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002B1 -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002B1
KR101439002B1 KR1020130012385A KR20130012385A KR101439002B1 KR 101439002 B1 KR101439002 B1 KR 101439002B1 KR 1020130012385 A KR1020130012385 A KR 1020130012385A KR 20130012385 A KR20130012385 A KR 20130012385A KR 101439002 B1 KR101439002 B1 KR 101439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air
side walls
portions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857A (ko
Inventor
이기영
이동수
이인광
차인규
이희건
신이치로 아마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19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36Moun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3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60S2001/3815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chacterised by the joint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위 레버(22,51) 및 하위 레버(23,24,52); 상기 상위 레버(22,51)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회동 허용 연결부(22f,51c);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22f,51c)가 삽입되도록 상기 하위 레버(23,24,52)에 형성된 피회동 허용 연결부(23e,24e,52c); 및 상기 하위 레버(23,24,52)에 마련된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24g,52d)) 상방에 슬라이드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22f,51c) 상측에 형성된 상방 원호 가압부(22h,51d); 를 포함하되, 상기 상방 원호 가압부(22h,51d)와 상기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24g,52d) 중 오목 형상 원호부측의 곡률 반경이 볼록 형상 원호부측의 곡률반경보다 크고, 상기 상방 원호 가압부(22h,51d)와 상기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24g)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22f,51c)와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23e,24e,52c)가 상하 방향으로 맞물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Wiper lever assembly and wiper blade}
본 발명은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와이퍼 블레이드로서는, 상위의 레버의 길이방향 단부에 대하여 하위의 레버의 길이방향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토너먼트 형상으로 구성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와, 그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에 의해 파지되는 백킹 및 블레이드 러버를 구비한 것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로서는, 상위의 레버가 하위의 레버를 대략 덮도록 외측 상벽 및 한 쌍의 외측 측벽을 가지며(단면이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립시에는, 그 한 쌍의 외측 측벽(양단 개방측)을 넓히도록 탄성 변형시켜 하위의 레버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조립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에 있어서는, 상위의 레버의 한 쌍의 외측 측벽에 축공이 형성되고, 하위의 레버에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회동축이 설치되며, 외측 측벽이 하위의 레버를 사이에 끼우도록 조립될 때에, 회동축이 축공에 삽입됨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본국 특개소 59-213547호 공보
그러나, 종래 상기와 같은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에서는, 회동축과 축공만으로, 상위의 레버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대한 하위의 레버의 하방으로의 분리를 저지하는 탈락 방지 기능과, 상위의 레버로부터의 하방으로의 가압력을 하위의 레버에 전달하는 가압력 전달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회동축과 축공을, 예를 들면, 강성이나 내구성에 대해 양쪽 모두의 기능(능력)을 만족시키는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회동축과 축공이, 상방 및 하방에 모두 확실하게 계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회동축에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한다고 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위의 레버에 대한 하위의 레버의 탈락 방지 기능 및 상위의 레버로부터 하위의 레버로의 가압력 전달 기능을 매우 적합하게 마련할 수가 있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위 레버 및 하위 레버; 상기 상위 레버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회동 허용 연결부;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하위 레버에 형성된 피회동 허용 연결부; 및 상기 하위 레버에 마련된 하방 원호 피가압부 상방에 슬라이드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 상측에 형성된 상방 원호 가압부; 를 포함하되, 상기 상방 원호 가압부와 상기 하방 원호 피가압부 중 오목 형상 원호부측의 곡률 반경이 볼록 형상 원호부측의 곡률반경보다 크고, 상기 상방 원호 가압부와 상기 하방 원호 피가압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와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가 상하 방향으로 맞물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에는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위 레버에는 상벽과, 상기 상벽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상위 레버와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및 상기 측벽에 관통 형성된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위 레버에는 그 길이방향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삽입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 연결부에는 상기 한 쌍의 측벽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측벽과 상기 대향 측벽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부벽으로 형성된 사각형상의 삽입통부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의 중앙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에 결합 되는 회동 허용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위 레버에는 상벽과, 상기 상벽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되 폭방향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측벽 양 측면에 관통 형성된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 및, 상기 측벽 하부에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방 원호 피가압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위 레버에는 그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하위 레버의 상벽 및 한 쌍의 측벽을 덮는 외측 상벽 및 한 쌍의 외측 측벽과, 상기 외측 측벽의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에 결합 되도록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와, 상기 외측 측벽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된 상방 원호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와, 상기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에 의해 파지 되는 백킹 및 블레이드 러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위의 레버에 대한 하위의 레버의 탈락 방지 기능 및 상위의 레버로부터 하위의 레버로의 가압력 전달 기능을 매우 적합하게 마련할 수가 있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와이퍼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일부단면도. 도 3(b)는 도 3(a)에 있어서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3(c)는 도 3(a)에 있어서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3(d)는 도 3(a)에 있어서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3(e)는 도 3(a)에 있어서의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일부분해확대도.
도 5(a)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 5(b)는 상기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5(c)는 상기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저면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7(a)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이차 레버의 길이방향 단부의 사시도. 도 7(b)는 상기 요크 레버의 길이방향 중앙부의 사시도. 도 7(c)는 상기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 ~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와이퍼(1)는, 자동차의 와이핑면으로서의 프론트 글래스에 부착한 빗방울 등을 와이핑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퍼 아암(2)과, 상기 와이퍼 아암(2)에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3)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퍼 아암(2)은, 그 기단부가 와이퍼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력으로 소정 각도로 왕복 회동되는 피봇축(도시 생략)에 고정되며, 상기 피봇축의 왕복 회동에 따라서 왕복 요동 운동을 실시한다. 또한, 이 와이퍼 아암(2)은, 도시하지 않은 가압 기구에 의해, 그 선단부가 프론트 글래스(와이핑면)측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와이퍼 아암(2)의 선단부에는, 와이퍼 블레이드(3)가 연결된다.
와이퍼 블레이드(3)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11)와,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11)에 의해 파지되는 백킹(12)(예를 들면 도 3(d) 참조) 및 블레이드 러버(13)를 구비한다.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11)는, 상위의 레버의 길이방향 단부에 대하여 하위의 레버의 길이방향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토너먼트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11)는, 레버로서, 센터 커버 레버(21)와, 2개의 이차 레버(22)와, 4개의 요크 레버(23, 24)를 가지며, 게다가 2개의 케이스(25)를 가지고 있다.
센터 커버 레버(21)는, 수지제로서, 길이방향 직교 단면이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의 대략 전체영역(중앙부를 제외함)의 차량 전방측의 면에는, 주행풍을 와이핑면측으로의 가압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핀부(21a)(도 2 및 도 3(e)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센터 커버 레버(21)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클립연결용 구멍(21b)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퍼 아암(2)의 선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클립(26)이 폭방향에 따른 축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센터 커버 레버(2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센터 연결부(21c)(도 3(a), 도 3(e)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센터 연결부(21c)는, 도 3(a), 도 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커버 레버(21)의 내부에서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판상부(21d)와, 상기 판상부(21d)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하단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한 센터축부(21e)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센터 커버 레버(21)의 길이방향 양단부(센터 연결부(21c))에는, 각각 이차 레버(22)의 길이방향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차 레버(22)는, 수지제로서, 길이방향 직교 단면이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c) 참조). 또한, 이차 레버(22)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도 2 및 도 3(a), 도 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홈(22a)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센터 연결부(21c)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센터축부(21e)를 축중심으로 하여 상기 센터 커버 레버(21)에 대하여 이차 레버(2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이차 레버(2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요크 레버(23, 24)의 길이방향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우선 요크 레버(23, 24)는, 금속제로서, 도 2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 직교 단면이 대략 역 U자 형상이며, 상벽(23a, 24a)과 상기 상벽(23a, 24a)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23b, 24b)을 가진다. 또한, 요크 레버(23, 24)는, 그 길이방향 양단부에 백킹(12) 및 블레이드 러버(13)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3c, 24c)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상벽(23a, 24a)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상방으로부터 보아서 요크 레버(23, 24)의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23d, 24d)이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 장공(23d, 24d)은, 상벽(23a, 24a)과 동일한 폭이며, 상벽(23a, 24a)을 길이방향 양측으로 분단하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장공(23d, 24d)에는, 개구단으로 향할수록 통로폭이 넓어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23b, 24b)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피회동 허용 연결부로서의 연결공(23e, 24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연결공(23e, 24e)은, 도 5(b)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방과 하방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들 원호형상의 양단이 상하로 연장되는 평행한 직선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벽(23a, 24a)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앙부(장공(23d, 24d))보다 내측(이차 레버(22)에 덮이는 측)에는 상방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긴 지지공(23f, 24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차 레버(22)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대략 역 U자 형상 상벽만이 연장 설치 되며, 그 상벽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공(23d, 24d)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조립되는 삽입 연결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연결부(22b)는, 도 4 및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벽(23b(24b))의 내측면과 각각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과 그들 대향 측벽(22c)의 길이방향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부벽(22d)으로 이루어지며 하방으로부터 보아서(도 5(c) 참조) 상기 길이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 통형상의 삽입통부(22e)를 가진다. 또한, 삽입 연결부(22b)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방향 중앙부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연결공(23e(24e))에 결합되는 회동 허용 연결부로서의 연결축부(22f)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연결축부(22f)는, 그 축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방과 하방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들 원호형상의 양단이 상하로 연장되는 평행한 직선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축부(22f)는, 그 하측이 하방으로 향할수록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22g)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연결축부(22f)는 그 상측이 돌출방향(폭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 되며, 그 상측과 상기 하측(경사면(22g))의 사이가 서로의 면을 매끄럽게 이어주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축부(22f)가 연결공(23e, 24e)에 삽입됨으로써, 이차 레버(22)의 길이방향 단부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회동이 허용됨과 함께, 이차 레버(22)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하방으로의 분리가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동결에 의해 블레이드 러버(13)가 와이핑면에 고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차 레버(22)(후술하는 케이스(25))를 들어올리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축부(22f)의 상면이 연결공(23e(24e))의 상부 내측면과 맞물림으로써 요크 레버(23(24))의 하방으로의 분리가 저지되어 요크 레버(23(24))도 들어 올려지게 된다.
또한, 이차 레버(22)(상기 연장 설치된 상벽)에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부(22f)의 상방에서 원호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 형상 원호부로서의 상방 원호 가압부(22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에 반하여, 상기 요크 레버(23, 24)에는, 상기 연결공(23e, 24e)의 상방에서 원호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볼록 형상 원호부로서의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 24g)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방 원호 가압부(22h)가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 24g)의 상방에 슬라이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이차 레버(22)의 길이방향 단부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회동이 허용됨과 함께, 이차 레버(22)로부터의 하방으로의 가압력이 요크 레버(23, 24)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오목 형상 원호부인 상방 원호 가압부(22h)측의 곡률반경(상방 원호 가압부(22h)의 원호의 곡률반경)은, 볼록 형상 원호부인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 24g)측의 곡률반경(하방 원호 피가압부(23g, 24g)의 원호의 곡률반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원호 가압부(22h)와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24g)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연결축부(22f)와 연결공(23e(24e))이 상하방향으로 맞물리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반대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차 레버(22)(후술하는 케이스(25))를 들어올리면, 연결축부(22f)의 표면이 연결공(23e(24e))의 상부 내측면과 맞물린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는 상방 원호 가압부(22h)와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24g)가 이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방향 중앙부는,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 단부측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 두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대향측벽(22c)이 그 길이방향 중앙부끼리에서 휘어져서, 상기 연결부(22f)가 돌출방향의 반대측으로 자신의 돌출량 이상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길이방향 중앙부의 두께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방향 중앙부끼리의 간격이 연결축부(22f)의 돌출량의 2배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차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는, 상기 삽입 연결부(22b)를 상기 장공(23d, 24d)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상대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삽입 연결부(22b)를 장공(23d, 24d)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하면, 상기 경사면(22g)의 부분이 삽입되어 감에 따라서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방향 중앙부가(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며, 최종적으로 연결축부(22f)가 연결공(23e, 24e)에 결합됨(상기 휜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조립(이차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의 연결)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차 레버(22)(상기 연장 설치된 상벽)에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차 레버(22)에 대한 상기 요크 레버(23(24))의 회동범위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하기 위한 회동범위 설정 볼록부(22i)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동범위 설정 볼록부(22i)는, 이차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24))의 외측(도 5(b)에서, 시계회전 방향)으로의 회동범위가, 상기 파지부(23c, 24c)에 파지된 백킹(12) 및 블레이드 러버(13)가 이차레버(22)와 평행하게 될 때까지(그 상태에서 회동범위 설정 볼록부(22i)가 요크 레버(23(24))에 맞물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차 레버(22)에는, 도 3(c) 및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크 레버(23, 24)의 상기 지지공(23f(24f))에 삽입되어 요크 레버(23(24))와 폭방향으로 대향(맞물림)하여, 이차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24))의 폭방향의 유동을 저감하기 위한 폭방향 지지부로서의 지지벽(22j)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벽(22j)의 각 치수는, 지지공(23f(24f))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이차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24))의 회동이 허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차 레버(22)에는, 도 1 및 도 3(a), 도 3(c),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차 레버(22)의 상기 센터 커버 레버(21)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덮는 케이스(25)가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25)는, 수지제로서, 길이방향 직교 단면이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의 대략 전체영역의 차량 전방측의 면에는, 주행풍을 와이핑면측으로의 가압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핀부(25a)(도 3(b) ~ 도 3(d)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핀부(25a)는, 상기 센터 커버 레버(21)의 핀부(21a)와 대략 연속한 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25)에는,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 연결부(22b)(삽입통부(22e))에 결합 가능한 휨 규제 부재 및 휨 규제부로서의 휨 규제 판상부(25b)가 케이스(25)의 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5)에는, 도 3(a),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차 레버(22)의 상벽에 형성된 결합공(22k)에 결합 가능한 결합 판상부(25c)가 케이스(25)의 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5)는, 도 3(a), 도 3(b),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연결부(22b)(삽입통부(22e)내)에 휨 규제 판상부(25b)가 결합됨과 함께, 결합공(22k)에 결합 판상부(25c)가 결합되어 이차 레버(22)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삽입 연결부(22b)(삽입통부(22e)내)에 휨 규제 판상부(25b)가 결합됨으로써,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휨, 즉 연결축부(22f)의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와이퍼(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차량용 와이퍼(1)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기구에 의해 와이퍼 아암(2)의 선단부가 프론트 글래스(와이핑면)측으로 가압되고, 그 가압력이 클립(26), 센터 커버 레버(21), 이차 레버(22), 요크 레버(23, 24)를 통하여 블레이드 러버(13)에 전달되어, 블레이드 러버(13)가 길이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프론트 글래스에 가압 접촉된다. 또한, 차량 주행시에는, 핀부(21a, 25a)에 의해 주행풍이 프론트 글래스(와이핑면)측으로의 가압력으로 변환되어, 블레이드 러버(13)가 프론트 글래스에 가압 접촉된다. 이에 따라서, 와이퍼 아암(2)이 피봇축 중심으로 왕복 회동되면, 양호한 와이핑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효과를 이하에 기재한다.
(1) 한 쌍의 연결축부(22f)가 연결공(23e, 24e)에 삽입됨으로써, 이차 레버(22)의 길이방향 단부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회동이 허용됨과 함께, 이차 레버(22)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하방으로의 분리가 저지된다. 또한, 연결축부(22f) 및 연결공(23e, 24e)과 다른 위치에서, 상방 원호 가압부(22h)가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 24g)의 상방에 슬라이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이차 레버(22)의 길이방향 단부에 대한 요크 레버(23)의 회동이 허용됨과 함께, 이차 레버(22)로부터의 하방으로의 가압력이 요크 레버(23, 24)에 전달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이차 레버(22)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하방으로의 분리를 저지하는 탈락 방지 기능을 갖는 부위와, 이차 레버(22)로부터의 하방으로의 가압력을 요크 레버(23, 24)에 전달하는 가압력 전달 기능을 갖는 부위가 다름에 의해, 각각에 있어서 최적의 형상을 채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강성이나 내구성을 최적화할 수가 있다. 또한, 한 쌍의 연결축부(22f)와 연결공(23e, 24e)이 상기 가압력을 전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연결축부(22f)의 하면의 면적(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와 같이, 한 쌍의 연결축부(22f)의 연결공(23e, 24e)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결축부(22f)에, 하방향으로 향할수록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22g)를 마련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오목 형상 원호부인 상방 원호 가압부(22h)측의 곡률반경은, 볼록 형상 원호부인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 24g)측의 곡률반경보다도 크게 설정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접촉시의 마찰 저항이 작아져, 이차 레버(22)의 길이방향 단부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회동이 양호하게 허용된다. 게다가, 상방 원호 가압부(22h)와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 24g)가 맞물린 상태에서, 연결축부(22f)와 연결공(23e, 24e)이 상하방향으로 맞물리지 않게 설정되기 때문에, 조립이 불가능하게 되는 일이 없는 것에 추가하여, 그 부분이 상기 슬라이드 접촉시의 마찰 저항이 되지 않고, 이차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회동이 양호하게 허용된다.
(2) 연결축부(22f)에는, 한 쌍의 연결축부(22f)를 연결공(23e, 24e)에 삽입하기 위하여 그 연결공(23e, 24e)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상하방향중의 한쪽(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방)으로 향할수록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22g)이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연결축부(22f)의 연결공(23e, 24e)으로의 삽입, 즉 이차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3) 이차 레버(22)의 삽입연결부(22b)는, 요크 레버(23, 24)의 한 쌍의 측벽(23b, 24b)의 내측면과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측벽(22c)과 이들 대향측벽(22c)의 길이방향 단부끼리를 이어주는 한 쌍의 단부벽(22d)으로 이루어져서 하방에서 보아서 (이차 레버(22)의) 길이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향 통상의 삽입통부(22e)를 갖는다. 이에 의해, 삽입연결부(22b)의 한 쌍의 대향측벽(22c)은 자신의 길이방향의 길이에 의해 그 길이방향 중앙부가 크게 휘기 쉽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대향측벽(22c)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크게 휘어서 그 부분으로부터 돌출한 연결축부(22f)를 돌출방향의 반대측으로 변위시키면서, 삽입연결부(22b)를 요크 레버(23, 24)의 장공(23d, 24d)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축부(22f)를 요크 레버(23, 24)의 연결공(23e, 24e)에 결합함(상기 휘게 한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이차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를 조립할 수가 있다. 여기서, 삽입 연결부(22b)의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은 자신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높이를 높게 하는 것 없이) 용이하게 확보할 수가 있으므로 그 길이방향 중앙부(연결축부(22f))가 충분한 휨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크게 휘어서 조립하기 위해서 높이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서, 이차 레버가, 요크 레버를 대략 덮도록 외측 상벽 및 한 쌍의 외측 측벽을 가진 (단면이 대략 역 U자 형상의) 것에서는, 조립시에, 이차 레버의 한 쌍의 외측 측벽(양단 개방측)을 크게 넓히도록 탄성변형 시키기 위해서 이차 레버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커져 버리지만, 이를 회피할 수가 있다. 따라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11), 나아가서는 와이퍼 블레이드(3)의 높이를 억제하여, 예를 들면 외관의 향상을 꾀할 수가 있다.
게다가, 삽입 연결부(22b)(삽입통부(22e))의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은 자신의 길이방향의 길이에 의해 요크 레버(23, 24)의 한 쌍의 측벽(23b, 24b)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범위가 길이방향으로 길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차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와이핑 방향(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의 유동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이차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와의 사이에 와이핑 방향의 힘이 걸려도,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방향 중앙부(연결축부(22f))에 국소적으로 힘이 걸리기 어렵게 할 수가 있으며, 그 길이방향 중앙부가 크게 휘어져 버려서 레버(22)로부터 요크 레버(23, 24)가 벗겨진다고 하는 것을 저감할 수가 있다.
(4) 한 쌍의 대향측벽(22c)의 길이방향 중앙부는, 길이방향 단부측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휘기 쉽게 됨과 함께, 휨량, 즉 연결축부(22f)가 돌출방향의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양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방향 단부측은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므로, 상기한 효과를 얻으면서도, 삽입 연결부(22b)(삽입통부(22e)) 전체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가 있다.
(5) 삽입 연결부(22b)가 장공(23d)에 삽입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삽입 연결부(22b)의 삽입통부(22e)내에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휨을 규제할 수가 있는 휨 규제 판상부(25b)가 결합되기 때문에,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이 휘어 연결축부(22f)가 연결공(23e)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차 레버(22)로부터 요크 레버(23)가 벗겨져 버린다고 하는 것을 보다 저감할 수가 있다.
(6) 삽입통부(22e)내에 결합되어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휨을 규제하기 위한 휨 규제 부재를, 이차 레버(22)를 덮도록 장착되는 케이스(25)에 마련된 휨 규제 판상부(25b)(휨 규제부)로 하였기 때문에, 휨 규제 부재를 케이스(25)로 별체로 하였을 경우에 비하여, 부품 점수 및 조립 공정수를 저감할 수가 있다.
(7) 이차 레버(22)에는, 상기 연결축부(22f)로부터의 거리가 대향 측벽(22c)의 길이방향 단부보다 먼 위치에서 요크 레버(23, 24)(지지공(23f, 24f)의 내측면)과 폭방향으로 대향하여, 이차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폭방향의 유동을 저감하기 위한 지지벽(22j)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차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폭방향(와이핑 방향)의 유동을 보다 저감할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이차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와의 사이에 폭방향(와이핑 방향)의 힘이 걸려도, 연결축부(22f)가 형성된 대향 측벽(22c)을 포함하는 삽입 연결부(22b)에 힘이 걸리기 어렵게 할 수가 있어서, 이차 레버(22)로부터 요크 레버(23, 24)가 벗겨져 버린다고 하는 것을 보다 저감할 수가 있다.
(8) 이차 레버(22)에는, 서로 맞물려서 이차 레버(22)에 대한 요크 레버(23, 24)의 회동범위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하는 회동범위 설정 볼록부(22i)를 가지기 때문에, 이차 레버(22)에 대하여 요크 레버(23, 24)가 필요이상으로 회동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록백(rock back)의 해제시(블레이드 러버(13)를 와이핑면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로부터 와이핑면에 맞물린 상태로 되돌릴 때)에 요크 레버(23, 24)가 크게 흔들림으로써 그 때의 충격이 커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9) 이차 레버(22)는, 수지제이기 때문에, 대향 측벽(22c)의 양호한 가요성을 확보하면서 복잡한 형상이 되는 삽입 연결부(22b)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가 있음과 함께, 경량화를 꾀할 수가 있다. 또한, 요크 레버(23, 24)는, 백킹(12) 및 블레이드 러버(13)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3c, 24c)를 가진 금속제이기 때문에, 소형화(파지부(23c, 24c)의 박형화)를 꾀하면서, 백킹(12) 및 블레이드 러버(13)를 강고하게 파지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요크 레버(23, 24)의 장공(23d, 24d)에 이차 레버(22)의 삽입 연결부(22b)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와이퍼 블레이드(3)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차 레버(51)의 길이방향 단부가 요크 레버(52)의 중앙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것 같은 와이퍼 블레이드로 본 발명을 구체화하여도 괜찮다.
즉, 이 예(도 7 참조)의 와이퍼 블레이드(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하위의 레버로서의 요크 레버(52)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벽(52a)과 상기 상벽(52a)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52b)을 가진다. 그리고, 요크 레버(52)는, 그 측벽(52b)에 피회동 허용 연결부로서의 연결공(52c)이 관통 형성되며, 게다가 연결공(52c)과 대응하는 위치의 측벽(52b)의 하부으로 폭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오목 형상 원호부로서의 하방 원호 피가압부(5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위의 레버로서의 이차 레버(51)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 단부가 요크 레버(52)의 길이방향 중앙 상벽(52a) 및 한 쌍의 측벽(52b)을 대략 덮도록 외측 상벽(51a) 및 한 쌍의 외측 측벽(51b)을 가진다. 그리고, 이차 레버(51)는, 그 외측 측벽(51b)에 폭방향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연결공(52c)에 결합되는 회동 허용 연결부로서의 연결축부(51c)가 형성되며, 게다가 연결축부(51c)와 대응하는 위치의 외측 측벽(51b)의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 원호부로서의 상방 원호 가압부(5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축부(51c)에는, 그 한 쌍의 연결축부(51c)를 연결공(52c)에 삽입하기 위하여 그 연결공(52c)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상하방향중의 한쪽(이 예에서는 하방)으로 향할수록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5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축부(51c)가 연결공(52c)에 삽입됨으로써, 이차 레버(51)의 길이방향 단부에 대한 요크 레버(52)의 회동이 허용됨과 함께, 이차 레버(51)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대한 요크 레버(52)의 하방으로의 분리가 저지되어 있다.
또한, 이차 레버(51)의 상방 원호 가압부(51d)가, 요크 레버(52)의 하방 원호 피가압부(52d)의 상방에 슬라이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이차 레버(51)의 길이방향 단부에 대한 요크 레버(52)의 회동이 허용됨과 함께, 이차 레버(51)로부터의 하방으로의 가압력이 요크 레버(52)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오목 형상 원호부인 하방 원호 피가압부(52d)측의 곡률반경은, 볼록 형상 원호부인 상방 원호 가압부(51d)측의 곡률반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원호 가압부(51d)와 하방 원호 피가압부(52d)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연결축부(51c)와 연결공(52c)이 상하방향으로 맞물리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도, 상기 실시형태의 효과(1), (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연결축부(51c)와 연결공(52c)와의 연결 부분에 먼지 등의 이물이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결축부(22f(51c))에는 경사면(22g(51e))가 형성된다고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면(22g(51e))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연결축부에 변경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길이방향 중앙부는, 길이방향 단부측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고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연결부(22b)의 삽입통부(22e)내에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휨을 규제하는 휨 규제 판상부(25b)가 결합된다고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휨 규제 판상부(25b)가 결합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휨 규제 판상부(25b)(휨 규제 부재)는 케이스(25)에 형성된 것으로 하였지만, 결합되어 휨을 규제하는 휨 규제 부재를 케이스(25)와 별체로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차 레버(22)에는 회동범위 설정 볼록부(22i)가 형성된다고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크 레버(23, 24)측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회동범위 설정 볼록부(22i)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차 레버(22)는 수지제이며, 요크 레버(23, 24)는 금속제라고 하였지만, 모두 수지제로 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이차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를 각각 다른 종류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센터 커버 레버(21)와 케이스(25)에, 각각 핀부(21a, 25a)가 형성된다고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핀부(21a, 25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케이스(25)를 구비하지 않은(요크 레버의 일부가 노출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차 레버(22)와 요크 레버(23, 24)와의 연결 부분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레버 어셈블리의 최상위의 레버(본 실시형태에서는 센터 커버 레버(21))와 그 하위의 레버(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차 레버(22))와의 연결 부분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괜찮다.
상기 실시형태 및 다른 예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이하에 그 효과와 함께 기재한다.
(A) 청구항 3에 기재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의 길이방향 중앙부는,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에 대응하여 길이방향 단부측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대향 측벽의 길이방향 중앙부는, 길이방향 단부측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휘기 쉽게 되는 것과 함께, 휨량, 즉 회동허용 연결부가 돌출방향의 반대측으로 변위하는 양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한 쌍의 대향 측벽의 길이방향 단부측은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므로, 상기한 효과를 얻으면서도, 삽입 연결부(삽입통부) 전체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가 있다.
(B) 청구항 3 또는 상기 (A)에 기재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삽입 연결부가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 연결부의 상기 삽입통부내에는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의 휨을 규제하기 위한 휨 규제 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삽입 연결부가 장공에 삽입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삽입 연결부의 삽입통부내에는 한 쌍의 대향 측벽의 휨을 규제하기 위한 휨 규제 부재가 결합되기 때문에, 한 쌍의 대향 측벽이 휘어져서 회동 허용 연결부가 하위의 레버의 피회동 허용 연결부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C) 상기 (B)에 기재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휨 규제 부재는, 상기 삽입 연결부를 가진 상기 상위의 레버를 덮도록 장착되는 케이스에 마련된 휨 규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상기 구성에 의하면, 휨 규제 부재는, 상기 삽입 연결부를 가진 상위의 레버를 덮도록 장착되는 케이스에 마련된 휨 규제부이기 때문에, 휨 규제 부재를 케이스와 별체로 하였을 경우에 비하여, 부품 점수 및 조립 공정수를 저감할 수가 있다.
11 :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12 : 백킹
13 : 블레이드 러버 22, 51 : 이차 레버(상위의 레버)
22b : 삽입 연결부 22c : 대향 측벽
22d : 단부벽 22e : 삽입통부
22f, 51c : 연결축부(회동 허용 연결부)
22g, 51e : 경사면
22h : 상방 원호 가압부(오목 형상 원호부)
23, 24, 52 : 요크 레버(하위의 레버)
23a, 24a, 52a : 상벽
23b, 24b, 52b : 측벽 23c, 24c : 파지부
23d, 24d : 장공
23e, 24e, 52c : 연결공(피회동 허용 연결부)
23g, 24g : 하방 원호 피가압부(볼록 형상 원호부)
51a : 외측 상벽 51b : 외측 측벽
51d : 상방 원호 가압부(볼록 형상 원호부)
52d : 하방 원호 피가압부(오목 형상 원호부)

Claims (7)

  1. 상위 레버(22,51) 및 하위 레버(23,24,52);
    상기 상위 레버(22,51)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회동 허용 연결부(22f,51c);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22f,51c)가 삽입되도록 상기 하위 레버(23,24,52)에 형성된 피회동 허용 연결부(23e,24e,52c); 및
    상기 하위 레버(23,24,52)에 마련된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24g,52d)) 상방에 슬라이드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22f,51c) 상측에 형성된 상방 원호 가압부(22h,51d); 를 포함하되,
    상기 상방 원호 가압부(22h,51d)와 상기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24g,52d) 중 오목 형상 원호부측의 곡률 반경이 볼록 형상 원호부측의 곡률반경보다 크고, 상기 상방 원호 가압부(22h,51d)와 상기 하방 원호 피가압부(23g,24g)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22f,51c)와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23e,24e,52c)가 상하 방향으로 맞물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22f,51c)에는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23e,24e,52c)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위 레버(23)에는 상벽(23a)과, 상기 상벽(23a)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23b)과, 상기 상위 레버(22)와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23d), 및 상기 측벽(23b)에 관통 형성된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23e)가 마련되고,
    상기 상위 레버(22)에는 그 길이방향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장공(23d)에 삽입되는 삽입 연결부(22b)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 연결부(22b)에는 상기 한 쌍의 측벽(23b)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과 상기 대향 측벽(22c)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부벽(22d)으로 형성된 사각형상의 삽입통부(22e)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중앙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23e)에 결합 되는 회동 허용 연결부(22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위 레버(23)에는 상벽(23a)과, 상기 상벽(23a)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23b)과, 상기 상위 레버(22)와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23d), 및 상기 측벽(23b)에 관통 형성된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23e)가 마련되고,
    상기 상위 레버(22)에는 그 길이방향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장공(23d)에 삽입되는 삽입 연결부(22b)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 연결부(22b)에는 상기 한 쌍의 측벽(23b)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 측벽(22c)과 상기 대향 측벽(22c)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부벽(22d)으로 형성된 사각형상의 삽입통부(22e)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대향 측벽(22c)의 중앙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23e)에 결합 되는 회동 허용 연결부(22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위 레버(52)에는 상벽(52a)과, 상기 상벽(52a)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되 폭방향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52b)과, 상기 측벽(52b) 양 측면에 관통 형성된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52c) 및, 상기 측벽(52b) 하부에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방 원호 피가압부(52d)로 구성되며,
    상기 상위 레버(51)에는 그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하위 레버(52)의 상벽(52a) 및 한 쌍의 측벽(52b)을 덮는 외측 상벽(51a) 및 한 쌍의 외측 측벽(51b)과, 상기 외측 측벽(51b)의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52c)에 결합 되도록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51c)와, 상기 외측 측벽(51b)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된 상방 원호 가압부(5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위 레버(52)에는 상벽(52a)과, 상기 상벽(52a)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되 폭방향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52b)과, 상기 측벽(52b) 양 측면에 관통 형성된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52c) 및, 상기 측벽(52b) 하부에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방 원호 피가압부(52d)로 구성되며,
    상기 상위 레버(51)에는 그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하위 레버(52)의 상벽(52a) 및 한 쌍의 측벽(52b)을 덮는 외측 상벽(51a) 및 한 쌍의 외측 측벽(51b)과, 상기 외측 측벽(51b)의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피회동 허용 연결부(52c)에 결합 되도록 상기 회동 허용 연결부(51c)와, 상기 외측 측벽(51b)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된 상방 원호 가압부(5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와, 상기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에 의해 파지 되는 백킹(12) 및 블레이드 러버(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130012385A 2012-04-24 2013-02-04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39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8830 2012-04-24
JP2012098830A JP5886118B2 (ja) 2012-04-24 2012-04-24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857A KR20130119857A (ko) 2013-11-01
KR101439002B1 true KR101439002B1 (ko) 2014-09-15

Family

ID=4929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385A KR101439002B1 (ko) 2012-04-24 2013-02-04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87064B2 (ko)
JP (1) JP5886118B2 (ko)
KR (1) KR101439002B1 (ko)
CN (1) CN103640551B (ko)
DE (1) DE10201320623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1960B2 (ja) 2012-02-24 2015-09-24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KR101511612B1 (ko) * 2014-03-12 2015-04-13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US10196045B2 (en) 2014-06-16 2019-02-05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y
KR101790510B1 (ko) * 2014-06-16 2017-10-27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1609230B1 (ko) * 2014-12-30 2016-04-05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79B1 (ko) * 1987-08-20 1995-06-14 트리코-폴버드 리미티드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JPH07329730A (ja) * 1994-06-09 1995-12-19 Fukoku Co Ltd 車輛用ワイパー
JP2000203391A (ja) * 1999-01-11 2000-07-25 Asmo Co Ltd 部材の支持構造
KR20090023779A (ko) * 2007-09-03 2009-03-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윈도 와이퍼의 결합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6729A1 (de) * 1980-07-15 1982-02-1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eibenwischblatt fuer kraftfahrzeuge
GB8313125D0 (en) 1983-05-12 1983-06-15 Trico Folberth Ltd Assembling of harnesses of wipers
GB2139528B (en) 1983-05-12 1986-04-09 Trico Folberth Ltd Method of assembling a trunnion joint for a wiper blade harness
JPH04108470U (ja) 1991-03-01 1992-09-18 株式会社三ツ葉電機製作所 ワイパブレードのカバー体構造
US5289608A (en) * 1991-10-29 1994-03-01 Alberee Product Inc. Windshield wiper frame connector which accomodates different size wiper arms
US5546627A (en) 1995-12-20 1996-08-20 Chen; Liang-Yuan Adjustable length windshield wiper
DE29718379U1 (de) 1997-10-16 1998-01-02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
JP2003127840A (ja) * 2001-10-30 2003-05-08 Nippon Wiper Blade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
JP2005206122A (ja) 2004-01-26 2005-08-04 Asmo Co Ltd 車両用ワイパ
JP4615264B2 (ja) 2004-07-08 2011-01-19 日本ワイパブレード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
JP2007055589A (ja) 2005-07-29 2007-03-08 Piaa Corp ワイパ装置
US8745811B2 (en) * 2006-01-31 2014-06-10 Mitsuba Corporation Connection member in wiper blade
JP2008168796A (ja) 2007-01-12 2008-07-24 Mitsuba Corp 車両用ワイパ装置
KR20080094204A (ko) 2007-04-19 2008-10-23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KR20080099013A (ko) 2007-05-08 2008-11-12 주식회사 캐프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장치의 탑록킹 아암용 커넥터
US8286298B2 (en) * 2008-07-11 2012-10-16 Adm21 Co., Ltd. Device for connecting a flat wiper blade to wiper arms
DE112009002295B4 (de) * 2008-09-29 2019-10-17 Denso Corporation Wischerblatt
CN201357813Y (zh) * 2008-12-19 2009-12-09 盛达贸易公司 雨刮器
US8051526B2 (en) * 2009-04-07 2011-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vered wiper for vehicle window
CN201516837U (zh) * 2009-09-23 2010-06-30 湖北钱潮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可屈伸的雨刷头
JP5457275B2 (ja) * 2010-05-31 2014-04-02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KR101207768B1 (ko) 2010-10-15 2012-12-05 김인규 와이퍼 블레이드용 케이스
JP2012121367A (ja) 2010-12-06 2012-06-28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CN103764457B (zh) 2011-11-30 2016-04-20 阿斯莫株式会社 刮水器,刮水器杆组件,以及刮水片
JP5781960B2 (ja) 2012-02-24 2015-09-24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79B1 (ko) * 1987-08-20 1995-06-14 트리코-폴버드 리미티드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JPH07329730A (ja) * 1994-06-09 1995-12-19 Fukoku Co Ltd 車輛用ワイパー
JP2000203391A (ja) * 1999-01-11 2000-07-25 Asmo Co Ltd 部材の支持構造
KR20090023779A (ko) * 2007-09-03 2009-03-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윈도 와이퍼의 결합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06239B4 (de) 2020-10-29
US9187064B2 (en) 2015-11-17
JP5886118B2 (ja) 2016-03-16
JP2013226863A (ja) 2013-11-07
KR20130119857A (ko) 2013-11-01
DE102013206239A1 (de) 2013-10-24
US20130276255A1 (en) 2013-10-24
CN103640551B (zh) 2017-03-01
CN103640551A (zh)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002B1 (ko)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KR101715204B1 (ko) 와이퍼,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KR101386917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9533658B2 (en) Wiper connector for vehicle
US9845074B2 (en) Wiper blade
US9174610B2 (en) Wiper blade and wiper for vehicle
US20120180246A1 (en)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KR101439003B1 (ko)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JP5833389B2 (ja) ワイパブレード及び車両用ワイパ
WO2015033641A1 (ja) 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
US9862356B2 (en) Wiper blade
JP2007203948A (ja) 車両用ワイパ
JP6081116B2 (ja) 車両用ワイパ
JP6177979B2 (ja) 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
JP5940927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6104343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4814691B2 (ja) リベットとの組み付けが容易な、圧縮コイルばね用のストッパと該ストッパを備えたワイパーアーム
JP6013174B2 (ja) 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
JP7044021B2 (ja)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7131226B2 (ja)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4294543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2006103540A (ja) ワイ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