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949B1 - 컨택트 - Google Patents

컨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949B1
KR101410949B1 KR1020127014322A KR20127014322A KR101410949B1 KR 101410949 B1 KR101410949 B1 KR 101410949B1 KR 1020127014322 A KR1020127014322 A KR 1020127014322A KR 20127014322 A KR20127014322 A KR 20127014322A KR 101410949 B1 KR101410949 B1 KR 101410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 joint
contact
view
elastic contact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481A (ko
Inventor
토모히사 쿠리타
히데오 유미
타츠야 나카무라
켄지 콘다
히로키 키타노
Original Assignee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15Gaskets or seals
    • H05K9/0016Gaskets or seals having a spring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with a panel or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5Grounding of printed circuits by connection to external ground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65Metallic coils or springs, e.g. as part of a connection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1Surface mounted metallic connector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95Tool for a process not provided for in H05K3/00, e.g. tool for handling objects using suction, for deforming objects, for applying local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컨택트는, 하면이 상기 도체 패턴에 땜납 접합되는 땜납 접합면으로 되어 있는 땜납 접합부와, 땜납 접합부의 일단에 연접되어 상기 땜납 접합부의 상방으로 되접어지며, 도전성 부재에 접촉했을 때에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도전성 부재에 압접하는 상태가 되는 탄성 접촉부와, 땜납 접합부에 탄성 접촉부와는 독립하여 연접되며, 선단이 탄성 접촉부의 도전성 부재측에서 땜납 접합부의 하면과 평행으로 설치됨으로써 자동 실장기의 흡착 노즐을 위한 흡착면이 되는 흡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컨택트{CONNECTING ELEMENT}
본 출원은, 2009년 11월 16일부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9-261076호 및 2010년 3월 9일부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0-5183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프린트 배선 기판의 부착 대상면에 표면 실장되며,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과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과는 다른 도전성 부재와의 사이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이 구비하는 도체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컨택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컨택트로서, 하면이 상기 도체 패턴에 땜납 접합되는 땜납 접합면으로 되어 있는 땜납 접합부와, 상기 땜납 접합부의 일단에 연접되어 상기 땜납 접합부의 상방으로 되접어지며, 상기 도전성 부재에 접촉했을 때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하는 상태가 되는 탄성 접촉부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택트는, 땜납 접합부의 하면(땜납 접합면)을 프린트 배선 기판의 도체 패턴에 땜납 접합하는 동시에, 그 땜납 접합부의 일단에 연접된 탄성 접촉부에 상방으로부터 접지 도체 등의 도전성 부재를 접촉시키며 그 탄성 접촉부를 탄성 변형시켜 사용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 접촉부는 그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되어,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의 도체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컨택트에서는, 자동 실장기의 흡착 노즐로 흡착함으로써, 프린트 배선 기판에 자동 실장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 경우에, 상기 탄성 접촉부의 선단에 상기 땜납 접합부의 하면과 평행으로 설치된 제 1 본체부를 연접하고, 그 제 1 본체부를 상기 흡착 노즐을 위한 흡착면으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허공보 제3192570호
그런데, 흡착면을 가지는 제 1 본체부를 탄성 접촉부의 선단에 연접했을 경우, 그 흡착면에 대해 상기 흡착 노즐을 지나치게 밀어넣으면, 상기 탄성 접촉부에 영구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그 탄성 접촉부의, 상기 도전성 부재에 대한 압접력 등과 같은 제품 특성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접촉부의 선단에 상기 제 1 본체부를 연접하면,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되접어진 부분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이른바, 스트로크)가 그만큼 짧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품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흡착 노즐에 의한 자동 실장이 가능하며, 스트로크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는 컨택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금속의 박판(薄板)을 접어 구부려 형성된 컨택트이다.
이 컨택트는, 사용 시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의 부착 대상면에 표면 실장되며,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과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과는 다른 도전성 부재와의 사이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이 구비하는 도체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컨택트는, 하면(下面)이 상기 도체 패턴에 땜납 접합되는 땜납 접합면으로 되어 있는 땜납 접합부와, 상기 땜납 접합부의 일단(一端)에 연접(連接)되어 상기 땜납 접합부의 상방(上方)으로 되접어지며, 상기 도전성 부재에 접촉했을 때에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壓接)하는 상태가 되는 탄성 접촉부와, 상기 땜납 접합부에 상기 탄성 접촉부와는 독립하여 연접되며, 선단(先端)이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도전성 부재측에서 상기 땜납 접합부의 하면과 평행으로 설치됨으로써 자동 실장기의 흡착 노즐을 위한 흡착면이 되는 흡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금속의 박판을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어, 땜납 접합부의 하면(땜납 접합면)이 프린트 배선 기판의 도체 패턴에 땜납 접합된다. 또한, 그 땜납 접합부의 일단에 연접되어 상기 땜납 접합부의 상방으로 되접어진 탄성 접촉부는, 도전성 부재에 접촉했을 때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택트는,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도전성 부재(예를 들면, 접지 도체, 쉴드판 등)를 접촉시켜 그 탄성 접촉부를 탄성 변형시켜 사용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 접촉부는 그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되어,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의 도체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흡착부는, 선단이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도전성 부재측에서 상기 땜납 접합부의 하면과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은 자동 실장기의 흡착 노즐을 위한 흡착면으로 된다. 또한, 이 흡착부는, 상기 땜납 접합부에 상기 탄성 접촉부와는 독립하여 연접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흡착면에 대해 흡착 노즐이 밀어 넣어져도, 그 흡착면은 상기 탄성 접촉부와 독립하여 있으므로 상기 탄성 접촉부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제품 특성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흡착부 선단의 흡착면은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도전성 부재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 접촉부의 스트로크가 그 흡착부의 설치로 인해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탄성 접촉부의 스트로크를 확보함으로써 그 탄성 접촉부를 상기 도전성 부재에 양호하게 압접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의 도체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를 양호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탄성 접촉부에 형성된 구멍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구멍부는, 상기 탄성 접촉부의 탄성 변형을 상기 흡착부가 방해하지 않는 크기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 접촉부에 상기 일단과 평행한 방향으로 외력(外力)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상기 구멍부의 내벽면이 상기 흡착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탄성 접촉부가 쓰러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구멍부는, 상기 탄성 접촉부의 탄성 변형을 상기 흡착부가 방해하지 않는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흡착부가 상기 구멍부를 관통한 것에 의해 상기 제품 특성이 변화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금속의 박판을 접어 구부려 형성된 컨택트로서, 후술하는 규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국면의 컨택트는, 사용 시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의 부착 대상면에 표면 실장되며,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과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과는 다른 도전성 부재와의 사이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이 구비하는 도체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상기 컨택트는, 하면이 상기 도체 패턴에 땜납 접합되는 땜납 접합면으로 되어 있는 땜납 접합부와, 상기 땜납 접합부의 일단에 연접되어 상기 땜납 접합부의 상방으로 되접어지며, 상기 도전성 부재에 접촉했을 때에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하는 상태가 되는 탄성 접촉부와,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되접어진 폴딩부(folding portion)와 상기 도전성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부 사이에 연접되어,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도전성 부재측에서 상기 땜납 접합부의 하면과 평행으로 설치됨으로써 자동 실장기의 흡착 노즐을 위한 흡착면이 되는 흡착부와, 상기 흡착부에 연접되며, 상기 탄성 접촉부가 탄성 변형하지 않을 때는 상기 흡착부와 상기 땜납 접합부의 거리를 규정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접촉부의 탄성 변형 시에는 그 탄성 변형에 따라 변이함으로써 상기 탄성 접촉부의 탄성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규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금속의 박판을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어, 땜납 접합부의 하면(땜납 접합면)이 프린트 배선 기판의 도체 패턴에 땜납 접합된다. 또한, 그 땜납 접합부의 일단에 연접되어 상기 땜납 접합부의 상방으로 되접어진 탄성 접촉부는, 도전성 부재에 접촉했을 때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택트는,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도전성 부재(예를 들면, 접지 도체, 쉴드판 등)를 접촉시켜 그 탄성 접촉부를 탄성 변형시켜 사용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 접촉부는 그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되어,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의 도체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부는,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되접어진 폴딩부와 상기 도전성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부 사이에 연접되어 있어,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도전성 부재측에서 상기 땜납 접합부의 하면과 평행으로 설치됨으로써 자동 실장기의 흡착 노즐을 위한 흡착면으로 된다. 또한, 이 흡착부에는, 다음과 같은 규정부가 연접되어 있다. 즉, 상기 규정부는, 상기 탄성 접촉부가 탄성 변형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흡착부와 상기 땜납 접합부의 거리를 지지 로드 형상으로 규정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접촉부의 탄성 변형 시에는 그 탄성 변형에 따라 변이함으로써 상기 탄성 접촉부의 탄성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자동 실장기의 흡착 노즐에 의한 자동 실장 시에는 상기 탄성 접촉부는 탄성 변형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흡착부는 상기 땜납 접합부와의 거리가 상기 규정부에 의해 규정된다. 이 때문에, 상기 흡착부의 흡착면에 대해 흡착 노즐이 밀어 넣어져도, 상기 규정부에 의해 상기 흡착부의 변위가 억제되어 상기 탄성 접촉부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기 제품 특성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흡착부는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도전성 부재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 접촉부의 스트로크가 그 흡착부의 설치로 인해 감소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탄성 접촉부의 스트로크를 확보함으로써 그 탄성 접촉부를 상기 도전성 부재에 양호하게 압접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의 도체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를 양호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부재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탄성 접촉부가 탄성 변형할 때에는, 그 탄성 변형에 따라 상기 규정부가 변이함으로써, 그 규정부는 상기 탄성 접촉부의 탄성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상기 규정부를 설치한 것에 의해 상기 제품 특성이 변화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정부의 하단은 상기 땜납 접합부의 하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고, 상기 땜납 접합부에는, 상기 탄성 접촉부가 탄성 변형하지 않을 때에 상기 규정부의 하단을 주위로부터 둘러싸는 프레임부가 형성되며, 상기 규정부의 하단은, 상기 탄성 접촉부의 탄성 변형 시에는 그 탄성 변형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빠져나와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 접촉부가 탄성 변형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땜납 접합부의 하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한 상기 규정부의 하단이, 상기 땜납 접합부에 형성된 프레임부에 의해 주위가 둘러싸여진다. 이 때문에, 상기 탄성 접촉부에 상기 일단과 평행한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서도, 상기 규정부의 하단이 상기 프레임부의 내벽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탄성 접촉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규정부의 하단은, 상기 탄성 접촉부의 탄성 변형 시에는 그 탄성 변형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빠져나오므로, 상기 규정부의 하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둘러싸인 것에 의해 상기 제품 특성이 변화하는 일도 없다.
또한, 상기 어느 발명에 있어서, 상기 땜납 접합면에 투영된 상기 탄성 접촉부의 형상이, 상기 땜납 접합면과 동일 또는 그 땜납 접합면을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땜납 접합면보다 상기 탄성 접촉부의 외형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흡착부의 흡착면을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도전성 부재측에 설치하여 상기 스트로크를 확보한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땜납 접합부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탄성 접촉부의 선단에 이르는 길이가, 상기 땜납 접합부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땜납 접합부의 타단(他端)에 이르는 길이보다 길어도 된다. 이 경우도, 상기 흡착부의 흡착면을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도전성 부재측에 설치하여 상기 스트로크를 확보한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또한, 상기 어느 발명에 있어서, 또한 1장의 금속 박판을 접어 구부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컨택트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하고, 그 제조 비용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도 1의 (a)-(g)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의 (a)는 평면도, 도 1의 (b)는 좌측면도, 도 1의 (c)는 정면도, 도 1의 (d)는 우측면도, 도 1의 (e)는 바닥면도, 도 1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이다.
도 2의 (a)-(b)는 제 1 실시예의 컨택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의 (a)-(g)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3의 (a)는 평면도, 도 3의 (b)는 좌측면도, 도 3의 (c)는 정면도, 도 3의 (d)는 우측면도, 도 3의 (e)는 바닥면도, 도 3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3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이다.
도 4의 (a)-(b)는 제 2 실시예의 컨택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의 (a)-(g)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5의 (a)는 평면도, 도 5의 (b)는 좌측면도, 도 5의 (c)는 정면도, 도 5의 (d)는 우측면도, 도 5의 (e)는 바닥면도, 도 5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5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이다.
도 6의 (a)-(b)는 제 3 실시예의 컨택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의 (a)-(g)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7의 (a)는 평면도, 도 7의 (b)는 좌측면도, 도 7의 (c)는 정면도, 도 7의 (d)는 우측면도, 도 7의 (e)는 바닥면도, 도 7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7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이다.
도 8의 (a)-(b)는 제 4 실시예의 컨택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의 (a)-(g)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9의 (a)는 평면도, 도 9의 (b)는 좌측면도, 도 9의 (c)는 정면도, 도 9의 (d)는 우측면도, 도 9의 (e)는 바닥면도, 도 9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9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이다.
도 10의 (a)-(g)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0의 (a)는 평면도, 도 10의 (b)는 좌측면도, 도 10의 (c)는 정면도, 도 10의 (d)는 우측면도, 도 10의 (e)는 바닥면도, 도 10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0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이다.
도 11의 (a)-(i)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컨택트(7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1의 (a)는 평면도, 도 11의 (b)는 좌측면도, 도 11의 (c)는 정면도, 도 11의 (d)는 우측면도, 도 11의 (e)는 바닥면도, 도 11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1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1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1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도 12의 (a)-(i)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컨택트(8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2의 (a)는 평면도, 도 12의 (b)는 좌측면도, 도 12의 (c)는 정면도, 도 12의 (d)는 우측면도, 도 12의 (e)는 바닥면도, 도 12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2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2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2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도 13의 (a)-(i)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컨택트(9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3의 (a)는 평면도, 도 13의 (b)는 좌측면도, 도 13의 (c)는 정면도, 도 13의 (d)는 우측면도, 도 13의 (e)는 바닥면도, 도 13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3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3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3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도 14의 (a)-(i)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컨택트(10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4의 (a)는 평면도, 도 14의 (b)는 좌측면도, 도 14의 (c)는 정면도, 도 14의 (d)는 우측면도, 도 14의 (e)는 바닥면도, 도 14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4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4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4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도 15의 (a)-(i)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컨택트(11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5의 (a)는 평면도, 도 15의 (b)는 좌측면도, 도 15의 (c)는 정면도, 도 15의 (d)는 우측면도, 도 15의 (e)는 바닥면도, 도 15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5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5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5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도 16의 (a)-(i)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컨택트(12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6의 (a)는 평면도, 도 16의 (b)는 좌측면도, 도 16의 (c)는 정면도, 도 16의 (d)는 우측면도, 도 16의 (e)는 바닥면도, 도 16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6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6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6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도 17의 (a)-(i)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컨택트(13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7의 (a)는 평면도, 도 17의 (b)는 좌측면도, 도 17의 (c)는 정면도, 도 17의 (d)는 우측면도, 도 17의 (e)는 바닥면도, 도 17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7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7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7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예를 들어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덧붙여,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1의 (a)-(g)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컨택트(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의 (a)는 평면도, 도 1의 (b)는 좌측면도, 도 1의 (c)는 정면도, 도 1의 (d)는 우측면도, 도 1의 (e)는 바닥면도, 도 1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이다. 덧붙여, 이 컨택트(1)는, 스프링성 금속(예를 들면, 인청동(phosphor bronze), 베릴륨구리, SUS 등)으로 이루어지는 1장의 박판을, 소정 형상으로 펀칭하는 동시에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a)-(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컨택트(1)는, 하면(2A)이 후술하는 땜납 접합면으로 되어 있는 대략 직사각형의 땜납 접합부(2)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땜납 접합부(2)의 일단(2B)에는 탄성 접촉부(3)가 연접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3)는, 정면에서 봤을 때 아치 형상으로 만곡(彎曲)된 폴딩부(3A)를 통해 땜납 접합부(2)의 일단(2B)에 연접되어 있으며, 선단(3B)도 정면에서 봤을 때 아치 형상으로 하방으로 컬링(curling)되어 있다. 선단(3B)이 어떠한 물체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었을 때, 탄성 접촉부(3)는, 폴딩부(3A)를 중심으로 탄성 변형하여, 해당 물체에 압접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탄성 접촉부(3)의 상기 폴딩부(3A)와 선단(3B) 사이에는, 상기 일단(2B)에 평행한 2변과 그 2변에 직교하는 2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구멍부(3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땜납 접합부(2)의 타단(2C)은, 凸자 형상으로 가늘어져 있으며, 그 가늘게 형성된 타단(2C)에는 흡착부(4)가 연접되어 있다. 흡착부(4)도 정면에서 봤을 때 아치 형상으로 만곡한 폴딩부(4A)를 통해 땜납 접합부(2)의 타단(2C)에 연접되어 있다. 또한, 흡착부(4)의 선단(4B)은, 땜납 접합부(2)와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어, 탄성 접촉부(3)의 구멍부(3C)를 관통하여 탄성 접촉부(3)의 상면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흡착부(4)는 전체에 걸쳐 구멍부(3C)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구멍부(3C)의 어느 변에도 접촉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컨택트(1)는, 도 2의 (b)에 실선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910)과 도전성 부재의 일례로서의 접지 도체(920, 쉴드판이나 케이스 등이어도 됨)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사용된다. 이 경우, 도시가 생략된 엠보스 테이프 등에 수용된 컨택트(1)의 흡착부(4)의 선단(4B)이, 도 2의 (a)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실장기의 흡착 노즐(930)을 맞닿게 함으로써 그 흡착 노즐(930)에 흡착된다. 그리고, 흡착 노즐(930)에 흡착된 컨택트(1)는, 프린트 배선 기판(910)의 도체 패턴(미도시)의 표면에 배치된 다음, 땜납 접합부(2)의 하면(2A)이 프린트 배선 기판(910)의 도체 패턴에 땜납 접합된다.
그 땜납 접합된 상태를 도 2의 (b)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다. 그 상태로부터, 탄성 접촉부(3)의 선단(3B)에 상방으로부터 접지 도체(920)를 접촉시키고, 도 2의 (b)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접촉부(3)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컨택트(1)는 사용된다.
그러면, 탄성 접촉부(3)는 그 탄성 변형에 의해 접지 도체(920)에 압접되어, 프린트 배선 기판(910)의 도체 패턴과 상기 접지 도체(920)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덧붙여, 흡착부(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땜납 접합부(2)에 탄성 접촉부(3)와는 독립하여 연접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착부(4)의 상면에 대해 흡착 노즐(930)이 밀어 넣어져도, 탄성 접촉부(3)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탄성 접촉부(3)의 접지 도체(920)에 대한 압접력 등과 같은 컨택트(1)의 제품 특성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통상은, 흡착 노즐(930)을 너무 밀어넣었을 경우에도, 구멍부(3C)의 하측 변에 흡착부(4)의 선단(4B)이 맞닿지 않는다.
게다가, 흡착부(4)의 선단(4B)은 구멍부(3C)를 관통함으로써 탄성 접촉부(3)의 접지 도체(920)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탄성 접촉부(3)의 스트로크가 그 흡착부(4)의 설치로 인해 감소되지 않으며, 땜납 접합부(2)의 하면(2A)에 투영된 탄성 접촉부(3)의 형상은 땜납 접합부(2)의 하면(2A, 땜납 접합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탄성 접촉부(3)의 스트로크를 확보함으로써 그 탄성 접촉부(3)를 접지 도체(920)에 양호하게 압접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프린트 배선 기판(910)의 도체 패턴과 접지 도체(920)를 양호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의 컨택트(1)는, 도 2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흡착부(4)의 선단(4B)에 접지 도체(920)가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탄성 접촉부(3)를 탄성 변형시켜 사용하는 것이 추천의 사용 방법이지만, 접지 도체(920)가 선단(4B)에 접촉하면 흡착부(4)가 스토퍼로서 기능하여 컨택트(1)가 지나치게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착부(4)가 접지 도체(920)에 접촉하면 상기 도체 패턴과 접지 도체(920) 사이의 임피던스가 변화하므로, 그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컨택트(1)가 지나치게 변형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을 우선하고자 하는 경우는, 컨택트(1)를 굳이 상기와 같이 지나치게 변형된 상태로 사용해도 된다.
또한, 흡착부(4)의 선단(4B)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구멍부(3C)의 어느 변에도 접촉하고 있지 않으며, 상하의 변에 대해서는, 탄성 접촉부(3)의 상기 탄성 변형을 흡착부(4)가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탄성 접촉부(3)에 흡착부(4)가 접촉하여 상기 제품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착부(4)의 선단(4B)이 구멍부(3C)를 관통하고 있지 않으면, 탄성 접촉부(3)에 상기 일단(2B)과 평행한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 탄성 접촉부(3)가 변형하여 젖혀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구멍부(3C)의 내벽면이 흡착부(4)에 맞닿음으로써, 탄성 접촉부(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1)는, 용접 등에 의해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작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컨택트(1)는 1장의 금속 박판을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간략화하고, 그 제조 비용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3의 (a)-(g)는 제 2 실시예의 컨택트(2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3의 (a)는 평면도, 도 3의 (b)는 좌측면도, 도 3의 (c)는 정면도, 도 3의 (d)는 우측면도, 도 3의 (e)는 바닥면도, 도 3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3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 컨택트(21)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컨택트(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의 (a)-(g), 도 2의 (a)-(b)에서 사용한 부호에 20을 더한 부호를 사용하여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컨택트(21)에서는, 구멍부(23C)가 탄성 접촉부(23)의 하단까지 도달하여 있으며, 또한 땜납 접합부(22)까지 연장되어 땜납 접합부(22)의 일단(22B)은 凹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땜납 접합부(22)의 凹자 형상으로 움푹 파인 부분이 상방으로 커팅하여 올려세워져 흡착부(24)를 구성하고 있다. 이 흡착부(24)의 선단(24A)도, 땜납 접합부(22)와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구멍부(23C)를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의 컨택트(21)에서도,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 노즐(930)로 흡착하여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할 수 있어, 컨택트(1)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 컨택트(21)에서는, 땜납 접합부(22)의 일부를 커팅하여 올려세우는 것에 의해 흡착부(2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금속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5의 (a)-(g)는 제 3 실시예의 컨택트(3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5의 (a)는 평면도, 도 5의 (b)는 좌측면도, 도 5의 (c)는 정면도, 도 5의 (d)는 우측면도, 도 5의 (e)는 바닥면도, 도 5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5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 컨택트(31)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컨택트(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의 (a)-(g), 도 2의 (a)-(b)에서 사용한 부호에 30을 더한 부호를 사용하여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컨택트(31)에서도, 구멍부(33C)가 탄성 접촉부(33)의 하단까지 도달하여 있으며, 또한 땜납 접합부(32)까지 연장되어 땜납 접합부(32)의 일단(32B)은 凹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구멍부(33C)가 땜납 접합부(32)로 연장된 양은 컨택트(21)에 비해 적고, 구멍부(33C)로서 펀칭된 부분이 땜납 접합부(32)로부터 상방으로 커팅하여 올려세워져 흡착부(34)를 구성하고 있다. 이 흡착부(34)의 선단(34A)도, 땜납 접합부(32)와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구멍부(33C)를 관통하고 있다. 단, 이 선단(34A)은, 탄성 접촉부(33)의 상면측으로부터 구멍부(33C)를 관통하여, 선단(34A)의 구멍부(33C)를 관통하기 직전의 부분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 노즐(930)에 의한 흡착면으로 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 실시예의 컨택트(31)에서도,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 노즐(930)로 흡착하여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할 수 있어, 컨택트(1)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 컨택트(31)에서도, 탄성 접촉부(33)의 일부를 커팅하여 올려세우는 것에 의해 흡착부(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금속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7의 (a)-(g)는 제 4 실시예의 컨택트(4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7의 (a)는 평면도, 도 7의 (b)는 좌측면도, 도 7의 (c)는 정면도, 도 7의 (d)는 우측면도, 도 7의 (e)는 바닥면도, 도 7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7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 컨택트(41)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컨택트(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의 (a)-(g), 도 2의 (a)-(b)에서 사용한 부호에 40을 더한 부호를 사용하여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컨택트(41)에서도, 구멍부(43C)가 탄성 접촉부(43)의 하단까지 도달하여 있으며, 또한 땜납 접합부(42)까지 연장되어 땜납 접합부(42)의 일단(42B)은 凹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구멍부(43C)로서 펀칭된 부분이, 다음과 같이 흡착부(44), 규정부(46), 프레임부(47)를 구성하고 있다.
흡착부(44)는, 구멍부(43C)의 상측 변에 연접하여 땜납 접합부(42)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규정부(46)는, 흡착부(44)의 선단에 연접하여 땜납 접합부(42)와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부(47)는, 땜납 접합부(42)에 연접하여, 땜납 접합부(42)와 직교하며 또한 규정부(46)와 평행이 되도록 땜납 접합부(42)로부터 커팅하여 올려세워져 있다. 또한, 프레임부(47)에는 직사각형의 구멍부(47A)가 형성되어 있다. 규정부(46)의 하단(46A)은 땜납 접합부(42)의 하면(42A)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그 하단(46A)은 상술한 구멍부(47A)에 삽입되어 있다. 구멍부(47A)에 삽입된 하단(46A)은, 구멍부(47A)의 상측 변에 접촉 혹은 매우 근접하고 있지만, 다른 3변과는 틈새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택트(41)에서는, 흡착부(44)가, 도 8의 (a)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실장기의 흡착 노즐(930)을 맞닿게 함으로써 그 흡착 노즐(930)에 흡착된다. 그리고, 흡착부(44)의 상면에 대해 흡착 노즐(930)이 밀어 넣어져도, 규정부(46)의 하단(46A)이 프레임부(47)의 구멍부(47A)의 하측 변에 맞닿음으로써, 규정부(46)가 지지 로드 형상으로 작용하여 흡착부(44)와 땜납 접합부(42)간의 거리가 규정된다. 이 때문에, 탄성 접촉부(43)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탄성 접촉부(43)의 접지 도체(920)에 대한 압접력 등과 같은 컨택트(41)의 제품 특성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이때 흡착부(44)의 위치는 약간 하방으로 밀어 넣어지는데, 흡착부(44)의 루트(根) 양단에는 탄성 접촉부(43)의 선단(43B, 접촉부에 상당)을 향해 슬릿(43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도 7의 (a)-(g) 참조), 그 흡착부(44)의 이동이 탄성 접촉부(43)에 왜곡을 발생시키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탄성 접촉부(43)의 선단(43B)에 접지 도체(920)가 접촉하여 탄성 접촉부(43)가 도 8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하면, 그 탄성 변형에 따라 규정부(46)의 하단(46A)은 프레임부(47)의 구멍부(47A)로부터 빠져나오도록 변위한다. 이 때문에, 지지 로드가 해제된 상태가 되어 규정부(46)는 상기 탄성 변형을 방해하지 않게 되므로, 그 규정부(46)가 상기 제품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착부(44)는 탄성 접촉부(43)의 접지 도체(920)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탄성 접촉부(43)의 스트로크가 그 흡착부(44)의 설치로 인해 감소되지도 않고, 땜납 접합부(42)의 하면(42A)에 투영된 탄성 접촉부(43)의 형상은 땜납 접합부(42)의 하면(42A)을 포함한다. 따라서, 탄성 접촉부(43)의 스트로크를 확보함으로써 그 탄성 접촉부(43)를 접지 도체(920)에 양호하게 압접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프린트 배선 기판(910)의 도체 패턴과 접지 도체(920)를 양호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컨택트(41)는, 도 8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흡착부(44)에 접지 도체(920)가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탄성 접촉부(3)를 탄성 변형시켜 사용하는 것이 추천의 사용 방법이다. 단, 다접점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는, 흡착부(44)가 접지 도체(920)에 접촉하도록, 컨택트(41)를 굳이 지나치게 변형된 상태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컨택트(4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규정부(46)의 하단(46A)이 프레임부(47)의 구멍부(47A)에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탄성 접촉부(43)에 땜납 접합부(42)의 일단(42B)과 평행한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 탄성 접촉부(43)가 변형하여 젖혀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규정부(46)의 하단(46A)이 프레임부(47)의 구멍부(47A)의 내벽면에 맞닿음으로써, 탄성 접촉부(4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이 컨택트(41)도, 용접 등에 의해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작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컨택트(41)는 1장의 금속 박판을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간략화하고, 그 제조 비용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컨택트(41)에서도, 탄성 접촉부(43), 땜납 접합부(42)의 일부를 커팅하여 올려세우는 것에 의해 흡착부(44), 규정부(46), 프레임부(4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금속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9의 (a)-(g)는 제 5 실시예의 컨택트(5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9의 (a)는 평면도, 도 9의 (b)는 좌측면도, 도 9의 (c)는 정면도, 도 9의 (d)는 우측면도, 도 9의 (e)는 바닥면도, 도 9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9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 컨택트(51)는, 탄성 접촉부(53)의 구성만이 컨택트(1)와 상이하며, 땜납 접합부(52), 흡착부(54)는 컨택트(1)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의 (a)-(g), 도 2의 (a)-(b)에서 사용한 부호에 50을 더한 부호를 사용하여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컨택트(51)에서는, 탄성 접촉부(53)의 선단(53B)이 구멍부(53C)보다 선단측에서 상방으로 굴곡되며, 또한 구멍부(53C)로부터 노출된 흡착부(54)의 선단(54B)을 향해 정면에서 봤을 때 아치 형상으로 되접어져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 의해 탄성 접촉부(53)의 선단(53B)은, 땜납 접합부(52)의 타단(52C)보다 내측, 즉 땜납 접합부(52)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5 실시예의 컨택트(51)에서도 흡착부(54)의 선단(54B)을 흡착 노즐(930)(도 2의 (a)-(b) 참조)로 흡착할 수 있어, 컨택트(1)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 컨택트(51)에서는, 선단(53B)이 상기와 같이 상방으로 굴곡하고 있으므로, 접지 도체(920) 등에 의한 가압 시에 탄성 접촉부(53)가 땜납 접합부(52)의 상방으로부터 측방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10의 (a)-(g)는 제 6 실시예의 컨택트(6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0의 (a)는 평면도, 도 10의 (b)는 좌측면도, 도 10의 (c)는 정면도, 도 10의 (d)는 우측면도, 도 10의 (e)는 바닥면도, 도 10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0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 컨택트(61)는, 탄성 접촉부(63)의 구성만이 컨택트(1)와 상이하며, 땜납 접합부(62), 흡착부(64)는 컨택트(1)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의 (a)-(g), 도 2의 (a)-(b)에서 사용한 부호에 60을 더한 부호를 사용하여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컨택트(61)의 탄성 접촉부(63)는, 중간에서 정면에서 봤을 때 아치 형상으로 만곡한 폴딩부(63E)를 통해 되접어져 있어, 전체적으로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く자 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 접촉부(63)의 선단(63B)은, 상방을 향해 정면에서 봤을 때 아치 형상으로 컬링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 의해, 탄성 접촉부(63)의 선단(63B)은, 땜납 접합부(62)의 일단(62B)보다 내측, 즉 땜납 접합부(62)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멍부(63C)는, 폴딩부(63E)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6 실시예의 컨택트(61)에서도 흡착부(64)의 선단(64B)을 흡착 노즐(930)(도 2의 (a)-(b) 참조)로 흡착할 수 있어, 컨택트(1)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 컨택트(61)에서는, 탄성 접촉부(63)가 상기와 같이 중간에서 되접어져 있으므로, 접지 도체(920) 등에 의한 가압 시에 탄성 접촉부(63)가 땜납 접합부(62)의 상방으로부터 측방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하는 동시에 큰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도 11의 (a)-(i)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컨택트(7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1의 (a)는 평면도, 도 11의 (b)는 좌측면도, 도 11의 (c)는 정면도, 도 11의 (d)는 우측면도, 도 11의 (e)는 바닥면도, 도 11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1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1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1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 컨택트(71)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컨택트(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의 (a)-(g), 도 2의 (a)-(b)에서 사용한 부호에 70을 더한 부호를 사용하여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컨택트(71)에서도, 구멍부(73C)가 탄성 접촉부(73)의 하단까지 도달하고 있으며, 땜납 접합부(72)와의 연접부 사이에, 그 땜납 접합부(72)와 흡착부(74)의 연접부가 凸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흡착부(74)는, 구멍부(73C)로서 펀칭된 부분이 땜납 접합부(72)로부터 상방으로 커팅하여 올려세워져 구성되어 구멍부(73C)를 관통하며, 이 흡착부(74)의 선단(74B)도, 땜납 접합부(72)와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굴곡하고 있다. 또한, 탄성 접촉부(73)의 폴딩부(73A)는 정면에서 봤을 때 U자 형상으로 크게 만곡하며, 또한 그 탄성 접촉부(73)는, 중간에서도 폴딩부(73E)를 통해 정면에서 봤을 때 U자 형상으로 크게 만곡하여 되접어져 있어, 전체적으로 정면에서 봤을 때 S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 접촉부(73)의 선단(73B)은, 상방을 향해 굴곡한 후, 정면에서 봤을 때 약 270° 아치 형상으로 컬링되어 있다. 또한, 구멍부(73C)는, 폴딩부(73E)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7 실시예의 컨택트(71)에서도, 흡착부(74)의 선단(74B)을 흡착 노즐(930)(도 2의 (a)-(b) 참조)로 흡착할 수 있어, 컨택트(1)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 컨택트(71)에서도, 탄성 접촉부(73)의 일부를 커팅하여 올려세우는 것에 의해 흡착부(7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금속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컨택트(71)에서는, 폴딩부(73A, 73E)의 R(곡률 반경)을 크게 하여, 탄성 접촉부(73)를 정면에서 봤을 때 S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땜납 접합부(72)에 대한 탄성 접촉부(73)의 투영 면적을 억제하는 동시에, 탄성 접촉부(73)의 압축 시에 있어서 땜납 접합부(72)가 상방으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하면서, 그 탄성 접촉부(73)의 스프링 정수(定數)를 소망하는 값으로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제 8 실시예]
도 12의 (a)-(i)는 제 8 실시예의 컨택트(8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2의 (a)는 평면도, 도 12의 (b)는 좌측면도, 도 12의 (c)는 정면도, 도 12의 (d)는 우측면도, 도 12의 (e)는 바닥면도, 도 12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2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2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2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 컨택트(81)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컨택트(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의 (a)-(g), 도 2의 (a)-(b)에서 사용한 부호에 80을 더한 부호를 사용하여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컨택트(81)에서는, 땜납 접합부(8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일단(82B)에 탄성 접촉부(83)가, 타단(82C)의 중앙에 흡착부(84)가, 각각 연접되어 있다. 땜납 접합부(82)와 평행하게 배치된 흡착부(84)의 선단(84B)의 더욱 선단부는, 폴딩부(84A)를 향해 하방으로 되접어진 폴딩편(84C)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탄성 접촉부(83)의 구멍부(83C)의 하측단 가장자리(83F)는, 땜납 접합부(82)의 상방에서 이 폴딩편(84C)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또한, 탄성 접촉부(83)의 폴딩부(83A)는 일단 수직으로 일으켜진 후 크게 만곡하며, 또한 그 탄성 접촉부(83)는, 중간에서도 폴딩부(83E)를 통해 크게 만곡하여 되접어져 있다. 또한, 탄성 접촉부(83)의 선단(83B)은, 하방을 향해 아치 형상으로 컬링되어 있다. 또한, 구멍부(83C)는, 폴딩부(83E)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8 실시예의 컨택트(81)에서도, 흡착부(84)의 선단(84B)을 흡착 노즐(930)(도 2의 (a)-(b) 참조)로 흡착할 수 있어, 컨택트(1)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 컨택트(81)에서도, 폴딩부(83A, 83E)의 R(곡률 반경)을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땜납 접합부(82)에 대한 탄성 접촉부(83)의 투영 면적을 억제하는 동시에, 탄성 접촉부(83)의 압축 시에 있어서 땜납 접합부(82)가 상방으로부터의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하면서, 그 탄성 접촉부(83)의 스프링 정수를 소망하는 값으로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이 컨택트(81)에서는, 흡착부(84)의 선단(84B)에 과잉의 부하가 가해졌을 경우, 폴딩편(84C)이 구멍부(83C)의 하측단 가장자리(83F)에 맞닿음으로써, 그 선단(84B)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제 9 실시예]
도 13의 (a)-(i)는 제 9 실시예의 컨택트(9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3의 (a)는 평면도, 도 13의 (b)는 좌측면도, 도 13의 (c)는 정면도, 도 13의 (d)는 우측면도, 도 13의 (e)는 바닥면도, 도 13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3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3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3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 컨택트(91)는, 흡착부(94)의 구성만이 컨택트(81)와 상이하며, 땜납 접합부(92), 탄성 접촉부(93)는 컨택트(81)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2의 (a)-(i)에서 사용한 부호에 10을 더한 부호를 사용하여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컨택트(91)에서는, 흡착부(94)가 폴딩부(94A)에 의해 예각으로 되접어지며, 선단(94B)은, 그 되접어진 방향과 역방향으로 되접어져 땜납 접합부(92)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착부(94)의 중간부(94D)는, 탄성 접촉부(93)의 구멍부(93C)의 하측단 가장자리(93F)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9 실시예의 컨택트(91)에서도, 흡착부(94)의 선단(94B)을 흡착 노즐(930)(도 2의 (a)-(b) 참조)로 흡착할 수 있어, 컨택트(1)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 컨택트(91)에서도, 폴딩부(93A, 93E)의 R(곡률 반경)을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땜납 접합부(92)에 대한 탄성 접촉부(93)의 투영 면적을 억제하는 동시에, 탄성 접촉부(93)의 압축 시에 있어서 땜납 접합부(92)가 상방으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하면서, 그 탄성 접촉부(93)의 스프링 정수를 소망하는 값으로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이 컨택트(91)에서는, 흡착부(94)의 선단(94B)에 과잉의 부하가 가해졌을 경우, 그 흡착부(94)의 중간부(94D)가 구멍부(93C)의 하측단 가장자리(93F)에 맞닿음으로써, 그 선단(94B)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0 실시예]
도 14의 (a)-(i)는 제 10 실시예의 컨택트(10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4의 (a)는 평면도, 도 14의 (b)는 좌측면도, 도 14의 (c)는 정면도, 도 14의 (d)는 우측면도, 도 14의 (e)는 바닥면도, 도 14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4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4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4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 컨택트(101)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컨택트(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의 (a)-(g), 도 2의 (a)-(b)에서 사용한 부호에 100을 더한 부호를 사용하여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컨택트(101)에서는, 땜납 접합부(10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일단(102B)에 탄성 접촉부(103)가, 타단(102C)의 중앙에 흡착부(104)가, 각각 연접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103)는, 도 11의 (a)-(i)에 도시한 탄성 접촉부(73)와 마찬가지로, 폴딩부(103A, 103E)를 통해 U자 형상으로 크게 만곡하여 되접어진 것으로 전체적으로 정면에서 봤을 때 S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선단(103B)은 상방을 향해 굴곡하여 더욱 컬링되어 있다. 또한, 흡착부(104)의 선단(104B)은 흡착부(4)에 비해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구멍부(103C)는 탄성 접촉부(103)의 하단까지 도달하지 않지만 흡착부(104)와 접촉하지 않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0 실시예의 컨택트(101)에서도, 흡착부(104)의 선단(104B)을 흡착 노즐(930)(도 2의 (a)-(b) 참조)로 흡착할 수 있어, 컨택트(1)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 컨택트(101)에서도, 폴딩부(103A, 103E)의 R(곡률 반경)을 크게 하여, 탄성 접촉부(103)를 정면에서 봤을 때 S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땜납 접합부(102)에 대한 탄성 접촉부(103)의 투영 면적을 억제하는 동시에, 탄성 접촉부(103)의 압축 시에 있어서 땜납 접합부(102)가 상방으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하면서, 그 탄성 접촉부(103)의 스프링 정수를 소망하는 값으로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제 11 실시예]
도 15의 (a)-(i)는 제 11 실시예의 컨택트(11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5의 (a)는 평면도, 도 15의 (b)는 좌측면도, 도 15의 (c)는 정면도, 도 15의 (d)는 우측면도, 도 15의 (e)는 바닥면도, 도 15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5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5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5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 컨택트(111)는, 탄성 접촉부(113)의 구멍부(113C)를 그 탄성 접촉부(113)의 선단까지 개구하여, 선단(113B)이 2개로 나누어져 있는 점에서 컨택트(81)와 상이하며, 그 외는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2의 (a)-(i)에서 사용한 부호에 30을 더한 부호를 사용하여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택트(111)에서는, 컨택트(81)와 동일한 효과에 더하여, 접지 도체(920)와의 접점을 다접점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제 12 실시예]
도 16의 (a)-(i)는 제 12 실시예의 컨택트(12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6의 (a)는 평면도, 도 16의 (b)는 좌측면도, 도 16의 (c)는 정면도, 도 16의 (d)는 우측면도, 도 16의 (e)는 바닥면도, 도 16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6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6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6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 컨택트(121)는, 탄성 접촉부(123)의 폴딩부(123A, 123E)의 R(곡률 반경)을 더욱 크게 하여, 탄성 접촉부(123), 흡착부(124)의 높이를 보다 높게 한 점에서 컨택트(91)와 상이하며, 그 외는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3의 (a)-(i)에서 사용한 부호에 30을 더한 부호를 사용하여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택트(121)에서는, 컨택트(91)와 동일한 효과에 더하여, 탄성 접촉부(123)의 스프링 정수를 소망하는 값으로 설계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제 13 실시예]
도 17의 (a)-(i)는 제 13 실시예의 컨택트(13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7의 (a)는 평면도, 도 17의 (b)는 좌측면도, 도 17의 (c)는 정면도, 도 17의 (d)는 우측면도, 도 17의 (e)는 바닥면도, 도 17의 (f)는 좌측 상부 사시도, 도 17의 (g)는 우측 상부 사시도, 도 17의 (h)는 좌측 하부 사시도, 도 17의 (i)는 우측 하부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 컨택트(131)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컨택트(5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9의 (a)-(g)에서 사용한 부호에 80을 더한 부호를 사용하여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컨택트(131)에서는, 탄성 접촉부(133)의 선단(133B)의 상단부에, 양측단 가장자리 근방으로부터 더욱 상방을 향해 한 쌍의 돌기(133H)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3 실시예의 컨택트(131)에서도, 흡착부(134)의 선단(134B)을 흡착 노즐(930)(도 2의 (a)-(b) 참조)로 흡착할 수 있어, 컨택트(51)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로서는 상기 각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땜납 접합부(2)의 일단(2B)에 인접하는 변에, 흡착부가 연접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그 흡착부의 선단이 탄성 접촉부(3)의 상방측이며 또한 그 탄성 접촉부(3)의 선단(3B)보다 하방에서 땜납 접합부(2)와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제 1 실시예 등과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1, 21, 31, 41, 51, 61 : 컨택트
2, 22, 32, 42, 52, 62 : 땜납 접합부
3, 23, 33, 43, 53, 63 : 탄성 접촉부
3C, 23C, 33C, 52C, 62C : 구멍부
4, 24, 34, 44, 54, 64 : 흡착부
46 : 규정부
47 : 프레임부
910 : 프린트 배선 기판
920 : 접지 도체
930 : 흡착 노즐

Claims (7)

1매의 금속의 박판(薄板)을 접어 구부려 형성된 컨택트로서,
사용 시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의 부착 대상면에 표면 실장되며,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과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과는 다른 도전성 부재와의 사이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이 구비하는 도체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상기 컨택트는,
하면(下面)이 상기 도체 패턴에 땜납 접합되는 땜납 접합면으로 되어 있는 땜납 접합부와,
상기 땜납 접합부의 일단(一端)에 연접(連接)되어 상기 땜납 접합부의 상방(上方)으로 되접어지며, 상기 도전성 부재에 접촉했을 때에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壓接)하는 상태가 되는 탄성 접촉부와,
상기 땜납 접합부에 상기 탄성 접촉부와는 독립하여 연접되며, 선단(先端)이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도전성 부재측에서 상기 땜납 접합부의 하면과 평행으로 설치됨으로써 자동 실장기의 흡착 노즐을 위한 흡착면이 되는 흡착부를 구비한, 컨택트.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탄성 접촉부에 형성된 구멍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구멍부는, 상기 탄성 접촉부의 탄성 변형을 상기 흡착부가 방해하지 않는 크기를 갖는, 컨택트.
금속의 박판을 접어 구부려 형성된 컨택트로서,
사용 시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의 부착 대상면에 표면 실장되며,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과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과는 다른 도전성 부재와의 사이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이 구비하는 도체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상기 컨택트는,
하면이 상기 도체 패턴에 땜납 접합되는 땜납 접합면으로 되어 있는 땜납 접합부와,
상기 땜납 접합부의 일단에 연접되어 상기 땜납 접합부의 상방으로 되접어지며, 상기 도전성 부재에 접촉했을 때에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하는 상태가 되는 탄성 접촉부와,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되접어진 폴딩부(folding portion)와 상기 도전성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부 사이에 연접되며,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도전성 부재측에서 상기 땜납 접합부의 하면과 평행으로 설치됨으로써 자동 실장기의 흡착 노즐을 위한 흡착면이 되는 흡착부와,
상기 흡착부에 연접되며, 상기 탄성 접촉부가 탄성 변형하지 않을 때는 상기 흡착부와 상기 땜납 접합부의 거리를 규정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접촉부의 탄성 변형 시에는 그 탄성 변형에 따라 변이함으로써 상기 탄성 접촉부의 탄성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규정부를 구비한, 컨택트.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부의 하단은 상기 땜납 접합부의 하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고,
상기 땜납 접합부에는, 상기 탄성 접촉부가 탄성 변형하지 않을 때에 상기 규정부의 하단을 주위로부터 둘러싸는 프레임부가 형성되며,
상기 규정부의 하단은, 상기 탄성 접촉부의 탄성 변형 시에는 그 탄성 변형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빠져나오는, 컨택트.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접합면에 투영된 상기 탄성 접촉부의 형상이, 상기 땜납 접합면과 동일 또는 그 땜납 접합면을 포함하는, 컨택트.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접합부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탄성 접촉부의 선단에 이르는 길이가, 상기 땜납 접합부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땜납 접합부의 타단(他端)에 이르는 길이보다 긴, 컨택트.
삭제
KR1020127014322A 2009-11-16 2010-11-16 컨택트 KR101410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61076 2009-11-16
JP2009261076 2009-11-16
JP2010051832A JP5246806B2 (ja) 2009-11-16 2010-03-09 コンタクト
JPJP-P-2010-051832 2010-03-09
PCT/JP2010/070374 WO2011059094A1 (ja) 2009-11-16 2010-11-16 コンタク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481A KR20120079481A (ko) 2012-07-12
KR101410949B1 true KR101410949B1 (ko) 2014-06-23

Family

ID=4399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322A KR101410949B1 (ko) 2009-11-16 2010-11-16 컨택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69626B2 (ko)
EP (1) EP2352207B1 (ko)
JP (1) JP5246806B2 (ko)
KR (1) KR101410949B1 (ko)
CN (1) CN102598422B (ko)
WO (1) WO2011059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3164B2 (ja) * 2013-05-23 2016-11-30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端子、電子制御装置
KR101433051B1 (ko) * 2013-05-29 2014-08-25 (주)세윤 쉴드 핑거가스켓
EP2874233B1 (en) * 2013-11-14 2017-01-25 Joinset Co., Ltd Surface-mount type electric connecting terminal, and electronic module unit and circuit board using the same
JP6020509B2 (ja) * 2014-04-22 2016-11-02 Smk株式会社 回路基板接続用ターミナル
US9240645B1 (en) * 2014-09-22 2016-01-19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tact
JP5900573B2 (ja) * 2014-10-08 2016-04-06 株式会社デンソー 基板と電子部品の接続構造
JP2016091701A (ja) * 2014-10-31 2016-05-23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部材
JP6354055B2 (ja) * 2014-11-06 2018-07-11 北川工業株式会社 導電部材及び電磁波シールド構造
KR102360456B1 (ko) * 2015-05-26 2022-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JP6500258B2 (ja) * 2015-06-12 2019-04-17 北川工業株式会社 接触部材
JP6684419B2 (ja) * 2016-03-02 2020-04-22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
JP6720438B2 (ja) * 2016-03-30 2020-07-08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
US11094777B2 (en) * 2016-11-04 2021-08-17 Amotech Co., Ltd. Functional contactor
JP7136549B2 (ja) * 2017-11-14 2022-09-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WO2024080625A1 (ko) * 2022-10-14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택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0615A (ja) 2000-11-30 2002-06-14 Iriso Denshi Kogyo Kk 電気接続用端子
JP2008091245A (ja) * 2006-10-03 2008-04-17 Kitagawa Ind Co Ltd コンタクト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7757A (en) * 1975-03-17 1976-08-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pe-in female terminal for printed circuits
JP3192570B2 (ja) 1995-04-04 2001-07-30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ース用端子
US5709574A (en) * 1996-08-30 1998-01-20 Autosplice Systems Inc. Surface-mountable socket connector
US6051781A (en) * 1997-09-24 2000-04-18 Autosplice, Inc. Surface mount electromagnetic frequency interference shield clip
JP2000323216A (ja) * 1999-05-07 2000-11-24 Kyoshin Kogyo Co Ltd 接続用端子及びテーピング接続用端子
JP3162354B2 (ja) * 1999-08-11 2001-04-25 北川工業株式会社 導電部材
DE60141413D1 (de) 2000-11-10 2010-04-08 Richard M Weis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essen und ausrichten eines golfschlägerschafts
US6493241B1 (en) * 2001-06-26 2002-12-10 Chin Fu Horng EMI protective spring plate for motherboard
JP3851526B2 (ja) * 2001-08-24 2006-11-29 Smk株式会社 アースターミナル
JP3094311U (ja) * 2001-12-28 2003-06-13 榮益科技有限公司 回路板の接続に用いられる薄板ばね
GB2390755A (en) * 2002-07-11 2004-01-14 Itt Mfg Enterprises Inc Spring terminal
CN100454670C (zh) * 2002-07-11 2009-01-21 Itt制造企业公司 弹性电端子及其形成方法
DE10329742A1 (de) * 2003-07-02 2005-02-10 Robert Bosch Gmbh Kontaktfeder zur Anordnung auf einem Montageträger
US7170006B1 (en) * 2003-11-05 2007-01-30 Garmin Ltd. Battery contact mechanism including single-piece battery contact spring
US6898087B1 (en) * 2003-12-29 2005-05-24 Wei-Chen Chen Resilient element
CN101364488B (zh) * 2007-08-10 2010-11-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开关弹片
CN101425631B (zh) * 2007-10-31 2011-07-2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弹片结构及应用该弹片结构的阵列式弹片装置
CN201178541Y (zh) * 2007-12-25 2009-01-07 瑞虹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表面安装之金属弹片结构改良
JP4759587B2 (ja) 2008-04-15 2011-08-31 株式会社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アンド・サービス 風力発電所
CN101895019B (zh) * 2009-05-18 2012-10-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弹片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0615A (ja) 2000-11-30 2002-06-14 Iriso Denshi Kogyo Kk 電気接続用端子
JP2008091245A (ja) * 2006-10-03 2008-04-17 Kitagawa Ind Co Ltd コンタ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481A (ko) 2012-07-12
JP5246806B2 (ja) 2013-07-24
JP2011124200A (ja) 2011-06-23
EP2352207A1 (en) 2011-08-03
WO2011059094A1 (ja) 2011-05-19
US8569626B2 (en) 2013-10-29
EP2352207B1 (en) 2019-01-02
US20120217050A1 (en) 2012-08-30
EP2352207A4 (en) 2014-04-30
CN102598422A (zh) 2012-07-18
CN102598422B (zh)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949B1 (ko) 컨택트
JP4482533B2 (ja) コンタクト部材
EP2498589A1 (en) Surface mount clip
JP6388472B2 (ja)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JP5602117B2 (ja) コネクタ
US6538197B1 (en) Conductive member
JP5740602B2 (ja) 表面実装クリップ
JPH03261080A (ja) カバースプリング付電気コンタクト
JP2001203027A (ja) 直交接触アームおよびオフセット接触領域を備えた電気コンタクト
KR20070104648A (ko) 탄성 접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암형 전기 접촉부
JP2015076207A (ja) コネクタ
JP4273495B2 (ja)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CN202759059U (zh) 具有双止高限位段的表面安装金属弹片
JP5708728B2 (ja) 接続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3568507B2 (ja) 導電部材
JP5108053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9022817B2 (en) Connector terminal including limiter extending along first and second spring terminals
CN114514657A (zh) 连接器及连接器组件
CN208299090U (zh) 超短弹片
JP3452546B2 (ja) 導電部材
US20050277332A1 (e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JP2015185243A (ja) 音叉端子
JP2000340322A (ja) 下面接触形コンタクト
CN213026532U (zh) 一种微型弹片
JP5205586B2 (ja) 導電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