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643B1 -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643B1
KR101490643B1 KR1020137009007A KR20137009007A KR101490643B1 KR 101490643 B1 KR101490643 B1 KR 101490643B1 KR 1020137009007 A KR1020137009007 A KR 1020137009007A KR 20137009007 A KR20137009007 A KR 20137009007A KR 101490643 B1 KR101490643 B1 KR 10149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late glass
infeed
cut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322A (ko
Inventor
무츠히로 나카자와
타카노리 키리토시
케이지 츠지타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6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5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for scoring or breaking, e.g. tiles
    • B28D1/22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for scoring or breaking, e.g. tiles with plural scoring t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65G49/065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supported partially or completely on fluid cushions, e.g. a gas cush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절입 절단 장치(100)는 절입 이동 프레임(21)이 절입 정반(40)의 하류측에서 상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종단 커터(22)가 절입 정반(40) 위의 판유리(90)를 종단하여 그 판유리(90)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입선(91, 92)을 형성하고, 그 후, 절입 이동 프레임(21)이 하류방향을 향해 돌아올 때에, 판유리(90)를 절입 유지부(24)에 의해 유지하여 절입 정반(40)에서 절단대(70)까지 판유리(90)를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PLATE GLASS SCORING AND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판유리의 소정 개소에 절입선을 형성하고, 그 절입선을 따라 그 판유리를 절단하는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는, 판유리에 절입선을 형성하는 절입 유닛과, 형성된 절입선을 따라 판유리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과, 절입 유닛에서 절단 유닛으로 판유리를 반송하는 반송 유닛을 구비한다. 그 중, 반송 유닛으로는 벨트 컨베이어식이나 워킹 빔(walking beam)식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지만, 절입 유닛에서 절단 유닛으로의 반송 중에 판유리에 위치 차이가 생기지 않게 하고, 판유리에 흠이 생기지 않게 하여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흡착패드식의 반송 유닛(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이 유효하다.
흡착패드식의 반송 유닛은 절입 유닛의 작업장에 있는 판유리를 흡착패드로 유지한 후, 그 판유리를 들어올려 반송 레일을 따라 절단 유닛까지 이동하고, 절단 유닛의 작업장에 그 판유리를 내려놓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착패드식의 반송 장치는 흡착패드가 판유리를 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반송 속도가 비교적 큰 경우에도 판유리가 미끄러지는 경우가 없고, 위치 차이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일본 특허공개 특개 2005-231915호 공보
흡착패드식의 반송 유닛은 상술한 이점은 있지만, 절입 유닛으로부터 절단 유닛의 상방으로 반송 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있어, 절입 유닛에 판유리를 반입할 때에, 반송 레일이 장애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더욱이, 절입 유닛과 반송 유닛이 간섭하지 않도록, 또한 절단 유닛과 반송 유닛이 간섭하지 않도록, 본래의 절입 절단 작업과는 관계없는 부차적인 동작이 필요한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절입 작업에서 절단 작업까지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태와 관련된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는, 판유리에 절입선을 형성하는 절입 유닛과 상기 절입선을 형성할 때에, 상기 판유리를 적치하기 위한 절입 정반과, 상기 절입선을 따라 상기 판유리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과, 상기 절입 정반보다 하류측에 위치하고, 절단시 상기 판유리를 적치하기 위한 절단대를 구비하고, 상기 절입 유닛은 상기 절입 정반과 상기 절단대의 사이를 이동하는 절입 이동 프레임과,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에 설치된 종단 커터와,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판유리를 유지하는 절입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이 상기 절입 정반의 하류측에서 상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종단 커터가 상기 절입 정반 위의 판유리를 종단하여 그 판유리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절입선을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이 하류방향을 향해 돌아올 때에, 상기 판유리를 상기 절입 유지부에 의해 유지하여 상기 절입 정반에서 상기 절단대까지 상기 판유리를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절입 유닛이 하류방향을 향해 절입선을 형성하기 전의 위치로 돌아올 때에, 절입 정반에서 절단대까지 판유리를 반송할 수 있으므로, 절입 유닛은 절입선을 형성하기 전의 위치로 돌아올 때에도 실질적인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종래 실질적인 작업을 수행하지 않은 절입 유닛의 소정 위치로 돌아온다는 동작을 실질적인 작업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판유리를 유지하는 구성요소(절입 유지부)가 절입 유닛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절입 유닛 상방의 공간에 반송 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과 관련된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에 따르면, 절입 작업에서 절단 작업까지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의 평면도이며, 절입 유닛이 절입 유닛 대기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절입 절단 장치의 평면도이며, 우절입선 및 좌절입선의 형성 후의 절입 유닛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의 평면도이며, 절입 유닛이 판유리를 제1 절단대까지 반송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의 평면도이며, 절단 유닛이 전(前) 절단 작업 후에 상류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의 평면도이며, 절단 유닛이 판유리를 제2 절단대까지 반송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 (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100)는 반입된 직사각형의 판유리(90) 주위를 절단(트리밍)하여 소정의 크기로 형성한 후, 하류측의 장치로 반출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100)는 받침대(10), 절입 유닛(20), 절입 정반(定盤)(40), 절단 유닛(50)과 절단대(7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아울러, 하기에 있어서「후(뒤)(後)」일 때에는 상류측을,「전(앞)(前)」일 때에는 하류측을,「우측」일 때에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볼때 우측을,「좌측」일 때에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볼때 좌측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종방향」일 때에는 전후방향을,「횡방향」일 때에는 좌우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도 1에서는 지면(紙面)의 좌측 아래가 상류측이며, 지면(紙面)의 우측 위쪽이 하류측이다.
<받침대>
받침대(10)는 절입 유닛(20), 절입 정반(40), 절단 유닛(50) 및 절단대(70)의 각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받침대이다. 여기에서 판유리(90)는 도 1의 지면(紙面)의 좌측 맨 앞에서 반입되고, 지면(紙面)의 우측 뒤쪽으로 반출된다. 즉, 절입 유닛(20)과 절단 유닛(50)에서 볼 때, 절입 유닛(20)이 상류측이며 절단 유닛(50)이 하류측이 된다. 받침대(10)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의 상면에는 각각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송 레일(11, 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반송 레일(11)의 하방에는 치형이 형성된 직선형상의 랙(13)이 설치되어 있다. 랙(13)은 받침대(10)의 전 길이에 걸쳐 반송 레일(11)에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절입 유닛>
절입 유닛(20)은 판유리(90)의 소정 위치에 절입선을 형성하는 유닛이며, 절입 절단 장치(100)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입 유닛(20)은 절입 이동 프레임(21)과, 종단 커터(cutter)(22)와, 횡단 커터(23) 및 절입 유지부(24)를 구비한다.
절입 이동 프레임(21)은 절입 유닛(20)의 기초가 되는 부재이다. 절입 이동 프레임(21)은 우프레임(25), 좌프레임(26), 횡프레임(27)과 구동부(28)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우프레임(25)은 절입 이동 프레임(21)의 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이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받침대(10)의 우측 반송 레일(11) 위를 활주한다. 좌프레임(26)은 절입 이동 프레임(21)의 좌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이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받침대 좌측의 반송 레일(12) 위를 활주한다. 횡프레임(27)은 절입 이동 프레임(21)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이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우프레임(25)과 좌프레임(26)을 연결하고 있다. 구동부(28)는 절입 이동 프레임(21)을 이동시키는 구동원이 되는 부분이다. 구동부(28)는 주로 받침대(10)의 랙(13)에 맞물리는 원형 톱니바퀴의 피니언(29)과, 상기 피니언(29)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서보모터에 의해 피니언(29)을 회전시킴으로써, 절입 이동 프레임(21) 전체(나아가 절입 유닛(20) 전체)를 이동시키고, 절입 이동 프레임(21)을 절입 정반(40)과 절단대(70)와의 사이의 임의의 종방향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종단 커터(22)는 판유리(90)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입선(91, 92)을 형성하는 커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종단 커터(22)는 절입 유닛(20)의 우측과 좌측의 2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종단 커터(22)는 지지부재(30)의 하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종단 커터(22) 자체는 원판 형상의 형태를 가지고, 그 외주부분이 커터의 칼로서 기능하고 있다. 종단 커터(2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0)는 횡프레임(27)의 측면(상류측)에 위치하고 있고, 횡프레임(27)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라, 종단 커터(22)를 임의의 높이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횡단 커터(23)는 판유리(90)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입선(93, 94)을 형성하는 커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횡단 커터(23)는 지지부재(31)의 하단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횡단 커터(23) 자체는 원판 형상의 형태를 가지고, 그 외주부분이 커터의 칼로서 기능하고 있다. 횡단 커터(2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1)는 횡프레임(27)의 측면(하류측)에 위치하고 있고, 횡프레임(27)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횡프레임(27)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횡단 커터(23)를 임의의 높이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이동(주행)시킬 수 있다.
절입 지지부(24)는 판유리(90)를 유지하는 부분이다. 절입 유지부(24)는 절입 이동 프레임(21)의 우프레임(25)과 좌프레임(26)에 설치되어 있다. 절입 유지부 (24)는 주로 흡인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하방이 개구하는 복수의 흡착패드(33)와 각 흡착패드(3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2)로 구성되어 있다. 이 흡착패드(33)가 판유리(90)의 상면을 흡착함으로써, 절입 유지부(24)는 판유리(90)를 유지할 수 있다. 흡착패드(33)는 우프레임(25) 및 좌프레임(26)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흡착패드(33)는 판유리(90) 좌우의 측방 모서리 근방에 형성되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절입선(이하, 이들 부분을 각각「우절입선」 및 「좌절입선」이라고 부른다.)(91, 92)보다도 외측 부분(이하, 이들 부분을 각각「우이부(耳部)」및 「좌이부」라고 부른다.)(95, 96)을 흡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이부(95) 및 좌이부(96)는 최종적으로 절단되어 파기되는 부분이므로, 가령 흠이 생겼다 하더라도 최종적인 제품의 품질에는 영향이 없다. 또한, 좌우의 연결부재(32)는 각각 2개의 지지부재(34)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각 지지부재(34)는 우프레임(25) 또는 좌프레임(26)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따라, 각 절입 유지부(24)를 임의의 높이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절입 정반>
절입 정반(40)은 판유리(90)에 각 절입선(91 ~ 94)을 형성할 때에 판유리(90)를 올리기 위한 부재이다. 절입 정반(40)은 절입 절단 장치(100) 중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고, 절입 절단 장치(100)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다른 장치로부터 반입된 판유리(90)는 절입 정반(40) 위에 올려지게 된다. 절입 정반(40)은 위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상의 형태를 가지고, 판유리(90)보다도 종방향 치수 및 횡방향 치수가 약간 크고, 그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정반(40)은 판유리(90)에 대향하는 면(상면)에 복수의 공기구(41)가 형성되어 있고, 절입 정반(40)은 이들 공기구(41)에 의해 판유리(90)를 흡인하여 상면에 판유리(9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절입 정반(40)의 상면과 판유리(90)가 떨어지도록 공기구(41)로부터 공기를 내보낼 수도 있다.
<절단 유닛>
절단 유닛(50)은 절입 유닛(20)에 의해 형성되는 절입선을 따라 판유리(90)를 절단하는 유닛이며, 절입 절단 장치(100)에서 절입 유닛(20)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유닛(50)은 절단 이동 프레임(51), 복수의 절단바(bar)(도 2 이후 도면 참조)(52 ~ 55)와 절단 유지부(56)를 구비한다.
절단 이동 프레임(51)은 절단 유닛(50)의 기초가 되는 부재이다. 절단 이동 프레임(51)은 우프레임(57), 좌프레임(58), 후프레임(59), 전프레임(60) 및 구동부(61)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우프레임(57)은 절단 이동 프레임(51)의 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이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받침대(10) 우측의 반송 레일(11) 위를 활주한다. 좌프레임(58)은 절단 이동 프레임(51)의 좌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이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받침대(10)의 좌측의 반송 레일(12) 위를 활주한다. 후프레임(59)은 절단 이동 프레임(51)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이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우프레임(57)과 좌프레임(58)을 연결하고 있다. 전프레임(60)은 절단 이동 프레임(51)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이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우프레임(57)과 좌프레임(58)을 연결하고 있다. 구동부(61)는 절단 이동 프레임(51)을 이동시키는 구동원이 되는 부분이다. 구동부(61)는 받침대(10)의 랙(13)에 맞물리는 원형 톱니바퀴의 피니언(62)과, 이 피니언(62)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서보모터에 의해 피니언(62)을 회전시킴으로써, 절단 이동 프레임(51) 전체(나아가 절단 유닛(50) 전체)를 이동시켜, 절단 이동 프레임(51)을 절단대(70) 위의 임의의 종방향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절단바(52 ~ 55)는 판유리(90)에 상방에서 힘을 가해 판유리(90)를 절단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애 따른 절단바에는 전절단바(도 2 등 참조)(52), 후절단바(도 2 등 참조)(53), 우절단바(54) 및 좌절단바(55)가 포함된다. 전절단바(52), 후절단바(53), 우절단바(54) 및 좌절단바(55)는 각각 후프레임(59)의 외측(상류측), 후프레임(59)의 내측(하류측), 우프레임(57)의 내측, 좌프레임(58)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모두 각 프레임(57 ~ 59)을 따라 연장되는 판 형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 절단바(52 ~ 55)는 각각 2개의 지지부재(63)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각 지지부재(63)는 프레임(57 ~ 59) 각각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따라, 절단바(52 ~ 55)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절단 유지부(56)는 판유리(90)를 유지하는 부분이다. 절단 유지부(56)는 연결부재(64)를 통해 우절단바(54) 및 좌절단바(55)에 설치되어 있다. 절단 유지부(56)는 흡인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복수의 흡착패드(65)를 구비하고, 흡착패드(65)가 판유리(90)의 상면을 흡착함에 따라, 절단 유지부(56)가 판유리(90)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절단 유지부(56)의 흡착패드(65)는 우절단바(54)나 좌절단바(55)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판유리(90)의 우이부(95)와 좌이부(96)를 흡착하도록 구성 되어 있다. 나아가, 각각의 흡착패드(65)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4)는 각각 우절단바(54) 및 좌절단바(55)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따라, 절단 유지부(56)를 임의의 높이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절단대>
절단대(70)는 판유리(90)를 절단할 때에, 판유리(90)를 올리기 위한 대이다. 본 실시형태의 절단대(70)는 제1 절단대(71), 중간 절단대(72)와 제2 절단대(7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절단대(71)는 각 절단대(71 ~ 73) 중 가장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절단대(71)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판상부재(74)와 제1 판상부재의 하류측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전절단받침(8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판상부재(74) 각각은 동일 치수로 동일 형상을 가지고,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제1 절단대(71) 전체의 횡방향 치수는 절입 정반(40)의 횡방향 치수와 거의 동일하다. 나아가, 제1 판상부재(74) 각각의 상면에는 공기를 흡출하는 흡출공(7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제1 판상부재(74)의 사이 중 하류측의 일부에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하면 흡착패드(76)를 구비하는 제1 하면 흡착패드 장치(77)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하면 흡착패드 장치(77)가 작동함에 따라, 하면 흡착패드(76)는 판유리(90)의 하면을 흡착하고, 판유리(90)는 제1 절단대(71)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전절단받침(85)은 판유리(90)를 절단할 때의 지점이 되는 부재이며, 그 전측 모서리 부분을 국소적으로 볼 때, 정밀도를 좋게 절단하기 위해서 전절단받침(85)의 상면과 전절단받침(85)의 전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각 제1 판상부재(74) 및 전절단받침(85)은 각각의 상면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간 절단대(72)는 제1 절단대(71)와 제2 절단대(73)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 절단대(72)는 복수의 중간 판상부재(7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중간 판상부재(78)는 동일 치수로 동일 형상을 가지고, 그 횡방향의 치수는 제1 판상부재(74)의 횡방향의 치수와 동일하다. 각 중간 판상부재(78)는 각 제1 판상부재 (74)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중간 판상부재(78)는 각 제1 판상부재 (74)의 연장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절단대(71)와 중간 절단대(72)의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단홈(79)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절단대(73)와 중간 절단대(72)의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단홈(80)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절단홈(79)에서는 판유리(90)의 하류측 부분이 절단되고, 제2 절단홈(80)에 있어서는 판유리(90)의 상류측 부분이 절단된다. 아울러, 중간 절단대(72)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제1 절단홈(79)과 제2 절단홈(80)의 사이를 폐쇄함으로써, 그들 사이를 판유리(90)가 매끄럽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2 절단대(73)는 각 절단대(71 ~ 73) 중 가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절단대(73)는 복수의 제2 판상부재(81)와 제2 판상부재의 상류측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후절단받침(86)과, 우측부에 위치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우절단받침(87)과, 좌측부에 위치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좌절단받침(8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2 판상부재(81)는 동일 치수로 동일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제1 판상부재(74)의 경우와는 다른 간격으로 횡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각 제2 판상부재(81)의 상면에는 공기를 흡출하는 흡출구(8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제2 판상부재(81)의 사이 중 상류측의 일부에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하면 흡착패드(83)를 구비하는 제2 하면 흡착패드 장치(8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하면 흡착패드 장치(84)가 작동함에 따라, 하면 흡착패드(83)는 판유리(90)의 하면을 흡착하고, 판유리(90)는 제2 절단대(73)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후절단받침(86), 우절단받침(87) 및 좌절단받침(88)은 모두 판유리(90)를 절단할 때에 커터의 바로 아래에서 판유리(90)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우절단받침(87)의 우측면과 좌절단받침(88) 좌측면과의 간격은 절입 이동 프레임(21) 좌우에 설치된 종단 커터(22)의 간격에 일치한다. 즉, 제2 절단대(73) 전체의 횡방향 치수는 우절입선(91)과 좌절입선(92)의 간격에 일치한다. 더욱이, 후절단받침(86)에 대해서는 후측 모서리 부분을 국소적으로 볼 때, 정밀도를 좋게 절단하기 위해서 후절단받침(86)의 상면과 후절단받침(86)의 후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우절단받침(87)에 대해서는 우측 모서리 부분을 국소적으로 볼 때, 정밀도를 좋게 절단하기 위해서 우절단받침(87)의 상면과 우절단받침(87)의 우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좌절단받침(88)에 대해서는 좌측 모서리 부분을 국소적으로 볼 때, 정밀도를 좋게 절단하기 위해서 좌절단받침(88)의 상면과 좌절단받침(88)의 좌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각 제2 판상부재(81), 후절단받침(86), 우절단받침(87) 및 좌절단받침(88)은 각각의 상면의 높이 위치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술한 절단대(70)의 구성에 있어서, 제1 하면 흡착패드 장치(77) 및 제2 하면 흡착패드 장치(84)를 설치하지 않고, 제1 절단대(71)에 설치된 흡출구 (75) 및 제2 절단대(73)에 형성된 흡출구(82)에 의해 판유리(90)를 흡착하여, 제1 절단대(71) 또는 제2 절단대(73)에 판유리(90)를 고정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100)의 구조이다. 도 1에서도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100)는 흡착패드를 이용하여 판유리(90)를 반송하지만, 판유리(90)를 상방으로부터 유지하여 이동시키는 반송 유닛 등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절입 절단 장치(100)의 상방의 공간에는 장애물은 대부분의 경우 없어서, 절입 절단 장치(100)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장치에서 절입 절단 장치(100)로 판유리(90)를 반입할 때에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 (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입 절단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에는, 판유리(90)에 절입선을 형성하는 절입 작업과, 절입선이 형성된 판유리(90)를 반송하는 절입 후 반송 작업과, 판유리(90)의 전방 부분을 절단하는 전 절단 작업과, 전방 부분이 절단된 후에 판유리(90)를 반송하는 절단 중 반송 작업과, 판유리(90)의 후방 부분 및 좌우 부분을 절단한 후 좌우 절단 작업이 포함된다. 이하, 이들 각 작업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아울러, 도 2 내지 도 6에서는 이해하기 쉽도록 판유리에 사선을 표시함과 동시에, 본래는 상방에서 볼 수 없는 종단 커터(22), 횡단 커터(23), 흡착패드(33) 및 흡착패드(65)에 대해서도 그 위치를 도시하였다.
<절입 작업>
절입 작업은 주로 절입 유닛(20)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절입 유닛(20)은 절입 정반(40) 보다 하류측의 절입 유닛 대기 위치에서 대기한다. 이때의 절입 유닛(20)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 도 2이다. 절입 유닛(20)이 대기하고 있는 동안에, 절입 절단 장치(100)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한 다른 장치에 의해 절입 정반(40) 위에 판유리(90)가 반입된다. 절입 정반(40) 위에 반입되는 판유리(90)는 절입 정반(40)의 공기구(41)에 의해 흡착되고, 절입 정반(40)의 상면에 고정된다.
그 후, 절입 유닛(20)은 약간 상류측(도 2에 도시한 위치보다도 지면(紙面)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횡단 커터(23)를 제1 종방향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 제1 종방향 위치는 판유리(90)의 전측 모서리 근방에서 전측 모시리보다 판유리(90)의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이다. 그리고 횡단 커터(23)를 판유리(90)에 접촉할 때까지 하강시키고, 계속해서 판유리(90) 위를 횡단하도록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판유리(90)의 전측 모서리 근방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입선(이하, 이 절입선을「전절입선」이라고 부른다.)(93)이 형성된다. 전절입선(93)을 형성한 후에는 횡단 커터(23)를 재차 상승시켜 원래 높이 위치로 되돌린다.
그 후, 절입 유닛(20)은 약간 하류측으로 이동하고, 이번에는 좌우의 종단 커터(22)를 판유리(90)에 접촉할 때까지 하강시킨다. 이 때, 각 종단 커터(22)는 각각 판유리(90)의 좌우의 측방 모서리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절입 유닛(20)은 절입 정반(40)의 하류측에서 상류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이로 인해, 각 종단 커터(22)가 판유리(90)를 종단하고, 판유리(90)에는 우절입선(91) 및 좌절입선(92)이 형성된다. 우절입선(91) 및 좌절입선(92)의 형성 후에서의 절입 유닛(20)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 도 3이다. 우절입선(91) 및 좌절입선(92)의 형성 후에는 각 종단 커터(22)를 재차 상승시켜 원래의 높이 위치로 되돌린다.
그 후, 절입 유닛(20)은 약간 상류측으로 이동하고, 횡단 커터(23)를 제2 종방향 위치로 위치시킨다. 이 제2 종방향 위치는 판유리(90)의 후측 모서리 근방에서 후측 모서리보다 판유리(90)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이다. 그리고 횡단 커터(23)를 판유리(90)에 접촉할 때에까지 하강시키고, 계속해서 판유리(90) 위를 횡단하도록 주행시킨다. 이로 인해, 판유리(90)의 후측 모서리 근방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입선(이하, 이 절입선을「후절입선」이라고 부른다.)(94)이 형성된다. 후절입선(94)을 형성한 후에는 횡단 커터(23)를 재차 상승시켜 원래의 높이 위치로 되돌린다. 이상으로 절입 작업은 종료한다.
<절입 후 반송작업>
절입 후 반송 작업은, 주로 절입 유닛(20)에 의해 수행된다. 절입 작업 후, 절입 유닛(20)은 절입 유지부(24)를 하강시켜 흡착패드(33)를 판유리(90)의 상면에 흡착시키고, 판유리(90)를 유지한다. 나아가, 이 동작을 상술한 후절입선(94)을 형성하는 동작과 동시에 수행하면, 전체 작업의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 후, 절입 정반(40)은 상면에 형성된 공기구(41)로부터 공기를 내보낸다. 이와 동시에, 절입 유닛(20)은 절입 유지부(24)를 상승시켜 판유리(90)을 들어올린다. 판유리(90)의 상승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 판유리(90)를 들어올리는 높이는 1mm 정도이다. 절입 정반(40)의 공기구(41)로부터 공기가 나오도록 하여, 그 공기에 의해 판유리(90)가 지지되므로, 판유리(90)의 상승 높이가 불과 1mm 정도라고 하여도, 판유리(90)가 절입 정반(40)에 접하여 흠이 생기는 경우는 없다.
그 후, 절입 유닛(20)은 판유리(90)를 유지한 채 절입 정반(40)에서 제1 절단대(71)로 하류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이 때, 제1 절단대(71)는 상면에 형성된 흡출구(75)로 공기를 배출한다. 절입 정반(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절단대 (71)의 흡출구(75)로부터 나오는 공기에 의해 판유리(90)가 지지되므로, 판유리(90)가 제1 절단대(71)에 접하여 흠이 생기는 경우는 없다.
그 후, 절입 유닛(20)이 소정의 종방향 위치에 도달하면, 절입 유지부(24)를 하강시켜 판유리(90)를 제1 절단대(71)에 올리고, 판유리(90)의 유지를 해제한다. 이 때 절입 유닛(20)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 도 4이다. 아울러, 여기에서 말하는 소정의 종방향 위치란, 유지하는 판유리(90)의 전절입선(93)이 제1 절단대(전절단받침(85))(71)의 전측 모서리에 일치하고, 전절입선(93)보다도 외측 부분(이하, 이 부분을「전이부」라고 부른다.)(97)이 제1 절단홈(79)에 위치하는 종방향 위치이다. 그리고 판유리(90)를 제1 절단대(71)에 올리는 것과 동시에, 제1 절단대(71)는 흡출구(75)로부터의 공기의 흡출을 정지하고, 제1 하면 흡착패드 장치(77)는 하면 흡착패드(76)에 의해 판유리(90)의 하면을 흡착하여 판유리(90)를 제1 절단대(71) 위에 고정한다.
그 후, 절입 유닛(20)은 절입 유지부(24)를 상승시켜 원래의 높이 위치로 되돌리고, 상술한 절입 유닛 대기 위치로 돌아온다(도 2 참조). 이상으로 절입 후 반송 작업은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절입 유닛(20)은 절입 작업 후에 절입 유닛 대기 위치로 돌아오는 동작을 따라 판유리(90)를 반송하므로, 절입 유닛(20)의 쓸데없는 움직임을 줄이고, 절입 작업에서 절입 후 반송 작업에 걸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판유리(90)의 상승 높이가 작으므로, 판유리(90)를 들어올리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고, 반송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절단 작업>
전절단 작업은, 주로 절단 유닛(50)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입 후 반송 작업에 의하여 판유리(90)가 제1 절단대(71)에 반송되지만, 이 때 절단 유닛(50)은 제1 절단대(71) 보다 하류측의 절단 유닛 대기 위치에서 대기한다. 이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 상술한 도 4이다.
그 후, 절단 유닛(50)은 상류방향을 향해 소정의 종방향 위치까지 이동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정의 종방향 위치란, 전절단바(52)가 제1 절단홈(79)의 연직상방 즉, 판유리(90)의 전이부(97)의 연직상방에 위치하는 종방향 위치이다. 계속해서 절단 유닛(50)은 전절단바(52)를 하강시켜, 전이부(97)를 상방에서 눌러 힘을 가한다. 이로 인해, 판유리(90)의 전이부(97)는 절단된다. 전이부(97)를 절단한 후에는 전절단바(52)를 재차 상승시켜 원래의 높이 위치로 되돌린다. 아울러, 절단된 전이부(97)는 제1 절단홈(79)에 낙하하여 그 하방에 설치된 회수함 또는 슈트(chute)(도시하지 않음)로 떨어져 회수된다. 이상으로 전절단 작업은 종료한다.
<절단 중 반송작업>
절단 중 반송 작업은, 주로 절단 유닛(50)에 의해 수행된다. 전절단 작업 후, 절단 유닛(50)은 상류방향을 향해 소정의 종방향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때의 절단 유닛(50)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 도 5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정 위치란, 판유리(90)의 후절입선(94)보다도 외측 부분(이하, 이 부분을「후이부」라고 부른다)(98)의 연직상방에 후절단바(53)가 위치하는 종방향 위치이다. 절단 유닛(50)이 이와 같은 종방향 위치에 이동하는 것은, 후술하는 후 좌우 절단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절단 유닛(50)은 절단 유지부(56)를 하강시켜 절단 유지부(56)의 흡착패드(65)를 판유리(90)의 상면에 흡착시켜 판유리(90)를 유지한다.
그 후, 절단 유닛(50)은 절단 유지부(56)를 상승시켜 판유리(90)를 들어올린다. 이때, 제1 하면 흡착패드 장치(77)는 하면 흡착패드(76)의 흡착을 멈추게 함과 동시에, 제1 절단대(71)는 상면의 흡출구(75)로부터 공기를 내보낸다. 여기에서도, 판유리(90)의 상승 높이는 절입 후 반송 작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mm 정도이지만, 제1 절단대(71)의 흡출구(75)로부터 공기가 내보내지므로, 판유리(90)가 제1 절단대(71)에 접촉하여 흠이 생기는 경우는 없다.
그 후, 절단 유닛(50)은 판유리(90)를 유지한 채 제1 절단대(71)에서 중간 절단대(72)를 경유하여, 제2 절단대(73)로 하류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이 때, 제2 절단대(73)는 상면에 형성된 흡출구(82)로부터 공기를 내보낸다. 제1 절단대(71)의 흡출구(7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흡출구(82)로부터 내보내진 공기에 의해, 판유리(90)가 제2 절단대(73)에 접촉하여 흠이 생기는 경우는 없다.
그 후, 절단 유닛(50)은 소정의 종방향 위치에 도달하면, 절단 유지부(56)를 하강시켜 판유리(90)를 제2 절단대(73)에 올리고, 판유리(90)의 유지를 해제한다. 이때의 절단 유닛(50)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 도 6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정의 종방향 위치란, 유지되는 판유리(90)의 후절입선(94)이 제2 절단대(후절단받침(86))(73)의 후측 모서리에 일치하고, 후이부(98)가 제2 절단홈(80)에 위치하는 종방향 위치이다. 아울러, 제2 절단대(73)는 그 상면에 판유리(90)가 올려질 때에, 판유리(90)의 우절입선(91) 및 좌절입선(92)이 제2 절단대(73)의 우측 모서리 및 좌측 모서리(우절단받침(87)의 우측 모서리 및 좌절단받침(88)의 측방 모서리)과 각각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절단 유닛(50)이 판유리(90)를 제2 절단대(73)에 올리는 것과 동시에, 제2 절단대(73)는 흡출구(82)로부터의 공기의 흡출을 정지하고, 제2 하면 흡착패드 장치(84)는 하면 흡착패드(83)에 의해 판유리(90)의 하면을 흡착하여 판유리(90)를 제2 절단대(73)위에 고정한다.
그 후, 절단 유닛(50)은 절단 유지부(56)를 상승시켜 원래의 높이 위치로 되돌린다. 이상으로 절입 후 반송 작업은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절단 유닛(50)은 단순히 판유리(90)를 절단할 뿐만 아니라, 절입 유닛(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판유리(90)를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절입 절단 장치(100)에서의 판유리(90)의 반송은 모두 절입 유닛(20) 또는 절단 유닛(5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입 절단 장치(100)에 별개의 반송 유닛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후 좌우 절단 작업>
후 좌우 절단 작업은 주로 절단 유닛(50)에 의해 수행된다. 절단 중 반송 작업 후, 절단 유닛(50)은 후절단바(53)를 하강시켜 판유리(90)의 후이부(98)에서 상방으로부터 힘을 가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 중 반송 작업에서, 사전에 후절단바(53)를 후이부(98)의 연직상방에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특별한 위치 조절을 하지 않고 단순히 후절단바(53)를 하강시키면 후이부(98)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판유리(90)의 후이부(98)는 절단된다.
그 후, 절단 유닛(50)은 후절단바(53)를 상승시켜 원래의 높이 위치로 되돌리고, 약간 상류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절단 유닛(50)이 약간 상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우절단바(54) 및 좌절단바(55)가 각각 우이부(95) 및 좌이부(96)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여기에서의 절단 유닛(50)의 이동후의 위치는 전절단 작업에서 설명한 절단 유닛 대기 위치이다.
그 후, 절단 유닛(50)은, 우절단바(54) 및 좌절단바(55)를 동시에 하강시키고, 우이부(95) 및 좌이부(96)에서 상방으로부터 힘을 가하고, 각각을 판유리(90)로부터 절단한다. 우이부(95) 및 좌이부(96) 절단 후에는 우절단바(54) 및 좌절단바(55)를 상승시켜 원래의 높이 위치로 되돌린다.
마지막으로, 제2 하면 흡착패드 장치(84)는 하면 흡착패드(83)에 의한 판유리(90)의 흡착을 멈추고, 제2 절단대(73)는 상면의 흡출구(82)로부터의 공기 흡출을 재개하고, 판유리(90)를 절입 절단 장치(100)로부터 반출한다. 판유리(90)를 반출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제2 판상부재(81)의 사이에 벨트 컨베이어를 배치하고, 벨트 컨베이어에 판유리(90)를 올리는 것에 의해 판유리(90)를 반출하여도 좋다. 또한, 제2 절단대(73)의 흡출구(82)의 공기 흡출에 의해 판유리(90)를 부양된 상태로 하고, 하류방향을 향해 미끄러지게 하는 것에 의해 판유리(90)를 반출하여도 좋다. 또한, 절단 유닛(50)에 의해 판유리(90)를 유지하고 하류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것에 의해 판유리(90)를 반출하여도 좋다.
이상으로 절입 작업, 절입 후 반송 작업, 전절단 작업, 절단 중 반송 작업 및 후 좌우 절단 작업의 1개 사이클이 종료된다. 이러한 각 작업을 거침으로써, 각 이부(95 ~ 98)가 절단되어 소정의 치수에 형성된 판유리(90)가 다음 공정(장치)으로 반출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절입 유닛(20)이 작동하고 있는 사이에는 절단 유닛(50)이 작동하지 않는 것처럼 설명했지만, 절입 절단 장치(100)는 절단 유닛(50)에 의하여 전절단 작업 이후의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절입 유닛(20)에 의해 다음 사이클의 절입 작업 이후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작업을 병행하여 진행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절입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100)의 동작에 대한 설명이다. 아울러, 이상에서는 절단된 전이부(97)가 제1 절단홈(79)에 떨어져 회수함 또는 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1 절단홈(79)의 하방에 필름 박리 장치를 설치하고, 이 필름 박리 장치에 의해 전이부(97)를 회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보다 상세하게는, 판유리의 하면에 보호용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절단된 이부는 떨어지지 않고 필름에 매달린 상태가 된다. 필름 박리 장치는 이 절단된 이부가 필름에 매달리는 것을 이용하여 필름을 벗기는 것이다. 즉, 여기에서 말하는 필름 박리 장치는, 절단된 필름에 매달린 이부(본 실시예의 전이부(97)에 해당하는 이부)를 잡고, 판유리가 하류방향을 향해 반송되는 타이밍에서 그 이부와 필름을 당김으로써, 판유리의 필름 전체를 벗기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필름 박리 장치를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절단된 각 이부 중 전방의 이부를 다른 이부보다도 먼저 절단할 필요가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는 이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입 절단 장치(100)에 따르면, 상술한 필름박리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더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는 전이부를 전절단바에 의해 절단하고, 후이부를 후절단바에 의하여 절단하고 있지만, 1개의 절단바에 의해 전이부 및 후이부 양쪽을 절단하도록 구성하여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에 따르면, 절입 작업에서 절단 작업까지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유익하다.
10: 받침대
20: 절입 유닛
21: 절입 이동 프레임
22: 종단 커터
23: 횡단 커터
24: 절입 유지부
33: 흡착패드
40: 절입 정반
41: 공기구
50: 절단 유닛
51: 절단 이동 프레임
52: 전절단바
53: 후절단바
54: 우절단바
55: 좌절단바
56: 절단 유지부
65: 흡착패드
70: 절단대
71: 제1 절단대
72: 중간 절단대
73: 제2 절단대
79: 제1 절단홈
80: 제2 절단홈
90: 판유리
91: 우절입선
92: 좌절입선
93: 전절입선
94: 후절입선
95: 우이부
96: 좌이부
97: 전이부
98: 후이부
100: 절입 절단 장치

Claims (6)

  1. 판유리에 절입선을 형성하는 절입 유닛과,
    상기 절입선을 형성할 때에 상기 판유리를 적치하기 위한 절입 정반과,
    상기 절입선을 따라 상기 판유리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과,
    상기 절입 정반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절단시 상기 판유리를 적치하기 위한 절단대를 구비하고,
    상기 절입 유닛은 상기 절입 정반과 상기 절단대 사이를 이동하는 절입 이동 프레임과,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에 설치된 종단 커터와,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판유리를 유지하는 절입 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이 상기 절입 정반의 하류측에서 상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종단 커터가 상기 절입 정반 위의 판유리를 종단하여 판유리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입선을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이 하류방향을 향해 돌아올 때 상기 판유리를 상기 절입 유지부에 의해 유지하여 상기 절입 정반에서 상기 절단대까지 상기 판유리를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 유닛은 상기 절단대 위를 이동하는 절단 이동 프레임과 상기 절단 이동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판유리에 힘을 가해 상기 판유리를 절단하는 하나 이상의 절단바와, 상기 절단 이동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판유리를 유지하는 절단 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단바에 의해 상기 판유리를 절단한 후, 상기 절단 유지부에 의하여 상기 판유리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 프레임이 하류방향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판유리를 하류방향을 향해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 정반은 상기 판유리에 대향하는 면에 공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입 정반은 상기 공기구로부터 상기 판유리를 흡인하여 그 표면에 상기 판유리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 유지부는 복수의 흡착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흡착패드는 상기 판유리에 형성된 종방향의 절입선보다도 외측 부분을 흡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
  4. 삭제
  5. 판유리에 절입선을 형성하는 절입 유닛과,
    상기 절입선을 형성할 때에 상기 판유리를 적치하기 위한 절입 정반과,
    상기 절입선을 따라 상기 판유리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과,
    상기 절입 정반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절단할 때에 상기 판유리를 적치하기 위한 절단대를 구비하며,
    상기 절입 유닛은 상기 절입 정반과 상기 절단대의 사이를 이동하는 절입 이동 프레임과,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과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횡단 커터와,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판유리를 유지하는 절입 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횡단 커터는 상기 절입 정반 위의 제1 종방향 위치에서 상기 절입 정반 위의 상기 판유리를 횡단하여 판유리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절입선을 형성한 후,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절입 정반 위의 상기 제1 종방향 위치보다도 상류측의 제2 종방향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2의 종방향 위치에서 상기 절입 정반 위의 상기 판유리를 횡단하여 판유리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절입선을 형성하며, 그 후, 상기 절입 이동 프레임이 하류방향을 향해 돌아올 때에, 상기 판유리를 상기 절입 유지부에 의해 유지하여 상기 절입 정반에서 상기 절단대까지 상기 판유리를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대는 제1 절단대와, 상기 제1 절단대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중간 절단대와, 상기 중간 절단대의 더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절단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단대와 상기 중간 절단대의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단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절단대와 상기 중간 절단대의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단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 유닛은 상기 절단대 위를 이동하는 절단 이동 프레임과 상기 절단 이동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판 유리에 힘을 가해 상기 판유리를 절단하는 하나 이상의 절단바와, 상기 절단 이동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판유리를 유지하는 절단 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입 유닛은 상기 전절입선이 상기 제1 절단대의 하류측 단부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전절입선보다 외측 부분이 상기 제1 절단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판유리를 상기 제1 절단대에 배치하고,
    상기 절단 유닛은 어느 한쪽의 상기 절단바에 의해 상기 전절입선보다 외측 부분을 상면측으로부터 눌러 해당 부분을 절단한 후, 상기 판유리를 상기 절단 유지부에 의해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절단 이동 프레임이 이동하여 상기 판유리를 하류측으로 반송하고, 상기 후절입선이 상기 제2 절단대의 상류측 단부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후절입선보다 외측 부분이 상기 제2 절단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판유리를 상기 제2 절단대에 배치하고, 어느 한쪽의 상기 절단바에 의해 상기 후절입선보다 외측 부분을 상면측으로부터 눌러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
  6. 삭제
KR1020137009007A 2010-10-08 2011-10-04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 KR101490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28090 2010-10-08
JP2010228090A JP5731786B2 (ja) 2010-10-08 2010-10-08 板ガラスの切込分断装置
PCT/JP2011/005598 WO2012046439A1 (ja) 2010-10-08 2011-10-04 板ガラスの切込分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322A KR20130056322A (ko) 2013-05-29
KR101490643B1 true KR101490643B1 (ko) 2015-02-05

Family

ID=4592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007A KR101490643B1 (ko) 2010-10-08 2011-10-04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31786B2 (ko)
KR (1) KR101490643B1 (ko)
CN (1) CN103108841B (ko)
TW (1) TWI454432B (ko)
WO (1) WO2012046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9001B2 (en) * 2009-08-20 2014-04-15 Nikon Corporation Object moving apparatus, object processing apparatus, exposure apparatus, object inspecting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N103496845B (zh) * 2013-09-25 2016-06-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基板加工的给料系统以及基板切割机
KR101819608B1 (ko) * 2015-07-31 2018-01-17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리 접합체 커팅 방법 및 커팅 장치
CN105236721A (zh) * 2015-08-31 2016-01-13 苏州市灵通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洁型玻璃裁切机
CN105084737A (zh) * 2015-08-31 2015-11-25 苏州市灵通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方便的清洁型玻璃裁切机
CN105084738A (zh) * 2015-08-31 2015-11-25 苏州市灵通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清洁型玻璃裁切机
CN105084741A (zh) * 2015-08-31 2015-11-25 苏州市灵通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玻璃裁切机
CN105236724A (zh) * 2015-08-31 2016-01-13 苏州市灵通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玻璃裁切机
CN105084735A (zh) * 2015-08-31 2015-11-25 苏州市灵通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方便的玻璃裁切机
CN109437537A (zh) * 2018-12-11 2019-03-08 浙江旭恒甬鑫智能科技有限公司 玻璃基板切割机
CN112278862B (zh) * 2020-10-13 2022-09-27 南京多脉智能设备有限公司 无摩擦气动式玻璃面板载具机械手
CN112817390A (zh) * 2021-01-13 2021-05-18 东莞市信恒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电脑机箱用玻璃加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2960A (ja) * 2002-10-22 2004-05-20 Shiraitekku:Kk ガラス基板の切断装置
KR20100088573A (ko) * 2009-01-30 2010-08-09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취성 재료 기판의 반송·분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6472B2 (ja) * 2001-07-23 2010-10-20 カワサキプラントシステムズ株式会社 板ガラスの割断機構およびトリミング装置
JP4027700B2 (ja) * 2002-03-26 2007-12-26 中村留精密工業株式会社 スクライブ・ブレーク兼用装置
KR100752551B1 (ko) * 2002-11-22 2007-08-29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절단 시스템, 기판 제조장치, 기판 스크라이브 방법및 기판 절단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2960A (ja) * 2002-10-22 2004-05-20 Shiraitekku:Kk ガラス基板の切断装置
KR20100088573A (ko) * 2009-01-30 2010-08-09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취성 재료 기판의 반송·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08841B (zh) 2016-03-16
TW201219325A (en) 2012-05-16
JP5731786B2 (ja) 2015-06-10
TWI454432B (zh) 2014-10-01
WO2012046439A1 (ja) 2012-04-12
KR20130056322A (ko) 2013-05-29
JP2012082086A (ja) 2012-04-26
CN103108841A (zh)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643B1 (ko) 판유리의 절입 절단 장치
CN107206614B (zh) 用于分割板状工件的板材分割设备及其运行方法
CN110563320A (zh) 一种激光大幅面玻璃切割裂片装置
TWI529146B (zh) 板玻璃割斷裝置
WO2013175535A1 (ja) 薄板ガラス材の分断装置
JP3195489U (ja) パネルの折割装置
KR102422164B1 (ko) 반송체, 반송 장치 및 스크라이브 시스템
CN214299878U (zh) 一种玻璃自动切割装置
KR101527757B1 (ko) 판재 홈가공 및 이송장치
CN110402241B (zh) 玻璃板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JP3739333B2 (ja) 板ガラスの割断システム
JP2017071224A (ja) 基板加工装置
JP2005527457A (ja) 垂直ガラス板を分割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03185987A (ja) 液晶パネルの折割装置
JP5107514B2 (ja) 分断された基板の仕分け取り上げ装置
JP2014151538A (ja) 基板加工装置
CN107151091B (zh) 划片设备
JP3170661U (ja) ガラス基板の加工装置
JPH08253336A (ja) 薄板ガラスの折割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0653956A (zh) 基板加工装置的基板定位机构及基板定位方法
JP2579850B2 (ja) Ncランニングソー装置
JP2006169045A (ja) 板ガラス切断機における切線加工済み板ガラスの搬送装置。
CN217992837U (zh) 一种板材处理装置
JP3227552U (ja) 基板の割断装置
JP2017214228A (ja) 分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