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170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170B1
KR101740170B1 KR1020157030477A KR20157030477A KR101740170B1 KR 101740170 B1 KR101740170 B1 KR 101740170B1 KR 1020157030477 A KR1020157030477 A KR 1020157030477A KR 20157030477 A KR20157030477 A KR 20157030477A KR 101740170 B1 KR101740170 B1 KR 101740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housing
initial position
fitting
position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399A (ko
Inventor
아키라 나카시마
노리히토 하시모토
시게토 가타오카
나오타카 다니카와
히데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슬라이더(60)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슬라이더(60)는, 로크 아암(17)의 하측에 삽입되는 폭방향을 따른 기초부(61)와, 기초부(61)의 폭방향 양쪽 단부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아암부(62)와, 양 아암부(62)의 돌출단부끼리 연결하여 로크 아암(17)의 상면측을 향하는 연결부(63)를 갖고 있다. 기초부(61)에는, 초기 위치에서 하우징 본체(11)의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25)를 탄성적으로 계지(係止)함으로써 슬라이더(60)의 감합(嵌合)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초기 위치 유지부(76)가 휨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부(63)에는, 감합 위치에서 로크 아암(17)의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23)에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더(60)가 빠져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감합 위치 유지부(64)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는, 서로 감합(嵌合) 가능한 제1, 제2 하우징(특허문헌 1에서는 「암수형의 커넥터 하우징」으로 호칭)과,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슬라이더(특허문헌 1에서는 「전슬라이더와 후슬라이더」로 호칭)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에는 코일 스프링이 조립되어 있고, 제1, 제2 하우징이 감합 과정에서 그 감합 동작을 정지하면, 지금까지 축적된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해방되어, 제1, 제2 하우징이 서로 이반(離反)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바이어스되고, 이것에 의해 제1, 제2 하우징이 반감합 상태인 채로 유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하우징은, 제2 하우징을 내측에 끼우는 것이 가능한 통형상의 후드부를 가지며, 후드부의 천장 부분에는 슬라이더를 수용 가능한 수용실이 설치되어 있다. 수용실에 슬라이더가 수용되면, 슬라이더의 상측에 수용실의 천장벽이 위치하고, 천장벽에 형성된 유지 받침부(특허문헌 1에서는 「계지(係止) 단부」로 호칭)에, 슬라이더에 형성된 유지부(특허문헌 1에서는 「맞닿음부」로 호칭)가 계지됨으로써, 슬라이더가 제1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84526호 공보
그런데, 상기의 경우, 슬라이더의 상측을 덮도록 천장벽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천장벽의 두께만큼 커넥터의 높이 치수가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제1 하우징으로부터 천장벽을 생략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천장벽을 단순히 생략하기만 하면 유지 받침부도 없어지기 때문에, 슬라이더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슬라이더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로크부를 갖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감합 가능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초기 위치와 감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1, 제2 하우징이 정규 감합됨에 따라,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감합 위치로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이 외측에 끼워지는 것이 가능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와의 사이에 휨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부를 탄성적으로 계지(係止)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하우징을 감합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아암을 가지며, 상기 로크 아암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와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로크 아암과 대향하는 면에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휨 공간측에 삽입되는 폭방향을 따른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 양쪽 단부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아암부와, 상기 양 아암부의 돌출단부끼리 연결하여 상기 로크 아암의 상기 반대측의 면을 향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기초부에는,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를 탄성적으로 계지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감합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초기 위치 유지부가 휨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감합 위치에서 상기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가 빠져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감합 위치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슬라이더가 감합 위치에 이르면, 슬라이더의 연결부에 설치된 감합 위치 유지부가 로크 아암의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에 접촉하여 슬라이더가 빠져나가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슬라이더가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더의 기초부에 설치된 초기 위치 유지부가 하우징 본체의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를 탄성적으로 계지하여 슬라이더의 감합 위치로의 부주의한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의 경우에,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가 슬라이더를 덮는 천장벽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로부터 천장벽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기초부가 로크 아암과 하우징 본체의 사이의 데드 스페이스로 되어 있는 휨 공간측에 삽입되기 때문에, 커넥터에 기초부 전용의 삽입 스페이스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예 1의 커넥터에 있어서, 제1, 제2 하우징이 서로 정대향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제2 하우징이 서로 정규 감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제2 하우징이 서로 정대향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제2 하우징의 감합 과정의 종반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제2 하우징이 서로 정규 감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제1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슬라이더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슬라이더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슬라이더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슬라이더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로크 아암을 사이에 두고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가이드벽을 가지며, 상기 양 아암부가 상기 양 가이드벽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이 안내된다. 연결부와 기초부를 연결하는 양 아암부에 의해 슬라이더의 이동이 안내되기 때문에, 슬라이더에 이동 안내를 위한 전용의 가이드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슬라이더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기초부와 상기 양 아암부와 상기 연결부로 전체적으로 프레임형을 이루며, 상기 초기 위치 유지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프레임 내에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 전체가 프레임형을 이루기 때문에, 슬라이더가 형상 안정성이 우수한 구조가 된다. 또한, 초기 위치 유지부가 슬라이더의 프레임 내에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 위치 유지부의 주위가 보호된 상태가 되고, 초기 위치 유지부가 이물질과의 간섭에 의해 파손되거나 하는 사태가 회피된다.
상기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는, 상기 로크 아암의 본체 부분에서 돌출되고, 상기 감합 위치 유지부는, 상기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가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감합 위치에서 감합 위치 유지부와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의 접촉 상태가 부주의하게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도 12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은, 서로 감합 가능한 제1, 제2 하우징(10, 90)과, 제1 하우징(10)에 조립되는 슬라이더(60)와, 슬라이더(60)에 조립되는 스프링 부재(80)와, 제1 하우징(10)에 장착되는 제1 단자 금구(20)와, 제2 하우징(90)에 장착되는 제2 단자 금구(99)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제1, 제2 하우징(10, 90)의 서로의 감합면측을 전방으로 하고,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도 3을 기준으로 한다.
제2 하우징(9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의 후드부(91)를 갖고 있다. 후드부(91)의 내부에는, 제2 단자 금구(99)의 수형 탭(95)이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후드부(91)의 상벽의 상면에는, 로크부(92)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부(91)의 상벽의 상면에는, 로크부(92)를 사이에 둔 폭방향 양측에, 한쌍의 가이드 돌출조(93)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또한, 양 가이드 돌출조(93)의 양측 바깥쪽에, 한쌍의 압박부(94)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드부(91)의 상벽의 전단 개구 가장자리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초기 위치 유지부(76)와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25)의 계지를 해제 가능한 해제부(9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10)은 동일하게 합성 수지제이며,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형의 하우징 본체(11)와, 하우징 본체(11)의 주위를 포위하는 통형상의 감합 통부(12)를 갖고 있다. 하우징 본체(11)와 감합 통부(12)의 사이에는, 후드부(91)가 감합 가능한 감합 공간(13)이 전방으로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에는, 복수의 캐비티(14)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캐비티(14)는 가로로 나란히 쌍을 이뤄 배치되고, 그 하면에 휨 가능한 랜스(15)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캐비티(14) 내에는 제1 단자 금구(20)가 삽입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자 금구(20)는, 전선(100)의 도체 부분에 압착 접속됨과 함께, 전선(100)에 끼워져 부착된 고무 마개(200)에 압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캐비티(14) 내에 제1 단자 금구(20)가 정규 삽입되면, 제1 단자 금구(20)가 랜스(15)에 탄성적으로 계지되어 빠지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고무 마개(200)가 캐비티(14)의 후단부에 삽입되어 캐비티(14) 내가 액체가 밀폐되게 시일되고, 또한, 하우징 본체(11)의 후단으로부터 전선(100)이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16)가 형성되어 있고, 단차(16)를 경계로 하는 전방 영역이 후방 영역으로부터 한 단계 떨어진 형태로 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에는, 단차(16)의 전방에 시일 링(300)이 끼워져 부착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하우징(10, 90)의 감합시에는, 감합 공간(13)에 후드부(91)가 진입하여, 후드부(91)와 하우징 본체(11)의 사이에 시일 링(300)이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이것에 의해 제1, 제2 하우징(10, 90)이 액체가 밀폐되게 시일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의 전단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형의 프론트 부재(400)가 씌워진다. 상기 시일 링(300)은 프론트 부재(400)에 의해 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의 상단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아암(17)이 연결되어 있다. 로크 아암(17)은,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상승하는 아암 지점부(18)와, 아암 지점부(18)의 상단으로부터 전후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본체(19)를 갖고 있다. 아암 본체(19)의 전단부에는 로크 돌기(21)가 아래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또한, 아암 본체(19)의 후단부에는 해제 조작부(22)가 한 단계 높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하우징(10, 90)의 감합 과정에서는, 로크 돌기(21)가 로크부(92)와 간섭하여 아암 본체(19)가 아암 지점부(18)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휨 변형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하우징(10, 90)의 정규 감합시에는, 아암 본체(19)가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로크 돌기(21)가 로크부(92)를 계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 제2 하우징(10, 90)이 감합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1, 제2 하우징(10, 90)의 감합 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60)를 전방으로 압입하여 해제 조작부(22)의 하측의 휨 공간(42)(도 3을 참조)으로부터 후퇴시킨 상태로, 해제 조작부(22)를 휨 공간(42)측으로 밀어 내리고, 로크부(92)로부터 로크 돌기(21)를 이격시킴으로써, 제1, 제2 하우징(10, 90)을 서로 떼어 놓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 본체(19)의 상면의 전단부에는, 슬라이더(60)의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규제하는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23)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 지점부(18)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 지점부(18)에서의 관통 구멍(24)의 하측이자 단차(16)의 후방에는, 하우징 본체(11)의 상면과의 사이에 단차를 이루는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4)에는 슬라이더(60)의 후술하는 초기 위치 유지부(76)가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고,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25)에는 관통 구멍(24)을 관통한 초기 위치 유지부(76)의 선단부에 형성된 후술하는 계지 돌기(77)가 계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3을 참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 통부(12)의 상벽 중 로크 아암(17)과 대향하는 부분은 개방되어 있고, 로크 아암(17)의 상면은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감합 통부(12)의 상벽은, 로크 아암(17)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쌍의 가이드벽(26)을 갖고 있다. 양 가이드벽(26)은, 하우징 본체(11)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하우징 본체(11)와의 사이에 슬라이더(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공간(27)이 형성되어 있다.
양 가이드벽(26)의 후방부는, 상측으로 개방된 단면이 대략 사반원호형을 이루며, 하우징 본체(11)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양 가이드벽(26)의 전방부는, 로크 아암(17)과 대향하는 측을 개방시킨 단면이 대략 반원호형을 이루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가이드벽(26)의 전방부에는, 한쌍의 가이드 리브(31)가 상승하여 형성되어 있다. 양 가이드 리브(31)는, 양 가이드벽(26)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아암 본체(19)의 전방부의 폭방향 양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양 가이드벽(26)의 전단에는, 가이드 공간(27)의 전방을 폐색하는 한쌍의 스토퍼벽(32)이 튀어나와 형성되어 있다(도 6을 참조). 슬라이더(60)의 전단이 스토퍼벽(32)에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더(60)의 그 이상의 전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슬라이더(60)에 관해 설명한다. 슬라이더(60)는, 제1 하우징(10)의 가이드 공간(27)에 삽입되고, 제1 하우징(10)에 대하여, 초기 위치(도 1,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위치)와 감합 위치(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위치) 사이에서, 가이드벽(26)을 슬라이딩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60)는 합성 수지제이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프레임형을 이루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을 따른 판편형의 기초부(61)와, 기초부(61)의 폭방향 양끝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아암부(62)와, 양 아암부(62)의 전단 사이에 가교되는 연결부(63)를 갖고 있다.
연결부(63)는, 기초부(61)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시에 있어서 기초부(61)와 중복되지 않도록 단차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제1 하우징(10)에 조립되면, 기초부(61)가 로크 아암(17)의 해제 조작부(22)의 하측에 위치하는 휨 공간(42)측에 위치하고, 연결부(63)가 로크 아암(17)의 전단부의 상면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63)의 후단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움푹 패인 감합 위치 유지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감합 위치에 있을 때, 감합 위치 유지부(64)의 내측에는, 로크 아암(17)의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23)가 진입하여 접촉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아암부(62)의 하부에는, 스프링 부재(80)를 수용 가능한 한쌍의 스프링 수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 부재(80)는,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주지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부(65)는, 대략 원통형을 이루며, 그 내부에 스프링 부재(80)의 전체를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 수용부(65)는, 스프링 부재(80)의 전후 양단을 받치고 지지하는 전후 각각의 제1, 제2 스프링 받침부(67, 68)를 갖고 있다. 제1, 제2 스프링 받침부(67, 68)는, 슬라이더(60)의 성형용 금형이 전후 방향으로 빠지는 것에 기인하여,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시에 있어서 서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65)의 전방부에는, 내측 및 하측으로 개방된 개방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65) 내에 스프링 부재(80)가 조립되면, 제1 스프링 받침부(67)의 하측에 스프링 부재(80)의 전단 하부가 노출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 하우징(10, 90)의 감합 과정에서는, 제2 하우징(90)의 압박부(94)가 스프링 부재(80)의 전단 하부를 압입하면서 개방부(66) 내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스프링 받침부(68)는, 스프링 부재(80)의 후단 하부에 접촉하여 스프링 부재(80)의 스프링력을 받아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아암부(62)에는, 스프링 수용부(65)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상승하는 한쌍의 보호벽(73)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제1 하우징(10)에 조립된 경우에, 양 보호벽(73)이 로크 아암(17)의 폭방향 양단을 덮도록 위치하게 되어 있다.
또한, 양 아암부(62)의 상단부에는, 슬라이더(60)의 이동을 안내 가능한 한쌍의 가이드 본체(74)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본체(74)는, 양 보호벽(73)의 상단으로부터 일단 외측으로 튀어 나온 후 아래로 쳐진 단면이 대략 원호형을 이루고 있다. 슬라이더(60)가 제1 하우징(10)에 조립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본체(74)와 보호벽(73)의 사이에 가이드 리브(31)가 감합 상태로 삽입되고, 슬라이더(60)의 이동 과정에서는, 가이드 리브(31)가 가이드 본체(74)와 보호벽(73)과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더(60)의 이동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 아암부(62)의 후단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측으로 계단형으로 경사진 압입 조작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압입 조작부(75)가 전방으로 압박됨으로써, 슬라이더(60)가 초기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초부(61)에는, 슬라이더(60)의 감합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초기 위치 유지부(76)가 휨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위치 유지부(76)는, 기초부(61)의 상면의 폭방향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캔틸레버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위치 유지부(76)의 선단부에는, 계지 돌기(77)가 아래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계지 돌기(77)가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25)에 후크식으로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초기 위치 유지부(76)의 선단부의 전면에는, 아래로 향해 경사진 경사면(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초기 위치 유지부(76)는, 기초부(61)에 연결된 기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의 영역에 걸쳐서 상부의 두께를 점차 증가시킨 사다리꼴의 패딩부(78)를 갖고 있다.
실시예 1의 커넥터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계속해서 커넥터의 조립 방법 및 감합 작업을 설명한다.
우선, 슬라이더(60)의 스프링 수용부(65)에 스프링 부재(80)가 수용된다. 스프링 부재(80)는, 개방부(66)를 통해서 스프링 수용부(65)에 삽입된다. 그러면, 스프링 부재(80)의 전단이 제1 스프링 받침부(67)에 지지되고, 스프링 부재(80)의 후단이 제2 스프링 받침부(68)에 지지된다.
계속해서, 제1 하우징(10)의 가이드 공간(27)에 후방으로부터 슬라이더(60)가 삽입된다. 슬라이더(60)의 삽입 과정에서는, 기초부(61)가 로크 아암(17)의 해제 조작부(22)의 하측의 휨 공간(42)측에 위치함과 함께, 보호벽(73)이 가이드벽(26)과 로크 아암(17) 사이의 간극에 진입하고, 또한, 연결부(63)가 아암 본체(19)의 전단 상측에 위치한다. 슬라이더(60)가 정규로 조립되면, 초기 위치 유지부(76)가 관통 구멍(24)을 관통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 돌기(77)가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25)를 계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슬라이더(60)가 후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슬라이더(60)가 정규로 조립되면, 스프링 수용부(65)의 전단이 스토퍼벽(32)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슬라이더(60)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더(60)는, 제1 하우징(10)에 대하여 초기 위치에 그 전후 이동을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 슬라이더(6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 부재(80)는 그 전후 양단이 제1 스프링 받침부(67)와 제2 스프링 받침부(68)에 지지된다. 또한, 초기 위치에서는, 패딩부(78)가 로크 아암(17)에서의 해제 조작부(22)측의 휨 공간(42)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이것에 의해 로크 아암(17)의 휨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60)가 제1 하우징(10)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기초부(61) 및 양 아암부(62)의 각 상면이 해제 조작부(22)의 상단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노출되어 배치된다.
계속해서, 제1 하우징(10)의 감합 공간(13)에 제2 하우징(90)의 후드부(91)가 감합된다. 감합 과정에서는, 제2 하우징(90)의 압박부(94)가 스프링 수용부(65) 내에 진입하여, 스프링 부재(80)의 전단 하부에 압박부(94)가 접촉한다. 또한 감합이 진행되면, 스프링 부재(80)의 전단이 압박부(94)에 압박되어 제1 스프링 받침부(67)로부터 이격되고, 스프링 부재(80)가 제2 스프링 받침부(68)에 지지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그 동안, 스프링 부재(80)는, 슬라이더(60)에 대하여 스프링력을 부여한 상태로 그 스프링력을 축적시키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하우징(10, 90)의 감합 과정의 종반에는, 제2 하우징(90)의 해제부(96)가 초기 위치 유지부(76)의 선단부에 접촉하여 경사면(53)을 슬라이딩하고, 그에 따라 초기 위치 유지부(76)가 그 기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휨 변형된다.
그 후, 제1, 제2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 위치에 이르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아암(17)이 로크부(92)에 탄성적으로 계지되고, 제1, 제2 하우징(10, 90)이 빠짐 방지 상태로 유지된다. 동시에, 제1, 제2 단자 금구(20, 99)가 서로 정규 접속된다.
또한, 제1, 제2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 위치에 이르면, 초기 위치 유지부(76)의 계지 돌기(77)와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25)의 계지가 해제되고, 그에 따라, 스프링 부재(80)에 축적된 스프링력이 해방되어 스프링 부재(80)가 자연 상태로 복귀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프링 부재(80)의 복귀 동작에 따라, 슬라이더(60)의 제2 스프링 받침부(68)가 스프링 부재(80)에 압박되어 슬라이더(60) 전체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슬라이더(60)의 이동 과정에서는, 스프링 수용부(65)가 가이드벽(26)의 내면을 슬라이딩함과 함께, 보호벽(73)과 가이드 본체(74)에 가이드 리브(31)가 슬라이딩하고,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60)의 이동이 안내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감합 위치에 이르면, 스프링 부재(80)가 거의 자연 상태로 복귀한 상태가 되고, 또한, 로크 아암(17)의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23)가 슬라이더(60)의 감합 위치 유지부(64)에 접촉되고,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60)의 그 이상의 후퇴가 규제된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더(60)가 감합 위치에 이른 상태를 시인함으로써, 제1, 제2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 상태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60)가 감합 위치에 있을 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딩부(78)는, 로크 아암(17)의 해제 조작부(22)측의 휨 공간(42)에 위치하고, 해제 조작부(22)측의 하면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 상태로, 가령 로크 아암(17)의 해제 조작부(22)에 상측으로부터 이물질(손가락을 포함)이 우발적으로 접촉하더라도, 로크 아암(17)이 패딩부(78)와 접촉함으로써 그 이상의 휨 동작이 규제되어, 해제 조작부(22)가 부주의하게 해제 조작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가령 제1, 제2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 상태가 되기 전에 그 감합 조작을 정지하면, 감합 과정에서 축적된 스프링 부재(80)의 스프링력에 의해 압박부(94)가 압박 복귀되어, 제1, 제2 하우징(10, 90)이 서로 이반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 하우징(10, 90)이 반감합 상태인 채로 유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메인터넌스 등의 사정에 의해 제1, 제2 하우징(10, 90)을 서로 이격할 때에는, 우선 압입 조작부(75)를 손가락으로 눌러 슬라이더(60)를 전방을 향해 압입하도록 한다. 그러면, 스프링 부재(80)가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압박부(94)가 스프링 부재(80)에 압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60)의 전진에 따라, 해제 조작부(22)의 하측으로부터 패딩부(78)가 후퇴하여, 로크 아암(17)의 휨 동작이 허용된다. 그 상태로, 해제 조작부(22)를 눌러 로크 아암(17)의 전단부를 들어 올리면, 로크 돌기(21)가 로크부(92)로부터 이격된다. 이렇게 하여 로크 아암(17)의 로크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서, 스프링 부재(80)가 압박부(94)를 전방으로 압박하고, 그 압박력(스프링력)에 의해 제1 하우징(10)이 제2 하우징(90)으로부터 이반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감합 위치에 이르면, 슬라이더(60)의 연결부(63)에 설치된 감합 위치 유지부(64)가 로크 아암(17)의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23)에 접촉하여 슬라이더(60)가 빠져나가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슬라이더(60)가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더(60)의 기초부(61)에 설치된 초기 위치 유지부(76)가 하우징 본체(11)의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25)를 탄성적으로 계지하여 슬라이더(60)의 감합 위치로의 부주의한 이동이 규제된다. 이 경우에,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23)가, 종래와 달리 슬라이더(60)를 덮는 천장벽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커넥터로부터 천장벽이 생략된다. 또한, 기초부(61)가 로크 아암(17)과 하우징 본체(11) 사이의 데드 스페이스로 되어 있는 휨 공간(42)측에 삽입되고, 커넥터에 기초부(61)의 수용 스페이스가 특별히 설치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결부(63)와 기초부(61)를 연결하는 양 아암부(62)에 형성된 가이드 본체(74)에 의해 슬라이더(60)의 이동이 안내되기 때문에, 양 아암부(62)와는 별도로, 슬라이더(60)에 이동 안내를 위한 전용의 가이드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슬라이더(60)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60) 전체가 프레임형을 이루기 때문에, 슬라이더(60)가 형상 안정성이 우수하다. 더구나, 초기 위치 유지부(76)가 슬라이더(60)의 프레임 내에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 위치 유지부(76)의 주위가 보호된 상태가 되어, 초기 위치 유지부(76)가 이물질과의 간섭에 의해 파손되거나 하는 사태가 회피된다.
또한,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23)가 로크 아암(17)의 아암 본체(19)에 돌출되고, 감합 위치 유지부(64)가 연결부(63)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감합 위치에서 감합 위치 유지부(64)와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23)의 접촉 상태가 부주의하게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서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양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스프링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슬라이더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어도 좋다.
(2) 슬라이더는, 초기 위치로부터 감합 위치를 향해 전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3) 초기 위치 유지부의 선단부에는, 계지 돌기 대신에 계지 오목부가 형성되고,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는, 오목한 형태가 아니라, 계지 오목부에 후크 가능한 돌기형을 이루는 것이어도 좋다.
(4) 실시예 1과는 반대로, 감합 위치 유지부가 슬라이더의 연결부에 돌출되고,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가 상기 돌기형의 감합 위치 유지부가 진입 가능하도록 로크 아암의 선단부에 오목하게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10 : 제1 하우징 11 : 하우징 본체
17 : 로크 아암 23 :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
25 :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 42 : 휨 공간
60 : 슬라이더 61 : 기초부
62 : 아암부 63 : 연결부
64 : 감합 위치 유지부 76 : 초기 위치 유지부
80 : 스프링 부재 90 : 제2 하우징
91 : 후드부 92 : 로크부
96 : 해제부

Claims (4)

  1. 로크부를 갖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감합(嵌合) 가능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초기 위치와 감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1, 제2 하우징이 정규 감합됨에 따라,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감합 위치로 이동되는 슬라이더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이 외측에 끼워지는 것이 가능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와의 사이에 휨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부를 탄성적으로 계지(係止)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하우징을 감합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아암을 가지며,
    상기 로크 아암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와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로크 아암과 대향하는 면에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휨 공간측에 삽입되는 폭방향을 따른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폭방향 양쪽 단부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아암부와, 상기 양 아암부의 돌출단부끼리 연결하여 상기 로크 아암의 상기 반대측의 면에 면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기초부에는,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 유지 받침부를 탄성적으로 계지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감합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초기 위치 유지부가 휨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감합 위치에서 상기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가 빠져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감합 위치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로크 아암을 사이에 두고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가이드벽을 가지며, 상기 양 아암부가 상기 양 가이드벽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기초부와 상기 양 아암부와 상기 연결부로 전체적으로 프레임형을 이루며, 상기 초기 위치 유지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프레임 내에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는, 상기 로크 아암의 본체 부분에서 돌출되고, 상기 감합 위치 유지부는, 상기 감합 위치 유지 받침부가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57030477A 2013-05-08 2013-05-08 커넥터 KR101740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2976 WO2014181415A1 (ja) 2013-05-08 2013-05-08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399A KR20150134399A (ko) 2015-12-01
KR101740170B1 true KR101740170B1 (ko) 2017-05-25

Family

ID=5186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477A KR101740170B1 (ko) 2013-05-08 2013-05-08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43697B2 (ko)
EP (1) EP2996207A4 (ko)
JP (1) JP5863084B2 (ko)
KR (1) KR101740170B1 (ko)
CN (1) CN105191010B (ko)
WO (1) WO2014181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1089A1 (de) * 2015-01-22 2016-07-2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Zwischengehäuse mit einer CPA-Aufnahme und Steckverbindersysteme umfassend ein solches
JP6254982B2 (ja) * 2015-09-09 2017-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6117219A1 (de) * 2016-03-10 2017-09-14 Voss Automotive Gmbh Geführte Steckverbindung
CN106918080B (zh) * 2017-03-21 2018-01-09 绿瓴(北京)环保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装置
CN106731282B (zh) * 2017-03-24 2018-06-05 安徽原上草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装置
EP3637562B1 (en) * 2017-06-06 2022-09-07 Nippon Tanshi Co., Ltd. Connector structure
DE112018004653T5 (de) * 2017-08-31 2020-07-09 Yazaki Corporation Elementen-Verriegelungsstruktur
JP2019050169A (ja) * 2017-09-12 2019-03-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60409B2 (ja) * 2018-02-13 2020-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647188B1 (ko) * 2018-11-14 2024-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JP7066596B2 (ja) * 2018-11-16 2022-05-13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93377B2 (ja) * 2019-03-28 2022-01-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および基板実装方法
JP6936280B2 (ja) * 2019-06-04 2021-09-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4080732A (zh) * 2019-07-16 2022-02-22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连接器
JP7286086B2 (ja) * 2019-07-31 2023-06-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KR102440790B1 (ko) * 2021-02-26 2022-09-07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8779A (ja) 2000-06-16 2002-01-1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EP1248328A2 (en) 2001-04-04 2002-10-09 Yazaki Corporation Coupling Detector for Connector
EP1638175A2 (en) 2004-09-17 2006-03-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215A (ja) 1994-12-08 1996-06-21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3593959B2 (ja) * 2000-08-10 2004-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184526A (ja) 2000-12-11 2002-06-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656830B2 (ja) * 2001-02-16 2005-06-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804491B2 (ja) * 2001-08-22 2006-08-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19875B2 (ja) * 2005-03-14 2010-02-24 住友電装株式会社 嵌合検知コネクタ
JP5050820B2 (ja) 2007-12-05 2012-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4181416A1 (ja) * 2013-05-08 2014-11-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9515410B2 (en) * 2013-05-08 2016-12-0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with a slider releasably locked to a housing by a resilient stopper having two points of support for resilient defl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8779A (ja) 2000-06-16 2002-01-1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EP1248328A2 (en) 2001-04-04 2002-10-09 Yazaki Corporation Coupling Detector for Connector
EP1638175A2 (en) 2004-09-17 2006-03-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43697B2 (en) 2017-01-10
WO2014181415A1 (ja) 2014-11-13
JPWO2014181415A1 (ja) 2017-02-23
EP2996207A4 (en) 2016-04-27
EP2996207A1 (en) 2016-03-16
US20160079703A1 (en) 2016-03-17
KR20150134399A (ko) 2015-12-01
JP5863084B2 (ja) 2016-02-16
CN105191010A (zh) 2015-12-23
CN105191010B (zh) 2017-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170B1 (ko) 커넥터
KR101795202B1 (ko) 커넥터
JP5979526B2 (ja) コネクタ
JP2017027753A (ja) コネクタ
KR101797825B1 (ko) 커넥터
KR101797819B1 (ko) 커넥터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KR101723327B1 (ko) 커넥터
CN112152017B (zh) 连接器
KR101788931B1 (ko) 커넥터
KR101805990B1 (ko) 커넥터
KR20150115640A (ko) 커넥터
KR101795200B1 (ko) 커넥터
KR101746968B1 (ko) 커넥터
KR101810296B1 (ko) 커넥터
KR101746969B1 (ko) 커넥터
WO2014181409A1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