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379B1 - 전선 보호 구조부 및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선 보호 구조부 및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379B1
KR101483379B1 KR1020137003221A KR20137003221A KR101483379B1 KR 101483379 B1 KR101483379 B1 KR 101483379B1 KR 1020137003221 A KR1020137003221 A KR 1020137003221A KR 20137003221 A KR20137003221 A KR 20137003221A KR 101483379 B1 KR101483379 B1 KR 101483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undle
branch
electric wire
wire
branch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263A (ko
Inventor
신이치 이가라시
노부마사 다키하라
유키히로 시라후지
아츠시 무라타
오사무 사토
사토시 다니가와
마사미치 야마기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13006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는,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이 보호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전선 보호 구조부에서는, 보호부가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고, 상기 보호부는, 열가소성 재료를 적어도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가열 및 압축시킴으로써 성형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 보호 구조부 및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ELECTRIC WIRE PROT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 WIRE PROT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전선 다발의 분기(分岐) 부분을 보호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보호하는 기술로서, 미리 설계해 놓은 수지제 프로텍터 내부에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수용하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플랫 회로체를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진 2개의 피복체의 사이에 놓고, 프레스 성형하여, 상기 피복체를 플랫 회로체에 부착하며 상기 피복체 끼리를 용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와이어 하네스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97038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텍터는, 내부 형상이 일정하므로, 내부에 수용된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의 불안정으로 인해 노이즈가 생기고, 외부 형상이 커진다. 특허문헌 1에는 플랫 회로체만을 대상으로 한 보호만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재료를 사용하여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보호하는 전선 보호 구조부로서,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열가소성 재료를 적어도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가열 및 압축시킴으로써 성형되는 것인 전선 보호 구조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로서, 상기 보호부는, 열가소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감고, 열가소성 재료를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가열 및 압축시킴으로써 성형되는 것인 전선 보호 구조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로서, 상기 보호부는, 긴 띠 형상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를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에 감고, 열가소성 재료를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가열 및 압축시킴으로써 성형되는 것인 전선 보호 구조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로서, 상기 보호부는, 열가소성 재료를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협지 및 피복하는 상태에서 가열 및 압축시킴으로써 성형되는 것인 전선 보호 구조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로서, 상기 보호부는, 커트부를 갖는 열가소성 재료를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에 감고, 열가소성 재료를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가열 및 압축시킴으로써 성형되는 것인 전선 보호 구조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보호하는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적어도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공정; 및 (b) 상기 공정 (a)에서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한 상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가열 및 압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는, 제6 양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공정 (a)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감고, 상기 열가소성 재료로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것인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 양태는, 제6 또는 제7 양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공정 (a)에서는, 긴 띠 형상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를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에 감고,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것인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 양태는, 제6 또는 제7 양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공정 (a)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재료로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협지 및 피복하는 것인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 양태는, 제6 또는 제7 양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공정 (a)에서는, 커트부를 갖는 열가소성 재료를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에 감고,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것인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양태의 전선 보호 구조부에 따르면, 보호부는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고, 보호부는, 열가소성 재료를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가열 및 압축시킴으로써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열가소성 재료는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제2 양태의 전선 보호 구조부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는, 열가소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감고, 열가소성 재료를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가열 및 압축시킴으로써 성형된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한 방향에서 전선 다발의 위치를 열가소성 재료에 대하여 결정함으로써, 전선 다발이 열가소성 재료에 대해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제3 양태의 전선 보호 구조부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는, 긴 띠 형상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를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에 감고, 열가소성 재료를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가열 및 압축시킴으로써 성형된다. 따라서, 분기 형상이 보다 복잡한 경우에도, 열가소성 재료가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제4 양태의 전선 보호 구조부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는, 열가소성 재료를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협지 및 피복하는 상태에서 가열 및 압축시킴으로써 성형된다. 따라서, 열가소성 재료는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보호할 수 있다.
제5 양태의 전선 보호 구조부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는, 커트부를 갖는 열가소성 재료를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에 감고, 열가소성 재료를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가열 및 압축시킴으로써 성형된다. 간단한 형태를 갖는 열가소성 재료가, 분기 부분의 외주 형상에 따르는 형태로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제6 양태의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열가소성 재료로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이 보호되는 전선 보호 구조부를 제조할 수 있다.
제7 양태의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열가소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이 전선 다발의 분기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감긴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한 방향에서 전선 다발의 위치를 열가소성 재료에 대하여 결정함으로써, 전선 다발이 열가소성 재료에 대해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제8 양태의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분기 형상이 보다 복잡한 경우에도, 열가소성 재료로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이 보호되는 전선 보호 구조부를 제조할 수 있다.
제9 양태의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이 열가소성 재료로 보호되는 전선 보호 구조부를 제조할 수 있다.
제10 양태의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간단한 형태를 갖는 열가소성 재료가, 분기 부분의 외주 형상에 따르는 형태로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보호하는, 전선 보호 구조부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라 부직 재료로 전선 다발이 피복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라 부직 재료로 전선 다발이 피복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사용된 부직 재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제3 실시형태에 따라 부직 재료로 전선 다발이 피복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 사용된 부직 재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제4 실시형태에 따라 부직 재료로 전선 다발이 피복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와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선 보호 구조부는, 열가소성 재료가 보호 및 형태 유지를 위해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구조를 갖는다.
전선 다발은 차량 등에 배선된 와이어 하네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정된다. 전선 다발은, 복수의 전선이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적층되고, 단면도에서의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 또는 직사각형이도록 묶어져 구성되어 있다. 전선 다발에 있어서 피복되는 분기 부분은, 전선이 3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1개의 분기선이 간선(幹線)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형상, 또는 간선의 단부가 2갈래로 나누어진 형상을 갖는 부분이다. 분기 부분은 전선 다발의 교차 부분이라고도 한다. 분기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형 부분을 분기선이라고도 한다. 도 1 내지 도 4, 도 6, 도 7, 도 9 및 도 10은 각각,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의 일례로서, 2개의 분기선(Wr)이 분기 부분(Ws)을 통과하여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1개의 분기선(Wr)이 분기 부분(Ws)으로부터 실질적으로 2개의 분기선(Wr)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상기한 도면들에서, 분기선(Wr)은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분기선(Wr)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분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우선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a)를 설명한다(도 2 참조). 전선 보호 구조부(10a)는, 보호부(20a)가 상기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을 피복하는 구조를 갖는다. 보호부(20a)는, 열가소성 재료를 적어도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가열 및 가압(보다 구체적으로, 핫-프레싱)함으로써 성형된다.
핫-프레싱은, 가공 대상인 열가소성 재료를 금형 사이에 놓고, 몰드를 가열한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여 부직 재료를 성형하는 공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선 다발(W)의 분기 형상에 대응하는 보호부(20a)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면을 갖는 한 쌍의 금형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전선 다발(W)을 피복하는 부직 재료(2a)를 일측 금형에 놓는다. 한 쌍의 금형을 가열하면서, 타측 금형을 일측 금형에 대해 접근하게 이동시켜 부직 재료(2a)를 성형한다. 따라서, 경화된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진 보호부(20a)에 의해 전선 다발(W)이 피복되어 있는 전선 보호 구조부(10a)가 제조된다. 금형은 한 쌍의 금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개 이상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하에 열가소성 재료를 설명한다. 열가소성 재료는, 가열을 통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용융되거나 혹은 연화되며, 냉각을 통해 고화되는 재료이다. 열가소성 재료는, 가열되어 용융 혹은 연화된 상태에서, 성형 혹은 부착된다. 따라서, 열가소성 재료는, 성형 혹은 부착된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부직 재료가 열가소성 재료의 예로서 사용된다.
가열 공정을 거쳐 경화될 수 있는 부직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직 재료는, 기본 섬유와 접착 수지(바인더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수지는, 기본 섬유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다. 부직 재료는 기본 섬유의 융점보다는 낮고 접착 수지의 융점보다는 높은 온도로 가열되고, 그 결과 접착 수지는 용융되어 기본 섬유에 스며든다. 그 후에, 부직 재료의 온도가 저하되어, 접착 수지가 고화된다. 따라서, 부직 재료는, 가열시에 성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가열 및 경화된다. 부직 재료는 통상적으로 시트 형상(부직포라고도 함)으로 성형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시트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정된다.
수지 섬유 이외에, 접착 수지의 융점에서 섬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여러 섬유가, 기본 섬유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본 섬유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접착 수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기본 섬유와 접착 수지의 조합에서는, 기본 섬유로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수지 섬유를, 접착 수지로서 PET 및 PEI(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로 구성된 공중합 수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보호부(20a)는 전술한 열가소성 재료인 부직 재료(2a)를 적어도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핫-프레싱함으로써 성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직 재료(2a)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의 적어도 일부분에 감고, 부직 재료(2a)를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핫-프레싱한다. 부직 재료(2a)가 감긴다는 것은, 부직 재료(2a)가 전선 다발(W)의 외주면을 따라 구부러지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 재료(2a)는 전선 다발(W)에 반주(半周) 권취된다. 따라서,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은, 경화된 부직 재료(2a)로 이루어진 부분인 보호부(20a)에 의해 피복된다. 다시 말하자면, 보호부(20a)는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변형을 방지하도록 그 형상을 유지한다. 보호부(20a)는 적어도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을 피복하여야 하며,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으로부터 연장되는 분기선(Wr)을 부분적으로 피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선 보호 구조부(10a)에서, 보호부(20a)는, 긴 띠 형상을 갖는 부직 재료(2a)를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에 감고, 부직 재료(Ws)를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핫-프레싱함으로써 성형된다(도 2 참조). 구체적으로, 긴 띠 형상의 부직 재료(2a)를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의 전체 표면에 감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직 재료(2a)를, 전선 다발(W)에 있어서 보호 대상 부분인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과 3개의 분기선(Wr) 중 분기 부분(Ws)에 인접하는 부분에 감고, 부직 재료(2a)가 분기 부분(Ws)과 각 분기선(Wr)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핫-프레싱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긴 띠 형상의 부직 재료(2a)를 전선 다발(W)에 감는다(도 1 참조). 구체적으로, 긴 띠 형상의 부직 재료(2a)는,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과 3개의 분기선(Wr)에 대하여, 상기 분기 부분과 분기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옮겨가며 겹쳐지면서 감긴다.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에 감으려면, 긴 띠 형상의 부직 재료(2a)를 분기선(Wr)의 각 갈래부[실질적으로 직선 상에 배치된 임의의 분기선(Wr) 사이에 있는 분기 부분(Ws) 포함]에 걸면서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부직 재료(2a)를 X자 모양으로 걸면서 감는다. 부직 재료(2a)를 전선 다발(W)의 각 부분에 대하여 외주측에 2 이상의 층으로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 띠 형상의 부직 재료(2a)에는, 권취를 유지하기 위하여, 권취시에 내주측을 향하는 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직 재료(2a)가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 및 3개의 분기선(Wr)을 피복한 상태에서, 부직 재료(2a)를 핫-프레싱하여 전선 보호 구조부(10a)를 성형한다. 여기서, 부직 재료(2a)는 중첩된 부분에서 용융된 접착 수지에 의해 부착되어, 감겨진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다.
긴 띠 형상의 부직 재료(2a)가 전선 다발(W)의 외주측에 옮겨가며 겹쳐진 상태에서, 부직 재료(2a)는 경화된다. 따라서, 보호부(20a)의 표면에는, 긴 띠 형상의 부직 재료(2a)의 측단부의 선형 흔적(T)이 남겨진다. 선형 흔적(T)은 도 2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어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b)를 설명한다(도 4 참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a)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구성 요소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b)에서는,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을 사이에 두고 피복한 상태에서 부직 재료(2b)를 핫-프레싱함으로써, 보호부(20b)가 성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부직 재료(2b)는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과 3개의 분기선(Wr) 중 분기 부분(Ws)에 인접한 부분도 피복한다(도 3 참조). 구체적으로, 부직 재료(2b)는,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 및 2개의 분기선(Wr)의 외주면을 따라 구부러지고, 상기 분기 부분 및 분기선에 반주 이상 권취된다. 부직 재료(2b)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시트 형상을 가지며,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 및 3개의 분기선(Wr)을 사이에 두고 피복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평면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직 재료(2b)를 구부려 일단부와 타단부를 가지런히하여, 사이에 전선 다발(W)을 두고 피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직 재료(2b)가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 및 3개의 분기선(Wr)을 피복한 상태에서, 부직 재료(2b)를 핫-프레싱하여 전선 보호 구조부(10b)를 성형한다. 여기서, 부직 재료(2b)는, 전선 다발(W)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전선 다발(W)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용융된 접착 수지에 의해 부착되고, 전선 다발(W)을 사이에 둔 형상으로 유지된다.
부직 재료(2b)는, 전선 다발(W)의 외주를 피복하며 경화되고, 전선 다발(W)의 측방에 있는 잉여 부분이 판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형상으로 경화되면서 형성된다.
이어서, 제3 및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c 및 10d)를 설명한다(도 7 및 도 10 참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a)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구성 요소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3 및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c 및 10d)에서, 보호부(20c 및 20d)는, 커트부(C)를 갖는 부직 재료(2c 및 2d)를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에 감고, 부직 재료(2c 및 2d)를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을 피복한 상태에서 핫-프레싱함으로써 성형된다. 커트부(C)에 의해 분할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해 분기 부분(Ws)의 외주 상에서 중첩되도록, 부직 재료(2c 및 2d)를 분기 부분(Ws)에 감을 수 있게, 커트부(C)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직 재료(2c 및 2d)에 있어서 커트부(C)에 의해 분할된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을,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 또는 분기선(Wr)에 감고, 부분적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핫 프레싱 및 성형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c)에서, 보호부(20c)는, 양측변[도 5의 좌우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변]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마련되어 있고 양측변 사이의 치수의 절반보다 짧은 길이를 각각 갖는 커트부(C)가 형성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시트 형상을 갖는 부직 재료(2c)를,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에 감겨진 상태에서 핫-프레싱함으로써 성형된다(도 7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 부직 재료(2c)는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과 3개의 분기선(Wr) 중 분기 부분(Ws)에 인접한 부분을 피복하도록 감긴다(도 6 참조). 부직 재료(2c)는, 일단부(도 5의 상단부)와 타단부(도 5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 커트부(C) 기준 일단부가 하나의 분기선(Wr)의 보호 대상 부분을 연장 방향으로 피복하고, 커트부(C) 기준 타단부가 2개의 분기선(Wr)을 둘레 방향으로 피복하도록 (단부가 중첩되도록), 치수가 설정된다. 부직 재료(2c)는, 커트부(C) 기준 일단부가 하나의 분기선(Wr)을 둘레 방향으로 피복하고 (단부가 중첩되고), 2개의 분기선(Wr)의 보호 대상 부분을 연장 방향으로 피복하도록, 측단부 사이의 폭 치수가 설정된다. 부직 재료(2c)에는, 권취를 유지하기 위하여, 내주측을 향하는 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4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양면 접착 테이프(40)는, 커트부(C)를 기준으로 일단측의 양측단부 및 타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직 재료(2c)를 전선 다발(W)에 감는다. 우선, 부직 재료(2c)의 일단부를 주로 전선 다발(W)의 하나의 분기선(Wr)에 감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트부(C)가 형성되어 있어 타단부에 비해 자유 단부가 되는, 커트부(C)를 기준으로 일단부의 양측단부를 서로 근접시켜, 하나의 분기선(Wr)에 둘러싸고, 서로 중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직 재료(2c)에서의 커트부(C)의 일단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하나의 분기선(Wr)에 인접한 분기 부분(Ws)의 일부도 피복한다.
이어서, 커트부(C)를 기준으로 부직 재료(2c)의 타단부는, 분기 부분(Ws)과 나머지 두 분기선(Wr)에 있어서 분기 부분(Ws)에 인접한 부분에 감긴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트부(C)의 타단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부직 재료(2c)의 타단부가 근접하게 되도록, 부직 재료(2c)의 타단부를 감는다. 그 후에, 하나의 분기선(Wr)에 감긴 커트부(C)의 일단측의 단부 가장자리와, 분기 부분(Ws) 및 2개의 분기선(Wr)에 감긴 커트부(C)의 타단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부직 재료(2c)의 타단부를 중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직 재료(2c)가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 및 3개의 분기선(Wr)을 피복한 상태에서, 부직 재료(2c)를 핫-프레싱하여 전선 보호 구조부(10c)를 성형한다. 여기서, 부직 재료(2c)는 중첩된 부분에서 용융된 접착 수지에 의해 부착되어, 감겨진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다.
커트부(C)를 기준으로 부직 재료(2c)의 일단부는, 하나의 분기선(Wr) 및 분기 부분(Ws)의 일부분을 피복하고, 양측단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경화된다. 커트부(C)를 기준으로 부직 재료(2c)의 타단부는, 분기 부분(Ws) 및 나머지 두 분기선(Wr)을 피복하고, 부직 재료(2c)에서의 커트부(C)의 타단측의 단부 가장자리와, 분기 부분(Ws)의 외주측에서 겹쳐진 일단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겹쳐진 상태에서 경화된다. 따라서, 보호부(20c)에 있어서, 하나의 분기선(Wr)을 피복하는 부분의 표면에는, 부직 재료(2c)의 측변의 선형 흔적(T)이 남겨지고, 분기 부분(Ws)과 나머지 두 분기선(Wr)을 피복하는 부분의 표면에는, 부직 재료(2c)의 타단변의 선형 흔적(T)이 남겨진다. 선형 흔적(T)은 도 7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6은, 부직 재료(2c)의 일단부를 전선 단발(W)에 감고 나서, 타단부를 외주측에서, 커트부(C)의 일단측의 단부 가장자리 및 타단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대해 중첩시킨 예를 보여준다. 부직 재료(2c)에서의 커트부(C)의 타단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타단부의 외주측에 겹쳐지도록, 타단부를 감은 후, 커트부(C)의 일단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타단부의 외주측에 겹쳐지도록, 일단부를 감을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d)에서, 보호부(20d)는, 일측변[도 8의 상측변]의 대략 중간 부분으로부터 타단측(도 8의 하측변)을 향해 마련되어 있는 커트부(C)가 형성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시트 형상을 갖는 부직 재료(2d)를,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에 감겨진 상태에서 핫-프레싱함으로써 성형된다(도 10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 부직 재료(2d)는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과 2개의 분기선(Wr) 중 분기 부분(Ws)에 인접한 부분을 피복하도록 감긴다(도 9 참조). 부직 재료(2d)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 커트부(C) 기준 타단부가 2개의 분기선(Wr)을 둘레 방향으로 피복하고, 커트부(C)의 양측부가 하나의 분기선(Wr)을 사이에 두고 감겨서 타단부의 단부에 겹쳐지도록, 치수가 설정된다. 부직 재료(2d)는, 2개의 분기선(Wr)의 보호 대상 부분을 연장 방향으로 피복하도록, 측변(도 8의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변) 사이의 폭 치수가 설정된다. 커트부(C)를 갖는 부직 재료(2d)에는, 권취를 유지하기 위하여, 내주측을 향하는 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4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8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양면 접착 테이프(40)는, 일단부 및 타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직 재료(2d)를 전선 다발(W)에 감는다. 구체적으로, 커트부(C)를 기준으로 부직 재료(2d)의 타단부를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 및 2개의 분기선(Wr)에 감는다. 또한, 커트부(C)에 의해 분할된 일단측의 부분을, 나머지 하나의 분기선(Wr)을 사이에 두고서, 2개의 분기선(Wr) 및 분기 부분(Ws)에 있어서 2개의 분기선에 인접하는 부분에 감는다. 그 후에, 부직 재료(2d)의 각 일단부를 타단부에 대하여 중첩한다. 구체적으로, 분기 부분(Ws)에 있어서 2개의 분기선(Wr)에 인접한 부분에는, 부직 재료(2d)의 타단부와 분할된 일단부 각각이 중첩되어 있다.
도 9는, 부직 재료(2d)의 일단부 각각을, 전선 다발(W)에 미리 감아 놓은 타단부에 대하여 외주측에 중첩한 예를 보여준다. 각 일단측 부분을 감고 나서, 타단부를 각 일단부에 대하여 외주측에 중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직 재료(2d)가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 및 2개의 분기선(Wr)을 피복한 상태에서, 부직 재료(2d)를 핫-프레싱하여 전선 보호 구조부(10d)를 성형한다. 여기서, 부직 재료(2d)는 중첩된 부분에서 용융된 접착 수지에 의해 부착되어, 감겨진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다.
부직 재료(2d)는, 2개의 분기선(Wr)과 분기 부분(Ws)에 있어서 2개의 분기선에 인접한 부분을 덮고, 타단부와 커트부(C)에 의해 분할된 각 일단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경화된다. 따라서, 보호부(20d)에 있어서, 2개의 분기선(Wr)을 피복하는 부분의 표면에는, 부직 재료(2c)의 타단변 및 커트부(C)의 단부 가장자리의 선형 흔적(T)이 남겨진다. 선형 흔적(T)은 도 10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전선 보호 구조부(10a~10d)를 제조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하여, 전술한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 이외에도, 3개의 분기선(Wr)이 서로 다른 각도로 분기되어 있는 분기 부분(Ws)을 보호하는 전선 보호 구조부가 제조될 수 있다.
전선 보호 구조부(10a, 10c 및 10d)에 대해서는,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 뿐만 아니라 2개 또는 3개의 분기선(Wr)에 있어서 분기 부분(Ws)에 인접한 부분이 보호부(20a, 20c 및 20d)에 의해 보호되는 구조가 설명되어 있다. 보호부는 분기 부분(Ws)만을 보호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a)는, 긴 띠 형상의 부직 재료(2a)를 분기선(Wr)의 각 갈래부에 걸어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에만 감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b)는, 커트부(C) 기준 일단부 및 측변 사이의 폭 치수를 분기 부분(Ws)에 대응하게 축소한 부직 재료를 사용하여,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에만 커트부(C) 기준 타단부를 감고, 일단부의 측단부를 분기 부분(Ws)의 외주측에서 타단부에 겹쳐지도록 감음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d)는, 측변 사이의 폭 치수를 분기 부분(Ws)에 대응하게 축소한 부직 재료를 사용하여,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에만 부직 재료의 타단부를 감고, 커트부(C)의 양측부를 하나의 분기선(Wr)을 사이에 두고서 분기 부분(Ws)의 외주측에서 타단부에 겹쳐지도록 감음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전선 보호 구조부(10a 및 10b)를 제조하는 방법에 따르면, 4개 이상의 분기선이 연장되는 분기 부분을 보호하는 전선 보호 구조부도 제조될 수 있다.
전선 보호 구조부(10a~10d)에 따르면,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은 부직 재료(2a~2d)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 뿐만 아니라 분기선(Wr)이 부직 재료(2a~2d)에 의해 피복되는 구조에서는, 부직 재료(2a~2d)를 핫-프레싱할 때, 가열된 금형이 전선 다발(W)에 직접 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선 다발(W)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부(20a~20d)는, 부직 재료(2a~2d)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에 감고, 부직 재료(2a~2d)를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을 피복한 상태에서 핫-프레싱함으로써 성형된다. 따라서, 전선 다발(W)은 부직 재료(2a~2d)에 대하여 적어도 일측에 위치 결정되고, 이에 따라 부직 재료(2a~2d)[보호부(20a~20d)]에 대한 전선 다발(W)의 어긋남을 방지한다.
특히,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a)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보호부(20a)는, 긴 띠 형상을 갖는 부직 재료(2a)를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에 감고, 부직 재료(2a)를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을 피복하는 상태에서 가열 및 압축시킴으로써 성형된다. 이로써, 부직 재료(2a)를 감는 작업의 자유도가 높아져, 형상이 복잡하더라도 전선 다발(W)의 보호 대상 부분을 보다 확실하게 피복한다. 부직 재료(2a)를 전선 다발(W)을 피복한 상태에서 핫-프레싱함으로써, 분기 형상이 더 복잡하더라도, 전선 다발(W)의 외주 형상에 따르는 형상으로,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 및 3개의 분기선(Wr) 중의 분기 부분(Ws)에 인접한 부분을 보호 및 형상 유지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b)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전선 다발(W)의 보호 대상 부분은 간단히 부직 재료(2b)에 의해 협지되어 피복된다. 따라서, 부직 재료(2b)는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과 3개의 분기선(Wr) 중 분기 부분(Ws)을 간단하게 보호 및 형상 유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c)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2개의 커트부(C)가 형성된 시트 형상의 부직 재료(2c)를 이용하여, 쉽게 전선 다발(Ws)의 분기 부분(Ws) 및 3개의 분기선(Wr)에 감아 피복한다. 이로써, 전선 다발(W)의 외주 형상에 따르는 형상으로 핫-프레싱할 수 있게 되어, 전선 다발(W)의 외주 형상에 따르는 형상으로,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 및 3개의 분기선(Wr) 중의 분기 부분(Ws)에 인접한 부분을 보호 및 형상 유지한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전선 보호 구조부(10d)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단 하나의 커트부(C)가 형성된 보다 간단한 형상의 부직 재료(2c)를 이용하여, 쉽게 전선 다발(Ws)의 분기 부분(Ws) 및 2개의 분기선(Wr)에 감아 피복한다. 이로써, 전선 다발(W)의 외주 형상에 따르는 형상으로 핫-프레싱할 수 있게 되어, 전선 다발(W)의 외주 형상에 따르는 형상으로, 전선 다발(W)의 분기 부분(Ws) 및 2개의 분기선(Wr) 중의 분기 부분(Ws)에 인접한 부분을 보호 및 형상 유지한다.
전선 보호 구조부(10a~10d) 및 그 제조 방법을 앞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설명은 단지 모든 양태에서의 예로서 주어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예시되지 않은 무수히 많은 변형례를 상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2a, 2b, 2c, 2d : 부직 재료
10a, 10b, 10c, 10d : 전선 보호 구조부
20a, 20b, 20c, 20d : 보호부
C : 커트부
W : 전선 다발
Ws : 분기 부분

Claims (10)

  1.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보호하는 전선 보호 구조부로서,
    부직 재료가 적어도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한 상태로 가열 및 압축되어 보호부가 성형되고, 상기 보호부에 의해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이 피복되며,
    상기 보호부는, 긴 띠 형상을 갖는 부직 재료가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에 감겨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한 상태로 가열 및 압축됨으로써, 성형되는 것인 전선 보호 구조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부직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이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감겨, 상기 부직 재료가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한 상태로 가열 및 압축됨으로써, 성형되는 것인 전선 보호 구조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보호하는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으로서,
    (a) 부직 재료에 의해 적어도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공정; 및
    (b) 상기 공정 (a)에서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한 상태의 부직 재료를 가열 및 압축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공정 (a)에서는, 긴 띠 형상을 갖는 부직 재료를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에 감고,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것인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에서는, 상기 부직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감고, 상기 부직 재료로 상기 전선 다발의 분기 부분을 피복하는 것인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7003221A 2010-08-09 2011-06-01 전선 보호 구조부 및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 KR101483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8450A JP5573477B2 (ja) 2010-08-09 2010-08-09 電線保護構造部及び電線保護構造部の製造方法
JPJP-P-2010-178450 2010-08-09
PCT/JP2011/062579 WO2012020596A1 (ja) 2010-08-09 2011-06-01 電線保護構造部及び電線保護構造部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263A KR20130060263A (ko) 2013-06-07
KR101483379B1 true KR101483379B1 (ko) 2015-01-14

Family

ID=4556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221A KR101483379B1 (ko) 2010-08-09 2011-06-01 전선 보호 구조부 및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98660A1 (ko)
JP (1) JP5573477B2 (ko)
KR (1) KR101483379B1 (ko)
CN (1) CN103053086A (ko)
DE (1) DE112011102677T5 (ko)
WO (1) WO20120205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631A (ko) 2015-04-06 2016-10-14 김대현 3중 보호튜브 케이블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2570A1 (ja) * 2012-03-05 2013-09-1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保護構造部の製造方法及び電線保護構造部
JP5891868B2 (ja) * 2012-03-15 2016-03-23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5842722B2 (ja) * 2012-04-20 2016-01-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14002982A (ja) * 2012-06-21 2014-01-0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5920181B2 (ja) * 2012-11-15 2016-05-18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5772798B2 (ja) * 2012-11-27 2015-09-02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6079292B2 (ja) * 2013-02-21 2017-02-15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
JP6106473B2 (ja) * 2013-03-08 2017-03-2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の保護構造及び電線保護用シート
JP5915584B2 (ja) * 2013-04-01 2016-05-11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分岐部の保護シー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5704195B2 (ja) * 2013-07-01 2015-04-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プロテクタおよびプロテクタ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
US10518511B2 (en) * 2013-07-26 2019-12-31 Federal-Mogul Powertrain Llc Wrappable protective sleeve with closure and locating feature and methods of construction and use thereof
GB2513759B (en) * 2014-07-25 2015-05-13 Thermaflue Systems Ltd Improved safety shield for a pipe joint
JP6599605B2 (ja) * 2014-08-19 2019-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JP6747483B2 (ja) * 2018-10-09 2020-08-26 住友電装株式会社 配線部材
JP7382870B2 (ja) 2020-03-19 2023-11-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分岐部保護構造、保護シート及び分岐部保護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2125A (ja) * 1988-10-20 1990-08-23 Yazaki Corp 導体接続部の製造方法
JPH033116U (ko) * 1989-05-26 1991-01-14
JPH04277473A (ja) * 1991-03-04 1992-10-02 Nitto Denko Corp 電線接続部の水密化処理方法
JP2003197038A (ja) 2001-12-27 2003-07-11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9140A (en) * 1939-06-28 1942-10-20 Union Carbide & Carbon Corp Wire harness
US3023692A (en) * 1959-04-13 1962-03-06 Ampex Cable harness strip
US3168617A (en) * 1962-08-27 1965-02-02 Tape Cable Electronics Inc Electric cabl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GB1324563A (en) * 1971-03-03 1973-07-25 British Insulated Callenders Multi-conductor electric cables
GB1458214A (en) * 1973-04-04 1976-12-08 Rists Wires & Cables Ltd Wiring harness disc player
US4065199A (en) * 1977-02-11 1977-12-27 Methode Electronics, Inc. Flat cable wiring harnes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H03280365A (ja) * 1990-03-28 1991-12-11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の防水シール構造
JPH0628922A (ja) * 1992-07-08 1994-02-04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75364B2 (ja) * 1993-07-28 1994-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形状固定方法
CA2145608C (en) * 1994-03-29 2000-06-20 Kazuya Akashi Wire har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9189740A (ja) * 1996-01-10 1997-07-22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ワイヤーハーネスの故障位置検出装置
JP2000021489A (ja) * 1998-07-02 2000-01-21 Sumitomo Wiring Syst Ltd 防塵用保護カバー
JP4098458B2 (ja) * 2000-05-10 2008-06-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98298B2 (en) * 2000-05-25 2002-12-2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Wire harness
JP3794556B2 (ja) * 2001-12-03 2006-07-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配線材を積層した積層配線材
JP4211982B2 (ja) * 2003-12-19 2009-01-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分岐部の製造方法
TW200922428A (en) * 2007-11-14 2009-05-16 Wintek Corp Bendable area design for flexible printed circuitboard
CA2688000A1 (en) * 2009-12-04 2011-06-04 A. Richard Dupuis Anti idl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ed engine shutdown
US20110079427A1 (en) * 2009-10-07 2011-04-07 Lakshmikant Suryakant Powale Insulated non-halogenated covered aluminum conductor and wire harness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2125A (ja) * 1988-10-20 1990-08-23 Yazaki Corp 導体接続部の製造方法
JPH033116U (ko) * 1989-05-26 1991-01-14
JPH04277473A (ja) * 1991-03-04 1992-10-02 Nitto Denko Corp 電線接続部の水密化処理方法
JP2003197038A (ja) 2001-12-27 2003-07-11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631A (ko) 2015-04-06 2016-10-14 김대현 3중 보호튜브 케이블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39782A (ja) 2012-02-23
JP5573477B2 (ja) 2014-08-20
DE112011102677T5 (de) 2013-05-29
WO2012020596A1 (ja) 2012-02-16
KR20130060263A (ko) 2013-06-07
US20130098660A1 (en) 2013-04-25
CN103053086A (zh)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379B1 (ko) 전선 보호 구조부 및 전선 보호 구조부의 제조 방법
US9306378B2 (en) Method for producing wire harness, and wire harness
US20160013625A1 (en) Wire harness
WO2014077011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US9511724B2 (en) Wire harness
CN104009424A (zh) 线束以及线束的制造方法
US9349509B2 (en) Wire har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wire harness
CN103890861A (zh) 线束以及线束的制造方法
KR20130018848A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구조
EP2741299B1 (en) Wire harness
WO2013132570A1 (ja) 電線保護構造部の製造方法及び電線保護構造部
US20140102747A1 (en) Wire harness
WO2015056561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保護部材
JP5541083B2 (ja) 電線保護構造部の製造方法及び電線保護構造部
JP5630343B2 (ja) ワイヤハーネス
WO2013046769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5754381B2 (ja) 保護部付電線及び保護部付電線の製造方法
WO2014129011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13058438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65425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190725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83597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その製造方法及び電線保護用不織材料
JP2014230321A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3183609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75101A (ja) ワイヤーハーネス、仮止部材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