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516B1 - 차량의 물품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물품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516B1
KR101493516B1 KR20080090425A KR20080090425A KR101493516B1 KR 101493516 B1 KR101493516 B1 KR 101493516B1 KR 20080090425 A KR20080090425 A KR 20080090425A KR 20080090425 A KR20080090425 A KR 20080090425A KR 101493516 B1 KR101493516 B1 KR 10149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haft
winding
shaft
bevel gear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472A (ko
Inventor
하르트무트 볼케
안드레아스 괴벨스
위르겐 살레브스키
볼프강 지?러
올라프 뷔쉬겐즈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28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적재실(11) 내에 장착될 수 있는 보관함(2, 702, 802)을 이용하여 자동차(1, 101)의 적재실(11)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상기 보관함(2, 702, 802)은 지지면(21, 821)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및/또는 비탄성 변형될 수 있는 벽부(20)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장치는 보관 구획 부피의 변경을 위해 상기 벽부(20)의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61, 61a, 61b, 61c, 61d)를 포함하는 조정 장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조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식 고정 장치(8, 108, 208, 308, 408)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61, 61a, 61b, 61c, 61d)의 회전 운동은 운반을 위해 상기 탈착식 고정 장치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운반 시에 최소한 상기 벽부(20)의 신장이 억제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조정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61, 61a, 61b, 61c, 61d)의 최대 인출 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인출 제한 장치(9, 408, 5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 적재실, 보관함, 지지면, 벽부, 보관 구획 부피, 조정 장치, 탈착식 고정 장치, 권취 샤프트, 인출 제한 장치.

Description

차량의 물품 적재 장치{Device for stowing articles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적재실, 특히 뒤쪽 적재실 또는 트렁크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소형이거나 민감한 물품을 자동차의 적재실에 깔끔하면서도 확실하게 보관할 수 있는 보관용기(storage container) 또는 보관함(storage box)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었다. 특히 상대적으로 대형인 리무진 및 이와 유사한 차량 등급에서, (뒤쪽) 적재실은 큰 확장부, 특히 매우 깊은 공간부를 구비한다. 이런 확장부는 모든 물품을 균일한 형태로 수납하기에 적합하지 못한다. 이런 점에서 상대적으로 소형이고, 그리고/또는 민감한 특성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실 내에 배치되는 보관함은 적재실의 효용 가치를 분명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보관함은 예컨대 뒤쪽 수하물 선반(rear parcel shelf)의 밑면에 적재 위치에서 변위 가능하게 고정되며, 그리고 물품 수납 또는 인출을 위해, 수납 또는 인출 위치로 배출될 수 있다. 보관함은 일반적으로 잠깐 동안만 또는 일시적으로만 이용된다.
비공개된 독일 출원 DE 10 2006 013974.7 에는 자동차의 적재실 용도의 보관 함이 개시되었다. 이런 보관함은 뒤쪽 수하물 선반의 밑면에서 적재 위치에 고정되고, 수납 또는 인출을 위해 수납 및/또는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 보관함은 프레임, 지지면, 그리고 이 지지면을 프레임과 결합시키고 본질적으로 비탄성 소재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벽은 변형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보관함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측벽은 그 구조가 다수의 롤러 블라인드 스트립으로 형성되며, 이 롤러 블라인드 스트립들은 권취 샤프트에 각각 권취 및 권출 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응하는 보관함의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보관함을 구비하여 자동차의 적재실에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적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보관함은 자동차의 적재실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지지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및/또는 비탄성 변형될 수 있는 벽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관 구획 부피를 변경할 수 있도록, 벽부의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를 포함하는 조정 장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정될 수 있고, 상기 조정 장치는 탈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의 회전 운동은 운반을 위해 탈착 가능한 고정 장치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운반 시에 최소한 벽부가 신장되는 점이 억제된다.
벽부의 높이는 예컨대 보관함에 의해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에 따라 결정된다. 주행 중에, 특히 도로의 불균일성, 즉 파형 지면을 바탕으로 자동차가 흔들리거나 진동할 시에, 또는 급제동 및/또는 급가속 간섭 시에, 벽부의 신장을 야기하는 힘이 보관함에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고정 장치를 통해 권취 샤프트의 회전 운동과 그에 따라 바람직하지 못한 신장은 확실하게 억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는 첨두 부하의 완충(Lastspitzenabfedrung)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감쇠 부재(damping element)를 포함한다. 이런 감쇠 부재를 통해, 예컨대 파형 지면의 결과로서 강하게 흔들림에 따라 작용하는 힘이 차단되고, 그에 따라 상기 힘이 구성부품을 손상시키는 점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용 베벨 기어를 포함한다. 이 차단용 베벨 기어는 권취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권취 샤프트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보성(complementary) 베벨 기어와 맞물려 고정된다. 권취 샤프트에 제공되는 베벨 기어를 차단용 베벨 기어에 밀착시킴으로써, 권취 샤프트의 회전 운동은 차단된다. 베벨 기어들의 두 톱니가 서로 밀착될 시에 서로 충돌하게 되면, 한 실시예에 따라 권취 샤프트는 밀착 시에 용이하게 회전되며, 그럼으로써 권취 샤프트 측 베벨 기어의 톱니들은 차량 측 베벨 기어의 대응하는 톱니 간 공간에 위치하게 되거나, 또는 그 위치가 서로 바뀌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베벨 기어들의 축들은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본질적으로 서로 수직을 이루는 방식으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용 베벨 기어는, 제2 권취 샤프트와 회전 불가능하게 체결된 베벨 기어를 마주보면서 제2 권취 샤프트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권취 샤프트의 베벨 기어 방향으로 차단용 베벨 기어를 변위 시킴으로써, 제1 권취 샤프트의 베벨 기어는 차단용 베벨 기어와 제2 권취 샤프트의 베벨 기어 사이에 고정되며, 그럼으로써 제1 권취 샤프트 및 제2 권취 샤프트의 회전은 억제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및 제2 권취 샤프트의 베벨 기어들은 일 구현예에 따라 권취 샤프트들의 운동이 동기화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제1 권취 샤프트의 베벨 기어를 고정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차단용 베벨 기어의 변위는 일 실시예에 따라 힘 부재(force element)의 힘에 대항하여, 특히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힘 부재에 의해, 무부하 상태에서 회전 운동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고정되는 점은 억제된다. 또한, 스프링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차단용 베벨 기어의 변위 방향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다.
개선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쇠 부재는, 차단용 베벨 기어와 제2 권취 샤프트의 베벨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댐퍼, 특히 고무 댐퍼이다. 대응하는 감쇠 부재에 의해, 예컨대 파형 지면 등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에 의해 보관함에 작용하는 첨두 부하는 베벨 기어들의 톱니들에 의해 흡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고정 장치는 차량 측에 본질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축(arbor)을 포함한다. 이 축은 권취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차단하기 위해 권취 샤프트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는 다공성 림(perforated rim)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다공성 림은 일 구현예에 따라, 구멍들이 원주방향으 로 분포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다공성 림의 격자 패턴은 바람직하게는 일정하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축은 차량에 고정되고 복귀 부재의 힘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대응하는 구현예에서 축이 삽입 시에 다공성 림의 구멍과 직접적으로 만나지 못하면, 축은 다공성 림에 의해 변위되거나 또는 압입된다. 만일 권취 샤프트가 흔들림 등에 의해 회전한다면, 축은 복귀 부재의 힘을 바탕으로 이웃하거나 후속하는 구멍 내에 맞물려 고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는 차량 측에 본질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 비대칭형으로 형성되는 외부 윤곽을 갖는 축을 포함한다. 이 축은 권취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권취 샤프트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보성 공동부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축에 의해, 동축에 배치되는 권취 샤프트의 회전 운동은 간단하게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의 감쇠 부재는 축의 차량 측 베어링의 일부분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흔들림을 바탕으로 발생하는 첨두 부하는 본질적으로 보관함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보관함은 차량에서 본질적으로 차량 바닥에 대해 평행한 평면을 따라, 특히 차량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보관될 수 있으며, 그리고 보관 위치로 변위 됨으로써 권취 샤프트는 고정 장치에 의해 차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변위를 통해 축은 다공성 림 내에, 또는 권취 샤프트에 제공되는 공동부 내에 삽입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보관 위치로 보관함이 삽입됨으로써, 차단용 베벨 기어는, 회전 운동을 억제할 수 있 도록 제1 권취 샤프트의 베벨 기어 쪽으로 밀착된다. 위의 두 구현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삽입 시 간단하게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변위 가능한 보관을 위해, 보관함은 일 구현예에 따라, 레일 가이드, 특히 신축식 레일 가이드(telescopic rail guide) 또는 케이지 레일 가이드(cage rail guide)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목적은 인출 제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인출 제한 장치를 통해서는 권취 샤프트의 최대 인출 운동이 제한된다. 특히 보관함에 육중한 물품을 배치할 시에, 보관 구획 부피는 작용하는 하중을 바탕으로 대폭 확대될 수 있다. 그 결과 발생하여 작용하는 힘이 권취 샤프트에 제공되는 벽부의 결합부에서 차단되는 점을 억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인출 제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인출 제한 장치는, 로프, 스트립 등, 특히 플랫 스트립(flat strip)과 같이 길이가 긴 부재를 통해 서로 연동되는 적어도 2개의 톱니 기어를 포함하며, 그리고 최대 인출 운동은 긴 길이의 부재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스트립은 일 구현예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하며, 그럼으로써 스트립에 의해 운동 최종 지점에서 운동의 감쇠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인출 제한 장치는 서로 치합되는 적어도 2개, 특히 3개의 톱니 기어를 구비한 기어 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톱니 기어의 회전 각도는 정지부에 의해 제한된다. 기어 장치에서 상기 하나의 톱니 기어가 운동 제한됨으로써, 기어 장치의 나머지 톱니 기어들의 운동도 역시 차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톱니 기어들 간에 기어비를 적합하게 선택 함으로써, 기어 장치의 톱니 기어 중 권취 샤프트와 직접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체결되는 톱니 기어는 다수의 회전을 실행하는 반면에, 정지부와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톱니 기어는 완전한 1회전보다 적은 회전을, 예컨대 3/4 이하의 회전을 실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어 장치의 톱니들에 의해 작용하는 힘의 소정의 감쇠가 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정지부는 감쇠 부재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인출 제한 장치는 저널을 구비한 몰타 십자 기어 장치(Maltese cross gear)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저널에 의해 인출 및/또는 권취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권취 샤프트의 회전 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저널 및/또는 대응하는 정지부의 각각의 구성에 따라, 구성 부품들간 상호 충돌 시에 감쇠가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는 권취 스프링(winding spring)을 포함하며, 그리고 벽부의 신장은 권취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이루어진다. 권취 스프링, 예컨대 통상적인 스프링 타입 액추에이터는 비사용 시 보관함의 간단한 축소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보관함을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정 수단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개별적인 적용에 따라 추가적인 고정 수단이 보다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동 장치가 제공되며, 이 제동 장치는 권취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제동하기 위해, 특히 감소시키거나 억제하기 위해, 권취 스프링의 힘에 반작용한다. 이런 점은 권취 샤프트의 양방향 모두에, 또는 일측 방 향에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영(0)이 될 때까지 정지 위치로 이루어지는 신장 또는 복귀가 제동될 수 있다. 벽부를 신장함으로써 보관 구획 부피를 확대하기 위한 권취 샤프트의 회전 운동은 예컨대 삽입된 물품의 하중에 의해 야기된다. 그와 더불어 힘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인가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전동기와 같은 작동 장치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물품의 하중과 무관하게 보관 구획 부피를 고정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독립된 고정 장치는 운반 시에 보관 구획 부피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제동 장치는 보관 구획 부피를 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장치들은 공동의 구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들은 조합되어 형성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동 장치의 제동 해제는 모터 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동 장치로서는 실리콘 브레이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동 장치는 루프 브레이크(loop brake) 및/또는 래칫 기구(ratchet mechanism)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루프 브레이크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기능하는 브레이크를 의미한다. 이런 브레이크의 경우, 롤러 또는 보빈(bobbin)이 스트립 등에 의해 둘러싸인다. 대응하는 브레이크 장치는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그리고 보관 구획 부피를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벽부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평판 시트를 포함한다. 이런 평판 시트는 권취 샤프트 상에 권취 및 권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벽부는 예컨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벽을 포함하되, 일측의 측벽은 강성이고, 제2 측벽은 권취 샤프트 상에 권취되거나, 그 권취 샤프트로부터 권출될 수 있는 유연성 평판 시트로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권취 또는 권출에 의해, 보관 구획 부피가 변경됨과 동시에 지지면의 기울기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양쪽의 측벽들이 공동의 평판 시트로서 형성되며, 지지면은 평판 시트에 부동(floating)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벽부는 2개, 3개 또는 4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이 측벽들은 장방형 바닥면을 둘러싼다. 이와 관련하여 측벽들은 각각 권취 샤프트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에 따르면, 평판 시트는 비드부(beading)를 통해 권취 샤프트와 결합된다. 비드부를 이용한 결합은, 권취 샤프트에 유연성 평판 시트의 확실한 고정을 가능케 하며, 그리고 일 구현예에 따라 유연성 평판 시트 자체가 인출 제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평판 시트는 또한, 견고한 결합 방식으로, 특히 접착을 통해 권취 샤프트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의 장치는 상호 간에 각을 이루면서, 특히 직각으로 배치되고, 동기화된 적어도 2개의 권취 샤프트를 포함하며, 그리고 각각의 권취 샤프트에는 변형 가능한 평판 시트가 권취 및 권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권취 샤프트는 예컨대 상보성 베벨 기어들에 의해 동기화된다. 이와 관련하여 예컨대 권취 샤프트가 모터 액추에이터에 의해, 특히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운동은 동기화 수단, 특히 베벨 기어들을 통해 추가적인 권취 샤프트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서로 인접한 평판 시트들이 재폐쇄 및 재개방할 수 있는 폐쇄 부재를 통해, 특히 지퍼를 통해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런 폐쇄 부재는 평판 시트의 권출 시에 폐쇄된다.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 부재, 특히 지퍼의 개방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개선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용 지퍼를 위한 홀더가 유연성 소재, 특히 플라스틱 또는 와이어 스트랩에 의해 제조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권취 샤프트의 지름 변화는 그 권취 샤프트에 권취되거나 또는 권출되는 평판 시트로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벽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며, 그리고 벽부를 절첩하기 위한 기구는, 스트립, 로프 등과 같이 권취 샤프트에 장착되고 가닥(strand) 모양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벽부는 벨로우즈로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벽부의 높이는 가닥 모양 부재의 임의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가닥 모양 부재가 권취되면서 벽부는 접혀 포개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벽부는 서로 적층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경질 셸을 포함하며, 그리고 경질 셸의 상호 간 적층을 위한 기구는 스트립, 로프 등과 같이 권취 샤프트에 장착되고 가닥 모양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벽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벽부의 높이는 가닥 모양 부재의 임의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보관함의 프레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다음에서 이루어지는 설명으로부터 지시된다.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조 부재에 대해 도면에서는 일정한 부재 번호가 이용된다. 구조적인 상세 설명, 공간상 배치 및 처리 단계를 포함하여, 청구항, 실시예 설명 또는 도면으로부터 제시되는 모든 특징 및/또는 장점은 그 자체뿐 아니라 다양하게 조합되어 발명의 본질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의 부분으로서 설명되거나 도시되는 특징들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물품 적재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에 물품을 적재할때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수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보관함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해치백 또는 패스트백을 포함하는 차량(1)의 후단면을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자동차(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실내(10)는 뒷좌석 벤치 시트(12)에 의해 트렁크 또는 뒤쪽 적재실(11)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뒤쪽 적재실(11)을 덮기 위해, 적재실 덮개(13)가 제공된다. 이런 적재실 덮개는 도시한 실시예에서 스트립(14)을 통해 미도시한 적재실 리드(lid) 또는 테일게이트(tailgate)와 연결된다. 적재실 덮개(13)는 예컨대 경질 셸 적재실 덮개로서 구 성되며, 그리고 적재실 덮개(13)는 적재실(11) 내에 위치하는 물품에 대한 시각 커버(visual cover)로뿐만 아니라, 수하물 선반으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실 덮개(13)는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부분들(13a, 13b)을 포함한다. 도 1a 내지 도 1e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b와 도 1d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적재실 덮개(13)의 부분 중 차량 방향에서 더욱 뒤쪽에 위치하는 부분(13d)의 하부에 보관함(2)이 장착된다. 보관함(2)은 본질적으로 주변을 둘러싸는 벽부(20)와 지지면(21)을 포함하며, 그리고 보관함(2)의 벽부(20)는 변형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보관함(2)의 부피가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 1c에서 알 수 있듯이, 비사용 시에 보관함(2)이 무시해도 될 정도로만 적재실(11) 내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그 보관함(2)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에 반해 예컨대 소형 전기 기기, 문서철, 병 등과 같은 물품을 보관하는 경우, 벽부(30)가 신장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필요한 부피가 제공된다. 따라서 보관함(2)은 자체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 구획으로서 지칭된다.
도 1c 및 도 1d에서 알 수 있듯이, 도시한 실시예에서 적재실 덮개(13)는 뒷좌석 벤치 시트(12)의 높이에 배치되고, 차량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c 및 도 1d에 도시한 배치에서 보관함(2)은 자체 부피와 무관하게 적재실 덮개(13)와 함께 회동된다. 보관함(2) 내에 배치된 물품들은 각각의 크기에 따라 회동 시에도 안전하게 보관된다. 도 1c 및 도 1d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보관함(2)의 부피는 비사용 시에 벽부(20)의 변형에 의해 최소값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보관함(2)은 무시해도 될 정도로만 적재실(11) 내로 돌출된다.
적재실 덮개(13)와 함께 보관함(2)을 회전시키는 것을 대체하는 방법으로서,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2)은 적재실 덮개(13)와 함께 회동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적재실 덮개(13)를 들어올린 후에 보관함(2)에 수납 또는 인출을 위해 접근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보관함(2)은 화살표(L)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적재실(11) 내 보관함(2)의 배치는 적재실에 적재된 상태에 상응하게 최적화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실 덮개(13)의 부분 중 차량 방향에서 더욱 뒤쪽에 위치하는 부분(13b)은 개방 가능한 뚜껑을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는 노치백을 구비한 차량(101)을 도시하고 있다. 노치백에서 마찬가지로 보관함(2)은 적재실(11) 내부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보관함(2)은 실내(10)에서부터 접근할 수 있는 뒤쪽 수하물 선반 또는 수하물 선반(113)의 하부에 배치된다. 도 2b로부터 알 수 있듯이, 뒤쪽 수하물 선반(113)은 차량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보관함(2)은 실내(10)에서부터 접근할 수 있다. 회동 운동은 도 2b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대체되거나 또는 추가되는 방법으로서, 보관함(2)은 또한 차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보관함(2)은 수납 및/또는 인출을 위해 차량 후단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b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 다.
도 1a 내지 도 1e 및 도 2a, 도 2b의 두 실시예가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보관함은 롤러 블라인드 타입 또는 경질 셸 타입의 적재실 덮개, 수하물 선반 등을 구비한 임의의 차량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보관함(2)의 변형성으로 인해 항상 보관함의 부피가 소요에 부합하게 최적화되어 적응될 수 있다.
도 3a는 자체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함(2)을 포함하여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3)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보관함(2)은 레일(4)에 의해 앞서 설명한 도면에 도시한 차량(1, 101)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관함(2)은 앞서 설명한 도면에서와 같이 차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보관함(2)이 차량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의 장치(3)는 덮개(5)를 포함한다. 보관 구획 부피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조정 장치가 이런 덮개(5)에 의해서 덮이며, 이 조정 장치는 도 3a에서 볼 때 숨겨져 있다. 조정 장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덮개(5)에 버튼(60)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버튼의 기능에 대해서는 다음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b는 도 3a에 따르는 장치(3)를 도시하고 있지만, 레일(4) 및 덮개(5)가 제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보관함(2) 높이(H)를 변경시킬 수 있는 조정 장치(6)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도시한 장치(3)의 조정 장치(6)는 4개의 권취 샤프트(61)를 포함하지만, 도 3b에는 2개의 권취 샤프트(61a, 61b)만이 확인할 수 있다. 도시한 보관함(2)은 육면체 형태이며, 4개의 측벽(20a, 20b, 20c, 20d)을 포함하고, 이 측벽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모서리에서 서로 연결된다. 측벽들(20a, 20b, 20c, 20d)은 유연성 평판 시트로 형성된다. 평판 시트는 각각 대응하는 권취 샤프트(61a, 61b)에 권취 및 권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권취 샤프트(61a, 61b)의 지지는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프레임(7)을 통해 이루어진다. 권취 샤프트(61a, 61b)는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자체 선단부에서 베벨 기어들(62a, 62b)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그럼으로써 권취 샤프트들(61a, 61b)의 운동이 동기화된다. 각각의 권취 샤프트(61a, 61b)에 측벽들(20a, 20b, 20c, 20d)을 권취 또는 권출함으로써 벽부(20)의 높이(H)가 변경되고, 그에 따라 보관함(2)의 보관 구획 부피도 가변된다. 권취 샤프트(61a, 61b)가 바람직하게는 미도시한 권취 스프링(스프링 모터 또는 스프링 타입 액추에이터로서도 지칭됨)을 각각 포함하고, 측벽들(20a 내지 20d)은 권취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각각의 권취 샤프트(61a, 61b)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각각의 권취 샤프트(61a, 61b)로부터 측벽들(20a 내지 20d)이 권출되는 점은, 예컨대 힘의 인가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힘의 인가를 위해 예컨대 미도시한 물품이 보관함(2) 내에 수납될 수 있으며, 그리고 권취 샤프트(61a, 61b)로부터 측벽들(20a 내지 20d)이 권출되는 점은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그와 더불어 힘은 사용자에 의해 보관함(2)에서 확인할 수 없는 바닥부를 향해 권출 방향으로 밀착시키면서 수동으로 인가된다. 또한,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측벽들(20a 내지 20d)의 권출 및/또는 권취를 위한 전기식 및/또는 전자식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권취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보관함(2)을 원하는 크기로 고 정하기 위해, 인입 잠금 장치(63)가 제공된다. 도시한 인입 잠금 장치(63)는 래칫 기구로서 형성되며, 인입 잠금 장치에 의해 해당하는 권취 샤프트(61a, 61b)로 측벽들(20a 내지 20d)이 권취되는 것만이 억제되며, 권출되는 것은 억제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인입 잠금 장치(63)는 비대칭의 치면과 고정 포올(retaining pawl)(631)을 구비한 톱니 기어(630)를 포함한다. 고정 포올(631)은 버튼과 상호 작용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인입 잠금 장치(63)의 잠금 해제는 버튼(60)의 누름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시한 인입 잠금 장치(63)에 의해, 벽부(20)의 신장은 억제되지 않는다.
도시한 보관함(2)의 벽부(20) 높이(H)는 각각의 권취 샤프트(61a, 61b)에 대한 측벽들(20a 내지 20b)의 권취 또는 권출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한 보관함(2)의 벽부(20)는 둘러싸는 식으로 연속해서 순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관함은 폐쇄된 벽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보관함은 예컨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벽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측벽들 각각은 권취 샤프트에 권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권취 샤프트들의 동기화된 회전 운동에 의해 보관함의 지지면은 평행하게 변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권취 샤프트들이 바닥의 기울기 조정을 위해 서로 다르게 이동되고, 그리고/또는 보관함의 부피 변경을 위해 단지 하나의 권취 샤프트만이 이용되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도 4는 보빈(632)을 구비한 대체의 인입 잠금 장치 또는 로킹 장치(163)(locking device)를 도시하고 있다. 보빈은 권취 샤프트(61a)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그 권취 샤프트와 회전 불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루프 브레이크로서 형성되는 로킹 장치(163)는 스트립(633)을 포함하며, 이 스트립은 권취 샤프트(61a)와 체결된 보빈(632)의 회전 시에 이 보빈(632) 상에 권취될 수 있거나, 또는 그 보빈으로부터 권출된다. 스트립(633)은 프레임(7)에 접하는 보빈(632) 측면에 제공되는 고정 지점(633a, 633b)에 고정되며, 그리고 스트립(633)은 버튼(60)에 제공되는 편향 저널(160)을 통해 안내된다. 편향 저널(160)에 의해서는 스트립(633)이 인장되며, 그리고 마찰을 바탕으로 보빈(632)의 회전과, 그에 따라 권취 샤프트(61a)의 회전을 억제한다. 버튼(60)이 작동되면, 보빈(632)에서 스트립(633)의 마찰력은 감소하며, 그럼으로써 권취 샤프트(61a)는 예컨대 미도시한 권취 스프링의 힘을 바탕으로 롤러 블레이드 스트립 또는 측벽(20a)의 권취를 위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흔들림으로 인해, 예컨대 파형 지면, 도로의 상대적으로 큰 요철면, 높은 급가속, 제동 간섭 등으로 인해, 이용 시에, 다시 말해 보관함(2)에 물품을 운반할 시에, 힘은 권취 샤프트에 작용할 수 있다. 그에 따른 힘은 벽부(20)의 신장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고정 장치가 제공되며, 이런 고정 장치에 의해 최소한 권취 샤프트들(61a, 61b)의 회전 운동은 운반 시에 차단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운반 시 벽부(20)의 신장은 확실하게 억제된다.
도 5는 도 3b에 따른 장치(3)의 부분 V 중 도 3b에 따른 뒷벽(20b)을 상세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보다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5에는 여러 상세 내용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에 따라 예컨대 권취 샤프트들(61b, 61c)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7)은 도 5에 단지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 5에서는 권취 샤프트(61b)와 본질적으로 이 권취 샤프트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권취 샤프트(61c)를 더욱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권취 샤프트들(61b, 61c)의 회전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권취 샤프트들(61b, 61c)의 단부에는 각각 베벨 기어(62b, 62c)가 배치되며, 이 베벨 기어들(62b, 62c)은 권취 샤프트들(61b, 61c)의 운동 동기화를 위해 서로 치합된다.
권취 샤프트들(61b, 61c)의 회전 운동이 적어도 운반을 위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8)는 권취 샤프트(61c)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차단용 베벨 기어(80)를 포함한다. 이 베벨 기어는 샤프트(81)를 통해 본질적으로 회전 불가능하면서도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권취 샤프트(61c)의 베벨 기어(62c)와 연계된다. 베벨 기어(62c)와 차단용 베벨 기어(80) 사이에는 스프링(82)이 샤프트(81)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며, 그 스프링은 베벨 기어(62c)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차단용 베벨 기어(80)에 부하를 가한다. 다시 말하면, 차단용 베벨 기어(80)와 이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베벨 기어(62c)는 스프링(82)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샤프트(81)의 축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면, 차단용 베벨 기어(80)는 스프링(82)의 힘에 대항하여 베벨 기어(62c)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차단용 베벨 기어(80)의 톱니들은, 이 차단용 베벨 기어(80)와 동축의 베벨 기어(62c) 사이에 배치되는 베벨 기어(62b)의 톱니들과 맞물리게 된다. 차단용 베벨 기어(80)는 베벨 기어(62c)와 회전 불가능하게 체결되고, 그 두 베벨 기어는 베벨 기어(62b)와 맞물리기 때문에, 권취 샤프트들(61b, 61c)의 회전은 확실하게 중단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보관함(2)은 예컨대 삽입 방향(E)으로 변위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차단용 베벨 기어(80)는 차량 벽부(15) 쪽에서 정지된다. 따라서 삽입 방향(E)으로 추가로 변위되면, 벽부(15)에 의해 차단용 베벨 기어(80)는 베벨 기어(62c)의 방향으로 밀착되고, 그럼으로써 본원의 장치(3)에 제공되는 권취 샤프트들(61b, 61c)의 회전뿐 아니라, 도 5에는 미도시 된, 상기 샤프트들과 동기화되는 나머지 권취 샤프트들의 회전이 차단된다. 그리고 보관함(2)이 삽입 방향(E)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고정은 다시 해제된다. 이와 관련하여 스프링(82)은 차단용 베벨 기어(80)를 다시 베벨 기어(62c)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착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3)의 도 5에 따른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도 5에 따른 고정 장치에 상응하는 대체되는 고정 장치(108)가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동일한 구조 부재에 대해 일정한 부재 번호가 이용되며, 상기 구조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에 따른 고정 장치(8)와 다르게, 도 6에 따른 고정 장치(108)에서는, 차단용 베벨 기어(80)와 베벨 기어(62c) 사이에 감쇠 부재가 배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81)는 권취 샤프트(61c)의 베벨 기어(62c)와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차단용 베벨 기어(80)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샤프트(81)에 장착된다. 도 7은 도 6에 따른 평면 부분 VII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차단용 베벨 기어(80)와 샤프트(81)는 회전 전달을 위해 서로 치합된 정지부들에 의해 결합된다. 첨두 부하 완화를 위해, 다시 말해 높은 힘이 차 단용 베벨 기어(8)를 통해 본원의 장치로 전달되는 점을 억제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차단용 베벨 기어(80)와 샤프트(81) 사이에 고무 댐퍼(83)가 배치된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차단용 베벨 기어(80)와 베벨 기어(62c) 사이의 결합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데, 다시 말해 회전은 베벨 기어(62c)로부터 차단용 베벨 기어(80)로 전달되거나, 그 반대로만 전달된다.
도 8은 고정 장치(208)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203)의 추가적인 실시예와 관련하는 도 3b에 따른 부분 V를 상세도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도 도 5 및 도 6에 따른 구조 부재에 상응하는 구조 부재에 대해 일정한 부재 번호가 이용되며, 해당 구조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달리, 도 8에 따른 실시예에의 경우에는, 차량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권취 샤프트(61b)와 해당하는 베벨 기어(62c) 사이에 다공성 림(281)이 제공된다. 고정 장치(208)는 축(280)을 포함한다. 이 축은, 보관함(2)이 삽입 방향(E)으로 변위될 시에, 다공성 림의 구멍 내로 삽입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축(280)은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차량 벽부(15)에 장착된다. 보관함(2)의 변위 시에 축(280)이 다공성 림(281)의 구멍과 일치하지 못하면, 축은 차량 벽부(15) 방향으로 압입된다. 권취 샤프트(61b)와 그에 따라 이 권취 샤프트와 견고하게 체결된 다공성 림(281)이 흔들림으로 인해 회전하면, 축은 스프링(282)의 힘에 의해 다공성 림(281)의 구멍 중 가장 가깝거나 인접한 구멍에 삽입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권취 샤프트(61b)의 회전과, 그에 따라 이 권취 샤프트와 베벨 기어들(62b, 62c)에 의해 연결되는 권취 샤프트(61c)의 회전이 억제된다. 첨두 부하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해, 축(28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쇠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그 외에도 감쇠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축(280)을 차량 벽부(15)에 장착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원의 장치(203)는 자동차 내부로 변위될 수 없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런 경우 축(282)은 도 2a 및 도 2b에 따라 회동 가능한 수하물 선반(113)에 제공되며, 그리고 회동 시에 다공성 림(281) 내로 삽입 고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303)의 추가적인 실시예와 관련하는 도 3b에 따른 부분 V를 상세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동일한 구조 부재에 대해 일정한 부재 번호가 이용된다. 도 9에 따른 장치(303)는 고정 장치(308)를 포함하고, 이 고정 장치는 차단용 베벨 기어(380)를 포함하며, 그리고 이 차단용 베벨 기어는 톱니 기어(381)와 회전 불가능하면서도 동축으로 체결된다. 톱니 기어(381)는 제2 톱니 기어(382)와 치합되며, 그리고 그 두 톱니 기어(381, 382)는 프레임(7)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톱니 기어(382)는 회전 비대칭형 윤곽을 갖는 공동부(383)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관함(2)이 삽입 방향(E)으로 전진하면, 축(384)이 상기 공동부(383) 내로 삽입된다. 축은 차량 벽부(15)에 장착된다. 축은 고무 댐퍼(385)에 의해 본질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차량 벽부(15)에 장착되며, 그럼으로써 권취 샤프트(61c)의 회전 운동과 그에 따라 이 권취 샤프트와 연결된 권취 샤프트(61b)의 회전 운동이 축(384)의 삽입에 의해 억제된다. 고무 댐퍼(385)에 의해서는, 첨두 부하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첨두 부하 완충 을 위해 축(384)은 고무 댐퍼(385) 쪽으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축(384)은 연장 암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두 톱니 기어(381, 382)는 또한 스트립(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스트립(9)은 인출 제한 장치로서 작용한다. 톱니 기어들(381, 382)은 스트립을 통해, 도시한 예시에서는 플랫 스트립을 통해, 각각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트립(9)이 일측의 톱니 기어로부터 권출되고 타측의 톱니 기어로 권취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권취 샤프트(61c)로부터 롤러 블레이드 스트립의 권출은 권취 샤프트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권취 샤프트(61c)는 미도시한 베벨 기어와 회전 불가능하게 체결된다. 이 베벨 기어는 도 9에 마찬가지로 미도시한 권취 샤프트(61b)의 베벨 기어와 상호 작용한다. 권취 샤프트(61b)의 베벨 기어의 운동은 차단용 베벨 기어(380)로, 그에 따라 톱니 기어(381)로 전달되며, 그럼으로써 톱니 기어(381)는 권취 샤프트(61c)에 권취된 측벽 또는 롤러 블레이드 스트립의 권출을 위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톱니 기어(381)와 치합되어 연동하는 톱니 기어(382)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관련하여 스트립(9)은 톱니 기어(382)에 제공되는 홀더로부터 권출되고, 톱니 기어(381)에 제공되는 상응하는 수납부에 권취된다. 스트립(9) 전체가 톱니 기어(382)로부터 권출되면, 곧바로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톱니 기어들의 추가적인 운동은 차단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권출 방향으로, 다시 말해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권취 샤프트(61c)의 운동 역시 도 차단된다. 그러므로 스트립(9)의 길이는 톱니 기어의 지름 및/또는 스트립(9)에 대한 권취 반경과 함께 권취 샤프트(61c)의 최대 인출 운동을 결정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예컨대 권취 샤프트(61c)에 권취된 롤러 블레이드 스트립 또는 측벽의 인출 운동은, 권취 샤프트(61c) 상에 롤러 블레이드 스트립 또는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루프가 항상 존재하는 방식으로 제한된다. 이와 관련하여 롤러 블레이드 스트립 또는 측벽은 예컨대 접착 등에 의해 권취 샤프트(61c)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스트립(9)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감쇠 재료로 제조되며, 그럼으로써 권취 샤프트(61c)로부터 롤러 블레이드 스트립이 빠르게 권출될 시에도 정지부에서 힘이 감쇠될 수 있다. 만일 권취 샤프트(61c)가 예컨대 미도시한 권취 스프링 등의 힘에 의해, 롤러 블레이드 스트립 또는 측벽이 다시 권취 샤프트(61c)로 권취되는 방식으로 운동한다면, 플랫 스트립(9)은, 정지부가 롤러 블레이드 스트립 또는 측벽의 권취 시에도 감쇠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10은 추가적인 본 발명에 따른 장치(403)와 관련하는 도 3b에 따른 부분 V를 상세도로 도시하고 있다. 본원의 장치(403)는 차단용 베벨 기어(480)를 구비한 고정 및 인출 제한 장치(408)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용 베벨 기어는 권취 샤프트들(61b, 61c)의 미도시 된 베벨 기어들을 통해 상기 권취 샤프트들과 동기화되며, 그럼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샤프트(61c)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차단용 베벨 기어(48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차단용 베벨 기어(480)는 톱니 기어(481)와 동축으로, 그리고 회전 불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톱니 기어(481)는 이중 톱니 기어(482)의 상대적으로 큰 링기어와 맞물린다. 이중 톱니 기어(482)의 상대적으로 작은 링기어는 제3 톱니 기어(483)와 맞물린다. 따라서 톱니 기어(483)가 차단용 베벨 기어(480)와 체결된 제1 톱니 기어(48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2배의 기어비를 바탕으로 제3 톱니 기어(483)의 회전 속도는 제1 톱니 기어(481)의 회전 속도보다 분명히 더욱 낮다. 제3 톱니 기어(483)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 부재(484)를 포함한다. 이 레버 부재는 톱니 기어(483)의 회전 시에, 프레임(7)과 결합된 정지부(485)에서 정지되며, 그럼으로써 제3 톱니 기어(483)의 회전 운동은 제한된다. 이런 회전 제한은 톱니 기어들(483, 482, 481)을 통해 차단용 베벨 기어(48)로, 그에 따라 권취 샤프트들(61b, 61c)에 작용한다. 정지부(485)에 도달할 시에 높은 힘을 방지하기 위해, 정지부(485)는 스프링(486)에 의해 프레임(7)과 연결된다. 그에 따라 스프링(486)을 통해 정지부에 도달할 시에 힘은 차단된다.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의 반대 회전 운동은 이중 톱니 기어(482) 중 상대적으로 작은 톱니 기어와 레버(484)가 충돌함으로써 제한된다. 이와 관련하여 소정의 구현예에 따라 레버(448)에는 고무,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감쇠 층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권취 샤프트들(61b, 61c)로부터 이루어지는 측벽들의 최대 권출 길이는, 톱니 기어(482)와 정지부(484)의 접촉이 개시되지 않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톱니 기어(483)가 회전 비대칭형 공동부(487)를 포함하며, 이 공동부 내로 예컨대 도 9에 따른 축이 운반 고정을 위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인출 제한 장치와 독립된 수단을 통해 운반 고정부를 구성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 다.
도 11은 인출 제한 장치(509)를 구비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본원의 장치(503)와 관련하는 도 3b에 따른 부분 V를 상세도로 도시하고 있다. 인출 제한 장치(509)는 차단용 베벨 기어(590)를 포함하고, 이 차단용 베벨 기어는 권취 샤프트(61b)의 미도시한 상보성 베벨 기어와 치합된다. 차단용 베벨 기어(590)는 몰타 십자 기어 장치(Maltese cross gear)의 디스크(591)와 회전 불가능하게 체결되거나, 또는 그 디스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몰타 십자 기어 장치는 디스크(591) 이외에도 4개의 슬롯(593)을 구비한 몰타 십자형 구조 부재(592)를 포함한다. 디스크(591) 상에는 저널(594)이 배치되고, 이 저널은 디스크(591)의 회전 시에 몰타 십자형 구조 부재(592)의 슬롯(593) 내에 삽입되며, 그리고 상기 몰타 십자형 구조 부재는, 저널(594)이 다시 상기 슬롯(593)으로부터 유출될 때까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디스크의 연속적인 회전 운동은 몰타 십자형 구조 부재(592)의 간헐적인 회전 운동으로 전달된다. 또한, 도시한 몰타 십자형 구조 부재(592)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지부(595)가 제공된다. 이 정지부(595)를 통해 디스크(591)의 회전 운동은 접촉 시에 차단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디스크(591)와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단용 베벨 기어(590)는 권취 샤프트들(61b, 61c)의 회전 운동을 차단하며, 그럼으로써 권취 샤프트들(61b, 61c)로부터 이루어지는 측벽 또는 롤러 블레이드 스트립의 권출, 및/또는 권취 샤프트들(61b, 61c)로 이루어지는 상기 측벽 또는 롤러 블레이드 스트립의 권취가 제한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한 인출 제한 장치(509)는 운반 고정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함께 형성된 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예컨대 디스크(591)에 제공되어, 대응하는 축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회전 비대칭형 공동부를 통해, 운반 고정 장치와 인출 제한 장치(509)를 조합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본원의 장치(603)의 권취 샤프트(661)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권취 샤프트(661)는 프레임(7)에 장착된다. 권취 샤프트(661) 상에는 유연성 평판 시트로서 형성되는 측벽(20a)이 권취 및 권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권취 샤프트(661)는, 측벽(20a)이 도시한 바와 같이 비드부(609)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Ω 튜브로서 형성된다. 권취 샤프트(661)의 구동을 위해, 이 권취 샤프트는 베벨 기어(62a)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도시한 측벽(20a)은 테두리에 지퍼의 크램프(200a)(cramp)를 포함한다. 상기 지퍼는 다음에서 도 13 및 도 14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만일 보관함이 예컨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측벽(20a 내지 20d)을 포함한다면,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각각의 권취 샤프트들(61a, 61b)로부터 권출될 시에 측벽들(20a 내지 20d)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폐쇄 장치, 예컨대 지퍼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런 결합은, 보관 구획 부피를 축소할 시에 측벽들(20a 내지 20d)이 서로 무관하게 각각의 권취 샤프트(61a, 61b, 61c, 61d)로 권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퍼가 바람직한 폐쇄 장치로서 확인되었다.
도 13은 도 3b의 부분 XIII를 상세하게 확대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서는, 지퍼(200)의 크램프(200a, 200b)를 포함하는 측벽(20c, 20d)만을 확인할 수 있 다. 상기 크램프들은 슬라이더(22)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거나,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보관함(2)의 바닥 영역에는 스토퍼(23)가 장착된다. 스토퍼(23)는 예컨대 직물로 구성되며, 그리고 스토퍼(23)의 장착을 위해 보관함(2)의 모서리는 직물 스트립으로 봉제된다. 슬라이더(22)는 스토퍼(23)에 부딪히며, 그럼으로써 지퍼의 추가적인 개방과 크램프들(200a, 200b)의 상호 간 분리 이동은 억제된다.
도 14는 보관함(2)의 도 3b에서 부분 XIV를 상세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4는 해당하는 권취 샤프트(61c, 61d)에 권취 및 권출 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측벽(20c, 20d)을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측벽들(20c, 20d)은 자체 테두리에, 슬라이더(22)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크램프(200a, 200b)를 각각 포함한다. 슬라이더(22)는 슬라이더 홀더 또는 지퍼 홀더(220)에 의해 프레임(7)과 연결된다. 권취된 측벽들(20c, 20d)을 포함하여 권취 샤프트들(61c, 61d)의 지름이 측벽(20c 또는 20d)의 권취 시에 확대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시한 지퍼 홀더(220)는 유연성 소재로, 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와이어 스트랩으로 제조된다. 대체되거나 또는 추가되는 방법에 따라, 프레임(7)에 지퍼 홀더(220)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로부터 알 수 있듯이, 권취 샤프트들(61c, 61d)은 해당하는 베벨 기어들(61c, 62d)에 의해 서로 동기화된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한 보관함(2)의 벽부(20)는 유연성 평판 시트로, 예컨대 타월, 플라스틱 필름, 네트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4개의 측벽과 본질적으로 정방형인 바닥면을 구비한 보관함(2)용 유연성 평판 시트의 다양한 반가공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에 따른 것 일 뿐이다. 특히 바닥면에 따라, 또 다른 반가공 시트가 바람직할 수도 있다.
도 15a 내지 도 15e에는 반가공 시트가 Z1 내지 Z5로 표시되어 있다. 보관함은 또한 반가공 시트(Z1 내지 Z5)와 연결될 수 있는 바닥 보강부(24) 또는 바닥 셸(25)을 포함한다. 개별 반가공 시트는 절첩선 및/또는 봉제선 구간(26)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특히 서로 용접되거나, 접착되고, 그리고/또는 봉제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예컨대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드(27)를 통해 반가공 시트들을 바닥 셸(25)과 결합시키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바닥 보강부(24)는 도 15a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반가공 시트들(Z1 및 Z2) 사이에 매립된다. 그와 반대로 도 15b, 도 15d 및 도 15e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바닥 보강부(24)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본원의 장치(703)의 보관함(702)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보관함(702)은 아코디언 모양으로 절첩 가능한 벽부(720)를 포함하며, 이 벽부는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본질적으로 장방형인 평면을 가지며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원의 장치(703)는 또한 2개의 권취 샤프트(61)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권취 샤프트들 중 도 16에는 하나만을 확인할 수 있다. 보관함(702) 중 보이지 않는 바닥면에는 스트립들(764)이 고정되고, 이 스트립들은 벽부(720)를 통과하여 4개의 모서리 내로 안내되어 있다. 스트립들(764)은 가이드 요크(765)를 통해 권취 샤프트(61)의 보빈(766)에 권취되고 그 보빈으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4개의 모서리에 제공되는 4개의 스트립(764)은 동기화되어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보관함(702)에서 보이지 않는 바닥은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변위된다. 권취 샤프트(61)의 동기화는 예컨대 미도시한 벨트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그 외에도 스트립들(764)을 각각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미도시한 바닥의 기울기 조정을 달성하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마찰 커플링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스트립들(764)은 서로 무관하게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다.
권취 샤프트(61)는 바람직하게는 미도시한 권취 스프링을 포함하며, 그리고 스트립들(764)은 보관함(702)의 부피를 확대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권취 샤프트(762)로부터 권출된다. 톱니 기어(630) 및 고정 포올(631)을 구비한 로킹 기구(63)를 통해, 보관함(701)의 보관 구획 부피 축소를 위한 권취 샤프트(61)의 회전 운동과 그에 따라 스트립들(764)의 권취는 차단될 수 있다. 고정 포올(631)은 이미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60)에 의해 고정 해제될 수 있다.
도 17은 보관함(802)을 구비한 본원의 장치(803)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보관함(802)은 신축식 벽부(820)를 포함한다. 벽부(820)는 다판 경질 셸(820a 내지 820d)(multi-disk hard shell)을 포함하며, 도시한 예시에서는 4개의 다판 경질 셸(820a 내지 820d)이 제공되어 있다. 다판 경질 셸(820a 내지 820d)은 보관 구획 부피를 축소할 수 있도록 상호 간에 적층될 수 있다. 최하부의 다판 경질 셸(820d)은 바닥부(821)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시한 다판 경질 셸(820a 내지 820d)은 각각 본질적으로 장방형인 바닥면을 갖는다. 그러나 또 다른 구성, 예 컨대 원형의 바닥면을 구비한 구성도 생각해볼 수 있다. 최하부의 다판 경질 셸(820d)에는 4개의 모서리에 스트립(864)이 고정된다. 이 스트립들은 권취 샤프트(61)로 권취되거나, 또는 그 권취 샤프트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조정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권취 샤프트(61)를 포함하지만, 도에는 하나의 권취 샤프트(61)만이 도시되어 있다. 권취 샤프트들(61)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동기화된다. 동기화는 예컨대 로드 또는 중앙 스트립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벽부(820)의 높이(H)는 스트립(864)의 임의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도시된 상태의 경우 벽부(820)는 최대 높이(H)를 갖는다. 권취 샤프트(61) 상에 스트립(864)을 권취함으로써, 스트립들(864)의 임의의 길이는 짧아지고, 최하부 다판 경질 셸(820d)은 권취 샤프트(61)의 방향으로 변위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높이(H)도 낮아진다. 경질 셸(820d)에 제공되고 외부 방향으로 향해 있는 돌출부(822d)가 경질 셸(820c)에 그에 상응하게 제공되고 내부 방향으로 향해 있는 돌출부(823c)에 접촉하게 되면, 곧바로 그 대응하는 운동은 계속해서 상기 경질 셸(820c)로 전달된다.
도 16 및 도 17에 따른 스트립들(864 및/또는 764)은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미늘발(jalousie) 원리에 따라, 다시 말해 롤러 브레이크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원리의 경우, 개별 스트립들(764 또는 864)을 서로 무관하게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바닥부를 불균형하게 하고, 물품이 임의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본질적으로 기계식인 도시한 조정 장치는 예컨대 권취 샤프트의 운동, 보관함의 축소, 과부하의 표시 등을 위해 전자식 구조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권취 샤프트는 프레임(7)에 의해 장착되며, 그리고 또한 프레임(7)은 자동차에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권취 샤프트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체적으로 자동차에 대한 결합을 위한 프레임을 형성한다.
도 1a는 보관함을 이용하여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차량 후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보관함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상태로 있는 도 1a에 따른 차량 후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c는 적재실 덮개가 들어 올려져 있으면서 보관함이 이용되지 않는 상태로 있는, 도 1a에 따른 차량 후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d는 적재실 덮개가 들어 올려져 있으면서 보관함이 이용되는 상태로 있는, 도 1a에 따른 차량 후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e는 적재실 덮개가 들어 올려져 있으면서 본원의 장치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상태로 있는, 도 1a에 따른 차량 후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보관함을 이용하여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제2 차량 후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보관함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상태로 있는, 도 2a에 따른 차량 후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조정 장치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있는, 도 3a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조정 장치의 인입 잠금 장치(drawing-in lock)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도 3b의 부분 V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도 3b의 부분 V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 부분 VII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도 3b의 부분 V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도 3b의 부분 V를 도시한 상 세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도 3b의 부분 V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도 3b의 부분 V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본원의 장치의 권취 샤프트에 제공되는 유연성 평판 시트의 결합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3b에 따른 장치의 부분 XIII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4는 도 3b에 따른 장치의 부분 XIV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보관함의 벽부의 반가공 시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벨로우즈를 이용한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본원의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7은 신축식 벽부를 이용한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본원의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Claims (26)

  1. 자동차의 적재실(11)에 장착될 수 있는 보관함(2, 702, 802)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적재실(11) 내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보관함(2, 702, 802)은 지지면(21, 821)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또는 비탄성 변형될 수 있는 벽부(20)를 포함하고,
    보관 구획 부피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벽부(20)의 높이가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61, 61a, 61b, 61c, 61d)를 포함하는 조정 장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조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식 고정 장치(8, 108, 208, 308, 408)를 포함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61, 61a, 61b, 61c, 61d)의 회전 운동은 운반을 위해 상기 탈착식 고정 장치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운반시에 최소한 벽부(20)의 신장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108, 308, 408)는 첨두 부하 완충(Lastspitzenabfedrung)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감쇠 부재(83, 385, 4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용 베벨 기어(80, 380, 480)를 포함하고, 이 차단용 베벨 기어는 상기 권취 샤프트(61b)의 회전 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 샤프트(61b)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보성 베벨 기어(62b) 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용 베벨 기어(80)는, 제2 권취 샤프트(61c)와 회전 불가능하게 체결되는 베벨 기어(62c)를 마주보면서 본질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제2 권취 샤프트(61c)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부재(83)는 상기 차단용 베벨 기어(80)와 제2 권취 샤프트(61c)의 베벨 기어(62c)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208)는 차량 측에 본질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축(280)을 포함하고, 이 축은 상기 권취 샤프트(61b)의 회전 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 샤프트(61b)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는 다공성 림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308, 40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 비대칭형인 외부 윤곽을 구비하여 차량 측에 본질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축(384)을 포함하고, 이 축은 상기 권취 샤프트(61c)의 회전 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 샤프트(61c)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보성 공동부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부재(385)는 상기 축(384)의 차량 측 베어링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2, 702, 802)은 차량 내에서 본질적으로 차량 바닥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 따라, 변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보관함이 보관 위치로 변위되면, 상기 권취 샤프트들(61, 61a, 61b, 61c, 61d)은 차량 측의 고정 장치(8, 108, 208, 308, 408)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는 인출 제한 장치(9, 408, 509)를 포함하며, 그리고 이 인출 제한 장치에 의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61, 61a, 61b, 61c, 61d)의 최대 인출 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11. 자동차의 적재실(11) 내에 장착될 수 있는 보관함(2, 702, 802)을 이용하여 자동차(1, 101)의 적재실(11) 내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보관함(2, 702, 802)은 지지면(21, 821)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또는 비탄성 변형될 수 있는 벽부(20)를 포함하고,
    보관 구획 부피의 변경을 위해, 상기 벽부(20)의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61, 61a, 61b, 61c, 61d)를 포함하는 조정 장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조정 장치는 인출 제한 장치(9, 408, 509)를 포함하고, 이 인출 제한 장치에 의해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61, 61a, 61b, 61c, 61d)의 최대 인출 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제한 장치는 로프, 스트립, 또는 플랫 스트립과 같이 길이가 긴 부재(9)에 의해 서로 연동되는 적어도 2개의 톱니 기어(381, 382)를 포함하며, 그리고 최대 인출 운동은 길이가 긴 부재(9)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제한 장치(408)는 적어도 2개의 톱니 기어(481, 482, 483)를 구비한 기어 장치를 포함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톱니 기어(483)의 회전 각도는 정지부(485)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제한 장치(509)는 저널(594)을 구비한 몰타 십자형 기어 장치((Maltese cross gear, 591, 5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61, 61a, 61b, 61c, 61d)는 권취 스프링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벽부(20)의 신장은 상기 권취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제동 장치(63, 163)가 제공되되, 이 제동 장치는 상기 권취 샤프트(61, 61a, 61b, 61c, 61d)의 회전 운동을 제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권취 스프링의 힘에 반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루프 브레이크 또는 래칫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20)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평판 시트(20a, 20b, 20c, 20d)를 포함하며, 그리고 이 평판 시트는 상기 권취 샤프트(61, 61a, 61b, 61c, 61d)에 권취 및 권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시트는 비드부(609)를 통해 상기 권취 샤프 트(61a)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적재 장치는 서로 각도를 이루고 동기화되는 적어도 2개의 권취 샤프트(61b, 61c)를 포함하며, 그리고 각각의 권취 샤프트에는 변형 가능한 평판 시트(20b, 20c)가 권취 및 권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평판 시트들(20a, 20b, 20c, 20d)은 재폐쇄 및 재개방할 수 있는 지퍼(20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지퍼(200)는 평판 시트의 권출 시에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200)의 개방 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2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를 위한 홀더는 유연성 소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벽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며, 그리고 벽부를 절첩하기 위한 기구는, 스트립(764) 또는 로프와 같이 권취 샤프트(61)에 장착되고 가닥(strand) 모양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2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벽부는 서로 적층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경질 셸(820a, 820b, 820c, 820d)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경질 셸들(820a, 820b, 820c, 820d)의 상호 간 적층을 위한 기구는 스트립(864) 또는 로프와 같이 상기 권취 샤프트(61)에 장착되고 가닥 모양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2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2, 702, 802)의 프레임(7)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권취 샤프트(6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적재 장치.
KR20080090425A 2007-09-13 2008-09-12 차량의 물품 적재 장치 KR101493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45037.2 2007-09-13
DE102007045037A DE102007045037A1 (de) 2007-09-13 2007-09-13 Vorrichtung zum Verstauen von Gegenständen in einem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472A KR20090028472A (ko) 2009-03-18
KR101493516B1 true KR101493516B1 (ko) 2015-02-13

Family

ID=3904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0425A KR101493516B1 (ko) 2007-09-13 2008-09-12 차량의 물품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62602B2 (ko)
EP (2) EP2384937B1 (ko)
JP (1) JP2009067381A (ko)
KR (1) KR101493516B1 (ko)
DE (2) DE202007016318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1177B2 (en) * 2007-08-14 2011-04-26 Bos Gmbh & Co. Kg Storage container for use in a boot
DE102007058255B3 (de) * 2007-11-26 2009-07-02 Bos Gmbh & Co. Kg Staufach mit Tragrahmen und Aufnahmevorrichtung für einen Tragrahmen
DE102009014195A1 (de) * 2009-03-20 2010-09-23 Daimler Ag Heckablagenmodul
DE102010046635B4 (de) * 2010-09-20 2014-11-13 Bos Gmbh & Co. Kg Kraftfahrzeug mit einem Fahrgastraum und einem heckseitigen Laderaum sowie Staubehältnis hierfür
DE102010043475B4 (de) * 2010-09-20 2015-02-12 Bos Gmbh & Co. Kg Transportbehälter
DE102010050452B4 (de) * 2010-10-26 2012-10-18 Bos Gmbh & Co. Kg Laderaum für ein Kraftfahrzeug und Staubehältnis
KR101163941B1 (ko) 2010-12-13 2012-07-06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의 폴딩 및 확장 가능한 수납 트레이 어셈블리
US8763871B2 (en) 2011-06-29 2014-07-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rage system for passenger vehicle
EP2698281B1 (en) * 2012-08-17 2015-06-24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Vehicle equipped with a luggage compartment having a height-adjustable loading floor
EP2698282B1 (en) * 2012-08-17 2015-10-07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Vehicle equipped with a luggage compartment having a height-adjustable loading floor
CZ2013469A3 (cs) 2013-06-18 2015-02-11 Ĺ koda Auto a. s. Posuvný odkládací box v zavazadlovém prostoru
DE102013017105A1 (de) * 2013-10-15 2015-04-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mit Ablagevorrichtung unterhalb Hutablage
CN104290667B (zh) * 2014-09-16 2016-05-04 浙江威世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后备箱用卷轴式绑带
EP3009303B1 (en) * 2014-10-17 2019-02-06 Volvo Car Corporation Removable luggage box for storage in a luggage or trunk space of a motor vehicle, and especially of a hatchback or station wagon automobile
US9701251B2 (en) * 2015-01-15 2017-07-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argo area package tray storage system
US9440590B1 (en) * 2015-04-09 2016-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rgo shade storage pocket with hidden storage
US9527451B2 (en) 2015-05-08 2016-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tractable cargo cover with integral storage compartment
US10202081B2 (en) 2015-09-30 2019-0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ckage tray assembly including hidden expandable storage system
US10029618B2 (en) * 2016-04-08 2018-07-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vable and expandable storage unit for a motor vehicle
US10773651B2 (en) * 2017-07-05 2020-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vertible thermal container for a vehicle storage area
US11084428B2 (en) 2017-10-30 2021-08-10 Pro-Gard Products, Llc Cargo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DE102019004773B4 (de) * 2019-07-08 2022-09-08 Mercedes-Benz Group AG Kraftfahrzeug mit einer Heckklappe
FR3098473B1 (fr) * 2019-07-08 2021-09-17 Renault Sas Ensemble de rangement de barres de toit d’un véhicule automobile
CN110588519A (zh) * 2019-08-14 2019-12-20 牡丹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巡逻车装备架
CN110562142A (zh) * 2019-10-10 2019-12-13 闫连民 一种汽车智能电子后视镜
US11772448B2 (en) * 2019-11-21 2023-10-03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Vehicle system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ompartments for storing hems
US11458903B2 (en) 2020-11-18 2022-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orage assembly
KR102596283B1 (ko) * 2021-10-27 2023-10-3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커버링 쉘프
DE102022001649B3 (de) * 2022-05-10 2023-06-29 Mercedes-Benz Group AG Aufbewahrungs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wagens
US11970137B2 (en) * 2022-09-06 2024-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with a deployable shel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827A (ja) 1999-03-29 2000-10-10 Kasai Kogyo Co Ltd トランクルーム構造
DE10117837A1 (de) 2000-07-05 2002-01-24 Bos Gmbh Laderaumabdeck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2674A (en) * 1983-03-18 1985-03-05 Irvin Industries, Inc. Automobile compartment cover with drop panel
JPS60222339A (ja) * 1984-04-17 1985-11-06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トノボ−ド
US5207260A (en) * 1991-11-29 1993-05-04 Commesso Domenic V Adjustable restrain system for articles
DE19643691C2 (de) * 1996-10-23 2000-03-23 Baumeister & Ostler Gmbh Co Sicherheitsnetzanordnung
DE59709928D1 (de) * 1996-12-06 2003-05-28 Bos Gmbh Sicherheitsnetzanordnung mit vereinfachter bedienung
DE29819293U1 (de) * 1997-11-10 1999-02-18 Peter Butz Gmbh & Co Verwaltungs-Kg, 40764 Langenfeld Sicherheitseinrichtung für Fahrzeuge, insbesondere Laderaum-Trennvorrichtung für Kraftwagen, wie z.B. für Kombinations-Personenkraftwagen o.dgl.
JP2001315581A (ja) * 2000-05-09 2001-11-13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荷物保持装置
DE10028735B4 (de) * 2000-06-09 2007-09-06 Daimlerchrysler Ag Rahmen für insbesondere ein temporäres Einsetzen in einen offen in den Fahrgastraum eines Fahrzeuges übergehenden Kofferraum
DE10044958C2 (de) * 2000-09-12 2003-04-10 Bos Gmbh Schutzvorrichtung zur Sicherung eines Laderaumes in einem Fahrzeuginnenraum
DE10056671C1 (de) * 2000-11-09 2002-06-06 Bos Gmbh Tren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332983B4 (de) * 2003-07-21 2017-06-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Verstauen von Gegenständen in einem Kofferraum eines Kraftfahrzeugs
DE10348890A1 (de) * 2003-10-15 2005-05-19 Bos Gmbh & Co. Kg Laderaumfunktionseinrichtung
US7121601B2 (en) * 2004-07-28 2006-10-17 Lear Corporation Integrated expandable cargo system for vehicles
FR2876641B1 (fr) * 2004-10-20 2007-03-23 Faurecia Automotive Ind Snc Ensemble de tablette de coffr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correspondant.
EP1717104A1 (en) * 2005-04-28 2006-11-02 Grupo Antolin Ingenieria, S.A. Package tray for vehicles
US7318617B1 (en) * 2005-08-31 2008-01-15 Mcmurray Fabrics, Inc. Portable cargo container and cover system
DE102005051732A1 (de) * 2005-10-28 2007-05-03 Volkswagen Ag Staufachanordnung
DE102006001029B3 (de) * 2006-01-02 2007-05-31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6006665A1 (de) * 2006-02-14 2007-08-16 Volkswagen Ag Multifunktionales Ladegutbehältnis mit Tischfunktion für ein Fahrzeug
DE102006013974A1 (de) 2006-03-15 2007-09-20 Bos Gmbh & Co. Kg Staubehältnis für den Einsatz in einem Laderaum
JP4802921B2 (ja) * 2006-08-02 2011-10-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小物収納部形成構造
US7806453B2 (en) * 2008-01-02 2010-10-05 Honda Motor Co., Ltd. Stowable cover with storage feature for vehicle cargo area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827A (ja) 1999-03-29 2000-10-10 Kasai Kogyo Co Ltd トランクルーム構造
DE10117837A1 (de) 2000-07-05 2002-01-24 Bos Gmbh Laderaumabdeck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36772B1 (de) 2014-01-15
EP2384937A1 (de) 2011-11-09
KR20090028472A (ko) 2009-03-18
US7762602B2 (en) 2010-07-27
JP2009067381A (ja) 2009-04-02
DE102007045037A1 (de) 2009-04-02
EP2036772A1 (de) 2009-03-18
US20090072567A1 (en) 2009-03-19
DE202007016318U1 (de) 2008-02-07
EP2384937B1 (de)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516B1 (ko) 차량의 물품 적재 장치
JP2009067381A5 (ko)
EP0859708B1 (en) Load retention net
US7028872B2 (en) Storage device for a cargo space for a motor vehicle
US7934761B2 (en) Storage compartment with a supporting frame, and receiving device for a supporting frame
RU2559190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держания аксессуара со средствам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и узел,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JP3377237B2 (ja) ガイドトラックを有する自動車用安全シェード
GB2423065A (en) Vehicle rear storage system
EP1532037A2 (en) Vehicle cargo panel having retractable belt
KR20200121397A (ko) 차량용 러기지박스 장치
US10486603B2 (en) Luggage compartment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EP1153791A2 (en) Winding device
JP3667467B2 (ja) 車両用巻取式荷崩れ防止装置
JP2009045960A (ja) トランクルーム内で使用するための一時保管容器
EP1843919A1 (en) Storage device for use in a vehicle
JP3191624B2 (ja) 荷室カバー装置
CA3067404C (en) A tonneau with integrated toolbox
JPH05319176A (ja) ガードネット併用トノカバー装置
JPH1044871A (ja) トノーカバー内蔵パーセルシェルフ装置
JP2581059Y2 (ja) 自動車のカップホルダ
JP2008080842A (ja) 車両のブラインド装置
JPH10250483A (ja) トノカバー装置
JP2013010437A (ja) 自動車における遮蔽構造
KR20070056374A (ko) 화물 적재실의 덮개용 카고 스크린장치
KR100569344B1 (ko) 자동차 리어시트백의 다용도 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