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888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888B1
KR101778888B1 KR1020160087957A KR20160087957A KR101778888B1 KR 101778888 B1 KR101778888 B1 KR 101778888B1 KR 1020160087957 A KR1020160087957 A KR 1020160087957A KR 20160087957 A KR20160087957 A KR 20160087957A KR 101778888 B1 KR101778888 B1 KR 101778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housing
arm
pressing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035A (ko
Inventor
히데후미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감합 상태에 있는 양 하우징 사이의 갭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상대측 하우징(90)을 감합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아암(25)을 갖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검지 부재(60)를 구비한다. 로크 아암(25)에는, 압박 수취부(33)가 마련되어 있다. 검지 부재(60)에는, 검지 위치에 도달한 경우와, 검지 위치에서 대기 위치를 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 중 적어도 한쪽의 경우에, 압박 수취부(33)를 압박하여, 로크 아암(25)을 로크부와의 계지 마진(locking margin)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압박부(69)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는, 상대측 하우징과의 정규 감합(嵌合) 시에 상대측 하우징에 마련된 로크부를 탄성적으로 계지(係止)하여 양 하우징을 이탈 규제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아암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될 때까지는 대기 위치에 유지되며,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될 때에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검지 부재는, 대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하우징의 감합 방향이 되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양 하우징의 감합 도중에는, 검지 부재와 로크 아암의 계지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검지 부재의 검지 위치로의 이동(전진)이 규제된다. 따라서, 검지 부재의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상태에서는,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5119788호 공보
상기 경우에 있어서, 검지 위치에 있어서의 검지 부재에 대하여 대기 위치를 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전방측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면, 로크 아암이 전방으로 압박되어 로크부로부터 이격되어, 양 하우징 사이에 갭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감합 상태에 있는 양 하우징 사이의 갭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측 하우징에 정규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상대측 하우징에 마련된 로크부를 탄성적으로 계지하여 양 하우징을 유지하는 로크 아암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될 때까지는 상기 대기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될 때에 상기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아암에는, 압박 수취부가 마련되며, 상기 검지 부재에는, 상기 검지 위치에 도달한 경우와, 상기 검지 위치에서 상기 대기 위치를 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 중 적어도 한쪽의 경우에, 상기 압박 수취부를 압박하여, 상기 로크 아암을 상기 로크부와의 계지 마진(locking margin)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압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양 하우징의 감합 후, 압박부가 압박 수취부를 압박함으로써, 로크 아암이 로크부와의 계지 마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로크 아암과 로크부의 계지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양 하우징 사이의 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커넥터의 정면도.
도 2는 양 하우징의 감합 개시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양 하우징의 감합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 후,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를 향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 후,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이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로크 아암의 압박 수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단면도.
도 7은 하우징의 배면도.
도 8은 하우징의 평면도.
도 9는 하우징의 일부 파단 평면도.
도 10은 검지 부재의 정면도.
도 11은 검지 부재의 배면도.
도 12는 검지 부재의 평면도.
도 13은 검지 부재의 측면도.
도 14는 검지 부재의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압박부와 상기 압박 수취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검지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며, 다른 쪽과 슬라이딩하여 상기 로크 아암을 상기 로크부와의 계지 마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점차 변위시키는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로크 아암의 변위 동작의 원활성이 담보된다.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한 경우에, 상기 압박 수취부가 상기 로크 아암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고, 상기 압박부가 상기 검지 부재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로크 아암이 폭 방향으로 밸런스 좋게 변위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조립되어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검지 부재(60)와, 검지 부재(60)에 부착되어 검지 부재(60)를 검지 위치로 압박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편향 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상대측 하우징(90)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는, 양 하우징(10, 90)이 감합 개시 시에 서로 마주보는 면측을 전방측으로 하고, 상하 방향은, 도 8, 도 9 및 도 12를 제외한 각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폭 방향은, 도 1, 도 7, 도 10 및 도 11의 좌우 방향과 동의이다.
상대측 하우징(90)은 합성 수지제로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91)에 직결되어 전방으로 돌출하는 통형의 후드부(92)를 구비하고 있다. 후드부(92) 내에는 상대측 단자 금구(93)의 수형 탭(94)이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수형 탭(94)은, 후드부(92) 내에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후드부(92)의 상하 양 벽의 외면에는, 로크부(95)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0)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제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긴 하우징 본체(11)와, 하우징 본체(11)의 주위를 둘러싸는 감합 통부(12)와, 감합 통부(12)와 하우징 본체(11)를 잇는 연결부(13)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 본체(11)와 감합 통부(12) 사이에서, 또한 연결부(13)의 전방은, 상대측 하우징(90)의 후드부(92)가 감합 가능한 감합 공간(14)으로서 개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에는, 각 상대측 단자 금구(93)와 대응하는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캐비티(15)가 마련되어 있다. 캐비티(15)의 내벽 하면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외팔보형의 랜스(16)가 마련되어 있다. 캐비티(15) 내에는 후방으로부터 단자 금구(17)가 삽입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금구(17)는 전체로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형태가 되며, 전방부에 통형의 상자부(18)를 가지고, 후방부에 오픈 배럴형의 배럴부(19)를 가지고 있다. 상자부(18)에는, 전방으로부터 상대측 단자 금구(93)의 수형 탭(94)이 삽입되어 접속된다. 또한, 배럴부(19)에는, 전선(40)의 단말부에서 노출되는 코어선 부분 및 전선(40)의 단말부에 외부 끼움된 고무 마개(21)가 각각 압착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단자 금구(17)가 캐비티(15) 내에 정규 삽입되면, 상자부(18)에 랜스(16)가 탄성적으로 계지되어, 캐비티(15) 내에 단자 금구(17)가 빠짐 방지로 유지되며 고무 마개(21)가 액밀(液密)하게 삽입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에는, 전방으로부터 프론트 수용기(22)가 장착된다. 프론트 수용기(22)는 합성 수지제로서, 전체로서 캡형을 이루고, 하우징 본체(11)에 정규 장착되었을 때에, 랜스(16)의 휨 공간에 진입하여 랜스(16)의 휨 동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23)를 가지고 있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에는, 연결부(13)의 전방에, 시일 링(24)이 끼워 붙여져 있다. 시일 링(24)은, 연결부(13)의 전방에 마련된 단차 부분과 프론트 수용기(22)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거의 위치 결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양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되면, 하우징 본체(11)와 후드부(92) 사이에 시일 링(24)이 직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양 하우징(10, 90) 사이가 액밀하게 시일된다.
도 1, 도 2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상방에는, 로크 아암(25)이 마련되어 있다. 로크 아암(25)은, 하우징 본체(11)의 상면으로부터 기립하는 한쌍의 다리부(26)와, 양 다리부(26)의 상단으로부터 전후 양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본체(27)로 이루어진다. 이 로크 아암(25)은, 다리부(26)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시소형으로 틸팅 변위 가능(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 본체(27)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단으로 개구하는 로크 구멍(28)이 마련되어 있다. 로크 구멍(28)은, 아암 본체(27)의 상하 양면에도 개구하는 부분을 가지고, 아암 본체(27)의 하면에서는 바닥벽부(29)를 사이에 끼운 전후 양측으로 분단하여 마련되어 있다. 아암 본체(27)의 전단부에는, 로크 구멍(28)의 전방을 구획하는 위치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크 본체부(38)가 마련되어 있다.
도 2,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 본체(27)의 후단부에는, 로크 구멍(28)의 상방을 구획하는 위치에,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부(30)가 마련되어 있다. 판형부(30)의 상면에는, 바닥이 얕은 오목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31)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며, 아암 본체(27)의 후단으로 개구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31)의 전방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후퇴하는 역테이퍼형을 이루고 있다. 판형부(30)의 상면 중, 오목부(3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단 부분은, 검지 부재(60)의 후술하는 탄성 아암(65)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면(32)으로서 구성된다. 슬라이딩면(32)의 전방부는 후방을 향하여 곡면형을 이루고, 슬라이딩면(32)의 후방부는 전후 방향을 따른 평면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 본체(27)의 폭 방향 양 단부 가장자리에는, 한쌍의 압박 수취부(33)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박 수취부(33)는, 다리부(26)보다 전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긴 돌기형을 이루고, 검지 부재(60)의 후술하는 압박부(69)에 압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압박 수취부(33)의 상면은, 거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통부(12)의 상부에는, 로크 아암(25)의 전방부를 덮는 위치에, 천장부(34)가 마련되어 있다. 천장부(34)의 후방은 절결부(35)로서 개방되어 있고, 절결부(35)를 통하여 로크 아암(25)의 후방부를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통부(12)의 양 측부의 내면에는, 대략 호형의 가이드면(36)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의 상면에는, 로크 아암(25)을 사이에 끼운 폭 방향 양측에, 한쌍의 스토퍼부(37)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어서, 검지 부재(60)에 대해서 설명한다. 검지 부재(60)는 합성 수지제로서, 로크 아암(25)과 하우징 본체(11) 사이에 후방으로부터 조립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검지 부재(60)는,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판형의 기초부(61)와, 기초부(61)의 전단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계지 아암(62)과, 기초부(61)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연달아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편향 부재 수용부(63)와, 양 편향 부재 수용부(63)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한쌍의 측판부(64)와, 양 측판부(64)의 후방부 상단에 연결되는 탄성 아암(65)으로 이루어진다.
계지 아암(62)은,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각봉(角棒)형을 이루고, 기초부(61)의 전단을 지점으로 하여 휨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지 아암(62)은, 로크 아암(25)의 로크 구멍(28)에 후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지 아암(62)의 전단부에는, 계지 돌기(66)가 하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계지 아암(62)의 전단에는, 일단 상방으로 상승한 후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기(67)가 마련되어 있다.
편향 부재 수용부(63)는, 일부에 절결을 갖는 원통형을 이루며, 하우징(10)의 가이드면(36)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향 부재(80)는,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재로 이루어지고, 편향 부재 수용부(63)에 수용되어 있다. 편향 부재(80)의 전단은,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과정에서 후드부(92)에 압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편향 부재(80)의 후단은, 편향 부재 수용부(63)의 후방벽에 고정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향 부재 수용부(63)의 하단에는, 갈고리형의 빠짐 방지부(68)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68)는, 스토퍼부(37)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 판부(64)의 내면의 전단부에는, 한쌍의 압박부(69)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압박부(69)는, 전후 방향으로 긴 블럭형을 이루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박부(69)의 하면에는, 후방을 향하여 완만한 상향 구배가 되는 테이퍼형의 경사면(70)이 마련되어 있다. 압박부(69)는, 조립 시에 압박 수취부(33)와 상하 방향으로 랩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위치에서 압박 수취부(33)를 압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아암(65)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 판부(64)의 상단 사이에 가설되는 가설부(71)와, 가설부(71)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결합부(72)와, 가설부(71)로부터 후방으로 폭 넓게 돌출하는 조작부(73)로 이루어진다. 이 탄성 아암(65)은, 가설부(71)를 지점으로 하여 결합부(72)와 조작부(73)가 상하 이동하는 방향으로 시소형으로 틸팅 변위 가능(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72)는, 가설부(71)로부터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돌기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조작부(73)는, 단면 산형의 후육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조작부(73)의 상면은, 검지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를 향할 때에 압박되는 조작면(74)으로서 구성된다. 조작면(74)은, 곡면형의 꼭대기부(75)와, 꼭대기부(75)로부터 전방측[가설부(71)측]을 향하여 하향 구배로 테이퍼형으로 길게 연장되는 전방측 사면부(76)와, 꼭대기부(75)로부터 후단에 걸쳐 하향 구배로 만곡형으로 짧게 연장되는 후방측 사면부(77)로 이루어진다. 조작면(74)[전방측 사면부(76), 꼭대기부(75) 및 후방측 사면부(77)]은, 전체로서 곡면형을 이루고, 실질적으로 단차 없이 완만하게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73)의 하면은, 거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플랫면(78)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10)에 후방으로부터 검지 부재(60)가 조립된다.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에 이르면, 계지 돌기(66)가 바닥벽부(29)의 전방의 로크 구멍(28)에 탄성적으로 끼워 넣어지며, 탄성 아암(65)의 가설부(71) 및 조작부(73)가 판형부(30)의 상방을 덮도록 배치되고, 또한, 탄성 아암(65)의 결합부(72)가 판형부(30)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도 2를 참조). 또한, 대기 위치에서는, 압박부(69)가 압박 수취부(33)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돌기(67)가 로크 아암(25)의 로크 본체부(38)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여 지지된다. 편향 부재(80)는, 편향 부재 수용부(63) 내에 약간 줄어든 상태로 배치된다.
이어서, 하우징 본체(11)가 후드부(92) 내에 감합된다. 감합 개시 시에 편향 부재(80)의 전단에 후드부(92)의 개구단이 접촉하고, 감합의 진행과 함께, 편향 부재(80)가 후드부(92)에 압박되어 줄어들며, 편향 부재(80)에 편향력이 축적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도중에는, 로크 아암(25)의 로크 본체부(38)가 로크부(95)에 올라앉아, 로크 아암(25)이 휨 변형된다. 이 동안, 계지 돌기(66)가 바닥벽부(29)의 전방의 로크 구멍(28)에 끼워 넣어진 상태가 유지되고, 계지 아암(62)이 로크 아암(25)에 추종하여 휨 변형된다.
그 후, 양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 위치에 이르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95)가 바닥벽부(29)의 전방의 로크 구멍(28)에 삽입되고, 계지 돌기(66)가 로크부(95)에 압박되어 바닥벽부(29)와의 계지를 해제한다. 그에 따라, 편향 부재(80)가 편향력을 해방하여 신장되어, 검지 부재(60)의 전체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검지 부재(60)의 후퇴 시에는, 편향 부재 수용부(63)가 가이드면(36)을 슬라이딩하며, 기초부(61)가 하우징 본체(11)의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지 돌기(66)가 바닥벽부(29)의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계지 아암(62)의 휨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이르기 직전에는, 결합부(72)의 선단 부분이 판형부(30)의 슬라이딩면(32)을 슬라이딩하여, 탄성 아암(65)이 시소형으로 휨 변형된다. 이렇게 하여 탄성 아암(65)이 슬라이딩면(32)을 슬라이딩함으로써, 검지 부재(60)와 로크 아암(25) 사이에 슬라이딩 저항이 발생하여, 검지 위치를 향하는 편향 부재(80)의 이동 속도가 감속된다.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이르면, 편향 부재(80)가 거의 자연 상태로 되돌아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지 아암(62)이 탄성 복귀되어 계지 돌기(66)가 바닥벽부(29)의 후방의 로크 구멍(28)에 끼워 넣어지며, 탄성 아암(65)이 탄성 복귀하여 결합부(72)가 판형부(30)의 오목부(31)에 끼워 넣어진다.
또한,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이르면, 빠짐 방지부(68)가 스토퍼부(37)에 닿아 멈춰지지만, 이때, 상기 탄성 아암(65)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만큼, 검지 부재(60)의 이동 속도가 늦춰지기 때문에, 빠짐 방지부(68)가 닿아 멈춰질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이르기 직전부터 검지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압박부(69)의 경사면(70)이 압박 수취부(33)를 슬라이딩시켜, 압박 수취부(33)가 하방으로 압박되고, 로크 아암(25)이 약간 전방 하향 방향으로 틸팅된다(도 6을 참조). 이에 의해, 로크부(95)가 로크 구멍(28)에 의해 깊게 들어가는 것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검지 부재(60)에 대하여,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대기 위치를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외력(인장력)이 작용하면, 압박부(69)가 더욱 압박 수취부(33)를 슬라이딩시켜, 로크 아암(25)이 로크 본체부(38)와 로크부(95)의 계지 마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더 휨 변형된다. 그 결과, 로크 아암(25)과 로크부(95) 사이의 간극이 매워져, 양 하우징(10, 90) 사이의 갭이 억제된다.
그런데, 검지 위치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72)가 오목부(31)에 삽입됨으로써, 검지 부재(60)의 대기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그래서, 조작부(73)의 조작면(74)이 하방으로 압박되면, 탄성 아암(65)이 시소형으로 휨 변형되고, 결합부(72)가 오목부(31)로부터 빠져나간다. 그 상태로, 조작부(73)의 조작면(74)이 전방으로 압박되면, 검지 부재(60)가 편향 부재(80)의 편향력에 대항해서 전진하여 대기 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후,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이르렀을 때 및 검지 위치로부터 더 후퇴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압박부(69)가 압박 수취부(33)를 압박함으로써, 로크 아암(25)이 로크부(95)와의 계지 마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로크 아암(25)과 로크부(95)의 계지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양 하우징(10, 90) 사이의 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박부(69)의 경사면(70)이 압박 수취부(33)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로크 아암(25)의 변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압박 수취부(33)가 로크 아암(25)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고, 압박부(69)가 검지 부재(60)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 아암(25)이 폭 방향으로밸런스 좋게 변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이르는 과정에서, 탄성 아암(65)이 로크 아암(25)의 슬라이딩면(32)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검지 부재(60)의 이동 속도가 늦춰져, 검지 위치에 이르는 검지 부재(60)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검지 부재(60)가 검지 위치에 이르기 전의 짧은 시간 내에 탄성 아암(65)이 슬라이딩면(32)을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검지 부재(60)의 이동 동작의 원활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아암(65)이 검지 부재(60)를 검지 위치에 유지시키는 결합부(72)를 가지며, 대기 위치로의 이동 시에 압박되는 조작면(74)을 가지고 있고, 탄성 아암(65)에 복수 기능이 집약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의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73)의 조작면(74)이 전체로서 단차가 없는 곡면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조작면(74)에 전선(40) 등이 걸리기 어려워, 탄성 아암(65)과 오목부(31)의 계지가 부주의하게 해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검지 부재(60)가 대기 위치로 우발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하, 다른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한다.
(1) 탄성 아암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은, 하우징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 이외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2) 로크 아암이 로크부와의 계지 마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휨 변형되는 것은,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도달한 경우만이어도 좋고, 혹은, 검지 부재가 대기 위치를 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외력이 작용한 경우만이어도 좋다.
(3) 경사면은, 압박부뿐만 아니라, 압박 수취부에도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경사면은, 압박부에는 마련되지 않고, 압박 수취부에만 마련되어도 좋다.
(4) 검지 부재가 초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5) 편향 부재는, 일단이 하우징에 지지되고, 타단이 편향 부재에 지지됨으로써, 하우징과 편향 부재 사이에 걸쳐 조립되는 것이어도 좋다.
10 : 하우징
11 : 하우징 본체
25 : 로크 아암
31 : 오목부
32 : 슬라이딩면
33 : 압박 수취부
60 : 검지 부재
62 : 계지 아암
65 : 탄성 아암
69 : 압박부
70 : 경사면
74 : 조작면
80 : 편향 부재
90 : 상대측 하우징
95 : 로크부

Claims (3)

  1. 상대측 하우징에 정규 감합(嵌合)되었을 때에, 상기 상대측 하우징에 마련된 로크부를 탄성적으로 계지(係止)하여 양 하우징을 유지하는 로크 아암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될 때까지는 상기 대기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될 때에 상기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아암에는, 압박 수취부가 마련되며,
    상기 검지 부재에는, 상기 검지 위치에 도달한 경우와, 상기 검지 위치에서 상기 대기 위치를 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에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 중 적어도 한쪽의 경우에, 상기 압박 수취부를 압박하여, 상기 로크 아암을 상기 로크부와의 계지 마진(locking margin)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압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와 상기 압박 수취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검지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다른 쪽과 슬라이딩하여 상기 로크 아암을 상기 로크부와의 계지 마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점차 변위시키는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한 경우에, 상기 압박 수취부가 상기 로크 아암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고, 상기 압박부가 상기 검지 부재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60087957A 2015-07-22 2016-07-12 커넥터 KR101778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44581 2015-07-22
JP2015144581A JP6287988B2 (ja) 2015-07-22 2015-07-22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035A KR20170012035A (ko) 2017-02-02
KR101778888B1 true KR101778888B1 (ko) 2017-09-14

Family

ID=5783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957A KR101778888B1 (ko) 2015-07-22 2016-07-12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05253B2 (ko)
JP (1) JP6287988B2 (ko)
KR (1) KR101778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943A (ko) 2022-07-18 2024-01-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0097B2 (en) * 2015-03-17 2021-08-17 Covidien Lp Connecting end effectors to surgical devices
JP6839292B2 (ja) * 2017-08-31 2021-03-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JP6876659B2 (ja) * 2018-08-24 2021-05-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7825A1 (en) 2002-02-21 2003-08-21 Kane Vincent Michae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latch
US20090035980A1 (en) 2007-08-01 2009-02-0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09037836A (ja) 2007-08-01 2009-02-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9788A (ja) 1991-10-28 1993-05-18 Sony Corp 送受信装置
US6068507A (en) * 1996-11-04 2000-05-30 Molex Incorporated Housing adapted to an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EP1176676B1 (en) * 2000-07-24 2005-04-27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JP3976134B2 (ja) * 2001-09-05 2007-09-12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3991911B2 (ja) * 2002-07-17 2007-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01053B2 (ja) * 2002-08-05 2007-04-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140571A (ja) * 2006-11-30 2008-06-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5050820B2 (ja) * 2007-12-05 2012-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19909B2 (ja) * 2007-12-26 2013-01-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10959B2 (ja) * 2010-09-28 2014-10-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5079710A (ja) * 2013-10-18 2015-04-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9362676B2 (en) * 2014-09-04 2016-06-07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7825A1 (en) 2002-02-21 2003-08-21 Kane Vincent Michae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latch
US20090035980A1 (en) 2007-08-01 2009-02-0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09037836A (ja) 2007-08-01 2009-02-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943A (ko) 2022-07-18 2024-01-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87988B2 (ja) 2018-03-07
US20170025793A1 (en) 2017-01-26
KR20170012035A (ko) 2017-02-02
US9705253B2 (en) 2017-07-11
JP2017027755A (ja)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866B1 (ko) 커넥터
JP5751196B2 (ja) コネクタ
JP6119670B2 (ja) コネクタ
KR101795202B1 (ko) 커넥터
KR101740170B1 (ko) 커넥터
JP5810980B2 (ja) コネクタ
KR101778888B1 (ko) 커넥터
KR101797825B1 (ko) 커넥터
JP2015170489A (ja) コネクタ
JP2016091819A (ja) コネクタ
JP6119671B2 (ja) コネクタ
JP6252386B2 (ja) コネクタ
JP7202531B2 (ja) コネクタ
KR101805990B1 (ko) 커넥터
KR20150115640A (ko) 커넥터
KR101788931B1 (ko) 커넥터
KR101746968B1 (ko) 커넥터
KR101746969B1 (ko) 커넥터
JP2016170998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