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047B1 -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047B1
KR101485047B1 KR20117015844A KR20117015844A KR101485047B1 KR 101485047 B1 KR101485047 B1 KR 101485047B1 KR 20117015844 A KR20117015844 A KR 20117015844A KR 20117015844 A KR20117015844 A KR 20117015844A KR 101485047 B1 KR101485047 B1 KR 101485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latform
winding
loop
dow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701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611A (ko
Inventor
히데오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1011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7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positively attached to a wind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Abstract

승강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와이어(14)를 루프형으로 풀어낸 상태에서 권취하는 권취 기구(13), 및 권취 기구(13)로부터 풀어내어진 적어도 2개의 와이어(14)의 루프형 부분(21A, 21B)에 매달리는 승강대(3)이며, 와이어(14)의 루프형 부분(21A, 21B)이 걸쳐 놓인 적어도 4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A, 22B)를 가지고, 적어도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A)에는, 1개의 와이어(14)의 루프형 부분(21A)이 걸쳐 놓이고, 다른 적어도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B)에는, 다른 1개의 와이어(14)의 루프형 부분(21B)이 걸쳐 놓인 승강대(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승강 장치{LIFTING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를 사용하여 승강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강 장치는,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 기구를 동작시켜, 와이어의 풀어내는 량을 조절함으로써 승강대를 소정의 높이로 승강 이동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승강 장치에서는, 권취 기구에 권취되어 있는 4개의 단선형(單線形) 와이어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승강대의 4개의 코너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대의 높이는, 권취 기구에 의해 와이어의 풀어내는 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된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평 8-30141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승강 장치에서는, 경년(經年) 변화 등에 의해 4개의 단선형 와이어 중 1개만이 다른 3개에 비해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그 늘어난 단선형 와이어의 권취 기구로부터의 풀어내는 량은, 다른 3개의 단선형 와이어보다 길어진다. 그 결과, 승강대는 나머지 3개의 단선형 와이어에 의해 현수(懸垂) 지지되는 상태로 되므로, 승강대는 불안정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승강대를 매다는 와이어가 늘어난 경우에도 승강대를 안정적으로 매달 수 있는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의 특징적 구성은, 적어도 2개의 와이어를 루프형으로 풀어낸 상태에서 권취하는 권취 기구, 및 상기 권취 기구로부터 풀어내어진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에 매달리는 승강대로서,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이 걸쳐 놓인 적어도 4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를 가지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에는,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이 걸쳐 놓이고, 다른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에는, 다른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이 걸쳐 놓인 승강대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또한, 승강 장치가, 상기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을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의 각각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2개의 하방 안내용 회전체와, 상기 다른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을 상기 다른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의 각각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다른 2개의 하방 안내용 회전체를 가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전술한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경년 변화에 따라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이 늘어나서 권취 기구로부터 풀어내어지는 풀어내는 량이 다른 쪽의 루프형 부분보다 길어지더라도,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가 그 루프형 부분에 의해 균등하게 매달리는 상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즉,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의 각각에 관해서는, 승강대를 현수 지지하는 와이어가 늘어난 경우라도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 사이에서 승강대를 안정적으로 현수 지지할 수 있는 승강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의 다른 특징적 구성은, 상기 승강대의 주위에 배치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장척형(長尺形)의 복수의 안내용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대는, 상기 복수의 안내용 레일의 각각에 맞닿는 복수의 피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안내용 레일과 상기 피안내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대의 승강 이동이 상기 안내용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점에 있다.
전술한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승강대에 설치된 피안내부가 안내용 레일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승강대를 원활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의 또 다른 특징적 구성은, 상기 피안내부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원기둥의 측면의 원주 상에 칼라부(collar portion)를 가지고, 상기 피안내부가, 상기 안내용 레일의 측면에 대하여, 상기 피안내부의 측면과 상기 피안내부의 칼라부에 의해 2방향으로부터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피안내부가 상기 안내용 레일의 측면 상을 회전하면서 진행함으로써, 상기 피안내부와 상기 안내용 레일과의 사이의 수평 방향에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면서 상기 승강대의 승강 이동이 상기 안내용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점에 있다.
전술한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피안내부와 안내용 레일과의 사이의 수평 방향에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면서 승강대의 승강 이동이 안내용 레일에 의해 안내된다. 즉, 승강대를 승강 이동시킬 때 승강대가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승강대를 원활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의 또 다른 특징적 구성은, 상기 승강대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이면서 장척형인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형이면서 장척형인 부재의 대향하는 2개의 장변(長邊) 부분 중, 한쪽의 장변 부분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가 장착되고, 다른 쪽의 장변 부분에 상기 다른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가 장착되는 점에 있다.
전술한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승강대의 2개의 장변 부분 중, 한쪽의 장변 부분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가 한쪽의 루프형 부분에 의해 매달리고, 다른 쪽의 장변 부분에 설치된 다른 적어도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가 다른 쪽의 루프형 부분에 의해 매달린다. 즉, 승강대의 2개의 장변 부분을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승강대를 안정적으로 현수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의 또 다른 특징적 구성은, 상기 승강대는,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구조물에 대하여, 상기 승강대의 상기 한쪽의 장변 부분이 상기 구조물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점에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은,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물품을 수납 가능한 복수의 수납부를 가지는 물품 수납 선반이라도 된다.
전술한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물품 수납 선반과 같은 상기 구조물을 따라 승강대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승강대에 올라서서, 구조물의 점검 등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물품 수납 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물품 수납 선반의 상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물품 수납 선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승강식 발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안내용 레일과 승강식 발판의 안내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중간부용 지지부와 단부용(端部用)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중간부용 지지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8은, 단부용 지지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9는, 현수용 와이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권취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스토퍼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어 열림 저지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표시부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표시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표시부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물품 수납 설비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물품 수납 선반의 상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설비는, 물품 수납 선반(2), 승강식 발판(3), 반송 장치(5), 및 승강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물품 수납 선반(2)는,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구조물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태의 한쌍의 수납 선반 부분(2a)을 구비한다. 이 한쌍의 수납 선반 부분(2a) 사이에는, 후술하는 이동 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물품 수납 선반(2)은,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물품을 수납 가능한 복수의 수납부(1)를 가진다. 또한, 물품 수납 선반(2)에는, 한쪽의 수납 선반 부분(2a)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수납부(1)를 이용한 복수의 물품 반입출부(4)가 선반의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竝設)되어 있다. 승강대로서의 승강식 발판(3)은, 승강 장치에 의해 이동 공간 S를 선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고 있다. 반송 장치(5)는, 물품 수납 선반(2)의 수납부(1)와 물품 반출입부(4)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선반(2)에는, 이동 공간 S에 사람이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6)와, 출입구(6)을 개폐하는 유지보수용 도어(7)가 설치되어 있다. 물품 수납 선반(2)의 가로 폭 방향의 양쪽을 덮도록, 즉 한쌍의 수납 선반 부분(2a) 사이에 존재하는 이동 공간 S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쪽을 덮도록, 한쌍의 외벽(2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외벽(2b)에, 이동 공간 S로 통하는 출입구(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공간 S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식 발판(3)에 대하여, 출입구(6)를 이용하여 승강할 수 있다. 유지보수용 도어(7)는, 세로축심 주위의 요동(搖動) 조작에 의해 출입구(6)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반송 장치(5)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9)와 승강 프레임(1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물품 이송탑재 장치(9)는, 물품을 각 수납부(1)와 자기(自己)와의 사이에서 이송탑재한다. 구체적으로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9)는, 포크 장치를 세로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고, 한쌍의 수납 선반 부분(2a) 어느 쪽에 대해서도 각 수납부(1)와 자기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승강 프레임(10)은, 물품 이송탑재 장치(9)를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이동 공간 S를 선반 상하 폭 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한다.
도 3은 물품 수납 선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승강식 발판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안내용 레일과 승강식 발판의 안내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승강식 발판(3)은, 평면에서 볼 때 형상이 직사각형이면서 장척형으로 형성된 부재, 즉 발판 부분(15)과, 이 발판 부분(15)에서의 선반 전후 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 연결된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을 구비한다. 즉, 승강식 발판(3)은,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판 부분(15) 및 한쌍의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은, 이동 공간 S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승강식 발판(3)은, 정역(正逆)으로 회전 조작되는 권취 기구(13)로부터 풀어내어지는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14)에 의해 복수 개소에서 현수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식 발판(3)은, 권취 기구(13)가 정역 회전함으로써, 물품 수납 선반(2)의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한다. 승강식 발판(3)의 승강 이동 범위는, 선반의 상하 방향을 따른 이동 공간 S의 상단(上端) 개소 또는 그 상단 개소 가까이의 높이(이하의 설명에서 "퇴피 높이"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음)와, 선반의 상하 방향을 따른 이동 공간 S의 상하 중간 개소의 높이(이하의 설명에서 "작업용 높이"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음)와의 사이이다.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장치는, 승강식 발판(3)에 설치된 피안내부로서의 안내 롤러(17)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용 레일(18)을 구비한다. 바꾸어 말하면, 승강 장치는, 승강식 발판(3)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장척형의 복수의 안내용 레일(18)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안내용 레일(18)이 승강식 발판(3)을 에워싸도록 위치한다. 승강식 발판(3)은, 복수의 안내용 레일(18)의 각각에 맞닿는 복수의 피안내부로서의 안내 롤러(17)를 가지고, 안내용 레일(18)와 안내 롤러(17)가 맞닿은 상태에서, 승강식 발판(3)의 승강 이동이 안내용 레일(18)에 의해 안내된다. 즉, 4개의 안내용 레일(18)은, 외측으로부터 승강식 발판(3) 및 안내 롤러(17)를 협지하는 형태로, 안내 롤러(17)에 대하여 맞닿는다.
더 설명하면, 안내 롤러(17)는, 승강식 발판(3)에서의 한쌍의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의 각각에 이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으로부터 선반 전후 폭 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설치된다. 안내 롤러(17)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이 원기둥의 측면의 원주 상에는 칼라부로서의 리브(rib)(17a)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용 레일(18)은, 물품 수납 선반(2)에서의 수납 선반 부분(2a)의 각각에 안내 롤러(17)에 대응하도록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설치된다. 안내용 레일(18)의 수평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그리고, 안내 롤러(17)가, 안내용 레일(18)의 측면에 대하여, 안내 롤러(17)의 측면과 안내 롤러(17)의 리브(17a)에 의해 2방향으로부터 맞닿은 상태에서, 안내 롤러(17)가 안내용 레일(18)의 측면 상을 회전하면서 진행함으로써, 안내 롤러(17)와 안내용 레일(18)과의 사이의 수평 방향에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면서 승강식 발판(3)의 승강 이동이 안내용 레일(18)에 의해 안내된다. 안내 롤러(17)의 측면은 안내용 레일(18)의 1개의 측면에 맞닿고, 안내 롤러(17)의 리브(17a)는 안내용 레일(18)의 다른 측면에 맞닿는다. 즉, 리브(17a)는,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바깥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작용한다.
도 6은 중간부용 지지부와 단부용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며, 도 7은 중간부용 지지부의 종단(縱斷) 정면도이며, 도 8은 단부용 지지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선반(2)에는, 하강 조작되는 승강식 발판(3)을 작업용 높이에서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1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19)로서,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중간부를 탑재 지지하는 중간부용 지지부(19a)와,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단부를 탑재 지지하는 단부용 지지부(19b)가 구비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부용 지지부(19a)는,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른 자세의 가로 프레임(11)에 고착된 블록형의 부재이다. 중간부용 지지부(19a)는,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으로부터 선반 전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된 판형 부재(16a)를 탑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용 지지부(19b)는, 선반 전후 폭 방향을 따른 자세의 전후 프레임(12)에 고착된, L자형으로 굴곡 형성된 판형의 부재이다. 단부용 지지부(19b)는, 발판 부분(15)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단부를 탑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부용 지지부(19b)에 구비된 위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20)는, 발판 부분(15)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작업용 높이에 위치하는 승강식 발판(3)이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그리고, 각 지지부(19)는, 승강 이동하는 반송 장치(5)와 간섭하지 않도록 반송 장치(5)의 승강 이동 경로의 수평 방향 외측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승강식 발판(3)과 이것을 매다는 현수용 와이어(14)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현수용 와이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 기구(13)는, 2개의 현수용 와이어(14)를 루프형으로 풀어낸 상태에서 권취한다. 그리고, 승강식 발판(3)은, 권취 기구(13)로부터 풀어내어진 2개의 현수용 와이어(14)의 루프형 부분(21A, 21B)에 매달린다. 승강식 발판(3)은, 현수용 와이어(14)의 루프형 부분(21A, 21B)이 걸쳐 놓인 4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A, 22B)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A)에는, 1개의 현수용 와이어(14)의 루프형 부분(21A)이 걸쳐 놓이고, 다른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B)에는, 다른 1개의 현수용 와이어(14)의 루프형 부분(21B)이 걸쳐 놓인다. 승강식 발판(3)의 대향하는 2개의 장변 부분 중, 한쪽의 장변 부분에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A)가 장착되고, 다른 쪽의 장변 부분에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B)가 장착된다.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A)는, 가능한 한 이격되어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쪽의 장변 부분의 양단(兩端) 근방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B)는 가능한 한 이격되어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다른 쪽의 장변 부분의 양단 근방에 설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현수용 와이어(14)의 루프형 부분(21A)은, 한쌍의 하향 부분(21b)과 이들 하향 부분(21b)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수평 자세 부분(21c)을 구비하는 상태에서 권취 기구(13)로부터 풀어내어지고 있다. 또한, 현수용 와이어(14)의 루프형 부분(21B)은, 한쌍의 하향 부분(21b)과 이들 하향 부분(21b)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수평 자세 부분(21c)을 구비하는 상태에서 권취 기구(13)로부터 풀어내어지고 있다.
그리고, 루프형 부분(21A)이 걸쳐 놓인 하방 안내용 회전체(23c)로부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A)에 이르는 상하 방향을 따른 부분이 하향 부분(21b)에 상당하며, 루프형 부분(21A)이 걸쳐 놓인 한쌍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A)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른 부분이 수평 자세 부분(21c)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루프형 부분(21B)이 걸쳐 놓인 하방 안내용 회전체(23c)로부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B)에 이르는 상하 방향을 따른 부분이 하향 부분(21b)에 상당하고, 루프형 부분(21B)이 걸쳐 놓인 한쌍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B)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른 부분이 수평 자세 부분(21c)에 상당한다.
또한, 물품 수납 선반(2)의 상단부에는, 루프형 부분(21A, 21B)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용 회전체(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안내용 회전체(23)는, 수평 안내용 회전체(23a), 되돌림 안내용 회전체(23b), 및 하방 안내용 회전체(23c)로 구성된다. 수평 안내용 회전체(23a)는, 선반 가로 폭 방향에서의 권취 기구(13)와 같은 측에 설치되어 권취 기구(13)로부터 위쪽으로 풀어내어진 직후의 루프형 부분(21A, 21B)을 수평 방향으로 안내한다. 되돌림 안내용 회전체(23b)는, 선반 가로 폭 방향에서의 권취 기구(13)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루프형 부분(21A, 21B)을 되돌리도록 안내한다. 하방 안내용 회전체(23c)는, 수평 안내용 회전체(23a)와 되돌림 안내용 회전체(23b)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루프형 부분(21A, 21B)를 아래쪽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수평 안내용 회전체(23a), 되돌림 안내용 회전체(23b) 및 하방 안내용 회전체(23c)의 5개의 안내용 회전체(23)의 조(組)가, 승강식 발판(3)의 한쪽의 장변 부분 측과 다른 쪽의 장변 부분 측[즉, 물품 수납 선반(2)의 상단부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에 2조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물품 수납 선반(2)의 상단부에서의 한쪽과 다른 쪽의 양측에 루프형 부분(21A, 21B)에 장력(tension)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 회전체(24)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권취 기구(1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권취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 기구(13)는, 물품 수납 선반(2)에서의 출입구(6)의 위쪽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 권취 기구(13)로서, 한쪽의 루프형 부분(21A)의 일단측을 권취하는 권취 기구(13a), 한쪽의 루프형 부분(21A)의 타단 측을 권취하는 권취 기구(13b), 다른 쪽의 루프형 부분(21B)의 일단측을 권취하는 권취 기구(13c), 및 다른 쪽의 루프형 부분(21B)의 타단 측을 권취하는 권취 기구(13d)의 4개의 권취 기구(13)가, 물품 수납 선반(2)의 외벽(2b)의 외면 측에서의 출입구(6)의 위쪽 개소에 선반 전후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권취 기구(13)는 회전축(32)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4개의 권취 기구(13)의 각각은 회전축(32)과의 연결를 해제함으로써 별도로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품 수납 선반(2)에서의 출입구(6)의 가로측 개소에, 권취 기구(13)에 연결되어 권취 기구(13)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수동식 조작 도구로서의 윈치(winch)(25)가 설치되어 있다. 수동식 윈치(25)의 회전체(26)로부터 풀어내어지는 조작용 와이어(27)를 권취하는 회전 조작용 회전체(28)가 설치되어 있다. 권취 기구(13)는, 회전 조작용 회전체(28)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로써, 윈치(25)가 권취 기구(13)와 연결된다. 회전 조작용 회전체(28)는, 물품 수납 선반(2)의 외벽(2b)의 외면 측에서의 출입구(6)의 가로측 위쪽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즉, 작업자가 조작용 와이어(27)를 회전체(26)에 의해 권취하도록 윈치(25)를 조작하면, 회전 조작용 회전체(28)가 조작용 와이어(27)를 풀어내도록 회전한다. 이에 따라 권취 기구(13)가 현수용 와이어(14)를 권취하도록 회전하고, 2개의 루프형 부분(21A, 21B)의 풀어내는 량이 적어지면, 승강식 발판(3)이 현수용 와이어(14)에 의해 끌어 올려져 상승 이동한다. 또한, 작업자가 조작용 와이어(27)를 회전체(26)로부터 풀어내도록 윈치(25)를 조작하면, 회전 조작용 회전체(28)가 조작용 와이어(27)를 권취하도록 회전한다. 이에 따라 권취 기구(13)가 현수용 와이어(14)를 풀어내도록 회전하고, 2개의 루프형 부분(21A, 21B)의 풀어내는 량이 많아지면, 승강식 발판(3)이 자중(自重)에 의해 하강 이동한다.
도 11은, 스토퍼 수단(3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 기구(13)에는, 승강식 발판(3)의 하강 측으로의 회전을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에 도달하면 저지하는 스토퍼 수단(31)이 연결되어 있다. 스토퍼 수단(31)은, 권취 기구(13)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32)에 나사결합되어 권취 기구(13)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32)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33)와, 이 이동체(33)의 회전축심 방향의 이동 범위를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에 도달하는 범위로 규제하는 규제체(34)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 수단(31)이 가지는 이동체(33)는, 기단부(基端部)가 회전축(32)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설치된 안내축(35)에 그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고, 선단부(先端部)가 회전축(32)에서의 나사부(32a)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 기구(13)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32)이 회전하면, 회전축(32)은, 이동체(3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이동체(33)가 안내축(35)의 축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체(33)의 중간부에 규제체(34)가 맞닿으면, 이동체(33)의 슬라이드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승강식 발판(3)이 하강하는 방향에 대한 권취 기구(13)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동체(33)가 규제체(34)에 맞닿은 상태는,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에 대응하는 개소까지 이동한 상태이다. 규제체(34)는, 지지판(36)에 나사결합하는 나사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회전함으로써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규제체(34)는, 현수용 와이어(14)가 늘어나더라도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까지 하강하면 이동체(33)를 받아서 규제할 수 있는 위치로 조절되어 있다.
다음으로, 유지보수용 도어(7)의 열림 조작을 저지하는 도어 열림 저지 수단(39)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어 열림 저지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어 열림 저지 수단(39)은,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가까이의 높이에 위치할 때는 유지보수용 도어(7)의 열림 조작을 허용하고, 또한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가까이의 높이보다 위쪽에 위치할 때는 유지보수용 도어(7)의 열림 조작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 열림 저지 수단(39)은, 유지보수용 도어(7)의 내면 측, 상세하게는, 그 내면 측의 가로 폭 방향에서의 여유단측 단부의 하단에 설치된 요동 조작용 부재(38)와, 외벽(2b)에 대하여 요동 조작용 부재(38)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 조작용 부재(37)를 가지는 저지체(40)에 의해 구성된다. 요동 조작용 부재(38)의 요동 자세는, 그것과 연결된 이동 공간 S의 외부로 노출되는 장착부(42)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위적 조작구(操作具)로서의 조작 키(41)를 작업자가 회전 조작함으로써 변경된다.
도 12의 (a)는, 도어 열림 저지 수단(39)[저지체(40)]이, 유지보수용 도어(7)의 열림 조작을 저지하는 저지 자세에 있을 때의 도면이다. 도 12의 (b) 및 도 12의 (c)는, 도어 열림 저지 수단(39)[저지체(40)]이, 유지보수용 도어(7)의 열림 조작을 허용하는 허용 자세에 있을 때의 도면이다.
저지체(40)로서의 승강 조작용 부재(37)는, 승강식 발판(3)의 승강 이동 경로의 도중에 위치하고, 저지 자세 측으로 탄성 복귀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조작용 부재(37)는, 승강식 발판(3)이 하강 이동하여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가까이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되면, 이 승강식 발판(3)의 하강 이동에 의해 허용 자세 측으로 가압 조작된다. 한편, 승강 조작용 부재(37)는, 승강식 발판(3)이 상승 이동하여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가까이의 높이보다 위쪽에 위치하게 되면, 승강식 발판(3)에 의한 가압 조작으로부터 개방되어 저지 자세 측으로 탄성 복귀한다.
또한, 조작 키(41)를 사용하여 저지체(40)로서의 요동 조작용 부재(38)의 자세를,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상용 해제 자세로 변경함으로써, 승강 조작용 부재(37)가 저지 자세에 있어도, 도어 열림 저지 수단(39)은 해제 자세로 되어 유지보수용 도어(7)는 열림 조작 가능하게 된다.
즉, 저지체(40)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승강식 발판(3)의 하강 이동에 의해 전환된 통상용 해제 자세 외에,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작 키(41)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서도 비상용 해제 자세로 전환된다.
그리고, 요동 조작용 부재(38)는, 도 12의 (a) 및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이며, 또한 장착부(42)에 대하여 조작 키(41)이 착탈 가능한 걸어맞춤 자세와,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가 기단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고, 또한 장착부(42)에 장착된 조작 키(41)가 이탈 불가능한 걸어맞춤 해제 자세로 요동 조작 가능하다. 이 요동 조작용 부재(38)의 요동 조작은, 장착부(42)에 장착된 조작 키(41)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승강 조작용 부재(37)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가압에 저항하여 승강식 발판(3)의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에 의해 가압 조작되어 하부 측으로 이동한 하방 위치와, 도 12의 (a) 및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식 발판(3)의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에 의한 가압 조작으로부터 개방되어 탄성 가압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한 상방 위치로 승강 이동 가능하다. 이 승강 조작용 부재(37)의 승강 조작은 승강식 발판(3)의 승강 이동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승강 조작용 부재(37)는, 돌출부(37a)를 가진다. 돌출부(37a)는, 승강 조작용 부재(37)가 하강 위치에 위치할 때는 걸어맞춤 자세의 요동 조작용 부재(38)의 하단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승강 조작용 부재(37)가 위쪽 위치에 위치할 때는 승강 조작용 부재(37)의 본체 부분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걸어맞춤 자세의 요동 조작용 부재(38)의 하단부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조작용 부재(37)가 상방 위치에 위치하면서, 또한 요동 조작용 부재(38)가 걸어맞춤 자세로 자세 변경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승강 조작용 부재(37)가 요동 조작용 부재(38)에 걸어맞추어진다. 그러므로, 유지보수 도어(7)를 열도록 조작하고자 해도 요동 조작용 부재(38)의 선단부가 승강 조작용 부재(37)의 돌출부(37a)에 맞닿게 되므로, 저지체(40)는 저지 자세가 된다. 그 결과, 유지보수용 도어(7)를 열도록 조작할 수 없다.
또한,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가까이의 높이에 하강 이동하면, 승강 조작용 부재(37)[돌출부(37a)]가 하강 위치로 이동하므로, 승강 조작용 부재(37)와 요동 조작용 부재(38)는 걸어맞추어지지 않고, 저지체(40)는 통상용 해제 자세로 된다. 그 결과, 유지보수용 도어(7)를 열도록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42)에 조작 키(41)가 장착되어 이 조작 키(41)에 의해 요동 조작용 부재(38)가 걸어맞춤 해제 자세에서 요동 조작되면, 요동 조작용 부재(38)가 승강 조작용 부재(37)로부터 이격되므로, 저지체(40)는 비상용 해제 자세로 된다. 그 결과, 유지보수용 도어(7)를 열도록 조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승강식 발판(3)의 높이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승강식 발판의 높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시부의 정면도이며, 도 14는 표시부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표시부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13∼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식 발판(3)의 높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43)이, 이동 공간 S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일단 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유지보수용 도어(7)에 설치된다. 승강식 발판(3)이 퇴피 높이까지 상승된 것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44)는, 이동 공간 S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타단 측에 대응하는 개소에, 확인창(43)으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44)는, 시인용의 착색 부분(45a)을 구비한 표시체(45)와, 시인용의 착색 부분(45a)을 덮는 커버체(4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표시체(45)는, 판형의 본체 부분의 상부에 착색 부분(45a)을 가진다. 이에 더하여, 표시체(45)는, 판형의 본체 부분에서의 상단부의 가로 폭 방향 중앙부에 승강식 발판(3)이 위치하는 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피걸림부(45b)를 가진다. 이 시인용의 착색 부분(45a)은, 표시체(45)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이한 색이 되도록 구분된 상태로 착색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착색 부분(45a)은, 선반 상하 폭 방향으로 2색으로 착색된 밴드형으로 구분되어 있다. 착색 부분(45a)에서의 상부가 녹색으로 착색되고, 하부가 적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착색 부분(45a)의 적색으로 착색된 부분은, 녹색으로 착색된 부분보다 선반 상하 폭 방향에서 폭이 좁도록 착색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46)는,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의 내부에, 표시체(45)에 형성된 상하 방향을 따른 슬릿형의 안내용 구멍(45c)에 삽입되는 상하 한쌍의 안내용 부재(46a)를 가진다. 커버체(46)는, 이 상하 한쌍의 안내용 부재(46a)에 의해 표시체(45)를 선반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고, 또한 위쪽의 안내용 부재(46a)가 안내용 구멍(45c)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표시체(45)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체(46)에 의해 표시체(45)를 지지한 상태에서는, 이 커버체(46)에 의해 표시체(45)에서의 착색 부분(45a) 전체가 덮혀져 있다. 표시체(45)가 커버체(46)에 대하여 위쪽으로 이동하면, 착색 부분(45a)의 상부, 착색 부분(45a)의 하부의 차례로 착색 부분(45a)이 커버체(46)의 위쪽으로 노출된다. 커버체(46)는 벽부(壁部)(2b)에 고착되어 있다.
즉,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 또는 거기에 가까운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승강식 발판(3)이 표시체(45)의 피걸림부(45b)에 걸려있지 않으며 표시체(45)가 상승 조작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표시체(45)는 커버체(46)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는 커버체(46)에 의해 착색 부분(45a) 전체가 덮혀져 있다.
또한,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 또는 거기에 가까운 높이로부터 상승 조작되어, 승강식 발판(3)이 퇴피 높이 또는 거기에 가까운 높이에 근접하면, 승강식 발판(3)이 표시체(45)의 피걸림부(45b)를 하부 측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거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부터 승강식 발판(3)이 상승 조작되면, 착색 부분(45a)에서의 녹색으로 착색된 상부가 커버체(46)의 위쪽으로부터 노출되고, 승강식 발판(3)이 더욱 상승 조작되면, 착색 부분(45a)에서의 적색으로 착색된 하부가 커버체(46)의 위쪽으로부터 노출된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루프형 부분(21A)이 걸쳐 놓인 한쌍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A)를, 승강식 발판(3)의 대향하는 2개의 장변 부분 중 한쪽의 장변 부분에 설치하고, 루프형 부분(21B)이 걸쳐 놓인 한쌍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B)를 다른 쪽의 장변 부분에 설치한 구성을 채용하였으나, 한쌍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A)를 승강식 발판(3)의 대향하는 2개의 단변(短邊) 부분 중 한쪽의 단변 부분에 설치하고, 한쌍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B)를 다른 쪽의 단변 부분에 설치해도 된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승강대(3)에 설치된 피안내부(17)을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용 레일(18)을 설치하여, 승강대(3)의 선반 전후 방향 및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였지만, 이 안내용 레일(18)을 설치하여, 승강대(3)의 선반 전후 방향 및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어느 한쪽의 이동만을 규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안내용 레일(18)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승강대(3)를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장척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승강대(3)를 선반 전후 방향을 따라 장척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승강대(3)를 선반 가로 폭 방향과 선반 전후 방향의 길이를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승강식 발판이 구조물로서의 물품 수납 선반에 병설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승강식 발판을 다른 구조물에 병설해도 된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승강대로서의 승강식 발판(3)이 4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22A, 22B)를 가지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승강식 발판(3)이 더 많은 수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를 가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승강식 발판(3)의 대향하는 2개의 장변 부분 중, 한쪽의 장변 부분에 3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를 직렬로 장착하고, 다른 쪽의 장변 부분에 다른 3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를 직렬로 장착해도 된다. 이 경우, 현수용 와이어의 한쪽의 루프형 부분이 직렬로 배치된 3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에 걸쳐 놓이고, 다른 쪽의 루프형 부분이 직접 배열된 다른 3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에 걸쳐 놓인다.
또한, 권취 기구가 3개 또는 그 이상이 현수용 와이어를 루프형으로 풀어낸 상태에서 권취해도 된다. 예를 들면, 권취 기구가 3개의 현수용 와이어를 루프형으로 풀어낸 상태에서 권취할 경우, 승강식 발판(3)이 6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를 가지는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1개의 현수용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이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에 걸쳐 놓이고, 다른 1개의 현수용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이 다른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에 걸쳐 놓이고, 또 다른 1개의 현수용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이 또 다른 2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에 걸쳐 놓인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는, 승강대를 안정적으로 승강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적어도 2개의 와이어의 양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를 루프형으로 풀어낸 상태에서 권취하는 권취 기구; 및
    상기 권취 기구로부터 풀어내어진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에 매달리는 승강대로서,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이 걸쳐 놓인 적어도 4개의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를 가지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에는,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이 걸쳐 놓이고, 다른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에는, 다른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이 걸쳐 놓인 승강대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대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이면서 장척형인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형이면서 장척형인 부재의 대향하는 2개의 장변 부분 중, 한쪽의 장변 부분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가 서로 이격되어 장착되고, 다른 쪽의 장변 부분에 다른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가 서로 이격되어 장착되고,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을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의 각각으로 향하여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2개의 하방 안내용 회전체; 및
    다른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을 상기 다른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의 각각으로 향하여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다른 2개의 하방 안내용 회전체
    를 구비하고,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에서의 상기 2개의 하방 안내용 회전체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안내되는 부분이,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승강대와 중복되지 않고,
    상기 다른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에서의 상기 다른 2개의 하방 안내용 회전체로부터 상기 다른 적어도 2개의 상기 와이어 안내용 회전체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안내되는 부분이,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승강대와 중복되지 않고,
    상기 승강대의 주위에 배치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장척형(長尺形)의 복수의 안내용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대는, 상기 복수의 안내용 레일의 각각에 맞닿는 복수의 피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안내용 레일과 상기 피안내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대의 승강 이동이 상기 안내용 레일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권취 기구로서, 상기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의 일단측을 권취하는 권취 기구, 상기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의 타단측을 권취하는 권취 기구, 상기 다른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의 일단측을 권취하는 권취 기구, 및 상기 다른 1개의 상기 와이어의 루프형 부분의 타단측을 권취하는 권취 기구의 4개의 권취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4개의 권취 기구는, 공통의 회전축에 의해 일체 회전하도록 연계되어 있는,
    승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안내부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원기둥의 측면의 원주 상에 칼라부(collar portion)를 가지고,
    상기 피안내부는, 상기 안내용 레일의 측면에 대하여, 상기 피안내부의 측면과 상기 피안내부의 칼라부에 의해 2방향으로부터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피안내부가 상기 안내용 레일의 측면 상을 회전하면서 진행함으로써, 상기 피안내부와 상기 안내용 레일과의 사이의 수평 방향에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면서 상기 승강대의 승강 이동이 상기 안내용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승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는,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구조물에 대하여, 상기 승강대의 상기 한쪽의 장변 부분이 상기 구조물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승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물품을 수납 가능한 복수의 수납부를 가지는 물품 수납 선반인, 승강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17015844A 2009-01-08 2009-01-08 승강 장치 KR101485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0141 WO2010079603A1 (ja) 2009-01-08 2009-01-08 昇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611A KR20110113611A (ko) 2011-10-17
KR101485047B1 true KR101485047B1 (ko) 2015-01-22

Family

ID=4231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15844A KR101485047B1 (ko) 2009-01-08 2009-01-08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72844B2 (ko)
EP (1) EP2380844B1 (ko)
KR (1) KR101485047B1 (ko)
CN (1) CN102272036B (ko)
SG (1) SG172867A1 (ko)
WO (1) WO2010079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72866A1 (en) * 2009-01-08 2011-08-29 Daifuku Kk Article storage facility
FR2944502B1 (fr) * 2009-04-20 2012-03-09 Reel Dispositif de deplacement et de fixation d'un composant entre deux positions.
JP5713203B2 (ja) * 2012-03-27 2015-05-07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CN105839900B (zh) * 2016-05-22 2018-08-17 中建二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式室外建筑移动支撑设备
CN105952119B (zh) * 2016-05-22 2018-09-21 倪淑君 一种建筑墙面粉刷专用刚性支撑设备
CN105804373B (zh) * 2016-05-22 2018-09-25 倪淑君 一种升降式自稳建筑设备
CN105971254B (zh) * 2016-05-22 2018-07-31 浙江天翔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粉墙用支撑设备
JP6750574B2 (ja) * 2017-06-30 2020-09-02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支持棚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7503A (en) * 1971-04-27 1974-09-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Hoisting device for use with cranes
JPS58131300U (ja) * 1982-02-27 1983-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昇降装置
JPH10291609A (ja) * 1997-04-21 1998-11-04 Nissei Build Kogyo Co Ltd スタッカクレーンの昇降駆動装置
JPH11171484A (ja) * 1997-12-12 1999-06-29 Mitomi Kogyo:Kk ベルト式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982A (en) * 1897-08-31 Scaffold
US125978A (en) * 1872-04-23 Improvement in hoisting-svjachines
US449026A (en) * 1891-03-24 Portable elevator
US601963A (en) * 1898-04-05 Chaeles w
US925727A (en) * 1908-07-06 1909-06-22 Alvin V Rowe Refrigerator.
US1006044A (en) * 1910-08-25 1911-10-17 Harry Barlow Elevator for marine vessels.
US1086469A (en) * 1910-10-08 1914-02-10 Morris Schoenfeld Elevating device for use with embroidering-machines.
US1678528A (en) * 1926-02-12 1928-07-24 American Freight Service Inc Loading elevator
US1710442A (en) 1927-04-27 1929-04-23 Shepard Co Lewis Four-post hoisting machine
US2420903A (en) * 1945-10-09 1947-05-20 Roy A Noble Scaffold
US3008590A (en) * 1958-05-22 1961-11-14 Alimanestiano Constantin Automatic vehicular parking device
US3051335A (en) * 1959-07-15 1962-08-28 Bartlett Trailer Corp Trailer elevator
US3081884A (en) * 1961-06-09 1963-03-19 Manning Maxwell & Moore Inc Crane with anti-sway mechanism
US3211259A (en) * 1962-11-09 1965-10-12 Otis Elevator Co Monorail for counterweight frames
US3463271A (en) * 1967-09-11 1969-08-26 Alaska Elevator Corp Offshore elevator
US3565217A (en) * 1968-10-10 1971-02-23 Alaska Elevator Corp Offshore elevator improvements
US3653518A (en) * 1970-01-12 1972-04-04 Alliance Machine Co Stabilized reeving for cranes
DE2033977C2 (de) * 1970-07-08 1982-12-16 Tax, Hans, 8000 München Mit Pendeldämpfungsvorrichtung versehene Seilaufhängung eines Lastaufnahmemittels
US3828940A (en) * 1971-09-03 1974-08-13 Fruehauf Corp Spreader list, trim and skew adjustment means
JPS4957930A (ko) * 1972-10-07 1974-06-05
DE3246191A1 (de) 1982-12-14 1984-06-14 Goldbeckbau GmbH & Co KG, 4800 Bielefeld Hebebuehne zur entnahme und einlagerung von stangenfoermigem stahl
NL8701239A (nl) 1987-05-22 1988-12-16 Top Hendrik Van Den Inrichting voor het kweken van tuinbouwproducten, in het bijzonder champignons.
US4926973A (en) * 1988-12-09 1990-05-22 Smith Dave W Mobile wheelchair lift and brakes therefore
JPH034189U (ko) 1989-05-31 1991-01-16
JP3161581B2 (ja) 1995-04-28 2001-04-25 株式会社ダイフク 保管装置
US5960911A (en) * 1997-12-08 1999-10-0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having guide rollers
US6113336A (en) * 1999-10-05 2000-09-05 Chang; Tien-Sheng Warehousing system having a conveying device for transferring articles between two levels of a multistory building
AU7897200A (en) * 1999-11-23 2001-06-04 Plumettaz S.A. Load balancing for a winch with two pull wires and winch equipped with same
JP3776654B2 (ja) 1999-11-26 2006-05-17 株式会社イトーキ 自動倉庫
JP2002167137A (ja)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JP2002249204A (ja) 2001-02-21 2002-09-03 Shinko Electric Co Ltd 高層収納棚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FI115211B (fi) * 2003-11-17 2005-03-31 Kone Corp Hissi ja järjestelmä
JP5039374B2 (ja) 2006-12-13 2012-10-03 新明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SG172866A1 (en) * 2009-01-08 2011-08-29 Daifuku Kk Article storage faci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7503A (en) * 1971-04-27 1974-09-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Hoisting device for use with cranes
JPS58131300U (ja) * 1982-02-27 1983-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昇降装置
JPH10291609A (ja) * 1997-04-21 1998-11-04 Nissei Build Kogyo Co Ltd スタッカクレーンの昇降駆動装置
JPH11171484A (ja) * 1997-12-12 1999-06-29 Mitomi Kogyo:Kk ベルト式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0844A1 (en) 2011-10-26
KR20110113611A (ko) 2011-10-17
CN102272036B (zh) 2014-05-07
EP2380844B1 (en) 2014-03-12
CN102272036A (zh) 2011-12-07
WO2010079603A1 (ja) 2010-07-15
SG172867A1 (en) 2011-08-29
US20110315488A1 (en) 2011-12-29
EP2380844A4 (en) 2012-12-12
US9272844B2 (en)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047B1 (ko) 승강 장치
TWI435836B (zh) 物品收納設備
KR101451210B1 (ko) 물품 수납 설비
JP2017095261A (ja) 物品搬送設備
TW201343503A (zh) 物品收納設備
JP5515443B2 (ja) 保管庫
JP4941759B2 (ja) 物品収納設備
JP5246464B2 (ja) 昇降装置
JP2010018424A (ja) エスカレータ装置
JP2009073624A (ja) 物品収納設備
TWI415783B (zh) 昇降裝置
JP2009249133A (ja) 乗客コンベア
JP5595574B1 (ja) 板状体搬送装置
JP2009073625A (ja) 物品収納設備
JP2009073626A (ja) 物品収納設備
TWI441754B (zh) 物品收納設備
KR102458228B1 (ko) 와이어로프 꼬임방지용 연결부재가 장착된 곤돌라
JP5418948B2 (ja) 可動式点検架台
JPH11246009A (ja) 物品保管装置
JP2915761B2 (ja) 立体駐車装置のメンテナンス用ゴンドラ装置およびその装着方法
JPH09144297A (ja) 吊り上げ収納装置
ITMI20121517A1 (it) Dispositivo automotore su monorotaia aerea perfezionato per la movimentazione verticale di carrelli in particolare per trasportare bobine di filato o similari
JPH08175622A (ja) 保管装置
JPH0872786A (ja) 輸送用容器運搬船における容器ガイド装置
JPH05161513A (ja) 物品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