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587B1 -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587B1
KR101420587B1 KR1020140027094A KR20140027094A KR101420587B1 KR 101420587 B1 KR101420587 B1 KR 101420587B1 KR 1020140027094 A KR1020140027094 A KR 1020140027094A KR 20140027094 A KR20140027094 A KR 20140027094A KR 101420587 B1 KR101420587 B1 KR 101420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ground
vane
plate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
Original Assignee
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 filed Critical 강석
Priority to KR102014002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지주가 보다 충분히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가 꺾여져서 차량이 도로를 벗어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의 밀림현상 또한 방지하여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보강날개가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보강부재와 기설치된 상기 지주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여 상기 보강날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주를 새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지면에 기설치된 기준높이 미만인 상기 지주의 상하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기준높이이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EQUIPPED WITH A GUARD RAIL HOLDING PLATE REINFORC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지주가 보다 충분히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가 꺾여져서 차량이 도로를 벗어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의 밀림현상 또한 방지하여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보강날개가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보강부재와 기설치된 상기 지주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여 상기 보강날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주를 새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지면에 기설치된 기준높이 미만인 상기 지주의 상하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기준높이이상으로 할 수 있는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이란 시선 유도의 역할을 하여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차량이 도로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유사시 운전자와 승객, 보행자 및 주변 시설물 등을 보호하기 위해 도로변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가드레일은 통상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구비되는 가드레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된 상기 지주가 노화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상기 지주의 상하높이가 기준높이 미만인 경우 노화되어 내구성이 저하된 상기 지주 또는 기준높이 미만인 상기 지주를 교체보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노화되어 내구성이 저하된 상기 지주 또는 기준높이 미만인 상기 지주를 지면에서 제거할 필요없이 노화되어 내구성이 저하된 상기 지주 또는 기준높이 미만인 상기 지주를 내부에 수용하는 원형 강관을 사용하여 노화된 상기 지주를 보강 및 기준높이 미만인 상기 지주를 기준높이로 조절하는 선행기술이 국내공개특허공보공개특허 10-2007-0105935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노화되어 내구성이 저하된 상기 지주 또는 기준높이 미만인 상기 지주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인 상기 원형강관의 내경크기는 표준규격에 어긋나기 때문에 상기 원형강관의 상기 지주에 대한 보강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표준규격에 맞게 상기 원형강관을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공개특허 10-2007-0105935호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지주 자체를 교체보수할 필요없이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의 내부에 표준규격인 원형 강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지주 보강대를 수용시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노화되어 내구성이 저하된 상기 지주를 보다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지주 보강대의 상하길이가 상기 지주의 상하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지면에 기설치된 기준높이 미만인 상기 지주의 상하높이 또한 기준높이로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도로의 가드레일의 지주 보강방법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074827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074827호의 상기 지주는 도로의 양측으로 노출된 지면속에 매입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와 같이 지면 속에 상기 지주를 매입하여 설치할 경우 상기 지주가 충분히 지지되지 못함은 물론 상기 지주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상기 지주가 꺾여져서 차량이 도로를 벗어나게 되며, 연약지반의 경우 상기 지주의 밀림현상이 발생됨으로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074827호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지반에 매입된 지주에 보강판을 형성하고, 이 지주가 지반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보강판, 스파이크채널 및 걸림돌기를 더 구비함으로서, 차량의 충돌로 인해 지주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이탈 및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지주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지주가 지반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주의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 및 지지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208327호로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074827호는 지주는 보강판과 함께 새로 제작되어 지반에 매입되는 신설용이기에 상기 보강판과 기존 지주와의 호환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074827호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저항판이 일체형성된 보강파이프를 지반에 매입되는 지주둘레에 끼움으로서, 상기 저항판과 지반에 매입된 기존 지주와의 호환성이 좋도록 하게 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146519호가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146519호의 경우 기존 지주와의 호환성만이 우수할 뿐 특히, 지주의 밀림현상 방지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공개특허 10-2007-0105935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074827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208327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14651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지주가 보다 충분히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가 꺾여져서 차량이 도로를 벗어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의 밀림현상 또한 방지하여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보강날개가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보강부재와 기설치된 상기 지주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여 상기 보강날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주를 새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지면에 기설치된 기준높이 미만인 상기 지주의 상하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기준높이이상으로 할 수 있는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되고, 상부에 가드레일판이 고정된 지주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지면에 매설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일체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를 따라 지면에 매설되는 보강날개와;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헤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재는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재의 표면에 상기 지주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 주변의 상기 헤드부재의 저면에 상기 헤드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는 내측에 상기 지주가 수용되는 보강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관체의 상부에 환형형상의 상기 헤드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주의 상부 내부에 보조지주가 삽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지주에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강날개의 하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보강날개의 하부에 상기 보강날개의 하부를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지주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지면에 매설되는 보강부재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보강날개를 통해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가 보다 충분히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가 꺾여져서 차량이 도로를 벗어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헤드부재를 통해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의 밀림현상 또한 방지하여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보강날개가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보강부재와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여 상기 보강날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주를 새로 제작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면에 기설치된 상기 지주의 상하높이가 기준높이 미만인 경우 상기 지주의 상부 내부에 보조지주를 삽입하여 기준높이 미만인 상기 지주를 기준높이이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강부재와 도 1의 보강날개가 지면에 매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보강부재와 도 4의 보강날개가 지면에 매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보강부재와 도 8의 보강날개가 지면에 매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보강부재의 상부에서 헤드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고,
도 14는 지주의 상부 내부에 보조지주가 삽입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보조지주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보강날개의 하부에 보호커버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강부재(10)와 도 1의 보강날개(20)가 지면(3)에 매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보강부재(10), 보강날개(20) 및 헤드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보강부재(10)의 내측에는 연약지반, 성토 등의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기설치된 지주(5)가 수직으로 수용된 상태로 상기 보강부재(10)는 지면(3)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면(3)에 매설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강날개(20)는 상기 보강부재(1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10)를 따라 지면(5)에 매설된다.
상기 보강부재(10)의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등간격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10)를 따라 지면(3)에 매설되는 상기 보강날개(20)를 통해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5)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5)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5)가 꺾여질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차량이 도로를 벗어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헤드부재(30)는 상기 보강부재(10)의 상부에서 상기 보강부재(10)의 외측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수평연장형성되어 지면(3)외부로 노출되도록 지면(3)에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0)의 상부에 일체형성되어 지면(3)에 수평안착되는 상기 헤드부재(30)를 통해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5)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기설치된 상기 지주(5)가 꺾여지는 것을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기설치된 상기 지주(5)가 도로 밖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방지하여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실시예의 상기 보강부재(10)는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5)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관체(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관체(110)의 내측에는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5)가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보강부재(10)와 도 4의 보강날개(20)가 지면(3)에 매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보강부재(10), 상기 보강날개(20) 및 헤드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 제 2실시예의 상기 보강부재(10)는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관체(110)와 보강판(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120)은 상기 보강관체(11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보강관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령, 상기 보강판(120)은 상기 보강관체(110)의 전측 또는 상기 보강관체(110)의 후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관체(110)의 전측 외주면 또는 상기 보강관체(110)의 후측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상기 보강관체(110)의 전측 외주면 또는 상기 보강관체(110)의 후측 외주면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보강판(120)의 외주면 일측과 상기 보강판(120)의 외주면 타측에 각각 상기 보강날개(20)가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보강판(120)의 외주면 일측과 상기 보강판(120)의 외주면 타측 사이의 상기 보강판(120)의 외주면에도 상기 보강날개(20)가 일체형으로 등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보강부재(10)와 도 8의 보강날개(20)가 지면(3)에 매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는 제 1, 2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보강부재(10), 상기 보강날개(20) 및 헤드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 제 3실시예의 상기 보강부재(10)는 도 8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처럼 상기 보강관체(110)와 상기 보강판(120)으로 이루어지되,
특히, 상기 보강판(120)은 전측보강판(121)과 후측보강판(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보강판(121)은 상기 보강관체(110)의 외주면 전측을 감싼 상태로 상기 보강관체(110)의 전측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보강판(122)은 상기 보강관체(110)의 외주면 후측을 감싼 상태로 상기 보강관체(110)의 후측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날개(20)는 전측보강날개판(210)과 후측보강날개판(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상기 전측보강판(121)의 외주면 일측과 상기 전측보강판(121)의 외주면 타측에 각각 상기 전측보강날개판(210)이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고,
상기 후측보강판(122)의 외주면 일측과 상기 후측보강판(122)의 외주면 타측에 각각 상기 후측보강날개판(220)이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전측보강판(121)의 외주면 일측과 상기 전측보강판(121)의 외주면 타측 사이의 상기 전측보강판(121)의 외주면에도 상기 전측보강날개판(210)이 일체형으로 등간격으로 수직형성되고,
상기 후측보강판(122)의 외주면 일측과 상기 후측보강판(122)의 외주면 타측사이의 상기 후측보강판(122)의 외주면에도 상기 후측보강날개판(220)이 일체형으로 등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전측보강날개판(210)과 상기 후측보강날개판(220) 즉, 상기 전측보강판(121)의 외주면 일측과 상기 전측보강판(121)의 외주면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된 상기 전측보강날개판(210)과, 상기 후측보강판(122)의 외주면 일측과 상기 후측보강판(122)의 외주면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된 상기 후측보강날개판(220)은 서로 접한 상태로 고정부재(230)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30)는 상기 전측보강날개판(210)과 상기 후측보강날개판(220)을 전후방향으로 각각 수평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전측보강날개판(210)과 상기 후측보강날개판(220)에 나사결합되는 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보강부재(10)의 상부에서 헤드부재(30)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보강날개(20)와 함께 상기 보강부재(10)를 지면(3)에 매설하기 위해 상기 보강부재(10)의 보강관체(110)의 상부를 타격할 수 있는 해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항타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관체(110)의 상부를 해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항타기를 통해 타격하는 과정 중에 상기 항타기의 타격력에 대한 상기 보강관체(110)의 상부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강관체(110)의 상부에 상기 항타기가 타격할 수 있는 상기 헤드부재(30)가 형성된다.
특히,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재(30)의 교체보수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헤드부재(30)는 상기 보강부재(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헤드부재(30)의 표면 중심부에는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5)가 수직관통하는 관통구(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3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관통구(310) 주변의 상기 헤드부재(30)의 저면에는 상기 헤드부재(30)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보강부재(10)의 보강관체(110)의 상부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결합부재(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3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관통구(310) 주변의 상기 헤드부재(30)의 저면에 복수의 상기 결합부재(320)가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통구(3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관통구(310) 주변의 상기 헤드부재(30)의 저면에 환형의 상기 결합부재(32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지주(5)의 상부 내부에 보조지주(51)가 삽입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지면(3)에 기설치된 관상의 상기 지주(5)의 상하높이가 기준높이 미만인 경우,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상의 상기 지주(5)의 상부 내부에 보조지주(51)의 하부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
관상의 상기 지주(5)의 상부 내부에 상기 보조지주(51)의 하부가 삽입고정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부재(60)가 관상의 지주(51)의 상부와 상기 보조지주(51)의 하부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지면(3)에 기설치된 관상의 상기 지주(5)의 상부 내부에 상기 보조지주(51)의 하부를 삽입하여 기준높이 미만인 상기 지주(5)를 기준높이이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보조지주(51)에 가이드부재(4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3)에 기설치된 관상의 상기 지주(5)의 상부에는 공지의 가드레일판(52)이 수평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지주(51)의 상부에는 단면형상이 원형, 사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형태의 가이드부재(40)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부재(60)는 상기 가드레일판(52)의 중심부, 관상의 지주(51)의 상부, 상기 보조지주(51)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부재(60)는 바형태의 상기 가이드부재(40)의 중심부와 상기 보조지주(51)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16은 보강날개(20)의 하부에 보호커버(5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해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항타기를 사용하여 상기 보강날개(20)와 함께 상기 보강부재(10)를 지면(3)에 매설하는 과정 중에 상기 보강날개(20)의 하측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에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를 보호하는 보호커버(5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에는 경사면(21)과 수평면(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1)은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21)은 상기 보강날개(20)의 상부에서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지주(5)의 외주면 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수평면(22)은 상기 경사면(21)의 하측에서 상기 보강부재(10)의 보강관체(110)의 하측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50)는 특히, 상기 보강날개(20)의 수평면(22)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부위(P)를 감싼 상태로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부위에 용접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50)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전면을 감싸는 전면수직커버(510)와;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후면을 감싸는 후면수직커버(520)와;
상기 전면커버(510)의 하부와 상기 후면커버(520)의 하부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평면(22)을 감싸는 하부수평커버(5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5)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지면(3)에 매설되는 상기 보강부재(1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보강날개(20)를 통해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5)가 보다 충분히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5)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5)가 꺾여져서 차량이 도로를 벗어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보강부재(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면(3)에 안착되는 상기 헤드부재(30)를 통해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5)의 밀림현상 또한 방지하여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보강날개(20)가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보강부재(10)와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된 상기 지주(5)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여 상기 보강날개(20)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주를 새로 제작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면(3)에 기설치된 상기 지주(5)의 상하높이가 기준높이 미만인 경우 상기 지주(5)의 상부 내부에 상기 보조지주(51)를 삽입하여 기준높이 미만인 상기 지주(5)를 기준높이이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보강관체, 20; 보강판부재,
30; 지지판부재.

Claims (5)

  1. 지면(3)에 일정간격으로 기설치되고, 상부에 가드레일판(52)이 고정된 지주(5)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지면(3)에 매설되는 보강부재(10)와;
    상기 보강부재(1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일체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10)를 따라 지면(3)에 매설되는 보강날개(20)와;
    상기 보강부재(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면(3)에 안착되는 헤드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재(30)는 상기 보강부재(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재(30)의 표면에 상기 지주(5)가 관통하는 관통구(310)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310) 주변의 상기 헤드부재(30)의 저면에 상기 헤드부재(3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강부재(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0)는 내측에 상기 지주(5)가 수용되는 보강관체(1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관체(110)의 상부에 환형형상의 상기 헤드부재(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5)의 상부 내부에 보조지주(51)가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주(51)에 가이드부재(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에 상기 보강날개(20)의 하부를 보호하는 보호커버(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KR1020140027094A 2014-03-07 2014-03-07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KR101420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094A KR101420587B1 (ko) 2014-03-07 2014-03-07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094A KR101420587B1 (ko) 2014-03-07 2014-03-07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250A Division KR20140132129A (ko) 2013-05-07 2013-05-07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587B1 true KR101420587B1 (ko) 2014-08-13

Family

ID=5174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094A KR101420587B1 (ko) 2014-03-07 2014-03-07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5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576B1 (ko) 2016-05-27 2017-02-23 ㈜유신피플 가드레일의 지주 보강구조
KR200484243Y1 (ko) * 2016-09-20 2017-08-16 주식회사 포유텍 윙 포스트를 이용한 차량방호울타리용 보강 구조물
KR101889308B1 (ko) 2017-04-11 2018-08-20 이승헌 보강지주와 보강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한 방호울타리 구조물 및 이의 설치방법
KR20180094548A (ko) 2017-02-16 2018-08-24 ㈜유신피플 가드레일의 지주 지지력 보강구조
WO2019220214A1 (en) * 2018-05-15 2019-11-21 STRA.TEC srl Reinforcement element for fixing at the base, in ground, the uprights of roadside safety barriers
KR102120997B1 (ko) 2019-07-16 2020-06-09 주식회사 웰콘 지주보강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742A (ja) * 1995-07-11 1997-01-28 Masao Nunotani 支柱の地中貫入支持具
JP2000064306A (ja) * 1998-08-27 2000-02-29 Guardrail Kogyo Kk 杭基礎構造における補強部材
KR20070062683A (ko) * 2005-12-13 2007-06-18 주식회사 케이티 전주 설치 지반 보강장치 및 보강 방법
KR101165451B1 (ko) * 2010-08-31 2012-07-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로시설물용 지주 기초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742A (ja) * 1995-07-11 1997-01-28 Masao Nunotani 支柱の地中貫入支持具
JP2000064306A (ja) * 1998-08-27 2000-02-29 Guardrail Kogyo Kk 杭基礎構造における補強部材
KR20070062683A (ko) * 2005-12-13 2007-06-18 주식회사 케이티 전주 설치 지반 보강장치 및 보강 방법
KR101165451B1 (ko) * 2010-08-31 2012-07-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로시설물용 지주 기초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576B1 (ko) 2016-05-27 2017-02-23 ㈜유신피플 가드레일의 지주 보강구조
KR200484243Y1 (ko) * 2016-09-20 2017-08-16 주식회사 포유텍 윙 포스트를 이용한 차량방호울타리용 보강 구조물
KR20180094548A (ko) 2017-02-16 2018-08-24 ㈜유신피플 가드레일의 지주 지지력 보강구조
KR101889308B1 (ko) 2017-04-11 2018-08-20 이승헌 보강지주와 보강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한 방호울타리 구조물 및 이의 설치방법
WO2019220214A1 (en) * 2018-05-15 2019-11-21 STRA.TEC srl Reinforcement element for fixing at the base, in ground, the uprights of roadside safety barriers
KR102120997B1 (ko) 2019-07-16 2020-06-09 주식회사 웰콘 지주보강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587B1 (ko)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KR101626257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KR101709576B1 (ko) 가드레일의 지주 보강구조
JP5962991B2 (ja) 防護柵および防護柵の設置方法
KR101928486B1 (ko) 휀스
KR101707139B1 (ko) 가드레일 지지력 보강장치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KR101036416B1 (ko) 가드레일의 지지구조
KR101334279B1 (ko) 보강브라켓이 구비된 차량 방호책
KR20170079867A (ko) 휀스
KR20140132129A (ko)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KR100704365B1 (ko) 교통안전표지판용 충격흡수장치
KR101608448B1 (ko) 힌지식으로 개방되는 도로용 차광판
KR100899773B1 (ko) 차량방호 울타리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100909829B1 (ko) 차량방호 울타리
KR20130116619A (ko) 보강형 방호울타리
KR20160146059A (ko) 이중 구조의 보강 지주가 구비된 차량 방호울타리
KR101950178B1 (ko) 조립 및 해체가 편리한 탄성 볼라드
KR20120001028U (ko) 높이 조절식 보강 가드레일
KR101947964B1 (ko) 가드레일의 지주 보강구조
JP4377868B2 (ja) 防護柵用支柱の立設構造
KR200436308Y1 (ko) 차광 및 차선 유도 기능을 가진 교통 안전 난간
WO2016195240A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0955790B1 (ko) 방호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