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555B1 -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555B1
KR101455555B1 KR1020137015275A KR20137015275A KR101455555B1 KR 101455555 B1 KR101455555 B1 KR 101455555B1 KR 1020137015275 A KR1020137015275 A KR 1020137015275A KR 20137015275 A KR20137015275 A KR 20137015275A KR 101455555 B1 KR101455555 B1 KR 101455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ent
general formula
hydrogen atom
hal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9653A (ko
Inventor
유미 코바야시
히로유키 카츠타
미치카즈 노무라
히데타카 츠카다
아츠시 히라바야시
히데노리 다이도
유스케 타카하시
신이치 반바
Original Assignee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9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4Nitr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nil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nilides
    • A01N37/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nilides containing at least one oxygen or sulfur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the groups —CO—N< and, both being directly attached by their carbon atoms to the same carbon skeleton, e.g. H2N—NH—CO—C6H4—COOCH3; Thio-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01N37/46N-acyl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01N37/48Nitro-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 A01N41/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containing a sulfur-to-oxygen double bond
    • A01N41/04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01N41/06Sulfonic acid am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 A01N41/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containing a sulfur-to-oxygen double bond
    • A01N41/10Sulfones; Sulfox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 A01N41/1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not containing sulfur-to-oxygen bonds, e.g. polysulf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81,3-Thiazoles; Hydrogenated 1,3-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10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 A01N47/12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a —O—CO—N< group, or a thio analogue thereof, neither directly attached to a ring nor the nitrogen atom being a member of a heter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0Derivatives containing the group >N—CO—N aryl or >N—CS—N—ary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28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4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28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4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nitrogen atoms of ami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further acyl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1/00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doubly-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51/32Oximes
    • C07C251/34Oximes with oxygen atoms of oxyimino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07C251/36Oximes with oxygen atoms of oxyimino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with the carbon atoms of the oxyimino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1/38Oximes with oxygen atoms of oxyimino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with the carbon atoms of the oxyimino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a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24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cyano groups and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further bound to other hetero atoms, bound to the same saturated acyclic carbon skeleton
    • C07C255/29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cyano groups and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further bound to other hetero atoms, bound to the same saturated acyclic carbon skeleton containing cyano groups and acylated ami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49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255/57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cyano groups and carboxyl groups, other than cya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49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255/58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cyano groups and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further bound to other hetero atom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9/00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an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and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59/04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an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and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without replacement of the other oxygen atom of the carboxyl group, e.g. hydroxamic acids
    • C07C259/06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an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and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without replacement of the other oxygen atom of the carboxyl group, e.g. hydroxamic acids having carbon atoms of hydroxamic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2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04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5/06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and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75/14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and saturated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9/00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9/30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guanidine groups bound to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9/32N-nitroguanidines
    • C07C279/36Substituted N-nitroguanid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30Sulfon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31Sulfon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32Sulfon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30Sulfon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45Sulfon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at least one of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e.g. N-acylaminosulfonamides
    • C07C311/46Y being a hydrogen or a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2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28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9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07C323/40Y being a hydrogen or a carbon atom
    • C07C323/42Y being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5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cyclic Ring Compounds With Rings Of Six Or More Member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하기 일반식(1)
[화1]
Figure 112013052717055-pat00621

{식 중, A는, 탄소 원자, 질소 원자 등을, K는 A와 A가 결합하는 2개의 탄소 원자와 함께, 5원 또는 6원의 방향족환에 유래하는 환상 연결기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비금속 원자군을 나타내고, X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등을, n은 0~4의 정수를, T는, -C(=G1)-Q1(식 중, G1, G2는 산소 원자 등, Q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 등을 나타낸다.) 등을, Q2 페닐기 등을, G3은 산소 원자 등을, R1, R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C1-C6알킬기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 등(단, R1, R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AMIDE DERIVATIVE, PEST CONTROL AGENT CONTAINING THE AMIDE DERIVATIVE AND PEST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공개 제2005/21488호 팜플렛, 국제공개 제2005/73165호 팜플렛, 국제공보 제2006/137376호 팜플렛, 국제공보 제2006/137395호 팜플렛에는, 여러 가지의 아미드 유도체가 기재되어 있다.
농업 및 원예 등의 작물 생산에 있어서, 해충 등에 의한 피해는 지금 더욱 크고, 기존약에 대한 저항성 해충의 발생 등의 요인으로부터 신규한 농원예용 살충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취농자의 노령화 등에 의해 각종의 생력적 시용 방법이 요구됨과 함께, 이들의 시용 방법에 적절한 성격을 가지는 농원예용 살충제의 창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농업 해충에 대해서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유용 작물을 보호하는 효과와 함께, 저약량화에 의해 환경에의 부하 저감에 크게 공헌하는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신규한 농원예용 살충제를 개발할 수 있도록 열심히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의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가 문헌 미기재의 신규 화합물이고, 식물의 뿌리로부터 높은 흡수 이행 작용을 나타내는 것에 의해 뛰어난 살충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경엽 등에의 산포 처리에 의해서도 뛰어난 살충 효과를 나타내는 살충제인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신규 제조방법과 유용한 중간체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대로이다.
<1> 하기 일반식(1)
[화1]
Figure 112013052717055-pat00001
{식 중, A는, 탄소 원자, 산소 원자, 질소 원자, 산화된 질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K는, A와, A가 결합하는 2개의 탄소 원자와 함께, 벤젠, 피리딘, 피리딘-N-옥시드,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진, 피롤, 피라졸, 이미다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티아졸, 이소티아졸, 푸란, 티오펜, 옥사디아졸, 티오디아졸 또는 트리아졸에 유래하는 환상 연결기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비금속 원자군을 나타낸다.
X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설포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설포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킬카르보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아릴카르보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 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카르바모일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펜타플루오로설파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할로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X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X는 서로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된다.
X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피리딜기, 피리딘-N-옥시드기, 피리미디닐기, 피라지닐기, 피리다질기, 푸릴기, 티에닐기, 옥사졸릴기, 이소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졸릴기, 이소티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피롤릴기, 이미다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피라졸릴기, 또는 테트라졸릴기를 나타낸다.
*n은 0~4의 정수를 나타낸다.
T는, -C(=G1)-Q1, 또는 -C(=G1)-G2Q3을 나타낸다.
(식 중, G1 및 G2는, 각각 독립하여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Q1 및 Q3은,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벤질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 를 나타낸다.)
Q2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기를 나타낸다.
또한, Q1, Q3 및 Q2에 있어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벤질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의 치환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C1-C6할로알콕시기, C1-C6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옥시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옥시기, C1-C6알킬설포닐옥시기, C1-C6할로알킬설포닐옥시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C2-C7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C1-C6알킬아미노기, C1-C6할로알킬아미노기, 아미노기, 카르바모일기, 설파모일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펜타플루오로설파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벤질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벤질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벤조일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카르바모일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또한, Q1, Q3, Q2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X에 있어서의 복소환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G3은,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R1 및 R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
도 되는 C3-C7알케닐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케닐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키닐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키닐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할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할로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단, R1 및 R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002
M1~M8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카르복시기, 히드록시기, 카르바모일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케닐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케닐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키닐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키닐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할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할로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할로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또한, M1~M8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의 치환기는, Q1, Q3 및 Q2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의 치환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M1~M8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Q1, Q3 및 Q2에 있어서의 복소환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003
U1~U19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3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3할로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U3과 U4, U5와 U6, U10과 U11, U12와 L, U13과 U14, U15와 U16, 및 U17~U19는 각각 서로 연결하여 포화 복소환기를 형성해도 된다.
단, D가 -0U12에서, L이 메틸렌기일 때, U1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3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3할로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또한, U1~U19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및 치환기 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의 치환기는, Q1, Q3 및 Q2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의 치환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또, U1~U19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Q1, Q3 및 Q2에 있어서의 복소환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2>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A가, 탄소 원자, 질소 원자, 산화된 질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K가, A와, A가 결합하는 2개의 탄소 원자와 함께, 벤젠, 피리딘, 피리딘-N-옥시드, 피롤, 푸란, 티오펜 또는 티아졸에 유래하는 환상 연결기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비금속 원자군을 나타내고, X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T는, -C(=G1)-Q1을 나타내고(식 중, G1은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Q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Q2가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상기 <1>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화2]
Figure 112013052717055-pat00004
(식 중, Y1 및 Y5는, 각각 독립하여, 할로겐 원자, C1-C4알킬기, C1-C4할로알킬기, C1-C4알콕시기, C1-C4할로알콕시기, C1-C4알킬티오기, C1-C4할로알킬티오기, C1-C4알킬설피닐기, C1-C4할로알킬설피닐기, C1-C4알킬설포닐기, C1-C4할로알킬설포닐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Y3은, C1-C6할로알킬기, C1-C6할로알콕시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또는 C1-C6할로알킬설포닐기를 나타내고, Y2 및 Y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C1-C4알킬기를 나타낸다.)
[화3]
Figure 112013052717055-pat00005
(식 중, Y6 및 Y9는, 각각 독립하여, 할로겐 원자, C1-C4알킬기, C1-C4할로알킬기, C1-C4알콕시기, C1-C4할로알콕시기, C1-C4알킬티오기, C1-C4할로알킬티오기, C1-C4알킬설피닐기, C1-C4할로알킬설피닐기, C1-C4알킬설포닐기, C1-C4할로알킬설포닐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Y8은, C1-C6할로알킬기, C1-C6할로알콕시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또는 C1-C6할로알킬설포닐기를 나타내고, Y7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C1-C4알킬기를 나타낸다.)
<3>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A가, 탄소 원자, 질소 원자, 산화된 질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K가, A와, A가 결합하는 2개의 탄소 원자와 함께, 벤젠, 피리딘, 피리딘-N-옥시드 또는 티아졸에 유래하는 환상 연결기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비금속 원자군을 나타내는 상기 <2>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4>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R1, R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4알킬기,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단, R1, R2의 어느 하나는,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L은, -C(M1)(M2)-, -C(M1)(M2)-C(M3)(M4)-, 또는 -C(M1)(M2)-C(M3)(M4)-C(M5)(M6)-을 나타내고, M1~M6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카르복시기, 히드록시기, 카르바모일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4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4할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4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4할로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4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4할로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D는, -C(=O)NU3U4, -S-U7, -S(=O)U8, -S(=O)(=O)U9, -S(=O)(=O)NU10U11, 또는 -C=N을 나타내는 상기 <3>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5>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R1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4알킬기를 나타낸다.
D는 -C(=O)NU3U4, -S(=O)U8, -S(=O)(=O)U9, 또는 -S(=O)(=O)NU10U11을 나타내고, U3, U4, U8, U9, U10, U11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4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4할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4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4할로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4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4할로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내는 <4>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6>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4a)
[화4]
Figure 112013052717055-pat00006
(일반식(4a) 중, Q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Y1 및 Y5는 각각 독립하여, 할로겐 원자, 또는 C1-C3할로알킬기, Y2 및 Y4는 수소 원자, Y3은 C3-C4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낸다. R1 및 R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R1 및 R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5>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7> 상기 D는, -C(=O)NU3U4, 또는 -S(=O)(=O)NU10U11인 상기 <5>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8>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4b)
[화5]
Figure 112013052717055-pat00007
(일반식(4b) 중, Q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Y1 및 Y5는 각각 독립하여, 할로겐 원자, 또는 C1-C3할로알킬기, Y2 및 Y4는 수소 원자, Y3은 C3-C4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낸다. R1 및 R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R1 및 R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7>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9> 하기 일반식(6d)
[화6]
Figure 112013052717055-pat00008
(식 중, Y5d는 C1-C3할로알킬기를 나타낸다. Y1d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1-C4알킬기, C1-C4할로알킬기, C1-C4알콕시기, C1-C4할로알콕시기, C1-C4알킬티오기, C1-C4할로알킬티오기, C1-C4알킬설피닐기, C1-C4할로알킬설피닐기, C1-C4알킬설포닐기, C1-C4할로알킬설포닐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Y3d는, C1-C6할로알킬기, C1-C6할로알콕시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또는 C1-C6할로알킬설포닐기를 나타낸다.
Y2d 및 Y4d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C1-C4알킬기를 나타낸다.
R2a는, 수소 원자, 산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트리메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C1-C6할로알콕시기, C2-C6알케닐옥시기, C2-C6할로알케닐옥시기, C2-C6알키닐옥시기, C2-C6할로알키닐옥시기, C3-C9시클로알콕시기, C3-C9할로시클로알콕시기, C1-C6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벤젠설포닐기, 벤질설포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페녹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옥시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옥시기, C4-C10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벤조일기, 벤질기, -C(=O)C(=O)R7(식 중, R7은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또는 C1-C6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L 및 D는, R2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닐린 유도체.
<10> 상기 <9>에 기재된 일반식(6d)에 있어서, Y1d가 할로겐 원자인 상기 <9>에 기재된 아닐린 유도체.
<11> 상기 <9>에 기재된 일반식(6d)에 있어서, Y1d가 수소 원자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할로겐화제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아닐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12> 하기 일반식(6a)
[화7]
Figure 112013052717055-pat00009
(식 중, A, K, X, n, 및 G3은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및 G3과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2a는 상기 일반식(6d)에 있어서의 R2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Wa는 니트로기, 아미노기, 또는 -NH-R1a를 나타낸다.
R1a는 산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트리메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C1-C6할로알콕시기, C2-C6 알케닐옥시기, C2-C6할로알케닐옥시기, C2-C6알키닐옥시기, C2-C6할로알키닐옥시기, C3-C9시클로알콕시기, C3-C9할로시클로알콕시기, C1-C6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벤젠설포닐기, 벤질설포닐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옥시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옥시기, 벤질기, -C(=O)C(=O)R7(식 중, R7은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또는 C1-C6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L 및 D는, R2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
Y1a 및 Y5a는 각각 독립하여, 할로겐 원자, C1-C6할로알콕시기, 또는 C1-C3할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단, K가, A와, A가 결합하는 2개의 탄소 원자와 함께, 벤젠환을 형성하고, X가 모두 수소 원자이며, R2a가 수소 원자이며, Y3a가 C3퍼플루오로알킬기인 경우, Y5a는 C1-C3할로알킬기이다. 또한, K가, A와, A가 결합하는 2개의 탄소 원자와 함께, 벤젠환을 형성하고, X가 시아노기인 경우, Y5a는, C1-C6할로알콕시기, 혹은 C1-C3할로알킬기이다.
Y2a 및 Y4a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혹은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Y3a는 C2-C5할로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13> 상기 일반식(6a)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41)
[화8]
Figure 112013052717055-pat00010
(식 중, A, K, X, n,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A, K, X, n,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12>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14> 하기 일반식(40)
[화9]
Figure 112013052717055-pat00011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A, K, X, n 및 G3은,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및 G3과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6f)
[화10]
Figure 112013052717055-pat00012
(식 중, R2a,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R2a, Y1a, Y2a, Y3a, Y4a, 및 Y5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15> 상기 일반식(6a)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42)
[화11]
Figure 112013052717055-pat00013
(식 중, A, K, X, n,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A, K, X, n,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12>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16> 상기 <13>에 기재된 일반식(4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일반식(42)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17> 하기 일반식(43)
[화12]
Figure 112013052717055-pat00014
(식 중, A, K, X, n, G3,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A, K, X, n, G3,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49a)
[화13]
R2a-LG 일반식(49a)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R2a는, 트리메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시아노기,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벤젠설포닐기, 벤질설포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페녹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벤조일기, 벤질기, -C(=O)C(=O)R7(식 중, R7은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또는 C1-C6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L 및 D는, R2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41c)
[화41]
Figure 112013052717055-pat00015
(식 중, R2a는 상기 일반식(49a)에 있어서의 R2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A, K, X, n, G3,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A, K, X, n, G3,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18> 상기 일반식(6a)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44)
[화15]
Figure 112013052717055-pat00016
(식 중, A, K, X, n, G3, Y1a, Y2a, Y3a, Y4a, Y5a, R1a, 및 R2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A, K, X, n, G3, Y1a, Y2a, Y3a, Y4a, Y5a, R1a, 및 R2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12>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19> 하기 일반식(42a)
[화16]
Figure 112013052717055-pat00017
(식 중, R2a는 산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트리메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C1-C6할로알콕시기, C2-C6알케닐옥시기, C2-C6할로알케닐옥시기, C2-C6알키닐옥시기, C2-C6할로알키닐옥시기, C3-C9시클로알콕시기, C3-C9할로시클로알콕시기, C1-C6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벤젠설포닐기, 벤질설포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페녹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옥시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옥시기, C4-C10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벤조일기, 벤질기, -C(=O)C(=O)R7(식 중, R7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기 또는 C1-C6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L 및 D는, R2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를 나타내고, A, K, X, n, G3,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A, K, X, n, G3,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47a)
[화17]
R1a-LG 일반식(47a)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R1a는 트리메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시아노기,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벤젠설포닐기, 벤질설포닐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벤질기, -C(=O)C(=O)R7(식 중, R7은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또는 C1-C6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L 및 D는, R2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44a)
[화18]
Figure 112013052717055-pat00018
(식 중, R1a는 상기 일반식(47a)에 있어서의 R1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R2a는 상기 일반식(42a)에 있어서의 R2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A, K, X, n, G3,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A, K, X, n, G3,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20> 상기 <15>에 기재된 일반식(4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알데히드류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44c)
[화19]
Figure 112013052717055-pat00019
(식 중, R1a는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A, K, X, n,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A, K, X, n,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21> 상기 일반식(6a)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6b)
[화20]
Figure 112013052717055-pat00020
(식 중, Xb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혹은 니트로기를 나타내고, n은 4이며, Wa,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Wa,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12>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22> 상기 일반식(6b)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41b)
[화21]
Figure 112013052717055-pat00021
(식 중, Xb, n,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b)에 있어서의 Xb, n,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21>에 기재된 화합물.
<23> 하기 일반식(40b)
[화22]
Figure 112013052717055-pat00022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G3은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G3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n 및 Xb는 상기 일반식(6b)에 있어서의 n 및 Xb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14>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6f)
[화23]
Figure 112013052717055-pat00023
(식 중, R2a,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R2a, Y1a, Y2a, Y3a, Y4a 및 Y5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2>에 기재된 일반식(41b)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24> 일반식(6b)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42b)
[화24]
Figure 112013052717055-pat00024
(식 중, Xb, n,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b)에 있어서의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21>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25> 상기 <22>에 기재된 일반식(4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4>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25]
Figure 112013052717055-pat00025
(식 중, Xb, n, G3,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b)에 있어서의 Xb, n, G3,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와, 상기 <17>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49a)
[화26]
R2a-LG 일반식(49a)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R2a는, 트리메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시아노기,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벤젠설포닐기, 벤질설포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페녹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벤조일기, 벤질기, -C(=O)C(=O)R7(식 중, R7은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또는 C1-C6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L 및 D는, R2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41d)
[화27]
Figure 112013052717055-pat00026
(식 중, R2a는, 상기 일반식(49a)에 있어서의 R2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Xb, n, G3,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b)에 있어서의 Xb, n, G3, Y1a, Y2a, Y3a, Y4a 및 Y5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의 제조방법.
<27> 일반식(6b)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44b)
[화28]
Figure 112013052717055-pat00027
(식 중, R2a는 상기 일반식(42a)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Xb, n, G3,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b)에 있어서의 Xb, n, G3,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21>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28> 하기 일반식(42c)
[화29]
Figure 112013052717055-pat00028
(식 중, R2a는 상기 일반식(42a)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Xb, n, G3,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b)에 있어서의 Xb, n, G3,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19>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47a)
[화30]
R1a-LG 일반식(47a)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R1a는 트리메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시아노기,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
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벤젠설포닐기, 벤질설포닐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벤질기, -C(=O)C(=O)R7(식 중, R7은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또는 C1-C6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L 및 D는, R2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7>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44d)
[화31]
Figure 112013052717055-pat00029
(식 중, R1a는, 상기 일반식(47a)에 있어서의 R1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R2a는 상기 일반식(42a)에 있어서의 R2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Xb, n, G3,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b)에 있어서의 Xb, n, G3,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29> 상기 <24>에 기재된 일반식(42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알데히드류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44e)
[화32]
Figure 112013052717055-pat00030
(식 중, R1a는 상기 일반식(44c)에 있어서의 R1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R2a, Xb, n, G3,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b)에 있어서의 R2a, Xb, n, G3,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30> 하기 일반식(6g)
[화33]
Figure 112013052717055-pat00031
(식 중, A, K, X, n, G3 및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G3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Wg는, 니트로기, 아미노기 또는 -NH-T를 나타낸다. T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T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2g는 -L-D(L 및 D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R2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31> 일반식(6g)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41g)
[화34]
Figure 112013052717055-pat00032
(식 중, A, K, X, n, G3, R2g 및 Q2는 상기 일반식(6g)에 있어서의 A, K, X, n, G3, R2g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30>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32> 하기 일반식(48)
[화35]
H2N-Q2 일반식(48)
(식 중,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Q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49g)
[화36]
R2g-LG 일반식(49g)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R2g는, 상기 일반식(6g)에 있어서의 R2g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48g)
[화37]
Figure 112013052717055-pat00033
(식 중,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Q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2g는, 상기 일반식(6g)에 있어서의 R2g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닐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33> 상기 <32>에 기재된 일반식(4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알데히드류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48h)
[화38]
Figure 112013052717055-pat00034
(식 중,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Q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035
Figure 112013052717055-pat00036
를 나타내고, M1~M8은,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M1~M8과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D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R2에 있어서의 L 및 D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닐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34> 상기 <14>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40)
[화39]
Figure 112013052717055-pat00037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A, K, X, n 및 G3은,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및 G3과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48g)
[화40]
Figure 112013052717055-pat00038
(식 중,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Q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2g는, 상기 일반식(6g)에 있어서의 R2g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1>에 기재된 상기 일반식(41g)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35> 상기 일반식(6g)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42g)
[화41]
Figure 112013052717055-pat00039
(식 중, A, K, X, n, G3, R2g 및 Q2는 상기 일반식(6g)에 있어서의 A, K, X, n, G3, R2g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30>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36> 상기 <31>에 기재된 일반식(41g)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5>에 기재된 일반식(42g)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37> 하기 일반식(43g)
[화42]
Figure 112013052717055-pat00040
(식 중, A, K, X, n, G3 및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G3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32>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49g)
[화43]
R2g-LG 일반식(49g)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R2g는, 상기 일반식(6g)에 있어서의 R2g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1>에 기재된 일반식(41g)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38> 일반식(6g)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46g)
[화44]
Figure 112013052717055-pat00041
(식 중, T, A, K, X, n, G3, R2g 및 Q2는 상기 일반식(6g)에 있어서의 T, A, K, X, n, G3, R2g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30>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39> 상기 <35>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42g)
[화45]
Figure 112013052717055-pat00042
(식 중, A, K, X, n, G3, R2g 및 Q2는 상기 일반식(6g)에 있어서의 A, K, X, n, G3, R2g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45)
[화46]
T-LG 일반식(45)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T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T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8>에 기재된 일반식(46g)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40> 하기 일반식(50)
[화47]
Figure 112013052717055-pat00043
(식 중, T, A, K, X, n, G3, 및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T, A, K, X, n, G3,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47g)
[화48]
R1g-LG 일반식(47g)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R1g는 -L-D(L 및 D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R1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1g)
[화49]
Figure 112013052717055-pat00044
(식 중, R1g는 상기 일반식(47g)에 있어서의 R1g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T, A, K, X, n, G3, 및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T, A, K, X, n, G3,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41> 하기 일반식(52)
[화50]
Figure 112013052717055-pat00045
(식 중, T, R2, A, K, X, n, G3, 및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T, R2, A, K, X, n, G3,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47)
[화51]
R1-LG 일반식(47)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R1은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42> 하기 일반식(55a)
[화52]
Figure 112013052717055-pat00046
(식 중, Xa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A, K, X, n 및 G3은,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및 G3과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2a,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R2a,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43> 하기 일반식(54)
[화53]
Figure 112013052717055-pat00047
(식 중, Xa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A, K, X, n 및 G3은,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및 G3과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14>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6f)
[화54]
Figure 112013052717055-pat00048
(식 중, R2a,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R2a,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2>에 기재된 일반식(55a)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44> 하기 일반식(56a)
[화55]
Figure 112013052717055-pat00049
(식 중, Xa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A, K, X, n 및 G3은,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및 G3과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17>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49a)
[화56]
R2a-LG 일반식(49a)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R2a는, 트리메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시아노기,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벤젠설포닐기, 벤질설포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페녹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벤조일기, 벤질기,-C(=O)C(=O)R7(식 중, R7은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또는 C1-C6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L 및 D는, R2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55b)
[화57]
Figure 112013052717055-pat00050
(식 중, R2a는 상기 일반식(49a)에 있어서의 R2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Xa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A, K, X, n 및 G3은,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및 G3과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45> 상기 <42>에 기재된 일반식(55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아미노화제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53a)
[화58]
Figure 112013052717055-pat00051
(식 중, R1a는 수소 원자, 산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트리메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C1-C6할로알콕시기, C2-C6알케닐옥시기, C2-C6할로알케닐옥시기, C2-C6알키닐옥시기, C2-C6할로알키닐옥시기, C3-C9시클로알콕시기, C3-C9할로시클로알콕시기, C1-C6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벤젠설포닐기, 벤질설포닐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옥시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옥시기, 벤질기, -C(=O)C(=O)R7(식 중, R7은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또는 C1-C6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L 및 D는, R2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 A, K, X, n 및 G3은,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및 G3과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2a,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R2a,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46> 하기 일반식(55g)
[화59]
Figure 112013052717055-pat00052
(식 중, Xa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A, K, X, n, G3 및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G3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2g는 -L-D(L 및 D는, R2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47> 상기 <43>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54)
[화60]
Figure 112013052717055-pat00053
(식 중, Xa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A, K, X, n 및 G3은,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및 G3과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32>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48g)
[화61]
Figure 112013052717055-pat00054
(식 중,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Q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2g는, 상기 일반식(6g)에 있어서의 R2g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6>에 기재된 일반식(55g)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48> 상기 <46>에 기재된 화합물을 아미노화제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53g)
[화62]
Figure 112013052717055-pat00055
(식 중, A, K, X, n, G3 및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G3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2g는, 상기 일반식(6g)에 있어서의 R2g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1b는 수소 원자, 산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트리메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C1-C6할로알콕시기, C2-C6알케닐옥시기, C2-C6할로알케닐옥시기, C2-C6알키닐옥시기, C2-C6할로알키닐옥시기, C3-C9시클로알콕시기, C3-C9할로시클로알콕시기, C1-C6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벤젠설포닐기, 벤질설포닐기, C2-
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페녹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옥시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옥시기, C4-C10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벤조일기, 벤질기, -C(=O)C(=O)R7(식 중, R7은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또는 C1-C6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L 및 D는, R1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49> 상기 일반식(4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58a)
[화63]
Figure 112013052717055-pat00056
(식 중,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A, K,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A, K,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13>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50> 상기 <13>에 기재된 일반식(41)에 있어서, X가 염소 원자, 브롬 원자 혹은 요오드 원자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불소화제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9>에 기재된 일반식(58a)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51> 상기 일반식(41g)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58g)
[화64]
Figure 112013052717055-pat00057
(식 중,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A, K, G3 및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G3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2g는, 상기 일반식(6g)에 있어서의 R2g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31>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52> 상기 <31>에 기재된 일반식(41g)에 있어서, X가 염소 원자, 브롬 원자 혹은 요오드 원자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불소화제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1>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53> 상기 일반식(4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60a)
[화65]
Figure 112013052717055-pat00058
(식 중,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A, K,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A, K, G3, R2a, Y1a, Y2a, Y3a, Y4a 및 Y5a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13>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54> 상기 <13>에 기재된 일반식(41)에 있어서, X가 할로겐 원자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시아노화제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3>에 기재된 일반식(60a)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55> 상기 일반식(41g)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60g)
[화66]
Figure 112013052717055-pat00059
(식 중,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A, K, G3 및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G3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2g는, 상기 일반식(6g)에 있어서의 R2g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31>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56> 상기 <31>에 기재된 일반식(41g)에 있어서, X가 할로겐 원자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시아노화제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5>에 기재된 일반식(60g)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57> 하기 일반식(6h)
[화67]
Figure 112013052717055-pat00060
(식 중, A, K, X, n, G3, R2 및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G3, R2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Wh는, -NH-R1 혹은 -N(T)-R1을 나타낸다. R1 및 T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R1 및 T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R1 및 R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58> 상기 일반식(6h)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6c)
[화68]
Figure 112013052717055-pat00061
(식 중, Wc는, -NH-C(M1)(M2)-C(M3)-D, -N(T)-C(M1)(M2)-C(M3)-D, -N(T)-L-C(=O)-LG, 또는 -N(T)-L-C(=O)-NU3U4를 나타낸다. M1, M2, M3, D, L, U3, 및 U4는, R2에 있어서의 M1, M2, M3, D, L, U3, 및 U4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T, A, K, X, n, G3, R2 및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T, A, K, X, n, G3, R2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57>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59> 하기 일반식(61)
[화69]
Figure 112013052717055-pat00062
(식 중, M1, M2, M3, D, A, K, X, n, G3, R2 및 Q2는, 상기 일반식(6c)에 있어서의 M1, M2, M3, D, A, K, X, n, G3, R2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58>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60> 하기 일반식(51)
[화70]
Figure 112013052717055-pat00063
(식 중, R2, A, K, X, n, G3 및 Q2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R2, A, K, X, n, G3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62)
[화71]
Figure 112013052717055-pat00064
(식 중, M1, M2, M3, 및 D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M1, M2, M3,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9>에 기재된 일반식(6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61> 상기 일반식(6c)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63)
[화72]
Figure 112013052717055-pat00065
(식 중, T, M1, M2, M3, D, A, K, X, n, G3, R2 및 Q2는, 상기 일반식(6c)에 있어서의 T, M1, M2, M3, D, A, K, X, n, G3, R2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58>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62> 상기 <59>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61)
[화73]
Figure 112013052717055-pat00066
(식 중, A, K, Q2, R2, G3, X, n, T, M1, M2, M3 및 D는, 상기 일반식(6c)에 있어서의 A, K, Q2, R2, G3, X, n, T, M1, M2, M3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39>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45)
[화74]
T-LG 일반식(45)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T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T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1>에 기재된 일반식(63)으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63> 상기 일반식(6c)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64)
[화75]
Figure 112013052717055-pat00067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T, A, K, Q2, R2, G3, X, n 및 L은, 상기 일반식(6c)에 있어서의 T, A, K, Q2, R2, G3, X, n 및 L과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58>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64> 상기 일반식(6c)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65)
[화76]
Figure 112013052717055-pat00068
(식 중, T, L, U3, U4, A, K, X, n, G3, R2 및 Q2는, 상기 일반식(6c)에 있어서의 T, L, U3, U4, A, K, X, n, G3, R2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58>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65> 상기 <63>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64)
[화77]
Figure 112013052717055-pat00069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T, A, K, Q2, R2, G3, X, n 및 L은, 상기 일반식(6c)에 있어서의 T, A, K, Q2, R2, G3, X, n 및 L과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66)
[화78]
Figure 112013052717055-pat00070
(식 중, U3 및 U4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U3 및 U4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4>에 기재된 일반식(65)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66> 상기 일반식(65)에 있어서, U4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인 상기 <64>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
<67> 상기 일반식(65)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68)
[화79]
Figure 112013052717055-pat00071
(식 중, T, L, U3, A, K, X, n, G3, R2 및 Q2는, 상기 일반식(6c)에 있어서의 T, L, U3, A, K, X, n, G3, R2 및 Q2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상기 <64>에 기재된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67)
[화80]
U4-LG 일반식(67)
(식 중, U4는, 상기 <66>에 있어서의 U4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6>에 기재된 일반식(65)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68> 상기 일반식(6d)에 있어서, R2a가 수소 원자인 화합물과, 상기 <17>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49a)
[화81]
R2a-LG 일반식(49a)
(식 중,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타내고, R2a는, 트리메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시아노기,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벤젠설포닐기, 벤질설포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페녹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벤조일기, 벤질기, -C(=O)C(=O)R7(식 중, R7은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또는 C1-C6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L 및 D는, R2에 있어서의 L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6e)
[화82]
Figure 112013052717055-pat00072
(식 중, R2a는 상기 일반식(49a)에 있어서의 R2a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Y1d, Y2d, Y3d, Y4d, 및 Y5d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Y1d, Y2d, Y3d, Y4d, 및 Y5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닐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69> 상기 일반식(6d)에 있어서, R2a가 수소 원자인 화합물과, 알데히드류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6i)
[화83]
Figure 112013052717055-pat00073
(식 중, R2a는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Y1d, Y2d, Y3d, Y4d, 및 Y5d는 상기 일반식(6a)에 있어서의 Y1d, Y2d, Y3d, Y4d, 및 Y5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닐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70> 상기 <1>~<8>의 어느 1항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71> 상기 <70>에 기재된 유해 생물 방제제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아미드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특정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뛰어난 유해 생물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화84]
Figure 112013052717055-pat00074
식 중, A는, 탄소 원자, 산소 원자, 질소 원자, 산화된 질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K는, A와, A가 결합하는 2개의 탄소 원자와 함께, 벤젠, 피리딘, 피리딘-N-옥시드,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진, 피롤, 피라졸, 이미다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티아졸, 이소티아졸, 푸란, 티오펜, 옥사디아졸, 티오디아졸 또는 트리아졸에 유래하는 환상 연결기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비금속 원자군을 나타낸다.
X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1-C6알콕시기, C1-C6할로알콕시기, C1-C6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C1-C6알킬설포닐옥시기, C1-C6할로알킬설포닐옥시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옥시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옥시기, 아릴카르보닐옥시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C2-C7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C2-C7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 아미노기, 카르바모일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펜타플루오로설파닐기, C1-C6알킬아미노기, C1-C6할로알킬아미노기, C2-C6알케닐아미노기, C2-C6할로알케닐아미노기, C2-C6알키닐아미노기, C2-C6할로알키닐아미노기, C3-C9시클로알킬아미노기, C3-C9할로시클로알킬아미노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X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X는 서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X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피리딜기, 피리딘-N-옥시드기, 피리미디닐기, 피라지닐기, 피리다질기, 푸릴기, 티에닐기, 옥사졸릴기, 이소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조릴기, 티아졸릴기, 이소티아조릴기, 티아디아졸릴기, 피롤릴기, 이미다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피라졸릴기, 또는 테트라조릴기를 나타낸다.
n은, 0~4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n은, X가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인 경우의 X의 치환수를 나타낸다.
T는, -C(=G1)-Q1, 또는 -C(=G1)-G2Q3을 나타낸다.
식 중, G1, 및 G2는, 각각 독립하여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Q1, 및 Q3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벤질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Q2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기를 나타낸다.
또한, Q1, Q3, 및 Q2에 있어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의 치환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C1-C6할로알콕시기, C1-C6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옥시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옥시기, C1-C6알킬설포닐옥시기, C1-C6할로알킬설포닐옥시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C2-C7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C1-C6알킬아미노기, C1-C6할로알킬아미노기, 아미노기, 카르바모일기, 설파모일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펜타플루오로설파닐기, 벤질옥시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페닐기, 및 복소환기, 벤조일기, 페닐카르바모일기, 페닐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또한, Q1, Q3, 및 Q2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X에 있어서의 복소환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G3은,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R1 및 R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C1-C6할로알콕시기, C2-C6알케닐옥시기, C2-C6할로알케닐옥시기, C2-C6알키닐옥시기, C2-C6할로알키닐옥시기, C3-C9시클로알콕시기, C3-C9할로시클로알콕시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단, R1 및 R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075
Figure 112013052717055-pat00076
M1~M8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카르복시기, 히드록시기, 카르바모일기,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C1-C6할로알콕시기, C2-C6알케닐옥시기, C2-C6할로알케닐옥시기, C2-C6알키닐옥시기, C2-C6할로알키닐옥시기, C3-C9시클로알콕시기, C3-C9할로시클로알콕시기, C1-C6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2-C6알케닐티오기, C2-C6할로알케닐티오기, C2-C6알키닐티오기, C2-C6할로알키닐티오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2-C6알케닐설피닐기, C2-C6할로알케닐설피닐기, C2-C6알키닐설피닐기, C2-C6할로알키닐설피닐기, C3-C9시클로알킬설피닐기, C3-C9할로시클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C2-C6알케닐설포닐기, C2-C6할로알케닐설포닐기, C2-C6알키닐설포닐기, C2-C6할로알키닐설포닐기, C3-C9시클로알킬설포닐기, C3-C9할로시클로알킬설포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C1-C6알킬아미노기, C1-C6할로알킬아미노기, C2-C6알케닐아미노기, C2-C6할로알케닐아미노기, C2-C6알키닐아미노기, C2-C6할로알키닐아미노기, C3-C9시클로알킬아미노기, C3-C9할로시클로알킬아미노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3-C7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 C3-C7할로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 C3-C7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 C3-C7할로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 C4-C10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4-C10할로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기, 나프틸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077
U1~U19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1-C3알킬아미노기, C1-C3할로알킬아미노기, 페닐기, 나프틸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U3과 U4, U5와 U6, U10과 U11, U12와 L, U13과 U14, U15와 U16, 및, U17~U19는, 각각 서로 연결하여 포화 복소환기를 형성해도 된다.
단, D가 -OU12이며, L이 메틸렌기의 경우, U12는,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2-C6알케닐기, C2-C6할로알케닐기, C2-C6알키닐기, C2-C6할로알키닐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1-C3알킬아미노기, C1-C3할로알킬아미노기, 페닐기, 나프틸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반식(1) 등의 일반식에 있어서 사용되는 문언은 그 정의에 있어서 각각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할로겐 원자」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를 나타낸다.
「Ca-Cb(a, b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와의 표기, 예를 들면, 「C1-C3」란 탄소 원자수가 1~3개인 것을 의미하고, 「C2-C6」란 탄소 원자수가 2~6개인 것을 의미하고, 「C1-C4」란 탄소 원자수가 1~4개인 것을 의미한다.
「n-」란 노말을 의미하고, 「i-」는 이소를 의미하고, 「s-」는 세컨더리를 의미하고, 「t-」는 터셔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C1-C6알킬기」란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s-부틸, t-부틸, n-펜틸, 2-펜틸, 네오펜틸, 4-메틸-2-펜틸, n-
헥실, 3-메틸-n-펜틸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동일 종류의 치환기로 구성하는 탄소수만이 다른 경우, 이하에 예시된 치환기의 구체예 중, 탄소수가 정합하는 구체예만이, 거기에 대응하는 구체예가 된다.
「C1-C6할로알킬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틸, 펜타플루오로에틸, 헵타플루오로-n-프로필, 헵타플루오로-i-프로필, 2,2-디플루오로에틸, 2,2-디클로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2-클로로에틸, 2-브로모에틸, 2-요오도에틸, 2,2,2-트리클로로에틸, 2,2,2-트리브로모에틸, 1,3-디플루오로-2-프로필, 1,3-디클로로-2-프로필, 1-클로로-3-플루오로-2-프로필, 1,1,1-트리플루오로-2-프로필, 2,3,3,3-트리플루오로-n-프로필, 4,4,4-트리플루오로-n-부틸,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 1,1,1,3,3,3-헥사플루오로-2-클로로-2-프로필, 1,1,1,3,3,3-헥사플루오로-2-브로모-2-프로필, 1,1,2,3,3,3-헥사플루오로-2-클로로-n-프로필, 1,1,2,3,3,3-헥사플루오로-2-브로모-n-프로필, 1,1,2,3,3,3-헥사플루오로-1-브로모-2-프로필, 2,2,3,3,3-펜타플루오로-n-프로필, 3-플루오로-n-프로필, 3-클로로-n-프로필, 3-브로모-n-프로필, 3,3,4,4,4-펜타플루오로-2-부틸, 노나플루오로-n-부틸, 노나플루오로-2-부틸, 5,5,5-트리플루오로-n-펜틸, 4,4,5,5,5-펜타플루오로-2-펜틸, 3-클로로-n-펜틸, 4-브로모-2-펜틸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C3-C9시클로알킬기」란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2-메틸시클로펜틸, 3-메틸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2-메틸시클로헥실, 3-메틸시클로헥실, 4-메틸시클로헥실 등의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3~9개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C3-C9할로시클로알킬기」란 예를 들면, 2,2,3,3-테트라플루오로시클로부틸, 2-클로로시클로헥실, 4-클로로시클로헥실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3~9개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C2-C6알케닐기」란 예를 들면, 비닐, 알릴, 2-부테닐, 3-부테닐 등의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C2-C6할로알케닐기」란 예를 들면, 3,3-디플루오로-2-프로페닐, 3,3-디클로로-2-프로페닐, 3,3-디브로모-2-프로페닐, 2,3-디브로모-2-프로페닐, 4,4-디플루오로-3-부테닐, 3,4,4-트리브로모-3-부테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C2-C6알키닐기」란 예를 들면, 프로파길, 1-부틴-3-일, 1-부틴-3-메틸-3-일 등의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기를 나타낸다.
「C2-C6할로알키닐기」란 예를 들면, 플루오로에티닐, 클로로에티닐, 브로모에티닐, 3,3,3-트리플루오로-1-프로피닐, 3,3,3-트리클로로-1-프로피닐, 3,3,3-트리브로모-1-프로피닐, 4,4,4-트리플루오로-1-부티닐, 4,4,4-트리클로로-1-부티닐, 4,4,4-트리브로모-1-부티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기를 나타낸다.
*「C1-C6알콕시기」란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필옥시, i-프로필옥시, 시클로프로폭시, n-부톡시, s-부톡시, i-부톡시, t-부톡시, n-펜틸옥시, i-펜틸옥시, n-헥실옥시, 시클로헥실옥시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C1-C6할로알콕시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펜타플루오로에톡시, 2-클로로에톡시,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 헵타플루오로-n-프로폭시, 헵타플루오로-i-프로폭시,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폭시, 3-플루오로-n-프로폭시, 1-클로로시클로프로폭시, 2-브로모시클로프로폭시, 3,3,4,4,4-펜타플루오로-2-부톡시, 노나플루오로-n-부톡시, 노나플루오로-2-부톡시, 5,5,5-트리플루오로-n-펜틸옥시, 4,4,5,5,5-펜타플루오로-2-펜틸옥시, 3-클로로-n-펜틸옥시, 4-브로모-2-펜틸옥시, 4-클로로부틸옥시, 2-요오도-n-프로필옥시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C1-C6알킬티오기」란 예를 들면, 메틸티오, 에틸티오, n-프로필티오, i-프로필티오, 시클로프로필티오, n-부틸티오, s-부틸티오, i-부틸티오, t-부틸티오, n-펜틸티오, i-펜틸티오, n-헥실티오, 시클로헥실티오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티오기를 나타낸다.
「C1-C6할로알킬티오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펜타플루오로에틸티오, 2-클로로에틸티오, 2,2,2-트리프루오로에틸티오, 헵타플루오로-n-프로필티오, 헵타플루오로-i-프로필티오,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티오, 3-플루오로-n-프로필티오, 1-클로로시클로프로필티오, 2-브로모시클로프로필티오, 3,3,4,4,4-펜타플루오로-2-부틸티오, 노나플루오로-n-부틸티오, 노나플루오로-2-부틸티오, 5,5,5-트리플루오로-n-펜틸티오, 4,4,5,5,5-펜타플루오로-2-펜틸티오, 3-클로로-n-펜틸티오, 4-브로모-2-펜틸티오, 4-클로로부틸티오, 2-요오도-n-프로필티오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티오기를 나타낸다.
「C1-C6알킬설피닐기」란 예를 들면, 메틸설피닐, 에틸설피닐, n-프로필설피닐, i-프로필설피닐, 시클로프로필설피닐, n-부틸설피닐, s-부틸설피닐, i-부틸설피닐, t-부틸설피닐, n-펜틸설피닐, i-펜틸설피닐, n-헥실설피닐, 시클로헥실설피닐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설피닐기를 나타낸다.
「C1-C6할로알킬설피닐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틸설피닐, 펜타플루오로에틸설피닐, 2-클로로에틸설피닐, 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피닐, 헵타플루오로-n-프로필설피닐, 헵타플루오로-i-프로필설피닐,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설피닐, 3-플루오로-n-프로필설피닐, 1-클로로시클로프로필설피닐, 2-브로모시클로프로필설피닐, 3,3,4,4,4-펜타플루오로-2-부틸설피닐, 노나플루오로-n-부틸설피닐, 노나플루오로-2-부틸설피닐, 5,5,5-트리플루오로-n-펜틸설피닐, 4,4,5,5,5-펜타플루오로-2-펜틸설피닐, 3-클로로-n-펜틸설피닐, 4-브로모-2-펜틸설피닐, 4-클로로부틸설피닐, 2-요오도-n-프로필설피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설피닐기를 나타낸다.
「C1-C6알킬설포닐기」란 예를 들면,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n-프로필설포닐, i-프로필설포닐, 시클로프로필설포닐, n-부틸설포닐, s-부틸설포닐, i-부틸설포닐, t-부틸설포닐, n-펜틸설포닐, i-펜틸설포닐, n-헥실설포닐, 시클로헥실설포닐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설포닐기를 나타낸다.
「C1-C6할로알킬설포닐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 펜타플루오로에틸설포닐, 2-클로로에틸설포닐, 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포닐, 헵타플루오로-n-프로필설포닐, 헵타플루오로-i-프로필설포닐,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설포닐, 3-플루오로-n-프로필설포닐, 1-클로로시클로프로필설포닐, 2-브로모시클로프로필설포닐, 3,3,4,4,4-펜타플루오로-2-부틸설포닐, 노나플루오로-n-부틸설포닐, 노나플루오로-2-부틸설포닐, 5,5,5-트리플루오로-n-펜틸설포닐, 4,4,5,5,5-펜타플루오로-2-펜틸설포닐, 3-클로로-n-펜틸설포닐, 4-브로모-2-펜틸설포닐, 4-클로로부틸설포닐, 2-요오도-n-프로필설포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설포닐기를 나타낸다.
「C1-C6알킬설포닐옥시기」란 예를 들면, 메탄설포닐옥시, 에탄설포닐옥시, n-프로판설포닐옥시, i-프로판설포닐옥시, 시클로프로판설포닐옥시, n-부탄설포닐옥시, s-부탄설포닐옥시, i-부탄설포닐옥시, t-부탄설포닐옥시, n-펜탄설포닐옥시, i-펜탄설포닐옥시, n-헥산설포닐옥시, 시클로헥산설포닐옥시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설포닐옥시기를 나타낸다.
「C1-C6할로알킬설포닐옥시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 펜타플루오로프로판설포닐옥시, 2-클로로프로판설포닐옥시, 2,2,2-트리플루오로프로판설포닐옥시, 헵타플루오로-n-프로판설포닐옥시, 헵타플루오로-i-프로판설포닐옥시,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설포닐옥시, 3-플루오로-n-프로판설포닐옥시, 1-클로로시클로프로판설포닐옥시, 2-브로모시클로프로판설포닐옥시, 3,3,4,4,4-펜타플루오로-2-부탄설포닐옥시, 노나플루오로-n-부탄설포닐옥시, 노나플루오로-2-부탄설포닐옥시, 5,5,5-트리플루오로-n-펜탄설포닐옥시, 4,4,5,5,5-펜타플루오로-2-펜탄설포닐옥시, 3-클로로-n-펜탄설포닐옥시, 4-브로모-2-펜탄설포닐옥시, 4-클로로부탄설포닐옥시, 2-요오도-n-프로판설포닐옥시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설포닐옥시기를 나타낸다.
「C2-C7알킬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아세틸, 프로피오닐, i-프로필카르보닐, 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 n-부틸카르보닐, s-부틸카르보닐, t-부틸카르보닐, n-펜틸카르보닐, 2-펜틸카르보닐, 네오펜틸카르보닐, 시클로펜틸카르보닐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킬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펜타플루오로프로피오닐, 2-클로로프로피오닐, 2,2,2-트리플루오로프로피오닐, 헵타플루오로-n-프로필카르보닐, 헵타플루오로-i-프로필카르보닐,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카르보닐, 3-플루오로-n-프로필카르보닐, 1-클로로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 2-브로모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 3,3,4,4,4-펜타플루오로-2-부틸카르보닐, 노나플루오로-n-부틸카르보닐, 노나플루오로-2-부틸카르보닐, 5,5,5-트리플루오로-n-펜틸카르보닐, 4,4,5,5,5-펜타플루오로-2-펜틸카르보닐, 3-클로로-n-펜틸카르보닐, 4-브로모-2-펜틸카르보닐, 4-클로로부틸카르보닐, 2-요오도-n-프로필카르보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킬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2-C7알킬카르보닐옥시기」란 예를 들면, 아세틸옥시, 프로피오닐옥시, i-프로필카르보닐옥시, 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옥시, n-부틸카르보닐옥시, s-부틸카르보닐옥시, t-부틸카르보닐옥시, n-펜틸카르보닐옥시, 2-펜틸카르보닐옥시, 네오펜틸카르보닐옥시, 시클로펜틸카르보닐옥시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를 나타낸다.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옥시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아세틸옥시, 펜타플루오로프로피오닐옥시, 2-클로로프로피오닐옥시, 2,2,2-트리플루오로프로피오닐옥시, 헵타플루오로-n-프로필카르보닐옥시, 헵타플루오로-i-프로필카르보닐옥시,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카르보닐옥시, 3-플루오로-n-프로필카르보닐옥시, 1-클로로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옥시, 2-브로모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옥시, 3,3,4,4,4-펜타플루오로-2-부틸카르보닐옥시, 노나플루오로-n-부틸카르보닐옥시, 노나플루오로-2-부틸카르보닐옥시, 5,5,5-트리플루오로-n-펜틸카르보닐옥시, 4,4,5,5,5-펜타플루오로-2-펜틸카르보닐옥시, 3-클로로-n-펜틸카르보닐옥시, 4-브로모-2-펜틸카르보닐옥시, 4-클로로부틸카르보닐옥시, 2-요오도-n-프로필카르보닐옥시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를 나타낸다.
「C2-C7알콕시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시클로프로폭시카르보닐, n-부톡시카르보닐, s-부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n-펜틸옥시카르보닐, 2-펜틸옥시카르보닐, 네오펜틸옥시카르보닐, 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톡시카르보닐, 펜타플루오로에톡시카르보닐, 2-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카르보닐, 헵타플루오로-n-프로폭시카르보닐, 헵타플루오로-i-프로폭시카르보닐,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폭시카르보닐, 3-플루오로-n-프로폭시카르보닐, 1-클로로시클로프로폭시카르보닐, 2-브로모시클로프로폭시카르보닐, 3,3,4,4,4-펜타플루오로-2-부톡시카르보닐, 노나플루오로-n-부톡시카르보닐, 노나플루오로-2-부톡시카르보닐, 5,5,5-트리플루오로-n-펜틸옥시카르보닐, 4,4,5,5,5-펜타플루오로 2-펜틸옥시카르보닐, 3-클로로-n-펜틸옥시카르보닐, 4-브로모-2-펜틸옥시카르보닐, 4-클로로부틸옥시카르보닐, 2-요오도-n-프로필옥시카르보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아릴카르보닐옥시기」, 「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에 있어서의 아릴기란,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나타낸다.
「C2-C7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란 예를 들면, 아세틸아미노, 프로피오닐아미노, n-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 i-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 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 n-부틸카르보닐아미노, s-부틸카르보닐아미노, i-부틸카르보닐아미노, t-부틸카르보닐아미노, n-펜틸카르보닐아미노, i-펜틸카르보닐아미노, n-헥실카르보닐아미노, 시클로헥실카르보닐아미노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를 나타낸다.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 펜타플루오로프로피오닐아미노, 2-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노, 2,2,2-트리플루오로프로피오닐아미노, 헵타플루오로-n-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 헵타플루오로-i-프로필카그보닐아미노,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 3-플루오로-n-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 1-클로로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 2-브로모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 3,3,4,4,4-펜타플루오로-2-부틸카르보닐아미노, 노나플루오로-n-부틸카르보닐아미노, 노나플루오로-2-부틸카르보닐아미노, 5,5,5-트리플루오로-n-펜틸카르보닐아미노, 4,4,5,5,5-펜타플루오로-2-펜틸카르보닐아미노, 3-클로로-n-펜틸카르보닐아미노, 4-브로모-2-펜틸카르보닐아미노, 4-클로로부틸카르보닐아미노, 2-요오도-n-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를 나타낸다.
「C2-C7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란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 n-프로필옥시카르보닐아미노, i-프로필옥시카르보닐아미노, 시클로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 n-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s-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i-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n-펜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 i-펜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 n-헥실옥시카르보닐아미노, 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아미노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를 나타낸다.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펜타플루오로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 2-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 헵타플루오로-n-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 헵타플루오로-i-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 3-플루오로-n-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 1-클로로시클로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 2-브로모시클로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 3,3,4,4,4-펜타플루오로-2-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노나플루오로-n-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노나플루오로-2-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5,5,5-트리플루오로-n-펜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 4,4,5,5,5-펜타플루오로-2-펜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 3-클로로-n-펜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 4-브로모-2-펜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 4-클로로부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 2-요오도-n-프로필옥시카르보닐아미노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를 나타낸다.
「C2-C7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란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옥시, 에톡시카르보닐옥시, n-프로필옥시카르보닐옥시, i-프로필옥시카르보닐옥시, 시클로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n-부톡시카르보닐옥시, s-부톡시카르보닐옥시, i-부톡시카르보닐옥시, t-부톡시카르보닐옥시, n-펜틸옥시카르보닐옥시, i-펜틸옥시카르보닐옥시, n-헥실옥시카르보닐옥시, 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옥시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를 나타낸다.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톡시카르보닐옥시, 펜타플루오로에톡시카르보닐옥시, 2-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옥시,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카르보닐옥시, 헵타플루오로-n-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헵타플루오로-i-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3-플루오로-n-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1-클로로시클로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2-브로모시클로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3,3,4,4,4-펜타플루오로-2-부톡시카르보닐옥시, 노나플루오로-n-부톡시카르보닐옥시, 노나플루오로-2-부톡시카르보닐옥시, 5,5,5-트리플루오로-n-펜틸옥시카르보닐옥시, 4,4,5,5,5-펜타플루오로-2-펜틸옥시카르보닐옥시, 3-클로로-n-펜틸옥시카르보닐옥시, 4-브로모-2-펜틸옥시카르보닐옥시, 4-클로로부틸옥시카르보닐옥시, 2-요오도-n-프로필옥시카르보닐옥시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를 나타낸다.
「C1-C6알킬아미노기」란 예를 들면, 메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n-프로필아미노, i-프로필아미노, 시클로프로필아미노, n-부틸아미노, s-부틸아미노, i-부틸아미노, t-부틸아미노, n-펜틸아미노, i-펜틸아미노, n-헥실아미노, 시클로헥실아미노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낸다.
「C1-C6할로알킬아미노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틸아미노, 디트리플루오로메틸아미노, 펜타플루오로에틸아미노, 디펜타플루오로에틸아미노, 2-클로로에틸아미노,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미노, 헵타플루오로-n-프로필아미노, 헵타플루오로-i-프로필아미노,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아미노, 3-플루오로-n-프로필아미노, 1-클로로시클로프로필아미노, 2-브로모시클로프로필아미노, 3,3,4,4,4-펜타플루오로-2-부틸아미노, 노나플루오로-n-부틸아미노, 노나플루오로-2-부틸아미노, 5,5,5-트리플루오로-n-펜틸아미노, 4,4,5,5,5-펜타플루오로-2-펜틸아미노, 3-클로로-n-펜틸아미노, 4-브로모-2-펜틸아미노, 4-클로로부틸아미노, 2-요오도-n-프로필아미노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낸다.
「C2-C6알케닐옥시기」란 예를 들면, 비닐옥시, 알릴옥시, 2-부테닐옥시, 3-부테닐옥시 등의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낸다.
「C2-C6할로알케닐옥시기」란 예를 들면, 3,3-디플루오로-2-프로페닐옥시, 3,3-디클로로-2-프로페닐옥시, 3,3-디브로모-2-프로페닐옥시, 2,3-디브로모-2-프로페닐옥시, 4,4-디플루오로-3-부테닐옥시, 3,4,4-트리브로모-3-부테닐옥시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옥시기를 나타낸다.
「C2-C6알키닐옥시기」란 예를 들면, 프로파길옥시, 1-부틴-3-일옥시, 1-부틴-3-메틸-3-일옥시 등의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옥시기를 나타낸다.
「C2-C6할로알키닐옥시기」란 예를 들면, 플루오로에티닐옥시, 클로로에티닐옥시, 브로모에티닐옥시, 3,3,3-트리플루오로-1-프로피닐옥시, 3,3,3-트리클로로-1-프로피닐옥시, 3,3,3-트리브로모-1-프로피닐옥시, 4,4,4-트리플루오로-1-부티닐옥시, 4,4,4-트리클로로-1-부티닐옥시, 4,4,4-트리브로모-1-부티닐옥시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옥시기를 나타낸다.
「C3-C9시클로알콕시기」란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옥시, 시클로부틸옥시, 시클로펜틸옥시, 2-메틸시클로펜틸옥시, 3-메틸시클로펜틸옥시, 시클로헥실옥시, 2-메틸르시클로헥실옥시, 3-메틸시클로헥실옥시, 4-메틸시클로헥실옥시 등의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3~9개의 시클로알킬옥시기를 나타낸다.
「C3-C9할로시클로알콕시기」란 예를 들면, 2,2,3,3-테트라플루오로시클로부틸옥시, 2-클로로시클로헥실옥시, 4-클로로시클로헥실옥시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3~9개의 시클로알킬옥시기를 나타낸다.
「C2-C6알케닐티오기」란 예를 들면, 비닐티오, 알릴티오, 2-부테닐티오, 3-부테닐티오 등의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티오기를 나타낸다.
「C2-C6할로알케닐티오기」란 예를 들면, 3,3-디플루오로-2-프로페닐티오, 3,3-디클로로-2-프로페닐티오, 3,3-디브로모-2-프로페닐티오, 2,3-디브로모-2-프로페닐티오, 4,4-디플루오로-3-부테닐티오, 3,4,4-트리브로모-3-부테닐티오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티오기를 나타낸다.
「C2-C6알키닐티오기」란 예를 들면, 프로파길티오, 1-부틴-3-일티오, 1-부틴-3-메틸-3-일티오 등의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티오기를 나타낸다.
「C2-C6할로알키닐티오기」란 예를 들면,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티오기를 나타낸다.
「C2-C6알케닐설피닐기」란 예를 들면, 비닐설피닐, 알릴설피닐, 2-부테닐설피닐, 3-부테닐설피닐 등의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설피닐기를 나타낸다.
「C2-C6할로알케닐설피닐기」란 예를 들면, 3,3-디플루오로-2-프로페닐설피닐, 3,3-디클로로-2-프로페닐설피닐, 3,3-디브로모-2-프로페닐설피닐, 2,3-디브로모-2-프로페닐설피닐, 4,4-디플루오로-3-부테닐설피닐, 3,4,4-트리브로모-3-부테닐설피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설피닐기를 나타낸다.
「C2-C6알키닐설피닐기」란 예를 들면, 프로파길설피닐, 1-부틴-3-일설피닐, 1-부틴-3-메틸-3-일설피닐 등의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설피닐기를 나타낸다.
「C2-C6할로알키닐설피닐기」란 예를 들면,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설피닐기를 나타낸다.
「C3-C9시클로알킬설피닐기」란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설피닐, 시클로부틸설피닐, 시클로펜틸설피닐, 2-메틸시클로펜틸설피닐, 3-메틸시클로펜틸설피닐, 시클로헥실설피닐, 2-메틸시클로헥실설피닐, 3-메틸시클로헥실설피닐, 4-메틸시클로헥실설피닐 등의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3~9개의 시클로알킬설피닐기를 나타낸다.
「C3-C9할로시클로알킬설피닐기」란 예를 들면, 2,2,3,3-테트라플루오로시클로부틸설피닐, 2-클로로시클로헥실설피닐, 4-클로로시클로헥실설피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3~9개의 시클로알킬설피닐기를 나타낸다.
「C2-C6알케닐설포닐기」란 예를 들면, 비닐설포닐, 알릴설포닐, 2-부테닐설포닐, 3-부테닐설포닐 등의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설포닐기를 나타낸다.
「C2-C6할로알케닐설포닐기」란 예를 들면, 3,3-디플루오로-2-프로페닐설포닐, 3,3-디클로로-2-프로페닐설포닐, 3,3-디브로모-2-프로페닐설포닐, 2,3-디브로모-2-프로페닐설포닐, 4,4-디플루오로-3-부테닐설포닐, 3,4,4-트리브로모-3-부테닐설포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설포닐기를 나타낸다.
「C2-C6알키닐설포닐기」란 예를 들면, 프로파길설포닐, 1-부틴-3-일설포닐, 1-부틴-3-메틸-3-일설포닐 등의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설포닐기를 나타낸다.
「C2-C6할로알키닐설포닐기」란 예를 들면,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설포닐기를 나타낸다.
「C3-C9시클로알킬설포닐기」란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설포닐, 시클로부틸설포닐, 시클로펜틸설포닐, 2-메틸시클로펜틸설포닐, 3-메틸시클로펜틸설포닐, 시클로헥실설포닐, 2-메틸시클로헥실설포닐, 3-메틸시클로헥실설포닐, 4-메틸시클로헥실 등의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3~9개의 시클로알킬설포닐기를 나타낸다.
「C3-C9할로시클로알킬설포닐기」란 예를 들면, 2,2,3,3-테트라플루오로시클로부틸설포닐, 2-클로로시클로헥실설포닐, 4-클로로시클로헥실설포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3~9개의 시클로알킬설포닐기를 나타낸다.
「C3-C7알케닐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비닐카르보닐, 알릴카르보닐, 2-부테닐카르보닐, 3-부테닐카르보닐 등의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3~7개의 알케닐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3-C7할로알케닐카르보닐기」란, 3,3-디플루오로-2-프로페닐카르보닐, 3,3-디클로로-2-프로페닐카르보닐, 3,3-디브로모-2-프로페닐카르보닐, 2,3-디브로모-2-프로페닐카르보닐, 4,4-디플루오로-3-부테닐카르보닐, 3,4,4-트리브로모-3-부테닐카르보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3~7개의 알케닐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3-C7알키닐카르보닐기」란, 프로파길카르보닐, 1-부틴-3-일카르보닐, 1-부틴-3-메틸-3-일카르보닐 등의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3~7개의 알키닐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3-C7할로알키닐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플루오로에티닐카르보닐, 클로로에티닐카르보닐, 브로모에티닐카르보닐, 3,3,3-트리플루오로-1-프로피닐카르보닐, 3,3,3-트리클로로-1-프로피닐카르보닐, 3,3,3-트리브로모-1-프로피닐카르보닐, 4,4,4-트리플루오로-1-부티닐카르보닐, 4,4,4-트리클로로-1-부티닐카르보닐, 4,4,4-트리브로모-1-부티닐카르보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3~7개의 알키닐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4-C10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 시클로부틸카르보닐, 시클로펜틸카르보닐, 2-메틸시클로펜틸카르보닐, 3-메틸시클로펜틸카르보닐, 시클로헥실카르보닐, 2-메틸시클로헥실카르보닐, 3-메틸시클로헥실카르보닐, 4-메틸시클로헥실카르보닐 등의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4~10개의 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4-C10할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2,2,3,3-테트라플루오로시클로부틸카르보닐, 2-클로로시클로헥실카르보닐, 4-클로로시클로헥실카르보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4~10개의 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3-C7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란, 비닐옥시카르보닐, 알릴옥시카르보닐, 2-부테닐옥시카르보닐, 3-부테닐옥시카르보닐 등의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3~7개의 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3-C7할로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3,3-디플루오로-2-프로페닐옥시카르보닐, 3,3-디클로로-2-프로페닐옥시카르보닐, 3,3-디브로모-2-프로페닐옥시카르보닐, 2,3-디브로모-2-프로페닐옥시카르보닐, 4,4-디플루오로-3-부테닐옥시카르보닐, 3,4,4-트리브로모-3-부테닐옥시카르보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3~7개의 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3-C7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프로파길옥시카르보닐, 1-부틴-3-일옥시카르보닐, 1-부틴-3-메틸-3-일옥시카르보닐 등의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3~7개의 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3-C7할로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플루오로에티닐옥시카르보닐, 클로로에티닐옥시카르보닐, 브로모에티닐옥시카르보닐, 3,3,3-트리플루오로-1-프로피닐옥시카르보닐, 3,3,3-트리클로로-1-프로피닐옥시카르보닐, 3,3,3-트리브로모-1-프로피닐옥시카르보닐, 4,4,4-트리플루오로-1-부티닐옥시카르보닐, 4,4,4-트리클로로-1-부티닐옥시카르보닐, 4,4,4-트리브로모-1-부티닐옥시카르보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3~7개의 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4-C10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옥시카르보닐, 시클로부틸옥시카르보닐, 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 2-메틸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 3-메틸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 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 2-메틸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 3-메틸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 4-메틸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 등의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4~10개의 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4-C10할로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2,2,3,3-테트라플루오로시클로부틸옥시카르보닐, 2-클로로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 4-클로로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4~10개의 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2-C6알케닐아미노기」란 예를 들면, 비닐아미노, 알릴아미노, 2-부테닐아미노, 3-부테닐아미노 등의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아미노기를 나타낸다.
「C2-C6할로알케닐아미노기」란, 3,3-디플루오로-2-프로페닐아미노, 3,3-디클로로-2-프로페닐아미노, 3,3-디브로모-2-프로페닐아미노, 2,3-디브로모-2-프로페닐아미노, 4,4-디플루오로-3-부테닐아미노, 3,4,4-트리브로모-3-부테닐아미노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케닐아미노기를 나타낸다.
「C2-C6알키닐아미노기」란 예를 들면, 프로파길아미노, 1-부틴-3-일아미노, 1-부틴-3-메틸-3-일아미노 등의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아미노기를 나타낸다.
「C2-C6할로알키닐아미노기」란 예를 들면, 플루오로에티닐아미노, 클로로에티닐아미노, 브로모에티닐아미노, 3,3,3-트리플루루오로-1-프로피닐아미노, 3,3,3-트리클로로-1-프로피닐아미노, 3,3,3-트리브로모-1-프로피닐아미노, 4,4,4-트리플루오로-1-부티닐아미노, 4,4,4-트리클로로-1-부티닐아미노, 4,4,4-트리브로모-1-부티닐아미노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6개의 알키닐아미노기를 나타낸다.
「C3-C9시클로알킬아미노기」란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아미노, 시클로부틸아미노, 시클로펜틸아미노, 2-메틸시클로펜틸르아미노, 3-메틸시클로펜틸아미노, 시클로헥실아미노, 2-메틸시클로헥실아미노, 3-메틸시클로헥실아미노, 4-메틸시클로헥실아미노 등의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3~9개의 시클로알킬기아미노를 나타낸다.
「C3-C9할로시클로알킬아미노기」란 예를 들면, 2,2,3,3-테트라플루오로시클로부틸아미노, 2-클로로시클로헥실아미노, 4-클로로시클로헥실아미노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3~9개의 시클로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낸다.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메틸아미노카르보닐, 에틸아미노카르보닐, n-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i-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n-부틸아미노카르보닐, s-부틸아미노카르보닐, t-부틸아미노카르보닐, n-펜틸아미노카르보닐, 2-펜틸아미노카르보닐, 네오펜틸아미노카르보닐, 4-메틸-2-펜틸아미노카르보닐, n-헥실아미노카르보닐, 3-메틸-n-펜틸아미노카르보닐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틸아미노카르보닐, 펜타플루오로에틸아미노카르보닐, 헵타플루오로-n-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헵타플루오로-i-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2,2-디플루오로에틸아미노카르보닐, 2,2-디클로로에틸아미노카르보닐,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미노카르보닐, 2-플루오로에틸아미노카르보닐, 2-클로로에틸아미노카르보닐, 2-브로모에틸아미노카르보닐, 2-요오도에틸아미노카르보닐, 2,2,2-트리클로로에틸아미노카르보닐, 2,2,2-트리브로모에틸아미노카르보닐, 1,3-디플루오로-2-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1,3-디클로로-2-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1-클로로-3-플루오로-2-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1,1,1-트리플루오로-2-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2,3,3,3-트리플루오로-n-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4,4,4-트리플루오로-n-부틸아미노카르보닐,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1,1,1,3,3,3-헥사플루오로-2-클로로-2-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1,1,1,3,3,3-헥사플루오로-2-브로모-2-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1,1,2,3,3,3-헥사플루오로-2-클로로-n-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1,1,2,3,3,3-헥사플루오로-2-브로모-n-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1,1,2,3,3,3-헥사플루오로-1-브로모-2-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2,2,3,3,3-펜타플루오로-n-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3-플루오로-n-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3-클로로-n-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3-브로모-n-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3,3,4,4,4-펜타플루오로-2-부틸아미노카르보닐, 노나플루오로-n-부틸아미노카르보닐, 노나플루오로-2-부틸아미노카르보닐, 5,5,5-트리플루오로-n-펜틸아미노카르보닐, 4,4,5,5,5-펜타플루오로-2-펜틸아미노카르보닐, 3-클로로-n-펜틸아미노카르보닐, 4-브로모-2-펜틸아미노카르보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2~7개의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3-C7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비닐아미노카르보닐, 알릴아미노카르보닐, 2-부테닐아미노카르보닐, 3-부테닐아미노카르보닐 등의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3~7개의 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3-C7할로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3,3-디플루오로-2-프로페닐아미노카르보닐, 3,3-디클로로-2-프로페닐아미노카르보닐, 3,3-디브로모-2-프로페닐아미노카르보닐, 2,3-디브로모-2-프로페닐아미노카르보닐, 4,4-디플루오로-3-부테닐아미노카르보닐, 3,4,4-트리브로모-3-부테닐아미노카르보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2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3~7개의 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3-C7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프로파길아미노카르보닐, 1-부틴-3-일아미노카르보닐, 1-부틴-3-메틸-3-일아미노카르보닐 등의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탄소 원자수 3~7개의 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3-C7할로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플루오로에티닐아미노카르보닐, 클로로에티닐아미노카르보닐, 브로모에티닐아미노카르보닐, 3,3,3-트리플루오로-1-프로피닐아미노카르보닐, 3,3,3-트리클로로-1-프로피닐아미노카르보닐, 3,3,3-트리브로모-1-프로피닐아미노카르보닐, 4,4,4-트리플루오로-1-부티닐아미노카르보닐, 4,4,4-트리클로로-1-부티닐아미노카르보닐, 4,4,4-트리브로모-1-부티닐아미노카르보닐 등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쇄 중에 3중 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 3~7개의 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4-C10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시클로부틸아미노카르보닐, 시클로펜틸아미노카르보닐, 2-메틸시클로펜틸아미노카르보닐, 3-메틸시클로펜틸아미노카르보닐, 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 2-메틸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 3-메틸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 4-메틸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 등의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4~10개의 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C4-C10할로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2,3,3-테트라플루오로시클로부틸아미노카르보닐, 2-클로로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 4-클로로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 등의 동일 또는 다르더라도 되는 1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서 치환된 환상 구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4~10개의 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티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설피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설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설포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설포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옥시기」, 「치환기
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케닐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케닐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키닐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키닐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할로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키닐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할로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아미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케닐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7할로알키닐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4-C10 할로시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의 치환기란,
각각,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3-C9시클로알킬기,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C1-C6알콕시기, C1-C6할로알콕시기, C1-C6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알킬설피닐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C1-C6알킬설포닐기, C1-C6할로알킬설포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옥시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옥시기, C1-C6알킬설포닐옥시기, C1-C6할로알킬설포닐옥시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C2-C7할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C2-C7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할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C2-C7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C1-C6알킬아미노기, C1-C6할로알킬아미노기, 아미노기, 카르바모일기, 설파모일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펜타플루오로설파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벤질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벤질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벤질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카르보닐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가능한 경우에는 치환기를 더 가지고 있어도 되고, 그 치환기의 예로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그 구조식 중에, 1개 또는 복수개의 부제탄소 원자 또는 부제중심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고, 2종 이상의 광학 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 발명은 각각의 광학 이성체 및 그들이 임의의 비율로 포함되는 혼합물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그 구조식 중에, 탄소-탄소 2중 결합에 유래하는 2종 이상의 기하 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 발명은 각각의 기하 이성체 및 그들이 임의의 비율로 포함되는 혼합물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반식(1) 등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치환기 등은, 이하의 대로이다.
T로서 바람직하게는, -C(=G1)-Q1이며, G1로서 바람직하게는, 산소 원자이며, Q1로서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피리딜기이며, Q1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원자, C1할로알킬기, 니트로기, 시아노기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를 가지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되는 페닐기 또는, 피리딜기이다.
A로서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이며, K로서 바람직하게는, K가, A와 A가 결합하는 2개의 탄소 원자와 함께, 벤젠을 형성하는 비금속 원자군이다.
X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이다.
n으로서 바람직하게는, 4이다.
Q2로서 바람직하게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이다.
G3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산소 원자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화합물의 대표적인 제조방법을 나타내고, 그에 따르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가 가능하지만, 제조방법 경로는 이하에 나타내는 제조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제조방법에 나타내는 일반식에 있어서서는, A, K, X, n, R2, Q2, T, 및 R1은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A, K, X, n, R2, Q2, T, 및 R1과 각각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LG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등의 탈리능을 가지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또한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할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2-C6할로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3-C9할로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제조방법 1>
[화85]
Figure 112013052717055-pat00078
공정 1-(i) : 일반식(5) + 일반식(6) → 일반식(7)
일반식(5) + 일반식(6) → 일반식(7a)
일반식(5)로 표시되는 니트로 방향족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방향족 아민 유도체를 적당한 용매 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7) 혹은 일반식(7a)로 표시되는 니트로 방향족 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염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용매로서는, 본 반응의 진행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등의 쇄상 또는 환상 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아세트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등의 불활성 용매를 나타낼 수 있고, 이들의 용매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로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아민, 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의 유기 염기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수산화 알칼리 금속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탄산염류, 인산-수소이칼륨, 인산삼나트륨 등의 인산염류, 수소화나트륨 등의 수소화 알칼리 금속염류,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등의 알칼리 금속 알코올레이트류,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등의 리튬아미드류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들의 염기는,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해서 0.01~5배몰당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반응 온도는, -20℃~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 반응 시간은, 몇분에서 96시간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일반식(5) 중에서, 니트로 방향족 카르복실산클로리드 유도체는 니트로 방향족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할로겐화제를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할로겐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티오닐, 브롬화티오닐, 옥 염화인, 옥자릴클로리드, 삼염화인 등의 할로겐화제를 나타낼 수 있다.
혹은, 할로겐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니트로 방향족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일반식(7) 또는 일반식(7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Chem. Ber. 788페이지(1970년)에 기재된 방법에 따르는 것에 의해,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등의 첨가제를 적절히 사용하고,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등의 축합제를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축합제로서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클로로포름산에스테르류를 이용한 혼합산 무수물법을 나타낼 수도 있고, J. Am. Chem. Soc. 5012페이지(1967년)에 기재된 방법에 따르는 것에 의해, 일반식(7) 또는 일반식(7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클로로포름산에스테르류로서는 클로로포름산이소부틸, 클로로포름산이소프로필 등을 나타낼 수 있고, 클로로포름산에스테르류 외에는, 염화디에틸아세틸, 염화트리메틸아세틸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축합제를 이용하는 방법, 혼합산 무수물법 모두, 상기 문헌 기재의 용매, 반응 온도, 반응 시간으로 한정되는 경우는 없고, 적절한 반응의 진행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불활성 용매를 사용하면 되고, 반응 온도, 반응 시간에 관해서도, 반응의 진행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공정 1-(ii) : 일반식(7) → 일반식(8)
일반식(7a) → 일반식(8a)
일반식(7) 혹은 일반식(7a)로 표시되는 니트로기를 가지는 방향족 카르복실산 아미드 유도체는, 환원 반응에 의해, 각각 일반식(8) 혹은 일반식(8a)로 표시되는 아미노기를 가지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로 유도될 수 있다. 환원 반응으로서는 수소 첨가 반응을 이용하는 방법과 염화제1주석(무수물)을 이용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지만, 전자는 적당한 용매 중, 촉매 존재하, 상압하 혹은 가압하에서, 수소 분위기하에서 반응을 행할 수 있다. 촉매로서는, 팔라듐-카본 등의 팔라듐 촉매, 라네-니켈 등의 니켈 촉매, 코발트 촉매, 루테늄 촉매, 로듐 촉매, 백금 촉매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용매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쇄상 또는 환상 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를 나타낼 수 있다. 반응 온도는, -20℃~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 반응 시간은, 몇분에서 96시간의 범위에서 각각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일반식(8) 또는 일반식(8a)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후자에 관해서는, 그 조건에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Organic Syntheses" Coll. Vol. III 453페이지에 기재된 조건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일반식(8) 또는 일반식(8a)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공정 1-(iii) : 일반식(8) + 일반식(11) → 일반식(9)
일반식(8)로 표시되는 방향족 아민 유도체와 일반식(1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탈리기를 가지는 탄산에스테르 유도체를 적당한 용매 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9)로 표시되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아미드 혹은 카바메이트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염기 혹은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염기 혹은 용매로서는, 1-(i)에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에 관해서도,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일반식(11) 중에서, 카르복실산클로리드 유도체는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할로겐화제를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할로겐화제로서는,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할로겐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카르복실산 유도체(11)과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일반식(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도 있고, 1-(i)의 예시의 방법에 따름으로써 제조 가능하다.
공정 1-(iv) : 일반식(9) + 일반식(12) → 일반식(1)
일반식(9)로 표시되는 아미드 화합물과, 일반식(12)로 표시되는 할로겐 등의 탈리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용매 중 혹은 무용매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염기 혹은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염기 혹은 용매로서는, 1-(i)에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에 관해서도,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공정 1-(v) : 일반식(7a) + 일반식(13) → 일반식(7)
일반식(7a)로 표시되는 아미드 화합물과, 일반식(13)으로 표시되는 할로겐 등의 탈리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용매 중 혹은 무용매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염기 혹은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염기 혹은 용매로서는, 1-(i)에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에 관해서도,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공정 1-(vi) : 일반식(8a) → 일반식(10)
(방법 A)
일반식(8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용매 중, 알데히드류 또는 케톤류와 반응시켜, 촉매를 첨가하고, 수소 분위기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본 반응의 진행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크실렌,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아세트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물 등의 용매를 나타낼 수 있고, 이들의 용매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촉매로서는 팔라듐-카본, 수산화팔라듐-카본 등의 팔라듐 촉매류, 라네-니켈 등의 니켈 촉매류, 코발트 촉매류, 플라티나 촉매류, 루테늄 촉매류, 로듐 촉매류 등을 나타낼 수 잇다.
알데히드류로서는,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디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 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 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 디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 트리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 브로모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를 나타낼 수 있다.
케톤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톤, 퍼플루오로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를 나타낼 수 있다.
반응 압력은 1기압에서 100기압의 범위에서 각각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반응 온도는 -20℃로부터 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 반응 시간은, 몇분에서 96시간의 범위에서 각각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방법 B)
일반식(8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용매 중에서, 알데히드류 또는 케톤류와 반응시켜, 환원제를 처리하는 것에 의해,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본 반응의 진행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크실렌,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아세트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물 등의 용매를 나타낼 수 있고, 이들의 용매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환원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 소듐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소듐트리아세테이트보로하이드라이드 등의 보로하이드라이드류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알데히드류로서는,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디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 플루오로아세트알데히드, 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 디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 트리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 브로모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를 나타낼 수 있다.
케톤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톤, 퍼플루오로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를 나타낼 수 있다.
반응 온도는 -20℃로부터 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 반응 시간은, 몇분에서 96시간의 범위에서 각각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방법 C)
일반식(8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용매 중, 또는 무용매로 알데히드류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0)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본 반응의 진행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크실렌,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아세트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설포란, 디메틸설폭시드,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황산, 염산 등의 무기산류, 포름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류, 물 등의 용매를 나타낼 수 있고, 이들의 용매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알데히드류로서는,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반응 온도는 -20℃로부터 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 반응 시간은, 몇분에서 96시간의 범위에서 각각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공정 1-(vii) : 일반식(10) + 일반식(11) → 일반식(9a)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방향족 아민 유도체와 일반식(1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탈리기를 가지는 탄산에스테르 유도체를 적당한 용매 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9a)로 표시되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아미드 혹은 카바메이트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염기 혹은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염기 혹은 용매로서는, 1-(i)에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에 관해서도,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일반식(11) 중에서, 카르복실산클로리드 유도체는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할로겐화제를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할로겐화제로서는,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할로겐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카르복실산 유도체(11)과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일반식(9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도 있고, 1-(i)의 예시의 방법에 따름으로써 제조 가능하다.
*공정 1-(viii) : 일반식(9a) + 일반식(13) → 일반식(1)
일반식(9a)로 표시되는 아미드 화합물과, 일반식(13)으로 표시되는 할로겐 등의 탈리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용매 중 혹은 무용매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염기 혹은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염기 혹은 용매로서는, 1-(i)에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에 관해서도,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제조방법 2>
[화86]
Figure 112013052717055-pat00079
공정 2-(i) : 일반식(8a) + 일반식(11) → 일반식(14)
일반식(8a)로 표시되는 방향족 아민 유도체와 일반식(1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탈리기를 가지는 탄산에스테르 유도체를 적당한 용매 중으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4)로 표시되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아미드 혹은 카바 메이트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염기 혹은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염기 혹은 용매로서는, 1-(i)에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에 관해서도,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일반식(11) 중에서, 카르복실산클로리드 유도체는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할로겐화제를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할로겐화제로서는,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할로겐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카르복실산 유도체(11)과 일반식(8a)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일반식(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도 있고, 1-(i)의 예시의 방법에 따름으로써 제조 가능하다.
공정 2-(ii) : 일반식(14) + 일반식(12) → 일반식(15)
일반식(14)로 표시되는 아미드 화합물과 일반식(12)로 표시되는 할로겐 등의 탈리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용매 중 혹은 무용매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5)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염기 혹은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염기 혹은 용매로서는, 1-(i)에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에 관해서도,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제조방법 3>
[화87]
Figure 112013052717055-pat00080
공정 3-(i) : 일반식(8) + 일반식(16) → 일반식(17)
일반식(8)로 표시되는 방향족 아민 유도체와 일반식(16)으로 표시되는 올레핀 유도체를 본 반응은 용매 중, 혹은 무용매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반응에서 이용되는 용매로서는 본 반응의 진행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 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등의 쇄상 또는 환상 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아세트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등의 불활성 용매,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등의 유기산류, 염산, 인산, 황산 등의 광산류를 나타낼 수 있고, 이들의 용매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반응은 촉매를 첨가해도 되고, 이용되는 촉매로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아민, 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N-벤질트리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TritonB) 등의 유기 염기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수산화알칼리금속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탄산염류, 인산-수소이칼륨, 인산삼나트륨 등의 인산염류,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등의 유기산류, 염산, 인산, 황산 등의 광산류, 삼염화알루미늄, 삼불화붕소, 삼염화붕소, 삼브롬화붕소, 사염화주석, 사염화티탄 등의 루이스산류, 유기 과산화물 혹은 아조 화합물 등의 라디칼 개시제, 테트라-n-부틸암모늄플루오리드 등의 불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 팔라듐 촉매, 루테늄 촉매 등의 귀금속 촉매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촉매는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해서, 0.001~5배몰당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반응 온도는 -70℃~200℃, 반응 시간은 몇분~96시간의 범위에서 각각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일반식(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하여, 0.2~10.0몰당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공정 3-(ii) : 일반식(17) + 일반식(11) → 일반식(18)
일반식(17)로 표시되는 방향족 아민 유도체와 일반식(1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탈리기를 가지는 탄산에스테르 유도체를 적당한 용매 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8)로 표시되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아미드 혹은 카바메이트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염기 혹은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염기 혹은 용매로서는, 1-(i)에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에 관해서도,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일반식(11) 중에서, 카르복실산클로리드 유도체는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할로겐화제를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할로겐화제로서는,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할로겐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카르복실산 유도체(11)과 일반식(17)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일반식(1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도 있고, 1-(i)의 예시의 방법에 따름으로써 제조 가능하다.
<제조방법 4>
[화88]
Figure 112013052717055-pat00081
공정 4-(i) : 일반식(19) → 일반식(20)
일반식(19)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유도체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일반식(20)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을 제조할 수 있다. 가수분해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신실험화학강좌」(마루젠), 14-II권, 931-935페이지에 기재된 산에 의한 방법, 동권 935-938페이지에 기재된 알칼리에 의한 방법, 혹은 동권 938-941 기재의 중성 조건에서의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공정 4-(ii) : 일반식(20) → 일반식(21)
일반식(20)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일반식(21)로 표시되는 산할로겐 유도체를, 할로겐화제를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할로겐화제로서는,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공정 4-(iii) : 일반식(21) + 일반식(25) → 일반식(22)
일반식(21)로 표시되는 산할로겐 유도체와 일반식(25)로 표시되는 아민 유도체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22)의 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제조 공정은, 1-i에 예시된 방법에 따름으로써, 제조 가능하다.
공정 4-(iv) : 일반식(20) + 일반식(25) → 일반식(22)
일반식(20)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과 일반식(25)로 표시되는 아민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22)의 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제조 공정은, 1-i에 예시된 방법에 따름으로써, 제조 가능하다.
공정 4-(v) : 일반식(21) + 일반식(26) → 일반식(23)
일반식(21)로 표시되는 산할로겐 유도체와 일반식(26)으로 표시되는 알코올 유도체를 적당한 용매 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23)의 에스테르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염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용매로서는, 본 반응의 진행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등의 쇄상 또는 환상 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아세트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등의 불활성 용매를 나타낼 수 있고, 이들의 용매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로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아민, 피리딘,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 등의 유기 염기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수산화알칼리금속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탄산염류, 인산-수소이칼륨, 인산삼나트륨 등의 인산염류, 수소화나트륨 등의 수소화 알칼리 금속염류,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등의 알칼리 금속 알코올레이트류,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등의 리튬아미드류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들의 염기는, 일반식(2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해서 0.01~5배 몰당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반응 온도는, -20℃~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 반응 시간은, 몇분에서 96시간의 범위에서 각각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공정 4-(vi) : 일반식(20) + 일반식(26) → 일반식(23)
일반식(20)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일반식(26)으로 표시되는 알코올 유도체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23)의 에스테르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반응의 제조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신실험화학강좌」(마루젠), 14-II권, 1002-1004페이지에 기재된 산촉매에 의한 합성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제조방법 5>
[화89]
Figure 112013052717055-pat00082
공정 5 : 일반식(27) + 일반식(28) → 일반식(29)
일반식(27)로 표시되는 아미드 화합물과, 일반식(28)로 표시되는 포름산에스테르 유도체를 용매 중 혹은 무용매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29)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염기 혹은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염기 혹은 용매로서는, 1-(i)에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에 관해서도,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일반식(28) 중에서, 포름산클로리드 유도체는 포름산 유도체로부터, 할로겐화제를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할로겐화제로서는,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할로겐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포름산에스테르 유도체(28)과 일반식(27)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일반식(2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도 있고, 1-(i)의 예시의 방법에 따름으로써 제조 가능하다.
<제조방법 6>
[화90]
Figure 112013052717055-pat00083
공정 6 : 일반식(19) → 일반식(30)
일반식(19)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과 히드라진을 용매 중 혹은 무용매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30)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용매로서는, 본 반응의 진행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크실렌,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아세트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메탄올, 에탄올등의 알코올류,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설포란, 디메틸설폭시드, 물 등의 용매를 나타낼 수 있고, 이들의 용매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20℃~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 반응 시간은, 몇분에서
96시간의 범위에서 각각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제조방법 7>
[화91]
Figure 112013052717055-pat00084
공정 7 : 일반식(31) + 일반식(12) → 일반식(9a)
일반식(31)로 표시되는 아미드 화합물과, 일반식(12)로 표시되는 할로겐 등의 탈리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용매 중 혹은 무용매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9a)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염기 혹은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염기 혹은 용매로서는, 1-(i)에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에 관해서도,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제조방법 8>
[화92]
Figure 112013052717055-pat00085
8-(i) : 일반식(32) + 일반식(6) → 일반식(33)
일반식(3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i)에 기재된 조건에 따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3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8-(ii) : 일반식(33) → 일반식(10a)
예를 들면, J. Org. Chem. 280페이지(1958년)에 기재된 조건에 따르는 것에 의해,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아미노화 반응을 행하여, 일반식(10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반응 용매 등의 조건은 문헌 기재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하게 반응의 진행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불활성 용매를 사용하면 되고, 반응 온도, 반응 시간에 관해서도, 반응의 진행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또한, 아미노화제로서는, 암모니아 외에, 메틸아민, 에틸아민 등을 나타낼 수도 있다.
8-(iii) : 일반식(10a) + 일반식(11) → 일반식(1)
일반식(10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i)에 기재된 조건에 따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방법 9>
[화93]
Figure 112013052717055-pat00086
9-(i) : 일반식(8) → 일반식(10a)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출발 원료로서 1-(vi)에 기재된 (방법 A), (방법 B) 혹은 (방법 C)의 조건에 따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0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9-(i') : 일반식(8) + 일반식(12) → 일반식(10a)
일반식(8)로 표시되는 방향족 아민 유도체와 일반식(1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탈리기를 가지는 탄산에스테르 유도체를 적당한 용매 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0a)로 표시되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아미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적당한 염기 혹은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염기 혹은 용매로서는, 1-(i)에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에 관해서도,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일반식(12) 중에서, 카르복실산클로리드 유도체는 카르복실산 유도체로부터, 할로겐화제를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할로겐화제로서는, 1-(i)의 예시에 따를 수 있다.
할로겐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카르복실산 유도체(12)와 일반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일반식(10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도 있고, 1-(i)의 예시의 방법에 따름으로써 제조 가능하다.
9-(ii) : 일반식(10a) + 일반식(11) → 일반식(1)
일반식(10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출발 원료로서 1-(i)에 기재된 조건에 따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방법 10>
[화94]
10-(i) : 일반식(5a) + 일반식(6) → 일반식(7b)
일반식(5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i)에 기재된 조건에 따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7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10-(ii) : 일반식(7b) → 일반식(7c)
일반식(7b)로 표시되는 니트로 방향족 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를 적당한 용매 중, 또는 무용매로 적당한 불소화제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7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본 반응의 진행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등의 쇄상 또는 환상 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설포란, 디메틸설폭시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를 나타낼 수 있고, 이들의 용매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소화제로서는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디에틸아민, 2-클로로-1,1,2-트리플루오로에틸디에틸아민, 트리플루오로디페닐포스포란, 디플루오로트리페닐포스포란, 플루오로포름산에스테르류, 사불화유황, 불화칼륨, 불화수소칼륨, 불화세슘, 불화루비듐, 불화나트륨, 불화리튬, 불화안티몬(III), 불화안티몬(V), 불화아연, 불화코발트, 불화납, 불화구리, 불화수은(II), 불화은, 플루오로붕산은, 불화탈륨(I), 불화몰리브덴(VI), 불화비소(III), 불화브롬, 사불화세렌, 트리스(디메틸아미노)설포늄디플루오로트리메틸실리케이트, 소듐헥사플루오로실리케이트, 불화제4급암모늄류, (2-클로로에틸)디에틸아민, 삼불화디에틸아미노류유황, 삼불화모르폴리노유황, 사불화규소, 불화수소, 불화수소산, 불화수소피리딘 착체, 불화수소트리에틸아민 착체, 불화수소염류, 비스(2-메톡시에틸)아미노설파트리플루오리드, 2,2-디플루오로-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5불화요오드, 트리스(디에틸아미노)포스포늄-2,2,3,3,4,4-헥사플루오로시클로부탄이리드, 트리에틸암모늄헥사플루오로시클로부탄이리드, 헥사플루오로프로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들의 불소화제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불소화제는 일반식(7b)로 표시되는 니트로 방향족 카르복실산 아미드 유도체에 대해서 1에서 10배 몰당량의 범위, 또는 용매로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첨가제를 이용해도 되고,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18-크라운-6 등의 크라운에테르류, 테트라페닐포스포늄염 등의 상관 이동촉매류, 불화칼슘, 염화칼슘 등의 무기염류, 산화수은 등의 금속 산화물류, 이온교환수지 등을 나타낼 수 있고, 이들의 첨가제는 반응계 중에 첨가할 뿐만 아니라, 불소화제의 사전 처리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80℃로부터 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 또한 반응 시간은, 몇분에서 96시간의 범위에서 각각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제조방법 11>
[화95]
Figure 112013052717055-pat00087
11-(i) : 일반식(5b) + 일반식(6) → 일반식(7d)
일반식(5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i)에 기재된 조건에 따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7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11-(ii) : 일반식(7d) → 일반식(7e)
일반식(7d)로 표시되는 할로겐 방향족 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를 적당한 용매 중, 또는 무용매로 적당한 시아노화제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7e)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본 반응의 진행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등의 쇄상 또는 환상 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시클로헥사논,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설포란, 디메틸설폭시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를 나타낼 수 있고, 이들의 용매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아노화제로서는, 시안화나트륨, 시안화칼륨, 시아노수소화붕소산나트륨 등의 시안화염류, 시안화구리, 시안화은, 시안화리튬 등의 금속 시안화물류, 시안화수소, 테트라에틸암모늄시아니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의 시아노화제는 일반식(7d)로 표시되는 할로겐 방향족 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에 대해서 1에서 10배 몰당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첨가제를 이용해도 되고,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18-크라운-6 등의 크라운에테르류, 테트라페닐포스포늄염 등의 상관 이동촉매류, 요오드화나트륨 등의 무기염류를 나타낼 수 있다.
반응 온도는, -20℃~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 반응 시간은, 몇분에서 96시간의 범위에서 각각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제조방법 12>
[화96]
Figure 112013052717055-pat00088
12-(i) : 일반식(10b) → 일반식(10c)
Synthesis 463페이지(1993년)나 Synthesis 829페이지(1984년) 등에 기재된 공지의 조건에 따라, 일반식(10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로손 시약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0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용매, 반응 온도 등의 조건은, 문헌 기재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2-(ii) : 일반식(10c) + 일반식(11) → 일반식(1c)
일반식(10c)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i)에 기재된 조건에 따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일반식(1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방법 13>
[화97]
Figure 112013052717055-pat00089
13-(i) : 일반식(1d) → 일반식(1e) + 일반식(1f)
일반식(1d)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12-(i)에 기재된 조건에 따라서, 일반식(1e) 및 일반식(1f)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용매, 반응 온도 등의 조건은, 문헌 기재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2개의 화합물은,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의 공지의 분리정제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 정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 나타낸 모든 제조방법에 있어서, 목적물은, 반응 종료후, 반응계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단리하면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재결정,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증류 등의 조작을 행하여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반응계로부터 목적물을 단리시키지 않고 다음의 반응 공정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제1표~제8표에 본 발명의 살충제의 유효 성분인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대표적인 화합물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1표~제21표에 본 발명 화합물의 중간체인 일반식(6a), 일반식(6b), 일반식(6c) 및 일반식(6d)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대표적인 화합물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 중, 「n-」는 노말을, 「Me」는 메틸기를, 「Et」는 에틸기를, 「nPr」은 노말프로필기를, 「nPr」은 노말프로필기를, 「iPr」은 이소프로필기를, 「nBu」는 노말부틸기를, 「iBu」는 이소부틸기를, 「sBu」는 세컨더리부틸기를, 「tBu」는 터셔리부틸기를, 「Ph」는 페닐기를, 「H」는 수소 원자를, 「O」는 산소 원자를, 「S」는 황 원자를, 「C」는 탄소 원자를, 「N」은 질소 원자를, 「F」는 불소 원자를, 「Cl」은 염소 원자를, 「Br」은 브롬 원자를, 「I」는 요오드 원자를, , 「CF3」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C2F5」는 펜타플루오로에틸기를, 「OCF3」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를, 「MeS」는 메틸티오기를, 「MeSO」는 메틸설피닐기를, 「MeSO2」는 메틸설포닐기를, 「MeO」는 메톡시기를, 「NH2」는 아미노기를, 「MeNH」는 메틸아미노기를, 「Me2N」은 디메틸아미노기를, 「OH」는 히드록시기를, 「CN」는 시아노기를, 「NO2」는 니트로기를, 「Ac」는 아세틸기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표 중의 n은, X가 수소 원자 이외의 경우의 치환수를 나타낸다. 또한, X의 란에 있어서, 「2-F」라는 기재는, 2위치에 불소 원자가 치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그 외의 기재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090
Figure 112013052717055-pat00091
Figure 112013052717055-pat00092
Figure 112013052717055-pat00093
Figure 112013052717055-pat00094
Figure 112013052717055-pat00095
Figure 112013052717055-pat00096
Figure 112013052717055-pat00097
Figure 112013052717055-pat00098
Figure 112013052717055-pat00099
Figure 112013052717055-pat00100
Figure 112013052717055-pat00101
Figure 112013052717055-pat00102
Figure 112013052717055-pat00103
Figure 112013052717055-pat00104
Figure 112013052717055-pat00105
Figure 112013052717055-pat00106
Figure 112013052717055-pat00107
Figure 112013052717055-pat00108
Figure 112013052717055-pat00109
Figure 112013052717055-pat00110
Figure 112013052717055-pat00111
Figure 112013052717055-pat00112
Figure 112013052717055-pat00113
Figure 112013052717055-pat00114
Figure 112013052717055-pat00115
Figure 112013052717055-pat00116
Figure 112013052717055-pat00117
Figure 112013052717055-pat00118
Figure 112013052717055-pat00119
Figure 112013052717055-pat00120
Figure 112013052717055-pat00121
Figure 112013052717055-pat00122
Figure 112013052717055-pat00123
Figure 112013052717055-pat00124
Figure 112013052717055-pat00125
Figure 112013052717055-pat00126
Figure 112013052717055-pat00127
Figure 112013052717055-pat00128
Figure 112013052717055-pat00129
Figure 112013052717055-pat00130
Figure 112013052717055-pat00131
Figure 112013052717055-pat00132
Figure 112013052717055-pat00133
Figure 112013052717055-pat00134
Figure 112013052717055-pat00135
Figure 112013052717055-pat00136
Figure 112013052717055-pat00137
Figure 112013052717055-pat00138
Figure 112013052717055-pat00139
Figure 112013052717055-pat00140
Figure 112013052717055-pat00141
Figure 112013052717055-pat00142
Figure 112013052717055-pat00143
Figure 112013052717055-pat00144
Figure 112013052717055-pat00145
Figure 112013052717055-pat00146
Figure 112013052717055-pat00147
Figure 112013052717055-pat00148
Figure 112013052717055-pat00149
Figure 112013052717055-pat00150
Figure 112013052717055-pat00151
Figure 112013052717055-pat00152
Figure 112013052717055-pat00153
Figure 112013052717055-pat00154
Figure 112013052717055-pat00155
Figure 112013052717055-pat00156
Figure 112013052717055-pat00157
Figure 112013052717055-pat00158
Figure 112013052717055-pat00159
Figure 112013052717055-pat00160
Figure 112013052717055-pat00161
Figure 112013052717055-pat00162
Figure 112013052717055-pat00163
Figure 112013052717055-pat00164
Figure 112013052717055-pat00165
Figure 112013052717055-pat00166
Figure 112013052717055-pat00167
Figure 112013052717055-pat00168
Figure 112013052717055-pat00169
Figure 112013052717055-pat00170
Figure 112013052717055-pat00171
Figure 112013052717055-pat00172
Figure 112013052717055-pat00173
Figure 112013052717055-pat00174
Figure 112013052717055-pat00175
Figure 112013052717055-pat00176
Figure 112013052717055-pat00177
Figure 112013052717055-pat00178
Figure 112013052717055-pat00179
Figure 112013052717055-pat00180
Figure 112013052717055-pat00181
Figure 112013052717055-pat00182
Figure 112013052717055-pat00183
Figure 112013052717055-pat00184
Figure 112013052717055-pat00185
Figure 112013052717055-pat00186
Figure 112013052717055-pat00187
Figure 112013052717055-pat00188
Figure 112013052717055-pat00189
Figure 112013052717055-pat00190
Figure 112013052717055-pat00191
Figure 112013052717055-pat00192
Figure 112013052717055-pat00193
Figure 112013052717055-pat00194
Figure 112013052717055-pat00195
Figure 112013052717055-pat00196
Figure 112013052717055-pat00197
Figure 112013052717055-pat00198
Figure 112013052717055-pat00199
Figure 112013052717055-pat00200
Figure 112013052717055-pat00201
Figure 112013052717055-pat00202
Figure 112013052717055-pat00203
Figure 112013052717055-pat00204
Figure 112013052717055-pat00205
Figure 112013052717055-pat00206
Figure 112013052717055-pat00207
Figure 112013052717055-pat00208
Figure 112013052717055-pat00209
Figure 112013052717055-pat00210
Figure 112013052717055-pat00211
Figure 112013052717055-pat00212
Figure 112013052717055-pat00213
Figure 112013052717055-pat00214
Figure 112013052717055-pat00215
Figure 112013052717055-pat00216
Figure 112013052717055-pat00217
Figure 112013052717055-pat00218
Figure 112013052717055-pat00219
Figure 112013052717055-pat00220
Figure 112013052717055-pat00221
Figure 112013052717055-pat00222
Figure 112013052717055-pat00223
Figure 112013052717055-pat00224
Figure 112013052717055-pat00225
Figure 112013052717055-pat00226
Figure 112013052717055-pat00227
Figure 112013052717055-pat00228
Figure 112013052717055-pat00229
Figure 112013052717055-pat00230
Figure 112013052717055-pat00231
Figure 112013052717055-pat00232
Figure 112013052717055-pat00233
Figure 112013052717055-pat00234
Figure 112013052717055-pat00235
Figure 112013052717055-pat00236
Figure 112013052717055-pat00237
Figure 112013052717055-pat00238
Figure 112013052717055-pat00239
Figure 112013052717055-pat00240
Figure 112013052717055-pat00241
Figure 112013052717055-pat00242
Figure 112013052717055-pat00243
Figure 112013052717055-pat00244
Figure 112013052717055-pat00245
Figure 112013052717055-pat00246
본 발명 화합물은, 농원예 작물 및 수목 등을 가해하는 소위 농업 해충, 가축·가금류에 기생하는 소위 가축 해충, 가옥 등의 인간의 생활 환경에서 여러가지 악영향을 주는 소위 위생 해충, 건축물 등의 목재를 가해하는 소위 목재식해충, 창고에 저장된 곡물 등을 가해하는 소위 저고해충 등으로서의 곤충류, 및 동일한 장면에서 발생, 가해하는 진드기류, 갑각류, 연체동물, 선충류 중의 어느 유해 생물도 저농도로 유효하게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을 이용하여 방제할 수 있는 곤충류, 진드기류, 갑각류, 연체동물 및 선충류에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honmai),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orana faciata), 사과무늬잎말이나방(Archips breviplicanus), 검모무늬잎말이나방(Archips fuscocupreanus),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차잎말이나방(Choristoneura magnanima), 콩나방(Leguminivora glycinivorella),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 갈색잎말이나방(Pandemis heparana), 배선굴나방(Bucculatrix pyrivorella), 복숭아굴나방(Lyonetia clerkella), 은무늬굴나방(Lyonetia prunifoliella malinella), 동백가는나방(Caloptilia theivora), 사과굴나방(Phyllonorycter ringoniella), 귤굴나방 (Phyllocnistis citrella), 파좀나방(Acrolepiopsis sapporensis), 참마나방(Acrolepiopsis suzukiella),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감꼭지나방(Stathmopoda masinissa), 뿔나방(Helcystogramma triannulella), 분홍솜벌레(Pectinophora gossypiella),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sasakii), 코들링 나방(Cydla pomonella),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 혹명나방(Cnaphalocrocis medinalis), 복숭아명나방(Conogethes punctiferalis), 목화바둑명나방(Diaphania
indica), 팥알락명나방(Etiella zinckenella), 뽕나무명나방(Glyphodes pyloalis), 배추순나방(Hellula undalis),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콩줄기명나방(Ostrinia scapulalis), 유럽조명나방(Ostrinia nubilalis), 포충나방(Parapediasia teterrella), 줄점팔랑나비(Parnara guttata), 큰흰나비(Pieris brassicae), 배추흰나비(Pieris rapae crucivora), 네눈쑥가지나방(Ascotis selenaria), 소이빈 루퍼(Pseudoplusia includens), 차독나방(Euproctis pseudoconspersa),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애흰무늬독나방(Orgyia thyellina),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수검은줄점불나방(Lemyra imparilis), 으름밤나방(Adris tyrannus), 뒤흰날개밤나방(Aedia leucomelas),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 거세미나방(Agrotis segetum), 검은무늬밤나방 (Autographa nigrisigna), 콩은무늬밤나방 (Ctenoplusia agnata), 왕담배나방 (Helicoverpa armigera),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토마토 과실 벌레(Helicoverpa zea), 담배나방(Heliothis virescens), 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 멸강나방(Mythimna separata), 벼애나방(Naranga aenescens), 서던 아미 웜(Spodoptera eridania),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도둑나방(Spodoptera frugiperda),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toralis), 담배거세미나방 (Spodoptera litura), 잔디밤나방(Spodoptera depravata), 양배추금무늬나방 (Trichoplusia ni), 그레이프 베리 모스(Endopiza viteana), 토마토 혼 웜(Manduca quinquemaculata), 타바코 혼 웜(Manduca sexta) 등의 인시류 곤충,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귤총채벌레(Heliothrips haemorrhoidalis),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감관총채벌레(Ponticulothrips diospyrosi) 등의 총시목곤충,
알락수염노린재(Dolycoris baccarum), 얼룩노린재(Eurydema rugosum), 가시점둥글노린재(Eysarcoris aeneus), 큰가시둥글노린재(Eysarcoris lewisi), 배둥글노린재(Eysarcoris ventralis), 기름빛풀색노린재(Glaucias subpunctatus),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 풀색노린재(Nezara antennata), 남쪽풀색노린재(Nezara viridula), 가로줄노린재(Piezodorus hybneri),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crossota), 먹노린재(Scotinophora lurida), 시골가시허리노린재(Cletus punctiger), 호리허리노린재(Leptocorisa chinensis),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붉은잡초노린재(Rhopalus msculatus), 오리엔탈 친츠 버그(Cavelerius saccharivorus), 미디표주박긴노린재(Togo hemipterus), 노린재목 (Dysdercus cingulatus), 진달래방패벌레(Stephanitis pyrioides), 깡충장님노린재(Halticus insularis), 녹노린재(Lygus lineolaris), 라이스 스틴크 버그(Stenodema sibiricum), 홍색얼룩장님노린재(Stenotus rubrovittatus), 빨간촉각장님노린재(Trigonotylus caelestialium), 두점박이애매미충(Arboridia apicalis), 검정가슴매미충(Balclutha saltuella), 쌍점말매미충(Epiacanthus stramineus), 감자애매미충(Empoasca fabae), 카키노히메요코바이(Empoasca nipponica), 오누키애매미충(Empoasca onukii), 마메노미도리히메요코바이(Empoasca sakaii), 꼭지매미충(Macrosteles striifrons),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nceps), 코튼 프리 호퍼(Psuedatomoscelis seriatus),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a), 벼멸구 (Nilaparvata lugens), 흰등멸구(Sogatella furcfera), 의매개충(Diaphorina citri), 배나무이(Psylla pyrisuga), 귤가시가루이(Aleurocanthus spiniferus), 담배가루이(Bemisia argentifolii),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귤가루이 (Dialeurodes citri),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 포도뿌리혹벌레 (Viteus vitifolii),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조팝나무 진딧물(Aphis spiraecola),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탱자소리진딧물(Toxoptera aurantii), 짚신깍지벌레(Drosicha corpulenta), 조팝나무 진딧물(Icerya purchasi), 나스코나카이가라무시(Phenacoccus solani), 귤가루깍지벌레 (Planococcus citri), 온실가루깍지벌레(Planococcus kuraunhiae),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 뿔밀깍지벌레(Ceroplastes ceriferus), 루비깍지벌레(Ceroplastes rubens), 아카마루카이가라무시(Aonidiella aurantii), 샌호제깍지벌레(Comstockaspis perniciosa), 티 스케일(Fiorinia theae), 체노말패각충(Pseudaonidia paeoniae), 뽕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 pispentagona), 벚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runicola), 사철깍지벌레(Unaspis euonymi), 화살깍지벌레(Unaspis yanonensis), 빈대(Cimex lectularius) 등의 반시목곤충,
구리풍뎅이(Anomala cuprea), 오리나무풍뎅이(Anomala rufocuprea), 풀색꽃무지(Gametis jucunda), 긴다색풍뎅이(Heptophylla picea), 왜콩풍뎅이(Popillia japonica), 콜로라도잎벌레(Lepinotarsa decemlineata), 스위트포테이토 와이어웜(Melanotus fortnumi), 칸샤크시코메츠키(Melanotus tamsuyensis), 권연벌레(Lasioderma serricorne), 애넓적밑빠진벌레(Epuraea domina), 넓적나무좀(Lyctus brunneus), 가루개나무좀(Rhizopertha dominica), 까지콩무당벌레(Epilachna varivestis),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Epilachna vigintioctopunctata),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castaneum), 알락하늘소(Anoplophora malasiaca), 마츠노마다라카미키리(Monochamus alternatus), 솔수염하늘소(Psacothea hilaris), 포도호랑하늘소(Xylotrechus pyrrhoderus),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오이잎벌레(Aulacophora femoralis), 맵시잎벌레(Chaetocnema concinna), 서든 콘 루트 웜(Diabrotica undecimpunctata), 웨스턴 콘 루트웜 (Diabrotica virgifera), 노던 콘 루트 웜(Diabrotica barberi), 벼잎벌레(Oulema oryzae), 벼룩잎벌레(Phyllotreta striolata), 가지벼룩잎벌레(Psylliodes angusticollis), 복숭아거위벌레(Rhynchites heros), 개미바구미(Cylas formicarius), 목화바구미 (Anthonomus grandis), 벼뿌리바구미(Echinocnemus squameus), 고구마바구미(Euscepes postfasciatus), 알팔파바구미(Hypera postica), 벼물바구미(Lissohoptrus oryzophilus), 줄바구미(Otiorhynchus sulcatus), 그라나리아바구미(Sitophilus granarius), 어리쌀바구미(Sitophilus zeamais), 잔디왕바구미(Sphenophorus venatus vestitus), 청딱지개미반날개(Paederus fuscipes) 등의 초시목곤충,
콩깍지흑파리(Asphondylia yushimai), 붉은보리혹파리(Sitodiplosis mosellana), 오이과실파리(Bactrocera cucurbitae), 귤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 지중해과실파리(Ceratitis capitata), 벼애잎굴파리(Hydrellia griseola), 벗초파리(Drosophila suzukii), 벼잎굴파리(Agromyza oryzae), 완두굴파리(Chromatomyia horticola),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bryoniae),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chinensis), 토마토하모그리바에(Liriomyza sativae),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 씨고자리파리(Delia platura), 나도시금치꽃파리(Pegomya cunicularia), 사과과실파리(Rhagoletis pomonella), 헤시안파리(Mayetiola destructor), 집파리(Musca domestica), 침파리(Stomoxys calcitrans), 이파리(Melophagus ovinus), 쇠파리(Hypoderma bovis), 히포데르마 리네아툼(쇠파리)(Hypoderma lineatum), 양파리(Oestrus ovis), 체체파리(Glossina palpalis, Glossinamorsitans), 키아시오오뷰(Prosimulium yezoensis), 소등에(Tabanus trigonus), 나방파리(Telmatoscopus albipunctatus), 토쿠나가누카카(Leptoconops nipponensis),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 흰줄숲모기(Aedes albopicutus), 시나하마다라카(Anopheles hyracanus sinesis) 등의 쌍시목 곤충,
구리하 천벌(Apethymus kuri), 무잎벌(Athalia rosae), 장미등에잎벌(Arge pagana), 솔노랑잎벌(Neodiprion sertifer), 밤나무혹벌(Dryocosmus kuriphilus), 군대개미(Eciton burchelli, Eciton schmitti), 일본왕개미(Camponotus japonicus), 장수말벌(Vespa mandarina), 호구개미(Myrmecia spp.), 파이야안트류(Solenopsis spp.), 애집개미(Monomorium pharaonis) 등의 막시목 곤충,
왕귀뚜라미(Teleogryllus emma), 땅강아지(Gryllotalpa orientalis), 풀무치(Locusta migratoria), 벼 메뚜기(Oxya yezoensis), 사막메뚜기(Schistocerca gregaria) 등의 곧 시목 곤충,
토게나시시로히비무시(Onychiurus folsomi), 시베리아시로토비무시(Onychiurus sibiricus), 알톡토기(Bourletiella hortensis) 등의 점관목 곤충,
먹바퀴(Periplaneta fuliginosa), 집바퀴(Periplaneta japonica), 바퀴(Blattella germanica) 등의 망시목곤충,
집흰개미(Coptotermes formosanus), 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 타이완 흰개미(Odontotermes formosanus) 등의 흰개미목곤충,
고양이 벼룩(Ctenocephalidae felis), 개 벼룩(Ctenocephalides canis), 닭 벼룩(Echidnophaga gallinacea), 사람 벼룩(Pulex irritans), 열대쥐벼룩(Xenopsylla cheopis) 등의 등 시목 곤충,
큰참닭털이(Menacanthus stramineus), 소털이(Bovicola bovis) 등의 털이목곤충,
소이(Haematopinus eurysternus), 돼지이(Haematopinus suis), 리노그나투스 비툴리(Linognathus vituli), 케부카우시지라미(Solenopotes capillatus) 등의 이목곤충,
씨클라멘먼지응애(Phytonemus pallidus),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 갈색먼지응애(Tarsonemus bilobatus)등의 먼지진드기류,
하쿠사이다니(Penthaleus erythrocephalus), 윈터 그레인 마이트(Penthaleus major) 등의 하시리진드기류,
벼응애(Oligonychus shinkajii),귤응애(Panonychus citri), 쿠와오오하다니(Panonychus mori), 사과응애(Panonychus ulmi),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등의 잎진드기류,
체노나가사비다니(Acaphylla theavagrans), 마늘혹응애(Aceria tulipae), 토마토녹응애(Aculops lycopersici), 귤녹응애(Aculops pelekassi), 사과녹응애 (Aculus schlechtendali), 니세나시사비다니(Eriophyes chibaensis), 시트라스라스트마이트(Phyllocoptruta oleivora) 등의 혹응애류,
뿌리응애(Rhizoglyphus robini), 긴털가루진드기(Tyrophagus putrescentiae), 시금치긴털가루진드기(Tyrophagus similis) 등의 가루진드기류,
꿀벌응애(Varroa jacobsoni) 등의 벌 진드기류,
매개 절족동물 진드기(Boophilus microplus), 개진드기(Rhipicephalus sanguineus), 작은소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개피참진드기(Haemophysalis flava), 작은개피참진드기(Haemophysalis campanulata), 사슴참진드기(Ixodes ovatus), 산림진드기(Ixodes persulcatus), 뭉뚝참진드기(Amblyomma spp.), 광대진드기(Dermacentor spp.) 등의 참진드기류,
개 손톱 진드기(Cheyletiella yasguri), 고양이 손톱 진드기(Cheyletiella blakei) 등의 손톱 진드기류,
개 모낭충 진드기(Demodex canis), 고양이 모낭충 진드기(Demodex cati) 등의 모낭충 진드기류,
양 귀진드기(Psoroptes ovis) 등의 귀진드기류,
천공개선충(Sarcoptes scabiei), 고양이 천공개선충(Notoedres cati), 닭 개선충(Knemidocoptes spp.) 등의 개선충류,
쥐며느리(Armadillidium vulgare) 등의 갑각류,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 왕달팽이(Achatina fulica), 민달팽이(Meghimatium bilineatum), 민달팽이(Limax Valentiana), 달팽이(Acusta despecta sieboldiana), 미스지 달팽이(Euhadra peliomphala) 등의 복족류,
커피뿌리썩이선충(Prathylenchus coffeae), 뿌리썩이선충 (Prathylenchus penetrans), 사과뿌리썩이선충(Prathylenchus vulnus), 감자시스트선충(Globodera rostochiensis), 콩시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벼이삭선충(Aphelenchoides besseyi), 소나무 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등의 선충류,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은, 유기 인계 화합물, 카바메이트계 화합물 또는 피레
스로이드계 화합물 등의 기존의 살충제에 대해서 저항성이 발달한 유해 생물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은, 다른 농원예용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 살
균제, 제초제, 식물 성장 조절제, 생물 농약 등과 혼합사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뛰어난 방제 효과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는, 논작물, 밭작물, 과수, 야채, 그 외의 작물 및 화훼 등에 피해를 주는 상기 유해 생물에 대해서 현저한 방제 효과를 가지는 것이므로, 유해 생물의 발생이 예측되는 시기에 맞추어, 유해 생물의 발생 전 또는 발생이 확인된 시점에서, 논작물, 밭작물, 과수, 야채, 그 외의 작물, 화훼 등의 논수, 경엽 또는 토양에 처리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유해 생물 방제제로서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는, 수확물의 보존 중에 발생하는 저곡해충 등에 대해서 현저한 방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즉,본 발명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를 수확물, 혹은 수확물의 보존 장소에, 분사, 도말, 도포, 침지, 분의, 훈증ㆍ훈연 또는 가압주입 등의 수확 후(post harvest) 처리를 행하면 된다.
본 발명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는, 식물 종자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파종 후의 식물에 발생하는 해충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를 그대로, 또는 물 등으로 적절히 희석하고, 혹은 현탁시킨 형태로 해충 방제에 유효한 양을, 식물종자에 대해 분사, 도말, 침지 또는 분의 등의 처리를 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 화합물을 식물 종자에 접촉시키면 된다.
식물 종자란, 유식물이 발아하기 위한 영양분을 저장하여 농업상 번식에 이용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옥수수, 대두, 팥, 면, 벼, 첨채, 밀, 보리, 해바라기, 토마토, 오이, 가지, 시금치, 꼬투리 콩, 호박, 사탕수수, 담배, 피망 및 서양유채 등의 종자나 토란, 감자, 고구마, 곤약등의 씨감자, 식용백합, 튤립 등의 구근이나 염교 등의 종구 등이 들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는, 쌍시목해충(빨간집모기, 깔따구, 집파리, 나방파리, 소등에 등), 망시목해충(바퀴, 먹바퀴, 이질바퀴) 등의 위생 해충에 대해서 현저한 방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는, 흰 개미, 넓적나무좀, 가루개나무좀, 빗살수염벌레, 하늘소 등의 목재식해충에 대해 현저한 방제 효과를 가지는 것이며, 토양 혹은 건축물 등의 목재에 처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목재 식충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는, 농원예 약제에 있어서의 제재상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사용상 편의가 좋은 형상으로 제제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이들을 적당한 불활성 담체에, 또는 필요에 따라서 보조제와 함께 적당한 비율로 배합하여 용해, 분리, 현탁, 혼합, 함침, 흡착 혹은 부착시켜, 적절한 제형, 예를 들면, 현탁제, 유제(乳劑), 액체, 수화제, 입제, 분제, 정제, 유제(油劑), 에어졸, 훈연제, 액화 탄산가스 제제, 베이트제, 수지제, 도장제 등으로 제제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불활성 담체로서는 고체 또는 액체 중의 어느 것이라도 되고, 고체의 불활성 담체가 될 수 있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대두분, 곡물분, 목분, 수피분, 톱밥, 담배경분, 호두각분, 맹장지, 섬유소 분말, 식물 엑기스 추출 후의 잔사, 분쇄 합성 수지 등의 합성 중합체, 점토류(예를 들면 카올린, 벤토나이트, 산성백토 등), 탈크류(예를 들면 탈크, 피로필라이트(pyrophyllite) 등), 실리카류(예를 들면 규조토, 규사, 운모, 화이트 카본[함수 미분 규소, 함수 규산이라고도 하는 합성 고분산 규산으로, 제품에 따라 규산칼슘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도 있다.]), 활성탄, 유황 분말, 경석, 소성 규조토, 벽돌 분쇄물, 플라이 애쉬, 모래, 탄산칼슘, 인산칼슘등의 무기 광물성 분말, 유안, 인안, 소안, 요소, 염안 등의 화학비료, 퇴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액체의 불활성 담체가 될 수 있는 재료로서는, 그 자체 용매능을 가지는 것 외에, 용매능을 가지지 않아도 보조제의 도움에 의해 유효 성분 화합물을 분산하게 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되고, 예를 들면 대표예로서 다음에 드는 담체를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되고, 예를 들면 물, 알코올류(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등), 케톤류(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에테르류(예를 들면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셀로솔브,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예를 들면 케로신, 광유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나프타, 알킬나프탈렌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류(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클로로벤젠 등),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프로피온산에틸, 프탈산디이소부틸,프탈산디부틸, 프탈산디옥틸 등), 아미드류(예를 들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니트릴류(예를 들면 아세트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보조제로서는, 다음에 예시하는 대표적인 보조제를 들 수 있고, 이들의 보조제는 목적에 따라 사용되고, 단독으로, 어떤 경우에는 2종 이상의 보조제를 병용하고, 또한 어떤 경우에는 전혀 보조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유효 성분 화합물의 유화, 분산, 가용화 및/또는 습윤의 목적을 위해서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고급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수지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알킬아릴설폰산염, 나프탈렌설폰산염, 리그닌설폰산염, 고급 알코올 황산에스테르 등의 계면활성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유효 성분 화합물의 분산 안정화, 점착 및/또는 결합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에 예시하는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카제인, 젤라틴, 전분,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라바이고무, 폴리비닐알코올, 송근유, 강유, 벤토나이트, 크산탄검, 리그닌설폰산염 등의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고체 제품의 유동성 개량을 위해서 다음에 드는 보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왁스, 스테아린산염, 인산알킬에스테르 등의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현탁성 제품의 해리제로서 예를 들면 나프탈렌설폰산 축합물, 축합 인산염 등의 보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소포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유 등의 보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광, 열, 산화 등에 안정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산화 방지제 혹은 자외선 흡수제, 예를 들면 BHT(2,6-디-t-부틸-4-메틸페놀), BHA(부틸히드록시아니솔)과 같은 페놀 유도체, 비스페놀 유도체, 또는 페닐-α-나프틸아민, 페닐-β-나프틸아민, 페네티딘과 아세톤의 축합물 등의 아릴아민류 혹은 벤조페논계 화합물류를 안정제로서 적당량 더하는 것에 의해서, 보다 효과가 안정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효 성분량은, 통상 분제에서는 0.5~20중량%, 유제에서는 5~50중량%, 수화제에서는 10~90중량%, 입제에서는 0.1~20중량% 및 플로어블제제에서는 10~90중량%이다. 한편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의 담체의 양은, 통상 분제에서는 60~99중량%, 유제에서는 40~95중량%, 수화제에서는 10~90중량%, 입제에서는 80~99중량%, 및 플로어블제제에서는 10~90중량%이다. 또한, 보조제의 양은, 통상 분제에서는 0.1~20중량%, 유제에서는 1~20중량%, 수화제에서는 0.1~20중량%, 입제에서는 0.1~20중량% 및 플로어블제제에서는 0.1~20중량%이다.
각종 해충을 방제 하기 위해서 그대로, 또는 물 등으로 적절히 희석하고, 혹은 현탁시킨 형으로 병해 방제에 유효한 양을 당해 해충의 발생이 예측되는 작물 혹은 발생이 바람직하지 않은 장소에 적용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 사용량은 여러가지의 인자, 예를 들면 목적, 대상 해충, 작물의 생육 상황, 해충의 발생 경향, 기후, 환경 조건, 제형, 시용 방법, 시용 장소, 시용 시기 등에 의해 변동하지만, 일반적으로 유효 성분 0.0001~5000ppm, 바람직하게는 0.01~1000ppm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0a당의 시용량은, 일반적으로 유효 성분으로 1~300g이다.
일본 출원 2008-200114호의 개시는 그 전체를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구체적 또한 개개에 기재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가지의 농업 해충에 대해서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유용 작물을 보호하는 효과와 함께, 저약량화에 의해 환경에의 부하 저감에 크게 공헌하는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유해 생물의 방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DMF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THF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IPE는 이소프로필에테르를, DMSO는 다이메틸설폭사이드를, DMI는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을, CDI는 카르보닐디이미다졸을, PDC는 디크롬산피리디늄(Pyridinium Dichromate)을 각각 의미한다. 또한, 특기하지 않는 한 「%」는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메틸 2-(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N-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아세테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7-221)
[화98]
Figure 112013052717055-pat00247
<1-1>
2-클로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
[화99]
Figure 112013052717055-pat00248
2-클로로-3-니트로벤조산 2.50g, DMF 5방울을 톨루엔 30ml에 더한 용액에, 염화티오닐 1.62g(13.7mmol)을 투입하고, 80℃에서 2시간 가열 교반했다. 뒤이어,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조(粗)카르복실산클로리드를 THF 10ml에 용해했다. 이것을 THF 20ml에 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 3.24g(11.2mmol)과 피리딘 1.77g(22.4mmol)을 더한 용액에 실온에서 적하 투입하여, 5시간 교반했다. 아세트산에틸과 물을 반응 용액에 더하여, 분액조작을 행하고 나서, 유기층을 분취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이 용액을 여과하여, 그 여액을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3.38g(수율 64%)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49
<1-2>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00]
Figure 112013052717055-pat00250
2-클로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 2.35g(4.97mmol), 불화칼륨(스프레이드라이제품) O.870g(15.0mmol)을 모리큘러시브스로 건조한 DMF 25ml에 더하여, 150℃에서 3시간 가열 교반했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 아세트산에틸과 물을 반응 용액에 더하여, 분액조작을 행하고 나서, 유기층을 분취하고, 물로 2회 세정하고 나서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이 용액을 여과하여, 그 여액을 모으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1.02g(수율 45%)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51
<1-3>
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01]
Figure 112013052717055-pat00252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 11.3g(5.15mmol), 염화 주석(II) 14.5g(76.5mmol)을 에탄올 56ml에 투입하고, 진한염산 12.5ml를 적하했다. 60℃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실온까지 냉각했다. 물 280ml에 배출하고, 아세트산 200ml를 투입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했다. 석출한 침전을 세라이트 여과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고, 여액을 분액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5: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5.80g(수율:55%)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53
<1-4>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02]
Figure 112013052717055-pat00254
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 5.80g(13.6mmol)을 진한황산 34.8ml에 투입하여 용해했다.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17.4ml를 내온 30~40℃로 유지하면서 1시간 걸려 적하했다. 40℃에서 3시간 교반한 후, 빙수 200ml로 배출하고, 아세트산에틸 100ml로 3회 추출을 행하고, 유기층을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ml로 3회 세정했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IPE로 세정함으로써, 표기 화합물 4.49g(수율:75%)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55
<1-5>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N-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03]
Figure 112013052717055-pat00256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 4.49g(10.2mmol), 피리딘 0.920g(11.6mmol)을 THF 22ml에 투입하고, 벤조일클로리드 1.54g(10.9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 후, 5% 염산으로 세정했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IPE로 세정함으로써, 표기 화합물 5.00g(수율:90%)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57
<1-6>
메틸 2-(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N-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아세테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7-221)
[화104]
Figure 112013052717055-pat00258
60% 수소화나트륨 0.240g(6.06mmol)을 DMF 10ml에 투입하고, DMF 8ml에 용해한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N-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 3.00g(5.51mmol)을 실온에서 적하했다.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후, 브로모아세트산메틸 1.86g(12.1mmol)을 더하여, 60℃에서 3시간 교반했다. 실온까지 냉각 후,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0:1→7:3→1: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3.05g(수율 90%)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59
<실시예 2>
2-(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N-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아세틱애시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7-222)
[화105]
Figure 112013052717055-pat00260
실시예 1의 1-6에서 얻어진 메틸 2-(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N-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아세테이트 2.00g(3.25mmol)을 메탄올 10ml에 투입하고, 수산화나트륨 0.520g(13.0mmol), 물 5ml를 첨가하여, 2시간 교반했다. 물로 배출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세정 후, 진한염산으로 수층의 pH를 1로 조정했다. 아세트산에틸로 추출 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1.00g(수율:51%)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61
카르복실산으로 추정되는 프로톤은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3>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N-(2-히드록시에틸)-3-(N-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7-23)
[화106]
Figure 112013052717055-pat00262
실시예 1의 1-6에서 얻어진 메틸 2-(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N-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아세테이트 1.40g(2.27mmol)을 에탄올 4ml에 투입하고, 실온에서 수소화붕소나트륨 0.100g(2.73mmol)을 첨가했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 후, 수소화붕소나트륨 0.100g(2.73mmol)을 추가하여, 2시간 교반했다. 또한 수소화붕소나트륨 0.100g(2.73mmol)을 추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물을 더했다. 식염을 첨가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사=아세트산에틸=7:3→1:1→1:2→O: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900g(수율:67%)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63
<실시예 4>
N-(2-아미노-2-옥소에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N-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7-220)
[화107]
Figure 112013052717055-pat00264
실시예 1의 1-6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1-5에서 얻어진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N-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와 2-클로로아세트산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65
<실시예 5>
메틸 2-(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메틸)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아세테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6-1)
[화108]
Figure 112013052717055-pat00266
<5-1>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09]
Figure 112013052717055-pat00267
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 20.0g(69.2mmol), 피리딘 11.0g(139mmol)을 THF 100ml에 용해한 후, THF 20ml에 용해한 3-니트로벤조일클로리드 13.0g을 천천히 적하 투입했다.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한 후, 아세트산에틸과 물을 반응 용액에 더했다. 분액조작을 행하고 나서, 유기층을 분취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이 용액을 여과하여, 그 여액을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헥산-IPE 혼합 용매로 세정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26.0g(수율 85%)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68
<5-2>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10]
Figure 112013052717055-pat00269
60% 수소화나트륨 0.180g을 THF 15ml에 현탁시킨 용액에, THF 5ml에 용해한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 2.00g(4.56mmol)을 실온에서 적하 투입했다. 30분간, 실온에서 교반한 후, THF 5ml에 용해한 요오드화메틸 0.650g을 적하 투입했다. 뒤이어, 50℃로 승온하여, 4시간 교반를 한 후, 실온으로 되돌리고, 아세트산에틸과 물을 반응 용액에 더했다. 유기층을 분취하여, 물로 1회 세정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6: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1.73g(수율 84%)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70
<5-3>
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11]
Figure 112013052717055-pat00271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1.50g(3.31mmol), 10% 팔라듐-카본 0.150g을 메탄올 20ml에 더한 용액을, 상압하, 수소 분위기하에서 2시간 교반했다. 촉매를 여과제거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했다. 뒤이어, 석출한 고체를 헥산으로 세정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1.24g(수율 88%)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72
<5-4>
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12]
Figure 112013052717055-pat00273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벤즈아미드와 벤조일클로리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74
<5-5>
메틸 2-(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메틸)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아세테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6-1)
[화113]
*
Figure 112013052717055-pat00275
실시예 1의 1-6의 방법에 따라, 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76
<실시예 6>
2-(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메틸)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아세틱애시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3)
[화114]
Figure 112013052717055-pat00277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메틸 2-(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메틸)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아세테이트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78
<실시예 7>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3-(N-(메틸티오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6)
[화115]
Figure 112013052717055-pat00279
실시예 1의 1-6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5의 5-4에서 얻어진 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벤즈아미드와 클로로메틸메틸설피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80
<실시예 8>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3-(N-(메틸설피닐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7)
[화116]
Figure 112013052717055-pat00281
실시예 7에서 얻어진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3-(N-(메틸티오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 0.120g(O.200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10ml에 70% 메타클로로과벤조산 0.0440g(0.360mmol)을 더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1→0:1→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930g(수율 77%)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82
<실시예 9>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3-(N-(메틸설포닐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8)
[화117]
Figure 112013052717055-pat00283
실시예 8의 방법에 따라, 70% 메타클로로과벤조산을 원료의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3-(N-(메틸티오메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에 대하여 3배몰량 이용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84
<실시예 10>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3-(N-(2-(메틸티오)에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71)
[화118]
Figure 112013052717055-pat00285
실시예 1의 1-6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5의 5-4에서 얻어진 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벤즈아미드와 2-클로로에틸메틸설피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86
<실시예 11>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3-(N-(2-(메틸설피닐)에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72)
[화119]
Figure 112013052717055-pat00287
실시예 8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3-(N-(2-(메틸티오)에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88
<실시예 12>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3-(N-(2-(메틸설포닐)에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73)
[화120]
Figure 112013052717055-pat00289
실시예 9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3-(N-(2-(메틸티오)에틸)벤즈아미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90
<실시예 13>
3-(N-(시아노메틸)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18)
[화121]
Figure 112013052717055-pat00291
실시예 1의 1-6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5의 5-4에서 얻어진 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벤즈아미드와 클로로아세트니트릴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92
<실시예 14>
3-(N-(2-아미노-2-옥소에틸)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12)
[화122]
Figure 112013052717055-pat00293
실시예 1의 1-6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5의 5-4에서 얻어진 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벤즈아미드와 클로로아세트산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94
<실시예 15>
메틸 4-(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메틸)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부타노에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6-13)
[화123]
Figure 112013052717055-pat00295
실시예 1의 1-6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5의 5-4에서 얻어진 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벤즈아미드와 4-요오드부티르산메틸에스테르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96
<실시예 16>
4-(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메틸)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부타노익애시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14)
[화124]
Figure 112013052717055-pat00297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5에서 얻어진 메틸 4-(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메틸)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부타노에이트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298
카르복실산으로 추정되는 프로톤은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17>
3-(N-(4-아미노-4-옥소부틸)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N-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15)
[화125]
Figure 112013052717055-pat00299
실시예 16에서 얻어진 4-(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메틸)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부타노익애시드 O.100g(0.163mmol), DMF 1방울을 벤젠 5ml에 투입하고, 염화옥사릴 0.0500g을 첨가하고, 60℃에서 2시간 교반했다. 실온까지 냉각 후,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조산클로리드를 얻었다.
THF 5ml에 28% 암모니아수 2ml를 투입하고, 상기에서 얻어진 산클로리드를 실온에서 첨가했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아세트산에틸을 투입하고, 5% 염산 수용액,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 세정했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1→0:1→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0660g(수율:66%)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00
<실시예 18>
메틸 2-(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메톡시-2-옥소에틸)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벤즈아미드)아세테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8-12)
[화126]
Figure 112013052717055-pat00301
<18-1>
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27]
Figure 112013052717055-pat00302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1-3에서 얻어진 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03
<18-2>
메틸 2-(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메톡시-2-옥소에틸)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벤즈아미드)아세테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8-12)
[화128]
Figure 112013052717055-pat00304
실시예 1의 1-6의 방법에 따라, 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에 대해서, 60% 수소화나트륨을 2.2배 몰량, 브로모아세트산에틸을 4.4배 몰량 이용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05
<실시예 19>
2-(N-(3((카르복시메틸)(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벤즈아미드)아세틱애시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8-13)
[화129]
Figure 112013052717055-pat00306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8에서 얻은 메틸 2-(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메톡시-2-옥소에틸)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벤즈아미드)아세테이트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07
<실시예 20>
N-(3-아미노-3-옥소프로필)-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
[화130]
Figure 112013052717055-pat00308
<20-1>
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31]
Figure 112013052717055-pat00309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5의 5-1에서 얻어진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10
<20-2>
3-(3-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8-1)
[화132]
Figure 112013052717055-pat00311
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 1.00g(2.28mmol)을 아세트산 3ml에 투입하고, 아크릴아미드 2.51g(2.51mmol)을 첨가한 후, 70℃에서 5시간 교반했다. 실온까지 냉각 후, 물로 배출하고, 탄산칼륨으로 중화했다. 아세트산에틸로 추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3:1→1:3→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650g(수율 56%)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12
<20-3>
N-(3-아미노-3-옥소프로필)-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
[화133]
Figure 112013052717055-pat00313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3-(3-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14
<실시예 21>
3-(N-(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1)
[화134]
Figure 112013052717055-pat00315
<21-1> 3-(3-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8-42)
[화135]
Figure 112013052717055-pat00316
실시예 20의 20-3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1-3에서 얻어진 3-아미노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17
<21-2>
3-(N-(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1)
[화136]
Figure 112013052717055-pat00318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3-(3-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
Figure 112013052717055-pat00319
<실시예 22>
3-(N-(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71)
[화137]
Figure 112013052717055-pat00320
<22-1>
4-(퍼플루오로프로판-2-일)-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의 제조(화합물 번호 21-2)
[화138]
Figure 112013052717055-pat00321
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100g(0.608mol), 85% 하이드로설파이트나트륨 131g(0.639mol), 황산수소테트라부틸암모늄 20.9g(O.0608mol)을 아세트산에틸 1500ml, 물 1500ml의 혼합 용액에 투입하고, 탄산수소나트륨 53.9g(0.639mol)을 첨가했다. 헵타플루오로이소프로필요오디드 198g(0.669mol)을 실온에서 적하하고, 실온에서 6시간 교반했다. 분액 후, 유기층의 용매를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아세트산에틸을 500ml 투입했다. 4N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 160g(0.608mol)을 적하하고, 실온에서 30분 교반한 후, 5℃에서 1시간 교반했다. 석출한 고체를 여과제거한 후, 여액을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 세정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60.0g(수율 30%)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22
<22-2>
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의 제조(화합물 번호 21-9)
[화139]
Figure 112013052717055-pat00323
4-(퍼플루오로프로판-2-일)-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100g(0.273mol)을 DMF 500ml에 투입하고, N-브로모석신이미드 52.1g(0.287mol)을 30분 걸려 분할 투입했다. 60℃에서 2시간 교반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 2000ml로 배출했다. 아세트산에틸로 추출 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트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89.0g(수율 80%)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24
<22-3>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클로로-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38)
[화140]
Figure 112013052717055-pat00325
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3.60g(8.82mmol)을 탈수 THF 20ml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 -70℃까지 냉각했다. 2.0M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헥산 용액 4.85ml(9.70mmol)을 적하하고, 뒤이어, 탈수 THF 5ml에 용해시킨, 2-클로로-3-니트로벤조산과 염화티오닐로부터 조제된 산클로리드 2.34g(10.7mmol)을 적하하고, -70℃에서 30분 교반한 후, 실온에서 30분 교반했다.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배출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0:1→8:2→3: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1.76g(수율:34%)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26
<22-4>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65)
[화141]
Figure 112013052717055-pat00327
실시예 1의 1-2의 방법에 따라,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클로로-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28
<22-5>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37)
[화142]
Figure 112013052717055-pat00329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30
<22-6>
3-(3-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8-48)
[화143]
Figure 112013052717055-pat00331
실시예 20의 20-3의 방법에 따라,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32
<22-7>
3-(N-(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71)
Figure 112013052717055-pat00333
실시예 1의 1-5 기재의 방법에 따라, 3-(3-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34
<실시예 23>
3-(N-(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63)
[화144]
Figure 112013052717055-pat00335
<23-1>
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의 제조
[화145]
Figure 112013052717055-pat00336
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 216g(0.802mol)을 DMF 863ml에 투입하고, 5℃까지 냉각했다. N-브로모석신이미드 285g(1.60mol)을 1시간 걸려 분할투입했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37℃에서 2시간 교반했다. 물 2000ml로 배출한 후, 아세트산에틸 2000ml로 추출하고, 포화 식염수 1000ml로 세정했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트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304g(수율 90%)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37
<23-2>
2-클로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24)
*[화146]
Figure 112013052717055-pat00338
실시예 22의 22-3의 방법에 따라, 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39
<23-3>
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51)
[화147]
Figure 112013052717055-pat00340
실시예 1의 1-2의 방법에 따라, 2-클로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41
<23-4>
3-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26)
[화148]
Figure 112013052717055-pat00342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43
<23-5>
3-(3-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8-44)
[화149]
Figure 112013052717055-pat00344
실시예 20의 20-3의 방법에 따라, 3-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45
<23-6>
3-(N-(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63)
[화150]
Figure 112013052717055-pat00346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3-(3-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47
<실시예 24>
N-(2-시아노에틸)-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8)
[화151]
Figure 112013052717055-pat00348
DMF 5ml에 실시예 20의 20-3에서 얻어진 N-(3-아미노-3-옥소프로필)-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 0.300g(2.36mmol)을 더하고, 교반하면서 옥자릴클로리드 1.01g(1.73mmol)을 더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냉수에 부어서 퀀치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2:1→1: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950g(수율 97%)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49
<실시예 25>
N-(3-아미노프로필)-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20)
[화152]
Figure 112013052717055-pat00350
이소프로판올 20ml에 실시예 24에서 얻어진 N-(2-시아노에틸)-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 0.750g(1.33mmol), 포름산암모늄 0.500g(7.93mmol), 아세트산 1.60g(26.6mmol), 10% Pd/C O.200g을 더하여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했다. 촉매를 여과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더하여 용액을 중성으로 했다.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 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아세트산에틸)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520g(수율 69%)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51
NH2로 추정되는 프로톤은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26>
메틸 3-(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5-1)
[화153]
Figure 112013052717055-pat00352
<26-1>
메틸 3-(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화154]
Figure 112013052717055-pat00353
실시예 20의 20-1에서 얻어진 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 3.00g(7.35mmol)의 탈수 THF 용액 30ml에 아크릴산메틸 0.760g(8.82mmol), 보란트리플루오라이드디에틸에테르 컴플렉스 3.69ml(29.4mmol)을 더하여 60℃에서 8시간 교반했다. 도중 , 아크릴산메틸 0.700g(8.13mmol)을 3회 추가했다. 반응액에 물을 더하여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한 후, 잔사를 아세트산에틸로 용해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8: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100g(수율 3%)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54
<26-2>
메틸 3-(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5-1)
[화155]
Figure 112013052717055-pat00355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메틸 3-(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56
<실시예 27>
3-(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익애시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4)
[화156]
Figure 112013052717055-pat00357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26의 26-2에서 얻어진 메틸 3-(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에이트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58
카르복실산으로 추정되는 프로톤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28>
tert-부틸 2-(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14,14-디메틸-1,5,12-트리옥소-1-페닐-13-옥사-2,6,11-트리아자펜타데칸-10-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5-15)
[화157]
Figure 112013052717055-pat00359
실시예 27에서 얻어진 3-(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익애시드 0.300g(0.510mmol), DMF O.1ml를 디클로로메탄 10ml에 더하고, 뒤이어 옥자릴클로리드 0.0500ml(0.620mmol)을 더하여 40℃에서 2시간 교반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tert-부틸 5-아미노-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펜타노에이트 염산염 0.170g(0.510mmol), 트리에틸아민 0.150g(1.53mmol)의 THF 용액 10ml에 더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2)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450g(수율:정량적)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60
NH로 추정되는 1프로톤은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29>
2-아미노-5-(3-(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판아미드)펜타노익애시드 염산염의 제조(화합물 번호 5-24)
[화158]
Figure 112013052717055-pat00361
실시예 28에서 제조한 tert-부틸 2-(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14,14-디메틸-1,5,12-트리옥소-1-페닐-13-옥사-2,6,11-트리아자펜타데칸-10-카르복실레이트 0.350g(0.410mmol)에 4N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 2.00ml(8.20mmol)을 더하고,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고, 하룻밤 방치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IPE로 세정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240g(수율 80%)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62
카르복실산으로 추정되는 프로톤은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30>
tert-부틸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일옥시)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5-22)
[화159]
Figure 112013052717055-pat00363
실시예 28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27에서 얻어진 3-(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익애시드와 tert-부틸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히드록시프로파노에이트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64
<실시예 31>
2-아미노-3-(3-(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일옥시)프로파노익애시드 염산염의 제조(화합물 번호 5-25)
[화160]
Figure 112013052717055-pat00365
실시예 29의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30에서 얻어진 tert-부틸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일옥시)프로파노에이트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66
<실시예 32>
3-(N-(3-(2-아미노-2-옥소에틸아미노)-3-옥소프로필)-4-시아노벤즈아미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31)
[화161]
Figure 112013052717055-pat00367
<32-1>
3-(3-(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아미노)프로파노익애시드의 제조
[화162]
Figure 112013052717055-pat00368
실시예 23의 23-4에서 얻어진 3-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 4.90g(8.80mmol)에 아크릴산 6.50g(90.2mmol)을 더하고, 60℃에서 1시간, 80℃에서 2시간 교반했다. 반응 용액에 물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유기상을 추출하여,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아크릴산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잔사에 톨루엔을 더하고, 용매를 증류제거하는 작업을 3회 행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3:1→2:1→1: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5.51g(수율:정량적)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69
NH와 COOH의 프로톤은 검출되지 않았다.
<32-2>
3-(4-시아노-N-(3-(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익애시드의 제조
[화163]
Figure 112013052717055-pat00370
물 20ml에 수산화나트륨 0.180g(4.50mmol)을 용해하고, 3-(3-(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아미노)프로파노익애시드 1.00g(1.59mmol), 4-시아노벤조일클로리드 0.530g(3.20mmol)을 더하고, 실온에서 1일 교반했다. 반응 용액에 4M 염산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여 유기상을 추출하고,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2: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430g(수율:36%)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71
카르복실산으로 추정되는 프로톤은 검출되지 않았다.
<32-3>
3-(N-(3-(2-아미노-2-옥소에틸아미노)-3-옥소프로필)-4-시아노벤즈아미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31)
[화164]
Figure 112013052717055-pat00372
DMF 1mL에 3-(4-시아노-N-(3-(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익애시드 0.120g(0.160mmol),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0.0260g(0.190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0.0250g(0.190mmol)을 더하여 교반하면서, DMF 1mL에 글리신아미드염산염 0.0300g(0.270mmol), 트리에틸아민 0.0300g(O.380mmol)을 용해시킨 용액을 천천히 적하하고, 실온에서 1일 교반했다. 반응 용액에 4M 염산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여 유기상을 추출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한 후, 얻어진 잔사를 IPE로 세정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0450g(수율:35%)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73
<실시예 33>
3-(3-시아노-N-(3-(히드록시아미노)-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33)
[화165]
Figure 112013052717055-pat00374
<33-1>
3-(3-(tert-부톡시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66]
Figure 112013052717055-pat00375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0.520g(2.73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0.340g(2.51mmol)의 THF 용액 3g에 실시예 32의 32-1에서 얻어진 3-(3-(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아미노)프로파노익애시드 1.43g(2.28mmol)을 0℃에서 더하고, 동(同)온도에서 1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0℃에서 tert-부톡시아민염산염 0.430g(3.42mmol), 트리에틸아민 0.370g(3.65mmol)의 THF 용액 3g을 더하여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하고, 하룻밤 방치했다. 반응액에 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디클로로메탄:메탄올=200:1→5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950g(수율 60%)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76
<33-2>
3-(N-(3-(tert-부톡시아미노)-3-옥소프로필)-3-시아노벤즈아미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67]
Figure 112013052717055-pat00377
실시예 1의 1-5 기재의 방법에 따라, 3-(3-(tert-부톡시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와 3-시아노벤조일클로리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78
<33-3>
3-(3-시아노-N-(3-(히드록시아미노)-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
-33)
[화168]
Figure 112013052717055-pat00379
3-(N-(3-(tert-부톡시아미노)-3-옥소프로필)-3-시아노벤즈아미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 0.250g(0.310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5ml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3ml를 더하고, 실온에서 7시간 교반한 후, 40℃에서 5시간 교반하고 하룻밤 방치했다. 반응액을 40℃에서 12시간 더 교반하여 하룻밤 방치했다. 반응액에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더하여 pH7로 한 후,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130g(수율 55%)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80
<실시예 34>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N-(2-히드록시에틸)벤즈아미드)-N-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35)
[화169]
<34-1>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2-히드록시에틸아미노)-N-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70]
Figure 112013052717055-pat00382
실시예 5의 5-5에서 얻어진 메틸 2-(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메틸)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아세테이트 0.133g(0.221mmol)의 THF 용액 5ml를 0℃로 냉각한 후, 리튬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0.0213g(0.561mmol)을 더하고, 0℃에서 10분 교반했다. 반응액에 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유기상을 분취하고, 유기상을 염산, 포화 중조수, 포화 식염수로 세정,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하 용매를 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아세트산에틸)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0720g(수율:57%)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83
<34-2>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N-(2-히드록시에틸)벤즈아미드)-N-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35)
[화171]
Figure 112013052717055-pat00384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2-히드록시에틸아미노)-N-메틸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85
<실시예 35>
N-(3-아미노-3-옥소프로필)-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화합물 번호 7-1)
[화172]
Figure 112013052717055-pat00386
<35-1>
3-(2,6-디메틸페닐아미노)프로판아미드의 제조
[화173]
Figure 112013052717055-pat00387
2,6-디메틸아닐린 3.00g(25.0mmol), 아크릴아미드 1.88g(74.0mmol)을 아세트산 10ml에 투입하고, 100℃에서 4시간 교반했다. 아크릴아미드 1.88g(74.0mmol)을 더 추가하여, 1시간 교반했다. 실온까지 냉각 후, 물로 배출하고, 탄산칼륨으로 중화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물로 2회 세정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3: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2.64g(수율:55%)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88
<35-2>
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아미노)프로판아미드의 제조
[화174]
Figure 112013052717055-pat00389
3-(2,6-디메틸페닐아미노)프로판아미드 2.30g(11.9mmol)을 tert-부틸메틸에테르 20ml, 물 20ml의 혼합 용액에 투입하고, 85% 하이드로설파이트나트륨 2.50g(14.3mmol), 황산수소테트라부틸암모늄 0.400g(1.20mmol)을 첨가한 후, 탄산수소나트륨 1.20g(14.3mmol)을 첨가했다. 다음에, 헵타플루오로이소프로필요오디드 4.20g(14.3mmol)을 적하한 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고, 분액했다. 5% 염산 수용액,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한 후,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1.25g(수율 29%)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90
NH로 추정되는 프로톤은 검출되지 않았다.
<35-3>
N-(3-아미노-3-옥소프로필)-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
[화175]
Figure 112013052717055-pat00391
실시예 1의 1-1의 방법에 따라, 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아미노)프로판아미드와-3-니트로벤조일클로리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92
<35-4>
3-아미노-N-(3-아미노-3-옥소프로필)-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화합물 번호 18-72)와 메틸 3-(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화176]
Figure 112013052717055-pat00393
N-(3-아미노-3-옥소프로필)-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 0.300g(0.590mmol), 염화주석(II) 0.550g(2.95mmol)을 메탄올 5ml에 투입하고, 진한염산을 3ml 첨가한 후, 60℃에서 30분간 교반했다. 실온까지 냉각 후, 아세트산에틸, 물을 더한 후, 탄산칼륨으로 중화했다. 고형물을 세라이트 여과한 후, 분액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2→아세트산에틸:메탄올=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3-아미노-N-(3-아미노-3-옥소프로필)-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를 0.100g(아미드체:수율:35%), 메틸 3-(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에이트를 0.160g(에스테르체:수율:56%)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94
<35-5>
N-(3-아미노-3-옥소프로필)-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화합물 번호 7-1)
[화177]
Figure 112013052717055-pat00395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3-아미노-N-(3-아미노-3-옥소프로필)-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96
<실시예 36>
메틸 3-(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7-6)
[화178]
Figure 112013052717055-pat00397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메틸 3-(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에이트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398
<실시예 37>
N-(3-아미노-3-옥소프로필)-3-(N-(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8-1)
[화179]
Figure 112013052717055-pat00399
<37-1>
N-(3-아미노-3-옥소프로필)-3-(3-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8-87)
[화180]
Figure 112013052717055-pat00400
실시예 20의 20-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35의 35-4에서 얻어진 3-아미노-N-(3-아미노-3-옥소프로필)-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01
<37-2>
N-(3-아미노-3-옥소프로필)-3-(N-(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8-1)
[화181]
Figure 112013052717055-pat00402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N-(3-아미노-3-옥소프로필)-3-(3-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03
<실시예 38>
3-벤즈아미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N-(2-(메틸설포닐)에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7-169)
[화182]
Figure 112013052717055-pat00404
<38-1>
3-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N-(2-(메틸설포닐)에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20-36)
[화183]
Figure 112013052717055-pat00405
실시예 23의 23-4에서 얻어진 3-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 0.670g(1.20mmol)에 비닐설폰산메틸 0.550g(5.18mmol), 수산화나트륨 0.100g(2.50mmol)을 물 2ml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더하고, 60℃에서 3시간 교반했다. 반응 용액에 아세트산에틸과 물을 더하고, 유기상을 추출한 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4:1→3:1→2: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410g(수율 52%)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06
<38-2>
3-벤즈아미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N-(2-(메틸설포닐)에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7-169)
[화184]
Figure 112013052717055-pat00407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3-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N-(2-(메틸설포닐)에틸)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08
<실시예 39>
3-(4-시아노-N-(2-설파모일에틸)벤즈아미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2-133)
[화185]
Figure 112013052717055-pat00409
<39-1>
N-트리틸에텐설폰아미드의 제조
[화186]
Figure 112013052717055-pat00410
2-클로로에탄설포닐클로리드 18.1g(111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90g에 트리에틸아민 12.4g(122mmol)을 -60℃에서 적하 투입하고, 동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60℃로 냉각하고, 트리틸아민 28.8g(111mmol)과 트리에틸아민 11.2g(111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60g을 적하 투입하고, 동온도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고, 하룻밤 방치했다. 반응액에 물을 더하여 유기층을 물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25.2g(수율 65%)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11
<39-2>
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2-설파모일에틸아미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9-44)
[화187]
*
Figure 112013052717055-pat00412
실시예 23의 23-4에서 얻어진 3-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 1.16g(2.08mmol)의 85% 인산 수용액 5ml에, N-트리틸에텐설폰아미드 0.800g(2.29mmol)을 더하고, 140℃에서 20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7로 한 후,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0300g(수율 2%)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13
<39-3>
3-(4-시아노-N-(2-설파모일에틸)벤즈아미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2-133)
[화188]
Figure 112013052717055-pat00414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2-설파모일에틸아미노)벤즈아미드와 4-시아노벤조일클로리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15
<실시예 40>
디-tert-부틸 2-((3-시아노-N-(3-(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벤즈아미드)메틸)말로네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6-44)
[화189]
Figure 112013052717055-pat00416
<40-1>
디-tert-부틸 2-((3-(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아미노)메틸)말로네이트의 제조
[화190]
Figure 112013052717055-pat00417
디-tert-부틸마로네이트 0.220g(1.00mmol)의 아세트산 용액 5ml에 파라포름알데히드 0.0600g(2.10mmol), 아세트산칼륨 0.0100g(0.100mmol), 아세트산구리1수화물 0.0100g(0.0500mmol)을 더하고 100℃에서 2.5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실시예 23의 23-4에서 얻어진 3-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 0.500g(0.900mmol)을 더하여 2.5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방치한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아세트산에틸을 더하여,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8:1→4: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230g(수율 32%)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18
<40-2>
디-tert-부틸 2-((3-시아노-N-(3-(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벤즈아미드)메틸)말로네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6-44)
[화191]
Figure 112013052717055-pat00419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디-tert-부틸 2-((3-(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아미노)메틸)말로네이트와 3-시아
노벤조일클로리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20
<실시예 41>
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N-(3-(3-메틸우레이드)프로필)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49)
[화192]
Figure 112013052717055-pat00421
실시예 25에서 얻어진 N-(3-아미노프로필)-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 0.0200g(0.0400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5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 0.0100g(0.0500mmol)을 더하고, 실온에서 5.5시간 교반한 후, 피리딘 0.00300g(0.0500mmol), 메틸아민(40% 메탄올 용액) 0.00300g(0.0400m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하룻밤 방치한 후, 물을 더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0110g(수율 44%)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22
<실시예 42>
에틸 3-(N-(3-(2-브로모-4-(퍼플루오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4-시아노벤즈아미드)프로파노일카바메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5-76)
[화193]
Figure 112013052717055-pat00423
<42-1>
3-(N-(3-아미노-3-옥소프로필)-4-시아노벤즈아미드)-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36)
[화194]
Figure 112013052717055-pat00424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22의 22-6에서 얻어진 3-(3-아미노-3-옥소프로필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와 4-시아노벤조일클로리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25
<42-2>
에틸 3-(N-(3-(2-브로모-4-(퍼플루오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4-시아노벤즈아미드)프로파노일카바메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5-76)
[화195]
Figure 112013052717055-pat00426
3-(N-(3-아미노-3-옥소프로필)-4-시아노벤즈아미드)-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 0.0700g(0.0900mmol)의 THF 용액 5ml에 수소화나트륨 0.00560g(0.140mmol)을 더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에 클로로포름산에틸 0.0150g(O.140mmol)을 더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물을 더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3: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0750g(수율 95%)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27
<실시예 43>
3-(4-시아노-N-(3-하이드라진일-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83)
[화196]
Figure 112013052717055-pat00428
<43-1>
3-(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필-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아미노)프로파노익애시드의 제조
[화197]
Figure 112013052717055-pat00429
실시예 32의 32-1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1-3에서 얻어진 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30
카르복실산으로 추정되는 프로톤은 검출되지 않았다.
<43-2>
에틸 3-(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화198]
Figure 112013052717055-pat00431
3-(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필-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아미노)프로파노익애시드 4.50g(9.00mmol)의 THF 용액 5ml에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 1.80g(11.0mmol)을 더하여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에탄올 1.30g(27.0mmol)을 더하여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한 후, 동온도에서 하룻밤 방치했다.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 물을 더하고,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0:1→8: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3.30g(수율 68%)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32
<43-3>
에틸 3-(4-시아노-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화199]
Figure 112013052717055-pat00433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에틸 3-(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와 4-시아노벤조일클로리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34
<43-4>
3-(4-시아노-N-(3-하이드라진일-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83)
[화200]
Figure 112013052717055-pat00435
에틸 3-(4-시아노-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2-플루오로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에이트 O.100g(O.150mmol)의 THF 용액 10ml에 히드라진(80% 수용액) 0.120g(3.00mmol)을 더하고, 60℃에서 8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농축한 후, 잔사에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 표기 화합물 0.0270g(수율 28%)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36
<실시예 44>
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N-(2-히드록시에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5)
[화201]
Figure 112013052717055-pat00437
<44-1>
((2-요오도에톡시)메틸)벤젠의 제조
[화202]
Figure 112013052717055-pat00438
2-벤질옥시에탄올 3.00g(20.0mmol)과 트리에틸아민 2.30g(22.0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30ml에 메실클로리드 2.50g(22.0mmol)을 더하고, 0℃에서 3시간 교반했다. 석출한 고체를 여과제거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에 아세톤 30ml를 더하고, 석출한 고체를 여과제거했다. 여액에 요오드화나트륨 4.50g(30.0mmol)을 더하여 실온에서 50시간 교반한 후, 고체를 여과제거하여, 여액을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트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7: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2.70g(수율 52%)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39
<44-2>
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
[화203]
Figure 112013052717055-pat00440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20의 20-1에서 얻어진 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41
<44-3>
N-(2-(벤질옥시)에틸)-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74)
[화204]
*
Figure 112013052717055-pat00442
3-벤즈아미드-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 0.800g(1.50mmol), ((2-요오도에톡시)메틸)벤젠 0.600g(2.30mmol)과 수산화칼륨 0.400g(6.80mmol)의 DMSO 용액 10ml를 100℃에서 4시간 교반했다. 고체를 여과제거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7:1→5:1→3: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550g(수율 56%)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43
<44-4>
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N-(2-히드록시에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5)
[화205]
Figure 112013052717055-pat00444
N-(2-(벤질옥시)에틸)-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 0.570g(0.880mmol)과 10% Pd/C의 에탄올 용액 15ml를 수소 가스중,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촉매를 여과제거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3:1→2: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250g(수율 51%)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45
<실시예 45>
N-(3-(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페닐)-N-(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86)
[화206]
Figure 112013052717055-pat00446
<45-1>
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의 제조(화합물 번호 21-10)
[화207]
Figure 112013052717055-pat00447
실시예 22의 22-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22의 22-1에서 얻어진 4-(퍼플루오로프로판-2-일)-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과 N-아이오딘석신이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48
<45-2>
N-(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12)
[화208]
Figure 112013052717055-pat00449
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50.0g(110mmol), 3-니트로벤조일클로리드 24.5g(0.13mol)을 DMI 75g에 녹여, 내온 100~105℃에서 8시간 반응했다. 실온으로 냉각 후,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 포화중조수를 더하고, 분액했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용액을 감압하 농축하고, 농축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3: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52.0g(수율 78%)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50
<45-3>
3-아미노-N-(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8)
[화209]
Figure 112013052717055-pat00451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N-(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52
<45-4>
3-(3-(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미노)프로파노익애시드의 제조
[화210]
Figure 112013052717055-pat00453
실시예 32의 32-1의 방법에 따라, 3-아미노-N-(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54
<45-5>
메틸 3-(3-(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화211]
Figure 112013052717055-pat00455
메탄올 10ml를 0℃로 냉각하고, 염화티오닐 0.510g(4.30mmol)을 적하했다. 10분간 그대로 교반한 후, 3-(3-(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미노)프로파노익애시드 0.690g(1.10mmol)을 더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방치했다.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710g(수율 97%)를 제조했다.
APCI-MS m/z (M+1) : 661
<45-6>
메틸 3-(N-(3-(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화합물 번호 5-80)
[화212]
Figure 112013052717055-pat00456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메틸 3-(3-(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57
<45-7>
3-(N-(3-(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익애시드(화합물 번호 5-88)
[화213]
Figure 112013052717055-pat00458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메틸 3-(N-(3-(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에이트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59
<45-8>
N-(3-(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페닐)-N-(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86)
[화214]
Figure 112013052717055-pat00460
실시예 28의 방법에 따라, 3-(N-(3-(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프로파노익애시드와 메틸아민(40% 수용액)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61
<실시예 46>
N-(3-아미노-3-(히드록시이미노)프로필)-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91)
[화215]
Figure 112013052717055-pat00462
실시예 24에서 얻어진 N-(2-시아노에틸)-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 0.200g(0.350mmol), 탄산나트륨0.0800g(0.800mmol)과 히드록시아민-수화물 0.0500g(0.700mmol)의 에탄올 2ml/물 2ml 용액을 80℃에서 5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물을 더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용액을 감압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0200g(수율 10%)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63
<실시예 47>
N-(4-아미노-4-옥소부틸)-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16)
[화216]
Figure 112013052717055-pat00464
<47-1>
3-(4-아미노-4-옥소부틸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
[화217]
Figure 112013052717055-pat00465
3-(3-시아노프로필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 0.270g(0.470mmol)의 황산 5g 용액을 100℃에서 30분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더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용액을 감압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18g(수율 78%)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66
<47-2>
N-(4-아미노-4-옥소부틸)-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16)
[화218]
Figure 112013052717055-pat00467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3-(4-아미노-4-옥소부틸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68
<실시예 48>
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N-(2-옥소에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59)
[화219]
Figure 112013052717055-pat00469
실시예 44의 44-4에서 얻어진 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N-(2-히드록시에틸)벤즈아미드 0.100g(0.280mmol)과 98% PDC O.350g(0.900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10ml를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했다. 세라이트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0700g(수율 44%)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70
<실시예 49>
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N-(3-(2-니트로구아니디노)프로필)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6-61)
[화220]
Figure 112013052717055-pat00471
실시예 25에서 얻어진 N-(3-아미노프로필)-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바모일)페닐)벤즈아미드 0.100g(O.180mmol)과 S-메틸니트로티오우레아 0.0500g(0.370mmol)의 에탄올 용액 30ml를 60℃에서 5시간 교반했다.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0800g(수율 67%)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72
<실시예 50>
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N-(3-(히드록시이미노)부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105)
[화221]
Figure 112013052717055-pat00473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3-옥소부틸아미노)벤즈아미드의 제조
[화222]
Figure 112013052717055-pat00474
실시예 20의 20-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20의 20-1에서 얻어진 3-아미노-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벤즈아미드와 1-부텐-3-온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75
<50-2>
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N-(3-옥소부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100)
[화223]
Figure 112013052717055-pat00476
실시예 1의 1-5의 방법에 따라, N-(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3-요오도부틸아미노)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77
<50-3>
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N-(3-(히드록시이미노)부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5-105)
Figure 112013052717055-pat00478
실시예 46의 방법에 따라, N-(3-(2,6-디메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카르바모일)페닐)-N-(3-옥소부틸)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79
<실시예 51>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3-(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3-40)
[화224]
Figure 112013052717055-pat00480
실시예 22의 22-5에서 얻어진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 0.930g(1.71mmol)을 진한황산 5ml에 더하여,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10ml를 40℃에서 적하투입했다. 반응액을 빙수에 넣어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10로 조정한 후, 아세트산에틸을 더하여 추출했다. 유기층을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를 이용하여 세정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8: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690g(수율 72%)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81
<실시예 52>
3-아미노-N-(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27)
[화225]
Figure 112013052717055-pat00482
<52-1>
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의 제조
[화226]
Figure 112013052717055-pat00483
아닐린 100g(1.02mol), 85% 하이드로설파이트나트륨 230g(1.12mol), 황산수소테트라부틸암모늄 35.1g(0.100mol)을 t-부틸메틸에테르 1500ml, 물 1500ml의 혼합 용액에 투입하고, 탄산수소나트륨 94.7g(1.12mol)을 첨가했다. 헵타플루오로이소프로필요오디드 350g(1.12mol)을 실온에서 적하하고, 실온에서 6시간 교반했다. 분액 후, 유기층을 1N 염산,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아세트산에틸을 500ml 투입했다. 4M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 255g(1.02mol)을 적하하고, 실온에서 30분, 5℃에서 1시간 교반했다. 석출한 고체를 여별하고, 고체를 아세트산에틸 1000ml에 투입하고, 20℃ 이하에서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1000ml를 더하고, pH8~9로 조정하여, 분액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감압하증류제거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188g(수율 71%)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84
<52-2>
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의 제조
[화227]
Figure 112013052717055-pat00485
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 5.74g(22.0mmol)의 에탄올 용액 50ml에 진한황산 2.16g(22.0mmol)을 5℃에서 더했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승온하고, N-아이오딘석신이미드 10.0g(44.0mmol)을 더하여 3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 부어서 중화했다.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고, 물 세정 후, 건조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9.00g(수율 80%)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86
<52-3>
2-클로로-N-(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25)
[화228]
Figure 112013052717055-pat00487
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 40.0g(78.0mmol)의 DMI 1OOml 용액에 2-클로로-3-니트로벤조일클로리드 20.6g(94.0mmol)을 더하여 135℃에서 3시간 교반했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 1000ml에 반응액을 부었다. 아세트산에틸 1000ml를 더하고, 추출하여, 유기층을 물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헥산으로 세정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56.2g(수율 99%)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88
<52-4>
N-(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52)
[화229]
Figure 112013052717055-pat00489
실시예 1의 1-2의 방법에 따라, 2-클로로-N-(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90
<52-5>
3-아미노-N-(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27)
[화230]
Figure 112013052717055-pat00491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N-(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92
<실시예 53>
1-(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부탄-2-일)페닐)-2-플루오로-3-(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3-32)
[화231]
Figure 112013052717055-pat00493
<53-1>
4-(퍼플루오로부탄-2-일)아닐린의 제조
[화232]
Figure 112013052717055-pat00494
차광한 반응 용기를 사용하고, 아닐린 4.90g(52.6mmol), 85% 하이드로설파이트나트륨 10.1g(58.0mmol), 황산수소테트라부틸암모늄 1.90g(5.77mmol)을 t-부틸메틸에테르 150ml, 물 150ml의 혼합 용액에 투입하고, 탄산수소나트륨 4.84g(57.6mmol)을 첨가했다. 노나플루오로-s-부틸요오디드 20.0g(57.8mmol)을 실온에서 적하하고,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유기상을 분취하고, 2mol/L의 염산 수용액으로 2회 세정한 후, 포화 식염수,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8.32g(수율 51%)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95
<53-2>
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부탄-2-일)아닐린의 제조
[화233]
Figure 112013052717055-pat00496
실시예 23의 23-1의 방법에 따라, 4-(퍼플루오로부탄-2-일)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97
<53-3>
2-클로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부탄-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29)
[화234]
Figure 112013052717055-pat00498
DMI 27ml에 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부탄-2-일)아닐린 9.90g(21.1mmol), 2-클로로-3-니트로벤조일클로리드를 4.60g(20.9mmol)을 더하고, 140℃에서 4시간 교반했다. 반응 용액에 물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여 유기상을 추출하고, 1mol/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트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20:1→10:1→5:1→3: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5.44g(수율 40%)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499
<53-4>
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부탄-2-일)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56)
[화235]
Figure 112013052717055-pat00500
DMSO 108ml에 2-클로로-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부탄-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 5.44g(8.34mmol), 불화칼륨(스프레이드라이제품) 4.90g(84.3mmol)을 더하고, 145℃에서 2시간 교반했다. 빙수에 반응용액을 넣어서 결정을 석출시키고, 얻어진 결정을 여과하여 헥산으로 세정했다. 얻어진 결정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5: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2.42g(수율 46%)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01
<53-5>
3-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부탄-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30)
[화236]
Figure 112013052717055-pat00502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부탄-2-일)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03
<53-6>
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부탄-2-일)페닐)-2-플루오로-3-(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3-32)
[화237]
Figure 112013052717055-pat00504
실시예 51의 방법에 따라, 3-아미노-N-(2,6-디브로모-4-(퍼플루오로부탄-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05
<실시예 54>
3-아미노-N-(2-브로모-6-(퍼플루오로에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46)
[화238]
Figure 112013052717055-pat00506
2-(퍼플루오로에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의 제조(화합물 번호 21-4)
[화239]
Figure 112013052717055-pat00507
실시예 22의 22-1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52-1에서 얻어진 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과 1,1,2,2,2-펜타플루오로에틸요오디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08
<54-2>
2-브로모-6-(퍼플루오로에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의 제조(화합물 번호 21-19)
[화240]
Figure 112013052717055-pat00509
실시예 22의 22-2의 방법에 따라, 2-(퍼플루오로에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10
<54-3>
N-(2-브로모-6-(퍼플루오로에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클로로-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48)
[화241]
Figure 112013052717055-pat00511
실시예 53의 53-3의 방법에 따라, 2-브로모-6-(퍼플루오로에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12
<54-4>
N-(2-브로모-6-(퍼플루오로에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75)
[화242]
Figure 112013052717055-pat00513
실시예 1의 1-2의 방법에 따라, N-(2-브로모-6-(퍼플루오로에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클로로-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APCI-MS m/z (M+1):626
<54-5>
3-아미노-N-(2-브로모-6-(퍼플루오로에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46)
[화243]
Figure 112013052717055-pat00514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N-(2-브로모-6-(퍼플루오로에틸)-4-(퍼플루오로프로판-2-일)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15
<실시예 55>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6-(메틸아미노)피코린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5-68)
[화244]
Figure 112013052717055-pat00516
<55-1>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6-클로로피코린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4-6)
[화245]
Figure 112013052717055-pat00517
실시예 22의 22-3의 방법에 따라, 2-클로로피리딘-6-카르복실산과 염화티오닐로부터 조정된 2-클로로피리딘-6-카르복실산클로리드와 실시예 22의 22-2에서 얻어진 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18
<55-2>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6-(메틸아미노)피코린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5-68)
[화246]
Figure 112013052717055-pat00519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6-클로로피코린아미드 0.100g(0.180mmol)의 1,4-디옥산 용액 5ml에 황산구리 0.00600g(0.0360mmol), 40% 메틸아민 수용액 0.140g(1.80mmol)을 더하고, 밀폐 조건하, 오일배스 온도 80℃에서 3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되돌려 개방하고, 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여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2: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0700g(수율 69%)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20
<실시예 56>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메틸아미노)티아졸-4-카르복사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7-42)
[화247]
Figure 112013052717055-pat00521
<56-1>
2-아미노티아졸-4-카르복실릭애시드의 제조
[화248]
Figure 112013052717055-pat00522
에틸 2-아미노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00g(23.2mmol)의 수용액 40ml에 수산화나트륨 1.86g(46.5mmol)을 더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진한염산을 더하여 pH1로 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취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2.84g(수율 85%)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23
카르복실산의 프로톤은 검출되지 않았다.
<56-2>
2-클로로티아졸-4-카르복실릭애시드의 제조
[화249]
Figure 112013052717055-pat00524
2-아미노티아졸-4-카르복실릭애시드 2.84g(19.7mmol)의 1,4-디옥산 용액 30ml에 진한염산 50ml를 더하여 0℃까지 냉각하고, 아질산나트륨 2.04g(29.6mmol)의 수용액 10ml를 0~5℃에서 적하 투입했다. 반응액을 0℃에서 2시간 교반한 후, 염화구리 2.93g(29.6mmol)을 분할투입하고, 반응액을 실온으로 되돌려서 8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아세트산에틸로 4회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1.77g(수율 55%)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25
카르복실산의 프로톤은 검출되지 않았다.
<56-3>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클로로티아졸-4-카르복사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6-6)
[화250]
Figure 112013052717055-pat00526
실시예 53의 53-3의 방법에 따라, 2-클로로티아졸-4-카르복실릭애시드와 염화티오닐로부터 조정한 2-클로로티아졸-4-카르보닐클로리드와 실시예 22의 22-2에서 얻어진 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27
<56-4>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메틸아미노)티아졸-4-카르복사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7-42)
[화251]
Figure 112013052717055-pat00528
실시예 55의 55-2의 방법에 따라,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클로로티아졸-4-카르복사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29
<실시예 57>
2-플루오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3-44)
[화252]
Figure 112013052717055-pat00530
<57-1>
4-(퍼플루오로부탄-2-일)-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의 제조(화합물 번호 21-3)
[화253]
Figure 112013052717055-pat00531
실시예 22의 22-1의 방법에 따라, 차광 반응 조건하, 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과 노나플루오로-s-부틸요오디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32
<57-2>
2-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의 제조(화합물 번호 21-14)
[화254]
Figure 112013052717055-pat00533
에탄올 100ml에 4-(퍼플루오로부탄-2-일)-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17.0g(44.8mmol)을 더하고, 빙냉하, 진한황산 5.28g(53.8mmol), N-아이오딘석신이미드 12.6g(55.8mmol)을 더하고, 실온에서 1시간 30분, 40℃에서 4시간 교반했다. 반응 용액에 4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더하고, 반응 용액을 중화한 후,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유기상을 추출했다.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14.6g(수율 65%)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34
<57-3>
2-클로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43)
[화255]
Figure 112013052717055-pat00535
실시예 53의 53-3의 방법에 따라, 2-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36
<57-4>
2-플루오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70)
[화256]
Figure 112013052717055-pat00537
실시예 1의 1-2의 방법에 따라, 2-클로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38
<57-5>
3-아미노-2-플루오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41)
[화257]
Figure 112013052717055-pat00539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2-플루오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40
<57-6>
2-플루오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3-44)
[화258]
Figure 112013052717055-pat00541
실시예 51의 방법에 따라, 3-아미노-2-플루오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42
<실시예 58>
N-(2-클로로-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시아노-3-(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3-85)
[화259]
Figure 112013052717055-pat00543
<58-1>
2-클로로-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의 제조(화합물 번호 21-8)
[화260]
Figure 112013052717055-pat00544
실시예 22의 22-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22의 22-1에서 얻어진 4-(퍼플루오로프로판-2-일)-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과 N-클로로석신이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45
<58-2>
N-(2-클로로-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요오도-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100)
[화261]
Figure 112013052717055-pat00546
실시예 22의 22-3의 방법에 따라, 4-요오도-3-니트로벤조산과 염화티오닐로부터 조정된 4-요오도-3-니트로벤조일클로리드와 2-클로로-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47
<58-3>
3-아미노-N-(2-클로로-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요오도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63)
[화262]
Figure 112013052717055-pat00548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N-(2-클로로-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요오도-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49
<58-4>
N-(2-클로로-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요오도-3-(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3-68)
[화263]
Figure 112013052717055-pat00550
실시예 51의 방법에 따라, 3-아미노-N-(2-클로로-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요오도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51
<58-5>
N-(2-클로로-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시아노-3-(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3-85)
[화264]
Figure 112013052717055-pat00552
DMF 10mL에 N-(2-클로로-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요오도-3-(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를 0.350g(0.560mmol), 시안화구리(I) 0.200g(2.25mmol) 더하고, 140℃에서 1시간 30분 교반했다. 반응 용액에 포화 티오 황산나트륨 수용액을 부어서 반응을 퀀치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유기층을 분취하고, 포화 식염수로 세정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트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5:1→3: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250g(수율 86%)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53
<실시예 59>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시아노-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94)
[화265]
Figure 112013052717055-pat00554
<59-1>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시아노-2,3-디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
[화266]
Figure 112013052717055-pat00555
4-시아노-2,3-디플루오로벤조산 O.840g(4.59mmo1)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10ml에 DMF 1방울, 염화옥사릴 0.470ml(5.51mmol)을 더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했다.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하여 얻은 4-시아노-2,3-디플루오로벤조일클로리드를, 실시예 22의 22-2에서 얻어진 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1.56g(3.83mmol)의 DMI 용액 5ml에 더하여, 130℃에서 5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0→1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58g(수율 27%)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56
<59-2>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시아노-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94)
[화267]
Figure 112013052717055-pat00557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시아노-2,3-디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DMSO 용액 5ml에 탄산암모늄 49.0mg를 더하고, 100℃에서 5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유기층을 물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8:1→4: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30g(수율 51%)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58
<실시예 60>
3-아미노-N-(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3)
[화268]
Figure 112013052717055-pat00559
<60-1>
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아닐린의 제조
[화269]
Figure 112013052717055-pat00560
실시예 52의 52-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53의 53-1에서 얻어진 4-(퍼플루오로부탄-2-일)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61
<60-2>
N-(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4)
[화270]
Figure 112013052717055-pat00562
실시예 53의 53-3의 방법에 따라, 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아닐린과 3-니트로벤조일클로리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63
<60-3>
3-아미노-N-(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3)
[화271]
Figure 112013052717055-pat00564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N-(2,6-디요오도-4-(퍼플루오로부탄-2-일)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65
<실시예 61>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33)
[화272]
Figure 112013052717055-pat00566
<61-1>
4-(퍼플루오로프로판-2-일)-2-(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닐린의 제조
[화273]
Figure 112013052717055-pat00567
실시예 22의 22-1의 방법에 따라, 2-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68
<61-2>
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닐린의 제조
[화274]
Figure 112013052717055-pat00569
실시예 22의 22-2의 방법에 따라, 4-(퍼플루오로프로판-2-일)-2-(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70
<61-3>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클로로-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33)
[화275]
Figure 112013052717055-pat00571
실시예 22의 22-3의 방법에 따라, 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72
<61-4>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60)
[화276]
Figure 112013052717055-pat00573
실시예 1의 1-2의 방법에 따라,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클로로-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74
<61-5>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33)
[화277]
Figure 112013052717055-pat00575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76
<실시예 62>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53)
[화278]
Figure 112013052717055-pat00577
<62-1>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84)
[화279]
Figure 112013052717055-pat00578
실시예 22의 22-3의 방법에 따라, 4-플루오로-3-니트로벤조산과 염화티오닐로부터 조정된 4-플루오로-3-니트로벤조일클로리드와 실시예 22의 22-2에서 얻어진 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79
<62-2>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플루오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53)
[화280]
Figure 112013052717055-pat00580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APCI-MS m/z (M+1):546
<실시예 63>
2-플루오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3-41)
[화281]
Figure 112013052717055-pat00581
<63-1>
2-클로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39)
[화282]
Figure 112013052717055-pat00582
실시예 53의 53-3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45의 45-1에서 얻어진 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과 2-클로로-3-니트로벤조일클로리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83
<63-2>
2-플루오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66)
[화283]
Figure 112013052717055-pat00584
실시예 1의 1-2의 방법에 따라, 2-클로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85
<63-3>
3-아미노-2-플루오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38)
*[화284]
Figure 112013052717055-pat00586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2-플루오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87
<63-4>
2-플루오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아미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3-41)
[화285]
Figure 112013052717055-pat00588
실시예 51의 방법에 따라, 3-아미노-2-플루오로-N-(2-요오도-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89
<실시예 64>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N-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107)
[화286]
Figure 112013052717055-pat00590
<64-1>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11)
[화287]
Figure 112013052717055-pat00591
실시예 53의 53-3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22의 22-2에서 얻어진 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과 3-니트로벤조일클로리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92
<64-2>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N-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136)
[화288]
Figure 112013052717055-pat00593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 1.50g(2.69mmol)의 DMF 용액 20ml에 수소화나트륨(60% in oil) 0.160g(4.04mmol)을 더하여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요오드화메틸 0.840ml(13.5mmol)을 더하여, 동온도에서 2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NH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1.42g(수율 93%)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94
<64-3>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N-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107)
[화289]
Figure 112013052717055-pat00595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N-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96
<실시예 65>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5)
[화290]
Figure 112013052717055-pat00597
<65-1>
4-(퍼플루오로에틸)-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의 제조(화합물 번호 21-1)
[화291]
Figure 112013052717055-pat00598
85% 하이드로설파이트나트륨 7.04g(40.4mmol), 탄산수소나트륨 3.40g(40.4mmol)의 수용액 40ml에 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13.6g(33.7mmol)과 DMF 40ml를 더했다. 이 반응액에 1,1,2,2,2-펜타플루오로에틸요오디드 11.2g(45.5mmol)의 DMF 용액 50ml(DMF를 -30℃로 냉각하고 1,1,2,2,2-펜타플루오로에틸요오디드를 용해시켰다)을 더하여, 오토 클레이브에 투입하고, 110℃에서 9시간 교반했다. 실온에서 하룻밤 방치한 후, 반응액에 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10:1→5: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1.95g(수율 21%)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599
<65-2>
2-브로모-4-(퍼플루오로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의 제조(화합물 번호 21-6)
[화292]
Figure 112013052717055-pat00600
실시예 22의 22-2의 방법에 따라, 4-(퍼플루오로에틸)-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으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601
<65-3>
N-(2-브로모-4-(퍼플루오로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8)
[화293]
Figure 112013052717055-pat00602
2-브로모-4-(퍼플루오로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2.50g(6.99mmol)의 피리딘 용액 20ml에 3-니트로벤조일클로리드 2.72g(14.7mmol)을 더하고, 100℃에서 12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1N 염산,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감압하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에 THF,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더하고, 실온에서 8시간을 교반했다. 반응액을 상기와 동일하게 추출ㆍ건조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헥산:아세트산에틸=7:1→5:1)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202g(수율 6%)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603
<65-4>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5)
[화294]
Figure 112013052717055-pat00604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N-(2-브로모-4-(퍼플루오로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605
<실시예 66>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사이아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79)
[화295]
Figure 112013052717055-pat00606
<66-1>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시아노-3-니트로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1-122)
[화296]
Figure 112013052717055-pat00607
실시예 62의 62-1에서 얻어진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플루오로-3-니트로벤즈아미드 0.500g(0.870mmol)의 DMF 용액 5ml에 시안화나트륨 0.0639g(1.31mmol)을 더하여,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물, 아세트산에틸을 더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는 것에 의해, 표기 화합물 0.0500g(수율 10%)를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608
<66-2>
3-아미노-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시아노벤즈아미드의 제조(화합물 번호 12-79)
[화297]
Figure 112013052717055-pat00609
실시예 1의 1-3의 방법에 따라, N-(2-브로모-4-(퍼플루오로프로판-2-일)-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시아노-3-니트로벤즈아미드로부터 표기 화합물을 제조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610
다음에, 본 발명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재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재예 중, 부로 있는 것은 중량부를 나타낸다.
<제재예 1>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 20부,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 10부, 크실렌 70부,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제를 얻었다.
<제재예 2>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 10부, 라우릴황산나트륨 2부, 디알킬설포숙시네이트 2부, β-나프탈렌설폰산포르말린산 축합물 나트륨염 1부, 규조토 85부 이상을 균일하게 교반 혼합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제재예 3>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 0.3부, 화이트 카본 0.3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클레이 99.2부, 드리레스 A(산쿄아그로제) 0.2부를 더하여, 균일하게 분쇄 혼합하고, 분제를 얻었다.
<제재예 4>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 3부,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 1.5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3부, 클레이 64.8부, 탈크 27.7부, 이상을 균일하게 분쇄 혼합 후, 물을 더하여 혼련하여, 조립 건조하여 입제를 얻었다.
<제재예 5>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 10부, β-나프탈렌설폰산포르말린 축합물 축합물 나트륨염 3부, 트리스티릴페놀 1부, 프로필렌글리콜 5부, 실리콘계 소포제 0.5부, 물 33.5부를 충분히 교반 혼합한 후, 크산탄검 0.3부, 물 46.7부를 혼합한 것과 다시 교반 혼합하여 플로어블제를 얻었다.
<제재예 6>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 20부, 나프탈렌설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 금속염 6부, 디알킬설포숙신산 금속염 1부, 탄산칼슘 73부, 이상을 균일하게 분쇄 혼합 후, 물을 더하여 혼련하고, 조립건조하여 과립수화제를 얻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반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뛰어난 살충 활성을 가지는 것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에 시험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하스몬요트우(Spodoptera litura)에 대한 살충 시험
시험 화합물을 소정 농도로 희석한 약액에 양배추 잎조각을 30초간 침지하여 풍건 후, 여과지를 깐 7cm의 폴리에틸렌 컵에 넣어 하스몬요트우 2령 유충을 방충 했다. 25℃ 항온실에서 방치하여, 6일 후에 생사충수를 조사했다. 1구 5마리 2련제로 행했다.
그 결과, 100ppm에 있어서, 이하의 화합물 번호의 화합물이 70% 이상의 사충률을 나타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611
Figure 112013052717055-pat00612
<시험예 2>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한 살충 시험
시험 화합물을 소정 농도로 희석한 약액에 양배추 잎조각을 30초간 침지하여 풍건 후, 여과지를 깐 7cm의 폴리에틸렌 컵에 넣어 코나가 3령 유충을 방충했다. 25℃ 항온실에 방치하고, 6일 후에 생사충수를 조사했다. 1구 5마리 2련제로 행했다.
그 결과, 100ppm에 있어서, 이하의 화합물 번호의 화합물이 70% 이상의 사충률을 나타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613
<시험예 3> 하스몬요트우(Spodoptera litura)에 대한 침투 이행성 살충 시험
시험 화합물을 소정 농도로 희석한 약액에 다이콘묘의의 뿌리부를 2일간 침지 후, 잎을 잘라내고, 여과지를 깐 7cm의 폴리에틸렌 컵에 넣어 하스몬요트우 2령유충을 방충했다. 25℃ 항온실에 방치하고, 3일 후에 생사충수를 조사했다. 1구 5마리 2련제로 행했다.
그 결과, 1ppm에 있어서, 이하의 화합물 번호의 화합물이 70% 이상의 사충률을 나타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614
Figure 112013052717055-pat00615
<시험예 4>
이에바에(Musca domestica)에 대한 살충 시험
시험 화합물을 소정 농도로 희석한 아세톤 용액 1ml를 직경 9cm의 요고샬레에 적하하고 풍건 후, 이에바에 암컷 성충을 방충하여 뚜껑을 했다. 25℃ 항온실에서 방치하고, 1일 후에 생사충수를 조사했다. 1구 5마리 2련제로 행했다.
그 결과, 1000ppm에 있어서, 이하의 화합물 번호의 화합물이 70% 이상의 사충률을 나타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616
<시험예 5> 차바네고키브리(Blattella germanica)에 대한 살충 시험
시험 화합물을 소정 농도로 희석한 아세톤 용액 1ml를 직경 9cm의 요고 샬레에 적하하고 풍건 후, 차바네고키브리 수컷 성충을 방충하여 뚜껑을 했다. 25℃ 항온실에서 방치하고, 1일 후에 생사충수를 조사했다. 1구 5마리 2련제로 행했다.
그 결과, 1000ppm에 있어서, 이하의 화합물 번호의 화합물이 70% 이상의 사충률을 나타냈다.
Figure 112013052717055-pat00617
<시험예 6> 치카이에카(CU1ex pipiens molestus)에 대한 살충 시험
시험 화합물을 소정 농도로 희석한 아세톤 용액 1ml를, 직경 9cm의 요고 샬레에 적하하고 풍건 후, 치카이에카 성충을 방충하여 뚜껑을 했다. 25℃ 항온실에서 방치하고, 처리 1일 후에 생사충수를 조사했다. 1구 5마리 2련제로 행했다.
그 결과, 1000ppm에 있어서, 이하의 화합물 번호의 화합물이 70% 이상의 사충률을 나타냈다.
1-136
<시험예 7> 이에시로아리(Coptotermes formosanus)에 대한 살충 시험
시험 화합물을 소정 농도로 조제한 아세톤 용액 20㎕를, 폴리프로필렌관에 들어 있었던 직경 2.6mm의 여과지에 적하하고 풍건 후, 20㎕의 물을 더하고 이에시로아리를 방충하여 뚜껑을 했다. 28℃ 항온실에서 방치하고, 처리 5일 후에 생사충수를 조사했다. 1구 10마리 2련제로 행했다.
그 결과, 30ppm에 있어서, 이하의 화합물 번호의 화합물이 70% 이상의 사충률을 나타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 아미드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 아미드 유도체는, 유해 생물 방제 활성에 있어서 탁효를 나타내고, 산업상의 이용가치는 높다.

Claims (15)

  1. 하기 일반식(1A)
    Figure 112014054844105-pat00631

    {식 중,
    X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X가 복수 있는 경우, 각각의 X는 서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T는, -C(=G1)-Q1을 나타낸다.
    (식 중, G1은,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Q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니트로기, 및 시아노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또한, Q1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피리딜기, 피리딘-N-옥시드기, 피리미디닐기, 또는 피라지닐기를 나타낸다.
    Q2는,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피라졸릴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피라졸릴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및 C1-C6할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Figure 112014054844105-pat00632

    (식 중, Y1 및 Y5는, 각각 독립하여, 할로겐 원자, C1-C4알킬기, C1-C4할로알킬기, C1-C4할로알콕시기, 또는 C1-C4할로알킬설피닐기를 나타내고,
    Y3은, C1-C6할로알킬기, C1-C6할로알콕시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또는 C1-C6할로알킬설포닐기를 나타내고,
    Y2 및 Y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C1-C4알킬기를 나타낸다.)
    G3은,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R1 및 R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C1-C4알킬기,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단, R1 및 R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L은, -C(M1)(M2)-, -C(M1)(M2)-C(M3)(M4)-, -C(M1)(M2)-C(M3)(M4)-C(M5)(M6)-, 또는 -C(M1)(M2)-C(M3)(M4)-C(M5)(M6)-C(M7)(M8)-을 나타내고,
    M1~M8은,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D는,
    -C(=O)OU1, -C(=0)U2, -C(=O)NU3U4, -NU5C(=O)U6, -S-U7, -S(=0)U8, -S(=0)(=0)U9, -S(=O)(=0)NU10U11, -OU12, -NU13U14, -C(=NU15)U16, -NU17-C(=NU18) U19, 또는, -C≡N을 나타낸다.
    U1~U19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1-C3알킬아미노기,
    페닐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U3과 U4, U5와 U6, U10과 U11, U12와 L, U13과 U14, U15와 U16, 및 U17~U19는, 각각 서로 연결하여 포화 복소환기를 형성해도 된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단, 하기 일반식(4a)
    [화4]
    Figure 112014054844105-pat00633

    {(일반식(4a) 중, Q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니트로기, 및 시아노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또한, Q1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피리딜기, 피리딘-N-옥시드기, 피리미디닐기, 또는 피라지닐기를 나타낸다. Y1 및 Y5는 각각 독립하여, 할로겐 원자 또는 C1-C3할로알킬기를 나타내고, Y2 및 Y4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Y3은 C3-C4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낸다.
    R1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L은 -C(M1)(M2)-, -C(M1)(M2)-C(M3)(M4)-, -C(M1)(M2)-C(M3)(M4)-C(M5)(M6)-, 또는 -C(M1)(M2)-C(M3)(M4)-C(M5)(M6)-C(M7)(M8)-을 나타내고,
    M1~M8은,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D는 -C(=O)NU3U4, -S(=0)U8, -S(=0)(=0)U9, 또는 -S(=O)(=0)NU10U11을 나타내고,
    U3, U4, U8, U9, U10 및 U11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C1-C4알킬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U3과 U4, 및 U10과 U11은, 각각 서로 연결하여 포화 복소환기를 형성해도 된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및,
    하기 일반식(4b)
    [화5]
    Figure 112014054844105-pat00634

    {(일반식(4b) 중, Q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니트로기, 및 시아노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또한, Q1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피리딜기, 피리딘-N-옥시드기, 피리미디닐기, 또는 피라지닐기를 나타낸다. Y1 및 Y5는 각각 독립하여, 할로겐 원자 또는 C1-C3할로알킬기를 나타내고, Y2 및 Y4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Y3은 C3-C4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낸다.
    R1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L은 -C(M1)(M2)-, -C(M1)(M2)-C(M3)(M4)-, -C(M1)(M2)-C(M3)(M4)-C(M5)(M6)-, 또는 -C(M1)(M2)-C(M3)(M4)-C(M5)(M6)-C(M7)(M8)-을 나타내고,
    M1~M8은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D는 -C(=O)NU3U4, -S(=0)(=0)U9, 또는 -S(=O)(=0)NU10U11을 나타내고,
    U3, U4, U9, U10 및 U11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C1-C4알킬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U3과 U4, 및 U10과 U11은, 각각 서로 연결하여 포화 복소환기를 형성해도 된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를 제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A)에 있어서,
    R1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D는, -C(=O)NU3U4, -S(=O)U8, -S(=O)(=O)U9, 또는
    -S(=O)(=O)NU10U11을 나타내고,
    U3, U4, U8, U9, U10 및 U11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C1-C4알킬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를 나타내는 아미드 유도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A)에 있어서의 D가, -C(=O)NU3U4, -S(=O)(=O)U9, 또는 -S(=O)(=O)NU10U11을 나타내는 아미드 유도체.
  4. 하기 일반식(1B)
    Figure 112014014694058-pat00624

    {식 중,
    X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X가 복수 있는 경우, 각각의 X는 서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T는, -C(=G1)-Q1을 나타낸다.
    (식 중, G1은,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Q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니트로기, 및 시아노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또한, Q1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피리딜기, 피리딘-N-옥시드기, 피리미디닐기, 또는 피라지닐기를 나타낸다.
    Q2는,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피라졸릴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피라졸릴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및 C1-C6할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Figure 112014014694058-pat00625

    (식 중, Y1 및 Y5는, 각각 독립하여, 할로겐 원자, C1-C4알킬기, C1-C4할로알킬기, C1-C4할로알콕시기, 또는 C1-C4할로알킬설피닐기를 나타내고,
    Y3은, C1-C6할로알킬기, C1-C6할로알콕시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또는 C1-C6할로알킬설포닐기를 나타내고,
    Y2 및 Y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C1-C4알킬기를 나타낸다.)
    G3은,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R1 및 R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C1-C4알킬기,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단, R1 및 R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L은, -C(M1)(M2)-, -C(M1)(M2)-C(M3)(M4)-, -C(M1)(M2)-C(M3)(M4)-C(M5)(M6)-, 또는 -C(M1)(M2)-C(M3)(M4)-C(M5)(M6)-C(M7)(M8)-을 나타내고,
    M1~M8은,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D는,
    -C(=O)OU1, -C(=0)U2, -C(=O)NU3U4, -NU5C(=O)U6, -S-U7, -S(=0)U8, -S(=0)(=0)U9, -S(=O)(=0)NU10U11, -OU12, -NU13U14, -C(=NU15)U16, -NU17-C(=NU18) U19, 또는, -C≡N을 나타낸다.
    U1~U19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1-C3알킬아미노기,
    페닐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U3과 U4, U5와 U6, U10과 U11, U12와 L, U13과 U14, U15와 U16, 및 U17~U19는, 각각 서로 연결하여 포화 복소환기를 형성해도 된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B)에 있어서,
    R1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D는, -C(=O)NU3U4, -S(=O)U8, -S(=O)(=O)U9, 또는
    -S(=O)(=O)NU10U11을 나타내고,
    U3, U4, U8, U9, U10 및 U11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C1-C4알킬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를 나타내는 아미드 유도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B)에 있어서의 D가, -C(=O)NU3U4, -S(=O)(=O)U9, 또는 -S(=O)(=O)NU10U11을 나타내는 아미드 유도체.
  7. 하기 일반식(1C)
    Figure 112014014694058-pat00626

    {식 중,
    X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X가 복수 있는 경우, 각각의 X는 서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T는, -C(=G1)-Q1을 나타낸다.
    (식 중, G1은,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Q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니트로기, 및 시아노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또한, Q1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피리딜기, 피리딘-N-옥시드기, 피리미디닐기, 또는 피라지닐기를 나타낸다.
    Q2는,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피라졸릴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피라졸릴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및 C1-C6할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Figure 112014014694058-pat00627

    (식 중, Y1 및 Y5는, 각각 독립하여, 할로겐 원자, C1-C4알킬기, C1-C4할로알킬기, C1-C4할로알콕시기, 또는 C1-C4할로알킬설피닐기를 나타내고,
    Y3은, C1-C6할로알킬기, C1-C6할로알콕시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또는 C1-C6할로알킬설포닐기를 나타내고,
    Y2 및 Y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C1-C4알킬기를 나타낸다.)
    G3은,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R1 및 R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C1-C4알킬기,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단, R1 및 R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L은, -C(M1)(M2)-, -C(M1)(M2)-C(M3)(M4)-, -C(M1)(M2)-C(M3)(M4)-C(M5)(M6)-, 또는 -C(M1)(M2)-C(M3)(M4)-C(M5)(M6)-C(M7)(M8)-을 나타내고,
    M1~M8은,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D는,
    -C(=O)OU1, -C(=0)U2, -C(=O)NU3U4, -NU5C(=O)U6, -S-U7, -S(=0)U8, -S(=0)(=0)U9, -S(=O)(=0)NU10U11, -OU12, -NU13U14, -C(=NU15)U16, -NU17-C(=NU18) U19, 또는, -C≡N을 나타낸다.
    U1~U19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1-C3알킬아미노기,
    페닐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U3과 U4, U5와 U6, U10과 U11, U12와 L, U13과 U14, U15와 U16, 및 U17~U19는, 각각 서로 연결하여 포화 복소환기를 형성해도 된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C)에 있어서,
    R1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D는, -C(=O)NU3U4, -S(=O)U8, -S(=O)(=O)U9, 또는
    -S(=O)(=O)NU10U11을 나타내고,
    U3, U4, U8, U9, U10 및 U11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C1-C4알킬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를 나타내는 아미드 유도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C)에 있어서의 D가, -C(=O)NU3U4, -S(=O)(=O)U9, 또는 -S(=O)(=O)NU10U11을 나타내는 아미드 유도체.
  10. 하기 일반식(1D)
    Figure 112014014694058-pat00628

    {식 중,
    X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T는, -C(=G1)-Q1을 나타낸다.
    (식 중, G1은,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Q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니트로기, 및 시아노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또한, Q1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피리딜기, 피리딘-N-옥시드기, 피리미디닐기, 또는 피라지닐기를 나타낸다.
    Q2는,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피라졸릴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피라졸릴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및 C1-C6할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Figure 112014014694058-pat00629

    (식 중, Y1 및 Y5는, 각각 독립하여, 할로겐 원자, C1-C4알킬기, C1-C4할로알킬기, C1-C4할로알콕시기, 또는 C1-C4할로알킬설피닐기를 나타내고,
    Y3은, C1-C6할로알킬기, C1-C6할로알콕시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또는 C1-C6할로알킬설포닐기를 나타내고,
    Y2 및 Y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C1-C4알킬기를 나타낸다.)
    G3은,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R1 및 R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C1-C4알킬기,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단, R1 및 R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L은, -C(M1)(M2)-, -C(M1)(M2)-C(M3)(M4)-, -C(M1)(M2)-C(M3)(M4)-C(M5)(M6)-, 또는 -C(M1)(M2)-C(M3)(M4)-C(M5)(M6)-C(M7)(M8)-을 나타내고,
    M1~M8은,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D는,
    -C(=O)OU1, -C(=0)U2, -C(=O)NU3U4, -NU5C(=O)U6, -S-U7, -S(=0)U8, -S(=0)(=0)U9, -S(=O)(=0)NU10U11, -OU12, -NU13U14, -C(=NU15)U16, -NU17-C(=NU18) U19, 또는, -C≡N을 나타낸다.
    U1~U19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1-C3알킬아미노기,
    페닐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U3과 U4, U5와 U6, U10과 U11, U12와 L, U13과 U14, U15와 U16, 및 U17~U19는, 각각 서로 연결하여 포화 복소환기를 형성해도 된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D)에 있어서,
    R1은,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D는, -C(=O)NU3U4, -S(=O)U8, -S(=O)(=O)U9, 또는
    -S(=O)(=O)NU10U11을 나타내고,
    U3, U4, U8, U9, U10 및 U11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C1-C4알킬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를 나타내는 아미드 유도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D)에 있어서의 D가, -C(=O)NU3U4, -S(=O)(=O)U9, 또는 -S(=O)(=O)NU10U11을 나타내는 아미드 유도체.
  13. 하기 일반식(6c')
    Figure 112014014694058-pat00630

    {식 중,
    X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각각의 X는 서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G3은,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R2a는, 수소 원자, C1-C4알킬기, 또는, -L-D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L은, -C(M1)(M2)-, -C(M1)(M2)-C(M3)(M4)-, -C(M1)(M2)-C(M3)(M4)-C(M5)(M6)- 또는 -C(M1)(M2)-C(M3)(M4)-C(M5)(M6)-C(M7)(M8)-을 나타내고,
    M1~M8은,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4알킬기를 나타내고,
    D는,
    -C(=O)OU1, -C(=0)U2, -C(=O)NU3U4, -NU5C(=O)U6, -S-U7, -S(=0)U8, -S(=0)(=0)U9, -S(=O)(=0)NU10U11, -OU12, -NU13U14, -C(=NU15)U16, -NU17-C(=NU18) U19, 또는 -C≡N을 나타낸다.
    U1~U19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C1-C6알킬기,
    C2-C7알콕시카르보닐기,
    C2-C7할로알콕시카르보닐기,
    C2-C7알킬카르보닐기,
    C1-C3알킬아미노기,
    페닐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U3과 U4, U5와 U6, U10과 U11, U12와 L, U13과 U14, U15와 U16, 및 U17~U19는, 각각 서로 연결하여 포화 복소환기를 형성해도 된다.
    Q2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환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C6알킬기, C1-C6할로알킬기, C1-C6할로알콕시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설피닐기, 및 C1-C6할로알킬설포닐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치환기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된다.
    Wc는, -NH-C(M1)(M2)-C(M3)(M4)-D를 나타낸다.
    M1, M2, M3, M4 및 D는, R2a에 있어서의 M1, M2, M3, M4 및 D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15. 제14항에 기재된 유해 생물 방제제를 적용하는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KR1020137015275A 2008-08-01 2009-06-29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KR101455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00114 2008-08-01
JP2008200114 2008-08-01
PCT/JP2009/061864 WO2010013567A1 (ja) 2008-08-01 2009-06-29 アミド誘導体、該アミド誘導体を含有する有害生物防除剤および有害生物の防除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707A Division KR101409076B1 (ko) 2008-08-01 2009-06-29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653A KR20130079653A (ko) 2013-07-10
KR101455555B1 true KR101455555B1 (ko) 2014-10-27

Family

ID=416102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275A KR101455555B1 (ko) 2008-08-01 2009-06-29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KR1020117004707A KR101409076B1 (ko) 2008-08-01 2009-06-29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707A KR101409076B1 (ko) 2008-08-01 2009-06-29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8633228B2 (ko)
EP (2) EP2325165B1 (ko)
JP (2) JP5647893B2 (ko)
KR (2) KR101455555B1 (ko)
CN (3) CN102112437A (ko)
AU (1) AU2009277708B2 (ko)
BR (1) BRPI0917556B1 (ko)
CA (2) CA2737348C (ko)
ES (1) ES2912458T3 (ko)
IL (2) IL211003A (ko)
MX (1) MX341158B (ko)
VN (1) VN27109A1 (ko)
WO (1) WO2010013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41158B (es) * 2008-08-01 2016-08-09 Mitsui Chemicals Agro Inc Derivado de amida, agente para control de plagas que contiene el derivado de amida y un metodo para controlar plagas.
DK3081552T3 (da) * 2008-08-13 2021-03-22 Mitsui Chemicals Agro Inc Skadedyrsbekæmpelsesmiddel indeholdende et amidderivat og anvendelse af skadedyrsbekæmpelsesmidlet
US8686044B2 (en) 2008-08-13 2014-04-01 Mitsui Chemicals Agro, Inc. Amide derivative, pest control agent containing the amide derivative, and use of the amide derivative
KR102161867B1 (ko) * 2013-01-30 2020-10-0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유해 절족동물의 방제 방법
EP3087052B1 (en) 2013-12-23 2019-11-20 Syngenta Participations AG Insecticidal compounds
BR112017001569B1 (pt) * 2014-07-28 2020-05-05 Sumitomo Chemical Co uso de um composto amida e método para controlar um artrópode nocivo
TWI664905B (zh) * 2014-07-29 2019-07-11 日商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含有醯胺化合物之有害節肢動物控制劑
WO2018104214A1 (de) 2016-12-08 2018-06-14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5-(1-phenyl-1h-pyrazol-4-yl)-nicotinamid-derivaten und ähnlicher verbindungen ohne isolierung oder aufreinigung der phenylhydrazin-zwischenstufe
CN111132549B (zh) 2017-09-20 2022-04-12 三井化学Agro株式会社 动物用体外寄生虫长效防除剂
CN108148049B (zh) * 2018-01-17 2020-03-10 河北大学 一种三嗪酮结构的5-吡唑酰胺类化合物制备方法与应用
JP7324221B2 (ja) * 2018-04-03 2023-08-09 コルテバ アグリサイエンス エルエルシー 農薬の効用を有する分子、それに関連する組成物及び有害生物防除方法
EP3792248A4 (en) 2018-05-11 2021-10-20 Shenyang University of Chemical Technology BENZAMIDE COMPOUND AND ITS APPLICATION
CN112204013A (zh) 2018-05-24 2021-01-08 拜耳公司 制备取代的n-芳基吡唑的方法
CA3123956A1 (en) 2018-12-20 2020-06-25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preparing substituted anilines
CN111793008B (zh) * 2019-04-02 2023-08-01 沈阳化工大学 一种间二酰胺类化合物及其应用
CN112430211B (zh) * 2019-08-26 2023-06-02 沈阳化工大学 一种间苯二甲酰胺类化合物及其应用
WO2021139370A1 (zh) * 2020-01-07 2021-07-15 沈阳化工大学 一种酰胺类化合物及其应用
CN112920079A (zh) * 2021-01-29 2021-06-08 广西田园生化股份有限公司 一种酰胺化合物的制备方法
CN115073300B (zh) * 2021-03-10 2024-04-05 江西天宇化工有限公司 一种4-(全氟丙烷-2-基)-2-三氟甲基苯胺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943483A1 (de) 2021-05-26 2022-01-26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bstituierten anilinen
WO2023284645A1 (zh) * 2021-07-12 2023-01-19 沈阳化工大学 一种酰胺类化合物及其用途
CN115925576B (zh) * 2021-12-22 2023-08-08 浙江宇龙药业有限公司 一种含七氟异丙基的双酰胺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478264B (zh) * 2022-03-23 2023-10-03 衢州学院 一种双酰胺类杀虫剂的中间体合成方法
CN115304510B (zh) * 2022-09-13 2024-01-02 海利尔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芳基取代的间二酰胺类化合物或其作为农药可接受的盐、组合物及其用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5453A1 (ja) 2006-12-19 2008-06-26 Mitsui Chemicals, Inc. 有害生物防除組成物
WO2008075454A1 (ja) 2006-12-19 2008-06-26 Mitsui Chemicals, Inc. 有害生物防除組成物
WO2008075459A1 (ja) 2006-12-19 2008-06-26 Mitsui Chemicals, Inc. 植物種子用又は収穫物用殺虫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WO2008074427A1 (en) 2006-12-21 2008-06-26 Syngenta Participations Ag Insecticidal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16624A (de) 1953-01-20 1956-10-15 Sandoz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isher unbekannten säureamidartigen Piperidinderivates
DE2624759A1 (de) * 1976-06-02 1977-12-15 Bayer Ag 4,5-dichlorimidazol-2-carbonsae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als insektizide, akarizide und fungizide
FR2617159B1 (fr) 1987-06-23 1989-10-27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e perhalogenoalkylation de derives aromatiques
US5945425A (en) * 1994-04-29 1999-08-31 G.D. Searle & Co. Method of using (H+ /K+)ATPase inhibitors as antiviral agents
US5631280A (en) * 1995-03-29 1997-05-20 Merck & Co., Inc. Inhibitors of farnesyl-protein transferase
US6362369B2 (en) * 1997-11-25 2002-03-26 Nihon Nohyaku Co., Ltd. Phthalic acid diamide derivatives fluorine-containing aniline compounds as starting material,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insecticides, and a method for application of the insecticides
DE69916512T2 (de) * 1998-02-17 2004-08-19 Nihon Nohyaku Co., Ltd. Fluor enthaltende Anilin-Verbindungen
MY138097A (en) * 2000-03-22 2009-04-30 Du Pont Insecticidal anthranilamides
KR100713137B1 (ko) 2001-06-28 2007-05-02 동화약품공업주식회사 신규의 2,4-디플루오로벤즈아미드 유도체
DE10211770A1 (de) * 2002-03-14 2003-10-02 Boehringer Ingelheim Pharma Neue substituierte Piperidin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250080A1 (de) 2002-10-25 2004-05-13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Ausgewählte CGRP-Antagonist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als Arzneimittel
US7595312B2 (en) * 2002-10-25 2009-09-29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Selected CGRP antagonists,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and their use a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ZA200706596B (en) 2003-08-29 2008-07-30 Mitsui Chemicals Inc Insecticide for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use and method of use thereof
BR122015015718B1 (pt) 2004-01-28 2016-05-10 Mitsui Chemicals Inc derivados de amida
JP2006306771A (ja) * 2005-04-28 2006-11-09 Mitsui Chemicals Inc 農園芸用殺虫剤
CN101203484B (zh) * 2005-06-21 2012-09-05 三井化学株式会社 酰胺衍生物及含有该化合物的杀虫剂
AU2006260237A1 (en) * 2005-06-23 2006-12-28 Mitsui Chemicals, Inc. Amide derivative, pesticide containing such compound and use thereof
JP4580836B2 (ja) * 2005-07-25 2010-11-17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殺虫殺菌組成物
MX302893B (es) * 2005-07-27 2012-08-30 Mitsui Chemicals Inc Composicion para control de pestes.
JP2007031395A (ja) * 2005-07-29 2007-02-08 Bayer Cropscience Ag 殺虫性3−アシルアミノベンズアニリド類
JP2007099761A (ja) * 2005-09-08 2007-04-19 Mitsui Chemicals Inc アミド誘導体ならびにその殺虫剤としての使用方法
WO2007083394A1 (ja) * 2006-01-19 2007-07-26 Mitsui Chemicals, Inc. ジアミン誘導体を含む有害生物防除組成物
US8252936B2 (en) 2006-04-28 2012-08-28 Syngenta Crop Protection Llc Insecticidal compounds
JP4884072B2 (ja) 2006-05-12 2012-02-22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複素環誘導体ならびにその殺虫剤としての使用方法
GB0612713D0 (en) * 2006-06-27 2006-08-09 Syngenta Participations Ag Insecticidal compounds
GB0614691D0 (en) 2006-07-24 2006-08-30 Syngenta Participations Ag Insecticidal compounds
JP5106048B2 (ja) 2006-11-06 2012-12-26 東ソー株式会社 パーフルオロアルキル基を有するベンゼン類の製造方法
JP2008200114A (ja) 2007-02-16 2008-09-0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骨梁評価システム
GB0720320D0 (en) 2007-10-17 2007-11-28 Syngenta Participations Ag Insecticidal compounds
EP2072501A1 (en) * 2007-12-21 2009-06-24 Bayer CropScience AG Aminobenzamide derivatives as useful agents for controlling animal parasites
MX341158B (es) * 2008-08-01 2016-08-09 Mitsui Chemicals Agro Inc Derivado de amida, agente para control de plagas que contiene el derivado de amida y un metodo para controlar plaga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5453A1 (ja) 2006-12-19 2008-06-26 Mitsui Chemicals, Inc. 有害生物防除組成物
WO2008075454A1 (ja) 2006-12-19 2008-06-26 Mitsui Chemicals, Inc. 有害生物防除組成物
WO2008075459A1 (ja) 2006-12-19 2008-06-26 Mitsui Chemicals, Inc. 植物種子用又は収穫物用殺虫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WO2008074427A1 (en) 2006-12-21 2008-06-26 Syngenta Participations Ag Insecticidal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51557A (ja) 2013-08-08
CA2794350A1 (en) 2010-02-04
ES2912458T3 (es) 2022-05-26
EP2325165A4 (en) 2014-04-23
IL232706A (en) 2016-10-31
CA2737348A1 (en) 2010-02-04
CN105061251A (zh) 2015-11-18
MX2011001276A (es) 2011-04-11
CA2737348C (en) 2015-12-08
JP5647893B2 (ja) 2015-01-07
KR101409076B1 (ko) 2014-06-18
WO2010013567A1 (ja) 2010-02-04
CA2794350C (en) 2014-09-09
VN27109A1 (en) 2011-08-25
IL211003A (en) 2015-05-31
KR20110038717A (ko) 2011-04-14
US20140107368A1 (en) 2014-04-17
EP2325165B1 (en) 2020-02-19
CN105732414B (zh) 2019-05-03
IL211003A0 (en) 2011-04-28
CN105732414A (zh) 2016-07-06
JPWO2010013567A1 (ja) 2012-01-12
EP3205642A2 (en) 2017-08-16
US20110136878A1 (en) 2011-06-09
JP5648083B2 (ja) 2015-01-07
AU2009277708A1 (en) 2010-02-04
IL232706A0 (en) 2014-07-31
CN102112437A (zh) 2011-06-29
EP3205642B1 (en) 2022-03-23
MX341158B (es) 2016-08-09
BRPI0917556A2 (pt) 2018-05-22
EP3205642A3 (en) 2017-11-15
EP2325165A1 (en) 2011-05-25
CN105061251B (zh) 2019-04-19
BRPI0917556B1 (pt) 2019-03-06
US9084420B2 (en) 2015-07-21
KR20130079653A (ko) 2013-07-10
US8633228B2 (en) 2014-01-21
AU2009277708B2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555B1 (ko)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KR101409077B1 (ko) 아미드 유도체, 그 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제 및 그 사용방법
JP5406192B2 (ja) アミド誘導体の製造方法
US20110201687A1 (en) Amide derivative, pest control agent containing the amide derivative, and use of the amide derivative
JP2011157296A (ja) 有害生物防除組成物
JP2011157295A (ja) 植物種子用虫害防除組成物および虫害の予防方法
JP2011063549A (ja) アミド誘導体、および該アミド誘導体を含有する有害生物防除剤
WO2014119684A1 (ja) 有害生物防除剤として使用される複素環化合物又はその塩
JP2016040242A (ja) 有害生物防除剤として使用される複素環化合物又はその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