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912B1 -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912B1
KR101484912B1 KR1020147016014A KR20147016014A KR101484912B1 KR 101484912 B1 KR101484912 B1 KR 101484912B1 KR 1020147016014 A KR1020147016014 A KR 1020147016014A KR 20147016014 A KR20147016014 A KR 20147016014A KR 101484912 B1 KR101484912 B1 KR 10148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wer
base frame
voltage cabl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347A (ko
Inventor
지츠타카 다케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66C1/08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5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hybri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91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y o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안전성이 향상된 건설기계를 제공한다.
엔진의 구동에 의하여 발전을 행하는 발전수단(12) 또는 발전수단(12)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수단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동구동수단(21)과, 축전수단을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63(53))을,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47)의 그 측면을 따라 배선함으로써, 그 프레임구조부재(47)를 입설벽으로 하여 고전압 케이블(63)을 제대로 보호하여, 예컨대 건설기계가 장애물 등에 충돌한 경우이더라도, 그 프레임구조부재(47)에 의하여 고전압 케이블(63)을 제대로 보호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의 구동에 의하여 발전기로 발전(發電)을 행하고, 발전된 전력을 축전장치에 축전하고, 그 축전된 전력에 의하여 엔진의 구동을 보조하는 이른바 하이브리드형 건설기계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이하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건설기계에서는, 발전기, 축전장치, 및, 이들 사이에 있어서의 충전·급전을 제어하는 인버터를 근접시켜 집중배치하여, 전기기기끼리를 접속하는 배선의 길이를 짧게 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4-169466호 공보
그러나, 실제로는, 상기 각 전기기기를 근접 집중배치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서, 이와 같이 근접 집중배치할 수 없는 전기기기끼리를 접속하는 배선을, 안전하게 배치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선의 안전성이 향상된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건설기계는, 엔진과, 엔진의 구동에 의하여 발전을 행하는 발전수단과, 발전수단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수단과, 축전수단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동(電動)구동수단을 구비한 건설기계에 있어서, 발전수단 또는 전동구동수단과, 축전수단을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이,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의 그 측면을 따라 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건설기계에 의하면, 고전압 케이블이,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면을 따라 배선되므로, 그 프레임구조부재가 입설(立設)벽이 되어 고전압 케이블이 제대로 보호되어, 예컨대 건설기계가 장애물 등에 충돌한 경우이더라도, 그 프레임구조부재에 의하여 고전압 케이블이 제대로 보호되고, 그 결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면을 따라 배선되는 고전압 케이블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축전수단에 접속되어 발전수단을 제어하는 인버터와 발전수단 사이의 고전압 케이블, 또는, 축전수단에 접속되어 전동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인버터와 전동구동수단 사이의 고전압 케이블을 들 수 있다.
또한, 프레임구조부재는, 작업용 붐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A 프레임이고, 고전압 케이블은, A 프레임의 내측의 측면을 따라 배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였을 경우, 강성이 높은 A 프레임에 의하여, 고전압 케이블이 제대로 보호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컨대 건설기계가 장애물 등에 충돌한 경우이더라도, A 프레임은 중앙측에 배치되어 충돌부위로부터 떨어져 있게 되므로, 고전압 케이블이 더욱 제대로 보호된다.
또한, 프레임구조부재는, 베이스프레임의 단부를 구성하여 폐단면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프레임이고, 고전압 케이블은, 사이드프레임 내부를 통과되어 배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였을 경우, 폐단면을 구성하여 강성이 높은 사이드프레임 내부에 고전압 케이블이 통하게 되므로, 그 고전압 케이블이 제대로 보호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이와 같이 고전압 케이블을 주위로부터 둘러싸는 사이드프레임이 전자파를 차단하게 되므로, 전자실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는 주행기구와, 상기 주행기구에 탑재되어,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선회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된 엔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앙부에 뻗어서 설치된 2개의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방에 위치하는 운전실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방에서 상기 운전실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의 구동에 의하여 발전을 행하는 발전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방에서 상기 운전실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수단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수단과, 상기 축전수단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한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단과 상기 축전수단을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이, 상기 2개의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 중, 상기 발전수단 측에 설치된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면을 따라 배선되어 있고, 상기 발전수단은 상기 엔진에 병설되어 있으며, 상기 발전수단에는, 3상의 상기 고전압 케이블이 상기 발전수단의 지름방향으로부터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는 주행기구와, 상기 주행기구에 탑재되어,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선회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된 엔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앙부에 뻗어서 설치된 2개의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방에 위치하는 운전실과, 상기 엔진의 구동에 의하여 발전을 행하는 발전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방에서 상기 운전실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수단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수단과, 상기 2개의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축전수단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한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동구동수단과 상기 축전수단을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이, 상기 2개의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 중, 상기 축전수단 측에 설치된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면을 따라 배선되어 있고, 세로로 놓인 상기 전동구동수단에는, 3상의 상기 고전압케이블이 상기 전동구동수단의 지름방향으로부터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는 주행기구와, 상기 주행기구에 탑재되어,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선회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된 엔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의 구동에 의하여 발전을 행하는 발전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수단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수단과, 상기 축전수단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동구동수단과,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저전압의 제어용의 하네스를 구비한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단과 상기 축전수단을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이,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의 그 측면을 따라 배선되어 있고, 상기 발전수단은 상기 엔진에 병설되어 있으며, 상기 발전수단에는, 3상의 상기 고전압 케이블이 상기 발전수단의 지름방향으로부터 접속되고, 상기 프레임구조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단부를 직사각형 관형상에 의하여 구성하며, 내부에 폐단면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프레임이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은, 상기 폐단면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프레임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하네스로부터 분리하여 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설기계에 의하면, 고전압 케이블을 제대로 보호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1에 나타내는 건설기계의 전기계통이나 유압계통 등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도 2 속의 축전수단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 도 1 속의 선회체의 하우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하우스부 내에 축전수단의 커패시터박스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선회용 전동기와 그 인버터회로를 접속하는 고전압 케이블배선을, 베이스프레임, A 프레임, 하우스부 우측전방부 내의 부품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차량 좌측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 도 6을 차량 우측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 도 6 및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 전동발전기와 그 인버터회로를 접속하는 고전압 케이블배선을, 베이스프레임, A 프레임, 하우스부 우측전방부 내의 부품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차량 좌측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 도 9를 차량 우측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 도 9 및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12] 도 11의 XII-XII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전동발전기와 그 인버터회로를 접속하는 고전압 케이블배선을, 베이스프레임, A 프레임, 하우스부 우측전방부 내의 부품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차량 좌측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 도 13을 차량 우측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 도 13 및 도 14의 평면도이다.
[도 16]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전기계통이나 유압계통 등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의 건설기계는, 이른바 하이브리드형 건설기계이고, 그 일례로서의 리프팅마그넷 차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프팅마그넷 차량(1)은, 무한궤도를 포함하는 주행기구(2)와, 주행기구(2)의 상부에 선회기구(3)를 통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탑재된 선회체(4)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체(4)에는, 작업용인 붐(5)과, 붐(5)의 선단에 링크 접속된 암(6)과, 암(6)의 선단에 링크 접속된 리프팅마그넷(7)이 장착되어 있다. 이 리프팅마그넷(7)은, 강재(鋼材) 등의 적하(吊荷; 매달린 하물)(G)를 자력에 의하여 흡착하여 포획하기 위한 설비이다. 붐(5), 암(6) 및 리프팅마그넷(7)은, 각각 붐 실린더(8), 암 실린더(9) 및 버킷 실린더(10)에 의하여 유압구동된다.
또한, 선회체(4)에는, 리프팅마그넷(7)의 위치나 여자(勵磁)동작 및 석방(釋放)동작을 조작하는 조작자를 수용하기 위한 운전실(4a)이나, 유압을 발생하기 위한 동력원(源)인 엔진(11)(도 2 참조)과 같은 동력원 등을 수용한 하우스부(4b)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11)은, 예컨대 디젤엔진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건설기계의 전기계통이나 유압계통 등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구성은 이른바 패럴렐방식이라 하는 것이다. 다만, 도 2에서는, 기계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계통을 이중선으로, 유압계통을 굵은 실선으로, 조종계통을 파선으로, 전기계통을 가는 실선으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은, 도 2 속의 축전수단(12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프팅마그넷 차량(1)은 전동발전기(발전수단)(12) 및 변속기(13)를 구비하고 있고, 엔진(11) 및 전동발전기(12)의 회전축은, 모두 변속기(13)의 입력축에 접속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엔진(11)의 부하가 클 때에는, 전동발전기(12)가 이 엔진(11)을 작업요소로서 구동함으로써 엔진(11)의 구동력을 보조(어시스트)하고, 전동발전기(12)의 구동력이 변속기(13)의 출력축을 거쳐 메인펌프(14)에 전달된다. 한편, 엔진(11)의 부하가 작을 때에는, 엔진(11)의 구동력이 변속기(13)를 거쳐 전동발전기(12)에 전달됨으로써, 전동발전기(12)가 발전을 행한다.
전동발전기(12)는, 예컨대, 자석이 로터 내부에 내장된 IPM(Interior Permanent Magnetic) 모터에 의하여 구성된다. 전동발전기(12)의 구동과 발전의 전환은, 리프팅마그넷 차량(1)에 있어서의 전기계통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30)에 의하여, 엔진(11)의 부하 등에 따라 행하여진다.
변속기(13)의 출력축에는 메인펌프(14) 및 파일럿 펌프(15)가 접속되어 있고, 메인펌프(14)에는 고압 유압라인(16)을 통하여 컨트롤밸브(17)가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밸브(17)는, 리프팅마그넷 차량(1)에 있어서의 유압계의 제어를 행하는 장치이다. 이 컨트롤밸브(17)에는, 도 1에 나타낸 주행기구(2)를 구동하기 위한 좌우의 유압모터(2a, 2b) 외에, 붐 실린더(8), 암 실린더(9) 및 버킷 실린더(10)가 고압 유압라인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밸브(17)는, 이들에 공급하는 유압을 운전자의 조작입력에 따라 제어한다.
전동발전기(12)의 전기적인 단자에는, 인버터회로(인버터)(18A)의 출력단이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회로(18A)의 입력단에는, 축전수단(120)이 접속되어 있다. 축전수단(12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류모선인 DC버스(110), 승강압 컨버터(100) 및 커패시터(19)를 구비하고 있다. 즉, 인버터회로(18A)의 입력단은, DC버스(110)를 통하여 승강압 컨버터(100)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압 컨버터(100)의 출력단에는, 커패시터(19)가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19)는, 여기에서는, 다수의 셀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만, 커패시터 대신에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로 되돌아와서, 인버터회로(18A)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근거하여, 전동발전기(12)의 운전을 제어한다. 즉, 인버터회로(18A)가 전동발전기(12)를 전동(어시스트)운전시킬 때에는, 필요한 전력을 커패시터(19)와 승강압 컨버터(100)로부터 DC버스(110)를 통하여 전동발전기(12)에 공급한다. 또한, 전동발전기(12)를 발전운전시킬 때에는, 전동발전기(12)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DC버스(110) 및 승강압 컨버터(100)를 통하여 커패시터(19)에 충전한다. 다만, 승강압 컨버터(100)의 승압동작과 강압동작의 전환제어는, DC버스 전압치, 커패시터 전압치 및 커패시터 전류치에 근거하여, 컨트롤러(30)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로써, DC버스(110)를, 미리 정하여진 일정 전압치로 축전된 상태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축전수단(120)의 DC버스(110)에는, 인버터회로(20B)를 통하여 도 1에 나타낸 리프팅마그넷(7)이 접속되어 있다. 리프팅마그넷(7)은, 금속물을 자기적으로 흡착시키기 위한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있고, 인버터회로(20B)를 통하여 DC버스(110)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인버터회로(20B)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근거하여, 전자석을 온으로 할 때에는, 리프팅마그넷(7)에 요구된 전력을 DC버스(110)로부터 공급한다. 또한, 전자석을 오프로 하는 경우에는, 회생된 전력을 DC버스(110)에 공급한다.
또한, 축전수단(120)에는, 인버터회로(인버터)(20A)가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회로(20A)의 일단에는 작업용 전동기로서의 선회용 전동기(교류 전동기; 전동구동수단)(21)가 접속되어 있고, 인버터회로(20A)의 타단은 축전수단(120)의 DC버스(110)에 접속되어 있다. 선회용 전동기(21)는, 선회체(4)를 선회시키는 도 1에 나타낸 선회기구(3)의 동력원이다. 선회용 전동기(21)의 회전축(21A)에는, 리졸버(22), 메카니컬 브레이크(23) 및 선회감속기(24)가 접속된다.
선회용 전동기(21)가 역행(力行)운전을 행할 때에는, 선회용 전동기(21)의 회전 구동력의 회전력이 선회감속기(24)에서 증폭되어, 선회체(4)가 가감속 제어되어 회전운동을 행한다. 또한, 선회체(4)의 관성회전에 의하여, 선회감속기(24)에서 회전수가 증가되어 선회용 전동기(21)에 전달되어, 회생(回生)전력을 발생시킨다. 선회용 전동기(21)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신호에 의하여 인버터회로(20A)에 의하여 교류구동된다. 선회용 전동기(21)로서는, 예컨대, 자석 내장형의 IPM 모터가 적합하다.
리졸버(22)는, 선회용 전동기(21)의 회전축(21A)의 회전위치 및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선회용 전동기(21)와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회전축(21A)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검출한다. 리졸버(22)가 회전축(21A)의 회전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선회기구(3)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이 도출된다. 메카니컬 브레이크(23)는, 기계적인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장치로서,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선회용 전동기(21)의 회전축(21A)을 기계적으로 정지시킨다. 선회감속기(24)는, 선회용 전동기(21)의 회전축(21A)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선회기구(3)에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감속기이다.
다만, DC버스(110)에는, 인버터회로(18A, 20A, 20B)를 통하여, 전동발전기(12), 선회용 전동기(21) 및 리프팅마그넷(7)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발전기(12)에서 발전된 전력이 리프팅마그넷(7) 또는 선회용 전동기(21)에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경우도 있고, 리프팅마그넷(7)에서 회생된 전력이 전동발전기(12) 또는 선회용 전동기(21)에 공급되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선회용 전동기(21)에서 회생된 전력이 전동발전기(12) 또는 리프팅마그넷(7)에 공급되는 경우도 있다.
파일럿 펌프(15)에는, 파일럿 라인(25)을 통하여 조작장치(26)가 접속되어 있다. 조작장치(26)는, 선회용 전동기(21), 주행기구(2), 붐(5), 암(6) 및 리프팅마그넷(7)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로서,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된다. 조작장치(26)에는, 유압라인(27)을 통하여 컨트롤밸브(17)가 접속되고, 또한, 유압라인(28)을 통하여 압력센서(29)가 접속된다. 조작장치(26)는, 파일럿 라인(25)을 통하여서 공급되는 유압(1차측의 유압)을 조작자의 조작량에 따른 유압(2차측의 유압)으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조작장치(26)로부터 출력되는 2차측의 유압은, 유압라인(27)을 통하여 컨트롤밸브(17)에 공급됨과 함께, 압력센서(29)에 의하여 검출된다.
압력센서(29)는, 조작장치(26)에 대하여 선회기구(3)를 선회시키기 위한 조작이 입력되면, 이 조작량을 유압라인(28) 내의 유압의 변화로서 검출한다. 압력센서(29)는, 유압라인(28) 내의 유압을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이 전기신호는, 컨트롤러(30)에 입력되어, 선회용 전동기(21)의 구동제어에 이용된다.
컨트롤러(30)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회로를 구성한다. 컨트롤러(30)는, CPU 및 내부메모리를 포함한 연산처리장치에 의하여 구성되고, 내부메모리에 격납된 구동제어용의 프로그램을 CPU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컨트롤러(30)의 전원은, 커패시터(19)와는 다른 배터리(예컨대 24V 차량탑재 배터리)이다. 컨트롤러(30)는, 압력센서(29)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중, 선회기구(3)를 선회시키기 위한 조작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속도지령으로 전환하여, 선회용 전동기(21)의 구동제어를 행한다. 또한, 컨트롤러(30)는, 전동발전기(12)의 운전제어(어시스트 운전 및 발전운전의 전환), 리프팅마그넷(7)의 구동제어(여자와 소자의 전환), 및, 승강압 컨버터(100)를 구동제어하는 것에 의한 커패시터(19)의 충방전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강압 컨버터(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압 컨버터(100)는, 승강압형의 스위칭 제어방식을 구비하고 있고, 리액터(101), 트랜지스터(100B, 100C)를 가진다. 트랜지스터(100B)는 승압용 스위칭소자이고, 트랜지스터(100C)는 강압용 스위칭소자이다. 트랜지스터(100B, 100C)는, 예컨대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에 의하여 구성되고,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100B)의 컬렉터와 트랜지스터(100C)의 이미터가 서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100B)의 이미터는 커패시터(19)의 마이너스측 단자 및 DC버스(110)의 마이너스측 배선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100C)의 컬렉터는 DC버스(110)의 플러스측 배선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리액터(101)는, 그 일단이 트랜지스터(100B)의 컬렉터 및 트랜지스터(100C)의 이미터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이 커패시터(19)의 플러스측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00B, 100C)의 게이트에는, 컨트롤러(30)로부터 PWM 전압이 인가된다.
다만, 트랜지스터(100B)의 컬렉터와 이미터 사이에는, 정류소자인 다이오드(100b)가 역방향으로 병렬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100C)의 컬렉터와 이미터 사이에는, 다이오드(100c)가 역방향으로 병렬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00C)의 컬렉터와 트랜지스터(100B)의 이미터 사이(즉, DC버스(110)의 플러스측 배선과 마이너스측 배선 사이)에는, DC버스(110)에 있어서 평활용 콘덴서(110a)가 접속된다. 콘덴서(110a)는, 승강압 컨버터(100)로부터의 출력전압, 전동발전기(12)로부터의 발전전압이나 선회용 전동기(21)로부터의 회생전압을 평활화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승강압 컨버터(100)에 있어서, 직류전력을 커패시터(19)로부터 DC버스(110)에 공급할 때에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트랜지스터(100B)의 게이트에 PWM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100B)의 온/오프에 따라 리액터(101)에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이 다이오드(100c)를 통하여 전달되고, 이 전력이 콘덴서(110a)에 의하여 평활화된다. 또한, 직류전력을 DC버스(110)로부터 커패시터(19)에 공급할 때에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트랜지스터(100C)의 게이트에 PWM 전압이 인가됨과 함께, 트랜지스터(100C)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리액터(101)에 의하여 평활화된다.
계속하여, 선회체(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선회체(4)의 하우스부(4b)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하우스부(4b)의 구성의 설명에 있어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전후좌우는 리프팅마그넷 차량(1)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스부(4b)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U자를 구성하는 개방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스부(4b)에 있어서, 차량에 있어서의 우측전방 부분(도 4의 도시된 좌측앞쪽 부분)을 우측전방부(Rf), 우측후방 부분(도 4의 도시된 좌측안쪽 부분)을 우측후방부(Rr), 좌측전방 부분(도 4의 도시된 우측앞쪽 부분)을 좌측전방부(Lf), 좌측후방 부분(도 4의 도시된 우측안쪽 부분)을 좌측후방부(Lr), 및 우측전방부(Rf)와 좌측전방부(Lf) 사이의 부분을 중앙부(C)라 한다.
이러한 하우스부(4b)의 좌측전방부(Lf)에 대응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운전실(4a)이 설치되고, 중앙부(C)에는, 붐(5)의 기단이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하우스부(4b)를 가지는 선회체(4)는, 중앙부(C)의 하부에 설치된 선회용 전동기(21)(도 2 참조)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 즉, 선회방향(D)을 따라 좌우로 선회한다. 우측전방부(Rf)에는, 메인트넌스 작업용의 계단(31) 및 손잡이(32)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전방부(Rf) 내에는, 도 2에 나타낸 축전수단(120), 인버터회로(18A, 20A, 20B), 및, 컨트롤러(30)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전방부(Rf)의 좌우면 하부에는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면의 개구부(34)(도 5 참조)와 좌측면의 개구부(33) 사이에는, 축전수단(120)의 커패시터(19)가 설치되어 있다. 즉, 좌우면의 개구부(34, 33)는, 커패시터(19)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좌우방향으로 통하게 하는 통기구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우측전방부(Rf)의 하부에 설치된 커패시터(19) 등을 전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에는, 하우스부(4b)의 저부(底部)를 형성하는 골격부재인 저부 프레임(Ba)과, 저부 프레임(Ba)의 둘레 가장자리(도 5에서는 좌측)에 있어서 세워지도록 설치된 외주프레임(Bb)으로 구성되는 베이스프레임(B)이 나타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전방부(Rf)에 있어서, 우측면의 개구부(34) 및 좌측면의 개구부(33)의 내측에는, 루버(36, 3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루버(35, 36) 사이에는, 커패시터(19)를 포함하는 커패시터박스(80)가, 대좌(155) 및 방진고무(156)를 통하여 저부 프레임(Ba) 상에 설치되어 있다. 커패시터(19)는,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다수의 셀(41)을 병설하여 통합한 것으로서, 상단의 셀(41)의 집합체에 의하여 상단모듈(45)이, 하단의 셀(41)의 집합체에 의하여 하단모듈(45)이 각각 구성되고, 이들 모듈(45, 45)을, 좌우방향으로 통기 가능하게 외부 프레임으로 둘러싸 보강한 것이 커패시터박스(80)이다.
커패시터박스(80)의 우측(도 5에서는 좌측)에는, 흡기덕트(40)가 접속됨과 함께, 흡기덕트(40) 내의 상류측의 단부에는, 루버(36)에 대향하여 루버(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패시터박스(80)의 좌측(도 5에서는 우측) 단부에는, 상하단의 셀(41, 41)의 각각에 대응하여, 냉각바람을 도시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흘려보내기 위한 팬(43, 43)이 설치되고, 더욱 좌측(도 5에서는 우측)에는, 배기덕트(39)가 접속됨과 함께, 배기덕트(39) 내의 하류측의 단부에는, 루버(35)에 대향하여 루버(37)가 설치되어 있다.
흡기측의 루버(36)는, 도시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흐르는 냉각바람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고, 이보다 하류의 흡기덕트(40) 내의 루버(38)는, 루버(36)와는 반대로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배기덕트(39) 내의 루버(37)는, 냉각바람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고, 이보다 하류의 배기측의 루버(35)는, 루버(37)와는 반대로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루버의 구성에 의하여, 커패시터박스(80) 내부에 대한 방수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커패시터박스(80)는 저부 프레임(Ba) 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설치위치는, 우측면의 개구부(34) 및 좌측면의 개구부(33)에 대하여 낮아져 있다. 이로 인하여, 흡기덕트(40) 및 배기덕트(39)는, 상하 비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흡기덕트(40) 및 배기덕트(39)는, 양측의 루버(38, 37)로부터 커패시터박스(80)를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흡기덕트(40) 내에는, 상단모듈(45)과 하단모듈(45) 사이의 상류측 단부와, 루버(38)의 하류측 단부를 연결하고, 흡기덕트(40)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칸막이벽(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칸막이벽(44)은, 상하로 병설된 루버(38)에 대하여 똑바로 대응되지 않고 하방으로 어긋나서 배치된 하단의 모듈(45)에 대해서도, 상단의 모듈(45)과 같은 양의 냉각바람을 분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측의 입구(루버(38)의 출구)에서의 유량보다 하측의 입구에서의 유량이 크게 되도록, 수평이 아니라 냉각바람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만, 여기에서는, 커패시터박스(80), 흡기덕트(40), 배기덕트(39), 개구부(34), 개구부(33) 등은 우측전방부(Rf)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좌측전방부(Lf)에 있어서 운전실(4a)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4의 좌측후방부(Lr) 내에는, 엔진용 라디에이터, 오일쿨러, 인터쿨러, 연료쿨러,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라디에이터(하이브리드용 라디에이터), 운전실(4a)의 에어컨디셔너용 열교환기(에어컨용 콘덴서)(모두 미도시)와 같은 냉각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후방부(Lr)로부터 우측후방부(Rr)에 걸쳐, 즉 천판을 구성하는 엔진후드(H)의 하방에는, 도 2에 나타낸 엔진(11), 변속기(13), 전동발전기(12), 및 메인펌프(14)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11)에는 팬(미도시)이 접속되어 있어서, 엔진(11)의 회전에 따라 팬이 회전함으로써, 좌측전방부(Lf)의 좌측면에 설치된 통기구(46)로부터 좌측후방부(Lr) 내를 향하여 공기가 흘러서, 좌측후방부(Lr) 내에 설치된 상기의 각 냉각기가 냉각된다.
중앙부(C)에는, 붐(5)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지지하는 틀체인 이른바 A 프레임(47), 및 붐 실린더(8)의 기단이 장착되는 틀체인 붐 실린더 프레임(48)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동발전기(12) 및 선회용 전동기(21)의 고전압 케이블의 배선에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선회용 전동기(21)와 그 인버터회로(20A)를 접속하는 고전압 케이블(63)의 배선을, 베이스프레임(B), A 프레임(47), 하우스부 우측전방부(Rf) 내의 부품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차량 좌측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은, 도 6을 차량 우측후방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평면도, 도 9는, 전동발전기(12)와 그 인버터회로(18A)를 접속하는 고전압 케이블(53)의 배선을, 베이스프레임(B), A 프레임(47), 하우스부 우측전방부(Rf) 내의 부품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차량 좌측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차량 우측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XII-X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스부 우측전방부(Rf) 내에서 저부 프레임(Ba) 상에는, 아래에서 위를 향하여, 흡기덕트(40) 및 배기덕트(39)가 접속된 커패시터박스(80), 인버터회로(18A, 20A, 20B), 및, 컨트롤러(30)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우측후방부(Rr)에 있어서는, 베이스프레임(B) 상에서 하우스부(4b) 내에 펌프실(미도시)이 형성되고, 이 펌프실 내에, 변속기(13), 전동발전기(12) 및 메인펌프(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C)에 있어서는, 붐(5)을 지지하는 A 프레임(프레임구조부재)(47, 47)이 연직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대향하여 설치되고, 이들 A 프레임(47, 47)에 끼워진 중간위치에서 붐(5)의 후방 근방에, 선회용 전동기(21)가 저부 프레임(Ba)에 대하여 대략 직립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B)의 좌우측의 양단부에는, 그 베이스프레임(B)을 구성하는 외주프레임(사이드프레임; 프레임구조부재)(Bb)이 전후방향으로 뻗어 설치되어 있다. 이 외주프레임(Bb)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뻗는 직사각형 관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대략 직사각형의 폐단면 공간(S)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용 전동기(21)와 그 인버터회로(20A)를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63)은, A 프레임(47)의 내측의 측면을 따라 배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패시터박스(80)측의 A 프레임(47)의 하부이면서, 커패시터박스(80) 가까이의 위치에, 3상(U, V, W)의 고전압 케이블(63)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88a)가 형성되어 있어서, 선회용 전동기(21)로부터의 고전압 케이블(63)은, 커패시터박스(80)측에서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A 프레임(47)의 그 하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선되고, 개구(88a)를 통하여 A 프레임(47)의 외측으로 도출되어, 인버터회로(20A)의 3상의 단자(64)에 각각 접속된다.
또한, 도 9~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발전기(12)와 그 인버터회로(18A)를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53)은, 외주프레임(Bb) 내부를 통과되어 배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동발전기(12) 및 커패시터박스(80)측의 외주프레임(Bb)으로서, 전동발전기(12)의 측방에 대응하는 위치 및 커패시터박스(80) 가까이의 위치에, 3상(U, V, W)의 고전압 케이블(53)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89a, 89b)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전동발전기(12)로부터의 고전압 케이블(53)은, 개구(89a)를 통하여 외주프레임(Bb) 내부에 도입되고, 내부의 폐단면 공간(S)에 통과되어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외주프레임(Bb)의 내외벽의 측면을 따라 배선되고, 개구(89b)를 통하여 외주프레임(Bb) 밖으로 도출되어, 인버터회로(18A)의 3상의 단자(54)에 각각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전압 케이블(53, 63)이,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Bb, 47)의 측면을 따라 배선되기 때문에, 그 프레임구조부재(Bb, 47)가 입설벽이 되어 고전압 케이블(53, 63)이 제대로 보호되어, 예컨대 리프팅마그넷 차량(1)이 장애물 등에 충돌한 경우에도, 그 프레임구조부재(Bb, 47)에 의하여 고전압 케이블(53, 63)이 적절히 보호되고, 그 결과, 안전성이 향상되고 있다.
또한, 프레임구조부재를 구성하는 고전압 케이블(63)은, A 프레임(47)의 내측의 측면을 따라 배선되어 있기 때문에, 강성이 높은 A 프레임(47)에 의하여, 그 고전압 케이블(63)이 제대로 보호되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있다. 또한, 리프팅마그넷 차량(1)이 장애물 등에 충돌한 경우에도, A 프레임(47)은 중앙측에 배치되어 충돌부위로부터 떨어져 있게 되므로, 고전압 케이블(63)이 더욱 제대로 보호된다.
또한, 프레임구조부재를 구성하는 고전압 케이블(53)은, 폐단면을 구성하여 강성이 높은 외주프레임(Bb) 내부에 통과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고전압 케이블(53)이 제대로 보호되어, 안전성이 향상되어 있음과 함께, 이와 같이 고전압 케이블(53)을 주위에서 둘러싸는 외주프레임(Bb)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그 외주프레임(Bb)이 전자파를 차단하게 되므로, 전자실드 성능도 향상되고 있다.
또한, 고전압 케이블(53, 63)이, 컨트롤러(30) 등에 접속되는 저전압(예컨대 24V)의 제어용의 하네스로부터 분리하여 배선 가능하기 때문에, 그 하네스에 대한 고전압 케이블(53, 63)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다만, 고전압 케이블(63)에는, 선회용 전동기(21)의 프레임을 관통하는 부분에 방수 캡(미도시)이 설치되고, 고전압 케이블(53)에는, 전동발전기(12)의 프레임을 관통하는 부분에 방수 캡(미도시)이 설치되어, 프레임 내부에 대한 방수가 충분히 도모되고 있다. 이런 방수 캡으로서는, 예컨대, 불소 수지제로 내열성을 가지는 방수 캡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전동발전기(12)와 그 인버터회로(18A)를 접속하는 고전압 케이블(53)의 배선을, 베이스프레임(B), A 프레임(47), 하우스부 우측전방부(Rf) 내의 부품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차량 좌측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을 차량 우측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5는, 도 13 및 도 14의 평면도이다.
이 제2 실시형태가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고전압 케이블(53)의 배선을 A 프레임(47)의 내측의 측면을 따라 배선한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전동발전기(12)측의 A 프레임(47)의 하부이면서, 전동발전기(12)의 측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전압 케이블(53)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88b)가 형성되고, 전동발전기(12)로부터의 고전압 케이블(53)은, 개구(88b)를 통하여 전동발전기(12)측의 A 프레임(47)의 내측에 도출되어, 이 A 프레임(47)의 하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선되고, 상기 서술한 개구(88a)를 통하여 A 프레임(47)의 외측으로 도출되어, 인버터회로(18A)의 단자(54)에 각각 접속된다.
이러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고전압 케이블(63)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만,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있지만, 선회용 전동기(21)와 그 인버터회로(20A)를 접속하는 고전압 케이블(63)이, 외주프레임(Bb) 내부를 통과되어 배선되어 있어도 된다.
덧붙여서, 상기 제1,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 프레임(47)의 내측의 측면을 따라 배선되거나, 또는, 외주프레임(Bb) 내를 통과되어 배선되는 것은, 전동발전기(12)와 그 인버터회로(18A) 사이의 고전압 케이블(53), 또는, 선회용 전동기(21)와 그 인버터회로(20A) 사이의 고전압 케이블(63)이지만, 전동발전기(12), 선회용 전동기(21)에 인버터회로(18A, 20A)가 각각 부설되어 있는 인버터 부착 전동발전기, 인버터 부착 선회용 전동기의 경우에는, 인버터회로(18A)와 축전수단(120)을 접속하는 고전압 케이블, 인버터회로(20A)와 축전수단(120)을 접속하는 고전압 케이블이, A 프레임(47)의 내측의 측면을 따라 배선되거나, 또는, 외주프레임(Bb) 내를 통과되어 배선되게 된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전기계통이나 유압계통 등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구성은, 이른바 시리즈방식이라 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나타내는 패럴렐방식의 구성에 있어서, 변속기(13)와 메인펌프(14)를 연결하는 구성 대신에, 펌프용 전동기(140) 및 인버터(18D)를 별도로 설치하여, 엔진(11)의 모든 동력을 일단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각종 구동요소를 구동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인버터(18D)는, 축전수단(120)의 DC버스(110)(도 3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컨트롤러(30)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인버터(18D)의 출력단은, 펌프용 전동기(140)에 접속되어 있고, 펌프용 전동기(140)는, 인버터(18D)에 의하여 구동제어된다. 또한, 펌프용 전동기(140)에 있어서 메인펌프(14)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은, 회생에너지로서 인버터(18D)를 거쳐 축전수단(120)에 공급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적합한 것으로서, 리프팅마그넷 타입의 하이브리드형 건설기계에 대한 적용을 서술하고 있지만, 쇼벨이나 휠로더, 크레인 등의 다른 건설기계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배선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진다.
1…리프팅마그넷 차량(건설기계), 5…붐, 11…엔진, 12…전동발전기(발전수단), 18A, 20A…인버터, 21…선회용 전동기(전동구동수단), 47…A 프레임(프레임구조부재), 53, 63…고전압 케이블, 120…축전수단, B…베이스프레임, Bb…외주프레임(사이드프레임; 프레임구조부재), S…폐단면 공간.

Claims (5)

  1. 주행기구와,
    상기 주행기구에 탑재되어,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선회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된 엔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앙부에 뻗어서 설치된 2개의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방에 위치하는 운전실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방에서 상기 운전실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의 구동에 의하여 발전을 행하는 발전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방에서 상기 운전실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수단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수단과,
    상기 축전수단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한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단과 상기 축전수단을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이, 2개의 개구를 가지는 상기 축전수단 및 상기 발전수단측에 설치된 연직방향으로 돌출하는 프레임구조부재의 내면을 따라 배선되어 있고, 상기 2개의 개구는 상기 축전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1개구와 상기 발전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개구이며,
    상기 발전수단은 상기 엔진에 병설되어 있으며,
    상기 발전수단에는, 3상의 상기 고전압 케이블이 상기 발전수단의 일측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2. 주행기구와,
    상기 주행기구에 탑재되어,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선회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된 엔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앙부에 뻗어서 설치된 2개의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방에 위치하는 운전실과,
    상기 엔진의 구동에 의하여 발전을 행하는 발전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부재의 측방에서 상기 운전실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수단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수단과,
    상기 2개의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축전수단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동구동수단을 구비한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동구동수단과 상기 축전수단을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이, 상기 2개의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 중, 상기 축전수단 측에 설치된 연직방향으로 돌출하는 프레임구조부재에 마련된 개구를 관통해서 그 프레임구조부재 내면을 따라 배선되어 있고,
    세로로 놓인 상기 전동구동수단에는, 3상의 상기 고전압케이블이 상기 전동구동수단의 일측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3. 주행기구와,
    상기 주행기구에 탑재되어,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선회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된 엔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의 구동에 의하여 발전을 행하는 발전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수단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수단과,
    상기 축전수단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동구동수단과,
    상기 발전수단과 상기 축전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저전압의 제어용의 하네스를 구비한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단과 상기 축전수단을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이, 연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레임구조부재의 내부를 따라 배선되어 있고,
    상기 발전수단은 상기 엔진에 병설되어 있으며,
    상기 발전수단에는, 3상의 상기 고전압 케이블이 상기 발전수단의 일측에 접속되고,
    상기 프레임구조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단부를 직사각형 관형상에 의하여 구성하며, 내부에 폐단면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프레임이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은, 상기 사이드프레임에서 상기 발전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개구,상기 폐단면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프레임 내부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에서 상기 축전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개구를 통과하며, 상기 하네스로부터 분리하여 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단의 외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일 단부는 상기 원통형 발전수단의 외측 둘레에 상기 원통형 발전수단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를 제외한 부분이 모두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KR1020147016014A 2009-12-08 2010-12-08 건설기계 KR101484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8599 2009-12-08
JP2009278599A JP5527883B2 (ja) 2009-12-08 2009-12-08 建設機械
PCT/JP2010/072043 WO2011071084A1 (ja) 2009-12-08 2010-12-08 建設機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208A Division KR20120088808A (ko) 2009-12-08 2010-12-08 건설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347A KR20140084347A (ko) 2014-07-04
KR101484912B1 true KR101484912B1 (ko) 2015-01-20

Family

ID=441456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014A KR101484912B1 (ko) 2009-12-08 2010-12-08 건설기계
KR1020127014208A KR20120088808A (ko) 2009-12-08 2010-12-08 건설기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208A KR20120088808A (ko) 2009-12-08 2010-12-08 건설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19465B2 (ko)
EP (1) EP2511220B1 (ko)
JP (1) JP5527883B2 (ko)
KR (2) KR101484912B1 (ko)
CN (1) CN102648145B (ko)
WO (1) WO2011071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0681B2 (ja) * 2010-07-22 2014-08-27 日立建機株式会社 電動作業車両
JP5814577B2 (ja) * 2011-03-24 2015-11-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電動式作業車両及びそのバッテリ保持構造
JP5891699B2 (ja) * 2011-10-13 2016-03-2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5781920B2 (ja) * 2011-12-28 2015-09-24 ヤンマー株式会社 電動作業車両
JP5823027B2 (ja) * 2012-03-28 2015-11-2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
JP5549706B2 (ja) * 2012-06-22 2014-07-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
JP6056221B2 (ja) * 2012-07-02 2017-01-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837863B2 (ja) * 2012-08-21 2015-12-24 日立建機株式会社 電動式建設機械
JP5960025B2 (ja) * 2012-10-24 2016-08-02 住友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ショベル
DE112012000401B4 (de) * 2012-11-13 2014-11-13 Komatsu Ltd. Hydraulikbagger
CN104196079A (zh) * 2014-07-25 2014-12-10 昆山三一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液压挖掘机混合动力系统及其液压挖掘机
CN104631541B (zh) * 2015-01-20 2017-10-20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电动液压挖掘机大功率高压电动机安全运行保护系统
JP6671107B2 (ja) * 2015-03-27 2020-03-25 株式会社クボタ 無人作業車
JP6563260B2 (ja) 2015-06-15 2019-08-2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マグネット作業機械
JP6682999B2 (ja) * 2016-05-06 2020-04-1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配線構造
US10184227B2 (en) * 2016-06-21 2019-01-22 Kubota Corporation Work machine
CN108673468A (zh) * 2018-06-11 2018-10-19 河南百年融熥实业有限公司 一种工厂用移动式多功能机械手臂
JP7128704B2 (ja) * 2018-09-27 2022-08-3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航空機エンジンの補機システム
JP7321898B2 (ja) * 2019-11-18 2023-08-07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WO2021193300A1 (ja) * 2020-03-26 2021-09-30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電動式建設機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329A (ja) * 1998-07-24 2000-02-15 Komatsu Ltd 作業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の電気配線
JP2007205120A (ja) * 2006-02-06 2007-08-1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アッパーフレーム
KR20090024285A (ko) * 2006-08-02 2009-03-06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하이브리드 작업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3981B2 (ja) * 1996-08-19 2002-09-09 デンヨー株式会社 移動電源車における車内装置の配置構造
JP2000324857A (ja) * 1999-03-11 2000-11-24 Toyota Motor Corp 多種電源装置、この電源装置を備えた機器およびモータ駆動装置並びにハイブリッド車両
JP2003096820A (ja) 2001-09-20 2003-04-03 Komatsu Ltd 作業用車両
JP3791445B2 (ja) 2002-04-17 2006-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の駆動装置
JP2004068292A (ja) * 2002-08-02 2004-03-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車体構造
JP2004169466A (ja) * 2002-11-21 2004-06-17 Komatsu Ltd 建設機械の機器配置構造
JP4523240B2 (ja) 2003-04-23 2010-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電動発電装置
JP2005068962A (ja) * 2003-08-28 2005-03-1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燃料配管構造
JP4965363B2 (ja) * 2007-07-12 2012-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駆動装置
JP4347377B2 (ja) * 2007-11-06 2009-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333795B2 (ja) * 2007-11-12 2009-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4240149B1 (ja) * 2008-02-14 2009-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US20100065356A1 (en) * 2008-09-15 2010-03-18 Caterpillar Inc. Electric powertrain for off-highway trucks
JP5163593B2 (ja) * 2009-05-25 2013-03-1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作業機械
DE102010004712A1 (de) * 2010-01-11 2011-07-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70435 Hybridantrieb eines Hybridfahrzeug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329A (ja) * 1998-07-24 2000-02-15 Komatsu Ltd 作業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の電気配線
JP2007205120A (ja) * 2006-02-06 2007-08-1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アッパーフレーム
KR20090024285A (ko) * 2006-08-02 2009-03-06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하이브리드 작업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1220B1 (en) 2022-01-05
WO2011071084A1 (ja) 2011-06-16
EP2511220A4 (en) 2017-11-01
CN102648145B (zh) 2015-04-01
JP5527883B2 (ja) 2014-06-25
KR20120088808A (ko) 2012-08-08
US20120325568A1 (en) 2012-12-27
EP2511220A1 (en) 2012-10-17
KR20140084347A (ko) 2014-07-04
US8919465B2 (en) 2014-12-30
CN102648145A (zh) 2012-08-22
JP2011122307A (ja)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912B1 (ko) 건설기계
KR101860657B1 (ko) 하이브리드식 작업기
US10066358B2 (en) Hybrid-type working machine
JP4434123B2 (ja)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
JP2004169466A (ja) 建設機械の機器配置構造
JP5189042B2 (ja) 建設機械
JP5189041B2 (ja) ハイブリッド型建設機械
JP5449891B2 (ja) 建設機械
JP5295895B2 (ja) 建設機械
JP5685616B2 (ja) 建設機械
JP2010222814A (ja) ハイブリッド型建設機械
JP5335592B2 (ja) 建設機械
JP5189040B2 (ja) 建設機械
JP5189039B2 (ja) 建設機械
JP6213974B2 (ja) 作業機械
JP5178548B2 (ja) ハイブリッド型建設機械
JP5079750B2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