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120B1 - 표시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120B1
KR101474120B1 KR1020130041602A KR20130041602A KR101474120B1 KR 101474120 B1 KR101474120 B1 KR 101474120B1 KR 1020130041602 A KR1020130041602 A KR 1020130041602A KR 20130041602 A KR20130041602 A KR 20130041602A KR 101474120 B1 KR101474120 B1 KR 101474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external storage
storage devic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022A (ko
Inventor
다이 시게노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3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electronic or magnetic storage medium I/O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장에 의한 가이던스를 이용하지 않고, 외부 기억 장치의 조작이나 접속 상태의 확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이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케이스와, 피접속부와, 접속 판정부와, 표시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피접속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 기억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접속 판정부는, 상기 피접속부에 상기 외부 기억 장치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접속 판정부에 의해 상기 외부 기억 장치가 접속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접속된 상기 외부 기억 장치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접속부 화상을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DISPLA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USB 메모리 등의 외부 기억 장치가 접속되는 피접속부가 설치된 표시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퍼스널 컴퓨터(이하 「컴퓨터」라 함)에 데이터를 옮기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 USB 메모리나 메모리 카드 등의 외부 기억 장치로부터 다이렉트로 데이터를 독출하여 인쇄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쇄 방법은 다이렉트 프린트라 불리고 있다. 다이렉트 프린트가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는, 외부 기억 장치가 접속 가능한 피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피접속부에 접속된 외부 기억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직접 독출할 수 있다. 또, 상기 다이렉트 프린트가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을 표시 가능한 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실행 전에, 외부 기억 장치로부터 독출된 화상 데이터나 문서 데이터의 프리뷰 화상을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다이렉트 프린트를 실행할 때에,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된 프리뷰 화상을 참조하면서, 인쇄 대상이 되는 화상을 선택하거나 화상을 트리밍(trimming) 하거나 인쇄되는 화상을 확인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상기 다이렉트 프린트가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는, SD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등록상표), 컴팩트 플래쉬(등록상표), 스마트 미디어(등록상표), USB 메모리 등의 여러 가지 규격의 외부 기억 장치를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외부 기억 장치와 피접속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안내 정보나, 외부 기억 장치의 접속 방법이나 접속 위치를 나타내는 안내 정보 등의 조작 가이던스를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조작 가이던스는, 복수의 조작 순서를 순서대로 표시시키는 것이므로, 조작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는, 순서대로 표시된 복수의 안내 정보에 따라서 복수의 조작을 해야 한다. 또, 상기 조작 가이던스에는, 조작 방법이 문장으로 나타난 안내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여러 나라에서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복수 언어의 조작 가이던스를 갖춰 둘 필요가 있다. 또,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되는 나라에 따른 언어의 상기 조작 가이던스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장에 의한 가이던스를 이용하지 않고, 외부 기억 장치의 조작이나 접속 상태의 확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케이스와, 피접속부와, 접속 판정부와, 표시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피접속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 기억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접속 판정부는, 상기 피접속부에 상기 외부 기억 장치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접속 판정부에 의해 상기 외부 기억 장치가 접속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접속된 상기 외부 기억 장치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접속부 화상을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표시 패널과, 케이스와, 피접속부와, 접속 판정부와, 표시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피접속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 기억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접속 판정부는, 상기 피접속부에 상기 외부 기억 장치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접속 판정부에 의해 상기 외부 기억 장치가 접속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접속된 상기 외부 기억 장치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접속부 화상을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장에 의한 가이던스를 이용하지 않고, 외부 기억 장치의 조작이나 접속 상태의 확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조작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a는,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b는,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a는,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b는,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a는,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있어서의 데이터 보존 조작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b는,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있어서의 데이터 보존 조작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의 (a)는, 조작 표시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서 실행되는 접속 상태 표시 처리 및 데이터 보존 처리 각각의 순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7의 (b)는, 조작 표시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서 실행되는 접속 상태 표시 처리 및 데이터 보존 처리 각각의 순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8a는,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있어서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b는, 조작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있어서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조작 표시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서 실행되는 이젝트 처리의 순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하,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표시 장치(30)(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일례)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10)(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몸체 내 배지형이라 칭해지는 것이며,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및 팩시밀리 등의 각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이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입력된 화상을 토너 등의 인쇄 재료를 이용하여, 인쇄 용지에 흑백 인쇄 또는 컬러 인쇄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합기에 한정되지 않고,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전용기라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상부에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스캐너(12)를 구비하고, 하부에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부(14)를 구비한다. 또한, 화상 형성부(14)는 전자 사진 방식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잉크젯 기록 방식인 것이어도 되고, 혹은 그 이외의 기록 방식 또는 인쇄 방식인 것이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캐너(12)는 원고 재치면(23)을 구비한다. 화상 형성 장치(10)가 복사기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원고 재치면(23)에 원고가 세트된 후에 조작 표시 장치(30)로부터 복사 개시 지시가 입력되면, 스캐너(12)에 의한 판독 동작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상기 원고의 화상 데이터가 판독된다. 또한, 도 1에서는, 스캐너(12)의 원고 커버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14)는, 스캐너(12)로 판독된 화상 데이터나 외부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 또는 문서 데이터에 의거해, A판 사이즈(예를 들면 A5사이즈, A4사이즈, A3사이즈)나 B판 사이즈(예를 들면 B5사이즈, B4사이즈) 등의 규정 사이즈의 인쇄 용지에 흑백 화상 또는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또, 화상 형성부(14)는, 조작 표시 장치(30)에 접속된 USB 메모리(50A)(도 4a 참조)나 SD 메모리 카드(50B)(도 5a 참조) 등의 외부 메모리(50)(본 발명의 외부 기억 장치의 일례)로부터 직접 독출된 화상 데이터 또는 문서 데이터에 의거해 인쇄 용지에 흑백 화상 또는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부(14)는, 소위 다이렉트 프린트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 형성부(14)의 하부에, 복수 장의 인쇄 용지를 수용 가능한 2개의 급지 트레이(16)가 설치되어 있다. 또, 화상 형성부(14)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전사 장치, 정착 장치, 배출부 등이 설치되어 있다. 급지 트레이(16)로부터 상기 전사 장치로 인쇄 용지가 급송되면, 상기 전사 장치는 급송된 인쇄 용지에 대해 토너상을 전사한다. 그 후, 상기 정착 장치가 상기 토너상을 인쇄 용지에 정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에 의해, 정착 후의 인쇄 용지가 화상 형성부(14)의 상측에 설치된 배지 스페이스(21)에 배출된다.
스캐너(12)의 앞쪽 우단부에, 조작 표시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표시 장치(30)는, 표시 패널(32)(도 2a 및 도 2b 참조)과, 조작부(34)(도 2a 및 도 2b 참조)와, 제어부(36)(도 3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패널(32) 및 조작부(34)는, 조작 표시 장치(30)의 케이스(31)(본 발명의 케이스의 일례)에 수용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패널(32)은, 조작 표시 장치(30)의 상측(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패널(32)은, 그 표시면(32A)이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시인 가능하도록 케이스(31)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표시 패널(32)은, 인쇄에 관한 정보(입력, 설정, 지시 등의 복수의 키 화상이나,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나 문서 데이터의 프리뷰 화상이나, 인쇄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등)를 액정에 의해서 표시시킨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32)은, 조작 표시 장치(30)에 접속된 외부 메모리(50)(도 3 참조)의 접속부인 커넥터의 화상(이하 「커넥터 화상」이라 함)도 표시한다. 표시 패널(32)은, 외부로부터의 접촉에 의한 입력을 검지 가능한 터치 패널이며, 사용자가 손가락을 표시 패널(32)의 표시면(32A)에 터치하여 접촉시킴으로써, 표시된 키 화상이나 상기 커넥터 화상 등에 대한 입력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34)는, 조작 표시 장치(30)의 하측(앞쪽)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34)의 상면(34A)에는, 0~9의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37), 인쇄 동작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시동시키기 위한 시작 버튼(38), 인쇄 동작 등을 중지시키기 위한 스톱 버튼(39) 등의 입력 키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표시 장치(30)는 제어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6)는, CPU나 ROM, RAM, ASIC 등을 갖고, ROM에 격납된 소프트웨어가 실행됨으로써, 혹은 ASIC 내의 집적회로에 따른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표시 패널(32)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킨다. 즉, 제어부(36)는, 조작부(34)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따른 동작을 하도록 조작 표시 장치(30)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36)의 CPU가 상기 ROM에 격납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도 7 및 도 9의 플로차트에 나타난 순서에 따른 처리가 실행된다. 이러한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36)에 의해, 본 발명의 접속 판정부, 표시 처리부, 제1 입력 판정부, 기억 처리부, 제2 입력 판정부, 소거 처리부가 실현된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표시 장치(30)의 한쪽의 측면(41)(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의 지면의 우측의 측면)에, 외부 메모리(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피접속부(43(43A~43D))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피접속부(43(43A~43D)) 각각은, 상이한 규격의 외부 메모리(50)가 접속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D 메모리 카드(50B)가 삽입되는 슬롯(43A), 컴팩트 플래쉬(등록상표)가 삽입되는 슬롯(43B), 메모리 스틱(등록상표)이 삽입되는 슬롯(43C) 및 USB 메모리(50A)가 접속되는 USB 접속부(43D)가 측면(41)에 설치되어 있다. 각 피접속부(43)에 삽입되는 외부 메모리(50)는, 각각 규격이 상이하다. 따라서, 같은 피접속부(43)에는, 이에 대응하는 외부 메모리(50)만이 접속 가능하다. 피접속부(43)에 외부 메모리(50)가 접속되면, 피접속부(43)와 외부 메모리(50)의 접촉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에 의해 제어부(36)는 외부 메모리(50)를 인식한다. 여기서, SD 메모리 카드(50B), 컴팩트 플래쉬(등록상표) 및 메모리 스틱(등록상표)은, 모두 본 발명의 카드 타입의 메모리 카드의 일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USB 접속부(43D)에 USB 메모리(50A)가 접속되면, 접속된 USB 메모리(50A)의 접속부인 USB 커넥터(55)를 나타내는 커넥터 화상(61)(접속부 화상)이 제어부(36)에 의해 표시 패널(32)의 표시면(32A)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a)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USB 접속부(43D)에 USB 메모리(50A)가 접속되면, 제어부(36)는, USB 접속부(43D)와 USB 커넥터(55)의 전기적인 접속의 유무에 의거하여, USB 접속부(43D)에 USB 메모리(50)가 접속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판정한다(S11). 여기서, 제어부(36)는, 상기 전기적인 접속을 확인하여, USB 접속부(43D)에 USB 메모리(50)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제어부(36)는, USB 메모리(50)의 USB 커넥터(55)를 나타내는 커넥터 화상(61)을 제어부(36)의 ROM으로부터 독출한다(S12). 그 후, 제어부(36)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면(32A)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표시 위치(65)에 커넥터 화상(61)을 표시시킨다(S13). 표시 위치(65)는, 표시 패널(32)의 표시면(32A)에 있어서, USB 메모리(50A)가 접속된 USB 접속부(43D)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USB 메모리(50A)의 접속 방향의 연장선과 표시면(32A)의 우단부가 교차하는 위치에 정해져 있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롯(43A)에 SD 메모리 카드(50B)가 삽입된 경우에는, USB 메모리(50A)가 USB 접속부(43D)에 접속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삽입된 SD 메모리 카드(50B)의 접속 단자를 갖는 접속부(56)를 나타내는 커넥터 화상(62)(접속부 화상)이 제어부(36)에 의해 표시 패널(32)의 표시면(32A)에 표시된다. 이 때, 커넥터 화상(62)이 표시되는 표시 위치(66)는, 표시 패널(32)의 표시면(32A)에 있어서, SD 메모리 카드(50B)가 삽입된 슬롯(43A)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이 커넥터 화상(62)의 표시 위치(66)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SD 메모리 카드(50B)의 삽입 방향의 연장선과 표시면(32A)의 우단부가 교차하는 위치에 정해져 있다. 또한, 슬롯(43B)이나 슬롯(43C)에 외부 메모리(50)가 접속된 경우에도, USB 메모리(50A)가 USB 접속부(43D)에 접속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롯(43B)이나 슬롯(43C)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부 메모리(50)의 커넥터 화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31)의 측면(41)에 설치된 복수의 피접속부(43(43A~43D)) 각각에 대해 외부 메모리(50)가 접속된 경우에는, 각 피접속부(43(43A~43D))에 대응하는 위치에 커넥터 화상(61)이나 커넥터 화상(62) 등의 접속부의 화상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기 자신이 접속한 외부 메모리(50)의 위치와, 그 외부 메모리(50)가 실제로 정확하게 접속된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면(32A)에 표시된 USB 메모리(50A)의 커넥터 화상(61)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제어부(36)에 의해 USB 메모리(50A)에 기억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아이콘(69)이 표시된다. 그리고 아이콘(69)을 표시면(32A) 상에서 이동시키도록, 사용자가 커넥터 화상(61)을 손가락으로 터치한 채로 USB 메모리(50A)의 접속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어부(36)에 의해 USB 메모리(50A)에 기억된 데이터가 독출된다. 그 후, 독출된 데이터는, 제어부(36)에 내장된 RAM 등의 내부 기억 장치(36A)에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b)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면(32A)에 표시되어 있는 커넥터 화상(61)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제어부(36)는, 커넥터 화상(61)에 대해 외부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본 발명의 제1 입력에 상당)이 있었다고 판정한다(S21). 상기 터치 입력이 있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어부(36)는, USB 메모리(50A)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관련 정보(예를 들면 데이터의 헤더 정보)를 독출하여, USB 메모리(50A) 내의 데이터에 따른 아이콘(69)을 제어부(36)의 ROM으로부터 독출하여 표시 위치(65)에 표시한다(S22). 이 때, 아이콘(69)은 커넥터 화상(61)의 배면측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제어부(36)는, 데이터의 보존 지시가 입력되었는지를 판정한다(S23).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커넥터 화상(61)을 손가락으로 터치한 채로 USB 메모리(50A)의 접속 방향과 같은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 함)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어부(36)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속적인 외부 입력이 있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입력을, USB 메모리(50A)로부터 상기 내부 기억 장치(36A)로의 데이터의 보존 지시라고 인식한다. 이 보존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판정되면, 제어부(36)는, 커넥터 화상(61)의 배면측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69)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6)는, USB 메모리(50A)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어부(36)의 RAM 등의 내부 기억 장치(36A)에 보존한다(S24). 또한, 제어부(36)는, 슬롯(43A~43C)에 장착된 외부 메모리(50)에 대해서도, USB 메모리(50A)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여 보존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부 메모리(5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내부 기억 장치(36A)에 보존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커넥터 화상(61)을 터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USB 메모리(50A)의 데이터를 상기 내부 기억 장치(36A)에 기억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복수의 조작을 순서대로 행하는 번거로운 조작을 하지 않고, 원터치로 간단하게 USB 메모리(50A)의 데이터를 상기 내부 기억 장치(36A)에 기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화상(61)이 터치 입력된 것만으로, 제어부(36)가 USB 메모리(50A)의 데이터를 상기 내부 기억 장치(36A)에 기억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화상 형성부(14) 내의 상기 화상 데이터 보관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했을 때에, 제어부(36)가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면(32A)에 표시시키는 구성에 있어서는, 제어부(36)는, 그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서 커넥터 화상(61)의 위치까지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화상 데이터 보관부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USB 메모리(50A)에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억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복수의 조작을 순서대로 행한다고 하는 번거로운 조작을 하지 않고, 상기 화상 데이터 보관부의 화상 데이터를 USB 메모리(50A)에 간단하게 기억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형성부(14)에 설치된 HDD 등의 화상 데이터 보관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USB 메모리(50A)에 용이하게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화상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스캐너(12)에 의해 판독된 원고의 화상 데이터나, 과거에 외부 메모리(50)로부터 독출되어 보존된 화상 데이터, 혹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 보관부에 보존된 화상 데이터 등이 해당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조작부(34)를 조작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 보관부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면, 그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면(32A)에 표시된다. 그리고 그 아이콘을 표시면(32A) 상에서 이동시키도록,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을 터치한 채로 그 손가락을 커넥터 화상(61)의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아이콘이 커넥터 화상(61)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제어부(36)는, 이러한 외부 입력을 상기 화상 데이터 보관부로부터 USB 메모리(50A)로의 데이터의 보존 지시라고 인식한다. 이러한 외부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 제어부(36)는, USB 메모리(50A)로부터 상기 내부 기억 장치(36A)로의 데이터의 보존 순서와는 반대 순서로, 상기 화상 데이터 보관부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USB 메모리(50A)에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면(32A)에 표시된 USB 메모리(50A)의 커넥터 화상(61)의 부근에서 한 방향으로 연속적인 외부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 제어부(36)는, USB 메모리(50A)가 제외 가능한 상태로 한 후에, 표시면(32A)으로부터 커넥터 화상(61)을 소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6)는 USB 메모리(50A)의 떼어냄 지시가 입력되었는지를 판정한다(S31). 상세하게는, 표시면(32A)의 커넥터 화상(61)보다도 좌측의 영역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한 채로 그 손가락을 커넥터 화상(61)측(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어부(36)는, USB 메모리(50A)의 접속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이하 「제2 방향」이라 함)으로의 연속적인 외부 입력(본 발명의 제2 입력에 상당)이 있었다고 판정한다. 제어부(36)는, 이 외부 입력을 USB 메모리(50A)의 떼어냄 지시라고 인식한다. 상기 떼어냄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판정되면, 제어부(36)는, USB 메모리(50A)에 대한 처리를 정지하여, USB 메모리(50A)를 떼어냄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이젝트 처리를 실행한다(S32). 그 후, 이젝트 처리가 종료되면(S33), 제어부(36)는, 표시면(32A)에 표시되어 있던 커넥터 화상(61)을 소거한다(S34).
이에 의해, 사용자는, 손가락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USB 메모리(50A)를 떼어냄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커넥터 화상(61)이 지워짐으로써, 사용자는 시각을 통해 감각적으로 USB 메모리(50A)가 떼어냄 가능한 상태가 된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 표시 장치(30)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작 표시 장치(30)의 케이스(31)의 측면(41)에 설치된 USB 접속부(43D)에 USB 메모리(50A)가 접속되면, USB 메모리(50A)의 USB 커넥터(55)를 나타내는 커넥터 화상(61)이 표시면(32A)의 표시 위치(65)에 표시된다. 물론, USB 메모리(50A)가 제대로 USB 접속부(43D)에 접속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커넥터 화상(61)은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USB 메모리(50A)의 접속 조작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라도, 사용자는, 표시면(32A)에 표시되는 커넥터 화상(61)의 유무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USB 메모리(50A)가 실제로 정확하게 USB 접속부(43D)에 접속된 것이나, USB 메모리(50A)가 USB 접속부(43D)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번거로운 수순을 따라서 작업을 행하지 않고, 표시면(32A)에 표시된 커넥터 화상(61)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USB 메모리(50A)가 실제로 접속된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커넥터 화상(61)만으로 사용자에게 USB 메모리(50A)의 접속 상태를 통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다언어의 문장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던스를 갖출 필요가 없어진다. 또, 화상 형성 장치(10)가 사용되는 나라별로 가이던스의 언어를 설정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화상(61)에 대해 터치 입력이 부여된 경우에 아이콘(69)을 표시시키는 것으로 했는데, 예를 들면, USB 메모리(50A)에 복수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넥터 화상(61)에 대해 터치 입력이 부여된 경우에, USB 메모리(50A)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디렉토리 정보를 아이콘(69)을 대신해 표시시키고, 그 디렉토리 정보 중의 하나의 데이터에 대해 터치 입력이 부여된 경우에 그 데이터에 따른 아이콘(69)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데이터만을 USB 메모리(50A)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내부 기억 장치(36A)에 기억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여 행할 수 있다.

Claims (8)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고, 복수 종류의 외부 기억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상기 외부 기억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피접속부와,
    상기 피접속부에 상기 외부 기억 장치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접속 판정부와,
    복수 종류의 상기 외부 기억 장치 각각의 접속부인 복수의 커넥터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커넥터 화상의 표시 위치에 외부 접촉에 의한 소정의 제1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입력 판정부와,
    상기 제1 입력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제1 입력이 있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커넥터 화상의 배면 측에, 상기 외부 기억 장치에 기억된 데이터에 따른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판정부에 의해 상기 외부 기억 장치가 접속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접속된 상기 외부 기억 장치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커넥터 화상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외부 기억 장치의 상기 접속부가 접속되는 상기 접속부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 상의 위치에, 독출된 상기 커넥터 화상을, 상기 접속된 상기 외부 기억 장치가 떼어냄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표시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외부 접촉에 의한 입력을 검지 가능한 터치 패널인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억 장치는, USB 커넥터를 갖는 USB 메모리 또는 카드 타입의 메모리 카드인, 표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부 화상의 표시 위치 부근에서 한 방향으로 연속적인 외부 접촉에 의한 제2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입력 판정부와,
    상기 제2 입력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제2 입력이 있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외부 기억 장치를 떼어냄 가능한 상태로 한 후에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상기 접속부 화상을 소거하는 소거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억 장치는, USB 커넥터를 갖는 USB 메모리 또는 카드 타입의 메모리 카드인, 표시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기재된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0041602A 2012-04-26 2013-04-16 표시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1474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00792 2012-04-26
JP2012100792A JP5649611B2 (ja) 2012-04-26 2012-04-26 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022A KR20130121022A (ko) 2013-11-05
KR101474120B1 true KR101474120B1 (ko) 2014-12-17

Family

ID=4812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602A KR101474120B1 (ko) 2012-04-26 2013-04-16 표시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26690B2 (ko)
EP (1) EP2658237B1 (ko)
JP (1) JP5649611B2 (ko)
KR (1) KR101474120B1 (ko)
CN (1) CN1033792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3679B (zh) * 2012-11-30 2016-08-31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周边装置移除界面的设定方法及电子装置
JP6100062B2 (ja) * 2013-04-01 201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5373499B (zh) * 2014-08-29 2018-12-21 昆山纬绩资通有限公司 移除外接设备的方法及计算机系统与非瞬态可读介质
JP6857047B2 (ja) * 2017-02-20 2021-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14365B2 (ja) 2019-02-26 2023-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複合機
JP7132872B2 (ja) * 2019-02-26 2022-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複合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2394A1 (en) * 2002-05-27 2004-02-19 Yuji Ayatsuka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3811B1 (en) * 1998-03-13 2002-10-29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onnection status of a device based on connection information
JP2002222391A (ja) * 2001-01-29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メモリカード管理装置及びメモリカード管理方法
JP2005004445A (ja) * 2003-06-11 2005-01-0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6993618B2 (en) * 2004-01-15 2006-01-31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Dual-mode flash storage exchanger that transfers flash-card data to a removable USB flash key-drive with or without a PC host
JP2006180324A (ja) 2004-12-24 2006-07-06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複合機及びプリンタ装置
JP2008171099A (ja) * 2007-01-10 2008-07-24 Yokogawa Electric Corp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表示装置
KR20080074325A (ko) * 2007-02-08 200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뷰어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425940B2 (ja) * 2007-03-09 2010-03-0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データ処理装置
JP4518095B2 (ja) * 2007-03-30 2010-08-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257442A (ja) * 2007-04-04 2008-10-23 Sharp Corp 電子掲示装置
US20090024769A1 (en) 2007-05-08 2009-01-22 Atsuhito Nakatani Operating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operating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external equipment connecting device
JP2009021948A (ja) * 2007-07-13 2009-01-2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9134512A (ja) 2007-11-30 2009-06-18 Brother Ind Ltd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407748B2 (ja) * 2007-12-21 2010-02-0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66739B2 (ja) * 2008-01-15 2010-05-2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24316B2 (ja) * 2008-01-30 2010-08-18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8028244B2 (en) * 2008-02-21 2011-09-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tatus processing system, status processor, and status displaying method
JP4637203B2 (ja) * 2008-04-22 2011-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複合機、複合機の外部認証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1763328B (zh) * 2008-12-25 2014-01-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据传输系统及其方法
US8214550B2 (en) * 2009-03-22 2012-07-03 Silicon Motion Inc. Method for controlling icon display corresponding to a USB mass storage, associated personal computer, and storage medium storing an associated USB mass storage driver
JP5177071B2 (ja) * 2009-04-30 2013-04-03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送受信システム
KR20110072879A (ko) * 2009-12-23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호스트장치의 제어방법
JP2011248733A (ja) * 2010-05-28 2011-12-08 Nikon Corp 電子機器
JP5325862B2 (ja) * 2010-09-28 2013-10-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データ記憶プログラム
JP2012099454A (ja) * 2010-10-08 2012-05-24 Sony Corp 可搬型情報処理装置
JP5606293B2 (ja) * 2010-11-22 2014-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41048B2 (ja) * 2011-02-21 2015-07-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認証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2394A1 (en) * 2002-05-27 2004-02-19 Yuji Ayatsuka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49611B2 (ja) 2015-01-07
EP2658237B1 (en) 2018-05-23
EP2658237A2 (en) 2013-10-30
US20130290576A1 (en) 2013-10-31
US9026690B2 (en) 2015-05-05
CN103379245A (zh) 2013-10-30
JP2013228911A (ja) 2013-11-07
CN103379245B (zh) 2015-12-09
KR20130121022A (ko) 2013-11-05
EP2658237A3 (en)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120B1 (ko) 표시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CN101354548B (zh) 图像形成设备
EP2551761A2 (en) Operation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and medium for recording the program
JP2017201799A (ja) 画像形成装置
EP2728847B1 (en) Operation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tion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849177B2 (en) Image form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188486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616551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8766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219711A (ja) 記録媒体接続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580135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2252372A (ja) 情報処理装置
JP5076486B2 (ja) 画像印刷装置および画像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6210099B2 (ja) 画面遷移制御方法、画面遷移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92461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shortcut function
US1176528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llowing display device to display combinations of setting values satisfying predetermined condition
US20240131855A1 (en)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guiding and displaying initial install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2013146874A (ja) 画像形成装置
JP5380521B2 (ja) 操作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5014625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at Ensures Effective Search
JP657285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5252706A (ja) 画像形成装置
JP5980985B2 (ja) 操作装置、画像形成装置、操作方法
JP5876451B2 (ja) 画像形成装置、記録媒体決定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618387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