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20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209B1
KR101989209B1 KR1020147019832A KR20147019832A KR101989209B1 KR 101989209 B1 KR101989209 B1 KR 101989209B1 KR 1020147019832 A KR1020147019832 A KR 1020147019832A KR 20147019832 A KR20147019832 A KR 20147019832A KR 101989209 B1 KR101989209 B1 KR 101989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ck member
lock
flange por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314A (ko
Inventor
타이이치 이시자카
히데아키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102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하우징(14)에 로크부재(16)가 대기 위치와 연결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크부재(16)가 대기 위치에 로크된 상태에서, 하우징(14)의 개구부(50)에 파이프(12)가 삽입되면 로크부재(16)의 로크가 해제되어, 연결 위로에 이동 가능해지지만, 검지스토퍼(64)의 선단부(64A)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에 맞닿음으로써, 로크부재(16)의 연결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파이프(12)가 더 삽입되어, 플랜지부(12A)가 검지스토퍼(64)의 위치를 통과하면, 검지스토퍼(64)가 로크부재(16)와 함께 연결 위치로 이동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파이프를 커넥터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커넥터에 파이프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로크(lock)부재가, 커넥터 본체에 파이프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대기 위치에 로크되어 있고, 파이프의 삽입에 의해 커넥터 본체에 대한 로크가 해제되어, 연결 위치로 이동되어, 파이프의 누락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특개2011-174508호 공보
본 발명은, 파이프를 커넥터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커넥터에 파이프가 연결됨과 함께, 파이프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 파이프의 삽입 방향의 흔들거림을 적게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외주면에 환상(環狀)의 플랜지부가 형성된 파이프가 삽입되는 원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 가능한 대기 위치와, 상기 개구부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로크부재와, 상기 로크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커넥터 본체에 로크하는 로크부와, 상기 로크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 내로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의 삽입시에 상기 플랜지부가 맞닿으면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로크부에 의한 상기 로크부재의 로크 상태를 해제함과 함께, 복원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밀어붙임기구와, 상기 로크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로크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플랜지부에 맞닿아, 상기 로크부재의 상기 연결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함과 함께, 상기 파이프가 더 삽입되고, 상기 플랜지부와의 맞닿음이 해제되면 상기 로크부재와 함께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플랜지부보다 파이프의 삽입 방향 반대 측에 위치되고, 상기 파이프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플랜지부와 겹치는 검지스토퍼(detection stopper)를 가지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의 형태에서는, 커넥터가 원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개구부 내에는 외주면에 환상의 플랜지부가 형성된 파이프가 삽입된다. 또한, 커넥터 본체에는 로크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로크부재는,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개구부를 통과 가능한 대기 위치와, 개구부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되어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이 로크부재에는, 로크부 및 밀어붙임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로크부는, 대기 위치에서 로크부재를 커넥터 본체에 로크한다. 또한, 밀어붙임기구는, 커넥터 본체의 개구부 내로 돌출되어 있고, 파이프의 삽입시에 플랜지부가 맞닿으면 외측으로 벌어져 로크부에 의한 로크부재의 로크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밀어붙임기구는 복원되어 파이프의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서, 로크부재를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려고 한다. 또한, 여기서의 「복원」이란, 밀어붙임기구에 밀어붙이는 힘이 모두 개방되어 밀어붙임기구가 자연 상태가 되는 경우 이외에, 밀어붙임기구에 그 밀어붙이는 힘이 약간 남아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한편, 로크부재에는, 검지스토퍼가 설치되어 있고, 검지스토퍼는, 로크부에 의한 로크부재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면, 파이프의 플랜지부에 맞닿아, 로크부재의 연결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파이프가 더 삽입되어, 검지스토퍼와 플랜지부와의 맞닿음이 해제됨으로써, 검지스토퍼는 로크부재와 함께 연결 위치로 이동 가능해진다. 그리고, 로크부재가 연결 위치로 이동되면, 검지스토퍼가 플랜지부보다 파이프의 삽입 방향 반대 측에 위치되고, 파이프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플랜지부와 겹친다. 이 때문에, 커넥터에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에서, 파이프의 삽입 방향 반대 측으로 향하는 이동이 저지된다.
즉,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검지스토퍼의 위치를 통과한 순간에, 이미 로크 상태가 해제되어 있는 로크부재가 자동적으로 대기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이동되어, 연결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검지스토퍼의 위치를 통과한 후에, 로크부에 의한 로크부재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여, 로크부재를 연결 위치로 이동하는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파이프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 파이프의 삽입 방향의 흔들거림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의 개구부 내에 파이프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파이프가 커넥터에 연결되는, 소위 원터치식이기 때문에, 파이프의 연결 조작이 간단하고, 작업자가 로크부재를 손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밀어붙임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 내로 돌출되는 탄성편이며, 상기 로크부재의 대기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파이프의 축선을 넘은 위치에서 상기 파이프에 맞닿아도 된다.
상기의 형태에서는, 파이프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로크부재는, 대기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로크부재의 대기 위치에서 파이프를 삽입하면, 밀어붙임기구는 파이프의 축선을 넘은 위치에서 파이프에 맞닿아 외측으로 벌어져, 밀어붙임기구에는 밀어붙이는 힘이 축적된다.
이 때문에, 로크부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면, 밀어붙임기구는 이 밀어붙이는 힘을 개방하면서 복원되어 파이프의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간다. 이에 의해, 로크부재를 연결 위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검지스토퍼의 위치를 통과한 순간에, 로크부재는 자동적으로 연결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는, 상기 탄성편과 평행하게 연출(延出)되는 다리편과, 상기 다리편의 단부(端部)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편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편이 맞닿아서 압압되는 압압부와, 상기 다리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위치 및 상기 연결 위치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피(被)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의 형태에서는, 로크부에는, 탄성편과 평행하게 연출되는 다리편이 구비되어 있고, 다리편의 단부에는 압압부 및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압압부는, 탄성편의 외측에 위치되고, 탄성편이 맞닿아서 압압된다. 또한,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맞닿으면 탄성편이 외측으로 벌어지지만, 이때, 탄성편이 압압부에 맞닿아서 압압 되고 압압부를 통하여 다리편을 외측으로 벌린다.
한편, 결합부는, 로크부재의 대기 위치 및 연결 위치에서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결합되어, 로크부재를 로크 상태로 하지만, 압압부에 의해 다리편이 외측으로 벌어지면, 결합부와 피결합부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로크부재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상기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파이프를 커넥터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커넥터에 파이프가 연결됨과 함께, 파이프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 파이프의 삽입 방향의 흔들거림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상기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로크부재를 확실히 연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상기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로크부재의 로크 및 로크 해제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의 로크부재의 대기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로크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로크부재를 나타내는 도 3과 반대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로크부재의 대기 위치를 나타내는 도 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로크부재의 로크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 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로크부재의 연결 위치를 나타내는 도 8의 7-7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로크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로크부재를 나타내는 도 9와 반대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관하여 도 1∼도 8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차량의 엔진 룸 내의 냉각수 배관 체결용으로 사용되고, 금속제의 파이프(12)가 연결됨과 함께 수지제의 튜브(13)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UP)를 커넥터(10)의 윗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커넥터의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는 커넥터 본체로서의 하우징(14)(커넥터 본체)과, 하우징(14)의 외주에 장착되는 대략 역(逆)U자 형상의 로크부재(16)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4)의 일단 측에는, 로크부재(16)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파이프(12)가 연결되는 연결부(18)가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14)의 타단 측에는, 튜브(13)가 삽입되는 삽입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20)의 선단부(하우징(14)의 타단부)(20A)에는 테이퍼(taper)부가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부의 선단(先端)은 도 1에 나타내는 튜브(13)보다 소경(小徑)으로 이루어져, 튜브(13)가 삽입되기 쉽게 되어 있다.
삽입부(20)와 연결부(18) 사이에는, 삽입부(20)의 외경 치수보다 대경(大徑)의 중경부(中徑部)(24)가 설치되어 있고, 튜브(13)의 선단면이 중경부(24)의 단면(端面)에 맞닿음으로써, 튜브(13)는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용 클램프 등에 의해 튜브(13)를 삽입부(20)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18)는, 일단 측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고, 타단 측은 외형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18)의 일단 측에는, 삽입부(20)에 설치된 중경부(24)보다 대경의 대경부(大徑部)(26)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경부(26)의 내주면에는, 환상 오목부(環狀凹部)(도시 생략)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오목부에는 O링(30, 32)이 끼워 넣어져 있고, 파이프(12)가 연결부(18)에 연결되었을 때, 대경부(26)의 내주면과 파이프(12)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메꿔서 씰링(sealing)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O링(30)과 O링(32) 사이에, 단면(斷面)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환상의 공간을 배치하고, O링(30) 및 O링(32)을 압축하여, 파이프(12)의 외주면과의 실링력을 높이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연결부(18)의 타단 측에는, 하우징(14)의 축선 방향을 따라, 로크부(36)와 장착부(38)가 설치되어 있고, 로크부(36)가 대경부(26) 측에 배치되어 있다. 장착부(38)에는 로크부재(16)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로크부(36)에서는 장착된 로크부재(16)가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크부(36)의 측벽(36A)에는, 측벽(36A)의 상부 및 하부에 직육면체 형상의 피결합부로서의 돌설부(突設部)(40, 42)(피결합부)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설부(40)와 돌기부(42)의 사이에는, 틈새(44)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36)의 내주면에는 환상 오목부(도시 생략)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오목부에는 환상의 부시(bush)(48)가 로크부(36)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끼워넣기 가능하게 된다. 부시(48)의 내경 치수는, 파이프(12)의 외경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부시(48)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나일론 등으로 만들어진다.
하우징(14)의 일단부인 장착부(38)에는, 원형 형상의 개구부(50)가 하우징(14)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50)는 부시(48)의 내경 치수보다 대경으로 되어 있고, 파이프(1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의 플랜지부(12A)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장착부(38)는, 하벽부(51)와, 상측 양 각부(角部)의 가설부(架設部)(52)를 남겨서 좌우의 관통공(54)와 위쪽의 관통공(5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로크부재(16)의 중앙에 위치하는 기부(基部)(16A)의 내면으로부터는, 장착부(38)에 형성된 관통공(56)에 대응하여 검지스토퍼(64)가 수하(垂下)되어 있고, 로크부재(16)는 장착부(38)의 위쪽으로부터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크부재(16)의 기부(16A)는, 하우징(14)의 로크부(36)의 상벽(36B)에 형성된 원호부(70)와 대향하는 대략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원호면(72)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로크부재(16)의 연결 위치에서는, 로크부재(16)의 기부(16A)가 로크부(36)의 상벽(36B)에 면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재(16)의 기부(16A)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의 양 가장자리에는, 연결부(18)에 있어서의 로크부(36)의 상벽(36B)과 대면하는 위치에 조작 경사부(7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 경사부(74)에는, 로크부재(16)의 연결 위치에서, 연결부(18)의 상벽(36B)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어, 마이너스 드라이버나 전용 치구(治具)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스토퍼(64)의 선단부(64A)는, 파이프(12)의 외경 치수와 대략 같은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로 되어 있고, 파이프(12)의 외주면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재(16)의 연결 위치에서는, 검지스토퍼(64)와 부시(48) 사이에, 하우징(14)의 축선 방향에서 틈새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이 틈새 내에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시(48)의 내경 치수 및 검지스토퍼(64)의 선단부의 곡률 반경은, 파이프(12)의 외경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고, 이들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경 치수보다 소경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랜지부(12A)가 이 틈새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파이프(12)의 삽입 방향(도 8의 화살표 B방향)으로 향하여 파이프(12)를 보았을 때, 플랜지부(12A)가 검지스토퍼(64)로 덮인 상태가 된다. 즉, 검지스토퍼(64)와 플랜지부(12A)가 겹친다. 즉, 부시(48) 및 검지스토퍼(64)에 의해, 파이프(12)는 축 방향(도 8의 화살표 A방향 및 화살표 B방향)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18)의 로크부(36) 및 장착부(38)의 각 단면의 각부(角部)는, 로크부(36)의 상벽(36B), 하벽부(51) 및 가설부(52)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로크부재(16)가 장착부(38)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각 로크부재(16)의 폭 방향의 단면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크부재(16)의 하우징(14)의 축선 방향을 따른 이동이 저지되어, 로크부재(16)가 흔들거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로크부재(16)의 기부(16A)의 길이 방향의 양단으로부터는, 탄성편(밀어붙임기구)(80) 및 걸림편(78)(다리편)이 각각 평행하게 수하되어 있다. 걸림편(78)은 로크부(36)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탄성편(80)은 장착부(38)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편(80)과 걸림편(78) 사이에는, 슬릿(82)이 설치되어 있으며, 걸림편(78)과 탄성편(80)은 각각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탄성편(80)은, 그 양단측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향하여 절곡되어 있고, 장착부(38)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공(54)을 관통하여, 부시(48)보다 내경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편(78)의 길이 방향 중앙부의 내측에는, 돌기부(61)가 설치되어 있고, 탄성편(80)이 관통공(54)을 관통하고, 로크부재(16)가 장착부(38)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설부(52)에 맞닿아서, 로크부재(16)의 윗방향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80)의 선단부에는,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맞닿음부(8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맞닿음부(84)로부터 탄성편(80)의 연장 방향 중앙부에 걸쳐져, 개구부(50)측의 단면은, 파이프(12)를 연결부(18)의 안쪽으로 안내하는 테이퍼(85)로 이루어져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가 하우징(14)의 개구부(50) 내에 삽입되면, 파이프(12)의 외주면(12B)이 맞닿음부(84)에 맞닿고, 맞닿음부(84)를 통하여 탄성편(80)이 외측(도 5의 화살표 C방향)으로 벌어진다. 여기서, 맞닿음부(84)의 위치는, 삽입된 파이프(12)의 축선(12C)를 넘은 아래쪽 위치에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편(78)의 선단부에는, 내측 방향을 따라 연출된 결합부로서의 걸림부(86)(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부(86)는 하우징(14)의 연결부(18)의 로크부(36)에 설치된 돌설부(40)와 돌설부(42) 사이에 형성된 틈새(44) 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86)가 틈새(44) 내에 배치되어 돌설부(42)의 상측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로크부재(16)는 아래 방향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대기 위치에서는, 걸림부(86)와 돌설부(40)(도 1 참조)의 하측면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부재(16)가 장착부(38)에 장착된 상태에서, 걸림편(78)에 설치된 돌기부(61)가 가설부(52)의 하면에 맞닿아서, 로크부재(16)의 윗방향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로크부재(16)의 대기 위치에서는, 로크부재(16)는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고, 이 대기 위치에서는, 파이프(12)가 개구부(50) 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편(78)의 선단부 측에는, 탄성편(80) 측으로 연출되는 압압부로서의 압압편(90)(압압부)이 설치되어 있다. 압압편(90)은 탄성편(80)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 상태에서 탄성편(8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탄성편(80)이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압압편(90)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80)이 더 벌어지면, 압압편(90)을 통하여, 걸림편(78)이 외측으로 벌어진다. 이때, 탄성편(80) 및 걸림편(78)에는, 밀어붙이는 힘이 축적된 상태가 된다. 또한, 걸림편(78)이 외측으로 벌어지면, 걸림편(78)의 걸림부(86)가 돌설부(42)에 맞닿은 로크부재(16)의 대기 위치에서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편(80)의 선단부에 설치된 맞닿음부(84)의 위치는, 삽입된 파이프(12)의 축선(12C)을 넘은 위치에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크부재(16)의 대기 위치에서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은 밀어붙이는 힘을 개방하면서 복원되어, 탄성편(80)의 맞닿음부(84)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 로크부재(16)를 연결 위치 방향(도 6의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스토퍼(64)의 선단부(64A)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부에 맞닿음으로써, 로크부재(16)의 연결 위치에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가 더 삽입되어, 도 8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고, 플랜지부(12A)가 검지스토퍼(64)의 위치를 통과하면, 검지스토퍼(64)의 선단부(64A)가 플랜지부(12A)로부터 벗어나, 검지스토퍼(64)가 로크부재(16)와 함께 연결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86)는 돌설부(42)의 상면을 타고넘어 돌설부(42)의 하측면에 부딪히고, 로크부재(16)의 위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의 밀어붙이는 힘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부(86)이 위쪽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과 대략 동시에, 로크부재(16)의 기부(16A)가 로크부(36)의 상벽(36B)에 맞닿아, 로크부재(16)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즉, 이 상태에서, 로크부재(16)는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저지되는 연결 위치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부(86)는, 로크부재(16)의 대기 위치에서 돌설부(40)의 상측면에 맞닿고, 로크부재(16)의 연결 위치에서 돌설부(42)의 하측면에 맞닿도록 하였지만, 로크부재(16)의 대기 위치 및 연결 위치에서, 로크부재(16)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돌설부(40, 42)를 대신하여, 걸림부(86)가 결합 또는 걸림 가능한 오목부를 오목하게 형성해도 된다.
(커넥터의 작용·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작용·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하우징(14)의 연결부(18)에 파이프(12)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대기 위치에서는, 로크부재(16)의 기부(16A)와 도 1에 나타내는 연결부(18)의 상벽(36B)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기 위치에서는, 로크부재(16)의 걸림편(78)의 선단부에 설치된 걸림부(86)가, 로크부(36)의 돌설부(40)와 돌설부(42) 사이에 설치된 틈새(44)에 배치되어 돌설부(42)의 상측면에 맞닿아서 로크부재(16)의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탄성편(80)에 설치된 돌기부(61)가 가설부(52)에 맞닿아서, 로크부재(16)의 윗방향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즉, 로크부재(16)의 대기 위치에서는, 로크부재(16)는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18)의 개구부(50) 내에 파이프(12)를 삽입하면, 파이프(12)의 외주면(12B)이, 탄성편(80)의 선단부에 설치된 맞닿음부(84)에 맞닿아, 맞닿음부(84)를 통하여 탄성편(80)을 외측으로 벌린다.
또한, 파이프(12)를 연결부(18)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맞닿음부(84)에 맞닿아, 맞닿음부(84)를 더 외측으로 벌린다. 이에 의해, 탄성편(80)이 더 외측으로 벌어지고, 탄성편(80)이 압압편(90)에 맞닿아, 압압편(90)을 통하여 걸림편(78)이 외측으로 벌어진다. 이에 의해, 로크부재(16)의 대기 위치에서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어, 로크부재(16)는 연결부(18)의 아래 방향(도 6의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맞닿음부(84)는, 삽입된 파이프(12)의 축선을 넘은 위치에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걸림편(78) 및 탄성편(80)에는 밀어붙이는 힘이 축적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크부재(16)의 대기 위치에서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은 밀어붙이는 힘을 개방하면서 복원된다.
이에 의해, 탄성편(80)의 맞닿음부(84)는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 로크부재(16)를 아래쪽(도 6의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스토퍼(64)의 선단부(64A)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에 맞닿음으로써, 로크부재(16)의 연결 위치 방향(도 6의 화살표 D방향)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가 더 삽입되어, 플랜지부(12A)가 검지스토퍼(64)의 위치를 통과하면, 검지스토퍼(64)의 선단부(64A)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로부터 벗어난다. 검지스토퍼(64)의 선단부(64A)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로부터 벗어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스토퍼(64)는 로크부재(16)와 함께 연결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걸림부(86)는 돌설부(42)의 상면을 타고 넘어, 돌설부(42)의 하측면에 맞닿고, 로크부재(16)의 위쪽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파이프(12)가 커넥터(1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에서는, 로크부재(16)의 대기 위치에 있어서, 파이프(12)가 삽입되면, 로크부재(16)가 대기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검지스토퍼(64)의 선단부(64A)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부에 맞닿고, 로크부재(16)의 연결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그리고, 파이프(12)가 더 삽입되어 플랜지부(12A)가 검지스토퍼(64)의 위치를 통과하면, 검지스토퍼(64)가 로크부재(16)와 함께 연결 위치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에서는, 종래와 같이,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스토퍼의 위치를 통과한 후에, 로크부에 의한 로크부재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고, 로크부재를 연결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다. 즉, 대기 위치에서의 걸림편(78)의 로크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로크부재(16)가 연결 위치로 직접 이동하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검지스토퍼(64)의 위치를 확실히 통과한 후에, 로크 상태를 해제할 필요가 있다. 이 결과, 로크 해제시의 검지스토퍼(64)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때문에, 탄성편(80), 걸림편(78), 검지스토퍼(64)의 치수 공차가 누적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이프(12)가 삽입되어 플랜지부(12A)가 검지스토퍼(64)의 위치를 통과한 순간에, 검지스토퍼(64)가 연결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치수 공차가 누적되지 않는다. 이 결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 파이프(12)의 삽입 방향의 흔들거림(오버 스트로크)(G)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12)의 과잉의 오버 스트로크를 없앨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12)가 비틀어졌을 때에 빠지기 어려워져, 진동 부하에 대하여 강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10)의 개구부(50) 내에 파이프(12)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파이프(12)가 커넥터(10)에 연결되는, 소위 원터치식이기 때문에, 파이프(12)의 연결 조작이 간단하고, 작업자가 로크부재(16)를 손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편리하다.
한편, 커넥터(10)로부터 파이프(12)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연결 상태에 있어서, 로크부재(16)의 중앙부에 설치된 조작 경사부(74) 내에 마이너스 드라이버나 전용 치구를 삽입하여, 로크부재(16)를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이에 의해, 맞닿음부(84)가 파이프(12)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지고, 맞닿음부(84)를 통하여 탄성편(80)이 외측으로 벌어져, 탄성편(80)이 압압편(90)에 맞닿고, 압압편(90)을 통하여 걸림편(78)을 외측으로 벌린다.
그리고, 걸림편(78)의 걸림부(86)가 돌설부(40)을 타고 넘어, 걸림편(78)의 걸림부(86)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문에, 로크부재(16)는, 마이너스 드라이버나 전용 치구에 의해, 위쪽으로 들어올린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로크부재(16)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는, 검지스토퍼(64)는 플랜지부(12A)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파이프(12)의 떼어내기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관하여 도 9 및 도 10에 따라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돌기부(61)를 대신하여, 슬릿(100)에 의해 2 분할된 검지스토퍼(64)의 각 선단 외측부에,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돌출부(102)가 하우징(14)의 관통공(56)의 주연부(周緣部)에 결합됨으로써, 로크부재(16)의 윗방향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진다.
(그 이외의 실시형태)
이상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의 실시형태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재(16)에 설치된 걸림편(78)에, 압압편(90) 및 걸림부(86)을 설치하였지만, 이를 대신하여, 탄성편(80)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걸림부(86)의 대기 위치에서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는 구성이면 다른 구성이라도 된다.
이 때문에,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은 반드시 2개 필요하다는 것이 아니며 탄성편(80) 및 걸림편(78)이 적어도 1개 있으면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걸림편(78)의 형상도 특히 상기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하우징(14)에 있어서, 삽입부(20)와 연결부(18)가 동축(同軸)상에 설치되어 있지만, 하우징(14)을 통하여 파이프(12) 및 튜브(13)를 접속시킬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삽입부(20)와 연결부(18) 사이에 엘보부를 접속하고, 엘보부를 통하여 삽입부(20)와 연결부(18)를 직교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4)의 형상을 다양화시킴으로써, 파이프(12) 및 튜브(13)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커넥터(10)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외주면에 환상(環象)의 플랜지부가 형성된 파이프가 삽입되는 원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 가능한 대기 위치와, 상기 개구부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로크(lock)부재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커넥터 본체에 로크하는 로크부와;
    상기 로크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 내로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의 삽입시에 상기 플랜지부가 맞닿으면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로크부에 의한 상기 로크부재의 로크 상태를 해제함과 함께, 복원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아 들어가,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밀어붙임기구; 및
    상기 로크부재에 설치된 검지스토퍼(detection stopp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로크부재, 상기 밀어붙임기구 및 상기 검지스토퍼는 상기 파이프가 커넥터 안으로 삽입되면, 상기 검지스토퍼가 상기 플랜지부에 맞닿아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파이프가 더 삽입되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검지스토퍼를 통과하며;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검지스토퍼를 통과한 직후, 상기 검지스토퍼가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에 대해 상기 커넥터 본체의 개구부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커넥터에서의 상기 파이프의 흔들거림을 저지하며,
    상기 밀어붙임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 내로 돌출되는 탄성편이며, 상기 로크부재의 대기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파이프의 축선을 넘은 위치에서 상기 파이프에 맞닿고,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탄성편과 평행하게 연출(延出)되는 다리편과;
    상기 다리편의 단부(端部)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편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편이 맞닿아서 압압되는 압압부와;
    상기 다리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위치 및 상기 연결 위치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피(被)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로크부재가 윗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다리편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부; 및
    상기 로크부재의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부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삭제
  3. 삭제
KR1020147019832A 2011-12-27 2012-12-25 커넥터 KR101989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86079 2011-12-27
JP2011286079A JP5797547B2 (ja) 2011-12-27 2011-12-27 コネクタ
PCT/JP2012/083533 WO2013099887A1 (ja) 2011-12-27 2012-12-25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314A KR20140102314A (ko) 2014-08-21
KR101989209B1 true KR101989209B1 (ko) 2019-06-13

Family

ID=4869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832A KR101989209B1 (ko) 2011-12-27 2012-12-25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16658B2 (ko)
EP (1) EP2799750B1 (ko)
JP (1) JP5797547B2 (ko)
KR (1) KR101989209B1 (ko)
CN (1) CN104024716B (ko)
WO (1) WO2013099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7164B2 (ja) * 2013-12-02 2019-04-24 クーパー−スタンダード オートモーティブ、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流体クイックコネクタ組立体
JP5753284B1 (ja) * 2014-01-16 2015-07-22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10024574B2 (en) * 2014-11-13 2018-07-17 Miclau-S.R.I. Inc Condensing water heater with dielectrically insulated secondary flue
DE102015214654A1 (de) * 2015-07-31 2017-02-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baugruppe und Fahrzeug mit einer derartigen Batteriebaugruppe (II)
JP6149081B2 (ja) * 2015-09-24 2017-06-14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DE102016109051A1 (de) * 2015-10-21 2017-04-27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Medienleitungen
FR3044070B1 (fr) 2015-11-20 2019-06-28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securise a connexion automatique
KR101714313B1 (ko) * 2016-04-18 2017-03-2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CN106704744A (zh) * 2016-12-19 2017-05-24 河北亚大汽车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试验用管接头装置
USD859618S1 (en) * 2017-09-15 2019-09-10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Heating apparatus clip
US10612707B2 (en) 2017-11-28 2020-04-07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Quick connect assembly and method
US11199281B2 (en)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DK180026B1 (en) 2018-03-12 2020-01-24 Mbh-International A/S A flexible double lumen tube and a tube coupling system for same
JP6722714B2 (ja) 2018-04-26 2020-07-15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7253572B2 (ja) * 2018-05-31 2023-04-06 ハニル・チューブ・コーポレーション クイックコネクタ
FR3086990B1 (fr) * 2018-10-04 2020-12-11 Tristone Flowtech Solutions Tfs Raccord femelle pour conduite de fluide et dispositif de raccordement comprenant un tel raccord
US11378464B2 (en) * 2019-04-10 2022-07-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Temperature sensor clamping systems and methods
CN113017820A (zh) * 2019-12-09 2021-06-25 捷锐士股份有限公司 用于将多个部件定位在体内的用户接口和锁定特征部
JP7150209B1 (ja) * 2022-07-08 2022-10-07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継手
US20240068610A1 (en) * 2022-08-30 2024-02-29 A. Raymond Et Cie Quick connector verific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4508A (ja) * 2010-02-23 2011-09-08 Nifco Inc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0545Y2 (ko) * 1978-04-29 1982-07-05
JP3566445B2 (ja) * 1996-03-15 2004-09-15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ネクタ
US5863077A (en) * 1996-12-20 1999-01-26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frangible retainer
US6866303B2 (en) * 2002-10-16 2005-03-1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Low profile fluid quick connector
JP4264937B2 (ja) * 2003-07-09 2009-05-20 Smc株式会社 チャック及び管継手
JP4462893B2 (ja) * 2003-10-22 2010-05-12 株式会社東郷製作所 管継手
EP1526320B1 (en) 2003-10-22 2010-12-15 Togo Seisakusyo Corporation Pipe joint
JP4041457B2 (ja) * 2003-12-12 2008-01-30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4228922B2 (ja) * 2004-01-27 2009-02-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4011575B2 (ja) * 2004-10-15 2007-11-21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4623371B2 (ja) * 2005-05-13 2011-02-0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4759421B2 (ja) * 2006-03-24 2011-08-31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2009236206A (ja) * 2008-03-27 2009-10-15 Toyoda Gosei Co Ltd コネクタ
US8240716B2 (en) * 2008-08-07 2012-08-14 TI Group Automotive System,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pull tab verifier
US20100052315A1 (en) * 2008-08-28 2010-03-0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lateral stabilization
JP5452947B2 (ja) * 2009-02-18 2014-03-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パイプ継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4508A (ja) * 2010-02-23 2011-09-08 Nifco Inc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9750A4 (en) 2015-06-17
KR20140102314A (ko) 2014-08-21
US20140339821A1 (en) 2014-11-20
US9816658B2 (en) 2017-11-14
EP2799750A1 (en) 2014-11-05
CN104024716A (zh) 2014-09-03
EP2799750B1 (en) 2018-09-26
CN104024716B (zh) 2016-01-20
JP5797547B2 (ja) 2015-10-21
WO2013099887A1 (ja) 2013-07-04
JP2013133915A (ja)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209B1 (ko) 커넥터
EP2541118B1 (en) Connector
JP6073510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7044505B2 (en) Quick connector with function of verifying complete connection
CN110691937B (zh) 管道接头
US6142826A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member
JP2006234024A (ja) コネクタ
US9004111B2 (en) Plug for connector
JP5911729B2 (ja) コネクタ
JP5941772B2 (ja) コネクタ
CN211852024U (zh) 进气系统的连接结构和进气系统
JP5868204B2 (ja) コネクタ
JP2013167303A (ja) コネクタ
EP0942491A2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member
JP2024081022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6284075B2 (ja) コネクタ
JP2007046651A (ja) ケーブルの抜止具及びケーブルの取付構造
JP2005145368A (ja) 燃料配管取付部構造
JP2011117569A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