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777B1 - 연소 버너 및 이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 - Google Patents

연소 버너 및 이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777B1
KR101436777B1 KR1020137030282A KR20137030282A KR101436777B1 KR 101436777 B1 KR101436777 B1 KR 101436777B1 KR 1020137030282 A KR1020137030282 A KR 1020137030282A KR 20137030282 A KR20137030282 A KR 20137030282A KR 101436777 B1 KR101436777 B1 KR 101436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nozzle
secondary air
combustion
opening
combustion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089A (ko
Inventor
게이고 마츠모토
고우타로 후지무라
가즈히로 도모토
도시미츠 이치노세
나오후미 아베
준 가사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6/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 F23C6/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in series connection
    • F23C6/045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in series connection with staged combustion in a single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23D1/005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burning a mixture of pulverulent fuel delivered as a slurry, i.e. comprising a carry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8Disposition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6/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 F23C6/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in series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201/00Staged combustion
    • F23C2201/20Burner sta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1/00Burners adapted for particulate solid or pulverulent fuels
    • F23D2201/10Nozzle t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1/00Burners adapted for particulate solid or pulverulent fuels
    • F23D2201/20Fuel flow guid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20Flame lift-off /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Mixing And Non-Premixing Gas Burner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이 연소 버너(1)는, 고체 연료와 1차 공기를 혼합한 연료 가스를 분사하는 연료 노즐(2)과, 연료 노즐(2)의 외주로부터 2차 공기를 분사하는 2차 공기 노즐(3, 4)과, 연료 노즐(2)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보염기(5)를 구비한다. 이 연소 버너(1)에서는, 보염기(5)가 연료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확폭하는 스플릿 형상을 갖는다. 또한, 연료 노즐(2)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 중 보염기(5)의 확폭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서 보아, 연료 노즐(2)의 중심축으로부터 보염기(5)의 확폭단까지의 최대 거리(h)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내경(r)이 h/(r/2)<0.6의 관계를 갖는다.

Description

연소 버너 및 이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COMBUSTION BURNER AND BOILER PROVIDED WITH COMBUSTION BURNER}
본 발명은 연소 버너 및 이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NOx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연소 버너 및 이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소 버너에서는 일반적으로 연소 화염을 외부 보염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연소 화염의 외주부에 고온 고산소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NOx 발생량이 증가한다는 과제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종래의 연소 버너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제 2781740 호 공보
본 발명은 NOx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연소 버너 및 이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연소 버너는, 고체 연료와 1차 공기를 혼합한 연료 가스를 분사하는 연료 노즐과, 상기 연료 노즐의 외주로부터 2차 공기를 분사하는 2차 공기 노즐과, 상기 연료 노즐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보염기를 구비하는 연소 버너로서, 상기 보염기가 상기 연료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확폭(擴幅)하는 스플릿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연료 노즐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 중 상기 보염기의 확폭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서 보아, 상기 연료 노즐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보염기의 확폭단까지의 최대 거리(h)와 상기 연료 노즐의 개구부의 내경(r)이 h/(r/2)<0.6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연소 버너에서는,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연료 노즐의 개구부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보염)이 실현되므로, 연소 화염의 외부 보염(연료 노즐의 외주에 있어서의 보염, 혹은, 연료 노즐의 개구부의 내벽면 근방의 영역에 있어서의 보염)이 실행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연소 화염의 외주부가 저온이 된다. 따라서, 2차 공기에 의해 고산소 분위기하에 있는 연소 화염의 외주부의 온도를 낮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NOx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 버너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개구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보염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도 3에 기재한 보염기의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연소 버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정류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도 8에 기재한 정류 구조의 정류환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연소 버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4는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8은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는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은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가 추가 공기(additional air) 방식을 채용하는 보일러에 적용되었을 경우의 NOx 발생량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1은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가 추가 공기 방식을 채용하는 보일러에 적용되었을 경우의 NOx 발생량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는 일반적인 미분탄 연소 보일러를 도시하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에는, 발명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치환 가능 또한 치환 자명한 것이 포함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기재된 복수의 변형예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임의로 편성이 가능하다.
[미분탄 연소 보일러]
도 22는 일반적인 미분탄 연소 보일러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미분탄 연소 보일러(100)는 미분탄을 태워서 열에너지를 취득하는 보일러로서, 예컨대, 발전 용도, 공업 용도 등에 이용된다.
미분탄 연소 보일러(100)는, 화로(110)와, 연소 장치(120)와, 증기 발생 장치(130)를 구비한다(도 22 참조). 화로(110)는, 미분탄을 태우기 위한 노로서, 연소실(111)과, 이 연소실(111)의 상방에 접속되는 연도(煙道)(112)를 갖는다. 연소 장치(120)는 미분탄을 연소시키는 장치로서, 연소 버너(121)와, 연소 버너(121)에 미분탄을 공급하는 미분탄 공급 계통(122)과, 연소 버너(121)에 2차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계통(123)을 갖는다. 이 연소 장치(120)는 연소 버너(121)를 화로(110)의 연소실(111)에 접속하여 배치된다. 또한, 이 연소 장치(120)에서는 공기 공급 계통(123)이 미분탄의 산화 연소를 완결하기 위한 추가 공기(additional air)를 연소실(111)에 공급한다. 증기 발생 장치(130)는 연료 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보일러 급수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절탄기(131), 재열기(132), 과열기(133) 및 증기 드럼(도시 생략)을 갖는다. 이 증기 발생 장치(130)는 절탄기(131), 재열기(132) 및 과열기(133)를 화로(110)의 연도(112) 상에 단계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된다.
이 미분탄 연소 보일러(100)에서는, 우선, 연소 장치(120)에서, 미분탄 공급 계통(122)이 미분탄 및 1차 공기를 연소 버너(121)에 공급하고, 또한, 공기 공급 계통(123)이 연소용 2차 공기를 연소 버너(121)에 공급한다(도 22 참조). 다음으로, 연소 버너(121)가 미분탄, 1차 공기 및 2차 공기의 연료 가스에 착화하고, 이 연료 가스를 연소실(111)에 분사한다. 그러면, 이 연료 가스가 연소실(111)에서 연소하여, 연료 가스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이 연료 가스가 연소실(111) 내로부터 연도(112)를 통과하여 배출된다. 이때, 증기 발생 장치(130)가 연료 가스와 보일러 급수를 열교환시켜 증기를 발생한다. 그리고, 이 증기가 외부의 플랜트(예컨대, 증기 터빈 등)에 공급된다.
또한, 이 미분탄 연소 보일러(100)에서는 1차 공기의 공급량과 2차 공기의 공급량의 합이 미분탄의 공급량에 대하여 이론 공기량 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연소실(111)이 환원 분위기에 보지된다. 그리고, 미분탄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NOx가 연소실(111)에서 환원되고, 그 후에, 추가 공기(AA)가 추가 공급되어 미분탄의 산화 연소가 완결된다(추가 공기 방식). 이에 의해, 미분탄의 연소에 의한 NOx의 발생량이 저감된다.
[연소 버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 버너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동 도면은 연소 버너의 중심축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개구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 연소 버너(1)는 고체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고체 연료 연소 버너이며, 예컨대, 도 22에 기재한 미분탄 연소 보일러(100)의 연소 버너(121)로서 이용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고체 연료로서 미분탄이 이용되며, 연소 버너(1)가 미분탄 연소 보일러(100)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연소 버너(1)는 연료 노즐(2)과, 주 2차 공기 노즐(3)과, 2차 공기 노즐(4)과, 보염기(5)를 구비한다(도 1 및 도 2 참조). 연료 노즐(2)은 미분탄(고체 연료)과 1차 공기를 혼합한 연료 가스(고체 연료를 포함한 1차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이다. 주 2차 공기 노즐(3)은 연료 노즐(2)로부터 분사된 연료 가스의 외주에 주 2차 공기(Coal 2차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이다. 2차 공기 노즐(4)은 주 2차 공기 노즐(3)로부터 분사된 주 2차 공기의 외주에 2차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이다. 보염기(5)는 연료 가스의 착화용 및 보염용 기기로서,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에 배치된다.
예컨대,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노즐(2) 및 주 2차 공기 노즐(3)이 기다란 관상 구조를 갖고, 직사각형의 개구부(21, 31)를 갖고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연료 노즐(2)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에 주 2차 공기 노즐(3)을 배치한 이중관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2차 공기 노즐(4)이 이중관 구조를 갖고, 환상의 개구부(41)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2차 공기 노즐(4)의 내환(內環)에 연료 노즐(2) 및 주 2차 공기 노즐(3)이 삽입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가 중심에 배치되고, 그 외측에 주 2차 공기 노즐(3)의 개구부(31)가 배치되며, 그 외측에 2차 공기 노즐(4)의 개구부(4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노즐(2, 3, 4)의 개구부(21, 31, 41)가 동일면 상에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염기(5)가 연료 가스의 상류측으로부터 판재(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되어,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염기(5)의 하류측 단부(확폭 단부)와 노즐(2, 3, 4)의 개구부(21, 31, 41)가 동일면 상에 정렬되어 있다.
이 연소 버너(1)에서는 미분탄과 1차 공기를 혼합한 연료 가스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로부터 분사된다(도 1 참조). 이때, 연료 가스는,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에서 보염기(5)에 의해 분기되어 착화되고, 연소하여 연소 연료 가스가 된다. 또한, 이 연료 가스의 외주에, 주 2차 공기가 주 2차 공기 노즐(3)의 개구부(31)로부터 분사되어, 연료 가스의 연소가 촉진된다. 또한, 연소 화염의 외주에, 2차 공기가 2차 공기 노즐(4)의 개구부(41)로부터 공급되어, 연소 화염의 외주부가 냉각된다.
[보염기의 배치]
여기서, 이 연소 버너(1)에서는, 미분탄의 연소에 의한 NOx 발생량을 저감하기 위해서,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에 대한 보염기(5)의 배치가 적정화된다. 이하, 이 점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연료 노즐(2)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 중 보염기(5)의 확폭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서 보아, 보염기(5)가 연료 가스(미분탄과 1차 공기의 혼합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확폭하는 스플릿 형상을 갖는다(도 1 및 도 3 참조). 또한, 연료 노즐(2)의 중심축으로부터 보염기(5)의 확폭단(스플릿 형상의 하류측 단부)까지의 최대 거리(h)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내경(r)이 h/(r/2)<0.6의 관계를 갖는다.
예컨대,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노즐(2)이 직사각형의 개구부(21)를 갖고, 그 높이 방향을 연직 방향을 향하게 하는 동시에 그 폭 방향을 수평 방향을 향하게 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그리고, 이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에 보염기(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염기(5)가 연료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확폭하는 스플릿 형상을 갖고, 또한, 이 확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보염기(5)가, 그 길이 방향을 연료 노즐(2)의 폭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며,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를 폭 방향으로 대략 횡단하고 있다. 또한, 보염기(5)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심선 상에 배치되며,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를 높이 방향으로 이등분하고 있다.
또한, 보염기(5)가 대략 이등변 삼각형 단면인 한편 기다란 대략 프리즘 형상을 갖고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또한, 연료 노즐(2)의 축 방향 단면에서 보아, 연료 노즐(2)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보염기(5)가, 그 정상부를 연료 가스의 상류측으로 향하는 동시에, 그 저부를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에 정렬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염기(5)가 연료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확폭하는 스플릿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보염기(5)의 스플릿 각(이등변 삼각형의 꼭지각)(θ) 및 스플릿 폭(이등변 삼각형의 저변 길이)(L)이 소정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스플릿 형상을 갖는 보염기(5)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여기서,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이란, 보염기(5)가 연료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확폭하는 스플릿 형상을 가질 때, 연료 노즐(2)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 중 보염기(5)의 확폭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서 보아, 연료 노즐(2)의 중심축으로부터 보염기(5)의 확폭단(스플릿 형상의 하류측 단부)까지의 최대 거리(h)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내경(r)이 h/(r/2)<0.6의 관계를 갖는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보염기(5)가 연료 노즐(2)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연료 노즐(2)의 중심축으로부터 보염기(5)의 확폭단까지의 최대 거리(h)가 보염기(5)의 스플릿 반폭(L/2)으로 되어 있다.
이 연소 버너(1)에서는, 보염기(5)가 스플릿 형상을 가지므로, 연료 가스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에서 보염기(5)에 의해 분기된다(도 1 참조). 이때, 보염기(5)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이 중앙 영역에서 연료 가스의 착화 및 보염이 실행된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보염]이 실현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연소 화염의 외부 보염(연료 노즐의 외주에 있어서의 보염, 혹은, 연료 노즐의 개구부의 내벽면 근방의 영역에 있어서의 보염)이 실행되는 구성(도시 생략)과 비교하여, 연소 화염의 외주부(Y)가 저온으로 된다(도 4 참조). 따라서, 2차 공기에 의해 고산소 분위기하에 있는 연소 화염의 외주부(Y)의 온도를 낮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외주부(Y)에 있어서의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도 5는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동 도면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에 있어서의 보염기(5)의 위치[h/(r/2)]와 NOx 발생량의 관계에 따른 시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성능 시험에서는,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1)에 있어서, 보염기(5)의 거리(h)를 변화시켰을 때에 NOx 발생량이 측정되었다. 이때, 연료 노즐(2)의 내경(r), 보염기(5)의 스플릿 각(θ) 및 스플릿 폭(L) 등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NOx 발생량은 연소 화염의 외부 보염이 실행되는 구성(보염기가 연료 노즐의 외주에 배치되는 구성; 특허문헌 1 참조)을 기준(h/(r/2)=1)으로 한 상대값으로 나타나 있다.
시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염기(5)의 위치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심에 가까워짐에 따라, NOx 발생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5 참조). 구체적으로는, 보염기(5)의 위치가 h/(r/2)<0.6이 되는 것에 의해 NOx 발생량이 10% 이상 감소하여 우위성이 인정되고 있다.
또한, 연소 버너(1)에서는, 보염기(5)의 길이 방향의 단부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내벽면이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통상의 설계에서는, 보염기(5)의 단부와 연료 노즐(2)의 내벽면 사이에는 부재의 열신장을 고려하여 수 ㎜ 정도의 미소한 간극(d)이 형성된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보염기(5)의 단부와 연료 노즐(2)의 내벽면이 근접하여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보염기(5)의 단부가 연소 화염으로부터의 복사를 받는다. 이에 의해, 보염기(5)의 단부로부터 내부로의 화염 전파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보염기의 스플릿 각 및 스플릿 폭]
또한, 이 연소 버너(1)에서는, 고체 연료의 연소에 의한 NOx 발생량을 억제하기 위해서, 보염기(5)의 스플릿 형상이 적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이 연소 버너(1)에서는 보염기(5)가 연료 가스를 분기하기 위한 스플릿 형상을 갖는다(도 3 참조). 이때, 보염기(5)는 삼각형 단면의 스플릿 형상을 갖고, 그 정상부를 연료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의 (a) 참조]. 이러한 삼각형 단면의 보염기(5)에서는, 분기된 연료 가스가 보염기(5)의 측면을 따라 흐르며 차압에 의해 저변측으로 휩쓸려 들어간다. 따라서, 연료 가스가 보염기(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산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이 적정하게 확보(혹은 보강)된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외주부(Y)(도 4 참조)가 저온이 되므로, 2차 공기와의 혼합에 의한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또한, 보염기가 판 형상의 스플릿 형상을 갖는 구성[도 6의 (b) 참조]에서는, 분기된 연료 가스가 보염기로부터 연료 노즐의 내벽면을 향해 흐른다. 기존의 연소 버너에서는, 이와 같이, 보염기에 의해 연료 가스를 분기하여 연료 노즐의 내벽면을 따라 가이드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연료 노즐의 중앙 영역보다 내벽면 근방 영역 쪽이 연료 가스 리치가 되어, 연소 화염의 외주부(Y)가 내부(X)보다 고온이 된다(도 4 참조). 그러면, 이 연소 화염의 외주부(Y)에서, 2차 공기와의 혼합에 의한 NOx 발생량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삼각형 단면을 갖는 보염기(5)의 스플릿 각(θ)이 θ<9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또한, 보염기(5)의 스플릿 각(θ)이 θ<60[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분기된 연료 가스가 연료 노즐이 없는 벽면측으로 확산하는 사태가 억제되므로,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이 보다 적정하게 확보된다.
예컨대, 이 실시형태에서는, 보염기(5)가 단면 이등변 삼각형의 스플릿 형상을 갖고 있으며, 그 스플릿 각(θ)이 θ<90[도]로 설정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보염기(5)가 연료 가스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에 의해 측면의 경사각(θ/2)이 30[도]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삼각형 단면을 갖는 보염기(5)의 스플릿 폭(L)과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내경(r)이, 0.06≤L/r의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0.10≤L/r의 관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보염기(5)의 스플릿 폭(L)과 연료 노즐(2)의 내경(r)의 비(L/r)가 적정화되어,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도 7은 연소 버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동 도면은 보염기(5)의 스플릿 폭(L) 및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내경(r)의 비(L/r)와 NOx 발생량의 관계에 따른 시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성능 시험에서는,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1)에 있어서, 보염기(5)의 스플릿 폭(L)을 변화시켰을 때의 NOx 발생량이 측정되었다. 이때, 연료 노즐(2)의 내경(r), 보염기(5)의 거리(h)나 스플릿 각(θ) 등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NOx 발생량은, 연소 화염의 스플릿 폭(L)이 L=0일 때를 기준으로 한 상대값으로 나타나 있다.
시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염기(5)의 스플릿 폭(L)이 커질수록, NOx 발생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0.06≤L/r로 함으로써, NOx 발생량이 20% 감소하고, 0.10≤L/r로 함으로써, NOx 발생량이 30% 이상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0.13<L/r가 되면, NOx 발생량의 감소가 바닥을 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스플릿 폭(L)의 상한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에 있어서의 보염기(5)의 위치[h/(r/2)]와의 관계로 제한된다. 즉, 스플릿 폭(L)이 너무 커지면, 보염기의 위치가 연료 노즐(2)의 내벽면에 가까워져서 연소 화염의 내부 보지에 의한 효과가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도 5 참조). 따라서, 보염기(5)의 스플릿 폭(L)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내경(r)과의 관계[비(L/r)] 및 보염기(5)의 위치[h/(r/2)]의 관계에 의해 적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보염기(5)가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갖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보염기(5)가 V자 단면 형상을 가져도 좋다(도시 생략). 이러한 구성으로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보염기(5)는, 삼각형 단면 형상이 V자 단면 형상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V자 단면 형상에서는, (1) 오일 연소 시에서 복사열에 의해 보염기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보염기의 내부에 재가 체류하여 부착하고 성장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보염기(5)를 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하고, 화로측을 세라믹스제로 하는 것에 의해, 재의 부착이 완화된다.
[연료 노즐의 정류 구조]
도 8은 도 1에 기재한 연소 버너의 정류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기재한 정류 구조의 정류환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종래의 연소 버너에서는, 연소 화염을 외부 보염하는 구성에 있어서, 연료 가스 혹은 2차 공기가 선회류 혹은 급격하게 각도를 바꾸는 흐름으로서 공급되고 있다. 이에 의해, 연료 노즐의 외주에 재순환역이 형성되어, 외부 착화 및 외부 보염이 효율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도시 생략).
이에 대하여, 이 연소 버너(1)에서는, 상기와 같이 연소 화염을 내부 보염하는 구성이 채용되기 때문에, 연료 가스 및 2차 공기(주 2차 공기 및 2차 공기)가 직진류로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즉, 연료 노즐(2), 주 2차 공기 노즐(3) 및 2차 공기 노즐(4)이 연료 가스 혹은 2차 공기를 선회시키는 일 없이 직진류로서 공급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연료 노즐(2), 주 2차 공기 노즐(3) 및 2차 공기 노즐(4)이 연료 가스 혹은 2차 공기의 직진류를 저해하는 장애물을 내부의 가스 통로에 갖지 않는 구성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이러한 장애물에는, 예컨대, 선회류를 형성하기 위한 선회 날개나, 가스 흐름을 내벽면 근방 영역에 가이드하는 구조물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연료 가스 및 2차 공기가 직진류로서 분사되어 연소 화염이 형성되므로, 연소 화염을 내부 보염하는 구성에 있어서, 연소 화염 내의 가스 순환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외주부(Y)(도 4 참조)가 저온인 채 유지되므로, 2차 공기와의 혼합에 의한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또한, 이 연소 버너(1)에서는, 연료 노즐(2)이 정류 기구(6)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및 도 9 참조). 이 정류 기구(6)는 연료 노즐(2)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의 흐름을 정류하는 기구로서, 예컨대, 연료 노즐(2) 내를 통과하는 연료 가스에 압력 손실을 발생시켜서, 연소 가스의 유량 편차를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정류 기구(6)에 의해, 연료 노즐(2) 내에 연료 가스의 직진류가 형성된다. 그리고, 보염기(5)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이 실행된다(도 1 참조). 이에 의해, 내부 보염이 적정하게 확보되므로, 연소 화염의 외주부(Y)(도 4 참조)에 있어서의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예컨대,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노즐(2)이 연료 가스의 상류측[연소 버너(1)의 근원부]에서 원관 구조를 갖고, 서서히 단면 형상을 변화시켜서, 개구부(21)에서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2, 도 8 및 도 9 참조). 또한, 환상의 오리피스로 이루어지는 정류 기구(6)가 연료 노즐(2) 내의 상류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노즐(2)이, 이 정류 기구(6)의 위치로부터 개구부(21)에 걸쳐서 직선적인 연료 가스의 유로를 갖고 있다(스트레이트 형상). 또한, 연료 노즐(2)의 내부에는, 정류 기구(6)로부터 개구부(21)[보염기(5)]까지의 범위에, 직진류를 저해하는 장애물이 마련되지 않았다. 이에 의해, 연료 가스를 정류 기구(6)에서 정류하고, 연료 가스의 직진류를 그대로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에 공급하는 구조(연소 가스의 정류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류 기구(6)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거리는 연소 버너(1)의 높이(H)에 대하여 2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10H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정류 기구(6)의 설치에 의한 연소 가스 흐름에의 악영향이 저감되어 매우 적합한 직진류가 형성된다.
[보염기의 형상의 변형예 1]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노즐(2)의 정면에서 보아, 연료 노즐(2)이 직사각형형상의 개구부(21)를 갖고, 보염기(5)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을 대략 횡단하여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기다란 보염기(5)가 단독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연소 버너(1)에서는, 한쌍의 보염기(5, 5)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병렬로 배치되어도 좋다(도 10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한쌍의 보염기(5, 5)에 개재된 영역이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에 형성된다(도 11 참조). 그러면, 이러한 개재된 영역에서 공기 부족이 발생한다. 따라서,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공기 부족에 의한 환원 분위기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X)(도 4 참조)에 있어서의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예컨대,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다란 한쌍의 보염기(5, 5)가, 그 길이 방향을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폭 방향을 향하게 하면서 병행으로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다(도 10 참조). 그리고, 이들 보염기(5, 5)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를 폭 방향으로 대략 횡단하는 것에 의해,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가 높이 방향으로 3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때, 연료 노즐(2)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 중 보염기(5)의 확폭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서 보아, 이들 보염기(5, 5)가 삼각형 단면의 스플릿 형상을 각각 갖고, 그 확폭 방향을 연료 가스의 흐름 방향을 각각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또한, 한쌍의 보염기(5, 5)의 쌍방이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노즐(2)의 중심축으로부터 한쌍의 보염기(5, 5)의 확폭단까지의 최대 거리(h)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내경(r)이 h/(r/2)<0.6의 관계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이 실행된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한쌍의 보염기(5, 5)가 배치되어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의 보염기(5)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병렬로 배치되어도 좋다(도시 생략). 이러한 구성으로 해도, 서로 이웃하는 보염기(5, 5)에 개재된 영역에, 공기 부족에 의한 환원 분위기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X)(도 4 참조)에 있어서의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보염기의 형상의 변형예 2]
또한, 이 연소 버너(1)에서는, 한쌍의 보염기(5, 5)가 교차하여 연결되는 동시에 그 교차부를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위치시켜 배치되어도 좋다(도 12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한쌍의 보염기(5, 5)가 교차하여 연결되는 것에 의해, 그 교차부에 강한 착화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교차부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이 적정하게 실행된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X)(도 4 참조)에 있어서의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예컨대,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다란 한쌍의 보염기(5, 5)가, 그 길이 방향을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을 각각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도 12 참조). 또한, 이들 보염기(5, 5)가 개구부(21)를 폭 방향 혹은 높이 방향으로 각각 대략 횡단하고 있다. 또한, 이들 보염기(5, 5)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이에 의해, 보염기(5, 5)의 교차부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연료 노즐(2)의 중심축으로부터 보염기(5)의 확폭단까지의 최대 거리[h(h')]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내경[r(r')]이 h/(r/2)<0.6의 관계[h'/(r'/2)<0.6의 관계]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이 실현되고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한쌍의 보염기(5, 5)가 배치되어 있다(도 12 참조).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의 보염기(5)가 교차하여 연결되는 동시에 그 교차부를 연료 노즐의 개구부의 중앙 영역에 위치시켜 배치되어도 좋다(도시 생략). 이러한 구성으로 해도, 보염기(5, 5)의 교차부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이 적정하게 실행되어, 연소 화염의 내부(X)(도 4 참조)에 있어서의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도 13은 연소 버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동 도면은 도 10에 기재한 연소 버너(1)와 도 12에 기재한 연소 버너(1)의 비교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연소 버너(1)는 모두 한쌍의 보염기(5, 5)를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배치하는 점에서 공통되어 있다. 다만, 도 10에 기재한 연소 버너(1)가 한쌍의 보염기(5, 5)를 병렬로 배치하는 구조(병렬 스플릿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 도 12에 기재한 연소 버너(1)가 한쌍의 보염기(5, 5)를 십자 형상으로 크로스시켜 배치하는 구조(크로스 스플릿 구조)를 갖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한, 연료 가스의 미연분(未燃分)의 수치는 도 10에 기재한 연소 버너(1)를 기준(1.00)으로 한 상대값이다.
시험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 12에 기재한 연소 버너(1)에서는 연료 가스의 미연분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염기의 형상의 변형예 3]
또한, 이 연소 버너(1)에서는, 복수의 보염기(5)가 우물 정자 형상으로 조합되는 동시에, 이들 보염기(5)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위치해도 좋다(도 14 참조). 즉, 도 10의 구성과 도 12의 구성이 조합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보염기(5)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 강한 착화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보염기(5)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이 적정하게 실행된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X)(도 4 참조)에 있어서의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예컨대,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다란 4개의 보염기(5)가 우물 정자 형상으로 연결되며, 그 길이 방향을 연료 노즐(2)의 폭 방향 혹은 높이 방향을 각각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도 14 참조). 또한, 각 보염기(5)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를 폭 방향 혹은 높이 방향으로 각각 대략 횡단하고 있다. 4개의 보염기(5)가 각각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염기(5)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노즐(2)의 중심축으로부터 보염기(5)의 확폭단까지의 최대 거리(h)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내경(r)이 h/(r/2)<0.6의 관계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이 적정하게 실행되고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복수의 보염기(5)의 배치 간격이 조밀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4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보염기(5)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의 자유 영역(free area)이 작아진다. 그러면, 보염기(5)의 스플릿 형상에 의해, 보염기(5)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의 압력 손실이 상대적으로 커져서, 연료 노즐(2) 내에 있어서의 보염기(5)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의 연소 가스의 유속이 저하한다. 이에 의해, 연료 가스의 착화가 신속히 실행된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4개의 보염기(5)가 우물 정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도 14 참조).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수(예컨대, 높이 방향 2개 또한 폭 방향 3개)의 보염기(5)가 연결되어, 보염기(5)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형성되어도 좋다(도시 생략). 그리고, 이 보염기(5)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이 적정하게 실행된다.
[연료 노즐의 개구부가 원형인 경우의 적용예]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노즐(2)의 정면에서 보아, 연료 노즐(2)이 직사각형의 개구부(21)를 갖고, 이 개구부(21)에 보염기(5)가 배치되어 있다(도 2, 도 10, 도 12 및 도 14 참조).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료 노즐(2)이 원형상의 개구부(21)를 갖고, 이 개구부(21)에 보염기(5)가 배치되어도 좋다(도 15 및 도 16 참조).
예컨대, 도 15에 도시하는 연소 버너(1)에서는, 원형상의 개구부(21)에, 크로스 스플릿 구조를 갖는 보염기(5)(도 12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연소 버너(1)에서는, 원형상의 개구부(21)에, 우물 정자 형상으로 연결된 보염기(5)(도 14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있어서도, 보염기(5)의 교차부(도 12 참조) 혹은 보염기(5)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도 14 참조)이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이 적정하게 실행된다.
또한, 예컨대, 원형상의 개구부(21)로 하고, 2차 공기를 동심원 상에서 다중으로 공급하는 것에 의해, 2차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된다. 이에 의해, 국소적인 고산소 영역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바람직하다.
[2차 공기 노즐의 댐퍼 구조]
일반적으로, 연소 화염의 외주부(Y)는 2차 공기의 공급에 의해 국소적으로 고온 또한 고산소인 영역이 되기 쉽다(도 4 참조). 그래서, 2차 공기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이 고온 또한 고산소인 상태를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한편, 연료 가스의 미연분이 많은 경우에는 이것을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 연소 버너(1)에서는 주 2차 공기 노즐(3)의 외주에 복수(여기에서는 3기)의 2차 공기 노즐(4)이 배치된다(도 17 참조). 또한, 주 2차 공기 노즐(3) 및 각 2차 공기 노즐(4)이 댐퍼 구조를 갖는 것에 의해, 주 2차 공기 및 2차 공기의 공급량이 조정된다. 이때, 각 2차 공기 노즐(4)은 2차 공기의 분사 방향을 ±30[도]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2차 공기 노즐(4)이 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2차 공기 노즐(4)보다 넉넉하게 2차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2차 공기의 확산이 완화된다. 그러면, 연소 화염의 외주부(Y)에 있어서의 고온 또한 고산소인 상태가 완화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에서는, 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2차 공기 노즐(4)이 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2차 공기 노즐(4)보다 넉넉하게 2차 공기을 분사함으로써, 2차 공기의 확산이 촉진된다. 그러면, 연료 가스의 미연분의 증가가 억제된다. 따라서, 각 2차 공기 노즐(4)로부터의 2차 공기의 분사량을 조정함으로써, 연소 화염 상태를 적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은, 서로 다른 연료비를 갖는 고체 연료가 전환되어 사용될 때 유익하다. 예컨대, 휘발분이 많은 석탄이 고체 연료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2차 공기의 확산을 조기에 실행하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연소 화염 상태를 적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모든 2차 공기 노즐(4)이 상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운용되지 않는 2차 공기 노즐이 존재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화로로부터의 화염 복사에 의해 2차 공기 노즐이 소실하는 사태가 억제된다. 예컨대, 모든 2차 공기 노즐(4)이 상시 운용된다. 또한, 특정의 2차 공기 노즐(4)이 소실하지 않는 정도의 최저한의 유속으로 2차 공기를 분사한다. 그리고, 다른 2차 공기 노즐(4)이 넓은 범위의 유량 및 유속으로 2차 공기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2차 공기의 공급을 보일러의 운전 조건의 변화에 따라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보일러의 저부하 운전시에는 일부의 2차 공기 노즐(4)이 소실하지 않는 정도의 최저한의 유속으로 2차 공기를 분사한다. 그리고, 다른 2차 공기 노즐(4)로부터의 2차 공기의 공급량을 조정한다. 이에 의해, 2차 공기의 유속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소 화염 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복수의 2차 공기 노즐(4) 중 일부가 오일 포트를 겸해도 좋다(도 18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컨대, 연소 버너(1)가 미분탄 연소 보일러(100)에 적용될 때, 일부의 2차 공기 노즐(4)이 오일 포트로서 이용된다. 그리고, 이 2차 공기 노즐(4)이 보일러의 기동 운전에 필요한 오일을 공급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오일 포트 혹은 2차 공기 노즐의 증설이 불필요해지므로 보일러의 높이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주 2차 공기 노즐(3)에 공급되는 주 2차 공기와, 2차 공기 노즐(4)에 공급되는 2차 공기가 서로 다른 공급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9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다수의 2차 공기 노즐[주 2차 공기 노즐(3) 및 복수의 2차 공기 노즐(4)]이 설치될 때 이들 운용 및 조정이 용이해진다.
[대향 연소 보일러에의 적용]
또한, 이 연소 버너(1)는 대향 연소 보일러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 생략). 이러한 구성에서는 2차 공기가 서서히 공급되는 구성이므로 공기의 공급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추가 공기 방식의 채용]
또한, 이 연소 버너(1)는 추가 공기 방식을 채용하는 미분탄 연소 보일러(100)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2 참조).
즉, 이 연소 버너(1)에서는, 연소 화염을 내부 보염하는 구조가 채용된다(도 1 참조).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X)에서의 균일한 연소가 촉진되고, 연소 화염의 외주부(Y)의 온도가 저감되어, 연소 버너(1)에서의 NOx 발생량이 감소한다(도 4 및 도 5 참조). 그러면, 연소 버너(1)에서의 공기의 공급 비율을 증가시켜, 추가 공기의 공급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추가 공기에 의한 NOx 발생량이 감소하므로, 보일러 전체로서의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도 20 및 도 21은, 이 연소 버너(1)가 추가 공기 방식을 채용하는 보일러에 적용되었을 경우의 NOx 발생량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종래의 연소 버너에서는 연소 화염을 외부 보염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연소 화염의 내부(X)(도 4 참조)에 산소의 잔존 영역이 생긴다. 이 때문에, NOx 환원을 충분히 실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추가 공기의 공급 비율을 30% 내지 40% 정도로 설정하고, 연소 버너로부터 추가 공기 공급 영역까지의 공기비를 0.8 정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도 20 좌측 참조). 그러면, 추가 공기 공급 영역에서 다량의 NOx가 발생한다는 과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이 연소 버너(1)에서는, 연소 화염을 내부 보염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도 1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연소 화염의 내부(X)(도 4 참조)에서의 균일한 연소가 촉진되므로, 연소 화염의 내부(X)에 환원 분위기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연소 버너(1)로부터 추가 공기 공급 영역까지의 공기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도 21 참조). 따라서, 연소 버너(1)로부터 추가 공기 공급 영역까지의 공기비를 0.9 정도로 증가하는 한편, 추가 공기의 공급 비율을 0% 내지 20%로 저감할 수 있다(도 20 우측 참조). 이에 의해, 추가 공기 공급 영역에 있어서의 NOx 발생량이 감소하므로, 보일러 전체로서의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또한, 이 연소 버너(1)에서는,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에 의해, 보일러 전체의 공기 과잉율을 1.0 내지 1.1까지 저감할 수 있다(통상은 공기비 1.15 정도로 운용된다). 이에 의해, 보일러 효율이 증가한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연소 버너(1)에서는, 연료 노즐(2)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 중 보염기(5)의 확폭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서 보아, 보염기(5)가 연료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확폭하는 스플릿 형상을 갖는다(도 1 및 도 3 참조). 또한, 연료 노즐(2)의 중심축으로부터 보염기(5)의 확폭단(스플릿 형상의 하류측 단부)까지의 최대 거리[h(h')]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내경[r(r')]이 h/(r/2)<0.6의 관계를 갖는다(도 1, 도 2, 도 10 내지 도 12 및 도 14 내지 도 16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연료 노즐의 개구부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보염)이 실현되므로, 연소 화염의 외부 보염(연료 노즐의 외주에 있어서의 보염, 혹은, 연료 노즐의 개구부의 내벽면 근방의 영역에 있어서의 보염)이 실행되는 구성(도시 생략)과 비교하여, 연소 화염의 외주부(Y)가 저온이 된다(도 4 참조). 따라서, 2차 공기에 의해 고산소 분위기하에 있는 연소 화염의 외주부(Y)의 온도를 낮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외주부(Y)(도 4 참조)에 있어서의 NOx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연소 버너(1)에 있어서,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이란, 보염기(5)가 연료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확폭하는 스플릿 형상을 가질 때, 연료 노즐(2)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 중 보염기(5)의 확폭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서 보아, 연료 노즐(2)의 중심축으로부터 보염기(5)의 확폭단(스플릿 형상의 하류측 단부)까지의 최대 거리[h(h')]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내경[r(r')]이 h/(r/2)<0.6의 관계[h'/(r'/2)<0.6의 관계]를 갖는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도 1, 도 2, 도 10 내지 도 12 및 도 14 내지 도 16 참조). 또한, 최대 거리[h(h')]는, 보염기(5)의 확폭단이 복수 있을 때, 이들의 거리[h(h')] 중의 최대값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연소 노즐(2)의 내경이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가 직사각형의 경우에는 그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을 따르는 내측 치수(r, r')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도 2, 도 10, 도 12 및 도 14 참조). 또한,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가 원형인 경우에는 그 직경(r)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도 15 및 도 16 참조). 또한,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가 타원형인 경우에는 그 장경 및 단경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도시 생략).
또한, 이 연소 버너(1)에서는, 보염기(5)의 스플릿 형상을 따르는 스플릿 폭(L)과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내경(r)이 0.06≤L/r의 관계를 갖는다(도 1 및 도 3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보염기(5)의 스플릿 폭(L)과 연료 노즐(2)의 내경(r)의 비(L/r)가 적정화되므로, 내부 보염이 적정하게 확보된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외주부(Y)(도 4 참조)에 있어서의 NOx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연소 버너(1)에서는, 연료 노즐(2) 및 2차 공기 노즐(3, 4)이 연료 가스 혹은 2차 공기를 직진류로서 분사하는 구조를 갖는다(도 1, 도 8 및 도 11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연료 가스 및 2차 공기가 직진류로서 분사되어 연소 화염이 형성되므로, 연소 화염을 내부 보염하는 구성에 있어서, 연소 화염 내의 가스 순환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외주부가 저온인 채 유지되므로, 2차 공기와의 혼합에 의한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또한, 이 연소 버너(1)에서는, 복수의 보염기(5)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병렬로 배치된다(도 10, 도 11, 도 14 및 도 16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보염기(5, 5)에 개재된 영역에, 공기 부족에 의한 환원 분위기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X)(도 4 참조)에 있어서의 NOx 발생량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 연소 버너(1)에서는, 한쌍의 보염기(5, 5)가 교차하여 연결되는 동시에 교차부를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위치시켜 배치된다(도 12, 도 14 내지 도 16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한쌍의 보염기(5, 5)가 교차하여 연결되는 것에 의해, 그 교차부에 강한 착화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교차부가 연료 노즐(2)의 개구부(2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 보염이 적정하게 실행된다. 이에 의해, 연소 화염의 내부(X)(도 4 참조)에 있어서의 NOx 발생량이 저감된다.
또한, 이 연소 버너(1)에서는, 복수의 2차 공기 노즐[2차 공기 노즐(4)]이 배치되는 동시에, 이들 2차 공기 노즐이 2차 공기의 공급량을 서로 조정할 수 있다(도 17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각 2차 공기 노즐(4)로부터의 2차 공기의 분사량을 조정함으로써, 연소 화염 상태를 적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연소 버너(1)에서는,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모든 2차 공기 노즐[2차 공기 노즐(4)]이 상시 운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운용되지 않는 2차 공기 노즐이 존재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화로로부터의 화염 복사에 의해 2차 공기 노즐이 소손하는 사태가 억제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연소 버너(1)에서는,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2차 공기 노즐(4) 중 일부가 오일 포트 혹은 가스 포트를 겸한다(도 18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컨대, 연소 버너(1)가 미분탄 연소 보일러(100)에 적용될 때, 오일 포트 혹은 가스 포트를 겸하는 2차 공기 노즐(4)을 거쳐서 보일러의 기동 운전에 필요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일 포트 혹은 2차 공기 노즐의 증설이 불필요해지므로, 보일러의 높이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소 버너 및 이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는 NOx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1 : 연소 버너 2 : 연료 노즐
21 : 개구부 3 : 주 2차 공기 노즐
31 : 개구부 4 : 2차 공기 노즐
41 : 개구부 5 : 보염기
6 : 정류 기구 100 : 보일러
110 : 화로 111 : 연소실
112 : 연도 120 : 연소 장치
121 : 연소 버너 122 : 미분탄 공급 계통
123 : 공기 공급 계통 130 : 증기 발생 장치
131 : 절탄기 132 : 재열기
133 : 과열기

Claims (10)

  1. 고체 연료와 1차 공기를 혼합한 연료 가스를 분사하는 연료 노즐과, 상기 연료 노즐의 외주로부터 2차 공기를 분사하는 2차 공기 노즐과, 상기 연료 노즐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보염기를 구비하는 연소 버너에 있어서,
    상기 보염기가, 상기 연료 노즐의 개구부를 횡단하는 구조를 갖는 동시에, 상기 연료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연료 가스를 분기하는 스플릿 형상을 갖고,
    상기 연료 노즐 및 상기 2차 공기 노즐이 연료 가스 및 2차 공기를 직진류로서 분사하는 구조를 갖고, 또한,
    복수의 상기 보염기가, 교차하여 연결되는 동시에, 교차부를 상기 연료 노즐의 개구부의 중앙영역에 위치시켜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보염기가, 우물 정자 형상으로 조합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보염기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상기 연료 노즐의 개구부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버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염기의 스플릿 형상에 따른 스플릿 폭(L)과 상기 연료 노즐의 개구부의 내경(r)이 0.06≤L/r의 관계를 갖는
    연소 버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노즐이 직사각형 또는 타원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보염기가 상기 연료 노즐의 개구부의 중앙 영역을 횡단하여 배치되는
    연소 버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노즐이 원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보염기가 상기 연료 노즐의 개구부의 중앙 영역을 횡단하여 배치되는
    연소 버너.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2차 공기 노즐이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2차 공기 노즐이 2차 공기의 공급량을 서로 조정할 수 있는
    연소 버너.
  8. 제 7 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2 차 공기 노즐이 상시 운용되는
    연소 버너.
  9. 제 7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2차 공기 노즐 중 일부의 2차 공기 노즐이 오일 포트 혹은 가스 포트를 겸하는
    연소 버너.
  10. 제 1 항에 기재된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
KR1020137030282A 2009-12-22 2010-03-11 연소 버너 및 이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 KR101436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0899 2009-12-22
JPJP-P-2009-290899 2009-12-22
JP2010026882A JP5374404B2 (ja) 2009-12-22 2010-02-09 燃焼バーナおよびこの燃焼バーナを備えるボイラ
JPJP-P-2010-026882 2010-02-09
PCT/JP2010/054091 WO2011077762A1 (ja) 2009-12-22 2010-03-11 燃焼バーナおよびこの燃焼バーナを備えるボイ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02582A Division KR20120034769A (ko) 2009-12-22 2010-03-11 연소 버너 및 이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089A KR20130133089A (ko) 2013-12-05
KR101436777B1 true KR101436777B1 (ko) 2014-09-03

Family

ID=441953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02582A KR20120034769A (ko) 2009-12-22 2010-03-11 연소 버너 및 이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
KR1020137030282A KR101436777B1 (ko) 2009-12-22 2010-03-11 연소 버너 및 이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02582A KR20120034769A (ko) 2009-12-22 2010-03-11 연소 버너 및 이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9127836B2 (ko)
EP (1) EP2518404B1 (ko)
JP (1) JP5374404B2 (ko)
KR (2) KR20120034769A (ko)
CN (2) CN102414512A (ko)
BR (1) BR112012002169B1 (ko)
CL (1) CL2012000251A1 (ko)
ES (1) ES2638306T3 (ko)
MX (1) MX2012001169A (ko)
MY (1) MY154695A (ko)
PL (1) PL2518404T3 (ko)
TW (1) TWI519739B (ko)
WO (1) WO20110777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7836A (ja) * 2009-12-17 2011-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固体燃料焚きバーナ及び固体燃料焚きボイラ
US9671108B2 (en) 2011-04-01 2017-06-06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Combustion burner, solid-fuel-combustion burner, solid-fuel-combustion boiler, boiler, and method for operating boiler
JP5658126B2 (ja) 2011-11-16 2015-01-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油焚きバーナ、固体燃料焚きバーナユニット及び固体燃料焚きボイラ
CN103062892A (zh) * 2013-01-05 2013-04-24 余经炎 可燃多种燃料的高效节能锅炉
JP6070323B2 (ja) 2013-03-21 2017-02-01 大陽日酸株式会社 燃焼バーナ、バーナ装置、及び原料粉体加熱方法
US9513002B2 (en) * 2013-04-12 2016-12-0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Wide-flame, oxy-solid fuel burner
US9377191B2 (en) * 2013-06-25 2016-06-28 The Babcock & Wilcox Company Burner with flame stabilizing/center air jet device for low quality fuel
GB2516868B (en) * 2013-08-02 2017-01-18 Kiln Flame Systems Ltd Swirl Burner for Burning Solid Fuel and Method of using same
JP6116464B2 (ja) * 2013-10-25 2017-04-19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器及び回転機械
JP5832624B2 (ja) * 2014-11-26 2015-12-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油焚きバーナ、固体燃料焚きバーナユニット及び固体燃料焚きボイラ
JP5901737B2 (ja) * 2014-12-18 2016-04-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焼バーナ
JP6560885B2 (ja) * 2015-03-31 2019-08-1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バーナ及びボイラ
KR101972247B1 (ko) 2015-03-31 2019-04-24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연소 버너 및 보일러
JP6408135B2 (ja) * 2015-03-31 2018-10-17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バーナ及びこれを備えたボイラ
JP6642912B2 (ja) 2015-09-11 2020-02-1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バーナ及びこれを備えたボイラ
JP6667311B2 (ja) * 2016-02-15 2020-03-1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バーナ及び燃焼バーナのメンテナンス方法
US10584051B2 (en) * 2017-02-22 2020-03-1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Double-staged oxy-fuel burner
FI128444B (en) 2017-12-22 2020-05-15 Valmet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burning primary fuel
US11366089B2 (en) * 2018-03-14 2022-06-2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Analysis condition adjusting device of simple fuel analyzer
JP2020030037A (ja) * 2018-08-20 2020-02-27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固体燃料バー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7109A (ja) * 1988-02-23 1989-08-30 Babcock Hitachi Kk 微粉炭バーナ
JP2003279006A (ja) * 2002-03-25 2003-10-02 Mitsubishi Heavy Ind Ltd 微粉固体燃料燃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47522A (en) 1926-02-01 1930-02-18 Forges & Acieries Commercy Heating apparatus employing powdered fuel
DE504814C (de) 1927-04-12 1930-08-08 Adolf Steinbrueckner Kohlenstaubbrenner mit Zusatzluftzufuehrung und mit innerem Verteilkoerper fuer das Brennstoffluftgemisch
GB316667A (en) 1928-08-02 1930-05-22 Appareils Manutention Fours Stein Sa Improvements in burners for pulverised or gaseous fuel
US2608168A (en) 1949-10-21 1952-08-26 Comb Eng Superheater Inc Dual nozzle burner for pulverized fuel
JPS5644504A (en) 1979-09-20 1981-04-23 Kawasaki Heavy Ind Ltd Method of combusting pulverized coal in pluverized coal combusting furnace
US4455949A (en) 1980-02-13 1984-06-26 Brennstoffinstitut Freiberg Burner for gasification of powdery fuels
DE3027587A1 (de) * 1980-07-21 1982-02-25 Klöckner-Humboldt-Deutz AG, 5000 Köln Brenner fuer feste brennstoffe
US4422391A (en) 1981-03-12 1983-12-27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combustion of pulverized coal by pulverized coal burner
EP0113342B1 (en) 1982-07-12 1988-09-14 Combustion Engineering, Inc. Nozzle tip for pulverized coal burner
JPS59119106A (ja) 1982-12-27 1984-07-10 Hitachi Ltd 微粉炭燃焼バーナを備えたボイラ
US4569295A (en) 1983-01-18 1986-02-11 Stubinen Utveckling Ab Process and a means for burning solid fuels, preferably coal, turf or the like, in pulverized form
JPS59124811U (ja) 1983-02-07 1984-08-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低NOx燃焼ボイラ
US4634054A (en) * 1983-04-22 1987-01-06 Combustion Engineering, Inc. Split nozzle tip for pulverized coal burner
IN161339B (ko) * 1983-04-22 1987-11-14 Combustion Eng
JPS604704A (ja) 1983-06-23 1985-01-11 Babcock Hitachi Kk 燃焼装置
ZA843645B (en) 1983-07-07 1984-12-24 Combustion E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rosion of coal buckets
JPS6086312A (ja) * 1983-10-19 1985-05-15 Daido Steel Co Ltd 微粉炭バ−ナ−
JPS60103207A (ja) 1983-11-10 1985-06-07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ルバ−ナノズル
JPS60159515A (ja) 1984-01-27 1985-08-21 Hitachi Ltd 火炉システム
JPS60162108A (ja) 1984-01-31 1985-08-23 Babcock Hitachi Kk 低ΝOx高効率燃焼装置
JPS60171307A (ja) * 1984-02-15 1985-09-04 Babcock Hitachi Kk ΝOxを低減する燃焼装置
JPS60226609A (ja) 1984-04-23 1985-11-11 Babcock Hitachi Kk 燃焼装置
JPH0229368Y2 (ko) 1984-06-11 1990-08-07
JPS6078208A (ja) * 1984-09-03 1985-05-02 Kawasaki Heavy Ind Ltd 低NOxバ−ナ
JPH0330650Y2 (ko) * 1985-06-17 1991-06-28
JPH0324969Y2 (ko) 1985-07-30 1991-05-30
JPS62288406A (ja) 1986-06-09 1987-12-15 Babcock Hitachi Kk 微粉炭バ−ナ
JPS6484005A (en) 1987-09-25 1989-03-29 Mitsubishi Heavy Ind Ltd Multistage combustion method
CN87214616U (zh) * 1987-10-29 1988-08-17 清华大学 水泥回转窑带火焰稳定器双通道旋流式煤粉燃烧器
JPH0174409U (ko) * 1987-11-05 1989-05-19
JPH0225086A (ja) 1988-07-13 1990-01-26 Hitachi Ltd 半導体レーザ装置
US4988286A (en) * 1989-03-14 1991-01-29 Electric Power Technologies, Inc. Smokeless ignitor
JP2749365B2 (ja) 1989-05-11 1998-05-13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微粉炭バーナ
ATE176948T1 (de) * 1990-06-29 1999-03-15 Babcock Hitachi Kk Verbrennungsvorrichtung
JPH04116302A (ja) 1990-09-07 1992-04-16 Babcock Hitachi Kk 石炭焚きボイラ火炉構造物
JPH04115208U (ja) * 1991-03-07 1992-10-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石炭燃焼装置
US5315939A (en) 1993-05-13 1994-05-31 Combustion Engineering, Inc. Integrated low NOx tangential firing system
JPH07260106A (ja) * 1994-03-18 1995-10-13 Hitachi Ltd 微粉炭燃焼バーナ及び微粉炭燃焼装置
CA2151308C (en) 1994-06-17 1999-06-08 Hideaki Ohta Pulverized fuel combustion burner
JP2781740B2 (ja) 1995-04-25 1998-07-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微粉炭焚きバーナ
JP3021305B2 (ja) 1995-01-30 2000-03-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微粉状燃料燃焼バーナ
US5529000A (en) 1994-08-08 1996-06-25 Combustion Components Associates, Inc. Pulverized coal and air flow spreader
JPH08135919A (ja) 1994-11-11 1996-05-31 Babcock Hitachi Kk 燃焼装置
US5568777A (en) 1994-12-20 1996-10-29 Duquesne Light Company Split flame burner for reducing NOx formation
JPH08219415A (ja) * 1995-02-17 1996-08-30 Babcock Hitachi Kk 固体燃料用バーナと微粉炭燃焼装置
DE19527083A1 (de) * 1995-07-25 1997-01-30 Lentjes Kraftwerkstechnik Verfahren und Brenner zur Verminderung der Bildung von NO¶x¶ bei der Verbrennung von Kohlenstaub
US5662464A (en) 1995-09-11 1997-09-02 The Babcock & Wilcox Company Multi-direction after-air ports for staged combustion systems
JPH09101006A (ja) 1995-10-04 1997-04-15 Hitachi Zosen Corp 燃料二段供給式低NOxバーナー
JPH09203505A (ja) 1996-01-29 1997-08-05 Babcock Hitachi Kk 固体燃料用バーナと固体燃焼システム
CZ291734B6 (cs) 1996-07-19 2003-05-14 Babcock-Hitachi Kabushiki Kaisha Spalovací hořák a spalovací přístroj s tímto hořákem
JP3830582B2 (ja) 1996-07-26 2006-10-04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微粉炭燃焼バーナ
ES2210516T3 (es) * 1996-08-22 2004-07-01 Babcock-Hitachi Kabushiki Kaisha Quemador de combustion y aparato de combustion suministrado con el mismo.
JPH10220707A (ja) 1997-02-10 1998-08-21 Babcock Hitachi Kk 粉末固体燃料用バーナと該バーナを備えた燃焼装置
CN2296451Y (zh) * 1997-04-12 1998-11-04 王永刚 混合式煤粉燃烧器
JPH10318504A (ja) 1997-05-16 1998-12-04 Babcock Hitachi Kk 大容量微粉固体燃料燃焼装置
JP3659769B2 (ja) 1997-05-30 2005-06-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微粉炭バーナ
JP3716095B2 (ja) * 1998-03-19 2005-11-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石炭焚燃焼装置
CN1112537C (zh) 1998-07-27 2003-06-25 三菱重工业株式会社 煤粉燃烧器
EP0976977B1 (en) 1998-07-29 2003-03-26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Pulverized coal burner
US6237513B1 (en) 1998-12-21 2001-05-29 ABB ALSTROM POWER Inc. Fuel and air compartment arrangement NOx tangential firing system
BR0009665A (pt) 1999-04-09 2002-01-15 Ross Anthony Co Registro de orifìcio de admissão e/ou escapamento de ar
JP3924089B2 (ja) 1999-04-28 2007-06-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微粉炭バーナ及び微粉炭バーナを用いた燃焼装置
CN100453901C (zh) 2000-08-04 2009-01-21 巴布考克日立株式会社 固体燃料燃烧器及使用固定燃料燃烧器的燃烧方法
JP3679998B2 (ja) 2001-01-31 2005-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微粉炭バーナ
US6439136B1 (en) 2001-07-03 2002-08-27 Alstom (Switzerland) Ltd Pulverized solid fuel nozzle tip with ceramic component
WO2003098105A1 (en) * 2002-05-15 2003-11-27 Praxair Technology, Inc. Combustion with reduced carbon in the ash
JP2005024136A (ja) 2003-06-30 2005-01-27 Babcock Hitachi Kk 燃焼装置
TWM248974U (en) 2003-12-19 2004-11-01 Chung Shan Inst Of Science Two-stage catalyst combustion device
JP4296415B2 (ja) 2004-03-18 2009-07-15 株式会社Ihi ボイラ装置
JP4261401B2 (ja) 2004-03-24 2009-04-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バーナと燃料燃焼方法及びボイラの改造方法
JP4309853B2 (ja) 2005-01-05 2009-08-05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固体燃料バーナおよび燃焼方法
US7739967B2 (en) 2006-04-10 2010-06-22 Alstom Technology Ltd Pulverized solid fuel nozzle assembly
KR101285447B1 (ko) 2006-09-27 2013-07-12 바브콕-히다찌 가부시끼가이샤 버너, 버너를 구비한 연소장치 및 보일러
JP4898393B2 (ja) 2006-11-09 2012-03-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ーナ構造
JP2008180413A (ja) 2007-01-23 2008-08-07 Babcock Hitachi Kk 微粉炭燃焼用ボイラ及びその運転方法
US20080206696A1 (en) * 2007-02-28 2008-08-28 Wark Rickey E Tilt nozzle for coal-fired burner
JP4814137B2 (ja) 2007-03-26 2011-11-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微粉炭濃度調整装置
JP5110980B2 (ja) 2007-06-26 2012-12-26 一般財団法人阪大微生物病研究会 肺がん治療薬
JP5022248B2 (ja) 2008-01-23 2012-09-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ボイラ構造
JP5072650B2 (ja) 2008-02-28 2012-11-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微粉炭バーナ
US8701572B2 (en) * 2008-03-07 2014-04-22 Alstom Technology Ltd Low NOx nozzle tip for a pulverized solid fuel furnace
JP5535522B2 (ja) 2009-05-22 2014-07-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石炭焚ボイラ
JP2011127836A (ja) 2009-12-17 2011-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固体燃料焚きバーナ及び固体燃料焚きボイ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7109A (ja) * 1988-02-23 1989-08-30 Babcock Hitachi Kk 微粉炭バーナ
JP2003279006A (ja) * 2002-03-25 2003-10-02 Mitsubishi Heavy Ind Ltd 微粉固体燃料燃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44565B (zh) 2017-03-01
PL2518404T3 (pl) 2017-12-29
EP2518404A1 (en) 2012-10-31
US9127836B2 (en) 2015-09-08
MX2012001169A (es) 2012-02-13
WO2011077762A1 (ja) 2011-06-30
US20120247376A1 (en) 2012-10-04
JP2011149676A (ja) 2011-08-04
US20160010853A1 (en) 2016-01-14
TWI519739B (zh) 2016-02-01
KR20130133089A (ko) 2013-12-05
US9869469B2 (en) 2018-01-16
EP2518404A4 (en) 2015-06-03
KR20120034769A (ko) 2012-04-12
BR112012002169A2 (pt) 2016-05-31
CL2012000251A1 (es) 2012-08-31
ES2638306T3 (es) 2017-10-19
CN102414512A (zh) 2012-04-11
JP5374404B2 (ja) 2013-12-25
TW201122373A (en) 2011-07-01
CN103644565A (zh) 2014-03-19
MY154695A (en) 2015-07-15
BR112012002169B1 (pt) 2020-11-03
EP2518404B1 (en)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777B1 (ko) 연소 버너 및 이 연소 버너를 구비하는 보일러
CN104508372B (zh) 固体燃料燃烧器
JP2023065706A (ja) 燃焼装置及びボイラ
JP5151373B2 (ja) ボイラ
CN105627304A (zh) 一种强旋流燃料分级超低氮气体燃烧器
US10458645B2 (en) Combustion burner and boiler provided with same
JP6513422B2 (ja) 燃焼バーナ、ボイラ、及び燃料ガスの燃焼方法
JP6732960B2 (ja) 燃料を燃焼させる方法及びボイラー
EP2354662A2 (en) Burner assembly for a gas turbine plant and a gas turbine plant comprising said burner assembly
JP7468772B2 (ja) 燃焼装置およびボイラ
JP2009109067A (ja) 混焼バーナおよびボイラ
WO2016031540A1 (ja) 燃焼バーナ及びボイラ
JP2009115388A (ja) 液体燃料用バーナおよび舶用ボイラ
JP2008175427A (ja) 燃焼装置およびボイラ
JP5151141B2 (ja) バーナおよびボイラ
JPH11287408A (ja) 低NOx バーナ
JP2023094322A (ja) アンモニア燃焼バーナ及びボイラ
JP2008175453A (ja) バーナおよびボ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