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367B1 - 지소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소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367B1
KR101486367B1 KR20120102931A KR20120102931A KR101486367B1 KR 101486367 B1 KR101486367 B1 KR 101486367B1 KR 20120102931 A KR20120102931 A KR 20120102931A KR 20120102931 A KR20120102931 A KR 20120102931A KR 101486367 B1 KR101486367 B1 KR 10148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gar
sweetener
present
sweetness
blood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0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754A (ko
Inventor
김영재
박진희
김민회
김성보
황세희
이영미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ublication of KR20130029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4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9Addition of sweetness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7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asoning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사이코스 및 지소화성 또는 난소화성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개선 효능 및 감미의 질이 향상된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소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A sweetener ma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slow digestive materials for improving diabetes}
본원 발명은 사이코스 및 지소화성 또는 난소화성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설탕은 수크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음식에 첨가하여 단맛을 내는 대표적인 감미료 중의 하나이다. 설탕은 뛰어난 감미도를 지니고 있어 과거부터 여러 음식, 가공 식품 등에 첨가되어 음식의 맛을 좋게 하고 입맛을 돋우는 가장 선호되는 감미료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설탕의 유해성이 계속하여 밝혀짐에 따라 문제가 제기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탕의 과잉 섭취가 충치는 물론 비만, 당뇨병 등 각종 생활 습관병의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어 이를 대체할 만한 감미료 개발의 필요성이 전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되는 질환을 말한다. 당뇨병은 제1형과 제2형으로 구분되는데, 제1형 당뇨병은 '소아당뇨'라고도 불리며, 인슐린을 전혀 생산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인슐린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형 당뇨병은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의 식단,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 특정 유전자의 결함 또는 췌장 수술, 감염, 약제 등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혈당 증상만을 떠올릴 수 있으나, 당뇨 환자에게 있어서 고혈당 증상만큼 치명적인 것이 바로 저혈당 증상이다. 정상인의 경우 공복이 지속되어 혈당이 55mg/dL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저혈당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혈당이 70mg/dL 보다 높은 경우에도 저혈당 증상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에게 무조건적인 저칼로리의 감미료를 공급하거나, 당류의 흡수를 저해하기만 하는 성질의 감미료를 공급하는 것은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지나치게 저하시켜 예상치 못한 부정적인 반응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설탕을 대체할 만한 감미도를 지니면서도 저칼로리이고, 나아가 단순히 당류의 흡수를 저해하는 것만으로 당의 과잉 섭취를 차단하는 감미료가 아닌, 보다 개선된 대체 감미료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사이코스(Pscicose)는 과당(D-fructose)의 에피머로서 희소당으로 알려진 기능성 당류의 일종으로, 설탕의 약 60 내지 70%의 높은 감미도를 나타내면서도 열량은 거의 제로 칼로리에 가까워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용해성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식품에의 활용이 주목되고 있는 소재 중 하나이다.
그러나, 사이코스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식품 첨가용 감미료로 활용하는 것은 사이코스가 설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감미도를 갖는다는 점에서 기존의 설탕의 단맛에 익숙해진 소비자들의 입맛을 충족시키기 어려워 소비자 기호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사이코스를 단독으로 사용하면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즉 사이코스를 단독으로 사용하면서도 일반적인 소비자에게 요구되는 감미를 얻기 위해서는 사이코스의 사용량을 다량 증가시켜 활용해야 함이 불가피해 보이고, 이는 사이코스를 활용한 식품에 지나친 농후감을 부여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오히려 음식의 식감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한편,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Resistant Maltodextrin)은 식이섬유(다당류)의 하나로서,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인체 내에서 소화되기 어려운 식이섬유로, 일반 말토덱스트린보다 탄수화물의 중합도가 높은 고분자 탄수화물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말토덱스트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구조는 하기와 같다.
[말토덱스트린]
Figure 112012075148158-pat00001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Figure 112012075148158-pat0000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5805호 A (2011.04.06.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15212호 B1 (2008.03.19.공고)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10081호 B1 (2009.07.30.공고)
본원 발명은 사이코스 및 지소화성 또는 난소화성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인은,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저칼로리 감미 소재 사이코스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감미도가 떨어져 감미료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함을 인식하고, 이에 타가토스, 자일로스, 자일리톨 등 감미도가 뛰어난 다른 당류 또는 당 알코올류를 함께 혼합하여 감미도가 향상된 감미료의 제조를 시도하여 보았으나, 이는 체내에 유입된 당의 분해 및 흡수를 지나치게 억제하는 결과, 지나친 저혈당을 유발할 수 있어 당뇨병 환자에게는 치명적인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출원인은 사이코스 및 지소화성 또는 난소화성 다당류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당류의 체내 소화가 매우 느리게 진행되어 식후의 혈당 수치 증가가 천천히 완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당뇨병 환자의 혈당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고혈당 증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당을 천천히 그러나 지속적으로 적절하게 공급해 주어 당뇨병 환자에게 치명적인 저혈당 또한 방지해 주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원 발명의 일 양태는 사이코스 및 지소화성 또는 난소화성 다당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지소화성 또는 난소화성 다당류로, 팔라티노스, 트레할로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의 조성물에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추가로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고감미도 감미 소재로, 스테비올배당체, 수크랄로스, 아스파탐, 나한과 추출물, 감초 추출물, 쏘마틴 및 아가베 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포함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사이코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0배 중량의 지소화성 또는 난소화성 다당류 및 0.001 내지 2배 중량의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은 사이코스 및 지소화성 또는 난소화성 다당류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당류의 체내 소화가 느리게 진행되어 당을 천천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식후에 당뇨병 환자의 혈당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고혈당 증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당의 공급을 지나치게 차단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당을 공급함으로써 당뇨병 환자에게 치명적인 저혈당 또한 방지해 주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사이코스 및 지소화성 또는 난소화성 다당류를 특정 비율로 함유하여, 임의의 비율로 제조된 감미 소재 조성물에 비해 당뇨 개선 효과가 현저히 뛰어난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추가로 첨가함으로써 칼로리는 낮추되 감미도는 높이는, 감미의 질이 향상된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고감미도 감미 소재 중 수크랄로스를 사용함으로써, 설탕과 유사한 감미질을 가지면서도 혈당상승지수가 낮고 거의 제로 칼로리이어서, 제1형 또는 제2형 당뇨 환자의 단기 또는 장기적인 혈당 조절에 뛰어난,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른 혈당 변화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 따른 혈당 면적 변화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원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 발명은 사이코스 및 지소화성 또는 난소화성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지소화성이란 인체의 소장에서 소화가 이루어지나, 그 소화 속도가 느린 성질을 말한다.
상기 난소화성이란 인체의 소장에서 소화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지소화성 또는 난소화성 다당류는, 팔라티노스, 트레할로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당류는 2개 이상의 단당류 단위가 결합된 당류 즉, 이당류 이상의 당류를 말한다.
상기 팔라티노스(Palatinose)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 이당류로서 벌꿀이나 사탕수수 등에서 얻을 수 있으며 공업적으로는 설탕에, 설탕의 구조를 바꾸어 주는 효소를 처리하여 생산할 수 있다. 상기 팔라티노스의 구조는 포도당 한 분자와 과당 한 분자가 결합된 이당류 구조이다.
팔라티노스는 이를 설탕이나 전분 등의 당질과 함께 섭취할 경우, 당질의 흡수를 늦추어 주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팔라티노스의 분해 속도는 설탕의 1/5정도에 불과하여 소화 흡수가 느리게 진행되어 혈당치가 오르기 어렵기 때문에 인슐린 분비가 억제되고 지방의 축적이 억제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트레할로스(Trehalose)는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 곰팡이, 효모, 곤충, 동물 및 식물 등에 존재하는 저장 탄수화물의 한 종류로서 비환원성 이당류에 해당한다. 구조는 두 분자의 포도당 결합된 이당류 구조이다.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Resistant Maltodextrin)은 식이섬유의 하나로 인체 내에서 소화되기 어려운 다당류를 의미한다.
상기 올리고당(Oligosaccharide)은 2개 이상의 단당류 단위가 글리코시드 결합을 하는 다당류를 말한다. 특히, 난소화성 올리고당에 해당하는 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대두 올리고당, 분지 올리고당, 락토올리고당, 키토올리고당, 겐치오올리고당 등은 체내 소화 효소에 의해 소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섭취 후 혈당치를 거의 상승시키지 않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혈중 인슐린의 농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장내 발효에 의해 생성된 유기산의 흡수 또한 혈당치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원 발명에 사용되는 올리고당은 결합된 단당류의 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예를 들어, 이당류, 삼당류, 사당류, 오당류 등), 환원성 또는 비환원성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추가로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감미도 감미 소재는 설탕의 수배 내지 수백 배 이상의 높은 감미도를 나타내는 감미 소재를 말한다.
상기 고감미도 감미 소재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스테비올배당체, 수크랄로스, 아스파탐, 나한과 추출물, 감초 추출물, 쏘마틴 및 아가베 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비올배당체(Steviol glycoside)는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Stevia rebaudiana)의 잎에서 추출한 수용성 추출물을 가공하여 얻어지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Rebaudioside A)를 사용할 수 있다. 고감미도 감미 소재로 상기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사용하는 경우 스테비올배당체를 포함하는 고감미도 감미 소재 특유의 쓴맛, 금속성 맛 등이 배제되어 감미질이 뛰어난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수크랄로스(Sucralose)는 설탕에 존재하는 수소 및 산소를 염소로 치환하여 제조된 것으로 설탕의 변형 물질인 인공 감미료를 의미한다.
상기 아스파탐(Aspartame)은 페닐알라닌 및 아스파르트산을 합성하여 만든 아미노산계 인공 감미료를 말한다.
상기 나한과(Siraitia grosvenori) 추출물은 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나한과 식물의 과실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말한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추출물은 그 추출 방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추출물은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감초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말한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추출물은 그 추출 방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쏘마틴(Thaumatin)은 타우마토코쿠스 다닐엘리이(Thaumatococcus daniellii)의 열매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정제함으로써 얻어지는 단백질계 감미료를 말한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추출물은 그 추출 방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가베(Agave) 시럽은 용설란의 일종인 아가베 선인장(Blue Tequilana Webre Agave)으로부터 채취하는 시럽을 말한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아가베 시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6년 이상된 아가베 선인장의 둥지를 채취하여 즙을 낸 후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여 시럽 형태로 만든 천연 유기농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가베 시럽은 일반 설탕보다 당도가 1.5배 높으면서 혈당상승지수(GI)는 약 1/3 수준인 천연 감미료이다. 아가베의 주요 성분은 다당류의 집합체에 해당하는 이눌린으로, 상기 다당류는 식이섬유의 일종인 프럭탄(fructan)이라고 알려진 과당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당의 일종이다. 이눌린은 과당과는 달리 혈당과 인슐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트리글리세리드를 상승시키지 않기 때문이며 당뇨병 환자들에게 적합하고 혈당과 관련된 질병을 예방 및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아가베 시럽은 철분,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 등과 같은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고감미도 감미 소재 중 수크랄로스를 사용함으로써, 설탕과 가장 유사한 감미질을 가지면서도 혈당상승지수가 낮고 거의 제로 칼로리이어서, 제1형 또는 제2형 당뇨 환자의 단기 또는 장기적인 혈당 조절에 뛰어난,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은 사이코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지소화성 또는 난소화성 다당류를 사이코스 중량의 0.01 배 내지 200 배 중량으로 함유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배 내지 100 배 중량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배 내지 50 배 중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은 사이코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고감미도 감미 소재를 사이코스 중량의 0.001 배 내지 2 배 중량으로 함유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배 내지 1.5 배 중량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배 내지 1 배 중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감미료 섭취 시 혈당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문제 및 공복 시 혈당이 지나치게 저하되는 저혈당 문제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설탕과 유사한 정도의 감미도를 나타내는 이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기술함으로써 본원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원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3
감미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감미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로 설탕 5 g을 사용하였고, 비교예 2, 3 및 실시예 1, 2의 감미료 조성물은 설탕 5 g의 상대 감미도와 유사한 감미도를 나타내도록 하기 표 1과 같이 배합하여 감미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g) 공급사 원료 1 g당
상대 감미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설탕 CJ 제일제당 1 5 - - - -
에리스리톨 Zivogreen 0.63 - 8 - - -
사이코스 CJ 제일제당 0.56 - - 9 8 4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한국마쯔다니 0.1 - - - 5.6 3.5
레바우디오사이드 A GLG 200 - - - - 0.015
감미료 조성물의 상대 감미도 5 5.04 5.04 5.04 5.03
상기 감미료 조성물 중, 비교예 2에서 사용한 에리스리톨은 거의 제조 칼로리에 가까운 성분으로서 혈당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감미만을 제공하는 소재에 해당한다. 실시예 2에서 사용한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스테비올 배당체의 하나로 스테비올 배당체 중 순수한 단맛을 내는 성분만을 추출하여 만든 천연 고감미료의 하나이다.
실험예 1
혈당 변화 측정
(1) 혈당 측정을 위한 시료 준비 및 섭취 방식
상기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2에서 제조된 각각의 감미료 조성물을 섭취한 후의 혈당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공복 시 혈당 지수가 100 mg/dL 이하인 정상인 군 20~40 대 남자 5명, 여자 5명을 대상으로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감미료 조성물의 섭취 방식은, 우선 피실험자들에게 동일한 식사를 제공하고 식후 상기 감미료 조성물이 각각 함유된 커피를 섭취하게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피실험자에게 제공된 식사는 하기 표 2와 같다.
재료 사용량 (g)
식빵 75
20
양상추 20
딸기잼 20
게맛살 30
체다치즈 1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실험자에게 제공된 식사는 식빵 75 g, 햄 20 g, 양상추 20 g, 딸기잼 20 g, 게맛살 30 g, 체다 치즈 10 g으로 구성되었다. 우리 나라 식품 성분표 (Can pro 3.0, 한국영양학회)를 dl용하여 분석한 결과, 상기 식사는 총 356.4 kcal로, 총 열량 중 당질 59.57%, 단백질 18.14%, 지질 22.27%로 구성되었다.
상기의 식사를 제공한 후, 따뜻한 물 200 g에 무설탕 커피 1.6 g 및 상기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 2에서 제조된 감미료 조성물을 각각 혼합하여 커피를 제조하고 이를 피실험자들에서 섭취하도록 하였다.
제공된 커피 조성물은 하기 표 3과 같다.
원료(g) 공급사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커피 동서식품 1.6 1.6 1.6 1.6 1.6
설탕 CJ 제일제당 5 - - - -
에리스리톨 Zivogreen - 8 - - -
사이코스 CJ 제일제당 - - 9 8 4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한국마쯔다니 - - - 5.6 3.5
레바우디오사이드 A GLG - - - - 0.015
(2) 혈당 변화 측정
피실험자들의 식후 혈당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식사 전 혈당을 측정한 후 식사를 제공한 다음, 바로 커피를 제공하여 2 시간 동안 30분 간격으로 혈당을 측정하였다.
식사 및 커피 섭취 후의 혈당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도 1 참조).
시간 (분) 0 (식사 전) 30 60 90 120

혈당
(mg/dL)
비교예 1 93.1 139.1 123.7 98.5 96.7
비교예 2 92.8 137.1 121.6 97.7 97.2
비교예 3 92.4 123.3 114.5 93.1 94.1
실시예 1 92.9 *118.3 *109.5 *93.4 101.6
실시예 2 93.2 *120.3 *111.5 *92.9 97.9
*는 실시예 1 및 2 중, 비교예 1(설탕) 대비 p < 0.01 이하로 유의차를 나타내는 구간을 표시한 것이다.
실험예 2
혈당 면적 변화 측정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2 시간 동안 30분 간격으로 피실험자들의 혈당 면적(Area under the curve of glucose; G-AUC)을 측정하였다.
혈당 면적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간 (분) 30 60 90 120

혈당 면적
(mg/dL x 분)
비교예 1 3483 7425 10758 13686
비교예 2 3449 7329 10619 13542
비교예 3 3236 6803 9917 12725
실시예 1 3168 6585 9629 12554
실시예 2 3203 6680 9746 12608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과 비교할 때 실시예 1 및 2에서 모두 120 분간 혈당 면적에서 유의적 감소를 보였다(도 2 참조).
상기 실험예 1 및 2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식후에 식사로 인한 혈당 상승 구간이 약 60 분까지 진행되었고, 식후 60 분 이후부터는 혈당이 다시 공복 시의 수준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을 보였다.
식사 후 감미료 조성물이 함유된 커피 섭취로 인한 혈당 변화를 살펴보면, 커피 섭취 후 약 60 분까지의 혈당 상승치는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3, 실시예 2, 실시예 1 순서로 나타났으며, 식사 및 커피 섭취 후 90 분 내지 120 분에는 비교예 1 내지 3에서 보다 실시예 1 및 2에서 혈당이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당뇨병의 주된 원인 중 하나는 인슐린의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것에 있으며 이로 인해 식후에는 혈당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인슐린이 과다 분비되는 반면, 공복 시에는 저혈당 상태가 되는 것이 주된 문제이다.
비교예 1은 식사로 인한 혈당과 커피 내 함유된 설탕에 의한 혈당 상승이 더해져서 가장 높은 혈당 상승을 나타내었고, 비교예 2는 식사로 인한 혈당 상승만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3은 사이코스가 식사로 인한 혈당 상승을 낮추어 주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들과 비교할 때, 식사로 인한 급격한 혈당 상승을 억제해주면서 공복 시에는 비교예들 보다 오히려 혈당이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시예 1의 경우 혈당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는 동시에 체내에 지속적으로 혈당을 공급해주어 공복 시 또는 식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체내가 저혈당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원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사이코스의 소장에서의 탄수화물 흡수 억제 효과 및 난소화성 말토텍스트린의 음식물 소화 지체 효과로 식후 급격히 증가하는 혈당을 유의적으로 낮추어주고, 음식물이 천천히 소화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식후 약 2 시간이 지난 시점에도 지속적으로 체내에 당을 공급해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감미료 조성물의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감미료 조성물의 관능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20~50 대의 성인 남녀 총 25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험예 1에서 커피를 제조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탕 커피(상기 실험예 1의 비교예 1에 해당) 및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감미료 조성물을 각각 함유한 커피를 제조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평가 점수는 5 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가되었으며, 상기 관능 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전반 기호도 색상 기호도 전반 향 기호도 맛 기호도 뒷맛 기호도
설탕커피 3.30 3.62 3.52 3.34 3.22
실시예 1 3.15 3.50 3.35 3.30 3.20
실시예 2 3.28 3.55 3.47 3.20 3.24
상기 실험예 1 내지 3의 결과를 살펴볼 때, 본원 발명은 설탕과 유사한 감미도 및 관능 품질을 나타내면서도 식후 급격한 혈당 상승 및 공복 시 저혈당을 방지해주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당뇨병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효과적인 감미료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혈당의 조절/관리에 유의해야 할 사람들에게 있어 여러 가지로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우수한 감미 소재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6)

  1. 사이코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사이코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배 중량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0.001 내지 1배 중량의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120102931A 2011-09-15 2012-09-17 지소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KR101486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801 2011-09-15
KR20110092801 2011-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754A KR20130029754A (ko) 2013-03-25
KR101486367B1 true KR101486367B1 (ko) 2015-01-26

Family

ID=4788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2931A KR101486367B1 (ko) 2011-09-15 2012-09-17 지소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140342074A1 (ko)
EP (1) EP2756763B1 (ko)
JP (2) JP2014529994A (ko)
KR (1) KR101486367B1 (ko)
CN (2) CN103906437A (ko)
DK (1) DK2756763T3 (ko)
ES (1) ES2657021T3 (ko)
NO (1) NO2756763T3 (ko)
PL (1) PL2756763T3 (ko)
TR (1) TR201802346T4 (ko)
WO (1) WO201303936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09079D0 (en) 2013-03-15 2013-07-03 Tate & Lyle Ingredients Improved sweetner
GB201309077D0 (en) 2013-03-15 2013-07-03 Tate & Lyle Ingredients Improved sweetener
GB201309076D0 (en) 2013-03-15 2013-07-03 Tate & Lyle Ingredients Improved sweetener
TWI608803B (zh) * 2013-04-30 2017-12-21 Cj第一製糖股份有限公司 製備用於抑制血糖升高之含有難消化麥芽糊精之米飯的方法
GB2526383B (en) 2014-05-20 2018-01-31 Tate & Lyle Ingredients Americas Llc Improved sweetener
CN107109443B (zh) 2014-11-06 2021-11-02 庆尚大学校产学协力团 阿洛酮糖的制备方法
CA2977617C (en) * 2015-02-24 2021-05-04 Tate & Lyle Ingredients Americas Llc Allulose syrups
EP3329922A4 (en) * 2015-07-29 2019-03-27 Educational Foundation Jichi Medical University GLP-1 secretagogue
EP3373745A4 (en) 2015-11-12 2019-05-22 Petiva Private Limited CALORIE ARMY FOOD AND BEVERAGE PRODUCTS WITH LOW GLYAMIC INDEX (GI) AND SUGAR COMPOSITION WITH EXTENDED ENERGY RELIEF
CN108601383B (zh) * 2016-03-09 2022-08-12 Cj第一制糖株式会社 具有耐酸性增加的寡糖的甜味剂、包含所述甜味剂的食物组成物以及增加寡糖耐酸性的方法
BR112019007024A2 (pt) * 2016-10-07 2019-06-25 Cj Cheiljedang Corp composição de adoçante com qualidade de sabor melhorada compreendendo alulose e sal e método para melhorar a qualidade do sabor da alulose usando o sal
CA3039501C (en) * 2016-10-07 2021-07-27 Cj Cheiljedang Corporation Allulose-containing carbonated wa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1874928B1 (ko) * 2016-11-01 2018-07-05 주식회사 삼양사 저칼로리 커피 음료 조성물
KR20180047894A (ko)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삼양사 저칼로리 시리얼 바 조성물
BR112019021858A2 (pt) * 2017-04-18 2020-05-26 Purecircle Usa Inc. Composições para tratamento de hiperglicemia em pacientes com diabetes mellitus
CN107307252A (zh) * 2017-08-04 2017-11-03 西藏月王藏药科技有限公司 一种青稞红曲稀少糖功能食饮品及其制剂和制备方法
CN108042549B (zh) * 2017-12-26 2021-12-07 山东龙力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稀有单糖组合物及其应用
KR101964958B1 (ko) * 2018-04-20 2019-04-02 (주)네오크레마 결정 석출이 억제되고 혈당 상승 억제능을 갖는 팔라티노스 시럽
EP3801531A4 (en) * 2018-06-11 2022-04-20 Seattle Gummy Company LOW GLYCEMIC INDEX GUM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EP3806657A4 (en) * 2018-06-14 2022-03-30 Seattle Gummy Company COMPOSITION OF LOW GLYCEMIC INDEX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THEREOF
CN110037280A (zh) * 2019-04-22 2019-07-23 湖南绿果甜品有限公司 低热量复配甜味剂及其制备方法
KR102325860B1 (ko) * 2019-08-26 2021-11-1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저혈당지수 감미제
CN113907138A (zh) * 2021-10-28 2022-01-11 哈尔滨市汉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糖尿病人专用甜牛奶及其制备方法
CN115381076A (zh) * 2022-09-02 2022-11-25 河南中大恒源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d-阿洛酮糖的味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3227A (ja) * 2004-01-30 2005-08-11 Teikoku Seiyaku Co Ltd D−プシコースの血糖上昇抑制効果の利用
KR20060126999A (ko) * 2003-11-18 2006-12-11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혈압 강하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77072A (ko) * 2006-11-10 2009-07-14 마쓰다니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D-사이코스 함유 감미료 및 그것을 사용하여 얻어진 식품
JP2010018528A (ja) * 2008-07-09 2010-01-28 Matsutani Chem Ind Ltd 食物繊維と希少糖を含む生体機能改善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478A (ja) * 1999-05-07 2000-11-21 Bio Arubin Kenkyusho:Kk 機能性コーヒー
EP1538200B1 (en) 2002-05-22 2017-04-05 Matsutani Chemical Industry Co., Ltd. Method of utilizing physiological activity of rare saccharide and compositions containing rare saccharide
JP5171249B2 (ja) 2005-03-23 2013-03-27 株式会社希少糖生産技術研究所 D−プシコースの血糖値日内異常上昇抑制の用途
JP2006314240A (ja) * 2005-05-12 2006-11-24 Meiji Seika Kaisha Ltd 血糖値上昇抑制低カロリー甘味料
US8956677B2 (en) * 2005-11-23 2015-02-17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glucosamine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CN101312660B (zh) * 2005-11-23 2013-07-17 可口可乐公司 供体重管理之高效甜味剂以及经彼甜化的组成物
US8512789B2 (en) * 2005-11-23 2013-08-20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dietary fiber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US20070123970A1 (en) * 2005-11-29 2007-05-3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Bifurcation stent with overlapping crimped struts
JP2010503667A (ja) * 2006-09-15 2010-02-04 ホン ユー,ソ 大腸疾患用胆汁製剤
KR100815212B1 (ko) 2006-10-09 2008-03-19 조운행 혈당과 체중 조절용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배합물
US20080107787A1 (en) * 2006-11-02 2008-05-08 The Coca-Cola Company Anti-Diabetic Composition with High-Potency Sweetener
EP2111865B1 (en) 2006-11-17 2019-10-02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agawa University Utilization of the function of rare sugar as promoter for the migration of glucokinase from nucleus to cytoplasm
US20100204346A1 (en) * 2007-05-18 2010-08-12 Matsutani Chemical Industry Co., Ltd. Novel sweetener having sucrose-like tas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US20080292765A1 (en) * 2007-05-22 2008-11-27 The Coca-Cola Company Sweetness Enhancers, Sweetness Enhanced Sweetener Compositions,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AU2008256938B2 (en) * 2007-05-23 2013-02-28 Tate & Lyle Ingredients Americas Llc Edible composition comprising a slowly digestible or digestion resistant oligosaccharide composition
KR100910081B1 (ko) 2007-12-20 2009-07-3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지소화성이 증진된 전분의 제조방법
KR20110035805A (ko) 2009-09-30 2011-04-06 씨제이제일제당 (주) 사이코스-에피머화 효소의 고정화 및 이를 이용한 사이코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6999A (ko) * 2003-11-18 2006-12-11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혈압 강하제 및 그 제조 방법
JP2005213227A (ja) * 2004-01-30 2005-08-11 Teikoku Seiyaku Co Ltd D−プシコースの血糖上昇抑制効果の利用
KR20090077072A (ko) * 2006-11-10 2009-07-14 마쓰다니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D-사이코스 함유 감미료 및 그것을 사용하여 얻어진 식품
JP2010018528A (ja) * 2008-07-09 2010-01-28 Matsutani Chem Ind Ltd 食物繊維と希少糖を含む生体機能改善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56763A4 (en) 2015-06-17
CN107006861A (zh) 2017-08-04
CN107006861B (zh) 2021-08-17
WO2013039365A2 (ko) 2013-03-21
NO2756763T3 (ko) 2018-05-12
JP2014529994A (ja) 2014-11-17
JP6482480B2 (ja) 2019-03-13
TR201802346T4 (tr) 2018-03-21
KR20130029754A (ko) 2013-03-25
DK2756763T3 (en) 2018-03-19
PL2756763T3 (pl) 2018-05-30
EP2756763B1 (en) 2017-12-13
JP2016127836A (ja) 2016-07-14
CN103906437A (zh) 2014-07-02
US20140342074A1 (en) 2014-11-20
US20160324201A1 (en) 2016-11-10
EP2756763A2 (en) 2014-07-23
WO2013039365A3 (ko) 2013-05-10
ES2657021T3 (es)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367B1 (ko) 지소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Mooradian et al. The role of artificial and natural sweeteners in reducing the consumption of table sugar: A narrative review
Mora et al. The sensory properties and metabolic impact of natural and synthetic sweeteners
Grembecka Natural sweeteners in a human diet
KR101466260B1 (ko) 당 분해 억제성 성분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KR100779160B1 (ko) 타가토스를 함유하는 저혈당지수 혼합 조성물
Ohkuma et al. 44 Fibersol-2: a Soluble, Non-digestible, Starch-derived Dietary Fibre
US20070082105A1 (en) Polysaccharide sweetener compounds, process for manufacture, and method of selecting components for polysaccharide sweetener compounds based on user specific sweetener applications
JP2006314240A (ja) 血糖値上昇抑制低カロリー甘味料
US20220273010A1 (en) Sugar substitute compositions
Veena et al. Polydextrose as a functional ingredient and its food applications: a review
CN106820069A (zh) 一种具有调节肠道功能的天然复配甜味剂及其制备方法
Auerbach et al. Bulking Agents–Multi‐Functional Ingredients
US20070059422A1 (en) Disaccharide sweetener compounds, process for manufacture, and method of selecting components for dissacaride sweetener compounds based on user specific sweetener applications
Stowell Polydextrose
CN107981314A (zh) 菊粉高倍复配甜味剂、其制备方法及应用
CN112868973A (zh) 一种含有l-阿拉伯糖的甜味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