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722B1 -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722B1
KR101471722B1 KR1020120148123A KR20120148123A KR101471722B1 KR 101471722 B1 KR101471722 B1 KR 101471722B1 KR 1020120148123 A KR1020120148123 A KR 1020120148123A KR 20120148123 A KR20120148123 A KR 20120148123A KR 101471722 B1 KR101471722 B1 KR 101471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line pressure
oil pump
contro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542A (ko
Inventor
히로키 가와카미
신야 모치야마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driveline clutches
    • B60K6/387Actuated clutches, i.e. clutches engaged or disengaged by electric, hydraulic or mechanical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16H61/0025Supply of control fluid; Pumps therefore
    • F16H61/0031Supply of control fluid; Pumps therefore using auxiliary pumps, e.g. pump driven by a different power source than the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60K2006/4825Electric machine connected or connectable to gearbox input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710/1077Change speed gearings fluid pressure, e.g. oil pressure
    • B60W2710/1083Change speed gearings fluid pressure, e.g. oil pressure pressure of control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a comparison between speeds
    • F16H2059/465Detecting slip, e.g. clutch slip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87Adaptive control, e.g. the control parameters adapted by lear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46Characterized by control of driveline clutch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연비 성능의 향상과 저더 방지의 양립을 달성하는 라인압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는, 병렬로 설치된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 및 전동 오일 펌프(S-O/P)를 유압원으로 하고, 라인압 솔레노이드(23)에 대해 지시압을 얻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는 AT 컨트롤러(7)를 구비한다. AT 컨트롤러(7)는, 전동 오일 펌프(S-O/P)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S-O/P가 유압원인 제1 영역 (a)의 동안에는,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한 초기 지시압으로부터, 초기 지시압보다 낮고, 또한 필요압을 확보할 수 있는 필요 지시압을 향해 지시압을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고, S-O/P와 M-O/P의 양자가 유압원인 제2 영역 (b)의 동안에는, 제1 영역 (a) 종료 시점의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한다(도 11).

Description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LINE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2개의 오일 펌프로부터의 토출압에 기초하여, 유압 체결 마찰 요소에의 제어 유압의 원압인 라인압을 만들어내는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 제1 클러치, 모터 제너레이터, 제2 클러치(자동 변속기), 구동륜의 순으로 직렬로 접속하여 하이브리드 구동계를 구성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제1 클러치 및 제2 클러치는, 모두 작동유에 의해 체결ㆍ해방이 제어되는 유압식 클러치이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엔진을 정지하고 모터 제너레이터만을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하는 EV 모드에서는, 제1 클러치를 해방하고, 엔진과 모터 제너레이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하는 HEV 모드에서는, 제1 클러치를 체결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HEV 주행시나 EV 주행시 등에 있어서는, 변속기 입력축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오일 펌프(이하,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부터의 토출압을 사용하여 라인압이 제어된다. 또한, 정차시나 발진 개시 영역 등에 있어서는, 제1 클러치(노멀 클로즈 타입) 및 제2 클러치 등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해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의 토출압을 사용하여 라인압이 제어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15679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는, 유압원인 메커니컬 오일 펌프와 전동 오일 펌프는 각각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전동 오일 펌프는 전동 모터의 출력축 토크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토크 제어 방식이므로, 전동 오일 펌프만이 작동 중에 라인압 지령에 의한 지시 유압을 높게 하였다고 해도, 전동 모터의 회전수는 상승하지 않으므로, 필요압 이상의 압력은 토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동 오일 펌프만이 작동하는 운전 영역 [이하, 제1 영역 (a)]에서는, 유압원이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변속기의 입력 회전의 상승에 따라서 토출압이 상승하는 메커니컬 펌프로의 이행 과도기[이하, 제2 영역 (b)], 메커니컬 펌프만이 작동하는 영역[이하, 제3 영역 (c)]으로의 준비를 위해, 라인압 지령값을 토출압에 대해 높게 지령함으로써, 유압 응답성을 확보한다.
예를 들어, HEV 발진시 등에 있어서, 유압원은, 전동 오일 펌프(a)→전동 오일 펌프+메커니컬 오일 펌프(b)→메커니컬 오일 펌프(c)로 천이한다. 전동 오일 펌프와 메커니컬 오일 펌프가 함께 작동하는 제2 영역 (b)로 천이해도, 전동 오일 펌프가 작동하는 제1 영역 (a)일 때의 라인압 지령을 그대로 유지하면, 메커니컬 오일 펌프의 유압의 상승 방법에 따라서는, 제2 영역 (b)에서 필요압 이상으로 높은 실 라인압으로 되어, 연비 성능이 저하된다. 한편, 연비 중시의 관점에서 제2 영역 (b)일 때에 필요압까지 적극적으로 라인압 지령을 저하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라인압 저하 제어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 제2 클러치를 소정의 차회전으로 되도록 클러치압을 피드백 제어하는 슬립 제어가 실행되면, 라인압 지령의 저하와 슬립 제어 중의 클러치압의 피드백 제어가 간섭하여, 실 클러치압의 변화를 유기하고, 그 결과, 제2 클러치압이 변동됨으로써 저더감을 일으켜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저더(judder)」라 함은, 마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나 브레이크(마찰을 이용하는 것)에 있어서, 결합이나 해방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음으로써 이음(異音)이나 진동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연비 성능의 향상과 저더 방지의 양립을 달성하는 라인압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는, 메커니컬 오일 펌프와, 전동 오일 펌프와, 라인압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는, 주행 구동원에 의한 구동에 의해 펌프 작동한다.
상기 전동 오일 펌프는,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와 유압 회로 상에 병렬로 설치되고, 전동 모터에 의한 구동에 의해 펌프 작동한다.
상기 라인압 컨트롤러는,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와 상기 전동 오일 펌프를 유압원으로 하고, 구동계에 배치된 유압 체결 마찰 요소에의 제어 유압의 원압인 라인압을 만들어내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한다.
상기 라인압 컨트롤러는, 상기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목표압을 얻는 라인압 지령을 하기와 같이 출력한다.
상기 전동 오일 펌프가 유압원인 제1 영역의 동안에는,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한 초기 지시압으로부터, 초기 지시압보다 낮고, 또한 필요압을 확보할 수 있는 필요 지시압을 향해 지시압을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한다.
상기 전동 오일 펌프와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의 양자가 유압원인 제2 영역의 동안에는, 상기 제1 영역 종료 시점의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한다.
따라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전동 오일 펌프가 유압원인 제1 영역의 동안에는,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한 초기 지시압으로부터, 초기 지시압보다 낮고, 또한 필요압을 확보할 수 있는 필요 지시압(예를 들어, 학습 제어에 의해 얻어진 학습값)을 향해 지시압을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이 출력된다. 지시압의 저하는, 예를 들어 완만한 저하 구배 특성이나 단계적인 저하 특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제1 영역에 있어서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한 초기 지시압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 연비 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전동 오일 펌프와 메커니컬 오일 펌프의 양자가 유압원인 제2 영역의 동안에는, 제1 영역 종료 시점(=제2 영역으로의 이행 시점)의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이 출력된다. 이로 인해, 제2 영역에 있어서, 예를 들어 유압 체결 마찰 요소(클러치)를 소정의 차회전으로 되도록 클러치압을 피드백 제어하는 슬립 제어가 실행된 경우에 발생하는 저더가 방지된다. 저더는, 라인압 제어에 클러치 슬립 제어가 개입되면, 라인압 지령의 저하와 슬립 제어 중의 클러치압의 피드백 제어가 간섭하여, 실 클러치압의 변화를 유기하고, 그 결과, 클러치압이 변동됨으로써 발생한다.
이 결과,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연비 성능의 향상과 클러치 슬립 제어의 간섭에 의한 저더 발생의 방지의 양립을 달성하는 라인압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가 적용된 후륜 구동에 의한 FR 하이브리드 차량을 도시하는 전체 시스템도.
도 2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AT 컨트롤러에서의 변속 제어에서 사용되는 변속선의 일례를 나타내는 변속선도.
도 3은 하이브리드의 통합 컨트롤러에서의 주행 모드 천이 제어에서 사용되는 주행 모드 선택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주행 모드 선택맵도.
도 4는 하이브리드의 통합 컨트롤러에서의 주행 모드 천이 제어에서의 대표적인 EV 모드와 HEV 모드와 WSC 모드 사이의 모드 천이를 도시하는 모드 천이 설명도.
도 5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AT 컨트롤러에서의 라인압 제어에서 사용되는 라인압 제어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제1 실시예의 AT 컨트롤러에서 실행되는 라인압 제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제1 실시예의 AT 컨트롤러에서 실행되는 제1 학습값 연산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제1 실시예의 AT 컨트롤러에서 실행되는 제2 학습값 연산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제1 비교예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에 행해지는 라인압 제어에서의 라인압 지령ㆍ라인압 실압ㆍsubOP압ㆍ실 라인압 목표ㆍ메커니컬 OP압의 각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0은 제2 비교예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에 행해지는 라인압 제어에서의 라인압 지령ㆍ라인압 실압ㆍsubOP압ㆍ실 라인압 목표ㆍ메커니컬 OP압의 각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1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 중에 CL2 슬립 제어가 개입되었을 때에 행해지는 라인압 제어에서의 라인압 지령ㆍ라인압 실압ㆍsubOP압ㆍ실 라인압 목표ㆍ메커니컬 OP압의 각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2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이며 CL2 슬립 제어가 비개입일 때에 행해지는 라인압 제어에서의 라인압 지령ㆍ라인압 실압ㆍsubOP압ㆍ실 라인압 목표ㆍ메커니컬 OP압의 각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3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에 행해지는 라인압 제어에서의 제1 학습값 연산 처리 순서(초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각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4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에 행해지는 라인압 제어에서의 제1 학습값 연산 처리 순서(포인트 A 검출)를 설명하기 위한 각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5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에 행해지는 라인압 제어에서의 제1 학습값 연산 처리 순서(포인트 B 및 차분 ΔP1의 검출)를 설명하기 위한 각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6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에 행해지는 라인압 제어에서의 제1 학습값 연산 처리 순서(제1 학습값 Lv1의 기억)를 설명하기 위한 각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7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에 행해지는 라인압 제어에서의 제2 학습값 연산 처리 순서(포인트 C로부터의 제1 학습값 Lv1의 저하)를 설명하기 위한 각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8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에 행해지는 라인압 제어에서의 제2 학습값 연산 처리 순서(포인트 D 검출)를 설명하기 위한 각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9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에 행해지는 라인압 제어에서의 제2 학습값 연산 처리 순서(포인트 D로의 제2 학습값 Lv2의 기억)를 설명하기 위한 각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20은 제1 실시예의 학습값 연산 처리 후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이며 CL2 슬립 제어가 비개입일 때에 행해지는 라인압 제어에서의 라인압 지령ㆍ라인압 실압ㆍsubOP압ㆍ실 라인압 목표ㆍ메커니컬 OP압의 각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를 실현하는 최량의 형태를, 도면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우선, 구성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의 구성을, 「전체 시스템 구성」, 「라인압 제어 기구」, 「라인압 제어 처리 구성」, 「라인압 제어에 있어서의 제1 학습값 연산 처리 구성」, 「라인압 제어에 있어서의 제2 학습값 연산 처리 구성」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전체 시스템 구성]
도 1은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가 적용된 후륜 구동에 의한 FR 하이브리드 차량을 도시한다. 도 2는 변속선도, 도 3은 주행 모드 선택맵, 도 4는 주행 모드 천이 패턴을 도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에 기초하여, 전체 시스템 구성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FR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계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Eng)(주행용 구동원)과, 플라이 휠(FW)과, 제1 클러치(CL1)와, 모터/제너레이터(MG)(주행용 구동원)와, 제2 클러치(CL2)(유압 체결 마찰 요소, 클러치)와, 자동 변속기(AT)와, 프로펠러 샤프트(PS)와, 디퍼렌셜(DF)과, 좌측 드라이브 샤프트(DSL)와, 우측 드라이브 샤프트(DSR)와, 좌측 후륜(RL)과, 우측 후륜(RR)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M-O/P는 메커니컬 오일 펌프, S-O/P는 전동 오일 펌프, FL은 좌측 전륜, FR는 우측 전륜이다.
상기 자동 변속기(AT)는, 유단계의 변속단을 차속이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등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유단 변속기로, 예를 들어 전진 7속/후퇴 1속의 변속단을 갖는 유단 변속기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2 클러치(CL2)로서는, 자동 변속기(AT)와는 독립된 전용 클러치로서 새롭게 추가한 것이 아니라, 자동 변속기(AT)의 각 변속단에서 체결되는 복수의 클러치 요소 중, 체결 조건 등의 소정 조건에 적합한 클러치 요소(다판 클러치나 다판 브레이크)를 변속단마다 선택하고 있다.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는, 자동 변속기(AT)의 변속기 입력축(IN)에 장착되어 있고, 엔진(Eng)과 모터/제너레이터(MG)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펌프이다.
상기 전동 오일 펌프(S-O/P)는, 정차시나 발진시 등이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로부터의 토출압이 부족할 때,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라인압을 확보하기 위해, 전동 모터(S-M)(도 5 참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펌프이다.
상기 FR 하이브리드 차량은, 1 모터ㆍ2 클러치의 구동계를 갖고, 구동 형태의 차이에 의한 주행 모드로서, 전기 자동차 모드(이하, 「EV 모드」라 함)와, 하이브리드 차량 모드(이하, 「HEV 모드」라 함)와, 구동 토크 컨트롤 모드(이하, 「WSC 모드」라 함)를 갖는다.
상기 「EV 모드」는, 제1 클러치(CL1)를 해방 상태로 하고, 모터/제너레이터(MG)의 구동력만으로 주행하는 모드로, 모터 주행 모드ㆍ회생 주행 모드를 갖는다. 이 「EV 모드」는 기본적으로, 요구 구동력이 낮고, 배터리 SOC[State of Charge(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전지 용량)]가 확보되어 있을 때에 선택된다.
상기 「HEV 모드」는, 제1 클러치(CL1)를 체결 상태로 하여 주행하는 모드로, 모터 어시스트 주행 모드ㆍ발전 주행 모드ㆍ엔진 주행 모드를 갖고, 어느 하나의 모드에 의해 주행한다. 이 「HEV 모드」는 기본적으로, 요구 구동력이 높을 때, 혹은 배터리 SOC가 부족할 때에 선택된다.
상기 「WSC 모드」는, 모터/제너레이터(MG)의 회전수 제어에 의해, 제2 클러치(CL2)를 슬립 체결 상태로 유지하고, 제2 클러치(CL2)를 통과하는 클러치 전달 토크가, 차량 상태나 운전자의 액셀러레이터 조작에 따라서 정해지는 요구 구동 토크로 되도록 클러치 토크 용량을 컨트롤하면서 주행하는 모드이다. 이 「WSC 모드」는, 「HEV 모드」의 선택 상태에서의 정차시ㆍ발진시ㆍ감속시 등과 같이, 엔진 회전수가 아이들 회전수를 하회하는 주행 영역에 있어서 선택된다.
다음에, FR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계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FR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계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컨트롤러(1)와, 모터 컨트롤러(2)와, 인버터(3)와, 배터리(4)와, 제1 클러치 컨트롤러(5)와, 제1 클러치 유압 유닛(6)과, AT 컨트롤러(7)(라인압 제어 수단)와, 제2 클러치 유압 유닛(8)과, 브레이크 컨트롤러(9)와, 통합 컨트롤러(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컨트롤러(1, 2, 5, 7, 9)와, 통합 컨트롤러(10)는, 정보 교환이 서로 가능한 CAN 통신선(11)(통신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엔진 컨트롤러(1)는, 엔진 회전수 센서(12)로부터의 엔진 회전수 정보와, 통합 컨트롤러(10)로부터의 목표 엔진 토크 지령과, 다른 필요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엔진 동작점(Ne, Te)을 제어하는 지령을, 엔진(Eng)의 스로틀 밸브 액추에이터 등에 출력한다.
상기 모터 컨트롤러(2)는, 모터/제너레이터(MG)의 로터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리졸버(13)로부터의 정보와, 통합 컨트롤러(10)로부터의 목표 MG 토크 지령 및 목표 MG 회전수 지령과, 다른 필요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모터/제너레이터(MG)의 모터 동작점(Nm, Tm)을 제어하는 지령을 인버터(3)에 출력한다. 또한, 이 모터 컨트롤러(2)에서는, 배터리(4)의 충전 용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SOC를 감시하고 있어, 이 배터리 SOC 정보를, CAN 통신선(11)을 통해 통합 컨트롤러(10)에 공급한다.
상기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는, 유압 액추에이터(14)의 피스톤(14a)의 스트로크 위치를 검출하는 제1 클러치 스트로크 센서(15)로부터의 센서 정보와, 통합 컨트롤러(10)로부터의 목표 CL1 토크 지령과, 다른 필요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제1 클러치(CL1)의 체결ㆍ반체결ㆍ해방을 제어하는 지령을 제1 클러치 유압 유닛(6)에 출력한다.
상기 AT 컨트롤러(7)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16)와, 차속 센서(17)와, 라인압 센서(18) 등으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되어, 변속 제어ㆍ라인압 제어ㆍ펌프 천이 제어ㆍCL2 슬립 제어 등을 행한다.
「변속 제어」는, D 레인지를 선택한 주행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와 차속 VSP에 의해 정해지는 운전점이, 도 2에 도시하는 시프트 맵상에서 존재하는 위치에 의해 최적의 변속단을 검색하고, 검색된 변속단을 얻는 제어 지령을 AT 컨트롤러(7)로부터 유압 컨트롤 밸브 유닛(CVU)의 시프트 솔레노이드에 출력함으로써 행해진다.
「라인압 제어」는, 하이브리드 구동계에 개재되는 유압 시스템[제1 클러치(CL1), 제2 클러치(CL2)를 포함하는 자동 변속기(AT)]에의 제어 유압의 원압인 라인압 PL을, 라인압 솔레노이드(23)에 대한 라인압 지령에 의해 제어한다. 통상 제어에서는, 유압 시스템의 각 유압 체결 마찰 요소에서의 필요 유압 중, 최대 필요 유압을 목표 라인압으로 하고, 목표 라인압을 얻도록 라인압 지령을 출력한다.
「펌프 천이 제어」는, 엔진(Eng)과 모터/제너레이터(MG)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부족한 동안에는 전동 오일 펌프(S-O/P)를 선택하고, 회전 구동력이 충분한 동안에는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를 선택한다. 즉, 정차로부터의 발진시에는, 전동 오일 펌프(S-O/P)의 선택으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의 선택으로 유압원을 천이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주행으로부터의 정차시에는,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의 선택으로부터 전동 오일 펌프(S-O/P)의 선택으로 유압원을 천이하는 제어를 행한다.
「CL2 슬립 제어」는, 제2 클러치(CL2)를 체결 토크 용량 제어에 의해 슬립 체결하는 제어로, 「WSC 모드」에 의한 발진시, 「EV 모드」로부터 「HEV 모드」로의 모드 천이시, 「HEV 모드」로부터 「EV 모드」로의 모드 천이시 등에 실행된다. 「WSC 모드」에 의한 발진시에 CL2 슬립 제어를 행하는 것은, 하이브리드 구동계에 토크 컨버터 등의 차회전 흡수 요소를 갖지 않기 위함이다. 또한, 모드 천이시에 CL2 슬립 제어를 행하는 것은, 엔진 시동 제어나 엔진 정지 제어를 수반하는 모드 천이이므로, 구동원측의 변동 토크가 그대로 구동륜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CL2 슬립 제어중에는, CL2 슬립 제어 플래그가 설정된다.
상기 브레이크 컨트롤러(9)는, 4륜의 각 차륜속을 검출하는 차륜속 센서(19)와, 브레이크 페달 스트로크 센서(20)로부터의 센서 정보와, 통합 컨트롤러(10)로부터의 회생 협조 제어 지령과, 다른 필요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브레이크 답입(stepping) 제동시, 브레이크 스트로크(BS)로부터 요구되는 요구 제동력에 대해 회생 제동력만으로는 부족한 경우, 그 부족분을 기계 제동력(액압 제동력이나 모터 제동력)으로 보충하도록 회생 협조 브레이크 제어를 행한다.
상기 통합 컨트롤러(10)는, 차량 전체의 소비 에너지를 관리하여, 최고 효율로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모터 회전수(Nm)를 검출하는 모터 회전수 센서(21)나 다른 센서ㆍ스위치류(22)로부터의 필요 정보 및 CAN 통신선(11)을 통해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엔진 컨트롤러(1)에 목표 엔진 토크 지령, 모터 컨트롤러(2)에 목표 MG 토크 지령 및 목표 MG 회전수 지령, 제1 클러치 컨트롤러(5)에 목표 CL1 토크 지령, AT 컨트롤러(7)에 목표 CL2 토크 지령, 브레이크 컨트롤러(9)에 회생 협조 제어 지령을 출력한다.
상기 통합 컨트롤러(10)에서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와 차속 VSP에 의해 정해지는 운전점이, 도 3에 도시하는 주행 모드 선택 맵상에서 존재하는 위치에 의해 최적의 주행 모드를 검색하고, 검색한 주행 모드를 목표 주행 모드로서 선택하는 주행 모드 선택 제어가 행해진다. 주행 모드 선택맵에는, EV 영역에 존재하는 운전점(APO, VSP)이 가로지르면 「EV 모드」로부터 「HEV 모드」로 전환하는 EV⇒HEV 전환선과, HEV 영역에 존재하는 운전점(APO, VSP)이 가로지르면 「HEV 모드」로부터 「EV 모드」로 전환하는 HEV⇒EV 전환선과, 운전점(APO, VSP)이 가로지르면 「HEV 모드」와 「WSC 모드」를 전환하는 HEV⇔WSC 전환선이 설정되어 있다. EV⇒HEV 전환선과 HEV⇒EV 전환선은, EV 영역과 HEV 영역을 나누는 선으로서 히스테리시스량을 갖게 하여 설정되어 있다. HEV⇔WSC 전환선은, 자동 변속기(AT)가 1속단일 때에, 엔진(Eng)이 아이들 회전수를 유지하는 제1 설정 차속 VSP1을 따라 설정되어 있다. 도 4는 「HEV 모드」와 「EV 모드」와 「WSC 모드」의 차이와, 각 모드 사이에서의 모드 천이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EV 모드」의 선택 중, 배터리 SOC가 소정값 이하로 되면, 주행 모드 선택맵에서의 목표 주행 모드에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HEV 모드」를 목표 주행 모드로 한다.
[라인압 제어 기구]
도 5는 제1 실시예의 FR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의 라인압 제어 기구를 도시한다. 이하, 도 5에 기초하여, 라인압 제어 기구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라인압 제어 기구로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와, 전동 오일 펌프(S-O/P)와, AT 컨트롤러(7)(라인압 컨트롤러)와, 통합 컨트롤러(10)와, 라인압 솔레노이드(23)와, 프레셔 레귤레이터 밸브(2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와 전동 오일 펌프(S-O/P)는, 유압 회로상, 서로 병렬로 설치되어, 제1, 제2 클러치(CL1, CL2)에의 제어 유압 및 자동 변속기(AT)에의 제어 유압을 만들어내는 유압원이다. 전동 오일 펌프(S-O/P)는, 전동 모터(S-M)의 출력축 토크를 일정하게 컨트롤하는 토크 제어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전동 오일 펌프(S-O/P)를 토크 제어 방식으로 함으로써, 특히, 정차시나 발진시 등에는, 전동 오일 펌프(S-O/P)로부터의 토출압이 일정값으로 공급되므로, 토출압을 낭비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 및 전동 오일 펌프(S-O/P)와, 프레셔 레귤레이터 밸브(24)의 사이에는, 제1 토출압 유로(25a)와, 제2 토출압 유로(25b)와, 합류 토출압 유로[25c(라인압 유로)]와, 플래퍼 밸브(26a, 26b)와, 릴리프 밸브(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래퍼 밸브(26a, 26b)는, 제1 토출압 유로(25a)와 제2 토출압 유로(25b)에 각각 설치되고, 펌프 토출압이 소정값(스프링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정해진 값) 이상으로 되면 개방되어, 하류측의 합류 토출압 유로(25c)에 공급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하류측[합류 토출압 유로(25c)]으로부터 상류측[각 토출압 유로(25a, 25b)]으로 작동유를 흐르게 하지 않는 역류 방지 밸브의 기능도 갖는다.
상기 릴리프 밸브(27)는, 제2 토출압 유로(25b)로부터의 분기 유로에 설치되어, 제2 토출압 유로(25b)의 토출압이 상한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또한, 제1 토출압 유로(25a)에는,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로부터의 토출압을 감시하는 토출압 센서(28)가 설치되고, 센서 정보는 AT 컨트롤러(7)로 보내진다. 또한, 라인압 유로인 합류 토출압 유로(25c)에는, 라인압 PL을 감시하는 라인압 센서(29)가 설치되고, 센서 정보는 AT 컨트롤러(7)로 보내진다.
상기 프레셔 레귤레이터 밸브(24)는, 라인압 솔레노이드(23)로부터의 솔레노이드압과 PL 피드백압을 작동 신호압으로 하고,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와 전동 오일 펌프(S-O/P)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한 유압원으로부터의 토출압에 기초하여, 라인압 PL을 조정하는 압력 조절 밸브이다.
상기 라인압 솔레노이드(23)는, 일정압에 의한 파일럿압을 원압으로 하고, AT 컨트롤러(7)로부터 듀티 솔레노이드 지령 등에 의한 라인압 지령을 받으면, 라인압 지령에 따른 솔레노이드압을 만들어내는 밸브이다. 즉, AT 컨트롤러(7)로부터 라인압 솔레노이드(23)에 대해 출력되는 라인압 지령에 따라서, 프레셔 레귤레이터 밸브(24)에 의해 라인압 PL이 압력 조절 제어된다.
[라인압 제어 처리 구성]
도 6은 제1 실시예의 AT 컨트롤러(7)에서 실행되는 라인압 제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슬립 제어 개입 대응 제어부). 이하, 라인압 제어 처리 구성을 나타내는 도 6의 각 스텝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에서는,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메커니컬 OP)와 전동 오일 펌프(S-O/P)(=subOP)의 상태 파악을 행하여, 스텝 S2로 진행한다.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와 전동 오일 펌프(S-O/P)의 상태 파악이라 함은, 전동 오일 펌프(S-O/P)가 작동중이고, 토출압 센서(28)에 의해, 플래퍼 밸브(26a) 개방 이하의 압력이 검출되어 있는 subOP 영역인지, 전동 오일 펌프가 작동중이고, 토출압 센서(28)에 의해, 플래퍼 밸브(26a) 개방 이상의 압력이 검출되어 있는 subOP+메커니컬 OP 영역인지, 전동 오일 펌프(S-O/P)가 정지중이고, 토출압 센서(28)에 의해, 플래퍼 밸브(26a) 개방 이상의 압력이 검출되어 있는 메커니컬 OP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스텝 S2에서는, 스텝 S1에서의 펌프 상태 파악에 이어서,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와 전동 오일 펌프(S-O/P) 중, subOP만이 유압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subOP만이 유압원)인 경우는 스텝 S3으로 진행하고, "아니오"(메커니컬 OP를 유압원에 포함함)인 경우는 스텝 S15로 진행한다.
여기서, 「subOP만이 유압원」이라 함은,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가 작동해도, 토출압 센서(28)에 의해, 플래퍼 밸브(26a) 개방 이하의 압력이 검출되어 있을 때를 말한다.
스텝 S3에서는, 스텝 S2에서의 subOP만이 유압원이라는 판단, 혹은 스텝 S4에서의 메커니컬 OP압의 확인없음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한 초기 지시압을 출력하고,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스텝 S3에서의 초기 지시압의 출력에 이어서, 토출압 센서(28)로부터의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로부터의 토출압을 확인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메커니컬 OP압의 확인 있음)인 경우는 스텝 S5로 진행하고, "아니오"(메커니컬 OP압의 확인 없음)인 경우는 스텝 S3으로 복귀한다.
여기서, 메커니컬 OP압의 확인 있음이라 함은, 토출압 센서(28)에 의해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로부터의 토출압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에 의해 판단한다.
스텝 S5에서는, 스텝 S4에서의 메커니컬 OP압의 확인 있음이라는 판단, 혹은 스텝 S8에서의 subOP와 메커니컬 OP의 양자가 유압원이 아니라는 판단에 이어서, 지시압의 제1 학습값 Lv1분(후술)의 저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제1 학습값분 저하 완료)인 경우는 스텝 S7로 진행하고, "아니오"(제1 학습값분 저하 미완료)인 경우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서는, 스텝 S5에서의 제1 학습값분 저하 미완료라는 판단에 이어서, 제1 학습값 Lv1분만큼 지시압을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고, 스텝 S8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는, 스텝 S5에서의 제1 학습값분 저하 완료라는 판단에 이어서, 제1 학습값 Lv1분만큼 저하된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고, 스텝 S8로 진행한다.
스텝 S8에서는, 스텝 S6에서의 지시압 저하 지령의 출력, 혹은 스텝 S7에서의 지시압 유지 지령의 출력에 이어서, 전동 오일 펌프(S-O/P)(=subOP)와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의 양자가 유압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subOP와 메커니컬 OP의 양자가 유압원)인 경우는 스텝 S9로 진행하고, "아니오"(메커니컬 OP가 유압원에 포함되지 않음)인 경우는 스텝 S5로 복귀한다.
여기서, 「subOP와 메커니컬 OP의 양자가 유압원」이라 함은,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측의 플래퍼 밸브(26a)와, 전동 오일 펌프(S-O/P)측만의 플래퍼 밸브(26b)의 양자가 개방되어 있을 때를 말한다.
스텝 S9에서는, 스텝 S8에서의 subOP와 메커니컬 OP의 양자가 유압원이라는 판단, 혹은 스텝 S14에서의 subOP가 유압원에 포함된다는 판단에 이어서, CL2 슬립 제어가 실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CL2 슬립 제어 실행중)인 경우는 스텝 S10으로 진행하고, "아니오"(CL2 슬립 제어 비실행)인 경우는 스텝 S11로 진행한다. 여기서, CL2 슬립 제어의 실행중과 비실행의 판단은, CL2 슬립 제어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행한다.
스텝 S10에서는, 스텝 S9에서의 CL2 슬립 제어 실행중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CL2 슬립 제어 실행으로 이행한 시점에 있어서의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고,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서는, 스텝 S9에서의 CL2 슬립 제어 비실행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지시압의 제2 학습값 Lv2분(후술)의 저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제2 학습값분 저하 완료)인 경우는 스텝 S13으로 진행하고, "아니오"(제2 학습값분 저하 미완료)인 경우는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스텝 S11에서의 제2 학습값분 저하 미완료라는 판단에 이어서, 그 시점(제1 학습 포인트)에 있어서의 지시압으로부터 제2 학습값 Lv2분만큼 지시압을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고,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스텝 S11에서의 제2 학습값분 저하 완료라는 판단에 이어서, 제2 학습값 Lv2분만큼 저하된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고,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스텝 S10에서의 지시압 유지 지령의 출력, 혹은 스텝 S12에서의 지시압 저하 지령의 출력, 혹은 스텝 S13에서의 지시압 유지 지령의 출력에 이어서, 메커니컬 OP만이 유압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메커니컬 OP만이 유압원)인 경우는 스텝 S15로 진행하고, "아니오"(subOP가 유압원에 포함됨)인 경우는 스텝 S9로 복귀한다.
여기서, 「메커니컬 OP만이 유압원」이라 함은, 토출압 센서(28)에 의해, 플래퍼 밸브(26a) 개방 이상의 압력이 검출되어 있고, 전동 오일 펌프(S-O/P)가 정지중일 때를 말한다.
스텝 S15에서는, 스텝 S2에서의 메커니컬 OP를 유압원에 포함한다는 판단, 혹은 스텝 S14에서의 메커니컬 OP만이 유압원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목표 라인압을 따른 지시압에 의한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는 통상 제어를 실행하고, 종료로 진행한다.
[라인압 제어에 있어서의 제1 학습값 연산 처리 구성]
도 7은 제1 실시예의 AT 컨트롤러(7)에서 실행되는 제1 학습값 연산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학습값 연산부). 라인압 제어에 있어서의 제1 학습값 Lv1의 연산 처리 구성을 나타내는 도 7의 각 스텝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학습값 연산 처리는, 제1 영역(subOP만이 유압원) 및 제2 영역(subOP와 메커니컬 OP의 양자가 유압원)에 있어서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한 초기 지시압을 얻는 라인압 지령을 유지하는 라인압 제어를 행하였을 때에 개시한다.
스텝 S21에서는, 개시, 혹은 스텝 S23에서의 메커니컬 OP 영역으로 들어가기 전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자동 변속기(AT)에의 복수의 유압 체결 마찰 요소에서의 각 필요 유압 중, 최대압에 의해 목표 유압(=목표 라인압)의 연산을 행하고, 스텝 S22로 진행한다.
스텝 S22에서는, 스텝 S21에서의 목표 유압의 연산에 이어서, 라인압 센서(29)에 의한 실 유압의 측정과,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와 전동 오일 펌프(S-O/P)의 상태 파악을 행하고, 스텝 S23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실 유압의 측정은, 라인압 센서(29)로부터의 센서 신호에 기초하는 실 라인압 PL의 측정을 말한다.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와 전동 오일 펌프(S-O/P)의 상태 파악은, 상기 스텝 S1과 마찬가지이다.
스텝 S23에서는, 스텝 S22에서의 실 유압의 측정과 subOP, 메커니컬 OP의 상태 파악에 이어서, 초기 상태의 라인압 제어가, subOP+메커니컬 OP 영역으로부터 메커니컬 OP 영역으로 들어갔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메커니컬 OP 영역으로 들어간)인 경우는 스텝 S24로 진행하고, "아니오"(메커니컬 OP 영역으로 들어가기 전)인 경우는 스텝 S22로 복귀한다.
스텝 S24에서는, 스텝 S23에서의 메커니컬 OP 영역으로 들어갔다는 판단에 이어서, subOP+메커니컬 OP 영역에 있어서 실 유압>목표 유압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실 유압>목표 유압)인 경우는 스텝 S25로 진행하고, "아니오"(실 유압≤목표 유압)인 경우는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목표 유압과 대비하는 실 유압은, subOP+메커니컬 OP 영역에 있어서 측정한 실 유압(=실 라인압)의 최대값을 이용한다.
스텝 S25에서는, 스텝 S24에서의 실 유압>목표 유압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차압 ΔP1(=실 유압-목표 유압)을 연산하여, 연산 결과인 차압 ΔP1을 제1 학습값 Lv1로서 결정하고, 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26에서는, 스텝 S24에서의 실 유압≤목표 유압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실 유압≤목표 유압인 것을 라인압 지령에 피드백하여, 라인압 지령의 지령값을 학습량만큼 전체적으로 상승시키고, 종료로 진행한다.
여기서, 실 라인압이 목표 라인압보다도 낮을 때의 학습량은, 차압에 관계없이 미리 정한 지령값 상승폭으로 해도 되고, 목표 유압과 실 유압의 차압에 따른 지령값 상승폭으로 해도 된다.
[라인압 제어에 있어서의 제2 학습값 연산 처리 구성]
도 8은 제1 실시예의 AT 컨트롤러(7)에서 실행되는 제2 학습값 연산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학습값 연산부). 우선, 라인압 제어에 있어서의 제2 학습값 Lv2의 연산 처리 구성을 나타내는 도 8의 각 스텝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2 학습값 연산 처리는, 제1 학습값 Lv1을 제1 영역(subOP만이 유압원)에서의 지시압 저하폭으로 하고, 제1 영역에 있어서 초기 지시압으로부터 지시압 저하폭(=제1 학습값 Lv1)을 저하시켜, 제2 영역에 있어서 저하된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에 의한 라인압 제어를 행하였을 때에 개시한다.
스텝 S31에서는, 개시, 혹은 스텝 S33에서의 메커니컬 OP 영역으로 들어가기 전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스텝 S21과 마찬가지로, 시스템에 설치된 복수의 유압 체결 마찰 요소에서의 각 필요 유압 중, 최대압에 의해 목표 유압(=목표 라인압)의 연산을 행하고, 스텝 S32로 진행한다.
스텝 S32에서는, 스텝 S31에서의 목표 유압의 연산, 혹은 스텝 S33에서의 메커니컬 OP 영역으로 들어가기 전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스텝 S22와 마찬가지로, 라인압 센서(29)에 의한 실 유압의 측정과,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와 전동 오일 펌프(S-O/P)의 상태 파악을 행하고, 스텝 S3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3에서는, 스텝 S32에서의 실 유압의 측정과 subOP, 메커니컬 OP의 상태 파악에 이어서, 제1 학습값 Lv1을 반영한 라인압 제어가, subOP+메커니컬 OP 영역으로부터 메커니컬 OP 영역으로 들어갔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메커니컬 OP 영역으로 들어간)인 경우는 스텝 S34로 진행하고, "아니오"(메커니컬 OP 영역으로 들어가기 전)인 경우는 스텝 S32로 복귀한다.
스텝 S34에서는, 스텝 S33에서의 메커니컬 OP 영역으로 들어갔다는 판단에 이어서, 스텝 S24와 마찬가지로, subOP+메커니컬 OP 영역에 있어서 실 유압>목표 유압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실 유압>목표 유압)인 경우는 스텝 S35로 진행하고, "아니오"(실 유압≤목표 유압)인 경우는 스텝 S3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5에서는, 스텝 S34에서의 실 유압>목표 유압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차압 ΔP2(=실 유압-목표 유압)를 연산하여, 연산 결과인 차압 ΔP2를 제2 학습값 Lv2로서 결정하고, 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36에서는, 스텝 S34에서의 실 유압≤목표 유압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스텝 S26과 마찬가지로, 실 유압≤목표 유압인 것을 라인압 지령에 피드백하여, 라인압 지령의 지령값을 학습량만큼 전체적으로 상승시키고, 종료로 진행한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비교예의 과제」의 설명을 행한다. 계속해서,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작용을, 「유압원 천이시의 라인압 제어 작용」, 「라인압 제어에 있어서의 학습값 연산 작용」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비교예의 과제]
유압원으로서, 메커니컬 오일 펌프와 전동 오일 펌프는 각각 병렬로 설치되고, 발진시 등에 있어서, 유압원이, 전동 오일 펌프(a)→전동 오일 펌프+메커니컬 오일 펌프(b)→메커니컬 오일 펌프(c)로 천이한다. 이때, 전동 오일 펌프와 메커니컬 오일 펌프가 함께 작동하는 제2 영역 (b)로 천이해도, 전동 오일 펌프가 작동하는 제1 영역 (a)일 때의 라인압 지령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제1 비교예로 한다(도 9).
우선, 전동 오일 펌프의 작동중에는, 전동 모터의 출력축 토크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토크 제어 방식으로 인해, 전동 오일 펌프만이 작동중에 라인압 지령에 의한 지시 유압을 높게 하였다고 해도, 전동 모터의 회전수는 상승하지 않으므로, 필요압 이상의 압력은 토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동 오일 펌프만이 작동하는 제1 영역 (a)에서는,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의 천이시, 실 유압의 응답성 확보와 유압 부족의 방지를 달성하기 위해, 도 9의 제1 영역 (a)에서의 라인압 지령 특성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시 유압을 실 라인압 목표보다도 높게 하고 있다.
그러나 제1 비교예의 경우, 전동 오일 펌프와 메커니컬 오일 펌프가 함께 작동하는 제2 영역 (b)로 천이해도, 클러치 슬립 제어가 실행되어도 실압의 변동에 의한 저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라인압 지령을 제1 영역 (a)와 동일한 높이로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 9의 라인압 실압 특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토출압(합성압은 릴리프압을 상한압으로 함)에 의해, 라인압 실압이 실 라인압 목표(=필요압)보다도 높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제1 비교예의 경우에는, 도 9의 E로 나타내는 빗금 영역이, 실 라인압 목표(=필요압)에 대해 불필요한 라인압 잉여분으로 되어,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라인압 잉여분을 펌프 토출하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여, 연비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연비 중시의 관점에서, 전동 오일 펌프만이 작동하는 제1 영역 (a)로부터 전동 오일 펌프와 메커니컬 오일 펌프가 함께 작동하는 제2 영역 (b)로 천이하면, 적극적으로 라인압 지령을 저하시키도록 하는 것을 제2 비교예로 한다.
이 제2 비교예의 경우, 제2 영역 (b)로 들어가 라인압 지령이 저하되어, 지시압이 낮아지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10의 F), 전동 오일 펌프가 급정지하면(도 10의 G), 라인압 실압이 저하되어, 실 라인압 목표(=필요압)에 대해 언더 슈트를 유기한다(도 10의 H). 이와 같이, 라인압이 언더 슈트되는 제2 영역 (b)의 상태일 때에, 구동계에 설치된 클러치를 슬립 체결시키는 클러치 슬립 제어가 실행되면, 클러치에의 슬립 체결 유압의 변화를 유기한다. 그 결과, 슬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용량 제어되는 클러치 체결 유압이 변동되어, 저더(유압 진동)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펌프 특성이 다른 2종류의 펌프를 유압원에 갖고,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의 라인압 제어에 있어서, 구동계의 클러치가 슬립 제어중, 저더 방지뿐만 아니라 연비 효과를 아울러 얻고자 하는 것이 요구 성능이며, 연비 성능의 향상과 저더 방지의 양립을 달성하는 것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되어 있다.
특히, 1 모터ㆍ2 클러치의 구동계를 갖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HEV 모드」를 선택한 발진시,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부터의 토출압이 부족한 정차 상태나 발진 개시 영역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를 유압원으로 하고, 발진 개시 영역을 지나면, 유압원이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천이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HEV 모드 발진시에는, 주행 모드로서 제2 클러치(CL2)를 슬립 체결하는 「WSC 모드」가 선택됨으로써, 유압원의 천이로 CL2 슬립 제어가 실행되게 된다. 또한, 「EV 모드」를 선택한 발진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유압원의 천이가 발생하지만, 제로 회전수로부터의 회전수 상승이 가능한 모터 제너레이터(MG)만이 주행 구동원으로 됨으로써, 제2 클러치(CL2)의 완전 체결이 유지되어 있어, CL2 슬립 제어는 불필요해진다.
[유압원 천이시의 라인압 제어 작용]
상기 비교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압원 천이시에 라인압 제어를 둘러싼 상황을 해석한 후, 라인압 지령을 어떻게 부여할지를 정한다고 하는 고안이 필요하다. 이하, 이것을 반영하는 유압원 천이시의 라인압 제어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6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라인압 제어 처리 작용을 설명한다.
전동 오일 펌프(S-O/P)만이 유압원이 아닌 경우에는, 도 6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스텝 S2→스텝 S15→종료로 진행하는 흐름이 반복된다. 즉, 목표 라인압을 따른 지시압에 의한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는 통상 제어가 실행된다.
전동 오일 펌프(S-O/P)만이 유압원인 상태로 되면, 도 6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스텝 S2→스텝 S3→스텝 S4로 진행하고,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의 토출압을 확인할 수 없는 동안에는, 스텝 S3→스텝 S4로 진행하는 흐름이 반복된다. 즉,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한 초기 지시압(일정압 지시)이 출력된다.
그리고 전동 오일 펌프(S-O/P)만이 유압원이고, 또한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의 토출압을 확인할 수 있으면, 도 6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스텝 S2→스텝 S3→스텝 S4→스텝 S5→스텝 S6→스텝 S8로 진행한다. 즉, 스텝 S6에서는, 초기 지시압을, 제1 학습값 Lv1분만큼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이 출력된다. 이 지시압을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의 출력은, 스텝 S5에서, 지시압이 제1 학습값 Lv1분만큼 저하를 완료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그 후, 지시압 유지), 혹은 스텝 S8에서 전동 오일 펌프(S-O/P)와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의 양자가 유압원으로 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까지 계속된다.
이어서, 스텝 S8에서 전동 오일 펌프(S-O/P)와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의 양자가 유압원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9로 진행하여, CL2 슬립 제어가 실행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CL2 슬립 제어 실행중인지 CL2 슬립 제어 비실행인지에 따라 흐름이 나뉜다. CL2 슬립 제어 실행중인 경우는, 스텝 S9로부터 스텝 S10→스텝 S14로 진행하고, 스텝 S14에서 메커니컬 OP만이 유압원이라고 판단될 때까지, 스텝 S9→스텝 S10→스텝 S14로 진행하는 흐름이 반복된다. 즉, 스텝 S10에서는, 전동 오일 펌프(S-O/P)만이 유압원일 때의 최종 시점(제1 학습 포인트)에 있어서의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이 출력된다.
한편, CL2 슬립 제어 비실행인 경우는, 스텝 S9로부터 스텝 S11→스텝 S12→스텝 S14로 진행하고, 스텝 S14에서 메커니컬 OP만이 유압원이라고 판단될 때까지, 스텝 S9→스텝 S11→스텝 S12→스텝 S14로 진행하는 흐름이 반복된다. 즉, 스텝 S12에서는, 제1 학습 포인트에 있어서의 지시압을, 제2 학습값 Lv2분만큼 지시압을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이 출력된다. 이 지시압을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의 출력은, 스텝 S11에서, 지시압이 제2 학습값 Lv2분만큼 저하를 완료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그 후, 지시압 유지), 혹은 스텝 S14에서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만이 유압원으로 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까지 계속된다. 또한, 스텝 S9→스텝 S11→스텝 S12→스텝 S14로 진행하는 흐름이 반복되는 도중에, 스텝 S9에서 CL2 슬립 제어 실행중이 판단되면, 스텝 S9로부터 스텝 S10→스텝 S14로 진행하여, 그때의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의 출력으로 전환된다.
계속해서, 스텝 S14에서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만이 유압원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14로부터 스텝 S15→종료로 진행하여, 목표 라인압을 따른 지시압에 의한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는 통상 제어가 실행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CL2 슬립 제어 개입ㆍ비개입을 고려하지 않은 라인압 제어(기본 제어)의 목적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라인압 제어는, 전동 오일 펌프(S-O/P)만이 유압원인 제1 영역 (a)와, 전동 오일 펌프(S-O/P)와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의 양자가 유압원인 제2 영역 (b)와,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만이 유압원인 제3 영역 (c)를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한 각 영역 (a), (b), (c)의 각각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분담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연비 성능의 향상에 관해서는, 제1 영역 (a)에서 분담하고, 제1 영역 (a)에서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되어 있는 초기 지시압을, 제1 영역 (a)에서 필요압을 확보하는 필요 지시압을 향해 저하시킴으로써 대응한다. 이로 인해, 제1 영역 (a)에 있어서,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한 초기 지시압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 연비 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그리고 라인압 제어와 CL2 슬립 제어의 간섭에 의한 저더 방지에 관해서는, 제2 영역 (b)에서 분담하고, 제1 영역 (a) 종료 시점의 지시압을 유지함으로써 대응한다. 이로 인해, CL2 슬립 제어의 실행중ㆍ비실행을 감시할 필요 없이, 제2 영역 (b)에 있어서 지시압의 저하를 계속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제2 클러치(CL2)에의 유압 변동이 억제되어, 저더의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라인압 제어(기본 제어)에 따르면, 전동 오일 펌프(S-O/P)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연비 성능의 향상과 저더 방지의 양립이 달성되게 된다.
다음에,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CL2 슬립 제어 개입ㆍ비개입을 고려한 라인압 제어의 목적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CL2 슬립 제어 개입ㆍ비개입을 고려한 라인압 제어는, CL2 슬립 제어 실행중(CL2 슬립 제어 개입)에 대해서는, 제2 영역 (b)에서 지시압을 유지함으로써 저더의 발생 방지를 우선하고(도 11), CL2 슬립 제어 비실행(CL2 슬립 제어 비개입)에 대해서는, 제2 영역 (b)라도 지시압을 저하시킴으로써 연비 성능의 향상을 우선한다(도 12).
즉, 유압원의 천이 중에 CL2 슬립 제어가 실행될 때에는, 저더 방지가 필요하므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영역 (a)로부터 제2 영역 (b)로 이행하였을 때, 이미 CL2 슬립 제어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제1 영역 (a) 종료 시점의 지시압을 유지한다. 또한, 제2 영역 (b)로 들어가도 CL2 슬립 제어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CL2 슬립 제어 플래그가 설정되는 시점까지는 지시압의 저하를 계속하여, CL2 슬립 제어 플래그가 설정된 시점의 지시압을 유지한다고 하는 라인압 제어를 실행한다. 이로 인해, 제2 영역 (b)에서는, CL2 슬립 제어 플래그의 확인을 조건으로 하여, 라인압 제어측에서 지시압을 유지하는 제어를 실행하므로, 제2 클러치(CL2)에의 유압 변동이 억제되어, 유압원의 천이중에 CL2 슬립 제어가 실행된 경우라도, 확실하게 저더의 발생이 방지된다.
한편, 유압원의 천이중에 CL2 슬립 제어가 비실행일 때에는, 저더 방지가 불필요하므로, 제2 영역 (b)에서의 지시압 유지 제어 대신에, 제2 영역 (b)에서 필요압을 확보하는 필요 지시압의 한계 영역을 향해 더욱 지시압을 저하시킴으로써 대응한다. 예를 들어, CL2 슬립 제어가 비실행일 때에도 제2 영역 (b)에서의 지시압 유지 제어를 행하면, 라인압의 잉여분(도 11의 I로 나타내는 빗금 영역)을 발생시켜 버린다. 이에 대해, CL2 슬립 제어가 비실행일 때에는, 제2 영역 (b)에서 필요압을 확보하는 필요 지시압의 한계 영역을 향해 더욱 지시압을 저하시킴으로써,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인압 실압이 실 라인압 목표를 따른 라인압 잉여분이 없는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져, 연비 성능이 최대 성능 영역까지 향상된다.
또한, 제2 학습값 Lv2까지 지시압이 저하된 후에, CL2 슬립 제어를 실행하였다고 해도, 스텝 S13 또는 스텝 S10에서 저하된 지시압을 유지할 뿐이며, 제2 학습값 Lv2 이상, 라인압을 낮추는 제어는 실행되지 않으므로, 저더의 발생을 억제하여, 연비 성능이 최대 성능 영역까지 향상된다.
[라인압 제어에 있어서의 학습값 연산 작용]
라인압 제어계는 유닛 고유의 편차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지시압을 저하시키는 라인압 제어를 행할 때, 편차를 고려하여 지시압의 저하폭을 작은 고정값으로 부여하면 연비 향상폭이 억제된다. 따라서, 유닛 고유의 편차를 흡수하면서, 가능한 한 큰 지시압의 저하폭을 부여하는 고안이 필요하다. 이하, 이것을 반영하는 라인압 제어에 있어서의 학습값 연산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7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제1 학습값 Lv1의 연산 처리 작용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초기 상태에서 제1 영역 (a) 및 제2 영역 (b)에 있어서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한 초기 지시압을 얻는 라인압 지령을 유지하는 라인압 제어를 행하였을 때에 개시되고, 도 7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21→스텝 S22→스텝 S23으로 진행하는 흐름이, 메커니컬 OP만을 유압원으로 하는 제3 영역 (c)로 들어갈 때까지 반복된다. 그리고, 제3 영역 (c)로 들어가면, 그때까지 취득한 데이터(목표 유압, 실 유압 등)에 기초하여, 스텝 S24에서 실 유압>목표 유압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실 유압>목표 유압인 경우는, 스텝 S25로 진행하여, 실 유압-목표 유압=차압 ΔP1(최대 차압)을 제1 학습값 Lv1로서 결정한다. 또한, 스텝 S24에서 실 유압≤목표 유압이라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S26으로 진행하여, 라인압 지령에 피드백하여, 지시압이 증가된다. 여기서, 차압 ΔP1은, 제1 영역 (a)에 있어서, 목표 유압을 확보 가능한 최대의 유압 저하폭이고, 그 값은 유닛 고유의 편차를 반영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제1 학습값 Lv1로서 결정한다.
다음에, 도 8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제2 학습값 Lv2의 연산 처리 작용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1 학습값 Lv1을 결정한 후, 제1 영역 (a)에 있어서 목표 유압을 초기 지시압으로부터 제1 학습값 Lv1까지 저하시키고, 제2 영역 (b)에 있어서 저하된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에 의한 라인압 제어를 행하였을 때에 제2 학습값 Lv2의 연산이 개시되고, 도 8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31→스텝 S32→스텝 S33으로 진행하는 흐름이, 메커니컬 OP만을 유압원으로 하는 제3 영역 (c)로 들어갈 때까지 반복된다.
그리고 제3 영역 (c)로 들어가면, 그때까지 취득한 데이터(목표 유압, 실 유압 등)에 기초하여, 스텝 S34에서 실 유압>목표 유압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실 유압>목표 유압인 경우는, 스텝 S35로 진행하여, 실 유압-목표 유압=차압 ΔP2(최대 차압)를 제2 학습값 Lv2로서 결정한다. 또한, 스텝 S34에서 실 유압≤목표 유압이라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S36으로 진행하여, 라인압 지령에 피드백하여, 지시압이 증가된다. 여기서, 차압 ΔP2는, 제2 영역 (b)에 있어서, 목표 유압을 확보 가능한 최대의 유압 저하폭이며, 그 값은 유닛 고유의 편차를 반영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제2 학습값 Lv2로서 결정한다.
상기 학습의 목적은, 유압원의 상태에 따른 유닛 고유의 편차[전동 오일 펌프(M-O/P) 자신의 토크 편차, 프레셔 레귤레이터 밸브(24)의 편차, 다른 컨트롤 밸브류의 편차 등]를 흡수하고, 학습값으로 압력 조절을 행함으로써, 유닛 고유의 편차에 관계없이 실 라인압의 편차를 억제하여, 안정적인 라인압 PL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이 학습의 결과, 연비에 관하여 라인압에 기인하는 부분에 유닛 차이가 없어진다. 또한, 학습 결과를 사용한 압력 조절로 함으로써, 실 라인압은, 필요압에 대해 최대한의 높이까지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연비의 관점에서 낭비가 없는(필요 이상으로 라인압이 지나치게 높게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컨트롤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20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제1 학습값 Lv1과 제2 학습값 Lv2의 연산 작용을 설명한다.
(제1 학습값 Lv1의 연산 작용)
(1) 제1 영역 (a)와 제2 영역 (b)에서 라인압 지령은, 높은 지시압으로 유지한 상태로 한다(도 13).
(2) 메커니컬 OP압이 상승해 온 것에 의해, 유압원이 subOP+메커니컬 OP인 제2 영역 (b)로 들어간 후의 실 라인압(라인압 실압)이 목표압(실 라인압 목표)을 상회한 포인트 A를 검출한다(도 14).
(3) 유압원이 subOP+메커니컬 OP인 제2 영역 (b)에서의 실 라인압(라인압 실압)과 목표압(실 라인압 목표)의 차가 최대로 되는 포인트 B 및 그 차분 ΔP1을 검출한다(도 15).
(4) 이 제2 영역 (b)에서 검출한 차분 ΔP1([subOP+메커니컬 OP의 실 라인압]-목표압)을 제1 학습값 Lv1로서 기억한다(도 16).
(제2 학습값 Lv2의 연산 작용)
(5) 차회 발진시, 입력 회전이 어느 회전수 이상(메커니컬 OP의 유압이 흘러나가는 포인트 C)으로 되면 라인압 지령을 서서히 제1 학습값 Lv1만큼 낮춘다(도 17).
(6) 라인압 지령을 서서히 제1 학습값 Lv1만큼 낮추는 제어를 행하면, 포인트 B로부터 subOP+메커니컬 OP의 실 라인압(라인압 실압)이 상승을 개시한다(도 18).
(7) 그 후, subOP가 정지를 향하는 포인트 D 및 그때의 실 라인압(라인압 실압)을 검출한다(도 19).
(8) 이때, subOP+메커니컬 OP의 실 라인압(라인압 실압)과 목표압(실 라인압 목표)의 차분 ΔP2를 검출하고, 그 차분을 제2 학습값 Lv2로서 기억한다(도 20).
또한, 차회 이후의 발진시에는, 포인트 C로부터 라인압 지령을 제1 학습값 Lv1만큼 낮추고, 다시 포인트 B로부터 라인압 지령을 제2 학습값 Lv2만큼 낮추어 처리가 종료되면, 혹은 subOP의 정지 처리로 들어가면(포인트 D), 통상 제어로 상태 천이한다. 그 후, 제1 학습값 Lv1과 제2 학습값 Lv2는, 실 라인압(라인압 실압)과 목표압(실 라인압 목표)의 관계를 검출하면서 수시 갱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정한 학습값 Lv1, Lv2를 사용하여 라인압 제어를 행할 때, 유압원의 천이시에 실 라인압(라인압 실압)과 목표압(실 라인압 목표)에 설정값 이상의 차분이 발생하면, 수시로 (1)∼(8)의 처리 순서에 따라서 학습을 재개하여, 제1 학습값 Lv1과 제2 학습값 Lv2를 갱신한다.
다음에, 효과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하기에 열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주행 구동원[엔진(Eng), 모터/제너레이터(MG)]에 의한 구동에 의해 펌프 작동하는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와,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와 유압 회로 상에 병렬로 설치되고, 전동 모터(S-M)에 의한 구동에 의해 펌프 작동하는 전동 오일 펌프(S-O/P)와,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와 상기 전동 오일 펌프(S-O/P)를 유압원으로 하고, 구동계에 배치된 유압 체결 마찰 요소[제2 클러치(CL2)]에의 제어 유압의 원압인 라인압 PL을 만들어내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는 라인압 컨트롤러[AT 컨트롤러(7)]를 구비하고,
상기 라인압 컨트롤러[AT 컨트롤러(7)]는, 상기 전동 오일 펌프(S-O/P)로부터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상기 전동 오일 펌프(S-O/P)가 유압원이고,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의 토출압을 확인할 수 있는 제1 영역 (a)의 동안에는,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한 초기 지시압으로부터, 초기 지시압보다 낮고, 또한 필요압을 확보할 수 있는 필요 지시압을 향해 지시압을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전동 오일 펌프(S-O/P)와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의 양자가 유압원인 제2 영역 (b)의 동안에는, 제1 영역 (a) 종료 시점의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한다(도 11).
이로 인해, 전동 오일 펌프(S-O/P)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연비 성능의 향상과 저더 방지의 양립을 달성하는 라인압 제어를 행할 수 있다.
(2) 상기 유압 체결 마찰 요소는, 구동계에 배치되고, 소정의 주행 모드(WSC 모드)에서 슬립 체결하는 슬립 제어를 행하는 클러치[제2 클러치(CL2)]이고,
상기 라인압 컨트롤러[AT 컨트롤러(7)]는, 상기 전동 오일 펌프(S-O/P)와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의 양자가 유압원인 제2 영역 (b)에 있어서, 상기 슬립 제어(CL2 슬립 제어)가 실행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제1 영역 (a) 종료 시점의 지시압으로부터 필요 지시압을 향해 더욱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슬립 제어가 실행되면, 상기 슬립 제어 이행시의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는 슬립 제어 개입 대응 제어부(도 11의 스텝 S7 내지 스텝 S12)를 갖는다.
이로 인해, (1)의 효과에 더하여, 클러치[제2 클러치(CL2)]의 슬립 제어 비실행시에, 제2 영역 (b)에서의 연비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클러치[제2 클러치(CL2)]의 슬립 제어가 실행되면 확실하게 저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3) 상기 라인압 컨트롤러[AT 컨트롤러(7)]는, 상기 전동 오일 펌프(S-O/P)로부터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라인압 제어에서의 지시압 저하폭을 학습값으로 하고, 상기 제2 영역 (b)에서의 실 라인압을 측정하고, 상기 실 라인압과 목표 라인압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값을 정하는 학습값 연산부(도 7, 도 8)를 갖는다.
이로 인해, (1) 또는 (2)의 효과에 더하여, 유닛 고유의 편차를 흡수하고, 학습값 Lv1, Lv2로 압력 조정을 행함으로써 안정적인 라인압 PL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유닛 고유의 편차에 관계없이, 낭비가 억제된 높은 연비 성능에 의한 라인압 PL로 컨트롤할 수 있다.
(4) 상기 학습값 연산부(도 7)는, 상기 제1 영역 (a) 및 상기 제2 영역 (b)에 있어서 상기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한 초기 지시압을 얻는 라인압 지령을 유지하는 라인압 제어를 행하였을 때, 상기 제2 영역 (b)에서의 실 라인압을 측정하여, 상기 실 라인압과 목표 라인압의 차분을 제1 학습값 Lv1로서 연산하고, 상기 제1 학습값 Lv1을 제1 영역 (a)에서의 지시압 저하폭으로 결정한다.
이로 인해, (3)의 효과에 더하여, 제1 영역 (a)에서 목표 유압을 확보 가능한 지시압 저하폭인 제1 학습값 Lv1을, 학습 경험을 다수 회 거듭하는 일 없이 고정밀도로 얻을 수 있다.
(5) 상기 학습값 연산부(도 8)는, 상기 제1 학습값 Lv1을 제1 영역 (a)에서의 지시압 저하폭으로 하고, 상기 제1 영역 (a)에 있어서 초기 지시압으로부터 상기 지시압 저하폭을 저하시켜, 상기 제2 영역 (b)에 있어서 저하된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에 의한 라인압 제어를 행하였을 때, 제2 영역 (b)에서의 실 라인압을 측정하고, 상기 실 라인압과 목표 라인압의 차분을 제2 학습값 Lv2로서 연산하여, 상기 제2 학습값 Lv2를 제2 영역 (b)에서의 지시압 저하폭으로 결정한다.
이로 인해, (4)의 효과에 더하여, 먼저 취득한 제1 학습값 Lv1을 사용하여, 제2 영역 (b)에서 목표 유압을 확보 가능한 지시압 저하폭인 제2 학습값 Lv2를, 학습 경험을 다수 회 거듭하는 일 없이 고정밀도로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를 제1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 제1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설계의 변경이나 추가 등은 허용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라인압 컨트롤러로서, 전동 오일 펌프(S-O/P)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CL2 슬립 제어의 실행시와 비실행시에서, 라인압 제어를 다르게 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라인압 컨트롤러로서는, 클러치 슬립 제어가 실행되어도, 비실행이어도, 제1 영역에서 지시압 저하, 제2 영역에서 지시압 유지에 의한 동일한 라인압 제어를 행하는 예로 해도 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전동 오일 펌프(S-O/P)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M-O/P)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제1 영역에서는, 제1 학습값 Lv1을 지시압 저하의 목표값으로 하고, 제2 영역에서는 제2 학습값 Lv2를 지시 저하의 목표값으로 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유압원이 천이할 때에, 제1 영역에서의 「필요 지시압」 또는 「초기 지시압으로부터의 저하폭」을 실험 등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해 둔다. 그리고 제1 영역 동안에 대해, 「초기 지시압」으로부터 「필요 지시압」 또는 「초기 지시압으로부터의 저하폭」을 향해 지시압을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는 예로 해도 된다. 또한, CL2 슬립이 비실행시에 있어서의 제2 영역 동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2 영역에서의 「필요 지시압」 또는 「지시압 저하폭」을 미리 실험 등에 기초하여 설정해 두고, 제2 영역 개시시의 지시압으로부터 「필요 지시압」 또는 「지시압 저하폭」을 향해 지시압을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는 예로 해도 된다. 여기서, 제1 영역에서의 「필요 지시압」은, 「초기 지시압」보다 낮고, 또한 「필요압」보다 높은 지시압이며, 「필요압」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지시압에 의해 결정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학습값 연산부로서, 미리 준비된 2개의 다른 라인압 제어를 경험하였을 때, 제2 영역 (b)에서의 실 유압과 목표 유압의 차분 ΔP1, ΔP2를, 제1 학습값 Lv1 및 제2 학습값 Lv2로서 결정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학습값 연산부로서는, 소정의 학습 조건이 성립되는 라인압 제어를 경험할 때마다 실 유압과 목표 유압의 대소 관계를 판단하여, 1회의 학습 경험에서 미리 정한 학습 보정량만큼 목표 유압에 근접하는 연산 처리에 의해 제1 학습값과 제2 학습값을 얻도록 해도 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를, 「WSC 모드」를 선택한 발진시에 CL2 슬립 제어를 행하는 1 모터ㆍ2 클러치이며 유단의 자동 변속기를 탑재한 구동계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는, 무단 변속기를 탑재한 구동계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예를 들어 아이들 스톱 제어를 행하는 엔진 차량이나 전기 자동차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아이들 스톱 제어를 행하는 엔진 차량이나 전기 자동차는, 정차시(엔진이나 주행 모터를 정지)에 있어서, 전동 오일 펌프를 유압원으로 하여, 정차로부터 발진하면,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을 천이한다. 그리고 구동계에 갖는 발진 클러치를 슬립 체결하여 발진하는 경우에는, 저더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M-O/P : 메커니컬 오일 펌프
S-O/P : 전동 오일 펌프
7 : AT 컨트롤러(라인압 컨트롤러)
10 : 통합 컨트롤러
23 : 라인압 솔레노이드
24 : 프레셔 레귤레이터 밸브
25a : 제1 토출압 유로
25b : 제2 토출압 유로
25c : 합류 토출압 유로(라인압 유로)
26a, 26b : 플래퍼 밸브
27 : 릴리프 밸브

Claims (5)

  1. 주행 구동원에 의한 구동에 의해 펌프 작동하는 메커니컬 오일 펌프와,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와 유압 회로 상에 병렬로 설치되고, 전동 모터에 의한 구동에 의해 펌프 작동하는 전동 오일 펌프와,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와 상기 전동 오일 펌프를 유압원으로 하고, 구동계에 배치된 유압 체결 마찰 요소에의 제어 유압의 원압인 라인압을 만들어내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는 라인압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라인압 컨트롤러는, 상기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상기 전동 오일 펌프가 유압원이고,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의 토출압을 확인할 수 있는 제1 영역의 동안에는,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한 초기 지시압으로부터, 초기 지시압보다 낮고, 또한 필요압을 확보할 수 있는 필요 지시압을 향해 지시압을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전동 오일 펌프와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의 양자가 유압원인 제2 영역의 동안에는, 상기 제1 영역 종료 시점의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체결 마찰 요소는, 구동계에 배치되고, 소정의 주행 모드에서 슬립 체결하는 슬립 제어를 행하는 클러치이고,
    상기 라인압 컨트롤러는, 상기 전동 오일 펌프와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의 양자가 유압원인 제2 영역에 있어서, 상기 슬립 제어가 실행되지 않는 동안은, 상기 제1 영역 종료 시점의 지시압으로부터 필요 지시압을 향해 더욱 저하시키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슬립 제어가 실행되면, 상기 슬립 제어 이행시의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을 출력하는 슬립 제어 개입 대응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압 컨트롤러는, 상기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상기 메커니컬 오일 펌프로 유압원이 천이할 때, 라인압 제어에서의 지시압 저하폭을 학습값으로 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실 라인압을 측정하고, 상기 실 라인압과 목표 라인압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값을 정하는 학습값 연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값 연산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있어서 상기 필요압에 대해 미리 높게 설정한 초기 지시압을 얻는 라인압 지령을 유지하는 라인압 제어를 행하였을 때,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실 라인압을 측정하고, 상기 실 라인압과 목표 라인압의 차분을 제1 학습값으로서 연산하고, 상기 제1 학습값을 제1 영역에서의 지시압 저하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값 연산부는, 상기 제1 학습값을 제1 영역에서의 지시압 저하폭으로 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있어서 초기 지시압으로부터 상기 지시압 저하폭을 저하시켜, 상기 제2 영역에 있어서 저하된 지시압을 유지하는 라인압 지령에 의한 라인압 제어를 행하였을 때, 제2 영역에서의 실 라인압을 측정하고, 상기 실 라인압과 목표 라인압의 차분을 제2 학습값으로서 연산하고, 상기 제2 학습값을 제2 영역에서의 지시압 저하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
KR1020120148123A 2011-12-19 2012-12-18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 KR101471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77344A JP5769025B2 (ja) 2011-12-19 2011-12-19 車両用ライン圧制御装置
JPJP-P-2011-277344 2011-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542A KR20130070542A (ko) 2013-06-27
KR101471722B1 true KR101471722B1 (ko) 2014-12-10

Family

ID=4752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123A KR101471722B1 (ko) 2011-12-19 2012-12-18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80618B2 (ko)
EP (1) EP2607752B1 (ko)
JP (1) JP5769025B2 (ko)
KR (1) KR101471722B1 (ko)
CN (1) CN1031618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7136B2 (ja) * 2011-02-16 2015-11-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始動装置の保護装置
US9145049B2 (en) * 2011-12-19 2015-09-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essure controlled driveline mechanical coupling
EP2902672A4 (en) * 2012-09-26 2016-08-03 Jatco Ltd AUTOMATIC TRANSMISSION WITH A REAMING BODY WITH A LOCKING MECHANISM USED THEREF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008196B (zh) * 2013-03-27 2017-09-19 爱信艾达株式会社 车辆驱动装置的控制装置
JP2015034586A (ja) * 2013-08-08 2015-02-19 ジヤトコ株式会社 フライホイール回生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5977212B2 (ja) * 2013-08-08 2016-08-24 ジヤトコ株式会社 フライホイール回生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5960658B2 (ja) * 2013-08-08 2016-08-02 ジヤトコ株式会社 フライホイール回生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01448B1 (ko) * 2014-07-04 2016-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오일펌프의 구동제어 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CN107002782B (zh) * 2014-11-20 2018-06-08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起步离合器的磨合控制装置
JP6410648B2 (ja) * 2015-03-26 2018-10-24 ジヤトコ株式会社 車両用油圧制御装置
KR101714235B1 (ko) * 2015-10-08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오일펌프시스템
US10677349B2 (en) * 2016-07-19 2020-06-09 Jatco Ltd Pressure regulation valve control device
JP6431561B2 (ja) * 2017-03-31 2018-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
DE102021208712A1 (de) 2021-08-10 2023-02-16 Vitesco Technologies Germany Gmbh Steuerungsalgorithmus für eine elektrische Ölpump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087A (ko) * 2002-02-18 2003-08-25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의 제어장치
KR20090043123A (ko) * 2007-10-29 2009-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20100034709A (ko) * 2008-09-24 2010-04-01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3906A (en) * 1990-08-30 1993-11-23 Antonov Automotive North America B.V. Mechanical automatic transmission directly responsive to torque
US5884601A (en) * 1998-02-02 1999-03-23 Siemens Canada Limited Electric motor driven primary oil pump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428444B1 (en) * 1999-09-06 2002-08-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GB2361980A (en) * 2000-05-05 2001-11-07 Eaton Corp Dry clutch control system using idle drive torque so as to provide vehicle crawl speed
JP4576713B2 (ja) * 2000-12-28 2010-11-1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オイルポンプの駆動制御装置
JP3700776B2 (ja) * 2001-12-07 2005-09-2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の駆動制御装置
JP2003269605A (ja) * 2002-03-11 2003-09-25 Honda Motor Co Ltd 車両制御装置
JP3922549B2 (ja) * 2002-07-10 2007-05-30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JP4228789B2 (ja) * 2003-06-18 2009-0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DE102005013137A1 (de) * 2005-03-22 2006-09-28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Ölversorgung für ein Automatgetriebe und ein Anfahrelement
JP4569493B2 (ja) 2005-06-06 2010-10-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オイルポンプ駆動制御装置
JP3995018B2 (ja) * 2006-01-31 2007-10-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4748601B2 (ja) * 2006-12-26 2011-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4333759B2 (ja) * 2007-03-22 2009-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JP4464984B2 (ja) * 2007-04-20 2010-05-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オイル供給装置
JP4941194B2 (ja) * 2007-09-14 2012-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油圧制御装置
JP5252171B2 (ja) * 2007-09-19 2013-07-3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JP2009133428A (ja) * 2007-11-30 2009-06-18 Aisin Aw Co Ltd 車両用駆動装置
US8057355B2 (en) * 2008-03-31 2011-1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multi-mode hybrid transmission and method of regulating the same
JP5177552B2 (ja) * 2008-12-26 2013-04-0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制御装置
JP5141981B2 (ja) * 2009-03-17 2013-02-1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4976441B2 (ja) * 2009-03-25 2012-07-18 ジヤトコ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US8062171B2 (en) * 2009-05-01 2011-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engagement control during an engine restart of a hybrid electric vehicle
US8070648B2 (en) * 2009-05-28 2011-1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clutch stroking control during an engine restart in a hybrid electric vehicle
JP2010281432A (ja) * 2009-06-08 2010-12-16 Toyota Central R&D Labs Inc 自動変速機の油圧供給装置
JP5306974B2 (ja) * 2009-12-02 2013-10-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オイルポンプ
CN102712314B (zh) * 2010-01-20 2015-07-2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用的控制装置以及方法
JP5116789B2 (ja) * 2010-03-09 2013-01-09 ジヤトコ株式会社 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348048B2 (ja) * 2010-03-29 2013-11-2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動力伝達機構の制御装置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5221612B2 (ja) * 2010-09-14 2013-06-26 株式会社日立カーエンジニアリング 電動オイルポンプ用モータ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501937B2 (ja) * 2010-11-02 2014-05-28 ジヤトコ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EP2677128B1 (en) * 2011-02-15 2017-04-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vehicle oil supply device
US9145049B2 (en) * 2011-12-19 2015-09-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essure controlled driveline mechanical coupling
JP5799873B2 (ja) * 2012-03-29 2015-10-2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13212728A (ja) * 2012-03-30 2013-10-17 Aisin Aw Co Ltd ハイブリッド車用自動変速装置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087A (ko) * 2002-02-18 2003-08-25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의 제어장치
KR20090043123A (ko) * 2007-10-29 2009-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20100034709A (ko) * 2008-09-24 2010-04-01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7752A2 (en) 2013-06-26
EP2607752A3 (en) 2017-08-02
JP2013127298A (ja) 2013-06-27
EP2607752B1 (en) 2018-08-01
KR20130070542A (ko) 2013-06-27
CN103161842B (zh) 2016-01-20
CN103161842A (zh) 2013-06-19
JP5769025B2 (ja) 2015-08-26
US20130158761A1 (en) 2013-06-20
US9080618B2 (en) 201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722B1 (ko) 차량용 라인압 제어 장치
KR101768825B1 (ko) 차량의 제어 장치
KR101696586B1 (ko) 차량의 제어 장치
JP5501937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7472769B2 (en) Hybrid vehicle control system
KR10077231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장치
KR101342197B1 (ko) 자동 변속기
KR101293014B1 (ko) 차량의 유압 제어 장치
JP6115022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20100034709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장치
JP521219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クラッチ制御装置
JP2010143308A (ja) 車両の駆動トルク制御装置
JP2010269642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動制御装置
JP7223762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569649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5691386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5151702B2 (ja) 複合ブレーキの協調制御装置
JP2012092975A (ja) 自動変速機
JP5550524B2 (ja) 自動変速機
JP201209293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