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177B1 - 전기 영동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영동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177B1
KR101502177B1 KR1020090023927A KR20090023927A KR101502177B1 KR 101502177 B1 KR101502177 B1 KR 101502177B1 KR 1020090023927 A KR1020090023927 A KR 1020090023927A KR 20090023927 A KR20090023927 A KR 20090023927A KR 101502177 B1 KR101502177 B1 KR 101502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sheet
electrophoretic display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electrophor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122A (ko
Inventor
와따루 이또
준뻬이 요시다
마사히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1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53Structures for supporting or mounting cel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박형임과 함께 내충격성 및 내후성을 구비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전기 영동 표시 모듈(2)과, 제1 보호 시트(3)와, 제2 보호 시트(4)와,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둘러싸는 액연 부재(5)를 구비하고,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은, 제1 보호 시트(3)와 제2 보호 시트(4)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보호 시트(3)와 액연 부재(5)가 용착됨과 함께 제2 보호 시트(4)와 액연 부재(5)가 용착됨으로써, 제1 보호 시트(3)와 제2 보호 시트(4)와 액연 부재(5)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1)이다.
Figure R1020090023927
전기 영동 표시 모듈, 제1 보호 시트, 제2 보호 시트, 액연 부재, 전기 영동 표시 장치

Description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체 실장 분야에서의 박형의 전자 페이퍼로서 이용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디바이스로 대표되는 평면 표시 장치는 박형, 경량, 저소비 전력 등의 특징을 살려 OA 기기, 정보 단말기, 시계, 텔레비전 등의 각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현재, 휴대 전화를 비롯한 이들 액정 표시 디바이스에는, 보다 얇고, 보다 가볍고, 또한 튼튼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컬러 표시나 동화상 표시라고 하는 점에서 액정 표시 디바이스에는 뒤떨어지지만, 얇음, 가벼움 및 저소비 전력을 실현할 수 있는 표시체로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 EPD)가 주목받고 있다. 이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이하, EPD라고 함)는, 종이에 가까운 성질을 갖고 있어, 읽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전자 페이퍼」로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전자 페이퍼인 마이크로 캡슐형 EPD는, 대전 입자가 분산된 용매를 마이크로 캡슐에 봉입하고, 마이크로 캡슐을 협지하도록 형성된 전극간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계를 발생시킴으로써, 대전 입자의 분포를 변화시켜 콘트라스트를 얻는 표시체이다. 전압 인가를 멈추어도 정전기력이나 분자간력에 의해 끌어 당겨진 대전 입자가 전극 부근에 머물기 때문에, 전력을 소비하지 않고 표시 화상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투과광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은 발광이 아니라, 대전 입자나 용매 그 자체의 색(반사광)을 관찰하기 때문에 시야각 의존이 없으며, 종이와 같이 눈에 편하여, 장시간의 응시에도 견딜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얇고, 가볍고, 또한 유연성을 갖는다고 하는 EPD의 특징은, EP 시트라고 불리는 표시부를 구성하는 재료의 대부분이 유기물로 형성되어 있는 결과이지만, 얇거나 가벼움을 추구하면 재료 그 자체의 강도가 부족하게 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약해져 상품으로서의 사용에 견딜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같은 평면 표시 디바이스에서 이용되고 있는 충격 완화 기능을 갖는 재료를 EPD에 적용함으로써 표시 디바이스의 파괴를 회피하는 것이 유효하며, 이미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충격층과 충격 흡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의해 EPD를 구성하는 글래스 기판에의 충격 완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50755호 공보
그런데, 마이크로 캡슐형 EPD에서는, 전술한 글래스 기판 이상으로 마이크로 캡슐 그 자체의 내충격성이 낮기 때문에, 보다 두꺼운 충격 완화층을 이용할 필요 가 있었다. 이와 같이 두꺼운 충격 완화층을 형성함으로써, 내충격성이 개선된다. 그러나, 전자 페이퍼와 같은 박형의 표시체에 1㎜ 이상의 두께의 충격 완화층을 형성하면, 얇음이나 가벼움 등의 본래의 EPD가 갖는 이점을 손상시키게 되어, 현저하게 상품 가치를 저하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이와 같은 사용 방법을 전제로 한 전자 페이퍼의 경우, 낙하 시에 자기의 중량에 의해 생기는 충격으로 글래스 기판이 손상을 받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구성 부재 중에서 가장 비중이 큰 부재인 상기의 글래스 기판을 얇게 하거나, 표시체 상에 형성하는 충격 완화층을 가능한 한 얇게 하거나 함으로써, 전자 페이퍼 전체의 중량을 저감하여 낙하 시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법도 유효하였다. 그러나, 박형화한 글래스 자체의 강도가 저하되어 굽힘 응력에 대한 내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나, 얇게 한 충격 완화층이 충분한 충격 흡수 기능을 발현하지 않으므로 마이크로 캡슐이 파손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겼다.
또한, EPD의 또 다른 특징인 종이와 같은 보기 편함에 대해서는, 대전 입자로부터의 반사광을 관찰하는, 소위 반사형의 표시체이므로, 태양광 아래에서의 사용에 대해 매우 유리하다. 단, 사용 환경으로서 옥외를 상정한 경우에, 온도나 습도 등의 변화에 의해 열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박형임과 함께 내충격성을 구비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또한, 내후성이 우수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소자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협지된 전기 영동층을 갖는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대향 기판측을 표시면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의 상기 대향 기판측에 배치되는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의 상기 소자 기판측으로서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보호 시트에 대향 배치되는 제2 보호 시트와,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 사이로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 시트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을 둘러싸는 액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액연 부재가 용착됨과 함께 상기 제2 보호 시트와 상기 액연 부재가 용착됨으로써,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와 상기 액연 부재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이 제1 보호 시트와 제2 보호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전체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지는 일이 없어, 박형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이 액연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고, 제1 보호 시트와 제2 보호 시트와 그 액연 부재가 용착되고 일체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은, 제1 및 제2 보호 시트와 액연 부재가 일체화됨으 로써 형성된 공간 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의 충격이나 굽힘 등의 응력이 가해졌다고 하여도, 각 보호 시트와 액연 부재가 박리될 우려가 없다. 이에 의해, 전체 방위로부터의 충격이 직접 그 전기 영동 표시 모듈에 가해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사용 시에 상정되는 자신의 낙하 충격에 의한 파괴나 굽힘 응력에 의한 파괴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호 시트와 액연 부재가 용착되고 일체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보호 시트와 액연 부재 사이에는, 습도를 투과하는 접착제 등의 중간물이 개재되지 않기 때문에, 습도 변화에 의한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 상기 액연 부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이 공기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공기층의 압력이 외부 분위기보다도 높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 액연 부재 사이에 공기층을 갖는 구성이면, 더욱 충격 완화성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층의 압력이 외부 분위기보다도 높게 되어 있으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수분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더욱 내후성을 향상시킨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 상기 액연 부재 사이에 충격 완화 부재가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 액연 부재 사이에 충격 완화 부재가 충전 됨으로써, 전기 표시 모듈의 주변부에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더욱 내충격성이 향상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 사이에 충격 완화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보호 시트와 전기 영동 표시 모듈 사이에 충격 완화층을 형성함으로써, 그 전기 표시 모듈의 표시면측인 대향 기판에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더욱 내충격성이 향상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 사이에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액연 부재에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제1 및 제2 보호 시트 사이에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을 수납할 때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와 액연 부재가 일체화되어 있음으로써, 전기 표시 모듈이 제1, 제2 보호 시트의 사이에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일이 없어, 전기 표시 모듈의 주변부에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더욱 내충격성이 향상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 상기 액연 부재의 외측의 도통을 취하기 위한 접속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액연 부재의 내외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 액연 부재의 외측의 도통을 취하 기 위한 접속 기판이 전기 영동 표시 모듈에 접속되고, 그 접속 기판이 액연 부재의 내외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회로 기판과 전기 영동 표시 모듈 사이의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연 부재는, 그 액연 부재의 내외를 관통하는 관통부를 갖고,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액연 부재의 내외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액연 부재의 내외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연 부재가 그 액연 부재의 내외를 관통하는 관통부를 갖고, 접속 기판이 그 관통부를 통하여 액연 부재의 내외를 관통함으로써 액연 부재의 내외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접속 기판의 치수를 극력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치 전체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소형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 내에는, 상기 접속 기판과 상기 액연 부재의 간극을 메우는 열 경화성의 밀봉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부 내에는 접속 기판과 액연 부재의 간극을 메우는 열 경화성의 밀봉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보다 내습성이 높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연 부재는, 상기 제1 보호 시트에 용착되고, 상기 관통부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제1 홈부를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제2 보호 시트에 용착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관통부를 구성하는 제2 홈부를 갖는 제2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연 부재가, 제1 보호 시트에 용착되며, 관통부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제1 홈부를 갖는 제1 부재와, 제2 보호 시트에 용착되며, 제1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1 홈부와의 사이에서 관통부를 구성하는 제2 홈부를 갖는 제2 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장치 전체의 조립 용이함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1 보호 시트 및 상기 제2 보호 시트 중 적어도 한쪽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부가 제1 보호 시트 및 제2 보호 시트 중 적어도 한쪽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장치 전체의 조립 용이함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특히 관통부 내에 열 경화성의 밀봉 부재를 배치하는 경우, 관통부가 접하는 측의 보호 시트와 액연 부재를 용착할 때의 용착열을 이용하여 밀봉 부재를 경화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 사이로서 상기 액연 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서 구동 신호를 수수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의 구동 회로를 갖는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회로 기판을 둘러싸는 제2 액연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의 구동 회로를 갖고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서 구동 신호를 수수 가능하게 설치된 회로 기판이 제1 보호 시트와 제2 보호 시트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회로 기판이 액연 부재의 외측에 설치되 어 있고, 회로 기판의 그 일부분을 둘러싸는 제2 액연 부재가 제1 보호 시트와 제2 보호 시트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로 기판이 액연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내충격성을 구비한 박형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치 외부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그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외부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더 구비되어 있고, 회로 기판이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장치 외부와의 사이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 사이로서 상기 액연 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서 구동 신호를 수수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의 구동 회로를 갖는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회로 기판을 둘러싸는 제2 액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서 비접촉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수수하는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의 구동 회로를 갖는 회로 기판이 액연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회로 기판에는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서 비접촉으로 구동 신호를 수수하는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을 제1 보호 시트, 제2 보호 시트 및 액연 부재만에 의해 밀봉한 상태에서 그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방 습성을 한층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원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 기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원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외부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휴대성이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회로 기판 중 상기 제2 보호 시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장치가 회로 기판 중 제2 보호 시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표시에 영향이 없는 부위에서 전원 장치를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그 전원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전원 장치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호 시트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전원 장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덮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보호 시트가 평면에서 보아 전원 장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덮개부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그 덮개부를 통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 외부로부터 전원 장치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조작성 및 전원 장치의 교환 시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호 시트와 상기 액연 부재가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보호 시트와 액연 부재가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방습성을 한층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시되는 각 부의 크기나 두께나 치수 등은, 실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치수 관계와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A'선을 따른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을 적용한 제1 실시 형태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소자 기판(7)과 대향 기판(9) 사이에 협지된 전기 영동층(8)을 갖는 전기 영동 표시 모듈(2)과, 상기 대향 기판(9)측에 배치되는 제1 보호 시트(3)와, 상기 소자 기판(7)측으로서 제1 보호 시트(3)에 대향 배치되는 제2 보호 시트(4)와, 제1 보호 시트(3)와 제2 보호 시트(4) 사이로서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둘러싸는 액연 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가 전기 영동 표시 장치(1)의 최표층으로 되어 있고, 제1 보호 시트(3)측이 표시면으로 되어 있다.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도시 생략)이 형성된 TFT 글래스 기판(소자 기판)(7)과, 이 TFT 글래스 기판(7)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전기 영동층(8), 공통 전극(도시 생략) 및 PET층(대향 기판)(9)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시트와, 이 전기 영동 시트 상에 형성된 방습층(10)과, 전기 영동 시트와 방습층(10)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방습 수지(11)로 구성되어 있다.
TFT 글래스 기판(소자 기판)(7)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알카리 글래스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0.5㎜ 정도인 것이다. 또한, 소자 기판(7)으로서, PET 등의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박막 회로 소자를 포함하는 박막 회로층을 석영 글래스나, 글래스 기판 등의 기판 상에 형성하고, 형성된 박막 회로층을 이 기판으로부터 박리하고, 플라스틱 기판으로 바꿔 옮기는 전사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수지 기판 상에, 박막 회로 소자로서 유기 반도체를 잉크제트법 등에 의해 직접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화소 전극(도시 생략)은, 공지의 레지스트법 및 에칭법을 이용한 패터닝 기술이나, 액적 토출법 등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재료를 도포하는 기술 혹은 증착법 등을 이용하여 소자 기판(7)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전기 영동 시트는, 예를 들면 PET층(대향 기판)(9)을 기체로 하고, 이 기체 상에 ITO 등의 투명한 도전 재료로 공통 전극(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이 위에 전기 영동층(8) 및 접착층을 적층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층(8)은, 전기 영동 물질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다수 갖고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캡슐형의 것이다. 마이크로 캡슐은, 예 를 들면 플러스로 대전된 흑색의 정대전 입자(전기 영동 물질)와, 마이너스로 대전된 백색의 부대전 입자(전기 영동 물질)를 분산액 속에 분산시키고, 이 분산액을 미소한 캡슐에 봉입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전기 영동 시트는 제품화되어 있어, 제품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EㆍInk사의 제품인 Vizplex(등록 상표)를 이용하고 있다. 전기 영동 시트의 두께로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0.2㎜ 정도로 하고 있다.
방습층(10)은 수증기나 수분 등의 습기가 투과하기 어려운 재료, 즉 수증기 투과율 등의 투습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것이다. 이에 의해, 방습층(10)에서의 제1 보호 시트(3)측으로부터 전기 영동 시트측에 습기가 투과하는 것에 의한 전기 영동 시트측의 습도의 상승과, 방습층(10)에서의 전기 영동 시트측으로부터 제1 보호 시트(3)측에 습기가 투과하는 것에 의한 전기 영동 시트측의 습도의 하강의 쌍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방습층(10)에 의해, 전기 영동 시트에서의 습도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방습층(10)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방습, 투명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나, PCTFE(폴리 클로로 트리 플루오로 에틸렌(Poly Chloro Tri Furuoro Ethylene), 3불화 에틸렌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습층(10)으로서 주시회사 쿠레하제의 세렐(상품명)을 이용하고 있고, 그 두께로서는 0.1㎜ 정도이다.
방습 수지(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시트를 구성하는 TFT 글래스 기판(소자 기판)(7)과 방습층(10)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분을 꺼리는 전기 영동층(8)에의 수분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방습 수지(11)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계, 아크릴계, 실리콘계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히타치 카세이 고교사제의 터피(상품명)를 이용하고 있다.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충격성 및 내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보호 시트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1)의 표시면을 구성하므로, 투명성이 높은 것을 요함과 함께, 수분을 꺼리는 전기 영동층(8)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내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보호 시트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PET, PC 등의 통상의 플라스틱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로서, 닛토 즈시 고교사제의 크라렉스(상품명)를 이용하고 있고, 그 두께는, 각각 0.5㎜ 정도이다.
액연 부재(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호 시트(3)와 제2 보호 시트(4) 사이로서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의 외주부에,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보호 시트(3)의 표면과 액연 부재(5)의 한쪽의 표면이 용착됨과 함께 제2 보호 시트(4)와 액연 부재(5)의 다른 쪽의 표면이 용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와 액연 부재(5)가 용착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체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이 수납되므로, 전기 영동 표 시 장치(1)의 굽힘 응력 및 파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1)에의 수분의 침입 및 확산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상기 구조체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수납할 때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구성하는 TFT 글래스 기판(7)과 제2 보호 시트(4) 사이에 접착층(12)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전기 영동 표시 모듈(2)과 제2 보호 시트(4)가 접착층(12)에 의해 접착되므로, 상기 내부 공간에서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와 액연 부재(5)를 용착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레이저광에 의한 가열에 의해 재료끼리를 열 용착(융착)하는 방법 혹은 상호 확산에 의해 용착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하에, 레이저광에 의한 가열에 의해 재료끼리를 열 용착(융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레이저광에 의한 가열에 의해 재료끼리를 용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 레이저를 이용한 열 용착 방법은, 우선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기판(101) 상에 광 흡수성 수지(102)와 광 투과성 수지(103)가 적층되어 구성된 피조사체(100)에 대해, 금속 기판(101)과 반대측인 광 투과성 수지(103)측으로부터 레이저광 L을 조사한다. 광 투과성 수지(103)가 레이저광 L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광 L은,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투과성 수지(103)와 광 흡수성 수지(102)의 계면인 광 흡수성 수지(102)의 표면(102a)에 흡수된다. 이 때문에, 광 흡수성 수지(102)는 레이저광 L에 의해 가열되어, 표 면(102a)의 근방 부분이 용융하여 용융부 M이 발생한다.
계속해서 레이저광 L을 조사하면,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투과성 수지(103)와 광 흡수성 수지(102)의 계면인 광 투과성 수지(103)의 표면(103a)은, 용융부 M의 열에 의해 용해하여 용융부 M의 일부로 된다. 마지막으로,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분히 상기 용융부 M을 형성한 후에 레이저광 L의 조사를 멈추면, 용융부 M의 온도가 저하되어 용융되어 있던 수지가 경화된다. 도 3의 (d) 중에서는 용융부 M의 경계선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광 흡수성 수지(102)와 광 투과성 수지(103)의 경계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레이저광에 의한 가열에 의해 재료끼리를 용착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광에 의한 가열에 의해 재료끼리를 열 용착(융착)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액연 부재(5)는 레이저광을 흡수하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액연 부재(5)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와 동종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레이저광에 의한 용융 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와 이종의 재료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액연 부재(5)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전기 영동 표시 장치(1)의 표시면을 구성하기 위해 투명성이 높은 제1 보호 시트(3)와 동종의 재료(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등)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재료를 착색하는 방법이나 안료를 섞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레이저광을 흡수시키는 층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색하는 색조는 레이저광을 흡수하기 쉬운 색조, 예를 들면 흑이나, 감, 청, 적색 등 짙은 색 조가 바람직하다.
한편, 예를 들면 초음파 용착법 등, 상호 확산에 의해 용착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액연 부재(5)를 구성하는 재료는, 레이저광을 흡수하는 재료가 아니어도 되고,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를 구성하는 재료와 글래스 전위점이 가까운 재료끼리이면 된다. 또한, 액연 부재(5)를 구성하는 재료와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를 구성하는 재료가 동종 재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연 부재(5)로서, 스미토모 가가꾸사제의 스미펙스(상품명)를 이용하고 있고, 그 두께는 2㎜ 정도이다. 또한, 액연 부재(5)와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의 용착에는, 리코 고우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의 레이저 광원 RI-7000(장치명)을 이용하여 행하였다.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 모듈(2)과 액연 부재(5) 사이에 공간(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6)이 공기층(에어 갭)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전기 영동 표시 장치(1)의 내충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층의 압력이 외부 분위기보다도 높게 구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기 영동 표시 장치(1) 내로 침입하는 수분의 양 및 내부로부터 외부로 확산되는 수분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더욱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층의 압력을 외부 분위기보다도 높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와 액연 부재(5)를 용착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체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양압하에서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밀봉하면 된다.
또한, 공간(6)은 공기층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다공질 수지나, 엘라스토머 등의 충격 완화 부재가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기 영동 표시 장치(1)의 내충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는, 화소 전극(도시 생략)과 공통 전극(도시 생략) 사이에 전계가 인가되면, 전기 영동층(8)의 마이크로 캡슐에 봉입된 정대전 입자(흑색) 및 부대전 입자(백색)에는, 그 대전의 정부에 따른 방향으로 정전기력이 작용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이 공통 전극보다도 고전위인 화소 전극 상에서는, 공통 전극(저전위)측에 정대전 입자(흑색)가 이동함으로써, 이것이 투명한 공통 전극을 통하여 최표층인 제1 보호 시트(3)측으로부터 시인되어, 화소 전극에 대응한 화소가 흑색 표시로 된다. 또한, 화소마다,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전기 영동층(8)은 습도가 소정의 값보다도 높은 경우라도 낮은 경우라도 열화되게 되므로,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보다도 엄격한 습도 관리가 필요로 된다. 그런데, 투습성이 낮은 재료는 충격력에 의해 파손되기 쉬우므로, 종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충분한 습도 관리를 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의 효과에 의해, 방습층(10)의 파손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방습층(10)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면, 전기 영동층(8)의 열화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어, 긴 수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최표층으로 되는 제1 보호 시트(3)를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흠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경량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양호한 내후성을 얻을 수 있다. 내후성이란, 태양광에 의한 자외선이나 열, 비 등에 의한 수분, 온도 변화 등에 의해 재료가 변질되지 않는 특징이며, 옥외 폭로 시험 등에 의해 평가된다. 내후성이 우수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1)는, 폭넓은 환경 조건에서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보다 양호한 휴대성으로 되어, 예를 들면 옥외 등에서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캡슐형의 전기 영동층(8)으로 하였지만, 마이크로 캡슐형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화소 전극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고, 화소 전극 상에 전기 영동 물질을 분산시킨 분산매를 배치하고, 공통 전극 등으로 이를 밀봉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호 시트(3)를 표시부의 최외층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이 제1 보호 시트(3) 상에 자외선 컷트 필름이나, 반사 방지 필름 혹은 보다 흠이 생기기 어렵게 하기 위한 하드 코트 등의 기능막을 형성하고, 이것을 최외층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방습층(10)이나 제1 보호 시트(3), 제2 보호 시트(4) 등은, 모두 단층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복수층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에 따르면,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이 제1 보호 시트(3)와 제2 보호 시트(4)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전기 영동 표시 장치(1)의 전체의 두께가 5㎜ 이하 로 되어, 박형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이 액연 부재(5)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제1 보호 시트(3)와 제2 보호 시트(4)와 액연 부재(5)가 일체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은,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와 액연 부재(5)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방위로부터의 충격이 직접 그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에 직접 가해지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사용 시에 상정되는 자신의 낙하 충격에 의한 파괴나 굽힘 응력에 의한 파괴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와 액연 부재(5)가 용착되고 일체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와 액연 부재(5) 사이에는, 습도를 투과하는 접착제 등의 중간물이 개재되지 않기 때문에, 습도 변화에 의한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는 전기 영동 표시 모듈(2)과 액연 부재(5) 사이에 공기층인 공간(6)을 갖는 구성이기 때문에, 더욱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층의 압력이 외부 분위기보다도 높은 구성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수분의 양 및 외부로 확산되는 수분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더욱 내습성(내후성)을 향상시킨 전기 영동 표시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구성 요소 중,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구성 요 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 형태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구성하는 방습층(10)과 제1 보호 시트(3) 사이에 충격 완화층(22)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충격 완화층(22)은, 공지의 것과 마찬가지로 엘라스토머 등의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것이다. 또한, 충격 완화층(22)은, 제1 보호 시트(3) 상으로부터 충격력이 가해지면, 변형됨으로써 충격력을 흡수 혹은 완화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충격 완화층(22)은 단층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복수층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충격 완화층(22)으로서, 히타치 가세이 고교사제의 엘라스토머(상품명)를 이용하고 있고, 그 두께는 0.2㎜ 정도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21)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21)에 따르면, 제1 보호 시트(3)와 전기 영동 표시 모듈(2) 사이에 충격 완화층(22)을 형성함으로써, 전기 표시 모듈(2)의 표시면측인 PET층(대향 기판)(9)측으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 영동층(8) 및 방습층(10)의 손상이 억제되므로, 더욱 내충격성이 향상된 전기 영동 표시 장치(21)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구성 요소 중,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도 1, 도 2 및 도 4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제3 실시 형태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31, 32)는,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호 시트(3)와 제2 보호 시트(4) 사이에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51a, 52a)를 갖고 있고, 이 위치 결정 부재(51a, 52a)와 액연 부재(51, 52)가 각각 일체화되어 개략 구성되어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부재(51a)는 삼각 형상을 갖고 있고, 사각형의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의 네 구석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액연 부재(51)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와 액연 부재(51)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수납할 때에, 그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의 네 구석을 각각 위치 결정 부재(51a)와 대향시키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의 파손되기 쉬운 네 구석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 부재(51a)가 형성됨과 함께 액연 부재(51)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의 위치가 어긋나게 될 우려가 없어,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의 손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부재(52a)는 반원 형상을 갖고 있고, 사각형의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의 4변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2개씩 배치되어 액연 부재(52)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와 액연 부재(52)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수납할 때에, 그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의 4변을 각각 위치 결정 부재(52a)와 대향시키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52a)와 액연 부재(52)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의 손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31, 32)는, 제1 보호 시트(3)와 제2 보호 시트(4) 사이에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51a, 52a)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보호 시트(3, 4)와 액연 부재(51, 52)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수납할 때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51a, 52a)와 액연 부재(51, 52)가 일체화되어 있음으로써, 전기 표시 모듈(2)의 주변부(네 구석, 4변)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더욱 내충격성이 향상된 전기 영동 표시 장치(31, 3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표시면측인 제1 보호 시트 이외에 투명 수지를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즉 배면측은 투명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보호 시트와 액연 부재를 일체화한 상자형의 광 흡수 부 재(53)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광 흡수 부재(53)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전기 영동 표시 장치(41)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굽힘성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보호 시트 대신에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기판(55)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금속 기판(55)의 외주에 액연 부재(54)를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일체화할 수 있다. 이 금속 기판(55)의 표면에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접착함으로써, 내충격성이 현격하게 향상된 전기 영동 표시 장치(42)를 제공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15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151)의 평면도이며, 도 7의 (b)는 도 7의 (a)에서의 B-B 단면을 따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의 (a) 및 도 7의 (b)에 도시한 구성 요소 중,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도 1, 도 2 및 도 4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단히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151)는,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가,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구성하는 소자 기판(7)과는 상이한 기판인 회로 기판(70)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소자 기판(7)과 회로 기판(70) 사이가 접속 기판(80)에 의해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연 부재(5)가, 전기 영동 표시 모듈(2) 및 회로 기판(70) 중 전기 영동 표시 모듈(2)만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소자 기판(7)은, 도 7의 (a)의 평면에서 보아 하변의 우단부에 복수의 접속 단자(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이 도시되지 않은 접속 단자는, 전기 영동 표시 모듈(2)과 접속 기판(80)을 접속하는 단자이다. 이들 접속 단자는, 예를 들면 소자 기판(7) 상의 반도체 소자 등에 접속되어 있다. 소자 기판(7)은, 복수의 접속 단자가 형성된 영역에서 접속 기판(80)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70)은, 제1 보호 시트(3)와 제2 보호 시트(4) 사이로서 평면에서 보아 액연 부재(5)의 외측(도 7의 (a)의 도면 중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70)은 기판 본체(70a)와, 구동 회로(71)와, 모듈 접속 커넥터(72)와, 외부 접속 커넥터(73)와, 전원 장치(74)를 갖고 있다. 모듈 접속 커넥터(72)는 구동 회로(71)와 접속 기판(80)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이다. 외부 접속 커넥터(73)는, 예를 들면 전원 등의 장치 외부에 접속하는 커넥터이다.
전원 장치(74)는 기판 본체(70a) 중 제2 보호 시트(4)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전지 등의 교환 가능하게 설치된 전원(74a)을 갖고 있다. 전원(74a)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1)의 내부 전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151)는 외부 접속 커넥터(73) 및 전원 장치(74)를 갖고 있음으로써, 외부 접속 커넥터(73)를 통하여 외부 전원에 접속하는 전원 모드와, 전원 장치(74)의 전원(74a)을 이용하는 전원 모드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 보호 시트(4)는,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보아 전원 장치(74)에 겹치는 위치에 덮개부(4a)를 갖고 있다. 덮개부(4a)는, 제2 보호 시트(4a)의 다른 부분에 대 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4a)를 연 상태로 함으로써, 덮개부(4a) 속에 배치되는 전원(74a)에 장치 외부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회로 기판(70)은, 제2 액연 부재(50)에 의해 둘러싸여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액연 부재는, 제1 보호 시트와 제2 보호 시트 사이로서 액연 부재(5)의 외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액연 부재는, 평면에서 보아 회로 기판 중 전기 영동 표시 모듈측의 변을 제외한 3변(도 7의 (a)에서는 도면 중 좌변, 하변 및 우변)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회로 기판의 그 3변은 제2 액연 부재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회로 기판(70) 중 전기 영동 표시 모듈측의 변(도 7의 (a)에서는 도면 중 상변)은, 상기 액연 부재(5)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제2 액연 부재는, 예를 들면 액연 부재(5)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외부 접속 커넥터(73)는, 접속단이 제2 액연 부재(50)의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접속 기판(80)의 일단은, 예를 들면 이방성 도전 입자(ACF)를 포함한 접착제(80a) 등을 개재하여 소자 기판(7)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기판(80)의 타단은, 모듈 접속 커넥터(72)를 통하여 회로 기판(70)에 접속되어 있다. 액연 부재(5)에는, 접속 기판(80)을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5a)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 기판(80)은 그 관통 구멍(5a)을 통하여 액연 부재(5)의 내외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 기판(80)은 액연 부재(5)의 내외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5a)의 개구경은, 접속 기판(80)의 단면에서 본 치수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 기판(80)과 액연 부재(5)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관통 구멍(5a) 내에는, 이 간극을 메우도록 밀봉 부재(90)가 형성 되어 있다. 밀봉 부재(90)는, 예를 들면 열 경화성의 수지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밀봉 부재(9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측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51)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보호 시트(3), 제2 보호 시트(4) 및 액연 부재(5)를 용착시켜 형성하는 것이다. 밀봉 부재(90)로서 열 경화성의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용착 시의 열을 이용하여 그 열 경화성의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의 효율화로 이어지게 된다.
도 8은, 도 7의 (a)에서의 C-C 단면을 따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도면을 판독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접속 기판(8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5a)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151)의 두께 방향(도면 중 상하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5a)의 위치로서는, 예를 들면 제1 보호 시트(3)에 접하는 위치(5b)에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제2 보호 시트(3)에 접하는 위치(5c)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의 용착 시의 열을 한층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의 구동 회로(71)를 갖고 전기 영동 표시 모듈(2)과의 사이에서 구동 신호를 수수 가능하게 설치된 회로 기판(70)이 제1 보호 시트(3)와 제2 보호 시트(4)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회로 기판(70)이 액연 부재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 회로 기판(70)을 둘러 싸는 제2 액연 부재(50)가 제1 보호 시트(3)와 제2 보호 시트(4)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로 기판(70)이 액연 부재(5)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내충격성을 구비한 박형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51)를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25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제4 실시 형태에서의 도 8과 동일한 시점에서 전기 영동 표시 장치(251)를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9의 (b)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251)의 일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에서는, 도면 중 상측을 표시면측, 도면 중 하측을 이면측으로 표기한다. 도 9에서는, 도면을 판독하기 쉽게 하기 위해, 상기 도 8과 마찬가지로, 접속 기판(8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연 부재(5)가 표시면측과 이면측이 상이한 부재로 되어 있고, 그 상이한 부재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제4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액연 부재(5)는, 표시면측에 배치되는 제1 부재(5p)와, 이면측에 배치되는 제2 부재(5q)를 갖고 있다.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제1 부재(5p) 및 제2 부재(5q)는,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의 주위를 둘러싸는 액연 부재(5)의 구성 부재이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고리 형상 부재이다. 제1 부재(5p) 및 제2 부재(5q)는, 평면에서 보는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대향 배치된 상태에서 측면측이 동일 평면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부재(5p) 및 제2 부재(5q)는, 각각 다른 것과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면측이 제1 보호 시트(3) 또는 제2 보호 시트(4)에 용착되어 있다. 제1 부재(5p)와 제2 부재(5q) 사이에 대해서는, 용착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고, 접착제 등을 개재하여 접착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제1 부재(5p) 및 제2 부재(5q)는, 각각 다른 것과 대향하는 면측에 제1 홈부(5r) 및 제2 홈부(5s)를 갖고 있다. 제1 홈부(5r) 및 제2 홈부(5s)는, 제1 부재(5p) 및 제2 부재(5q)의 고리 형상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제1 홈부(5r) 및 제2 홈부(5s)는 평면에서 보아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부재(5p) 및 제2 부재(5q)가 대향 배치된 상태에서 관통 구멍(5a)을 구성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연 부재(5)가, 제1 보호 시트(3)에 용착되며, 관통 구멍(5a)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제1 홈부(5r)를 갖는 제1 부재(5p)와, 제2 보호 시트(4)에 용착되며, 제1 부재(5p)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1 홈부(5r)와의 사이에서 관통 구멍(5a)을 구성하는 제2 홈부(5s)를 갖는 제2 부재(5q)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전기 영동 표시 장치(251) 전체의 조립 용이함이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보호 시트(4)와 액연 부재(5)가 별도 의 부재로 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보호 시트(4)와 액연 부재(5)가 하나의 부재(40)로서 구성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제조 시 전에, 미리 제2 보호 시트(4)와 액연 부재(5)를 용착에 의해 일체화시켜 하나의 부재(40)를 형성해 두고,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제조 시에 그 하나의 부재(40)를 이용하여 제1 보호 시트(4)와 용착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조립 효율이 향상됨과 함께, 방습성을 한층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보호 시트(4)와 액연 부재(5)를 하나의 부재(40)로서 형성하는 경우, 양자를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서로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4 및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영동 표시 모듈(2)과 회로 기판(70) 사이가 접속 기판(8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 모듈(2)과 회로 기판(70) 사이에서 무선 등에 의한 비접촉의 구동 신호의 수수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11에 도시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451)는,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측에 통신 장치(4b)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회로 기판(70)측에도 통신 장치(70b)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장치(4b 및 70b)로서는, 예를 들면 광을 이용한 통신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5a)이나 밀봉 부재(90)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전기 영동 표시 모듈(2)을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조는, 전자 페이퍼의 구조뿐만 아니라,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등의 글래스 기판을 이용한 표시체의 내충격성 및 내후성(내습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로서도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A'선을 따른 단면 모식도.
도 3은 레이저광에 의한 가열에 의해 재료끼리를 용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C-C선을 따른 단면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31, 32, 41, 42, 151, 251, 351, 451 : 전기 영동 표시 장치
2 : 전기 영동 표시 모듈
3 : 제1 보호 시트
4 : 제2 보호 시트
5, 51, 52, 54 : 액연 부재
6 : 공간
7 : 소자 기판(TFT 글래스 기판)
8 : 전기 영동층
9 : 대향 기판(PET층)
10 : 방습층
11 : 방습 수지
12 : 접착층
22 : 충격 완화층
51a, 52a : 위치 결정 부재
53 : 광 흡수 부재
55 : 금속 기판
70 : 회로 기판
71 : 구동 회로
100 : 피조사체
101 : 금속 기판
102 : 광 흡수성 수지
103 : 광 투과성 수지
L : 레이저광
M : 용융부

Claims (18)

  1. 소자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협지된 전기 영동층을 갖는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대향 기판측을 표시면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의 상기 대향 기판측에 배치되는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의 상기 소자 기판측으로서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보호 시트에 대향 배치되는 제2 보호 시트와,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 사이로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 시트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을 둘러싸는 액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액연 부재가 용착됨과 함께 상기 제2 보호 시트와 상기 액연 부재가 용착됨으로써,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와 상기 액연 부재가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 상기 액연 부재의 외측의 도통을 취하기 위한 접속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액연 부재는, 그 액연 부재의 내외를 관통하는 관통부를 갖고,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액연 부재의 내외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액연 부재의 내외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액연 부재는,
    상기 제1 보호 시트에 용착되고, 상기 관통부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제1 홈부를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제2 보호 시트에 용착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관통부를 구성하는 제2 홈부를 갖는 제2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 상기 액연 부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이 공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의 압력이 외부 분위기보다도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 상기 액연 부재 사이에 충격 완화 부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 사이에 충격 완화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 사이에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액연 부재에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내에는, 상기 접속 기판과 상기 액연 부재의 간극을 메우는 열 경화성의 밀봉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1 보호 시트 및 상기 제2 보호 시트 중 적어도 한쪽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 사이로서 상기 액연 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접속 기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의 구동 회로를 갖는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회로 기판을 둘러싸는 제2 액연 부재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장치 외부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 사이로서 상기 액연 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서 구동 신호를 수수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의 구동 회로를 갖는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보호 시트와 상기 제2 보호 시트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회로 기판을 둘러싸는 제2 액연 부재
    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전기 영동 표시 모듈과의 사이에서 비접촉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수수하는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원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회로 기판 중 상기 제2 보호 시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시트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전원 장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덮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시트와 상기 액연 부재가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KR1020090023927A 2008-03-21 2009-03-20 전기 영동 표시 장치 KR101502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73582 2008-03-21
JP2008073582 2008-03-21
JP2008271839A JP5277862B2 (ja) 2008-03-21 2008-10-22 電気泳動表示装置
JPJP-P-2008-271839 2008-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122A KR20090101122A (ko) 2009-09-24
KR101502177B1 true KR101502177B1 (ko) 2015-03-12

Family

ID=4108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927A KR101502177B1 (ko) 2008-03-21 2009-03-20 전기 영동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98726B2 (ko)
JP (1) JP5277862B2 (ko)
KR (1) KR101502177B1 (ko)
CN (1) CN101539702B (ko)
TW (1) TWI4792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128B1 (ko) 2010-01-21 2016-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5435233B2 (ja) * 2010-03-11 2014-03-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時計、電子機器
CN101852965B (zh) * 2010-06-21 2014-03-1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电泳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2008317A (ja) * 2010-06-24 2012-01-12 Toppan Forms Co Ltd 情報表示装置
WO2012070484A1 (ja) * 2010-11-26 2012-05-3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65137B2 (ja) * 2011-08-24 2015-08-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TWI443619B (zh) * 2011-11-23 2014-07-01 Au Optronics Corp 具有顯示功能的電子產品及其組裝方法
US9759979B2 (en) 2012-02-07 2017-09-12 E Ink Holdings Inc. Electronic ink display device with water-proof glue
JP6343116B2 (ja) * 2012-05-31 2018-06-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18061A (ja) * 2013-07-10 2015-0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装置、電気泳動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CN105378549B (zh) * 2013-07-11 2021-07-20 默克专利股份有限公司 具有供电系统的光学装置
JP6287013B2 (ja) * 2013-10-01 2018-03-07 旭硝子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コネクタ
JP2015096881A (ja) * 2013-11-15 2015-05-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15096882A (ja) * 2013-11-15 2015-05-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15125185A (ja) * 2013-12-25 2015-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製造方法
TWI570496B (zh) * 2014-12-10 2017-02-1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反射式顯示裝置
TWI554816B (zh) * 2015-07-31 2016-10-2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反射式顯示裝置
TWI595300B (zh) * 2016-08-05 2017-08-1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電泳顯示裝置
TWI582497B (zh) * 2016-10-07 2017-05-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液晶裝置
US11391976B2 (en) 2017-06-13 2022-07-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apor barrier for e-paper
CN110959314A (zh) * 2017-08-04 2020-04-03 株式会社藤仓 多层印刷布线板的制造方法以及多层印刷布线板
CN111033449B (zh) 2017-09-05 2023-08-08 株式会社和冠 电子笔及电子笔用的笔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982U (ko) * 1990-05-15 1992-01-28
JP2002251143A (ja) * 2001-02-26 2002-09-06 Fuji Xerox Co Ltd 画像表示媒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7171447A (ja) * 2005-12-21 2007-07-0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8058534A (ja) * 2006-08-30 2008-03-13 Nec Lcd Technologies Ltd 電気泳動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0054A (ja) * 1984-12-12 1986-06-27 Fuji Elelctrochem Co Ltd 薄形電池の製造方法
JPH08166574A (ja) * 1994-12-13 1996-06-25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US6029783A (en) * 1998-04-16 2000-02-29 Wirthlin; Alvin R. Variable resistance device using electroactive fluid
JP2002175881A (ja) * 2000-12-07 2002-06-21 Fuji Photo Film Co Ltd 発光素子
US7554712B2 (en) * 2005-06-23 2009-06-30 E Ink Corporation Edge seals for, and processes for assembly of, electro-optic displays
JP2005205738A (ja) 2004-01-22 2005-08-04 Jsr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衝撃吸収多層体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6113369A (ja) * 2004-10-15 2006-04-27 Brother Ind Ltd 表示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263105B (en) * 2004-10-22 2006-10-01 Ind Tech Res Inst Transflective electrophoretic displayer device
JP4609051B2 (ja) 2004-11-29 2011-01-12 Jsr株式会社 衝撃吸収積層構造体、lcd、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有機elディスプレイ、フィールドエミッションディスプレイ又は電子ペーパー用衝撃吸収積層構造体、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258981A (ja) * 2005-03-15 2006-09-28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761252B2 (ja) * 2005-03-25 2011-08-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7133182A (ja) * 2005-11-10 2007-05-31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モジュール及び電気泳動表示装置
CN1991557B (zh) * 2005-12-28 2012-06-2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泳显示装置
JP5239152B2 (ja) * 2006-02-02 2013-07-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US7403325B2 (en) * 2006-05-19 2008-07-22 Xerox Corporatio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JP2008058567A (ja) * 2006-08-31 2008-03-13 Nikon Corp 表示装置およびクレイド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982U (ko) * 1990-05-15 1992-01-28
JP2002251143A (ja) * 2001-02-26 2002-09-06 Fuji Xerox Co Ltd 画像表示媒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7171447A (ja) * 2005-12-21 2007-07-0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8058534A (ja) * 2006-08-30 2008-03-13 Nec Lcd Technologies Ltd 電気泳動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49405A (en) 2009-12-01
TWI479248B (zh) 2015-04-01
US20090237774A1 (en) 2009-09-24
CN101539702B (zh) 2015-01-07
CN101539702A (zh) 2009-09-23
KR20090101122A (ko) 2009-09-24
JP2009258615A (ja) 2009-11-05
JP5277862B2 (ja) 2013-08-28
US7898726B2 (en) 201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177B1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
KR101689942B1 (ko) 에지 시일을 구비한 전기-광학 디스플레이
KR101625767B1 (ko) 에지 시일을 구비한 전기 광학 디스플레이
KR101306351B1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9163132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00065187A (ko) 전자 장치
JP2011108564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WO2021190033A1 (zh) 显示模组和电子设备
CN115997164A (zh) 光路控制构件和包括该光路控制构件的显示装置
US10191513B2 (en) Waterproof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111402757B (zh) 显示模组、电子设备和显示模组的制造方法
US20060139732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10204376A (ja) 電気泳動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素子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面保護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9288499A (ja)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1025628A (zh) 显示设备
CN214123880U (zh) 一种显示装置
KR102652773B1 (ko) 윈도우용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0181462A (ja)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92627A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9229523A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2786672A (zh) 一种显示装置
US8482514B2 (en) Ink subs rat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9236979A (ja) 電気泳動表示装置
CN117063116A (zh) 具有窄型边缘密封件的电泳显示器
JP2009229830A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