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857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857B1
KR101421857B1 KR1020127022362A KR20127022362A KR101421857B1 KR 101421857 B1 KR101421857 B1 KR 101421857B1 KR 1020127022362 A KR1020127022362 A KR 1020127022362A KR 20127022362 A KR20127022362 A KR 20127022362A KR 101421857 B1 KR101421857 B1 KR 101421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ece
elastic piece
flange portion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9653A (ko
Inventor
츠요시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20109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Abstract

고정부재(16)에 형성된 걸림편(78)의 걸림부(86)가, 연결부(18)의 고정부(36)에 형성된 돌출형성부(40)와 돌출형성부(42) 사이에 형성된 간격(44) 안으로 배치되는 대기위치와, 돌출형성부(42)의 하방에 배치되는 연결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파이프(12)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고정부재(16)가 연결위치로 이동하여, 걸림편(78)에 의해 고정된다. 또,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접촉하면 외측으로 벌어져서 부세력을 축적하지만, 걸림부(86)의 대기위치에서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이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을 따라 복원되어 부세력을 개방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특허문헌 1에는, 파이프를 삽입 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이 커넥터 본체에 장착되는 리테이너를 구비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테이너는, 커넥터 본체에 파이프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임시 고정위치에 위치결정되며, 또 파이프의 삽입에 의해 커넥터 본체의 위치결정이 해제되면, 파이프 빠짐방지(拔止)위치로 이동하여, 이 파이프를 빠짐방지한다.
여기서, 커넥터 본체와 리테이너 사이에는 스프링부재(부세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위치결정이 해제된 리테이너를 파이프 빠짐방지위치로 이동시키며, 이에 의해, 커넥터 본체의 정규 연결위치에 파이프가 연결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6-105241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파이프 연결상태가 확인될 수 있고, 부세부재의 주저앉음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 외주면(外周面)에 환상(環狀)의 플랜지부가 형성된 파이프가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원형 형상의 개구부(開口部)가 형성된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 가능한 대기위치와, 상기 개구부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이프가 소정 위치에서 연결되는 연결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확인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확인부재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이 확인부재를 상기 커넥터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기구와, 상기 개구부 안으로 돌출하며, 상기 파이프의 삽입시에 상기 플랜지부가 접촉하면 외측으로 벌어져서 상기 고정기구에 의한 상기 확인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함과 아울러, 복원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 상기 확인부재를 상기 연결위치로 이동시키는 부세부재(付勢部材)를 갖고 있다.
상기 형태에서는, 원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개구부 내에는 외주면에 환상의 플랜지부가 형성된 파이프가 삽입된다. 커넥터 본체에는 확인부재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 확인부재는,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개구부를 통과 가능한 대기위치와, 개구부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이프가 소정 위치에서 연결되는 연결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이 확인부재에는, 고정기구 및 부세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기구는, 대기위치에서 이 확인부재를 커넥터 본체에 고정한다. 또한, 부세부재는, 커넥터 본체의 개구부 안으로 돌출해 있어, 파이프의 삽입시에 플랜지부가 접촉하면 외측으로 벌어져 고정기구에 의한 확인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부세부재는 복원되어 파이프의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 확인부재를 연결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확인부재가 대기위치에 배치된 상태(대기상태)에서, 파이프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확인부재가 자동적으로 대기위치로부터 연결위치로 이동하기(연결상태) 때문에, 이 상태에서, 파이프가 소정 위치에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파이프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확인부재가 연결위치로 이동하는 일은 없어, 파이프의 연결상태가 오인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여기서, 부세부재는,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접촉하면 외측으로 벌어져 부세력이 축적되지만, 고정기구에 의한 확인부재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이 부세부재는 복원되어 부세력을 개방한다. 이 때문에, 부세부재의 크리프에 의한 주저앉음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복원」이란, 부세부재에 부세력이 전부 개방되어 부세부재가 자연상태가 되는 경우 이외에, 부세부재에 이 부세력이 약간 남아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부세부재는, 커넥터 본체의 개구부 안으로 돌출하여,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접촉하면 외측으로 벌어져, 고정기구에 의한 확인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 이에 의해, 부세부재는 복원되어 파이프의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 확인부재를 연결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커넥터의 개구부 안으로 파이프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파이프가 커넥터에 연결되는, 소위 원터치식이기 때문에, 파이프의 연결조작이 간단하며, 작업자가 확인부재를 손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재에는, 상기 연결위치에서 상기 플랜지부보다 파이프의 삽입방향 반대측에 위치하고 파이프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플랜지부와 중첩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서는, 확인부재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확인부재의 연결위치에서 플랜지부보다 파이프의 삽입방향 반대측에 위치하며, 파이프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플랜지부와 중첩되도록 되어 있다.
즉, 확인부재의 연결위치에서, 파이프 삽입방향을 향해 파이프를 보았을 때, 앞쪽에 스토퍼가 배치되고, 안쪽에 플랜지부가 배치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에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에서, 파이프의 삽입방향 반대측으로 향하는 이동이 규제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2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 안으로 돌출하는 탄성편이며, 상기 확인부재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개구부로 삽입된 파이프의 축선을 넘은 위치에서 이 파이프에 접촉해도 좋다.
파이프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확인부재는, 대기위치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확인부재의 대기위치에서 파이프를 삽입하면, 탄성편은 파이프의 축선을 넘은 위치에서 파이프에 접촉하여 외측으로 벌어져, 탄성편에는 부세력이 축적된다.
이 때문에, 고정기구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탄성편은 이 부세력을 개방하면서 복원되어 파이프의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간다. 이에 의해, 확인부재를 연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확인부재의 대기위치에서 파이프를 삽입하여, 이 파이프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확인부재는 자동적으로 연결위치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2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재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 안으로 돌출하여, 상기 파이프의 삽입시에 상기 플랜지부가 접촉하면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고정기구에 의한 상기 확인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탄성편과, 상기 파이프의 삽입력을 상기 확인부재를 상기 연결위치로 이동시키는 누름력으로 변환시켜, 상기 탄성편을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게 하는 스프링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서는, 부세부재가 탄성편과 스프링편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탄성편은, 커넥터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부 안으로 돌출하여, 파이프의 삽입시에 플랜지부가 접촉하면 외측으로 벌어져 고정기구에 의한 확인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 한편, 스프링편은, 파이프의 삽입력을 확인부재를 연결위치로 이동시키는 누름력으로 변환시켜, 탄성편을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려 넣는다.
즉, 여기서는, 고정기구에 의한 확인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탄성편과, 확인부재를 연결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편으로, 그 기능에 따라 부재를 구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탄성편은, 복원되어 파이프의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감으로써, 확인부재를 연결위치로 이동시킨다고 말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고정기구에 의한 확인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기에 충분히 길이로 탄성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개의 기능에 맞춰 부재를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 기능에 필요한 부세력으로 설정할 수 있어, 파이프 연결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더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본 발명의 제3 또는 4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탄성편과 평행하게 뻗어 나오는 다리편(脚部)과, 상기 다리편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의 외측에 위치하고 이 탄성편이 접촉하여 눌러지는 누름부와, 상기 다리편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대기위치 및 상기 연결위치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해서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서는, 고정기구에는, 탄성편과 평행하게 뻗어 나오는 다리편이 구비되고, 이 다리편의 단부에는 누름부 및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는, 탄성편 외측에 위치하며, 이 탄성편이 접촉하여 눌러진다.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접촉하면 탄성편이 외측으로 넓혀지지만, 이때, 탄성편이 누름부에 접촉하여 누르고 이 누름부를 통해 다리편을 외측으로 넓힌다.
한편, 결합부는, 확인부재의 대기위치 및 연결위치에서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결합하여, 확인부재를 고정하지만, 누름부에 의해 다리편이 외측으로 넓혀지면,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확인부재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는,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재가 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상기 대기위치로 돌아올 때, 상기 누름부가 상기 탄성편의 외측으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를 안내하는 안내로(案內路)가 형성되어도 좋다.
확인부재가, 대기위치로부터 연결위치로 이동할 때, 탄성편이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누름부를 통해 다리편이 외측으로 벌어져, 결합부가 피결합부로부터 떨어져서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기구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탄성편은 복원되어 파이프의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 확인부재를 연결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커넥터로부터 파이프를 떼어낼 때, 우선 확인부재를 연결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시키지만, 이때, 탄성편은 파이프의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진다. 이에 의해, 탄성편이 누름부에 접촉하고, 이 누름부를 통해 다리편이 외측으로 벌어져 버린다. 즉, 확인부재를 연결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확인부재의 대기위치에서, 확인부재를 커넥터 본체에 고정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서는, 확인부재가 연결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돌아올 때, 누름부가 탄성편의 외측으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결합부를 안내하는 안내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탄성편이 외측으로 벌어졌다고 해도, 누름부는 탄성편의 외측으로부터 퇴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편이 누름부를 누르는 경우는 없어, 다리편이 벌어지는 일은 없다. 즉, 확인부재는 대기위치에 지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로부터 파이프를 떼어낼 때, 확인부재가 대기위치로부터 다시 연결위치로 돌아온다고 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7 형태는, 본 발명의 제5 또는 6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다리편과 상기 탄성편이 일체로 성형되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리편과 탄성편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형태는, 본 발명의 제3∼7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이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탄성편은 반드시 복수(複數) 형성할 필요는 없고, 하나의 탄성편이어도 좋다. 이에 의해, 설계의 자유도가 확장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파이프를 커넥터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커넥터에 파이프가 연결됨과 아울러, 파이프의 연결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부세부재의 주저앉음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확인부재를 손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고정부재의 대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파이프를 삽입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파이프를 삽입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고정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은 도 2에 대응하는 커넥터의 측면이다.
도 6b은 도 6a의 B-B 단면도이다.
도 7a은 도 3에 대응하는 커넥터의 측면이다.
도 7b은 도 7a의 B-B 단면도이다.
도 8a은 도 4에 대응하는 커넥터의 측면이다.
도 8b은 도 8a의 B-B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5에 대응하는 커넥터의 측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B-B 단면도이다.
도 10a은 도 5에 대응하는 커넥터의 측면이다.
도 10b은 도 10a의 B-B 단면도이다.
도 11a은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의 고정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b은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의 고정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a을 이면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고정부재의 대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고정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a-c는 도 11에 나타내는 고정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며, 도 14a는 고정부재를 하우징에 장착하기 전 상태, 도 14b는 고정부재의 대기상태, 도 14c는 고정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고정부재의 대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a은 도 16의 17-17선 단면도이며, 고정부재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b은 도 16의 17-17선 단면도이며, 고정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a은 도 17a의 변형예이다.
도 18b은 도 17b의 변형예이다.
도 19는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의 고정부재의 요부(要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의 하우징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고정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고정부재의 대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a-c은 도 21에 나타내는 고정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며, 도 23a은 고정부재의 연결상태, 도 23b은 고정부재의 임시 대기상태, 도 23c은 고정부재의 대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차량의 엔진룸 내의 냉각수 배관 체결용으로 이용되며, 금속제 파이프(12)가 연결됨과 아울러 수지제 튜브(13)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우선, 이 커넥터(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 설명 편의상,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UP를 커넥터(10)의 상방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커넥터의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커넥터 본체)(14)과, 이 하우징(14)의 외주(外周)에 장착되는 대략 역U자 형상의 고정부재(확인부재)(16)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4)의 일단(一端)측에는, 고정부재(16)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파이프(12)가 연결되는 연결부(18)가 형성되며, 하우징(14)의 타단측에는, 튜브(13)가 삽입되는 삽입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0)의 선단측(하우징(14)의 타단부)에는 테이퍼부(22)가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부(22)의 선단부는 튜브(13)보다 소경(小徑)으로 되어, 튜브(13)가 삽입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부(22)의 후단부(後端部)에는, 환상(環狀) 돌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돌기부(23)는 튜브(13)의 내경 치수보다 대경(大徑)으로 되어 있어, 삽입부(20)로 튜브(13)를 삽입할 때, 튜브(13)는 압입(壓入)된다.
삽입부(20)와 연결부(18) 사이에는, 삽입부(20)의 외경 치수보다 지름이 큰 중경부(中徑部)(24)가 형성되어 있어, 튜브(13)의 선단면이 이 중경부(24)의 단면에 접촉함으로써, 튜브(13)는 이동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는 않지만 전용 클램프 등에 의해 튜브(13)를 삽입부(20)에 확실히 고정한다.
한편, 연결부(18)는, 일단측이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타단측은 외형이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연결부(18)의 일단측에는, 삽입부(20)에 형성된 중경부(24)보다 지름이 큰 대경부(大徑部)(26)가 형성되며, 대경부(26)의 내주면에는, 환상(環狀) 오목부(도시생략)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오목부에는 오링(30, 32)이 끼워져 있어, 파이프(12)가 연결부(18)에 연결된 때, 대경부(26)의 내주면과 파이프(12)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메워 씰링한다.
또, 도시하지는 않지만, 오링(30)과 오링(32) 사이에, 단면(斷面)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환상의 스페이서를 배치해서, 오링(30) 및 오링(32)을 압축하여, 파이프(12)의 외주면과의 씰링력을 높이도록 해도 좋다.
또한, 연결부(18)의 타단측에는, 하우징(14)의 축선방향을 따라, 고정부(36)와 장착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36)가 대경부(26) 측에 배치되어 있다. 장착부(38)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16)가 장착 가능하게 되며, 고정부(36)에서는 장착된 고정부재(16)가 소정 위치(후술하는 연결위치)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부(36)의 측벽(36A)에는, 측벽(36A)의 상부 및 하부에 직육면체 형상의 돌출형성부(피결합부)(40, 42)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돌출형성부(40)와 돌출형성부(42) 사이에는, 간격(44)이 형성되어 있다(후술한다).
또한, 고정부(36)의 내주면에는 환상 오목부(도시생략)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오목부에는 환상(環狀)의 부시(48)가 고정부(36)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끼워넣기 가능하게 된다. 부시(48)의 내경 치수는, 파이프(12)의 외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부시(48)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나일론 등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장착부(38)(하우징(14)의 일단부)에는, 원형 형상의 개구부(50)가 하우징(14)의 축선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50)는 부시(48)의 내경 치수보다 큰 지름으로 되어, 파이프(1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環狀) 플랜지부(12A)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장착부(38)는, 모서리부(角部)에 가설부(架設部)(52)를 남기고 복수의 관통공(54, 56, 58)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38)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56) 및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58)에는, 관통공(56, 58)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이 관통공(56, 58)을 둘로 나누는 보강리브(60, 6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리브(60, 62)에 의해, 장착부(38)(연결부(18))의 강성(剛性)이 강화되어 있다.
한편, 고정부재(16)는 장착부(38)의 상방으로부터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부재(16)의 중앙에 위치하는 기부(基部)(16A)의 내면으로부터는, 장착부(38)에 형성된 관통공(56A, 56B)에 대응하여 한 쌍의 스토퍼(64, 66)가 아래로 뻗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64)와 스토퍼(66) 사이에는, 장착부(38)의 상부에 형성된 보강리브(60)를 삽입통과 가능한 절결부(切缺部)(68)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16)를 장착부(38) 상방으로부터 장착시킬 때, 이 절결부(68)가 보강리브(60)로 통과하고, 스토퍼(64, 66)는 각각 관통공(56A, 56B)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64)와 스토퍼(66)를 분단함으로써, 고정부재(16)의 양단부를 이간시키는 방향(지름방향)으로 탄성변형되기 쉬워진다.
또한, 고정부재(16)의 기부(16A)는, 고정부(36)의 상벽(上壁)(36B)에 형성된 원호면(70)과 거의 동일한 곡률(曲率)을 갖는 원호면(72)(도 6b 참조)으로 되어 있어, 도 9b에 나타내는, 후술하는 고정부재(16)의 연결위치에서는, 고정부재(16)의 기부(16A)가 고정부(36)의 상벽(36B)에 면접촉(面接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6)의 기부(16A)의 중앙부에는, 연결부(18)의 상벽(36B)(고정부(36)의 상벽(36B))과 대면하는 위치에 조작(操作) 오목부(74)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재(16)의 연결위치에서, 연결부(18)의 상벽(36B)으로부터 노출되어, 마이너스 드라이버나 전용 치구(治具)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64, 66)의 선단부는, 파이프(12)의 외경 치수와 거의 같은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로 되어 있고, 파이프(12)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토퍼(64, 66)와 부시(48) 사이에는, 하우징(14)의 축선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 이 간격 내에 플랜지부(12A)가 배치 가능하게 된다.
부시(48)의 내경 치수 및 스토퍼(64, 66)의 선단부의 곡률 반경은, 파이프(12)의 외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경 치수보다 작은 지름이 된다. 이 때문에, 플랜지부(12A)가 이 간격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 삽입방향을 향해 파이프(12)를 보았을 때, 플랜지부(12A)가 스토퍼(64, 66)로 덮인 상태(스토퍼(64, 66)와 플랜지부(12A)가 중첩된다)로 된다. 즉, 부시(48) 및 스토퍼(64, 66)에 의해, 파이프(12)는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18)의 고정부(36) 및 장착부(38)의 단면의 모서리부는, 고정부(36)의 상벽(36B) 및 가설부(5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해 있어,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6)가 장착부(38)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6)의 폭방향의 단면(端面)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고정부재(16)의 하우징(14)의 축선방향을 따른 이동을 규제하고, 고정부재(16)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6)의 기부(16A)의 길이방향의 양단으로부터는, 탄성편(부세부재)(80) 및 걸림편(다리편)(78)이 각각 아래로 뻗어 있다. 걸림편(78)은 고정부(36)에 대응해서 형성되며, 탄성편(80)은 장착부(38)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80)과 걸림편(78) 사이에는, 슬릿(82)이 형성되어 있어, 걸림편(78)과 탄성편(80)은 각각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탄성편(80)은, 그 양단측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을 향해 구부러져 있어, 장착부(38)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공(54)을 관통하여, 부시(48)보다 내경 측으로 돌출해 있다(도 6b 참조). 탄성편(8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탄성편(80)이 관통공(54)을 관통하고, 고정부재(16)가 장착부(38)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설부(52)에 접촉해, 고정부재(16)의 상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탄성편(80)의 선단부에는, 대략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굴곡하는 접촉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부(84)로부터 탄성편(80)이 뻗어 나오는 방향 중앙부에 걸쳐, 개구부(50) 측의 단면(端面)은, 파이프(12)를 연결부(18) 안쪽으로 안내하는 테이퍼로 되어 있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가 개구부(50) 안으로 삽입되면, 파이프(12)의 외주면이 접촉부(84)에 접촉하고, 이 접촉부(84)를 통해 탄성편(80)이 외측으로 벌어진다. 여기서, 접촉부(84)의 위치는, 삽입된 파이프(12)의 축선을 넘은 위치에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편(78)의 선단부의 탄성편(80)의 반대측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뻗어 나온 걸림편(78)을 L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걸림부(결합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86)는 연결부(18)의 고정부(36)에 형성된 돌출형성부(40)와 돌출형성부(42) 사이에 형성된 간격(44) 안으로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86)가 이 간격(44) 내에 배치되어 돌출형성부(42)의 상측면(上側面)에 접촉한 상태에서, 고정부재(16)는 하방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이른바 대기상태). 이 상태에서, 걸림부(86)와 돌출형성부(40)의 하측면(下側面)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6)가 장착부(38)에 장착된 상태에서, 탄성편(80)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돌기부가 가설부(52)에 접촉하여, 고정부재(16)의 상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고정부재(16)의 대기상태에서는, 고정부재(16)는 상하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그리고 이 대기상태에서는, 파이프(12)가 개구부(50) 안으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또한, 걸림편(78)의 단부측에는, 걸림편(78)이 뻗어 나오는 방향(연출방향(延出方向))을 따라 걸림부(86)와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고, 이 걸림부(86)와 반대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뻗어 나오는 누름편(누름부)(90)이 형성되어 있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누름편(90)은 탄성편(80)과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 상태에서 탄성편(8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 탄성편(80)이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누름편(90)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80)이 더 벌어지면, 누름편(90)을 통해, 걸림편(78)이 외측으로 벌어진다. 이때, 탄성편(80) 및 걸림편(78)에는, 부세력이 축적된 상태가 되지만, 걸림편(78)이 외측으로 벌어지면, 고정부재(16)의 대기위치에서의, 걸림편(78)의 걸림부(86)가 돌출형성부(42)에 접촉한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편(80)의 선단부에 형성된 접촉부(84)의 위치는, 삽입된 파이프(12)의 축선을 넘은 위치에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걸림편(78)의 걸림부(86)의 대기위치에서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은 부세력을 개방하면서 복원되어,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80)의 접촉부(84)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 고정부재(16)를 연결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걸림부(86)는 돌출형성부(42)의 상면을 타고 넘어, 돌출형성부(42)의 하측면에 접촉하여(부딪침), 고정부재(16)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의 부세력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부(86)가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됨과 거의 동시에, 고정부재(16)의 기부(16A)가 고정부(36)의 상벽(36B)에 접촉하여, 고정부재(16)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이 상태에서, 고정부재(16)는 상하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이른바 연결상태).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부(86)는, 고정부재(16)의 대기위치에서 돌출형성부(40)의 상측면에 접촉하고, 고정부재(16)의 연결위치에서 돌출형성부(42)의 하측면에 접촉하도록 했지만, 고정부재(16)의 대기위치 및 연결위치에서, 고정부재(16)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돌출형성부(40, 42) 대신에, 걸림부(86)가 결합 또는 걸림 가능한 오목부를 오목하게 형성해도 좋다.
(커넥터의 작용ㆍ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의 작용ㆍ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하우징(14)의 연결부(18)에 파이프(12)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대기상태)에서는, 고정부재(16)의 기부(16A)와 연결부(18)의 상벽(36B)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상태에서는, 고정부재(16)의 걸림편(78)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부(86)가, 고정부(36)의 돌출형성부(40)와 돌출형성부(42) 사이에 형성된 간격(44)에 배치되어 돌출형성부(42)의 상측면에 접촉해서 고정부재(16)의 하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됨과 아울러, 탄성편(80)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돌기부가 가설부(52)에 접촉해서, 고정부재(16)의 상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고정부재(16)의 대기상태에서는, 이 고정부재(16)는 상하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3,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18)의 개구부(50) 안으로 파이프(12)를 삽입하면, 파이프(12)의 외주면이, 탄성편(80)의 선단부에 형성된 접촉부(84)에 접촉해서, 이 접촉부(84)를 통해 탄성편(80)을 외측으로 벌린다.
또한, 파이프(12)를 연결부(18)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4,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접촉부(84)에 접촉해서, 이 접촉부(84)를 더 외측으로 벌린다. 이에 의해, 탄성편(80)이 더 외측으로 벌어지고, 이 탄성편(80)이 누름편(90)에 접촉해서, 이 누름편(90)을 통해 걸림편(78)이 외측으로 벌어진다. 그리고 이에 의해, 걸림편(78)의 걸림부(86)의 대기위치에서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고정부재(16)는 연결부(18)의 하방 방향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접촉부(84)는, 삽입된 파이프(12)의 축선을 넘은 위치에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걸림편(78) 및 탄성편(80)에는 부세력이 축적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걸림편(78)의 걸림부(86)의 대기위치에서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은 부세력을 개방하면서 복원된다.
이에 의해, 도 8b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80)의 접촉부(84)는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 고정부재(16)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걸림부(86)는 돌출형성부(42)의 상면을 타고 넘어, 돌출형성부(42)의 하측면에 접촉해서, 고정부재(16)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파이프(12)가 소정 위치(연결위치)에서 커넥터(1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16)에 형성된 걸림편(78)의 걸림부(86)가, 연결부(18)의 고정부(36)에 형성된 돌출형성부(40)와 돌출형성부(42) 사이에 형성된 간격(44) 안으로 배치되어, 걸림부(86)가 돌출형성부(42)의 상측면에 접촉하는 대기위치와, 걸림부(86)가 돌출형성부(42)의 하측면에 접촉하는 연결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고정부재(16)의 대기상태에서, 파이프(12)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고정부재(16)가 대기위치로부터 연결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된다.
즉, 고정부재(16)의 대기상태에서, 파이프(12)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고정부재(16)가 자동적으로 대기위치로부터 연결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부재(16)가 고정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파이프(12)가 소정 위치에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파이프(12)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고정부재(16)가 고정되는 경우는 없어, 파이프(12)의 연결상태가 오인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접촉하면 외측으로 벌어져 부세력이 축적되지만, 걸림편(78)의 걸림부(86)의 대기위치에서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을 따라 복원되어 부세력을 개방한다.
이 때문에,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의 크리프에 의한 주저앉음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복원」이란, 탄성편(80) 및 걸림편(78)에 부세력이 모두 개방되어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이 자연상태가 되는 경우 이외에, 탄성편(80) 및 걸림편(78)에 이 부세력이 약간 남아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이 탄성편(80)은, 커넥터(10)의 개구부(50) 안으로 돌출해 있어,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접촉하면, 외측으로 벌어지지만, 이때, 고정부재(16)의 대기위치에서의 걸림편(78)의 걸림부(86)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
이에 의해, 탄성편(80)은 복원되고, 탄성편(80)의 접촉부(84)는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 고정부재(16)를 연결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커넥터(10)의 개구부(50) 내에 파이프(12)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파이프(12)가 커넥터(10)에 연결되는, 소위 원터치식이기 때문에, 파이프(12)의 연결조작이 간단하고, 작업자가 고정부재(16)를 손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재(16)에,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을 일체로 형성하고, 탄성편(80)과 걸림편(78) 사이에 슬릿(82)을 형성함으로써, 걸림편(78)과 탄성편(80)을 각각 탄성변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걸림편(78)과 탄성편(80)을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0)로부터 파이프(12)를 떼어내는 경우, 도 9a에 나타내는 연결위치에서, 고정부재(16)의 중앙부에 형성된 조작 오목부(74) 안으로 마이너스 드라이버나 전용 치구를 삽입하여, 고정부재(16)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에 의해,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84)가 파이프(12)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지고, 접촉부(84)를 통해 탄성편(80)이 외측으로 벌어져서, 탄성편(80)이 누름편(90)에 접촉하고, 이 누름편(90)을 통해 걸림편(78)을 외측으로 벌린다.
그리고,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편(78)의 걸림부(86)가 돌출형성부(40)를 타고 넘어, 걸림편(78)의 걸림부(86)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문에, 고정부재(16)는, 마이너스 드라이버나 전용 치구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고정부재(16)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는, 스토퍼(64, 66)는 플랜지부(12A)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해 있기 때문에, 파이프(12) 분리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6)에 형성된 걸림편(78)에, 하우징(14)의 일단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는 누름편(90), 및 하우징(14)의 타단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는 걸림부(86)를 형성했지만, 탄성편(80)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걸림부(86)의 대기위치에서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구성이면 좋다.
이 때문에,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은 반드시 2개가 필요하다는 것은 아니고,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이 적어도 하나 있으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걸림편(78)의 형상도 특히 상기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걸림편(78)을, 도 11a 및 도 11b(또, 도 11a은 도 11b의 이면(裏面)에서 본 사시도이다)에 나타내는 걸림편(92)과 같이 폭을 넓게 한다. 그리고 걸림편(78)으로부터 돌출시킨 걸림부(86) 대신에, 걸림편(92)의 이면측에 직육면체 형상의 걸림부(94)를 형성한다.
도 12 및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편(92)의 걸림부(94)가, 연결부(18)의 고정부(36)에 형성된 돌출형성부(40)와 돌출형성부(42) 사이에 형성된 간격(44) 내에 배치되어 고정부재(16)의 대기상태로 되고, 도 13 및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94)가 돌출형성부(42)의 하측면에 접촉하여 고정부재(16)의 연결상태로 된다. 또, 도 14b 및 도 14c에서는, 도 14a에 나타내는 삽입부(20)를 생략하고 있다.
한편, 도 14a에 나타내는 누름편(90)은, 걸림편(92)의 선단부와 연결되어,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루어서 보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림편(92)을 폭을 넓게 함과 아울러, 누름편(90)을 걸림편(92)의 선단부와 연결함으로써, 걸림편(92), 걸림부(94) 및 누름편(9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하우징(14)에서, 삽입부(20)와 연결부(18)가 동축(同軸) 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하우징(14)을 통해 파이프(12) 및 튜브(13)를 접속시킬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커넥터(11)의 하우징(15)에서는, 삽입부(20)와 연결부(18) 사이에 엘보부(25)를 접속하고, 이 엘보부(25)를 통해 삽입부(20)와 연결부(18)를 직교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4, 15)의 형상을 다양화시킴으로써, 파이프(12) 및 튜브(13)의 위치관계를 고려하여, 커넥터(10, 11)를 구별해서 쓸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의 커넥터(10)에서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된 파이프(12)의 축선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접촉부(84)의 위치를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걸림편(78)의 걸림부(86)의 대기위치에서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의 부세력을 개방하면서, 고정부재(16)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파이프(12)가 연결되도록 했지만, 이른바 원터치식이면 좋기 때문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커넥터(105)에서는, 하우징(100)의 연결부(102)가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연결부(102)의 상부가 개방되어, 고정부재(104)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부재(104)의 중앙부의 폭방향의 일단부(걸림편(92)의 반대측)로부터는, 연결부(102)의 형상에 맞춰 테두리(106)가 아래로 뻗어 있고, 연결부(102) 안으로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테두리(106)의 상단면으로부터는 스토퍼(107)가 아래로 뻗어 있고, 고정부재(104)의 연결위치에서,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107)와 플랜지부(12A)가 중첩되어, 부시(48)와 함께 파이프(12)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테두리(106)의 하단부 중앙으로부터는, 고정부재(104)의 중앙부의 폭방향의 타단부 측을 향해 비스듬히 상방으로 뻗어 나오는 스프링편(부세부재)(108)이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04)의 대기상태에서는, 걸림편(92)에 형성된 걸림부(94)가, 연결부(102)의 고정부(112)에 형성된 돌출형성부(40)와 돌출형성부(42) 사이에 형성된 간격(44)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연결부(102)의 개구부(50)로 파이프(12)를 삽입하면,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의 외주면이, 스프링편(108)에 접촉하여, 스프링편(108)에는 부세력이 축적된다.
또한, 이때,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이, 접촉부(84)에 접촉하여 탄성편(80)이 외측으로 벌어지고, 이 탄성편(80)을 통해 걸림편(92)이 외측으로 벌어져, 걸림부(94)의 대기위치에서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문에, 스프링편(108)의 부세력에 의해, 이 스프링편(108)을 통해, 테두리(106)가 하방을 향해 아래로 눌러진다. 이에 의해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편(92)의 걸림부(94)가 돌출형성부(42)의 상면을 타고 넘어, 돌출형성부(42)의 하측면에 접촉하고, 고정부재(104)가 연결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편(108)의 부세력이 개방되도록 한다.
즉, 여기서는, 걸림부(94)의 대기위치에서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탄성편(80)과, 고정부재(104)를 연결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편(108)으로, 그 기능에 따라 부재를 구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탄성편(80)은, 복원되어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감으로써, 고정부재(104)를 연결위치로 이동시킨다고 하는 필요는 없어진다.
따라서 걸림부(94)의 대기위치에서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기에 충분한 길이로 탄성편(8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접촉부(84)의 위치를, 삽입된 파이프(12)의 축선을 넘는 위치에 설정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이 때문에,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8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확장된다. 또, 개개의 기능에 맞춰 부재를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 기능에 필요한 부세력으로 설정할 수 있어, 파이프(12) 연결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더 향상한다.
<제3 실시형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14b에 나타내는 대기위치로부터 도 14c에 나타내는 연결위치로 고정부재(16)가 이동할 때의 걸림편(78)의 걸림부(86)의 궤도(왕로(往路))와, 연결상태로부터 대기상태로 고정부재(16)가 이동할 때의 걸림편(78)의 걸림부(86)의 궤도(복로(復路))에서 걸림부(86)의 궤도가 같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30)에서는, 예컨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18)의 고정부(36)에, 장착부(38)의 반대측에 왕로와는 다른 궤도로 되는 안내로(118)를 형성하여, 도 23a에 나타내는 커넥터(10)의 연결상태로부터 도 23c에 나타내는 대기상태로 이동할 때에, 도 23b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편(120)의 걸림부(122)가 안내로(118)로 안내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편(120)의 이면측에 직육면체 형상의 걸림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성부(42)의 간격(44)과는 반대측의 면에 모따기부(124)가 형성되어, 이 모따기부(124)를 따라, 걸림부(122)가 안내로(118)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도 23a∼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6)를 연결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시킬 때, 걸림편(120)의 걸림부(122)가 모따기부(124)를 따라 안내로(118)로 안내된다. 이때, 걸림편(120)에는 그 기부(126)를 중심으로 하여 탄성편(80)으로부터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모멘트가 작용하고, 걸림편(120)에는 부세력이 축적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측면에서 보아, 걸림부(122)와 탄성편(80)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도 23b 참조).
여기서, 걸림부(122)가 모따기부(124)를 넘으면, 걸림부(122)는 간격(44)에 삽입 가능하게 되지만,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122)가 간격(44) 안쪽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이 걸림부(122)는 탄성편(80)의 측면과 간섭해 간격(44) 안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후술하는 임시 대기위치).
이 상태에서,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탄성편(80)의 접촉부(84)로부터 떨어지면, 탄성편(80)은 복원되어, 연결부(18)의 개구부(50)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걸림부(122)는 탄성편(80)의 측면과 간섭한 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걸림부(122)가 탄성편(80)의 측면과 간섭한 상태에서, 걸림편(120)에는 그 기부(126)를 중심으로 하여 탄성편(80)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모멘트가 작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걸림부(122)가 탄성편(80)의 측면과 간섭한 상태가 해제되면, 걸림편(120)의 기부(126)를 통해, 걸림편(120)을 탄성편(80) 측으로 돌아가게 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걸림편(120)은 복원되고, 걸림부(122)는 간격(44) 안쪽으로 이동하여,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80)의 외측으로 배치된다(대기상태).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2에 나타내는 고정부재(16)의 대기위치로부터, 도 21에 나타내는 고정부재(16)의 연결위치로 이동(왕로)할 때, 탄성편(80)이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걸림부(122)를 통해 걸림편(120)을 외측으로 벌려서, 걸림부(122)의 대기위치에서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걸림부(122)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탄성편(80)은 복원되어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 고정부재(16)를 연결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커넥터(130)로부터 파이프(12)를 떼어낼 때, 고정부재(16)와 파이프(12)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우선, 고정부재(16)를 연결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시키지만, 이때, 탄성편(80)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진다. 이 때문에,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122)가 탄성편(8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탄성편(80)이 걸림부(122)에 접촉해서, 이 걸림부(122)를 통해 걸림편(120)이 외측으로 벌어져 버린다. 즉, 고정부재(16)를 연결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고정부재(16)를 대기위치에 지지시킬 수 없어, 고정부재(16)가 다시 연결위치로 돌아와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36)에 안내로(118)를 형성하고, 고정부재(16)가 연결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돌아올 때, 누름편(90)을 탄성편(80)의 외측으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걸림부(122)를 안내하는 안내로(118)를 형성하여, 고정부재(16)를 임시 대기위치에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탄성편(80)이 외측으로 벌어졌다고 해도, 탄성편(80)이 걸림부(122)를 외측으로 벌리는 일은 없기 때문에, 걸림편(120)이 벌어지는 일은 없다.
즉, 고정부재(16)는 임시 대기위치에 지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130)로부터 파이프(12)를 떼어낼 때, 고정부재(16)가 대기위치로부터 다시 연결위치로 돌아온다고 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연결상태의 고정부재(16)를 일단 들어올리면 임시 대기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마이너스 드라이버나 전용 치구에 의해, 고정부재(16)의 상방으로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시킬 필요는 없어, 편리하다.
10 커넥터
11 커넥터
12 파이프
12A 플랜지부
14 하우징(커넥터 본체)
15 하우징(커넥터 본체)
16 고정부재(확인부재)
42 돌출형성부
50 개구부
64 스토퍼
66 스토퍼
78 걸림편(다리편, 고정기구)
80 탄성편(부세부재)
86 걸림부(결합부, 고정기구)
90 누름편(누름부, 고정기구)
92 걸림편(다리편, 고정기구)
94 걸림부(결합부, 고정기구)
100 하우징(커넥터 본체)
104 고정부재(확인부재)
105 커넥터
107 스토퍼
108 스프링편(부세부재)
118 안내로
120 걸림편(다리편, 고정기구)
122 걸림부(결합부, 고정기구)
130 커넥터

Claims (8)

  1. 외주면(外周面)에 환상(環狀) 플랜지부가 형성된 파이프가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원형 형상의 개구부(開口部)가 형성된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 가능한 대기위치와, 상기 개구부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이프가 소정 위치에서 연결되는 연결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확인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확인부재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이 확인부재를 상기 커넥터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기구와,
    상기 개구부 안으로 돌출하며, 상기 파이프의 삽입시에 상기 플랜지부가 접촉하면 외측으로 벌어져서 상기 고정기구에 의한 상기 확인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함과 아울러, 복원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 상기 확인부재를 상기 연결위치로 이동시키는 부세부재(付勢部材),
    를 포함하고,
    상기 부세부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 안으로 돌출하는 탄성편이며,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탄성편과 평행하게 뻗어 나오는 다리편(脚片)과,
    상기 다리편의 단부(端部)에 형성되며, 이 탄성편이 접촉하여 눌러지면 상기 다리편을 외측으로 벌리는 누름부(押壓部)와,
    상기 다리편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대기위치 및 상기 연결위치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재에는, 상기 연결위치에서 상기 플랜지부보다 파이프 삽입방향 반대측에 위치하여 파이프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플랜지부와 중첩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확인부재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파이프의 축선(軸線)을 넘은 위치에서 이 파이프에 접촉하는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재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 안으로 돌출하여, 상기 파이프의 삽입시에 상기 플랜지부가 접촉하면 외측으로 벌어져서 상기 고정기구에 의한 상기 확인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탄성편과,
    상기 파이프의 삽입력을 상기 확인부재를 상기 연결위치로 이동시키는 누름력으로 변환시켜, 상기 탄성편을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게 하는 스프링편,
    을 포함하여 구성된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재가 상기 연결위치로부터 상기 대기위치로 돌아올 때, 상기 누름부가 상기 탄성편의 외측으로부터 퇴피(退避)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를 안내하는 안내로(案內路)가 형성된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편과 상기 탄성편이 일체로 성형된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이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8. 삭제
KR1020127022362A 2010-02-23 2011-02-10 커넥터 KR101421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37874 2010-02-23
JP2010037874A JP5518522B2 (ja) 2010-02-23 2010-02-23 コネクタ
PCT/JP2011/052955 WO2011105234A1 (ja) 2010-02-23 2011-02-10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653A KR20120109653A (ko) 2012-10-08
KR101421857B1 true KR101421857B1 (ko) 2014-07-22

Family

ID=4450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362A KR101421857B1 (ko) 2010-02-23 2011-02-10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12773B2 (ko)
EP (1) EP2541118B1 (ko)
JP (1) JP5518522B2 (ko)
KR (1) KR101421857B1 (ko)
CN (1) CN102770702B (ko)
WO (1) WO2011105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22574B1 (en) * 2011-06-16 2017-08-30 Togo Seisakusyo Corporation Pipe connector
JP5844231B2 (ja) * 2011-09-29 2016-01-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コネクタ
ITTO20111055A1 (it) * 2011-11-16 2013-05-17 Elbi Int Spa Dispositivo valvolare comandato elettricamente, in particolare perapparecchi elettrodomestici.
CN102494214B (zh) * 2011-12-14 2013-12-04 湖南生命伟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带压管道连接方式和管接头及应用
JP5797547B2 (ja) * 2011-12-27 2015-10-21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JP5868204B2 (ja) * 2012-02-07 2016-02-24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JP5868207B2 (ja) * 2012-02-15 2016-02-24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EP2796758B1 (de) * 2013-04-23 2016-12-07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Kupplung
JP6131120B2 (ja) * 2013-06-19 2017-05-1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コネクタ
JP2015086964A (ja) * 2013-10-31 2015-05-07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KR101469151B1 (ko) * 2013-11-12 2014-12-04 천용주 원푸싱 배관결합체
MX2016007055A (es) 2013-12-02 2016-12-12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Ensamble de conexion rapida.
JP5753284B1 (ja) * 2014-01-16 2015-07-22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FR3021386B1 (fr) * 2014-05-22 2017-02-24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a connexion automatique
JP6367619B2 (ja) * 2014-06-27 2018-08-01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連結装置
CN104295837B (zh) * 2014-11-06 2016-04-27 重庆溯联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管路系统带防错、确认功能的快换接头
JP6149081B2 (ja) * 2015-09-24 2017-06-14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DE102016109051A1 (de) * 2015-10-21 2017-04-27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Medienleitungen
CN105626995B (zh) * 2015-11-05 2017-11-28 湖南罗佑发动机部件有限公司 一种新结构转接头
FR3044070B1 (fr) 2015-11-20 2019-06-28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securise a connexion automatique
CN106151738B (zh) * 2016-07-19 2018-07-03 浙江工业大学 一种可拆式快插接头的卡扣件
CN106352184B (zh) * 2016-11-23 2017-11-10 黄松檀 一种应用于机动车内油路传输的连接器
JP6722607B2 (ja) * 2017-02-28 2020-07-15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継手
US10816121B2 (en) 2017-05-09 2020-10-27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US10612707B2 (en) 2017-11-28 2020-04-07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Quick connect assembly and method
DE102018107507A1 (de) * 2018-03-28 2019-10-02 Voss Automotive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Medienleitungen"
FR3086990B1 (fr) * 2018-10-04 2020-12-11 Tristone Flowtech Solutions Tfs Raccord femelle pour conduite de fluide et dispositif de raccordement comprenant un tel raccord
CN211853130U (zh) * 2018-12-29 2020-11-03 瑞肯耐特流体控制系统(镇江)有限公司 快速连接器
CN110043731B (zh) * 2019-04-12 2020-11-10 A.雷蒙德公司 快速连接器
DE102019111199A1 (de) * 2019-04-30 2020-11-05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Medienleitungen
JP6889756B2 (ja) * 2019-06-18 2021-06-18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KR102220691B1 (ko) * 2019-06-26 2021-03-0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에서 흡기 매니폴드와 진공호스 결합구조
CN110594515A (zh) * 2019-08-26 2019-12-20 宁波诗兰姆汽车零部件有限公司 管道接头
JP2021134905A (ja) * 2020-02-28 2021-09-13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ネクタ
US20220099122A1 (en) * 2020-09-04 2022-03-31 Marcos Antonio Gomez Coupler
CN114135729B (zh) * 2021-11-05 2023-09-29 重庆溯联塑胶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冷却管路用双锁止连接器
EP4239238B1 (de) * 2022-03-04 2024-05-01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Kupplungsbuchse mit automatisch aktiviertem rückhal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944A (ja) * 2005-05-13 2006-11-24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
KR20070100656A (ko) * 2006-04-07 2007-10-11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혼합식 급속 커넥터
US20100007142A1 (en) * 2007-01-31 2010-01-14 Togo Seisakusyo Corporation Pipe join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77502A1 (en) * 1998-07-17 2000-01-17 Donald D. Bartholomew Quick connector
US6866303B2 (en) * 2002-10-16 2005-03-1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Low profile fluid quick connector
JP4462893B2 (ja) * 2003-10-22 2010-05-12 株式会社東郷製作所 管継手
US7464970B2 (en) * 2003-10-22 2008-12-16 Togo Seisakusyo Corporation Pipe joint
JP4041457B2 (ja) * 2003-12-12 2008-01-30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4421439B2 (ja) 2004-10-04 2010-02-24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ネクタ
US20060082145A1 (en) * 2004-10-15 2006-04-2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with disk retention retainer
JP4011575B2 (ja) * 2004-10-15 2007-11-21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FR2900456B1 (fr) * 2006-04-28 2008-06-27 Legris Sa Raccord a double verrouillage
US8240716B2 (en) * 2008-08-07 2012-08-14 TI Group Automotive System,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pull tab verifier
JP2010270867A (ja) * 2009-05-22 2010-12-02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配管接続構造
US8297659B2 (en) * 2011-02-22 2012-10-30 Miniature Precision Components, Inc. Quick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944A (ja) * 2005-05-13 2006-11-24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
KR20070100656A (ko) * 2006-04-07 2007-10-11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혼합식 급속 커넥터
US20100007142A1 (en) * 2007-01-31 2010-01-14 Togo Seisakusyo Corporation Pipe joi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05234A1 (ja) 2011-09-01
US20120326435A1 (en) 2012-12-27
EP2541118B1 (en) 2019-09-04
EP2541118A1 (en) 2013-01-02
KR20120109653A (ko) 2012-10-08
JP2011174508A (ja) 2011-09-08
CN102770702B (zh) 2015-08-05
JP5518522B2 (ja) 2014-06-11
CN102770702A (zh) 2012-11-07
EP2541118A4 (en) 2017-07-05
US9212773B2 (en) 201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857B1 (ko) 커넥터
KR101989209B1 (ko) 커넥터
KR101305856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KR101955237B1 (ko) 자동 연결을 사용한 안전한 튜브 커플링
JP6073510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183917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02317636B (zh) 具有固定夹的装配件
KR101740170B1 (ko) 커넥터
KR101421858B1 (ko) 커넥터
KR100769998B1 (ko)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US9822914B2 (en) Pipe connecting connector
JP2010270867A (ja)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配管接続構造
KR20150041064A (ko) 패널 고정형 커넥터 장치
JP6347438B2 (ja) コネクタ
JP2006086090A (ja) コネクタ
JP6722607B2 (ja) 配管継手
JP6712495B2 (ja) コネクタ
JP2011140988A (ja) クイックコネクタおよび配管接続構造
JP5085427B2 (ja) クリップ
US11892109B2 (en) Quick connector
JP2010224021A (ja) 光コネクタプラグ
JP7199388B2 (ja) クリップ
JP5868204B2 (ja) コネクタ
CN114206682A (zh) 位置调整机构
JP2008157408A (ja) 防塵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