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174B1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174B1
KR101839174B1 KR1020137013847A KR20137013847A KR101839174B1 KR 101839174 B1 KR101839174 B1 KR 101839174B1 KR 1020137013847 A KR1020137013847 A KR 1020137013847A KR 20137013847 A KR20137013847 A KR 20137013847A KR 101839174 B1 KR101839174 B1 KR 101839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ar
securing member
safety spring
safety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166A (ko
Inventor
미햐엘 군레벤
프랑크 오도르퍼
Original Assignee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filed Critical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Publication of KR20130099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 이차 쇄정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안전 스프링 바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 쇄정 부재와 안전 스프링 바가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안전 스프링 바는 이차 쇄정 부재를 그의 제2 위치에서 쇄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는,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안전 스프링 바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굴절면을 포함한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이동하면 상기 안전 스프링 바가 본질적으로 삽입 방향으로 굴절되어 상기 이차 쇄정 부재를 그의 제1 위치를 향해 가압한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안전 스프링 바는 안전 위치에 스냅핑되어 상기 이차 쇄정 부재를 그의 제2 위치에 쇄정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이차 쇄정 부재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차 쇄정 부재에 가부 기능(go/no go function)을 제공하는 안전 스프링 바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여러 용도에 있어서, 커넥터의 결합 유지는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차량 안전 시스템, 예컨대 승용 차량에서의 에어백 시스템의 경우, 점화 베이스에 에어백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에는 신뢰가능한 안전 시스템이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 커넥터가 저절로 풀릴 수 없게 하기 위하여, 기계적 결합 유지를 확실하게 하는데 이차 쇄정 부재가 사용된다.
이차 쇄정 부재를 갖는 커넥터의 일례가 WO 97/41623 A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은 에어백 점화 기구의 부품인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정합될 수 있는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태 커넥터와 정합될 때, 상기 커넥터는 유연성 래칭 암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에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의 정합시, 이러한 암은 완전히 정합될 때 굴절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의 대응하는 레칭 틈새로 스냅핑된다. 상기 커넥터의 기계적 결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WO'623호는 두 커넥터가 정합될 때 커넥터로 삽입될 수 있는 이차 쇄정 부재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는 커넥터의 래칭 암과 상대 커넥터 하우징의 면들 사이에서 상기 이차 쇄정 부재의 삽입시에 이동하는 쇄정 암을 포함한다. 상기 쇄정 암이 삽입되면, 이들은 래칭 암의 굽힘을 억제한다. 따라서, 상기 래칭 암은 래칭 틈새의 밖으로 구부려질 수 없어서 상기 커넥터의 기계적 결합이 확실하게 된다. WO'623호에 기재된 이차 쇄정 부재에는 그의 쇄정 위치에 이차 쇄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쇄정 수단이 더 제공되고, 상기 쇄정 위치는 이차 쇄정 부재가 커넥터 정합을 확실하게 하는 전술한 위치이다. 그러나, 상기 WO'623호에 기재된 경우에서는,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적절하게 기능할 수 없으며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지 않는 반-끼움 위치(half-fitting position)에 상기 이차 쇄정 부재를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의도하지 않게 제거될 수 있다.
이차 쇄정 부재의 더 나은 개발이 공유 특허 출원 DE 100 05 858 A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은 이차 쇄정 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지만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커넥터의 정합 또는 부정합을 방해하지 않는 기쇄정된 위치(pre-locked position)에 이차 쇄정 부재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이차 쇄정 장치와 안전 스프링 요소를 구비한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DE'858호에 기재된 안전 스프링 요소는 이차 쇄정 부재에 이른바 가부 기능을 더 제공한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의 기쇄정된 위치에서, 상기 안전 스프링 요소의 두 스프링 암이 상기 이차 쇄정 부재의 스톱 쇼울더와 접촉하고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그의 쇄정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에 커넥터를 장착하면, 상기 상대 커넥터 하우징은 커넥터 하우징의 해제부와 접촉하여 이러한 해제부를 상기 안전 스프링 요소에 대하여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 작용에 의하여, 상기 안전 스프링 요소는 변형되고 상기 두 스프링 암은 이차 쇄정 부재의 스톱 쇼울더로부터 해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그의 쇄정 위치를 향해 이동하면, 각 스프링 암은 상기 이차 쇄정 부재의 경사진 채널에 의해 가이드되고, 이에 의하여 이러한 경사진 채널의 에지에 대하여 굽혀져서 편향된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그의 쇄정 위치에 위치되기 직전에, 각 스프링 암은 경사진 채널의 전환점을 지나서 상기 이차 쇄정 부재의 노치에 스냅핑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이차 쇄정 부재를 그의 쇄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이러한 쇄정 위치에 위치되지 않는 한, 상기 스프링 암은 경사진 채널의 에지에 대하여 편향되고, 그 결과 복원 스프링력으로 인하여 상기 스프링 암은 이차 쇄정 부재가 의도하지 않게 반-끼움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억제하고, 즉 상기 스프링력은 이차 쇄정 부재가 기쇄정 위치로 되돌아가게 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안전 스프링 요소는 이차 쇄정 부재에 가부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이는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그의 쇄정 위치에 정확히 위치되거나 그의 기쇄정 위치로 되돌아가지만 임의의 중간 위치를 방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개선된 이차 쇄정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을 최신식으로 개선시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면 스프링 구성요소의 피로 손상으로 인하여 불용 상태(non-serviceable)로 되지 않게 하는 개선되고 더 신뢰가능한 가부 메커니즘이 제공된 이차 쇄정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된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저렴하고 복잡하지 않은 이차 쇄정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달성하는 것이다.
다음의 설명을 이해하면 명백해지는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 이차 쇄정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안전 스프링 바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 쇄정 부재와 안전 스프링 바가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에 정합되는 경우에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그의 제2 위치에 위치될 때에 상기 이차 쇄정 부재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정합을 확실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위치는 이차 쇄정 부재의 쇄정 위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차 쇄정 부재의 제1 위치는 이차 쇄정 부재가 의도하지 않게 풀릴 수 없고 또는 제2 위치로 의도하지 않게 이동될 수 없도록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안전 스프링 바에 의해 고정되는 기쇄정 위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차 쇄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굴절면을 포함하고, 그의 제1 위치로부터 그의 제2 위치를 향해, 즉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이러한 굴절면은 안전 스프링 바와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굴절면은 이차 쇄정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상기 이차 쇄정 부재에 배치되는 별개의 또는 중간 부품일 수도 있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그의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안전 스프링 바는 이미 맞물림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즉 예를 들어 상기 굴절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만 상기 안전 스프링 바는 굴절면과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맞물림은 안전 스프링 바가 본질적으로 삽입 방향으로 굴절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그의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굴절된 안전 스프링 바는 이차 쇄정 부재를 쇄정시키는 안전 위치에 스냅핑된다.
이러한 굴절로 인하여, 상기 안전 스프링 바는 저항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차 쇄정 부재를 그의 제1 위치를 향해 가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안전 스프링 바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는 경우, 상기 이차 쇄정 부재는 안전 스프링 바를 삽입 방향으로 굴곡시키고, 스프링 바의 탄성으로 인하여, 복원 스프링력이 증강되어 이차 쇄정 부재의 이동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수동으로 제2 위치로 가압되지 않으면 이러한 복원 스프링력은 이차 쇄정 부재를 가압하여 그의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상기 안전 스프링 바의 전술한 굴곡에 따라 상기 굴곡된 안전 스프링 바와 접촉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부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해제부는 안전 스프링 바와 이차 쇄정 부재의 굴절면 간의 맞물림을 해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그의 제2 위치에 위치되기 직전에 상기 해제부가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이러한 해제부가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제부는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지만,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되는 별개의 또는 중간 부품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굴절면과 안전 스프링 바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안전 스프링 바의 굴곡에 따라, 상기 안전 스프링 바가, 예를 들어 각을 이루는 방향 또는 심지어 상기 삽입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는 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해제부가 안전 스프링 바를 편향시킨다. 이러한 안전 스프링 바의 측방향 운동은 상기 스프링 바가 굴절면에 대하여 변위되게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차 쇄정 부재의 굴절면과의 접촉에서 벗어나 슬라이드한다. 상기 안전 스프링 바가 굴절면에 의해 더 이상 맞물리지 않으면, 상기 안전 스프링 바는 삽입 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뒤로 상기 안전 위치에 스냅핑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이차 쇄정 부재를 그의 제2 위치에 쇄정시킨다. 이러한 안전 위치는 이차 쇄정 부재의 면에서 노치나 리세스에 의해 또는 상기 이차 쇄정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스톱 쇼울더에 의해 예시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스프링 바는 이차 쇄정 부재에 가부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가부 메커니즘은 다음을 제공하는 메커니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차 쇄정 부재는 안전 스프링 바의 대응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본질적으로 삽입 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가, 예를 들어 수동 가압에 의해 해제점을 지나 이동된 후, 상기 이차 쇄정 부재는 제1 위치를 향해서가 아니라 바람직하게 제2 위치를 향해 더 이상 가압되지 않는다. 이러한 가부 메커니즘은 이차 쇄정 부재가 적절하게 기능할 수 없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중간 반-끼움 위치에 그리고 제2 위치에 의도하지 않게 위치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상기 안전 스프링 바가 안전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어떠한 스프링 구성요소도 인장 하에 있지 않게 하고, 어떠한 스프링 구성요소도 피로 손상으로 인하여 불용 상태로 되지 않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면의 일부분이 절개된,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이차 쇄정 부재가 그의 제2 위치로 이동되기 직전에 도시된, 도 1 및 2의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이차 쇄정 부재가 그의 제2 위치에 위치된, 도 1 내지 3의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커넥터 하우징(300)에 장착된 이차 쇄정 부재(200)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300)의 내부에 장착된 안전 스프링 바(400)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는 그의 제1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300)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미도시)의 내부에 커넥터 어셈블리(100)를 고정하기 위한 두 래칭 암(301) 및 상기 상대 커넥터와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한 연결부(303)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100)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내부 구성요소가 보일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300)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는 이차 쇄정 부재(200)의 삽입 방향에 본질적으로 수직한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본질적으로 U 형상 와이어이다. 상기 U 형상 와이어의 다리의 베이스(401)는 커넥터 하우징(300)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U 형상 와이어의 두 자유단(403)은 상기 삽입 방향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자유롭다. 이러한 이차 쇄정 부재(200)의 삽입 방향은 화살표(501)로 나타나 있고,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의 제1 위치로부터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의 제2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이다.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칙적으로 상기 자유단(403)은 (이들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거나 굽힘가능하므로, 본 출원의 문맥에서 "삽입 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으로"라는 용어는 화살표(501)와 평행하지 않은 임의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가 의도하지 않게 풀릴 수 없고 또는 그의 제2 위치로 의도하지 않게 이동될 수 없도록 고정되는 기쇄정 위치인 바람직하게는 그의 제1 위치에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는 이차 쇄정 부재(200)의 표면(207)(도면의 사시도로 인해 하나만이 보여짐)에 대해 편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를 이러한 제1 위치에서 유지시킨다. 대안적으로,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는 그의 제1 위치에서 추가적인 래칭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2로부터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가 그의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굴절면(209)이 안전 스프링 바(400)의 자유단(403)과 맞물리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맞물림으로 인하여,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굴절면(209)은 안전 스프링 바(400)의 자유단(403)을 삽입 방향으로 굴곡시킨다. 도 3에서,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가 그의 제2 위치에 위치되기 직전의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자유단(403)의 굴곡은 이러한 자유단(403)의 인장을 야기하여 복원 스프링력이 증강되어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의 이동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굴곡 위치에서, 상기 자유단(403)은 이차 쇄정 부재(200)를 그의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가압하고, 상기 가부 메커니즘의 제1 부분이 실현된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가 그의 제2 위치를 향해 부분적으로만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는 자유단(403)에 의해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가압될 것이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굴절되면,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의 자유단(403)은 이차 쇄정 부재(200)의 면(207)(도면의 사시도로 인해 하나의 면만이 보여짐)을 따라 그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300)의 가이드면(307)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면(307)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자유단(403)은 도시된 도면에서 경사(305)의 형태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300)의 해제부(305)와 접촉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경사(305)를 따라 자유단(403)의 이동은 상기 자유단(403)을 측방향으로 배치해서 도면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유단(403)을 이동시킨다. 도 3에서, 상기 자유단(403)은 어느 정도 이미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굴절면(209)과 더 이상 완전히 맞물리고 있지 않다.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가 삽입 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하면, 상기 자유단(403)은 결국 굴절면(209)과의 맞물림에서 해제될 것이다. 상기 굴절면(209)과의 맞물림에서 해제된 후, 상기 축적된 복원 스프링력으로 인하여, 상기 자유단(403)은 표면(213)을 따라 그리고 경사진 에지(203)(도면의 사시도로 인해 하나의 에지만이 보여짐)를 따라 삽입 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뒤로 움직여서 노치(211)에 래칭되고, 상기 자유단(403)은 스톱 쇼울더(205)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자유단(403)이 경사진 에지(203)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자유단(403)은 이러한 경사진 에지(203)에 밀착하여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의 그의 삽입 방향으로의 하방향 이동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안전 스프링 요소(400)와 굴절면(209)이 더 이상 맞물리지 않은 후에, 상기 가부 메커니즘의 제2 부분이 실현된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가 그의 제1 위치를 향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그의 제2 위치를 향해 더 이상 가압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가 그의 제2 위치로 완전히 이동되는 것이 보장된다.
도 4는 이차 쇄정 부재(200)가 그의 제2 위치로 완전히 이동되고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가 그의 안전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안전 위치에서 자유단(403)은 노치(211)에 위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안전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자유단(403)은 이차 쇄정 부재(200)를 그의 제2 위치에 고정시킨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를 그의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자유단(403)은 경사진 에지(203)를 따라 이동해야 하고, 즉 상기 자유단(403)은 커넥터 하우징(300)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는 저절로 제거될 수 없지만, 상기 경사진 에지(203)의 형상은 조작자가 이차 쇄정 부재(200)를 수동으로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가 그의 안전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그 구성요소의 어느 것도 인장 하에 있지 않다. 이에 의하여, 스프링 구성요소의 어느 것도 피로 손상으로 인해 불용 상태로 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이차 쇄정 부재(200)와 안전 스프링 바(400)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유리한 가부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가 그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반-끼움 중간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축적된 복원 스프링력으로 인하여,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는 이차 쇄정 부재(200)를 그의 제1 위치 또는 그의 제2 위치에서 가압한다.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가 그의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의 자유단(403)은 그의 안전 위치에, 즉 노치(211)에 스냅핑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를 그의 제2 위치에 고정시킨다.
도 5는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이차 쇄정 부재(200')는 그의 제2 위치에서 커넥터 하우징(300')에 장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커넥터 어셈블리(100')에는 두 개의 안전 스프링 바(400')가 제공되고, 각각은 커넥터 하우징(300')의 일체형 부품으로 형성되며 그 위에 대칭되게 배열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커넥터 하우징(300')과 안전 스프링 바(400')가 단일의 사출 성형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안전 스프링 바(400')는 그의 고정단(405')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300')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그의 자유단(403')이 이차 쇄정 부재(200')의 삽입 방향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자유롭다.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 안전 스프링 바(400')는 이차 쇄정 부재(200')의 삽입 방향에 수직한 공통 평면에서 본질적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양 실시예(400 및 400')에 공통된 이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대해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특징은 안전 스프링 바(400, 400')의 일반적인 방향을 설명하는 것이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스프링 바가, 예를 들어 상기 평면에 대하여 작은 각도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서로 각을 이루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러한 일반적인 방향은 신뢰가능한 스프링 메커니즘을 보장하는 안전 스프링 바의 복잡하지 않은 구성의 결과이다. 부가적인 후킹 부품 또는 래칭 요소와 같은 안전 스프링 바의 구성요소는 이러한 평면의 밖으로 돌출할 수 있다.

Claims (15)

  1.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와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형성하는 커넥터 하우징(300; 300'),
    상기 상대 커넥터 내부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래칭 암을 형성하는 일차 쇄정 부재,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이차 쇄정 부재(200; 200'), 및
    안전 스프링 바(400; 40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는 커넥터 하우징(300; 300')에 배치되고, 이차 쇄정 부재(200; 200')를 그의 제2 위치에서 상기 래칭 암과 상기 연결부의 중간에 쇄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 200')는,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 200')가 그의 제1 위치로부터 그의 제2 위치를 향해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의 자유단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굴절면(209)을 형성하고,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 200')가 제2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자유단은 상기 굴절면과 맞물린 채로 유지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경사진 해제부에 의해 상기 굴절면과의 맞물림으로부터 벗어나 안전 위치(211)에 스냅핑되어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 200')를 그의 제2 위치에 쇄정시키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는 삽입 방향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300; 300')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300; 300')은 안전 스프링 바(400; 400')와 굴절면(209)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제부(3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 200')가 그의 제2 위치에 위치되기 직전에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의 굴절에 따라, 상기 해제부(305)는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와 굴절면(209)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도록 안전 스프링 바(400; 400')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00').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305)는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의 굴절에 따라 안전 스프링 바(400; 400')의 측방향 운동이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와 굴절면(209)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경사부(3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00').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 200')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표면(203)을 포함하고, 그의 안전 위치(211)에 스냅핑되면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는 상기 경사진 표면(203)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 200')를 그의 제2 위치의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00').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는 삽입 방향과 평행한 일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의 일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자유단(403; 40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00').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 200')가 그의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는 이차 쇄정 부재(200; 200')의 표면(207)에 대하여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00').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는 추가로 이차 쇄정 부재(200; 200')를 그의 제1 위치에 쇄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00').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는 이차 쇄정 부재(200; 200')에 가부 메커니즘(go/no go mechanism)을 제공하여,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 200')가 그의 제2 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 200')를 상기 삽입 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00').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 200')는,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가 그의 안전 위치(211)에 스냅핑되는 경우에 안전 스프링 바(400; 4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치(211)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노치(211)의 일측이 경사진 표면(203)을 포함하고 상기 노치(211)의 일측이 스톱 쇼울더(205)를 포함하여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를 그의 안전 위치(211)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00').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쇄정 부재(200; 200')가 그의 제2 위치로부터 그의 제1 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경사진 표면(203)은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 400')를 삽입 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00').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는 U 형상 와이어(400)이고, 이에 따라 상기 U 형상 와이어의 베이스(401)는 커넥터 하우징(300)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U 형상 와이어의 다리의 두 자유단(403)은 상기 삽입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 스프링 바(400')는 커넥터 하우징(300')의 적어도 하나의 일체형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프링 바(400')는 일측에 커넥터 하우징(300')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커넥터 하우징(300')의 적어도 하나의 일체형 부품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자유로운 적어도 하나의 자유단(4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
KR1020137013847A 2010-10-29 2011-10-17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39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BPCT/IB2010/003233 2010-10-29
IB2010003233 2010-10-29
PCT/EP2011/068100 WO2012055719A1 (en) 2010-10-29 2011-10-17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166A KR20130099166A (ko) 2013-09-05
KR101839174B1 true KR101839174B1 (ko) 2018-03-15

Family

ID=4509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847A KR101839174B1 (ko) 2010-10-29 2011-10-17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90742B2 (ko)
EP (1) EP2705579B1 (ko)
JP (1) JP5826280B2 (ko)
KR (1) KR101839174B1 (ko)
CN (1) CN103238255B (ko)
BR (1) BR112013010460A2 (ko)
WO (1) WO20120557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7337B2 (ja) * 2012-11-12 2017-08-09 デルフィ・インターナショナル・オペレーションズ・ルクセンブルク・エス・アー・エール・エル 自動二次ロックを備えた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279846B2 (ja) * 2013-07-01 2018-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EP2840664B1 (en) * 2013-08-20 2016-06-08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assembly with spring operated secondary lock
EP3047545B1 (en) * 2013-09-16 2018-07-25 Tyco Electronics France SAS Spring-lock connector
WO2015036611A1 (en) * 2013-09-16 2015-03-19 Tyco Electronics France Sas Electrical connector for a safety restraint system
CN105531886B (zh) * 2013-09-16 2018-07-03 泰科电子法国公司 一种用于安全约束系统的电连接器
FR3010841B1 (fr) * 2013-09-16 2017-05-26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a verrouillage a ressort
FR3013912B1 (fr) * 2013-11-25 2017-05-26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electrique pour systeme de retenue de securite
EP2876745B1 (fr) 2013-11-25 2017-08-23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électrique pour système de retenue de sécurité
FR3013911B1 (fr) * 2013-11-25 2017-05-26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electrique pour systeme de retenue de securite
JP6193745B2 (ja) * 2013-12-03 2017-09-0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ハーネス、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EP2966735B8 (en) * 2014-07-11 2019-02-27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dual secondary lock
KR101687170B1 (ko) 2015-04-14 2016-12-16 최현정 양초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양초
EP3116075B1 (en) * 2015-07-08 2019-09-11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plug connector for a safety restraint system
KR20190033233A (ko) 2017-09-21 2019-03-29 최현정 양초 및 그의 제조방법
FR3079078B1 (fr) * 2018-03-19 2020-03-06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electrique a verrouillage
EP3734772B1 (en) * 2019-04-30 2022-08-10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tact terminal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for a safety restraint system
JP6966509B2 (ja) * 2019-06-04 2021-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03645D0 (en) * 1996-02-21 1996-04-17 Amp Great Britain Electrical connector with push button locking mechanism
JP3974181B2 (ja) 1996-04-30 2007-09-12 エフシーアイ 二次ラッチおよび横ケーブル引出し口を有するコネクタ
DE19840726C2 (de) * 1998-09-07 2000-09-28 Amphenol Tuchel Elec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9850521C1 (de) * 1998-11-03 2001-05-17 Hirschmann Richard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6123575A (en) * 1999-07-30 2000-09-26 Huang; Wayne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mixed latching means
DE10005858C2 (de) 2000-02-10 2002-01-10 Fci Automotive Deutschland Gmb Steckverbinder
KR100564091B1 (ko) * 2000-03-01 2006-03-27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접속 시스템
DE10032234B4 (de) * 2000-07-03 2005-04-07 Fci Automotive Deutschland Gmbh Steckverbinder mit Sekundärverriegelung
DE10227016B4 (de) 2002-06-17 2004-06-03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CN2694554Y (zh) * 2004-03-29 2005-04-20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具有锁扣机构的电连接器
DE102005001515B4 (de) * 2005-01-13 2008-01-3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7997914B2 (en) * 2008-06-11 2011-08-16 Google Inc. Push-to-insert, push-to-eject and pull-to-extract card connector
US8016606B1 (en) * 2011-01-10 2011-09-13 J.S.T. Corporation Unstress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5579A1 (en) 2014-03-12
BR112013010460A2 (pt) 2016-08-02
US20130252455A1 (en) 2013-09-26
JP5826280B2 (ja) 2015-12-02
CN103238255B (zh) 2016-01-20
KR20130099166A (ko) 2013-09-05
EP2705579B1 (en) 2017-01-04
CN103238255A (zh) 2013-08-07
JP2013542571A (ja) 2013-11-21
WO2012055719A1 (en) 2012-05-03
US9190742B2 (en)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17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79473B1 (ko)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
KR101001826B1 (ko)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를 갖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위치 보장 방법
EP312042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771925B1 (en) Electrical connector latch
US7025618B2 (en) Connector lock mechanism
KR102011385B1 (ko) 자동 이차 로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20080046566A (ko) 전기 커넥터
CN107069349B (zh) 电接插式连接装置和对此的释放元件
CN110622367B (zh) 连接器
US5807130A (en) Two way electrical connector
JP3437102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CN111987521B (zh) 用于插头的包括显示单元的壳体
JPH11111390A (ja) 嵌合検知コネクタ
CN111193155B (zh) 连接器
CN111052516B (zh) 连接器和连接器单元
US20220123501A1 (en) Plug connector with latch
US1046147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7389407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7103913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CN117438816A (zh) 用于连接电导线的连接端子
JP2017188393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