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284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284B1
KR101466284B1 KR1020127023495A KR20127023495A KR101466284B1 KR 101466284 B1 KR101466284 B1 KR 101466284B1 KR 1020127023495 A KR1020127023495 A KR 1020127023495A KR 20127023495 A KR20127023495 A KR 20127023495A KR 101466284 B1 KR101466284 B1 KR 10146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play device
voltage
hexafluoroacetylacetonate
tr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480A (ko
Inventor
노리히사 코바야시
카즈키 나카무라
유이치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치바대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치바대학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치바대학
Publication of KR20130004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oxidation-reduction reactions in organic liquid solutions, e.g. viologen solu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reflectors or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63Operation of electrochromic cells, e.g. electrodeposition cells; Circuit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09F9/37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the positions of the elements being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of an electric fiel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8Metal complexes
    • C09K2211/182Metal complexes of the rare earth metals, i.e. Sc, Y or lanthan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4Materials and properties dye
    • G02F2202/046Materials and properties dye fluoresc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자 구조의 복잡화를 방지하고, 또한 휴대성을 불필요하게 저하하는 것 없이 고품질의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전극이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기판, 및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협지된 재료층을 포함하며, 상기 재료층은 전압의 인가에 의하여 변색하는 발색 재료,및 광여기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재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형 및 발광형의 양방식을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V나 개인컴퓨터(PC)용 모니터를 비롯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표시장치)는 근년의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빠뜨릴 수 없는 장치이다.
표시장치의 표시 방식은 반사형, 투과형, 발광형의 크게 3개로 나눌 수 있다.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자는 표시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표시장치가 놓여지는 환경을 상정해 바람직한 표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근년의 표시장치의 소형화, 박막화에 따라 표시장치의 휴대성이 향상되어, 여러 가지 밝기의 환경에 휴대하여 이동하는 표시장치를 사용할 기회가 매우 많아지고 있어 여러 가지 밝기의 환경에 있어서도 고성능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3에, 표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조합한 표시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개평 10-125461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 2002-169154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개 2006-113355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시장치에서는 액정표시장치와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따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소자의 구조,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디스플레이가 두꺼워져, 박막화의 요구에 응하기 어렵고, 휴대성의 저하로 연결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표시장치에서는 액정 재료에 대한 전계 발광재료의 용해성이 낮아서, 충분한 발광 특성을 얻을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더욱이, 전계 발광재료의 배합에 의해서 액정상 전이 온도저하나 자발광 모드시의 고전압인가에 의해서 액정상이 등방성(等方性)화하여, 액정 구조가 사라져 버릴 우려도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표시장치에서는 한 개의 기판에 복수종류의 투명전극을 제작하여야 하며, 소자 구조가 복잡화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발광층과 발색층 사이에 발광재료확산 방지층을 구비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독립된 복수의 표시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그 복수의 표시 방식이 중복하는 경우가 있어, 그러한 경우에 표시 화상이 보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품질 저하의 우려도 적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소자 구조의 복잡화를 방지하여, 휴대성을 불필요하게 저하시키는 일 없이, 고품질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의 1 관점과 관련된 표시장치는, 전극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의 사이에 협지된 재료층을 갖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재료층은 전압 인가에 따라 변색하는 발색 재료와, 광여기(photo-excitation)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본발명에 따라, 소자 구조의 복잡화를 방지하고, 휴대성을 불필요하게 저하시키는 일 없이, 고품질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실시형태 1과 관련된 표시장치의 개략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실시형태 1에 관련되는 표시장치의 반사형 표시 방식에 있어서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표시장치의 재료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 표시장치의 재료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 실시형태 1에 관련되는 표시장치의 발광형 표시 방식에 있어서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실시형태 1과 관련된 표시장치의 표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실시형태 1과 관련된 표시장치의 표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실시예 1과 관련된 표시장치의 외관(표시 상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실시예 1과 관련된 표시장치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실시예 2에서 제작한 표시장치의 전극의 형상(세그먼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실시예 2에서 제작한 표시장치의 외관(표시 상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실시예 3에서 제작한 표시장치의 외관(표시 상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실시형태 2에 관련되는 표시장치의 발광형 표시 방식에 있어서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실시형태 2의 다른 태양에 관한 표시장치의 개략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실시형태 2의 다른 태양에 관한 표시장치의 개략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실시형태 2의 다른 태양에 관한 표시장치의 개략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실시예 4에 있어서 표시장치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의 전류값 및 광흡수량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실시예 4에 있어서 표시장치에 직류 전류를 인가했을 경우의 광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실시예 4에 있어서 표시장치에 직류 전류를 인가했을 경우의 착색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도 20] 실시예 4에 있어서 표시장치에 교류 전류를 인가했을 경우의 발광 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실시예 4에 있어서 표시장치에 교류 전류를 인가했을 경우의 발광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도 22] 실시예 4에 있어서 표시장치의 착색 모드(반사형) 및 발광 모드(발광형)를 각각의 구동을 시행했을 때의 광흡수 및 광강도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실시예 4에 있어서 표시장치의 모드 구동의 사진도면이다.
[도 24] 실시예 5에 있어서 표시장치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의 전류값 및 광흡수량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실시예 5에 있어서 표시장치에 직류 전류를 인가했을 경우의 착색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도 26] 실시예 5에 있어서 표시장치에 교류 전류를 인가했을 경우의 발광 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실시예 5에 있어서 표시장치에 교류 전류를 인가했을 경우의 발광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도 28] 실시예 5에 있어서 교류 전압의 전압 값을 4 V로 했을 경우 및 6 V로 했을 경우에 각각의 발광 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많은 서로 다른 태양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표시장치(이하 「본표시장치」라고 한다. )(1)의 개략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표시장치(1)은 전극(21,31)이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기판(2,3)과, 한 쌍의 기판(2, 3) 사이에 협지(挾持)된 재료층(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표시장치에는 한 쌍의 기판(2,3) 및 재료층(4)(이하 이들을 합하여 「패널부」라고 한다. )에 빛을 입사하기 위한 광원(5)(후술한 도 2에 기재)이 배치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서 패널부에 빛을 조사 할 수 있다. 광원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발광재료를 발광시키는 광여기용 광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효과는 이후 기재로부터 분명해지나,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발광재료가 발광하는 파장 영역의 빛(여기광)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져, 발광재료를 발광시켜 발광형 표시를 할 수 있다. 여기서 「광여기용 광원」이란, 발광재료가 발광하기 때문에 흡수하는 빛의 파장 영역에 있는 빛을 방사(放射)할 수 있는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출하는 빛의 피크 파장이 발광재료가 흡수하는 파장영역내에 있는 광원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기판(2,3)은 재료층(4)을 사이에 두고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고, 기판(2,3)의 적어도 한쪽이 투명하면 되지만, 한 쪽이 투명, 다른 쪽이 반사 기능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반사 기능을 가지는 기판을 반사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보다 간편한 구성의 반사형 표시장치가 된다. 또한, 양쪽 모두 투명한 기판을 이용한 경우는 투과형 표시장치라고 해도 좋지만, 기판의 다른 쪽에 별도 반사판을 설치해 두는 것으로 반사형 표시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기판(2,3)의 재료로서는 어느 정도의 딱딱함,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안정적으로 재료층을 유지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리, 플라스틱, 금속, 반도체 등을 채용할 수 있고, 투명한 기판으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유리나 플라스틱을, 반사 기능을 갖게 하는 경우는 금속이나 반도체 등을 기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기판(2,3)의 각각에 대향하는 면측(내측)에 전극(2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은 한 쌍의 기판(2,3)에 의해서 협지되는 재료층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다. 전극의 재료로서는 적합한 도전성을 가지는 한에 있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기판(2, 3)의 재질이 투명한 기판인 경우는 ITO 나 IZO 등의 투명 전극인 것이 바람직하고, 기판(2,3)의 재질이 불투명한 기판인 경우는 Cu나 Al 등의 금속 전극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투명전극을 채용해도 좋고, 또한, 금속 기판 그 자체의 도전성을 이용해 금속기판을 전극으로서 이용해도 좋다(이 경우도 기판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이 금속 등 도전성을 가지는 경우, 원하지 않는 장소에서의 전극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판과 전극 사이에 필요한 절연막 등을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전극은 기판상에, 표시하고 싶은 문자 등의 패턴에 맞춘 형상으로서 형성해도 좋으며, 또한 같은 복수의 영역마다 구분되어 전극 패턴을 복수 기판상에 늘어놓아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복수의 영역마다 구분하면, 각 영역을 화소로 하고, 화소마다 표시를 제어하여 복잡한 형상의 표시에도 대응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전극은 각각 도전성을 가지는 배선을 통해 전원에 접속되어있고, 이 전원의 ON, OFF에 따라서 재료층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인가된 전압을 해제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인가 시에 전압의 강도로서는 한 쌍의 기판 사이의 거리, 한 쌍의 전극 사이의 거리에 의해서 적당히 조정이 가능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기장 강도로서 예를 들면 1.0 X 104 V/m 이상 1.0 X 10 6 V/m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X 10 5 V/m 이하의 범위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재료층(4)은 서로 다른 자극에 따라 발색 또는 발광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층이고, 구체적으로는 발색재료(41)와 발광재료(4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재료층(4)은 상기 발색재료(41)과 발광재료(42) 이외에, 이들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용매, 지지(支持) 전해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전해질로서는 발색 재료의 산화 환원 등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라면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리튬염, 칼륨염, 나트륨염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리튬염으로서는 LiCl, LiBr, LiI, LiBF4, LiClO4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칼륨염으로서는 KCl, KI, KBr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나트륨염으로서는 NaCl, NaBr, BaI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 전해질의 농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 mM 이상 1 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매는 상기 발색재료(41) 및 발광재료(42)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물 등의 극성 용매 이어도 좋고, 극성이 없는 유기용매, 더욱이, 이온성 액체, 이온 도전성고분자, 고분자 전해질 등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산 프로필렌,디메틸 술폭시드, N , N ―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폴리비닐황산, 폴리스티렌술폰산, 폴리아크릴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발색 재료라는 것은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변색하는 재료이며, 색의 변화를 이용하여 표시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발색 재료로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기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및 무기 일렉트로크로믹재료 중에서 적어도 어느 쪽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유기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로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비올로겐 유도체, 폴리피롤유도체, 폴리아닐린 유도체, 폴리티오펜 유도체, 페닐에스테르 유도체, 안트라퀴논유도체, 페닐아민 유도체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4-디아세틸벤젠, N,N'-디메틸비올로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1,4-디헵틸비올로겐, 4,4'-비페닐디카르본산디에틸에스테르,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예시할 수 있고, 무기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로서는 수산화 이리듐 산화티탄 등의 천이 금속 산화물, 더욱이 수산화이리듐 등의 금속 수산화물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또한, 유기 일렉트로크로믹 재료의 예를 하기에 나타낸다. 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례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72451781-pct00001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발색 재료는 상기와 같이 전극간 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 변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발색에 의하여 상술한 대로 그 밖의 영역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반사형 표시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이미지 도면을 도 2에 나타낸다(그림 중에서, 발색하고 있는 부분이 전압을 인가한 부분을, 발색하고 있지 않는 부분이 전압을 인가하고 있지 않는 부분을 가리키고 있다). 또한, 발색 재료의 농도로서는 상기 기능을 가지는 한에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0.5 mM 이상 30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mM 이하이다. 또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표시장치에서는 발광재료와 발색재료의 조합에 근거해 복수의 표시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발광재료의 농도를 1로 했을 경우, 발색재료의 농도는 0.1 이상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2 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발광재료라는 것은 입사되는 빛에 의해서 여기되어 발광할 수 있는 재료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발색 재료와의 에너지 이동의 관점에서 희토류 금속 착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희토류 금속착체라는 것은 희토류 금속과 희토류 원소에 배위자가 배위한 화합물을 말한다. 상기 희토류 금속 착체에 있어서 이용되는 희토류 금속으로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Eu, Tb, Yb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발광재료의 구체적인 예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유로퓸(III),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테르븀(III) 및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이테르븀(III)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발광재료에 있어서, 발광을 여기하기 위한 광흡수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은 가시 영역 내에 있어도 좋지만, 가시 영역 외(예를 들면, 360 nm 미만 또는 830 nm 보다 긴 파장 영역)에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가시 영역 외로 하면, 발광 표시 상태에 있어서 발광 영역만을 강조해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콘트라스비의 향상에 보다 기여한다. 또한, 발광재료의 농도로서는 상기 기능을 가지는 한에 있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0.5 mM 이상 30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mM 이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발색재료와 발광재료는 근접해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접해 존재시키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광재료에서 발색재료로 에너지를 이동시킴으로써 불필요한 발광을 억제할 수 있다. 발색재료와 발광재료를 근접해 존재시키는 수단으로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색재료와 발광재료를 비교적 높은 농도로 분산시켜 배치하는 것,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색재료와 발광재료를 서로 층상에 적층해 형성하는 것, 또한,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색재료와 발광재료를 공유결합 등으로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형성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학적으로 결합한 예로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상기 예시의 조합으로서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유로퓸(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폴리아닐린,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 테르븀(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폴리아닐린,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이테르븀(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폴리아닐린,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유로퓸(1,4-디아세틸벤젠),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테르븀 (1,4-디아세틸벤젠),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이테르븀 (1,4-디아세틸벤젠)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하기 식에, 금속 착체에 의하여 화학적으로 결합한 재료의 일례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12072451781-pct00002
또한, 상기도 3에서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 발색재료와 발광재료는 각각 10 nm 이하의 두께에서 층상으로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두께로 하는 것으로서, 발색재료와 발광재료 사이에서의 에너지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복수의 표시 상태가 가능해진다.
본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밝은 장소에서는 반사형의 표시 방식을 채용하여 정보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상기도 2참조). 구체적으로는 일부의 화소에 있어서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전압이 인가되는 영역과 인가되어 있지 않은 영역 사이에 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것이 표시 화면이 된다. 물론, 전압을 인가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어떤 화상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으로부터 빛은 방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어두운 장소에서는 발광형의 표시 방식을 채용하여 정보의 표시를 할 수 있다. 그런데, 통상의 사고에서는 광여기형의 발광재료를 이용하여 화상표시를 행하게 하려고 하는 경우, 발광시키는 영역을 고려하여 광원으로부터의 빛에 마스크를 실시하여 표시하고 싶은 화상 형상에 맞추어 패널부에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본표시장치에서는 반사형의 표시방식에 있어서 이용하고 있는 전극을 발광형의 표시 방식에도 유용하게 활용하여 마스크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원하는 화상 표시를 할 수 있다. 이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광원(바람직하게는 광여기용 광원)으로부터 빛이 방출된 패널부에 입사되고 있는 상황 아래에서, 일부의 화소전극 사이에는 전압이 인가되어 있고, 다른 화소전극 사이에는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의 예는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화소는 비발광이 되고 있어 전극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화소는 발광하고 있는 상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원리에 대해서 도 6,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들은 발색재료(일렉트로크로믹 재료)와 발광재료(희토류 착체)의 에너지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 은 발광 표시 상태의 경우를, 도 7은 반사형 표시 상태(발색상태)의 경우를, 각각 가리키고 있다. 또한 이들의 도면은 발광재료로서 Eu(hfa)3(H2O)2 착체를 이용하여 발색 재료로서 N,N'-디헵틸비올로겐을 이용했을 경우의 도면이다. 또한, 각각의 도면에 있어서 좌측은, 발색재료(일렉트로크로믹 재료)의 에너지 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우측은 발광재료의 에너지 준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우선, 도 2와 같이 발색재료의 변색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경우(반사형의표시 방식)는 좌측의 발색재료에서 에너지의 이동만을 생각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 일렉트로크로믹 반응을 일으켜,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화소와 전압이 인가되고 있지 않은 화소 사이의 발색에 차이를 형성하고, 색을 조정하는 것으로 화상 표시를 행하게 한다. 이 경우, 에너지는 동일 재료 내에서 이동한다. 또한, 이 경우에 발광재료에 에너지를 공급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빛을 방출시킬 필요는 없다.
한편, 도 5와 같이 발광재료의 발광을 이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경우(발광 표시상태의 경우), 표시를 행하고 싶은 장소(화소)에 있어서 전극 사이의 전압의 인가를 해제하고 광원으로부터 여기광을 방출시킨다. 그러면, 이 영역에 있어서, 발광재료가 광원으로부터 에너지를 얻어 광여기 하여 빛을 발한다. 그런데,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고 있는 장소(화소)에서는 이 에너지는 근접하여 존재하는 발색재료로 이동해 버려, 발광에는 사용되지 않게 된다. 이 결과,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복수의 표시 상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발색 재료의 기저 상태와 여기상태의 에너지차이가, 발광재료의 기저 상태와 여기 상태의 에너지차이 이하(바람직하게는 1800 cm-1 이상의 차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는 것으로, 발광재료에서 발색재료로 에너지를 이동(휄스터형 에너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발광을 억제해 발광 및 비발광의 표시의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표시장치에 의하면, 소자 구조의 복잡화를 방지하고, 휴대성을 불필요하게 저하시키는 일 없이, 고품질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표시장치에서는 전극을 발색 및 비발색으로 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발광 및 비발광의 마스크로서도 작동하게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표시장치에서는 설명하기 위하여, 전압을 인가한 부분에서 비발광으로 하고, 전압을 인가하고 있지 않는 부분에서 발광시키고 있지만, 발색재료의 에너지상태에 따라서는 전압을 인가하고 있지 않는 부분에서 비발광으로 하고, 전압을 인가한 부분에서 발광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1]
여기서, 실제로, 발색재료와 발광재료를 포함한 재료층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효과를 확인했다. 이하 설명한다.
탄산 프로필렌을 용매로 하고, 지지 전해질로서 TBAP를 50 mM, 발색재료로서 N,N'-디헵틸비올로겐을 10 mM, 발광재료로서 하기 식에서 가리키는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 유로퓸 착체(Eu(hfa)3(H2O)2)를 10 mM를 포함한 재료층을, ITO 전극이 형성된 한 쌍의 기판 사이에70 μm의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하고 전압을 인가상태(DC 2.2 V) 또는 무인가 상태로, 빛을 조사했을 때의 흡수 특성 및 발광 강도를 측정했다. 도 8에, 본 실시예와 관련된 표시장치의 외관에 대하여, 도 9에, 측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에서 여기광의 파장은 337 nm를 사용했다.
[화학식 3]
Figure 112012072451781-pct00003

이들 도면이 가리킨 바와 같이, 전압을 인가 하지 않고, 여기광을 입사하고 있지 않는 경우, 가시 영역(360 nm - 830 nm 정도)에 있어서 거의 흡수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투명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전압을 인가하고, 여기광을 입사하고 있지 않는 경우, 400 nm 및 600 nm 근방에서 흡수의 피크를 확인할 수 있고,재료층은 색으로 물들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전압을 인가 시키지 않고 여기광을 입사했을 경우, 615 nm 근방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빛의 방출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전계를 인가한 경우는 여기광을 입사했을 경우라도 발광하지 않고, 거의 가시 영역에 있어서 빛이 사라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강도비 300분의 1로 감소했다.)
이 결과, 예를 들면 밝은 환경 아래에서는 여기광을 입사하지 않고, 전압을 인가하거나, 인가를 해제하는 것으로 반사형 표시장치로서 사용이 가능해지는 한편,어두운 환경 아래에서는 여기광을 입사하고, 발광 표시를 행하고 싶은 부분에 있어서 전압의 인가를 해제하여, 발광 표시를 행하고 싶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하여, 명암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표시장치로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2 )
또한, 이번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전극의 형상을 바꾸어 표시장치를 제작하여 그 효과를 확인했다. 구체적으로는 한쪽의 전극을 면상의 전극으로 하는 한편, 다른 쪽의 전극을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조합한 표시장치로 했다. 이 전극의 개략을 도 10에 나타내고, 실제로 행한 표시의 결과를도 11에 나타낸다. 또한, 전극 사이의 거리, 인가하는 전압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2.2 V로 했다.
이 결과, 도 11에서 가리키는 바와 같이, 광원으로부터 여기광을 공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필요한 세그먼트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하는 것만으로, 발색 부분과 비발색 부분을 구별할 수 있어 표시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을 확인했다. 한편, 광원으로부터 여기광을 공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압을 인가한 세그먼트에서는 발광이 일어나지 않고, 전압을 인가하고 있지 않는 세그먼트에서는 발광을 확인할 수 있어 표시장치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탄산 프로필렌을 용매로 하고, 지지 전해질로서 TBAP를 200mM, 발색재료로서 DMT를 50 mM, 발광재료로서 하기 식에서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 유로퓸(III) 비스(트리페닐포스핀옥시드)를 50 mM를 포함한 재료층을, ITO 전극이 형성된 한 쌍의 기판의 사이에 70 μm의 스페이서 사이에배치하여,전압을 인가 상태(DC 4V) 또는 무인가 상태로, 빛을 조사했을 때의 흡수특성 및 발광 강도를 측정했다. 도 12에, 본 실시예와 관련된 표시장치의 외관에 대해서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여기광의 파장이 365 nm의 것을 사용했다.
[화학식 4]
Figure 112012072451781-pct00004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밝은 환경 아래에서는 여기광을 입사 시키지 않고, 전압을 인가하거나 인가를 해제하는 것으로 반사형 표시장치로서 사용이 가능해지는 한편, 어두운 환경 아래에서는 여기광을 입사하여, 발광 표시를 행하고 싶은 부분에 있어서 전압의 인가를 해제하고, 발광 표시를 행하고 싶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 명암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표시장치로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표시장치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고, 소자 구조의 복잡화를 방지하여, 휴대성을 불필요하게 저하시키는 일 없이, 고품질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형태 2)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광여기에 의해서 발광하는 발광재료를 이용하고 있으나, 교류 전압에 의해서 여기하여 발광할 수 있는 전기화학발광재료(42)를 재료층(4)에, 상기 실시형태 1의 발광재료를 대신하여 또는 상기 실시형태 1의 발광재료에 더하여 포함하게 할 수도 있다. 전기화학 발광재료(42)로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Ru(bpy)3(PF6)2, RuPF6, RuCl6에, PVB(폴리비닐부티랄), DPA(9,10-디페닐안트라센), TBAP(과염소산테트라부틸암모늄) 등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화학발광재료의 농도에 대해서는 교류 전압에 의해서 여기하여 발광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재료에 의해서 적당히 조정이 가능하지만, 5 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1 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100 mM 이하이다. 그 외, 표시장치의 구조로서는, 상기 실시형태 1과 같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표시 소자의 구성의 개략도면을 도 13에 나타낸다.
본표시장치는 상기와 같이, 예를 들면 직류 전압을 인가 했을 경우에는 반사형 표시 방식을 채용하여 정보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부의 화소에 있어서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전압이 인가된 영역과 인가되어 있지 않은 영역 사이에 색의 차이가 발생해, 이것이 표시화면이 된다. 물론, 전압을 인가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어떤 화상도 표시되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의 한쪽에 배치되어 다른 광원(상기 실시형태 1에서 여기광과는 다른 광을 방출하는 것이어도 좋다)으로부터의 광을 한 쌍의 기판에 입사하게 하는 반사판을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류 전압인가시의 전압의 강도로서는 한 쌍의 기판 사이의 거리, 한 쌍의 전극 사이의 거리에 의해서 적당히 조정이 가능하고,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기장 강도로서 예를 들면 1.0 X 10 4V/m 이상 1.0 X 10 6V/m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X 10 5V/m 이하의 범위내이다.
한편, 어두운 장소에서는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발광형의 표시 방식을 채용해 정보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그런데, 통상, 교류이든 직류이든 표시장치에 전압을 인가하면, 양쪽의 재료에 의한 발광이 생기기 때문에, 표시가 보기 어렵게 된다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본표시장치에 있어서, 직류 전류를 인가 했을 경우(착색 표시의 경우), 일렉트로크로믹 재료(41)는 산화 또는 환원 반응에 따라서 착색하는 한편, 전기화학발광재료(42)는 산화체 또는 환원체 중 어느 한쪽 밖에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발광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교류 전류를 인가 했을 경우(발광 표시의 경우), 전기화학 발광재료는 산화체와 환원체가 생성되기 때문에 발광할 수 있는 한편, 일렉트로크로믹 재료(41)는 고속으로 착색, 색의 소멸을 반복하기 때문에 사실상 착색하지 않는다. 이 결과, 착색 모드와 발광 모드 양쪽의 모드를 가지는 표시장치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가 불명료하게 되는 위치를 숨기는 마스크 등을 불필요하게 설치하는 것이 적게 되어, 원하는 화상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발광형의 표시의 경우, 교류 전압의 강도로서는 한 쌍의 기판 사이의 거리, 한 쌍의 전극간의 거리에 의해서 적당히 조정이 가능하고,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기장 강도로서는 예를 들면 1.0 X 10 4V/m 이상 1.0 X 10 6V/m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X 10 5V/m 이하의 범위내이다.
또한, 교류 전압의 주파수로서는 일렉트로크로믹 재료(41)의 착색, 색의 소멸이 인간의 눈에 사실상 착색을 느끼게 하지 않는 정도가 되는 한편, 전기화학발광이 가능해지는 정도의 것이면 좋고,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0 Hz 이상 1000 Hz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Hz 이상 500 Hz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Hz 이상 200 Hz이하의 범위이다.
이상,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표시장치에 의하면, 소자 구조의 복잡화를 방지해, 휴대성을 불필요하게 저하시키는 일 없이, 고품질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재료층에 전기화학 발광재료를 포함하는 한편, 일렉트로크로믹 재료가 한 쌍의 전극의 한쪽을 수식(修飾)하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이 구조의 개략에 대해서 도 14에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태양에 대한 표시장치는 한 쌍의 기판(2,3)과, 한 쌍의 기판(2,3)이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21,31)과, 한 쌍의 전극의 사이에 협지되어 전기화학발광재료(42)를 포함한 재료층(4)를 가지고, 한 쌍의 전극 중의 한쪽은 일렉트로크로믹 재료(4)에 의해서 수식되고 있다.
상기 태양에서는 상기와 같이 일렉트로크로믹 재료가 한 쌍의 전극의 한쪽을 수식하고 있다. 여기서 수식(修飾)이라는 것은 고체로서 또는 어느 정도의 점도를 가지고 전극상에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말하며, 예를 들면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를 유지한 이온 교환막 등의 폴리머막을 전극상에 형성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재료층이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를 포함하는 한편, 전기화학발광재료가 한 쌍의 전극의 한쪽을 수식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고, 도 15에 상기 태양과 관련된 표시장치의 개략 단면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장치는 한 쌍의 기판(2,3)과, 한 쌍의 기판(2,3)의 대향 하는 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21,31)과, 한 쌍의 전극의 사이에 협지되어, 일렉트로크로믹 재료(41)을 포함한 재료층(4)를 가지고, 한 쌍의 전극의 중에서 한쪽은 전기화학 발광재료(42)에 의해서 수식되고 있다.
상기 태양에서는 상기와 같이 전기화학발광재료가 한 쌍의 전극의 한쪽을 수식하고 있다. 여기서 수식(修飾)이라는 것은 고체로서 또는 어느 정도의 점도를 가지고 전극상에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말하며, 예를 들면 전기화학 발광재료를 유지한 이온 교환막 등의 폴리머막을 전극상으로 형성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한쪽의 전극을 전기화학발광재료로 수식하는 것으로써, 전극 근방에 전기화학 발광재료의 농도를 높게 하는 것으로 발광형, 반사형 쌍방의 기능을 보다 명확하게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기화학 발광재료가 한 쌍의 전극의 한쪽을, 일렉트로크로믹 재료가 다른 쪽의 전극을 수식하고 있도록 해도 괜찮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표시장치는 한 쌍의 기판(2,3)과, 상기 한 쌍의 기판(2,3)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21,31)과, 상기 한 쌍의 전극의 사이에 협지된 재료층(4)를 가지고, 한 쌍의 전극 중에서 한쪽은 전기화학 발광재료에 의해서 수식되고 있어 다른 쪽의 전극은 일렉트로크로믹 재료에 의해서 수식되고 있다. 도 16에 상기 태양에 관련되는 표시장치의 개략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태양에서는 상기와 같이 전기화학발광재료가 한 쌍의 전극의 한쪽을 수식하고, 일렉트로크로믹 재료가 다른 쪽의 전극을 수식하고 있다. 여기서 수식(修飾)이라는 것은 고체로서 또는 어느 정도의 점도를 가지고 전극상에 보유되고 있는 상태를 말하며, 예를 들면 전기화학 발광재료를 유지한 이온 교환막등의 폴리머막을 전극상에 형성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표시장치에 의하면, 소자 구조의 복잡화를 방지해, 휴대성을 불필요하게 저하시키는 일 없이, 고품질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쪽의 전극을 전기 화학 발광재료로 수식하고, 다른 한쪽의 전극을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로 수식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전극 부근에 전기화학 발광재료 또는 일렉트로크로믹 재료의 농도를 높게 하여 발광형, 반사형 쌍방의 기능을 보다 명확하게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형태 2와 관련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제로 제작하여 소자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기판으로서 유리 기판을 이용해 한 쌍의 전극재로서 ITO를 이용하고,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로서 DMT를 이용하고, 전기화학 발광재료로서 Ru착체(Ru(bpy)3(PF6)2)를 이용하며, 용매로서 DMSO를, 지지염으로서 TBAP를 이용했다. 덧붙여 DMT의 농도는 50 mM, Ru 착체의 농도는 10 mM, 지지염의 농도는 100 mM로 했다. 또한, 스페이서를 이용해 한 쌍의 전극 사이의 거리를 70 μm로 하여 상기 전해질층을 한 쌍의 기판 사이에 협지시켰다.
그 후, 직류 전압 및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 표시 상태를 확인했다. 상기 결과를 도 17 내지 도 23 에 나타낸다. 도 17은 직류 전압을 -4 V 로부터0 V까지 변화시켰을 경우의 전류값 및 530 nm 빛의 흡수량 변화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은 직류 전류를 -2.5 V, -3.0 V, -3.5 V, -4.0 V 로 변화시켰을 경우의 광흡수 스펙트럼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9는 전압의 변화에 근거하는 착색의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또한, 도 20은±4 V, 50 Hz 의 교류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의 발광 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1은 이 경우의 발광의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또한,도 22는 착색 모드(반사형) 및 발광 모드(발광형)의 각각을 구동을 행했을 때의 광흡수 및 광강도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3은 그 사진도면이다.
이 결과, 직류, 교류의 전압을 선택하는 것으로 발광형, 반사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시방식도 실현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한 표시장치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한 쌍의 기판으로서 유리 기판을 이용하며, 한 쌍의 전극 재료로서 ITO를 이용하며, 하기 식에서 나타내는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도체 (VYLON 200, 토요보사 제조)를 이용하여 전기화학 발광재료로서 Ru착체(Ru(bpy)3(PF6)2)를 이용하고, 용매로 DMSO를, 지지염으로서 TBAP를 이용했다. 또한, PET 유도체는 유리에 OH:NCO = 1:3, 100℃ 로 2 시간 가열하고, 이소시아네이트로 가교하여, 전극을 수식했다. 또한, Ru 착체는 9 wt% 플레미온(에탄올 용액)을 스핀 코팅(1000 rpm, 10s, 1500 rpm,10s)으로 도포한 후, 5 mM Ru 착체 수용액에 침지하여, Ru 착체를교환막에 흡착시켜 다른 쪽의 전극을 수식했다. 또한, 이들 전극의 사이에는 스페이서에 의하여 300μm 의 거리를 유지하고, 한 쌍의 기판 사이에 50 mM의 TBAP, 20 wt%의 DMSO로 이루어지는 전해층을 협지시켰다.
[화학식 5]
Figure 112012072451781-pct00005

그 후, 직류 전압및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 표시 상태를 확인했다. 그 결과를 도 24 내지 도 27에 나타낸다. 도 24는 직류 전압을 -4 V로부터 0 V까지 변화시켰을 경우의 전류값 및 530 nm의 빛의 흡수량 변화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5는 전압의 변화에 근거하는 착색의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또한, 도 26은±4 V, 50 Hz의 교류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의 발광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7은 이 경우의 발광의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또한, 도 28은 교류 전압의 전압 값을 4 V로 했을 경우 및 6 V 로 했을 경우에 각각의 발광 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결과, 직류, 교류의 전압을 선택하는 것으로 발광형, 반사형 중 어느 하나의 표시방식도 실현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한 표시장치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표시장치
2,3 : 기판
4 : 재료층

Claims (10)

  1. 전극이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기판; 및
    상기 한 쌍의 기판의 사이에 협지(挾持)된 재료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료층은 전압의 인가에 의하여 변색하는 발색 재료; 및 광여기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재료;를 포함한 표시장치.
  2. 제1항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재료를 발광시키는 광여기용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료층은, 적어도 상기 발색재료와 상기 발광재료가 각각 0.5 mM 이상 300 mM 이하의 농도로 분산되어 있는 표시장치.
  4. 제1항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료층은, 상기 발색재료와 상기 발광재료가 각각 10 nm 이하의 두께에서 층상으로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표시장치.
  5. 상기 발색재료와 상기 발광재료가 화학적으로 결합되고 있는 제1항에 기재된 발광재료.
  6. 제1항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색재료는, 유기 일렉트로크로믹 재료 및 무기 일렉트로크로믹 재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재료는 희토류 착체를 포함한 표시장치.
  7. 제1항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색재료의 기저 상태와 여기 상태의 에너지차이가, 상기 발광재료의 기저 상태와 여기 상태의 에너지차이 이하인 표시장치.
  8. 제1항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색재료는 1,4-디아세틸벤젠, N,N'-디메틸비올로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아닐린,1,4-디헵틸비올로겐, 4,4'-비페닐디카르본산디에틸에스테르,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1항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재료는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유로퓸(III),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테르븀(III) 및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이테르븀(III)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5항의 발광재료에 있어서,
    상기 발색 재료와 상기 발광재료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은,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유로퓸(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폴리아닐린,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 테르븀(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폴리아닐린,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이테르븀(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폴리아닐린,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유로퓸(1,4-디아세틸벤젠),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테르븀 (1,4-디아세틸벤젠), 트리스(헥사플루오르아세틸아세토네이트)이테르븀 (1,4-디아세틸벤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재료.


KR1020127023495A 2010-03-11 2011-03-11 표시장치 KR101466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55170 2010-03-11
JPJP-P-2010-055170 2010-03-11
JP2010154498 2010-07-07
JPJP-P-2010-154498 2010-07-07
PCT/JP2011/055846 WO2011111843A1 (ja) 2010-03-11 2011-03-11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480A KR20130004480A (ko) 2013-01-10
KR101466284B1 true KR101466284B1 (ko) 2014-11-28

Family

ID=4456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495A KR101466284B1 (ko) 2010-03-11 2011-03-11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30141916A1 (ko)
JP (3) JP5761673B2 (ko)
KR (1) KR101466284B1 (ko)
CN (1) CN102918929A (ko)
WO (1) WO2011111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843A1 (ja) * 2010-03-11 2011-09-15 国立大学法人 千葉大学 表示装置
JP6032666B2 (ja) * 2012-07-12 2016-11-3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084388A1 (ja) * 2012-11-29 2014-06-05 国立大学法人千葉大学 表示装置
BR102013007194B1 (pt) * 2013-03-27 2021-12-21 Universidade De São Paulo-Usp Dispositivo eletrocrômico aplicado como janela eletrocrômica ou pixel e uso do referido dispositivo
JP6205551B2 (ja) * 2013-04-22 2017-10-0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表示素子
TWI473838B (zh) * 2013-11-13 2015-02-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聚醯胺酸、聚亞醯胺、及石墨片的製作方法
JP2015121657A (ja) * 2013-12-24 2015-07-0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5141203A (ja) * 2014-01-27 201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撮像光学系、撮像装置、窓材
JP2016100182A (ja) * 2014-11-21 2016-05-3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
JP6530927B2 (ja) * 2015-02-23 2019-06-12 株式会社ニデック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化合物、及び有機機能性素子
US10678068B2 (en) * 2015-12-18 2020-06-09 Verily Life Sciences Llc Electrochromic contact lens
CN105388677B (zh) * 2015-12-25 2018-05-18 电子科技大学 一种电致变色显示器件及其驱动方法
JP7141077B2 (ja) * 2017-11-28 2022-09-22 国立大学法人千葉大学 表示素子
WO2019172139A1 (ja) * 2018-03-05 2019-09-12 国立大学法人千葉大学 表示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11868016B2 (en) * 2021-04-15 2024-01-09 Ambilight Inc. Light-emitting electrochromic device
WO2022246027A1 (en) * 2021-05-20 2022-11-24 University Of Connecticut Electrochromic materials; preparation and us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474A (ko) * 2002-12-17 2004-06-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이저 전사법을 사용하는 저분자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소자용 도너 필름 및 그 필름을 사용하는 저분자 풀칼라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4949A (en) * 1976-02-27 1977-09-02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Display unit
JPS5443050A (en) * 1977-09-12 1979-04-05 Toshiba Corp Electrochromic display element
US4371268A (en) * 1979-12-28 1983-02-01 Rhythm Watch Company Limited Time correcting circuit for timepiece with electrochromic display
DE3008768C2 (de) * 1980-03-07 1985-04-04 Schott Glaswerke, 6500 Mainz Elektrochromer Spiegel
US4596722A (en) * 1982-04-21 1986-06-24 Hopkinson Associates Inc. Electrosensitive media and recording process
US4660939A (en) * 1983-09-08 1987-04-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US4652090A (en) * 1984-04-20 1987-03-24 Nippon Kogaku K. K. Dispersed iridium based complementary electrochromic device
JPS6279232U (ko) * 1985-11-06 1987-05-21
JPS62279318A (ja) * 1986-05-29 1987-12-04 Central Glass Co Ltd エレクトロミツク表示体
JP2512880B2 (ja) * 1987-04-03 1996-07-03 株式会社ニコン 第3電極層から電極取出しを行なつたec素子
JPH02217827A (ja) * 1989-02-20 1990-08-30 Canon Inc 光変調素子
JP3031976B2 (ja) 1990-08-24 2000-04-1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レーザ装置
US5612235A (en) * 1995-11-01 1997-03-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making thin film transistor with light-absorbing layer
US5891511A (en) * 1995-12-26 1999-04-06 Monsanto Company Addition of color to electrochromic displays
US6700692B2 (en) * 1997-04-02 2004-03-02 Gentex Corporation Electrochromic rearview mirror assembly incorporating a display/signal light
JPH11352230A (ja) * 1998-06-04 1999-12-24 Hamamatsu Photonics Kk X線画像検出装置
JP4608768B2 (ja) 2000-12-04 2011-01-12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259142B2 (ja) * 2003-03-07 2009-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ディスプレイ装置
US7090355B2 (en) * 2003-05-19 2006-08-15 Superimag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a transparent color image display utilizing fluorescence conversion of nano particles and molecules
JP2005157061A (ja) * 2003-11-27 2005-06-16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384005B2 (ja) * 2004-10-15 2009-12-16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JP2006163146A (ja) * 2004-12-09 2006-06-22 Canon Inc 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666531B2 (ja) * 2005-03-25 2011-04-0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8729795B2 (en) * 2005-06-30 2014-05-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7796242B2 (en) * 2005-08-22 2010-09-14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device,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identification system
US8310146B2 (en) * 2005-10-27 2012-11-13 Konica Minolta Holdings,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and illuminating device
TWI449009B (zh) * 2005-12-02 2014-08-11 Semiconductor Energy Lab 顯示裝置和使用該顯示裝置的電子裝置
US20070131949A1 (en) * 2005-12-12 2007-06-14 General Electric Company Color tunable light-emitting devic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8130805A (ja) 2006-11-21 2008-06-05 Yokogawa Electric Corp 外部共振器型波長可変光源
JP2008134536A (ja) * 2006-11-29 2008-06-12 Fuji Xerox Co Ltd 表示媒体、及び表示装置
US7764416B2 (en) * 2006-12-04 2010-07-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chromic device based on layer by layer deposition
JP5135790B2 (ja) * 2006-12-26 2013-02-06 ソニー株式会社 ピーク輝度レベル制御装置、自発光表示装置、電子機器、ピーク輝度レベル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145185A4 (en) * 2007-04-30 2010-06-02 Nanogen Inc DOSAGE OF SEVERAL ANALYTES
TWI524567B (zh) * 2007-09-27 2016-03-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元件,照明裝置,發光裝置,與電子裝置
KR100996374B1 (ko) * 2008-02-25 2010-11-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 여기 발광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5472104B2 (ja) * 2008-06-03 2014-04-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022105A2 (en) * 2008-08-19 2010-02-25 Plextronics, In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roducts
JP5154381B2 (ja) 2008-11-25 2013-02-27 株式会社ダイヘン パルスtig溶接ロボットの制御方法及びパルスtig溶接ロボットの制御システム
JP5316100B2 (ja) * 2009-03-06 2013-10-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用粒子分散液、表示媒体、及び表示装置
WO2011111843A1 (ja) * 2010-03-11 2011-09-15 国立大学法人 千葉大学 表示装置
JP2015216096A (ja) * 2014-04-25 2015-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基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474A (ko) * 2002-12-17 2004-06-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이저 전사법을 사용하는 저분자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소자용 도너 필름 및 그 필름을 사용하는 저분자 풀칼라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480A (ko) 2013-01-10
US10295882B2 (en) 2019-05-21
JP5761673B2 (ja) 2015-08-12
JPWO2011111843A1 (ja) 2014-01-20
US20130141916A1 (en) 2013-06-06
WO2011111843A1 (ja) 2011-09-15
JP6210500B2 (ja) 2017-10-11
JP2017016138A (ja) 2017-01-19
CN102918929A (zh) 2013-02-06
US20170371219A1 (en) 2017-12-28
JP2015121795A (ja)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284B1 (ko) 표시장치
US7184191B2 (en) Display device
JP4816069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
CN105960717B (zh) 包括电致变色器件和有机电致发光器件的智能窗
KR101348004B1 (ko) 일렉트로크로믹 표시 장치
JP4310077B2 (ja) 金属配位化合物及び有機発光素子
JP6610023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
Watanabe et al. Improvement in reflective–emissive dual-mode properties of electrochemical displays by electrode modification
CN107731884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01092390A (ja) 表示装置
Kanazawa et al. Dual emissive-reflective display materials with large emission switching using highly luminescent lanthanide (III) complex and electrochromic material
KR100698429B1 (ko) 발광 소자
JP2005302657A (ja) 有機発光素子
JP5010135B2 (ja) 多色表示素子
JP6728670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73616B1 (ko) 디스플레이 소자
WO2013171660A1 (en)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an electroluminescent metal-organic framework
JP2012128218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
Nobeshima et al. Electrochemical materials for novel light emitting device and dual mode display
KR101073617B1 (ko) 디스플레이 소자
WO2014084388A1 (ja) 表示装置
JP2005099481A (ja) デュアルモードディスプレイ
JP2015121657A (ja) 表示装置
EP4212949A1 (en) Light driven electrochromic display
JP2004258474A (ja) フォトクロミック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