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701B1 - 임시 브리지 - Google Patents

임시 브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701B1
KR101441701B1 KR1020087030190A KR20087030190A KR101441701B1 KR 101441701 B1 KR101441701 B1 KR 101441701B1 KR 1020087030190 A KR1020087030190 A KR 1020087030190A KR 20087030190 A KR20087030190 A KR 20087030190A KR 101441701 B1 KR101441701 B1 KR 101441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elements
temporary
bridge elemen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700A (ko
Inventor
죠르쥬-뽈 데샹
Original Assignee
으떼에스 아. 데샹 데 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으떼에스 아. 데샹 데 피스 filed Critical 으떼에스 아. 데샹 데 피스
Publication of KR2009001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24Folding or telescopic bridges; Bridges built up from folding or telescopic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33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built-up from readily separable standardised sections or elements, e.g. Bailey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리지가 비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중첩되어야 하는 브리지 요소(1-4)들을 포함하는 임시 브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브리지 요소(1-4)들은 서로 관절식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브리지 요소는, 하나 이상의 단부에서, 상기 브리지 요소가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배열될 때 브리지 요소(1-4)들을 조립하기 위하여 또 다른 브리지 요소의 커플링 페이스와 협력하도록 준비된 커플링 페이스(8, 9)를 포함한다. 브리지는 비전개된 위치인 제 1 위치와 전개된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의 제 1 위치에서 또 다른 브리지 요소 상에서 중첩된 각각의 브리지 요소의 변위 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브리지 요소와 상기 또 다른 브리지 요소의 커플링 페이스(8, 9)들은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게다가 브리지는 하나의 추가된 또는 롤링되지 않는 트랙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임시 브리지{TEMPORARY BRIDGE}
본 발명은 틈(breach)을 건너기 위한, 특히 보행자, 차량 또는 그 외의 다른 이동식 장비용 통로를 건너기 위한 임시 브리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서로 조립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브리지 요소들에 의해 틈을 건널 수 있는 브리지들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브리지 요소들을 이송하고 전개하기 위하여 브리지 요소들을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리지 요소들의 전개 시스템(deployment system)은 특히 복잡하여 상기 브리지 요소들의 현저한 수치들과 브리지 요소들을 배치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가용 표면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이 시스템은 조립된 브리지 요소들을 시스템의 전방에 내려놓을 수 있는 론칭 프레임(launching frame)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브리지 요소들은 지면에 구속 해제되어 전개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숙련된 운영자에 의한 지면에 대한 준비단계는 브리지가 전개되기 이전에, 특히 예를 들어, 건너가야 되는 틈에 나무가 많은 영역들이 인접해 있을 때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추가하여, 상기 브리지 요소들의 롤링 트랙(rolling track)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형 차량들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롤링 트랙은 강성으로 제조되며 각각의 브리지 요소들과 일체 구성된다. 실례로써, 이 롤링 트랙은 강, 나무 또는 복합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롤링 트랙으로 인해 이송되어야 하는 브리지의 총중량은 증가된다.
하지만 브리지 요소들이 론칭 프레임보다 더 큰 수치를 가질 때, 조립된 브리지 요소들의 중량은 브리지가 내려지는 동안 브리지가 불균형하게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리지 요소들을 배열하기 위한 시스템의 중량으로 상쇄되어야 한다. 차량은 적합한 프레임을 가져야만 하며 거친 지면상에서는 잘 이동될 수 없다.
종래 기술의 횡단 시스템은 자율적이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충지역에 특히 노출되고 위험성을 내포하는 운행 요원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소형의 그리고 원격으로 전개되는 자율 횡단 구조물(autonomous crossing structure)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자인과 절차가 단순하고 특히 소형이며 접근이 어려운 영역에서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고 작동 조건들이 용이한 경량인, 틈을 타고 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는 데 있다.
특히 상기 임시 브리지는 일단 전개 영역(deployment area)으로 이동되면 지표면 상에 직접적으로 배열되는 컨테이너 혹은 짧은 거리의 트레이(tray)로부터 전개될 수 있고 그 안에 수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폭과 함께 브리지 요소의 길이는 도로 또는 심지어 강(river)의 횡단도 가능케 하는 20피트의 트레이 또는 ISO 컨테이너에 적합하다. 추가적으로, 강성의 컨테이너 구조로 인해 상부로 상승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들로부터 임시 브리지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거운 설치 장비가 덜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브리지 요소들을 배치하기 위해 종래 기술의 시스템으로는 접근가능하지 않은 울퉁불퉁한 지면 영역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경량의 임시 브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은 경량의 롤링 트랙(rolling track)으로 구현된다.
임시 브리지의 롤링 트랙은, 예를 들어, 상기 임시 브리지를 전개한 후에 추가될 수 있다. 롤링 트랙 없이 브리지를 전개함으로써 덜 복잡하고 매우 빠른 전개 시스템의 작동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브리지가 비전개된 위치인 제 1 위치에 있을 때 중첩되어야 하는 브리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시 브리지에 관하여 기술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브리지 요소는 브리지 요소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서 커플링 페이스(coupling face)를 포함하며, 이 커플링 페이스는 브리지 요소들이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end to end) 배열될 때 상기 브리지 요소들을 조립하기 위하여 또 다른 브리지 요소의 커플링 페이스와 협력하도록 준비되며,
-상기 브리지 요소들은 상기 브리지 요소들에 평행하게 그리고 횡방향으로 조립된 적어도 한 쌍의 연결 암(connection arm)들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서로 관절식으로 형성되고(articulated), 이 암들의 단부들은 회전하면서 이동 가능하며,
-브리지는 각각의 브리지 요소가 제 1 위치와 전개된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의 제 1 위치에서 또 다른 브리지 요소 상에 중첩된 변위 부재(displacement member)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브리지 요소와 또 다른 브리지 요소의 커플링 페이스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결합되어 브리지를 형성하고,
-임시 브리지는 추가된 또는 롤링되지 않는 트랙(track)을 포함한다.
임시 브리지는 비전개된 위치에서 브리지 요소들의 스태킹(stacking)을 포함한다. 이 브리지 요소들은 커플링 암들에 의해 서로 관절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태킹의 2개의 연속적인 브리지 요소들은 즉 브리지의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배열되어야 하는 2개의 브리지 요소들은 적어도 한 쌍의 커플링 암들에 의해 연결된다. 이 한 쌍의 커플링 암들은 상기 브리지 요소들 상에서 평행하게 그리고 횡방향으로 조립된다.
동일한 한 쌍의 커플링 암들은 브리지 요소들의 양쪽 측면들 상에 또는 대안으로 동일한 에지 상에 조립될 수 있다. 이 커플링 암들은 연결 로드(connecting rod)들이 될 수 있다.
임시 브리지는 2개 이상의 방법으로 전개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상대적으로 높은 스태킹의 단부로부터 출발하여 스태킹의 각각의 브리지 요소를 차례대로 이동시켜 브리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브리지 요소들을 배열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반면에, 또 다른 방법은 n개의 브리지 요소들의 스태킹에서 스태킹의 최종 브리지 요소 즉 지면에 가장 가까운 브리지 요소에 대해 이 스택의 최종 브리지 요소 바로 직전의 브리지 요소를 이동시켜 이들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브리지 요소들을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배열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최종 브리지 요소 바로 직전의 브리지 요소 상부에 배열된 그 외의 다른 n-2개의 브리지 요소들은 이 브리지 요소와 함께 이동된다. 그 뒤, 이 작동은 임시 브리지의 전개가 끝날 때까지 브리지 요소 어셈블리에 대해 n-2번째 브리지 요소에 대해서 반복된다.
브리지가 전개되기 위하여 상기 어떤 방법이 수행되던지 간에, 스태킹 내의 바로 하부의 브리지 요소에 대한 브리지 요소의 전개는 적어도 한 쌍의 커플링 암들에 의해 상기 브리지 요소들의 조립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브리지 요소의 선회 병진운동(circular translation)을 포함한다. 상기 변위를 위해, 암들의 단부들은 브리지 요소들 상에서 회전하며 이동가능 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커플링 암들의 쌍은 커플링 암이 연결되는 2개의 연속적인 브리지 요소들의 동일한 에지 상에 배열되며, 이 커플링 암들은, 상기 브리지 요소들과 함께, 상대적으로 높은 브리지 요소가 비전개된 위치로부터 전개된 위치로 전개되는 동안 수직 평면에서 변형될 수 있는 일반적인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는데, 상기 전개된 위치에서 커플링 암은 스태킹 내에서 그 바로 밑에 배열된 브리지 요소와 함께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용어 "롤링 트랙(rolling track)"을 이해해야 하는데, 이 롤링 트랙은 보행자, 차량 그리고 그 외의 다른 이동식 장비들이 선회운동 하는(circulate) 임시 브리지의 외측 표면을 의미한다. 물론, 롤링 트랙이 추가되어야 할 때 자동차용으로 적합한 트랙을 가지지는 않더라도, 상기 요소들은 차량 및/또는 보행자들을 지지하도록 구조적으로 준비된다. 이러한 브리지 요소들은, 전적으로 예시적으로, 격자 구조로 또는 평행한 빔 어셈블리(beam assembly)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빔들은 통상적이거나 혹은 통상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서로 이격된다.
상기 임시 브리지의 다양한 특정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임시 브리지는 특정적인 이점들을 가지고 다수의 가능한 기술적인 조합들이 가능하며,
-커플링 페이스들은 경사진 페이스(inclined face)들이며, 동일한 브리지 요소의 커플링 페이스들의 경사는 상이하여 이에 따라 브리지 요소들이 전개되고 결합되어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브리지 요소의 커플링 페이스가 또 다른 브리지 요소의 커플링 페이스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될 때 각각의 브리지 요소는 커플링 암이 변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측면 에지들 상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스톱(stop)을 포함하며,
-중첩된 브리지 요소들에 의해 형성된 스태킹(stacking)의 하측 단부를 구성하기 위한 브리지 요소는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물론, 브리지는 리프팅 수단(lifting means)을 포함하는 장비에 의해 화물 차량으로부터 언로드 될 수 있다(unloaded). 이 리프팅 장비는 텔레스코프식 마스트 어셈블리(telescopic mast assembly)를 가진 캐리지(carriage)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프팅 잭(lifting jack)에 의해 방향과 경사를 제어할 수 있는 이 마스트 어셈블리는 텔레스코프식 암(telescopic arm)에 연결된다. 리프팅 수단을 포함하는 장비는 임시 브리지가 전개되는 동안 평형추(counterweight)를 제공한다.
유리하게 이 장비는 크로스-컨트리 차량(cross-country vehicle)이다. 게다가 상기 장비는 임시 브리지의 후방 프레임에서 화물 차량을 적재할 수 있다(embarked). 따라서 브리지는 예를 들어 트럭에 의해 전개 장소(deployment place) 가까이 이동될 수 있고, 그 뒤 리프팅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장비는 임시 브리지를 전개 영역 상으로 이동시키고 임시 브리지가 전개되는 동안 필요한 평형추를 제공한다.
평형추는 임시 브리지의 라우팅(routing)용으로 사용되어온 화물 차량에 의해 또는 브리지를 사용하여 물이 있는 장소를 포함하는 틈(breach)을 건널 수 있을 때 펌핑 유닛에 의해 액체 밸러스트(liquid ballast)를 채움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평형추는 임시 브리지의 비전개된 위치에서 중첩된 브리지 요소들로 구성된 스태킹의 하측 단부를 형성하는 브리지 요소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 브리지 요소는 브리지가 전개되는 동안 평형추로서 작동하게 되는 중량을 가진다.
브리지를 론칭할 수 있도록 즉 브리지를 건너야 하는 틈 위에 배열할 수 있도록 임시 브리지의 후방에서 평형추를 사용하는 대신, 임시 브리지의 전방에 배열된 가구조물(provisional structure)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비전개된 위치에서 임시 브리지에 의해 형성된 스태킹의 더 높은 단부에 위치된 브리지 요소는 상기 브리지 요소의 단부에서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요소를 가진 포스트-노즐(post-nozzle)을 포함할 수 있다.
임시 브리지가 틈 위에 놓일 때 건너야 되는 틈의 마주보는 측면 상에서 지지되기 위한 브리지 요소는 상기 포스트-노즐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포스트-노즐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병진운동할 수 있어서 임시 브리지의 전방에서 돌출부를 형성한다.
포스트-노즐이 상기 포스트-노즐의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제 1 정지 위치와 상기 포스트-노즐이 하우징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임시 브리지의 전방에서 돌출부를 형성하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포스트-노즐의 변위는 수동식으로 또는 유압식 혹은 공압식 작동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노즐의 변위는 상기 포스트-노즐의 단부들 중 한 단부에서는 브리지 요소의 바디에 연결되고 그 외의 다른 단부에서는 포스트-노즐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유압식, 공압식, 전기식 작동 잭(jack)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잭은 브리지 요소 내측에 배열된다.
또한 포스트-노즐은 잭 스템(jack stem)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잭은 또한 텔레스코프식 잭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작은 수치들을 가질 수 있다.
포스트-노즐의 변위는 랙 시스템(rack system)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단지 예시적으로, 이 시스템은 포스트-노즐의 하우징 내에 조립된 톱니형 휠(toothed wheel)을 회전시키는 전기식 또는 유압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휠은 포스트-노즐을 병진운동 시키기 위하여 포스트-노즐 바디 상에 예를 들어 빔 상에 배열된 노치들과 협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대안으로, 상기 시스템은 벨트, 체인 또는 케이블 드라이빙 시스템이 될 수 있으며, 이 시스템은 풀리(pulley)들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터를 포함한다.
하지만 포스트-노즐의 변위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다양한 메커니즘들은 연결해제 가능해야 하며 이에 따라 임시 브리지가 론칭되는 경우에 포스트-노즐의 자유로운 재진입(re-entry) 운동이 가능하거나 또는 임시 브리지가 복귀(recovery)되는 경우 포스트-노즐의 자유로운 퇴출(exit) 운동이 가능하다.
위에서 기술된 랙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노치들과 협력하기 위한 휠은 자유 휠(free wheel)이다.
포스트-노즐은 예컨대 강성의 빔이 되며 이 빔의 단부에서 지면 고정 요소(ground anchoring element)에 고정된다.
상기 지면 고정 요소는 적어도 하프-실린더(half-cylinder)의 표면 상에서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지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지점들은 포스트-노즐이 지면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직선형 및/또는 약간 만곡될 수 있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포스트-노즐은 정지 위치에서 상기 포스트-노즐의 하우징 내에 반드시 전체적으로 수용될 필요는 없다. 오직 빔 만이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고정 요소는 브리지 요소로부터 돌출된다.
추가적으로, 포스트-노즐을 수용하는 브리지 요소는 안내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어서 포스트-노즐을 상기 포스트-노즐의 하우징을 향해 그리고 이 하우징으로부터 변위되도록 병진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내 요소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 한 쌍의 서포트(support)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서포트들 중 한 서포트는 그 외의 다른 서포트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어 그들 사이로 포스트-노즐이 통과할 수 있다. 이 서포트들은 포스트-노즐의 하우징이 진입되는 곳에 배열되어 이로 인해 서포트들은 포스트-노즐이 퇴출될 때(outgoing) 복귀 효과가 보장될 수 있다. 이 서포트들은 PTFE 또는 자체-윤활 재료(self-lubricating material)로 제조될 수 있다.
포스트-노즐의 종축은 임시 브리지가 전개된 위치에서 상기 임시 브리지의 종축에 대해 경사지도록 안내 요소들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요소는 지면과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임시 브리지를 론칭하기 위하여, 우선 수직의 브리지 요소들의 스태킹은 건너야 되는 틈의 측면 상에 펼쳐진다(laid).
그 뒤, 브리지 요소들과 포스트-노즐은 전개되어 이에 따라 형성된 임시 브리지는 틈 위에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이 때 임시 브리지는 오직 포스트-노즐에 의해서 틈의 맞은편 측면에 연결된다.
그 후에, 임시 브리지는 브리지가 전적으로 포스트-노즐에 의해 지면 위에 정지되도록 임시 브리지는 상승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포스트-노즐에 대해 마주보는 측면 상에 리프팅 수단(lifting means)으로 임시 브리지가 상승될 수 있는데, 이 리프팅 수단은 임시 브리지를 이송하도록 사용되는 화물 차량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브리지 요소들은 포스트-노즐을 상기 포스트-노즐의 하우징 내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건너야 되는 틈의 맞은편 측면의 방향으로 병진운동하여 이동되며, 임시 브리지의 브리지 요소의 하나 이상의 단부는 틈의 맞은 편 측면의 지표면 위에 배열된다.
지면 고정 요소로 인해 포스트-노즐은 맞은편 측면의 지면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는데, 이에 따라 장애물(돌, 진흙 등) 상에서 차단되는 위험성이 야기될 수 있다.
리프팅 수단을 틈의 측면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화물 차량의 변위에 의해 브리지 요소들이 변위될 수 있다.
임시 브리지는 하부방향으로 스위블 운동하여 이에 따라 건너야 되는 틈의 두 측면들 상에 정지할 수 있다.
임시 브리지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공정은 반대로도 가능하며(reversible) 이는 즉 틈 위로 론칭된 임시 브리지를 복귀하기 위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임시 브리지가 브리지 요소에 의해 마주보는 뱅크(bank) 상에서 지지되는 경우에, 지면 고정 요소가 임시 브리지로부터 돌출되어야 한다. 하지만 앞에서 기술된 공정은 단부 브리지 요소를 맞은편 뱅크 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포스트-노즐을 상기 포스트-노즐의 하우징 내로 복귀시키는 대신 빈틈(void) 위로 단부 브리지 요소를 배열시키도록 포스트-노즐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차이점을 이용한다.
임시 브리지의 설치/제거 공정은, 단순히 공정의 수행에 있어서, 유리하게, 일단 브리지가 론칭되고 나면, 포스트-노즐을 해체할 필요가 없다. 사실, 포스트-노즐은 상기 포스트-노즐의 하우징 내에 삽입된다. 이 공정은 브리지를 론칭하기 위해 마주보는 틈의 측면에 접근할 필요가 없다.
추가적으로, 임시 브리지의 설치 또는 제거는 용이하며, 임시 브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화물 차량에 의해 제공되어야 하는 효과들은 포스트-노즐의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포스트-노즐의 진입(entry) 또는 퇴출(exit)이 제한된다. 따라서 차량이 활주되는 위험성이 제거되며 특히 이 목적을 위해 화물 차량은 대형 차량이 될 필요가 없다.
-임시 브리지는 추가된 롤링 트랙을 포함하는데, 상기 트랙은 가요성의 롤링 트랙이며 상기 브리지는 이 가요성의 트랙을 상기 브리지 요소들에 고정시키기 위한 파스너들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상기 추가된 롤링 트랙은 서로 관절식으로 형성된 금속 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롤링 트랙은 몇몇의 트랙 섹션들을 포함하는데, 이 각각의 섹션은 브리지 요소와 일체 구성되며,
-롤링 트랙은 일체로 구성되고 탈착가능하며,
-가요성의 롤링 트랙은 하나 이상의 직조 구조물(woven structure)을 포함한다.
롤링 트랙은 한 층(layer)의 체인 스레드들과 한 층의 씨실들을 가진 보조 직조 구조물(auxiliary woven structure)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직조 구조물은 상기 보조 직조 구조물 상에서 중첩되며 체인 스레드 또는 씨실들에 따라서 안내된 관형 포켓(tubular pocket)들을 구성하기 위하여 이 둘의 구조물 사이의 이곳으로부터 저곳으로 이 둘의 직조 구조물 사이가 연결된다.
특히 이 포켓들이 브리지의 종방향으로 안내될 때 상기 포켓들은 다양한 목적들에 추가된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브리지 요소들의 상대적 변위를 제공하는 수단의 전기식 파워 서플라이용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을 통과할 수 있다. 임시 브리지의 경량화를 위해 커뮤니케이션 또는 서플라이 케이블을 통과할 수도 있다.
이 포켓들은 또한 금속성의 또는 복합재료 강화 로드(reinforcement rod)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포켓들이 횡단방향의 강화 로드로 구비될 때, 이 바(bar)들의 단부들은 브리지 요소들 상에 펼쳐진 안내 레일 요소(guiding rail element)와 협력하기 위한 돌출부들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bar)들의 단부들은 C형 또는 U형 섹션을 가진 레일 내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브리지 요소를 따라 롤링 트랙이 안내될 뿐만 아니라 상기 브리지 요소에 고정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롤링 트랙은 상대적으로 높은 페이스(higher face)와 평면의 상대적으로 낮은 페이스(lower face)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상대적으로 높은 페이스는 특허 출원 WO 95/26435호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기술된 직조 구조물과 같이 상기 롤링 트랙의 표면에서 선회운동 하는(circulating) 차량들이 우수하게 부착되기에 필요한 표면 릴리프(surface relief)를 가지며 상기 상대적으로 낮은 페이스로 인해 브리지 요소들 상에서 롤링 트랙이 미끄러질 수 있다. 이 상대적으로 낮은 페이스는 앞에서 언급한 보조 직조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대적으로 낮은 페이스는 또한 롤링 트랙을 브리지 요소들에 고정하는데 필요한 파스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낮은 페이스는 브리지 요소들의 표면 상에 배열된 돌출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아일릿(eyelet)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들은 상기 돌출부들의 더 높은 단부에서 스톱(stop)을 포함하는 핀(pin)들이 될 수 있는데, 이 핀들은 아일릿들 내로 억지 삽입된다(forcedly inserted).
바람직하게, 상기 아일릿들은 돌출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직조 구조물과 보조 구조물의 연결부에 의해 형성된 포켓들 바로 위에 배열된다.
-측면 에지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 에지 상에서, 각각의 브리지 요소는 안내 레일 요소를 포함하며, 브리지 요소들이 브리지를 따라 트랙의 변위가 안내될 수 있도록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배열될 때 상기 레일 요소들은 안내 레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며,
-변위 부재들은 스위블 운동 방식으로 조립된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이 액츄에이터의 단부는 비전개된 위치인 제 1 위치와 전개된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또 다른 커플링 암에 대해 브리지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커플링 암들 중 한 커플링 암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위치에서 브리지 요소들은 중첩되며 제 2 위치에서 브리지 요소들의 커플링 페이스들은 결합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며,
-액츄에이터는 유압식, 전자기식 또는 전기식 작동 잭(jack)이 된다.
커플링 암들의 회전구동은 나사와 너트 또는 무한 나사 시스템(endless screw system)에 의해 모터 또는 크랭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전기식 잭이며, 브리지는 이 전기식 액츄에이터들을 공급하기 위하여 자율 파워 서플라이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브리지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커플링 페이스 하부의 브리지 요소로부터 전방에 배열되고 상기 브리지 요소와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배열된 브리지 요소를 지지하기 위함이고,
-브리지는 브리지 요소들의 변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체킹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리모트 컨트롤 명령들을 수용하기 위한 트랜스미터-리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브리지 요소들은 케이스-베이(case-bay)들이다.
이 브리지 요소들은 고정 폭 또는 조절가능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사실, 현저한 롤링 트랙의 폭을 가지면서 브리지 요소들의 보관과 이송을 위해 작은 수치를 가진 브리지 요소들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브리지 요소는 빔 어셈블리(beam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빔 어셈블리는 중앙 빔과 횡방향 빔들 사이에서 간격 조절 시스템에 의해 횡방향 빔들에 연결된 고정된 중앙 빔을 포함한다. 단지 예시적으로, 이 조절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의 단부들에서 상기 빔들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에 배열된 잭(jack)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잭들은 유압식 작동 잭들이다.
물론, 롤링 트랙이 상기 각각의 롤링 트랙이 브리지 요소와 일체 구성된 몇몇의 트랙 섹션들로 구성될 때, 이 각각의 트랙 섹션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브리지 요소의 가변적인 폭에 적합하도록 미끄러지는 2개 이상의 부분(part)들을 포함한다.
이들 각각의 부분들은 예를 들어 측면 빔과 일체 구성된다. 중앙 빔에 대한 상기 측면 빔의 변위는 트랙 섹션 부분의 상응하는 슬립(slip)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몇몇의 롤링 트랙을 가진 임시 브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리지는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임시 브리지들을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 이 브리지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서로 결합된다.
유리하게, 임시 브리지들 중 한 임시 브리지는 제 1 브리지가 전개되는 동안에 그리고 최종 브리지가 전개된 평형추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브리지는 외부의 평형추를 더 이상 필요치 않는 제 1 브리지 상에 지지됨으로써 전개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임시 브리지가 제공된 설치 장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 설치 장비는, 전개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롤링 트랙을 위한 보관 영역에 있을 때, 중첩된 브리지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tray)를 포함한다.
직조 구조물로서 구현되는 트레이는 현저한 표면 릴리프(surface relief)를 가지고 롤업되며(rolled up), 보관 영역은 언롤링 장치(unrolling devic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조 구조물의 가변적인 속도에서 언롤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서 전개되는 동안의 임시 브리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다리의 일부분이 전개된 뒤의 도 1의 임시 브리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전개된 도 1의 임시 브리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추가된 롤링 트랙은 간결성을 위해 삭제되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전개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임시 브리지(temporary bridge)를 도시한다. 이 임시 브리지는 서로 중첩되고 수직의 적층구조를 형성하는 4개의 브리지 요소(1-4)들을 포함하며, 이 요소들은 서로에 대해 관절식으로 구성된다(articulated).
유리하게, 상기 브리지 요소(1-4)들은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이들 요소들로 인해 브리지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고 건너야 되는 틈(5)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각각의 브리지 요소는 브리지의 단부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오직 하나의 브리지 요소(1, 4)에만 연결되거나 또는 2쌍의 커플링 암들에 의해 그 외의 다른 2개의 브리지 요소(2, 3)들에 연결되는데, 이 커플링 암들 중 각각의 커플링 암은 이들이 연결된 브리지 요소(1-4)들의 양쪽 측면들 상에 조립된다(간결성을 위해 오직 하나만 도시됨). 이 암들의 쌍들 중 각각의 암은 브리지 요소(1-4)들 상에서 횡방향으로 조립된 2개의 평행 암(6, 7)들을 포함하며 이 평행 암들의 단부들은 회전하도록 이동할 수 있어서 이에 따라 브리지 요소(1-4)들이 상대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암들은 브리지 요소가 관절식으로 형성된 브리지 요소에 대해 이동될 때 변형될 수 있는 평행사변형 형태로 도시된다.
따라서 각각의 브리지 요소(1-4)는 이들의 단부들에서 커플링 페이스(coupling face, 8)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페이스(8)는 브리지 요소들이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end to end relation) 배열될 때 상기 브리지 요소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또 다른 브리지 요소의 커플링 페이스(9)와 협력하도록 준비된다.
상기 커플링 페이스(8, 9)들은 베벨 프로파일(beveled profile)을 가지지만 그 외의 다른 임의의 형태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 커플링 페이스들이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배열될 때는 상기 커플링 페이스(8, 9)들이 차단(block)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이 페이스(8, 9)들은 또 다른 브리지 요소에 대해 한 쌍의 브리지 요소들과 동일한 경사값(slope of value)을 갖지만 이 경사들은 2개의 브리지 요소(1-4)들 사이에서 곡률을 형성하도록 상이할 수도 있다.
이 곡률은 특히 아치 형상을 형성하도록 점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최종 기하학적 배열은 회복 효과로 인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임시 브리지의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며 파이프 또는 그 외의 다른 것과 같은 스패닝 장애물(spanning obstacle)이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브리지 요소(1-4)는 기계식 고정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된 위치에 커플링 페이스(8, 9)들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고정 부재들은 예를 들어 스프링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유리하게, 각각의 브리지 요소(1-4)는, 상기 브리지 요소(3)의 커플링 페이스(8)가 또 다른 브리지 요소(4)의 커플링 페이스(9)에 마주보도록 배열되고 이에 따라 요구된 변위를 완료했을 때(도 1 참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암(6, 7)들의 변위를 차단하기 위해 측면 에지들의 각각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스톱(stop)을 포함한다.
브리지는 소위 비전개된 위치(non deployed position)인 제 1 위치에서 또 다른 브리지 요소(2-4) 상에 중첩된 각각의 브리지 요소(1-3)의 변위 부재(displacement member)들을 포함한다.
임시 브리지를 전개하기 위하여, 마지막 브리지 요소(4) 상에 배열된 3개의 브리지 요소(1-3)들에 의해 형성된 스태킹(stacking)은 우선 지면과 접촉하도록 이동된다. 이 브리지 요소(1-3)들은 전개된 위치인 제 2 위치를 향해 제 4 브리지 요 소(4) 상에 중첩된 제 1 위치로부터 이동되며, 여기서 상기 스태킹(1-3)의 마지막 브리지 요소(3) 그리고 제 4 브리지 요소(4)의 커플링 페이스(8, 9)들은 마주보는 방식으로(facing relation) 배열되며 결합된다. 그 뒤, 상기 전개 단계는 제 3 브리지 요소(3)와 중첩된 따라서 결합된 2개의 브리지 요소(1, 2)들을 중첩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반복되며, 제 2 위치에서 제 2 브리지 요소(2)와 제 3 브리지 요소(3)의 커플링 페이스(8, 9)들은 마주보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결합된다. 이 단계는 아직 결합되지 않은 제 1 브리지 요소(1)에 대해서도 반복된다. 이 과정으로 인해 이동되어야 되는 레버 비율(lever ratio)이 감소될 수 있다.
변위 부재들은 비전개된 위치인 제 1 위치에서 브리지 요소(1-3)를 지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브리지 요소(2-4)들 상에서 횡방향으로 그리고 스위블 운동 방식으로(swiveling way) 조립된 액츄에이터(10)를 포함한다.
이 액츄에이터(10)의 단부는 브리지 요소(1-4)의 상당히 전방에 위치한 커플링 암들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10) 단부의 선형 변위는 마주보는 방식으로 커플링 페이스(8, 9)와 중첩된 브리지 요소(들)의 회전운동을 포함한다.
액츄에이터(10)는 예를 들어 유압식, 전자기식 또는 전기식 작동 잭이다. 상기 액츄에이터(10)는 유압식 작동 잭이며, 브리지는 유체 탱크, 유압식 펌프 그리고 유체 분배 회로를 포함하는데, 상기 유체 분배 회로는 그 외의 다른 요소들에 대하여 브리지 요소(1-4)들을 이동시키기에 적합하도록 준비된 파이핑 섹션(piping section)들을 포함한다. 이 각각의 섹션들은 예를 들어 연결 로드의 피벗 포인트와 같이 관절 높이(level of articulation)에 배치된 가요성의 튜브 섹션에 의해 서로 연결된 강성의 파이프들의 2개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브리지는 브리지 요소(1-4)들의 변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체킹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데, 이 제어 유닛은 리모트 컨트롤 명령들을 수용하기 위한 트랜스미터-리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그 자체로의 공급원을 가지며 자율적인 브리지는, 유리하게, 엔지니어들이 컨플릭트 영역들에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하도록 먼 거리에 전개되도록 하기 위하여 건너가야 되는 틈(5)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체킹 및 제어 유닛은 각각의 브리지 요소들의 변위를 지연시키기 위한 전자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브리지 요소들이 전개되고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전자 수단은 지연 장치(delaying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이 브리지 요소들은 동시에 전개될 수 있다.
체킹 및 제어 유닛은 서로에 대해 브리지 요소(1-4)들을 잘 위치시켰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센서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정 실시예에서, 브리지 요소(1-4)들은 2개의 돌출부(11, 12)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각각 커플링 페이스(8) 하부의 브리지 요소의 전방과 그 외의 다른 커플링 페이스(9) 하부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 돌출부(11, 12)들은 브리지 요소(1-4)와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배치된 브리지 요소(1-4)를 지지하기 위함이다. 이 돌출부(11, 12)들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판으로 구성된다.
유리하게, 제 1 위치에서 중첩된 브리지 요소(1-4)들에 의해 형성된 스태킹 의 하측 단부를 구성하기 위한 브리지 요소(4)는 지면 고정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임시 브리지는 가요성의 롤링 트랙(rolling track)인 추가된 롤링 트랙(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롤링 트랙을 브리지 요소(1-4)들에 고정시키기 위한 파스너들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이 롤링 트랙은 브리지에 인접한 지면 영역(13, 14)을 덮도록 전개된 브리지의 길이보다 더 높은 종방향의 수치를 가진다.
롤링 트랙은 예를 들어 오직 하나의 층에 따라 펼쳐진 체인 스레드(chain thread)와 오직 하나의 층에 따라 펼쳐진 씨실(weft thread)로 제조된 직조 구조물(woven structure)이며, 상기 직조 구조물의 위브(weave)는, 바람직하게 그리고 매우 대략적으로, 상기 위브의 행과 열의 인터섹션의 중간(half)을 따라 씨실들을 교차하는 각각의 날실(warp thread)과 같이 형성되며, 날실은 각각의 날실이 적어도 단순하고 팽팽한(tightened) 위브 영역과 그 뒤 느슨한 스레드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나머지 인터섹션들 내에 남겨지며(left), 상기 다양한 영역들을 변경시킴으로써 제조된 직물의 현저한 릴리프(relief)를 형성하도록 씨실이 팽팽해 질 수 있다(tightening).
"바람직하게 그리고 매우 근사적으로(preferably and very approximately)", 각각의 날실의 테이킹(taking)들과 리빙(leaving)들의 균등성(equality)은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이와 상반되게 예를 들어 10% 내지 15%의 편차가 있을 수 있으며(deviate), 심지어는 엄밀한 균등성으로부터 벗어나며 직조 직기(weaving loom) 를 더 많이 조절할 필요가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유리하게, 씨실은 대략 50/100mm 내지 200/100mm의 직경을 가지며 날실은 씨실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리지 요소(1-4)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면서 평행하게 조립된 빔(15)들을 포함한다. 상기 빔(15)들은 강, 티타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복합재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강성의 재료 내로 이송된다(carried out). 이 빔(15)들은 롤링 트랙을 지지하기 위해 서로 평면의 표면을 가진 직사각형 또는 I형 섹션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빔(15)들은 배수를 위해 개구가 형성될 수 있는 바닥(1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빔(15)들 간의 간극은 롤링 트랙이 전개 후에 언롤 되거나(unrolled) 또는 브리지가 점차적으로 전개되는 동안 상기 롤링 트랙의 수축 요소(traction element)를 수용하기 위한 파이핑 요소(piping element)를 형성한다. 따라서 브리지는 상기 트랙을 언롤(unroll) 또는 롤업(roll up) 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브리지 요소(1-4)는 각 단부에서 상기 수축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복귀 부재(return member)를 포함한다. 이 복귀 부재는 풀리(pulley)가 될 수 있다.
유리하게, 브리지를 전개된 위치로 만드는 제 1 브리지 요소와 최종 브리지 요소(1, 4)는 그들의 자유단부에서 상기 브리지에 대한 액세스 램프(access ramp)를 포함한다. 이 램프는 임시 브리지 표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장비들 또는 보행자들에 대한 램프에 적합한 관절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브리지 요소(1-4)들이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던 간에, 이 브리지 요소들은 대략 2m와 6m +/-10% 사이에서 가변되는 종방향 수치와 대략 1.5m와 3m +/-10% 사이에서 가변되는 폭을 가진다. 유리하게, 이들의 길이는 6m 그리고 이들의 폭은 대략 2m이며, 3.4m +/-10%의 폭을 가지는 롤링 트랙은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임시 브리지들을 연결시킴으로써 얻게 된다.

Claims (27)

  1. 브리지가 비전개된 위치(non-deployed position)인 제 1 위치에 있을 때 중첩되어야 하는 브리지 요소(bridge element)들을 포함하는 임시 브리지에 있어서,
    -각각의 브리지 요소는 브리지 요소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서 커플링 페이스(coupling face)를 포함하며, 이 커플링 페이스는 브리지 요소들이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end to end) 배열될 때 상기 브리지 요소들을 조립하기 위하여 또 다른 브리지 요소의 커플링 페이스와 협력하도록 준비되며,
    -상기 브리지 요소들은 상기 브리지 요소들에 평행하게 그리고 횡방향으로 조립된 적어도 한 쌍의 연결 암(connection arm)들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서로 관절식으로 형성되고(articulated), 이 암들의 단부들은 회전하면서 이동 가능하며,
    -비전개된 위치에서 스태킹(stacking)의 바로 하부의 브리지 요소에 대한 브리지 요소의 변위(displacement)는 스태킹의 바로 하부의 브리지 요소에 대한 브리지 요소의 선회 병진운동(circular translation)을 포함하고,
    -브리지는 각각의 브리지 요소가 제 1 위치와 전개된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의 상기 제 1 위치에서 또 다른 브리지 요소 상에 중첩된 변위 부재(displacement member)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브리지 요소와 또 다른 브리지 요소의 커플링 페이스들은 서로 마주보며 위치되고 결합되어 브리지를 형성하고,
    -임시 브리지는 추가된 또는 롤링되지 않는 트랙(tra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브리지 요소들은 서로에 대한 브리지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첩된 브리지 요소들에 의해 형성된 스태킹(stacking)의 하측 단부를 구성하기 위한 브리지 요소는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암들은 브리지 요소들의 동일한 에지 상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브리지 요소의 커플링 페이스가 또 다른 브리지 요소의 커플링 페이스와 서로 마주보며 배열될 때 각각의 브리지 요소는 커플링 암이 변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측면 에지들 상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스톱(sto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페이스들은 경사진 페이스들이며, 동일한 브리지 요소의 커플링 페이스들의 경사는 브리지 요소들이 전개되고 결합되어 아치 형태를 형성하도록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임시 브리지는 추가된 롤링 트랙(rolling track)이고, 상기 트랙은 가요성의 롤링 트랙이며 브리지는 이 가요성의 트랙을 브리지 요소들에 고정하기 위한 파스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롤링 트랙은 트랙 섹션들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의 트랙 섹션들은 브리지 요소와 일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9. 제7항에 있어서, 롤링 트랙은 브리지에 인접한 지면 영역을 덮기 위하여 일단 전개되고 나면 브리지의 길이보다 더 긴 종방향의 수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10. 제7항에 있어서, 롤링 트랙은 하나 이상의 직조 구조물(woven structur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직조 구조물은 단일의 층을 따라 배열된 날실들과 단일의 층을 따라 배열된 씨실들로 형성되며, 상기 직조 구조물의 위브(weave)는 각각의 날실이 상기 위브의 행과 열의 인터섹션의 중간을 따라 뒤이은 씨실들과 엮어 짜이도록(interlaced) 형성되고, 날실은 각각의 날실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팽한 단일의 위브 영역(weave zone)과 그 뒤 느슨한 스레드 영역(thread zone)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나머지 인터섹션들 내에 남겨지며(left), 상기 영역들을 변경시킴으로써, 제조된 직물의 큰 릴리프(relief)를 형성하도록 씨실들이 재차 팽팽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1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브리지 요소는 측면 에지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 에지 상에서 안내 레일 요소(guiding rail element)를 포함하며, 브리지 요소들이 브리지를 따라 트랙의 변위가 안내될 수 있도록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배열될 때 상기 레일 요소들은 안내 레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브리지 요소는 서로 이격되지만 평행하게 조립된 빔(beam)들을 포함하며, 상기 빔들 간의 간극은 롤링 트랙의 수축 요소(traction element)를 수용하기 위한 파이핑 요소(piping element)를 형성하고, 각각의 브리지 요소는 한 단부에서 상기 수축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복귀 부재(return mem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14. 제1항에 있어서,
    -변위 부재들은 스위블 운동 방식으로 조립된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이 액츄에이터의 단부는 비전개된 위치인 제 1 위치와 전개된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또 다른 커플링 암에 대해 브리지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커플링 암들 중 한 커플링 암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위치에서 브리지 요소들은 중첩되며 제 2 위치에서 브리지 요소들의 커플링 페이스들은 결합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며,
    -브리지는 브리지 요소들의 변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체킹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리모트 컨트롤 명령들을 수용하기 위한 트랜스미터-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브리지 요소들이 전개되고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각각의 요소들의 변위를 지연시키기 위한 전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16.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브리지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커플링 페이스 하부의 브리지 요소로부터 전방에 배열되고 상기 브리지 요소와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배열된 브리지 요소를 지지하기 위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17. 제1항에 있어서, 브리지는 상기 브리지의 단부에서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요소를 가진 포스트-노즐(post-nozzle)을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노즐은 비전개된 위치에서 임시 브리지에 의해 형성된 스태킹(stacking)의 더 높은 단부에 위치된 브리지 요소 상에 장착되고, 상기 브리지 요소는 상기 포스트-노즐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노즐은 제 1 정지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1 정지 위치에서 포스트-노즐은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작동 위치에서 포스트-노즐은 임시 브리지의 전방에서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브리지.
  18. 롤링 트랙들을 갖는 임시 브리지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는 제1항에 따른 2개 이상의 임시 브리지들을 포함하며, 이 브리지들은 서로 연결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트랙들을 갖는 임시 브리지.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087030190A 2006-05-31 2007-05-31 임시 브리지 KR101441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51976 2006-05-31
FR0651976A FR2901817B1 (fr) 2006-05-31 2006-05-31 Pont temporaire
PCT/EP2007/055349 WO2007138100A1 (fr) 2006-05-31 2007-05-31 Pont tempor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700A KR20090016700A (ko) 2009-02-17
KR101441701B1 true KR101441701B1 (ko) 2014-09-17

Family

ID=3769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190A KR101441701B1 (ko) 2006-05-31 2007-05-31 임시 브리지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8955184B2 (ko)
EP (1) EP2021546A1 (ko)
JP (1) JP4971437B2 (ko)
KR (1) KR101441701B1 (ko)
CN (1) CN101479430B (ko)
AU (1) AU2007267066B2 (ko)
BR (1) BRPI0712441A2 (ko)
CA (1) CA2653901C (ko)
EA (1) EA014129B1 (ko)
FR (1) FR2901817B1 (ko)
IL (1) IL195566A (ko)
MA (1) MA30484B1 (ko)
MX (1) MX2008015071A (ko)
MY (1) MY149787A (ko)
NO (1) NO20085403L (ko)
NZ (1) NZ573185A (ko)
SG (1) SG184611A1 (ko)
TN (1) TNSN08489A1 (ko)
UA (1) UA97954C2 (ko)
WO (1) WO2007138100A1 (ko)
ZA (1) ZA2008102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9005769U1 (de) 2009-04-17 2009-06-25 Bionical Systems Ag Elektromotorisch verstellbare Stützeinrichtung
DE102009017895A1 (de) 2009-04-17 2010-10-21 Bionical Systems Ag Elektromotorisch verstellbare Stützeinrichtung
DE102009017896B4 (de) * 2009-04-17 2014-08-28 Bionical Systems Ag Elektromotorisch verstellbare Stützeinrichtung
FR2945298B1 (fr) * 2009-05-06 2011-06-17 Deschamps A & Fils Ets Pont temporaire perfectionne
FR2971776B1 (fr) * 2011-02-17 2013-03-29 Deschamps A & Fils Ets Conteneur transformable
CN102953321A (zh) * 2011-08-23 2013-03-06 陈云鹤 一种克服道路泥石流的桥梁
US20130047351A1 (en) 2011-08-31 2013-02-28 Marc Breault Pipeline crossing bridge
US8832890B2 (en) 2012-08-29 2014-09-16 Progress Rail Services Corp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portions of a loading ramp
CH708897B1 (fr) * 2013-11-28 2018-06-15 Ingeni Sa Ouvrage de franchissement mobile.
CN104005330B (zh) * 2014-01-17 2016-05-18 浙江贝欧复合材料制造有限公司 伸缩浮桥
DE102014008178A1 (de) 2014-06-10 2015-12-17 General Dynamics European Land Systems-Germany Gmbh Transportierbare faltbare Brücke
CN104499418B (zh) * 2014-12-03 2016-09-07 中山市公路钢结构制造有限公司 一种折叠拼装式车载桥梁
CN104499417B (zh) * 2014-12-03 2016-04-27 中山市公路钢结构制造有限公司 一种重力自平衡式应急抢通快速自架桥
CN104963274B (zh) * 2015-06-18 2017-01-18 浙江升浙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桥体
CN104963271B (zh) * 2015-06-18 2017-01-25 湖州升浙绿化工程有限公司 一种升降桥体
PT109392A (pt) 2016-05-16 2017-11-16 Pgpi - Marcas E Patentes S A Disposição estrutural modular, sistema de construção de uma ponte e processo de construção de uma ponte
MD1107Z (ro) * 2016-08-24 2017-07-31 Григоре ЧАПА Pod telescopic mobil
US10543875B2 (en) * 2016-12-20 2020-01-28 Équipement Max-Atlas International Inc. Extendable trailer for freight containers
CN107034778B (zh) * 2017-04-18 2022-12-23 浙江欣海船舶设计研究院有限公司 拼接式海上浮桥装备
JP6521199B2 (ja) * 2017-06-05 2019-05-29 中国電力株式会社 浮桟橋式の網場
GB2574227B (en) * 2018-05-31 2023-02-01 Pearson Eng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ridges
RU2711339C1 (ru) * 2019-01-28 2020-01-16 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Раптовский Спиралевидный вращающийся мост
CN110468734B (zh) * 2019-06-03 2024-05-2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钢拱肋顶推系统及钢拱肋顶推施工方法
RU206620U1 (ru) * 2021-04-15 2021-09-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Раздвижной ригель опоры эстакады рэм-500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7879A (en) * 1977-08-22 1981-12-29 Mcmahon Thomas A Athletic playing surface
JPH0450420U (ko) * 1990-09-05 1992-04-28
US5173981A (en) * 1990-04-18 1992-12-29 Karlskronavarvet Ab Bridge construction kit and bridge elements included therein
DE19701650A1 (de) 1997-01-18 1998-07-23 Krupp Foerdertechnik Gmbh Verlege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legen zerlegbarer Brücken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45890C (de) * 1932-03-07 Artur Wasner Als Hilfsgeraet fuer Fahrzeuge dienende, aus mehreren klappbaren Teilen bestehende, zur UEberwindung von Hoehenunterschieden bestimmte Raupe
US1386450A (en) * 1918-10-16 1921-08-02 Tully Richard Walton Artificial hedge, lawn, and similar article
US2687225A (en) * 1951-09-14 1954-08-24 William E Martin Mobile trailer bridge
US2961010A (en) * 1955-11-03 1960-11-22 Lees & Sons Co James Pile fabric
GB941569A (en) * 1961-02-23 1963-11-13 Gehlen Hermann W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bile bridge units
US3239862A (en) * 1963-03-13 1966-03-15 Res Mfg Inc Foldable bridge structure
FR1513891A (fr) * 1967-03-10 1968-02-16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déploiement pour pont déployable et repliable
DE1929246A1 (de) * 1969-06-10 1971-01-07 Kloeckner Humboldt Deutz Ag Amphibisches Bruecken- und UEbersetzfahrzeug
DE2422932A1 (de) * 1974-05-11 1975-11-20 Porsche Ag Schwenkbares stuetzbein fuer eine bruecke
US4164297A (en) * 1977-07-11 1979-08-14 Barnard & Leas Mfg. Co. Folding gooseneck for trailer
US4302022A (en) * 1979-12-31 1981-11-24 Schoeffler William N High-low trailer
FR2471445A1 (en) * 1980-12-18 1981-06-19 Sarti Sarl Resilient panel for impact fence, footbridge etc. - includes contiguous transverse passages for straps with eyelets locating offset tendons
US4571144A (en) * 1983-08-04 1986-02-18 Guidry Donald C Tailgate ramp for attaching to the tailgate of a truck
US4806065A (en) * 1984-08-06 1989-02-21 Talbert Manufacturing, Inc. Trailer
US4601079A (en) * 1984-09-28 1986-07-22 Corica John A Portable bridging apparatus
US4635311A (en) * 1985-06-10 1987-01-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ilitary tactical bridge system, method and foldable modules
FR2597129B1 (fr) 1986-04-11 1988-09-02 Dietrich & Cie De Travure legere repliable pour le franchissement de breches par des engins dits lourds, notamment des engins blindes
IT8767399A0 (it) * 1987-05-08 1987-05-08 Giuseppe Drago Ponte a struttura modulare
CN1032688A (zh) * 1987-10-20 1989-05-03 科技提高有限公司 折叠结构
DE3814502C3 (de) * 1988-04-29 1995-08-03 Dornier Gmbh Brücke
DE3869958D1 (de) * 1988-09-01 1992-05-14 Gutehoffnungshuette Man Handbaubare grabenbruecke und verfahren zur aufstellung derselben.
GB8821298D0 (en) * 1988-09-12 1988-10-12 Secr Defence Folding transportable bridge
DE4009639C2 (de) * 1990-03-26 1994-04-28 Dornier Gmbh Verlegeeinrichtung
GB2250046B (en) * 1990-11-22 1994-11-02 Secr Defence Containerised bridge system
CN2114675U (zh) * 1992-02-27 1992-09-02 广州军区工程科研设计所 可折叠立体三角桁架山地徒步桥
DE19828499A1 (de) * 1998-06-26 1999-12-30 Ewk Gmbh Militärische Brücke und Verfahren zum Verlegen derselben
RU2212488C2 (ru) * 2001-09-20 2003-09-20 15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спытательный институт МО РФ им. Д.М. Карбышева Унифицированный мостовой комплекс
AU2003216957A1 (en) * 2003-01-22 2004-09-09 Giat Industries System for bridge-laying
RU2250947C1 (ru) * 2003-09-10 2005-04-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Мостоукладчик
DE102004016983B4 (de) * 2004-04-07 2006-01-19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Brückenverlegeeinrichtung
US20060137266A1 (en) * 2004-12-22 2006-06-29 Whalen Robert F Folding pet stairc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7879A (en) * 1977-08-22 1981-12-29 Mcmahon Thomas A Athletic playing surface
US5173981A (en) * 1990-04-18 1992-12-29 Karlskronavarvet Ab Bridge construction kit and bridge elements included therein
JPH0450420U (ko) * 1990-09-05 1992-04-28
DE19701650A1 (de) 1997-01-18 1998-07-23 Krupp Foerdertechnik Gmbh Verlege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legen zerlegbarer Brüc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73185A (en) 2012-02-24
FR2901817B1 (fr) 2015-03-27
FR2901817A1 (fr) 2007-12-07
US8955184B2 (en) 2015-02-17
US20100031454A1 (en) 2010-02-11
EA200870607A1 (ru) 2009-04-28
EA014129B1 (ru) 2010-10-29
JP4971437B2 (ja) 2012-07-11
WO2007138100A1 (fr) 2007-12-06
MA30484B1 (fr) 2009-06-01
AU2007267066A1 (en) 2007-12-06
TNSN08489A1 (en) 2010-04-14
CA2653901A1 (en) 2007-12-06
ZA200810242B (en) 2010-02-24
EP2021546A1 (fr) 2009-02-11
UA97954C2 (ru) 2012-04-10
CA2653901C (en) 2014-12-09
IL195566A0 (en) 2009-09-01
CN101479430B (zh) 2012-12-05
AU2007267066B2 (en) 2013-07-18
IL195566A (en) 2013-11-28
MX2008015071A (es) 2009-02-10
KR20090016700A (ko) 2009-02-17
NO20085403L (no) 2009-02-26
SG184611A1 (en) 2012-10-30
MY149787A (en) 2013-10-14
BRPI0712441A2 (pt) 2012-06-05
JP2009539002A (ja) 2009-11-12
CN101479430A (zh)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701B1 (ko) 임시 브리지
US8763185B2 (en) Temporary bridge
US8763309B2 (en) Deployable and inflatable roof, wall, or other structure for stadiums and other venues
JP2012526213A5 (ko)
KR101933965B1 (ko) 거더 런칭 시스템
CN110799706B (zh) 用于建造建筑物的方法、建筑物和铺设装置
BRPI0806759B1 (pt) Aparelho para ser montado sobre uma embarcação para o assentamento de uma tubulação marinha, embarcação de assentamento, e, método de assentar uma tubulação marinha
RU243306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установки и демонтажа палубы нефтяной платформы и способы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EP2542721B1 (en) Arresting systems
CN109371809A (zh) 一种桥梁建设用的临时搭建便携式折叠步行桥结构
RU2780416C2 (ru)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подъемной системы
CN111646101B (zh) 一种用于圆管输送机的折叠式桥架装置及其安装方法
KR100307288B1 (ko) 교량용상판안착장치및그방법
IT202100001256A1 (it) Tribuna modulare flessibile e relativo metodo di assemblaggio reversibile
PL118235B1 (en) Apparatus for anchoring and moving machines operating in inclined and steep depositsashin,rabotajuhhikh v naklonnykh i krutykh plastakh
PL171504B1 (en) Flexible belt-and-string conveyor in particular for open-end and shortwall hea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