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94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941B1
KR101676941B1 KR1020150007205A KR20150007205A KR101676941B1 KR 101676941 B1 KR101676941 B1 KR 101676941B1 KR 1020150007205 A KR1020150007205 A KR 1020150007205A KR 20150007205 A KR20150007205 A KR 20150007205A KR 101676941 B1 KR101676941 B1 KR 10167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housing
engaging
main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228A (ko
Inventor
히데후미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4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금형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회피한 데다가, 리테이너가 본걸림 위치에 부주의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공한다.
하우징(10)의 폭 방향 중앙측의 부분에는, 본걸림 수용부(31)이 마련되고, 하우징(10)의 폭 방향 양단측의 부분에는, 가걸림 수용부(28)가 마련된다. 리테이너(60)의 폭 방향 중앙측의 부분에는, 가걸림 위치에서 하우징(10)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리테이너(60)의 본걸림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본걸림 위치에서 본걸림 수용부(31)에 걸림으로써 리테이너(60)의 가걸림 위치로의 복귀를 규제하는 본걸림부(68)가 마련된다. 리테이너(60)의 폭 방향 양단측의 부분에는, 가걸림 위치에서 가걸림 수용부(28)에 걸림으로써 리테이너(60)의 하우징(10)으로부터의 빠짐을 규제하는 가걸림부(73)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는,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배치되는 캐비티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대하여 가걸림 위치와 본걸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테이너(프론트 리테이너)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의 캐비티에는, 후방으로부터 단자 금구가 삽입된다. 리테이너가 가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캐비티로의 단자 금구(端子金具)의 삽입이 허용되고, 리테이너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캐비티에 삽입된 단자 금구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하우징의 폭 방향 양단측의 측면에는, 본걸림 오목부와 가이드 볼록부가 전후로 배열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의 폭 방향 양단측의 측벽부에는, 본걸림 볼록부와 가걸림 볼록부가 전후로 배열되어 마련되어 있다. 리테이너가 가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가걸림 볼록부가 가이드 볼록부에 걸림으로써, 리테이너의 하우징으로부터의 빠짐이 규제된다. 리테이너가 가걸림 위치로부터 압입되어 본걸림 위치에 이르면, 본걸림 볼록부가 본걸림 오목부에 걸림으로써, 리테이너가 본걸림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1-34882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커넥터의 경우, 하우징의 폭 방향 양단측의 측면에 본걸림 오목부와 가이드 볼록부가 전후로 배열되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폭 방향 양단측의 측면을 성형하는 부분의 금형 구조가 복잡해진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마찬가지로, 리테이너의 폭 방향 양단측의 측벽부에 본걸림 볼록부와 가걸림 볼록부가 전후로 배열되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의 폭 방향 양단측의 측벽부를 성형하는 부분의 금형 구조가 복잡해진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이에 대하여, 예컨대, 본걸림 오목부와 가이드 볼록부를 하우징에 있어서의 각각의 벽면에 마련하고, 본걸림 볼록부와 가걸림 볼록부를 리테이너에 있어서의 각각의 벽면에 마련함으로써, 금형 구조가 부분적으로 복잡해지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리테이너가 가걸림 위치에 있는 경우에, 가걸림 볼록부와 가이드 볼록부의 걸림 위치 및 이들과 본걸림 볼록부의 위치 관계 등이 적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리테이너가 본걸림 위치로 부주의하게 이동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금형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회피하는 데다가, 리테이너가 본걸림 위치에 부주의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배치되는 캐비티를 가지고, 상기 캐비티에 단자 금구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캐비티로의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을 허용하는 가걸림 위치와, 상기 가걸림 위치로부터 압입되어 상기 캐비티에 삽입된 상기 단자 금구의 빠짐을 규제하는 본걸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리테이너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중앙측의 부분에는, 본걸림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양단측의 부분에는, 가걸림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폭 방향 중앙측의 부분에는, 상기 가걸림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본걸림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본걸림 위치에서 상기 본걸림 수용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가걸림 위치로의 복귀를 규제하는 본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폭 방향 양단측의 부분에는, 상기 가걸림 위치에서 상기 가걸림 수용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빠짐을 규제하는 가걸림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리테이너가 가걸림 위치에 있는 경우에, 하우징과 리테이너의 폭 방향 중앙측의 부분에 있어서는 본걸림부가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리테이너의 본걸림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가걸림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에 대하여 본걸림 위치로의 압입력이 우발적으로 작용하였을 때에, 리테이너가 본걸림 위치로 이동하여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폭 방향으로 긴 리테이너의 경우, 가걸림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에 부주의하게 본걸림 위치로의 압입력이 부여되면, 리테이너의 폭 방향 중앙측의 부분이 돌출하도록 리테이너가 활 모양으로 휘어, 가걸림 수용부와 가걸림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기 쉽기 때문에, 리테이너의 폭 방향 중앙측의 부분에 마련된 본걸림부에 의해 리테이너의 본걸림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메리트는 크다. 또한, 본걸림 수용부와 가걸림 수용부가 하우징에 있어서의 각각의 부분에 마련되고, 본걸림부와 가걸림부가 리테이너에 있어서의 각각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금형 구조가 부분적으로 복잡해지는 것이 회피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하우징에 대하여 리테이너가 가걸림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하우징에 대하여 리테이너가 본걸림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리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리테이너의 배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캐비티에 상기 단자 금구가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리테이너가 전방으로부터 장착되며,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가걸림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본걸림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측의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본걸림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따르면, 가걸림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에 전방으로부터 이물질 등이 간섭한 경우에, 리테이너가 본걸림 위치로 부주의하게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커넥터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10)과,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너(60)와, 도전 금속제의 단자 금구(9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도시하지 않는 상대 하우징에 감합(嵌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는, 상대 하우징과의 감합 개시 시에 상대 하우징이 위치하는 측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0)은, 도 4,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블록형의 하우징 본체(11)와, 하우징 본체(11)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형의 감합 통부(12)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 본체(11)와 감합 통부(12)는 각각의 후단부에서 연결부(13)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와 감합 통부(12) 사이이며 또한 연결부(13)의 전방에는, 감합 시에 상대 하우징의 도시하지 않는 후드부가 진입하는 감합 공간(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11)의 외면에는, 연결부(13)의 전방에, 도시하지 않는 시일 링이 감착(嵌着)되어 있다. 시일 링은, 리테이너(60)에 의해 전방으로의 빠짐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양하우징의 감합 시에는, 하우징 본체(11)와 후드부 사이에 시일 링이 탄성적으로 끼워지고, 이에 의해 양하우징 사이가 액밀하게 시일되도록 되어 있다.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통부(12)의 상부에는, 폭 방향으로 한쌍의 입벽(立壁)(15)이 기립하여 마련되어 있다. 양입벽(15) 사이이며, 또한 하우징 본체(11)의 상방에는, 휨 가능한 록 아암(16)이 마련되어 있다. 록 아암(16)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본체(17)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아암 본체(17)의 양측 가장자리와 양입벽(15)의 내면에 연결된 한쌍의 날개 부재부(18)를 가지고 있다. 아암 본체(17)는, 양날개 부재부(18)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 본체(17)의 전단부에는, 록 구멍(19)이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0)이 도시하지 않는 상대 하우징에 감합되면, 록 아암(16)의 휨 동작에 따른 후, 아암 본체(17)의 록 구멍(19)에 상대 하우징의 도시하지 않는 록 돌기가 탄성적으로 감입되고, 이에 의해 양하우징이 감합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에는, 복수(2개 또는 3개 이상)의 캐비티(21)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캐비티(21)는, 하우징 본체(11)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 캐비티(21)의 내벽의 상면에는, 휨 가능한 랜스(22)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비티(21)에는 단자 금구(90)가 삽입되고, 정규 삽입된 단자 금구(90)가 랜스(22)에 의해 탄성적으로 빠짐 방지 걸림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금구(90)는, 통형의 상자부(91)와, 상자부(91)의 후방에 연속하여 전선(100) 및 고무 마개(200)에 압착에 의해 접속되는 오픈 배럴형의 배럴부(92)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단자 금구(90)에 접속된 전선(100)은, 하우징 본체(11)의 후방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에는, 캐비티(21)의 전단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전방벽(23)이 마련되어 있다. 전방벽(23)에는, 전방으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상대 단자 금구의 탭이 삽입되는 탭 삽입부(24)가 개구하여 마련되어 있다. 탭 삽입부(24)의 전방부는, 전방을 향하여 폭 확대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에는, 폭 방향에서 인접하는 캐비티(21) 사이에, 전후 방향을 대강 따른 복수의 격벽(25)이 마련되어 있다. 각 격벽(25)의 전단은, 전방벽(23)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폭 방향에서 인접하는 캐비티(21) 사이는, 격벽(25)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폭 방향 양단측에 위치하는 캐비티(21)의 외측면을 구획하는 한쌍의 측벽(26)이 마련되어 있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전단측의 대략 상반부에는, 이 대략 상반부에 대응하는 전방벽(23), 양측벽(26) 및 각 격벽(25)을 절결하도록 하여 개방된 장착 오목부(27)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 오목부(27)에는, 각 랜스(22)가 노출되어 배치되고, 전방으로부터 후술하는 리테이너(60)가 장착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벽(26)에는, 장착 오목부(27)에 면하는 전단부에, 가걸림 수용부(28)가 마련되어 있다. 가걸림 수용부(28)는, 장착 오목부(27)에 개구하고, 또한 감합 공간(14)으로부터 캐비티(21)에 걸쳐 측벽(26)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측벽(26)의 외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단이 가걸림 수용부(28)에 연통하고, 전단이 측벽(26)의 전방면에 개구하는 안내홈(29)이 마련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격벽(25) 중, 폭 방향 중앙을 사이에 둔 양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격벽(25)에는, 장착 오목부(27)에 면하는 전단부에, 본걸림 수용부(31)가 마련되어 있다. 본걸림 수용부(31)는, 격벽(25)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양캐비티(21) 중 한쪽의 캐비티(21)와 장착 오목부(27)에 개구하는 오목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본걸림 수용부(31)의 전단은, 전후 방향에 관해서 가걸림 수용부(28)의 전단과 거의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걸림 수용부(31)의 전단과 가걸림 수용부(28)의 전단은, 모두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후술하는 본걸림부(68)와 가걸림부(73)에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격벽(25)의 폭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단이 본걸림 수용부(31)에 연통하고, 전단이 격벽(25)의 전면에 개구하는 가이드 구멍(32)이 마련되어 있다.
계속해서, 리테이너(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테이너(60)는, 소위 프론트 리테이너으로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벽부(61)와, 전방 벽부(61)의 외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통형의 주벽부(62)를 가지고 있다. 전방 벽부(61)는, 장착 오목부(27)에 감착되어 하우징 본체(11)의 대략 상반부를 덮는 것이 가능한 덮개벽(63)과, 덮개벽(63)의 하방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11)의 대략 하반부를 감합 가능하도록 개구하는 개구부(64)를 가지고 있다.
리테이너(60)는, 덮개벽(63)이 하우징 본체(11)보다 전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가걸림 위치(도 2를 참조)와, 가걸림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압입되고, 덮개벽(63)이 하우징 본체(11)의 장착 오목부(27)에 감합하여 배치되는 본걸림 위치(도 3을 참조)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벽(63)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본걸림 위치에서 탭 삽입부(24)와의 사이에 환형으로 연속하여 도시하지 않는 탭의 유인을 이루는 복수의 오목 단부(65)가 마련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벽(63)의 후방면에는, 각 캐비티(21)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규제 부재(66)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지만, 리테이너(60)가 가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규제 부재(66)가 랜스(22)의 상방에 형성된 휨 공간(33)(도 7을 참조)의 전방으로 후퇴하여 배치되어, 랜스(22)의 휨 동작이 허용된다. 또한, 리테이너(60)가 본걸림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규제 부재(66)가 랜스(22)의 휨 공간(33)에 진입하여 배치되어, 랜스(22)의 휨 동작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벽(63)의 후방면에는, 각 규제 부재(66)를 사이에 둔 양측에, 복수의 칸막이부(67)가 마련되어 있다. 각 칸막이부(67)는, 상하 방향을 대강 따른 세로벽형을 이루고, 폭 방향에 관해서 각 격벽(25)과 같은 위치에,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벽(63)의 후방면 중, 폭 방향 중앙의 칸막이부(67)를 사이에 둔 양측에 위치하는 양칸막이부(67)의 하단부에는, 한쌍의 본걸림부(68)가 마련되어 있다. 본걸림부(68)는, 규제 부재(66)보다 하방이며, 또한 본걸림 수용부(31)가 마련된 격벽(25)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본걸림 수용부(31)에 진입 가능한 돌기형을 이루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걸림부(68)의 전방면은, 돌출단측으로 감에 따라 후방 경사하는 전방측 본걸림 경사면(71)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본걸림부(68)의 후방면은, 돌출단측으로 감에 따라 전방 경사하는 후방측 본걸림 경사면(72)으로 되어 있다. 전방측 본걸림 경사면(71)의 경사각(전후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후방측 본걸림 경사면(72)의 경사각보다 급경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벽(63)의 후방면에는, 폭 방향 양단측에 위치하는 양규제 부재(66)의 외측에, 한쌍의 단벽부(69)가 마련되어 있다. 양단벽부(69)는, 상하 방향을 대강 따른 세로벽형을 이루고, 폭 방향에 관해서 양측벽(26)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주벽부(62)와 일체로 연결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벽(63)의 후방면 중, 폭 방향 양단측에 위치하는 양단벽부(69)의 하단부에는, 한쌍의 가걸림부(73)가 마련되어 있다. 가걸림부(73)는, 규제 부재(66)보다 하방이며, 또한 가걸림 수용부(28)가 마련된 측벽(26)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가걸림 수용부(28)에 진입 가능한 돌기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가걸림부(73)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 관해서 본걸림부(68)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관해서 본걸림부(68)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걸림부(73)의 전방면은, 돌출단측으로 감에 따라 후방 경사하는 전방측 가걸림 경사면(74)으로 되어 있다. 한편, 가걸림부(73)의 후방면은, 돌출단측으로 감에 따라 전방 경사하는 후방측 가걸림 경사면(75)으로 되어 있다. 전방측 가걸림 경사면(74)의 경사각(전후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후방측 가걸림 경사면(75)의 경사각보다 급경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측 가걸림 경사면(74)의 경사각은, 전방측 본걸림 경사면(71)의 경사각과 거의 동일하게 되며, 후방측 가걸림 경사면(75)의 경사각은, 후방측 본걸림 경사면(72)의 경사각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리테이너(60)의 장착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우징 본체(11)에 전방으로부터 리테이너(60)를 장착한다. 리테이너(60)의 장착 과정에서는, 주벽부(62)가 하우징 본체(11)의 전단부에 외부 끼움되고, 양단벽부(69)가 안내홈(29)에 진입하여, 양가걸림부(73)가 안내홈(29)을 미끄럼 이동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60)가 가걸림 위치에 이름에 따라, 가걸림부(73)가 가걸림 수용부(28)에 탄성적으로 감입된다. 이에 의해, 가걸림부(73)의 전방측 가걸림 경사면(74)이 가걸림 수용부(28)의 전단에 대향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되고, 리테이너(60)가 전방으로 빠져 나오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칸막이부(67)가 가이드 구멍(32)에 진입하여, 본걸림부(68)의 후방측 본걸림 경사면(72)이 하우징 본체(11)의 폭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전방벽(23)의 전방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리테이너(60)가 본걸림 위치측이 되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걸림 위치에서는, 리테이너(60)의 전단부가 하우징(10)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하여 배치된다. 이 때문에, 리테이너(60)의 전방 벽부(61)에 이물질이 간섭하기 쉬워, 이물질과의 간섭 등에 기인하는 외력이 리테이너(60)에 작용하기 쉽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그렇게 하면, 예컨대, 덮개벽(63)의 전방면에, 이물질이 간섭하여 본걸림 위치측으로의 외력이 부여되었을 때에, 리테이너(60)의 폭 방향 대략 중앙부가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리테이너(60)가 활 모양으로 변형하여, 리테이너(60)의 폭 방향 양단측이 외측으로 확대 개방하여, 양가걸림부(73)와 양가걸림 수용부(28)의 걸림 상태가 해제될 걱정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리테이너(60)의 폭 방향 대략 중앙부에 한쌍의 본걸림부(68)가 마련되고, 양본걸림부(68)의 후방측 본걸림 경사면(72)이, 가걸림 위치에서 대향하는 전방벽(23)의 전방면에 접촉함으로써, 리테이너(60)의 폭 방향 대략 중앙부가 본걸림 위치측으로 돌출하도록 변형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가걸림부(73)와 가걸림 수용부(28)의 걸림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계속해서, 하우징 본체(11)의 캐비티(21)에 후방으로부터 단자 금구(90)를 삽입한다. 정규 삽입된 단자 금구(90)는 랜스(22)에 의해 캐비티(21)에 1차적으로 빠짐 방지된다.
계속해서, 리테이너(60)를 후방으로 강하게 압박하여, 리테이너(60)를 본걸림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리테이너(60)가 본걸림 위치에 이르는 과정에서는, 가걸림부(73)가 가걸림 수용부(28)의 내부로 밀어내어지며, 본걸림부(68)가 가이드 구멍(32)에 압입 상태로 탄성적으로 삽입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60)가 본걸림 위치에 이르면, 본걸림부(68)가 가이드 구멍(32)을 빠져 나와 본걸림 수용부(31)에 감입되고, 본걸림부(68)의 전방측 본걸림 경사면(71)이 본걸림 수용부(31)의 후단에 대향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리테이너(60)가 가걸림 위치측으로 되돌아가는 방향이 되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리테이너(60)의 양단벽부(69)의 후단이 측벽(26)의 전단에 접촉함으로써, 리테이너(60)가 본걸림 위치보다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그리고, 리테이너(60)가 본걸림 위치에 이름으로써, 규제 부재(66)가 랜스(22)의 휨 공간(33)에 진입하여 랜스(22)의 휨 동작이 규제되고, 따라서 단자 금구(90)가 캐비티(21)에 2차적으로 빠짐 방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테이너(60)가 가걸림 위치에 있는 경우에, 하우징(10)과 리테이너(60)의 폭 방향 중앙측의 부분에 있어서는 본걸림부(68)가 하우징(10)의 전방벽(23)에 접촉함으로써, 리테이너(60)의 본걸림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가걸림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60)에 대하여 본걸림 위치로의 압입력이 우발적으로 작용하였을 때에, 리테이너(60)가 본걸림 위치로 잘못 이동하여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걸림 수용부(31)와 가걸림 수용부(28)가 하우징(10)에 있어서의 각각의 부분[측벽(26)과 격벽(25)]에 마련되고, 본걸림부(68)와 가걸림부(73)가 리테이너(60)에 있어서의 각각의 부분[칸막이부(67)와 단벽부(69)]에 마련되기 때문에, 이들 본걸림 수용부(31), 가걸림 수용부(28), 본걸림부(68) 및 가걸림부(73)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 구조가 각별하게 복잡해지는 일도 없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양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가걸림 수용부는, 각 격벽 중, 본걸림 수용부가 마련된 격벽과는 상이한 격벽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가걸림 수용부는, 격벽과 측벽의 양방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2) 가걸림부는, 각 칸막이부 중, 본걸림부가 마련된 칸막이부와는 상이한 칸막이부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가걸림부는, 칸막이부와 단벽부의 양방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3)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대하여 감합 방향(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는 사이드 리테이너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4) 상기 실시예와는 반대로, 가걸림 수용부가 돌기형을 이루고, 가걸림부가 오목형을 이루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는 반대로, 본걸림 수용부가 돌기형을 이루고, 본걸림부가 오목형을 이루는 것이어도 좋다.
10…하우징
21…캐비티
25…격벽
26…측벽
28…가걸림 수용부
31…본걸림 수용부
60…리테이너
68…본걸림부
73…가걸림부
90…단자 금구

Claims (2)

  1.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배치되는 캐비티를 가지고, 상기 캐비티에 단자 금구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캐비티로의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을 허용하는 가걸림 위치와, 상기 가걸림 위치로부터 압입되어 상기 캐비티에 삽입된 상기 단자 금구의 빠짐을 규제하는 본걸림 위치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너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중앙측의 부분에는, 본걸림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양단측의 부분에는, 가걸림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폭 방향 중앙측의 부분에는, 상기 가걸림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본걸림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본걸림 위치에서 상기 본걸림 수용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가걸림 위치로의 복귀를 규제하는 본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폭 방향 양단측의 부분에는, 상기 가걸림 위치에서 상기 가걸림 수용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빠짐을 규제하는 가걸림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본걸림 수용부는, 폭 방향에서 인접하는 캐비티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격벽 중에서, 폭 방향 중앙측에 위치한 격벽에 마련되고,
    상기 본걸림부는 상기 본걸림 수용부가 마련된 격벽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에 상기 단자 금구가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리테이너가 전방으로부터 장착되며,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가걸림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본걸림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측의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본걸림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50007205A 2014-01-31 2015-01-15 커넥터 KR101676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7576A JP6292468B2 (ja) 2014-01-31 2014-01-31 コネクタ
JPJP-P-2014-017576 2014-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228A KR20150091228A (ko) 2015-08-10
KR101676941B1 true KR101676941B1 (ko) 2016-11-16

Family

ID=5354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205A KR101676941B1 (ko) 2014-01-31 2015-01-15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00072B2 (ko)
JP (1) JP6292468B2 (ko)
KR (1) KR101676941B1 (ko)
DE (1) DE1020150003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5517B2 (en) 2019-01-24 2022-12-27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making self-standing electrodes supported by carbon nanostructured fila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0446B2 (ja) * 2016-06-15 2020-03-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N107706584A (zh) * 2017-08-31 2018-02-16 杭州航天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接触件可拆卸的微矩形电连接器
JP2019050169A (ja) 2017-09-12 2019-03-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890A (ja) 2001-10-12 2003-04-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5123031A (ja) 2003-10-16 2005-05-12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2009117376A (ja) 2009-01-15 2009-05-28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3973A (ja) * 1988-02-23 1989-08-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0782887B2 (ja) * 1993-01-14 1995-09-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不完全挿入防止構造
US6688920B2 (en) * 2001-01-23 2004-02-10 Tyco Electronics Amp Gmbh Connector assembly
JP4100255B2 (ja) * 2003-05-28 2008-06-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99186B2 (ja) * 2003-10-16 2007-10-3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6344473A (ja) * 2005-06-08 2006-12-21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4924454B2 (ja) * 2008-01-29 2012-04-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034882A (ja) 2009-08-04 2011-02-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5606830B2 (ja) * 2010-08-27 2014-10-1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5569297B2 (ja) * 2010-09-24 2014-08-13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5454445B2 (ja) * 2010-10-08 2014-03-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8029324B1 (en) * 2010-11-04 2011-10-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F connector assembly
JP5672166B2 (ja) * 2011-06-17 2015-02-18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890A (ja) 2001-10-12 2003-04-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5123031A (ja) 2003-10-16 2005-05-12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2009117376A (ja) 2009-01-15 2009-05-28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5517B2 (en) 2019-01-24 2022-12-27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making self-standing electrodes supported by carbon nanostructured fila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228A (ko) 2015-08-10
JP2015144103A (ja) 2015-08-06
US20150222041A1 (en) 2015-08-06
DE102015000384A1 (de) 2015-08-06
US9300072B2 (en) 2016-03-29
JP6292468B2 (ja)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792B1 (ko) 커넥터
KR101471597B1 (ko) 커넥터
US9509076B2 (en) Connector with front backlash preventing portions and rear backlash preventing portion that are offset circumferenti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backlash preventing portions
JP5747858B2 (ja) コネクタ
CN110556668B (zh) 连接器
US9231342B2 (en) Connector
US20120322305A1 (en) Waterproof connector
US8142213B2 (en) Connector
KR101676941B1 (ko) 커넥터
KR20160140957A (ko) 커넥터
JP6176544B2 (ja) コネクタ
KR101595657B1 (ko) 커넥터
KR101606644B1 (ko) 커넥터
KR101797825B1 (ko) 커넥터
JP5754388B2 (ja) コネクタ
JP5218213B2 (ja) 防水コネクタ
CN112152015B (zh) 连接器
JP6004279B2 (ja) コネクタ
JP6252386B2 (ja) コネクタ
JP7202531B2 (ja) コネクタ
KR20190105500A (ko) 커넥터
KR20150115640A (ko) 커넥터
KR101805990B1 (ko) 커넥터
US20230090903A1 (en) Connector
KR20160076438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