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726B1 -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 및 그 안경 지지 방법 - Google Patents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 및 그 안경 지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726B1
KR101414726B1 KR1020107017644A KR20107017644A KR101414726B1 KR 101414726 B1 KR101414726 B1 KR 101414726B1 KR 1020107017644 A KR1020107017644 A KR 1020107017644A KR 20107017644 A KR20107017644 A KR 20107017644A KR 101414726 B1 KR101414726 B1 KR 101414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e
support member
pad
nose pa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604A (ko
Inventor
츠토무 미야시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씨디코리아
유겐가이샤 브릿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씨디코리아, 유겐가이샤 브릿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씨디코리아
Publication of KR20100116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03Arrangements for fitting and securing to the head in the position of u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받침 패드를 구비하지 않는 안경 프레임이더라도, 얼굴의 크기의 차이에 대응할 수 있고, 고정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
코받침 패드를 구비하지 않는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1)으로서, 안경 프레임을 얼굴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부재(3)가 템플(2)에 부착되고, 이 지지 부재(3)가 템플(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지지 부재(3)의 위치를 조정 자유롭게 되어 있는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1).

Description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 및 그 안경 지지 방법{EYEGLASS FRAME WITHOUT NOSE PAD AND EYEGLASS SUPPOR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템플에 부착되는, 프론트부 고정용의 볼 패드를 구비하는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안경 프레임은 프론트부와, 2개의 템플로 이루어지고, 이들 템플은 프론트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브래킷(「보호구」라고도 함)에 경첩 등의 이음을 통하여 접을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프론트부는 각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림과, 이 림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브리지로 이루어진다.
또, 림의 내측(중앙측)에는 코받침 패드가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안경을 쓰는 경우에는, 코받침 패드(노즈 패드)를 코의 양편에 댐과 아울러, 템플의 후단부에 설치된 모던부(팁)를 귀에 걸치게 한다.
이 때, 프론트부의 전체 중량은 코받침 패드를 통하여 코(상세하게는 코뼈)에 가해진다. 그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안경을 착용하고 있으면, 코받침 패드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 빨갛게 변색되어 접촉자국이 생기거나, 또는, 여성의 경우, 화장 지워짐이 발생하거나 한다. 이러한 접촉자국이나 화장 지워짐은 얼굴 정면에 나타나기 때문에, 최대한 회피할 필요가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코받침 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특수한 안경 프레임이 개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안경 프레임은, 코받침 패드의 대신 자그맣고 안경을 지지하기 위한 패드를 구비하고 있고, 이 패드는 모던의 삽입구에 끼워 넣어진 판 스프링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은 안경 프레임의 안쪽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어, 안경이 착용되었을 때는, 착용자의 관자놀이에 대하여 적당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템플에 패드를 갖는 고정식 암을 부착하고, 암의 굴곡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패드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사이드 패드 안경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03-121800호 공보 일본 특개 2006-72275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안경 프레임에서는, 패드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얼굴의 크기에 대응할 수 없어, 안경을 지지하는 힘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약간의 얼굴의 움직임에 의해 고정력이 약해져, 패드의 위치가 벗어나거나, 극단적으로는 안경 프레임 전체가 얼굴에서 벗겨지거나 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즉, 코받침 패드를 구비하지 않은 안경 프레임이더라도, 얼굴 크기의 차이에 대응할 수 있어, 고정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이상과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뜻밖에도 얼굴을 지지하는 부분을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코받침 패드를 구비하지 않은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으로서, 안경 프레임을 얼굴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부재가 템플에 부착되고, 이 지지 부재가 템플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지지 부재의 위치가 조정 자유롭게 되어 있는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존재한다.
또 본 발명은, (2) 상기 지지 부재가, 기부(基部)와, 얼굴과 직접 맞닿는 광대뼈 받침 패드부와, 기부와 광대뼈 받침 패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로드로 이루어지고, 기부가 템플 내를 슬라이딩 가능이고, 지지 부재의 위치가 조정 자유롭게 되어 있는 상기 (1) 기재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존재한다.
또 본 발명은, (3) 상기 지지 부재가, 기부와, 얼굴과 직접 맞닿는 광대뼈 받침 패드부와, 기부와 광대뼈 받침 패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로드로 이루어지고, 템플에는 외부에 개구하는 단면 직사각형의 긴 홈이 형성되고, 이 긴 홈의 일부가 커버판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슬릿이 형성되고, 연결로드가 슬릿에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기부가 상기 단면 직사각형의 긴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이며, 지지 부재의 위치가 조정 자유롭게 되어 있는 상기 (1) 기재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존재한다.
또 본 발명은, (4) 상기 지지 부재가, 기부와, 얼굴과 직접 맞닿는 광대뼈 받침 패드부와, 기부와 광대뼈 받침 패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로드로 이루어지고, 템플에 단면 직사각형의 제 1 긴 홈이 형성되고, 이 제 1 긴 홈에 안내용 내측 프레임이 끼워 넣어지고, 이 안내용 내측 프레임에는 단면 직사각형의 제 2 긴 홈과 이 제 2 긴 홈으로부터 외부에 개구된 슬릿이 형성되고, 연결로드가 슬릿에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기부가 상기 단면 직사각형의 긴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지지 부재의 위치가 조정 자유롭게 되어 있는 상기 (1) 기재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존재한다.
또 본 발명은, (5) 상기 지지 부재가, 기부와, 얼굴과 직접 맞닿는 광대뼈 받침 패드부와, 기부와 광대뼈 받침 패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로드로 이루어지고, 템플에는 단면 직사각형의 긴 홈과 이 긴 홈으로부터 외부에 개구된 슬릿이 형성되고, 연결로드가 슬릿에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기부가 상기 단면 직사각형의 긴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이고, 지지 부재의 위치가 조정 자유롭게 되어 있는 상기 (1) 기재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존재한다.
또 본 발명은, (6) 상기 지지 부재가, 기부와, 얼굴과 직접 맞닿는 광대뼈 받침 패드부와, 기부와 광대뼈 받침 패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로드로 이루어지고, 템플에 단면 대략 타원형의 긴 홈과 이 긴 홈으로부터 외부에 개구된 슬릿이 형성되고, 연결로드가 슬릿에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기부가 상기 단면 대략 타원형의 긴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지지 부재의 위치가 조정 자유롭게 되어 있는 상기 (1) 기재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존재한다.
또 본 발명은, (7) 상기 지지 부재가, 기부와, 얼굴과 직접 맞닿는 광대뼈 받침 패드부와, 기부와 광대뼈 받침 패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로드로 이루어지고, 템플에는 긴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기부가 이 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외부 장식부에 나사고정되어 있고, 템플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이며, 지지 부재의 위치가 조정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존재한다.
또 본 발명은, (8) 상기 연결로드가 기부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템플(2)의 후방으로 구부러지고, 또한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는 상기 (2) 기재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존재한다.
또 본 발명은, (9) 코받침 패드를 구비하지 않는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안경 지지 방법으로서, 귀에 유지되는 모던부를 지지점으로 하는 하방 회동 모멘트가 템플에 부착된 이 템플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지지 부재에 의해 광대뼈에 지지되어 있는 안경 지지 방법에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한 것이라면 상기의 발명을 적당하게 조합한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안경 프레임에서는, 지지 부재가 안경에 가해지는 하방 회동 모멘트를 확실하게 광대뼈로 지탱할 수 있다.
또 지지 부재가 템플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그 위치가 조정 자유롭게 되어 있으므로, 착용자의 얼굴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대응할 수 있다.
게다가 지지 부재를 착용자의 광대뼈의 적절한 위치에 맞닿게 할 수 있어, 적확하고 또한 안정한 고정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이외의 것으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그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도 1은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안경 지지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로, 도 3(A)는 템플에 지지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3(B)는 지지 부재가 부착된 템플의 단면도, 도 3(C)는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4(A)는 템플에 지지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지지 부재가 부착된 템플의 단면도, 도 4(C)는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5(A)는 템플에 지지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지지 부재가 부착된 템플의 단면도, 도 5(C)는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6(A)는 템플에 지지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지지 부재가 부착된 템플의 단면도, 도 6(C)는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로, 도 8(A)는 템플에 지지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B)는 그 전개도, 도 8(C)는 그 단면도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기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하좌우 등의 위치관계는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관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의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경 지지 방법)
본 발명의 안경 프레임에서는, 통상, 안경 프레임의 프론트부에 있는 코받침 패드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즉, 본 발명의 안경 프레임은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이다.
본 발명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은 코받침 패드를 구비하지 않는 대신에, 지지 부재(이 경우, 광대뼈 받침 패드)가 템플에 부착되어 있고, 이 지지 부재가 광대뼈에 맞닿음으로써 지지된다.
또 지지 부재는 템플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은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노즈패드레스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안경 지지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 도 1에서 위치(P)는 모던부와 착용자의 귀와의 접점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를 포함하는 프론트부의 중량(F1)이 하방으로 작용함으로써, 위치(P)의 주변의 회전 모멘트(하방 회동 모멘트)는 F1×L1이 된다.
이 하방 회동 모멘트를 지지 부재에서의 상향의 지지력(F2)에 의한 회전 모멘트(F2×L2)로 지탱하는 것이다.
지지 부재(3)의 위치는 이동에 따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마다 상이한 얼굴 크기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의 위치가 전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지지 부재에 의해 지탱하는 힘(패드 지지력)은 감소한다.
반대로 지지 부재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지지 부재에 의해 지탱하는 힘(패드 지지력)은 증가한다.
이와 같이, 귀에 유지되는 모던부를 지지점으로 하는 하방 회동 모멘트가 템플(2)을 따라 위치조정할 수 있는 지지 부재에 의해 광대뼈에 지지됨으로써, 안경 프레임이 얼굴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어, 적확하고 또한 안정한 고정력이 얻어진다.
(제 1 실시형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1)의 프론트부는 렌즈(11)와, 이 렌즈(11)를 고정하는 림(12)(이 경우, 렌즈 주위 전체를 둘러싸는 전체 림을 나타냄)으로 이루어지고, 림(12)은 그 양단에 브래킷(12a)을 갖고, 또한 중앙에 브리지(12b)를 갖는다.
후단에 모던부(M)가 설치된 템플(2)은 브래킷(12a)을 통하여 림(12)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 템플(2)에는 지지 부재(3)가 템플(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3)는 긴 판형상의 기부(31)와, 얼굴과의 접촉압을 완화하기 위한 광대뼈 받침 패드부(33)와, 기부(31)와 광대뼈 받침 패드부(33)를 연결하는 연결로드(32)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3 참조).
이하, 이 지지 부재(3)에 대하여 더욱 기술한다.
도 3은 도 2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1)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 3(A)는 템플에 지지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3(B)는 지지 부재가 부착된 템플의 단면도, 도 3(C)는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지지 부재(3)는 평판형상의 기부(31)로부터 돌출한 선형상의 연결로드(32)를 갖고, 이 연결로드(32)의 단부에는 얼굴에 직접 맞닿는 광대뼈 받침 패드부(33)가 갖추어져 있다.
이 경우, 연결로드(32)는 기부(31)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템플(2)의 후방으로 구부러지고, 또한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탄압성(彈壓性)이 부여된다.
또한, 광대뼈 받침 패드부(33)는 연결상자체(32a)(이 연결상자체(32a)와 연결로드(32)를 상자다리, 또는 패드 암이라고도 함)를 통하여 어느 정도 경사를 바꿀 수 있도록 연결로드(32)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도를 가진 움직임을 할 수 있다.
한편, 템플(2)에는 외부에 개구하는 단면 직사각형의 긴 홈(G)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홈(G)의 일부가 커버판(22)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슬릿(S)이 형성된다.
즉, 긴 홈(G)을 위에서 간격을 둔 1쌍의 커버판(22, 22)으로 덮음으로써, 템플(2)의 길이방향의 슬릿(S)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1쌍의 커버판의 사이에 슬릿(S)을 형성했지만,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1장의 커버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버판(22)은 템플(2)에 나사고정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데, 템플(2) 및 커버판(22)이 합성수지재인 경우에는 양쪽 부재를 접착에 의해, 또 템플(2) 및 커버판(22)이 금속재인 경우에는 양쪽 부재를 용접에 의해 부착할 수 있다.
슬릿(S)의 폭은 지지 부재(3)의 연결로드(32)가 삽입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기부(31)는 연결로드(32)를 슬릿(S)에 삽입통과시킨 상태에서, 단면 직사각형의 긴 홈(G)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기부(31)가 긴 홈(G)에 약간 빡빡한 상태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기부(31)가 긴 홈(G)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보다 큰 저항력(즉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지지 부재(3)는 적당한 위치에서 정지되면, 일정한 저항력을 유지하며 고정되어, 템플(2)의 길이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광대뼈 받침 패드부(33)의 고정위치를 템플(2)의 길이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1)은 이러한 구조이므로, 얼굴의 크기(광대뼈의 위치)가 착용자에 따라 다르다고 해도, 지지 부재(3)의 위치, 즉 착용자의 광대뼈의 위치와, 광대뼈 받침 패드부(33)의 위치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착용자의 얼굴의 크기에 상관없이, 볼 받침 패드(33)를 항상 최적의 광대뼈의 위치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대뼈 받침 패드부(33)가 최적의 위치에서 광대뼈에 지지되므로, 모던부(M)를 귀에 걸친 상태에서는, 광대뼈 받침 패드부(33)에 의해, 안경 프레임은 광대뼈에 적확하고 또한 안정하게 고정된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는 슬릿(S)의 형성방법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3)와 템플(2)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1)에서의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4(A)는 템플에 지지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지지 부재가 부착된 템플의 단면도, 도 4(C)는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템플(2)에는 개구된 단면 직사각형의 제 1 긴 홈(G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긴 홈(G1)에는 지지 부재(3)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용 내측 프레임(21)이 끼워 넣어져 고정된다.
안내용 내측 프레임(21)의 내부에는, 단면 직사각형의 제 2 긴 홈(G2)이 안내용 내측 프레임(21)의 내부를 관통하여 도려내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용 내측 프레임(21)에는 외부에 개구된 슬릿(S)이 제 2 긴 홈(G2)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지지 부재(3)도, 제 1 실시형태의 지지 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고, 긴 판형상의 기부(31)와, 광대뼈 받침 패드부(33)와, 연결로드(32)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31)가 제 2 긴 홈(G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어짐으로써 지지 부재(3)를 안내용 내측 프레임(21)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도, 기부(31)는 제 2 긴 홈(G2)에 약간 빡빡한 상태로 끼워 넣어져 있고, 지지 부재(3)의 위치는 기부(31)와 긴 홈(G)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고정된다.
또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안내용 내측 프레임(21)의 크기를 선택함으로써, 슬릿의 길이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보강 블록에 의해 벽 두께가 늘어나기 때문에 템플 자체가 보강되는 이점도 있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는, 커버판이나 안내용 내측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3)와 템플(2)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5(A)는 템플에 지지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지지 부재가 부착된 템플의 단면도, 도 5(C)는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템플(2)에는 단면 직사각형의 긴 홈(G)이 그 내부를 관통하여 도려내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템플(2)에는 외부에 개구된 슬릿(S)이 긴 홈(G)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의 지지 부재(3)도, 제 1 실시형태의 지지 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고, 기부(31)와, 광대뼈 받침 패드부(33)와, 연결로드(32)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도 기부(31)는 긴 홈(G)에 약간 빡빡한 상태로 끼워 넣어져 있고, 지지 부재(3)의 위치는 기부(31)와 긴 홈(G)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고정된다.
또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실시형태에 비해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조립이 간단하다.
(제 4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는, 템플(3)에 형성된 긴 홈(G)의 단면 형상이 제 3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 제 4 실시형태에서의, 지지 부재(3)와 템플(2)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1)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6(A)는 템플에 지지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지지 부재가 부착된 템플의 단면도, 도 6(C)는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템플(2)의 내부에는, 단면 대략 타원형의 긴 홈(G)이 템플(2)의 내부를 관통하여 도려내어 형성되어 있다.
또, 템플(2)에는 외부에 개구된 슬릿(S)이 긴 홈(G)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3)는 단면 대략 타원형이고 기둥 형상의 기부(31)와, 연결로드(32)와, 광대뼈 받침 패드부(33)를 구비하고 있고, 기부(31)는 긴 홈(G)에 약간 빡빡한 상태로 끼워 넣어진다.
그 때문에 지지 부재(3)는 긴 홈(G)과의 사이에 적당한 마찰력을 생기게 하면서 긴 홈(G) 내를 이동한다.
이 경우, 템플(2)의 긴 홈(G)의 단면을 원형으로 하고, 이것에 맞추어 지지 부재(3)의 단면을 원형으로 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제 5 실시형태)
제 5 실시형태는, 지지 부재(3)와 템플(2)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다른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이하, 제 5 실시형태에서의, 지지 부재(3)와 템플(2)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1)의 프론트부는 렌즈(11)와, 렌즈(11)를 고정하는 림(12)(이 경우, 렌즈 주위의 절반을 둘러싸는 풀 림을 나타냄)에 의해 이루어지고, 림(12)은 양단에 브래킷(12a)을 구비하고, 또한 중앙에 브리지(12b)를 구비한다.
또 템플(2)은 브래킷(12a)을 통하여 림(12)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템플(2)에는 지지 부재(3)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3)는 기부(31)와, 얼굴에 직접 맞닿는 광대뼈 받침 패드부(33)와, 기부(31)와 광대뼈 받침 패드부(33)를 연결하는 연결로드(32)로 이루어진다.
이 지지 부재(3)는 템플(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위치는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1)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로, 도 8(A)는 템플에 지지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B)는 그 전개도, 도 8(C)는 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템플(2)에는 긴 관통 구멍(G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지지 부재(3)는 평판 형상의 기부(31)로부터 돌출한 연결로드(32)를 갖고, 이 연결로드(32)의 단부에는 얼굴과의 접촉압을 완화하기 위한 광대뼈 받침 패드부(33)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템플(2)을 사이에 끼우고 지지 부재(3)와 반대측에는, 지지 부재(3)를 템플(2)에 고정하기 위한 외부 장식부(3a)가 부착된다.
외부 장식부(3a)에는 1쌍의 보스(3a1)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 부재(3)는 긴 관통 구멍(G3)에 들어간 보스(3a1)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때, 보스(3a1)의 높이는 템플(2)의 두께보다도 짧고 낮게 설계되어 있다.
보스(3a1)를 이러한 높이로 설계함으로써 템플(2)을 지지 부재(3)와 기부(31) 사이에서 강하게 끼워 넣을 있고, 또 끼우는 힘을 나사의 죔 정도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스를 외부 장식부(3a)가 아니고 기판(31)쪽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3)를 부착하기 위한 지지 부재(3)가 외측에 노출되기 때문에, 외부 장식부(3a)를 이용하여 여러 장식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그 1실시형태를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부와 긴 구멍의 마찰력(저항력)에 의해 볼 받침 패드부를 정지고정시킨 예로 나타냈지만, 연결로드의 굵기와 슬릿의 폭에 의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슬릿의 폭보다도 연결로드의 직경을 굵게 함으로써, 양자 사이에서 마찰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지지 부재로서는 템플에 따라 이동 가능하며, 지지 부재의 위치가 조정 자유롭게 되는 것이면, 그 이동을 위한 구조는 적당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 템플 및 지지 부재의 소재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위한 것이라면,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 안경 프레임으로서는 풀 림(도 2), 하프 림(도 7)을 예로 들어 나타냈지만, 림이 없는 안경의 경우에도, 얼굴의 측면에 맞닿는 템플이 구비되어 있는 안경 프레임에도 당연히 적용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광대뼈 받침 패드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가 템플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위치가 조정 자유롭게 되어 있는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인데, 그 원리를 이용하는 한 여러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도 적용 가능하다.
1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
11 렌즈
12 림
12a 브래킷
12b 브리지
2 템플
21 안내용 내측 프레임
22 커버판
3 지지 부재
31 기부
32 연결로드
32a 연결상자체
33 광대뼈 받침 패드부
3a 외부 장식부
3a1 보스
G 긴 홈
G1 제 1 긴 홈
G2 제 2 긴 홈
G3 긴 관통 구멍
M 모던부
S 슬릿

Claims (9)

  1. 코받침 패드를 구비하지 않는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 안경 프레임을 얼굴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부재가 템플에 부착되고, 이 지지 부재가 템플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지지 부재의 위치가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가 기부와, 얼굴과 직접 맞닿는 광대뼈 받침 패드부와, 기부와 광대뼈 받침 패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로드로 이루어지고, 템플에는 긴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기부가 이 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외부 장식부에 나사고정되어 있고, 상기 외부 장식부에는 한 쌍의 보스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 부재는 긴 관통 구멍에 들어간 보스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며, 이 보스의 높이는 템플의 두께보다도 짧고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가 기부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템플의 후방으로 구부러지고, 또한 하방으로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7017644A 2008-01-16 2008-01-16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 및 그 안경 지지 방법 KR101414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0413 WO2009090733A1 (ja) 2008-01-16 2008-01-16 鼻当てパッド無し眼鏡フレーム及びその眼鏡支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604A KR20100116604A (ko) 2010-11-01
KR101414726B1 true KR101414726B1 (ko) 2014-07-04

Family

ID=4088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644A KR101414726B1 (ko) 2008-01-16 2008-01-16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 및 그 안경 지지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87123B2 (ko)
EP (1) EP2233963A4 (ko)
JP (1) JP5243454B2 (ko)
KR (1) KR101414726B1 (ko)
CN (1) CN101939688B (ko)
HK (1) HK1152116A1 (ko)
WO (1) WO200909073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14Y1 (ko) * 2016-01-19 2016-10-20 서영우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WO2017179802A1 (ko) * 2016-04-15 2017-10-19 서영우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20230014234A (ko) 2021-07-21 2023-01-30 김성윤 일회용 안경받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0539B2 (en) * 2009-06-23 2013-1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dgear-earwear assembly and a method of assembling same
JP5697196B2 (ja) * 2010-12-27 2015-04-08 有限会社 ブリッヂコーポレーション 鼻当てパッドレス眼鏡
KR101351838B1 (ko) * 2012-04-05 2014-01-21 유수임 콧등에 닿지않는 다기능 안경
JP2015038608A (ja) * 2013-07-19 2015-02-26 株式会社21 鼻パッド無し眼鏡
JP5735679B1 (ja) * 2014-04-18 2015-06-17 三代治 高松 第2のフレームに保持具を配置した眼鏡
JP6320194B2 (ja) * 2014-06-23 2018-05-09 株式会社シャルマン 眼鏡
JP6251212B2 (ja) * 2015-04-22 2017-12-20 有限会社 ブリッヂコーポレーション メガネフレーム及びツルに取付けるパット
JP2016206388A (ja) * 2015-04-22 2016-12-08 有限会社 ブリッヂコーポレーション メガネフレーム
US20160363785A1 (en) * 2015-06-15 2016-12-15 Changeable Looks, LLC Locking mechanism for eyewear
US9477095B1 (en) * 2015-06-26 2016-10-25 Charmant Co., Ltd. Eyeglasses
WO2017142108A1 (ko) * 2016-02-18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JP2018180404A (ja) * 2017-04-19 2018-11-15 株式会社三工光学 ナイロール式メガネフレーム及び水糸止着構造
JPWO2019082459A1 (ja) * 2017-10-27 2020-12-10 真三 田村 眼鏡の支持具及び支持具付き眼鏡
JP2019144516A (ja) * 2018-02-15 2019-08-29 株式会社アイトピア 眼鏡
JP7037818B2 (ja) * 2018-07-24 2022-03-17 株式会社ジゴスペック メガネフレーム
JP7313044B2 (ja) * 2019-09-06 2023-07-24 山本光学株式会社 眼鏡
JP7392433B2 (ja) * 2019-11-29 2023-12-06 株式会社リコー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2021162657A (ja) * 2020-03-31 2021-10-11 清水建設株式会社 めがね
KR102528229B1 (ko) * 2022-07-08 2023-05-02 공준식 코받이 자국 방지용 안경 보조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9425A (ja) * 1986-02-14 1987-08-19 Inoue Megane:Kk 磁気応用視力回復の援助用眼鏡のつる
JPH0933865A (ja) * 1995-07-24 1997-02-07 Green De:Kk 磁石付眼鏡フレーム
JPH10161068A (ja) * 1996-12-02 1998-06-19 Fumiko Mizukui ずり落ち防止部を有する眼鏡つる
JP2003107414A (ja) * 2001-09-28 2003-04-09 Takashi Horie 眼鏡装着補助具および該補助具を備える眼鏡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457A (en) * 1893-11-14 Spectacles
US1533506A (en) * 1923-03-12 1925-04-14 William A Mann Bow attachment for spectacles
US1854060A (en) * 1929-06-14 1932-04-12 Charles O Pettersson Spectacles
US3006247A (en) * 1959-08-17 1961-10-31 Davis Jeannette Eyeglass assembly with pad-bearing bows
JPH0731310B2 (ja) * 1986-12-23 1995-04-10 ホ−ヤ株式会社 眼鏡フレ−ム装飾板の製造方法
JP2991935B2 (ja) * 1994-09-13 1999-12-20 株式会社オプチカルイイジマ 眼鏡における側部材の長さ調節機構
JP2996460B2 (ja) * 1995-06-21 1999-12-27 日東精工株式会社 眼鏡フレーム
JP2003121800A (ja) 2001-10-19 2003-04-23 Keite Optica:Kk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JP2004354491A (ja) * 2003-05-27 2004-12-16 Toshiyuki Umezuki 眼鏡における鼻当てを不要にする支持方法及びテンプル、並びに鼻当てが不要な眼鏡
JP2006072275A (ja) 2004-08-31 2006-03-16 Hidenori Nishiura サイドパッド眼鏡フレーム
US7011406B1 (en) * 2005-01-28 2006-03-14 Byung Suk Kim Eyeglass structures having mounting supports in temple members
JP3113363U (ja) * 2005-05-14 2005-09-08 義之 後藤 めがねゆるみ止め具
JP2007041460A (ja) * 2005-08-05 2007-02-15 Vision Megane:Kk 眼鏡フレー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9425A (ja) * 1986-02-14 1987-08-19 Inoue Megane:Kk 磁気応用視力回復の援助用眼鏡のつる
JPH0933865A (ja) * 1995-07-24 1997-02-07 Green De:Kk 磁石付眼鏡フレーム
JPH10161068A (ja) * 1996-12-02 1998-06-19 Fumiko Mizukui ずり落ち防止部を有する眼鏡つる
JP2003107414A (ja) * 2001-09-28 2003-04-09 Takashi Horie 眼鏡装着補助具および該補助具を備える眼鏡フレー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14Y1 (ko) * 2016-01-19 2016-10-20 서영우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WO2017126735A1 (ko) * 2016-01-19 2017-07-27 서영우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US10962799B2 (en) 2016-01-19 2021-03-30 Young Woo Suh Eyeglass frame supported by cheek bones
WO2017179802A1 (ko) * 2016-04-15 2017-10-19 서영우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20170003674U (ko) * 2016-04-15 2017-10-25 서영우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200485014Y1 (ko) * 2016-04-15 2017-11-17 서영우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20230014234A (ko) 2021-07-21 2023-01-30 김성윤 일회용 안경받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87123B2 (en) 2012-10-16
EP2233963A1 (en) 2010-09-29
WO2009090733A1 (ja) 2009-07-23
JPWO2009090733A1 (ja) 2011-05-26
JP5243454B2 (ja) 2013-07-24
CN101939688B (zh) 2013-04-17
KR20100116604A (ko) 2010-11-01
CN101939688A (zh) 2011-01-05
HK1152116A1 (en) 2012-02-17
EP2233963A4 (en) 2012-02-08
US20100283959A1 (en)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726B1 (ko)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 및 그 안경 지지 방법
JP4141828B2 (ja) 眼鏡保持システム
US4924245A (en) Resilient nose pad for spectacles
AU3874401A (en) Eye covering
US9256080B2 (en) Receptor and lock for glasses with removable lenses
US20020093622A1 (en) Flip-up eyewear
KR20070069133A (ko) 안경다리에 받침구를 가진 안경
CN207488643U (zh) 一种可多级调节的鼻托结构以及具有该鼻托结构的眼镜框
WO2006057971A3 (en) Children's sunglasses
JP3110736B1 (ja) リムレス眼鏡フレームおよびリムレス眼鏡
CA1267308A (en) Modular eyeglasses
KR0127493Y1 (ko) 안경다리의 단부에서 또는 노우즈 피스에서 패드부분을 가지는 안경
US11281021B2 (en) Eyeglasses
MXPA01007456A (es) Anteojos para maquillaje.
WO2017103964A1 (ja) 眼鏡曇り防止器具
JP2008076743A (ja) 眼鏡フレーム
JP3174805U (ja) 眼鏡の鼻パッド
US20190353922A1 (en) Stemless mounting system for an eyewear lens
JP5697196B2 (ja) 鼻当てパッドレス眼鏡
KR101853486B1 (ko) 안경 다리용 힌지 장치
JP3210521U (ja) 明視用付加メガネ
JP3177906U (ja) 弾性片を具有するめがね
JP3124890U (ja) 眼鏡セット
JP3143907U (ja) 医療用ルーペ付き眼鏡の鼻への負担軽減部材
KR200286676Y1 (ko) 안경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