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473B1 -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473B1
KR101879473B1 KR1020137030619A KR20137030619A KR101879473B1 KR 101879473 B1 KR101879473 B1 KR 101879473B1 KR 1020137030619 A KR1020137030619 A KR 1020137030619A KR 20137030619 A KR20137030619 A KR 20137030619A KR 101879473 B1 KR101879473 B1 KR 10187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ing
plug connector
retainer
connecto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4391A (ko
Inventor
미하엘 군레벤
뱅성 레녜
Original Assignee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filed Critical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Publication of KR20140024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응 홀더(30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200) 및 플러그 커넥터(100)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커넥터 하우징(101)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10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암(102)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리테이너(200)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리테이너(200)에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시 상기 래칭 암(102)의 굴절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202)를 포함하고, 상기 굴절부(202)는 굴절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래칭 암(102)의 해제 굴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제부(20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부(204)는 해제 굴절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저항을 제공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래칭 암(102)의 래칭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로킹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래칭부(20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AIRBAG CONNECTOR SYSTEM}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이들 양자가 대응 소켓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하여 커넥터 시스템이 정확하게 조립되는 경우에만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간의 전기적 접속이 확립될 수 있는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러 적용 분야에서 있어서, 커넥터와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 간의 안전한 커플링이 보장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예를 들면 승용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으로서 자동 안전 규제 시스템의 경우, 점화 베이스에, 즉 스퀴브 소켓(squib socket)에 에어백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플러그 커넥터에는 신뢰가능한 안전 시스템이 제공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이를 위하여,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에는 에어백 스퀴브 소켓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적절하게 연결되는 경우에만 상기 플러그 커넥터 상의 로킹 위치에 삽입될 수 있는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CPA 부재는 플러그 커넥터와 스퀴브 소켓의 정합된 상태를 위해 추가적인 안전보장을 제공하고, 통상적으로 상기 CPA 부재가 그의 로킹 위치에 정확하게 삽입되는지를 조작자가 가시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CPA 부재가 구성된다. 따라서, 이에 의해 상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간의 정확하고 안전한 정합이 보장될 수 있다.
CPA 부재가 제공된 플러그 커넥터의 일례가 유럽 공개 특허 EP 1 207 591 A2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의 스퀴브 소켓에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에어백 스퀴브 소켓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유연성 래칭 암에 의해 소켓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소켓에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시, 이러한 암은 상기 래칭 암에 제공된 로킹 돌기가 상기 에어백 스퀴브 소켓의 대응하는 래칭 리세스에 스냅(snap)될 때까지 내측으로 절곡된다.
상기 에어백 스퀴브 소켓과 플러그 커넥터의 정합을 더 확고하게 하기 위하여, CPA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에어백 스퀴브 소켓에 삽입되고 상기 로킹 돌기가 래칭 리세스에 스냅되는 경우, 상기 CPA 부재는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CPA 부재는 삽입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래칭 암의 면 사이의 슬롯으로 이동하는 로킹 암을 포함한다. 이러한 로킹 암이 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래칭 암의 절곡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상기 래칭 암은 리세스 내에 고정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에어백 스퀴브 소켓의 정합이 확고하게 된다. 유럽 공개 특허 EP 1 207 591 A2호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가 정확하게 정합되는 경우에만, 상기 CPA 부재는 커넥터의 정합 상태를 확보하는 로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조작자에 의해 가시적으로 검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의 올바른 정합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유럽 공개 특허 EP 1 207 591 A2호에 제안된 해결책이 만족스럽게 작용하는 경우에도, 일부 적용에 대해서, 상기 CPA 부재의 사용은, 예를 들어 공간 제약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CPA 부재 없이 스퀴브 소켓에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의 일례는 독일 공개 특허 DE 202 16 337 U1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의 전기 접점을 둘러싸는 연결관이 제공된 이른바 "스쿠프-방지(scoop-proof)" 플러그 커넥터의 일례이다. 이러한 연결관은 스퀴브 소켓에 플러그 커넥터를 정합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점 단자가 에어백 스퀴브 소켓의 대응하는 접점 핀에만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에어백 스퀴브 소켓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접점 핀에 접점 단자의 연결 불량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관은 에어백 스퀴브 소켓과 접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스퀴브 소켓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소켓에 삽입함에 따라 상기 래칭 암이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에어백 스퀴브 소켓에 완전히 삽입함에 따라 상기 래칭 암에 제공된 로킹 돌기가 상기 에어백 스퀴브 소켓의 대응하는 래칭 리세스에 스냅되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는 연결관에 부착되는 래칭 암이 제공된다.
CPA 부재 없이 스퀴브 소켓에 연결될 플러그 커넥터의 다른 예가 유럽 공개 특허 EP 2 230 731 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전술한 예와 유사하게, "스쿠프-방지" 플러그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관에 제공된 유연부에 장착되는 래칭 암에 의해 대응하는 스퀴브 소켓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래칭 암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에어백 스퀴브 소켓에 삽입함에 따라 상기 로킹 암은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완전한 삽입에 따라 상기 래칭 암에 제공된 로킹 돌기는 상기 소켓의 리세스에 스냅되어 상기 에어백 스퀴브 소켓에 플러그 커넥터를 로킹시킨다.
유럽 공개 특허 EP 2 230 731 A1호의 래칭 암에는, 상기 에어백 스퀴브 소켓과 플러그 커넥터의 정합된 상태에서, 조작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해제 부재가 더 제공되는데, 즉 상기 해제 부재는 로킹 리세스에서 로킹 돌기를 해제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소켓으로부터 자유롭게 제거된다. 후자의 두 플러그 커넥터에 신뢰가능한 로킹 메커니즘이 제공되어 CPA 부재 없이 스퀴브 소켓에 연결될 수 있더라도, 양 플러그 커넥터는 스퀴브 소켓에 플러그 커넥터의 정합된 상태를 가시적으로 검출할 가능성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시스템용 플러그 커넥터에 개선된 로킹 수단을 제공하여 대응하는 스퀴브 소켓에 플러그 커넥터의 정확한 정합된 상태가 CPA 부재의 필요없이 보장될 수 있도록 종래의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켓과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커넥터 시스템용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출 성형 부품으로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는 저렴한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달성하는 것이다.
다음의 설명을 이해함에 따라 명백해지는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청구항 제1항, 제10항, 및 제18항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제27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청구항 제28항에 따른 리테이너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응 소켓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 및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암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리테이너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래칭 암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체형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상기 리테이너는 소켓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소켓의 단락 전기 접속 핀에, 예를 들어 단락 클립으로서 단락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는 소켓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삽입함에 따라 단락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테이너는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간의 기계적 연결 부재로서도 제공되며, 즉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리테이너를 통해 상기 소켓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래칭 암과 같은 플러그 커넥터의 로킹 요소가 치수나 기능에 있어서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기정된 구성 요소인 소켓의 치수와 설계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소켓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직접적인 기계적 커플링을 위한 로킹 요소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리테이너에 플러그 커넥터를 장착시 상기 래칭 암의 굴절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를 포함하고, 굴절이 상기 리테이너로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굴절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래칭 암은 리테이너에 플러그 커넥터를 장착시 상기 굴절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바람직하게는 내측으로 지향된 래칭 돌기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래칭 암은 장착 방향에 기본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굴절된다. 예를 들어, 상기 굴절부에 의한 래칭 암의 굴절로 인하여, 상기 래칭 암은 굴절부에 대하여 편향될 수 있다. 상기 소켓을 향해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이동에 따라, 상기 굴절이 커지고, 이에 의하여 상기 래칭 암의 편향을 증가시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저항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래칭 암의 해제 굴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부는 해제 굴절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저항을 제공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래칭 암이 해제부에 대해 편향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래칭 암이 굴절되어 상기 편향이 감소하도록 상기 해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칭 암을 굴절시키는데 어떠한 힘도 가해질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어떠한 저항도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래칭 암의 래칭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로킹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래칭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소켓으로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삽입됨에 따라, 상기 래칭 암은 커넥터 시스템의 멈춤면 뒤에 래칭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소켓에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로킹시킬 수 있다. 상기 굴절부, 해제부, 및 래칭부는 상기 리테이너에 또는 상기 래칭 암에 모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부분의 하나 또는 두 개가 상기 리테이너에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부분의 다른 하나 또는 두 개가 상기 래칭 암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굴절부, 해제부, 및 래칭부는 상기 리테이너에 모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굴절부와 해제부는 상기 리테이너에 플러그 커넥터를 장착시 상기 래칭 암의 굴절에 의해 제공된 저항이 상기 래칭 암의 해제 굴절이 가능해지기 전에 임계값에 도달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굴절부와 해제부는 상기 래칭 암이 해제부와 결합될 수 있기 전에 상기 굴절부와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굴절부와 래칭 암의 결합 및 상기 소켓을 향해 플러그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래칭 암은 외측으로 굴절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래칭 암의 증가하는 굴절로 인하여, 상기 래칭 암은 래칭 암의 증가하는 스프링력으로 인해 상기 굴절부에 대해 점점 편향되거나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추가적인 이동에 대한 저항, 즉 삽입력은 임계값까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계값은 1N 내지 100N 범위 내의 삽입력의 크기에, 바람직하게는 10N 내지 90N 범위 내의 삽입력의 크기에, 더 바람직하게는 20N 내지 80N 범위 내의 삽입력의 크기에, 더 바람직하게는 30N 내지 70N 범위 내의 삽입력의 크기에, 더 바람직하게는 30N 내지 60N 범위 내의 삽입력의 크기에, 가장 바람직하게는 35N 내지 45N 범위 내의 삽입력의 크기에 대응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굴절부, 해제부, 및 래칭부는 이른바 가부(Go/No Go) 부재에 일체로 제공되어, 상기 해제부가 굴절부와 래칭부 사이에 배치된다. 예시적으로, 이에 따른 가부 메커니즘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켓에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래칭 암은 굴절부와 결합된다. 삽입 방향으로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이동에 따라, 추가적인 이동에 대한 저항은 상기 래칭 암의 증가하는 굴절로 인해 커지게 된다. 상기 저항이 임계값에 도달한 후, 상기 래칭 암은 해제부와 결합되게 된다. 이로부터, 삽입 방향으로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어떠한 저항도 제공되지 않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래칭 암이 해제부를 지나가는 경우, 상기 래칭 암은 래칭부에 래칭되고, 즉 예를 들어 상기 래칭 암의 래칭 돌기가 상기 래칭 부의 멈춤면 뒤에 래칭되어,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로킹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이른바 가부 메커니즘인데, 이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조작자에 의해 충분하지 않은 힘으로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경우에, 조작자가 저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충분한 힘으로 가압할 때, 비교적 큰 합력 가압 운동량으로 인해, 조작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단지 중도에 삽입되는 것을 멈출 수 없지만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완전히 삽입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가압할 것이다.
본 발멍에 따른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 및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리테이너는 대응 소켓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암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리테이너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래칭 암은 플러그 커넥터가 리테이너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리테이너에 로킹시키는 경우에 상기 리테이너의 래칭부에 대해 래칭되도록 구성된 내측으로 지향된 래칭 돌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켓에 리테이너를 기계적으로 커플링시키는 커플링 부재가 제공되는 상기 리테이너에 플러그 커넥터가 로킹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의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래칭 암의 래칭 돌기와 리테이너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소켓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대안적인 다른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 및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리테이너는 대응 소켓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암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리테이너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래칭 암은 리테이너의 래칭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래칭 섹션 및 상기 래칭 섹션을 래칭부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된 해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래칭 암은 래칭 섹션과 해제 부재 사이에 배치된 피봇 부재를 통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해제 부재의 작동에 따라 상기 래칭 섹션이 래칭부로부터 해제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가 리테이너에 장착되고 상기 리테이너가 소켓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소켓의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리테이너가 소켓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리테이너에 플러그 커넥터를 장착시 상기 전기 접촉 요소는 굴절부에 의해 상기 래칭 암이 굴절되는 위치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상기 굴절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가부 부재의 제1 부분이면,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가부 메커니즘의 이러한 제1 차단부를 지나 이동된 후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간의 전기적 접속이 확립될 수 밖에 없도록 보장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의 전기적 및 기계적 커플링은 동시에 달성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가부 메커니즘의 제1 차단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래칭 암이 굴절부에 의해 굴절되는 동안, 조작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에 아직도 정확하게 커플링되지 않는지를 가시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가부 메커니즘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조립된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에 조작작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의 정확한 정합 상태를 보증할 수 있도록 가시적 검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의 정합 상태를 전기적으로 검출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시스템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전기 및 기계적 연결이 동시에 달성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상기 리테이너가 "에어백 스퀴브" 리테이너이고 상기 소켓이 이른바 "에어백 스퀴브" 소켓인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과 관련되어 사용될 플러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다른 시각에서의 도 1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플러그 커넥터의 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과 관련되어 사용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다른 시각에서의 도 4의 리테이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소켓에 장착된 도 4 및 도 5의 리테이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A 내지 C는 소켓에 삽입된 리테이너 및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플러그 커넥터의 장착 과정이 도시된 도면.
도 8은 부분적으로 장착된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시스템의 절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소켓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 위치의 함수로서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력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과 관련되어 사용될 플러그 커넥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는 덮개(104)에 의해 폐쇄되는 커넥터 하우징(101)이 제공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01)에는 안전 링(161)을 갖는 연결관(160)이 제공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에는 연결과(160)과 일체로 형성되는 두 개의 래칭 암(102)이 더 제공된다. 내측으로 지향된 래칭 돌기(131)(아래의 도 2 참조)가 제공된 상기 래칭 암(102)의 래칭 섹션(130)은 상기 연결관(160)에서 절단된다. 상기 래칭 암(102)은 래칭 암의 중간부의 부품인 유연부(연결 브리지)(141)를 통해 상기 연결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래칭 암(102)에는 커넥터 하우징(101)을 향해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는 해제 부재(150)가 제공되고, 이에 따라 상기 래칭 암(102)은 피봇 부재(140)를 중심으로, 즉 상기 유연부(141) 사이에서 중간부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1)에 연결된 격리관(122) 내에 수용되는 두 개의 접점 단자(121)를 상기 연결관이 둘러싸는 것을 볼 수 있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스쿠프-방지" 플러그 커넥터이고, 즉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아래의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대응하는 스퀴브 소켓에 부정확하게, 예를 들어 잘못된 각도로 삽입되면, 추가적인 삽입 및 특히 접점 핀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안전 링(161)은 소켓의 일부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점 단자는, 예를 들어 오직 대응하는 접촉 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데, 즉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지향되는 경우에 상기 소켓의 접점 핀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암형) 접점 단자 및 상기 소켓의 접점 핀이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유사하게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는 접점 핀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소켓에는 접점 단자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플러그 커넥터(100)의 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고, 내부 구성 요소가 보이도록 상기 덮개(104)는 커넥터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 3에서 유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104)의 각 측에 제공된 래칭 텅(latching tongue)(106)(사시도로 인해 두 개만이 보임)은 대응하는 래칭 면(108)의 뒤에 래칭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1)에 덮개(104)를 로킹시킨다. 상기 덮개(104)와 커넥터 하우징(101) 사이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전기 접촉 요소, 즉 상기 커넥터 시스템의 조립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상기 소켓을 에어백 제어 전자 부품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케이블(127)과 전기적으로 관련된 접점 단자(121)를 볼 수 있다. 상기 케이블(127)과 접점 단자(121) 사이에 페라이트 요소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리테이너(20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리테이너는 소켓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커플링 요소(231),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300)의 내부에 상기 리테이너(200)를 로킹시키기 위한 멈춤 래치(231)가 제공된다. 상기 리테이너(200)는, 리테이너(200)와 소켓(300)의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300)의 접점 핀(221)을 둘러싸고(도 6 참조)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소켓(300) 내의 리테이너(200)에 장착함에 따라 (위의 도 2에 도시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101)의 격리관(122)을 수용할 수 있는 8자형 개구(221)를 구비한다.
도 7의 A 내지 C는 소켓(300)에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3개의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의 두 접점 핀(321)을 둘러싸는 상기 소켓(300)에 완전히 삽입된 리테이너(200)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상기 격리관(122)의 내부만이 보이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점 단자(121)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되는 경우, 상기 래칭 암(102)의 래칭 돌기(131)에 제공된 각진 면(132)은 상기 리테이너(200)의 굴절부(202)와 접한다. 상기 소켓(300)에 삽입 방향(401)으로 플러그 커넥터(100)를 더 삽입함에 따라 상기 굴절부가 래칭 암을 외측으로 굴절시키도록 상기 굴절부(202)가 형성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굴절로 인하여, 상기 각진 면(133)은 굴절부(202)에 대해 편향되어 삽입 방향(401)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더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굴절 및 이에 따른 편향이 증가한다. 상기 래칭 암의 굴절 및 상기 굴절부(202)에 대한 각진 면(133)의 편향으로 인하여, 삽입 방향(401)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저항이 증가되도록 상기 래칭 암(102)을 외측으로 더 굴절시키는데 많은 힘이 요구된다.
이러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굴절부(202)는 돌출부(201)에, 즉 해제부(204) 옆의 가부 부재(201)에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래칭 암이 최대 굴절에 도달하고 상기 저항이 임계값에 도달한 후에 삽입 방향(401)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더 이동함에 따라 상기 래칭 돌기(131)가 해제부(204)와 접하도록 상기 가부 부재(201)가 형성된다(도 7의 B 참조). 다시 말해서, 상기 래칭 암(102)의 래칭 돌기(131)가 굴절부와 해제부(204) 사이에 바로 위치되는 경우, 상기 래칭 암(202)의 굴절은 최대가 되어 상기 래칭 암의 편향이 최대가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래칭 암의 굴절에 의해 제공된 저항은 상기 래칭 암이 해제부(204)와 접하기 직전에 임계값에 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계값은 1N 내지 100N 범위 내의 삽입력에, 바람직하게는 10N 내지 90N 범위 내의 삽입력에, 더 바람직하게는 20N 내지 80N 범위 내의 삽입력에, 더 바람직하게는 30N 내지 70N 범위 내의 삽입력에, 더 바람직하게는 30N 내지 60N 범위 내의 삽입력에, 가장 바람직하게는 35N 내지 45N 범위 내의 삽입력에 대응한다.
도 7의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저항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삽입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삽입 방향(401)으로 가압되면, 상기 래칭 돌기(131)가 해제부(204)와 접촉하도록 상기 래칭 돌기(131)는 이동되어 상기 굴절부(202)를 지나갈 수 있다. 도면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래칭 암은 외측으로 여전히 굴절되기 때문에, 상기 래칭 암은 해제부(204)에 대하여 편향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삽입 방향(401)으로 더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해제부(204)의 형상으로 인해 상기 래칭 암(102)은 자유롭게 내측으로 절곡된다. 상기 굴절부에 의한 외측 방향 굴절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래칭 암의 고유 장력으로 인하여, 상기 래칭 암의 다음 내측 방향 굴절이 자동적으로 뒤따르게 된다. 그러므로, 어떠한 추가적인 힘도 가해질 필요가 없고, 다시 말해서, 이러한 굴절, 즉 해제 굴절은 삽입 방향(401)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임의의 저항을 제공하지 않는다. 도 7의 C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스퀴브 소켓(300)으로 완전히 삽입함에 따라, 상기 래칭 돌기(131)는 스퀴브 리테이너(200)의 래칭부(206) 뒤에서 내측으로 스냅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테이너(200)에 로킹시킨다. 상기 리테이너(200)에 커플링 부재(231)(도 4 및 도 5 참조)가 제공되어 상기 리테이너(200)를 소켓(300)에 기계적으로 커플링시키므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단지 리테이너(200)를 통해 상기 소켓(300)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절부(202), 해제부(204), 및 래칭부(206)는 가부 부재(201)에 일체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상기 해제부(204)는 굴절부(202)와 래칭부(206) 사이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부 부재(201)는 상기 소켓(300)에 플러그 커넥터(1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에 가부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이로부터 상기 소켓(300)으로 상기 요구되는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삽입력으로 가압되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소켓(300)에 삽입될 수 없다. 도 7의 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소켓(300)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래칭 돌기(131)의 각진 면(133)이 굴절부(202)와 접하도록 상기 리테이너(200)는 소켓(300)의 밖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소켓(300)의 접점 핀(321)과 접점 단자(121)(도시되지 않음) 간의 전기적 접속이 확립될 수 없다.
상기 삽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소켓(3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삽입을 위해 임계값을 초과하는데 필요한 힘은 조작자가 이러한 힘으로 미는 경우에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칭 돌기(131)가 래칭부(206)와 접하는 최종 위치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직접 밀리게 되도록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전술한 가부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가부 부재(201)의 치수는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도 7의 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를 위하여, 상기 굴절부(202)는 길이 Ld를 갖고 상기 해제부(204)는 길이 Lr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하여 양 길이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 방향(401)과 평행하게 측정되어 Ld는 Lr보다 짧다. 상기 비율 Ld/Lr은 0.05 내지 0.8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0.75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0.15 내지 0.5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0.2 내지 0.3 범위 내에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래칭 암(102)의 해제 부재(150)는 조작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즉 상기 래칭 암의 해제 부재(150)는 커넥터 하우징(101)을 향해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이러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래칭 섹션, 즉 래칭 돌기(131)는 피봇 부재(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은 유연부)를 중심으로 상기 래칭 암(102)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래칭부(206)로부터 해제된다. 상기 해제 부재(15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되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자유롭게 소켓(300)에서 제거된다.
도 9는 소켓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 위치의 함수로서 플러그 커넥터를 소켓에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삽입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소켓(300)에 삽입될 수 있기 전에 상기 래칭 돌기(131)는 굴절부(202)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접점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소켓의 접점 핀(321)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기 전에, 상기 삽입력은 40N의 임계값이 도달될 때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삽입력이 이러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소켓(300)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접점 단자(121)가 접점 핀(321)과 완전히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부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Claims (28)

  1. 대응 소켓(30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200) 및 플러그 커넥터(100)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커넥터 하우징(101)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10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암(102)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상기 리테이너(200)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시 상기 래칭 암(102)의 굴절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202)로서, 굴절이 삽입 방향(401)으로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굴절부(202)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202);
    상기 래칭 암(102)의 해제 굴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제부(204)로서, 상기 해제부(204)는 해제 굴절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저항을 제공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부(204); 및
    상기 래칭 암(102)의 래칭이 상기 리테이너(2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로킹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래칭부(206)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암(102)은 상기 리테이너(2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시 상기 굴절부(202)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래칭 돌기(131)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래칭 암(102)은 상기 삽입 방향(401)에 기본적으로 수직한 방향(403)으로 외측으로 굴절되고,
    상기 래칭 돌기(131)와 상기 굴절부(202)의 결합시, 상기 래칭 돌기는 상기 굴절부(202)에 대해 편향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래칭 암(102)의 외측 방향 굴절은 장착 위치를 향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202)와 상기 해제부(204)는 상기 리테이너(2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시 상기 래칭 암(102)의 굴절에 의해 제공된 저항이 상기 래칭 암(102)의 해제 굴절이 가능해지기 전에 임계값에 도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202), 상기 해제부(204) 및 상기 래칭부(206)는 가부(Go/No Go) 부재(201)에 일체로 제공되어, 상기 해제부(204)가 상기 굴절부(202)와 상기 래칭부(20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시, 상기 래칭 암(102)의 굴절에 의해 제공된 저항이 상기 임계값에 도달한 후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이동시 상기 래칭 돌기(131)가 상기 해제부(204)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래칭 돌기(131)가 상기 해제부(204)와 접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래칭 암(102)이 내측으로 굴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시, 상기 래칭 암(102)의 래칭 돌기(131)가 상기 해제부(204)와 상호 작용한 후에, 상기 래칭 돌기(131)가 상기 래칭부(206) 뒤에서 래칭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상기 리테이너(200)에 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202)는 길이 Ld를 가지며 상기 해제부(204)는 길이 Lr을 갖고, 양 길이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 방향(401)과 평행하게 측정되어, Ld는 Lr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1N 내지 100N 범위 내의 삽입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0. 대응 소켓(30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200) 및 플러그 커넥터(100)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커넥터 하우징(101)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10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암(102)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상기 리테이너(200)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래칭 암(102)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상기 리테이너(200)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상기 리테이너(200)에 로킹시키는 경우에 상기 리테이너의 래칭부(206)에 대해 래칭되도록 구성된 내측으로 지향된 래칭 돌기(131)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200)는 상기 리테이너(2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시 상기 래칭 암(102)의 굴절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202)와,
    상기 래칭 암(102)의 해제 굴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제부(204)로서, 상기 해제부(204)는 해제 굴절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저항을 제공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부(204)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돌기(131)는 상기 리테이너(2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시 상기 굴절부(202)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래칭 암(102)은 삽입 방향(401)에 기본적으로 수직한 방향(403)으로 외측으로 굴절되고,
    상기 래칭 돌기(131)와 상기 굴절부(202)의 결합시, 상기 래칭 돌기는 상기 굴절부(202)에 대해 편향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래칭 암(102)의 외측 방향 굴절은 장착 위치를 향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돌기(131)는 상기 리테이너(2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시 상기 굴절부(202)와 접하도록 구성된 각진 면(133)을 구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 방향(401)에 기본적으로 수직한 방향(403)으로 상기 래칭 암(102)의 외측 방향 굴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204)는 상기 굴절부(202)와 상기 래칭부(20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204)와 상기 래칭부(206)는 상기 리테이너(200)의 가부 부재(201)에 일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소켓(300)에 상기 리테이너(200)를 기계적으로 커플링시키는 커플링 부재(231)를 구비하여,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의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상기 래칭 돌기(131)와 상기 래칭부(206)의 래칭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소켓(30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7. 제1항, 제2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암(102)은, 상기 리테이너(200)의 래칭부(20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래칭 섹션(130), 상기 래칭 섹션(130)을 상기 래칭부(206)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된 해제 부재(150)를 포함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래칭 암(102)은 상기 래칭 섹션(130)과 상기 해제 부재(150) 사이에 배치된 피봇 부재(140)를 통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해제 부재(150)의 작동시 상기 래칭 섹션(130)이 상기 래칭부(206)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8. 대응 소켓(30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200) 및 플러그 커넥터(100)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커넥터 하우징(101)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10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암(102)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상기 리테이너(200)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래칭 암(102)은, 상기 리테이너(200)의 래칭부(20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래칭 섹션(130); 상기 래칭 섹션(130)을 상기 래칭부(206)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된 해제 부재(150)를 포함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래칭 암(102)은 상기 래칭 섹션(130)과 상기 해제 부재(150) 사이에 배치된 피봇 부재(140)를 통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해제 부재(150)의 작동시 상기 래칭 섹션(130)이 상기 래칭부(206)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리테이너(200)는 상기 리테이너(2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시 상기 래칭 암(102)의 굴절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202)와,
    상기 래칭 암(102)의 해제 굴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제부(204)로서, 상기 해제부(204)는 해제 굴절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저항을 제공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부(204)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암(102)은 상기 리테이너(2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시 상기 굴절부(202)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래칭 돌기(131)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래칭 암(102)은 삽입 방향(401)에 기본적으로 수직한 방향(403)으로 외측으로 굴절되고,
    상기 래칭 돌기(131)와 상기 굴절부(202)의 결합시, 상기 래칭 돌기는 상기 굴절부(202)에 대해 편향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래칭 암(102)의 외측 방향 굴절은 장착 위치를 향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부재(140)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연결 브리지(141)를 통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1)에 연결되는 래칭 암(102)의 중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섹션(130)은 상기 리테이너(200)의 래칭부(206) 뒤에서 래칭되도록 구성된 내측으로 지향된 래칭 돌기(131)를 구비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상기 리테이너(200)에 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21. 제1항, 제2항, 제9항, 제10항, 제18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0)는 상기 소켓(300)에 상기 리테이너(200)를 기계적으로 커플링시키는 커플링 부재(2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22. 제1항, 제2항, 제9항, 제10항, 제18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상기 리테이너(200)를 통해 상기 소켓(300)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23. 제1항, 제2항, 제9항, 제10항, 제18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0)는 상기 소켓(300)에 상기 리테이너(200)를 기계적으로 커플링시키는 커플링 부재(231)를 구비하여,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의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상기 리테이너(200)를 통해서만 상기 소켓(30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24. 제1항, 제2항, 제9항, 제10항, 제18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상기 소켓(3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직접적인 기계적 커플링을 위한 로킹 요소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25. 제1항, 제2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상기 리테이너(200)에 장착되고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소켓(300)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소켓(300)의 접촉 부재(32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121)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200)가 상기 소켓(300)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리테이너(2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시 상기 전기 접촉 요소(121)는 상기 굴절부(202)에 의해 상기 래칭 암(102)이 굴절되는 위치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있는 경우 상기 접촉 부재(32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26. 제1항, 제2항, 제9항, 제10항, 제18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스쿠프-방지(scoop-proof) 플러그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27. 제1항, 제2항, 제9항, 제10항, 제18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과 관련되어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커넥터(100).
  28. 제1항, 제2항, 제9항, 제10항, 제18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과 관련되어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리테이너(200).
KR1020137030619A 2011-04-22 2012-04-23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 KR101879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B2011001219 2011-04-22
IBPCT/IB2011/001219 2011-04-22
PCT/EP2012/057412 WO2012143570A1 (en) 2011-04-22 2012-04-23 Airbag connect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391A KR20140024391A (ko) 2014-02-28
KR101879473B1 true KR101879473B1 (ko) 2018-07-17

Family

ID=4599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619A KR101879473B1 (ko) 2011-04-22 2012-04-23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39438B2 (ko)
EP (1) EP2700130B1 (ko)
JP (1) JP6001642B2 (ko)
KR (1) KR101879473B1 (ko)
CN (1) CN103608980B (ko)
BR (1) BR112013027181B1 (ko)
WO (1) WO2012143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2168B2 (ja) * 2012-10-17 2016-1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6177337B2 (ja) * 2012-11-12 2017-08-09 デルフィ・インターナショナル・オペレーションズ・ルクセンブルク・エス・アー・エール・エル 自動二次ロックを備えた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279846B2 (ja) 2013-07-01 2018-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US9614323B2 (en) * 2013-07-31 2017-04-04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CN203660180U (zh) * 2013-12-06 2014-06-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连接器固定件及应用此连接器固定件的连接器模块
EP2966735B8 (en) * 2014-07-11 2019-02-27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dual secondary lock
EP3116075B1 (en) * 2015-07-08 2019-09-11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plug connector for a safety restraint system
DE102016120063B4 (de) * 2016-10-20 2018-07-1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ung
US9774138B1 (en) * 2016-12-04 2017-09-26 F Time Technology Industrial Co., Ltd. Connector module
CN110235314B (zh) * 2017-02-06 2021-12-28 株式会社富士 L字型连接器用罩
EP3396790A1 (en) * 2017-04-27 2018-10-31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Connector assembly for safety systems
EP3396785B1 (de) * 2017-04-27 2020-12-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Steckeranordnung
DE102017109246B4 (de) * 2017-04-28 2024-02-15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ontaktelementeanordnung
US10205266B1 (en) * 2017-10-30 2019-02-12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wire dress cover for robotic installation
WO2019143869A1 (en) * 2018-01-17 2019-07-25 Ppc Broadband, Inc. Modular rf devices
EP3734772B1 (en) * 2019-04-30 2022-08-10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tact terminal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for a safety restraint system
JP6966509B2 (ja) * 2019-06-04 2021-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10326329U (zh) * 2019-06-21 2020-04-14 重庆市鸿腾科技有限公司 插座连接器及与之相对接的插头连接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691A (ja) * 1997-12-04 1999-10-15 Thomas & Betts Corp <T&B> 自動車エアバッグアセンブリ用無配向導火爆管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05302715A (ja) * 2004-04-08 2005-10-27 Tyco Electronics Amp Gmbh 電気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8288122A (ja) * 2007-05-21 2008-11-27 Jst Mfg Co Ltd 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WO2009053778A1 (en) * 2007-10-22 2009-04-30 Fci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2010073376A (ja) * 2008-09-16 2010-04-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268U (ja) * 1992-12-07 1994-07-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R2788890B1 (fr) * 1999-01-22 2004-04-09 Whitaker Corp Assemblage de connecteurs electriques comportant un systeme de verrouillage
JP3679322B2 (ja) * 2000-08-31 2005-08-0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スクイブのシャント
BRPI0105829B1 (pt) 2000-11-17 2016-05-24 Framatome Connectors Int conector de encaixe
DE20216337U1 (de) 2002-10-23 2002-12-19 Amphenol Tuchel Elect Steckverbinder zur Verbindung mit einem Zünder eines Airbagmoduls mit integriertem Massekontakt
DE102005013633B4 (de) * 2005-03-24 2012-11-08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system für elektrische Steckverbinder
JP4934141B2 (ja) * 2005-09-19 2012-05-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接続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スクイブコネクタ
DE102007026582B3 (de) * 2007-06-08 2008-12-04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gehäuse mit einer Fixierung für ein elektrisches Kontaktelement und eine elektrische Leitung
JP5058696B2 (ja) * 2007-07-19 2012-10-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ロック式コネクタ
DE102009013693B4 (de) 2009-03-20 2012-03-22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691A (ja) * 1997-12-04 1999-10-15 Thomas & Betts Corp <T&B> 自動車エアバッグアセンブリ用無配向導火爆管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05302715A (ja) * 2004-04-08 2005-10-27 Tyco Electronics Amp Gmbh 電気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8288122A (ja) * 2007-05-21 2008-11-27 Jst Mfg Co Ltd 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WO2009053778A1 (en) * 2007-10-22 2009-04-30 Fci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2010073376A (ja) * 2008-09-16 2010-04-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08980A (zh) 2014-02-26
JP6001642B2 (ja) 2016-10-05
US20140045361A1 (en) 2014-02-13
BR112013027181A2 (pt) 2017-01-17
KR20140024391A (ko) 2014-02-28
WO2012143570A1 (en) 2012-10-26
EP2700130B1 (en) 2019-12-04
CN103608980B (zh) 2016-12-07
EP2700130A1 (en) 2014-02-26
BR112013027181B1 (pt) 2021-07-13
US9039438B2 (en) 2015-05-26
JP2014512659A (ja)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473B1 (ko)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
KR10183917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5591041A (en)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US681142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KR102011385B1 (ko) 자동 이차 로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CA2512581C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EP2311151B1 (en) Checkable plug-in connection and method for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of a plug-in connection
US9520674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dual secondary lock
US6494732B2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CN114079202B (zh) 连接器
US6992248B1 (en) Junction box assembly with connectivity assurance
WO2014198928A1 (en) Plug and connector arrangement
EP2929599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with having a spring-apart function
US7559786B2 (en) Divided spring arm
JP4230530B1 (ja) コネクタ
US9948036B2 (en) Connector having short circuit terminal
US2017031004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centering system
CN115552737A (zh) 插塞连接器和插塞连接器组件
JPH0779029B2 (ja) 低挿抜力電気コネクタ
JPH09289059A (ja) コネクタ
US20230253735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unseated terminal detection feature
JP2023016025A (ja) インレット充電プラグの検出センサ
JPH0568085U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