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990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990B1
KR101805990B1 KR1020150173202A KR20150173202A KR101805990B1 KR 101805990 B1 KR101805990 B1 KR 101805990B1 KR 1020150173202 A KR1020150173202 A KR 1020150173202A KR 20150173202 A KR20150173202 A KR 20150173202A KR 101805990 B1 KR101805990 B1 KR 10180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arm
housing
lock arm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439A (ko
Inventor
히데후미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6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본 발명은 검지 부재에 의한 감합 검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따르면, 하우징(10)에는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의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검지 부재(60)가 조립된다. 하우징(10)에는 로크 구멍(31)을 갖는 휨 가능한 로크 아암(23)이 설치되고, 검지 부재(60)에는 걸림부(72)를 갖는 휨 가능한 걸림 아암(62)이 설치되어 있다. 로크 아암(23)에는,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 중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걸림 아암(62)의 양 측면을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걸림 아암(62)의 휨 동작을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벽(35)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는, 제2 하우징(상대 하우징)과 감합 가능한 제1 하우징(하우징)과,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대기 위치보다 전방의 검지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하우징에는 로크 아암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로크 아암에는, 전단부에 면하는 위치에 로크 구멍이 형성되고, 로크 구멍을 사이에 둔 폭방향 양측에 한 쌍의 보강 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검지 부재에는 휨 부재(걸림 아암)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휨 부재의 전단부에는 걸림 돌기(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대 하우징에는 로크 돌기(상대 로크부)가 설치되어 있다.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로크 아암의 전단부가 로크 돌기와 간섭하여 로크 아암이 휨 변형되고, 또한 걸림 돌기가 로크 구멍에 진입하여 로크 구멍의 전단에 접촉함으로써,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유치된다.
양 하우징의 감합 완료시에는, 로크 아암의 복귀 동작에 따라 로크 돌기가 로크 구멍에 끼워져 걸림 돌기를 압출하고, 휨 부재가 휨 변형되어, 검지 부재의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해지고, 또한 양 하우징이 이탈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검지 부재가 대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면, 양 하우징이 정규의 감합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경우, 한 쌍의 보강 리브가 로크 아암의 전단부로부터 틸팅 지점보다 후방의 위치에 걸쳐 설치되고, 로크 아암의 전단부의 강성이 높아진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58263호 공보
그런데, 가령 휨 부재의 전후 길이가 길어지면, 그 만큼 휨 부재의 휨 동작이 커지기 때문에, 휨 부재가 폭방향으로 흔들리기 쉽다. 상기 경우는, 로크 아암에 한 쌍의 보강 리브가 설치되어 있지만,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는, 휨 부재의 전단부의 양측 바깥쪽에 보강 리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휨 부재의 폭방향의 흔들림을 규제할 수 없다. 따라서, 휨 부재의 전후 길이가 길어지면, 휨 부재가 폭방향으로 흔들릴 가능성이 있고, 최악의 경우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이르지 않을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검지 부재에 의한 감합 검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대 로크부를 갖는 상대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에 감합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로크 아암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의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며, 걸림 아암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아암의 전단부에 면하는 위치에는 로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아암의 전단부에는 걸림부가 설치되고,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상기 로크 아암의 전단부가 상기 상대 로크부와 간섭함으로써 상기 로크 아암이 휨 변형되고, 또한 상기 걸림부가 상기 로크 구멍에 진입함으로써 상기 걸림 아암이 상기 로크 아암에 걸려서, 상기 검지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에 유치되고,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 완료시에는, 상기 로크 아암의 복귀 동작에 따라 상기 상대 로크부가 상기 로크 구멍에 끼워져 상기 걸림부를 압출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걸림 아암이 상기 로크 아암과의 걸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휨 변형되어, 상기 검지 부재의 상기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또한 상기 양 하우징이 이탈 규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커넥터로서, 상기 로크 아암에는, 상기 검지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와 상기 검지 위치 중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걸림 아암의 양 측면을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걸림 아암의 휨 동작을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벽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검지 부재가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 중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로크 아암의 양 가이드벽이 걸림 아암의 양 측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걸림 아암의 휨 동작을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 아암이 휨 동작시에 측방(폭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걸림 아암의 휨 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되어, 검지 부재에 의한 감합 검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검지 부재가 대기 위치에 조립된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하우징에 상대 하우징이 감합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하우징에 상대 하우징이 정규 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하우징에 상대 하우징이 감합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로부터 감합이 더 진행되어, 로크 아암이 휨 변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하우징에 상대 하우징이 정규 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검지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검지 부재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검지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와 상기 검지 위치 중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걸림 아암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벽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걸림 아암이 양 가이드벽에 의해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의 커넥터는, 상대 하우징(40)과, 상대 하우징(40)에 감합 가능한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검지 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양 하우징(10, 40)이 감합 개시시에 서로 마주보는 면측을 전측으로 하고,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도 1, 도 7~도 11, 도 13 및 도 14를 기준으로 하고, 좌우 방향에 관해서는, 도 1, 도 11, 도 13 및 도 14를 기준으로 한다. 이 경우에, 상하 방향은 높이 방향과 동의(同義)이고, 좌우 방향은 폭방향과 동의이다.
상대 하우징(4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90)에 직결하여 설치되고, 전방으로 돌출된 통형상의 후드부(41)를 갖고 있다. 후드부(41) 내에는, 상대 단자 피팅(42)의 터브(43)가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후드부(41)의 상하 양 벽의 외면에는, 한 쌍의 상대 로크부(44)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양 상대 로크부(44) 중 상측의 상대 로크부(44)가, 하우징(10)의 후술하는 로크 아암(23)에 걸림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 상대 로크부(44)란 상측의 상대 로크부(44)를 말한다.
상대 로크부(4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을 따른 판편상(板片狀)의 상대 로크 본체(45)와, 상대 로크 본체(45)의 좌우 방향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판편상의 돌기부(46)를 포함하며, 평면에서 볼 때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 로크 본체(45)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솟아오르듯이 배치되어 있다. 상대 로크 본체(45)의 후면은 상단을 향해 약간 후방으로 경사지듯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46)는 측면에서 볼 때 직각삼각형을 이루며, 전연(前緣)이 후방을 향해 오르막 구배로 경사진 경사 가장자리(47)로 되어 있다. 경사 가장자리(47)의 전단(시단)은 후드부(41)의 상벽의 외면에 이어지고, 경사 가장자리(47)의 후단(종단)은 상대 로크 본체(45)의 상단에 이어져 있다.
하우징(1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하우징 본체(11)와, 하우징 본체(11)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형상의 감합 통부(12)와, 감합 통부(12)와 하우징 본체(11)를 연결하는 직경 방향을 따른 연결부(13)를 갖고 있다. 하우징 본체(11)의 전방부는, 감합 통부(12)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와 감합 통부(12)의 사이이자 연결부(13)의 전방의 공간에는, 상대 하우징(40)의 후드부(41)가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캐비티(14)가 마련되어 있다. 각 캐비티(14)는, 좌우로 쌍을 이루어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티(14)의 내벽 하면에는, 감합 통부(12)보다 전방에, 휨 가능한 랜스(15)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의 캐비티(14) 내에는 후방으로부터 단자 피팅(16)이 삽입된다.
단자 피팅(16)은 도전 금속제이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루고, 전단부에 통형상의 단자 본체(17)가 설치되고, 후단부에 오픈 배럴형의 배럴부(18)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 본체(17)에는, 양 하우징(10, 40)의 정규 감합시에 상대 단자 피팅(42)의 터브(43)가 삽입되어 접속된다. 배럴부(18)는, 전선(20)의 단말부 및 고무 마개(19)에 압착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단자 피팅(16)이 캐비티(14)에 정규 삽입되면, 단자 본체(17)가 랜스(15)에 의해 탄성적으로 걸리고, 이것에 의해 단자 피팅(16)이 캐비티(14) 내에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로 수용된다. 또한, 단자 피팅(16)이 캐비티(14)에 정규 삽입되면, 고무 마개(19)가 캐비티(14)의 후단부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캐비티(14) 내가 액밀하게 시일되고, 또한 전선(20)이 하우징 본체(11)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에는 전방으로부터 프론트 리테이너(21)가 부착된다. 프론트 리테이너(21)가 랜스(15)의 휨 공간에 진입함으로써 랜스(15)의 휨 동작이 규제되고, 단자 피팅(16)이 캐비티(14) 내에 이차적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에는 고무제의 시일 링(22)이 끼워져 부착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하우징(10, 40)의 정규 감합시에는, 후드부(41)와 하우징 본체(11)의 사이에 시일 링(22)이 직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양 하우징(10, 40) 사이가 액밀하게 시일된다.
하우징 본체(11)의 상측에는 로크 아암(23)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아암(23)은, 하우징 본체(11)의 상면으로부터 세워진 레그부(24)와, 레그부(24)의 상단으로부터 전후 양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크 아암 본체(25)를 포함한다. 로크 아암 본체(25)는, 레그부(24)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시소형으로 요동 변위 가능(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의 후단은 로크 아암 본체(25)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하우징 본체(11)의 후단부의 상면에는 검지 부재(60)가 슬라이딩 가능한 영역이 상측에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로크 아암 본체(25)의 상부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로크 아암 본체(25)의 후단에 개구된 제1 홈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홈부(26)는, 후단측[후술하는 이동 규제부(36)에 의해 덮이는 측]을 제외하고 로크 아암 본체(25)의 상면에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홈부(26)의 전단은,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로크 아암 본체(25)의 하부에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에 개구된 제2 홈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홈부(28)의 후단은, 로크 아암 본체(25)의 하벽부(29)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로크 아암 본체(25)의 하벽부(29)는, 레그부(24)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제1 홈부(26)의 전단측의 하면을 구획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벽부(29)에는, 그 전면[후술하는 후방 멈춤부(33)]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부(30)가 솟아오르듯이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30)는, 제1 홈부(26)에 면하도록 하벽부(29)의 상면에도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30)의 안쪽 면[후방 멈춤부(33)의 일부를 구성]은, 하단을 향해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아암 본체(25)에는, 전단부(27)에 면하는 위치에 로크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구멍(31)은, 제1 홈부(26)와 제2 홈부(28)가 서로 연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하우징(10, 40)의 정규 감합시에는 로크 구멍(31)에 상대 로크부(44)가 끼워져, 양 하우징(10, 40)이 이탈 규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아암 본체(25)의 로크 구멍(31)을 사이에 둔 전후 양측 중, 전측에는 전방 멈춤부(32)가 설치되고, 후측에는 후방 멈춤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멈춤부(32)는, 로크 구멍(31)의 전면이자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의 후면으로 구성되고, 제1 홈부(26)의 전단을 폐색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멈춤부(33)는, 로크 구멍(31)의 후면이자 로크 아암 본체(25)의 하벽부(29)의 전면으로 구성되고, 제2 홈부(28)의 후단을 폐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멈춤부(32)와 후방 멈춤부(33)는 각각 로크 아암 본체(25)의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전방 멈춤부(32) 및 후방 멈춤부(33)[오목부(30)의 안쪽 면을 제외함]는, 모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후술하는 걸림 아암(62)의 걸림부(72)가, 전방 멈춤부(32)에 접촉함으로써 검지 부재(60)의 전진이 규제되고(도 10을 참조), 후방 멈춤부(33)에 접촉함으로써 검지 부재(60)의 후퇴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도 5를 참조). 그리고, 전방 멈춤부(32)는, 제1 홈부(26)를 성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금형이 후방으로 빠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후방 멈춤부(33)는, 제2 홈부(28)를 성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금형이 전방으로 빠지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아암 본체(25)의 좌우 양쪽 단부에는, 제1 홈부(26)와 제2 홈부(28)의 각각의 양 측면을 구획하는 한 쌍의 측벽부(34)가 마련되어 있다. 양 측벽부(34)의 상면에는, 제1 홈부(26)에 면하는 내측 가장자리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벽(35)이 기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벽(35)은,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으로부터 후술하는 이동 규제부(36)에 걸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판편상을 이루며, 전체 길이에 걸쳐 거의 일정한 높이 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에 검지 부재(60)가 조립되면, 양 가이드벽(35) 사이에 검지 부재(60)의 걸림 아암(62)이 배치되고(도 1 및 도 2를 참조), 걸림 아암(62)의 휨 동작이 양 가이드벽(35)에 의해 가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는 블록형을 이루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측벽부(34)의 전단부 사이에 걸쳐 있다(도 12를 참조). 또한, 로크 아암 본체(25)의 하벽부(29)는 판편상을 이루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측벽부(34)의 전단부 근처의 부분 사이에 걸쳐 있다(도 12를 참조).
로크 아암 본체(25)의 후단부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규제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규제부(36)는, 제1 홈부(26)의 후단부의 상면을 구획하는 판편상을 이루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가이드벽(35) 사이에 걸쳐 있다. 이동 규제부(36)의 상면에는 수용 홈(37)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수용 홈(37)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동 규제부(36)의 후단에 개구된 형태로 되어 있다. 수용 홈(37)의 전면은, 상단을 향해 약간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동 규제부(36)의 수용 홈(37)에는, 검지 부재(60)의 후술하는 조작 아암(66)이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 통부(12)의 상부에는, 로크 아암(23)을 사이에 둔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외측벽(38)이 기립하여 설치되고, 또한 양 외측벽(38)의 전방부의 상단 사이에 평판형의 천장벽(39)이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로크 아암(23)의 전방부측은, 양 외측벽(38)과 천장벽(39)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되어,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된 상태로 되어 있다.
계속해서, 검지 부재(60)에 관해 설명한다. 검지 부재(60)는 합성 수지제이며,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 양 외측벽(38) 및 천장벽(39)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검지 부재(60)는, 로크 아암 본체(25)의 상면 및 제1 홈부(26)의 홈면을 슬라이딩하여, 대기 위치(도 1~도 3, 도 5, 도 7, 도 8 및 도 10을 참조)와, 대기 위치보다 후방의 검지 위치(도 4, 도 6 및 도 9를 참조)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3~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부재(60)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른 베이스부(61)와, 베이스부(61)의 좌우 방향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걸림 아암(62)과, 베이스부(61)의 좌우 방향 양쪽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 통부(63)와, 연장 통부(63)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기립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기립 벽부(64)와, 양 기립 벽부(64)의 상단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한 쌍의 지지부(65)를 통해 연결된 조작 아암(66)을 포함한다.
연장 통부(63)에는, 도시하지 않은 압박 부재가 전후 방향을 따라서 수용되어 있다. 압박 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전후 양쪽 단부가 연장 통부(63)의 전후 양쪽 단부측에 지지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통부(63)의 하면에는, 압박 부재를 내부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구(68)가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 통부(63)의 하면에는, 조립구(68)의 후방에 빠짐 방지 돌기(69)가 설치되어 있다.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 빠짐 방지 돌기(69)가 하우징(10)의 도시하지 않은 돌기 수용부에 걸림으로써, 검지 부재(60)가 하우징(10)으로부터 후방으로 탈락하는 것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아암(66)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의 압박 조작부(70)와, 압박 조작부(70)의 전단의 좌우 방향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71)를 포함한다. 양 지지부(65)는 압박 조작부(70)의 전단측의 좌우 양쪽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조작 아암(66)은 양 지지부(65)를 중심으로 하여 시소형으로 요동 변위 가능(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돌기(71)는, 압박 조작부(70)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후 앞부분이 처지는 만곡형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는, 결합 돌기(71)의 전단 가장자리가 이동 규제부(36)의 수용 홈(37)에 진입하여 수용 홈(37)의 전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검지 부재(60)의 대기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도 8 및 도 9에는 결합 돌기(71)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압박 조작부(70)가 하측으로 압박되면, 조작 아암(66)이 시소형으로 요동하여 결합 돌기(71)가 수용 홈(37)으로부터 이격되어, 검지 부재(60)의 대기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우발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있는 경우, 상대 로크부(44)가 로크 아암 본체(25)의 로크 구멍(31)에 끼워져 양 하우징(10, 40)이 정규 감합되지만, 압박 조작부(70)가 하측으로 압박되면, 로크 아암 본체(25)의 후단부도 하측으로 압박되어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가 들어 올려지고,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와 상대 로크부(44)의 걸림이 해제되어, 양 하우징(10, 40)이 이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아암(62)은, 베이스부(61)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캔틸레버형의 대략 각기둥형을 이루며, 베이스부(61)의 전단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아암(62)의 전단측에는 걸림부(72)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72)는, 걸림 아암(62)의 중간부로부터 일체로 연속된 선단 걸림부(73)와, 선단 걸림부(73)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부(74)를 포함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걸림부(73)의 전면은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방 멈춤부(32)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걸림 돌기부(74)는, 선단 걸림부(73)의 전면보다 후방으로 물러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돌기부(74)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의 걸림 본체(75)와, 걸림 본체(75)의 후면의 좌우 방향 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판편상의 돌출부(76)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걸림 돌기부(74)가 로크 아암 본체(25)의 후방 멈춤부(33)에 전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검지 부재(60)의 후퇴(검지 위치로의 이동)가 규제된다. 걸림 본체(75)의 후면(돌출부(76)의 후면을 제외함)은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대기 위치에서는 로크 아암 본체(25)의 후방 멈춤부(33)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본체(75)의 전면은, 하단을 향해 후방으로 경사진 사면이며, 대기 위치에서는 제2 홈부(28)에 면하고, 전방으로 노출되어 배치된다. 도 5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본체(75)에는,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여유 홈(77)이 솟아오르듯이 형성되어 있다. 여유 홈(77)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홈형상을 이루며, 걸림 본체(75)의 하면에도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여유 홈(77)에는, 양 하우징(10, 40)의 감합 과정에서, 상대 로크부(44)의 돌기부(46)가 진입하여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7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형을 이루며, 후면이 하단을 향해 약간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돌출부(76)가 오목부(30)에 진입하여, 돌출부(76)의 후면이 오목부(30)의 안쪽 면에 대면하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검지 부재(60)에는,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아암(62)의 선단 걸림부(73)로부터 세워진 후 전방으로 돌출된 접촉부(78)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78)는, 걸림 아암(62)의 상면과 단차형으로 이어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편상의 형태로 되어 있다. 접촉부(78)의 하면은, 걸림 아암(62)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의 상면에 대면하여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부(78)의 하면은, 선단 걸림부(73)의 전면과 대략 직각으로 이어지고, 선단 걸림부(73)의 전면과 함께 단면이 대략 L자형을 이루는 각진 오목부(79)를 형성하고 있다.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의 상측 각부가 각진 오목부(79)에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접촉부(78)의 상면은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접촉부(78)의 후면이, 걸림 아암(62)의 상면으로부터 접촉부(78)의 상면에 걸쳐서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검지 부재(60) 중, 접촉부(78)의 후면보다 후방의 영역은 여유 공간(80)으로서 개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양 하우징(10, 40)의 감합에 앞서, 검지 부재(60)가 하우징(10)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대기 위치에 조립된다.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로 향하는 과정에서는, 걸림 아암(62)이 로크 아암 본체(25)의 양 가이드벽(35) 사이의 제1 홈부(26)에 삽입되고, 걸림 돌기부(74)가 하벽부(29)에 접촉함으로써 걸림 아암(62)이 상측으로 휨 변형된다.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이르면, 걸림 아암(62)이 탄성 복귀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72)가 로크 구멍(31)에 끼워지고, 선단 걸림부(73)의 전면이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방 멈춤부(32)에 후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며, 접촉부(78)의 하면이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에 상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각진 오목부(79)에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의 상측 각부가 위치 결정 상태로 감합된다. 또한, 대기 위치에서는, 걸림 돌기부(74)의 후면[돌출부(76)의 후면을 포함함]이 로크 아암 본체(25)의 후방 멈춤부(33)[오목부(30)의 안쪽 면을 포함함]에 전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서 전후 양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하우징(10)에 대하여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검지 부재(60)의 여유 공간(80)에 로크 아암(23)의 이동 규제부(36)가 진입하여, 이동 규제부(36)와 접촉부(78)가 상하 방향에서 서로 중합되도록 배치된다(도 7을 참조). 또한, 대기 위치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아암(62)을 사이에 둔 좌우 양측에, 걸림 아암(62)의 양 측면을 덮도록 하여 양 가이드벽(35)이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 때, 걸림 아암(62)은 전체가 양 가이드벽(35)에 의해 덮여, 측면에서 볼 때에는 가이드벽(35)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도 7을 참조). 또한, 휨 변형하는 걸림 아암(62)의 측방에 근접하여 양 가이드벽(35)이 배치됨으로써, 걸림 아암(62)의 휨 동작이 가이드되어, 걸림 아암(62)이 측방(폭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대기 위치에서는, 압박 부재가 상대 하우징(40)에 전방으로부터 압박되어 탄성적으로 축소됨으로써 압박력이 축적되어, 걸림 돌기부(74)의 후면이 로크 아암 본체(25)의 후방 멈춤부(33)에 긴밀하게 압박 접촉된다.
계속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하우징 본체(11)가 상대 하우징(40)의 후드부(41) 내에 감합된다. 양 하우징(10, 40)의 감합 과정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 로크부(44)의 돌기부(46)의 경사 가장자리(47)가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를 슬라이딩하고, 그에 따라 로크 아암 본체(25)가 상측으로 휨 변형하여 전단부(27)가 경사 가장자리(47)에 얹히게 된다. 이 때, 접촉부(78)가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고, 또한 각진 오목부(79)에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의 상측 각부가 감합되어, 걸림 아암(62)이 로크 아암 본체(25)와 실질적으로 일체화되어 있는 것에 의해, 로크 아암(23)에 연동하여 걸림 아암(62)도 상측으로 휨 변형한다. 또한, 양 하우징(10, 40)의 감합 과정에서는, 상대 로크부(44)의 돌기부(46)가 걸림 돌기부(74)의 여유 홈(77)에 전방으로부터 진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것에 의해 상대 로크부(44)가 걸림 돌기부(74)와 간섭하는 것이 회피된다. 이 때문에, 양 하우징(10, 40)의 감합 과정에서는, 걸림 돌기부(74)가 로크 구멍(31)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유지되는 상태가 담보된다.
양 하우징(10, 40)이 정규 감합되면, 로크 아암(23)이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상대 로크부(44)의 상대 로크 본체(45)가 로크 구멍(31)에 하측으로부터 끼워지고, 그에 따라 걸림부(72)가 상대 로크부(44)에 의해 압출되고, 걸림 아암(62)이 휨 변형하여 걸림 돌기부(74)가 후방 멈춤부(33)로부터 이격된다. 이렇게 하여 걸림 아암(62)과 로크 아암(23)의 걸림이 해제된다. 또한, 걸림 돌기부(74)가 후방 멈춤부(33)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해방되어, 검지 부재(60)가 후퇴하여 검지 위치에 자동적으로 이르게 된다(도 9를 참조). 또한, 상대 로크부(44)의 상대 로크 본체(45)가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방 멈춤부(32)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양 하우징(10, 40)이 이탈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이르면, 상대 로크부(44)의 돌기부(46)가 하벽부(29)의 오목부(30)에 진입하여 벗어나며, 걸림 아암(62)이 하벽부(29)의 후방의 공간에 진입하고(도 6을 참조), 또한 조작 아암(66)의 결합 돌기(71)의 전단 가장자리가 이동 규제부(36)의 수용 홈(37)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며(도 4를 참조), 빠짐 방지 돌기(69)가 하우징(10)의 도시하지 않은 돌기 수용부에 걸린다. 이에 따라,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서 전후 양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검지 위치에 있어서도, 걸림 아암(62)은 그 전체가 양 가이드벽(35)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덮여 있어, 측면에서 볼 때 가이드벽(35)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도 9를 참조).
한편, 양 하우징(10, 40)이 정규 감합되지 않으면, 상대 로크부(44)가 로크 구멍(31)에 끼워지는 위치에 이르지 않고, 걸림 아암(62)의 걸림 돌기부(74)가 로크 아암 본체(25)의 후방 멈춤부(33)와 접촉하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유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있으면, 양 하우징(10, 40)이 정규 감합되어 있지 않고,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있으면, 양 하우징(10, 40)이 정규 감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있는 경우에, 걸림부(72)가 로크 구멍(31)에 진입하여, 선단 걸림부(73)의 전면이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방 멈춤부(32)에 접촉함으로써 검지 부재(60)의 전진이 규제되고, 걸림 돌기부(74)의 후면이 로크 아암 본체(25)의 후방 멈춤부(33)에 접촉함으로써 검지 부재(60)의 후퇴가 규제된다. 이 경우에, 전방 멈춤부(32)와 후방 멈춤부(33)가 로크 구멍(31)을 사이에 둔 전후 양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 구멍(31)을 공용하여, 대기 위치에 있는 검지 부재(60)의 전진 및 후퇴를 간단한 구조로 규제할 수 있다. 특히, 걸림 돌기부(74)의 후면이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로크 아암 본체(25)의 후방 멈춤부(33)에 접촉 고정됨으로써, 걸림부(72)가 로크 아암 본체(25)에 걸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전방 멈춤부(32)와 후방 멈춤부(33)가 상하 방향에서 서로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고, 전방 멈춤부(32)가 후방으로 빠지는 금형에 의해 제1 홈부(26)와 함께 성형되고, 후방 멈춤부(33)가 전방으로 빠지는 금형에 의해 제2 홈부(28)와 함께 성형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멈춤부(32)의 높이 범위[선단 걸림부(73)의 전면에 대한 걸림 마진]를 후방 멈춤부(33)의 높이 범위[걸림 돌기부(74)의 후면에 대한 걸림 마진]보다 크게 하는 등과 같은 조정이 가능해져,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
또한,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접촉부(78)가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에 상측으로부터 접촉하기 때문에 로크 아암 본체(25)의 전단부(27)가 상대 로크부(44)와 간섭하여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촉부(78)도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어, 로크 아암(23)의 휨 동작에 걸림 아암(62)의 휨 동작을 동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크 아암(23)과 검지 부재(60)의 일체성이 확보된다. 또한, 접촉부(78)가 걸림 아암(62)의 선단 걸림부(73)로부터 세워진 후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검지 부재(60)에서의 접촉부(78)의 후방 영역[여유 공간(80)]에 진입하는 형태로 이동 규제부(36)를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로크 아암(23)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이동 규제부(36)와 접촉부(78)가 상하 방향에서 서로 중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적으로 높아지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양 하우징(10, 40)의 감합 과정에서, 걸림 돌기부(74)의 여유 홈(77)에 돌기부(46)가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어, 상대 로크부(44)와 걸림 돌기부(74)의 간섭이 회피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72)가 로크 구멍(31)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걸림 아암(62)과 로크 아암(23)의 걸림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검지 부재(60)에 의한 감합 검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걸림 돌기부(74)의 전면이 상대 로크부(44)와 대향하는 위치에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 하우징(10, 40)의 감합 과정에서 걸림 돌기부(74)의 전면이 상대 로크부(44)의 경사 가장자리(47)에 부딪칠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따라서, 걸림 돌기부(74)에 여유 홈(77)을 형성함으로써, 상대 로크부(44)와 걸림부(72)의 간섭을 회피 가능하게 하는 것의 메리트는 크다.
또한,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 중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로크 아암(23)의 양 가이드벽(35)이 걸림 아암(62)의 양 측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걸림 아암(62)의 휨 동작을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 아암(62)이 휨 동작시에 측방(폭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걸림 아암(62)의 휨 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되어, 검지 부재(60)에 의한 감합 검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와 상기 검지 위치 중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걸림 아암(62)이 가이드벽(35)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 아암(62)이 양 가이드벽(35)에 의해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
이하, 다른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한다.
(1) 검지 부재는,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전진하여 검지 위치에 이르는 것이어도 좋다.
(2) 검지 부재는, 내부에 압박 부재가 수용되지 않고,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의 사이를 수동으로 이동하는 것이어도 좋다.
(3) 로크 아암에는, 상하 방향에서 접촉부와 중합되는 위치에, 이동 규제부 이외의 구조가 설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4) 전방 멈춤부와 후방 멈춤부 중의 한쪽 또는 양쪽이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도록 해도 좋다.
(5) 여유 홈은, 걸림 돌기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이어도 좋다.
(6) 본 발명은, 하우징에 시일 링이 장착되지 않고, 단자 피팅에 고무 마개가 접속되지 않은 비방수 타입의 커넥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10 : 하우징 11 : 하우징 본체
23 : 로크 아암 25 : 로크 아암 본체
26 : 제1 홈부 27 : (로크 아암의)전단부
28 : 제2 홈부 31 : 로크 구멍
32 : 전방 멈춤부 33 : 후방 멈춤부
35 : 가이드벽 36 : 이동 규제부
40 : 상대 하우징 44 : 상대 로크부
46 : 돌기부 47 : 경사 가장자리
60 : 검지 부재 62 : 걸림 아암
72 : 걸림부 77 : 여유 홈
78 : 접촉부 80 : 여유 공간

Claims (2)

  1. 상대 로크부를 갖는 상대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에 감합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로크 아암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의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며, 걸림 아암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아암의 전단부에 면하는 위치에는 로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아암의 전단부에는 걸림부가 설치되고,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상기 로크 아암의 전단부가 상기 상대 로크부와 간섭함으로써 상기 로크 아암이 휨 변형되고, 또한 상기 걸림부가 상기 로크 구멍에 진입함으로써 상기 걸림 아암이 상기 로크 아암에 걸려서, 상기 검지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에 유치되고,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 완료시에는, 상기 로크 아암의 복귀 동작에 따라 상기 상대 로크부가 상기 로크 구멍에 끼워져 상기 걸림부를 압출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걸림 아암이 상기 로크 아암과의 걸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휨 변형되어, 상기 검지 부재의 상기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또한 상기 양 하우징이 이탈 규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커넥터로서, 상기 로크 아암에는, 상기 검지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와 상기 검지 위치 중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걸림 아암의 양 측면을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걸림 아암의 휨 동작을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와 상기 검지 위치 중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걸림 아암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벽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50173202A 2014-12-22 2015-12-07 커넥터 KR101805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58646 2014-12-22
JP2014258646A JP6327521B2 (ja) 2014-12-22 2014-12-22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439A KR20160076439A (ko) 2016-06-30
KR101805990B1 true KR101805990B1 (ko) 2017-12-06

Family

ID=5624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202A KR101805990B1 (ko) 2014-12-22 2015-12-07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27521B2 (ko)
KR (1) KR101805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5972B2 (ja) * 2020-07-14 2024-02-01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カバ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3073A (ja) 2005-03-14 2006-09-21 Sumitomo Wiring Syst Ltd 嵌合検知コネクタ
JP2009158263A (ja) * 2007-12-26 2009-07-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303Y2 (ja) * 1989-08-09 1994-05-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結合確認装置
JP2524659B2 (ja) * 1990-10-12 1996-08-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5119788B2 (ja) * 2007-08-01 2013-01-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3073A (ja) 2005-03-14 2006-09-21 Sumitomo Wiring Syst Ltd 嵌合検知コネクタ
JP2009158263A (ja) * 2007-12-26 2009-07-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27521B2 (ja) 2018-05-23
KR20160076439A (ko) 2016-06-30
JP2016119235A (ja)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825B1 (ko) 커넥터
JP5863084B2 (ja) コネクタ
JP6287987B2 (ja) コネクタ
US9515410B2 (en) Connector with a slider releasably locked to a housing by a resilient stopper having two points of support for resilient deflection
JP5810980B2 (ja) コネクタ
JP2013187117A (ja) コネクタ
KR101778888B1 (ko) 커넥터
JP2016091819A (ja) コネクタ
KR101676941B1 (ko) 커넥터
KR101805990B1 (ko) 커넥터
KR101746968B1 (ko) 커넥터
KR101746969B1 (ko) 커넥터
US11056831B2 (en) Connector
KR101723327B1 (ko) 커넥터
KR101788931B1 (ko) 커넥터
JP6004279B2 (ja) コネクタ
KR101795200B1 (ko) 커넥터
JP634420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