상기 공간부 내에서의 처리 기체의 유속 저하의 효과가 합쳐져 스프레이 노즐(5a)로부터 분무되는 스프레이액의 스프레이 패턴이 처리 기체의 기류에 의해 흩어진다는 현상이 한층더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처리 기체의 유속 저하에 의해 분립체층(S)의 표층부(S1)에서의 처리 기체의 기류의 튀어오름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기류의 튀어오름에 기인하는 더스트의 발생이나 비산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분립체층(S)의 경사 방향 상위의 위치(스프레이존)에서 스프레이 노즐(5a)로부터 스프레이액이 분무된 표층부(S1)의 분립체 입자는 경사 하방측의 건조존으로 유동하고, 그 표면에 스프레이액이 어느 정도 전연된 후에 처리 기체의 기류와 접촉하기 때문에 더스트의 발생이나 비산이 보다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회전 드럼(1)의 후단부측의 급기부(A2)에 있어서 기류 안내판(32)에 의해 안내되어서 후단 개구부(1g)로부터 분립체층(S)의 상방이고, 또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에 대하여 배면측이 되는 회전 드럼(1) 내의 공간부를 지향해서 회전 드럼(1)의 내부에 급기된 처리 기체는 상기 공간부 내에서 유속이 저하한 후, 스프레이존보다 경사 하방측의 건조존으로부터 분립체층(S)으로 들어가고, 분립체층(S)을 통과해서 배기된다.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배면측의 공간부를 지향해서 처리 기체를 급기하는 구성인 것과, 처리 기체가 스프레이존보다 경사 하방측의 건조존으로부터 분립체층(S)으로 들어가는 것, 또한 상기 공간부 내에서의 처리 기체의 유속 저하의 효과가 합쳐져 스프레이 노즐(5a)로부터 분무되는 스프레이액의 스프레이 패턴이 처리 기체의 기류에 의해 흩어진다는 현상이 한층더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처리 기체의 유속 저하에 의해 분립체층(S)의 표층부(S1)에서의 처리 기체의 기류의 튀어오름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기류의 튀어오름에 기인하는 더스트의 발생이나 비산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분립체층(S)의 경사 방향 상위의 위치(스프레이존)에서 스프레이 노즐(5a)로부터 스프레이액을 분무된 표층부(S1)의 분립체 입자는 경사 하방측의 건조존으로 유동하고, 그 표면에 스프레이액이 어느 정도 전연된 후에 처리 기체의 기류와 접촉하기 때문에 더스트의 발생이나 비산이 보다 발생하기 어렵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스프레이 노즐(5a)로부터 분립체층(S)으로 분무된 막재액 등의 스프레이액은 회전 드럼(1)의 회전에 따르는 교반 혼합 작용에 의해 각 분립체 입자의 표면에 전연되고, 분립체층(S)을 통과하는 처리 기체에 의해 건조된다. 이것에 의해, 각 분립체 입자의 표면에 코팅 피막이 형성된다.
분립체의 처리가 완료되고,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을 회전 드럼(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할 때에는 우선 노즐 이동 기구(9)에 있어서의 노즐 위치 조정 기구(9B)의 회동 구동부(9i)의 구동 모터(9i1)(도 7 참조)를 작동시켜 슬라이딩 샤프트(9b)를 축선 X2 둘레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편심 핀(9m3)[축심(X3)]을 축선 X2 둘레로 선회 이동시켜서 전방면 패널(2b)을 슬라이딩 샤프트(9a)의 축선 X1을 선회 중심으로 하여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 2 위치(P2)로부터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제 1 위치(P1)로 선회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방면 패널(2b)에 장착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이 도 8에 나타내는 제 2 위치(P2')로부터 제 1 위치(P1')로 선회 이동하고, 회전 드럼(1)의 전단 개구부(1e)와 간섭하지 않고 회전 드럼(1)의 축선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이 도 8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 2 위치(P2')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하 이동 기구(8)에 의해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을 점선으로 나타내는 제 2 위치(P2')로 이동시킨 후, 선회 이동시킨다. 그 후, 노즐 이동 기구(9)에 있어서의 축방향 이동 기구(9A)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에어 실린더 등의 적당한 축방향 구동 수단으로 작동시켜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을 전방면 패널(2b)과 함께 회전 드럼(1)의 축선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을 전단 개구부(1e)로부터 회전 드럼(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도 1 참조). 그때, 축방향 이동 기구(9A)의 슬라이딩 샤프트(9a, 9b)가 슬라이딩 베어링부(9c, 9d) 및 슬라이딩 레일(9e, 9f)에 의해 슬라이딩 안내됨으로써 전방면 패널(2b) 및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은 회전 드럼(1)의 축선 X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을 회전 드럼(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삽입할 때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우선 전방면 패널(2b)을 도 2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제 1 위치(P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을 전방면 패널(2b)과 함께 회전 드럼(1)의 축선 X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을 전단 개구부(1e)로부터 회전 드럼(1)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 후, 노즐 이동 기구(9)의 노즐 위치 조정 기구(9B)의 회동 구동부(9i)의 구동 모터(9i1)를 작동시켜서 전방면 패널(2b)을 슬라이딩 샤프트(9a)의 축선 X1을 선회 중심으로 하여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 2 위치(P2)까지 선회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방면 패널(2b)에 장착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이 도 8에 나타내는 제 1 위치(P1')로부터 제 2 위치(P2')로 선회 이동하고, 분립체의 처리시의 위치에 설정된다. 또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을 도 8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 2 위치(P2')에 설정할 경우에는 상하 이동 기구(8)에 의해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을 점선으로 나타내는 제 2 위치(P2')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 2 위치(P2')로 이동시킨다.
회전 드럼(1)을 세정할 때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세정 버킷(4a)에 세정수 등의 세정액(L)을 공급한다. 세정 버킷(4a)에 공급된 세정액(L)은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의 통기부(다공부)로부터 회전 드럼(1)의 내부로 들어감과 아울러, 통기 부재(10)의 통기구(10b)로부터 배기 부재의 내부로도 들어간다. 이렇게 하여, 세정 버킷(4a)에 세정액을 모은 후에 회전 드럼(1)을 회전시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기포류 분사 노즐로부터 세정액 내에 세정액의 기포류를 분사시키면서 세정을 행한다. 세정 버킷(4a)의 세정액 중에서의 회전 드럼(1)의 회전과, 기포류 분사 노즐로부터 세정액 내에 분출하는 세정액의 분류(噴流) 및 기포의 상승 효과에 의해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나 통기부, 회전 드럼(1)의 내부나 통기 부재(10)의 내부 등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에 칸막이부(14)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회전 드럼(1)의 회전시에 세정 버킷(4a)의 세정액이 칸막이부(14)에 의해 회전 방향 전방으로 유동됨과 아울러, 세정액 중의 기포가 칸막이부(14)의 회전 방향 전방측에 유지되어 둘레벽부(1a)의 통기부(다공부)를 통해서 회전 드럼(1)의 내부로 유통된다. 즉, 둘레벽부(1a)의 통기부를 통과하는 세정액의 유통 속도는 완만해지기 쉽고, 통기부(통기구멍)의 구멍벽면 등에 세정액 중의 기포가 트랩되어서 세정력이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칸막이부(14)에 의해 통기부를 통과하는 세정액의 유통 속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기포의 트랩이 일어나기 어려워 기포의 유통성이 향상된다. 그 때문에, 특히 세정하기 어려운 둘레벽부(1a)의 통기부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세정 버킷(4a)의 세정액이 칸막이부(14)에 의해 액체 표면(L)으로부터 회전 방향 전방으로 퍼올려져 둘레벽부(1a)에 튀기는 것에 의한 튀김 세정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튀김의 세정 효과에 의해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뿐만 아니라, 회전 드럼(1) 내부의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이나 배플 등의 세정 촉진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부(14)의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칸막이부(14)의 회전 방향 전방면측에서는 세정액에 정압(positive pressure)이 발생하고, 회전 방향 배면측에서는 세정액에 음압(negative pressure)이 발생하기 때문에 칸막이부(14)의 회전 방향 전방측의 통기부(통기구멍)로부터 세정액이 회전 드럼(1)의 내부로 유입되고, 회전 방향 배면측의 통기부(통기구멍)로부터 회전 드럼(1)의 외부로 유출된다는 세정액의 순환류/와류가 발생한다. 이 세정액의 순환류/와류에 의해 세정력이 향상된다. 또한, 둘레벽부(1a)의 각 꼭대기부는 칸막이부(14)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그 주변부에는 상기 세정액의 순환류/와류가 어느 정도 발생하지만, 둘레벽부(1a)의 각 변면은 칸막이부(14)를 설치하지 않으면 특히 회전 방향 중앙의 주변부에서 세정액의 순환이 완만해진다. 따라서, 세정성의 점으로부터 칸막이부(14)는 둘레벽부(1a)의 각 변면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바람직하게는 각 변면의 회전 방향 중앙의 주변부에서의 세정액의 순환을 촉진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칸막이부(14)를 각 변면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회전 방향으로 인접하는 칸막이부(14) 사이의 간격은 가장 큰 높이를 갖는 칸막이부(14)의 높이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해서 회전 드럼(1)의 세정을 행한 후, 배액구(10c, 4b)로부터 도 1에 나타내는 배액관(4c)을 통해서 세정액을 배출한다.
도 11∼도 13은 칸막이부(14)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コ자형 단면의 기부(14a)에 평판 형상의 시일 부재(14b)를 장착하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사각통 형상의 기부(14a)에 직사각형 단면의 광폭부(14b1)를 갖는 평판 형상의 시일 부재(14b)를 장착하고, 도 13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개구를 갖는 삼각통 형상의 기부(14a)에 사다리꼴 단면의 광폭부(14b1)를 갖는 평판 형상의 시일 부재(14b)를 장착하고 있다. 이들 변형예에 있어서, 시일 부재(14b)는 회전 드럼(1)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을 받으면 기부(14a)와 미끄럼접촉하면서 외주 방향으로 이동하고[도 11∼도 13에서는 기부(14a)와 시일 부재(14b) 사이의 간극을 상당히 과장해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원심력에 상응하는 힘으로 그 선단부가 통기 부재(10)의 미끄럼접촉부(10a)에 압접한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조립, 분해시 등에 있어서 시일 부재(14b)의 광폭부(14b1)가 기부(14a)의 개구부와 맞물림으로써 시일 부재(14b)가 기부(14a)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4는 칸막이부(14)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더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원형 단면의 기부(14a)에 평판 형상의 시일 부재(14b)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14b)는 회전 드럼(1)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을 받으면 기부(14a)에 대하여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원심력에 상응하는 힘으로 그 선단부가 통기 부재(10)의 미끄럼접촉부(10a)에 압접한다.
도 15는 칸막이부(14)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더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기부(14a)와 시일 부재(14b)의 서로 대향하는 미끄럼접촉면에 각각 복수의 홈(14a2)과 복수의 홈(14b2)을 형성하고 있다. 홈(14a2)과 홈(14b2)은 각각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회전 드럼(1)의 세정시에 세정액이 홈(14a2), 홈(14b2)을 통해서 기부(14a)와 시일 부재(14b)의 미끄럼접촉부에 들어감으로써 상기 미끄럼접촉부의 세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홈은 기부(14a)와 시일 부재(14b)의 서로 대향하는 미끄럼접촉면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하면 된다. 또한, 이러한 홈은 외주 방향에 대하여 경사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회전 드럼(1)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가 원통 형상의 통기 부재(40)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외주측으로부터 덮여 있고, 통기 부재(40)의 내주(40a)와 둘레벽부(1a)의 외주 사이에 공간부(C)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된다. 둘레벽부(1a)의 축방향 양 단부에는 이 공간부(C)를 단부측으로부터 폐색하는 시일 링(13)이 설치되고, 둘레벽부(1a)의 외주에는 공간부(S)를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칸막이하는 복수의 칸막이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시일 링(13)과 칸막이부(14)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것이고, 회전 드럼(1)의 회전시에 각각 통기 부재(40)의 내주면(40a)과 미끄럼접촉한다. 공간부(C)가 복수의 칸막이부(14)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칸이 나누어짐으로써 둘레벽부(1a)의 외주측에 소정의 회전 방향 치수로 구획된 복수의 통기 공간(C1)이 형성된다. 즉, 통기 부재(40)의 내주(40a)와, 축방향 양 단부의 시일 링(13)과, 회전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칸막이부(14)와, 둘레벽부(1a)의 외주에 의해 1개의 통기 공간(C1)이 형성되고, 이 통기 공간(C1)이 둘레벽부(1a)의 외주측에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된다.
통기 부재(40)는 그 일부에 통기구(배기구)(40b)를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기구(40)는 통기 부재(40)의 하부에 소정의 회전 방향 치수와 축방향 치수로 형성된다. 또한, 통기 부재(40)의 통기구(40b)에는 통기 챔버(41)가 접속되고, 통기 챔버(41)에 통기 덕트(42)가 접속된다. 통기 부재(40)의 통기구(40b)와 통기 챔버(41)의 접속 부분에는 건조 기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부재(43)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드럼(1)의 전단부측의 급기부(A1)와 후단부측의 급기부(A2)로부터 회전 드럼(1)의 내부에 급기된 처리 기체는 분립체층(S)을 통과하여 분립체층(S)의 건조에 기여한 후,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의 통기부(다공부)를 통해서 상기 통기 공간(C1)으로 들어가고, 통기 공간(C1)으로부터 통기구(40b)를 통해서 통기 챔버(41)로 배기된다. 또한, 통기 부재(40)가 소정 위치에 급기구를 형성하고, 이 급기구로부터 회전 드럼(1)의 내부로 급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준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회전 드럼(1)의 전단 개구부(1e)의 측에 형성되는 급기부(A1)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급기부(A1)는 케이싱(2)의 전단부에 급기 챔버(40)를 설치함과 아울러, 급기 챔버(40)에 기류 제어부로서 기류 선회부(43)를 설치한 것이다. 급기 챔버(40)의 전방면은 전방면 패널(2b)에 의해 폐색되고, 급기 챔버(40)의 후방부는 회전 드럼(1)의 전단 개구부(1e)와 연통된다. 또한, 급기 챔버(40)에는 급기 덕트(41)가 접속되고, 급기 덕트(41)를 통해서 공급되는 열풍이나 냉풍 등의 처리 기체는 급기 챔버(40)에 유입된 후, 급기 챔버(40)로부터 전단 개구부(1e)를 통해서 회전 드럼(1)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기 덕트(41)는 회전 드럼(1)의 전방측으로부터 볼 때 회전 드럼(1)의 축선 X를 포함하는 연직면(V)에 대하여 동 도면에서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이고, 또한 회전 드럼(1)의 축선 X를 포함하는 수평면에 대하여 동 도면에서 상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급기구(41a)를 갖고 있다. 또한,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기 덕트(41)는 상기 위치에 설정된 급기구(41a)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처리 기체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급기 덕트(41)로부터 급기구(41a)를 통해서 급기 챔버(40)에 공급된 처리 기체의 흐름은 회전 드럼(1)의 전방측으로부터 볼 때 급기 챔버(40) 내에서 우측으로 돌도록 선회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기 챔버(40)의 소정 영역, 즉 회전 드럼(1)의 축선 X를 중심으로 하는 영역에 처리 기체의 선회를 안내하는 융기부(42)를 설치하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융기부(42)는 전방면 패널(2b)의 일부분이 상기 소정 영역에 있어서 회전 드럼(1)의 전단 개구부(1e)의 방향으로 융기한 형태를 갖고 있다. 또한, 이 융기부(42)의 둘레면은 전단 개구부(1e)를 향해서 점차 지름이 축소된 원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42a)으로 형성되고, 융기부(42)의 선단에는 점검창(42b)이 장착되어 있다. 급기 챔버(40) 내에서 발생하는 처리 기체의 선회가 융기부(42)의 원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42a)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선회의 흐름이 강해지고 또한 안정됨과 아울러 회전 드럼(1)의 전단 개구부(1e)를 향해서 인도된다.
급기 덕트(41)로부터 급기 챔버(40)로 공급되는 처리 기체는 급기 챔버(40) 내에서 선회하고, 분립체의 처리시에 있어서의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설치 위치(P2')에 대하여 분립체층(S)의 상방이고, 또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에 대하여 배면측이 되는 회전 드럼(1) 내의 공간부를 지향하여 전단 개구부(1e)로부터 회전 드럼(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준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회전 드럼(1)의 후단 개구부(1g)의 측에 설치되는 급기부(A2)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급기부(A2)는 회전 드럼(1)의 후단측의 연장부(1f)에 접속되는 챔버 부재(30)의 내부 공간[급기 챔버(30a)]에 기류 제어부로서 기류 선회부(51)를 설치한 것이다. 챔버 부재(30)에는 급기 덕트(52)가 접속되고, 열풍이나 냉풍 등의 처리 기체는 급기 덕트(52)로부터 급기 챔버(30a)에 접선 방향으로 공급된다.
급기 덕트(52)로부터 급기 챔버(30a)에 접선 방향으로 공급된 처리 기체의 흐름은 회전 드럼(1)의 후방측으로부터 볼 때 급기 챔버(30a) 내에서 우측으로 돌도록 선회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급기 챔버(30a)의 소정 영역, 즉 회전 드럼(1)의 축선 X를 중심으로 하는 영역에 처리 기체의 선회를 안내하는 융기부(53)를 설치하고 있다. 이 융기부(53)의 둘레면은 후단 개구부(1g)(도 1 참조)를 향해서 점차 지름이 축소된 원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53a)으로 형성되고, 융기부(53a)의 선단에는 점검창(53b)이 장착되어 있다. 급기 챔버(30a) 내에서 발생하는 처리 기체의 선회가 융기부(53)의 원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53a)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선회의 흐름이 강해지고 또한 안정됨과 아울러 회전 드럼(1)의 후단 개구부(1g)를 향해서 인도된다.
급기 덕트(52)로부터 급기 챔버(30a)에 공급되는 처리 기체는 급기 챔버(30a) 내에서 선회하고, 연장부(1f)(도 1 참조)의 내부 공간[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기류 안내판(32)은 배치되어 있지 않다]으로 들어가고, 분립체의 처리시에 있어서의 스프레이 노즐 유닛(5)의 설치 위치(P2')에 대하여 분립체층(S)의 상방이고, 또한 스프레이 노즐 유닛(5)에 대하여 배면측이 되는 회전 드럼(1) 내의 공간부를 지향하여 후단 개구부(1g)로부터 회전 드럼(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준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드럼(1)의 전단부측에 급기부(A1), 후단부측에 급기부(A2)를 설치하고 있지만, 전단부측의 급기부(A1)만, 또는 후단부측의 급기부(A2)만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급기부(A1)는 급기부(A2)와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좋고, 반대로 급기부(A2)는 급기부(A1)와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즐 이동 기구(9)는 2개의 슬라이딩 샤프트(9a, 9b)를 구비한 2축 구조를 갖고 있지만, 슬라이딩 샤프트(9a)에 대응하는 1개의 슬라이딩 샤프트만을 구비한 1축 구조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이 1개의 슬라이딩 샤프트를 슬라이딩 안내하는 슬라이딩 베어링부와, 이 슬라이딩 샤프트의 축선 둘레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 베어링부와, 이 슬라이딩 샤프트를 회동 구동시키는 회동 구동부를 설치하고, 회동 구동부에 의해 이 슬라이딩 샤프트를 회동 구동함으로써 전방면 패널(2b)을 이 슬라이딩 샤프트의 축선을 선회 중심으로 해서 선회 이동시킨다.
도 19는 회전 드럼(1)의 세정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 드럼(1)의 하방 외주측에 세정조(17)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조(17)는 내부 하우징(4)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 A에 대하여 회전 방향 전방측의 버킷부(17a)와 회전 방향 후방측의 연장부(17b)로 구성된다. 버킷부(17a)는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에 대향하는 부분이 개구하고[개구부(17a1)], 도 19의 지면 수직 방향의 측벽부(17a2, 17a3)에 각각 회전 드럼(1)의 시일 링(13)과 유동판(14')이 미끄럼접촉하는 원호 형상의 미끄럼접촉부(17a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동판(14')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칸막이부(14)의 기부(14a)와 시일 부재(14b)로 구성된다. 또한, 버킷부(17a)는 도 19의 지면 수직 방향 안측의 측벽부(17a2)에 배기구(17a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기구(17a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배기 덕트가 접속된다. 또한, 버킷부(17a)는 기포가 혼재한 세정액을 세정조(17) 중에 분사하는 기포류 분사 노즐(버블링 제트 노즐)(17a5)을 구비하고 있다. 연장부(17b)는 버킷부(17a)의 회전 방향 후단부로부터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를 따라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고, 회전 드럼(1)의 시일 링(13)[및 유동판(14')]이 미끄럼접촉하는 원호 형상의 미끄럼접촉부(17b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미끄럼접촉부(17b1)는 버킷부(17a)의 미끄럼접촉부(17a4)와 매끄럽게 연속된다. 또한, 연장부(17b)는 회전 드럼(1)의 시일 링(13)[및 유동판(14')]과 미끄럼접촉하도록 단순한 원호판으로 구성해도 좋다.
버킷부(17a)의 저벽부(17a6)와 측벽부(17a7)에는 각각 배수구(17a8)와 오버플로우구(17a9)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17a8)는 배수 밸브(17a9)를 개재해서 배수관(17a10)에 접속되고, 오버플로우구(17a9)는 오버플로우 밸브(17a11)를 개재해서 배수관(17a10)에 접속된다.
회전 드럼(1)을 세정할 때는 우선 배수 밸브(17a9)를 닫고, 오버플로우 밸브(17a11)를 연 상태에서 기포류 분사 노즐(17a4) 또는 다른 급액 수단에 의해 세정수 등의 세정액을 세정조(17)에 공급한다. 세정층(17)에 공급된 세정액은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의 통기부(다공부)로부터 회전 드럼(1)의 내부로도 들어가고, 세정조(7) 내에서 도 19에 나타내는 액체 표면(L)까지 수위가 상승한다. 이렇게 하여, 세정조(17)에 세정액을 모은 후에 회전 드럼(1)을 회전시키고, 기포류 분사 노즐(17a4)로부터 세정액 내에 세정액의 기포류를 분사시키면서 세정을 행한다. 세정조(17)의 세정액 중에서의 회전 드럼(1)의 회전과, 기포류 분사 노즐(17a4)로부터 세정액 내에 분출되는 세정액의 분류 및 기포의 상승 효과에 의해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나 통기부, 회전 드럼(1)의 내부 등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기포류 분사 노즐(17a4)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의 기포류에 의해 버킷부(17a) 내부의 세정도 촉진된다.
세정시에 기포류 분사 노즐(17a4)로부터 세정액 내로 상시 분사되는 기포류에 의해 액체 표면(L) 부근의 세정액은 오버플로우구(17a9)로부터 오버플로우되고, 오버플로우 밸브(17a11)를 통해서 배수관(17a10)으로 배출된다. 세정액 중에 분산된 불용성의 오염 성분(입자상 오염물이나 유분 등)은 기포의 작용에 의해 액체 표면(L)으로 부상하고, 오버플로우구(17a9)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세정액에 따라서 배수관(17a10)으로 배출된다. 그 때문에, 세정조(17) 내의 세정액의 청정도가 유지되어, 세정액 중의 오염 성분이 회전 드럼(1)에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해서 회전 드럼(1)의 세정을 행한 후, 배수밸브(17a9)를 열어 세정조(17)의 세정액을 배수관(17a10)으로 배출한다. 세정액을 배출한 후, 배수밸브(17a9)와 오버플로우 밸브를 닫으면 세정조(17)의 버킷부(17a)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지만, 이 공간부는 분립체의 처리시에 배기 챔버가 된다. 즉, 버킷부(17a)는 배기 부재를 겸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동판(14')은 둘레벽부(1a)의 외주에 고정된 기부(14a)와, 기부(14a)에 둘레벽부(1a)의 내외주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장착된 시일 부재(14b)로 구성하고 있지만, 유동판의 전체를 불소계 수지(PTFE 등)의 합성 수지재나 경질 고무 등의 합성 고무재 등으로 일체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둘레벽부(1a)의 외주에 고정해도 좋다. 또한, 각 유동판은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전방이 경사진 자세로 되도록 둘레벽부(1a)의 외주에 고정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유동판의 회전 방향 전방면측에서 상술한 세정액의 정압 발생이 촉진된다. 또한, 각 유동판은 평판 형상의 것에 한하지 않고, 둘레벽부(1a)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회전 방향 치수가 점차 증대하는 단면 형상, 예를 들면 역삼각형상 또는 역사다리꼴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판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유동판의 회전 방향 전방면측에 있어서 상술한 세정액의 정압 발생이 촉진됨과 아울러, 유동판의 회전 방향 배면측에 있어서 상술한 세정액의 음압 발생이 촉진된다. 또한, 기포류 분사 노즐(7a4) 대신에 세정조(7)의 세정액 내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 생성 노즐을 사용해도 된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준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은 회전 드럼(1)의 세정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 드럼(1)의 하방 외주측에 세정조(17)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조(17)는 내부 하우징(4)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 A에 대하여 회전 방향 전방측의 버킷부(18)와 회전 방향 후방측의 연장부(19)로 구성된다.
버킷부(18)는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에 대향하는 부분이 개구되고[개구부(18a)], 도 20의 지면 수직 방향의 측벽부(18b, 18c)에 각각 회전 드럼(1)의 시일 링(13)이 미끄럼접촉하는 원호 형상의 제 1 링 미끄럼접촉부(18d)를 구비하고 있다(도 21 참조). 유동판(14')은 제 1 링 미끄럼접촉부(18d)에는 미끄럼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버킷부(18)는 측벽부(18b)와 측벽부(18c) 사이에 상벽부(18e)의 회전 드럼(1)측의 단부로부터 세정액의 액체 표면(L1)의 위치 주변까지 측면으로 볼 때 시일 링(13)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 벽부(18f)와, 원호벽부(18f)의 단부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안내부(18g)를 구비한다.
버킷부(18)의 원호벽부(18f)는 그 회전 드럼(1)측의 면이 시일 링(13)의 둘레가장자리와 같은 곡률의 원호판이고, 유동판(14')의 축선 방향의 전역이 미끄럼접촉하는 제 1 유동판 미끄럼접촉부(18h)를 갖지만, 시일 링(13)은 원호벽부(18f)에 미끄럼접촉하지 않는다. 제 1 안내부(18g)는 측면으로 볼 때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이행함에 따라 시일 링(13)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형상의 판이다.
또한, 버킷부(18)는 도 20의 지면 수직 방향 안측의 측벽부(18b)에 접속구(18i)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속구(18i)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통기 덕트가 접속된다. 또한, 버킷부(18)는 기포가 혼재한 세정액을 세정조(17) 내에 분사하는 기포류 분사 노즐(버블링 제트 노즐)(10')을 구비하고 있다.
연장부(19)는 버킷부(18)의 회전 방향 후단부로부터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를 따라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장부(19)는 판 형상이고, 본체부(19a)와 제 2 안내부(19b)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9a)는 시일 링(13)을 따른 단순한 원호판이다.
연장부(19)의 본체부(19a)의 회전 드럼(1)측은 회전 드럼(1)의 한 쌍의 시일 링(13)이 미끄럼접촉하는 한 쌍의 제 2 링 미끄럼접촉부(19c)와, 이들 제 2 링 미끄럼접촉부(19c) 사이에 형성되는 유동판(14')이 미끄럼접촉하는 제 2 유동판 미끄럼접촉부(19d)를 갖는다(도 21 참조). 제 2 링 미끄럼접촉부(19c)는 버킷부(18)의 제 1 링 미끄럼접촉부(18d)와 매끄럽게 연속된다. 유동판(14')의 축선 방향의 전 영역이 본체부(19a)의 제 2 유동판 미끄럼접촉부(19d)에 미끄럼접촉한다. 연장부(19)의 제 2 안내부(19b)는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이행됨에 따라 시일 링(13)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형상의 판이다. 또한, 연장부(19)는 유동판(14')의 축선 방향의 양 단부와만 시일 링(13)이 미끄럼접촉하도록, 예를 들면 축선 방향을 따른 단면이 コ자 형상이어도 된다.
버킷부(18)의 저벽부(18j)와 측벽부(18k)에는 각각 배수구(8l)와 오버플로우구(18m)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8l)는 배수밸브(11a')를 통해서 배수관(1lb')에 접속되고, 오버플로우구(18m)는 오버플로우 밸브(11c')를 통해서 배수관(11b')에 접속된다.
회전 드럼(1)을 세정할 때는 우선 배수밸브(11a')를 닫고, 오버플로우 밸브(11c')를 연 상태에서 기포류 분사 노즐(10') 또는 다른 급액 수단에 의해 세정수 등의 세정액을 세정조(17)에 공급한다. 세정조(17)에 공급된 세정액은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의 통기부(다공부)로부터 회전 드럼(1)의 내부로도 들어가고, 세정조(17) 내에서 도 20에 나타내는 액체 표면(L1)까지 수위가 상승한다. 이렇게 하여, 세정조(17)에 세정액을 모은 후에 회전 드럼(1)을 회전시키고, 기포류 분사 노즐(10')로부터 세정액 내에 세정액의 기포류를 분사시키면서 세정을 행한다.
회전 드럼(1)이 회전하면 회전 드럼(1) 내에서는 회전 드럼(1)의 내벽에 의해[회전 드럼(1)의 회전 에너지에 의해] 세정액이 유동되고, 회전 드럼(1) 내의 세정액의 액체 표면(L2)은 회전 방향 전방측이 높고, 회전 방향 후방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진다.
그리고, 세정액 내에 유동판(14')의 시일 부재(14b)가 가장 외주측의 위치보다 내주측의 위치에서 규제되는 규제 영역(R1)과, 시일 부재(14b)가 외주측에 대하여 개방되는 개방 영역(R2)이 형성된다. 규제 영역(R1)에서는 규제 부재로서의 연장부(19)의 본체부(19a)에 의해 시일 부재(14b)의 위치가 규제된다. 개방 영역(R2)에서는 개구부(18a)에 있어서 시일 부재(14b)가 외주측에 대하여 개방되고, 원심력에 의해 가장 외주측에 위치한다. 개방 영역(R2)은 규제 영역(R1)보다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 전방측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안내부(18g, 19b)에 의해서는 유동판(14')의 시일 부재(14b)가 안내된다. 제 1 안내부(18g)에 의해 개방 영역(R2)에서 가장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었던 시일 부재(14b)가 원호벽부(18f)의 회전 드럼(1)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 2 안내부(19b)에서는 규제 영역의 회전 방향 후방측에서 원심력에 의해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었던 시일 부재(14b)가 연장부(19)의 본체부(19a)의 회전 드럼(1)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안내부(18g)는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 유동되어 온 세정액을 회전 드럼(1) 내부로 유도하는 기능도 갖는다.
또한, 회전 드럼(1)이 회전함으로써 둘레벽부(1a)의 시일 링(13)과 유동판(14')은 각각 연장부(19)의 제 2 링 미끄럼접촉부(19c)와 제 2 유동판 미끄럼접촉부(19d)에 미끄럼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의 외주측에 유동판(14')에 의해 구획된 공간(S)이 형성된다. 환언하면, 규제 영역(R1)에서는 인접하는 유동판(14') 사이의 공간(S)은 축선 방향 양 단측이 시일 링(13)에 의해 폐색됨과 아울러, 외주측이 연장부(19)의 본체부(19a)에 의해 폐색된다. 또한, 유동판(14')의 시일 부재(14b)는 내외주 방향으로 가동이고, 회전 드럼(1)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을 받아서 외주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원심력에 상응하는 힘으로 연장부(19)의 제 2 유동판 미끄럼접촉부(19d)에 압접한다.
또한, 버킷부(18)에서도 측벽부(18b, 18c)의 제 1 링 미끄럼접촉부(18d)에 대하여 둘레벽부(1a)의 시일 링(13)이 미끄럼접촉하고, 버킷부(18)의 원호벽부(18f)의 제 1 유동판 미끄럼접촉부(18h)에 대하여 유동판(14')이 미끄럼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1a)의 외주측에 유동판(14')에 의해 구획된 공간이 형성된다. 환언하면, 인접하는 유동판(14') 사이의 공간은 축선 방향 양 단측이 시일 링(13)에 의해 폐색됨과 아울러, 외주측이 버킷부(18)의 측벽부(18b, 18c)와 원호벽부(18f)에 의해 폐색된다. 또한, 버킷부(18)의 원호벽부(18f)에서는 유동판(14')의 시일 부재(14b)가 원심력에 의해 연장부(19)의 제 1 유동판 미끄럼접촉부(18h)에 압접한다.
세정액 내에서는 이러한 규제 영역(R1)이나 개방 영역(R2) 또는 제 1 안내부(18g)에 의해, 예를 들면 도 20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흐름이 발생한다.
개방 영역(R2)에서는 유동판(14')의 시일 부재(14b)가 외주측에 대하여 개방되므로 시일 부재(14b)가 원심력에 의해 가장 외주측의 위치가 된다. 이것에 의해, 유동판(14')이 외주 방향으로 신장하여 유동판(14') 전체의 내외주 방향의 길이가 길어진다. 따라서, 유동판(14')에 의한 세정액의 교반력을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동판(14')에 의해 유동되는 세정액이 원심력에 의해 회전 드럼(1) 내부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는 작용이 강화된다.
한편으로, 규제 영역(R1)에서는 시일 부재(14b)가 가장 외주측의 위치보다 내주측의 위치에서 규제되므로 개방 영역(R2)의 유동판(14')에 비교하여 유동판(14') 전체의 내외주 방향의 길이가 짧다. 이 때문에, 개방 영역(R2)에 비교하여 상술한 유동판(14')에 의한 세정액의 토출 작용이 약하므로, 세정액이 외부로 토출되어도 회전 드럼(1) 내부로 돌아오기 쉽다.
이들 이유에 의해, 회전 드럼(1) 내외에서 큰 세정액의 흐름이 생기고, 유동판(14') 주변이나 회전 드럼(1) 내외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흐름이 활발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팅 장치로는 회전 드럼(1)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 중에 회전 드럼(1) 내의 세정액은 회전 방향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아지도록 경사진 액체 표면(L2)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 드럼(1) 내의 액체 표면과, 세정조 내의 액체 표면(L3)의 높이 관계에 의해 통상 세정액은 액체 표면 높이가 낮은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의 후방측으로부터 회전 드럼(1) 내부로 유입된다. 반대로, 세정액은 액체 표면 높이가 높은 회전 방향 전방측으로부터 회전 드럼(1) 외부로 유출된다. 이것에 추가해서, 규제 영역(R1)의 회전 방향 전방측의 개방 영역(R2)에서 유동판(14)이 개방됨으로써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 전방측으로부터의 세정액의 회전 드럼(1) 외부로의 배출량이 증가한다. 회전 드럼(1)의 전방측으로부터의 세정액의 회전 드럼(1) 외부로의 배출량이 증가함으로써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부터의 세정액의 회전 드럼(1) 내부로의 유입양이 증가한다. 이 결과, 회전 드럼(1) 내외의 세정액의 유통이 활발해지고, 세정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판(14') 주변에서는 원심력에 의해 회전 드럼(1)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세정액의 흐름이 발생한다. 그리고, 유동판(14')의 축선 방향의 양 단부에서도 원심력에 의해 외부를 향해 세정액의 흐름이 생기고 있다. 그러나, 유동판(14') 사이의 공간(S)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 양 단측이 시일 링(13)에 의해 폐색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유동판(14')의 축선 방향 양 단부와 시일 링(13)이 이격되어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즉, 유동판(14')의 축선 방향 양 단부에서는 반드시 회전 드럼(1) 내부로부터 유동판(14')을 지나 유동판(14')의 외부로 세정액이 흐른다고는 할 수 없다. 이것은, 유동판(14')의 축선 방향 단부 주변의 세정액이 외부를 향해 흘러도 유동판(14')의 단부의 축선 방향 외측으로부터 유동판(14')의 단부 주변으로 세정액이 유입되기(유입 리크) 때문에 회전 드럼(1) 내부의 세정액이 유동판(14')의 단부 주변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해받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회전 드럼(1)의 둘레벽부의 축선 방향 양 단에서는 통기부의 세정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동판(14') 사이의 공간(S)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 양 단측이 시일 링(13)에 의해 폐색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유입 리크가 억제된다. 따라서, 세정액의 흐름이 회전 드럼(1) 내부→통기부→유동판(14')→유동판(14')의 외부로 되도록 세정액을 인도할 수 있기 때문에 통기부/회전 드럼(1)의 세정력이 향상된다.
또한, 세정시에는 드럼의 회전에 따라 유동판(14')에 의해 세정액이 유동되기 때문에 세정조(17) 내의 세정액 전체에 순환하는 큰 흐름이 생긴다. 또한, 유동판(14')이 세정액으로부터 빼내어질 때에 액체 표면 근방에 세정액의 왕복하는 흐름이 발생하고, 세정조(17) 내의 액체 표면에 L3으로 예시하는 물결이 발생한다. 이들 세정액의 흐름이나 물결이 세정조(17) 자체의 세정에 기여하기 때문에 세정조(17)도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도 22, 23은 내부 하우징(4)의 하부를 세정조(17)로서 사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세정조(17)는 내부 하우징(4)의 하부의 저벽부(17a)와 측벽부(17b, 17c)로 구성되어 있고, 저벽부(17a)는 회전 드럼(1)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조(17)는 그 내부에 버킷부(18)를 갖는다. 버킷부(18)의 저벽부는 세정조(17)의 저벽부(17a)로 구성된다. 버킷부(18)의 측벽부(18b, 18c)는 각각 세정조(17)의 측벽부(17b, 17c)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버킷부(18)는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배기 통로(18n)를 통해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배기 덕트에 연통되고 있다. 분립체 처리시에는 세정조(17)의 버킷부(18)는 통기 덕트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세정시에는 액체 표면(L1)까지 세정액이 세정조(17) 및 버킷부(18)에 공급된다.
버킷부(18) 전체는 회전 드럼(1) 회전 방향의 후방측의 측벽부(18o)로부터 소정 거리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고, 회전 드럼(1)에 대향하는 부위에 개구부(18a)를 갖는다. 그리고, 버킷부(18)는 측벽부(18b, 18c)와의 사이에 측면으로 볼 때 시일 링(13)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벽부(18p)를 구비한다. 원호벽부(18p)는 측벽부(18o)의 상단으로부터 개구부(18a)의 측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원호벽부(18p)는 그 회전 드럼(1)측의 면이 시일 링(13)의 둘레가장자리와 같은 곡률의 원호판이고, 회전 드럼(1) 회전 방향 전방(도 22에서 좌측)의 원호벽부(18f)와 같은 형상이다. 원호벽부(18p)는 그 회전 드럼(1)측의 면에 유동판(14')의 축선 방향의 전역이 미끄럼접촉하지만, 시일 링(13)은 미끄럼접촉하지 않는다. 세정시에는 버킷부(18)의 원호벽부(18p)가 규제 부재로서 기능하여 시일 부재(14b)의 위치가 규제되어, 규제 영역(R1)이 형성된다. 또한, 세정조(17)에 있어서의 버킷부(18)의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 후방(도 22에서 우측)에서는 규제 부재가 존재하지 않고, 세정시에 개방 영역(R2)이 형성된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서도 버킷부(18)의 개구부(18a)에 개방 영역(R2)이 형성된다. 따라서, 버킷부(18)의 개구부(18a)의 개방 영역(R2)은 규제 영역(R1)보다 회전 드럼(1)의 회전 방향 전방측이다. 그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회전 드럼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플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의 측벽부(1')는 둘레벽부(62)와, 단부(63, 64)와, 둘레벽부(62)와 단부(63, 64)를 접속시키는 단벽부(65, 66)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 한다. 단부(63)는 회전 드럼의 마우스링부와 전단 개구부를 구성한다.
둘레벽부(62)는 측벽부(1')의 축선 방향 중간에 둘레 방향을 따라 축선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둘레벽부(62)는 그 횡단면 형상이 10각형이고, 이 10각형의 각 변에 대응하는 10의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변벽부(邊壁部)(6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부(62)의 각 변벽부(67)는 다공판으로 구성되어 통기성을 갖는다. 그리고, 분립체층의 교반 혼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둘레벽부(62)의 내면에는 상단 배플(68)과 하단 배플(69)의 2종류의 배플이 설치되어 있다. 둘레벽부(62)의 내면은 단벽부(65)측의 배플이 설치되어 있는 배플 설치 영역(R1')과, 단벽부(66)측의 배플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배플 비설치 영역(R2')의 축선 방향(도 24의 세로 방향)으로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배플(68)은 20매 설치되어 있고 모두 동일 형상 및 동일 치수이며, 하단 배플(69)은 5매 설치되어 있고 모두 동일 형상 및 동일 치수이다. 상단 배플(68)과 하단 배플(69)은 모두 평판 형상이고, 변벽부(67)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상단 배플(68)은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조정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하단 배플(69)은 변벽부(67)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높이는 변경할 수 없다.
5매의 하단 배플(69)은 둘레 방향 동일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하단 배플(69)은 4개의 변벽부(67)에 걸쳐서 배플 설치 영역(R1')의 단벽부(65)측 끝가장자리로부터 단벽부(66)측 끝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하단 배플(69)은 그 절반이 동일한 2개의 변벽부(67)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 배플(69) 사이의 각각에 4매씩 상단 배플(68)이 설치되어 있다. 하단 배플(69) 사이에서 상단 배플(68)의 각각은 별도의 변벽부(67)에 설치되어 있다. 각 상단 배플(68)은 변벽부(67) 내에서 둘레 방향 일단측 근방으로부터 타단측 근방까지 연장된다. 상단 배플(68)과 하단 배플(69)은 모두 그 연장 방향이 회전 드럼의 둘레 방향(도 24의 가로 방향)에 대하여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지만, 그것들의 경사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또한, 상단 배플(68)의 연장 방향 중앙은 변벽부(67)의 둘레 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하단 배플(69)의 연장 방향 중앙은 4매의 변벽부(67)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중앙측에서 인접하는 변벽부(67)의 경계선 상에 위치한다. 또한, 배플 설치 영역(R1')을 축선 방향(도 24의 세로 방향)으로 4개로 구획했을 경우, 각 영역에 5매의 상단 배플(68)이 배치되도록 상단 배플(68)은 설치되어 있다.
단벽부(65)는 단벽부(65)의 둘레벽부(62)측의 끝가장자리를 저변으로 하는 10개의 삼각형상 면과, 단벽부(65)의 단부(63)측의 끝가장자리를 저변으로 하는 10개의 삼각형상 면으로 구성되고, 단벽부(66)는 단벽부(66)의 둘레벽부(62)측의 끝가장자리를 저변으로 하는 10개의 삼각형상 면과, 단벽부(66)의 단부(64)측의 끝가장자리를 저변으로 하는 10개의 삼각형상 면으로 구성된다. 단벽부(65)에는 분립체를 배출할 때에 분립체를 안내하는 배출 플레이트(70)가 이 실시형태에서는 1매 설치되어 있다. 배출 플레이트(70)는 4개의 삼각형상 면에 걸쳐서 단벽부(65)의 둘레벽부(62)측의 끝가장자리로부터 단벽부(65)의 단부(63)측의 끝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그 연장 방향은 회전 드럼의 둘레 방향(도 24의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회전 드럼은 분립체의 처리 중에는 도 24에 백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단 배플(68)의 연장 방향과, 하단 배플(69)의 연장 방향이 다르므로 상단 배플(68)에 의해 분립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하단 배플(69)에 의해 분립체가 이동하는 방향이 다르다. 이것에 의해, 배플의 연장 방향이 1종류인 경우와 비교하여 교반 혼합 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회전 드럼으로부터 분립체를 배출할 때에는 도 24의 백색 화살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드럼은 회전한다. 분립체는 하단 배플(69)에 의해 단벽부(65)로 이동하고, 또한 단벽부(65)에서는 배출 플레이트(70)에 안내되어서 단부(63)까지 이동하고, 단부(63)에 모인 후에 후속의 분립체에 압출되어서 개구부로부터 배출된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상단 배플(68)의 상단(68a)의 높이 H1은 하단 배플(69)의 상단(69a)의 높이 H2보다 높다. 또한, 여기에서 높이의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은 변벽부(67)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다(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이하 동일). 또한, 상과 하는 도면 중에서의 상하를 의미하고, 회전 드럼의 회전 상태에 따라서 실제의 상하와는 다르다(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이하 동일). 도 25에서 상단 배플(68)의 존재 영역은 하단 배플(69)의 존재 영역과는 겹치지 않는다. 즉, 상단 배플(68)의 하단(68b)의 높이 H1'는 하단 배플(69)의 상단(69a)의 높이 H2보다 높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배플(68)의 폭 W1은 하단 배플(69)의 폭 W2와 동일하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 배플(68)은 한 쌍의 측변이 상단(68a)을 향해서 점차 접근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판 형상이다. 이 실시형태의 코팅 장치에는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상단 배플(68)의 상단(68a)의 높이 H1을 회전 드럼의 외부로부터 조정 가능한 높이 조정 수단(7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조정 수단(71)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상단 배플(68)의 위치를 변경 함으로써 상단 배플(68)의 높이 H1을 조정한다. 높이 조정 수단(71)은 회전 드럼의 변벽부(67)를 진퇴 가능하게 관통하는 높이 조정 핀(72)을 갖는다.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높이 조정 핀(72)은 그 일단부(72a)가 상단 배플(6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72b)가 회전 드럼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높이 조정 핀(72)을 길이가 다른 높이 조정 핀으로 교환함으로써 높이 방향을 따라 상단 배플(68)의 위치를 변경한다.
도 2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조정 핀(72)은 일단부(72a)와, 타단부(72b)와, 일단부(72a)로부터 타단부(72b)까지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면 원 형상의 봉 형상의 본체부(72c)로 구성된다. 일단부(72a)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타단부(72b)에는 본체부(72c)에 대하여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단면 육각형상의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 배플(68)의 하단에는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의 핀수용부(68c)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핀수용부(68c)는 단면 원 형상의 봉 형상이고, 그 상단측은 상단 배플(68)에 예를 들면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핀수용부(68c)의 하단에는 높이 조정 핀(72)의 일단부(72a)의 수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68d)이 형성되어 있다. 핀수용부(68c)의 외경과 높이 조정 핀(72)의 본체부(72c)의 외경은 동일하다.
변벽부(67)에는 서로 이격해서 한 쌍의 관통구멍(67a)이 형성되어 있고, 변벽부(67)의 외측에 있어서의 관통구멍(17a)의 둘레가장자리에는 마운팅 보스(73)가 예를 들면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마운팅 보스(73)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운팅 보스(73)에는 마운팅 보스(73)의 수나사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가 나사 구멍에 형성된 단면 육각형상의 고정 너트(74)가 장착되어 있다. 마운팅 보스(73)의 하단면과 고정 너트(74)의 나사구멍의 저면 사이에 높이 조정 핀(72)의 타단부(72b)의 플랜지가 협지 고정되어 있다. 관통구멍(67a)과 마운팅 보스(73)의 내경은 높이 조정 핀(72)과 상단 배플(68)의 핀수용부(68c)가 변벽부(67)에 대하여 진퇴 가능해지도록 높이 조정 핀(72)과 상단 배플(68)의 핀수용부(68c)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설정되어 있다.
도 27(a)에 나타내는 높이 조정 핀(72)에 대하여 그 본체부(72c)의 길이(L)가 다른 것, 예를 들면 도 2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72c)의 길이(L)가 0인[본체부(72c)를 갖지 않는] 높이 조정 핀(72')이 별도 준비되어 있다. 한 쌍의 높이 조정 핀(72)을 한 쌍의 높이 조정 핀(72')으로 교환함으로써 높이 방향을 따라 상단 배플(68)의 위치는 변경되고, 상단 배플(68)의 높이가 조정된다. 여기에서는, 높이 조정 핀(72)을 높이 조정 핀(72')으로 교환함으로써 상단 배플(68)의 높이 H1을 변경하는 경우를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도 2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한 쌍의 고정 너트(74)의 양쪽을 마운팅 보스(73)로부터 분리한다. 이어서, 한 쌍의 높이 조정 핀(72)을 동시에 외측으로 인출함으로써 도 26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 배플(66)을 그 하단(6b)이 변벽부(67)에 접촉할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상단 배플(68)의 한 쌍의 핀수용부(68c)는 관통구멍(67a) 및 마운팅 보스(73) 내에서 감합되어 있고, 핀수용부(68c)의 하단면과, 마운팅 보스(73)의 하단면은 동일한 높이 방향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높이 조정 핀(72)의 타단부(72b)의 플랜지를 육각 렌치 등으로 회전시켜 높이 조정 핀(72)의 일단부(72a)의 수나사와, 상단 배플(68)의 핀수용부(68c)에 있어서의 나사 구멍(68d)의 암나사의 나사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높이 조정 핀(72)을 상단 배플(68)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이 높이 조정 핀(72)을 높이 조정 핀(72')으로 교환하고, 이 높이 조정 핀(72')의 타단부(72b)의 플랜지를 육각 렌치 등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일단부(72a)의 수나사를 핀수용부(68c)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시킨다. 그 후, 고정 너트(74)를 회전시켜서 마운팅 보스(73)에 마운팅함으로써 상단 배플(68)은 도 26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하단(68b)이 변벽부(67)에 접촉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상단 배플(68)의 상단(68a)의 높이는 H3이다. 이것으로, 상단 배플(68)의 높이 H1로부터 높이 H3으로의 변경 작업은 완료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해서 본체부(72c)의 길이(L)가 높이 조정 핀(72')과는 다른 높이 조정 핀으로 교환하면 상단 배플(68)을 다른 높이로 할 수 있다.
상단 배플(68)은 높이 H1의 상태라도 높이 H3의 상태라도 변벽면(67)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르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배플(68)의 폭 W1이 하단 배플(69)의 폭 W2와 같으므로 상단 배플(68)의 변경 후의 높이 H3은 도 25에 나타내는 하단 배플(69)의 높이 H2와 같다.
또한, 이 상단 배플(68)의 높이 H1로부터 높이 H3으로의 변경 작업시에는 대상이 되는 상단 배플(68)이 장착되어 있는 변벽부(67)가 회전 드럼 전체 중에서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수평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높이 조정 핀(72)을 양쪽 분리한 상태라도 핀수용부(68c)가 관통구멍(67a) 및 마운팅 보스(73) 내에 감합된 상태가 되므로 작업을 실시하기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 실시형태의 코팅 장치의 회전 드럼은 이하와 같은 효과를 향수할 수 있다.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상단 배플(68)의 상단(68a)의 높이를 회전 드럼의 외부로부터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상단 배플(68)의 높이의 조정에 의해 상단 배플(68)의 높이를 분립체량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상단 배플(68)의 높이의 조정은 회전 드럼의 외부로부터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 조정을 위하여 사람이 회전 드럼 안으로 들어갈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단 배플(68)의 높이 조정을 위한 작업이 용이해지고, 한명이라도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단 배플(68)의 높이 조정을 위한 작업 후에 세정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 세정에 요하는 시간이나 비용도 불필요해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조정 핀(72)을 교환함으로써 상단 배플(68)의 높이를 조정하므로, 상단 배플(68)의 높이를 크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빵 코팅 장치에서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D)이 백색 화살표 Ah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 분립체층(G)에서는 다음과 같은 영역이 생긴다. 즉, 회전 드럼(D)의 회전에 의해 회전 드럼(D)의 내면 근방에 형성되고 화살표 Ah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분립체가 움직이는 수송 영역과, 중력에 의해 분립체층(G)의 표면 근방에 형성되고 화살표 Ah3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분립체가 움직이는 전락 영역과, 수송 영역과 전락 영역 사이[분립체층(G)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고 분립체의 움직임이 완만한 정체 영역(Rs)이다. 이 정체 영역(Rs)에서는 분립체의 움직임이 완만하므로 분립체층(G) 전체의 혼합이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회전 드럼에서는 도 2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 배플(68)의 높이를 높은 상태로 함으로써 배플을 상단 배플(68)과 하단 배플(69)의 2단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배플이 2단 구성의 상태에서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면 상술한 정체 영역(Rs)으로 되어 있는 영역의 분립체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지고, 분립체층(G) 전체를 최적으로 혼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조정 수단(71)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상단 배플(68)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단 배플(68)의 높이를 조정하고 있었지만, 이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높이 조정 수단(71)으로 배플을 높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 배플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9∼도 3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도 배플(75)은 평판 형상이고, 변벽부(67)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배플(75)의 높이 조정 수단(71)이 변벽부(67)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축(76)을 갖고, 이 요동축(76)에 배플(75)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봉(77)이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요동축(76)은 변벽부(67)의 일부로서 변벽부(67)에 고정된 기판(78)의 내측에 형성된 오목부(78a)에 그 외주면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판(78)의 외측에는 부분 원기둥 형상의 장착부(78b)가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봉(77)은 기판(78)과 그 장착부(78b)에 형성된 긴 구멍인 관통구멍(78c)을 요동 가능하게 삽통하고, 그 일단은 배플(75)에 고정된다. 지지봉(77)의 타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에 커버 부재(79)을 통해서 너트(80)인 암나사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지지봉(77)의 타단이 장착부(78b)의 외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너트(80)를 풀어서 도 30에 백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플(75)과 지지봉(77)을 요동축(76)을 통해서 변벽부(67)에 대하여 회동시킨 후, 너트(80)를 조여서 배플(75)을 높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다. 이것에 의해,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배플(75) 상단(75a)의 높이가 변경된다.
이어서, 도 32∼도 3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요동축(76)은 변벽부(67)의 내측에 고정된 축지지부(81)에 형성된 오목부(81a)에 그 외주면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지지봉(77)은 변벽부(67)에 형성된 긴 구멍의 관통구멍(67b)을 요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그 일단은 배플(75)에 고정된다. 지지봉(77)의 타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에 너트(80)인 암나사트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지지봉(77)의 타단이 변벽부(67)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32에서는 배플(75)은 수직 방향을 따르고 있고, 도 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지 않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플(75)을 높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기 위해서 변벽부(67)나 지지봉(77)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도 33에 나타내는 장착 부재(82)를 사용한다. 이 장착 부재(82)에는 변벽부(67)에 접촉하는 장착면(82a)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갖는 한 쌍의 관통구멍(82b)과, 관통구멍(82b)에 대하여 수직인 면(82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 부재(82)의 한 쌍의 관통구멍(82b)은 한 쌍의 지지봉(77)이 삽통 가능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이 배플(75)을 높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다. 도 34(a)에 나타내는 상태(배플 경사 각도 0°)로부터 너트(80)를 분리한 후, 장착 부재(82)의 관통구멍(82b)에 지지봉(77)을 삽통시키고, 너트(80)를 장착해서 면(82c)에 접촉시킨다. 이것에 의해, 배플(75)이 높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어 도 34(b)에 나타내는 상태(배플 경사 각도 30°)가 되고,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배플(75)의 상단 높이가 변경된다. 장착면(82a)에 대하여 다른 경사 각도의 관통구멍(82b)을 갖는 장착 부재(82)를 사용하면 도 34(c)(배플 경사 각도 45°),도 34(d)(배플 경사 각도 60°)와 같이 배플(75)의 경사 각도를 변경 가능하다. 이렇게, 배플(75)은 경사 각도가 변경되고, 그 상단(75a)의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변경된다.
도 35∼도 37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요동축(76)은 변벽부(67)의 외측에 고정된 한 쌍의 축지지부(81)에 형성된 오목부(81b)에 그 축단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지지봉(77)은 변벽부(67)에 형성된 긴 구멍의 관통구멍(67c)을 요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그 일단은 배플(75)에 고정되며, 타단은 요동축(76)에 고정된다. 요동축(76)의 양 끝면에는 한쪽면마다 나사 구멍(76a∼76c)이 형성되어 있다(도 37 참조). 이 나사 구멍(76a∼76c)은 모두 축심으로부터의 거리는 같고, 서로 이루는 중심각은 90°이다. 한편, 한 쌍의 축지지부(81)의 각각에는 관통구멍(81c∼81f)이 형성되어 있다. 도 35에서는 축지지부(81)의 관통구멍(81c)을 통해서 나사 구멍(76a)에 볼트(83)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도 37(a)에 나타내는 배플 경사 각도 0°의 상태].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플(75)을 높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기 위해서 볼트(83)가 삽통되는 축지지부(81)의 관통구멍(81c∼81f)과, 볼트(83)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76a∼76c)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볼트(83)를 관통구멍(81d) 을 통해서 나사 구멍(76b)에 나사 결합시켰을 경우 도 3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플(75)은 30° 경사진다. 또한, 볼트(83)를 관통구멍(81e)을 통해서 나사 구멍(76c)에 나사 결합시켰을 경우 도 3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플(75)은 45° 경사진다. 또한, 볼트(83)를 관통구멍(81f)을 통해서 나사 구멍(76a)에 나사 결합시켰을 경우 도 3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플(75)은 60° 경사진다. 이렇게 하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배플(75)의 상단(75a) 높이가 변경된다.
도 3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조정 수단(11)은 배플(24)을 갖는다. 변벽부(67)에는 긴 구멍의 관통구멍(85)이 형성되어 있다. 배플(84)은 이 관통구멍(85)을 통해서 변벽부(67)에 진퇴 가능하다. 배플(84)의 일단에는 장착부(84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장착부(84a)가 예를 들면 볼트 등의 고정 수단(도시생략)에 의해 변벽부(67)의 외면에 고정된다.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배플(84)의 상단(84b) 높이를 변경할 경우에는 장착부(84a)의 고정을 해제하고, 배플(84)을 변벽부(67)로부터 빼낸다. 이어서, 도 38(b)에 나타내는 높이가 다른 배플(84)을 변벽부(84)의 관통구멍(85)에 삽통시키고, 이 배플(84)의 장착부(84a)를 변벽부(67)의 외면에 고정한다. 이 배플(84)의 교환 작업도 모두 변벽부(7)(회전 드럼)의 외부로부터 행할 수 있다.
도 39에 나타내는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둘레벽부(62)는 측벽부(1')의 축선 방향 중간에 둘레 방향을 따라 축선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둘레벽부(62)의 내면에는 분립체층의 교반 혼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둘레벽부의 내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단 배플(68)과 낮은 하단 배플(69)의 2종류의 배플이 설치되어 있다. 둘레벽부(62)는 배플(68, 69)이 배치되어 있는 단위 영역(U)과, 단위 영역(U)의 축선 방향 양측에 존재하는 배플(68, 69)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X)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구분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둘레벽부(62)는 그 횡단면 형상이 12각형이고, 이 12각형의 각 변에 대응하는 12개의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변벽부(6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부(62)의 각 변벽부(67)는 다공판으로 구성되고, 통기성을 갖는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단 배플(68)은 8매 설치되어 있고, 모두 동일 형상 및 동일 치수이다. 하단 배플(69)은 4매 설치되어 있고, 모두 동일 형상 및 동일 치수이다. 상단 배플(68)과 하단 배플(69)은 모두 평판 형상이고, 변벽부(67)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단 배플(68)은 한 쌍의 측변이 상단(68a)을 향해서 점차 접근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판 형상이다. 상단 배플(68)은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높이 조정 수단에 의해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조정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하단 배플(69)은 변벽부(67)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높이는 변경할 수 없다.
4매의 하단 배플(69)은 둘레 방향 동일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하단 배플(69)은 4개의 변벽부(67)에 걸쳐서 둘레벽부(62)의 단벽부(65)측 끝가장자리 근방으로부터 단벽부(66)측의 끝가장자리 근방까지 연장된다.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하단 배플(69)의 단부는 동일한 변벽부(67)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 배플(69) 사이의 각각에 2매씩 상단 배플(68)이 설치되어 있다. 상단 배플(68)의 각각은 별도의 변벽부(67)에 설치되어 있다. 각 상단 배플(68)은 변벽부(67) 내이고, 둘레 방향 일단측 근방으로부터 타단측 근방으로 연장된다.
상단 배플(68)과 하단 배플(69)은 모두 그 연장 방향이 회전 드럼의 둘레 방향(도 39의 가로 방향)에 대하여 동일 각도로 경사지고 있지만, 그것들의 경사의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이 연장 방향의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예를 들면 15∼25°이다. 또한, 상단 배플(68)의 연장 방향 중앙은 변벽부(67)의 둘레 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하단 배플(69)의 연장 방향 중앙은 4개의 변벽부(67)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중앙측에서 인접하는 변벽부(67)의 경계선 상에 위치한다.
둘레벽부(62)에 있어서의 단위 영역(U)을 도 39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을 따라 분할함으로써 축선 방향의 길이가 서로 같은 복수(도 1에서는 4개)의 구획(S)으로 했을 경우, 구획(S)에 존재하는 상단 배플(68)과 하단 배플(69)의 수가 구획(S)간에 서로 동일하다. 도 39에서는 각 구획(S)에는 2매의 상단 배플(68)과 4매의 하단 배플(69)이 존재하고 있다.
단벽부(65)는 단벽부(65)의 둘레벽부(62)측의 끝가장자리를 저변으로 하는 12개의 삼각형상 면과, 단벽부(65)의 단부(63)측의 끝가장자리를 저변으로 하는 12개의 삼각형상 면으로 구성된다. 단벽부(66)는 단벽부(66)의 둘레벽부(62)측의 끝가장자리를 저변으로 하는 12개의 삼각형상 면과, 단벽부(66)의 단부(64)측의 끝가장자리를 저변으로 하는 12개의 삼각형상 면으로 구성된다. 단벽부(65)에는 분립체를 배출할 때에 분립체를 안내하는 배출 플레이트(70)가 이 실시형태에서는 4매 설치되어 있다. 이들 4매의 배출 플레이트(70)는 둘레 방향 동일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배출 플레이트(70)는 4개의 삼각형상 면에 걸쳐서 단벽부(65)의 둘레벽부(62)측의 끝가장자리로부터 단벽부(65)의 단부(63)측의 끝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그 연장 방향은 회전 드럼의 둘레 방향(도 39의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배출 플레이트(70)의 회전 드럼의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의 방향은 하단 배플(69)의 경사의 방향과 같다.
도 25,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벽부(67)의 내면으로부터의 상단 배플(68)의 상단(68a)의 높이 H1은 하단 배플(69)의 상단(69a)의 높이 H2보다 높다. 상단 배플(68)은 변벽부(67)의 내면에 높이 조정 핀(72) 등을 통해서 고정되고, 변벽부(67)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는다. 한편, 하단 배플(69)은 그 하단이 변벽부(67)의 내면에 직접 고정되어 변벽부(67)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지 않는다. 상단 배플(68)의 하단(68b)의 높이 H1'는 하단 배플(69)의 상단(69a)의 높이 H2 이상이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하단(68b)의 높이 H1'는 상단(69a)의 높이 H2보다 높다.
상단 배플(68)은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68e)가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경사의 방향은 분립체가 처리될 때의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회전 방향 후방)이다. 이 경사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25∼45°, 더욱 바람직하게는 30∼45°이다.
이와 같이 선단부(68e)가 경사진 상단 배플(68)을 사용하면 처리 중의 분립체가 선단부(68e)에 수직으로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여 분립체가 깨지거나 이지러지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선단부(68e)의 경사 각도가 25°보다 작을 경우, 또는 경사 각도가 45°보다 클 경우에는 이 효과가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선단부(68e)가 경사진 상단 배플(68)을 사용하면 분립체의 배출시(회전 드럼의 역회전시)에 이 선단부(68e)가 분립체를 퍼올리는 작용을 한다. 이 작용에 의해, 선단부(68e)가 효율적으로 하단 배플(69)의 기단부측으로 분립체를 안내하므로 시간당 분립체의 배출량이 증가하고, 배출 공정 시간의 단축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선단부(68e)의 경사 각도가 30°보다 작을 경우에는 이 퍼올리는 작용이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모두 상기 실시형태에 준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배플을 구비한 회전 드럼을 스케일업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62)를 그 축선 방향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1에 예시하는 둘레벽부(62)에는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장되는 단위 영역(U)이 축선 방향으로 3개 배열되어 있다. 각 단위 영역(U)에 있어서의 배플[상단 배플(68), 하단 배플(69)]의 배치, 형상 및 치수가 단위 영역(U)간에 서로 동일하다. 여기에서, 배치란 적어도 위치, 방향, 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이하, 동일).
단, 이 실시형태에서는 단위 영역(U)은 축선 방향의 일단의 단위 영역(U)으로부터 타단의 단위 영역(U)으로 이행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둘레 방향의 한쪽으로 동일 거리로 어긋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41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일 위의 단위 영역(U)의 둘레 방향 위치(E)에 대하여 한가운데의 단위 영역(U)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둘레 방향 위치(E)는 좌측으로 변벽부(67)의 4개분 어긋나 있고, 제일 아래의 단위 영역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둘레 방향 위치(E)는 한가운데의 단위 영역(U)의 둘레 방향 위치(E)보다 더욱 좌측으로 변벽부(67)의 4개분 어긋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단위 영역(U)이 축선 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열되어 있지만, 배플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통해서 배열되어도 좋다.
도 41의 둘레벽부(62)의 단위 영역(U)에 있어서의 배플[상단 배플(68), 하단 배플(69)]의 배치, 형상 및 치수는 도 39에 나타내는 둘레벽부(62)의 단위 영역(U)과 동일하다. 즉, 도 41에 나타내는 회전 드럼은 도 39에 나타내는 둘레벽부(62)를 단위 영역(U)으로 하고, 단위 영역(U)의 둘레벽부(62)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 배열의 수를 1개에서 3개로 변경함으로써 도 39에 나타내는 회전 드럼을 스케일업한 것이다. 이 회전 드럼의 스케일업에 의해 둘레벽부(62)는 축선 방향으로 3배로 스케일업하고, 이것에 따라 회전 드럼의 처리 용량은 약 3배가 된다.
이와 같이, 단위 영역(U)을 갖는 회전 드럼에서는 이 단위 영역(U)의 축선 방향의 배열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스케일업을 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단위 영역(U)의 배열수에 비례해서 회전 드럼의 처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단위 영역(U)에서 혼합되는 분립체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으므로 분립체의 혼합성은 대략 동일해진다. 즉, 이 방법에 의하면 혼합성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회전 드럼을 스케일업할 수 있다.
또한,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케일업 후에 있어서의 단위 영역(U)당 스프레이 노즐(N)의 수(도시한 예에서는 1개)를 단위 영역(U)간에 동일하게 하고, 또한 이 스프레이 노즐(N)의 수를 스케일업 전에 있어서의 단위 영역(U)당 스프레이 노즐(N)의 수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단위 영역(U)당 스프레이 면적을 스케일업의 전후에서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스프레이 노즐(N)의 설계 변경 등이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단위 영역(U)에 대한 스프레이 노즐(N)의 분무 방향이나 분무 위치도 스케일업 전후에서 동일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 영역(U)이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 배플(69)은 단위 영역(U) 사이에서 연속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2점 쇄선으로 둘러싸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 배플(69)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상단 배플(68)이 하단 배플(69)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가령, 단위 영역(U)을 더 추가하고, 마찬가지로 어긋나게 배열시켜도 하단 배플(69)은 연속하고, 하단 배플(69)을 따라 한 쌍의 상단 배플이 동일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렇게, 이 실시형태의 단위 영역(U)을 사용한 스케일업 방법에서는 축선 방향에 동일한 형태의 배플 배치가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다른 관점에서는, 하단 배플(69)을 기준으로 보았을 경우 상단 배플(68)과 하단 배플(69)은 축선 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41에 나타내는 스케일업한 회전 드럼은 둘레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도,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도 대략 균일한 배플(68, 69)의 배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케일업 후의 회전 드럼에 있어서 혼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깊이 방향(축선 방향)으로 분립체를 순환시키거나, 이동시키거나 하는 것이 중요(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단 배플(68)과 하단 배플(69)의 각각의 구조는 미소한 에리어에서 개개의 분립체를 혼합하거나 전동시키거나 하는 것을 중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드럼의 깊이 방향 전체에서의 분립체의 대순환이나 대이동이 불필요해짐으로써 분립체에 대순환이나 대이동을 위한 에너지를 부여할 필요가 없어지고, 미소한 에리어 내의 분립체의 혼합 및 전동을 위하여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환언하면, 혼합력 향상을 위하여 에너지를 보다 많이 부여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분립체에 여분의 스트레스를 주지 않게 된다.
또한, 하단 배플(69)이 단위 영역 사이에서 연속되어 있으므로, 회전 드럼으로부터 분립체를 배출할 때에 회전 드럼의 축선 방향의 안측(저벽부측)의 분립체가 하단 배플(69)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 플레이트(70)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회전 드럼으로부터의 분립체의 배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회전 드럼을 스케일업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단위 영역(U)의 축선 방향의 배열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도 41에 나타내는 회전 드럼을 도 39에 나타내는 회전 드럼으로 스케일다운시켜도 좋다.
그런데, 도 41에 있어서 둘레벽부(62)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의 양 끝의 영역(Y)[축변 방향 가장 양 단측의 상단 배플(68)과 단벽부(65, 66) 사이의 영역]에서는 단벽부(65, 66)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하단 배플(69)에 있어서의 영역(Y)에 존재하는 부분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단위 영역(U)의 축선 방향 양 끝으로부터 영역(Y)과 동등한 영역을 제외한 단위 영역(U')이 축선 방향으로 3개 배열되어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각 단위 영역(U')에 있어서의 배플[상단 배플(68), 하단 배플(69)]의 배치, 형상 및 치수는, 단위 영역(U') 사이에서 서로 동일하다.
또한,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벽부(62)를 단위 영역(U)을 축선 방향으로 2.5개분 배열함으로써 구성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 경우, 제일 위의 단위 영역(U)의 둘레 방향 위치(E)에 대하여 제일 아래의 단위 영역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둘레 방향 위치(E)는 왼쪽으로 변벽부(7)의 6개분 어긋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단위 영역(U)을 축선 방향 중앙에서 2분할함으로써 형성되는 단위 영역(U")이 축선 방향으로 5개 배열되어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각 단위 영역(U")에 있어서의 배플[상단 배플(68), 하단 배플(69)]의 배치, 형상 및 치수는 단위 영역(U")간에 서로 동일하다. 그리고, 단위 영역(U")은 축선 방향의 일단의 단위 영역(U")으로부터 타단의 단위 영역(U")으로 이행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둘레 방향의 한쪽에 변벽부(7)의 2개분 어긋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의 배플 구조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코팅 장치의 회전 드럼(1)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소위 재킷리스 구조의 회전 드럼에 한하지 않고, 재킷이 장착되는 회전 드럼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통기부를 갖지 않는 회전 드럼에 적용해도 좋다.
본 발명은, 둘레벽부의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의 회전 드럼을 구비한 코팅 장치에 한하지 않고, 둘레벽부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 원뿔형, 다각원뿔형의 회전 드럼을 구비한 코팅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소위 재킷리스 구조의 코팅 장치에 한하지 않고,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에 재킷을 장착한 구조의 코팅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회전 드럼이 수평선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코팅 장치에 한하지 않고, 회전 드럼이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진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코팅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1 : 회전 드럼 1a : 둘레벽부
1a1 : 변면 1a2 : 꼭대기부
10 : 통기 부재 10a : 미끄럼접촉부
10b : 통기구 13 : 시일 링
14 : 칸막이부 14a : 기부
14b : 시일 부재 40 : 통기 부재
40a : 내주 40b : 통기구

Claims (7)

  1. 처리해야 할 분립체가 내부에 수용되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통기식 회전 드럼을 구비한 코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기부를 갖는 둘레벽부와, 그 둘레벽부의 외주에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칸막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의 외주측에 통기구를 갖는 통기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칸막이부는 각각 상기 둘레벽부의 외주에 고정된 기부와, 그 기부에 상기 둘레벽부의 내외주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장착되어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시에 상기 통기 부재에 미끄럼접촉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부의 외주의 축방향 양 단부에 각각 환상의 시일 링이 장착되고, 그 시일 링은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시에 상기 통기 부재에 미끄럼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의 시일 부재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바이어싱되어서 상기 통기 부재에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는 다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칸막이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둘레벽부의 각 꼭대기부 및 각 변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장치.
KR1020147008790A 2011-09-06 2012-09-06 코팅 장치 KR101536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4059 2011-09-06
JP2011194059 2011-09-06
JPJP-P-2012-080373 2012-03-30
JP2012080373A JP5921935B2 (ja) 2012-03-30 2012-03-30 コーティング装置
JPJP-P-2012-132902 2012-06-12
JP2012132902A JP5925608B2 (ja) 2012-06-12 2012-06-12 コーティング装置
JPJP-P-2012-141955 2012-06-25
JP2012141955A JP2014004528A (ja) 2012-06-25 2012-06-25 コーティング装置
JPJP-P-2012-143281 2012-06-26
JP2012143284A JP6017197B2 (ja) 2012-06-26 2012-06-26 コーティング装置
JP2012143281A JP5925614B2 (ja) 2012-06-26 2012-06-26 コーティング装置
JP2012143282A JP2014004557A (ja) 2012-06-26 2012-06-26 コーティング装置
JP2012143285 2012-06-26
JPJP-P-2012-143284 2012-06-26
JPJP-P-2012-143285 2012-06-26
JPJP-P-2012-143282 2012-06-26
PCT/JP2012/072776 WO2013035800A1 (ja) 2011-09-06 2012-09-06 コーティ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648A KR20140057648A (ko) 2014-05-13
KR101536160B1 true KR101536160B1 (ko) 2015-07-13

Family

ID=4783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790A KR101536160B1 (ko) 2011-09-06 2012-09-06 코팅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66142B2 (ko)
EP (1) EP2754485B1 (ko)
KR (1) KR101536160B1 (ko)
CN (1) CN103619458B (ko)
CA (1) CA2843123C (ko)
IN (1) IN2014CN02601A (ko)
WO (1) WO2013035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6428A (ja) * 2013-07-11 2015-01-29 株式会社パウレック コーティング装置
TW202035009A (zh) 2015-03-05 2020-10-01 美商葛拉工業公司 用於調節材料之轉向器及方法
US10588822B2 (en) * 2017-10-02 2020-03-17 Ningbo Weston Powder Pharma Coatings Co., Ltd. Apparatus for powder coating of particles
DE102019219366B3 (de) * 2019-12-11 2021-04-29 Glatt Maschinen- Und Apparatebau Ag Beschichtungsvorrichtung
CN111167671B (zh) * 2020-03-14 2024-06-14 东莞晨光印刷有限公司 一种胶条内凹槽喷胶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5771A1 (en) * 1988-08-22 1990-02-28 Freund Industrial Co., Ltd. Granulating and coating apparatus
JPH0763608A (ja) * 1993-08-24 1995-03-10 Olympus Optical Co Ltd 反射光検出装置
JP2008253910A (ja) * 2007-04-04 2008-10-23 Freunt Ind Co Ltd コーティ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4380A (en) * 1978-09-26 1980-03-28 Okawara Mfg Co Ltd Drafty rotary drum type coater
JPS5640151A (en) 1979-09-06 1981-04-16 Daiichi Seiyaku Co Coating device for tablet
DE3276898D1 (en) * 1981-05-22 1987-09-10 Glatt Maschinen & Apparatebau Device for coating particles, particularly drugs in the form of particles, such as tablets
CH656077A5 (de) * 1982-01-29 1986-06-13 Glatt Maschinen & Apparatebau Verfahren zum ueberziehen von teilchen, insbesondere arzneimittel-teilchen,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H0684936B2 (ja) 1986-01-27 1994-10-2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原子吸光分析装置
JPH0763608B2 (ja) 1986-09-02 1995-07-12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粉粒体処理装置
CN1048167A (zh) * 1990-04-17 1991-01-02 自贡高压阀门总厂研究所 能清管的在线过滤器
JP3347767B2 (ja) 1992-07-10 2002-11-20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パンコーティング装置
JP3359357B2 (ja) 1992-08-12 2002-12-24 株式会社パウレック 造粒コーティング装置
JPH07163853A (ja) * 1993-10-12 1995-06-27 Freunt Ind Co Ltd 粉粒体コーティング装置
JP3349580B2 (ja) * 1994-03-03 2002-11-25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パンコーティング装置
JPH08266883A (ja) * 1995-03-31 1996-10-15 Freunt Ind Co Ltd 粉粒体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方法
JP3723252B2 (ja) 1995-06-05 2005-12-07 ライオン株式会社 粉粒体の混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混合方法
EP0841301B1 (en) 1996-11-12 2004-03-17 Ammonia Casale S.A. Reforming apparatus
CN2290397Y (zh) * 1997-04-24 1998-09-09 重庆广厦干燥设备工程公司 高效喷雾干燥制粒机
JP3009879B1 (ja) 1998-09-21 2000-02-14 株式会社東洋ウチナミテクノクリーン 洗浄物回転型空中水中洗浄装置
JP4233720B2 (ja) 1999-06-15 2009-03-04 株式会社パウレック 造粒コーティング装置
JP2001096143A (ja) 1999-09-29 2001-04-10 Lion Corp 回転円筒型造粒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造粒物の製造方法
JP2002113401A (ja) 2000-10-06 2002-04-16 Hiroshi Yoshioka コーティング機
JP5595626B2 (ja) 2001-06-22 2014-09-24 株式会社パウレック コーティング装置
JP5202778B2 (ja) 2001-08-24 2013-06-05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パンコーティング装置
JP4216658B2 (ja) 2002-09-04 2009-01-28 株式会社パウレック コーティング装置
JP4064190B2 (ja) 2002-09-04 2008-03-19 株式会社パウレック 粉粒体処理装置
DE10241921B3 (de) * 2002-09-10 2004-01-29 Eaton Fluid Power Gmbh Hochdichte Anschlusseinrichtung
JP4588349B2 (ja) 2004-04-09 2010-12-01 株式会社パウレック コーティング装置
JP4350583B2 (ja) 2004-04-19 2009-10-21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パンコーティング装置
JP5100358B2 (ja) 2007-04-13 2012-12-19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フィルタ洗浄装置及びフィルタ洗浄方法
US8511338B2 (en) 2008-06-04 2013-08-20 Senju Sprinkler Co., Ltd. Water flow detection device
JP5324881B2 (ja) 2008-10-21 2013-10-23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パンコーティ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5771A1 (en) * 1988-08-22 1990-02-28 Freund Industrial Co., Ltd. Granulating and coating apparatus
JPH0763608A (ja) * 1993-08-24 1995-03-10 Olympus Optical Co Ltd 反射光検出装置
JP2008253910A (ja) * 2007-04-04 2008-10-23 Freunt Ind Co Ltd コーティ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648A (ko) 2014-05-13
CN103619458A (zh) 2014-03-05
CA2843123C (en) 2015-12-29
EP2754485A4 (en) 2015-07-29
CA2843123A1 (en) 2013-03-14
EP2754485B1 (en) 2019-08-07
CN103619458B (zh) 2015-08-19
US9266142B2 (en) 2016-02-23
WO2013035800A1 (ja) 2013-03-14
IN2014CN02601A (ko) 2015-08-07
US20140137797A1 (en) 2014-05-22
EP2754485A1 (en)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160B1 (ko) 코팅 장치
ES2734516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mecánicos que procesan de manera continua una combinación de materiales
JP4163702B2 (ja) 粉体供給装置
JP6017197B2 (ja) コーティング装置
CN205995762U (zh) 浆液粗渣分选装置
JP5996471B2 (ja) コーティング装置
CN115122558A (zh) 一种木质素改性汽化发泡设备
JP2004079793A (ja) 基板処理方法
KR101172036B1 (ko) 입자 코팅장치
JP7237360B2 (ja) コーティング装置
JP2007152224A (ja) 粉粒体処理装置及びバッフル装置
JP5829194B2 (ja) コーティング装置
JP5925608B2 (ja) コーティング装置
JP4309556B2 (ja) 粉粒体処理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JP5913937B2 (ja) カップおよび基板処理装置
JP5531725B2 (ja) 振動搬送装置
JP5403230B2 (ja) 小型散布装置
JP2001187115A (ja) 粉粒体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867678B1 (ko) 교반장치
JP5925614B2 (ja) コーティング装置
JPH11300188A (ja) 加湿混練装置
JP5921935B2 (ja) コーティング装置
JP2013010064A (ja) 連続型揺動式粒子表面処理装置
JP2014004528A (ja) コーティング装置
KR20170071922A (ko)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