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720B1 -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720B1
KR101485720B1 KR20137009807A KR20137009807A KR101485720B1 KR 101485720 B1 KR101485720 B1 KR 101485720B1 KR 20137009807 A KR20137009807 A KR 20137009807A KR 20137009807 A KR20137009807 A KR 20137009807A KR 101485720 B1 KR101485720 B1 KR 101485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insulating layer
thin film
gat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0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3570A (ko
Inventor
쉬에후이 쟝
Original Assignee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43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element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covered by group H10K10/00
    • H10K19/1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element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covered by group H10K10/00 comprising field-effect transis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7Through-hole 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 to the active element through an insulation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02F1/136295Materials; Compositions; Manufacture proces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10K10/46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 H10K10/464Lateral top-gate IGFETs comprising only a single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5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including organic TFTs [O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20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 H10K71/231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by etching of exis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60Forming conductive regions or layers, e.g. electrodes
    • H10K71/611Forming conductive regions or layers, e.g. electrodes using printing deposition, e.g. ink jet prin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10K71/13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using ink-jet pri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기 반도체 어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픽셀 구조를 포함하는데, 픽셀 구조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픽셀 전극, 공통 전극 라인,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층, 유기 반도체층,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데이터 라인,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픽셀 전극 위에, 아래에서 위로 제1 뱅크 절연층 및 제2 뱅크 절연층을 순서대로 배치하고, 프린팅을 통해 제1 뱅크 절연층 및 제2 뱅크 절연층의 개구 및 스루홀에 픽셀 구조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OTFT) 어레이 기판은 대면적 프로세싱(large-area processing)에 적합하며, 플렉서블 기판(flexible substrate)을 이용할 수 있고, 낮은 공정 비용 등의 이점을 가지며, 이로써 평판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성장 전망이 좋다. 일반적으로, OTFT 어레이 기판의 제조 중에 패턴화된 층상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패턴화 공정들을 요구한다. 이 과정에서,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층, 및 유기 반도체를 위한 대량의 원료들을 소비하고, 제조 효율은 상대적으로 낮다.
ADS(advanced super dimension switch) 기술을 사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는 광시야각(wide-viewing-angle) 디스플레이로써, 동일 평면에 있는 슬릿(slit) 전극들의 에지(edge)에서 생성된 전기장 및 슬릿 전극들의 층과 판상 전극의 층 사이에 생성된 전기장을 통해 다차원 전기장을 형성하여, 전극의 바로 위에 및 슬릿 전극(slit electrode) 사이에 위치한 액정 셀 내에 정렬되는 모든 액정 분자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액정의 작업 효율(work efficiency)을 향상시키고 투과 효율(transmissive efficiency)을 증가시킨다. ADS 기술은 TFT-LCD 제품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고, 고해상도, 고투과율, 저전력소비, 광시야각, 고개구율(aperture ratio), 낮은 색수차, 푸쉬 무라 미발생(push Mura-free) 등의 이점을 갖는다.
ADS 모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하는 동안에,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체, 유기 반도체층,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신호 라인, 및 픽셀 전극의 형성은 통상적으로 여러 차례의 피착(deposition), 노광(exposure), 및 식각(etching) 등의 복수의 패턴화 공정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과정에서 번거로운 공정, 낮은 효율, 및 심각한 재료 낭비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투명 기판에 형성된 픽셀 구조를 포함하는 OTFT 어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픽셀 구조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OTFT, 픽셀 전극, 공통 전극 라인,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하며, OTFT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층, 유기 반도체층,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데이터 라인,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픽셀 전극 상에, 아래에서부터 위로 제1 뱅크 절연층 및 제2 뱅크 절연층을 순서대로 배치하고, 제1 뱅크 절연층에는 제1 스루홀,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구비하고, 제1 개구에는 프린팅을 통해 게이트 라인을 형성하며, 제2 개구에는 프린팅을 통해 공통 전극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스루홀에는 프린팅을 통해 아래에서부터 위로 유기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층, 및 게이트 전극을 순서대로 형성하는데,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라인에 접속하고, 유기 반도체층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에 접속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OTFT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투명 기판 상에 투명 도전성 박막을 피착하고, 패턴화 공정을 통해 데이터 라인,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픽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감광성 수지를 코팅 및 경화시켜 제1 뱅크 절연층을 형성하고, 제1 뱅크 절연층에서 노광 및 현상을 수행하여 제1 스루홀,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형성하고, 프린팅을 통해 제1 스루홀에 유기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유기 반도체층 상에 게이트 절연층을 프린팅하고, 프린팅을 통해 유기 반도체층 상에 또한 제1 개구 및 제2 개구 내에 게이트 전극, 게이트 라인, 및 공통 전극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 유기 반도체층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접속함 - ;
감광성 수지를 다시 코팅 및 경화시켜 제2 뱅크 절연층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을 통해 제2 뱅크 절연층에 서로 통하는 제3 개구와 제2 스루홀을 형성하며, 프린팅을 통해 제2 스루홀 및 제3 개구 내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 여기서 제3 개구는 픽셀 전극을 덮으며 빗살형상(comb shape)으로 배열됨 - .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전술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OTFT 어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감광성 수지로 제1 뱅크 절연층 및 제2 뱅크 절연층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OTFT 어레이 기판에 유기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층, 게이트 전극, 게이트 라인, 공통 전극, 공통 전극 라인 등의 구조들을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형성하고, 프린팅을 통해 제1 뱅크 절연층 및 제2 뱅크 절연층의 스루홀 및 개구 내에 유기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층, 게이트 전극, 게이트 라인, 공통 전극, 및 공통 전극 라인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유기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층, 게이트 전극, 게이트 라인, 공통 전극, 공통 전극 라인 등의 구조들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들을 절약하고, 더욱이 유기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층, 게이트 전극, 게이트 라인, 공통 전극, 공통 전극 라인 등의 구조의 정확도를 더 양호하게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책을 더욱 분명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하 실시예들의 도면들을 간단히 설명한다. 후술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TFT 어레이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A’ 라인을 따라 절취한 OTFT 어레이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OTFT 어레이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C-C’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다른 OTFT 어레이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투명 도전성 박막 및 포토레지스트를 피착한 후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투명 도전성 박막이 식각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제1 뱅크 절연층과 이를 통해 둘러싸인 구조들의 형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제조 방법에서 투명 도전성 박막 및 금속 박막을 피착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제조 방법에서 포토레지스트가 패턴화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제조 방법에서 제1 식각 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제조 방법에서 제2 식각 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 기술적 세부사항, 및 이점들을 명백히 하기 위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도면과 연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명확하게 완전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할 것이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단지 일부일 뿐 전체가 아님이 자명하다.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에 기반하여, 당업자는 별다른 창조적 작업 없이 본 발명에 의해 보호하기 위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하는 다른 실시예(들)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으면,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 또는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통상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특허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항에 사용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어떠한 순서, 번호, 또는 중요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단지 상이한 구성 부분들을 구별하는데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하나(a, an)”, “그(the)” 등의 용어는 숫자에서의 제한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존재를 특정한다. “포함하다(comprises)”, “구비하다(includes)”, “함유하다(contains)”, “포함하는(comprising)”, “구비하는(including)” 등의 용어는 주체인 구성요소 또는 물품이 대상인 구성요소(들) 또는 물품(들)을 망라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다른 구성요소 또는 물품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접속(connection)” 등의 용어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 접속에 제한되지 않고 직간접적인 전기적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upper)”, “하부(lower)”, “좌측(left)”, “우측(right)” 등은 단지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데 사용하며, 설명된 객체의 절대적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따라 상대적 위치 관계도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기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며, 이들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은 서로 교차하여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픽셀 유닛들을 정의하는데, 이들 각각은 스위치 소자로서 기능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액정의 정렬을 제어하기 위한 픽셀 전극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 픽셀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 게이트 전극은 대응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하며, 소스 전극은 대응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하며, 드레인 전극은 대응 픽셀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하기에 주로 단일 픽셀 유닛 또는 복수의 픽셀 유닛에 대해 설명하지만, 다른 픽셀 유닛(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도 1의 A-A’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OTFT) 어레이 기판은 투명 기판(1)에 형성된 (픽셀 유닛의) 픽셀 구조를 포함한다.
픽셀 구조는 게이트 라인(7b), 데이터 라인(2b), OTFT, 픽셀 전극(2a), 공통 전극(9), 및 공통 전극 라인(7c)을 포함한다.
OTFT는 게이트 전극(7a), 게이트 절연층(6), 유기 반도체층(5),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을 포함한다.
데이터 라인(2b), 소스 전극(2c), 드레인 전극(2d), 및 픽셀 전극(2a) 위에, 제1 뱅크 절연층(bank insulating layer)(4) 및 제2 뱅크 절연층(8)을 아래에서 위로 순서대로 배치한다.
제1 뱅크 절연층(4)에는, 제1 스루홀(through hole)(4a), 제1 개구(opening)(4b), 및 제2 개구(4c)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뱅크 절연층에 형성된 스루홀 및 개구에 대한 언급하면, 스루홀은 뱅크 절연층 전체를 관통하고, 개구는 뱅크 절연층에 형성된 홈(groove)으로서 뱅크 절연층의 일부가 하부에 남아있다.
제1 개구(4b)에는 프린팅(printing)을 통해 게이트 라인(7b)을 형성하며, 제2 개구(4c)에는 프린팅을 통해 공통 전극 라인(7c)을 형성한다.
제1 스루홀(4a)에는 프린팅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유기 반도체층(5), 게이트 절연층(6), 및 게이트 전극(7a)을 순서대로 형성하며, 게이트 전극(7a)은 게이트 라인(7b)에 접속하며, 유기 반도체층(5)은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에 접속(접촉)한다.
제2 뱅크 절연층(8)에는, 서로 통하는 제3 개구(8a) 및 제2 스루홀(8b)을 구비하며, 제3 개구(8a)는 빗살 형상(comb shape)으로 픽셀 전극(2a)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스루홀(8b)은 제2 개구(4c)와 서로 통한다.
제3 개구(8a) 및 제2 스루홀(8b)에는, 프린팅을 통해 공통 전극(9)을 형성한다. 공통 전극(9) 및 공통 전극 라인(7c)은 제2 스루홀(8b)에서의 접속을 통해 서로 접촉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투명 도전성 박막(2)에 대해 에칭을 통해 소스 전극(2c), 드레인 전극(2d), 픽셀 전극(2a), 및 데이터 라인(2b)을 각각 형성한다. 프린팅을 통해 게이트 전극(7a), 게이트 라인(7b), 및 공통 전극 라인(7c)을 각각 형성한다. 투명 기판(1)은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소스 전극(2c), 드레인 전극(2d), 및 데이터 라인(2b)의 표면에 금속 박막(3)을 더 배치한다.
선택적으로,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을 제1 스루홀(4a)로 연장하고,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서로 대향하며, 소스 전극(2c)과 드레인 전극(2d) 사이의 거리는 제1 스루홀(4a)의 양측에 있는 금속 박막들(3)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선택적으로, 유기 반도체층(5)의 두께는 소스 전극(2c)과 드레인 전극(2d) 각각의 두께보다 두껍다.
선택적으로, 유기 반도체층(5)은 제1 스루홀(4a)의 양측에 있는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의 측벽(sidewall)들에 접속한다.
선택적으로, 제1 뱅크 절연층(4) 및 제2 뱅크 절연층(8)은 감광성 수지 재료로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데이터 라인(2b), 소스 전극(2c), 드레인 전극(2d), 픽셀 전극(2a), 및 공통 전극(9)의 재료들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아연산화물(indium zinc oxide), 및 기타 도전성 재료들이다.
선택적으로, 유기 반도체층(5)을 위한 재료는 티오펜 화합물(thiophene compound), 프탈로시아닌 화합물(phthalocyanine compound)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게이트 절연층(6)의 재료는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게이트 전극(7a)은 도전성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화합물, 구리, 또는 은 중 하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개구(4b)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7b), 제2 개구(4c)에 배치된 공통 전극 라인(7c), 제1 스루홀(4a)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7a)의 상면은 제1 뱅크 절연층(4)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있다.
도 3 및 도 4(도 4는 도 3의 C-C’ 라인에 따른 단면도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전술한 OTFT 어레이 기판의 데이터 라인(2b),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의 도전성을 향상시키고, 픽셀 전극(2a)의 충전 속도를 강화하기 위해, 소스 전극(2c), 드레인 전극(2d), 및 데이터 라인(2b)의 표면상에 금속 박막(3)을 배치한다. 금속 박막(3)을 위한 재료는 알루미늄, 텅스텐, 크롬, 탄탈륨, 몰리브덴, 또는 구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유기 반도체층(5)이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과 접속하는 경우 유기 반도체층(5)은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의 측벽에만 접속하기 때문에, 오접속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유기 반도체층(5)과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 사이의 접속 영역을 확대하여 오접속을 회피하도록, 선택적으로,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을 제1 스루홀(4a)로 연장하고,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은 서로 접속시키지 않으며, 소스 전극(2c)과 드레인 전극(2d) 사이의 거리는 제1 스루홀(4a)의 양측에 있는 금속 박막(3)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전술한 OTFT 어레이 기판들 중 하나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TFT 어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100): 투명 도전성 박막을 투명 기판 상에 피착한다.
투명 도전성 박막(2)을 투명 기판(1) 상에 피착한다. 투명 도전성 박막(2)은 인듐주석산화물, 인듐아연산화물 등의 도전성 재료일 수 있고, 투명 기판(1)은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등일 수 있다.
단계(101):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고,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패턴화 공정을 통해, 데이터 라인,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픽셀 전극을 에칭하여 형성하고, 남은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다.
여기에서, 패턴화 공정은 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의 코팅, 노광 및 현상, 에칭, 포토레지스트의 제거 등을 포함하며, 공정들의 세부 사항을 이하에서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10)를 투명 도전성 박막(2) 상에 스핀코팅(spin-coating)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도전성 박막(2)을 에칭하도록 제1 패턴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픽셀 전극(2a), 데이터 라인(2b),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을 형성하고, 에칭을 종료한 후 박리제(stripper agent)를 이용하여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10)를 제거한다.
단계(102): 감광성 수지를 코팅 및 경화시켜 제1 뱅크 절연층을 형성하고, 더블톤 마스크(double-tone mask, 예를 들어, 하프톤(half-tone) 마스크 또는 그레이톤(grey-tone) 마스크)를 통해 제1 뱅크 절연층 상에 노광 및 현상을 수행하여 제1 스루홀,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형성하고; 프린팅을 통해 제1 스루홀에 유기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유기 반도체층 상에 게이트 절연층을 프린팅하며, 프린팅을 통해 게이트 절연층 상에 또한 제1 개구와 제2 개구 내에 게이트 전극, 게이트 라인, 및 공통 전극 라인을 형성한다. 유기 반도체층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에 접속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용액일 수 있는 감광성 수지 용액을 투명 전극(1) 상에 도포한다. 감광성 수지로 투명 전극(1)의 표면을 덮은 후, 예를 들어, 섭씨 110도 등의 조건 하에 1분 내지 30분 동안 프리베이킹(pre-baking)을 수행하여 감광성 수지 용액 내의 용매를 휘발시킬 수 있다.
더블톤 마스크로 노광 및 현상을 수행한 후, 제1 스루홀(4a), 제1 개구(4b), 및 제2 개구(4c)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더블톤 마스크는 감광성 수지를 커버하도록 형성하는데, 이 마스크는 하프톤 마스크 또는 그레이톤 마스크이며, 이 중 하프톤 부분 또는 그레이톤 부분은 마스크의 부분 투과 영역으로서 제1 개구(4b) 및 제2 개구(4c)를 형성할 곳인 감광성 수지의 표면의 일부에 대응하고; 마스크의 완전 광차단 영역은 감광성 수지의 완전 보유 영역에 대응하며; 마스크의 완전 투과 영역은 감광 영역의 완전 제거 영역에 대응하는데,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의 측벽을 노출시키는 제1 스루홀(4a)을 형성하도록 한다. 감광성 수지의 노광 및 현상의 완료 후에, 예를 들어, 약 섭씨 130도의 조건에서 1분 내지 30분 동안 포스트베이킹(post-baking)을 수행하여 제1 스루홀(4a), 제1 개구(4b), 및 제2 개구(4c)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킨다. 이로써, 제1 뱅크 절연층(4)을 형성한다.
제1 뱅크 절연층(4)의 형성 후에, 프린터와 같은 프린팅 장치를 제어하여 제1 스루홀(4a), 제1 개구(4b), 및 제2 개구(4b)에 프린팅을 수행한다. 우선, 유기 반도체층(5)을 형성하기 위한 유기 반도체 용액을 제1 스루홀(4a)에 프린팅한다. 다음으로, 유기 반도체 용매를 증발시켜 유기 반도체층(5)을 형성하고, 유기 반도체 용매의 증발 동안, 어닐링 공정(annealing process)을 더 수행하여 유기 반도체 용액의 조성을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반도체층(5)의 두께를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 각각의 두께보다 두껍게 하여, 유기 반도체층(5)은 유기 반도체층(5)의 양측에 있는 소스 전극(2c)과 드레인 전극(2d)의 측벽과 완전히 접촉한다. 그런 후에, 유기 반도체층(5)의 표면 상에 폴리비닐 알코올과 같은 게이트 절연층(6)을 형성하기 위한 용액을 프린팅하고, 용액의 증발 후에, 게이트 절연층(6)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게이트 절연층(6)의 형성 후에, 각각의 게이트 절연층(6)의 표면 상에, 또한 제1 개구(4b) 및 제2 개구(4c) 내에 도전성 폴리티오펜 용액, 구리 페이스트(copper paste) 또는 은 페이스트(silver paste)와 같은 용액 또는 액체인 게이트 전극 재료를 프린팅하고, 용매를 증발시키거나 액체를 경화시킨 후, 게이트 전극(7a), 게이트 라인(7b), 및 공통 전극 라인(7c)을 각각 형성한다.
감광성 수지 상에 노광 및 현상을 통해 제1 스루홀(4a), 제1 개구(4b), 및 제2 개구(4c)를 포함하는 제1 뱅크 절연층(4)을 형성하고, 제1 뱅크 절연층(4)의 제1 스루홀(4a), 제1 개구(4b), 및 제2 개구(4c)에 프린팅을 수행하여, 용액 또는 액체가 프린팅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뱅크 절연층은 개구 및 스루홀을 구비하여, 잉크 프린팅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유기 반도체층(5), 게이트 절연층(6), 게이트 전극(7a), 신호 라인(7b), 및 공통 전극(7c)의 정확도를 보장하며, 유기 반도체층(5)과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 사이의 접촉 영역을 보장한다. 이로써, 형성된 OTFT의 특성을 보장한다.
단계(103): 감광성 수지를 다시 도포하고 경화시켜 제2 뱅크 절연층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을 통해 제2 뱅크 절연층 상에 서로 통하는 제3 개구와 제2 스루홀을 형성하며, 프린팅을 통해 제2 스루홀 및 제3 개구 내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데, 제3 개구는 빗살 형상으로 픽셀 전극의 상부를 덮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성 수지를 제1 뱅크 절연층(4) 상에 다시 코팅하고, 감광성 수지로 제1 뱅크 절연층(4)을 덮은 후, 예를 들어, 약 섭씨 110도의 조건에서 1분 내지 30분 동안 프리베이킹을 수행하여 감광성 수지의 용매를 휘발시킨다. 감광성 수지에 노광 및 현상을 수행함으로써, 서로 통하는 제3 개구(8a)와 제2 스루홀(8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스루홀(8b)은 제2 개구(4c)와 통하고 제3 개구(8a)는 빗살 형상으로 픽셀 전극(2a)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약 섭씨 110도의 조건 하에 1분 내지 30분 동안 포스트베이킹을 수행하여 경화(solidification)를 통해 제2 뱅크 절연층(8)을 형성하고; 제2 스루홀(8b) 및 제3 개구(8a) 내에 공통 전극(9)을 형성하기 위한 용액을 프린팅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공통 전극(9)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뱅크 절연층(8)의 제2 스루홀(8b) 및 제3 개구(8a) 내에 공통 전극(9)을 형성하기 위한 용액을 프린팅하기 때문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용액의 확산을 제한하고, 픽셀 구조의 정확도를 보장한다. 이에 따라,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보장한다.
잉크 프린팅 공정은 패턴이 형성될 필요가 있는 영역에 패턴을 실현하는데 사용되는 잉크(게이트 전극(7a), 게이트 절연층(6), 유기 반도체층(5), 게이트 라인(7b), 공통 전극 라인(7c), 및 공통 전극(9)을 형성하는 재료)를 프린팅하여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일 수 있다. 이 공정은 패턴화된 층상 구조를 직접 형성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프린팅 방식을 통해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것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재료를 절약하며, 원가을 절감하고, 제품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기 반도체층(5)과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 사이의 접촉 영역을 보장할 수 있다. 이 공정의 높은 패턴 정확도로 인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향상이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잉크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공통 전극 라인을 제조하는 것은 공통 전극의 빗살 형상의 패턴을 정밀하게 형성하며, 이로써 디스플레이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OTFT 어레이 기판에서, 픽셀 전극의 충전 속도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데이터 라인(2b)을 통한 공통 전극(2a)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투명 기판 상에 투명 도전성 박막을 피착한 후, 금속 박막의 피착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판(1) 상에 투명 도전성 박막(2)을 피착한 후, 투명 도전성 박막(2)의 표면 상에 금속 박막(3)을 피착한다.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의 가속화된 플라스마가 타깃과 충돌하고, 전기장 및 자기장의 작용 하에 충돌된 타깃의 원자들을 투명 도전성 박막(2)에 균일하게 부착하는 스퍼터링 장치 내에서 피착을 수행하여, 금속 박막(3)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 박막(3)의 재료는 알루미늄, 텅스텐, 크롬, 탄탈륨, 몰리브덴, 또는 구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금속 박막(3)의 형성 후에, 선택적으로,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고,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패턴화 공정을 사용하여, 데이터 라인,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픽셀 전극을 에칭을 통해 형성하고,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특정한 예시를 다음과 같이 설명할 것이다.
단계(200): 포토레지스트를 스핀코팅하고, 더블톤 마스크를 통해 패턴화 공정을 수행하여, 포토레지스트의 완전 보유 영역(fully-retained region), 부분 보유 영역(partially-retained region), 및 완전 제거 영역(fully-removed region)을 형성한다.
금속 박막(3)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스핀코팅하고, 더블톤 마스크를 이용하여 패턴화 공정을 수행한다. 노광 및 현상 후에,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도 9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하는데, 즉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 완전 보유 영역(10a), 부분 보유 영역(10b), 및 완전 제거 영역(10c)을 형성한다. 완전 보유 영역(10a)은 광을 완전히 차단하는 마스크의 쉴드 부분의 영역에 대응하며, 부분 보유 영역(10b)은 하프톤 또는 그레이톤 마스크의 부분 투과 부분의 영역에 대응하며, 완전 제거 영역(10c)은 마스크의 완전 투과 영역에 대응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로서 설명한다.
단계(201): 에칭을 통해 데이터 라인,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픽셀 전극을 형성하고, 데이터 라인,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픽셀 전극의 표면 상에 금속 박막을 남겨둔다.
예를 들어, 에칭을 위한 에칭 챔버 내에 투명 전극(1)을 위치시킨다.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10)의 완전 제거 영역(10c) 아래에 있는 금속 박막(3) 및 투명 도전성 박막(2)을 에칭 제거하고, 투명 도전성 박막(2)으로 형성한 데이터 라인(2b), 소스 전극(2c), 드레인 전극(2d), 및 픽셀 전극(2a)을 획득하며, 데이터 라인(2b), 소스 전극(2c), 드레인 전극(2d), 및 픽셀 전극(2a) 상에 금속 박막(3)을 남겨둔다.
단계(202): 부분 보유 영역에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도록 포토레지스트에 에싱(ashing)을 수행하며, 에칭을 통해 픽셀 전극 표면 상의 금속 박막을 제거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10)에 에싱을 수행하여, 부분 보유 영역(10b)의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고, 이로써 부분 보유 영역(10b) 아래에 있는 금속 박막(3)을 노출시키지만, 또한 완전 보유 영역(10a)의 포토레지스트는 부분적으로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에칭을 다시 수행하여, 픽셀 전극(2a)의 표면에 대응하는 금속 박막(3)을 제거하고, 이로써 아래에 있는 픽셀 전극(2a)을 노출시킨다. 금속 박막(3)을 식각하는 동안, 금속만을 에칭하는 에칭 용액 또는 에칭 가스를 선택하거나 에칭 시간의 제어를 통해 부분 보유 영역(10b)에서 금속 박막(3)을 에칭 제거하고, 투명 도전성 박막(2)을 남겨둘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OTFT 어레이를 형성한다. 데이터 라인(2b),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의 표면에 금속 박막(3)을 부착하여, 금속 박막(3)의 더 우수한 도전 특성으로 인해 투명 도전성 박막(2)으로 형성된 데이터 라인(2b), 소스 전극(2c), 및 드레인 전극(2d)의 도전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데이터 라인(2b)에 의해 소스 전극(2a) 및 드레인 전극(2d)을 거쳐 픽셀 전극(2a)을 충전하는 속도가 증가한다.
전술한 OTFT 어레이 기판 제조 방법들 중 하나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탑-게이트(top-gate) 방식의 TFT 어레이 기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 전자 종이, OLED 패널, 액정 텔레비전, 액정 디스플레이, 디지털 포토 프레임(digital photo frame),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또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있는 다른 제품 또는 구성부품에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는 서로 대향하는 어레이 기판 및 대향 기판(opposing substrate)을 구비하여 내부가 액정 물질로 충진된 액정 셀을 형성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대향 기판은 예를 들어, 컬러 필터 기판이다. 어레이 기판의 각 픽셀 유닛에 대한 픽셀 전극은 액정 물질의 회전 정도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장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여 디스플레이 작동을 실현한다. 일부 예시에서, 액정 장치는 어레이 기판에 백라이트를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소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공하는 OTFT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서, 감광성 수지로 제1 뱅크 절연층 및 제2 뱅크 절연층을 각각 형성하고, 프린팅을 통해 제1 뱅크 절연층 및 제2 뱅크 절연층의 스루홀 및 개구 내에 유기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층, 게이트 전극, 게이트 라인, 공통 전극, 및 공통 전극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OTFT 어레이 기판에 유기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층, 게이트 전극, 게이트 라인, 공통 전극, 공통 전극 라인 등의 구조들을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형성한다. 이로써, 유기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층, 게이트 전극, 게이트 라인, 공통 전극, 공통 전극 라인 등의 구조들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들을 절약할 수 있고, 더욱이 유기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층, 게이트 전극, 게이트 라인, 공통 전극, 공통 전극 라인 등의 구조의 정확도를 더 양호하게 제어한다.
앞선 설명은 본 발명의 단순히 특정 실시예들일 뿐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의 보호 범위에 의해 정의될 것이다.
1: 투명 기판
2: 투명 도전성 박막
2a: 픽셀 전극
2b: 데이터 라인
2c: 소스 전극
2d: 드레인 전극
3: 금속 박막
4: 제1 뱅크 절연층
4a: 제1 스루홀
4b: 제1 개구
4c: 제2 개구
5: 유기 반도체층
6: 게이트 절연층
7a: 게이트 전극
7b: 게이트 라인
7c: 공통 전극 라인
8: 제2 뱅크 절연층
8a: 제3 개구
8b: 제2 스루홀
9: 공통 전극
10: 포토레지스트
10a: 완전 보유 영역
10b: 부분 보유 영역
10c: 완전 제거 영역

Claims (17)

  1.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투명 기판에 형성된 픽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픽셀 구조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픽셀 전극, 공통 전극 라인,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층, 유기 반도체층,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 상기 소스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 및 상기 픽셀 전극 상에 아래에서 위로 제1 뱅크 절연층 및 제2 뱅크 절연층이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뱅크 절연층에 제1 스루홀,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1 스루홀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개구에 프린팅을 통해 상기 게이트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개구에 프린팅을 통해 상기 공통 전극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스루홀에 프린팅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상기 유기 반도체층, 상기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을 순서대로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게이트 라인에 접속하며, 상기 유기 반도체층은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에 접속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뱅크 절연층에는 서로 통하는 제3 개구 및 제2 스루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스루홀은 상기 제2 개구와 통하며;
    상기 제3 개구 및 상기 제2 스루홀에, 프린팅을 통해 상기 공통 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 라인은 상기 제2 스루홀을 통해 서로 접속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3. 제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 및 상기 데이터 라인의 표면 상에 금속 박막을 배치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상기 제1 스루홀로 연장하고,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서로 접속하지 않으며,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스루홀의 양측에 있는 금속 박막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반도체층의 두께는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의 두께보다 두꺼운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반도체층은 상기 제1 스루홀의 양측에 있는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의 측벽들에 접속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뱅크 절연층 및 상기 제2 뱅크 절연층은 감광성 수지 재료로 형성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 상기 소스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 상기 픽셀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을 위한 재료는 인듐주석산화물 또는 인듐아연산화물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반도체층의 재료는 티오펜 화합물 또는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층의 재료는 폴리비닐 알코올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도전성 폴리티오펜 화합물, 구리, 또는 은 중 하나로 형성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 상기 제2 개구에 배치된 공통 전극 라인, 상기 제1 스루홀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의 상단면은 제1 뱅크 절연층의 상단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을 위한 금속은 알루미늄, 텅스텐, 크롬, 탄탈륨, 몰리브덴, 또는 구리 중 하나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4.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투명 기판 상에 투명 도전성 박막을 피착하고, 패턴화 공정을 통해 데이터 라인,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픽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감광성 수지를 코팅 및 경화시켜 제1 뱅크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뱅크 절연층에 노광 및 현상을 수행하여 제1 스루홀,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형성하고, 프린팅을 통해 상기 제1 스루홀에 유기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유기 반도체층 상에 게이트 절연층을 프린팅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또한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 내에 프린팅을 통해 게이트 전극, 게이트 라인, 및 공통 전극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유기 반도체층은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에 접속함 - ; 및
    감광성 수지를 다시 코팅 및 경화시켜 제2 뱅크 절연층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을 통해 상기 제2 뱅크 절연층에 서로 통하는 제3 개구 및 제2 스루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스루홀 및 상기 제3 개구에, 프린팅을 통해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기 투명 도전성 박막을 피착한 후에 금속 박막을 피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턴화 공정을 통한 상기 데이터 라인, 상기 소스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 및 상기 픽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포토레지스트를 스핀코팅하고, 더블톤 마스크를 통해 노광 및 현상을 수행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완전 보유 영역, 부분 보유 영역, 및 완전 제거 영역을 형성하고;
    에칭을 통해 상기 데이터 라인, 상기 소스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 및 상기 픽셀 전극의 표면 상에 상기 금속 박막이 남겨져 있는 상기 데이터 라인, 상기 소스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 및 상기 픽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상에 에싱(ashing)을 수행하여, 상기 부분 보유 영역을 제거하며, 상기 픽셀 전극의 표면 상의 상기 금속 박막을 에칭을 통해 제거하고 남은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박리(stripp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뱅크 절연층은 더블톤 마스크를 통해 노광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17. 제1항에 기재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7009807A 2012-04-24 2012-12-07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85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123042.5 2012-04-24
CN201210123042 2012-04-24
CN201210269320.8A CN102789106B (zh) 2012-04-24 2012-07-30 有机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以及显示装置
CN201210269320.8 2012-07-30
PCT/CN2012/086222 WO2013159538A1 (zh) 2012-04-24 2012-12-07 有机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以及显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570A KR20130143570A (ko) 2013-12-31
KR101485720B1 true KR101485720B1 (ko) 2015-01-22

Family

ID=4715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09807A KR101485720B1 (ko) 2012-04-24 2012-12-07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81353B2 (ko)
EP (1) EP2672316B1 (ko)
JP (1) JP6049111B2 (ko)
KR (1) KR101485720B1 (ko)
CN (1) CN102789106B (ko)
WO (1) WO2013159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9106B (zh) * 2012-04-24 2015-0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以及显示装置
JP2015023161A (ja) * 2013-07-19 2015-02-02 ソニー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CN104393019B (zh) * 2014-11-07 2017-1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1712246B1 (ko) * 2014-12-05 2017-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자기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US9780973B2 (en) 2015-03-02 2017-10-03 Nxp Usa, Inc. Channel estimation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749845A (zh) 2015-04-17 2015-07-01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591636B1 (ko) 2016-03-24 2023-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249534A1 (en) * 2017-04-01 2020-08-06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rray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300A (ko) * 2004-09-29 2007-05-2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희생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변형 채널 fet
KR20070071163A (ko) * 2005-12-29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830B1 (ko) * 2002-07-29 2008-08-18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201017B1 (ko) * 2005-06-27 2012-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63300A (ko) * 2005-12-14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44898B1 (ko) * 2006-06-28 2013-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30155A (ko) * 2006-09-29 200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216204B2 (ja) * 2006-10-31 2013-06-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389219B1 (ko) * 2006-12-29 2014-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258138A1 (en) 2007-04-23 200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flat panel display with the same
KR101326129B1 (ko) 2007-07-24 2013-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TWI509673B (zh) * 2007-09-05 2015-11-21 尼康股份有限公司 A manufacturing method of a display element,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display element, and a display device
KR101264722B1 (ko) * 2007-09-20 2013-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N101556417B (zh) * 2008-04-11 2010-12-01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Ffs型tft-lcd阵列基板结构及其制造方法
KR20090124546A (ko) * 2008-05-30 2009-1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JP4618337B2 (ja) * 2008-06-17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017500A1 (ja) * 2010-08-06 2012-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表示パネル、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CN102789106B (zh) * 2012-04-24 2015-0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以及显示装置
CN107289106A (zh) 2016-04-12 2017-10-24 江阴市富明机械有限公司 带有把手的不粘密封盖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300A (ko) * 2004-09-29 2007-05-2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희생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변형 채널 fet
KR20070071163A (ko) * 2005-12-29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9538A1 (zh) 2013-10-31
KR20130143570A (ko) 2013-12-31
EP2672316B1 (en) 2020-05-06
JP2015520940A (ja) 2015-07-23
EP2672316A1 (en) 2013-12-11
US9281353B2 (en) 2016-03-08
US20140110677A1 (en) 2014-04-24
CN102789106B (zh) 2015-01-07
CN102789106A (zh) 2012-11-21
JP6049111B2 (ja) 2016-12-21
EP2672316A4 (en)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720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9412760B1 (en)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6342132B2 (ja) アレイ基板、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アレイ基板の製造方法
CN102629046B (zh)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液晶显示器件
JP6818554B2 (ja) アレイ基板の製造方法、アレイ基板および表示装置
CN106057827B (zh) 一种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9530807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10204936B2 (en)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isplay device
KR101544657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9484364B2 (en)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isplay device
WO2015027632A1 (zh) 一种阵列基板、显示装置及阵列基板的制造方法
US20160011457A1 (en) Fabrication method of substrate
US20140132905A1 (en)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e method of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9240562B2 (en) OTFT array substrat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690146B2 (en) Array substrat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US20120241746A1 (en) Electrophoresis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US11209709B2 (en)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60380005A1 (en) Array substr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4779546B (zh)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2012592A (zh) 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