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752B1 -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752B1
KR101497752B1 KR1020107015784A KR20107015784A KR101497752B1 KR 101497752 B1 KR101497752 B1 KR 101497752B1 KR 1020107015784 A KR1020107015784 A KR 1020107015784A KR 20107015784 A KR20107015784 A KR 20107015784A KR 101497752 B1 KR101497752 B1 KR 101497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resin
film
quot
resin
contain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689A (ko
Inventor
다까시 다께베
마사따까 다끼모또
노부오 구보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05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08L1/14Mixed esters, e.g. cellulose acetate-buty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1In terms of molecular thickness or light wave l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투명하고, 고내열성이며, 취성을 현저하게 개선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편광판의 펀칭 작업이나 패널 접합시 등의 작업에서의 수율을 개선하고, 보는 각도에 의존하여 발생하는 컬러 시프트를 저감시킨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목적은 하기 수학식 1 내지 4를 만족하고, 또한 장력연화점이 105 내지 145℃이고, 광탄성계수가 -5.0×10-8cm2/N 내지 8.0×10-8cm2/N이며, 연성 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달성되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0045896917-pct00017

<수학식 2>
Figure 112010045896917-pct00018

<수학식 3>
Figure 112010045896917-pct00019

<수학식 4>
Figure 112010045896917-pct00020

( ) 안의 수치 589, 480, 630은 각각 복굴절을 측정한 광의 파장(nm)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FILM CONTAINING ACRYLIC RESIN, POLARIZER COMPRISING THE SAME, AND LIQUID-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릴 수지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를 블렌드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편광판의 펀칭 작업이나 패널 접합 등의 작업에서의 수율을 개선하고, 보는 각도에 의존하여 발생하는 컬러 시프트를 저감시킨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크릴 수지의 대표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이하, PMMA라고 약칭함)은, 그의 우수한 투명성, 치수 안정성, 저흡습성 등의 관점에서, 광학 필름에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었다(특허문헌 1).
그러나 PMMA 필름은, 내열성이 부족하고 고온하에서의 사용, 장기적인 사용 등에 있어서, 형상이 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는 필름 단체에서의 물성으로서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중요한 과제였다. 즉,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필름의 변형에 수반하여 편광판이 컬하기 때문에, 패널 전체가 휘게 되어, 시인측 표면의 위치에서 사용하였을 때에도 설계상의 위상차가 변화하게 되므로, 시야각의 변동이 일어나거나, 색미의 변화가 일어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내열성을 개선하기 위해 아크릴 수지에 폴리카르보네이트(이하, PC라고 약칭함)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사용할 수 있는 용매에 제한이 있는 점, 수지끼리의 상용성이 불충분한 점으로부터, 백탁하기 쉬워 광학 필름으로서의 사용은 곤란하였다(특허문헌 2).
아크릴 수지의 공중합 성분으로서 지환식 알킬기를 도입하는 방법이나, 분자 내 환화 반응을 하게 하여 분자 주쇄에 환상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4, 5).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내열성은 개량되지만 필름의 취성이 현저하게 열화하고, 이 취성의 열화가 패널의 변형을 조장하여, 위상차 변화를 억제할 수 없고, 나아가 이들 필름은 광탄성계수의 값이 높고, 응력이 걸렸을 때에 여분의 위상차를 발현하기 때문에, 시야각의 변동, 색미의 변화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의 색 누락, 착색 등 소위 컬러 시프트를 억제하고, 전방위에서 높은 콘트라스트비를 얻기 위해서는, 투과광의 위상차 및 그의 파장 분산성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상기의 필름에서는 파장 의존성을 충분히 제어할 수 없었다.
일본 특허 공개 평5-1192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3063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272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4608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91706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투명하고, 고내열성이며, 취성을 현저하게 개선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편광판의 펀칭 작업이나 패널 접합 등의 작업에서의 수율을 개선하고, 보는 각도에 의존하여 발생하는 컬러 시프트를 저감시킨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1. 하기 수학식 1 내지 4를 만족하고, 또한 장력연화점이 105 내지 145℃이고, 광탄성계수가 -5.0×10-8cm2/N 내지 8.0×10-8cm2/N이며, 연성 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Figure 112010045896917-pct00001
Figure 112010045896917-pct00002
Figure 112010045896917-pct00003
Figure 112010045896917-pct00004
또한, Ro=(nx-ny)×d, Rth={(nx+ny)/2-nz}×d이며, nx는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나타낸다. d는 필름의 막 두께(nm)를 나타낸다. ( ) 안의 수치 589, 480, 630은 각각 복굴절을 측정한 광의 파장(nm)을 나타낸다.
2. 상기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이, 아크릴 수지 (A) 및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의 1종류씩, 또는 (A), (B), 및 (A), (B) 이외이며 아베수가 30 내지 60인 수지 (D)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이며, 상기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헤이즈가 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3. 상기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이, 아크릴 수지 (A)를 30 내지 90질량%,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를 5 내지 65질량%, (A), (B) 이외이며 아베수가 30 내지 60인 수지 (D)를 0 내지 5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4. 상기 아크릴 수지 (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80000 내지 1000000이고,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의 적어도 1종이, 아실기의 총 치환도(T)가 2.00 내지 2.99이고, 아세틸기 치환도(ac)가 0.10 내지 1.89이며, 아세틸기 이외의 부분이 3 내지 7의 탄소수로 구성되는 아실기로 치환되어 있고, 그의 치환도(r)가 1.10 내지 2.89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75000 내지 2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5. 헤이즈값이 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적어도 한쪽 면에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7.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해, 아크릴 수지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를 블렌드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편광판의 펀칭 작업이나 패널 접합시 등의 작업에서의 수율을 개선하고, 보는 각도에 의존하여 발생하는 컬러 시프트를 저감시킨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액 유연 제막 방법의 도프 제조 공정, 유연 공정 및 건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은, 하기 수학식 1 내지 4를 만족하고, 또한 장력연화점이 105 내지 145℃이고, 광탄성계수가 -5.0×10-8cm2/N 내지 8.0×10-8cm2/N이며, 연성 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0045896917-pct00005
<수학식 2>
Figure 112010045896917-pct00006
<수학식 3>
Figure 112010045896917-pct00007
<수학식 4>
Figure 112010045896917-pct00008
또한, Ro=(nx-ny)×d, Rth={(nx+ny)/2-nz}×d이며, nx는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나타낸다. d는 필름의 막 두께(nm)를 나타낸다. ( ) 안의 수치 589, 480, 630은 각각 복굴절을 측정한 광의 파장(nm)을 나타낸다. 광탄성계수는, 측정 파장 589nm의 값이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은, 아크릴 수지 (A) 및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의 1종류씩, 또는 (A), (B), 및 (A), (B) 이외이며 아베수가 30 내지 60인 수지 (D)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이며, 상기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헤이즈는 2% 미만이다. 헤이즈값은 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이, 아크릴 수지 (A)를 30 내지 90질량%,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를 5 내지 65질량%, (A), (B) 이외이며 아베수가 30 내지 60인 수지 (D)를 0 내지 50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 (A)가 50질량% 이상이다. 아크릴 수지 성분이 많아지면, 보다 고온ㆍ고습하에서의 치수 변화가 억제되어, 편광판으로서 사용하였을 때의 편광판의 컬이나 패널의 휨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어, 상기 물성을 장시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의 연성 파괴란, 어떤 재료가 갖는 강도보다도 큰 응력이 작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며, 최종 파단까지 재료의 현저한 신장이나 수축을 수반하는 파괴로 정의된다. 그의 파면에는, 딤플이라고 불리는 오목부가 무수하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연성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이란, 필름을 2개로 절곡하는 큰 응력을 작용시켜도 파단 등의 파괴가 보여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의 액정 표시 장치의 대형화에 수반하는 광학 필름의 대형화, 박막화에 수반하여 리워크성, 생산성의 관점에서 광학 필름의 취성에 대한 요구는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상기 연성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연성 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은, 사용하는 아크릴 수지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그 밖의 첨가제 등의 재료 구성을 본 발명에 관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후술하는 연성 파괴 시험을 행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은, 헤이즈를 낮게 하고, 프로젝터와 같은 고온으로 되는 기기나, 차량 탑재용 표시 기기와 같은, 고온의 환경하에서의 사용을 고려하면, 그의 장력연화점을 110 내지 1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 내지 140℃로 제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은, 유리 전이 온도(Tg)가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유리 전이 온도란, 시차 주사 열량 측정기[퍼킨 엘머(Perkin Elmer)사제 DSC-7형]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20℃/분으로 측정하고, JIS K7121(1987)에 따라 구한 중간점 유리 전이 온도(Tmg)이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은, 필름면 내의 직경 5㎛ 이상의 결점이 1개/10cm평방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개/10cm평방 이하, 한층 바람직하게는 0.1개/10cm평방 이하이다.
여기서 결점의 직경이란, 결점이 원형인 경우에는 그의 직경을 나타내고,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결점의 범위를 하기 방법에 의해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결정하고, 그의 최대 직경(외접 원의 직경)으로 한다.
결점의 범위는, 결점이 기포나 이물질인 경우에는, 결점을 미분 간섭 현미경의 투과광으로 관찰하였을 때의 그림자의 크기이다.
결점이, 롤 흠집의 전사나 찰상 등, 표면 형상의 변화인 경우에는, 결점을 미분 간섭 현미경의 반사광으로 관찰하여 크기를 확인한다.
또한, 반사광으로 관찰하는 경우에, 결점의 크기가 불명료하면, 표면에 알루미늄이나 백금을 증착하여 관찰한다.
이러한 결점 빈도로 나타내어지는 품위가 우수한 필름을 생산성 좋게 얻기 위해서는, 중합체 용액을 유연 직전에 고정밀하게 여과하는 것이나, 유연기 주변의 클린도를 높이는 것, 또한 유연 후의 건조 조건을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효율적이면서도 발포를 억제하여 건조시키는 것이 유효하다.
결점의 개수가 1개/10cm평방보다 많으면, 예를 들어 후속 공정에서의 가공시 등에서 필름에 장력이 걸리면, 결점을 기점으로 하여 필름이 파단되어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결점의 직경이 5㎛ 이상이 되면, 편광판 관찰 등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광학 부재로서 사용하였을 때 휘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 등을 형성하였을 때에, 도포제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없어 결점(도포 누락)이 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결점이란, 용액 제막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용매의 급격한 증발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필름 중의 공동(발포 결점)이나, 제막 원액 중의 이물질이나 제막 중에 혼입되는 이물질에 기인하는 필름 중의 이물질(이물질 결점)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은, JIS-K7127-1999에 준거한 측정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향의 파단 신도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파단 신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현실적으로는 250% 정도이다. 파단 신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이물질이나 발포에 기인하는 필름 중의 결점을 억제하는 것이 유효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두께는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액 제막법으로 필름화하는 경우에는, 도포성, 발포, 용매 건조 등의 관점에서, 상한은 250㎛ 정도이다. 또한, 필름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은, 그의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3% 이상이다. 또한, 현실적인 상한으로서는 99% 정도이다. 이러한 전광선 투과율로 나타내어지는 우수한 투명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가시광을 흡수하는 첨가제나 공중합 성분을 도입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나, 중합체 중의 이물질을 고정밀 여과에 의해 제거하여, 필름 내부의 광의 확산이나 흡수를 저감시키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제막시의 필름 접촉부(냉각 롤, 캘린더 롤, 드럼, 벨트, 용액 제막에서의 도포 기재, 반송 롤 등)의 표면 거칠기를 작게 하여 필름 표면의 표면 거칠기를 작게 하는 것이나, 아크릴 수지의 굴절률을 작게 함으로써 필름 표면의 광의 확산이나 반사를 저감시키는 것이 유효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은, 투명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헤이즈값(탁도)이 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액정 표시 장치에 삽입하였을 때의 휘도, 콘트라스트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헤이즈값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합체 중의 이물질을 고정밀 여과에 의해 제거하여, 필름 내부의 광의 확산을 저감시키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은, JIS-K7361-1-1997 및 JIS-K7136-2000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은, 상기와 같은 물성을 만족하고 있으면, 광학용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이하의 조성으로 함으로써, 가공성, 내열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아크릴 수지 (A)>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 (A)에는 메타크릴 수지도 포함된다. 수지로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50 내지 99질량%,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단위 1 내지 50질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8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8인 알킬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α,β-불포화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기 함유 2가 카르복실산,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핵 치환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α,β-불포화 니트릴, 무수 말레산, 말레이미드, N-치환 말레이미드, 글루타르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공중합체의 내열분해성이나 유동성의 관점에서,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s-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고, 메틸아크릴레이트나 n-부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 (A)는, 필름으로서의 기계적 강도, 필름을 생산할 때의 유동성의 점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80000 내지 1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용매: 메틸렌 클로라이드
칼럼: 쇼덱스 K806, K805, K803G[쇼와 덴꼬(주)제를 3개 접속하여 사용하였음]
칼럼 온도: 25℃
시료 농도: 0.1질량%
검출기: RI Model 504(GL 사이언스사제)
펌프: L6000[히따찌 세이사꾸쇼(주)제]
유량: 1.0㎖/min
교정 곡선: 표준 폴리스티렌 STK standard 폴리스티렌[도소(주)제] Mw=2,800,000 내지 500까지의 13 샘플에 의한 교정 곡선을 사용하였다. 13 샘플은 거의 등간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아크릴 수지 (A)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현탁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혹은 용액 중합 등의 공지의 방법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된다. 여기서, 중합 개시제로서는, 통상의 퍼옥시드계 및 아조계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산화 환원계로 할 수도 있다.
중합 온도에 대해서는, 현탁 또는 유화 중합에서는 30 내지 100℃, 괴상 또는 용액 중합에서는 80 내지 160℃에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생성 공중합체의 환원 점도를 제어하기 위해, 알킬머캅탄 등을 연쇄 이동제로서 사용하여 중합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 분자량으로 함으로써, 내열성과 취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A)로서는, 시판 중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델펫 60N, 80N[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다이아날 BR52, BR80, BR83, BR85, BR88[미쯔비시 레이온(주)제], KT75[덴끼 가가꾸 고교(주)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A)는 1종 이상 사용되는데, 이 경우, 어느 아크릴 수지 (A)의 중량 평균 분자량도 80000 내지 1000000이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는 1종 이상 사용되는데, 그 중 적어도 1종은, 아실기의 총 치환도(T)가 2.00 내지 2.99, 아세틸기 치환도(ac)가 0.10 내지 1.89이며, 아세틸기 이외의 부분이 3 내지 7의 탄소수로 구성되는 아실기로 치환되어 있고, 그의 치환도(r)가 1.10 내지 2.89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75000 내지 250000이다(이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1)이라고 약칭함).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1) 이외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이하,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2)라고 약칭함)로서는, 아실기의 총 치환도(T)가 1.00 내지 2.99, 아세틸기 치환도(ac)가 0.10 내지 2.99이며, 아세틸기 이외의 아실기의 치환도(r)가 0 내지 2.89인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1)과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2)는, 100/0 내지 50/50(질량비)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1) 및 (B2)는, 1종 이상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가, 지방족 아실기와의 에스테르일 때, 지방족 아실기는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20이며, 구체적으로는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피발로일, 헥사노일, 옥타노일, 라우로일, 스테아로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아실기란, 또한 치환기를 갖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며, 치환기로서는 상술한 방향족 아실기에 있어서, 방향족환이 벤젠환일 때, 벤젠환의 치환기로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가, 방향족 아실기와의 에스테르일 때, 방향족환에 치환되는 치환기 X의 수는 0 또는 1 내지 5개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이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1 또는 2개이다.
또한, 방향족환에 치환되는 치환기의 수가 2개 이상일 때, 서로 동일하여도 되고 상이하여도 되지만, 또한 서로 연결하여 축합 다환 화합물(예를 들어 나프탈렌, 인덴, 인단, 페난트렌, 퀴놀린, 이소퀴놀린, 크로멘, 크로만, 프탈라진, 아크리딘, 인돌, 인돌린 등)을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에 있어서 치환 혹은 비치환의 지방족 아실기, 치환 혹은 비치환의 방향족 아실기 중 적어도 어느 1종이 선택된 구조를 갖는 구조를 갖는 것이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수지에 사용하는 구조로서 이용되며, 이들은 셀룰로오스의 단독 또는 혼합산 에스테르여도 된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에 있어서, 탄소 원자수 2 내지 7의 아실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것, 즉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벤조에이트 및 셀룰로오스 벤조에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를 들 수 있다.
혼합 지방산으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의 저급 지방산 에스테르이며, 탄소 원자수 2 내지 4의 아실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통상 수산기로서 존재하는 것이다. 이들은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아세틸기의 치환도나 다른 아실기의 치환도는, ASTM-D817-96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구한 것이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1)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75000 내지 25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0 내지 24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 (A) 및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 이외이며, 아베수가 30 내지 60인 수지 (D)>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지 (D)는, 아크릴 수지 (A) 및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 이외이며, 아베수가 30 내지 60인 수지이다.
이 범위의 아베수의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필름의 파장 분산 특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 즉
|Ro(480)-Ro(630)|≤5nm
|Rth(480)-Rth(630)|≤10nm
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로서 사용하였을 때에, 액정 디스플레이의 색 누락, 착색 등 소위 컬러 시프트를 억제하고, 전방위에서 높은 콘트라스트비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여러가지의 수지 (D)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스티렌 비율 50질량%를 초과하는 것), 스티렌-무수 말레산, 스티렌-푸마르산, 스티렌-이타콘산, 스티렌-N-치환 말레이미드 등의 불포화기 함유 2가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핵 치환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인덴-스티렌 수지, 인덴-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인덴 공중합체(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인덴 비율 50질량%를 초과하는 것), 올레핀-말레이미드 공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시클로올레핀, 옥타아세틸사카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아베수: 35 내지 52), 인덴-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아베수: 34 내지 51), 인덴-쿠마론 공중합체(아베수: 35 내지 40) 등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현하기 쉬워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시판품으로서, KT75(덴끼 가가꾸 고교(주)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아베수 46)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베수의 측정에 관해서는,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을 행하였다. 즉, 아베 굴절률계를 사용하여, 프라운호퍼의 C선(656.3nm), D선(589.3nm), F선(486.1nm)에서의 각각의 굴절률 nc, nd, nf를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아베수(νd)=(nd-1)/(nf-nc)
수지 (A), (B)와 혼합 가능한 수지 (D)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미리 상용성 시험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각각 메틸렌 클로라이드 100㎖에 용해한 수지 (A), (B) 및 (D)의 5% 농도의 용액을 혼합하고, 탁도를 측정하여 육안으로 혼합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상용성 시험으로 할 수 있다. 이 시험에 의해 간이적으로 수지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아크릴 입자 (C)>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에 아크릴 입자 (C)를 함유시켜도 된다. 아크릴 입자 (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크릴계 수지 (A)와 아크릴 입자 (C)의 굴절률차를 작게 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한, 표면의 거칠기도 표면 헤이즈로서 헤이즈값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아크릴 입자 (C)의 입경이나 첨가량을 상기 범위 내로 억제하거나, 제막시의 필름 접촉부의 표면 거칠기를 작게 하는 것도 유효하다.
본 발명에 관한 아크릴 입자 (C)는, 상기 아크릴 수지 (A) 및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와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중에 입자의 상태로 존재하는 것(비상용 상태라고도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입자 (C)는, 예를 들어 제작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소정량 채취하고, 용매에 용해시켜 교반하고, 충분히 용해ㆍ분산시킨 시점에서, 아크릴 입자 (C)의 평균 입경 미만의 구멍 직경을 갖는 PTFE제의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여과 포집된 불용물의 무게가,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에 첨가한 아크릴 입자 (C)의 9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입자 (C)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2층 이상의 층 구조를 갖는 아크릴 입자 (C)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하기 다층 구조 아크릴계 입상 복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구조 아크릴계 입상 복합체란, 중심부로부터 외주부를 향하여 최내 경질층 중합체,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가교 연질층 중합체, 및 최외 경질층 중합체가 층상으로 중첩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 입자 형상의 아크릴계 중합체를 말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다층 구조 아크릴계 입상 복합체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 내지 98.9질량%,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아크릴레이트 1 내지 20질량%, 및 다관능성 그래프트제 0.01 내지 0.3질량%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최내 경질층 중합체, (b) 상기 최내 경질층 중합체의 존재하에,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8인 알킬아크릴레이트 75 내지 98.5질량%, 다관능성 가교제 0.01 내지 5질량% 및 다관능성 그래프트제 0.5 내지 5질량%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가교 연질층 중합체, (c) 상기 최내 경질층 및 가교 연질층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의 존재하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 내지 99질량%와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아크릴레이트 1 내지 20질량%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최외 경질층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를 갖고, 또한 얻어진 3층 구조 중합체가 최내 경질층 중합체 (a) 5 내지 40질량%, 연질층 중합체 (b) 30 내지 60질량%, 및 최외 경질층 중합체 (c) 20 내지 50질량%로 이루어지고, 아세톤으로 분별하였을 때에 불용부가 있고, 그 불용부의 메틸에틸케톤 팽윤도가 1.5 내지 4.0인 아크릴계 입상 복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고 소60-17406호 공보 혹은 일본 특허 공고 평3-3909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층 구조 아크릴계 입상 복합체의 각 층의 조성이나 입경을 규정한 것뿐만 아니라, 다층 구조 아크릴계 입상 복합체의 인장 탄성률이나 아세톤 불용부의 메틸에틸케톤 팽윤도를 특정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또한 충분한 내충격성과 내응력백화성의 밸런스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다층 구조 아크릴계 입상 복합체를 구성하는 최내 경질층 중합체 (a)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 내지 98.9질량%,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아크릴레이트 1 내지 20질량% 및 다관능성 그래프트제 0.01 내지 0.3질량%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아크릴레이트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s-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메틸아크릴레이트나 n-부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최내 경질층 중합체 (a)에서의 알킬아크릴레이트 단위의 비율은 1 내지 20질량%이다.
다관능성 그래프트제로서는, 다른 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의 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알릴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다관능성 그래프트제는, 최내 경질층 중합체와 연질층 중합체를 화학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의 최내 경질층 중합시에 사용하는 비율은 0.01 내지 0.3질량%이다.
아크릴계 입상 복합체를 구성하는 가교 연질층 중합체 (b)는, 상기 최내 경질층 중합체 (a)의 존재하에,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아크릴레이트 75 내지 98.5질량%, 다관능성 가교제 0.01 내지 5질량% 및 다관능성 그래프트제 0.5 내지 5질량%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8인 알킬아크릴레이트로서는, n-부틸아크릴레이트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 중합성 단량체와 함께, 25질량% 이하의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관능성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관능성 단량체로서는, 스티렌 및 치환 스티렌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8인 알킬아크릴레이트와 스티렌의 비율은, 전자가 많을수록 생성 중합체 (b)의 유리 전이 온도가 저하하여, 즉 연질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의 관점으로부터는, 연질층 중합체 (b)의 상온에서의 굴절률을 최내 경질층 중합체 (a), 최외 경질층 중합체 (c), 및 경질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에 근접시키는 쪽이 유리하며, 이것들을 감안하여 양자의 비율을 선정한다.
예를 들어, 피복층 두께가 작은 용도에 있어서는, 반드시 스티렌을 공중합하지 않아도 된다.
다관능성 그래프트제로서는, 상기한 최내 경질층 중합체 (a)의 항에서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다관능성 그래프트제는, 연질층 중합체 (b)와 최외 경질층 중합체 (c)를 화학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그의 최내 경질층 중합시에 사용하는 비율은 내충격성 부여 효과의 관점에서 0.5 내지 5질량%가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가교제로서는, 디비닐 화합물, 디알릴 화합물, 디아크릴 화합물, 디메타크릴 화합물 등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분자량 200 내지 600)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다관능성 가교제는, 연질층 (b)의 중합시에 가교 구조를 생성하고, 내충격성 부여의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단, 앞서의 다관능성 그래프트제를 연질층의 중합시에 사용하면, 어느 정도는 연질층 (b)의 가교 구조를 생성하므로, 다관능성 가교제는 필수 성분은 아니지만, 다관능성 가교제를 연질층 중합시에 사용하는 비율은 내충격성 부여 효과의 관점에서 0.01 내지 5질량%가 바람직하다.
다층 구조 아크릴계 입상 복합체를 구성하는 최외 경질층 중합체 (c)는, 상기 최내 경질층 중합체 (a) 및 연질층 중합체 (b)의 존재하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 내지 99질량%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아크릴레이트 1 내지 20질량%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킬아크릴레이트로서는, 전술한 것이 사용되지만, 메틸아크릴레이트나 에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최외 경질층 (c)에서의 알킬아크릴레이트 단위의 비율은 1 내지 2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최외 경질층 (c)의 중합시에, 아크릴 수지 (A)와의 상용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해 알킬머캅탄 등을 연쇄 이동제로서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최외 경질층에, 분자량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하는 구배를 형성하는 것은, 신장과 내충격성의 밸런스를 개량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최외 경질층을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 혼합물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각 회마다 첨가하는 연쇄 이동제량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에 의해, 분자량을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에 형성되는 분자량은, 각 회에 사용되는 단량체 혼합물을 그 단독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중합하고, 얻어진 중합체의 분자량을 측정함으로써 조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다층 구조 중합체인 아크릴계 입상 복합체의 입경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nm 이상 10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0nm 이상 500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50nm 이상 400nm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다층 구조 중합체인 아크릴계 입상 복합체에 있어서, 코어와 쉘의 질량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층 구조 중합체 전체를 100질량부로 하였을 때에, 코어층이 50질량부 이상 9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60질량부 이상 8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층 구조 아크릴계 입상 복합체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미쯔비시 레이온사제의 "메타블렌", 가네가후찌 가가꾸 고교사제의 "가네 에이스", 구레하 가가꾸 고교사제의 "파랄로이드", 롬 앤드 하스사제의 “아크릴로이드", 간쯔 가세이 고교사제의 "스타필로이드" 및 구라레사제의 "파라펫 SA"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들은 단독 내지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아크릴 입자 (C)로서 적절하게 사용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인 아크릴 입자 (c-1)의 구체예로서는,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하에,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불포화 카르복실산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필요에 따라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공중합시킨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래프트 공중합체인 아크릴 입자 (c-1)에 사용되는 고무질 중합체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디엔계 고무, 아크릴계 고무 및 에틸렌계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산 부틸-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부타디엔-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아크릴산 부틸-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공중합체, 에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무질 중합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아크릴 수지 (A) 및 아크릴 입자 (C)의 각각의 굴절률이 근사하여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투명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입자 (C)와 아크릴 수지 (A)의 굴절률차가 0.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 특히 0.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굴절률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아크릴 수지 (A)의 각 단량체 단위 조성비를 조정하는 방법, 및/또는 아크릴 입자 (C)에 사용되는 고무질 중합체 혹은 단량체의 조성비를 조제하는 방법 등에 의해, 굴절률차를 작게 할 수 있고, 투명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굴절률차란, 아크릴 수지 (A)가 가용인 용매에,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적당한 조건에서 충분히 용해시켜 백탁 용액으로 하고, 이것을 원심 분리 등의 조작에 의해, 용매 가용 부분과 불용 부분으로 분리하고, 이 가용 부분(아크릴 수지 (A))과 불용 부분(아크릴 입자 (C))을 각각 정제한 후 측정한 굴절률(23℃, 측정 파장: 550nm)의 차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A)에, 아크릴 입자 (C)를 배합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아크릴 수지 (A)와 그 밖의 임의 성분을 미리 블렌드한 후, 통상 200 내지 350℃에서 아크릴 입자 (C)를 첨가하면서 1축 또는 2축 압출기에 의해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아크릴 입자 (C)를 미리 분산한 용액을, 아크릴 수지 (A) 및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를 용해한 용액(도프액)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법이나, 아크릴 입자 (C) 및 그 밖의 임의의 첨가제를 용해, 혼합한 용액을 인라인 첨가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 입자로서는, 시판 중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블렌 W-341(C2)[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케미 스노우 MR-2G(C3), MS-300X(C4)[소껭 가가꾸(주)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총 질량에 대하여 0.5 내지 45질량%의 아크릴 입자 (C)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첨가제>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에 있어서는, 조성물의 유동성이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소제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소제로서는, 프탈산 에스테르계, 지방산 에스테르계, 트리멜리트산 에스테르계, 인산 에스테르계, 폴리에스테르계, 혹은 에폭시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폴리에스테르계와 프탈산 에스테르계의 가소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는, 프탈산 디옥틸 등의 프탈산 에스테르계의 가소제에 비하여 비이행성이나 내추출성이 우수하지만, 가소화 효과나 상용성은 약간 떨어진다.
따라서, 용도에 따라 이들 가소제를 선택 혹은 병용함으로써, 광범위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는, 1가 내지 4가의 카르복실산과 1가 내지 6가의 알코올의 반응물이지만, 주로 2가 카르복실산과 글리콜을 반응시켜 얻어진 것이 사용된다. 대표적인 2가 카르복실산으로서는, 글루타르산, 이타콘산, 아디프산, 프탈산, 아젤라산, 세박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아디프산, 프탈산 등을 사용하면 가소화 특성이 우수한 것이 얻어진다. 글리콜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3-부틸렌, 1,4-부틸렌, 1,6-헥사메틸렌, 네오펜틸렌, 디에틸렌, 트리에틸렌, 디프로필렌 등의 글리콜을 들 수 있다.
이들 2가 카르복실산 및 글리콜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이 에스테르계의 가소제는 에스테르,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의 형태 중 어느 것이어도 되며, 분자량은 100 내지 10000의 범위가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3000의 범위가 가소화 효과가 크다.
또한, 가소제의 점도는 분자 구조나 분자량과 상관이 있지만, 아디프산계 가소제의 경우, 상용성, 가소화 효율의 관계로부터 200 내지 5000mPaㆍs(25℃)의 범위가 좋다. 또한, 몇 가지의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를 병용하여도 상관없다.
가소제는 아크릴 수지 (A)를 함유하는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0질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첨가량이 30질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이 끈적거리므로, 실용상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A)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계, 2-히드록시벤조페논계 또는 살리실산 페닐에스테르계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2-(5-메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트리아졸류,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를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도, 분자량이 400 이상인 자외선 흡수제는, 고비점이라서 휘발하기 어렵고, 고온 성형시에도 비산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교적 소량의 첨가로 효과적으로 내후성을 개량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얇은 피복층으로부터 기판층으로의 이행성도 작고, 적층판의 표면에도 석출되기 어려우므로, 함유된 자외선 흡수제량이 장시간 유지되어, 내후성 개량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한 점 등에서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400 이상인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 비스[4-(1,1,3,3-테트라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등의 힌더드 아민계, 나아가 2-(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n-부틸말론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1-[2-[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4-[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등의 분자 내에 힌더드 페놀과 힌더드 아민의 구조를 함께 갖는 하이브리드계의 것을 들 수 있으며, 이것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벤조트리아졸이나 2,2-메틸렌 비스[4-(1,1,3,3-테트라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 (A)에는 성형 가공시의 열분해성이나 열착색성을 개량하기 위해 각종 산화 방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대전 방지제를 첨가하여,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에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조성물로서, 인계 난연제를 배합한 난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인계 난연제로서는, 적린, 트리아릴인산 에스테르, 디아릴인산 에스테르, 모노아릴인산 에스테르, 아릴포스폰산 화합물, 아릴포스핀옥시드 화합물, 축합 아릴인산 에스테르, 할로겐화 알킬인산 에스테르, 할로겐 함유 축합 인산 에스테르, 할로겐 함유 축합 포스폰산 에스테르, 할로겐 함유 아인산 에스테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 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시드, 페닐포스폰산, 트리스(β-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트리브로모네오펜틸)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제막>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제막 방법의 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제막 방법으로서는, 인플레이션법, T-다이법, 캘린더법, 절삭법, 유연법, 에멀젼법, 핫 프레스법 등의 제조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착색 억제, 이물질 결점의 억제, 다이 라인 등의 광학 결점의 억제 등의 관점에서 유연법에 의한 용액 제막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용액 유연법으로 제조하는 경우의 도프를 형성하는 데에 유용한 유기 용매는, 아크릴 수지 (A),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 수지 (D), 그 밖의 첨가제를 동시에 용해하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소계 유기 용매로서는 염화메틸렌, 비염소계 유기 용매로서는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아밀,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푸란, 1,3-디옥솔란, 1,4-디옥산, 시클로헥사논, 포름산 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2,2,3,3-헥사플루오로-1-프로판올, 1,3-디플루오로-2-프로판올, 1,1,1,3,3,3-헥사플루오로-2-메틸-2-프로판올,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 2,2,3,3,3-펜타플루오로-1-프로판올, 니트로에탄 등을 들 수 있고, 염화메틸렌,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톤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프에는, 상기 유기 용매 외에, 1 내지 40질량%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지방족 알코올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프 중의 알코올의 비율이 높아지면 웹이 겔화하여, 금속 지지체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해지고, 또한 알코올의 비율이 적을 때에는 비염소계 유기 용매계에서의 아크릴 수지 (A),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의 용해를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
특히,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지방족 알코올을 함유하는 용매에, 아크릴 수지 (A)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와, 수지 (D)의 3종을 적어도 총 15 내지 45질량% 용해시킨 도프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지방족 알코올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도프의 안정성, 및 비점도 비교적 낮고 건조성도 좋은 점 등으로부터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바람직한 제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용해 공정
아크릴 수지 (A),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 수지 (D)에 대한 양용매를 주로 하는 유기 용매에, 용해 가마 중에서 상기 아크릴 수지 (A),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 수지 (D), 첨가제를 교반하면서 용해하여 도프를 형성하는 공정, 혹은 상기 아크릴 수지 (A),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 수지 (D) 용액에, 첨가제 용액을 혼합하여 도프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아크릴 수지 (A),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 수지 (D)의 용해에는, 상압에서 행하는 방법, 주 용매의 비점 이하에서 행하는 방법, 주 용매의 비점 이상에서 가압하여 행하는 방법, 일본 특허 공개 평9-955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95557호 공보 또는 일본 특허 공개 평9-95538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냉각 용해법으로 행하는 방법, 일본 특허 공개 평11-21379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고압에서 행하는 방법 등 여러가지의 용해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주 용매의 비점 이상에서 가압하여 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도프 중의 아크릴 수지 (A)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와, 수지 (D)의 3종은, 총 15 내지 45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해 중 또는 후의 도프에 첨가제를 첨가하여 용해 및 분산시킨 후, 여과재로 여과하고, 탈포하여 송액 펌프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보낸다.
여과는 포집 입경이 0.5 내지 5㎛이고 여수 시간이 10 내지 25sec/100㎖인 여과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서는, 미립자 분산시에 잔존하는 응집물이나 주 도프 첨가시 발생하는 응집물을, 포집 입경이 0.5 내지 5㎛이고 여수 시간이 10 내지 25sec/100㎖인 여과재를 사용함으로써 응집물만 제거할 수 있다.
주 도프에서는 미립자의 농도도 첨가액에 비하여 충분히 묽기 때문에, 여과시에 응집물끼리 달라붙어 급격한 여과압 상승이 일어나는 경우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용액 유연 제막 방법의 도프 제조 공정, 유연 공정 및 건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아크릴 미립자 투입 가마(41)로부터 여과기(44)에 의해 큰 응집물을 제거하고, 저장 가마(42)에 송액한다.
그 후, 저장 가마(42)로부터 주 도프 용해 가마(1)로 아크릴 미립자 첨가액을 첨가한다. 그 후, 주 도프액은 주 여과기(3)에서 여과되고, 여기에 자외선 흡수제 첨가액이 도관(16)으로부터 인라인 첨가된다.
대부분의 경우, 주 도프에는 반재(返材)가 10 내지 50질량% 정도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반재에는 아크릴 미립자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반재의 첨가량에 맞추어 아크릴 미립자 첨가액의 첨가량을 컨트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재란,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미세하게 분쇄한 것으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제막할 때에 발생하는, 필름의 양쪽 사이드 부분을 잘라 떨어뜨린 것이나, 찰상 등으로 스펙 아웃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원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미리 아크릴 수지와 아크릴 미립자를 혼련하여 펠릿화한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유연 공정
도프를 송액 펌프(예를 들어, 가압형 정량 기어 펌프)를 통하여 가압 다이(30)에 송액하고, 무한하게 이송하는 무단의 금속 벨트(31),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벨트, 혹은 회전하는 금속 드럼 등의 금속 지지체 상의 유연 위치에, 가압 다이 슬릿으로부터 도프를 유연하는 공정이다.
다이의 구금 부분의 슬릿 형상을 조정할 수 있고, 막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쉬운 가압 다이가 바람직하다. 가압 다이에는, 코트 행어 다이나 T다이 등이 있으며, 모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금속 지지체의 표면은 경면으로 되어 있다. 제막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가압 다이를 금속 지지체 상에 2대 이상 설치하고, 도프량을 분할하여 중층으로 하여도 된다. 혹은 복수의 도프를 동시에 유연하는 공유연법에 의해 적층 구조의 필름을 얻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용매 증발 공정
웹(유연용 지지체 상에 도프를 유연하여 형성된 도프막을 「웹」이라고 칭함)을 유연용 지지체 상에서 가열하고, 용매를 증발시키는 공정이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해서는, 웹측으로부터 바람을 불게 하는 방법 및/또는 지지체의 이면으로부터 액체에 의해 전열시키는 방법, 복사열에 의해 표리로부터 전열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이면 액체 전열 방법이 건조 효율이 좋아 바람직하다.
또한, 그것들을 조합하는 방법도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연 후의 지지체 상의 웹을 40 내지 100℃의 분위기하에, 지지체 상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40 내지 100℃의 분위기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온도의 온풍을 웹 상면에 불게 하거나 적외선 등의 수단에 의해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박리 공정
금속 지지체 상에서 용매가 증발한 웹을, 박리 위치에서 박리하는 공정이다. 박리된 웹은 다음 공정으로 보내진다.
금속 지지체 상의 박리 위치에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30℃이다.
또한, 박리하는 시점에서의 금속 지지체 상에서의 웹의 박리시 잔류 용매량은, 건조 조건의 강약, 금속 지지체의 길이 등에 따라 50 내지 120질량%의 범위에서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잔류 용매량이 보다 많은 시점에서 박리하는 경우, 웹이 지나치게 연하면 박리시 평면성이 손상되거나, 박리 장력에 의한 끌어당겨짐이나 세로 줄무늬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경제 속도와 품질의 균형에서 박리시의 잔류 용매량이 결정된다.
웹의 잔류 용매량은 하기 식에 의해 정의된다.
잔류 용매량(%)=(웹의 가열 처리 전 질량 - 웹의 가열 처리 후 질량)/(웹의 가열 처리 후 질량)×100
또한, 잔류 용매량을 측정할 때의 가열 처리란, 115℃에서 1시간의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금속 지지체와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 장력은, 통상, 196 내지 245N/m이지만, 박리시에 잔주름이 들어가기 쉬운 경우, 190N/m 이하의 장력으로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박리할 수 있는 최저 장력 내지 166.6N/m, 계속해서 최저 장력 내지 137.2N/m로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저 장력 내지 100N/m로 박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금속 지지체 상의 박리 위치에서의 온도를 -50 내지 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40℃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30℃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5) 건조 및 연신 공정
박리 후, 웹을 건조 장치 내에 복수 배치한 롤에 교대로 통과시켜 반송하는 건조 장치(35) 및/또는 클립으로 웹의 양단부를 클립하여 반송하는 텐터 연신 장치(34)를 사용하여, 웹을 건조한다.
건조 수단은 웹의 양면에 열풍을 불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바람 대신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적용하여 가열하는 수단도 있다. 너무 급격한 건조는 완성 필름의 평면성을 손상시키기 쉽다.
고온에 의한 건조는 잔류 용매가 8질량% 이하 정도부터 행하는 것이 좋다. 전체를 통하여, 건조는 대략 40 내지 250℃에서 행하여진다. 특히 40 내지 160℃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터 연신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텐터의 좌우 파지 수단에 의해 필름의 파지 길이(파지 개시부터 파지 종료까지의 거리)를 좌우에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텐터 공정에 있어서, 평면성을 개선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다른 온도를 갖는 구획을 만드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온도 구획 사이에 각각의 구획이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뉴트럴 대역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조작은 다단계로 분할하여 실시하여도 되고, 유연 방향, 폭 방향으로 2축 연신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2축 연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동시 2축 연신을 행하여도 되고, 단계적으로 실시하여도 된다.
이 경우, 단계적이란, 예를 들어 연신 방향이 다른 연신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동일 방향의 연신을 다단계로 분할하고, 또한 다른 방향의 연신을 그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연신 스텝도 가능하다.
ㆍ유연 방향으로 연신-폭 방향으로 연신-유연 방향으로 연신-유연 방향으로 연신
ㆍ폭 방향으로 연신-폭 방향으로 연신-유연 방향으로 연신-유연 방향으로 연신
또한, 동시 2축 연신에는, 일방향으로 연신하고, 다른 한쪽을 장력을 완화하여 수축시키는 경우도 포함된다. 동시 2축 연신의 바람직한 연신 배율은 폭 방향, 길이 방향 모두 ×1.01배 내지 ×1.5배의 범위에서 취할 수 있다.
텐터를 행하는 경우의 웹의 잔류 용매량은, 텐터 개시시에 20 내지 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웹의 잔류 용매량이 10질량% 이하로 될 때까지 텐터를 행하면서 건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
텐터를 행하는 경우의 건조 온도는, 30 내지 150℃가 바람직하고, 50 내지 120℃가 더욱 바람직하고, 70 내지 100℃가 가장 바람직하다.
텐터 공정에 있어서, 분위기의 폭 방향의 온도 분포가 적은 것이, 필름의 균일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텐터 공정에서의 폭 방향의 온도 분포는 ±5℃ 이내가 바람직하고, ±2℃ 이내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이내가 가장 바람직하다.
6) 권취 공정
웹 중의 잔류 용매량이 2질량% 이하가 되고 나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으로서 권취기(37)에 의해 권취하는 공정이며, 잔류 용매량을 0.4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치수 안정성이 양호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권취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이용하면 되며, 정 토크법, 정 텐션법, 테이퍼 텐션법, 내부 응력이 일정한 프로그램 텐션 컨트롤법 등이 있으며, 그것들을 구별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은, 긴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5000m 정도의 것을 나타내고, 통상, 롤 형상으로 제공되는 형태의 것이다. 또한, 필름의 폭은 1.3 내지 4m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내지 2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막 두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후술하는 편광판 보호 필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2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8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편광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이면측에 접착층을 형성하고, 요오드 용액 중에 침지 연신하여 제작한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표면 처리함으로써,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다른 한쪽 면에는 상기 필름을 사용하여도 되고, 다른 편광판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시판 중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예를 들어, 코니카 미놀타 태크 KC8UX, KC4UX, KC5UX, KC8UY, KC4UY, KC12UR, KC8UCR-3, KC8UCR-4, KC8UCR-5, KV8UY-HA, KV8UX-RHA, 이상 코니카 미놀타 옵토(주)제), 시클로올레핀 필름(예를 들어, 제오노아 필름(닛본 제온사제), ARTON 필름(JSR사제))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편광판의 주된 구성 요소인 편광자란, 일정 방향의 편파면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소자이며, 현재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이고, 이것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를 염색시킨 것과 2색성 염료를 염색시킨 것이 있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제막하고, 이것을 1축 연신시켜 염색하거나, 염색한 후 1축 연신하고 나서, 바람직하게는 붕소 화합물에 의해 내구성 처리를 행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착층에 사용되는 접착제로서는, 접착층의 적어도 일부분에 있어서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4Pa 내지 1.0×109Pa의 범위인 접착층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착층을 도포하고, 접합한 후에 여러가지의 화학 반응에 의해 고분자량체 또는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경화형 접착제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수성 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열경화형 아크릴 접착제 등의 경화형 접착제, 습기 경화 우레탄 접착제, 폴리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형, 에스테르계 메타크릴레이트형, 산화형 폴리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혐기성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순간 접착제, 아크릴레이트와 퍼옥시드계의 2액형 순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서는 1액형이어도 되고, 사용 전에 2액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유기 용제를 매체로 하는 용제계이어도 되고,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매체인 에멀젼형, 콜로이드 분산액형, 수용액형 등의 수계여도 되고, 무용제형이어도 된다.
상기 접착제액의 농도는, 접착 후의 막 두께, 도포 방법, 도포 조건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면 되며, 통상은 0.1 내지 50질량%이다.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접합한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삽입함으로써, 다양한 시인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편광판은, 상기 점착층 등을 개재하여 액정 셀에 접합한다.
본 발명에 관한 편광판은 반사형, 투과형, 반투과형 LCD 또는 TN형, STN형, OCB형, HAN형, VA형(PVA형, MVA형), IPS형 등의 각종 구동 방식의 LCD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화면이 30형 이상, 특히 30형 내지 54형인 대형 화면의 표시 장치에서는, 화면 주변부에서의 백색 누락 등도 없고, 그 효과가 장기간 유지된다. 또한, 색 불균일, 번쩍임이나 물결형 불균일이 적어, 장시간의 감상으로도 눈이 피곤하지 않다고 하는 효과가 있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제작>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1의 제작)
(도프액의 제조)
BR85(미쯔비시 레이온사제, 아크릴 수지) 70질량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아실기 총 치환도 2.75, 아세틸기 치환도 0.19, 프로피오닐기 치환도 2.56, Mw=200000)
15질량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아실기 총 치환도 2.73, 아세틸기 치환도 1.08, 프로피오닐기 치환도 1.84, Mw=200000)
15질량부
메틸렌 클로라이드 300질량부
에탄올 40질량부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제막)
상기 제작한 도프액을, 벨트 유연 장치를 사용하여, 온도 22℃, 2m 폭으로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에 균일하게 유연하였다.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에서, 잔류 용제량이 100%가 될 때까지 용매를 증발시키고, 박리 장력 162N/m로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 상으로부터 박리하였다.
박리한 아크릴 수지의 웹을 35℃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1.6m 폭으로 슬릿하고, 그 후, 텐터에 의해 폭 방향으로 1.1배로 연신하면서, 135℃의 건조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이 때 텐터에 의해 연신을 개시하였을 때의 잔류 용제량은 10%였다.
텐터에 의해 연신한 후 130℃에서 5분간 완화를 행한 후, 120℃, 130℃의 건조 대역을 다수의 롤로 반송시키면서 건조를 종료시키고, 1.5m 폭으로 슬릿하고, 필름 양단부에 폭 10mm 높이 5㎛의 널링 가공을 실시하고, 초기 장력 220N/m, 최종 장력 110N/m로 내경 6인치 코어에 권취하여,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1을 얻었다.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의 회전 속도와 텐터의 운전 속도로부터 산출되는 MD 방향(제막 방향)의 연신 배율은 1.1배였다.
표 1 기재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1의 잔류 용제량은 0.1%이고, 막 두께는 60㎛이고, 권취수는 4000m였다.
이하, 아크릴 수지 (A),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 (A), (B) 이외이며 아베수가 30 내지 60인 수지 (D)의 종류와 조성비를 표 1 기재와 같이 바꾼 것 이외는,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시료 1 내지 34를 제작하였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91706호 실시예 1 및 7에 기초하여,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시료 35를 제작하였다.
표 1에 있어서, 사용한 소재는 이하와 같다.
약호 분자량 조성
BR52 85000 MS
BR83 40000 MMA
BR85 280000 MMA
BR88 480000 MMA
80N 100000 MMA
약호 및 종류는 이하와 같다.
MS: 메틸아크릴레이트ㆍ스티렌 공중합체
M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ac: 1.08, p: 1.84는 아세틸기 치환도 1.08, 프로피오닐기 치환도 1.84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를 의미한다. 또한, b는 부티레이트, bz는 벤조에이트, pi는 피발레이트, ph는 프탈레이트로 치환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나타내고, T는 총 치환도를 나타낸다.
KT75(덴끼 가가꾸 고교(주)제, MMA-스티렌 공중합체)이며, 80N과 BR 시리즈는, 각각 델펫 80N(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사제), 다이아날 BR52, BR83, BR85, BR88(미쯔비시 레이온사제)이다.
A1 내지 A4를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작하였다. 조성은 이하와 같다.
A1: 폴리(MMA-MA) 질량비 98:2 Mw 70000
A2: 폴리(MMA-MA) 질량비 97:3 Mw 800000
A3: 폴리(MMA-MA) 질량비 97:3 Mw 930000
A4: 폴리(MMA-MA) 질량비 94:6 Mw 1100000
(인덴-MMA 공중합체 (D1)의 합성)
교반기 및 염화칼슘관을 갖는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50㎖의 3구 플라스크에, 인덴 5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g, 톨루엔 30g을 첨가하고, 25℃의 수욕 중에서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염화철 0.05g을 첨가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반응 개시 1시간 후 염화철(III) 0.09g을 더 첨가하였다.
마찬가지로 하여, 반응 개시 3, 4, 5시간 후 염화철(III) 0.09g을 각각 첨가하고, 반응 개시 24시간 후 메탄올 50㎖를 첨가하여 중합체를 침전시키고, 반응을 종료시켰다.
생성된 중합체를 여과하고, 메탄올, 계속해서 물로 잘 세정하고, 감압하에 건조하여 잔존해 있는 메탄올을 제거하여 인덴-MMA 공중합체 (D1)을 얻었다. 분자량(Mw)은 100000, 아베수는 44였다.
또한, 폴리인덴-쿠마론 공중합체(알드리치사제, 아베수: 33)를 D2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14, 24는, 하기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여 도프를 제작하였다.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14
티누빈 109(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주)제) 1.5질량부
티누빈 171(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주)제) 0.7질량부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24
LA-31[아데카(ADEKA)사제] 1.5질량부
Figure 112010045896917-pct00009
Figure 112010045896917-pct00010
《평가 방법》
얻어진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1 내지 35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헤이즈)
상기 제작한 각각의 필름 시료에 대하여, 필름 시료 1매를 JIS K-7136에 따라, 헤이즈 미터(NDH2000형, 닛본 덴쇼꾸 고교(주)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장력연화점)
텐실론 시험기(오리엔테크사제, RTC-1225A)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은 평가를 행하였다.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120mm(세로)×10mm(폭)로 잘라내고, 10N의 장력으로 잡아당기면서 30℃/min의 승온 속도로 승온을 계속하고, 9N이 된 시점에서의 온도를 3회 측정하여, 그 평균을 내었다.
(연성 파괴)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100mm(세로)×10mm(폭)로 잘라내고, 종방향의 중앙부에서 산접기, 골접기 두가지로 각각 1회씩 접고, 이 평가를 3회 측정하여,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또한, 여기에서의 평가의 부러짐이란, 나누어 2개 이상의 피스로 분리된 것을 나타낸다.
○: 3회 모두 부러지지 않음
×: 3회 중 적어도 1회는 부러짐
(필름 변형)
필름 시료를 90℃, 건식(상대 습도 5%RH 이하)의 분위기하에 1000시간 방치한 후, 필름 변형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 필름의 변형이 전혀 없음
△: 필름의 변형이 확인됨
×: 현저한 필름의 변형이 확인됨
(커팅성)
경하중 인장 파열 시험기(도요 세끼사제)를 사용하여 필름을 인장 파열하고,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 인장 파열면이 매우 매끄럽고, 또한 곧게 찢어져 있음
△: 인장 파열면에 약간 버어가 있지만, 곧게 찢어져 있음
×: 인장 파열면에 버어가 상당히 있거나, 곧게 찢어져 있지 않음
(필름 외관)
제작한 필름에 관하여, 필름 외관을 육안으로 평가하고,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 매우 평활한 평면성임
△: 약간 끌어당겨짐이나 잔주름, 단을 확인할 수 있음
×: 명확히 끌어당겨짐이나 잔주름, 단을 확인할 수 있음
(Ro, Rth의 측정 방법)
아베 굴절률계(4T)를 사용하여 필름 구성 재료의 평균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시판되는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필름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자동 복굴절계 KOBRA-21ADH(오지 게이소꾸 기끼(주)제)를 사용하여, 23℃, 55%RH의 환경하에 24시간 방치한 필름에 있어서, 동일 환경하에, 해당하는 파장에서의 필름의 리타데이션 측정을 행하였다. 상술한 평균 굴절률과 막 두께를 입력하고, 면내 리타데이션(Ro) 및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의 값을 얻었다.
(광탄성계수의 측정 방법)
KOBRA-31PRW를 사용하여, 1N 내지 15N의 응력 범위에서 10점의 인장 시험을 행하여, 그 때 발현하는 위상차를 측정하고, 각 점에서의 장력과 위상차를 플롯하여, 그 기울기로부터 산출하였다. 측정은 23℃, 55%RH로 조정한 방에서 행하였다.
(편광판의 제작)
두께 120㎛의 긴 롤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요오드 1질량부, 붕산 4질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100질량부에 침지하고, 50℃에서 5배로 반송 방향으로 연신하여 편광막을 제작하였다. 다음에, 이 편광막의 한쪽 면에 아크릴 접착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1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접합하였다.
또한, 편광막의 다른 한쪽 면에 알칼리 비누화 처리한 위상차 필름인 코니카 미놀타 옵토사제 KC8UCR-5를 접합하고, 건조시켜 편광판 1을 제작하였다.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2 내지 35를 사용하여 편광판 2 내지 35를 제작하였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은, 필름 커팅성이 우수하고, 가공이 용이하였다.
(액정 표시 장치로서의 특성 평가)
<액정 표시 장치의 제작>
IPS 모드형 액정 표시 장치인 히따찌제의 액정 텔레비전 Wooo32 H-90을 사용하여, 미리 접합되어 있던 시인측의 편광판을 벗기고, 상기 제작한 편광판 1 내지 35를 본 발명의 아크릴 필름이 액정 셀의 유리면으로 되도록 접합하였다.
그 때, 미리 접합되어 있던 편광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흡수축이 향하도록 접합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액정 표시 장치 1 내지 35를 제작하였다.
(시야각 변동)
이상과 같이 하여 제작한 액정 표시 장치 1 내지 35를 사용하여 하기의 평가를 행하였다.
23℃, 55%RH의 환경에서, 엘딤(ELDIM)사제 EZ-Contrast 160D를 사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시야각 측정을 행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편광판을 60℃, 90%RH에서 1000시간 처리한 것을 마찬가지로 측정하고, 하기 기준으로 4단계 평가하였다.
◎: 시야각 변동이 전혀 없음
○: 시야각 변동이 약간 확인됨
△: 시야각 변동이 확인됨
×: 시야각 변동이 매우 큼
(컬러 시프트)
상기 기재된 시야각 평가와 마찬가지로 편광판을 부착하여, 액정 표시 장치 1 내지 35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디스플레이를 흑색 표시로 하여, 기울기 45°의 각도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의 색 변화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색 변화가 전혀 없음
○: 색 변화가 약간 확인됨
△: 색 변화가 확인됨
×: 색 변화가 매우 큼
이상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45896917-pct00011
Figure 112010045896917-pct00012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은, 투명하고, 고내열성이며, 취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한 편광판은 그의 펀칭 작업이나 패널 접합시 등의 작업에서의 수율을 개선하고, 보는 각도에 의존하여 발생하는 컬러 시프트를 저감시킨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을 알 수 있다.
1: 용해 가마
3, 6, 12, 15: 여과기
4, 13: 저장 탱크
5, 14: 송액 펌프
8, 16: 도관
10: 자외선 흡수제 투입 가마
20: 합류관
21: 혼합기
30: 다이
31: 금속 지지체
32: 웹
33: 박리 위치
34: 텐터 장치
35: 롤 건조 장치
41: 입자 투입 가마
42: 저장 탱크
43: 펌프
44: 여과기

Claims (7)

  1. 하기 수학식 1 내지 4를 만족하고, 또한 장력연화점이 105 내지 145℃이고, 광탄성계수가 -5.0×10-8cm2/N 내지 8.0×10-8cm2/N이며, 연성 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이며,
    상기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이, 아크릴 수지 (A) 및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를 포함하거나, 또는 (A), (B), 및 (A), (B) 이외이며 아베수가 30 내지 60인 수지 (D)의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의 헤이즈가 2% 미만이고,
    상기 아크릴 수지 (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80000 내지 1000000이고,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의 적어도 1종이, 아실기의 총 치환도(T)가 2.00 내지 2.99이고, 아세틸기 치환도(ac)가 0.10 내지 1.89이며, 아세틸기 이외의 부분이 3 내지 7의 탄소수로 구성되는 아실기로 치환되어 있고, 그의 치환도(r)가 1.10 내지 2.89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75000 내지 250000인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수학식 1>
    Figure 112014103925155-pct00022

    <수학식 2>
    Figure 112014103925155-pct00023

    <수학식 3>
    Figure 112014103925155-pct00024

    <수학식 4>
    Figure 112014103925155-pct00025

    [식 중, Ro=(nx-ny)×d, Rth={(nx+ny)/2-nz}×d이며, nx는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나타내고, d는 필름의 막 두께(nm)를 나타내고, ( ) 안의 수치 589, 480, 630은 각각 복굴절을 측정한 광의 파장(nm)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이, 아크릴 수지 (A)를 30 내지 90질량%,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B)를 5 내지 65질량%, (A), (B) 이외이며 아베수가 30 내지 60인 수지 (D)를 0 내지 5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헤이즈값이 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적어도 한쪽 면에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07015784A 2008-01-30 2008-10-15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497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18860 2008-01-30
JPJP-P-2008-018860 2008-01-30
PCT/JP2008/068640 WO2009096071A1 (ja) 2008-01-30 2008-10-15 アクリル樹脂含有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689A KR20100105689A (ko) 2010-09-29
KR101497752B1 true KR101497752B1 (ko) 2015-03-02

Family

ID=4091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784A KR101497752B1 (ko) 2008-01-30 2008-10-15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70448B2 (ko)
JP (1) JP5463914B2 (ko)
KR (1) KR101497752B1 (ko)
CN (1) CN101925640B (ko)
WO (1) WO2009096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0688B2 (ja) * 2008-01-31 2012-10-03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アクリル樹脂含有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2011185958A (ja) * 2010-03-04 2011-09-22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液晶表示装置
CN102702576A (zh) * 2011-03-25 2012-10-03 富士胶片株式会社 酰化纤维素薄膜及其制备方法、偏振器以及液晶显示器
JP5745456B2 (ja) * 2011-04-21 2015-07-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140389B2 (ja) * 2011-06-24 2017-05-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861502B2 (ja) * 2012-03-06 2016-02-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948287B2 (ja) * 2012-07-26 2016-07-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596254B1 (ko) * 2014-01-28 2016-02-22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수지 조성물 및 포장 물품
WO2016099973A1 (en) * 2014-12-18 2016-06-23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Polymeric materials with negative photoelastic constants
BR112017012879A2 (pt) * 2014-12-18 2018-01-30 Basf Se cascata magnetocalórica, regenerador magnetocalórico, bomba de calor,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uma cascata magnetocalórica, método de bombeamento por calor
JP6483519B2 (ja) * 2015-05-11 2019-03-13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728651B2 (ja) * 2015-11-27 2020-07-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TWI712496B (zh) * 2016-08-22 2020-12-11 日商可樂麗股份有限公司 偏光板
JP7342593B2 (ja) 2019-10-09 2023-09-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9217A (ja) * 1991-10-23 1993-05-1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偏光膜保護用フイルム
KR20060097617A (ko) * 2005-03-10 2006-09-14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보상 필름, 광학보상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7062055A (ja) * 2005-08-30 2007-03-15 Konica Minolta Opto Inc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該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7231157A (ja) * 2005-03-10 2007-09-13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補償フィルム、光学補償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457B2 (ja) 1992-04-29 2000-12-18 株式会社クラレ 透明フィルム
JP3870670B2 (ja) 2000-06-29 2007-01-2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非複屈折性ピックアップレンズ用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ピックアップレンズ
JP2002356658A (ja) * 2001-05-31 2002-12-13 Nippon Carbide Ind Co Inc アクリル系オーバーレイフィルム
JP4788072B2 (ja) * 2001-06-29 2011-10-0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JP4340128B2 (ja) 2003-11-13 2009-10-07 株式会社日本触媒 ラクトン環含有重合体の製造方法
TWI285211B (en) * 2005-01-18 2007-08-11 Asahi Kasei Chemicals Corp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s
JP4855781B2 (ja) * 2005-02-01 2012-01-18 日東電工株式会社 反射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928187B2 (ja) * 2005-08-04 2012-05-09 株式会社日本触媒 低複屈折共重合体
JP2007191706A (ja) 2005-12-22 2007-08-02 Toray Ind Inc 熱可塑性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成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20070282038A1 (en) * 2006-06-05 2007-12-06 Deepanjan Bhattacharya Methods for improving the anti-sag, leveling, and gloss of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low molecular weight cellulose mixed esters
KR101459162B1 (ko) 2006-06-21 2014-11-07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편광판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US7709572B2 (en) * 2007-10-13 2010-05-04 Konica Minolta Opto, Inc.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532927B2 (ja) * 2007-12-28 2014-06-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アクリル樹脂含有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5521552B2 (ja) * 2008-01-30 2014-06-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アクリル樹脂含有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9217A (ja) * 1991-10-23 1993-05-1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偏光膜保護用フイルム
KR20060097617A (ko) * 2005-03-10 2006-09-14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보상 필름, 광학보상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7231157A (ja) * 2005-03-10 2007-09-13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補償フィルム、光学補償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7062055A (ja) * 2005-08-30 2007-03-15 Konica Minolta Opto Inc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該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25640B (zh) 2013-06-12
JPWO2009096071A1 (ja) 2011-05-26
JP5463914B2 (ja) 2014-04-09
KR20100105689A (ko) 2010-09-29
US8470448B2 (en) 2013-06-25
WO2009096071A1 (ja) 2009-08-06
US20100291376A1 (en) 2010-11-18
CN101925640A (zh)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752B1 (ko)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497753B1 (ko)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352657B1 (ko) 광학 필름
JP5040688B2 (ja) アクリル樹脂含有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表示装置
KR101567618B1 (ko) 아크릴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작한 아크릴 필름
KR101476876B1 (ko)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10119730A1 (ja) 光学素子
KR101523804B1 (ko) 아크릴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아크릴 필름
KR101514480B1 (ko)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483328B1 (ko)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제조 방법,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497751B1 (ko) 아크릴 수지 함유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TWI544014B (zh) Optical film
KR101677781B1 (ko) 광학 필름,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5045539B2 (ja)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2016844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571920B1 (ko) 광학 필름,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