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130B1 - 카테터용 핸들 - Google Patents

카테터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130B1
KR101526130B1 KR1020147001997A KR20147001997A KR101526130B1 KR 101526130 B1 KR101526130 B1 KR 101526130B1 KR 1020147001997 A KR1020147001997 A KR 1020147001997A KR 20147001997 A KR20147001997 A KR 20147001997A KR 101526130 B1 KR101526130 B1 KR 101526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guide rail
rotary plate
arc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5603A (ko
Inventor
요헤이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카테터 튜브(10)의 기단측(基端側)에 장착되는 핸들 본체(21)와, 핸들 본체(21)에 대해서 회전 자유자재로 장착되어 튜브(10)의 선단 부분을 휘게 하기 위한 조작용 와이어(31), (32)의 기단이 고정되는 회전판(22)을 구비하고, 회전판(22)에는 조작용 와이어(31), (32)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원호상의 가이드 레일(231), (232), (233), (241), (242), (243)이 회전판(2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용 핸들이다. 이 핸들에 의하면 구성 부품을 변경하지 않고 카테터 튜브 선단 부분의 커브 형상이 상이한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일방향으로 구부리는 경우와 타방향으로 구부리는 경우에서 상이한 커브 형상을 실현하는 양방향 타입의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터용 핸들{Catheter handle}
본 발명은 카테터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테터 튜브의 기단측(基端側)에 장착되어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구성하는 카테터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카테터는 통상 카테터 튜브의 기단(근위단)측에 핸들이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카테터용 핸들로서는 카테터의 종류에 따라 각종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카테터의 선단 부분(원위단)을 카테터용 핸들을 조작하여 구부리거나 신장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손잡이측에서 조작하여 편향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핸들 본체에 대해서 회전 자유자재로 장착된 회전판에 조작용 와이어의 기단을 연결하고 이 회전판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카테터 선단의 방향을 변화(편향)시키는 기구가 소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도 10a는 종래의 카테터용 핸들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카테터용 핸들은 카테터 튜브(도시 생략)의 기단측에 장착되는 핸들 본체(1)와, 핸들 본체(1)에 대해서 회전 자유자재로 장착되어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휘게 하기 위한 조작용 와이어(2a), (2b)의 기단이 고정되는 회전판(3A)을 구비하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4는 회전판(3A)의 회전축, 5는 회전판(3A)의 손잡이, 6은 조작용 튜브(조작용 와이어(2a), (2b)의 삽통(揷通) 튜브), 7a, 7b는 와이어 고정구이다. 회전판(3A)에는 원환상의 가이드 레일(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8A)은 회전판(3A) 내에 있어서의 조작용 와이어(2a), (2b)의 경로를 규정함으로써 회전판(3A)의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조작용 와이어(2a), (2b)의 인장량을 확보하는 것이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용 튜브(6)로부터 회전판(3A) 내로 뻗어 나온 조작용 와이어(2a)는 회전판(3A)의 우측에 있어서 원환상의 가이드 레일(8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고, 와이어 고정구(7a)에 의해 회전판(3A)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조작용 튜브(6)로부터 회전판(3A) 내로 뻗어 나온 조작용 와이어(2b)는 회전판(3A)의 좌측에 있어서 원환상의 가이드 레일(8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고 와이어 고정구(7b)에 의해 회전판(3A)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화살표(9a) 방향으로 회전판(3A)을 회전시키면 가이드 레일(8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조작용 와이어(2a)가 인장됨으로써 핸들 본체(1)의 선단측에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이 우측으로 구부러진다(편향된다).
한편 화살표(9b) 방향으로 회전판(3A)을 회전시키면 가이드 레일(8A)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조작용 와이어(2b)가 인장됨으로써 핸들 본체(1)의 선단측에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이 좌측으로 구부러진다(편향된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핸들을 구비한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회전판을 일정 각도 회전시켰을 때의 카테터 튜브 선단 부분의 커브 형상(구부러짐의 크기)은 회전판을 회전시켰을 때의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량(이동량)이 많을수록 커지고,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량은 통상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회전판 내에 진입하고 나서 와이어 고정구에 이르기까지의 조작용 와이어의 길이)가 길수록 길어진다.
이 때문에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선단 부분의 구부러짐을 더욱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판(3A) 대신에 외주(지름)가 큰 환상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회전판, 예를 들면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8A)보다도 직경이 큰 원환상의 가이드 레일(8B)이 형성된 회전판(3B)을 핸들 본체(1)에 장착함으로써 회전판의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조작 와이어의 경로를 길게 할 수 있다.
한편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선단 부분의 구부러짐을 작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판(3A) 대신에 외주(지름)가 작은 환상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회전판, 예를 들면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8A)보다 직경이 작은 원환상의 가이드 레일(8C)이 형성된 회전판(3C)을 핸들 본체(1)에 장착함으로써 회전판의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조작 와이어의 경로를 짧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카테터용 핸들에 있어서는, 카테터 튜브 선단 부분의 커브 형상(구부러짐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회전판(상이한 지름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성형품)을 핸들 본체에 장착하고 있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5-230471호 공보
그러나 카테터 튜브 선단 부분의 커브 형상에 따라 상이한 회전판을 성형하여 핸들 본체에 장착하는 것은 번잡하여 제조 비용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복수의 커브 형상에 대응할 수 있는 회전판을 구비한 카테터용 핸들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었다.
한편 양방향(bidirection) 타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일방향(예를 들면 우측)으로 구부리는 경우와 타방향(예를 들면 좌측)으로 구부리는 경우에서 상이한 커브 형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회전판(회전판 3A~3C)을 구비한 종래의 핸들로는 좌우의 커브 형상이 상이한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구성할 수는 없다.
또한 양방향 타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회전 조작에 의해 한쪽 와이어가 인장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다른 쪽 와이어에 느슨해짐이 생겨 이 느슨해짐 부분이 회전판의 외부로 비어져 나와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구성 부품을 변경하지 않고 카테터 튜브 선단 부분의 커브 형상(구부러짐의 크기)이 상이한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는 카테터용 핸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일방향으로 구부리는 경우와 타방향으로 구부리는 경우에서 상이한 커브 형상을 실현하는 양방향 타입의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는 카테터용 핸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한쪽 와이어가 인장 상태가 되어 있을 때에 다른 쪽 와이어의 느슨해짐 부분이 회전판의 외부로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없는 카테터용 핸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카테터용 핸들은 카테터 튜브의 기단측(基端側)(기단에 장착되는 핸들 본체와,
이 핸들 본체에 대해서 회전 자유자재로 장착되어 상기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휘게 하기 위한 조작용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되는 회전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에는 이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원호상 또는 원환상의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카테터용 핸들에 의하면, 회전판에 있어서 동심원 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 중에서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는 가이드 레일로서 1개(일방향 타입을 구성하는 경우) 또는 2개(양방향 타입을 구성하는 경우에 양쪽으로부터 1개씩)를 선택하여 당해 가이드 레일에 감음으로써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 회전판의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량(이동량)은 통상 회전판에 있어서의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가 길수록 길어진다.
따라서 동심원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레일을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는 가이드 레일로서 선택한 경우에는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량, 더 나아가서는 카테터 튜브 선단 부분의 구부러짐의 크기가 최대가 된다. 반대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레일을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는 가이드 레일로서 선택한 경우에는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량, 더 나아가서는 카테터 튜브 선단 부분의 구부러짐의 크기가 최소가 된다.
이와 같이 회전판에 있어서 동심원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 중에서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는 가이드 레일을 선택함으로써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량을 변경·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회전판을 교환하지 않고 카테터 튜브 선단 부분의 커브 형상(구부러짐의 크기)이 상이한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다.
(2) 쌍방향으로 편향되는 양방향 타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카테터용 핸들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한쪽 측에는 상기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제1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한 제1 조작용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다른 쪽 측에는 상기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제2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한 제2 조작용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카테터용 핸들에 의하면, 회전판의 한쪽 측에 있어서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 중에서 제1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는 1개의 가이드 레일을 선택하고, 회전판의 다른 쪽 측에 있어서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 중에서 제2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는 1개의 가이드 레일을 선택함으로써 양방향 타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에 있어서의 「한쪽 측」 및 「다른 쪽 측」은 회전판의 회전축을 통과하는 직선에 의해 분할되는 각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회전판의 한쪽 측에 있어서,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 중에서 제1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는 1개의 가이드 레일을 선택(변경)함으로써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제1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량, 더 나아가서는 카테터 튜브 선단 부분의 제1 방향의 구부러짐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의 다른 쪽 측에 있어서도,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 중에서 제2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는 1개의 가이드 레일을 선택(변경)함으로써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제2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량, 더 나아가서는 카테터 튜브 선단 부분의 제2 방향의 구부러짐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카테터용 핸들에 의하면, 제1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량과 제2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량을 따로 따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제1 방향으로 구부리는 경우와 제2 방향으로 구부리는 경우에서 상이한 커브 형상을 실현하는 양방향 타입의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다.
(3) 상기 (2)의 카테터용 핸들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한쪽 측에는 상기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3개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다른 쪽 측에는 상기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3개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카테터용 핸들에 의하면, 회전판을 변경하지 않고 9개의 패턴(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3패턴)의 커브 형상을 실현하는 양방향 타입의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다.
(4) 상기 (3)의 카테터용 핸들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한쪽 측에 있어서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3개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회전판의 다른 쪽 측에 있어서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3개의 가이드 레일은 중심각 및 대응하는 원호의 반지름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중심각은 8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카테터용 핸들에 의하면,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중심각이 80°이상인 것으로 인해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량(상이한 가이드 레일을 선택했을 때의 인장량의 차)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제1 조작용 와이어 및 제2 조작용 와이어의 한쪽이 인장 상태에 있을 때에는 다른 쪽 와이어에 느슨해짐을 발생시키지만, 상기 중심각이 100°이하인 것으로 인해 동심원호상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동심원 상에 가이드 레일의 비형성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 비형성 영역에 다른 쪽 와이어의 느슨해짐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중심각이 100°이하인 것으로 인해 회전판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인장되어 있는 와이어(예를 들면 제1 조작용 와이어)가, 이 와이어와는 반대측에 있는 가이드 레일(예를 들면 제2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는 가이드 레일)의 단부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5) 일방향으로만 편향되는 일방향 타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카테터용 핸들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휘게 하기 위한 조작용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로서 원환상 가이드 레일과 이 원환상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 위치하는 1개 이상의 원호상 가이드 레일이 각각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카테터용 핸들에 의하면, 회전판에 있어서 동심원의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는 원환상 가이드 레일 및 원호상 가이드 레일 중에서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는 가이드 레일을 선택함으로써 일방향 타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원환상 가이드 레일 및 원호상 가이드 레일 중에서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는 가이드 레일을 선택(변경)함으로써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량, 더 나아가서는 카테터 튜브 선단 부분의 구부러짐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6) 상기 (5)의 카테터용 핸들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휘게 하기 위한 조작용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로서 원환상 가이드 레일, 이 원환상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 및 이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이 각각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카테터용 핸들에 의하면, 회전판을 교환하지 않고 3개 패턴의 커브 형상을 실현하는 일방향 타입의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다.
(7) 상기 (6)의 카테터용 핸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의 중심각이 150~1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카테터용 핸들에 의하면, 원호상 가이드 레일의 중심각이 150°이상인 것으로 인해 원호상 가이드 레일에 의해 경로가 규정되는 조작용 와이어의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인장량(가이드 레일 간에 있어서의 인장량의 차)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원호상 가이드 레일의 중심각이 150°이상인 것으로 인해 원호상 가이드 레일(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 또는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에 의해 경로가 규정된 조작용 와이어가 회전판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인장되어 있을 때에, 이 조작용 와이어와 원환상 가이드 레일이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원호상 가이드 레일의 중심각이 170°이하인 것으로 인해 원환상 가이드 레일에 의해 경로가 규정된 조작용 와이어와 원호상 가이드 레일(특히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의 단부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테터용 핸들에 의하면, 카테터 튜브 선단 부분의 커브 형상(구부러짐의 크기)이 상이한 카테터를 회전판을 변경(교환)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어, 커브 형상이 상이한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의 구성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동심원호상의 가이드 레일이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카테터용 핸들에 의하면,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제1 방향으로 구부리는 경우와 제2 방향으로 구부리는 경우에서 상이한 커브 형상을 실현하는 양방향 타입의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의 양쪽에 형성된 동심원호상의 가이드 레일의 중심각이 80~100°인 것으로 인해 한쪽 와이어가 인장 상태가 되어 있을 때에 다른 쪽 와이어의 느슨해짐 부분이 회전판의 외부로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핸들을 구비한 전극 카테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나타낸 핸들의 회전판을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켰을 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나타낸 핸들의 회전판을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켰을 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a는 핸들의 회전판을 도 3a에 나타낸 상태로 했을 때의 전극 카테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b는 핸들의 회전판을 도 3b에 나타낸 상태로 했을 때의 전극 카테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핸들을 구비한 전극 카테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a는 도 6a에 나타낸 핸들의 회전판을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켰을 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b는 도 6b에 나타낸 핸들의 회전판을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켰을 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c는 도 6c에 나타낸 핸들의 회전판을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켰을 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a는 핸들의 회전판을 도 7a에 나타낸 상태로 했을 때의 전극 카테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b는 핸들의 회전판을 도 7b에 나타낸 상태로 했을 때의 전극 카테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a는 종래의 카테터용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b는 종래의 카테터용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c는 종래의 카테터용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카테터용 핸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b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카테터용 핸들(20)은 양방향 타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인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핸들로서, 카테터 튜브(10)의 기단측에 장착되는 핸들 본체(21)와 이 핸들 본체(21)에 대해서 회전 자유자재로 장착되는 회전판(22)을 구비하고,
회전판(22)의 한쪽 측(도 2에 있어서 우측)에는 카테터 튜브(10)의 선단 부분을 제1 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한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기단이 와이어 고정구(41)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회전판(22) 내에 있어서의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경로를 규정할 수 있는 3개의 가이드 레일(231), (232), (233)이 회전판(22)의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며,
회전판(22)의 다른 쪽 측(도 2에 있어서 좌측)에는 카테터 튜브(10)의 선단 부분을 제2 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한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기단이 와이어 고정구(42)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회전판(22) 내에 있어서의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경로를 규정할 수 있는 3개의 가이드 레일(241), (242), (243)이 회전판(22)의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핸들(20)을 구비한 전극 카테터는 예를 들면 심장에 있어서의 부정맥의 진단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0)이 장착되는 카테터 튜브(10)를 가지고 있다.
카테터 튜브(10)는 중공(中空)의 튜브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축방향을 따라 동일한 특성의 튜브로 구성해도 되지만, 비교적 가요성(可撓性)이 우수한 선단 부분과 선단 부분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선단 부분보다도 비교적 강성(剛性)이 있는 기단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도 4a 및 도 4b에서는 카테터 튜브(10)의 길이가 짧게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핸들(20)의 축방향 길이보다도 수배~수십배 정도 길다.
카테터 튜브(10)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
카테터 튜브(10)의 바깥지름은 통상 0.6~3 ㎜ 정도이고, 그 안지름은 0.5~2.5 ㎜ 정도이다.
카테터 튜브(10)의 선단부에는 선단 전극(11)과 복수의 링형상 전극(12)이 장착되어 있다. 선단 전극(11) 및 링형상 전극(12)에 접속되는 도선은 각각이 절연된 상태로 카테터 튜브(10)의 축방향 루멘에 삽통되어 있다.
선단 전극(11) 및 링형상 전극(12)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금, 백금 등 전기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으로 구성된다. 선단 전극(11) 및 링형상 전극(12)의 바깥지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카테터 튜브(10)의 바깥지름과 동일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0.5~3 ㎜ 정도이다.
카테터 튜브(10) 선단 부분의 내부에는 고개 흔들기 부재가 수용되어 있다. 고개 흔들기 부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판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개 흔들기 부재로서의 판스프링에는 조작용 와이어(도 1에 있어서 도시 생략)의 선단이 접속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용 와이어는 카테터 튜브(10)의 선단 부분을 제1 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한 제1 조작용 와이어(31)와 카테터 튜브(10)의 선단 부분을 제2 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한 제2 조작용 와이어(32)로 이루어진다.
카테터 튜브(10)의 기단에는 본 실시형태의 핸들(20)이 장착되어 있다.
이 핸들(20)은 핸들 본체(21)와 이 핸들 본체(21)에 대해서 회전 자유자재로 장착된 회전판(22)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20)로부터는 선단 전극(11) 및 링형상 전극(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선의 인출선(도시 생략)이 인출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조작용 와이어(31) 및 제2 조작용 와이어(32)는 각각 조작용 튜브(13)로부터 회전판(22) 내로 뻗어 나와 있고, 각각의 기단은 와이어 고정구(41, 42)에 의해 회전판(22)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20)을 구성하는 회전판(22)은 카테터 튜브(10) 선단 부분의 고개 흔들기 조작(편향 이동 조작)을 행하기 위한 부품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튜브(10)의 선단 부분이 직선상으로 신장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 회전판(22)은 도 2에 나타낸 상태(자세)가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판(22)의 우측에는 제1 소경(小徑) 원호상 레일(231), 제1 중간경(中間徑) 원호상 레일(232) 및 제1 대경(大徑) 원호상 레일(233)로 이루어지는 3개의 가이드 레일이 회전판(22)의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전판(22)의 좌측에는 제2 소경 원호상 레일(241), 제2 중간경 원호상 레일(242) 및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로 이루어지는 3개의 가이드 레일이 회전판(22)의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상태(자세)에 있어서, 회전판(22)의 우측에 있어서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3개의 가이드 레일(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 제1 중간경 원호상 레일(232), 제1 대경 원호상 레일(233))과 회전판(22)의 좌측에 있어서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3개의 가이드 레일(제2 소경 원호상 레일(241), 제2 중간경 원호상 레일(242),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은 동일한 크기의 중심각(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회전판(22)의 우측에 형성된 3개의 가이드 레일과 회전판(22)의 좌측에 형성된 3개의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과 제2 소경 원호상 레일(241), 제1 중간경 원호상 레일(232)과 제2 중간경 원호상 레일(242), 제1 대경 원호상 레일(233)과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의 반지름도 동일하다.
즉 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과 제2 소경 원호상 레일(241)은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소경의) 원주 상에 형성되고, 제1 중간경 원호상 레일(232)과 제2 중간경 원호상 레일(242)은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중간경의) 원주 상에 형성되며, 제1 대경 원호상 레일(233)과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은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대경의)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태양에 있어서, 회전판(22) 내에 있어서의 제1 조작용 와이어(31)는 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고(즉 이 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에 의해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경로가 규정되고), 그 기단이 와이어 고정구(41)에 의해 회전판(22)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회전판(22) 내에 있어서의 제2 조작용 와이어(32)는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고(즉 이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에 의해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경로가 규정되고), 그 기단이 와이어 고정구(42)에 의해 회전판(22)에 고정되어 있다.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된 3개의 가이드 레일의 중심각(α)으로서는 80~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90°이다.
이 중심각(α)이 80°이상인 것으로 인해 회전판(22) 내에 있어서의 조작 와이어의 경로(회전판 내에 진입하고 나서 와이어 고정구로 고정되기까지의 조작용 와이어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회전판(22)의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량 및 상이한 가이드 레일을 선택했을 때의 인장량의 차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중심각(α)이 100°이하인 것으로 인해 동심원호상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동심원 상에 가이드 레일의 비형성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의 비형성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여기에 상측의 비형성 영역에 대한 중심각(θ1)으로서는 10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90°이다.
또한 하측의 비형성 영역에 대한 중심각(θ2)으로서는 10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90°이다.
그리고 이들 비형성 영역에 회전판(22)의 회전 조작(한쪽 와이어의 인장 조작)에 수반하여 생긴 다른 쪽 와이어의 느슨해짐 부분을 수용하는 것, 바꿔 말하자면 회전판(22)의 중심 방향으로 느슨해짐 부분을 내측으로 빼낼 수 있기 때문에, 환상의 가이드 레일을 사용한 경우에 문제가 되는 와이어의 느슨해짐 부분이 회전판(22)의 외부로 비어져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심원호의 중심각(α)이 100°이하인 것으로 인해 가이드 레일의 기단과 와이어 고정구 사이에 일정의 이간거리(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의 기단으로부터 뻗어 나오는 와이어의 기단 부분을 와이어 고정구의 위치까지 원활하게(필요에 따라 내측으로 만곡시키면서) 안내할 수 있어 와이어의 기단 부분이 킹크(kink)되거나 회전판(22)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 와이어 고정구(와이어 고정구(41) 또는 와이어 고정구(42))와 회전축(220)을 잇는 직선과, 회전축(220)과 가이드 레일(231), (232), (233) 또는 (241), (242), (243)의 기단을 잇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θ3)는 30~3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심원호의 중심각(α)이 100°이하인 것으로 인해 회전판(22)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인장되어 있는 와이어(예를 들면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에 의해 경로가 규정된 제1 조작용 와이어(31))가 이 와이어와는 반대측에 있는 가이드 레일(예를 들면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의 단부와 접촉(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가이드 레일과의 간섭에 기인하는 인장량의 변화, 조작 상의 위화감, 와이어의 단선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핸들(20)에 있어서, 회전판(22)을 양측에 있는 손잡이(221)를 사용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A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에 의해 경로가 규정된 제1 조작용 와이어(31)가 인장되는 동시에,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에 의해 경로가 규정된 제2 조작용 와이어(32)가 느슨해진다(이때의 회전판(22)의 회전 각도는 예를 들면 51~52°이다).
그 결과, 카테터 튜브(10)의 선단 부분은 도 1의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제1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동작하여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이 된다. 여기에 회전판(22)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인장 상태에 있는 제1 조작용 와이어(31)는 회전판(22)의 한쪽 측(도 2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3개의 가이드 레일 중 최소경의 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에 의해 경로가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인장량은 상대적으로 작고,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튜브(10) 선단 부분의 구부러짐도 비교적 작은 것이다.
또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조작용 와이어(32)에 생긴 느슨해짐 부분은 가이드 레일의 비형성 영역에 수용되어 있어 회전판(22)의 외부로 비어져 나오는 경우는 없다. 또한 인장 상태에 있는 제1 조작용 와이어(31)와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의 단부가 접촉하는 경우도 없다.
한편 핸들(20)의 회전판(22)을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B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에 의해 경로가 규정된 제2 조작용 와이어(32)가 인장되는 동시에, 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에 의해 경로가 규정된 제1 조작용 와이어(31)가 느슨해진다(이때의 회전판(22)의 회전 각도는 예를 들면 51~52°이다).
그 결과, 카테터 튜브(10)의 선단 부분은 도 1의 화살표 B로 나타내는 제2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동작하여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이 된다. 여기에 회전판(22)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인장 상태에 있는 제2 조작용 와이어(32)는 회전판(22)의 다른 쪽 측(도 2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3개의 가이드 레일 중 최대경의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에 의해 경로가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인장량은 상대적으로 크고,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튜브(10) 선단 부분의 구부러짐도 비교적 큰 것이다.
또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조작용 와이어(31)에 생긴 느슨해짐 부분은 가이드 레일의 비형성 영역에 수용되어 있어 회전판(22)의 외부로 비어져 나오는 경우는 없다. 또한 인장 상태에 있는 제2 조작용 와이어(32)와 제1 대경 원호상 레일(233)의 단부가 접촉하는 경우도 없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전극 카테터, 즉 본 실시형태의 핸들(20)에 의해 구성되고, 회전판(22) 내에 있어서의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경로를 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에 의해 규정하는 동시에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경로를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에 의해 규정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의하면, 카테터 튜브(10)의 선단 부분을 제1 방향으로 구부리는 경우와 제2 방향으로 구부리는 경우에서 상이한 커브 형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핸들(20)을 사용하여 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 제1 중간경 원호상 레일(232) 및 제1 대경 원호상 레일(233) 중에서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경로를 규정하는 가이드 레일을 선택하고, 선택한 가이드 레일의 외주를 따라 제1 조작용 와이어(31)를 배치하여(당해 가이드 레일에 제1 조작용 와이어(31)를 감아),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기단을 와이어 고정구(41)에 의해 회전판(22)에 고정하는 동시에, 제2 소경 원호상 레일(241), 제2 중간경 원호상 레일(242) 및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 중에서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경로를 규정하는 가이드 레일을 선택하고, 선택한 가이드 레일의 외주를 따라 제2 조작용 와이어(32)를 배치하여(당해 가이드 레일에 제2 조작용 와이어(32)를 감아),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기단을 와이어 고정구(42)에 의해 회전판(22)에 고정함으로써 양방향 타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핸들(20)에 의하면, 카테터 튜브(10) 선단 부분의 커브 형상(구부러짐의 크기)이 상이한 양방향 타입의 카테터를 구성 부품인 회전판(22)을 변경(교환)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커브 형상이 상이한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의 제조에 있어서 구성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핸들(20)에 의해 하기 (1)~(9)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중 (2)~(4), (6)~(8)의 카테터는 카테터 튜브(10)의 선단 부분을 제1 방향으로 구부릴 때의 커브 형상과 제2 방향으로 구부릴 때의 커브 형상이 상이한 비대칭형 카테터이다.
(1)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경로가 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경로가 제2 소경 원호상 레일(241)에 의해 규정된 카테터.
(2)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경로가 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경로가 제2 중간경 원호상 레일(242)에 의해 규정된 카테터.
(3)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경로가 제1 소경 원호상 레일(231)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경로가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에 의해 규정된 카테터(도 1 내지 도 4a에 나타낸 전극 카테터).
(4)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경로가 제2 중간경 원호상 레일(232)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경로가 제2 소경 원호상 레일(241)에 의해 규정된 카테터.
(5)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경로가 제2 중간경 원호상 레일(232)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경로가 제2 중간경 원호상 레일(242)에 의해 규정된 카테터.
(6)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경로가 제2 중간경 원호상 레일(232)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경로가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에 의해 규정된 카테터.
(7)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경로가 제1 대경 원호상 레일(233)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경로가 제2 소경 원호상 레일(241)에 의해 규정된 카테터.
(8)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경로가 제1 대경 원호상 레일(233)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경로가 제2 중간경 원호상 레일(242)에 의해 규정된 카테터.
(9) 제1 조작용 와이어(31)의 경로가 제1 대경 원호상 레일(233)에 의해 규정되고, 제2 조작용 와이어(32)의 경로가 제2 대경 원호상 레일(243)에 의해 규정된 카테터.
<제2 실시형태>
도 5 내지 도 8b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카테터용 핸들(25)은 일방향 타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핸들로서, 카테터 튜브(15)의 기단측에 장착되는 핸들 본체(26)와 이 핸들 본체(26)에 대해서 회전 자유자재로 장착되는 회전판(27)을 구비하고, 회전판(27)에는 카테터 튜브(15)의 선단 부분을 휘게 하기 위한 조작용 와이어(33)의 기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회전판(27) 내에 있어서의 조작용 와이어(33)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로서 원환상 가이드 레일(281), 그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282) 및 그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283)이 각각 회전판(27)의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각각의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5 내지 도 8b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핸들(25)을 구비한 전극 카테터는 예를 들면 심장에 있어서의 부정맥의 진단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5)이 장착되는 카테터 튜브(15)를 가지고 있다.
카테터 튜브(1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튜브(10)와 동일한 구성이다.
카테터 튜브(15)의 선단 근방의 내부에는 고개 흔들기 부재가 수용되어 있고, 고개 흔들기 부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판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개 흔들기 부재로서의 판스프링에는 카테터 튜브(15)의 선단 부분을 일방향(도 5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한 조작용 와이어(33)(도 5에 있어서 도시 생략)의 선단이 접속 고정되어 있다.
카테터 튜브(15)의 기단에는 본 실시형태의 핸들(25)이 장착되어 있다.
이 핸들(25)은 핸들 본체(26)와 이 핸들 본체(26)에 대해서 회전 자유자재로 장착된 회전판(27)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25)을 구성하는 회전판(27)은 카테터 튜브(15) 선단 부분의 고개 흔들기 조작(편향 이동 조작)을 행하기 위한 부품이다.
고개 흔들기 부재에 선단이 고정되어 있는 조작용 와이어(33)는 조작용 튜브(13)로부터 회전판(27) 내로 뻗어 나와 있고, 조작용 와이어(33)의 기단은 와이어 고정구(43)에 의해 회전판(27)에 고정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튜브(15)의 선단 부분이 직선상으로 신장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에 회전판(27)은 도 6a~도 6c에 나타낸 상태(손잡이(271)가 상측에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도 6a~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핸들(25)을 구성하는 회전판(27)에는 원환상 가이드 레일(281)과 동심원호상의 2개의 가이드 레일(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282),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283))이 회전판(27)의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각각의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레일 중에서 조작용 와이어(33)의 경로를 규정하는 가이드 레일을 선택하고, 선택한 가이드 레일의 외주를 따라 조작용 와이어(33)를 배치하여(당해 가이드 레일에 조작용 와이어(33)를 감아), 그 기단을 와이어 고정구(43)에 의해 회전판(27)에 고정함으로써 일방향 타입의 카테터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용 튜브(13)로부터 회전판(27) 내로 뻗어 나온 조작용 와이어(33)를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282)의 외주를 따라 배치함(감음)으로써 구성되는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회전판(27)을 도 5 및 도 6a에 나타내는 A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282)에 의해 경로가 규정된 조작용 와이어(33)가 인장되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이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의 카테터 튜브(15)의 선단 부분은 도 5의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동작하여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이 된다.
이때의 회전판(27)의 회전 각도로서는 예를 들면 90~94°이다.
또한 도 6a에 있어서, 회전판(27)을 좌우로 분할하는 직선(동 도면에 있어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과, 회전축(220)과 원호상의 가이드 레일(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282) 및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283))의 선단을 잇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θ4)는 35~45°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40°이다.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용 튜브(13)로부터 회전판(27) 내로 뻗어 나온 조작용 와이어(33)를 원환상 가이드 레일(281)의 외주를 따라 배치함(감음)으로써 구성되는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회전판(27)을 도 5에 나타내는 A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환상 가이드 레일(281)에 의해 경로가 규정된 조작용 와이어(33)가 인장되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이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의 카테터 튜브(15)의 선단 부분은 도 5의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동작하여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이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용 와이어(33)는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282)의 반지름보다도 작은 반지름의 원환상 가이드 레일(281)에 의해 경로가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인장량은 상대적으로 작고,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튜브(15) 선단 부분의 구부러짐도 도 8a와 비교하여 작은 것이다.
또한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용 튜브(13)로부터 회전판(27) 내로 뻗어 나온 조작용 와이어(33)를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283)의 외주를 따라 배치함(감음)으로써 구성되는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회전판(27)을 도 5에 나타내는 A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283)에 의해 경로가 규정된 조작용 와이어(33)가 인장되어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태양에 있어서의 조작용 와이어(33)는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282)의 반지름보다 큰 반지름의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283)에 의해 경로가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조작에 수반되는 인장량은 상대적으로 크고, 카테터 튜브(15) 선단 부분의 구부러짐의 정도는 도 8a에 나타낸 것보다 더욱 커진다.
본 실시형태의 핸들(25)을 구성하는 회전판(27)에 형성된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282) 및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283)의 중심각(β)으로서는 150~17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160°,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155°이다.
중심각(β)이 150°이상인 것에 의해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282) 또는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283)에 의해 경로가 규정되는 조작용 와이어(33)의 인장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심각(β)이 150°이상인 것으로 인해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282) 또는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283)에 의해 경로가 규정된 조작용 와이어(33)가 회전판(27)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인장되어 있을 때(도 7a 또는 도 7c로 나타낸 상태)에, 이 조작용 와이어(33)가 원환상 가이드 레일(281)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중심각(β)이 170°이하인 것으로 인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환상 가이드 레일(281)에 의해 경로가 규정된 조작용 와이어(33)가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282)의 단부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핸들(25)에 의하면, 카테터 튜브(15) 선단 부분의 커브 형상(구부러짐의 크기)이 상이한 일방향 타입의 카테터를 구성 부품인 회전판(27)을 변경(교환)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커브 형상이 상이한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의 제조에 있어서 구성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카테터용 핸들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회전판 상에 있어서 동심원의 각각의 원주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은 3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상 가이드 레일(281)과 원호상 가이드 레일(282)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판(제2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판(27)에 형성되어 있었던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28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회전판(27'))이어도 된다.
10 카테터 튜브
11 선단 전극
12 링형상 전극
13 조작용 튜브
20 핸들
21 핸들 본체
22 회전판
220 회전축
221 손잡이
231 제1 소경 원호상 레일
232 제1 중간경 원호상 레일
233 제1 대경 원호상 레일
241 제2 소경 원호상 레일
242 제2 중간경 원호상 레일
243 제2 대경 원호상 레일
31 제1 조작용 와이어
32 제2 조작용 와이어
41 와이어 고정구
42 와이어 고정구
15 카테터 튜브
27 회전판
270 회전축
271 손잡이
25 핸들
26 핸들 본체
281 원환상 가이드 레일
282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
283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
25 핸들
33 조작용 와이어
43 와이어 고정구

Claims (7)

  1. 카테터 튜브의 기단측(基端側)에 장착되는 핸들 본체와,
    이 핸들 본체에 대해서 회전 자유자재로 장착되어 상기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휘게 하기 위한 조작용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되는 회전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에는 이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원호상 또는 원환상의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쌍방향으로 편향되는 양방향 타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구성하는 카테터용 핸들로서,
    상기 회전판의 한쪽 측에는 상기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제1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한 제1 조작용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다른 쪽 측에는 상기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제2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한 제2 조작용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한쪽 측에는 상기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3개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다른 쪽 측에는 상기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3개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한쪽 측에 있어서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3개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회전판의 다른 쪽 측에 있어서 동심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3개의 가이드 레일은 중심각 및 대응하는 원호의 반지름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중심각은 8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5. 제1항에 있어서,
    일방향으로만 편향되는 일방향 타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구성하는 카테터용 핸들로서,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휘게 하기 위한 조작용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로서 원환상 가이드 레일과 이 원환상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 위치하는 1개 이상의 원호상 가이드 레일이 각각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카테터 튜브의 선단 부분을 휘게 하기 위한 조작용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판 내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로서 원환상 가이드 레일, 이 원환상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 및 이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이 각각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호상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2 원호상 가이드 레일의 중심각이 150~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KR1020147001997A 2011-07-12 2012-03-14 카테터용 핸들 KR101526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4166A JP5614848B2 (ja) 2011-07-12 2011-07-12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
JPJP-P-2011-154166 2011-07-12
PCT/JP2012/056540 WO2013008490A1 (ja) 2011-07-12 2012-03-14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603A KR20140025603A (ko) 2014-03-04
KR101526130B1 true KR101526130B1 (ko) 2015-06-04

Family

ID=4750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997A KR101526130B1 (ko) 2011-07-12 2012-03-14 카테터용 핸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14848B2 (ko)
KR (1) KR101526130B1 (ko)
CN (1) CN103619396B (ko)
HK (1) HK1194312A1 (ko)
WO (1) WO2013008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3702B2 (ja) 2013-03-29 2016-08-03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医療機器
EP3275496B1 (en) 2013-05-07 2019-08-21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Control handle for deflectable catheter
CN104367372A (zh) * 2014-11-26 2015-02-25 江苏金鹿集团医疗器械有限公司 脊柱椎间硬膜外微创用设备
CN105013067A (zh) * 2015-08-14 2015-11-04 江苏常美医疗器械有限公司 创新型球囊扩张导管
JP6710066B2 (ja) * 2016-03-07 2020-06-17 株式会社カネカ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テーテル
JP6774764B2 (ja) * 2016-03-07 2020-10-28 株式会社カネカ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テーテル
US10493240B2 (en) 2016-07-28 2019-12-03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teerable catheter handle
JP6544776B2 (ja) 2017-03-07 2019-07-17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電極カテーテル
JP6772095B2 (ja) * 2017-03-17 2020-10-21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医療機器用ハンドルおよび医療機器
JP7114635B2 (ja) * 2018-01-31 2022-08-08 株式会社カネカ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テーテル
JP7043858B2 (ja) * 2018-01-31 2022-03-3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医療機器
JPWO2019203061A1 (ja) * 2018-04-16 2021-04-22 国立大学法人滋賀医科大学 可動型カテーテル
JP7076040B2 (ja) * 2019-04-05 2022-05-26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および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CN117379229A (zh) * 2022-07-05 2024-01-12 上海微创心通医疗科技有限公司 控弯管及输送装置
CN115708921B (zh) * 2023-01-09 2023-05-12 苏州汇禾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介入治疗的输送系统的手柄及输送系统
CN116919330B (zh) * 2023-09-19 2023-12-29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一种纤维支气管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5485A1 (en) * 2001-05-04 2002-11-07 Simpson John A. Means for maintaining tension on a steering tendon in a steerable catheter
WO2004093703A1 (en) * 2003-03-28 2004-11-04 Scimed Life Systems Inc. Cooled ablation catheter
WO2006011931A2 (en) * 2004-06-24 2006-02-02 Cryocor, Inc. System for bi-directionally controlling the cryo-tip of a cryoablation catheter
EP2329760A1 (en) * 2004-03-23 2011-06-08 Boston Scientific Limited In-vivo visualiz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22853T2 (de) * 1990-02-02 1997-10-09 Ep Technologies Lenkungsmechanismus für katheter
US5273535A (en) * 1991-11-08 1993-12-28 Ep Technologies, Inc. Catheter with electrode tip having asymmetric left and right curve configurations
JP3087604B2 (ja) * 1995-04-13 2000-09-11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内視鏡のアングル操作装置
JP4323210B2 (ja) * 2003-04-28 2009-09-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2005013320A (ja) * 2003-06-24 2005-01-20 Olympus Corp 内視鏡
JP4283703B2 (ja) * 2004-02-23 2009-06-2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5485A1 (en) * 2001-05-04 2002-11-07 Simpson John A. Means for maintaining tension on a steering tendon in a steerable catheter
WO2004093703A1 (en) * 2003-03-28 2004-11-04 Scimed Life Systems Inc. Cooled ablation catheter
EP2329760A1 (en) * 2004-03-23 2011-06-08 Boston Scientific Limited In-vivo visualization system
WO2006011931A2 (en) * 2004-06-24 2006-02-02 Cryocor, Inc. System for bi-directionally controlling the cryo-tip of a cryoablation cath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17693A (ja) 2013-01-31
HK1194312A1 (zh) 2014-10-17
KR20140025603A (ko) 2014-03-04
CN103619396A (zh) 2014-03-05
CN103619396B (zh) 2015-10-21
JP5614848B2 (ja) 2014-10-29
WO2013008490A1 (ja)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130B1 (ko) 카테터용 핸들
US8777843B2 (en) Multi-bendable medical device
JP4679668B1 (ja) カテーテル
JP5550150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WO2011158410A1 (ja) カテーテル
WO2012020521A1 (ja) カテーテル
JP4679666B1 (ja) カテーテル
JP5535260B2 (ja)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
JP6043027B2 (ja) 内視鏡
CN110382031B (zh) 电极导管
KR101871609B1 (ko)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JP4993353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2013202241A (ja) 電極カテーテル
US9364636B2 (en) Steerable intraluminal medical device
JP4283703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5174542B2 (ja) カテーテル
JP2006061350A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4007796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2015188569A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5174487B2 (ja) カテーテル
JP7455595B2 (ja) カテーテル
JP2020022562A (ja) カテーテル
JP2023030906A (ja) 電極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