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14Y1 -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 Google Patents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14Y1
KR200481614Y1 KR2020160000302U KR20160000302U KR200481614Y1 KR 200481614 Y1 KR200481614 Y1 KR 200481614Y1 KR 2020160000302 U KR2020160000302 U KR 2020160000302U KR 20160000302 U KR20160000302 U KR 20160000302U KR 200481614 Y1 KR200481614 Y1 KR 200481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lown
wearer
present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우
Original Assignee
서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우 filed Critical 서영우
Priority to KR2020160000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14Y1/ko
Priority to US16/068,083 priority patent/US10962799B2/en
Priority to PCT/KR2016/002115 priority patent/WO2017126735A1/ko
Priority to CN201690001512.2U priority patent/CN209086578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03Arrangements for fitting and securing to the head in the position of u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는, 안경 렌즈가 끼워지며, 이음부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 쌍의 렌즈 끼움부를 포함하는 전면부와, 일측은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타측은 착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다리를 포함하는 다리부와, 상기 한 쌍의 렌즈 끼움부에 각각 설치되며, 착용자의 광대에 안착되어 상기 전면부를 지지하는 전면 지지부와, 상기 다리에 각각 설치되며, 착용자의 광대에 안착되어 상기 전면부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무른 강도를 갖는 코뼈에 가해지는 안경테의 하중을 광대로 이동시켜 선천적으로 코뼈가 약하거나 부상 등의 이유로 안경의 착용이 불편한 착용자에게도 안경을 착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A GLASSES FRAME SUPPORT BY ZYGOMATIC BONE}
본 고안은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의 하중을 광대로 지지하도록 하여 선천적으로 코뼈가 약하여 안경의 착용이 불편한 착용자도 편안하게 안경을 착용할 수 있는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교정시력 또는 시력보호를 위하여 제작하는 간단한 광학 소자로서, 이러한 안경은 안경 렌즈와 안경테로 구성된다.
교정시력용 안경은 근시안경과 원시안경, 돋보기 및 난시용 안경으로 나뉘어지며, 시력보호용 안경은 TV, 모니터 시청시 시력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경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안경테는 티타늄,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되어 소정의 무게를 가지며, 이러한 안경테의 무게는 코받침과 귀걸이에 의해 분산되어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귀와 코뼈에 의해 하중이 분산되는 안경테의 경우, 코뼈가 약하여 착용자가 코에 하중을 느껴 코가 아픈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2814호(고안의 명칭: 안경테, 공개일자: 2012년 04월 25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무른 강도를 갖는 코뼈에 가해지는 안경테의 하중을 광대로 이동시켜 선천적으로 코뼈가 약하거나 부상 등의 이유로 안경의 착용이 불편한 착용자에게도 안경을 착용가능하게 하는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의 광대에 접촉되는 전면 지지부와 측면 지지부가 좌우 및 전후로 이동될 뿐만 아니라, 회전도 가능하여 광대 형상에 대응되어 착용감이 증진될 수 있는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안경테는, 안경 렌즈가 끼워지며, 이음부를 매개로 연결되는 한 쌍의 렌즈 끼움부를 포함하는 전면부와, 일측은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타측은 착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다리를 포함하는 다리부와, 상기 한 쌍의 렌즈 끼움부에 각각 설치되며, 착용자의 광대에 안착되어 상기 전면부를 지지하는 전면 지지부와, 상기 다리에 각각 설치되며, 착용자의 광대에 안착되어 상기 전면부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 끼움부에는 제1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 지지부는, 상기 제1레일에 제1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힌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레일에 끼움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1레일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및 좌우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2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기 제2레일에 제2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힌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2레일에 끼움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2레일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및 좌우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지지부와 측면 지지부는, 상기 착용자의 광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무른 강도를 갖는 코뼈에 가해지는 안경테의 하중을 광대로 이동시켜 선천적으로 코뼈가 약하거나 부상 등의 이유로 안경의 착용이 불편한 착용자에게도 안경을 착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착용자의 광대에 접촉되는 전면 지지부와 측면 지지부가 좌우 및 전후로 이동될 뿐만 아니라, 회전도 가능하여 광대 형상에 대응되어 착용감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의 전면 지지부가 착용자 광대의 형상에 알맞게 밀착되도록 이동, 회전 및 길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의 측면 지지부가 착용자 광대의 형상에 알맞게 밀착되도록 이동, 회전 및 길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의 전면지지부가 렌즈끼움부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의 전면 지지부가 착용자 광대의 형상에 알맞게 밀착되도록 이동, 회전 및 길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의 측면 지지부가 착용자 광대의 형상에 알맞게 밀착되도록 이동, 회전 및 길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의 전면지지부가 렌즈끼움부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고안에 다른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는, 전면부(100), 다리부(200), 전면 지지부(300) 및 측면 지지부(400)가 포함된다.
먼저, 전면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전면부(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렌즈 끼움부(110)를 포함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렌즈 끼움부(110)에는 안경 렌즈(10)가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끼움부(110)는 안경 렌즈(10)의 모서리를 감싸는 일종의 프레임이며, 이러한 렌즈 끼움부(110)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렌즈 끼움부(110)는 이음부(120)를 매개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이음부(120)는 착용자가 본 고안의 착용시 착용자의 미간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 끼움부(110)에는 제1레일(11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레일(111)에는 후술할 제1힌지부(310)의 단부에 마련된 제1결합부재(311)가 탄성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제1결합부재(311)는 제1레일(1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레일(11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결합부재(311)의 단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형을 갖는 구(球)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제1힌지부(310)는 제1레일(111)에 결합된 상태로 자유롭게 전후 및 좌우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1결합부재(31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음으로, 다리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다리부(200)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210)를 포함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다리(210)의 일측은 상술한 전면부(100)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본 고안의 착용시 착용자의 귀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다리(210)는 착용감의 증진을 위해 가볍고 탄성이 높은 재질(예:아크릴 소재, 울템 소재 등)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땀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는 내부식성 재질(예:티타늄, 알루미늄 등)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다리(210)에는 제2레일(21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레일(211)에는 후술할 제2힌지부(410)의 단부에 마련된 제2결합부재(411)가 탄성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제2결합부재(411)는 제2레일(2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레일(211)을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결합부재(4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구(球)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제2힌지부(410)는 제2레일(211)에 결합된 상태로 자유롭게 전후 및 좌우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2결합부재(41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음으로, 전면 지지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전면 지지부(30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끼움부(110)에 각각 설치되며, 착용자 광대의 전면부에 안착되는 한 쌍의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전면 지지부(300)의 일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끼움부(110)의 제1레일(111)에 제1힌지부(310)가 제1결합부재(311)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후로 회전될 수 있으며, 렌즈 끼움부(110)를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고, 길이가 조절가능한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전면 지지부(300)가 회전, 이동 및 길이가 조절가능함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광대 형상에 대하여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므로 안경테 착용시 착용감이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측면 지지부(4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측면 지지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다리(210)에 각각 설치되며, 착용자 광대의 측면부에 안착되는 한 쌍의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측면 지지부(400)의 일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210)의 제2레일(211)에 제2힌지부(410)의 제2결합부재(411)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후로 회전될 수 있으며, 다리(210)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고, 길이가 조절가능한 것이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측면 지지부(400)가 회전, 이동 및 길이가 조절가능함으로 인하여 상술한 전면 지지부(300)와 더불어 착용자의 광대 형상에 대하여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므로 안경테 착용시 착용감이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를 착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착용자는 본 고안을 안면부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다리(210)를 벌린 후, 착용자의 광대의 형상을 고려하여 전면 지지부(300)와 측면 지지부(40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후, 착용자는 전면 지지부(300)와 측면 지지부(400)가 광대의 전면부와 측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며, 이와 동시에 전면 지지부(300)와 측면 지지부(400)의 돌출길이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을 착용하기 전 전면 지지부(300)와 측면 지지부(400)를 조절하는 것을 편의상 가조절 단계라 한다.
상기 가조절 단계에서 전면 지지부(300)와 측면 지지부(400)의 가조절이 완료된 후, 착용자는 다리(210)를 붙잡고 본 고안을 안면부에 착용한다.
이후, 착용자는 본 고안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면 지지부(300)와 측면 지지부(400)를 재조정하여 전면 지지부(300)와 측면 지지부(400)의 단부가 광대의 전면부와 측면부의 원하는 위치에 안착되도록 하면 본 고안의 착용이 완료된다.
상술한 전면 지지부(300)와 측면 지지부(400)는 본 고안의 착용시 안면 피부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 지지부(300)와 측면 지지부(400)의 길이조절은 예컨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힌지부(310, 410)의 단부에서 외력에 의해 돌기(320, 420)가 슬라이딩되면서 외부로 돌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광대의 전면부와 측면부에 안착되는 전면 지지부와 측면 지지부가 종래의 안경테의 코받침을 대신할 수 있어 안경의 하중이 가해지는 지점을 코뼈에서 광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천적으로 코뼈가 이상이 있는 착용자나 외상에 의해 코뼈가 손상된 착용자도 아무런 불편함 없이 안경을 착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안경 렌즈
100-전면부 110-렌즈 끼움부
111-제1레일 120-이음부
200-다리부 210-다리
211-제2레일
300-전면 지지부 310-제1힌지부
311-제1결합부재 320-돌기
400-측면 지지부 410-제2힌지부
411-제2결합부재 420-돌기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안경 렌즈가 끼워지며, 이음부를 매개로 연결되며, 제1레일이 구비되는 한 쌍의 렌즈 끼움부를 포함하는 전면부와, 일측은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타측은 착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다리를 포함하는 다리부와, 상기 한 쌍의 렌즈 끼움부에 각각 설치되며, 착용자의 광대에 안착되어 상기 전면부를 지지하는 전면 지지부와, 상기 다리에 각각 설치되며, 착용자의 광대에 안착되어 상기 전면부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가 포함되며,
    상기 전면 지지부는 상기 제1레일에 제1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힌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레일에 끼움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1레일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및 좌우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2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기 제2레일에 제2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힌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2레일에 끼움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2레일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및 좌우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 지지부와 측면 지지부는,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의 단부에서 외력에 의해 돌기가 슬라이딩되면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착용자의 광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2020160000302U 2016-01-19 2016-01-19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200481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02U KR200481614Y1 (ko) 2016-01-19 2016-01-19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US16/068,083 US10962799B2 (en) 2016-01-19 2016-03-03 Eyeglass frame supported by cheek bones
PCT/KR2016/002115 WO2017126735A1 (ko) 2016-01-19 2016-03-03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CN201690001512.2U CN209086578U (zh) 2016-01-19 2016-03-03 由颧骨支撑的眼镜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02U KR200481614Y1 (ko) 2016-01-19 2016-01-19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614Y1 true KR200481614Y1 (ko) 2016-10-20

Family

ID=5723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302U KR200481614Y1 (ko) 2016-01-19 2016-01-19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62799B2 (ko)
KR (1) KR200481614Y1 (ko)
CN (1) CN209086578U (ko)
WO (1) WO20171267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328B1 (ko) 2017-09-07 2017-11-15 최정환 안면받침부를 구비한 안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535271A (ja) * 2020-06-23 2023-08-17 サイエド アフタブ, 眼鏡、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5580Y (zh) * 1993-07-01 1994-02-09 姜楠 按摩眼镜
KR101414726B1 (ko) * 2008-01-16 2014-07-04 주식회사 비씨디코리아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 및 그 안경 지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5885A (en) * 1975-03-31 1976-05-11 Aronsohn Richard B Eyeglass support device
JPH0933865A (ja) * 1995-07-24 1997-02-07 Green De:Kk 磁石付眼鏡フレーム
JPH10161068A (ja) * 1996-12-02 1998-06-19 Fumiko Mizukui ずり落ち防止部を有する眼鏡つる
JP2003107414A (ja) * 2001-09-28 2003-04-09 Takashi Horie 眼鏡装着補助具および該補助具を備える眼鏡フレー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5580Y (zh) * 1993-07-01 1994-02-09 姜楠 按摩眼镜
KR101414726B1 (ko) * 2008-01-16 2014-07-04 주식회사 비씨디코리아 코받침 패드가 없는 안경 프레임 및 그 안경 지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328B1 (ko) 2017-09-07 2017-11-15 최정환 안면받침부를 구비한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6735A1 (ko) 2017-07-27
CN209086578U (zh) 2019-07-09
US10962799B2 (en) 2021-03-30
US20200310155A1 (en)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3726A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101093870B1 (ko) 시력 보정용 고글
KR200481614Y1 (ko)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TW201333577A (zh) 眼鏡
KR101942089B1 (ko) 범용 보조안경
KR200485014Y1 (ko)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200455089Y1 (ko) 보조안경
KR101602051B1 (ko) 안경용 받침수단
JP6007383B1 (ja) 眼精疲労の軽減方法及び眼精疲労軽減眼鏡
KR20160003557U (ko) 안경테
GB2497727A (en) Temples-less eyewear
CN106444074A (zh) 一种用于屈光矫正的可调节眼镜
KR101648408B1 (ko)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US8573771B2 (en) Ear-free eyewear frames
KR20210125759A (ko) 애완동물 시력 보호 안경
KR20100131090A (ko) 이중 힌지부와 길이조절부를 갖는 브릿지 분할형 안경
KR200310430Y1 (ko) 높이 조절 안경
CN221125018U (zh) 一种可调节鼻垫的眼镜
KR102629394B1 (ko) 수차저감구조를 포함하는 도수클립 안경렌즈
CN206638913U (zh) 多功能舒适型射线防护眼镜
CN216646985U (zh) 方便调节式鼻垫结构及眼镜
CN219162482U (zh) 一种组合式增强现实显示设备
JP7073568B1 (ja) 眼鏡の使用方法、及び眼鏡の製造方法
KR102562601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코패드를 구비한 안경
CN109313354A (zh) 易于卡接镜片的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