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385B1 - 필름 첩부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첩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385B1
KR101485385B1 KR20130075657A KR20130075657A KR101485385B1 KR 101485385 B1 KR101485385 B1 KR 101485385B1 KR 20130075657 A KR20130075657 A KR 20130075657A KR 20130075657 A KR20130075657 A KR 20130075657A KR 101485385 B1 KR101485385 B1 KR 101485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nel
layer
transfer roll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559A (ko
Inventor
도시하루 기시무라
다케시 이시다
나오키 오다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0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필름 롤(1a)로부터 필름(30)을 인출하고, 이 인출 필름(30)으로부터 패널(15)에의 첩부 길이를 하프 커터(7)로 잘라낸다. 이 잘라낸 필름을 필름 세트 테이블(9)에 세트하고, θ 테이블(10)을 회전시켜 전사 롤러(13)에 대하여 필름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이 후, 필름을 전사 롤러(13)에 옮겨 전사한다. 필름이 전사된 전사 롤러(13)를, 패널 세트 테이블(14)에 세트된 패널(15)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전사 롤러(13)의 전사 필름을, 패널(15)에 소정 상태로 첩부 가능하도록, θ 테이블(16) 및 슬라이드 테이블(17)에 의해 패널(15)을 회전 및 이동시켜 패널(15)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이 후, 패널(15)에 전사 롤러(13)의 전사 필름을 옮겨 첩부한다.

Description

필름 첩부 장치{FILM STICKING DEVICE}
본 발명은, 패널에 필름을 고정밀도로 첩부하는 필름 첩부(貼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RGB{Red(빨강), Green(초록), Blue(파랑)}의 화소를 가지는 패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때에, 패널의 표면에, 3D(Three Dimensions)의 편광 기능을 가진 필름을 소정 위치에 첩부하거나, 보는 각도에 따라 화상을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렌티큘러 렌즈(필름)를 패널에 첩부하고 있다. 이러한 광학 필름의 첩부에 의해,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의 각 화소의 광선 방향을 제어하여, 보다 현장감이 있는 시인성(視認性)을 실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광학 필름 첩부 장치, 광학 필름 첩부 방법, 및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은, 원통형 부재의 특정 영역에 있어서 광학 필름의 감기를 개시할 때에, 원통 부재의 특정 영역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구멍을 통과시켜 광학 필름을 진공 흡착하거나 압공(壓空) 박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형 부재가 회전하여 표시 패널에 광학 필름이 접촉함과 동시에, 원통형 부재의 구멍에 압공을 공급하여 광학 필름을 원통형 부재로부터 박리함으로써, 광학 필름을 주름 없이 표시 패널에 첩부할 수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필름 첩부 장치는,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는 드럼과, 드럼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며, 필름 부재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흡착력을 가지는 흡반(吸盤)으로서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흡착 시트와, 흡착 시트에 세퍼레이터가 있는 필름 부재를 유지시키는 필름 공급 수단과, 패널 공급 수단을 구비한다. 패널 공급 수단은, 드럼의 회전에 의해 흡착 시트에 유지되어 반송되어 온 필름 부재의 세퍼레이터가 박리됨으로써 노출된 접착면에, 패널 부재를 붙이는 시단부(始端部)를 당접(當接)시키고, 그 후, 드럼의 회전에 맞춰 패널 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잔류 응력의 영향으로 컬(curl)한 필름 부재를 패널 부재의 소정 위치에 정밀도 좋게 첩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0-145597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68028호 공보
그런데, 패널에 광학 필름을 첩부하는 경우, 광학 필름을 패널의 화소에 맞춰(소정 위치에 맞춰) 정밀도 좋게 첩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상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원통 부재의 특정 영역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시켜 광학 필름을 진공 흡착하거나 압공 박리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진공 흡착하거나 압공 박리한 구멍에는, 광학 필름의 사이즈에 맞춘 구멍의 직경과 피치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광학 필름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반드시 광학 필름을 진공 흡착으로 모두 유지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고, 유지할 수 없는 필름 영역이 반드시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광학 필름을 패널의 소정 위치에 맞춰 정밀도 좋게 첩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편광 필름과 패널의 위치 결정에 있어서, 첩부 전에 단체(單體)위치의 검출을 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붙여 합친 필름과 패널이, 화소에 맞춘 정밀도 좋은 첩부가 되어 있는지 어떤지 알 수 없다. 바꿔 말하면, 광학 필름을 패널의 소정 위치에 맞춰 정밀도 좋게 첩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필름을 패널의 소정 위치에 맞춰 정밀도 좋게 첩부할 수 있는 필름 첩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롤로부터 인출된 필름을, 잘라내기 수단에 의해 패널에 대한 첩부 길이만큼 잘라내고, 이 잘라낸 필름의 위치 결정을 행해 전사 수단으로 옮겨 전사한다. 이 전사 필름의 패널에 대한 첩부시에, 전사 필름과 패널의 위치 결정을 행해, 전사 필름을 패널에 옮겨 첩부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의 전사 수단에 대한 전사시 및 패널에 대한 첩부시의 각각에 있어서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필름을 패널의 소정 위치에 맞춰 정밀도 좋게 첩부할 수 있는 필름 첩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필름 첩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의 (a)는, FPR 필름의 확대 평면도, (b)는 FPR 필름의 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c)는 FPR 필름의 컷의 태양(態樣)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필름 첩부 장치에 있어서의 필름 전사부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필름 전사부에 있어서의 전사 롤러에 대한 필름 전사 개시 위치의 태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필름 전사부에 있어서의 전사 롤러에 대한 필름 전사 후의 태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필름 첩부 장치의 필름 첩부부에 있어서 전사 롤러에 전사된 FPR 필름의 패널 첩부시의 종단(終端) 확인 태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필름 첩부부에 있어서 전사 롤러에 전사된 FPR 필름의 패널 첩부시의 시단 확인 태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필름 첩부부에 있어서 전사 롤러에 전사된 FPR 필름의 패널 첩부시의 위치 결정 확인을 행하는 태양의 구성을 나타내고, (a)는 전사 롤러를 이 중심축과 직교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b)는 전사 롤러를 이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패널의 화소 및 BM 라인과, FPR 필름의 흰색 라인 및 검정색 라인의 경계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필름 첩부부에 있어서의 패널 첩부 개시시의 전사 롤러의 위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1은, 필름 첩부부에 있어서의 패널 첩부 종료 후의 전사 롤러의 위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2는, 필름 첩부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필름 첩부 동작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은, 필름 첩부부에 있어서의 첩부 직전 위치 검출 카메라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필름 첩부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필름 첩부 장치(100)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되는 화소를 가지는 패널에, 광학 필름을 고정밀도로 첩부하는 것이며, 필름 롤(1a)에 감긴 광학 필름(30)을 전사 롤러(13)에 옮겨 전사하는 필름 전사부(101)와, 전사 롤러(13)에 전사된 광학 필름(30)을, 패널(14)에 첩부하는 필름 첩부부(102)를 대좌(臺座)(103)에 구비하고, 또한 필름 첩부 장치(100)의 필름 전사 첩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104)는, 모두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기억장치(HDD:Hard Disk Drive 등)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ROM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CPU가 실행하여, 후술하는 각종 제어를 실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필름 전사부(101)는, 필름 롤(1a)을 회전이 자유롭게 세트하는 필름 롤 부착부(1)와, 가이드 롤러(2, 3, 4)와, 닙 롤러(5)와, 권취축(6)과, 하프 커터(잘라내기 수단)(7)와, 도마(8)와, 필름 세트 테이블(필름 유지 수단)(9)과, θ 테이블(회전 수단)(10)과, 프레임(11)과, 필름 인식 카메라(제 1 검출 수단)(12a, 12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θ 테이블(10), 필름 인식 카메라(12a, 12b) 및 제어 장치(104)로 제 1 위치 결정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필름 첩부부(102)는, 패널(15)을 재치(載置)하여 세트하는 패널 세트 테이블(패널 유지 수단)(14)과, θ 테이블(16)과, 슬라이드 테이블(17)과, 가이드(18)와, 슬라이드용 구동 모터 기구(19)와, 패널 인식 카메라(20a, 20b)와, 첩부 직전 위치 검출 카메라(2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전사 롤러(전사 수단)(13)를, 필름 전사부(101) 및 필름 첩부부(102)의 상방(上方)의 소정 경로를, 화살표 Y11∼Y18과 같이 이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이동 기구(이동 수단)를 구비한다. 또, 상기의 각 롤러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기둥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이룬다.
또한, θ 테이블(16), 슬라이드 테이블(17), 슬라이드용 구동 모터 기구(19), 패널 인식 카메라(20a, 20b), 첩부 직전 위치 검출 카메라(21) 및 제어 장치(104)로 제 2 위치 결정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θ 테이블(16) 및 슬라이드 테이블(17)로 회전 이동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패널 인식 카메라(20a, 20b) 및 첩부 직전 위치 검출 카메라(21)로 제 2 검출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 필름 인식 카메라(12a, 12b), 패널 인식 카메라(20a, 20b) 및 첩부 직전 위치 검출 카메라(21)를, 단순히 카메라(12a, 12b, 20a, 20b, 21)라고도 한다. 또한, 필름 세트 테이블(9), 패널 세트 테이블(14) 및 슬라이드 테이블(17)을, 단순히 테이블(9, 14, 17)이라고도 한다.
또, 패널(15)은, 예를 들어, 32∼60형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되는 화소를 가지는 것이다.
도 2(a)는 광학 필름(30)으로서의 FPR(Film Patterned Retarder) 필름(30)의 확대 평면도, (b)는 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c)는 FPR 필름(30)의 컷의 태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FPR 필름(30)은, 필름 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3D 안경용의 흰색 라인(오른쪽눈 용)(제 1 라인)(30L)과 검정색 라인(왼쪽눈 용)(제 2 라인)(30R)이, 필름 길이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번갈아 복수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흰색 라인(30L)과 검정색 라인(30R)은, 서로 다른 편광특성을 가지고 있어, 사람이 도시하지 않은 3D 안경을 통하여 보았을 때에 FPR 필름(30) 하의 패널 화상이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FPR 필름(30)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3층 구조를 이루고, 위층부터 순서대로, 보호 필름(30-1), FPR(30-2), 베이스인 세퍼레이터(30-3)의 각 층이, 도시하지 않은 점착 시트 등의 점착제로 붙여 합쳐져 구성되어 있다. 이 3층 구조 외에, 보호 필름, FPR, 편광판, 베이스인 세퍼레이터의 4층 구조인 경우도 있다.
<필름 전사부의 구성>
도 3은 필름 전사부(101)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3 및 도 1에 나타낸 필름 전사부(101)에 있어서, 필름 롤(1a)로부터 인출된 FPR 필름(30)은, 가이드 롤러(2, 3, 4)로 유지되며, 닙 롤러(5)에 의해 가이드 롤러(3)와의 사이에서 끼워 넣어져 인출되어, 권취축(6)에 의해 권취된다. 이 권취 경로의 도중에 개재하는 가이드 롤러(2)와 필름 세트 테이블(9)의 사이에는, FPR 필름(30)의 하방(下方)에 도마(8), 이 상방에 하프 커터(7)가 배치되어 있다. 필름 롤(1a)로부터 인출된 FPR 필름(30)은 정지되며, 도마(8)에 가공되어 있는 흡착 구멍(도시 생략)에 의해 흡착되어 일단 유지된다.
이 유지 상태에서, 도 2(c)에 화살표 Y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프 커터(7)를 도마(8)를 따르게 하여 FPR 필름(30)의 폭 방향으로 주행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FPR 필름(30)의 두께의 도중까지 칼날을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칼날 넣기에 의해, FPR 필름(30)을 두께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세퍼레이터(30-3))를 제외한 제 1 및 제 2 층째인 보호 필름(30-1) 및 FPR(30-2)까지를 컷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하프 커터(7)에 소정량 하강할 수 있는 에어 실린더(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이 에어 실린더로 하프 커터(7)를 도마(8) 상의 FPR 필름(30)에 대하여 하강시켜 필름 폭 방향(Y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FPR 필름(30)에 제 1 및 제 2 층까지의 부분적인 절단 눈금을 넣는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하프컷 처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FPR 필름(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프 커터(7)에 의해 FPR 필름(30)의 1층째 및 2층째가 컷되며, 3층째의 세퍼레이터(30-3)는 컷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마(8)의 흡착을 정지하여, 닙 롤러(5) 및 권취축(6)을 회전함으로써, 컷되지 않았던 3층째를, 가이드 롤(3, 4)을 경유하여 권취축(6)에 의해 권취한다. 이 동작에 의해, 하프컷된 절단 눈금의 부분도 도마(8)의 위치로부터 전진한다. 또한, 이 권취 길이는, 패널(15)에 첩부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권취 후, 재차, 상술과 마찬가지의 하프 컷 동작을 행함으로써, 패널(15)에 첩부하는 1매분의 FPR 필름(30f)을 준비할 수 있다. 이 준비된 FPR 필름(30f)은, 닙 롤러(5)에 의해 더 반송되어, 필름 세트 테이블(9) 상의 소정 위치에 반송된다.
필름 세트 테이블(9)에도 도시하지 않은 흡착 구멍이 가공되어 있고, 반송된 FPR 필름(30f)을 흡착하여 유지한다. 또한 필름 세트 테이블(9)에는, 카메라(12a, 12b)에 의해 FPR 필름(30f)의 위치 결정 표시를 확인하기 위한 관통구(9a, 9b)가 개구되어 있다. 위치 결정 표시란, FPR 필름(30f)을 전사 롤러(13)의 적정한 위치에 전사하기 위한 표시이다. 이 표시는, 예를 들면 도 2(a)에 나타낸 FPR 필름(30f)의 흰색 라인(30L)과 검정색 라인(30R)의 경계선(30a)이다. 본 예에서는 경계선(30a)의 시단부와 종단부가 위치 결정 표시가 된다. 이 시단부와 종단부는 1개의 경계선(30a)의 것이어도 되나, 본 예에서는, 각 관통구(9a, 9b)로부터, FPR 필름(30f)의 한쪽 변(30c)(도 2(c) 참조) 측의 복수 개의 경계선(30a)의 시단부와 종단부가 보이고, 각각의 시단부 및 종단부를 카메라(12a, 12b)로 촬영하여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단부는, 하프 커터(7)에 의한 컷에 의해 생성되는 부위이나, 카메라(12a, 12b)에 의한 촬영은, 컷 부위의 근방이라면, 컷 부위 그 자체가 찍혀 있어도 되고, 찍혀 있지 않아도 된다. 이 점은 종단부도 같다. 한편, 한쪽 변(30c)은, FPR 필름(30f)의 폭 방향의 단부(端部)이며, 하프 커터(7)의 컷에 의해 생성되는 부위는 아니다. 본 예에서는, 한쪽 변(30c)이 찍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말하면, 카메라(12a)로 촬영하는 부위와 카메라(12b)로 촬영하는 부위의 사이의 거리는, 가까운 것보다 먼 쪽이 위치 결정 정밀도는 향상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예에서는 시단부와 종단부를 촬영하고 있다.
또한, 위치 결정 표시(제 1 표시)는, FPR 필름(30f)의 소정 위치의 시단부와 종단부에 미리 표시된 삼각이나 별형 등의 특유 형상의 마크여도 된다. 이들 사전의 마크는 쌍방을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에, 그 직선이 경계선(30a)과 평행이 되도록 표시된다. 즉, 제 1 표시는 상위 개념에서는 직선 형상의 표시라고 할 수 있다.
상기의 촬영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9a, 9b)를 개재한 필름 인식 카메라(12a, 12b)의 상방에, 라이트(23a, 23b)가 이동하여 배치되며, 라이트(23a, 23b)가 하방에 위치하는 FPR 필름(30f)의 표면을 조사한다. 이 조사에 의해, FPR 필름(30f)의 경계선(30a)이 필름 이면으로부터 카메라(12a, 12b)로 선명하게 촬영 가능하게 되어 있다. 라이트(23a, 23b)는, 촬영 후, 테이블(9)의 외측에 퇴피하도록 되어 있다.
또, 촬영된 복수 개의 경계선(30a)의 시단부 및 종단부의 정보는 제어 장치(104)로 송신되며, 제어 장치(104)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시단부와 종단부를 직선으로 접속함으로써, FPR 필름(30f)의 한쪽 변(30c)으로부터 경계선(30a)을 1개씩 복수 개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제어 장치(104)는, 검출한 경계선(30a)과, 전사 롤러(13)의 중심축(13a)의 쌍방을 비교하여, 쌍방이 적정한 직교 상태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결과, 직교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화소 상에 경계선(30a)이 위치하여 제품으로서의 품질이 저하하므로, 후술과 같이 θ 테이블(10)을 회전 제어하여 경계선(30a)과 중심축(13a)을 직교 상태로 한다. 이 직교 상태로 보정하는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필름 세트 테이블(9)은, 프레임(11) 상에 고정된 θ 테이블(10) 상에 고정되어 있다. θ 테이블(10)은, 수평으로 배치된 대좌(103)에 대하여 수직인 중심축을 가지고, 이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으로 임의 각도,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수직 중심축은 필름 세트 테이블(9)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θ 테이블(10)을 회전시킴으로써 테이블(9)을 이 테이블(9)의 중심에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테이블(9)에 재치된 FPR 필름(30f)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회전에 의해, FPR 필름(30f)의 경계선(30a)과, 전사 롤러(13)의 중심축(13a)을 직교 상태로 한다.
도 4는 필름 전사부(101)에 있어서의 전사 롤러(13)에 대한 필름 전사 개시 위치의 태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필름 전사부(101)에 있어서의 전사 롤러(13)에 대한 필름 전사 후의 태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에서 직교 상태로 한 후, 도 1에 화살표 Y1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 롤러(13)를 하강시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FPR 필름(30f)과 접촉시킨다. 이 접촉 위치로부터, 도 1에 화살표 Y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 롤러(13)를 필름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수평 이동시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 롤러(13)에 FPR 필름(30f)을 옮겨 전사한다. 이 때, 전사 롤러(13)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FPR 필름(30f)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전사 롤러(13)에 전사된 FPR 필름(30f)이 패널(15)에 대한 첩부 필름이 된다. 이 전사 후, 도 1에 화살표 Y1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 롤러(13)를 상방으로 퇴피시킨다. 도 5는 그 퇴피했을 때의 태양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전사 롤러(13)와, 도 2(b)에 나타낸 FPR 필름(30)의 제 1 층(30-1)과의 점착력 c1은, 제 2 층(30-2)과 제 3 층(30-3)의 점착력 c3보다 강한 관계로 되어 있다. 즉, 점착력의 강약의 관계가 c1>c3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사 롤러(13)를, 테이블(9) 상의 FPR 필름(30f)에 당접하면서 Y1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즉, 전사 롤러(1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사 롤러(13)에 FPR 필름(30f)의 제 1 층(30-1)이 첩부되고, 이 첩부된 부분의 제 2 층(30-2)이 제 3 층(30-3)으로부터 박리되므로, 전사 롤러(13)에 FPR 필름(30f)을 전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필름 첩부부의 구성>
도 6은 필름 첩부부(102)에 있어서 전사 롤러(13)에 전사된 FPR 필름(30f)의 패널 첩부시의 종단 확인 태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전사 롤러(13)에 전사된 FPR 필름(30f)의 패널 첩부시의 시단 확인 태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FPR 필름(30f)이 전사된 전사 롤러(13)는, 도 1에 화살표 Y14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5)이 세트된 패널 세트 테이블(14)의 선단부의 상방으로 이동되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된다. 단, 패널 세트 테이블(14)에 대한 패널(15)의 세트는, 도시하지 않은 패널 세트 기구에 의해 실행된다.
그 전사 롤러(13)의 유지 후, 퇴피 위치에 있던 첩부 직전 위치 검출 카메라(21)가 도시하지 않은 이동 기구에 의해 쌍방향 화살표 Y2로 나타낸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사 롤러(13)와 패널(15)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카메라(21)에 의해, 전사 롤러(13)에 전사된 FPR 필름(30f)의 위치 결정 표시인 경계선(30a)의 시단부 및 종단부가 촬영되어 확인된다. 이 위치 결정 표시의 확인을 행하는 구성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전사 롤러(13)에 전사된 FPR 필름(30f)의 패널 첩부시의 위치 결정 확인을 행하는 태양의 구성을 나타내고, (a)는 전사 롤러(13)를 이 중심축(13a)과 직교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b)는 전사 롤러(13)를 이 중심축(13a)에 대하여 평행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축(13a)에 볼 베어링(ball bearing)(13b)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금속(예를 들면, SUS)제의 통 형상 드럼인 전사 롤러(13)의 내부에 있어서, 중심축(13a)에 백라이트(25)와 편광 렌즈(26)가 이 순서로 고정되어 있다. 전사 롤러(13)에는,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통하는 핀홀(13PS, 13PE)이, 전사된 FPR 필름(30f)의 시단부의 위치와 종단부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시단부의 위치에 형성된 핀홀을 시단 핀홀(13PS)이라 하고, 종단부의 위치에 형성된 핀홀을 종단 핀홀(13PE)이라고도 한다.
각 핀홀(13PS, 13PE)은, 예를 들면 직경 2mm 정도이다. 이 직경이 너무 크면 전사 롤러(13)에 전사된 FPR 필름(30f)에 핀홀의 자국이 나므로, 자국이 나지 않을 정도의 사이즈로 되어 있다.
시단 핀홀(13PS)은, FPR 필름(30f)의 시단부를 촬영하기 위해 백라이트(25)의 광(화살표 Y3)을, 그 시단부를 개재하여 화살표 Y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로 통과시키는 것이다. 즉, 백라이트(25)의 광이 편광 렌즈(26)에 의해 조여지며, 시단 핀홀(13PS)을 통하여 FPR 필름(30f)에 조사된다. 이 조사광 중 소정 비율의 광이 FPR 필름(30f)을 투과하여, FPR 필름 뒤쪽에 배치된 카메라(21)로 시단부가 촬영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카메라(21)에 의해, 종단 핀홀(13PE)을 통하여 종단부가 촬영된다.
또한, 도 8(b)에 있어서, 시단 핀홀(PS)과 종단 핀홀(PE)에 의해, FPR 필름(30f)의 한쪽 변(30c)(도 9 참조)을 촬영할 수 있도록, FPR 필름(30f)의 위치를 조정해 두는 것이 좋다. 즉, FPR 필름(30f)의 한쪽 변(30c)이 시단 핀홀(PS)과 종단 핀홀(PE)에 걸리도록 조정해 두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해 두면, 촬영되는 경계선(30a)이 몇 개째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점은 부호 9a나 부호 9b의 관통구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러한 촬영은, 최초로 도 6에 나타낸 전사 롤러(13)의 상태에 있어서 종단부에 대하여 행해지며, 이 후, 전사 롤러(13)가 도 7에 나타낸 상태로 회전되어 시단부에 대하여 행해진다. 이 촬영된 시단부 및 종단부의 정보는 제어 장치(104)로 보내지며, 제어 장치(104)에 있어서, 시단부 및 종단부를 직선 접속한 경계선(30a)과, 전사 롤러(13)의 중심축(13a)과의 각도 관계가 파악된다. 여기에서, 적정하게 전사되어 있으면, 경계선(30a)과 중심축(13a)은 직교 상태로 되어 있다. 부적정하면, 경계선(30a)이 중심축(13a)에 대하여 몇 도 기울어져 있는지가 파악된다. 바꿔 말하면, 전사 롤러(13)에 FPR 필름(30f)이 적정 위치로부터 어긋나 전사되어 있는 것이 파악된다. 또, 첩부 직전 위치 검출 카메라(21)는, 촬영 종료 후에 쌍방향 화살표 Y2로 나타낸 우측 방향으로 퇴피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FPR 필름(30f)에 대하여, 패널 세트 테이블(14)에 세트된 패널(15)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패널 세트 테이블(14)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5)의 위치 결정 표시를 확인하기 위한 2개의 관통구(14a, 14b)가 개구되어 있다. 한쪽의 관통구(14a)가 패널(15)의 위치 결정 표시의 시단부의 위치에 형성되며, 다른 쪽의 관통구(14b)가 위치 결정 표시의 종단부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시단부의 위치에 형성된 관통구(14a)를 시단 관통구(14a)라고 하고, 종단부의 위치에 형성된 관통구(14b)를 종단 관통구(14b)라고도 한다.
각 관통구(14a, 14b)의 하방에는, 패널 인식 카메라(20a, 20b)가 배치되어 있고, 각 카메라(20a, 20b)가 각 관통구(14a, 14b)를 통하여 패널(15)의 위치 결정 표시를 촬영한다. 이 위치 결정 표시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블랙 매트릭스 라인(BM 라인)(15b)이다. 또한, 패널 세트 테이블(14)은, 테이블 자체가 투명하다면 각 관통구(14a, 14b)는 불필요하다.
도 9는 패널(15)의 화소(15a) 및 BM 라인(15b)과, FPR 필름(30f)의 흰색 라인(30L) 및 검정색 라인(30R)의 경계선(30a)을 나타낸 도면이다.
FPR 필름(30f)을 패널(15)에 첩부하는 경우, BM 라인(15b)에 경계선(30a)을 상하로 일치시키는 위치 맞춤을 행한다. 이 위치 맞춤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5)의 한쪽 변(15c)에 가장 가까운 BM 라인(15b)과, FPR 필름(30f)의 한쪽 변(30c)에 가장 가까운 경계선(30a)이 일치하도록 행한다. 이와 같이 일치시킴으로써, FPR 필름(30f)의 경계선(30a)이, 패널(15)의 화소(15a)에 겹치는 일이 없도록 붙일 수 있다. 경계선(30a)이 화소(15a)에 겹쳐 붙여지는 경우, 3D 화상이 적정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생기나, 이것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일치를 행하기 위해, 패널(15)의 한쪽 변(15c)에 가장 가까운 위치 결정 표시로서의 BM 라인(15b)의 시단부 및 종단부를, 도 6에 나타낸 각 관통구(14a, 14b)를 통하여 패널 인식 카메라(20a, 20b)로 촬영한다. 이 촬영된 시단부 및 종단부의 정보를 제어 장치(104)로 보내고, 제어 장치(104)에 있어서, 시단부 및 종단부를 직선 접속한 BM 라인(15b)의 위치 관계를 파악한다. 즉, 전사 롤러(13)에 전사된 FPR 필름(30f)의 경계선(30a)과 BM 라인(15b)의 배치 관계를 파악한다.
또한, 패널(15)의 위치 결정 표시(제 2 표시)는, 패널(15)의 소정 위치의 시단부와 종단부에 미리 표시된 삼각이나 별형 등의 특유 형상의 마크여도 된다. 이들 마크는 쌍방을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에, 그 직선이 BM 라인(15b)과 평행이 되도록 표시된다. 즉, 제 2 표시는 상위 개념에서는 직선 형상의 표시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경계선(30a)과 BM 라인(15b)이 상하로 일치하고 있으면, 서로의 위치 관계는 적정 상태이다. 그러나, 불일치하는 경우, 패널(15)을 이동시켜 경계선(30a)과 일치시키는 위치 결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위치 결정을, 도 6에 나타낸 전사 롤러(13)에 대하여 수평 상태로 회전 동작을 행하는 θ 테이블(16)과, 전사 롤러(13)의 축 방향으로 이동을 행하는 슬라이드 테이블(17)을 가지는 슬라이드용 테이블 기구로 행한다.
슬라이드용 테이블 기구는, 슬라이드 테이블(17)과, 슬라이드 테이블(17)을 받치는 가이드(18)와, 볼 나사 등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드용 구동 모터 기구(1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패널 세트 테이블(14)에 세트된 패널(15)의 BM 라인(15b)이, 전사 롤러(13)에 전사된 FPR 필름(30f)의 경계선(30a)과 어긋나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도 9를 참조하는 BM 라인(15b)과 경계선(30a)은 평행 관계에 있으나, 필름 폭 방향(중심축(13a)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고 한다. 이 때, 슬라이드용 구동 모터 기구(19)에 의해, 슬라이드 테이블(17)을 전사 롤러(13)의 중심축(13a)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패널 세트 테이블(14)을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BM 라인(15b)을 경계선(30a)에 일치시킨다.
한편, BM 라인(15b)과 경계선(30a)이, 어떤 회전 각도로 어긋나 있다고 하면, 이 경우, θ 테이블(16)을 회전시킴으로써 패널 세트 테이블(14)을 회전시켜, BM 라인(15b)을 경계선(30a)에 일치시킨다. 혹은, 그 회전시켰을 때에, BM 라인(15b)과 경계선(30a)은 평행 관계가 되었으나, 필름 폭 방향(중심축(13a) 방향)으로 어긋나 있을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테이블(17)을 중심축(13a)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BM 라인(15b)을 경계선(30a)에 일치시킨다.
도 10은 필름 첩부부(102)에 있어서의 패널 첩부 개시시의 전사 롤러(13)의 위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1은 패널 첩부 종료 후의 전사 롤러(13)의 위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이, BM 라인(15b)을 경계선(30a)에 일치시킨 후, 도 1에 화살표 Y15로 나타낸 아래쪽 방향으로 전사 롤러(13)를 이동시키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5)의 소정 위치에, 전사 롤러(13)에 전사된 FPR 필름(30f)의 시단을 당접시킨다. 이 후, 전사 롤러(13)를 도 1에 화살표 Y16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5)의 표면에 평행 이동시키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5)에 FPR 필름(30f)을 첩부한다.
여기서, 패널(15)과, 전사 롤러(13)에 전사된 FPR 필름(30f)의 제 2 층(30-2)의 점착력 c2는, 전사 롤러(13)와 제 1 층(30-1)의 점착력 c1보다 강한 관계로 되어 있다. 즉, 점착력의 강약의 관계가 c2>c1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패널(15)에 FPR 필름(30f)을 첩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의 c2>c1의 점착력의 강도 관계에, 상술한 제 2 층(30-2)과 제 3 층(30-3)의 점착력 c3을 넣고, 점착력 c3, c2, c1의 3개의 강도 관계를 생각하면, c3과 c1의 강도 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c1>c3이었으므로, c2>c1>c3의 강도 관계로 되어 있다.
이 관계에 의해, 먼저 전사 롤러(13)에 FPR 필름(30f)의 제 1 층(30-1)이 전사됨과 동시에, 당해 전사 부분 하방의 제 2 층(30-2)이 제 3 층(30-3)으로부터 박리되어, 전사 롤러(13)에 FPR 필름(30f)이 전사된다. 다음으로, 패널(15)의 선단 위치에, 전사 롤러(13)에 전사된 FPR 필름(30f)의 시단을 당접시켜, 전사 롤러(13)를 패널(15)의 후단을 향해 평행 이동시킨다. 이 때, 전사 롤러(13)의 FPR 필름(30f)의 제 2 층(30-2)이 패널(15)에 첩부되면서, 당해 첩부 부분 상방의 제 1 층(30-1)이 전사 롤러(13)로부터 박리되어, 패널(15)에 FPR 필름(30f)이 첩부되도록 되어 있다.
단, 상기의 c2>c1>c3의 점착력의 강도 관계가 있다면, 필름 전사 및 첩부가 적정하게 행해지므로, FPR 필름(30f)은, 적어도 3D 기능에 필요한 FPR(30-2)과 세퍼레이터(30-3)의 2층이 있으면 된다.
이 2층 간의 점착력을 상기 c3으로 한다면, 전사 롤러(13)에 제 1 층으로서의 FPR(30-2)이 전사됨과 동시에, 당해 전사 부분 하방의 제 2 층으로서의 세퍼레이터(30-3)가 FPR(30-2)로부터 박리되어, 전사 롤러(13)에 FPR(30-2)이 전사된다. 또, 전사 롤러(13)와 FPR(30-2)의 점착력을 c1으로 한다면, 패널(15)에 대한 첩부시에는, 전사 롤러(13)의 전사 FPR(30-2)의 일면이 점착력 c2로 패널(15)에 첩부되면서, 점착력 c1의 다른 면이 전사 롤러(13)로부터 박리되고, 이것에 의해 패널(15)에 FPR(30-2)이 첩부되기 때문이다.
<실시형태의 동작>
이상과 같은 필름 첩부 동작의 제어는, 제어 장치(104)에서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도 12는 필름 첩부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104)의 필름 첩부 동작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1에 있어서, 제어 장치(104)의 필름 잘라내기 제어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필름 롤(1a)에 감긴 FPR 필름(30)의 잘라내기가 행해진다. 먼저, 필름 롤(1a)로부터 인출된 FPR 필름(30)이 가이드 롤러(2, 3, 4)로 유지되며, 가이드 롤러(3)와 닙 롤러(5)의 사이로 끼워 넣어져 송출되면서, 권취축(6)에 의해 소정 길이 권취된다. 그리고, FPR 필름(30)의 송출이 정지되며, 도마(8)의 흡착 구멍(도시 생략)에 의해 흡착되어 일단 유지된다. 이 유지 상태에서, 도 2(c)에 화살표 Y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프 커터(7)가 도마(8)를 따라 FPR 필름(30)의 폭 방향으로 주행됨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FPR 필름(30)이 두께 방향으로 제 1 층(30-1) 및 제 2 층(30-2)까지 절단(하프컷)된다.
이 하프컷 후, 도마(8)의 흡착이 정지되며, 닙 롤러(5) 및 권취축(6)이 일정회전수만큼 회전됨으로써, 절단되지 않은 제 3 층(30-3)이 가이드 롤(3, 4)을 경유하여 권취축(6)에 의해 권취된다. 이 권취에 의해, 제 3 층(30-3) 만이 남은 부분에 후속하는 전(全) 층(30-1∼30-3)을 가지는 FPR 필름(30)이, 패널(15)의 1매분의 첩부 길이가 인출된다.
인출 후, 이 FPR 필름(30)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마(8)의 흡착에 의해 유지되어, 하프컷 동작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패널(15)에 첩부하는 1매분의 FPR 필름(30f)이 잘라내어진다. 이 1매분의 FPR 필름(30f)은, 닙 롤러(5)에 의해 다시 송출되며, 필름 세트 테이블(9) 상의 소정 위치에 반송되어 재치된다. 이 재치된 FPR 필름(30f)은, 필름 세트 테이블(9)의 흡착 구멍(도시 생략)에 의해 흡착되어, 테이블(9) 상에 유지된다.
다음으로, 스텝 S2에 있어서, 제어 장치(104)의 필름 위치 결정 표시의 확인 제어에 의해, 필름 세트 테이블(9) 상에 유지된 FPR 필름(30f)의 위치 결정 표시가 확인된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9)의 2개의 관통구(9a, 9b)의 상방에 라이트(23a, 23b)가 이동되어 배치되며, 이 라이트(23a, 23b)에 의해 하방에 위치하는 FPR 필름(30f)의 표면이 조사된다. 이 조사에 의해, 도 2(a)에 나타낸 FPR 필름(30f)의 한쪽 변(30c) 측의 복수 개의 경계선(30a)의 시단부 및 종단부가, 필름 이면으로부터 카메라(12a, 12b)로 촬영된다.
이 촬영된 복수 개의 경계선(30a)의 시단부 및 종단부의 정보가, 제어 장치(104)로 송신되며, 제어 장치(104)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시단부와 종단부가 직선으로 접속된다. 이 접속에 의해, FPR 필름(30f)의 한쪽 변(30c)으로부터 순서대로, 경계선(30a)이 1개씩 복수 개 검출된다.
다음으로, 스텝 S3에 있어서, 제어 장치(104)의 제 1 위치 관계 확인 제어에 의해, FPR 필름(30f)과 전사 롤러(13)의 위치 관계가 적정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것은, 상기 스텝 S2에서 검출된 FPR 필름(30f)의 위치 결정 표시인 경계선(30a)과, 도 3에 나타낸 전사 롤러(13)의 중심축(13a)의 쌍방이 비교되며, 쌍방이 적정한 직교 상태로 되어 있다면, 스텝 S5로 진행된다. 한편, 직교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쌍방의 위치 관계를 적정하게 보정해야 하므로 스텝 S4로 진행된다.
스텝 S4에서는, 제어 장치(104)의 필름 전사 위치 보정 제어에 의해, 필름 세트 테이블(9) 상에 유지된 FPR 필름(30f)이, 전사 롤러(13)에 대하여 적정한 위치 관계가 되도록 보정된다. 이 보정은, 필름 세트 테이블(9)의 아래에 고정된 θ 테이블(10)이 회전되어 행해진다. 이 회전은, 테이블(9) 상의 FPR 필름(30f)의 경계선(30a)이, 전사 롤러(13)의 중심축(13a)에 적정한 직교 상태로 될 때까지 행해진다.
다음으로, 스텝 S5에 있어서, 제어 장치(104)의 필름 전사 제어에 의해, FPR 필름(30f)이 전사 롤러(13)에 옮겨진다(전사된다). 이 전사는, 먼저, 전사 롤러(13)가, 도시하지 않은 이동 기구에 의해, 도 1에 화살표 Y11로 나타낸 바와 같이 FPR 필름(30f)과 접촉(도 4 참조)할 때까지 하강된다. 다음으로, 전사 롤러(13)가, 그 접촉 위치로부터 FPR 필름(30f) 표면을 당접하면서, 도 1에 화살표 Y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수평 이동되어 실행된다. 이 전사 후, 도 1에 화살표 Y1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 롤러(13)가 상방으로 퇴피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 롤러(13)에 FPR 필름(30f)이 전사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스텝 S6에 있어서, 제어 장치(104)의 패널 세트 제어에 의해, 패널(15)이 패널 세트 테이블(14) 상의 소정 위치에 세트된다. 이 세팅은, 다음 스텝 S7에 있어서의 전사 롤러(13)의 이동 전이라면, 어느 타이밍에 행해도 된다.
다음으로, 스텝 S7에 있어서, 제어 장치(104)의 전사 롤러 이동 제어에 의해, FPR 필름(30f)이 전사된 전사 롤러(13)가, 도 1에 화살표 Y14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첩부부(102)로 이동된다. 이 이동은, 패널(15)이 세트된 패널 세트 테이블(14)의 선단부 상방의 소정 위치로 행해지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스텝 S8에 있어서, 제어 장치(104)의 필름 전사 위치 검출 제어에 의해, 전사 롤러(13) 상의 FPR 필름(30f)의 전사 위치가 검출된다. 즉, 전사 롤러(13)의 중심축(13a)과, 전사 롤러(13) 상의 FPR 필름(30f)의 한쪽 변(30c)(도 9 참조)에 가장 가까운 경계선(30a)과의 위치 관계가 검출된다.
이것은, 먼저, 도 6에 나타낸 첩부 직전 위치 검출 카메라(21)가 쌍방향 화살표 Y2로 나타낸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전사 롤러(13)와 패널(15)의 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전사 롤러(13)의 내부에서 중심축(13a)에 고정된 도 8에 나타낸 백라이트(25)의 광이 편광 렌즈(26)로 조여지며, 종단 핀홀(13PE)을 통하여 필름(30f)에 조사된다. 이 조사 광이 FPR 필름(30f)을 투과하여, FPR 필름 뒤쪽에 배치된 카메라(21)로, FPR 필름(30f)의 위치 결정 표시인 경계선(30a)의 종단부가 촬영된다. 이 후, 전사 롤러(13)가 도 7에 나타낸 상태로 회전되며, 카메라(21)로 시단 핀홀(13PS)을 통하여 경계선(30a)의 시단부가 촬영된다.
이 촬영된 시단부 및 종단부의 정보는 제어 장치(104)로 보내지며, 제어 장치(104)에 있어서, 시단부 및 종단부를 직선 접속한 경계선(30a)과, 전사 롤러(13)의 중심축(13a)과의 위치 관계(각도 관계)가 검출된다. 또, 촬영 종료 후에, 카메라(21)가 쌍방향 화살표 Y2로 나타낸 우측 방향으로 퇴피된다.
다음으로, 스텝 S9에 있어서, 제어 장치(104)의 패널 위치 결정 표시 검출 제어에 의해, 패널(15)의 위치 결정 표시가 검출된다. 즉, 패널 세트 테이블(14) 상의 패널(15)의 한쪽 변(15c)(도 9 참조)에 가장 가까운 위치 결정 표시로서의 BM(Black Matrix) 라인(15b)의 시단부 및 종단부가, 도 6에 나타낸 각 관통구(14a, 14b)를 통하여 패널 인식 카메라(20a, 20b)로 촬영된다. 이 촬영된 시단부 및 종단부의 정보는 제어 장치(104)로 보내지며, 제어 장치(104)에 있어서, 시단부 및 종단부를 직선 접속한 BM 라인(15b)의 위치가 검출된다. 또한, 스텝 S9의 패널 위치 결정 표시의 검출은, 스텝 S6의 처리 종료 후에 행해도 된다. 즉, 스텝 S6·S9는 스텝 S1∼S8과 병렬로 행해도 된다.
스텝 S9에서의 검출 후, 스텝 S10에 있어서, 제어 장치(104)의 제 2 위치 관계 확인 제어에 의해, 전사 롤러(13) 상의 FPR 필름(30f)과, 패널 세트 테이블(14) 상의 패널(15)과의 위치 관계가 적정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제어 장치(104)에 있어서, 상기 스텝 S8에서 검출된 전사 롤러(13)의 중심축(13a)에 대한 FPR 필름(30f)의 경계선(30a)의 위치와, 상기 스텝 S9에서 검출된 패널(15)의 BM 라인(15b)과의 위치 관계가 적정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에서, 경계선(30a)과 BM 라인(15b)이 상하로 일치하고 있으면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이 경우, 스텝 S12로 진행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는 BM 라인(15b)과 경계선(30a)은 평행 관계에 있으나, 필름 폭 방향, 즉 전사 롤러(13)의 중심축(13a)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고 판단된다고 한다.
이 경우, 스텝 S11에 있어서, 제어 장치(104)의 패널 위치 보정 제어에 의해, 패널(15)의 위치가 보정된다. 즉, 슬라이드용 구동 모터 기구(19)에 의해, 슬라이드 테이블(17)이 전사 롤러(13)의 중심축(13a)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패널 세트 테이블(14)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이동이, 패널(15)의 한쪽 변(15c)에 가장 가까운 BM 라인(15b)이, FPR 필름(30f)의 한쪽 변(30c)에 가장 가까운 경계선(30a)과 일치할 때까지 행해진다.
또는, 스텝 S10에 있어서, 경계선(30a)과 BM 라인(15b)이, 어떤 회전 각도 어긋나 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11에 있어서, θ 테이블(16)이 회전됨으로써 패널 세트 테이블(14)이 회전된다. 이 회전이, BM 라인(15b)이 경계선(30a)과 일치할 때까지 행해진다.
혹은, 그 회전에 의해, BM 라인(15b)이 경계선(30a)과는 일치하지 않고, 쌍방이 평행 관계이고, 또한, 중심축(13a)의 축선 방향에 어긋났다고 한다. 이 경우, 슬라이드 테이블(17)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 이동이, BM 라인(15b)이 경계선(30a)과 일치할 때까지 행해진다.
이와 같은 보정 후, 스텝 S12에 있어서, 제어 장치(104)의 필름 첩부 제어에 의해, 전사 롤러(13) 상의 FPR 필름(30f)이 패널(15)에 첩부된다. 즉, 상기 스텝 S11에서의 보정에 의한 BM 라인(15b)과 경계선(30a)의 일치 후, 도 1에 화살표 Y15로 나타낸 아래 방향으로 전사 롤러(13)가 이동되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5)의 소정 위치에, 전사 롤러(13) 상의 FPR 필름(30f)의 시단이 당접된다. 이 후, 전사 롤러(13)가 도 1에 화살표 Y1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5)의 표면에 있어서 종단을 향하여 평행 이동되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5)에 FPR 필름(30f)이 첩부된다. 이 첩부 후, 전사 롤러(13)는 도 1의 화살표 Y17, Y18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 방향 및 필름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필름 전사 개시 위치에 세트된다.
<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필름 첩부 장치(100)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필름 롤(1a)로부터 인출한 FPR 필름(30)을, 하프 커터(7)에 의해 패널(15)에의 첩부 길이만큼 잘라내고, 이 잘라낸 FPR 필름(30f)의 위치 결정(제 1 위치 결정)을 행해 전사 롤러(13)로 옮겨 전사한다. 이 전사된 FPR 필름(30f)을 전사 FPR 필름(30f)이라고도 한다. 전사 FPR 필름(30f)을 패널(15)로 첩부시에, 전사 FPR 필름(30f)과 패널(15)의 위치 결정(제 2 위치 결정)을 행하고, 전사 FPR 필름(30f)을 패널(15)에 옮겨 첩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FPR 필름(30f)의 전사 롤러(13)에의 전사시 및 패널(15)에의 첩부시의 각각에 있어서 위치 결정을 행하므로, FPR 필름(30f)을 패널(15)의 소정 위치에 적정하게 첩부할 수 있다.
또, 위치 결정된 FPR 필름(30f)을 필름 세트 테이블(9)의 평면 상에 유지하여, 전사 롤러(13)에 전사하므로, 주름이나 느슨해짐 없이 전사할 수 있다. 또한, 전사후에 전사 롤러(13)를 도시하지 않은 이동 기구에 의해 패널(15)의 상방의 소정 위치에 이동하여, 전사 FPR 필름(30f)과 패널(15)의 위치 결정을 행하므로, 패널(15)에 FPR 필름(30f)을 첩부할 때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그 첩부를 패널 세트 테이블(14)의 평면 상에서 전사 롤러(13)를 이동하면서 행하므로, 주름이나 느슨해짐 또한 기포의 발생 없이 패널(15)에의 FPR 필름(30f)의 첩부를 행할 수 있다.
또, 전사 롤러(13)에의 필름 전사시의 위치 결정을, FPR 필름(30f)의 위치 결정 표시(제 1 표시)를 카메라 촬영하고, 촬영 정보를 제어 장치(104)로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따라 θ 테이블(10)을 회전시켜, 이것에 의해 FPR 필름(30f)을 전사 롤러(13)의 전사 위치에 보정하므로, 고정밀도로 전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사 롤러(13)의 전사 FPR 필름(30f)의 제 1 표시와 패널(15)의 위치 결정 표시(제 2 표시)를 카메라 촬영하고, 각 촬영 정보를 제어 장치(104)로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따라 θ 테이블(16)을 회전시키고, 또 슬라이드 테이블(17)을 이동시켜 위치 결정을 행한다. 따라서, 패널(15)에 대한 FPR 필름(30f)의 첩부시의 위치 결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패널(15)에의 필름 첩부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 FPR 필름(30f)의 제 1 표시를 경계선(30a)으로 하고, 패널(15)의 제 2 표시를 BM 라인(15b)으로 하면, 위치 결정용의 표시를 붙이는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그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경계선(30a) 및 BM 라인(15b)을 검출할 때에, FPR 필름(30f)의 한쪽 변(30c)에 가장 가까운 경계선(30a)과, 패널(15)의 한쪽 변(15c)에 가장 가까운 BM 라인(15b)을 검출하면, FPR 필름(30f)과 패널(15)의 전체가 어긋난다는 문제를 없앨 수 있다.
또, 전사 롤러(13)의 내부에 백라이트(25)와 편광 렌즈(26)를 구비함과 함께, 전사 롤러(13)의 주회벽(周回壁)에 핀홀(13PS, 13PE)을 구비하고, 핀홀(13PS, 13PE)의 위치에 제 1 표시가 위치하도록 FPR 필름(30f)을 전사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백라이트(25)의 광이 편광 렌즈(26)를 통하여 핀홀(13PS, 13PE)로부터 외부로 조사되며, 이 조사광으로 제 1 표시가 외부로 투사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첩부 직전 위치 검출 카메라(21)로, 제 1 표시를 적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변형예 1>
도 13은 첩부 직전 위치 검출 카메라(21A)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카메라(21A)는, 상술한 제 2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며, 상방에 전사 FPR 필름(30f)의 제 1 표시인 경계선(30a)을 촬영하는 렌즈부(21a)와, 하방에 패널(15)의 BM 라인(15b)을 촬영하는 렌즈부(21b)와, 프리즘 등의 편광 기구(21c)를 구비하고 있다. 편광 기구(21c)는, 촬영광이 어느 하나의 렌즈부(21a 또는 21b)로부터 입사되도록 전환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 전환 제어는, 제어 장치(104)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즉, 렌즈부(21a)에서 상방의 전사 FPR 필름(30f)의 경계선(30a)을 촬영한 후에, 하방의 렌즈부(21b)로 전환하고, 이 렌즈부(21b)에서 하방의 패널(15)의 BM 라인(15b)을 촬영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패널 인식 카메라(20a, 2Ob)와 첩부 직전 위치 검출 카메라(21)의 2대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1대의 카메라(21A)로 상방의 제 1 표시와, 하방의 제 2 표시를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그만큼 장치의 소형,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2>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을, 하프 커터(7)에 의한 FPR 필름(30)의 잘라내기가 소정 횟수 행해질 때마다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통상,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을 1회 행하면, 그 후, 필름 전사 및 첩부를 소정 횟수 행하더라도, 그 위치 결정이 어긋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그 어긋나는 일이 없는 동안, 위치 결정 동작을 생략한다면, 그만큼 동작을 간략화하여 기기의 마모나 소비 전력 등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변형예 3>
에어를 분사하는 도시하지 않은 분사 장치(분사 수단)를 구비하고, 전사 롤러(13)에의 FPR 필름(30f)의 제 1 층(30-1)의 전사시에, 제 2 층(30-2)과 제 3 층(30-3)의 사이(FPR 필름(30f)이 2층 구조인 경우에는 제 1 층과 제 2 층의 사이)에 분사 장치로부터 에어를 분사하여 박리한다. 또한, 전사된 제 2 층(30-2)의 패널(15)에의 첩부시에, 제 1 층(30-1)과 전사 롤러(13)의 사이(FPR 필름(30f)이 2층 구조인 경우에는 제 1 층과 전사 롤러(13)의 사이)에 분사 장치로부터 에어를 분사하여 제 1 층(30-1)을 원활하게 박리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필름 전사시에, FPR 필름(30f)으로부터 전사에 불필요한 제 3 층(30-3)(또는 제 2 층)을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필름 첩부시에, 첩부 대상인 전사 FPR 필름(30f)을 전사 롤러(13)로부터 확실하게 박리하여 패널(15)에 첩부할 수 있다.
<변형예 4>
필름 롤(1a)에 감긴 FPR 필름(30)이, 적어도 제 1 층과 제 2 층의 필름이 점착된 2층 구조를 이루고, 전사 롤러(13)가, 이 주회면에 필름(30)의 제 1 층을, 제 1 층과 제 2 층의 점착력보다 강하고 또한 패널(15)에의 제 1 층의 첩부시의 점착력보다 약한 흡인력으로 흡인하는 진공 기구(도시 생략)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진공 기구에서의 전사 롤러(13)에의 제 1 층의 흡인시에 제 1 층이 제 2 층으로부터 박리되어 전사되며, 이 전사된 제 1 층의 패널(15)에의 첩부시에, 제 1 층이 전사 롤러(13)로부터 박리된다. 이 진공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이더라도 적정하게 필름 전사 및 첩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사 롤러(13)의 진공 기구는, 바꿔 말하면 진공 흡착 기구이다. 이와 같은 진공 흡착 기구에 의하면, 전사 롤러(13) 하강시에, FPR 필름(30f)과 접촉할 때까지 하강하지 않더라도, 진공에 의한 흡인력으로 FPR 필름(30f)이 끌어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여, 전사 롤러(13)에의 유지력이 향상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왜냐하면, 전사 롤러(13)에 진공이나 진공 흡착 기구가 없는 경우, 도 4와 같이, 전사 롤러(13)로 FPR 필름(30f)을 권취할 때에, 전사 롤러(13)를 하강시켜, FPR 필름(30f)과 접촉시키고, 이 접촉 위치로부터 전사 롤러(13)를 수평 이동시킨다. 그러나, 이 경우, 전사 롤러(13)의 하강 위치에 따라서는, 약간의 점착 시트 닳음에 의해, 미소하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고, 또, 밀어붙이는 힘 부족에 의해, FPR 필름(30f)이 전사 롤러(13)로부터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전사 롤러(13)에 진공이나 진공 흡착 기구를 채용한 경우, 그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FPR 필름(30f)의 전사 롤러(13)에의 전사면에 점착성이 있는 경우이더라도, 전사 개시시에 당초에 FPR 필름(30f)의 단부(端部)를 진공이나 진공 흡착 기구로 흡인하고, FPR 필름(30f)이 어느 정도의 길이로 전사된 시점에서 흡인을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처음에는 FPR 필름(30f)의 단부를 흡인하므로, 상기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아 최초의 전사 동작이 원활하게 실행된다는 메리트가 있다.
<변형예 5>
전사 롤러(13)의 시단부 및 종단부의 위치에 마련된 핀홀(13PS, 13PE) 대신에, 시단부와 종단부를 직선 형상으로 접속하는 가늘고 긴 슬릿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그 슬릿으로 시단부로부터 종단부까지 연속적으로 1개의 경계선(30a)을 확인할 수 있다.
전사 롤러(13)에 상기의 슬릿을 형성하는 구조의 경우, 전사 롤러(13)가 소형일수록, 구조적으로 강도가 저하되어 약해진다. 그래서, 슬릿에 투명 수지 등의 투명한 보강 부재를 메워 넣으면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사 롤러(13)의 시단부와 종단부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 핀홀을 단속적으로 복수 더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시단부로부터 종단부까지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단속적인 핀홀로 1개의 경계선(30a)을 확인할 수 있고, 또, 상기 슬릿만을 형성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강도의 저하를 그다지 초래하지 않는다는 메리트가 있다.
<변형예 6>
또한, 도 8의 예에 있어서, 카메라(21)를 전사 롤러(13)의 내부에, 또는, 백라이트(25) 등을 전사 롤러(13) 밖에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즉, 도 8의 예에 있어서, 카메라(21)와 백라이트(25)(편향 렌즈(26))의 위치를 반대로 해도 된다. 편향 렌즈(25)는 카메라(21) 측에 있어도 된다.
또, 32형, 40형, 60형 등과 같이, 사이즈가 다른 패널(15)에 대하여, FPR 필름(30f)을 첩부할 때, 패널(15) 및 FPR 필름(30f)의 서로의 모서리 부분의 시단부 또는 종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컷 및 첩부를 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패널(15)의 사이즈가 달라, 이것에 첩부하는 필름의 길이가 다르더라도, 필름 모서리 부분의 시단부(또는 종단부)를 관통구에 의해 검출하여 컷 및 첩부를 행하면 된다. 종래에는, 시단 관통구로부터 다른 패널 사이즈에 따른 위치까지의 후단 관통구가 각각의 사이즈에 따라 필요했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모서리 부분에 1개의 관통구가 있으면 되므로, 시단 관통구에 대하여, 패널 사이즈마다 위치가 다른 복수의 종단 관통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메리트가 있다.
이 밖에, 본 예의 필름 첩부 장치(100)는, 화소를 가지는 패널(15)에의 광학 필름(30f)의 첩부에 한정되지 않고, 태양광 패널에의 보호 필름의 첩부 등 폭 넓은 용도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하여,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의 각 구성, 기능, 처리부(제어부), 처리 수단 등은, 그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예를 들면 집적 회로로 설계하는 등에 의해 하드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또, 상기의 각 구성, 기능 등은, 프로세서가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해석하고, 실행함으로써 소프트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각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테이블, 파일 등의 정보는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등의 기록 장치, 또는, IC(lntegrated Circuit) 카드, SD(Secure Digital memory) 카드,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기록 매체에 둘 수 있다.
또, 제어선이나 정보선은 설명상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품상 반드시 모든 제어선이나 정보선을 나타내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실제로는 거의 모든 구성이 서로 접속되어 있다고 생각해도 된다.
1a: 필름 롤 2, 3, 4: 가이드 롤러
5: 닙 롤러 6: 권취축
7: 하프 커터 8: 도마
9: 필름 세트 테이블 10: θ 테이블
11: 프레임 12: 필름 인식 카메라
13: 전사 롤러 14: 패널 세트 테이블
15: 패널 15a: 화소
15b: BM(블랙 매트릭스) 라인 16: θ 테이블
17: 슬라이드 테이블 18: 가이드
19: 슬라이드용 구동 모터 기구 20: 패널 인식 카메라
21: 첩부 직전 위치 검출 카메라 25: 백라이트
26: 편광 렌즈 30, 30f: FPR 필름
30a: 경계선 100: 필름 첩부 장치
101: 필름 전사부 102: 필름 첩부부
103: 대좌 104: 제어 장치

Claims (10)

  1. 롤에 감긴 필름을 인출하고, 이 인출 필름을 패널에의 첩부 길이로 잘라내는 잘라내기 수단과,
    주회면을 가지고, 상기 잘라내어진 필름을 당해 주회면에 옮겨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전사를 행하기 전에, 상기 잘라내어진 필름을 상기 주회면에 미리 정해진 상태에서 전사 가능하도록, 상기 주회면에 대한 당해 필름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 1 위치 결정 수단과,
    상기 전사 수단에 전사된 전사 필름을, 상기 패널에 미리 정해진 상태로 첩부 가능하도록, 상기 전사 필름에 대한 상기 패널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제 2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사 수단은, 상기 제 2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패널의 위치 결정 후에, 이 위치 결정된 패널에 상기 전사 필름을 옮겨 첩부하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필름의 위치 결정과, 상기 제 2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패널의 위치 결정은, 상기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상기 필름의 잘라내기가 미리 정해진 횟수로 행해질 때마다, 실행되고,
    상기 필름에 직선 형상의 제 1 표시가 붙여짐과 함께, 상기 패널에 직선 형상의 제 2 표시가 붙여져 있고,
    상기 전사 수단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전사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 수단이, 상기 필름 유지 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과, 상기 제 1 표시를 검출하는 제 1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위치 결정 수단이, 상기 패널 유지 수단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회전 이동 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를 검출하는 제 2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필름 유지 수단은, 상기 필름을, 상기 전사 롤러의 하방에서 당해 전사 롤러의 중심축의 축 방향과 당해 필름의 상기 인출 방향이 교차하도록 유지하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유지된 필름의 상기 제 1 표시를 상기 제 1 검출 수단에서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제 1 표시가, 상기 전사 롤러의 중심축과 미리 정해진 각도로 교차하도록,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필름 유지 수단을 회전시키고,
    상기 패널 유지 수단은, 상기 패널을, 상기 필름이 전사된 전사 롤러의 하방에서 당해 전사 롤러의 중심축의 축 방향과 당해 패널의 미리 정해진 방향이 교차하도록 유지하고,
    상기 제 2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전사된 필름의 상기 제 1 표시와, 상기 유지된 패널의 제 2 표시를 상기 제 2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하고, 이들 검출된 제 1 표시와 제 2 표시가 상하로 일치하도록, 상기 회전 이동 수단으로 상기 패널 유지 수단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첩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수단은 상기 제 1 표시를 촬영하는 제 1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검출 수단은 상기 제 1 표시 및 상기 제 2 표시 중 어느 한쪽의 촬영광으로 전환하는 편광 기구를 가지는 제 2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첩부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서로 다른 편광 특성을 가지는 제 1 라인과 제 2 라인이, 상기 인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이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라인이 당해 인출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번갈아 복수 배열된 광학 필름이며,
    상기 패널이, 블랙 매트릭스인 BM 라인 간에 화소가 배열된 구성을 이루고,
    상기 제 1 표시는, 상기 제 1 라인과 상기 제 2 라인의 경계선이며, 상기 제 2 표시는, 상기 BM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첩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수단은, 상기 필름의 상기 인출 방향의 한쪽 변에 가장 가까운 상기 경계선을 상기 제 1 표시로서 검출하고,
    상기 제 2 검출 수단은, 상기 전사 롤러에 전사된 필름의 상기 한쪽 변에 가장 가까운 상기 경계선을 상기 제 1 표시로서 검출함과 함께, 상기 패널의 필름 첩부 방향의 한쪽 변에 가장 가까운 상기 BM 라인을 상기 제 2 표시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첩부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롤러는, 이 내부에 있어서 라이트와 편광 렌즈를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라이트의 광을 상기 편광 렌즈를 통하여 당해 전사 롤러의 외부로 조사하기 위한 핀홀이 당해 전사 롤러의 주회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홀의 위치에 상기 제 1 표시가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필름이 상기 전사 롤러에 전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첩부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적어도 제 1 층과 제 2 층의 필름이 점착된 2층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전사 수단에 전사되는 상기 필름의 제 1 층과 당해 전사 수단을 점착하는 제 1 점착력은,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을 점착하는 제 2 점착력보다 강하고, 상기 전사 수단에 전사된 상기 제 1 층과 상기 패널을 점착하는 제 3 점착력은, 상기 제 1 점착력보다 강한 관계로 되어 있고,
    상기 전사 수단으로의 상기 제 1 층의 전사시에, 당해 제 1 층이 상기 제 2 층으로부터 박리하고, 상기 전사 수단에 전사된 제 1 층의 상기 패널에의 첩부시에, 당해 제 1 층이 당해 전사 수단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첩부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적어도 제 1 층과 제 2 층의 필름이 점착된 2층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전사 수단은, 당해 전사 수단의 주회면에 상기 필름의 제 1 층을, 당해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의 점착력보다 강하고 또한 상기 패널에의 당해 제 1 층의 첩부시의 점착력보다 약한 흡인력으로 흡인하는 진공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 기구에서의 상기 전사 수단으로의 상기 제 1 층의 흡인시에 당해 제 1 층이 상기 제 2 층으로부터 박리되고, 상기 전사 수단에 전사된 제 1 층의 상기 패널에의 첩부시에, 당해 제 1 층이 당해 전사 수단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첩부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130075657A 2012-06-29 2013-06-28 필름 첩부 장치 KR101485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6711 2012-06-29
JP2012146711A JP5967529B2 (ja) 2012-06-29 2012-06-29 フィルム貼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559A KR20140002559A (ko) 2014-01-08
KR101485385B1 true KR101485385B1 (ko) 2015-01-23

Family

ID=4989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5657A KR101485385B1 (ko) 2012-06-29 2013-06-28 필름 첩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67529B2 (ko)
KR (1) KR101485385B1 (ko)
CN (1) CN103513319B (ko)
TW (1) TWI53880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917B1 (ko) 2017-10-19 2018-10-22 김규만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용 광학필름의 자동조립장치 및 자동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81B1 (ko) * 2013-03-27 2014-07-18 주식회사 아바코 필름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방법
JP6346505B2 (ja) * 2014-06-27 2018-06-20 住友化学株式会社 貼合装置、貼合方法、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システムおよび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方法
KR102172767B1 (ko) * 2015-03-31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름 부착 시스템 및 필름 부착 방법
JP7020189B2 (ja) * 2018-03-02 2022-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ィルム搬送装置、フィルム搬送方法、及びフィルム貼付け装置
TW202031581A (zh) * 2019-02-15 2020-09-01 日商倍科有限公司 貼膜裝置及貼膜方法
CN112572883A (zh) * 2020-12-25 2021-03-30 安徽金龙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用于小尺寸玻璃的贴膜装置和贴膜系统
CN112871578B (zh) * 2021-01-19 2022-07-22 北京亚宝生物药业有限公司 一种贴剂制备装置及制备方法
JP7070956B1 (ja) 2021-10-26 2022-05-18 株式会社 ベアック 貼付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699A (ko) * 1998-08-24 2000-03-15 김영환 액정표시소자의 편광판 부착 장치
KR20120037531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패널의 제조장치
KR20120038916A (ko) * 2011-10-26 2012-04-24 가부시키가이샤 후쿠 필름 점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231A (ja) * 1998-05-08 1999-11-30 Sony Corp フィルム貼付装置
JP4346971B2 (ja) * 2003-05-16 2009-10-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貼合方法及び装置
CN100549768C (zh) * 2006-09-08 2009-10-14 淀川美科株式会社 偏振片粘贴装置
KR100880554B1 (ko) * 2007-07-13 2009-01-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편광판 부착장치
JP5134523B2 (ja) * 2008-12-17 2013-01-30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光学フィルム貼付け装置、光学フィルム貼付け方法、およ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4751997B1 (ja) * 2010-02-17 2011-08-1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貼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の製造システム
JP2011197280A (ja) * 2010-03-18 2011-10-06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フィルム貼合装置及び貼合方法
JP2011257463A (ja) * 2010-06-07 2011-12-22 Yodogawa Medec Co Ltd 偏光板貼付け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偏光板貼付け方法
CN104115209B (zh) * 2012-02-29 2018-04-2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显示设备的生产系统以及光学显示设备的生产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699A (ko) * 1998-08-24 2000-03-15 김영환 액정표시소자의 편광판 부착 장치
KR20120037531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패널의 제조장치
KR20120038916A (ko) * 2011-10-26 2012-04-24 가부시키가이샤 후쿠 필름 점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917B1 (ko) 2017-10-19 2018-10-22 김규만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용 광학필름의 자동조립장치 및 자동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38809B (zh) 2016-06-21
JP5967529B2 (ja) 2016-08-10
TW201418029A (zh) 2014-05-16
CN103513319B (zh) 2016-01-20
JP2014010293A (ja) 2014-01-20
CN103513319A (zh) 2014-01-15
KR20140002559A (ko)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385B1 (ko) 필름 첩부 장치
JP4377961B1 (ja) 光学フィルムの積層体ロー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4503691B1 (ja) 液層表示素子の連続製造方法及び装置
CN104136968B (zh) 光学显示设备的生产系统以及光学显示设备的生产方法
JP4503690B1 (ja) 液晶表示素子を連続製造する装置に用いられる情報格納読出システム、及び、前記情報格納読出システム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019618B1 (ko) 액정표시소자를 연속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용되는 정보 저장 독출 연산시스템 및 정보 저장 독출 연산시스템의 제조방법
KR101597397B1 (ko) 필름 부착 시스템
KR20190047105A (ko) 광학적 표시 유닛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TW201501939A (zh) 剝離裝置及光學顯示裝置之生產系統
CN106536355B (zh) 贴合装置、贴合方法、光学显示器件的生产系统及方法
KR102166696B1 (ko) 광학필름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장치
JP2015045820A (ja) フィルム貼合装置、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システム及び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方法
JP2017187618A (ja) 光学的表示装置を製造する方法
KR102154006B1 (ko) 광학적 표시 장치의 적층체,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시스템
JP5923764B2 (ja) フィルム貼付装置
WO2014156530A1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9061210A (ja) 光学的表示装置の積層体を製造する方法
JP2014197156A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4191075A (ja) 積層体の製造方法
TW201506491A (zh) 光學顯示設備之生產系統
JP2012033612A (ja) Fpdモジュール組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